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403A - 음료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403A
KR20130136403A KR1020130063687A KR20130063687A KR20130136403A KR 20130136403 A KR20130136403 A KR 20130136403A KR 1020130063687 A KR1020130063687 A KR 1020130063687A KR 20130063687 A KR20130063687 A KR 20130063687A KR 20130136403 A KR20130136403 A KR 2013013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opper
operation lever
valve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024B1 (ko
Inventor
가쓰아키 다치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3013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and an overcap, the spout outle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마개체의 분해를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개 본체(11)의 내측에 유액경로(8)를 형성하고, 유액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21)를 설치하고, 마개 본체(11)의 상단에 이 마개 본체(11)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25)를 설치하며, 커버(25)에 밸브체(21)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24)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을 가능하게 설치한다. 마개 본체(11)의 탄성편(52)에 결합 돌기부(53)를 형성하고, 이 결합 돌기부(53)가 결합되는 횡판 상면(54U)을 커버(25)에 설치하며, 조작 레버(24)에는,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르면 탄성편(52)에 접촉하고, 이 탄성편(52)을 결합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편(58)을 형성했기 때문에,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르면, 조작 레버(24)의 돌출편(58)에 의해, 결합 돌기부(53)와 횡판 상면(54U)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때, 밸브체(21)에 의해 조작 레버(24)가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개 본체(11)로부터 커버(25)를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보온병 등의 음료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며, 자세하게는, 마개체에 밸브 기구를 가지며, 음료용기에 마개체를 장착한 상태인 채로 내용액을 따라 낼 수 있는 음료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것으로서,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간 마개 본체의 내측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에서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에 이르는 유액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액경로의 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중간 마개 본체의 상단에 이 중간 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조작 스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액체 용기의 중간 마개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개 본체와 상기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1 결합부, 다른 쪽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1 피(被)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중간 마개 본체의 상단에 탄성편을 설치하며, 상기 중간 마개 본체의 탄성편과 상기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2 결합부, 다른 쪽에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피 결합부를 설치한 액체 용기의 중간 마개(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가 있으며, 이 중간 마개 구조에서는, 종래와 같이 중간 마개 본체와 커버의 전체 둘레에 끼워맞춤부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조작 스위치를 슬라이드시킬 때의 조작력은 수평이며, 결합해제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중간 마개가 분해되어 버리지 않는다.
일본 특허 제 4514692호 공보
상기 중간 마개 구조에서는, 종래의 분해가능한 액체 용기의 중간 마개구조에 있어서, 중간 마개 본체와 커버와의 끼워 맞춤력이 불안정하고, 레버 개폐 조작시에 의도하지 않게 커버가 벗겨져 중간 마개가 분해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에 대하여, 중간 마개와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1 결합부, 다른 쪽에 제 1 피 결합부를 설치하고, 중간 마개 본체의 상단에 탄성편을 설치하며, 중간 마개 본체의 탄성편과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2 결합부, 다른 쪽에 제 2 피 결합부를 설치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레버 방식의 중간 마개에서는, 갑자기 전도(顚倒)한 경우 등에 용기 내의 액체가 유출되어, 주위를 더럽힐 우려가 있다. 또, 중간 마개를 분해할 때에, 다른 한쪽 손으로 탄성 부재를 누르면서 커버를 벗길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분해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탄성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구조의 경우에는, 커버나 마개 본체의 강성 혹은 치수에 의하여, 커버가 꼭 끼여서 벗겨내기 어렵거나, 반대로 너무 느슨해 버리거나 하여, 조정이 어려웠다.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마개체의 분해를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부가하여, 통상 사용시에는 오사용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음료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음료용기의 마개체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마개 본체의 내측에,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에서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에 이르는 유액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액경로의 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를 설치하며,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에 이 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와 상기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1 결합부, 다른 쪽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1 피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마개 본체의 상부에 탄성편을 설치하며, 상기 마개 본체의 탄성편과 상기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2 결합부, 다른 쪽에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피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에는, 상기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상기 탄성편에 접촉하고 이 탄성편을 결합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마개 본체가 용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래로 누르면, 상기 밸브체의 개폐는 행할 수 있지만,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부가 어깨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돌출편이 상기 탄성편을 결합해제하기에 이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탄성편은 마개 본체의 최외경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를 때에 상기 돌출편이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조작 레버의 돌출편이, 마개 본체의 탄성편을 결합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2 결합부와 제 2 피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때, 밸브체에 의해 조작 레버가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개 본체로부터 커버를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를 이용하여 초기 위치의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밸브체가 열리고, 조작 레버를 떼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에 의해 조작 레버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밸브체가 닫히며, 또한 용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눌러도, 조작부가 어깨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제 2 결합부와 제 2 피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를 때에 상기 돌출편이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외관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또, 사용시에 돌출편에 닿지 않아, 보다 안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조작 레버가 어깨부재에 접촉된 상태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마개체의 단면도이며, 돌출편에 의해 제 2 결합부와 제 2 피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조작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마개체의 사시도이며,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른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상기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조작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밸브체의 사시도이며, 도 11(A)는 밸브 봉의 세로 홈부에 걸어멈춤판의 걸어넣음부(係入部)를 맞춘 상태, 도 11(B)는 걸어멈춤판을 대략 90도 돌려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기 밸브 봉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걸어멈춤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 2 결합부와 제 2 피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회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체의 사시도이며, 돌기 도입홈에 결합 돌기부를 맞추어 회전체를 내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은,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체의 사시도이며, 제 1 바닥면에 결합 돌기부가 걸어 넣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는,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체의 사시도이며, 제 1 상(上) 경사면에 결합 돌기부가 걸어맞춤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체의 사시도이며, 모서리부에 결합 돌기부가 걸어멈춰져 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상기 밸브체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밸브체의 단면도이며, 감압 수단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상기 밸브체의 단면도이며, 밸브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각 실시예에서는, 종래와는 다른 신규 음료용기의 마개체를 채용함으로써, 종래에 없는 음료용기의 마개체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음료용기의 마개체에 대하여 기술한다.
실시예 1
도 1~도 23에 있어서, 보온병인 음료용기(1)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A)에 마개체(3)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용기 본체(2)는, 상부를 개구한 스테인리스제의 내(內) 용기(5)와 외(外) 용기(4)의 상단끼리를 일체로 접합하여 양 용기(4, 5) 사이를 단열층(6)으로 하여, 접합한 양 용기(4, 5)의 상부에는 합성수지제의 어깨부재(7)가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어깨부재(7)는, 접합한 양 용기(4, 5)의 개구부분에 늘어뜨려서 설치되며, 이 개구부분에 끼워서 부착된 링 형상 걸어멈춤부(7A)와, 이 링 형상 걸어멈춤부(7A)의 한쪽 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주둥이 형상의 주입부(7B)와, 이 주입부(7B)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7C)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링 형상의 걸어멈춤부(7A)에 합성수지제의 상기 마개체(3)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마개체(3)는, 음료용기(1)를 주입부(7B)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내용액을 상기 주입부(7B)를 통하여 따라내는 유액경로(8)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부재(7)에 나사 부착되는 마개 본체(11)와, 이 유액경로(8)를 개폐가능하게 폐색하는 밸브 기구(12)를 구비한다.
마개 본체(11)는, 상기 어깨부재(7)에 나사 결합되는 통체(13)를 가지며, 이 통체(13) 내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향하여 낮아지는 벽 형상의 중간 칸막이부(14)를 설치하고, 이 중간 칸막이부(14)의 하부를 따라서 상기 유액경로(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체(13)의 하부 개구인 입구(15)로부터 타측 상부로 개구되는 출구(16)에 연속하여 상기 유액경로(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칸막이부(14)는, 그 타측(14B)을 입구(15) 측에 연결하고, 그 일측(14A)을 통체(13)의 상부 측면으로 연결하며, 이 연결 개소의 하부에 상기 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개체(3)는, 밸브 기구(12)의 밸브체(21)를 상시 위쪽으로 끌어올려 입구(15)를 밸브체(21)로 막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22)와, 상기 밸브체(21)의 밸브 봉(23)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조작 레버(24)와, 마개 본체(11)의 상부를 덮는 커버(25)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21)가 상기 통체(13)의 하단부(13K)를 수밀(水密)하게 폐색하여 상기 입구(15)를 막고 있다.
상기 밸브 기구(12)는, 상기 밸브체(21)와, 이 밸브체(21)의 중앙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기 밸브 봉(23)과, 이 밸브 봉(23)과 상기 밸브체(2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 수단(2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체(21)는, 상기 하단부(13K) 보다 약간 큰 지름의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13K)에 장착된 지수(止水) 패킹(27)에 접촉하여 입구(15)를 폐색한다. 또, 밸브체(21)의 중앙부에는, 밸브 봉(23)의 장착구멍(21A)이 뚫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봉(23)은, 하단에 상기 장착구멍(21A)보다 큰 지름의 원반부(28)와, 위쪽으로 연출(延出)되는 축부(29)를 일체로 구비한 것으로, 이 축부(29)의 아래쪽에는, 걸어멈춤부재인 합성수지제의 걸어멈춤판(30)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부(29)의 하부(29S)는 상부(29U)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며, 그 하부(29S)의 외주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세로 홈부(31,31)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들 세로 홈부(31,31)는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그들 세로 홈부(31,31)의 바닥부의 간격이 상기 상부(29U)의 직경으로 대략 대응한다. 한편, 상기 걸어멈춤판(30)은 대략 긴 원 형상을 이루며, 그 중앙에 관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32)은, 상기 세로 홈부(31,31)에 걸어 넣는 걸어넣음부(32A,32A)를 가지며, 상기 하부(29S)가 삽입 통과된다. 또, 세로 홈부(31,31)에 연속되는 걸어멈춤 홈(31A, 31A)이 둘레에 형성되며, 이 걸어멈춤 홈(31A)은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도로 형성되고, 도 11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 홈부(31,31)에 걸어넣음부(32A, 32A)를 걸어 넣어 걸어멈춤판(30)을 축부(29)의 하부(29S)에 배치한 후, 걸어멈춤판(30)을 평면 대략 90도 돌리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넣음부(32A)를 걸어멈춤 홈(31A)에 걸어멈춤하고, 축부(29)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밸브 봉(23)에 걸어멈춤판(30)이 장착되어 반대로 떼어낼 수도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축부(29)의 하부(29S)에는, 상기 걸어멈춤 홈(31A)의 아래쪽 외주에 통기 홈(31T,31T)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들 통기 홈(31T,31T)은 대향하는 위치에 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 통기 홈(31T,31T)을 형성한 하부(29S)가, 상기 장착구멍(21A)에 삽입 통과된다.
상기 중간 칸막이부(14)에는, 그 중앙부(14S)에 상기 밸브 봉(23)의 축부(29)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구멍(33)이 형성되며, 이 삽입 통과구멍(33)의 상부 주위에, 축부(29)의 가이드통(3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중간 칸막이부(14)에는, 출구(16)와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인 타측에 공기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통(34)에는, 상기 탄성 부재(22)가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 탄성 부재(22)는, 중간 칸막이부(14)의 중앙부(14S) 상면과, 가이드통(34)으로부터 돌출하는 밸브 봉(23)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 커버(37)와의 사이에 축설(縮設)되며, 상기 밸브체(21)를 상시 위쪽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상기 밸브체 커버(37)는, 상기 탄성 부재(22)의 상부를 누르는 것으로서, 이 밸브체 커버(37)는, 상기 밸브 봉(23)의 축부(29)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부터 걸거나 벗기는 것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체(38)를 구비하고, 이 회전체(38)는 밸브체 커버(37)에 회전가능하게 안에서 끼워지며, 상기 회전체(38)가 상기 밸브 봉(23)의 상부에 걸거나 벗기는 것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상기 걸어멈춤판(30)은, 밸브 봉(23)과 함께 승강하고, 걸어멈춤판(30)의 하면은, 상기 장착구멍(21A)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수통부(21B)의 상단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중앙부(14S) 하면에는, 상기 걸어멈춤판(30)을 수납 가능한 통부(14T)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원반부(23A)의 외주에는, 감압 패킹(4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밸브 봉(23)은, 축부(29)를 상기 장착구멍(21A)에 삽입 통과하고, 상기 밸브체 커버(37)와 상기 중앙부(14S) 상면과의 사이에 축설된 탄성 부재(22)에 의해, 밸브체(21)의 하면과 상기 감압 패킹(41)이 밀착하고 상기 밸브 봉(23)과 밸브체(21)가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감압 수단(26)은, 상기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 밸브 봉(23)의 원반부(28), 감압 패킹(41), 탄성 부재(22) 및 걸어멈춤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은, 밸브 봉(23)의 축부(29)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며, 밸브체(2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축부(29)의 상부(29U)는, 가이드통(34)의 상부의 지름이 작은 내주면(34A)에 삽입 통과되며, 통부(14T)에 상기 걸어멈춤판(30)이 수용됨과 함께, 탄성 부재(22)를 가이드통(34)에 외장된 상태에서 축부(29)의 상부(29U)에 상기 밸브체 커버(37)를 걸어멈춤 함으로써, 밸브 기구(12)가 마개 본체(11)에 장착된다.
상기 커버(25)는, 마개 본체(11)의 통체(13)의 상(上) 개구부(42)를 덮는 것이며, 그 통체(13)에 끼워맞춰져 상 개구부(4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25)의 중앙에는, 타측인 어깨부재(7)측이 개구하는 잘린 형상의 개구부(25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5A)에 상기 조작 레버(24)가 배치되며, 이 조작 레버(24)의 일측이 추착부(43)에 의해 커버(25)로 기울어져 움직임일 수 있게 추착되고, 또, 조작 레버(24)의 조작부(44)가 커버(25)의 타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어깨부재(7)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조작 레버(24)의 하면에는, 상기 밸브 봉(23)의 상단이 접촉하는 위치에, 볼록부(24A)를 형성하며, 이 볼록부(24A)의 하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개 본체(11)의 상부에는, 통체(13)의 상부에 상(上) 통형상부(45)가 설치됨과 함께,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25)의 하면에는, 상기 상 통형상부(45)에 외장되는 하(下) 통형상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 통형상부(45)의 일측에 좌우 방향의 평면부(45H)를 설치하고, 이 평면부(45H)의 좌우 대칭 위치에 상부가 개구된 자른 홈(47,47)을 형성함과 함께, 이들 자른 홈(47,47) 사이에 돌출편부(48)를 형성하고, 이 돌출편부(48)에 제 1 결합부인 가로 구멍부(49)가 뚫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통형상부(46)의 일측에 좌우 방향의 평면부(46H)를 설치하고, 이 평면부(46H)의 내면에는, 제 1 피 결합부인 가로방향의 돌기부(50)를 형성하며, 이 돌기부(50)가 상기 가로 구멍부(49)에 걸어 맞춰진다. 이 경우, 하부만이 통체(13)에 고정된 돌출편부(48)에 가로 구멍부(49)를 형성함으로써, 가로 구멍부(49)에 돌기부(50)가 단발적(段發的)으로 걸어멈춰진다.
한편,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3)의 타측 상부에는, 이 통체(13)의 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5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1)의 바닥부에 위치하여 탄성편(52)을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되며, 이 탄성편(52)은 하단만이 통체(13)에 연결되고, 상단이 자유단이며, 그 탄성편(52)의 외면에 제 2 결합부인 결합 돌기부(53)가 형성되고, 이 결합 돌기부(53)는, 수평 방향의 걸어멈춤 면(53M)을 가지며, 이 걸어멈춤 면(53M)의 중앙으로부터 탄성편(52)의 선단으로 향하는 중앙 경사면(53A)을 가지고, 이 중앙 경사면(53A)의 양측에 이 중앙 경사면(53A)보다 높이가 낮은 측부 경사면(53B,53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체(13)에 안쪽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51)를 형성하며, 이 오목부(51) 내에 탄성편(52)을 배치함으로써, 마개 본체(11)의 외경보다 내측으로 탄성편(52)이 설치되어 있다.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통형상부(46)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피 결합부인 횡판부(54)의 횡판 상면(54U)이 설치되고, 이 횡판부(54)와 상기 하 통형상부(46)의 하단이 이 하 통형상부(46)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연장 설치부(55)에 의해 연결되며, 또한 횡판부(54)의 좌우는 연결부(56,56)에 의해 커버(25)에 연결되고, 횡판부(54)는 그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 레버(24)의 하면에는 돌출편(58)이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돌출편(58)은 일측에 세로 테두리부(59)를 가지고, 타측은 기울어진 테두리로 되며, 측면에서 보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고, 조작 레버(24)의 조작시에 상기 탄성편(52)에 결합하는 위치에 상기 세로 테두리부(59)가 배치되며, 이 세로 테두리부(59)의 하부에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타측으로 기울어진 접촉 테두리부(59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24)를 아래쪽으로 회동하면, 접촉 테두리부(59A)가 상기 중앙 경사면(53A)에 접촉하고, 탄성편(52)을 그 해제 방향으로 눌러 횡판 상면(54U)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를 마개체(3)에 장착한 상태에서, 돌출편(58)과 레버(24)의 조작부(44)와 어깨부재(7)는, 조작부(44)를 아래로 누르면, 조작부(44)의 하부가, 회동 규제부인 어깨부재(7)의 상면에 접촉하고, 이와 같이 조작 레버(24)의 회동 범위를 규제함으로써, 탄성편(52)에 돌출편(58)이 접촉하지 않는다.
또,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4)의 하단 좌우에는, 위치 결정부인 차양 형상부(61,61)를 설치하고, 이들 차양 형상부(61,61)가 접촉하는 접촉부(62)가 상기 커버(25)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양 형상부(61,61)가 접촉부(62)에 접촉함으로써, 커버(25)와 조작 레버(24)의 상면이 대략 높이가 같게 된다.
상기 밸브체 커버(37)는, 상기 밸브 봉(23)의 축부(29)를 헐겁게 끼우는 통부(71)와, 이 통부(7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22)의 상부를 누르는 누름부(71A)와, 상기 통부(71)의 좌우에 설치된 따는 부분 (72,72)과 이들 좌우의 따는 부분 (72,72)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3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개구부(72A,72A)를 구비한다. 이 경우, 결합 개구부(72A,72A)에 회전체(38)를 끼워넣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결합 개구부(72A)는 대략 장방형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전체(38)의 상하면을 끼우는 상하의 테두리부(72F,72F)를 구비하고, 이들 상하의 테두리부(72F,72F)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따는 부분(72)은 하부(72S)가 외측으로 넓어지며, 이것에 의해 좌우의 따는 부분(72,72)을 잡아 밸브체 커버(37)를 아래로 누르기 쉽게 되어 있다. 또, 회전체(38)는 상기 통부(71)의 상부에 겹쳐져 배치되며, 이 회전체(38)와 통부(71)에 축부(29)를 삽입 통과한 상태로, 회전체(38)는, 좌우가 결합 개구부(72A,72A)에 걸어넣어져 밸브체 커버(3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밸브체 커버(37)와 동체적(同體的)으로 축방향으로 상하 움직인다.
상기 회전체(38)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38H)의 내주에, 결합부인 결합 돌기부(73)가 팽출(膨出) 형성되며, 이 결합 돌기부(73)는, 대향하는 위치에서 2개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돌기부(73)는, 축부(29)의 축방향의 세로 테두리부(73T)와, 이 세로 테두리부(73T)의 하부에 일단이 설치되며, 이 세로 테두리부(73T)와 교차 방향의 가로 테두리부(73Y)와, 상기 세로 테두리부(73T)의 상단과 가로 테두리부(73Y)의 타단과의 사이에 설치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테두리부(73K)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밸브 봉(23) 축부(29)의 상단 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73,73)에 대응하고, 돌기 도입홈(74,74)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돌기 도입홈(74)의 사이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73)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38)를 회전시키는 단차인 단차홈(75)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 도입홈(74)은, 축부(29)의 상단이 개구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73)가 축방향으로부터 삽입가능하며, 상기 돌기 도입홈(74)의 일측면(74A)과 타측면(74B)의 간격은, 상기 가로 테두리부(73Y)보다 약간 폭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일측면(74A)과 타측면(74B)은, 축부(29)의 둘레방향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다. 또, 돌기 도입홈(74)은,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상기 결합 돌기부(73)와 같은 수 혹은 정수배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단차홈(75)의 구성에 대하여 축부(29)의 선단측(先端側)을 상(上), 기단측(基端側)을 하(下)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차홈(75)에는, 쌍을 이루는 한쪽 상기 돌기 도입홈(74)의 하부에, 상기 결합 돌기부(73)를 둘레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는 제 1 하(下) 경사면(76)이 형성되며, 이 제 1 하 경사면(76)은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형성되고, 이들 제 1 하 경사면(76)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일측면(74A)과 타측면(74B)의 대략 연장선상에서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하 경사면(76)의 일측(하단)에는 상기 가로 테두리부(73Y)가 결합되는 가로방향의 제 1 바닥면(77)이 형성되며, 이 제 1 바닥면(77)의 일측에는 축방향의 제 1 상 안내면(78)이 위쪽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1 바닥면(77)의 위쪽에는, 상기 기울어진 테두리부(73K)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 돌기부(73)를 둘레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는 제 1 상(上) 경사면(7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상 경사면(79)은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며, 제 1 상 경사면(79)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제 1 상 안내면(78)과 제 1 바닥면(77)의 타단의 대략 연장선상에서 아래쪽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기울어진 테두리부(73K)와 제 1 상 경사면(79)과는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동일 각도로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단차홈(75)은, 제 1 상 경사면(79)의 일측에, 제 1 상 안내면(80)이 위쪽을 향하여 형성되며, 이 제 1 상 안내면(80)은 제 1 상 안내면(78)의 대략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상 안내면(80)의 일측에 중간 경사면(81)이 설치되며, 이 중간 경사면(81)은 일측으로 향하여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중간 경사면(81)의 일측에 하 안내면(82)이 하측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경사면(81)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상 안내면(78)의 일측에는, 이 제 1 상 안내면(78)의 상단으로부터 일측으로 향하여 낮아지는 제 2 하 경사면(76A)과 제 2 바닥면(77A)이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기 하 안내면(82)은 상기 제 2의 바닥면(77A)의 범위에 대응한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닥면(77A)의 일측에는 제 2 상 안내면(78A)이 설치되고, 이 제 2 상 안내면(78A)의 대략 연장선상에, 쌍을 이루는 다른 쪽의 상기 돌기 도입홈(74)의 타측면(74B)이 위치하며, 이 타측면(74B)의 하단과 상기 하 안내면(82)의 하단과의 사이에, 제 2 상 경사면(79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체 커버(37)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회전체(38)를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도 17~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 도입홈(74,74)에 결합 돌기부(73,73)를 위치 맞춤하고, 밸브체 커버(37)를 집어 탄성 부재(22)의 힘을 가함에 저항하여 아래로 누르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하 경사면(76)에 결합 돌기부(73)가 안내되어 회전체(38)가 일측으로 회전하고, 결합 돌기부(73)의 가로 테두리부(73Y)가 제 1 바닥면(77)에 걸어 넣는다. 여기서 밸브체 커버(37)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빼든지, 손을 떼면, 탄성 부재(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 커버(37)가 상승하고, 회전체(38)는 결합 돌기부(73)의 기울어진 테두리부(73K)가 중간 경사면(81)에 결합하여 일측으로 회전하며, 중간 경사면(81)과 하 안내면(82)의 모서리부에 결합 돌기부(73)가 걸어멈춰져 상승이 멈추고, 축부(29)에 밸브체 커버(37)가 장착된다.
이 경우, 탄성 부재(22)에 의해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밸브체 커버(37)를 아래로 누르지 않는 한, 밸브체 커버(37)가 벗겨지지 않는다. 또, 밸브체 커버(37)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축부(29)의 상단이, 조작 레버(24)에 접촉하고, 밸브체 커버(37)는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 레버(24)의 조작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밸브체 커버(37)를 떼어낼 때, 장착 위치에 있는 밸브체 커버(37)를 아래로 누르면, 결합 돌기부(73)의 하부가 제 2 하 경사면(76A)에 결합되어 회전체(38)가 일측으로 회전하고, 결합 돌기부(73)가 제 2 바닥면(77A)에 걸어 넣어진다. 여기서 밸브체 커버(37)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빼든지, 손을 떼면, 탄성 부재(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 커버(37)가 상승하고, 회전체(38)는 결합 돌기부(73)의 기울어진 테두리부(73K)가 제 2 상 경사면(79A)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회전하고, 결합 돌기부(73)가 근처의 돌기 도입홈(74)에 따라서 상승하여, 축부(29)로부터 밸브체 커버(37)를 떼어낼 수 있다.
또, 밸브체 커버(37)를 아래로 눌러 축부(29)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밸브체 커버(37)의 스트로크(A)는, 축부(29)에 장착된 상태의 밸브체 커버(37)의 하단과 가이드통(34)의 상단과의 간격이다. 밸브체(21)와 걸어멈춤판(30)의 스트로크(B)는, 닫힌 상태의 밸브체(21)의 수통부(21B)의 상단과, 걸어멈춤판(30)의 하면과의 간격이다.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결합 돌기부(73)의 스트로크(C)는, 모서리부(83)에 있어서의 결합 돌기부(73)의 가로 테두리부(73Y)와 제 2 바닥면(77A)과의 간격이다.
여기서 간격(A), 간격(B), 간격(C)는, A>(B+C)의 관계이며, 이것에 의해, 밸브체 커버(37)를 밸브 봉(23)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마개 본체(11)와 밸브체 커버(37)가 접촉하여 회전체(38)가 걸어멈춤 해제 위치까지 회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마개체(3)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일측에 있어서, 가로 구멍부(49)에 돌기부(5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 결합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커버(25)의 타측을 아래로 누르면, 횡판부(54)가 결합 돌기부(53)의 외면에 접촉하고, 탄성편(52)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결합 돌기부(53)에 횡판부(54)가 걸어멈춰져, 마개 본체(11)에 커버(25)가 고정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돌기부(50)의 하부에 경사면을 가지게 되면, 돌출편부(48)도 탄성이 있기 때문에, 커버(25)를 마개 본체(11)에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것만으로, 마개 본체(11)에 커버(25)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에 마개체(3)를 나사 결합하여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24)의 조작부(44)를 아래로 누르면, 조작 레버(24)는, 일단의 추착부(43)를 지점으로 회동한다. 조작 레버(24)의 회동에 수반하여, 조작 레버(24)의 볼록부(24A)가 밸브 봉(23)의 상단을 아래쪽으로 누르고, 밸브 봉(23)과 밸브체(21)가 탄성 부재(22)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일체로 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지수 패킹(27)이 통체(13)의 하단부(13K)를 떨어져 나가, 유액경로(8)가 개방되며, 음료용기(1)를 주입부(7B) 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액이 유액경로(8), 주입부(7B)를 통하여 따라져 나온다. 또, 조작 레버(24)는, 조작부(44)의 하부가, 회동 규제부인 어깨부재(7)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회동이 규제되며, 횡판부(54)는 탄성편(5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위치가 회동 규제 위치이다.
한편, 용기 본체(2) 내에, 열탕이나 뜨거운 음료물이 주입되어 있으면, 수증기에 의하여 용기 본체(2) 내가 승압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작 레버(24)를 회동시키면, 밸브체(21)는 용기 내의 압력에 의하여 지수 패킹(27)이 통체(13)의 하단부(13K)로 내리눌려진 상태인 채,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봉(23)의 하강에 의하여 면적이 작은 감압 패킹(41)이 밸브체(21)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빠져나간다. 이 경우, 축부(29)의 하부(29S)에는, 세로 방향의 통기 홈(31T)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구멍(21A)과 통기 홈(31T)과의 사이에서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부드럽게 빠질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개방됨으로써, 밸브체(21) 위쪽으로의 가압 유지력이 없어지며,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려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21)가 열린 상태로 된다.
또, 용기 본체(2) 내에 열탕이나 뜨거운 음료물이 주입되어, 토출에 의해 한 번 밸브체(21)를 개방하고, 용기 본체(2) 내의 내압을 개방한 후 방치한 경우 등, 용기 본체(2) 내가 감압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감압력이 탄성 부재(22)의 탄성 복원력보다 강해지면, 자동적으로 밸브 봉(23)이 하강하고, 감압 패킹(41)이 밸브체(21)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대기와 같은 압력으로 개방된다.
도 4는, 용기 본체(2)로부터 떼어낸 마개체(3)를 나타내는 것으로, 마개체(3)를 용기 본체(2)에 장착했을 때의 조작 레버(24)의 회동 규제 위치까지, 조작 레버(24)를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결합 돌기부(53)가 횡판 상면(54U)에 결합 되어 있다. 조작부(44)를 상기 회동 규제 위치보다 더욱 아래로 누르면, 탄성편(52)의 외면에, 돌출편(58)의 접촉 테두리부(59A)가 접촉하고,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4)를 내리면, 돌출편(58)에 의해 탄성편(52)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결합 돌기부(53)가 횡판 상면(54U)으로부터 벗겨진다.
이와 같이 하여 결합 돌기부(53)가 횡판 상면(54U)으로부터 벗겨지면, 탄성 부재(22)에 의해 밸브 봉(23)이 조작 레버(24)를 위쪽으로 눌러, 조작 레버(24)가 위쪽으로 회동하고, 커버(25)의 타측이 마개 본체(11)로부터 벗겨진다.
마개 본체(11)로부터 커버(25)를 벗기면, 밸브 봉(23)의 상부로부터 밸브체 커버(37)를 벗기고, 밸브 봉(23), 탄성 부재(22), 밸브체(21), 걸어멈춤판(30)을 마개 본체(11)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마개 본체(11)의 유액경로(8)나 밸브 기구(12)를 따로 세정할 수 있다.
세정 후의 밸브 기구(12)를 마개 본체(11)에 장착할 때, 반대로, 밸브 봉(23)의 축부(29)에 걸어멈춤판(30)을 장착하고, 축부(29)를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에 삽입 통과하며, 또한 축부(29)를 삽입 통과구멍(33)과 가이드통(34)에 삽입 통과하고, 이 가이드통(34)에 탄성 부재(22)를 외장하여, 탄성 부재(22) 상에 밸브체 커버(37)를 씌우고, 밸브체 커버(37)에 축부(29)의 상부(29U)에 걸어멈춰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르는 것만으로, 조작 레버(24)에 형성된 돌출편(58)이, 마개 본체(11)의 탄성편(52)을 걸어멈춤 해제 방향(FK)으로 이동시키고, 마개 본체(11)와 커버(25)를 걸어멈춤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이때 조작 레버(24)는, 유액경로(8)의 입구(15)를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21)의 밸브 봉(23)에 의해, 마개 본체(11)와 커버(25)가 걸어멈춤 해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조작 레버(24) 및 커버(25)에 마개 본체(11)와의 해제 방향(F1)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24)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2)에 마개체(3)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24)에 의해 밸브체(21)의 개폐 조작을 행할 수 있지만, 조작 레버(24)가 어깨부재(7)에 접촉하는 회동 규제 위치에서는, 조작 레버(24)에 형성된 돌출편(58)이 탄성편(52)을 걸어멈춤을 해제하는 것에 이르지 않기 때문에, 오조작에 의해 마개 본체(11)와 커버(25)가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편(52)이 마개 본체(11)의 최대 외경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또,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를 때에 돌출편(58)이 커버(25)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돌출편(58)을 커버(25)의 내측으로 숨길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조작시에 돌출편(58)에 닿지 않아 안전하고, 또한 커버(25)의 하부에 횡판부(54)를 가지지 않게 할 수 있어, 걸어멈춤 해제 조작시에 조작 레버(24)와 상기 횡판부(54)로 사이에 끼우는 조작을 함으로써, 조작 레버(24)를 누르는 힘(FP)이 커버(25)를 집는 힘(FT)과 상쇄되어, 조작 레버(24) 및 커버(25)에는 밸브체(21)를 닫는 힘만 들기 때문에, 마개 본체(11)와 커버(25)의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고, 용기 본체(2)의 개구부(2A)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마개 본체(11)의 내측에, 용기 본체(2)의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15)로부터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16)에 이르는 유액경로(8)를 형성하고, 유액경로(8)의 입구(15)를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21)를 형성하며, 마개 본체(11)의 상단에 이 마개 본체(11)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25)를 설치하고, 커버(25)에 밸브체(21)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본체(11)와 커버(25)의 어느 한쪽에 제 1 결합부인 가로 구멍부(49), 다른 쪽에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1 피 결합부인 돌기부(50)를 형성하고, 마개 본체(11)의 상부에 탄성편(52)을 설치하고, 마개 본체(11)의 탄성편(52)과 커버(25)의 어느 한쪽에 제 2 결합부인 결합 돌기부(53), 다른 쪽에 제 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피 결합부인 횡판 상면(54U)을 설치하며, 조작 레버(24)에는,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르면 탄성편(52)에 접촉하고 이 탄성편(52)을 결합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편(58)을 형성했기 때문에,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르면, 조작 레버(24)의 돌출편(58)이, 마개 본체(11)의 탄성편(52)을 결합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 돌기부(53)와 횡판 상면(54U)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때, 밸브체(21)에 의해 조작 레버(24)가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개 본체(11)로부터 커버(25)를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 돌기부(50)의 하부에 안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 가로 구멍부(49)를 형성한 돌출편부(48)는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커버(25)를 마개 본체(11)에 위쪽으로부터 누르는 것만으로, 마개 본체(11)의 전후에 커버(25)를 대략 동시에 걸어멈춤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고, 조작 레버(24)는, 마개 본체(11)가 용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래로 누르면, 밸브체(21)의 개폐는 행해지지만, 조작 레버(24)의 조작부(44)가 어깨부재(7)에 접촉함으로써, 돌출편(58)이 탄성편(52)을 걸어멈춤 해제하는 것에 이르지 않기 때문에, 조작부(44)를 이용하여 초기 위치의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르면, 밸브체(21)가 열리고, 조작 레버(24)를 떼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21)에 의해 조작 레버(24)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밸브체(21)가 닫히고, 용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눌러도, 조작부(44)가 어깨부재(7)에 접촉함으로써, 결합 돌기부(53)와 횡판 상면(54U)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사용시에 조작 레버(24)를 눌러도 커버(25)가 벗겨지지 않는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고, 탄성편(52)은 마개 본체(11)의 최외경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누를 때에 돌출편(58)이 커버(25)의 내측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돌출편(58)이 커버(25)의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써,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마개 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가로 구멍부(49)에, 커버(25)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50)가 가로 구멍부(49)의 일측으로부터 걸어 넣기 때문에, 이 걸어 넣는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커버(25)의 타측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타측에 있어서의 마개 본체(11)와 커버(25)의 결합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가로 구멍부(49)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돌기부(50)를 결합함으로써, 이 결합 개소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안정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돌출편(58)의 일측에는, 조작 레버(24)의 조작시에 상기 탄성편(52)에 결합하는 위치에 상기 세로 테두리부(59)가 배치되며, 이 세로 테두리부(59)의 하부에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타측으로 기울어진 접촉 테두리부(59A)가 설치되며, 결합 돌기부(53)에는, 타측으로 중앙 경사면(53A)을 설치했기 때문에, 돌출편(58)이 하강하면, 접촉 테두리부(59A)가 중앙 경사면(53A)에 접촉하여 탄성편(52)을 부드럽게 일측으로 탄성변형시키고, 외측에 있어서의 결합해제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밸브체(21)와 밸브 봉(23)을 개개의 별도 부재로 하고, 밸브 봉(23)에 밸브체(21)의 상부로의 유액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밸브체(21)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봉(23)쪽이 밸브체(21)보다 지름이 작아지기 때문에, 뜨거운 물 등에 의해 용기 본체(2) 내의 내압이 높아져 있을 때에도, 먼저 밸브 봉(23) 측의 밸브체인 원반부(28)를 아래로 눌러, 내압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압에 의해 밸브체(21)가 아래로 누름을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내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밸브 봉(23)에는 통기 홈(31T)이 있어,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과의 사이에 빈틈을 만듬으로써, 확실히 내압을 배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내압을 개방하면, 밸브체(21)의 위쪽으로의 가압 유지력이 없어지고,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려가, 밸브체(21)가 열린 상태가 된다. 한편, 용기 본체(2) 내가 감압 상태로 된 경우, 그 감압력이 탄성 부재(22)의 탄성 복원력보다 강해지면, 자동적으로 밸브 봉(23)이 하강하고, 감압 패킹(41)이 밸브체(21)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대기와 같은 압력으로 개방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밸브체에 대하여 밸브 봉을 승강가능하게 형성했지만, 밸브체에 밸브 봉을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또, 보온병에 적용되는 마개체로 한정되지 않고, 물통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용기 본체는 유리제의 것, 합성수지제의 것 등 어떤 것이라도 좋고, 특히 단열 구조를 가지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1. 음료용기
2. 용기 본체
2A. 상부 개구부
3. 마개체
7. 어깨부재
8. 유액경로
11. 마개 본체
12. 밸브 기구
15. 입구
16. 출구
21. 밸브체
22. 탄성 부재
23. 밸브 봉
24. 조작 레버
25. 커버
49. 가로 구멍부(제 1 결합부)
50. 돌기부(제 1 피 결합부)
52. 탄성편
53. 결합 돌기부(제 2 결합부)
54. 횡판부
54U. 횡판 상면(제 2 피 결합부)

Claims (3)

  1.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마개 본체의 내측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에서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에 이르는 유액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액경로의 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밸브체를 설치하며,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에 이 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와 상기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1 결합부, 다른 쪽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1 피(被)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마개 본체의 상부에 탄성편을 설치하며,
    상기 마개 본체의 탄성편과 상기 커버의 어느 한쪽에 제 2 결합부, 다른 쪽에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피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에는, 상기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상기 탄성편에 접촉하고 이 탄성편을 결합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마개 본체가 용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래로 누르면, 상기 밸브체의 개폐는 행할 수 있지만,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부가 어깨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돌출편이 상기 탄성편을 결합해제하기에 이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마개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마개 본체의 외경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를 아래로 누를 때에 상기 돌출편이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마개체.
KR1020130063687A 2012-06-04 2013-06-03 음료용기의 마개체 KR101528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7507A JP5354063B1 (ja) 2012-06-04 2012-06-04 飲料容器の栓体
JPJP-P-2012-127507 2012-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403A true KR20130136403A (ko) 2013-12-12
KR101528024B1 KR101528024B1 (ko) 2015-06-16

Family

ID=4853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687A KR101528024B1 (ko) 2012-06-04 2013-06-03 음료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75785B2 (ko)
EP (1) EP2671483B1 (ko)
JP (1) JP5354063B1 (ko)
KR (1) KR101528024B1 (ko)
CN (1) CN103449013B (ko)
AU (1) AU2013206139B2 (ko)
CA (1) CA2816513A1 (ko)
HK (1) HK1191917A1 (ko)
TW (1) TWI5045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773A (zh) * 2016-05-09 2016-07-13 陆晓飞 一种内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1366A1 (en) * 2012-06-21 2013-12-26 Jason Craig Campbell Discharge device
USD815901S1 (en) 2016-05-04 2018-04-24 Hardy Steinman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D821146S1 (en) 2016-05-04 2018-06-26 Hardy Steinman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CN108261056A (zh) * 2016-12-31 2018-07-10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食物制备器具
CN106742641B (zh) * 2017-01-24 2018-02-27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一种带通断阀的容器盖子
CN107399512A (zh) * 2017-07-25 2017-11-28 上海榛硕家居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杯或瓶的排气式塞盖
CN109984561A (zh) * 2017-12-29 2019-07-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控制方法
CN109466874A (zh) * 2018-12-05 2019-03-15 上海升村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喷雾瓶盖
JP7236278B2 (ja) * 2019-01-29 2023-03-09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11973006A (zh) * 2019-05-22 2020-11-2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煎烤机
CN113277215B (zh) * 2020-02-20 2023-10-27 企划王有限公司 通气装置、盖体以及包括该盖体的容器
JP2021187450A (ja) * 2020-05-26 2021-12-13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549464B2 (ja) 2020-05-26 2024-09-11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21186013A (ja) * 2020-05-26 2021-12-13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7426900B2 (ja) * 2020-05-26 2024-02-02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12716228A (zh) 2020-12-15 2021-04-30 上海宏晨家庭用品有限公司 容器
CN117678914B (zh) * 2024-02-01 2024-05-10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高温液体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8851A (en) * 1976-08-05 1978-02-21 Zojirushi Vacuum Bottle Co Electric airpot
US4300705A (en) * 1980-05-09 1981-11-17 Shy Min C Vacuum insulated bottle with mechanism for dispensing liquid by compression
DE8333674U1 (de) * 1983-11-23 1984-04-05 Rotpunkt Dr. Anso Zimmermann, 6434 Niederaula Kanne für Flüssigkeiten, insbesondere Isolierkanne
US4676411A (en) * 1985-07-01 1987-06-30 Dia Vacuum Bottle Industrial Co., Ltd. Stopper of liquid container
US5037015A (en) * 1987-03-23 1991-08-06 Service Ideas, Inc. Cap with integral pouring spout for pitchers
US5240145A (en) * 1992-08-07 1993-08-31 Hogberg Martin R Container for dispersing two beverages
US6269984B1 (en) * 1999-11-10 2001-08-07 The Thermos Company Dispensing stopper for a bottle
JP2002165709A (ja) * 2000-11-30 2002-06-11 Nippon Sanso Corp 飲料容器の栓体
DE10105766A1 (de) * 2001-02-08 2002-08-14 Leifheit Ag Kanne
US6648183B2 (en) * 2002-02-13 2003-11-18 Service Ideas, Inc. Cap for a beverage server
JP2004315009A (ja) * 2003-04-15 2004-11-11 Thermos Kk 飲料容器の栓体
JP4514692B2 (ja) * 2005-11-18 2010-07-2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の中栓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773A (zh) * 2016-05-09 2016-07-13 陆晓飞 一种内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06139B2 (en) 2016-09-15
US20130320251A1 (en) 2013-12-05
CN103449013A (zh) 2013-12-18
EP2671483B1 (en) 2015-09-09
US9175785B2 (en) 2015-11-03
HK1191917A1 (zh) 2014-08-08
AU2013206139A1 (en) 2013-12-19
CA2816513A1 (en) 2013-12-04
JP5354063B1 (ja) 2013-11-27
EP2671483A1 (en) 2013-12-11
TW201402415A (zh) 2014-01-16
TWI504544B (zh) 2015-10-21
JP2013248352A (ja) 2013-12-12
CN103449013B (zh) 2016-01-27
KR101528024B1 (ko)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6403A (ko) 음료용기의 마개체
KR20130136405A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US9392892B2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TWI435827B (zh) Drinks for containers
JP5607112B2 (ja) 蓋付き容器
US9296526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matic cap for liquid vessel
CN211324189U (zh) 杯盖及杯子
TW200533568A (en) Sealing temper-proof cap
KR10144242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0472089Y1 (ko) 밀폐용기
KR20150002508U (ko) 물컵 입구용 개폐형 밀봉 뚜껑
KR20140014012A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JP6332694B2 (ja) 吐出兼用噴出容器
CN203776732U (zh) 一种安全保温壶
CN207544820U (zh) 一种保温杯盖
CN205697181U (zh) 电压力锅
JP2016131593A (ja) 飲料用容器
KR20150093094A (ko) 액체 용기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