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079A -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079A
KR20130131079A KR1020120054868A KR20120054868A KR20130131079A KR 20130131079 A KR20130131079 A KR 20130131079A KR 1020120054868 A KR1020120054868 A KR 1020120054868A KR 20120054868 A KR20120054868 A KR 20120054868A KR 20130131079 A KR20130131079 A KR 20130131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resin composition
group
glass fi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식
유재원
최승석
남동진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12005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1079A/ko
Publication of KR2013013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 필러로서 선형 사다리형 구조를 가진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유리섬유의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 등을 향상시켜 다양한 광학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EPOXY RESIN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LASS FIBER}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 필러로서 사다리(ladder)형 구조를 갖는 선형의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유리섬유의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 등을 향상시켜 다양한 광학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LCD, PDP, OLED 및 태양전지와 같은 광·전자소자의 기판 소재는 기본적으로 유리를 모재로 사용하여 제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깨지기 쉽고, 유연성이 없으며, 상대적으로 비중이 매우 큰 물질이므로, 경량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소자의 기본재료인 기판소재를 고분자필름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분자 유연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들은 기존 제품에 비해 박막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된 형태로 유연한 특성을 가지게 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롤투롤(roll-to-roll) 등의 손쉬운 공정을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 또한 최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사이클로올레핀 공중합체(COC),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대표적인 고분자 필름과, 에폭시계열 유-무기 혼성체들을 복합체로 응용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기판재료로서 연구된 다양한 유무기 복합재료들은 기대에 미치는 성능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유연기판소재의 물리적 특성들은 크게 다음과 같다:
1. 제조된 필름이 화학적 안정성(용매 저항성) 가질 것.
2.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져, 금속배선의 형태변형을 최소화 할 것.
3. 증착 및 진공공정에 견딜 수 있는 높은 열분해온도와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것.
4. 디스플레이 소재에 적합한 높은 광학투명성을 보일 것.
이밖에 다양한 요구사항이 있지만,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들은 위와 같은 기본적인 요구사항조차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일본 특허공개 2010-100696호는 섬유강화 복합재료로써 실리카 미립자가 분산된 에폭시 수지를 제시하고 있지만, 강화섬유와의 광학적 일치성을 이루지 못하여 실제 적용하기 어려우며, 내열특성이 산업현장의 요구 물성에 미치지 못하여 실제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9-143974호는 고굴절 산화 무기물을 도입하여 복합재료의 광학적 일치(굴절률 조절)를 보여주고 있지만, 주재 수지의 물성 한계로 인해 투명하지 않으며, 명확히 수치화된 내열특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리섬유의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켜 유연기판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기 필러로서 사다리(ladder)형 구조를 갖는 선형의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고분자를 포함하여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강화 유리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에폭시 수지;
2)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사다리(ladder)형의 구조를 갖는 선형의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고분자;
3) 산무수물 경화제;
4) 경화촉진제; 및
5) 용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함침 후 경화시켜 제조된 강화 유리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기존의 나노입자 필러 대신 무기 필러로서 사다리형 구조를 갖는 선형의 실세스키옥산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투명하면서도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리섬유에 함침 후 경화시키면 유리섬유의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켜 선팽창계수가 작고 유연성이 우수하며 쉽게 깨지지 않아 가공성이 우수한 강화 유리섬유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나 태양전지용 기판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구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광투과도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TGA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DMA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유리섬유(glass-fiber)에 손쉽게 함침할 수 있는 고굴절 투명복합 수지로써,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 필러로서 사다리(ladder)형 구조를 갖는 선형의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성분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에폭시 수지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2관능 이상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에폭시 수지 등의 유기계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에폭시 수지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또는 테트라키스 글리시딜옥시페닐에탄, 트리스 글리시딜옥시페닐메탄,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같은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지환족 에폭시 수지의 예로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디글리시딜-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단독 또는 2가지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실세스퀴옥산 고분자
본 발명에서는, 무기입자 대신 무기 필러로서 실록산 구조를 주쇄로 하는 기능성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로는 사다리형 구조를 갖는 선형의 실세스퀴옥산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기로는 15,000-60,000인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다리형 구조를 갖는 선형의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높은 굴절률을 위해,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방향족기, 머캅토기, 에폭시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방향족기이고, R2는 머캅토기이며, R1:R2는 1:9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4:6일 수 있다.
또한, 산무수물 경화제 및 에폭시 수지와의 화학적 반응을 위해, R3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로 연결된 에폭시기 또는 글리시독실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R1+R2):R3는 4:6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6:4일 수 있다.
또한, n은 1,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상기 화학식 1의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는 유기관능기가 도입된 삼관능계 실란으로서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킨 후 연속적으로 축합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R4 4 -m-Qp-Si-(OR5)m
상기 화학식 2에서,
R4는 수소, 또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로 연결된 방향족, 에폭시기 또는 사이올기를 갖는 유기관능기이고;
R5는 C1 내지 C5의 알킬기, C3 내지 C1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12의 아릴기, -OCR', -CR'=N-O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이때 R'은 C1-6의 알킬기이고;
Q는 C1 내지 C6의 알킬렌기 또는 C1 내지 C6의 알킬렌옥시기이고;
m은 0 내지 4의 정수이며;
p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상기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의 제조시 반응조건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31904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 중량부인 것이 좋으며, 상기 함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굴절률이 낮아져, 유리섬유에 함침시 투과도가 떨어질 수 있다.
3) 산무수물 경화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기계 에폭시 수지와 무기계 실세스퀴옥산 필러의 적절한 혼합 경화 반응을 위해, 산무수물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무수물 경화제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수프탈산, 메틸 무수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테트라카르복실 무수산, 무수노보넨산, 메틸 무수노보넨산 등을 단독 또는 2가지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산무수물 경화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중량부일 수 있다.
4) 경화 촉진제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 경화제와의 가교반응, 실세스퀴옥산 고분자와 산무수물 경화제와의 가교반응 또는 실세스퀴옥산 고분자와 에폭시 수지와의 가교반응을 위해 경화촉진제로서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반응 촉매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에틸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부틸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벤질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의 인계 브롬화물, 디시안디아미드, 아디픽 하이드라자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경화촉진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5) 용매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 수지에 무기 필러로 사용되는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상온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상기 실세스퀴옥산 고분자 및 에폭시계 수지와 상용성이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n-메틸피롤리딘, 메틸셀루솔부, 에틸셀루솔부, 부틸셀루솔부 등의 셀루솔부류,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이미다졸,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서 용매의 함량은 상기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 에폭시 수지 및 산무수물 경화제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이 좋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고, 안정성이 떨어지며, 2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낮아 유리섬유의 함침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기능성 첨가제를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강화 유리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 유리섬유는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섬유에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유리섬유로는 필라멘트실(filament yarn), 유리 클로스, 부직포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강화 유리섬유는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므로, 유리섬유의 우수한 광투과성을 유지하면서도 물리적 특성이 향상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나 태양전지용 기판 등의 제조에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 실세스퀴옥산 고분자의 합성
냉각관과 교반기를 구비한 건조된 플라스크에, 증류수 15 중량부, 메탄올(순도 99.86 %) 85 중량부,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순도 25 %) 1 중량부,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다우코닝사, 상품명 DOW CORNING(R) Z-6040 SILANE) 60 중량부, 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상품명 KBM-803 SILANE) 60 중량부, 페닐트리메톡시실란(다우코닝사, 상품명 DOW CORNING(R) Z-6124 SILANE) 40 중량부를 넣고, 질소 분위기에서 서서히 8시간 동안 교반 후 디클로로메탄(순도 99.5%, 동양제철화학) 150 중량부를 투입하여 2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였다.
교반된 액을 증류수로 수차례 세정 및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메탄올로 최종 수세한 후, 상기 세정된 액체를 상온에서 20시간 이상 진공건조하여 목적하는 사다리형 실세스키옥산 중합체를 얻었다.
합성예 2 : 실세스퀴옥산 고분자의 합성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 시클로헥실에폭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다리형 실세스키옥산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1 :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제조
교반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500 ml 반응기에 에폭시 수지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100 중량부 및 다관능 에폭시 80 중량부를 넣고, 용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70 중량부를 첨가하여 100℃에서 녹인 후 교반 하였다. 이 후, 상온으로 천천히 식힌 후 무기필러로서 상기 합성예 1의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 70 중량부 및 노보넨 타입 산무수물 경화제 180 중량부를 첨가하고 다시 교반하여 충분히 섞일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가교 반응 촉진제로서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롬화물을 용매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첨가 한 다음 24시간 동안 추가 교반하여 목적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제조
에폭시 수지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대신 지환족 에폭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제조
에폭시 수지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대신 비스페놀 A형 에폭시 60 중량부 및 지환족 에폭시 40 중량부를 같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로서 시판되는 시클로헥실에폭시실세스키옥산 올리고머(Hybrid Plastics, 상품명 EP0408)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노보넨 타입 산무수물 대신 프탈산 타입 산무수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유기 수지 조성물의 제조
무기필러인 실세스키옥산 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유기 수지 조성물의 제조
무기필러인 실세스키옥산 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1) 가시 광투과율
바코팅법으로 유리 기판 상에 조성물을 100 ㎛ 두께로 코팅한 후, 150℃에서 2시간 및 200℃에서 1시간 동안 열경화시켜 도막을 형성하고, 분광 광도계 Cary-4000(Agilent)을 이용하여 400 nm 투과율을 측정 하였다.
(2) 유리전이온도
금속 플레이트 위에 조성물을 500 ㎛ 두께로 코팅하여 열경화한 다음, 필름으로 떼어내고 이것을 10 ㎜×30 ㎜×0.5 ㎜(W×H×D)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고, 점탄성 분석기 SS6100(Seiko)을 이용하여 유리전이 온도를 측정 하였다.
광투과율(%) 유리전이온도(℃)
실시예 1 95 227
실시예 2 98 240
실시예 3 96 230
실시예 4 95 217
실시예 5 96 221
비교예 1 91 164
비교예 2 96 18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무기 필러로서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상기 실세스퀴옥산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광투과율 및 유리전이 온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유리섬유에 함침할 경우, 유리섬유의 투명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에폭시 수지;
2)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사다리(ladder)형 구조를 갖는 선형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 고분자;
3) 산무수물 경화제;
4) 경화촉진제; 및
5) 용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 에폭시 수지;
2)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 20 내지 100 중량부;
3)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무수물 경화제 50 내지 120 중량부;
4)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촉진제 0.01 내지 10 중량부; 및
5) 상기 에폭시 수지, 실세스퀴옥산 고분자 및 산무수물 경화제의 총중량 100 중량부 대하여 용매 20 내지 200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가 2관능 이상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2관능 이상의 지환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 방향족기, 머캅토기, 에폭시기이고;
n은 1,000 내지 100,000 이다.
제4항에 있어서,
R1은 방향족기이고, R2는 머캅토기이며, R3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로 연결된 에폭시기 또는 글리시독실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R1:R2는 1:9 내지 9:1이고, (R1+R2):R3가 4:6 내지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R1:R2는 4:6이고, (R1+R2):R3가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실세스퀴옥산 고분자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킨 후 연속적으로 축합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R4 4 -m-Qp-Si-(OR5)m

상기 화학식 2에서,
R4는 수소, 또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로 연결된 방향족, 에폭시기 또는 사이올기를 갖는 유기관능기이고;
R5는 C1 내지 C5의 알킬기, C3 내지 C1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12의 아릴기, -OCR', -CR'=N-O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이때 R'은 C1-6의 알킬기이고;
Q는 C1 내지 C6의 알킬렌기 또는 C1 내지 C6의 알킬렌옥시기이고;
m은 0 내지 4의 정수이며;
p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 경화제가 무수프탈산, 메틸 무수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테트라카르복실 무수산, 무수노보넨산, 메틸 무수노보넨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진제가 에틸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부틸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벤질트리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디시안디아미드, 아디픽 하이드라자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n-메틸피롤리딘, 메틸셀루솔부, 에틸셀루솔부, 부틸셀루솔부,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이미다졸 및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기능성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제1항에 따른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함침 후 경화시켜 제조된 강화 유리섬유.
제13항에 있어서,
투과율이 적어도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섬유.
제13항에 있어서,
투습도가 2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섬유.
제13항의 강화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120054868A 2012-05-23 2012-05-23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130131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68A KR20130131079A (ko) 2012-05-23 2012-05-23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68A KR20130131079A (ko) 2012-05-23 2012-05-23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79A true KR20130131079A (ko) 2013-12-03

Family

ID=4998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868A KR20130131079A (ko) 2012-05-23 2012-05-23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1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216A (ko) 2015-08-07 2017-02-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리카 나노 입자 파우더 혼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회로기판 제조 방법과 그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 제조용 실리카 나노 입자 파우더 혼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200114042A (ko) 2019-03-27 2020-10-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에폭시 수지 블렌드용 프리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216A (ko) 2015-08-07 2017-02-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리카 나노 입자 파우더 혼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회로기판 제조 방법과 그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 제조용 실리카 나노 입자 파우더 혼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200114042A (ko) 2019-03-27 2020-10-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에폭시 수지 블렌드용 프리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51B1 (ko) 투명 복합체 조성물
JP5599628B2 (ja) 透明フィルム
KR101395705B1 (ko) 유리 섬유 복합화 실세스퀴옥산 성형체와 그 제조 방법
JP5395677B2 (ja) エポキシ重合性組成物、それを含むシール材組成物
KR101806152B1 (ko) 신규 열래디컬 발생제, 그 제조방법, 액정 실링제 및 액정 표시셀
CN103649159B (zh) 环氧聚合性组合物及有机el器件
KR102170818B1 (ko) 열 용융-압출 성형이 가능한 실세스퀴옥산, 이를 이용한 고투명 및 고내열 플라스틱 투명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5595867B2 (ja) 透明フィルム
CN102775397A (zh) 氧杂环丁烷环状环氧化合物、制法、复合片和显示器基板
KR101526003B1 (ko) 복합시트,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426330B2 (ja) 透明基板/ガラス板/透明基板複合フィルムとその用途
WO2011149018A1 (ja) 透明フィルム
KR20130131079A (ko) 유리섬유 강화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JP2011105888A (ja) 透明フィルム
TWI656028B (zh) 表面強化透明基板及其製造方法
JP2012219155A (ja) 透明樹脂複合材
JP5654936B2 (ja) 透明複合体
KR20140073363A (ko) 복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168945A (ja) 透明複合体組成物
JP2007091964A (ja) ガラスクロス複合化シリコーン系硬化性樹脂シート
JP2007091963A (ja) ガラスクロス複合化シリコーン系硬化性樹脂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5732609B2 (ja) 透明フィルム
JP2011203696A (ja) 耐擦傷性フィルム
JP2011068761A (ja) 透明複合シート
WO2012111186A1 (ja) 透明樹脂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