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084A - 배관고정구, 배관고정방법,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관고정구, 배관고정방법,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084A
KR20130138084A KR1020127028799A KR20127028799A KR20130138084A KR 20130138084 A KR20130138084 A KR 20130138084A KR 1020127028799 A KR1020127028799 A KR 1020127028799A KR 20127028799 A KR20127028799 A KR 20127028799A KR 20130138084 A KR20130138084 A KR 20130138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pipe fixing
portions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오 고바야시
마나부 스와조노
유지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쥬시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쥬시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쥬시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8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hooked in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 F16L3/104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and being adapted to accommodate pipes of various di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고정부재(7a, 7b)는 파단 유기부(19)에 의해 서로 대향하도록 연결된다. 배관고정부재(7a)는 배관보유부(3a)와, 배관보유부(3a)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부(5a)로 구성된다. 배관보유부(3a)는 배관을 보유하는 부위이다. 배관보유부(3a)의 상부에는 걸어맞춤부(9a)가 형성된다. 걸어맞춤부(9a)에는 복수의 치열이 형성된다. 한쌍의 배관고정부재(7a, 7b) 각각의 걸어맞춤부(9a, 9b)를 대향시켜서 서로의 치열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배관보유부(3a, 3b)를 서로 걸어 맞출 수 있다. 걸림부(5a)는 걸림 돌기(11a) 및 누름부(13a)를 갖는다. 걸림부(5a)의 내면측(대향하는 배관고정부재(7b)의 걸림부(5b)와의 대향면)의 일부에는 테이퍼부(15a)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배관고정구, 배관고정방법,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 {PIPING FASTENER, PIPING FASTEN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PING FASTENER}
본 발명은 케이블 등의 배관을 보유하고 고정하기 위한 배관고정구, 배관고정방법 및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의 벽면 등에 배관을 부설할 때에는 소정 간격으로 배관이 고정된다. 배관의 고정에는 배관고정구가 사용된다. 배관고정구는 배관을 보유하는 배관보유부를 구비하고, 배관고정부가 벽면에 마련된 행거 레일 등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고정구로서는, 예컨대 행거 레일에 고정되는 배관재 고정구로서, 회동중심을 갖는 베이스부와, 행거 레일의 개구측 단부에 맞닿는 접촉부와, 베이스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행거 레일의 한쌍의 절곡편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와, 타측으로 연장되어 배관재를 양측으로부터 잡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걸어맞춤부는 행거 레일의 폭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편과 접촉부에서 헹거 레일의 절곡편을 끼우는 걸어맞춤 돌기를 구비하고, 걸어맞춤 돌기는 행거 레일의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그 절곡편에 걸어 맞춘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일측이 회동중심을 축으로 벌어짐으로써 행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회동하여 절곡편에 눌러 붙이도록 형성된 배관재 고정구가 있다(특허문헌 1).
또한 배관재를 고정하기 위한 배관재 고정구로서, 서로 걸어 맞추는 한쌍의 파지편을 갖고, 이 한쌍의 파지편으로 배관재를 잡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파지부는 한쌍의 파지편의 서로 대향하는 표면에 각각 서로 걸리는 걸림 치열이 마련되고, 또한 걸어 맞춘 한쌍의 파지편 사이에 공구의 선단부가 파지편의 걸어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공구의 선단부를 삽입홉에 삽입하여 회동하면서 이 삽입홈의 양측면을 누름으로써, 한쌍의 파지편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한쌍의 걸림 치열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벌어지도록 형성된 배관재 고정구가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8-298153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개2008-298154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 2는 모두 행거 레일에 고정하는 것이며, 고정하는 방향에 제한이 있다. 또한 탄성편의 변형에 의해, 고정구를 행거 레일에 밀어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설치성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한 구조이며, 구멍을 갖는 지지재이면 어떠한 지지재에도 설치 가능하고, 설치 작업성도 우수한 배관고정구 및 이것을 사용한 배관고정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발명은 지지재에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고정구로서, 배관을 보유하는 배관보유부와, 지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배관고정부재가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배관보유부의 상부에는 대향하는 상기 각 배관보유부를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서로의 대향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의 대향면측에는 서로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테이퍼부가 마련되고, 한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와 다른 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대향면이 파단 유기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파단 유기부에서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분리되고,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걸림 돌기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이다.
상기 파단 유기부는 한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와, 다른 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를 연결하고, 한쌍의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되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연결된 측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 돌기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된 측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 돌기의 돌출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돌기의 상부에는 누름부가 마련되고,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 돌기에서 상기 지지재를 끼워넣는 것이 가능해도 된다. 상기 파단 유기부는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테이퍼부 근방 또는 상기 누름부 근방에 마련되어도 된다.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를 상기 지지재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누름부의 단면을 합쳤을 때에 대략 원형이 되어도 된다.
상기 파단 유기부는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두께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걸림부의 하부가 대략 방추형(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배관고정부재가 대향한 상태에서 파단 유기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배관을 보유하여 서로의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단 유기부를 파단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배관고정부재의 걸림 돌기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접촉부를 기점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관고정구의 설치 작업성이 우수하다.
특히 파단 유기부에 의한 연결부가 한쪽의 배관고정부재의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와, 다른 쪽의 배관고정부재의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위쪽으로 어긋나게 위치됨으로써, 연결상태에서의 걸림 돌기 사이의 거리를 근접시킬 수 있고, 지지재의 구멍에 걸림 돌기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특히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연결된 측의 배관고정부재의 걸림 돌기의 돌출길이보다,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된 측의 배관고정부재의 걸림 돌기의 돌출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걸림 후의 걸림 돌기의 걸림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하게 배관고정구를 지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를 지지재에 삽입할 때에는 긴 쪽의 걸림 돌기는 비스듬하게 구멍에 삽입된다. 그렇기 때문에 걸림 돌기의 삽입성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또한 누름부와 걸림 돌기에서 지지재를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며, 한쌍의 배관고정부재를 지지재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각각의 누름부의 단면을 합쳤을 때에, 그 단면을 대략 원형으로 하면, 예를 들어 가장자리부에 장애물을 갖는 지지재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파단 유기부가 배관고정부재의 두께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되면, 파단에 필요한 힘이 작아도 되고, 또한 파단 후에 발생하는 버(burr) 등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부의 하부를 대략 방추형으로 하면, 걸림 돌기의 삽입시에 가이드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제2 발명은 지지재에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고정구로서, 배관을 보유하는 배관보유부와, 지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배관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배관고정부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관보유부의 상부에는 상기 각 배관보유부를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서로의 대향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의 대향면 측에는 서로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테이퍼부가 마련되고,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각 걸림부를 걸어 맞추고,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걸림 돌기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이다.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걸림부의 크기가 대략 동일하며, 상기 걸림부의 하부가 대략 방추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설치 작업성이 우수한 배관고정구를 얻을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구를 사용하고, 상기 지지재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파단 유기부에서 연결된 각각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삽입하고, 상기 배관보유부에 배관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파단 유기부에서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를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를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켜서 상기 각 걸림 돌기를 벌어지게 하고,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지지재에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방법이다.
또한 제4 발명은, 제2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구를 사용하고,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를 대향시켜서, 상기 지지재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삽입하고, 상기 배관보유부에 배관을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의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추고,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관고정부재를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켜서 상기 각 걸림 돌기를 벌어지게 하고,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지지재에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방법이다.
제3, 제4 발명에 의하면, 설치 작업이 용이한 배관의 고정방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은 제1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배관고정구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사출성형에 있어서의 게이트가 적어도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걸림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걸림부로부터 수지가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이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수지의 합류부에서 분할되기 쉽고, 설치 작업이 용이한 배관고정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이며, 구멍을 갖는 지지재이면 어떠한 지지재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작업성도 우수한 배관고정구 및 이것을 사용한 배관고정방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배관고정구(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배관고정구(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걸림부(5a, 5b)의 확대도이며, (a)는 도 2의 A부 확대도, (b)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지지재(2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재(23)에 배관고정구(1)를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배관고정구(1)에 배관(31)을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각 걸어맞춤부(9a, 9b)를 걸어 맞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지지재(23)에 대한 배관고정구의 방향을 변경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배관고정구(1)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지지재(23)에 배관고정구(1a)를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배관고정구(4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배관고정구(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배관고정구(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배관고정구(1)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부재이다. 배관고정구(1)는 한쌍의 배관고정부재(7a, 7b)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배관고정부재(7a, 7b)는 파단 유기부(19)에 의해 서로 대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배관고정부재(7a, 7b)는 대부분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하 주로 배관고정부재(7a)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고정부재(7a)는 배관보유부(3a)와 배관보유부(3a)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부(5a)로 구성된다. 배관보유부(3a)는 배관을 보유하는 부위이다. 배관보유부(3a)는 보유대상이 되는 배관형상에 따라서 반으로 나눈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한쌍의 배관고정부재(7a, 7b) 각각의 배관보유부(3a, 3b)를 대향시킴으로써, 배관을 외주로부터 보유 가능한 형상이 구성된다.
배관보유부(3a)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둘레방향을 따라서 돌기(17)가 형성된다. 돌기(17)는 보유하는 배관이 파형관인 경우에 돌기(17)가 파형관의 외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배관이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돌기(17)의 형상 등은 보유대상이 되는 배관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된다.
배관보유부(3a)의 상부에는 걸어맞춤부(9a)가 형성된다. 걸어맞춤부(9a)에는 복수의 치열이 형성된다. 한쌍의 배관고정부재(7a, 7b) 각각의 걸어맞춤부(9a, 9b)를 대향시켜서 서로의 치열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배관보유부(3a, 3b)를 서로 걸어 맞출 수 있다.
걸림부(5a)는 걸림 돌기(11a) 및 누름부(13a)를 갖는다. 걸림 돌기(11a)는 한쌍의 배관고정부재(7a, 7b)의 대향면과는 반대방향(외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이다. 걸림 돌기(11a)는 후술하는 지지재로 배관고정구(1)를 걸리게 하기 위한 부위가 된다.
걸림 돌기(11a)의 상부(배관보유부(3a)측)에는 홈형상을 끼워서 지름이 확대되는 누름부(13a)가 형성된다. 누름부(13a)는 후술하는 지지재의 설치면에 접촉하는 부위가 된다. 즉 후술하는 지지재는 걸림 돌기(11a)와 누름부(13a)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걸린다.
걸림부(5a)의 내면측(대향하는 배관고정부재(7b)의 걸림부(5b)와의 대향면)의 일부에는 테이퍼부(15a)가 형성된다. 걸림부(5a, 5b) 각각의 테이퍼부(15a, 15b)는 배관고정부재(7a, 7b)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걸림부(5a, 5b)의 일부를 접촉시키면, 테이퍼부(15a, 15b)에 의해 각 걸림부(5a, 5b)의 거리가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걸림부(5a, 5b)는 전체가 완전히 면접촉하지 않고, 상방향 또는 하방향(배관보유부(3a, 3b)방향 또는 이와 역방향)으로 갈수록 걸림부(5a, 5b)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5a, 5b)의 아래쪽에 정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의 테이퍼부(15a, 15b)를 형성한 예를 도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테이퍼부(15a, 15b)를 정면에서 봤을 때 곡선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테이퍼부(15a, 15b)를 곡선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걸림부(5a, 5b)의 내면 전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테이퍼 형상을 조합시켜도 된다.
도 3(a)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고정부재(7a, 7b)는 파단 유기부(19)에서 연결된다. 파단 유기부(19)는 각각의 걸림부(5a, 5b)의 각각의 테이퍼부(15a, 15b) 근방에 형성된다.
또한 파단 유기부(19)는 한쪽의 걸림부(5b)의 내면측이며,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와, 다른 쪽의 걸림부(5a)의 하부 가장자리부 근방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부(5b)의 높이방향의 대략 중앙과 걸림부(5a)의 하단 근방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걸림 돌기(11a)의 선단의 방향(도면에서는 대략 좌측)에 대해서 걸림 돌기(11b)의 선단의 방향이 가능한 한 수직(도면의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1a, 11b)가 서로 180° 반대방향(예를 들어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적어도 한쪽의 걸림 돌기의 방향이 다른 쪽의 걸림 돌기의 방향에 대해서 직선상이 아니라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상태에서 보다 하부측에 위치하는 걸림 돌기(11b)(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된 측의 배관고정부재의 걸림 돌기)의 외측으로의 돌출길이는, 돌출 돌기(11a)(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연결된 측의 배관고정부재의 걸림 돌기)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3(b)은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파단 유기부(19)는 걸림부(5a, 5b) 사이이며, 폭방향(도면에서 상하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된다. 또한 파단 유기부(19)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단 유기부(19)를 파단시켰을 때에 걸림부(5a, 5b) 사이에 남는 볼록부가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배관고정구(1)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배관고정구(1)가 설치되는 지지재(23)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지지재(23)는 예를 들어 대략 "ㄷ"자 형상의 금구이며, 앵글이나 H강 빔 등의 고정부의 일부에 개구부측이 삽입되고, 한쪽 면으로부터 도시를 생략한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지지재(23)의 다른 면에는 구멍(25)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재(23)의 폭방향(도면에서 J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부에는 보강 등의 목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가장자리부(29)가 형성된다. 돌출 가장자리부(29)로 둘러싸이는 범위는 평탄부(27)가 되고, 배관고정구가 걸리는 부위가 된다. 즉, 평탄부(27)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돌출 가장자리부(29)가 형성되고, 양단의 돌출 가장자리부(29)의 대략 중간에 구멍(25)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고정구(1)는 도시한 바와 같은 지지재(23) 이외의 것에도 당연히 설치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관고정구(1)의 걸림부가 삽입 가능한 구멍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앵글이나 H강 빔 등의 구조재의 일부를 지지재로서 유용해도 된다. 또한 구멍(25)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지재(23)에 배관고정구(1)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배관고정구(1)를 지지재(23)에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고정부재(7a, 7b)가 연결된 상태에서 한쪽의 걸림 돌기(11b)를 구멍(25)에 삽입한다(도면에서 화살표 C방향). 즉, 걸림 돌기(11b)의 선단이 지지재(23)의 내부에 위치하고, 누름부(13b)가 지지재(23)의 외면측에 위치하도록 걸림 돌기(11b)가 구멍(25)에 삽입된다.
다음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걸림 돌기(11a)를 구멍(25) 내에 삽입한다(도면에서 화살표 D방향).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11a)의 선단방향은 걸림 돌기(11b)의 선단방향에 대해서 약간 아래쪽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11b)의 선단이 구멍(25)의 가장자리부(내면)에 걸리도록 배관고정구 전체를 회전시키면(도면에서 시계방향), 걸림 돌기(11b)가 평탄부(27)의 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걸림 돌기(11a)의 선단이 구멍(25)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구멍(25)에 삽입된다.
즉, 걸림 돌기(11a)가 비스듬하게 향한 상태에서 구멍(25)에 삽입되기 때문에, 걸림 돌기(11a)의 선단이 지지재(23)의 상면에 걸리는 일이 없다. 즉, 걸림부(5a, 5b)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멍(25)에 삽입되는 걸림부 전체의 걸림 돌기 사이의 전체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걸림 돌기의 삽입성이 우수하다.
다음에,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고정부재(7a, 7b) 각각의 배관보유부(3a, 3b) 사이에 고정대상이 되는 배관(31)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배관고정부재(7a, 7b)의 걸어맞춤부(9a, 9b)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면에서 화살표 E방향). 걸어맞춤부(9a, 9b)를 근접시키면, 배관보유부(3a, 3b)는 연결부(파단 유기부(19))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서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서, 걸림 돌기(11a, 11b)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외측으로 열리는 방향)으로 연결부(파단 유기부(19))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회동한다(도면에서 화살표 F방향).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보유부(3a, 3b)를 회동시켜서 각 걸어맞춤부(9a, 9b)를 근접시키면, 파단 유기부(19)의 위쪽에서 걸림부의 각 내면이 접촉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접촉부가 회동기점부가 되어, 파단 유기부(19)에는 양측으로 인장력이 부여된다. 그렇기 때문에, 소정 이상으로 걸어맞춤부(9a, 9b)를 근접시키면, 파단 유기부(19)가 파단되어 배관고정부재(7a, 7b)가 분리된다. 또한 배관고정부재(7a, 7b)가 분리된 후에도 걸림부의 각 내면의 일부가 접촉함으로써, 이 접촉부가 회동기점부가 되고, 걸어맞춤부(9a, 9b)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걸림 돌기(11a, 11b)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배관고정부재(7a, 7b)의 접촉하는 부위(회전기점부가 되는 부위)는 일정하지 않고, 서로의 걸어맞춤부(9a, 9b)의 거리에 따라서 이동한다.
도 7은 걸어맞춤부(9a, 9b)가 걸어 맞추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걸어맞춤부(9a, 9b)를 걸어 맞추면, 배관(31)은 배관고정부재(7a, 7b)의 각 배관보유부에서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걸림 돌기(11a, 11b)는 외측을 향해서 회동하여, 걸림 돌기(11a, 11b)가 지지재(23)의 구멍(25)의 가장자리부에 걸린다. 즉, 걸림 돌기(11a, 11b)의 상면과 누름부(13a, 13b)의 하면에서 지지재(23)의 평탄부(27)를 끼워넣어, 배관고정구(1)가 지지재(23)에 걸린다.
도 8(a)은 도 7의 G-G선 단면도이다. 누름부(13a, 13b)는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평탄부(27) 상에 배치된다. 이때, 누름부(13a, 13b)의 단면형상을 합치면, 대략 원형이 된다. 즉 누름부(13a, 13b)을 서로 합친 상태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며, 직사각형에 의한 모서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8(b)은 도 8(a)의 상태로부터 지지재(23)에 대해서 배관고정구의 고정방향을 90° 회전시킨 상태(도 8(a)의 H방향)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배관고정구의 걸림 돌기(11a, 11b)를 구멍(25)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지지재(23)에 대해서 배관고정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지지재(23)의 상면측에 접촉하는 누름부(13a, 13b)에는 단면에서 직사각형에 의한 모서리부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고정구를 회전시켜도, 누름부(13a, 13b)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지지재(23)의 돌출 가장자리부(29)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한 누름부(13a, 13b)의 단면형상을 합친 대략 원형이란 완전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에서의 모서리부를 라운딩 처리한 것과 같은 모서리부가 잘라내어진 형상이면 된다. 즉, 배관고정구(1)를 지지재(23)에 대해서 회전시켰을 때에, 단면에서 회전중심으로부터 누름부(13a, 13b)의 외측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대략 완만하게 형성되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고정부재(7a, 7b)가 연결되어 있으며, 배관을 보유하기 위해서 각 걸어맞춤부(9a, 9b)를 근접시킴으로써, 파단 유기부(19)를 파단시키고 배관고정부재(7a, 7b)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한 배관고정부재(7a, 7b)는 걸어맞춤부(9a, 9b)의 걸어맞춤에 따라서 걸림부(11a, 11b)를 외측으로 열고, 배관의 보유와 동시에 배관고정구(1)의 지지재(23)에의 걸림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파단 유기부(19)는 배관고정부재(7a, 7b)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연결된 상태에서 걸림 돌기(11a, 11b) 각각의 방향이 직선상으로 나열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걸림 돌기(11a, 11b)를 구멍(25)에 삽입할 때에 한쪽씩 순서대로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걸림 돌기(11a, 11b)를 구멍(25)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파단 유기부(19)는 걸림부(5a, 5b) 사이의 폭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파단 유기부(19)의 연결 단면적이 작고, 용이하게 파단 유기부(19)를 파단시킬 수 있다. 또한 파단 후에 걸림부의 내면에 남는 돌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13a, 13b)에 의해, 배관보유부(3a, 3b)가 지지재(23)의 상면과 접촉하는 일이 없다. 또한 누름부(13a, 13b)가 합쳐진 상태의 단면이 대략 원형이 됨으로써, 배관고정구(1)를 지지재(23) 상에서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배관고정구(1)를 임의의 각도로 지지재(23)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관의 설치자유도가 높다.
또한 연결상태에서 보다 하부측에 위치하는 걸림 돌기(11b)(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된 측의 배관고정부재의 걸림 돌기)의 외측으로의 돌출길이는 걸림 돌기(11a)(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연결된 측의 배관고정부재의 걸림 돌기)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걸림 후의 걸림 돌기(11b)의 걸림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하게 배관고정구(1)를 지지재(23)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11b)를 구멍(25)에 삽입할 때에는 긴 쪽의 걸림 돌기(11b)는 비스듬하게 구멍(25)에 삽입된다. 그렇기 때문에, 걸림 돌기(11b)의 삽입성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다음에, 배관고정구(1)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배관고정구(1)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금형 등은 도시를 생략한다. 배관고정구(1)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수지를 채워넣는 게이트(12a, 12b)는 각각의 걸림부(5a, 5b)의 양쪽에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걸림 돌기)의 하부에 형성된다.
걸림부(5a)(걸림 돌기(11a))에 게이트(12a)로부터 사출된 수지는 단부로부터 배관고정부의 방향으로 흐른다(도면에서 화살표 J방향). 마찬가지로, 걸림부(5b)(걸림 돌기(11b))에 게이트(12b)로부터 사출된 수지는 단부로부터 배관고정부의 방향으로 흐른다(도면에서 화살표 K방향).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파단 유기부(19)는 각각의 게이트(12a, 12b)로부터 사출되는 수지의 경계가 된다. 이와 같은 수지의 합류부에서는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성형품의 강도가 낮고 쉽게 깨진다. 그렇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고정구(1)를 고정할 때에 파단 유기부(19)를 보다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한 배관고정구(1)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관고정구(1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관고정구(1)와 동일한 기능을 이루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도 2 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배관고정구(1a)는 배관고정구(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파단 유기부(1)를 갖지 않는 점에서 다르다. 즉, 배관고정구(1a, 1b)는 미리 배관고정부재(7a, 7b)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배관고정구(1)를 사용한 후(배관고정부재(7a, 7b)를 분리한 후) 다시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구성이 된다.
배관고정구(1a)는 이하와 같이 사용된다. 우선,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배관고정부재(7b)의 걸림 돌기(11b)를 지지재(23)의 구멍(25)에 삽입한다. 또한 배관고정부재(7a)의 걸림 돌기(11a)를 구멍(25)에 삽입하여(도면에서 화살표 I방향) 배관고정부재(7b)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배관(31)을 배관고정부재(7a, 7b) 사이에 배치한다.
이어서,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고정부재(7a, 7b) 각각의 걸림 돌기(11a, 11b)가 구멍(2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걸어맞춤부(9a, 9b)를 걸어맞춘다. 이상에 의해, 배관(31)이 보유됨과 동시에, 배관고정구(1a)가 지지재(23)에 고정된다.
배관고정구(1a)에 의하면, 배관고정구(1)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관고정부재(7a, 7b)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을 별도로 구멍(25)에 삽입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의 자유도가 높다.
이상으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좌우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배관고정구(40)를 사용해도 된다. 배관고정구(40)는 배관고정구(1a, (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걸림 돌기의 구성이 다르다. 즉, 배관고정구(40)의 걸림 돌기(41a, 41b)의 하부가 대략 방추형으로 형성된다.
걸림 돌기(41a, 41b)는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배관고정구(40)에서는 걸림 돌기(41a, 41b)의 하면이 대략 방추형이기 때문에, 걸림 돌기를 구멍에 삽입할 때에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그렇기 때문에, 걸림 돌기(41a, 41b)의 구멍(25)에의 삽입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누름부(13a, 13b)를 합쳤을 때의 단면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관고정구를 지지재에 설치했을 때에 돌출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도록 직선부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배관고정구를 지지재에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는 없으나, 배관고정구가 사용중에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90° 방향으로 다른 방향으로 배관고정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실시형태는 서로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파단 유기부를 갖는 배관고정구의 걸림부의 하부를 방추형으로 형성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한쪽의 걸림 돌기의 길이를 길게 해도 된다.
1, 1a, 40 : 배관고정구 3a, 3b : 배관보유부
5a, 5b : 걸림부 7a, 7b : 배관고정부재
9a, 9b : 걸어맞춤부 11a, 11b, 41a, 41b : 걸림 돌기
12a, 12b : 게이트 13a, 13b : 누름부
15a, 15b : 테이퍼부 17 : 돌기
19 : 파단 유기부 23 : 지지재
25 : 구멍 27 : 평탄부
29 : 돌출 가장자리부 31 : 배관

Claims (13)

  1. 지지재에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고정구로서,
    배관을 보유하는 배관보유부와 지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배관고정부재가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배관보유부의 상부에는 대향하는 상기 각 배관보유부를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서로의 대향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의 대향면측에는 서로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테이퍼부가 마련되고,
    한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와 다른 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대향면이 파단 유기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파단 유기부에서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분리되고,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걸림 돌기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기부는 한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와, 다른 쪽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를 연결하고, 한쌍의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가 연결된 측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 돌기의 돌출길이보다, 상기 테이퍼부의 하부 가장자리부로부터 소정 거리 위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연결된 측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 돌기의 돌출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의 상부에는 누름부가 마련되고,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 돌기에서 상기 지지재를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기부는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테이퍼부 근방 또는 상기 누름부 근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6. 제4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를 상기 지지재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누름부의 단면을 합쳤을 때 대략 원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기부는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두께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하부가 대략 방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9. 지지재에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고정구로서,
    배관을 보유하는 배관보유부와, 지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배관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한쌍의 배관고정부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관보유부의 상부에는, 상기 각 배관보유부를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서로의 대향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의 대향면 측에는, 서로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테이퍼부가 마련되고,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각 걸림부를 걸어 맞추고,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가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각 걸림 돌기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10. 제9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걸림부의 크기가 대략 동일하며, 상기 걸림부의 하부가 대략 방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
  11. 청구항 1에 기재한 배관고정구를 사용하고,
    상기 지지재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파단 유기부에서 연결된 각각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삽입하고,
    상기 배관보유부에 배관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파단 유기부에서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를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각 배관고정부재를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켜서 상기 각 걸림 돌기를 벌어지게 하고,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지지재에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방법.
  12. 청구항 9에 기재한 배관고정구를 사용하고,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를 대향시켜서, 상기 지지재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의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삽입하고,
    상기 배관보유부에 배관을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의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걸어 맞추고,
    상기 각 걸어맞춤부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관고정부재를 상기 테이퍼부 근방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를 회동시켜서 상기 각 걸림 돌기를 벌어지게 하고,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지지재에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방법.
  13. 청구항 1에 기재한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배관고정구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사출성형에 있어서의 게이트가 적어도 한쌍의 상기 배관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걸림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걸림부로부터 수지가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
KR1020127028799A 2011-04-20 2011-06-13 배관고정구, 배관고정방법,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 KR20130138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617 2011-04-20
JP2011093617A JP4885321B1 (ja) 2011-04-20 2011-04-20 配管固定具、配管固定方法、配管固定具の製造方法
PCT/JP2011/063462 WO2012144086A1 (ja) 2011-04-20 2011-06-13 配管固定具、配管固定方法、配管固定具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84A true KR20130138084A (ko) 2013-12-18

Family

ID=4585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799A KR20130138084A (ko) 2011-04-20 2011-06-13 배관고정구, 배관고정방법,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85321B1 (ko)
KR (1) KR20130138084A (ko)
CN (1) CN102869912A (ko)
WO (1) WO2012144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6845B (zh) * 2012-05-31 2015-10-1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铰链线束卡扣结构
JP5821044B2 (ja) * 2013-03-26 2015-11-24 丸井産業株式会社 長尺材固定金具
CN104180124A (zh) * 2014-09-02 2014-12-03 贾海亮 一种漏水管定位器
CN104565551A (zh) * 2014-12-05 2015-04-29 四川邮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用电缆夹持装置
CN104868424B (zh) * 2015-04-20 2018-02-27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用于10kV电力架空线路的立式绝缘子棘扣及使用方法
CN106838470A (zh) * 2015-12-06 2017-06-13 天津蓝盟自动控制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管道安装固定器具
JP6551216B2 (ja) * 2015-12-18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クリップ装置
CN107228230A (zh) * 2017-06-19 2017-10-03 芜湖侨云友星电气工业有限公司 一种车身线束固定件
JP2020002999A (ja) * 2018-06-28 2020-01-09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サドルバンド
JP2020003000A (ja) * 2018-06-28 2020-01-09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サドルバンド
JP2020003001A (ja) * 2018-06-28 2020-01-09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サドルバンド
JP2020012537A (ja) * 2018-07-20 2020-01-23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サドルバンド
CN111847097A (zh) * 2019-04-23 2020-10-30 刘战军 多功能线缆拖行器
WO2020240624A1 (ja) * 2019-05-24 2020-12-03 日栄インテック株式会社 配管支持具
CN111605496B (zh) * 2020-06-04 2022-03-2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管线固定结构
CN112467649B (zh) * 2020-12-04 2022-07-19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电线固定构件及其使用方法
CN116505450B (zh) * 2023-06-30 2023-10-13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岱山县供电公司 一种线缆定位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2411Y2 (ko) * 1976-04-15 1982-11-15
JPS60146388U (ja) * 1984-03-09 1985-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配線用クランパ
JPH071573Y2 (ja) * 1990-10-30 1995-01-1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ホルダ
JP2001330175A (ja) * 2000-05-22 2001-11-30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
JP4945019B2 (ja) * 2007-05-30 2012-06-06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配管材固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85321B1 (ja) 2012-02-29
JP2012225424A (ja) 2012-11-15
CN102869912A (zh) 2013-01-09
WO2012144086A1 (ja)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8084A (ko) 배관고정구, 배관고정방법, 배관고정구의 제조방법
JP5060362B2 (ja) 配線・配管材引出具
JP5238607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パイプ材
KR101572320B1 (ko) 축사 도어 잠금장치
JP2014205387A (ja) 車両用内装材の位置決め構造
JP2005537167A (ja) ケーブル保持装置
JP4970894B2 (ja) モール
JP5705647B2 (ja) 仮設用支柱金物
JP6435231B2 (ja) 留め具
KR200472726Y1 (ko)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KR101694264B1 (ko) 패스너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200409062Y1 (ko) 케이블 고정용 정렬클립
JP7410579B2 (ja) コーナージョイント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KR20090091390A (ko) 알미늄폼의 결속공 보강구조
JP2013044103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せん断補強方法および補助装置
KR101494647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JP5207960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
JP4109688B2 (ja) C型部材に係合可能な係合部材、及び係合部材セット
JP6263077B2 (ja) 点検口用枠部材
KR200472386Y1 (ko) 단열부재 고정용 조이너
JP4867717B2 (ja) アンカーボルト拘束具
JP4956498B2 (ja) 片サドル
JP6420727B2 (ja) 横桟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