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084A - 변성 pva를 포함한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변성 pva를 포함한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084A
KR20130137084A KR1020130063355A KR20130063355A KR20130137084A KR 20130137084 A KR20130137084 A KR 20130137084A KR 1020130063355 A KR1020130063355 A KR 1020130063355A KR 20130063355 A KR20130063355 A KR 20130063355A KR 20130137084 A KR20130137084 A KR 20130137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a
polarizing film
stretching
base material
syste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709B1 (ko
Inventor
노부유키 하이다
슈사쿠 고토
타케하루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편광막을 구성하는 기재와 PVA계 수지와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연신 공정이나 반송 공정에 있어서 PVA계 수지가 기재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고, 뛰어난 외관을 가지는 편광막을 제공한다. 기재 위에 PVA계 수지의 층을 설치해, 기재와 PVA계 수지의 층을 일체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편광막에 있어서, PVA계 수지는 변성 PVA를 포함하고, 변성 PVA는, PVA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 변성 비율이, 0.04mol%~1.4mol%가 되는 양으로 존재하는 편광막.

Description

변성 PVA를 포함한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Polarizing film including modified PVA, and optical laminate with the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포함한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편광막을 구성하는 기재 위에 설치된 PVA계 수지가, 편광막제조를 위한 연신 공정 등의 경우에 기재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고, 뛰어난 외관을 가지는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액정표시장치, PDP(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전계 발광) 표시장치 등의 많은 종류의 화상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대화면화와 동시에, 장치 전체의 박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화상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 셀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같은,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가 있다. 광학 적층체는, 기재에 PVA계 수지를 도공해 형성한 층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염색해, 1축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편광막과, 이 편광막의 양측으로 배치된 보호 필름을 가지는 것이 통상이다. PVA계 필름을 1축연신한 편광막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수십μm이다.
화상 표시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달성하기 위해, 광학 적층체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 그 중에서도, 편광막의 두께를 저감해 박형 편광자로 하는 것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박형 편광자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고온으로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한 후에, 붕산 수중에서 연신하는 방법이 있다(특허 문헌 1). 이 방법에 의하면,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종래에 비해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그 결과, 박형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박형 편광막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고배율로 연신하려고 하는 경우,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력이 낮으면, 연신 공정에서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박리하고, 롤에 감겨 붙어 버리는 일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붕산 수중에서 연신을 행할 때, PVA계 수지층 안의 이물이나 기포가 원인이 되어 층의 파단이 발생해,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완전하게 박리해 버리기도 한다. 게다가 제작한 박형 편광자를 반송할 때에도,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박리할 가능성이 있다. PVA계 수지층의 기재로부터의 박리는, 박형 편광막, 이것을 포함한 광학 적층체, 혹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의, 제조의 수율의 저하의 한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반송이나 연신 공정, 수중 연신 시에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박리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했었다.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수법으로서, 예를 들면,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에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과 병용하든가, 혹은 이것에 대신하는 수법으로서, 기재 위에 하도라고도 불리는 역접착층을 형성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특허 문헌 2).
이들 수법은, 종래의 연신 배율 혹은 두께의 편광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박형 편광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실정이었다. 또, 기재 위에 역접착층을 형성하고서 PVA계 수지층을 설치하는 수법으로는, PVA계 수지를 도공할 때에 수지 용액의 탄력에 의한 줄이라고 하는 외관문제가 발생하는 일도 관찰되었다.
(특허 문헌 1) 특개2012-073563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2011-12848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편광막을 구성하는 기재와 PVA계 수지와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연신 공정이나 반송 공정에 있어서 PVA계 수지가 기재로부터 박리하기 어렵고, 뛰어난 외관을 가지는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기재 위에 설치하는 PVA계 수지층에 사용하는 PVA계 수지 중 특정의 비율을 변성 PVA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을, 박형 편광막 제조 프로세스에도 견딜 만한 수준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라는 지견에 근거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편광막은, 기재 위에 PVA계 수지의 층을 설치해, 기재와 PVA계 수지의 층을 일체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편광막에 있어서, PVA계 수지는 변성 PVA를 포함하고, 변성 PVA는, PVA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 변성 비율이, 0.04mol%~1.4mol%가 되는 양으로 존재하는, 편광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성 PVA는, 아세토아세틸(acetoacetyl) 변성 PV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변성 PVA는, PVA계 수지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서 30 중량%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편광막은, 기재 위에 설치된 PVA계 수지의 층을, 적어도 5배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편광막에 있어서의 연신 후의 PVA계 수지의 층의 두께는, 10μm이하이다.
본 발명은 게다가, 상기 편광막을 포함한, 화상 표시장치용의 광학 적층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반송이나 연신 공정, 수중 연신 시에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박리 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뛰어난 외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박형 편광막, 이것을 포함한 광학 적층체, 혹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장치의, 제조의 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편광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가. 편광막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편광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편광막(10)은, 기재(11)와 PVA계 수지층(12)을 갖고, 기재(11) 위에 PVA계 수지층(12)을 설치하고, 기재(11)와 PVA계 수지층(12)을 일체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의 편광막에 사용하는 기재의 종류나 연신의 조건 등에 있어서는, 제조 방법과의 관계로 후에 상술하지만, 기재 위에 설치된 PVA계 수지의 층을, 적어도 5배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막에 사용하는 PVA계 수지는, 변성 PV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광막에서는, 변성 PVA는, PVA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 변성 비율이, 0.04mol%~1.4mol%가 되는 양으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변성 비율」이란, PVA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비닐 모노머 유니트의 비율을 의미한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감화도(saponification)와 변성도로부터,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평균 분자량을 산출하고,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중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비닐 모노머 유니트의 비율(mol%)을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PVA의 감화도로부터 PVA의 평균 분자량을 산출하고, 혼합비로부터 PVA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비닐 모노머 유니트의 비율을 산출한다.
변성 PVA로서는, 다음의 일반식에서 나타내지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Figure pat00001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변성도」란,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중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비닐 모노머 유니트의 비율(%)이며,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상기 일반식 l+m+n=100%로 했을 때의 n의 비율(%)이다. 또, 변성 PVA는, PVA계 수지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서 30 중량%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로서는, 감화도가 97 mol%이상의 것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pH는, 4%수용액으로서 측정했을 경우에, 3.5 ~ 5.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막은, 연신 후의 PVA계 수지층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10μm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μm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μm이하이다. 편광막의 두께가 10μm이하인 경우에는, 「박형 편광막」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한편, 편광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μm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μm이상이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얻을 수 있는 편광막의 광학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편광막은,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nm ~ 780 nm의 어느 하나의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막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42.0%이상이다.
편광막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9.95%이상이다.
본 발명의 편광막의 옥소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3 kcps 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2 kcps 이하이다. 한편, 편광막의 단위 두께 당의 옥소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0kcps/μm이상이다. 편광막의 붕산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g/(400 mm×700mm□) 이하이다.
상기 편광막의 사용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PVA계 수지층이 상기 기재와 일체가 된 상태로 사용해도 괜찮고,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상기 PVA계 수지층을 상기 기재로부터 박리 하고, 이것을 편광막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박리 한 PVA계 수지층을 다른 부재에 전사해 사용해도 괜찮다.
나. 광학 적층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기 편광막을 가진다. 도 2(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광학 적층체(100)는, 기재(11')와 PVA계 수지층(12')으로 되는 편광막과 점착제층(13)과 세퍼레이터(14)를 이 순서로 가진다. 광학 적층체(200)는, 기재(11')와 PVA계 수지층(12')으로 되는 편광막과 접착제층(15)과 광학 기능 필름(16)과 점착제층(13)과 세퍼레이터(14)를 이 순서로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광막을 제작할 때의 기재(11')를 PVA계 수지층(12')으로부터 박리하지 않고, 그대로 광학 부재로서 이용하고 있다. 기재(11')는, 예를 들면, PVA계 수지층(12')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 할 수 있다.
도 3(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광학 적층체(300)는, 세퍼레이터(14)와 점착제층(13)과 PVA계 수지층(12')과 접착제층(15)과 광학 기능 필름(16)을 이 순서로 가진다. 광학 기능 필름 적층체(400)에서는, 광학 적층체(300)의 구성에 더해 제2의 광학 기능 필름(16')이 PVA계 수지층(12')과 세퍼레이터(14)와의 사이에 점착제층(13)을 개입시켜서 설치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재는 제거되고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층의 적층에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비닐 알코올계 접착제로 형성된다. 상기 광학 기능 필름은, 예를 들면, 편광막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등으로서 기능 할 수 있는 것이다.
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편광막은, 열가소성 수지기재 등의 기재 위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해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공정 A)과, PVA계 수지층을 옥소로 염색하는 공정(공정 B)과,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중에서 수중 연신하는 공정(공정 C)을 포함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A-1. 공정 A
다시 도 1을 참조하고, 편광막(10)은, 기재(11) 위에 PVA계 수지층(12)을 설치하고, 기재(11)와 PVA계 수지층(12)을 일체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 PVA계 수지층(12)의 형성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11) 위에, PVA계 수지를 포함한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것에 의해, PVA계 수지층(12)을 형성한다.
상기 기재의 구성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비정질의(결정화하고 있지 않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비정성의(결정화하기 어렵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비정성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카르복시산으로서 이소프탈산을 한층 더 포함한 공중합체나, 글리콜로서 시크로헥산디메탄올을 한층 더 포함한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후술하는 공정 C에 있어서 물을 흡수하고, 물이 가소제적인 기능을 해 가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연신 응력을 큰폭으로 저하시킬 수 있어, 고배율로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중 연신시보다도 기재의 연신성이 뛰어날 수 있다. 그 결과, 뛰어난 광학 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을 가지는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그 흡수율이 0.2%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3%이상이다. 한편, 기재의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3.0%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다. 이러한 기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시에 기재의 치수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얻을 수 있는 편광막의 외관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중 연신시에 기재가 파단하거나,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박리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흡수율은, JISK7209에 준해서 구할 수 있는 값이다.
기재의 가우스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170℃이하이다. 이러한 기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PVA계 수지층의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적층체의 연신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물에 의한 기재의 가소화와 수중 연신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기재의 가우스 전이 온도(Tg)는 120℃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의 가우스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이다. 이러한 기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PVA계 수지를 포함한 도포액을 도포·건조할 때에, 기재가 변형(예를 들면, 凹凸 이나 늘어짐, 주름 등의 발생)하는 등의 불편을 방지하고, 양호하게 적층체를 제작할 수 있다. 또, PVA계 수지층의 연신을, 매우 적합한 온도(예를 들면, 60℃정도)에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기재의 가우스 전이 온도는, 예를 들면, 구성 재료에 변성기를 도입하도록 결정화 재료를 이용해 가열하는 것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덧붙여 가우스 전이 온도(Tg)는, JISK7121에 준해서 구할 수 있는 값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PVA계 수지를 포함한 도포액을 도포·건조할 때에, 기재가 변형하지 않으면, 기재의 가우스 전이 온도는, 60℃보다 낮아도 좋다. 이 경우,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탄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기재의 연신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μm~3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200μm이다. 20μm미만이면, PVA계 수지층의 형성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300μm를 넘으면, 예를 들면, 공정 B에 있어서, 기재가 물을 흡수하는데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과 동시에, 연신에 과대한 부하를 필요로 할 우려가 있다.
상기 PVA계 수지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은, 폴리 초산비닐을 감화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감화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PVA계 수지의 감화도는, 통상 85 몰%~100 몰%이며, 바람직하게는 95.0 몰%~99.95 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9.0 몰%~99.93 몰%이다. 감화도는, JISK6726-1994에 준해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감화도의 PVA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내구성이 뛰어난 박형 편광막을 얻을 수 있다. 감화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겔화해 버릴 우려가 있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4500,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00~4300이다. 덧붙여, 평균 중합도는, JISK6726-1994에 준해 요구할 수 있다.
상기 도포액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PVA계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 피롤리돈, 각종 글리콜류,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 조합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용액의 PVA계 수지 농도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20 중량부이다. 이러한 수지 농도이면, 열가소성 수지기재에 밀착한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액에, 첨가제를 배합해도 괜찮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얻을 수 있는 PVA계 수지층의 균일성이나 염색성, 연신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포액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코트법, 커텐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콤마 코트법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포액의 도포·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이다.
PVA계 수지층의 연신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μm이하이다. 한편, 연신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μm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μm이상이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얻을 수 있는 박형 편광막의 광학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에 표면 처리(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등)를 실시해도 괜찮고, 기재 위에 역접착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2.공정 B
공정 B에서는, PVA계 수지층을 옥소로 염색한다. 구체적으로는, PVA계 수지층에 옥소를 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행한다. 흡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소를 포함한 염색액에 PVA계 수지층(적층체)을 침지시키는 방법, PVA계 수지층에 해당 염색액을 도공하는 방법, 해당 염색액을 PVA계 수지층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액에 적층체를 침지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옥소가 양호하게 PVA계 수지층에 흡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염색액은, 바람직하게는, 옥소 수용액이다. 옥소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0.5 중량부이다. 옥소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옥소 수용액에 옥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옥화 칼륨, 옥화 리튬, 옥화 나트륨, 옥화 아연, 옥화 알루미늄, 옥화납, 옥화동, 옥화 바륨, 옥화 칼슘, 옥화주석, 옥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것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옥화 칼륨이다. 옥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10 중량부이다. 염색액의 염색시의 액체 온도는, PVA계 수지의 용해를 억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염색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키는 경우, 침지 시간은, PVA계 수지층의 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초~5분이다.또, 염색 조건(농도, 액체 온도, 침지 시간)은,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편광막의 편광도 혹은 단체 투과율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얻을 수 있는 편광막의 편광도가 99.98%이상이 되도록, 침지 시간을 설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얻을 수 있는 편광막의 단체 투과율이 40%~44%가 되도록, 침지 시간을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정 B는, 후술의 공정 C의 전에 행한다.
A-3.공정 C
공정 C에서는, 상기 적층체를 수중 연신(붕산 수중 연신)한다. 수중 연신에 의하면, 상기 기재나 PVA계 수지층의 가우스 전이 온도(대표적으로는, 80℃정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연신할 수 있고, PVA계 수지층을, 그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그 결과, 뛰어난 광학 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을 가지는 박형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적층체의 연신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단 연신이라도 좋고, 자유단 연신(예를 들면, 주속이 다른 롤 간에 적층체를 통해 1축연신하는 방법) 이라도 좋다. 적층체의 연신은, 일단계로 행해도 괜찮고, 다단계로 행해도 괜찮다. 다단계로 행하는 경우, 후술의 연신 배율은, 각 단계의 연신 배율의 적이다.
수중 연신은, 바람직하게는, 붕산 수용액 중에 적층체를 침지시켜 행한다(붕산 수중 연신). 연신 욕으로서 붕산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으로, PVA계 수지층에, 연신시에 걸리는 장력에 견디는 강성과, 물에 용해하지 않는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붕산은, 수용액 중에서 테트라 히드록시 붕산 음이온을 생성해 PVA계 수지와 수소결합에 의해 가교 할 수 있다. 그 결과, PVA계 수지층에 강성과 내수성을 부여하고, 양호하게 연신할 수 있어, 뛰어난 광학 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을 가지는 박형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붕산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용매인 물에 붕산 및/또는 붕산염을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붕산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10 중량부이다. 붕산 농도를 1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PVA계 수지층의 용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보다 고특성의 박형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덧붙여 붕산 또는 붕산염 이외에,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루 알데히드 등을 용매에 용해해 얻을 수 있던 수용액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염색공정도(공정 B)에 의해, 미리, PVA계 수지층에 옥소가 흡착되고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 욕(붕산 수용액)에 옥화물을 배합한다. 옥화물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PVA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옥소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옥화물의 구체적인 예는, 상술의 것과 같다. 옥화물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8 중량부이다.
공정 C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연신 욕의 액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8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5℃이다. 이러한 온도이면, PVA계 수지층의 용해를 억제하면서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의 가우스 전이 온도(Tg)는, PVA계 수지층의 형성과의 관계로, 바람직하게는 60℃이상이다. 이 경우, 연신 온도가 40℃를 밑돌면, 물에 의한 기재의 가소화를 고려해도, 양호하게 연신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연신 욕의 온도가 고온이 되는 만큼, PVA계 수지층의 용해성이 높아지고, 뛰어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적층체의 연신 욕에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5초~5분이다.
수중 연신(붕산 수중 연신)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뛰어난 광학 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을 가지는 박형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연신 배율은, 적층체의 원래의 길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최대 연신 배율」이란, 적층체가 파단하기 직전의 연신 배율을 말하고, 별도, 적층체가 파단하는 연신 배율을 확인해, 그 값보다 0.2 낮은 값을 말한다.
A-4.그 외의 공정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공정 A, 공정 B 및 공정 C 이외에, 그 외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용화 공정, 가교 공정, 상기 공정 C와는 다른 연신 공정, 세정 공정, 건조(수분율의 조절)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타이밍에 행할 수 있다.
상기 불용화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키는 것에 의해 행한다. 불용화 처리를 가하는 것에 의해, PVA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해당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4 중량부이다. 불용화 욕(붕산 수용액)의 액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바람직하게는, 불용화 공정은, 적층체 제작 후, 공정 B나 공정 C의 전에 행한다.
상기 가교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키는 것에 의해 행한다. 가교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PVA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해당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4 중량부이다. 또, 상기 염색공정 후에 가교 공정을 행하는 경우, 게다가, 옥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화물을 배합하는 것에 의해, PVA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옥소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옥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5 중량부이다. 옥화물의 구체적인 예는, 상술한 것과 같다. 가교 욕(붕산 수용액)의 액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 공정은 상기 공정 C의 전에 행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정 B, 가교 공정 및 공정 C를 이 순서로 행한다.
상기 공정 C와는 다른 연신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적층체를 고온(예를 들면, 95℃이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 연신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붕산 수중 연신(공정 C) 및 염색공정도의 전에 행한다. 이러한 공중 연신 공정은, 붕산 수중 연신에 대한 예비적 또는 보조적인 연신으로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기 위해, 이하 「공중 보조 연신」이라고 한다.
공중 보조 연신을 조합하는 것으로, 적층체를 보다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보다 뛰어난 광학 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을 가지는 박형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이용했을 경우, 붕산 수중 연신만으로 연신하는 것보다도, 공중 보조 연신과 붕산 수중 연신을 조합하는 편이, 기재의 배향을 억제하면서 연신할 수 있다. 해당 기재는, 그 배향성이 향상하는 것에 따라 연신 장력이 커져, 안정적인 연신이 곤란해지거나, 기재가 파단하거나 한다. 그 때문에, 기재의 배향을 억제하면서 연신하는 것으로, 적층체를 보다 고배율에 연신할 수 있다.
또, 공중 보조 연신을 조합하는 것으로, PVA계 수지의 배향성을 향상시켜, 그것에 의해, 붕산 수중 연신 후에 있어서도 PVA계 수지의 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PVA계 수지의 배향성을 향상하게 하는 것으로, 붕산 수중 연신 시에 PVA계 수지가 붕산과 가교하기 쉬워져, 붕산이 결절점이 된 상태로 연신되는 것으로, 붕산 수중 연신 후도 PVA계 수지의 배향성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 결과, 뛰어난 광학 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을 가지는 박형 편광막을 제작할 수 있다.
공중 보조 연신의 연신 방법은, 상기 공정 C와 같이, 고정단 연신이라도 좋고, 자유단 연신(예를 들면, 주속이 다른 롤 간에 적층체를 통해 1축연신하는 방법) 이라도 좋다. 또, 연신은, 일단계로 행해도 괜찮고, 다단계로 행해도 괜찮다. 다단계로 실시하는 경우, 후술의 연신 배율은, 각 단계의 연신 배율의 적이다. 본공정도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정 C의 연신 방향과 거의 동일하다.
공중 보조 연신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5배 이하이다. 공중 보조 연신의 연신 온도는, PVA계 수지의 가우스 전이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5℃~150℃이다. 덧붙여 공중 보조 연신과 상기 붕산 수중 연신을 조합했을 경우의 최대 연신 배율은, 적층체의 원래 길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배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6.0배 이상이다.
상기 세정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옥화 칼륨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키는 것에 의해 행한다.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100℃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기재(41)에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을 도공기(42)로 도공하고, 오븐(43)으로 건조하는 것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기재에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층이 제막된 적층체(44)를 제작한다. 그 다음에, 오븐(45)에서 적층체에 공중 고온 연신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기재와 배향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층으로 되는 연신 중간 생성물을 생성한다. 또한, 염색 욕(46) 중에서 연신 중간 생성물을 이색성 물질을 가지는 수용액 중에 침지시키는 것에 의해, 이색성 물질을 연신 중간 생성물에 흡착시키고, 이색성 물질을 배향시킨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층으로 되는 착색 중간 생성물을 생성한다. 그 다음에, 붕산 수중 연신 욕(47) 중에서 착색 중간 생성물에 대해서 붕산 수중 연신을 해, 오븐(48)에서 건조하는 것에 의해서, 이색성 물질을 배향시킨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층으로 되는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10μm이하인 편광막(49)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을 수 있던 편광막에 대한 각 평가 항목의 평가방법은, 이하와 같다.
1.밀착성
편광막제작 후, 한층 더 붕산 수용액 중에서 편광막을 연신했을 경우에 있어서, PVA계 수지층이 파단할 때까지 연신했을 때에, 파단을 계기로 해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가 박리 해 버린 것을×, 파단에 의해도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박리 하지 않았던 것을 ○으로 했다.
2.외관
편광막제작시의 붕산 수용액 중의 연신에 있어서 PVA계 수지층의 용해가 없는지, 또 얻을 수 있던 편광막 상태를 보았을 때에 줄 등의 얼룩이 안보일까를 확인하고, 모두 인정받지 못한 경우를 ○으로 했다.
[실시예 1]
A-PET(아몰퍼스­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수지(주) 제 상품명:노박 리어 SH046 200μm)를 기재로서 준비하고, 표면에 코로나 처리(58 W/m2/min)를 실시했다. 한편,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200 (중합도 1200, 감화도 99.0%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를 1 wt%첨가한 PVA(중합도 4200, 감화도 99.2%)를 준비하고, 변성 비율이 0.04mol%인 PVA계 수지의 5.5wt%의 도공액을 준비하고,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어플리케이터로 도공해, 60℃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 열풍 건조에 의해 10분간 건조하고, 기재 위에 PVA계 수지의 층을 설치한 적층체를 제작했다.
덧붙여 변성 비율은, 다음과 같이 산출했다. 즉,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감화도(99.0%)와 변성도(4.6%)로부터,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평균 분자량을 산출(Mw=48.26) 해,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중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비닐 모노머 유니트의 비율(0.00953 mol)을 산출했다. 마찬가지로, PVA의 감화도(99.2%)로부터 PVA의 평균 분자량(Mw=44.34)을 산출해, 혼합비(1.0wt%첨가)로부터 PVA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비닐 모노머 유니트의 비율(0.000423 mol)을 산출했다. 이것을 백분율로 환산하면, 0.0423mol%가 된다. 그 다음에, 이 적층체를 우선 공기 중 130℃로 1.8배로 자유단 연신하고, 연신 적층체를 생성했다. 다음에, 연신 적층체를 액체의 온도 30℃의 붕산 불용화 수용액에 30초간 침지하는 것에 의해서, 연신 적층체에 포함되는 PVA 분자가 배향된 PVA층을 불용화하는 공정을 행했다. 본공정도의 붕산 불용화 수용액은, 붕산 함유량을 물 100 중량%에 대해서 3 중량%로 했다. 이 연신 적층체를 염색하는 것에 의해서 착색 적층체를 생성했다. 착색 적층체는, 연신 적층체를 액체 온도 30℃의 옥소 및 옥화 칼륨을 포함한 염색액에,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고기능 편광막을 구성하는 PVA층의 단체 투과율이 40~44%가 되도록 임의의 시간, 침지하는 것에 의해서, 연신 적층체에 포함되는 PVA층에 옥소를 흡착시킨 것이다. 본 공정도에 있어서, 염색액은, 물을 용매로서, 옥소 농도를 0.08~0.25 중량%의 범위내로 하고, 옥화 칼륨 농도를 0.56~1.75 중량%의 범위내로 했다. 옥소와 옥화 칼륨의 농도의 비는 1대 7이다. 다음에, 착색 적층체를 30℃의 붕산 가교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하는 것에 의해서, 옥소를 흡착시킨 PVA층의 PVA 분자 사이에 가교 처리를 가하는 공정을 행했다. 본 공정도의 붕산 가교 수용액은, 붕산 함유량을 물 100 중량%에 대해서 3 중량%로 하고, 옥화 칼륨 함유량을 물 100 중량%에 대해서 3 중량%로 했다. 게다가, 얻을 수 있던 착색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 온도 70℃로서, 앞의 공기 중에서의 연신과 같은 방향으로 3.3배로 연신하고, 최종적인 연신 배율은 5.94배인 샘플 편광막을 얻었다. 광학 필름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으로부터 꺼내고, PVA층의 표면에 부착한 붕산을, 옥화 칼륨 함유량이 물 100 중량%에 대해서 4 중량%로 한 수용액으로 세정했다. 세정된 광학 필름 적층체를 60℃의 온풍에 의한 건조 공정에 의해서 건조했다.
얻을 수 있던 편광막의 외관을, 목시에 의해 확인했다.
또,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 PVA계 수지층이 파단할 때까지 연신을 행해, 기재에 대한 PVA계 수지층의 밀착성을 평가했다.
[실시예 2]
첨가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200 (중합도 1200, 감화도 99.0%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의 첨가량을 5 wt%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샘플을 제작해,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3]
첨가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200 (중합도 1200, 감화도 99.0%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의 첨가량을 10 wt%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샘플을 제작해,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4]
첨가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200 (중합도 1200, 감화도 99.0%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의 첨가량을 30 wt%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샘플을 제작해,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5]
첨가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를(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410 (중합도 2200, 감화도 97.5~98.5%,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3과 같게 샘플을 제작해,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6]
A-PET(아몰퍼스­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수지(주) 제 상품명:노박 리어 SH046 200μm)에 코로나 처리(58 W/m2/min)를 행해,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410 (중합도 2200, 감화도 97.5~98.5%,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를 10 wt%첨가한 PVA(중합도 4200, 감화도 99.2%)를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도공하고, 60℃로 10분간 건조해 적층체를 생성했다. 이 적층체를 온도 60℃의 붕산 수용액 중에서 5.0배로 연신해 외관을 확인했다. 또,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 PVA가 파단할 때까지 연신을 행해 PVA의 밀착성을 평가했다.
(비교예 1)
A-PET(아몰퍼스­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수지(주) 제 상품명:노박 리어 SH046 200μm)에 코로나 처리(58 W/m2/min)를 행해, PVA(중합도 4200, 감화도 99.2%)를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도공해, 60℃로 10분간 건조해 적층체를 생성했다. 이 적층체를 공기 중 130℃로 1.8배로 자유단 연신하고,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고, 다음에,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서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한층 더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70℃의 붕산 수용액 중에서 앞의 연신과 같은 방향으로 3.3배로 연신해 외관을 확인했다. 또,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 PVA가 파단할 때까지 연신을 실시해 PVA의 밀착성을 평가했다.
(비교예 2)
첨가하는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200 (중합도 1200, 감화도 99.0%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의 첨가량을 40 wt%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게 샘플을 제작해,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 3)
A-PET(아몰퍼스­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수지(주) 제 상품명:노박 리어 SH046 200μm)에 코로나 처리(58 W/m2/min)를 행해,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 합성화학공업(주) 제 상품명:고세파이마 Z200 (중합도 1200, 감화도 99.0%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의 5 wt%수용액을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μm가 되도록 도공하고, 60℃로 10분간 건조해 적층체를 생성했다. 다음에, PVA(중합도 4200, 감화도 99.2%)를 건조 후의 막 두께가 10μm가 되도록 도공하고, 60℃로 10분간 건조해 적층체를 생성했다. 이 적층체를 공기 중 130℃로 1.8배로 자유단 연신하고,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고, 다음에,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서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한층 더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70℃의 붕산 수용액 중에서 앞의 연신과 같은 방향으로 3.3배로 연신해 외관을 확인했다. 또,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 PVA가 파단할 때까지 연신을 실시해 PVA의 밀착성을 평가했다.

변성PVA 밀착성
외관
종류 첨가량
(wt%)
변성 비율
(mol%)
실시예1 Z200 1 0.04
실시예2 Z200 5 0.2
실시예3 Z200 10 0.4
실시예4 Z200 30 1.3
싱시예5 Z410 10 0.4
실시예6 Z410 10 0.4
비교예1 - - - ×
비교예2 Z200 40 1.7 × (PVA용해)
비교예3 Z200 하도 × (탄력발생)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절한 양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6에 있어서의 결과를 나타낸 것과 같이, 밀착성과 외관을 양립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에 있어서는, 밀착성의 평가에 있어서는, PVA의 박리가 확인되었다. 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가 대량으로 첨가된 비교예 2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를 역접착층(하도)으로서 이용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각각, 붕산 수중 연신시의 PVA의 용해 혹은 PVA 도공시의 PVA 용액의 탄력에 의한 줄이라고 한, 외관 문제가 확인되었다.
10: 편광막
11: 기재
12: PVA계 수지층
13: 점착제층
14: 세퍼레이터
15: 접착제층
16: 광학 기능 필름
41: 열가소성 수지기재
42: 도공기
43, 45, 48: 오븐
44: 적층체
46: 염색 욕
47: 붕산 수중 연신 욕
49: 편광막

Claims (6)

  1. 기재 위에 PVA계 수지의 층을 설치해, 상기 기재와 상기 PVA계 수지의 층을 일체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편광막에 있어서,
    상기 PVA계 수지는 변성 PVA를 포함하고, 이 변성 PVA는, 상기 PVA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하는 변성 비율이, 0.04mol%~1.4mol%가 되는 양으로 존재하는, 상기 편광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PVA는, 아세토아세틸(acetoacetyl) 변성 PVA인 편광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PVA는, 상기 PVA계 수지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서 30 중량%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편광막.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위에 설치된 상기 PVA계 수지의 층을, 적어도 5배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편광막.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후의 상기 PVA계 수지의 층의 두께가 10μm이하인 편광막.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의 기재의 편광막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용의 광학 적층체.
KR1020130063355A 2012-06-06 2013-06-03 변성 pva를 포함한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 KR101527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9014A JP5685222B2 (ja) 2012-06-06 2012-06-06 変性pvaを含む偏光膜及び該偏光膜を有する光学積層体
JPJP-P-2012-129014 2012-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084A true KR20130137084A (ko) 2013-12-16
KR101527709B1 KR101527709B1 (ko) 2015-06-09

Family

ID=4857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55A KR101527709B1 (ko) 2012-06-06 2013-06-03 변성 pva를 포함한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30329289A1 (ko)
EP (1) EP2672298B1 (ko)
JP (1) JP5685222B2 (ko)
KR (1) KR101527709B1 (ko)
CN (1) CN103472519B (ko)
TW (1) TWI5429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434A (ko) * 2014-03-14 2016-11-1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연신 적층체, 연신 적층체의 제조 방법, 그것들을 이용한, 편광막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편광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1158B2 (ja) * 2013-12-24 2016-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6366266B2 (ja) * 2013-12-25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TWI586533B (zh) 2013-12-25 2017-06-11 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偏光板及偏光板之製造方法
JP2015121720A (ja) * 2013-12-25 2015-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620189B1 (ko) 2013-12-27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물성이 우수한 박형 편광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5874364B (zh) * 2014-01-08 2020-05-08 株式会社可乐丽 光学膜制造用初始膜
KR20150086159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CN106062596B (zh) * 2014-03-04 2019-02-26 株式会社可乐丽 偏振膜
TWI588018B (zh) 2014-03-14 2017-06-21 Nitto Denko Corp Laminate, Stretch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Stretch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Optical Film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and Polarizing Film
TWI548899B (zh) * 2014-03-14 2016-09-11 Nitto Denko Corp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laminate comprising a polarizing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erein the polarizing film
CN106459549B (zh) * 2014-06-17 2019-03-08 株式会社普利司通 改性聚乙烯醇树脂组合物、覆膜和轮胎
JP6645727B2 (ja) * 2014-07-14 2020-02-1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138755B2 (ja) * 2014-12-24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JP6647753B2 (ja) * 2015-04-17 2020-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0533B2 (ja) * 2015-12-25 2020-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US11427688B2 (en) * 2017-04-17 2022-08-30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e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JP6480517B2 (ja) * 2017-07-18 2019-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7240090B2 (ja) * 2017-10-03 2023-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375A (en) * 1981-11-24 1983-06-14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Polyester based polarizer
JP3907735B2 (ja) * 1995-02-08 2007-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シート
KR100300208B1 (ko) 1995-02-08 2001-11-05 무네유키 가코우 광보상판
JP3557290B2 (ja) 1995-04-11 2004-08-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9316127A (ja) * 1996-03-26 1997-12-09 Fuji Photo Film Co Ltd エステル置換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薄膜
JP3357887B2 (ja) * 1996-06-04 2002-12-16 日本酢ビ・ポバール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耐水性樹脂組成物
EP1195260A3 (en) * 2000-10-03 2002-08-14 Fuji Photo Film Co., Ltd.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4701555B2 (ja) * 2001-08-01 2011-06-1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03052471A1 (en) 2001-12-18 2003-06-26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508822B1 (ko) * 2002-03-20 2005-08-1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폴리비닐 알콜계 필름
WO2005031408A1 (ja) * 2003-09-29 2005-04-07 Nitto Denko Corporation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5173440A (ja) * 2003-12-15 2005-06-30 Nippon Kayaku Co Ltd 偏光素子用接着剤並びに偏光板
JP2007004123A (ja) * 2005-05-25 2007-01-1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736562B2 (ja) * 2005-06-23 2011-07-2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07056102A (ja) * 2005-08-23 2007-03-08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8043714B2 (en) 2006-04-13 2011-10-25 Fujifilm Corporation Transparent thermoplastic film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975504B2 (ja) * 2006-04-13 2012-07-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熱可塑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02189A (ja) * 2006-10-17 2008-05-01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049033B2 (ja) * 2007-03-08 2012-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200837402A (en) * 2007-03-14 2008-09-16 Daxon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a polarizing sheet and method of lamination
JP5232403B2 (ja) * 2007-05-10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フィルム、及び長尺光学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BRPI0815824A2 (pt) * 2007-08-31 2015-02-18 Nippon Synthetic Chem Ind Agente de reticulação, polímero de reticulação e seus usos
JP2009067861A (ja) * 2007-09-12 2009-04-02 Fujifilm Corp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膜、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161761A (ja) * 2009-02-02 2009-07-23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2325852B (zh) 2009-02-20 2014-03-26 Lg化学株式会社 改性聚乙烯醇树脂以及包含该树脂的粘合剂、偏光片和显示器件
US9334406B2 (en) * 2009-02-25 2016-05-10 Lg Chem, Ltd. Composition for primer coating, optical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CN102326105B (zh) 2009-03-05 2013-06-05 日东电工株式会社 薄型高功能偏振膜及其制造方法
JP2011128486A (ja) 2009-12-21 2011-06-3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5048120B2 (ja) * 2010-03-31 2012-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1129531A2 (ko) 2010-04-12 2011-10-2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2022250A (ja) * 2010-07-16 2012-02-02 Sumitomo Chemical Co Ltd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11730B2 (ja) 2010-09-03 2014-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的パネル組立体の連続的製造方法及び装置
JP5361941B2 (ja) 2010-09-03 2013-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490750B2 (ja) 2010-09-03 2014-05-14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JP5474869B2 (ja) 2010-09-03 2014-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502023B2 (ja)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JP4691205B1 (ja)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478553B2 (ja) 2010-09-0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状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701679B2 (ja) 2010-09-03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矩形形状のパネルに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を順次的に貼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KR20120032195A (ko) * 2010-09-28 2012-04-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2103595A (ja) * 2010-11-12 2012-05-3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434A (ko) * 2014-03-14 2016-11-1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연신 적층체, 연신 적층체의 제조 방법, 그것들을 이용한, 편광막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편광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70502A1 (en) 2016-12-22
KR101527709B1 (ko) 2015-06-09
CN103472519B (zh) 2016-08-10
EP2672298B1 (en) 2014-12-24
US9864101B2 (en) 2018-01-09
TW201407208A (zh) 2014-02-16
JP2013254067A (ja) 2013-12-19
US20130329289A1 (en) 2013-12-12
EP2672298A1 (en) 2013-12-11
CN103472519A (zh) 2013-12-25
JP5685222B2 (ja) 2015-03-18
TWI542908B (zh)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7084A (ko) 변성 pva를 포함한 편광막 및 이 편광막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
KR101804604B1 (ko) 박형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101943664B1 (ko) 박형 편광막의 제조 방법
JP5782297B2 (ja)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KR101730746B1 (ko) 편광막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JP6138755B2 (ja) 偏光板
TWI452357B (zh) 光學薄膜積層體之製造方法
JPWO2018235461A1 (ja) 偏光膜、該偏光膜を含む偏光板、および該偏光板を含む車載用画像表示装置
TWI609774B (zh) 偏光板之製造方法及偏光板
KR101682282B1 (ko)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5721286B2 (ja)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JP6357069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