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317A - 아미노벤조산 유도체의 유기 아민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미노벤조산 유도체의 유기 아민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317A
KR20130131317A KR1020137007379A KR20137007379A KR20130131317A KR 20130131317 A KR20130131317 A KR 20130131317A KR 1020137007379 A KR1020137007379 A KR 1020137007379A KR 20137007379 A KR20137007379 A KR 20137007379A KR 20130131317 A KR20130131317 A KR 20130131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amine
salt
quaternary ammonium
ammonium salt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014B1 (ko
Inventor
?스케 이와모토
사토시 나카노
마리코 이시다
마사오 야마모토
가즈야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0Hetero atoms other than halogen
    • C07D333/32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신규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체내 동태 특성이나 안정성이 우수하고, 의약으로서 유용한 성질을 갖는다.

Description

아미노벤조산 유도체의 유기 아민염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AMINE SALT OF AMINOBENZOIC ACID DERIVA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트롬보포이에틴 리셉터 활성화제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기 아민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은, 특히 혈소판수의 이상을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제나 혈소판 증다제로서 유용하다.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이하, 화합물 A 라고 부른다) 은, 트롬보포이에틴 리셉터 활성화제로서 유용하다. 화합물 A 는 그 호변 이성체, 프로드러그 또는 그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과 함께 국제 공개 제04/108683호 팜플렛 (특허문헌 1) 이나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6-527187호 (특허문헌 2) 에 일반식에 포함되는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화합물 A 는, 미국 공개공보 US2006094694 (특허문헌 3) 에서는 특정한 화합물로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화합물 A 의 염에 관해서는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알칼리 금속염 등의 예시는 있지만, 구체적인 염의 실시예는 없다.
국제 공개 제04/108683호 팜플렛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6-527187호 미국 공개 공보 US2006094694
본 발명의 목적은,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리체나 알칼리 금속염에 비하여 체내 동태 특성이나 안정성이 향상된,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성질을 갖는 신규한 염 및 그러한 염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은 전술한 신규 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신규한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당해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및 당해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제조 방법을 알아내었다. 놀랍게도, 이들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치료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즉 이들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그 유리체나 알칼리 금속염과 비교하여 현저히 체내 동태 특성 및/또는 안정성의 향상이 보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2)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수산기를 갖는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인 (1) 에 기재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3)
수산기를 갖는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또는 콜린인 (2) 에 기재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4)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에탄올아민염.
(5)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트로메타민염.
(6)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콜린염.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8)
의약이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활성화제인 (7) 에 기재된 의약.
(9)
의약이 혈소판 증다제인 (7) 에 기재된 의약.
(10)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과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제조 방법.
(11)
0 ∼ 70 ℃ 에서 반응시켜, 생성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결정화시키는 (10)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2)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또는 콜린인 (10) 또는 (1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3)
유기 아민이 에탄올아민이고, 용매가 아세토니트릴인 (10) 또는 (1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4)
유기 아민이 트로메타민이고, 용매가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며, 유기 아민염 생성 후 용매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결정화시키는 (10) 또는 (1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5)
유기 아민이 트로메타민이고, 용매가 아세톤과 물의 혼합 용매이며, 유기 아민염 생성 후 용매를 1-프로판올로 치환하여 결정화시키는 (10) 또는 (1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6)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콜린이고, 용매가 아세토니트릴인 (10) 또는 (11) 에 기재된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은, 체내 동태 특성 및/또는 안정성이 우수하고, 트롬보포이에틴 리셉터 활성화제나 혈소판 증다제 등의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성질을 갖는다.
도 1 은, 실시예의 개 (犬) 경구 흡수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화합물 A (Free Acid), 화합물 A 의 칼륨염 (Potassium Salt), 화합물 A 의 콜린염 (Choline Salt), 화합물 A 의 에탄올아민염 (Ethanolamine Salt) 및 화합물 A 의 트로메타민염 (Tromethamine Salt) 을 투여한 후의 경과 시간에 대한 각각의 혈장중 농도 추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 중, 「t」는 터셔리를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합물 A 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합물 A 란,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을 의미한다. 화합물 A 의 구조식은 다음의 식 (Ⅱ) 로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화합물 A 는, 그 기하 이성체 또는 그들의 호변 이성체도 포함한다. 또한, 화합물 A 는 그 기하 이성체, 호변 이성체끼리가 임의의 비율로 함유되는 혼합물도 포함한다.
또한, 화합물 A 는,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E 체), 및 그 기하 이성체인 3-{[((2Z)-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Z 체) 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E 체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 아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 아민이란, 암모니아의 수소 원자를 탄화수소기로 1 개 이상 치환한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유기 아민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화수소기 1 개로 치환된 1 급 아민, 마찬가지로 2 개로 치환된 2 급 아민, 및 3 개로 치환된 3 급 아민을 포함한다.
또한 4 급 암모늄염은, 화합물 A 와 염을 형성하기 전에는 다른 카운터 아니온과 염을 형성하고 있고, 화합물 A 와 염을 형성할 때에는, 소위 카운터 아니온 교환에 의해 염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및 4 급 암모늄염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 아민염 및 4 급 암모늄염은, 이온을 표시하는 화학식으로 기재하면 다음의 식 (Ⅰ) 로 나타내어진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여기서 A- 란, 화합물 A 로부터 수소 이온을 n 개 (n 은 0 보다 크고 4 이하를 의미한다) 제거한 n 가의 유기 아니온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n 이 1 또는 2인 하기 식 (Ⅲ) 으로 나타내는 유기 아니온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특히 바람직하게는 n 이 1 인 하기 식 (Ⅳ) 로 나타내는 유기 아니온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Ⅴ) 로 나타내는 유기 아니온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Ⅰ) 중, B 란, n 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1 급, 2 급 혹은 3 급 유기 아민 또는, n 가의 4 급 암모늄염을 의미하고, 동일하거나 혹은 달라도 되는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조합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수산기를 갖는 유기 아민 및 수산기를 갖는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디올아민, 메글루민, 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콜린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더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카티온부가 콜린인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B+ 란, n 개의 아미노기에 수소 이온을 각각 1 개 추가한 유기 암모늄 카티온을 의미하거나, 혹은 n 가의 4 급 암모늄염의 카티온부를 의미하고, 동일하거나 혹은 달라도 되는 유기 암모늄 카티온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카티온부의 조합에 의해 n 가의 카티온으로 되어 있어도 되며,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수산기를 갖는 유기 암모늄 카티온 및 수산기를 갖는 4 급 암모늄염의 카티온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n 이 1 인 하기 식 (Ⅵ) 으로 나타내는 유기 암모늄 카티온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보다 더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하기 식 (Ⅶ) 로 나타내는 유기 암모늄 카티온을 들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개념에는, 당해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용매화물도 포함된다.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용매로는,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매나 제조 후에 부착되는 용매가 있다.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용매의 구체예로는,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매, 메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및 물을 들 수 있다. 용매화물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은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메탄올, 1-프로판올 및 물을 들 수 있다.
본 제조법에서 사용하는 용매는, 반응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용성 용매, 아세트산에스테르 또는 물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아세톤과 물의 혼합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아세트산에틸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 아세톤과 물의 혼합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1-프로판올이다.
또한 수용성 용매란, 물과 임의의 비율로 용해되는 용매를 말한다.
본 제조법에 있어서,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용매에 용해시키지 않고 그대로 반응계 중에 첨가해도 되고,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용액으로서 계 중에 첨가해도 되지만, 공업적 제조법으로는, 취급의 용이함 면에서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용액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용액의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또는 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물이다. 반응계 중에 첨가하는 순서는, 화합물 A 의 용액에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첨가해도 되고,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용액에 화합물 A 를 첨가해도 되지만, 화합물 A 의 용액에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조법에 있어서는, 공업적 제조법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또 원하는 성질을 갖는 생성물을 높은 재현성으로 얻기 위해서도, 생성되는 염은 결정화하여 끄집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시에는 빈용매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빈용매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토니트릴, 1-프로판올 또는 2-프로판올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 1-프로판올 또는 2-프로판올이다. 빈용매를 첨가할 때에는, 소량씩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A 와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에 대하여 양용매이고, 생성물인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에 대하여 빈용매인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생성물의 형성과 그 결정화를 동시에 실시하여 생성물의 결정을 얻을 수도 있다.
결정화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종정 (種晶) 을 첨가해도 된다. 이러한 종정은,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이 들어 있는 용기의 내벽을 스패츌러로 문지르는 등,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으로 취득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에탄올아민 또는 콜린인 경우, 용매로서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함으로써, 화합물 A 의 에탄올아민염 또는 콜린염의 결정을 제조할 수 있다. 유기 아민이 트로메타민인 경우에는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여, 화합물 A 의 트로메타민염이 생성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매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결정화시킬 수 있고, 또한, 용매로서 아세톤과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화합물 A 의 트로메타민염이 생성된 후 상기 혼합 용매를 1-프로판올로 치환하여 결정화시킬 수 있다.
화합물 A 와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반응할 때의 반응 용액·현탁액의 온도는, 반응이 진행되는 온도라면 용매의 응고점 내지 비점의 사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온 -78 ℃ 에서 8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온 0 ℃ 에서 7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온 10 ℃ 에서 60 ℃ 이다. 또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결정 생성시킬 때의 용액·현탁액의 온도는, 결정 생성이 진행되는 온도라면 용매의 응고점 내지 비점의 사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온 -78 ℃ 에서 5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온 -10 ℃ 에서 4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온 0 ℃ 에서 30 ℃ 이다.
화합물 A 와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반응할 때의 반응 시간은, 분해 반응이 일어나지만 않는 시간이라면 실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 분에서 5 시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분에서 3 시간이다. 또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결정 생성시키는 교반 시간으로는, 분해가 일어나지 않고 결정 생성이 진행되기만 하는 시간이라면 실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 시간에서 48 시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시간에서 24 시간이다.
본 제조법에 있어서는, 원료의 화합물 A 로서 화합물 A 의 용매화물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용매화물의 구체예로는 메탄올화물, 2-프로판올화물, 2-부탄올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형태의 구체예로는,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환제 혹은 시럽제 등의 경구 투여제, 직장 투여제, 경피 흡수제 또는 주사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은 다른 치료제와 병용해도 되고, 또한 혼합제로서 투여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의약은, 화합물 A 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약은, 화합물 A 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의약은 의약으로서 적절한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화합물 A 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추가로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한 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조성물들은, 치료용으로 허용할 수 있는 비이클을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경구제에는 통상적인 부형제, 활택제, 결합제, 붕괴제, 습윤제, 가소제, 코팅제 등의 비이클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용 액제는,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용액, 유탁액, 시럽, 엘릭시르 등의 형태이어도 되고, 혹은 사용전에 물 또는 다른 적당한 용매로 조제하는 드라이 시럽으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상기한 액제는, 현탁화제, 향료, 희석제 또는 유화제와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직장내 투여하는 경우에는 좌제로서 투여할 수 있다. 좌제는 카카오 버터, 라우린 우지, 마크로골, 글리세로젤라틴, 위텝솔 (Witepsol), 스테아르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적당한 물질을 기제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유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주사제는, 수성 또는 사용시 용해형 제형을 구성할 수 있는 주사용 증류수, 생리 식염수, 5% 포도당 용액,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해제 내지 용해 보조제, pH 조절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등의 제제 성분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의 개념을 별도의 표현으로 나타내는 경우, 「의약으로서의 사용을 위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의약이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활성화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은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활성제로서의 사용을 위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활성화에 의한 치료의 방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의약이 혈소판 증다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은 「혈소판 증다제로서의 사용을 위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혈소판 증다에 의한 치료 방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의약이 혈소판 감소증 치료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은 「혈소판 감소증 치료제로서의 사용을 위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혈소판 감소증의 치료 방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을 인간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그 투여량을 환자의 연령, 상태, 증상 등에 따라서 결정하는데 통상 성인의 경우, 경구제 또는 직장내 투여에서는 0.1 ∼ 1000 ㎎/person/day 정도, 주사제에서는 0.05 ㎎ ∼ 500 ㎎/person/day 정도이다. 이러한 수치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상태, 증상 등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또는 당해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을 사용하는 장면으로는, 트롬보포이에틴 리셉터 친화성 및 애고니스트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병태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즉 트롬보포이에틴 리셉터 활성화 작용이 유효한 질환의 예방, 치료,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장면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체적인 질환으로는, 혈소판수의 이상을 수반하는 혈액 질환을 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핵구에 의한 조혈 과정의 이상에서 기인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질환, 특히 혈소판 감소를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유용하다. 이러한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암 화학 요법 및 또는 암 방사선 요법에 따른 혈소판 감소, C 형 간염 등의 항바이러스 요법에 따른 혈소판 감소, 골수 이식, 수술, 및 중증 감염증에 의한 혈소판 감소, 또는 소화관 출혈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혈소판 감소를 수반하는 대표적인 질환인 재생 불량성 빈혈이나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골수 이형성 증후군, 간 질환, HIV 감염증, 트롬보포이에틴 결손증 등도 본 발명의 의약 적용 대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말초혈 줄기세포 방출 촉진제, 거핵구성 백혈병 세포의 분화 유도제, 혈소판 도너의 혈소판 증다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밖에, 혈관 내피 및 내피 전구 세포의 분화 증식에 의해 혈관 신생 요법에 사용하거나, 동맥 경화증,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말초 동맥폐색증 등을 예방·치료하거나 하는 장면이 상정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에 합성예, 시험예, 제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 LC 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MS 는 질량 스펙트럼 분석, LC/MS 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 LC/MS/MS 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탠덤형 질량 분석, TG 은 열중량 분석, Cmax 는 최고 혈장중 농도, Tmax 는 최고 혈장중 농도 도달 시간, AUC 는 혈장중 농도 시간 곡선하면적을 나타낸다.
한편, 기기 분석은 각각 다음의 장치 조건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1H-NMR 은 300 MHz 에서 측정하였다.
TG 는, TG8120 (리가쿠사 제조) 으로 측정하였다.
참고 합성예 1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은, 미국 공개공보 US2006094694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하였다.
참고 합성예 2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칼륨염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칼륨염은, 미국 공개공보 US2006094694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하였다.
합성예 1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에탄올아민염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10.25 g, 21.92 m㏖) 의 아세토니트릴 현탁액 (218 ㎖) 에, 에탄올아민 (1.47 g, 24.07 m㏖) 의 메탄올 용액 (24.0 ㎖)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50 분 교반시켰다. 생성된 석출물을 여과 채취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정, 감압하에 건조시킴으로써, 목적물 10.88 g (94 % 수율) 을 얻었다.
형상 : 담황색 고체
Figure pct00008
합성예 2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트로메타민염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9.4 g, 20.1 m㏖) 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100 ㎖) 에 트로메타민 (2.7 g, 22.3 m㏖) 수용액 (20 ㎖) 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아세토니트릴 (400 ㎖)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일 교반시켰다. 생성된 석출물을 여과 채취하고, 감압하에 건조시킴으로써, 목적물 11.3 g (95 % 수율) 을 얻었다.
형상 : 백색 ∼ 담황록색 고체
Figure pct00009
합성예 3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트로메타민염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4.7 g, 10.0 m㏖) 의 아세톤 (130 ㎖) 과 물 (5.2 ㎖) 의 혼합 용액에 트로메타민 (1.27 g, 10.5 m㏖) 수용액 (4.7 ㎖) 을 첨가하고, 50 ℃ 에서 30 분 교반시켰다. 용매를 1-프로판올로 치환시켜, 생성된 석출물을 여과 채취하고, 감압하에 건조시킴으로써, 목적물 5.14 g (91 % 수율) 을 얻었다.
형상 : 담황색 고체
합성예 4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콜린염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 (9.40 g, 20.11 m㏖) 의 아세토니트릴 현탁액 (300 ㎖) 에, 콜린의 3.5M 메탄올 용액 (6.11 ㎖, 21.39 m㏖)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40 분 교반시켰다. 종정 (약 10 ㎎) 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15 시간 교반시켰다. 생성된 석출물을 여과 채취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정, 감압하에 건조시킴으로써, 목적물 10.05 g (82.3 % 수율) 을 얻었다.
형상 : 담황색 고체
Figure pct00010
시험예 1
개 경구 흡수성 시험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리체 (화합물 A), 칼륨염 및 유기 아민염 (에탄올아민염, 트로메타민염) 그리고 4 급 암모늄염 (콜린염) 을, 비글견에게 캡슐을 사용하여 1 마리당 360 ㎎ 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후 0.5, 1, 2, 4, 6, 8 및 24 시간에 채혈을 실시하여 혈장 샘플을 얻었다. 그들 개의 혈장중 농도의 측정은 LC/MS/MS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얻어진 혈장중 농도를 사용하여, 최고 혈장중 농도 (Cmax), 최고 혈장중 농도 도달 시간 (Tmax) 및 혈장중 농도 시간 곡선하면적 (AUC) 을 산출하였다. 도 1 에 화합물 A, 칼륨염 및 각종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1 마리당 360 ㎎ 으로 개에게 경구 투여한 후의 혈장중 농도 추이를 나타낸다.
또 도 1 중에서, 화합물 A 는 * (Free Acid) 로, 칼륨염은 ◆ (Potassium Salt) 로, 콜린염은 □ (Choline Salt) 로, 에탄올아민은 ▲ (Ethanolamine Salt) 로, 그리고 트로메타민염은 ○ (Tromethamine Salt) 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화합물 A 나 국제 공개 제04/108683호 팜플렛에 예시가 있는 칼륨염과 비교하여 현저히 체내 동태 특성의 향상이 보였다. 즉, 최대 혈장중 농도로 비교하면, 칼륨염은 화합물 A 의 7.2 배였던데 반해,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칼륨염의 다시 1.7 내지 2.2 배로, 화합물 A 의 12.0 배 내지 15.7 배라는 분명한 향상이 보였다. 또한, 혈장중 농도 시간 곡선하면적으로 비교하면, 칼륨염은 화합물 A 의 6.3 배였던데 반해,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칼륨염의 다시 2.9 내지 4.4 배로, 화합물 A 의 18.4 내지 27.6 배라는 현저한 향상이 보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칼륨염에 대하여,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특히, 콜린염, 에탄올아민염, 트로메타민염) 에 있어서 이러한 체내 동태 특성의 현저한 향상이 보인 것은 당업자라고 해도 예상할 수 없는 효과로, 본 발명의 유용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생각된다.
이하의 시험예 2 ∼ 4 에서,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각각 에탄올아민염 (1), 트로메타민염 (2), 콜린염 (3) 및 칼륨염 (4) 의 온도, 습도, 광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 평가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유연 물질 증가 (%) 외에, 중량 변화 (%) 및 TG 감량 변화 (%) 를 적절히 선택하여 평가하였다.
유연 물질 증가 (%) ;
처리전 및 처리후의 각 시료를 다음 조건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각 자료의 유연 물질의 면적 백분율 (%) 의 총합을 산출하였다.
칼럼 : L-column ODS ((재)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 내경 4.6 ㎜, 길이250 ㎜)
검출기 : 자외 흡광 광도계 (측정 파장 ; 254 ㎚)
칼럼 온도 : 40 ℃
유량 : 1.0 ㎖/min
주입량 : 10 ㎕
이동상 : (a) 0.01M 포름산암모늄 완충액 (pH 3.0)
(b) 아세토니트릴
상기 (a) (b) 액을 사용하여, 그래디언트에 의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유연 물질의 초기값으로부터의 증가는 화합물이 분해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 때문에, 유연 물질 증가는 화합물의 안정성의 지표가 된다.
중량 변화 (%) ;
각 시료의 처리 전후의 시료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차로부터 증가율을 백분율 (%) 로 산출하였다. 처리 전후에서의 중량 변화의 크기는 화합물의 안정성의 지표가 된다.
TG 감량 변화 (%) ;
처리전 및 처리후의 각 시료를 약 5 ㎎ 계량하여 알루미늄팬에 담고, 개방 조건으로 TG 측정하여, 각 시료의 TG 에서의 감량률을 백분율 (%) 로 산출하였다.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장치 : TG8120 (리가쿠사 제조)
측정 범위 : 실온 ∼ 105 ℃
승온 속도 : 5 ℃/분
분위기 : 공기 50 ㎖/분
TG 감량의 초기값으로부터의 증가는, 흡습이나 화합물 분해 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 때문에, TG 감량 변화의 크기는 화합물의 안정성의 지표가 된다.
또, 각 샘플의 TG 감량 및 유연 물질의 초기값을 표 1 에 나타낸다.
(1) (2) (3) (4)
유연 물질 (%) 0.34 0.07 0.34 1.86
TG 감량 (%) 0.64 0.11 1.19 3.18
시험예 2
열안정 시험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각각 에탄올아민염 (1), 트로메타민염 (2), 콜린염 (3) 및 칼륨염 (4) 의 열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처리 조건)
시료를 갈색 유리제 용기에 넣고 뚜껑을 덮어, 60 ℃/습도 경과의 조건하에서 2 주간 방치하였다. 2 주 후에 시료를 꺼내어, 유연 물질 증가 (%) 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1) (2) (3) (4)
유연 물질 증가 0.16 -0.01 -0.01 2.46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본 열안정성 시험 조건하에서의 유연 물질의 증가가 칼륨염과 비교하여 각별히 낮아, 현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습도 안정 시험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각각 에탄올아민염 (1), 트로메타민염 (2), 콜린염 (3) 및 칼륨염 (4) 의 습도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처리 조건)
시료 약 1 g 을 투명한 유리제 용기에 넣고 개방한 채로, 25 ℃/90 %RH (상대 습도) 의 조건하에서 2 주간 방치하였다. 2 주 후에 시료를 꺼내어, 유연 물질 증가 (%), 중량 변화 (%) 및 TG 감량 변화 (%) 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1) (2) (3) (4)
유연 물질 증가 0.04 -0.03 -0.01 0.39
중량 변화 0.29 0.00 0.10 23.22
TG 감량 변화 -0.26 -0.13 0.66 7.86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본 습도 안정성 시험 조건하에서의 유연 물질 증가, 중량 변화 및 TG 감량 변화가 칼륨염과 비교하여 각별히 낮아, 현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칼륨염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매우 유용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시험예 4
광안정 시험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각각 에탄올아민염 (1), 트로메타민염 (2), 콜린염 (3) 및 칼륨염 (4) 의 광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처리 조건)
시료 약 1 g 을 투명한 유리제 용기에 넣고 개방한 채로, 25 ℃/60 %RH (상대 습도) 의 조건하에서, 광안정성 시험 장치로 200 W (watt)·hr·㎡ 의 광을 57 시간 노광하였다. 2 주 후에 시료를 꺼내어, 유연 물질 증가 (%), 중량 변화 (%) 및 TG 감량 변화 (%) 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1) (2) (3) (4)
유연 물질 증가 -0.01 0.01 0.00 0.27
중량 변화 0.23 0.01 0.17 9.36
TG 감량 변화 -0.25 -0.13 0.58 3.16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본 광안정성 시험 조건하에서의 유연 물질 증가, 중량 변화 및 TG 감량 변화가 칼륨염과 비교하여 각별히 낮아, 현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제제예 1
이하의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제를 제조한다.
성분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10 ㎎
유당 700 ㎎
콘스태치 274 ㎎
HPC-L 16 ㎎
1000 ㎎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유당을 60 메시의 체에 통과시킨다. 콘스태치를 120 메시의 체에 통과시킨다. 이들을 V 형 혼합기로 혼합한다. 혼합 분말에 저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L)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죽, 조립 (造粒) (압출 조립 공경 0.5 ∼ 1 ㎜) 한 후, 건조시킨다. 얻어진 건조 과립을 진동 체 (12/60 메시) 로 체에 통과시켜 과립제를 얻는다.
제제예 2
이하의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충전용 산제를 제조한다.
성분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10 ㎎
유당 79 ㎎
콘스태치 1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 ㎎
100 ㎎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유당을 60 메시의 체에 통과시킨다. 콘스태치를 120 메시의 체에 통과시킨다. 이들과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V 형 혼합기로 혼합한다. 10 배 산 (散) 100 ㎎ 을 5 호 하드젤라틴 캡슐에 충전한다.
제제예 3
이하의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충전용 과립제를 제조한다.
성분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15 ㎎
유당 90 ㎎
콘스태치 42 ㎎
HPC-L 3 ㎎
150 ㎎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유당을 60 메시의 체에 통과시킨다. 콘스태치를 120 메시의 체에 통과시킨다. 이들을 V 형 혼합기로 혼합한다. 혼합 분말에 저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L)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죽, 조립한 후, 건조시킨다. 얻어진 건조 과립을 진동체 (12/60 메시) 로 체에 통과시켜 정립 (整粒) 하고, 그 150 ㎎ 을 4 호 하드젤라틴 캡슐에 충전한다.
제제예 4
이하의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한다.
성분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10 ㎎
유당 90 ㎎
미결정 셀룰로오스 3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5 ㎎
CMC-Na 15 ㎎
150 ㎎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유당과 미결정 셀룰로오스, CMC-N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 을 60 메시의 체에 통과시켜, 혼합한다. 혼합 분말에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제제용 혼합 분말을 얻는다. 본 혼합 분말을 직접 타정하여 150 ㎎ 의 정제를 얻는다.
제제예 5
정맥 주사용 제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식 (Ⅰ) 로 나타내는 화합물 100 ㎎
포화지방산 글리세리드 1000 ㎖
상기 성분의 용액은 통상, 1 분 동안 1 ㎖ 의 속도로 환자에게 정맥내 투여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은, 트롬보포이에틴 리셉터 활성화제나 혈소판 증다제 등의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또, 2010년 11월 2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0-246632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요약서 및 도면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 명세서의 개시로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Claims (16)

  1.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수산기를 갖는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인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산기를 갖는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또는 콜린인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
  4.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에탄올아민염.
  5.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트로메타민염.
  6.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콜린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8. 제 7 항에 있어서,
    의약이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활성화제인 의약.
  9. 제 7 항에 있어서,
    의약이 혈소판 증다제인 의약.
  10.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과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2E)-2-{1-[5-(4-t-부틸페닐)-4-하이드록시-3-티에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노)카르보노티오일]아미노}벤조산의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0 ∼ 70 ℃ 에서 반응시켜, 생성된 유기 아민염 또는 4 급 암모늄염을 결정화시키는 제조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또는 콜린인 제조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아민이 에탄올아민이고, 용매가 아세토니트릴인 제조 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아민이 트로메타민이고, 용매가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며, 유기 아민염 생성 후 용매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결정화시키는 제조 방법.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아민이 트로메타민이고, 용매가 아세톤과 물의 혼합 용매이며, 유기 아민염 생성 후 용매를 1-프로판올로 치환하여 결정화시키는 제조 방법.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유기 아민 또는 4 급 암모늄염이 콜린이고, 용매가 아세토니트릴인 제조 방법.
KR1020137007379A 2010-11-02 2011-11-01 아미노벤조산 유도체의 유기 아민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0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6632 2010-11-02
JP2010246632 2010-11-02
PCT/JP2011/075218 WO2012060388A1 (ja) 2010-11-02 2011-11-01 アミノ安息香酸誘導体の有機アミン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317A true KR20130131317A (ko) 2013-12-03
KR101770014B1 KR101770014B1 (ko) 2017-08-21

Family

ID=4602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379A KR101770014B1 (ko) 2010-11-02 2011-11-01 아미노벤조산 유도체의 유기 아민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8946286B2 (ko)
EP (1) EP2636671B1 (ko)
JP (1) JP5892069B2 (ko)
KR (1) KR101770014B1 (ko)
CN (1) CN103153977B (ko)
AU (1) AU2011324406B2 (ko)
BR (1) BR112013010187A2 (ko)
CA (1) CA2816670C (ko)
DK (1) DK2636671T3 (ko)
ES (1) ES2532476T3 (ko)
HK (1) HK1183035A1 (ko)
HU (1) HUE024553T2 (ko)
IL (1) IL226079A (ko)
MX (1) MX2013004888A (ko)
MY (1) MY159258A (ko)
NZ (1) NZ609297A (ko)
PL (1) PL2636671T3 (ko)
PT (1) PT2636671E (ko)
RU (1) RU2569885C2 (ko)
SG (1) SG190072A1 (ko)
TW (1) TWI532709B (ko)
UA (1) UA109287C2 (ko)
WO (1) WO2012060388A1 (ko)
ZA (1) ZA201303198B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4759A (en) * 1955-01-06 1956-12-18 American Cyanamid Co Preparation of choline base and choline salts
DE4414879C2 (de) * 1994-04-28 1998-10-2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rbstabilem Dialkylaminoethanol
JP4454147B2 (ja) * 1997-10-20 2010-04-2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相乗作用の成長抑制混合物
JP4505871B2 (ja) * 1999-04-07 2010-07-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抗血栓性ムコ多糖処理した血流接触医療用部材、および該血流接触医療用部材の製造法
AU2002239718A1 (en) 2000-12-19 2002-07-01 Ligand Pharmaceuticals Thrombopoietin mimetics
EP1370252A4 (en) * 2001-03-01 2006-04-05 Smithkline Beecham Corp Thrombopoietin mimetics
CN100443472C (zh) 2003-06-06 2008-12-17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3-亚烷基肼基取代的杂芳基化合物以及含有其的药物
RU2358970C2 (ru) * 2003-06-06 2009-06-20 Ниссан Кемикал Индастриз, Лтд. 3-алкилиденгидразино-замещенные гетероарильные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аторов рецептора тромбопоэтина
UA82695C2 (uk) 2003-06-06 2008-05-12 Нисан Кемикал Индастриз, Лтд. Гетероароматичні сполуки як активатори рецептора тромбопоетину
GB0603522D0 (en) * 2006-02-22 2006-04-05 Avidex Ltd Kinase inhibition
EP2233561A4 (en) 2007-12-05 2013-01-16 Nissan Chemical Ind Ltd METHOD FOR AMPLIFYING HEMATOPOIETIC STRAIN CELL USING HETEROCYCLIC COMPOUND
JP2010246632A (ja) 2009-04-13 2010-11-04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6286B2 (en) 2015-02-03
DK2636671T3 (en) 2015-04-07
TWI532709B (zh) 2016-05-11
NZ609297A (en) 2014-12-24
US20130217894A1 (en) 2013-08-22
EP2636671A1 (en) 2013-09-11
CN103153977B (zh) 2014-10-08
AU2011324406B2 (en) 2015-01-15
ZA201303198B (en) 2014-07-30
JPWO2012060388A1 (ja) 2014-05-12
IL226079A (en) 2017-06-29
MX2013004888A (es) 2013-07-02
UA109287C2 (uk) 2015-08-10
IL226079A0 (en) 2013-06-27
EP2636671B1 (en) 2015-03-04
SG190072A1 (en) 2013-06-28
CA2816670C (en) 2018-04-24
AU2011324406A1 (en) 2013-05-02
PL2636671T3 (pl) 2015-08-31
CN103153977A (zh) 2013-06-12
TW201240949A (en) 2012-10-16
KR101770014B1 (ko) 2017-08-21
ES2532476T3 (es) 2015-03-27
PT2636671E (pt) 2015-04-14
RU2013125517A (ru) 2014-12-10
HK1183035A1 (en) 2013-12-13
JP5892069B2 (ja) 2016-03-23
WO2012060388A1 (ja) 2012-05-10
EP2636671A4 (en) 2014-04-30
BR112013010187A2 (pt) 2016-09-13
MY159258A (en) 2016-12-30
CA2816670A1 (en) 2012-05-10
RU2569885C2 (ru) 2015-12-10
HUE024553T2 (hu)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209B1 (ko) Sglt의 억제제로서 1-(베타-d-글루코피라노실)-2-티에닐-메틸벤젠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
US9309201B2 (en) Process for preparating ivabradine hydrochloride form IV and methods of treatment of disease using ivabradine hydrochloride form IV
CA2988393C (en) Solid state forms of sofosbuvir
JP7241807B2 (ja) 15β-ヒドロキシ-酢酸オサテロンの結晶多形
KR20170061616A (ko) 피마살탄의 신규 염
CN101684108A (zh) 2-(3-氰基-4-异丁氧基苯基)-4-甲基-5-噻唑甲酸及其组合物
KR20130131317A (ko) 아미노벤조산 유도체의 유기 아민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0422B1 (ko) 토파시티닙의 신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P3674306B1 (en) Thienopyridine derivatives containing an ethylenic este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20030085059A (ko) 결정성 이속사졸 유도체 및 그의 약학 제제
KR101121589B1 (ko) 안정성이 향상된 무정형 아데포비어 디피복실 고체분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076190A (zh) 一种含有难溶性噻吩并吡啶组合物的固体制剂及制备方法
ES2623788T3 (es) Sal de amina y cristales de la misma
KR100837843B1 (ko) 나테글리나이드 결정형,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
CN118005694A (zh) 一种环状核苷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776908A (zh) 异阿魏酸半哌嗪盐及其制备方法和药物组合物与用途
JPH027596B2 (ko)
JP2012111750A (ja) アミノ安息香酸誘導体の溶媒和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42307A (ko) 새로운 결정형을 갖는 아데포비어 디피복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