KR20130143090A -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090A
KR20130143090A KR1020137015871A KR20137015871A KR20130143090A KR 20130143090 A KR20130143090 A KR 20130143090A KR 1020137015871 A KR1020137015871 A KR 1020137015871A KR 20137015871 A KR20137015871 A KR 20137015871A KR 20130143090 A KR20130143090 A KR 2013014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ly polymerizable
value
energy ray
polymerizable compoun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사이토
마사시 시나가와
데츠로우 이케다
다츠야 야마사키
도시키 오오미네
마사유키 사타케
슈사쿠 고토
다케하루 기타가와
미노루 미야타케
도모히로 모리
다카시 가미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09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SP 값이 29.0 (kJ/㎥)1/2 이상 32.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를 20 ∼ 60 중량%, SP 값이 18.0 (kJ/㎥)1/2 이상 21.0 (kJ/㎥)1/2 미만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를 10 ∼ 30 중량%, 및 SP 값이 21.0 (kJ/㎥)1/2 이상 23.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를 20 ∼ 60 중량%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각각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모두 60 ℃ 이상으로 한다.

Description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ADHESIVE COMPOSITION CURABLE WITH ACTINIC ENERGY RAY, POLARIZ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2 이상의 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특히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당해 편광판은 이것 단독으로, 또는 이것을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 (LCD), 유기 EL 표시 장치, CRT, 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시계, 휴대 전화, PDA, 노트 PC, PC 용 모니터, DVD 플레이어, TV 등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가 급격하게 시장 전개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의 스위칭에 의한 편광 상태를 가시화시킨 것이고, 그 표시 원리로부터 편광자가 사용된다. 특히, TV 등의 용도에서는, 더욱더 고휘도, 고콘트라스트, 넓은 시야각이 요구되고, 편광판에 있어서도 더욱더 고투과율, 고편광도, 높은 색 재현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편광자로는, 고투과율, 고편광도를 갖는 점에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이하, 간단히 「PVA」라고도 한다) 에 요오드를 흡착시켜, 연신한 구조의 요오드 계 편광자가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의 재료를 물에 녹인 이른바 수계 접착제에 의해,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 (貼合) 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투습도가 높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된다.
편광판을 제조할 때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와 같은 수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이른바 웨트 라미네이션) 에는,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한 후에, 건조 공정이 필요해진다. 편광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조 공정을 단축시키거나, 건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접착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편광자의 수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해 두지 않으면 (통상 편광자의 수분율은 30 % 정도), 접착성이 양호한 편광판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판에서는, 고온이나 고온 고습도하에서의 치수 변화가 크고, 광학 특성이 불량하다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치수 변화를 억제하려면, 편광자의 수분율을 낮추거나, 투습도가 낮은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합하면, 건조 효율이 낮아지거나, 편광 특성이 낮아지거나, 또는 외관의 문제가 발생하여 실질상 유용한 편광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특히 TV 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대화면화가 진행됨에 따라, 편광판의 대형화도 생산성이나 비용의 면 (수율, 금형 생산성 향상) 에서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한 편광판에서는, 백라이트의 열에 의해 편광판이 치수 변화를 일으키고, 그것이 불균일해져 화면 전체 중 일부분에서 흑색 표시가 희게 보인다는 이른바 광 누설 (불균일) 이 현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서술한 웨트 라미네이션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이나 유기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3 에서는, (A) 극성기를 함유하는, 분자량 1,000 이하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B) 극성기를 함유하지 않는, 분자량 1,000 이하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D)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를 구성하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모노머) 의 조합은, 특히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에 대한 접착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편광막과의 접착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었다.
하기 특허문헌 4 에서는, 360 ∼ 450 ㎚ 의 파장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가 400 이상인 광 중합 개시제와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조합은, 주로 광 디스크 등을 접착시킬 때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편광막용으로서 사용한 경우, 편광막과의 접착성이 열등한 경향이 있었다.
하기 특허문헌 5 에서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의 합계량 100 중량부 중에 (a)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 이상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b) 분자 중에 수산기를 가지며, 중합성 이중 결합을 단 1 개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c) 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노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조합은, 각 모노머끼리의 상용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그것에 수반하여 상(相) 분리가 진행되어, 접착제층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것 등이 염려된다. 또한, 이러한 접착제는, 경화물 (접착제층) 을 연화시킴 (Tg 를 낮게 함) 으로써 접착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으로, 내크랙성 등의 내구성은 악화되는 것이 염려된다. 내크랙성은, 냉열 충격 시험 (히트 쇼크 시험) 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를 경화성 성분으로서 사용한,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하기 특허문헌 6 및 특허문헌 7). 이러한 접착제는, 고습도하 및 고온하의 가혹한 환경하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것이지만, 시장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접착성 및/또는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착제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207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64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093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314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746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872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78700호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2 이상의 부재, 특히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내구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킨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의 경화성 성분의 SP 값 (용해도 파라미터) 에 착안하였다. 일반적으로, SP 값이 가까운 물질끼리는 서로 친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끼리의 SP 값이 가까우면 이들의 상용성이 높아지고,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편광자의 SP 값이 가까우면 접착제층과 편광자의 접착성이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보호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TAC), 아크릴 필름, 시클로올레핀 필름) 의 SP 값이 가까우면 접착제층과 보호 필름의 접착성이 높아진다. 이들 경향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 적어도 3 종류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각 SP 값을 특정의 범위 내로 설계하며, 또한 최적의 조성 비율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검토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 하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으로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였을 때, SP 값이 29.0 (kJ/㎥)1/2 이상 32.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를 20 ∼ 60 중량%, SP 값이 18.0 (kJ/㎥)1/2 이상 21.0 (kJ/㎥)1/2 미만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를 10 ∼ 30 중량%, 및 SP 값이 21.0 (kJ/㎥)1/2 이상 23.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를 20 ∼ 60 중량% 함유하고,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각각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모두 6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SP 값은 29.0 (kJ/㎥)1/2 이상 32.0 (kJ/㎥)1/2 이하이고, 조성물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였을 때, 그 조성 비율은 20 ∼ 60 중량% 이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는 SP 값이 높고, 예를 들어 PVA 계 편광자 (예를 들어 SP 값 32.8) 및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의 비누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SP 값 32.7) 와 접착제층의 접착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한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는 SP 값이 물 (SP 값 47.9) 과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조성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접착제층의 내수성의 악화가 염려된다. 따라서, 편광자나 비누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과의 접착성과 내수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조성 비율을 20 ∼ 60 중량% 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착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조성 비율은 25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내수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조성 비율은 5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SP 값은 18.0 (kJ/㎥)1/2 이상 21.0 (kJ/㎥)1/2 미만이고, 그 조성 비율은 10 ∼ 30 중량% 이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는 SP 값이 낮고, 물 (SP 값 47.9) 과 SP 값이 크게 떨어져 있어, 접착제층의 내수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SP 값은, 예를 들어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의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예를 들어,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제오노아」) 의 SP 값 (예를 들어 SP 값 18.6) 과 가깝기 때문에, 이러한 투명 보호 필름과의 접착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접착제층의 내수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SP 값을 20.0 (kJ/㎥)1/2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와의 SP 값이 크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조성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끼리의 상용성의 밸런스가 무너져, 상 분리의 진행에 수반하여, 접착제층의 투명성의 악화가 염려된다. 따라서, 내수성과 접착제층의 투명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조성 비율을 10 ∼ 30 중량% 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수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조성 비율은 1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층의 투명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조성 비율은 2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SP 값은 19.0 (kJ/㎥)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SP 값은 21.0 (kJ/㎥)1/2 이상 23.0 (kJ/㎥)1/2 미만이고, 그 조성 비율은 20 ∼ 60 중량% 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는, SP 값이 크게 떨어져 있어, 이들끼리는 상용성이 나쁘다. 그러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SP 값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SP 값과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SP 값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에 더하여,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를 병용함으로써, 조성물 전체로서의 상용성이 양호한 밸런스로 향상된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SP 값은, 예를 들어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의 불비누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SP 값 (예를 들어 23.3) 및 아크릴 필름의 SP 값 (예를 들어 22.2) 과 가깝기 때문에, 이들 투명 보호 필름과의 접착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따라서, 내수성 및 접착성을 양호한 밸런스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조성 비율을 20 ∼ 60 중량% 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성물 전체로서의 상용성과 투명 보호 필름과의 접착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조성 비율은 25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9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내수성을 고려한 경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조성 비율은 5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각각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모두 60 ℃ 이상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특히 우수한 것이 되어, 히트 쇼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히트 쇼크 크랙」이란, 예를 들어 편광자가 수축할 때, 연신 방향으로 찢어지는 현상을 의미하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히트 쇼크 온도 범위 (-40 ℃ ∼ 60 ℃) 에서 편광자의 팽창·수축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각각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모두 60 ℃ 이상이기 때문에, 접착제층을 형성하였을 때, 그 Tg 도 높아진다. 이로써, 히트 쇼크 온도 범위에서의 접착제층의 급격한 탄성률 변화를 억제하여, 편광자에 작용하는 팽창·수축력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히트 쇼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SP 값 (용해도 파라미터) 의 산출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의 산출법)
본 발명에 있어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나 편광자, 각종 투명 보호 필름 등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는, Fedors 의 산출법 [「폴리머 엔지니어링 앤드 사이언스 (Polymer Eng. & Sci.)」, 제14권, 제2호 (1974), 제148 ∼ 154페이지 참조], 즉
Figure pct00001
(단 Δei 는 원자 또는 기에 귀속하는 25 ℃ 에 있어서의 증발 에너지, Δvi 는 25 ℃ 에 있어서의 몰 체적이다) 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중의 Δei 및 Δvi 에, 주된 분자 중의 i 개의 원자 및 기에 부여된 일정한 수치를 나타낸다. 또한, 원자 또는 기에 대하여 부여된 Δe 및 Δv 의 수치의 대표 예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체량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를 합계로 85 ∼ 100 중량부 함유하고, 추가로 SP 값이 23.0 (kJ/㎥)1/ 2 를 초과하며 29.0 (kJ/㎥)1/2 미만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D) 를 0 ∼ 1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착제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의 비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내구성 및 내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성, 내구성 및 내수성을 더욱 양호한 밸런스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를 합계로 90 ∼ 1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 ∼ 1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및/또는 N-메틸올아크릴아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가,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가,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및/또는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접착제층의 접착성, 내구성 및 내수성을 보다 양호한 밸런스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광 중합 개시제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식 중, R1 및 R2 는 -H, -CH2CH3, -iPr 또는 Cl 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의 광 중합 개시제는, UV 흡수능을 갖는 투명 보호 필름을 투과하는 장파장의 광에 의해 중합을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UV 흡수성 필름 너머에서도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편광자-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이 양면에 UV 흡수능을 갖는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에서도, 일반식 (1) 의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경우,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광 중합 개시제로서, 일반식 (1) 의 광 중합 개시제에 더하여, 추가로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
[화학식 2]
Figure pct00004
(식 중, R3, R4 및 R5 는 -H, -CH3, -CH2CH3, -iPr 또는 Cl 을 나타내고, R3, R4 및 R5 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및 일반식 (2) 의 광 중합 개시제를 병용함으로써, 이들의 광 증감 반응에 의해 반응이 고효율화되어, 접착제층의 접착성이 특히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파장 365 ㎚ 의 광선 투과율이 5 % 미만인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접착제층이,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는 SP 값이 높고 (PVA 계 편광자의 SP 값은 예를 들어 32.8), 한편, 투명 보호 필름의 SP 값은 일반적으로 낮다 (SP 값은 18 ∼ 24 정도).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판은, SP 값이 높은 편광자와 SP 값이 낮은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의 SP 값 및 배합량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결과, 이러한 편광판은,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강고하게 접착되며, 또한 접착제층의 내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특히, 접착제층의 Tg 가 6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면, 내구성이 특히 우수한 것이 되어, 히트 쇼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광학 필름은, 상기 기재된 편광판이, 적어도 1 장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SP 값이 29.0 (kJ/㎥)1/2 이상 33.0 (kJ/㎥)1/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 필름의 SP 값이 상기 범위 내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SP 값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투명 보호 필름과 접착제층의 접착성이 크게 향상된다. SP 값이 29.0 (kJ/㎥)1/2 이상 33.0 (kJ/㎥)1/2 미만인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비누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SP 값 32.7) 를 들 수 있다.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SP 값이 18.0 (kJ/㎥)1/2 이상 24.0 (kJ/㎥)1/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 필름의 SP 값이 상기 범위 내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및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SP 값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투명 보호 필름과 접착제층의 접착성이 크게 향상된다. SP 값이 18.0 (kJ/㎥)1/2 이상 24.0 (kJ/㎥)1/2 미만인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불비누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SP 값 23.3) 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기재된 편광판, 및/또는 상기 기재된 광학 필름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판의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강고하게 접착되며, 접착제층의 내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접착제층을 형성한 경우, 2 이상의 부재, 특히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내구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킨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경우, 치수 변화가 작은 편광판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의 대형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수율, 금형 생산성의 관점에서 생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판은 치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백라이트의 외부 열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으로서, 조성물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였을 때, SP 값이 29.0 (kJ/㎥)1/2 이상 32.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를 20 ∼ 60 중량%, SP 값이 18.0 (kJ/㎥)1/2 이상 21.0 (kJ/㎥)1/2 미만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를 10 ∼ 30 중량%, 및 SP 값이 21.0 (kJ/㎥)1/2 이상 23.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를 20 ∼ 60 중량%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량」이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에 더하여, 각종 개시제나 첨가제를 함유하는 전체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가지며, 또한 SP 값이 29.0 (kJ/㎥)1/2 이상 32.0 (kJ/㎥)1/2 이하인 화합물이면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SP 값 29.6),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SP 값 31.5)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기란, 아크릴레이트기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의미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가지며, 또한 SP 값이 18.0 (kJ/㎥)1/2 이상 21.0 (kJ/㎥)1/2 미만인 화합물이면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SP 값 19.0),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SP 값 19.2),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SP 값 20.3), 고리형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아크릴레이트 (SP 값 19.1), 디옥산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SP 값 19.4), EO 변성 디글리세린테트라아크릴레이트 (SP 값 20.9)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로는 시판품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로닉스 M-220 (토아 합성사 제조, SP 값 19.0),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1,9ND-A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SP 값 19.2),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DGE-4A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SP 값 20.9),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DCP-A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SP 값 20.3), SR-531 (Sartomer 사 제조, SP 값 19.1), CD-536 (Sartomer 사 제조, SP 값 19.4)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가지며, 또한 SP 값이 21.0 (kJ/㎥)1/2 이상 23.0 (kJ/㎥)1/2 이하인 화합물이면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일모르폴린 (SP 값 22.9),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SP 값 22.9),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SP 값 22.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로는 시판품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CMO (코진사 제조, SP 값 22.9), 와스마 2MA (카사노 흥산사 제조, SP 값 22.9), 와스마 EMA (카사노 흥산사 제조, SP 값 22.3), 와스마 3MA (카사노 흥산사 제조, SP 값 22.4)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각각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모두 60 ℃ 이상이면, 접착제층의 Tg 도 높아져, 내구성이 특히 우수한 것이 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제층으로 하였을 때, 편광자의 히트 쇼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호모폴리머의 Tg 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단독으로 경화 (중합) 시켰을 때의 Tg 를 의미한다. Tg 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를 합계로 85 ∼ 100 중량부 함유하고, 추가로 SP 값이 23.0 (kJ/㎥)1/ 2 를 초과하며 29.0 (kJ/㎥)1/2 미만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D) 를 0 ∼ 15 중량부 함유해도 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D)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SP 값 23.8),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SP 값 25.5), N-비닐카프로락탐 (상품명 V-CAP, ISP 사 제조, SP 값 23.4),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SP 값 24.5)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전자선 경화형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 중에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은 특별히 필요하지는 않지만, 자외선 경화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 중합 개시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서는, 광 중합 개시제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
[화학식 3]
Figure pct00005
(식 중, R1 및 R2 는 -H, -CH2CH3, -iPr 또는 Cl 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 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후술하는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 중합 개시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 중합 개시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접착성이 우수하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중에서도, R1 및 R2 가 -CH2CH3 인 디에틸티오크산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조성 비율은, 조성물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였을 때, 0.1 ∼ 5.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4.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9 ∼ 3.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 보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 보조제로는,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4-디메틸아미노벤조산메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 등을 들 수 있고,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 보조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였을 때, 통상 0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 ∼ 4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 ∼ 3 중량% 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지된 광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 있다. UV 흡수능을 갖는 투명 보호 필름은, 380 ㎚ 이하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광 중합 개시제로는,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광 중합 개시제로서, 일반식 (1) 의 광 중합 개시제에 더하여, 추가로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
[화학식 4]
Figure pct00006
(식 중, R3, R4 및 R5 는 -H, -CH3, -CH2CH3, -iPr 또는 Cl 을 나타내고, R3, R4 및 R5 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시판품이기도 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상품명 : IRGACURE 907 메이커 : BASF) 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상품명 : IRGACURE 369 메이커 : BASF), 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 (상품명 : IRGACURE 379 메이커 : BASF) 이 감도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밖의 임의 성분으로서 각종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석유 수지, 자일렌 수지, 케톤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불소계 올리고머, 실리콘계 올리고머, 폴리술파이드계 올리고머 등의 폴리머 혹은 올리고머 ; 페노티아진, 2,6-디-t-부틸-4-메틸페놀 등의 중합 금지제 ; 중합 개시 보조제 ; 레벨링제 ; 젖음성 개량제 ; 계면 활성제 ; 가소제 ; 자외선 흡수제 ; 실란 커플링제 ; 무기 충전제 ; 안료 ;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중에서도, 실란 커플링제는 편광자 표면에 작용하여, 추가적인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였을 때, 통상 0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 ∼ 3 중량% 이다.
실란 커플링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이 아니어도 동일한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예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화합물로서 비닐트리 클로르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이 아닌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예로는,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비닐벤질)-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염산염,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미다졸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전자선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양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 경화형에 있어서, 전자선의 조사 조건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는 조건이면, 임의의 적절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선 조사는, 가속 전압이 바람직하게는 5 ㎸ ∼ 3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250 ㎸ 이다. 가속 전압이 5 ㎸ 미만인 경우, 전자선이 접착제까지 도달하지 않아 경화 부족이 될 우려가 있고, 가속 전압이 300 ㎸ 를 초과하면, 시료를 통과하는 침투력이 지나치게 강해, 투명 보호 필름이나 편광자에 데미지를 줄 우려가 있다. 조사선량으로는 5 ∼ 100 kGy,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75 kGy 이다. 조사선량이 5 kGy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가 경화 부족이 되고, 100 kGy 를 초과하면, 투명 보호 필름이나 편광자에 데미지를 주고, 기계적 강도의 저하나 황변을 발생시켜, 소정의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전자선 조사는, 통상, 불활성 가스 중에서 조사를 실시하지만, 필요하면 대기 중이나 산소를 조금 도입한 조건에서 실시해도 된다. 투명 보호 필름의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산소를 적절히 도입함으로써, 최초로 전자선이 닿는 투명 보호 필름면에 억지로 산소 저해를 발생시켜,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한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어, 접착제에만 효율적으로 전자선을 조사시킬 수 있다.
한편, 자외선 경화형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능을 부여한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대략 380 ㎚ 보다 단파장의 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380 ㎚ 보다 단파장의 광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그 중합 반응에 기여하지 않는다. 또한, 투명 보호 필름에 의해 흡수된 380 ㎚ 보다 단파장의 광은 열로 변환되어, 투명 보호 필름 자체가 발열하여, 편광판의 컬·주름 등 불량의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을 채용하는 경우, 자외선 발생 장치로서 380 ㎚ 보다 단파장의 광을 발광하지 않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범위 380 ∼ 440 ㎚ 의 적산 조도와 파장 범위 250 ∼ 370 ㎚ 의 적산 조도의 비가 100 : 0 ∼ 100 :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0 ∼ 100 : 4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적산 조도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자외선으로는, 갈륨 봉입 메탈할라이드 램프, 파장 범위 380 ∼ 440 ㎚ 를 발광하는 LED 광원이 바람직하다. 혹은,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백열 전구,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카본 아크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형광등, 텅스텐 램프, 갈륨 램프, 엑시머 레이저 또는 태양광을 광원으로 하여, 밴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380 ㎚ 보다 단파장의 광을 차단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 경화형에 있어서,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가온하는 것 (조사 전 가온) 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40 ℃ 이상으로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 이상으로 가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 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가온하는 것 (조사 후 가온) 도 바람직하고, 그 경우 40 ℃ 이상으로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 이상으로 가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특히 편광자와 파장 365 ㎚ 의 광선 투과율이 5 % 미만인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일반식 (1) 의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함으로써, UV 흡수능을 갖는 투명 보호 필름 너머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자의 양면에 UV 흡수능을 갖는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에 있어서도, 접착제층을 경화시킬 수 있다. 단, 당연히, UV 흡수능을 갖지 않는 투명 보호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에 있어서도, 접착제층을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UV 흡수능을 갖는 투명 보호 필름이란, 380 ㎚ 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10 % 미만인 투명 보호 필름을 의미한다.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한 UV 흡수능의 부여 방법으로는, 투명 보호 필름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방법이나, 투명 보호 필름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표면 처리층을 적층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된 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은 수계 접착제층에 비해 내구성이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착제층으로서 Tg 가 60 ℃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층의 두께가 0.01 ∼ 7 ㎛ 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는, 접착제층이 60 ℃ 이상의 고(高) Tg 가 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과 함께, 접착제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제어한 경우, 고습하 및 고온하의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편광판의 내구성을 고려한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접착제층의 Tg (℃) 를 A, 접착제층의 두께 (㎛) 를 B 로 정의한 경우에, 수학식 (1) : A-12×B > 58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이것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Tg 가 60 ℃ 이상이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5 ℃ 이상, 나아가서는 100 ℃ 이상, 나아가서는 1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층의 Tg 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편광판의 굴곡성이 저하되는 점에서, 접착제층의 Tg 는 300 ℃ 이하, 나아가서는 240 ℃ 이하, 나아가서는 18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7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2 ㎛,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 1 ㎛ 이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0.01 ㎛ 보다 얇은 경우에는, 접착력 자체의 응집력이 얻어지지 않아, 접착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접착제층의 두께가 7 ㎛ 를 초과하면, 편광판이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판은, 편광자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면 및/또는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도공한 후,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공정, 이어서,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도공하기 전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구체적인 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비누화 처리에 의한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도공 방식은, 조성물의 점도나 목적으로 하는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도공 방식의 예로서, 예를 들어, 리버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다이렉트, 리버스나 오프셋), 바 리버스 코터, 롤 코터, 다이 코터, 바 코터, 로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도공에는, 디핑 방식 등의 방식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공한 접착제를 개재하여,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한다.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첩합은, 롤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한 후에, 활성 에너지선 (전자선, 자외선 등) 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활성 에너지선 (전자선, 자외선 등) 의 조사 방향은, 임의의 적절한 방향으로부터 조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보호 필름측으로부터 조사한다. 편광자측으로부터 조사하면, 편광자가 활성 에너지선 (전자선, 자외선 등) 에 의해 열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판을 연속 라인에서 제조하는 경우, 라인 속도는, 접착제의 경화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1 ∼ 500 m/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00 m/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00 m/min 이다. 라인 속도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생산성이 부족하거나, 또는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한 데미지가 지나치게 커서, 내구성 시험 등에 견딜 수 있는 편광판을 제작할 수 없다. 라인 속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접착제의 경화가 불충분해져, 목적으로 하는 접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이,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층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지만, 투명 보호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는, 접착 용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골격, 폴리에테르 골격, 폴리카보네이트 골격, 폴리우레탄 골격, 실리콘계, 폴리아미드 골격, 폴리이미드 골격, 폴리비닐알코올 골격 등을 갖는 각종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 폴리머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용이층의 형성에는 다른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추가로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접착 용이층은, 통상, 투명 보호 필름에 미리 형성해 두고, 당해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 용이층측과 편광자를 접착제층에 의해 첩합한다. 접착 용이층의 형성은, 접착 용이층의 형성재를 투명 보호 필름 상에, 공지된 기술에 의해 도공, 건조함으로써 행해진다. 접착 용이층의 형성재는, 건조 후의 두께, 도공의 원활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용액으로서 통상 조정된다. 접착 용이층은 건조 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2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1 ㎛ 이다. 또한, 접착 용이층은 복수 층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접착 용이층의 총 두께는 상기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층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있다.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재료를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 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80 ㎛ 정도 이하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불균일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로는 두께가 10 ㎛ 이하인 박형의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박형화의 관점에서 말하면 당해 두께는 1 ∼ 7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박형의 편광자는, 두께 불균일이 적고, 시인성이 우수하며, 또한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편광판으로서의 두께도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이 바람직하다.
박형의 편광자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069644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8329호나, WO2010/100917호 팸플릿, PCT/JP2010/001460 의 명세서, 또는 일본 특허출원 2010-269002호 명세서나 일본 특허출원 2010-263692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막을 들 수 있다. 이들 박형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라고도 한다) 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이면, PVA 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 없이 연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박형 편광막으로는, 적층체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WO2010/100917호 팸플릿, PCT/JP2010/001460 의 명세서, 또는 일본 특허출원 2010-269002호 명세서나 일본 특허출원 2010-263692호 명세서에 기재가 있는 것과 같은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 특허출원 2010-269002호 명세서나 일본 특허출원 2010-263692호 명세서에 기재가 있는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空中)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PCT/JP2010/001460 의 명세서에 기재된 박형 고기능 편광막은, 수지 기재에 일체로 제막 (製膜) 되는, 이색성 물질을 배향시킨 PVA 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7 ㎛ 이하인 박형 고기능 편광막으로서, 단체 (單體) 투과율이 42.0 % 이상 및 편광도가 99.95 % 이상인 광학 특성을 갖는다.
상기 박형 고기능 편광막은, 적어도 20 ㎛ 의 두께를 갖는 수지 기재에, PVA 계 수지의 도포 및 건조에 의해 PVA 계 수지층을 생성하고, 생성된 PVA 계 수지층을 이색성 물질의 염색액에 침지하여, PVA 계 수지층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키고,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킨 PVA 계 수지층을,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 수지 기재와 일체로 총 연신 배율을 원래 길이의 5 배 이상이 되도록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색성 물질을 배향시킨 박형 고기능 편광막을 포함하는 적층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20 ㎛ 의 두께를 갖는 수지 기재와, 수지 기재의 편면에 PVA 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도포 및 건조함으로써 형성된 PVA 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필름을 생성하는 공정과, 수지 기재와 수지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PVA 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적층체 필름을,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염색액 중에 침지함으로써, 적층체 필름에 함유되는 PVA 계 수지층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키는 공정과,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킨 PVA 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적층체 필름을,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 총 연신 배율이 원래 길이의 5 배 이상이 되도록 연신하는 공정과,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킨 PVA 계 수지층이 수지 기재와 일체로 연신됨으로써, 수지 기재의 편면에, 이색성 물질을 배향시킨 PVA 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7 ㎛ 이하, 단체 투과율이 42.0 % 이상 또한 편광도가 99.95 % 이상인 광학 특성을 갖는 박형 고기능 편광막을 제막시킨 적층체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박형 고기능 편광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일본 특허출원 2010-269002호 명세서나 일본 특허출원 2010-263692호 명세서에 기재된 박형 편광막은, 이색성 물질을 배향시킨 PVA 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속 웨브의 편광막으로서, 비정성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제막된 PVA 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공중 보조 연신과 붕산 수중 연신으로 이루어지는 2 단 연신 공정에서 연신됨으로써, 10 ㎛ 이하의 두께로 된 것이다. 이러한 박형 편광막은, 단체 투과율을 T, 편광도를 P 로 하였을 때, P > -(100.929T-42.4-1)×100 (단, T < 42.3), 및 P ≥ 99.9 (단, T ≥ 42.3) 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광학 특성을 갖도록 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박형 편광막은, 연속 웨브의 비정성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제막된 PVA 계 수지층에 대한 공중 고온 연신에 의해, 배향된 PVA 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연신 중간 생성물을 생성하는 공정과, 연신 중간 생성물에 대한 이색성 물질의 흡착에 의해, 이색성 물질 (요오드 또는 요오드와 유기 염료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을 배향시킨 PVA 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중간 생성물을 생성하는 공정과, 착색 중간 생성물에 대한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이색성 물질을 배향시킨 PVA 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10 ㎛ 이하인 편광막을 생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박형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중 고온 연신과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한 비정성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제막된 PVA 계 수지층의 총 연신 배율이 5 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수중 연신을 위한 붕산 수용액의 액온은 6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붕산 수용액 중에서 착색 중간 생성물을 연신하기 전에, 착색 중간 생성물에 대하여 불용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액온이 40 ℃ 를 초과하지 않는 붕산 수용액에 상기 착색 중간 생성물을 침지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정성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다른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할 수 있고,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제막되는 PVA 계 수지층의 두께의 7 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공중 고온 연신의 연신 배율은 3.5 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공중 고온 연신의 연신 온도는 PVA 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구체적으로는 95 ℃ ∼ 15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 고온 연신을 자유단 1 축 연신으로 실시하는 경우, 비정성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제막된 PVA 계 수지층의 총 연신 배율이 5 배 이상 7.5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 고온 연신을 고정단 1 축 연신으로 실시하는 경우, 비정성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제막된 PVA 계 수지층의 총 연신 배율이 5 배 이상 8.5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박형 편광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소프탈산을 6 ㏖% 공중합시킨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비정성 PET) 의 연속 웨브의 기재를 제작한다. 비정성 PET 의 유리 전이 온도는 75 ℃ 이다. 연속 웨브의 비정성 PET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 (PVA)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이하와 같이 제작한다. 덧붙여서 PVA 의 유리 전이 온도는 80 ℃ 이다.
200 ㎛ 두께의 비정성 PET 기재와, 중합도 1000 이상, 비누화도 99 % 이상의 PVA 분말을 물에 용해시킨 4 ∼ 5 % 농도의 PVA 수용액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200 ㎛ 두께의 비정성 PET 기재에 PVA 수용액을 도포하고, 50 ∼ 60 ℃ 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비정성 PET 기재에 7 ㎛ 두께의 PVA 층이 제막된 적층체를 얻는다.
7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공중 보조 연신 및 붕산 수중 연신의 2 단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이하의 공정을 거쳐, 3 ㎛ 두께의 박형 고기능 편광막을 제조한다. 제 1 단의 공중 보조 연신 공정에 의해, 7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하여, 5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연신 적층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연신 적층체는, 7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130 ℃ 의 연신 온도 환경으로 설정된 오븐에 배치된 연신 장치에 걸고, 연신 배율이 1.8 배가 되도록 자유단 1 축으로 연신한 것이다. 이 연신 처리에 의해, 연신 적층체에 포함되는 PVA 층을, PVA 분자가 배향된 5 ㎛ 두께의 PVA 층으로 변화시킨다.
다음으로, 염색 공정에 의해, PVA 분자가 배향된 5 ㎛ 두께의 PVA 층에 요오드를 흡착시킨 착색 적층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착색 적층체는, 연신 적층체를 액온 30 ℃ 의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액에,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고기능 편광막을 구성하는 PVA 층의 단체 투과율이 40 ∼ 44 % 가 되도록 임의의 시간, 침지함으로써, 연신 적층체에 포함되는 PVA 층에 요오드를 흡착시킨 것이다. 본 공정에 있어서, 염색액은, 물을 용매로 하고, 요오드 농도를 0.12 ∼ 0.30 중량% 의 범위 내로 하며, 요오드화칼륨 농도를 0.7 ∼ 2.1 중량% 의 범위 내로 한다.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의 농도의 비는 1 대 7 이다. 덧붙여서, 요오드를 물에 용해시키려면 요오드화칼륨을 필요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요오드 농도 0.30 중량%, 요오드화칼륨 농도 2.1 중량% 의 염색액에 연신 적층체를 60 초간 침지함으로써, PVA 분자가 배향된 5 ㎛ 두께의 PVA 층에 요오드를 흡착시킨 착색 적층체를 생성한다.
또한, 제 2 단의 붕산 수중 연신 공정에 의해, 착색 적층체를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추가로 연신하여, 3 ㎛ 두께의 고기능 편광막을 구성하는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광학 필름 적층체는, 착색 적층체를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액온 범위 60 ∼ 85 ℃ 의 붕산 수용액으로 설정된 처리 장치에 배치된 연신 장치에 걸고, 연신 배율이 3.3 배가 되도록 자유단 1 축으로 연신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붕산 수용액의 액온은 65 ℃ 이다. 그것은 또한, 붕산 함유량을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로 하고, 요오드화칼륨 함유량을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로 한다. 본 공정에 있어서는, 요오드 흡착량을 조정한 착색 적층체를 먼저 5 ∼ 10 초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한다. 그러한 후에, 그 착색 적층체를 그대로 처리 장치에 배치된 연신 장치인 주속이 상이한 복수 세트의 롤 사이에 통과시켜, 30 ∼ 90 초에 걸쳐 연신 배율이 3.3 배가 되도록 자유단 1 축으로 연신한다. 이 연신 처리에 의해, 착색 적층체에 포함되는 PVA 층을,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물로서 일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3 ㎛ 두께의 PVA 층으로 변화시킨다. 이 PVA 층이 광학 필름 적층체의 고기능 편광막을 구성한다.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에 필수인 공정은 아니지만, 세정 공정에 의해, 광학 필름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으로부터 취출하여, 비정성 PET 기재에 제막된 3 ㎛ 두께의 PVA 층의 표면에 부착된 붕산을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으로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후에, 세정된 광학 필름 적층체를 60 ℃ 의 온풍에 의한 건조 공정에 의해 건조한다. 또한 세정 공정은, 붕산 석출 등의 외관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공정이다.
마찬가지로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에 필수인 공정인 것은 아니지만, 첩합 및/또는 전사 공정에 의해, 비정성 PET 기재에 제막된 3 ㎛ 두께의 PVA 층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80 ㎛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첩합한 후,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여, 3 ㎛ 두께의 PVA 층을 80 ㎛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전사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공정]
상기의 박형 편광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공정 이외에, 그 밖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공정으로는, 예를 들어, 불용화 공정, 가교 공정, 건조 (수분율의 조절)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불용화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 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한다. 불용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당해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4 중량부이다. 불용화욕 (붕산 수용액) 의 액온은, 바람직하게는 20 ℃ ∼ 50 ℃ 이다. 바람직하게는, 불용화 공정은, 적층체 제작 후, 염색 공정이나 수중 연신 공정 전에 실시한다.
상기 가교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 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한다.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당해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4 중량부이다. 또한, 상기 염색 공정 후에 가교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추가로,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을 배합함으로써, PVA 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요오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5 중량부이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가교욕 (붕산 수용액) 의 액온은, 바람직하게는 20 ℃ ∼ 50 ℃ 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 공정은 상기 제 2 붕산 수중 연신 공정 전에 실시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제 2 붕산 수중 연신 공정을 이 순서로 실시한다.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 종류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하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본래 갖는 고투명성 등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A) 측사슬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사슬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페닐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수지 조성물의 혼합 압출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위상차가 작고, 광 탄성 계수가 작기 때문에 편광판의 변형에 의한 불균일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투습도가 작기 때문에,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다.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에서 1 ∼ 500 ㎛ 정도이다. 특히 1 ∼ 300 ㎛ 가 바람직하고, 5 ∼ 2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 표리에서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 내지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은, 투명 보호 필름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로,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실용시에 다른 광학층과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광학층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 (1/2 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한다), 시각 보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을 1 층 또는 2 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시각 보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혹은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적층하여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층 등의 적절한접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편광판이나 그 밖의 광학 필름의 접착시에, 그것들의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전술한 편광판이나, 편광판이 적어도 1 층 적층되어 있는 광학 필름에는,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와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은, 상이한 조성 또는 종류 등의 것의 중첩층으로서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의 표리에 있어서 상이한 조성이나 종류나 두께 등의 점착층으로 할 수도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 ∼ 500 ㎛ 이며, 1 ∼ 200 ㎛ 가 바람직하고, 특히 1 ∼ 100 ㎛ 가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제공되기까지의 동안에, 그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세퍼레이터가 임시 부착되어 커버된다. 이로써, 통례의 취급 상태에서 점착층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는, 상기 두께 조건을 제외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그것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를,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나 장사슬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절한 박리제로 코트 처리한 것 등의, 종래에 준한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장착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TN 형이나 STN 형, π 형 등의 임의의 타입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혹은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절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것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 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절한 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Tg : 유리 전이 온도>
Tg 는, TA 인스트루먼트 제조의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RSAIII 을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샘플 사이즈 : 폭 10 ㎜, 길이 30 ㎜,
클램프 거리 20 ㎜,
측정 모드 : 인장, 주파수 : 1 ㎐, 승온 속도 : 5 ℃/분
동적 점탄성의 측정을 실시하여, tanδ 의 피크 톱의 온도 Tg 로서 채용하였다.
<편광자 X>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의 두께 75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 ℃ 의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0.5/8) 의 농도 0.3 % 의 수용액에 침지하여, 3.5 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5 ℃ 의 붕산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토털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에, 40 ℃ 의 오븐에서 3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PVA 계 편광자 X (SP 값 32.8, 두께 23 ㎛) 를 얻었다.
<투명 보호 필름>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두께 80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TAC) (SP 값 23.3) 을, 비누화·코로나 처리 등을 실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이하, 비누화·코로나 처리 등을 실시하지 않은 TAC 를 「미처리 TAC」라고도 한다).
<활성 에너지선>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 (갈륨 봉입 메탈할라이드 램프) 조사 장치 : Fusion UV Systems, Inc 사 제조의 Light HAMMER 10 벌브 : V 벌브 피크 조도 : 1600 ㎽/㎠, 적산 조사량 1000/mJ/㎠ (파장 380 ∼ 440 ㎚) 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외선의 조도는, Solatell 사 제조의 Sola-Check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의 조정)
실시예 1 ∼ 7, 비교예 1 ∼ 5
표 2 에 기재된 배합표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50 ℃ 에서 1 시간 교반하여, 실시예 1 ∼ 7, 비교예 1 ∼ 5 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사용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1)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HEAA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SP 값 29.6, 호모폴리머의 Tg 123 ℃, 코진사 제조
N-MAM-PC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SP 값 31.5, 호모폴리머의 Tg 150 ℃, 카사노 흥산사 제조
(2)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아로닉스 M-220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SP 값 19.0, 호모폴리머의 Tg 69 ℃, 토아 합성사 제조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DCP-A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SP 값 20.3, 호모폴리머의 Tg 134 ℃,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3)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ACMO (아크릴로일모르폴린), SP 값 22.9, 호모폴리머의 Tg 150 ℃, 코진사 제조
와스마 2MA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SP 값 22.9, 호모폴리머의 Tg 99 ℃, 카사노 흥산사 제조
(4)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D)
4HBA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SP 값 23.8, 호모폴리머의 Tg-14 ℃,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사 제조
(5) 광 중합 개시제
KAYACURE DETX-S (디에틸티오크산톤), 닛폰 화약사 제조
IRGACURE 907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BASF 사 제조
다음으로, 상기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실시예 1 ∼ 7, 비교예 1 ∼ 5 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MCD 코터 (후지 기계사 제조) (셀 형상 : 허니콤, 그라비아 롤 선수 : 1000 개/inch, 회전 속도 140 %/라인속 대비) 를 사용하여, 두께 0.5 ㎛ 가 되도록 도공하고, 상기 편광자 X 의 양면에 롤기로 첩합하였다. 그 후, 첩합한 투명 보호 필름측 (양측) 으로부터, IR 히터를 사용하여 50 ℃ 로 가온하고, 상기 자외선을 양면에 조사하여 실시예 1 ∼ 7, 비교예 1 ∼ 6 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후, 70 ℃ 에서 3 분간 열풍 건조하여, 편광자의 양측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첩합의 라인 속도는 25 m/min 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각 편광판의 접착력 (TAC 대비), 내수성 (온수 침지 시험), 내구성 (히트 쇼크 시험) 을 하기의 조건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8
(박형 편광막 Y 의 제작과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의 제작)
박형 편광막 Y 를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비정성 PET 기재에 24 ㎛ 두께의 PVA 층이 제막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 ℃ 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추가로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 도의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총 연신 배율이 5.94 배가 되도록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된 10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2 단 연신에 의해 비정성 PET 기재에 제막된 PVA 층의 PVA 분자가 고차로 배향되고,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물로서 일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막 Y 를 구성하는, 두께 10 ㎛ 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당해 광학 필름 적층체의 박형 편광막 Y 의 표면에 실시예 1 에 관련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제 도포면으로부터 첩합한 후,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여, 박형 편광막 Y 를 사용한 편광판 (실시예 8 에 관련된 편광판) 을 제작하였다.
<접착력>
편광판을 편광자의 연신 방향과 평행하게 200 ㎜, 직행 방향으로 20 ㎜ 의 크기로 잘라내고, 투명 보호 필름 (미처리 TAC ; SP 값 23.3) 과 편광자 (SP 값 32.8) 사이에 커터 나이프로 절입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유리판에 첩합하였다. 텐실론에 의해, 90 도 방향으로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박리 속도 500 ㎜/min 으로 박리하고, 그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박리 후의 박리면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을 ATR 법에 의해 측정하고, 박리 계면을 하기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A : 보호 필름의 응집 파괴
B : 보호 필름/접착제층 간의 계면 박리
C : 접착제층/편광자 간의 계면 박리
D : 편광자의 응집 파괴
상기 기준에 있어서, A 및 D 는, 접착력이 필름의 응집력 이상이기 때문에, 접착력이 매우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B 및 C 는, 보호 필름/접착제층 (접착제층/편광자) 계면의 접착력이 부족한 (접착력이 열등한) 것을 의미한다. 이들을 감안하여, A 또는 D 인 경우의 접착력을 ○, A·B (「보호 필름의 응집 파괴」와 「보호 필름/접착제층 간의 계면 박리」가 동시에 발생) 혹은 A·C (「보호 필름의 응집 파괴」와 「접착제층/편광자 간의 계면 박리」가 동시에 발생) 인 경우의 접착력을 △, B 또는 C 인 경우의 접착력을 × 로 한다.
<내수성 (온수 침지 시험)>
편광판을,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50 ㎜, 수직 방향으로 25 ㎜ 의 장방형으로 컷하였다. 이러한 편광판을 60 ℃ 의 온수에 6 시간 침지한 후의 편광자/투명 보호 필름 간의 박리를 육안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 : 박리는 확인되지 않는다.
△ : 단부로부터 박리가 발생하고 있지만, 중심부의 박리는 확인되지 않는다.
× : 전면 (前面) 에 박리가 발생하였다.
<내구성 (히트 쇼크 시험)>
편광판의 아크릴 필름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200 ㎜, 수직 방향으로 400 ㎜ 의 장방형으로 컷하였다. 유리판에 상기 편광판을 라미네이트하고, -40 ℃ ⇔ 85 ℃ 의 히트 사이클 시험을 실시하여, 50 사이클 후의 편광판을 육안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 : 크랙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는다.
△ :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크랙이 발생하였다 (크랙 길이 200 ㎜ 이하).
× :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관통하는 크랙이 발생하였다 (크랙 길이 200 ㎜).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표 3 의 결과로부터, 두께 23 ㎛ 의 편광자 X 대신에, 두께 10 ㎛ 의 박형 편광막 Y 를 사용하여 얻어진 편광판이라 하더라도, TAC 접착력, 온수 침지 시험 및 히트 쇼크 시험에 관하여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경화성 성분으로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조성물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였을 때,
    SP 값이 29.0 (kJ/㎥)1/2 이상 32.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를 20 ∼ 60 중량%,
    SP 값이 18.0 (kJ/㎥)1/2 이상 21.0 (kJ/㎥)1/2 미만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를 10 ∼ 30 중량%, 및
    SP 값이 21.0 (kJ/㎥)1/2 이상 23.0 (kJ/㎥)1/2 이하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를 20 ∼ 60 중량% 함유하고,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각각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모두 6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중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체량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B) 및 (C) 를 합계로 85 ∼ 100 중량부 함유하고, 추가로 SP 값이 23.0 (kJ/㎥)1/ 2 를 초과하며 29.0 (kJ/㎥)1/2 미만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D) 를 0 ∼ 15 중량부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및/또는 N-메틸올아크릴아미드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가,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가,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및/또는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중합 개시제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
    [화학식 1]
    Figure pct00009

    (식 중, R1 및 R2 는 -H, -CH2CH3, -iPr 또는 Cl 을 나타내고, R1 및 R2 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 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광 중합 개시제로서, 추가로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
    [화학식 2]
    Figure pct00010

    (식 중, R3, R4 및 R5 는 -H, -CH3, -CH2CH3, -iPr 또는 Cl 을 나타내고, R3, R4 및 R5 는 동일 또는 상이해도 된다) 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8.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파장 365 ㎚ 의 광선 투과율이 5 % 미만인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접착제층이,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경화물층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SP 값이 29.0 (kJ/㎥)1/2 이상 33.0 (kJ/㎥)1/2 미만인, 편광판.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SP 값이 18.0 (kJ/㎥)1/2 이상 24.0 (kJ/㎥)1/2 미만인, 편광판.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60 ℃ 이상인, 편광판.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이, 적어도 1 장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 및/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37015871A 2010-12-24 2011-12-13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30143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8155 2010-12-24
JP2010288155 2010-12-24
JPJP-P-2011-120503 2011-05-30
JP2011120503A JP5313297B2 (ja) 2010-12-24 2011-05-30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CT/JP2011/078772 WO2012086465A1 (ja) 2010-12-24 2011-12-13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090A true KR20130143090A (ko) 2013-12-30

Family

ID=4631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871A KR20130143090A (ko) 2010-12-24 2011-12-13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93949A1 (ko)
JP (1) JP5313297B2 (ko)
KR (1) KR20130143090A (ko)
CN (1) CN103298897B (ko)
TW (2) TWI534234B (ko)
WO (1) WO2012086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2131A1 (de) * 1981-11-18 1983-05-26 General Electric Co., Schenectady, N.Y. Regelanordnung fuer ein metallwalzwerk und verfahren zur stossbelastungskompensation
JP6308721B2 (ja) * 2012-03-30 2018-04-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05179B2 (ja) * 2012-06-08 2017-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05180B2 (ja) * 2012-06-08 2017-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44548B2 (ja) * 2012-08-01 2017-06-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JP6265590B2 (ja) * 2012-08-31 2018-0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14057784A1 (ja) 2012-10-11 2016-09-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4095731A (ja) * 2012-10-12 2014-05-22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6114160B2 (ja) * 2012-10-22 2017-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5519760B1 (ja) * 2012-11-30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00654B1 (ko) * 2012-12-28 2016-03-07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14209162A (ja) * 2013-03-28 2014-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140501B2 (ja) * 2013-03-28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4199284A (ja) * 2013-03-29 2014-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6122337B2 (ja) * 2013-04-26 2017-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75401B2 (ja) * 2013-06-27 2018-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5022825A1 (ja) 2013-08-12 2015-02-1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TWI702270B (zh) 2013-08-30 2020-08-21 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偏光薄膜用硬化型接著劑、偏光薄膜、光學薄膜及影像顯示裝置
JP6262514B2 (ja) * 2013-12-12 2018-01-1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6349082B2 (ja) * 2013-12-12 2018-06-2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6488125B2 (ja) * 2013-12-26 2019-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5849601B (zh) * 2013-12-26 2019-04-1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器以及具有该偏振器的偏振板和偏振性层叠膜
WO2015182631A1 (ja) 2014-05-27 2015-12-0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KR102567394B1 (ko) * 2014-09-30 2023-08-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JP2015028662A (ja) * 2014-10-27 2015-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7169574A1 (ja) * 2016-03-30 2017-10-05 東レ株式会社 感光性接着剤組成物、硬化物、感光性接着剤シート、積層基板および接着剤パターン付積層基板の製造方法
JP6868344B2 (ja) 2016-04-20 2021-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68343B2 (ja) 2016-04-20 2021-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9564315A (zh) * 2016-08-03 2019-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层叠膜
JP6342963B2 (ja) * 2016-08-30 2018-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6983497B2 (ja) * 2016-09-12 2021-12-1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7076140A (ja) * 2016-12-20 2017-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7076141A (ja) * 2016-12-20 2017-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7134413A (ja) * 2017-03-31 2017-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84839B2 (ja) * 2017-06-22 2020-11-1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518303B2 (ja) * 2017-09-27 2019-05-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084827A (ja) * 2017-12-18 2018-05-3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6500130B2 (ja) * 2018-01-10 2019-04-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80769B2 (ja) * 2018-02-07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481059B2 (ja) * 2018-02-16 2019-03-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8092187A (ja) * 2018-02-16 2018-06-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288306B2 (ja) * 2018-02-26 2023-06-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653729B2 (ja) * 2018-05-31 2020-02-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6898481B2 (ja) * 2018-05-31 2021-07-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表示装置
TWI763976B (zh) * 2018-07-25 2022-05-1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易接著薄膜及其製造方法、偏光板、以及影像顯示裝置
JP6689349B2 (ja) * 2018-11-12 2020-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947870B2 (ja) * 2018-11-12 2021-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609075B2 (ja) * 2019-02-08 2019-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166059A (ja) * 2019-03-28 2020-10-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液晶硬化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0073977A (ja) * 2019-10-08 2020-05-1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KR20220016989A (ko) 2019-11-19 2022-02-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접착제 도공 장치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장치
JP2021105731A (ja) * 2020-01-27 2021-07-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表示装置
CN111293147B (zh) * 2020-02-19 2024-02-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用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607332B (zh) * 2020-06-18 2021-06-04 上海固柯胶带科技有限公司 一种胶层组合物以及保护膜
JP2022058231A (ja) 2020-09-30 2022-04-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284A (ja) * 1992-06-11 1995-10-17 Nikko Kagaku Kenkyusho:Kk 紫外線硬化型感圧接着剤
AU1123097A (en) * 1996-11-12 1998-06-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osett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5992314A (en) * 1997-06-30 1999-11-30 Ncr Corporation UV curable adhesive for stencil media
JPH11106722A (ja) * 1997-09-30 1999-04-20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WO2004092787A1 (en) * 2003-04-17 2004-10-28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its use in the optical field
JP4458515B2 (ja) * 2003-09-11 2010-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TW200540146A (en) * 2004-04-15 2005-12-16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177169A (ja) * 2005-12-28 2007-07-12 Okura Ind Co Ltd 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JP4744496B2 (ja) * 2007-04-16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046735B2 (ja) * 2007-05-07 2012-10-10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接着装置及び偏光板製造装置
JP2009256607A (ja) * 2008-03-17 2009-11-05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層、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124406B2 (ja) * 2008-09-24 2013-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561936B1 (ja) * 2009-09-04 2010-10-13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偏光板及び偏光板形成用光硬化性接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4234B (zh) 2016-05-21
TW201231603A (en) 2012-08-01
JP5313297B2 (ja) 2013-10-09
TWI601800B (zh) 2017-10-11
TW201634620A (zh) 2016-10-01
CN103298897A (zh) 2013-09-11
JP2012144690A (ja) 2012-08-02
WO2012086465A1 (ja) 2012-06-28
US20130293949A1 (en) 2013-11-07
CN103298897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329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22337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0517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769221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9163743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3254072A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481059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801435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50023383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7134413A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0039895A1 (ja) 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298248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8092187A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9163749A1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609075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40025499A (ko)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25500A (ko)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23016A (ko)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9148793A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