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830A -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830A
KR20130129830A KR1020130006835A KR20130006835A KR20130129830A KR 20130129830 A KR20130129830 A KR 20130129830A KR 1020130006835 A KR1020130006835 A KR 1020130006835A KR 20130006835 A KR20130006835 A KR 20130006835A KR 20130129830 A KR20130129830 A KR 2013012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p
cylinder
fastening tool
sprinkler head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111B1 (ko
Inventor
야스아키 고이와
Original Assignee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보호캡을 부착한 상태에서 체결공구와 결합할 수 있고 또한 통부재의 내주부에 도료의 부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한다.
(해결수단)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와 그 외측에 설치되는 통부재(2)를 구비한 스프링클러에 부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호하는 보호캡(4)에 대하여, 저면과 원통을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서, 통부재(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2c)로 돌출되는 혀 모양부(45)와, 통부재(2)의 끝부와 결합되는 외주부(42)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와,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P)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공구(R)가 삽입되는 체결공구 삽입부를 구비하고, 원통을 내통(41)과 외통(42)의 2중통으로 형성하고, 외주부를 외통(42)으로 형성하고, 헤드 수용부를 내통(41)의 내측에 형성하고 그리고 내통(41)과 외통(42)을 접속하는 연결부(46)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PROTECTING CAP AND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소화용(消火用)의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를 외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캡(保護cap)과, 상기 보호캡이 장착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건물 내의 천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고, 일단(一端)에 급수원(給水源)으로 이어진 배관과 접속 가능한 노즐(nozzle)을 구비하고, 타단(他端)에는 감열작동부(感熱作動部)가 설치되어 있다. 평상 시에 있어서 감열작동부는 노즐을 폐지하는 밸브체(valve體)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일례로서, 천장면이나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를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로 덮어서 숨긴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concealed型 sprinkler head)가 있다. 컨실드 헤드는 의장성(意匠性)이 우수한 스프링클러 헤드로서 사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급수배관(給水配管)과 접속되는 본체의 외부에 통부재(筒部材)가 설치되어 있고, 통부재의 내부에 체결공구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구의 결합부는, 보호캡을 통부재에 부착한 상태에서 체결공구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보호캡을 떼어내지 않고 체결공구와 결합할 수 있고, 보호캡이 부착되어 있는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체결공구를 결합시켜서 급수배관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었다.
국제공개 제2011/058382호
그러나 상기의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헤드를 급수배관에 접속한 후에 천장면을 스프레이 도장(spray 塗裝)하면,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통부재의 내부에 도료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천장면의 도장 후에 통부재에 커버 플레이트 유닛을 결합시킬 때에, 커버 플레이트 유닛의 통부가 통부재의 내부와 서로 스쳐서 도료가 벗겨져 떨어지게 되어, 커버 플레이트 유닛의 부착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여 작업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100)가 삽입되는 구멍(H)을 천장(C)에 형성하였을 때에, 구멍(H)을 지나치게 크게 형성하여 버렸을 경우에 구멍(H)의 가장자리를 퍼티(putty)(103)로 메우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 통부재(102)의 내경보다 내측에까지 퍼티(103)가 삽입되면, 퍼티(103)가 굳어진 후에는 보호캡(104)을 뽑아내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보호캡(104)을 뽑아낸 후에 통부재(102)의 내부에 결합시키는 커버 플레이트 유닛(105)도 통부재(102)의 내부에 부착된 퍼티(103)에 의하여 부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하여 보호캡의 외주면을 통부재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렇게 하여도 통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구의 결합부에 체결공구를 결합시킬 수 없게 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보호캡의 외주면을 통부재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호캡과 통부재의 결합상태가 느슨하면 진동이나 물건이 가볍게 부딪히는 정도에서 보호캡이 통부재로부터 탈락하여 버려서 통부재의 내주부에 도료가 부착되거나 스프링클러 헤드를 외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결합상태가 지나치게 심하면 보호캡을 떼어낼 때에 작업자의 부담이 증가하거나 작업에 시간을 요하는 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보호캡을 부착한 상태에서 체결공구와 결합할 수 있고 또한 통부재의 내주부에 도료의 부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보호캡 및 상기 보호캡이 부착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한다.
즉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sprinkler head 本體)와 그 외측에 설치되는 통부재(筒部材)를 구비한 스프링클러에 부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호하는 보호캡(保護cap)으로서, 저면(底面)과 원통(圓筒)을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서, 통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로 돌출되는 혀 모양부와, 통부재의 끝부와 결합하는 외주부(外周部)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head 收容部)와,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給水配管)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공구가 삽입되는 체결공구 삽입부(締結工具 揷入部)를 구비하고, 원통을 내통(內筒)과 외통(外筒)의 2중통(二重筒)으로 형성하고, 외주부를 외통으로 형성하고, 헤드 수용부를 내통의 내측에 형성하고, 그리고 내통과 외통을 접속하는 연결부(連結部)를 설치한 보호캡이다.
통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로 혀 모양부를 돌출시킴으로써 통부재에 대하여 보호캡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한 상태로 배치할 수 있고, 통부재의 끝부에 외주부를 결합시켰기 때문에 보호캡을 통부재에 부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저면과 원통을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그 내부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수용부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수용함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외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공구가 삽입되는 체결공구 삽입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보호캡을 통부재에 부착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에 부착하거나 또는 떼어낼 수 있다.
원통을 내통과 외통의 2중통으로 형성하고, 외주부를 외통으로 형성하고, 헤드 수용부를 내통의 내측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외통에서 통부재와 결합하여 내통 내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수용할 수 있다.
또 연결부에 의하여 내통과 외통을 일체화 할 수 있고, 보호캡을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에 착탈할 때에는 내통과 외통을 한 번의 조작에 의하여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캡은 통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내부에 삽입되고, 보호캡의 외통은 통부재의 내주 전체 면을 덮음으로써 보호캡의 외통이 통부재의 내주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구성이다. 연결부가 설치된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외통은 내통측으로 수축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축상태의 외통은 통부재의 내주부를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외통은 통부재의 내주부를 가압하여 지지하여 보호캡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연결부를 공구의 결합부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체결공구는 연결부를 통하여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에 설치된 체결공구 결합부와 결합시킬 수 있다. 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로부터 보호캡을 떼어내는 공구를 연결부에 결합시켜서 보호캡을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 등에 가설치(假設置)한 후에 그 주위의 천장벽을 도장하는 경우에, 도료가 통부재의 내주부에 부착되지 않도록 통부재의 내주부를 보호캡의 외주부와 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체결공구 삽입부로부터 침입한 도료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에 부착되지 않도록 체결공구 삽입부와 헤드 수용부를 내통에 의하여 구분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 보호캡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까지 관통 가능한 관통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그 관통공간에 체결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는 관통공간과 연결부가 존재하고 있고, 관통공간에 의하여 보호캡을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에 부착할 때나 떼어낼 때에 연결부가 휘어짐과 아울러 외통이 내통측으로 탄성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보호캡이 변형되기 용이하여 부착·제거작업이 쉽게 된다. 또한 이 공간에 삽입되는 체결공구는 내통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와는 칸막이가 되기 때문에, 체결공구가 스프링클러 헤드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캡이 부착된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 등에 가설치하였을 때에 천장벽과의 사이에 발생한 간극을 퍼티(putty)로 메우는 경우가 있다. 이 퍼티가 붙은 보호캡은 퍼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떼어낼 필요가 있지만, 혀 모양부가 통부재의 개구로 돌출된 상태에서 혀 모양부와 그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간극만큼만 보호캡을 회전시킬 수 있어, 퍼티를 손상시키지 않고 보호캡을 떼어내는 것이 쉬워진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보호캡에는,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 또는 통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보호캡을 장착하기 위한 혀 모양부가 설치되어 있고, 혀 모양부와 체결공구 삽입부가 보호캡을 구성하는 원통의 가상중심축(假想中心軸)과 평행한 하나의 직선 상에 배치되어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작업자가 혀 모양부를 표적으로 하여 그 연장 상에 설치된 체결공구 삽입부에 체결공구를 삽입시킬 수 있어, 체결공구의 삽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연결부는 보호캡의 가상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외통과 내통의 사이에 삽입된 체결공구를 연결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 또는 통부재의 체결공구 결합부에 체결공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연결부는 보호캡의 가상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연결부에 공구를 걸어서 보호캡을 통부재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외통의 하단측에는 통부재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확장부를 설치할 수 있다. 통부재의 하단위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부를 외통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천장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삽입하는 구멍을 형성할 때에 작업자가 확장부의 외경을 기준으로 하여 천장에 형성되는 구멍의 치수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의 하부를 천장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프링클러 헤드가 삽입되는 천장의 구멍의 가장자리를 퍼티로 메울 때에, 확장부에 의하여 통부재의 내부에 퍼티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확장부의 내측에 체결공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하는 홈을 형성한 구조이다. 확장부의 내측에 체결공구와의 결합부로서 홈을 형성하고, 체결공구에는 상기 홈과 결합 가능한 돌기를 형성하여 두면, 보호캡과 체결공구를 소정의 위치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또 결합부를 표적으로 하여 체결공구를 보호캡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헤드 수용부의 저면에 형성된 파지부(把持部)의 끝부를 확장부의 내측에 설치된 체결공구와의 결합부인 홈의 근방에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 확장부 내측의 체결공구와의 결합부가 되는 홈이 보이기 어려울 때에는, 파지부의 끝부를 표적으로 하여 확장부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체결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저면의 끝에 일부가 내통에까지 미치는 물빼기 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물빼기 구멍이 입체적으로 됨으로써 물 제거성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헤드 수용부의 저면을 물빼기 구멍을 향하여 하측으로 구배(勾配)가 되는 경사면(傾斜面)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경사면에 의하여 내통 내의 물을 물빼기 구멍으로 인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물 제거성이 양호가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보호캡의 외주부(외통)에 구멍 또는 노치(notch)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면 보호캡의 외주부에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보호캡의 외주부가 내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게 되어, 통부재와 보호캡의 착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통에는 상하방향으로 절단된 노치를 형성하고, 내통의 그 절단된 끝에 연결부를 설치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도 체결공구 삽입부와 헤드 수용부를 구획(區劃)할 수 있다.
혀 모양부는 보호캡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변형허용부(變形許容部)를 구비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혀 모양부를 변형 또는 분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캡을 회전시킬 수 있어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보호캡에는 체결공구 삽입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와 통부재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통부재에 보호캡을 부착한 상태에서, 체결공구 삽입부에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에 부착하거나 또는 제거가 가능하다.
연결부에는 캡 제거공구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캡 제거공구를 사용하여 보호캡을 통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체결공구 삽입부와 헤드 수용부의 사이를 막는 내통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내통에 의하여 체결공구 삽입부로부터 헤드 수용부로 도료 등의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통을 형성함으로써 체결공구를 체결공구 삽입부에 삽입하였을 때에 내통을 따라 체결공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저면에 체결공구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면, 하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체결공구를 삽입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와 그 외측에 설치되는 통부재를 구비한 스프링클러에 부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호하는 보호캡으로서, 저면과 원통을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서, 통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로 돌출되는 혀 모양부와, 통부재의 끝부와 결합되는 외주부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와,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공구가 삽입되는 체결공구 삽입부를 구비하고, 체결공구 삽입부에 그 체결공구 삽입부를 닫는 뚜껑을 설치한 보호캡을 제공한다.
체결공구 삽입부에 그 체결공구 삽입부를 닫는 뚜껑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체결공구 삽입부로부터 헤드 수용부로 도료 등의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은 체결공구 삽입부에 체결공구를 삽입하고 있을 때에는 열리고, 체결공구를 제거하면 닫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뚜껑은 체결공구를 구멍에 삽입하면, 탄성변형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는 체결공구 삽입부를 슬릿으로 형성하고, 슬릿의 주위를 뚜껑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뚜껑은 체결공구를 체결공구 삽입부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하여 이동되어 뚜껑이 열리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혀 모양부는 보호캡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변형허용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보호캡의 측면에 퍼티가 고착되어 있는 경우에 보호캡을 회전시켜도 위치결정 결합부가 변형됨으로써 보호캡을 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퍼티를 손상시키지 않고 보호캡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캡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헤드를 상기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에 보호캡을 설치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급수배관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천장면의 도장 시에 통부재의 내주부에 도료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보호캡을 부착한 상태에서 체결공구와 결합할 수 있고 또한 통부재의 내주부에 도료의 부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보호캡 및 상기 보호캡이 부착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제1실시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 및 보호캡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스프링클러 헤드에 커버 플레이트 유닛을 부착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X-X 단면도(커버 플레이트 유닛은 제외한다)이다.
도4는, 도1의 Y-Y 단면도(통부재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5는,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캡, 커버 플레이트 유닛의 분해단면도이다.
도6은, 보호캡의 사시도(외통부의 일부를 제외한 도면)이다.
도7은, 보호캡의 저면도이다.
도8은, 보호캡과 체결공구의 측면도이다.
도9는, 보호캡 제거공구의 사시도이다.
도10에 있어서, 도10(a)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변형예1의 평면도, 도10(b)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변형예1의 측면도이다.
도1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와 보호캡의 단면도이다.
도12에 있어서, 도12(a)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변형예2의 평면도, 도12(b)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변형예2의 측면도이다.
도13은, 혀 모양부의 변형예이다.
도14는, 제2실시형태에서의 스프링클러 헤드 및 보호캡의 단면도이다.
도15에 있어서, 도15(a)는 제2실시형태에서의 보호캡의 단면도, 도15(b)는 도15(a)의 저면도이다.
도16에 있어서, 도16(a)는 제2실시형태에서의 변형예1의 보호캡의 단면도, 도16(b)는 도16(a)의 저면도이다.
도17에 있어서, 도17(a)는 제2실시형태에서의 변형예2의 보호캡의 단면도, 도17(b)는 도17(a)의 저면도, 도17(c)는 뚜껑이 열렸을 때의 저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18에 있어서, 도18(a)는 제3실시형태에서의 보호캡과 스프링클러 헤드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18(b)는 제3실시형태에서의 보호캡의 측면도이다.
제1실시형태(도1∼도9)
제1실시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SH)는, WO2011/125169호에 기재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부분만을 설명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1에 나타내는 스프링클러 헤드(SH)는,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sprinkler head本體)(1), 통부재(筒部材)(2), 커버 플레이트 유닛(cover plate unit)(3), 보호캡(保護cap)(4)으로 구성된다.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는, 통 모양을 하고 있고 내부에는 급수배관(給水配管)(P)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방출하는 노즐(nozzle)(11)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11)의 일단측(一端側)에는 급수배관(P)과 접속되는 수나사(1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他端側)의 끝면은 노즐(11)을 폐쇄하는 밸브체(valve體)(13)가 접촉되는 밸브시트(valve seat)(14)로 되어 있다.
밸브체(13)는 원반 형상을 하고 있고, 일면측(一面側)은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11)의 밸브시트(14)에 접촉된다. 반대측의 면은 컴프레션 스크루(compression screw)(15)에 의하여 밸브시트(14)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컴프레션 스크루(15)는 판 모양의 새들(saddle)(16)의 암나사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새들(16)의 하부에는 감열분해부(感熱分解部)(5)가 설치되어 있고,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열분해부(5)의 레버(lever)(51)의 끝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의 외주부로부터 노즐(11)의 방출방향으로 연장된 통 모양부의 내측에 형성된 단차부(段差部)(17)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새들(16)에 컴프레션 스크루(15)를 나사결합하여 컴프레션 스크루(15)의 선단을 밸브체(13)측으로 이동시키면, 밸브체(13)가 밸브시트(14)측으로 가압됨과 아울러, 새들(16)의 하방에 배치된 감열분해부(5)의 레버(51)의 끝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의 단차부(17)측으로 가압된다. 밸브체(13)에 의하여 노즐(11)이 폐쇄됨과 아울러 감열분해부(5)에도 하중이 부여된다.
감열분해부(5)의 내부에는 저융점합금(低融點合金)(52)이 구비되어 있고, 저융점합금(52)이 화재의 열에 의하여 용융되면 감열분해부(5)는 분해작동되어, 레버(51) 등의 구성부품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의 외부로 방출된다. 또 감열분해부(5)가 분해되면 새들(16) 및 컴프레션 스크루(15), 밸브체(13)는 탈락되어 노즐(11)이 개방된다. 감열분해부(5)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이며 또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7-294545호 공보에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노즐(11)의 방수방향(放水方向)의 연장 상에는 판 모양의 디플렉터(deflector)(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플렉터(6)는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의 외부에 형성된 돌기(18)의 구멍에 핀(61)을 삽입시키고, 상기 핀(61)의 하단측에 디플렉터(6)를 고정하여 설치하고, 핀(61)의 상단측에 형성된 돌출부(62)에 의하여 돌기(18)의 상면에 돌출부(6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디플렉터(6)는 노즐(11)로부터 방출된 물을 충돌시켜서 사방으로 비산(飛散)시키는 작용을 구비한다.
통부재(2)는 통 모양을 하고 있고 내부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가 수용된다. 통부재(2)의 일단측에는 평면(21)이 형성되어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나사(12)의 밑부분에 형성된 다각형부(多角形部)(19)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21A)을 평면(21)에 형성하여, 다각형부(19)와 구멍(21A)을 결합한다. 상기 구멍(21A)의 가장자리에는 다각형부(19)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는 연장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2B)는 다각형부(19)에 삽입된 후에 연장부(2B)의 선단을 구멍(21A)의 내측을 향하여 구부려서, 통부재(2)를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통부재(2)의 평면(21)으로부터 측면(22)에 걸쳐서 복수의 개구(開口)(2C)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C)는 동일한 형상이고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개구(2C)는 평면(21)의 가장자리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구(2C)가 6군데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21)에는 후술하는 체결공구(R)와의 결합부로서 서포트 베이스(support base)(23)가 설치되어 있다. 서포트 베이스(23)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 모양이고 중심에는 상기 구멍(2A)과 동일한 형상을 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다각형부(19)에 삽입된다. 서포트 베이스(23)의 외형은 개구(2C)의 가장자리를 따른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 베이스(23)에는 평면(21)측으로 돌출되는 돌기(23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23C)는 이웃하는 개구(2C)의 사이에 형성된 대들보부(2F)에 형성된 구멍과 결합되어, 통부재(2)와 서포트 베이스(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포트 베이스(23)는 평면(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평면(21)의 외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서포트 베이스(23)를 끼움으로써 후술하는 체결공구(R)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헤드(SH)를 급수배관에 부착·제거할 때에 통부재(2)에 과부하가 가해져서, 체결공구 결합부인 개구(2C)(대들보부(2F)의 가장자리)가 변형·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베이스(23)에 의하여 체결공구 결합부의 보강을 함으로써 통부재(2)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 베이스(23)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개구(2C)의 가장자리를 구부려서 가장자리 부분을 세워서 설치하거나 상기 세워서 설치된 부분을 개구(2C) 사이의 대들보부(2F)측으로 구부리면 개구(2C)의 가장자리 부분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체결공구(R)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헤드(SH)를 급수배관에 부착·제거할 때에 대들보부(2F)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부재(2)의 구멍(2A) 근방으로부터 평면(21)의 가장자리를 향하는 보강용의 리브(rib)를 대들보부(2F)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서포트 베이스(23)를 제외하고 구성하는 경우에는, 개구(2C)의 가장자리가 보호캡(4)의 결합부가 된다.
통부재(2)의 측면(22)에는, 리테이너(retainer)(31)와의 접속수단으로서 나선홈(2D)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홈(2D)은 통부재(2)를 얇은 두께의 부재로 함으로써 전조가공(轉造加工)이 가능하게 된다. 나선홈(2D)은 리테이너(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3A)와 나사결합되어 커버 플레이트 유닛(3)의 높이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부재(2)의 하부는 개구(2E)로 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 유닛(3)은 리테이너(31)와 커버 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리테이너(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부재(2)와 접속된다. 리테이너(31)는 통 형상을 하고 있고 외주면에는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된 돌기(3A)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31)의 하단에는 돌출부(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3B)로부터 복수의 다리(3C)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리(3C)의 선단은 돌출부(3B)와 대략 평행하게 구부러져 있어, 커버 플레이트(32)와의 접속면(接續面)(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면(3d)과 커버 플레이트(32)의 사이에는 저융점합금(33)이 삽입되어 있고, 저융점합금(33)에 의하여 커버 플레이트(32)와 접속면(3d)이 접합되어 있다.
저융점합금(33)은 화재 시의 열에 의하여 용융되어 커버 플레이트(32)를 릴리스(release)하기 때문에 저융점합금(33)의 용융온도는, 감열분해부(5)에 구비된 저융점합금(52)이 용융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선정한다.
커버 플레이트(32)는 원반 모양의 박판(薄板)이며, 가장자리가 리테이너(31)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커버 플레이트(32)의 리테이너(31)와 접속되는 면과 반대의 면(실내측에서 보이는 면)은, 천장 보드(C)의 색과 대략 동일한 색으로 장식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32)의 재질은 저융점합금(33)과의 접합성이 좋은 구리나 동합금이 적합하다. 또 커버 플레이트(32)와 리테이너(31)의 돌출부(3B)와의 사이에 판스프링(板spring)(34) 등의 탄성체를 설치하면, 화재 시에 저융점합금(33)이 용융되었을 때에 커버 플레이트(32)의 낙하를 촉진할 수 있다.
보호캡(4)은 저면과 원통을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원통은 내통(內筒)(41)과, 그 내통(41)의 외측에 배치된 외통(外筒)(42)으로 구성된다. 내통(41)의 내측은 「헤드 수용부」이며, 내부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 및 디플렉터(6)를 수용한다. 내통(41)과 외통(42) 사이의 공간은 「체결공구 삽입부」이며, 내통(41)은 헤드 수용부와 체결공구 삽입부를 구분하는 「칸막이」로서 기능을 한다.
내통(41)의 저면(41A)에는 물빼기 구멍(43)이 형성되어 있고, 물빼기 구멍(43)은 내통(41)의 측면(41B)으로부터 저면(41A)까지를 절단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물의 표면장력(表面張力)을 억제하여 물 제거성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물 제거성을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도5에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면(41A)의 형상을 물빼기 구멍(43)을 향하여 하측을 향하여 구배(勾配)가 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물빼기 구멍(43)을 저면(41A)의 가장자리부에 형성함으로써 물빼기 구멍(43)의 근방에 형성된 후술하는 확장부(擴張部)(47)에 의하여 천장(C)을 도장할 때에 물빼기 구멍(43) 내에 도료가 침입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저면(41A)의 외부에는, 보호캡(4)을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에 착탈조작이 가능한 파지부(把持部)(44)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44)는 세갈래 형상을 하고 있고, 그 하단은 외통(42)의 하단보다 돌출되어 있다.
저면(41A)과 반대측의 끝에는 내통(4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혀 모양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혀 모양부(45)는 통부재(2)의 개구(2C) 내에 삽입되고, 외통(42)의 끝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개구(2C)마다 혀 모양부(45)가 삽입되어 있고, 그 형상은 판 모양이고 평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이다. 혀 모양부(45)는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에 대하여 보호캡(4)의 장착위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결합부」의 작용을 구비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혀 모양부(45, 45)의 사이에는 내통(41)과 외통(42)을 접속하는 연결부(連結部)(46)가 형성되어 있고, 혀 모양부(45)를 통부재(2)의 개구(2C)로부터 돌출시켜서 삽입하면,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46)와 대들보부(2F), 서포트 베이스(23)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또한 혀 모양부(45)를 표적으로 하여 보호캡(4)의 하단으로부터 체결공구(R)의 선단(R1)을 혀 모양부(45)의 외면을 따르도록 삽입시키면, 선단(R1)은 연결부(46)의 측면(46A)을 통하여 서포트 베이스(23)에 결합된다.
연결부(46)는 측면(46A)과 저면(46B)을 구비하고 있고, 이 측면(46A)과 저면(46B)에 의하여 내통(41)과 외통(42)이 연결된다. 도5, 도6에 있어서 측면(46A)은 하나의 저면(46B)에 대하여 1군데밖에 형성되어 않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46A)과 대향(對向)하는 측에도 측면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의 연결부(46)의 측면(46A)과 저면(46B)은, 후술하는 체결공구(R)를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의 체결공구 결합부인 서포트 베이스(23)까지 인도하는 가이드부(guide部)의 작용을 구비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는 연결부(46, 46)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되어 있고 또한 서포트 베이스(23)에 결합할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내통(41)의 저면(41A)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는, 연결부의 저면(46B)에 접촉되면 그 이상 안쪽으로 삽입할 수 없고 또 체결공구(R)를 회전시켜도 보호캡(4)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체결공구(R)와 보호캡(4)의 결합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하여 체결공구(R)를 보호캡(4)의 안쪽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체결공구(R)가 측면(46A) 근방의 관통공간(貫通空間)(46C)으로 인도된다. 측면(46A)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가 접촉된 상태에서 개구(2C)의 가장자리 및 서포트 베이스(23)와 결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와 체결공구(R)를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공구(R)를 이웃한 연결부(46, 46) 사이의 관통공간(46C)으로 인도하기 쉽도록 저면(46A)과 저면(46B)의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46)는 내통(41)과 외통(42)을 접속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고, 내통(41)과 외통(42) 사이의 공간을 모두 메우도록 연결부(46)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내통(41)에 대하여 외통(42)이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통부재(2)로부터 보호캡(4)을 떼어내는 것이 어렵게 된다. 내통(41)과 외통(42)의 사이에 보호캡(4)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까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간(46C)이 형성되도록 연결부(46)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면, 이 관통공간(46C)에 의하여 외통(42)이 내통(41)측으로 변형되기 쉽게 되고, 이에 따라 외통(42)이 내통측으로 유연하게 변형됨으로써 통부재(2)로부터 보호캡(4)을 떼어내는 것이 쉽게 된다.
관통공간(46C)과 상기의 혀 모양부(45)는 보호캡(4)의 중심축과 평행한 직선(L)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혀 모양부(45)를 표적으로 하여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보호캡(4)의 저면(41A)측으로부터 내통(41)과 외통(42)의 사이에 삽입시키면, 선단부(R1)가 관통공간(46C)을 통과하여 혀 모양부(45)를 따라 배치되어, 선단부(R1)가 서포트 베이스(23)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세트된다.
외통(42)의 외경은, 통부재(2)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일하거나 아니면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통부재(2)와 결합할 수 있다. 외통(42)을 통부재(2)와 결합시킴으로써 통부재(2)의 내주부에 천장 도장 시의 도료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외통(42)은 보호캡(4)이 통부재(2)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때에 통부재(2)의 내주측의 나선홈(2D)을 덮도록 구성한다.
외통(42)의 하부에는, 내통(41)의 저면(41A) 부근에 통부재(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아니면 그것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확장부(47)가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47)와 외통(42)의 경계는 계단(47A)으로 되어 있고, 계단(47A)에는 통부재(2)의 하단이 접촉된다. 이에 따라 천장(C)에 형성된 스프링클러 헤드(SH)가 삽입되는 구멍(H)의 가장자리를 퍼티(putty)로 메울 때에는, 확장부(47)의 외주부와 구멍(H)의 내주부 사이가 퍼티로 메워지게 되어 통부재(2)의 내부에 퍼티의 침입이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47) 및 체결공구(R)에는,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보호캡(4)에 삽입할 때의 마킹이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확장부(47)의 내측에 홈(47B)을 형성하였다. 홈(47B)은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보다 약간 저면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R2)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홈(47B)은 보호캡(4)의 저면으로부터 사람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홈(47B)은 저면(41A)측으로부터 보아서 세갈래 형상을 한 파지부(44)의 선단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위가 어두운 장소에서 홈(47B)이 보이기 어려운 경우에는, 파지부(44)의 선단위치를 표적으로 하여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홈(47B)에 삽입할 수 있다. 또 확장부(47)의 하단 내측에는, 체결공구(R)를 확장부(47)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쉽도록 경사면(47C)이 형성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체결공구(R)의 선단부(R1)와 돌기(R2)는 직선(L) 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홈(47B)과 이웃한 연결부(46, 46) 사이의 관통공간(46C), 혀 모양부(45)도 직선(L) 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홈(47B)을 표적으로 하여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내통(41)과 외통(42)의 사이에 삽입시키면, 선단부(R1)는 연결부(46, 46) 사이의 관통공간(46C)에 삽입됨과 아울러 선단부(R1)는 혀 모양부(45)를 따라 배치되고 돌기(R2)는 홈(47B) 내에 수용된다. 또 돌기(R2)의 선단부(R1)측의 끝이 확장부(47)의 계단(47A)의 내측에 결합되어, 보호캡(4)에 대하여 체결공구(R)의 삽입 가능한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반대로 돌기(R2)가 확장부(47)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체결공구(R)의 선단(R1)이 보호캡(4)의 연결부(46, 46)의 사이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어, 작업자가 보호캡(4)과 체결공구(R)와의 결합상태가 옳은 것인가 아닌가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확장부(47)의 외주면에는, 천장 하면의 위치에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SH)의 부착범위를 나타내는 마킹이 형성되어 있다. 마킹은 3개의 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가운데 선이 부착기준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상하의 선이 부착범위의 한계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확장부(47)의 하단은 내통(41)의 하단(저면(41A))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확장부(47)의 외주면 주위를 퍼티로 메우는 경우에 확장부(47)에 의하여 저면(41A)에 퍼티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퍼티가 마른 후에 저면(41A)에 설치된 파지부(44)를 잡고 보호캡(4)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SH)의 설치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SH)는 통부재(2)에 보호캡(4)을 결합한 상태로 되어 있고, 통부재(2)와 커버 플레이트 유닛(3)은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우선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SH)를 급수배관(P)에 접속한다. 보호캡(4)이 통부재(2)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공구(R)를 보호캡(4)의 내통(41)과 외통(42)의 사이에 삽입시킨다. 이 때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보호캡(4)의 홈(47B)의 위치에 맞추어서 삽입시키면 선단부(R1)가 연결부(46, 46)의 사이로 인도되어,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홈(47B)을 확인하지 않고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보호캡(4)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부(46)의 저면(46B)과 체결공구(R)의 선단부(R1)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체결공구(R)를 회전시킴으로써 선단부(R1)를 연결부(46, 46)의 사이로 인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 베이스(23)와 체결공구(R)의 선단부(R1)가 결합되고, 체결공구(R)를 회전시켜서 급수배관(P)에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의 수나사(12)를 나사결합한다.
상기에 있어서는, 보호캡(4)에 체결공구(R)를 삽입시킨 후에 급수배관(P)에 수나사(12)를 나사결합시켰지만, 이와는 별도로 처음에는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SH)를 손으로 잡고 급수배관(P)에 수나사(12)를 나사결합시키고, 어느 정도 나사결합되면 보호캡(4)에 체결공구(R)를 삽입시켜서 더 나사결합시킬 수도 있다.
다음의 공정으로서 천장 보드(C)가 설치된다. 천장 보드(C)에 있어서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SH)가 설치되는 장소에는 구멍(H)이 형성되고, 천장 보드(C)를 설치한 후에는 보호캡(4)의 확장부(47)가 천장 보드(C)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보호캡(4)을 떼어내고 커버 플레이트 유닛(3)을 통부재(2)에 설치하지만, 그 전에 천장 보드(C)에 스프링클러 헤드(SH)를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H)을 형성한다. 구멍(H)은 천장 보드(C)를 천장 바탕재에 고정하기 전에 형성되기 때문에, 천장 보드(C)에 형성된 구멍(H)이 천장의 이면측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SH)의 위치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는 천장 보드(C)의 적절한 위치에 구멍을 뚫고, 먼저 형성된 구멍은 퍼티로 메운다. 그 후에 천장 보드(C)의 표면을 스프레이 도장한다. 이 때에 외통(42)에 의하여 통부재(2)의 내주부가 덮여 있기 때문에, 통부재(2)의 내주부에 도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캡(4)을 벗길 때에는, 보호캡(4)의 파지부(44)를 잡고 아래로 뽑아내거나 확장부(47)를 잡고 아래로 뽑아내서 벗길 수 있다. 이 이외에 캡 제거공구(80)를 사용하여 보호캡(4)을 아래로 뽑아낼 수 있다. 이 때에 상기의 퍼티가 보호캡(4)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보호캡(4)을 뽑아내기 어렵고, 억지로 뽑아내려고 하면 퍼티가 벗겨져서 막힌 구멍이 다시 노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캡 제거공구(80)를 사용하여 보호캡(4)을 벗김으로써 퍼티를 손상시키지 않고 보호캡(4)을 스프링클러 헤드(SH)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 모양을 한 캡 제거공구(80)의 선단에 형성된 폴(pawl)(81)은 보호캡(4)의 내통(41)과 외통(42)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에 폴(81)을 확장부(47) 내부의 홈(47B)을 따르도록 내통(41)과 외통(42)의 사이에 삽입시킨다. 폴(81)은 2개의 연결부(46, 46) 사이의 관통공간(46C)에 삽입되고, 캡 제거공구(80)를 회전시킴으로써 폴(81)이 저면(46B)과 결합된다. 폴(81)이 저면(46B)과 결합된 상태에서 캡 제거공구(80)를 회전시키고, 회전방향을 교대로 바꾸면서 하방으로 조금씩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보호캡(4)의 측면으로부터 퍼티가 벗겨진다. 여기에서 캡 제거공구(80)를 하방으로 빼면, 보호캡(4)을 통부재(2)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다음의 공정으로서, 커버 플레이트 유닛(3)을 통부재(2)에 설치한다. 리테이너(3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3A)를 통부재(2)의 나선홈(2D)에 나사결합시켜서, 리테이너(31)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는 돌출부(3B)가 천장 보드(C)에 접촉되는 위치가 되도록 조정을 한다. 이에 따라 컨실드형 스프링클러 헤드(SH)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에 대해서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18062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7-2845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1(도10)
도10에 나타내는 보호캡은, 제1실시형태의 보호캡(4)의 외통(42)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는 노치(notch)(K)를 형성한 것이다. 노치(K)에 의하여 외통(42)은 내통(41)측 및 외통(42)의 외주측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다.
외통(42)의 외경 치수를 통부재(2)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면 보호캡(4)과 통부재(2)가 결합할 때에 있어서, 외통(42)이 통부재(2)의 내주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결합됨과 아울러, 노치(K)에 의하여 외통(42)이 내통(41)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압력으로 외통(42)의 외주부가 통부재(2)의 내주부를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캡(4)을 통부재(2)에 반복하여 착탈하더라도 보호캡(4)의 외통(42)이 통부재(2)의 내주부를 가압하는 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부재(2) 하단의 개구(2E)는 확장부(47)에 의하여 막혀 있기 때문에 통부재(2)의 내부에 천장을 도장할 때에 도료가 부착되지 않는다.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2(도12)
도12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2는, 밑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모양을 한 보호캡(70)이고, 내통(41)의 내부가 스프링클러 헤드(SH)의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 및 디플렉터(6)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71)이다. 내통(41)에는 상하방향으로 절단된 노치가 있고, 내통(41)의 그 절단된 끝에 연결부(46)가 설치되고, 외주부인 외통(4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통(41)과 연결부(46)와 외통(42)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체결공구 삽입부(72)를 구성한다.
저면(71A)에는 물빼기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통(41)의 상측단에는 외통(42)의 상측단보다 돌출된 혀 모양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캡(70)의 외주부(74)는 통부재(2)의 내부에 결합된다. 이 때에 혀 모양부(45)는 개구(2C)에 삽입된다.
체결공구 삽입부(72)에 체결공구(R)를 삽입하면,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는 연결부(46)를 통하여 서포트 베이스(23)와 결합되어, 체결공구(R)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3(도13)
도13은 혀 모양부(75)의 변형예로서, 도13(a)∼도13(c)에 나타내는 각 혀 모양부(75a∼75c)는 보호캡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는 변형허용부(變形許容部)를 구비한다. 도13(a)는 혀 모양부(75a)와 외주부(74)의 경계에 슬릿(slit)(76)을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보호캡(70)을 회전시키면, 혀 모양부(75a)가 구부러져서 변형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도13(b)는 혀 모양부(75b)와 외주부(74)의 경계에 홈(77)을 형성한 것으로서 보호캡(70)을 회전시키면, 혀 모양부(75b)가 홈(77)을 따라 외주부(74)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도13(c)는 혀 모양부(75c)의 윤곽을 따른 개구(78)를 형성한 것으로서, 혀 모양부(75c)가 변형되기 쉬운 구성으로 하였다. 혀 모양부(75c)가 가로방향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혀 모양부(75a∼75c)의 변형에 의하여 보호캡(70)을 통부재(2)로부터 벗길 때에 보호캡(7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1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하면, 보호캡(70)을 회전시켜서 혀 모양부(75a∼75c)를 변형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보호캡(70)을 일방향(一方向)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도14, 도15)
제2실시형태의 보호캡(90)은, 보호캡(90)의 체결공구 삽입부의 입구에 개폐할 수 있는 뚜껑(94)을 설치하여 보호캡의 내부에 대한 도료의 침입을 방지한 것이다. 한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구성이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의 스프링클러 헤드(SH2)의 구성은 보호캡(90)을 제외하고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2실시형태의 보호캡(90)은, 밑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모양을 하고 있고 외주부(91)는 통부재(2)의 내부에 결합된다.
보호캡(90)의 내부는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 및 디플렉터(6)가 수용되는 헤드 수용부(92)로 되어 있고, 헤드 수용부(92)의 하단측에 설치된 저면(92A)에는 「체결공구 삽입부」인 구멍(93)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구멍(93)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삽입시켜서, 선단부(R1)를 헤드 수용부(92) 내에 유입하여 체결공구(R)와의 결합부인 서포트 베이스(23)와 결합시킴으로써 체결공구(R)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뚜껑(94)은 구멍(93)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보통은 구멍(93)을 폐쇄하고 있다. 뚜껑(94)은 평판 모양을 하고 있고, 헤드 수용부(9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뚜껑(94)은 중심부에 돌기부(9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94A)는 헤드 수용부(92)의 저면(92A)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92B)에 삽입되어 고정설치되어 있다. 뚜껑(94)은 고무와 같은 탄성을 구비하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뚜껑(94)의 형상은, 뚜껑(94)의 가장자리부에 구멍(93)이 배치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멍(93)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가 삽입되면, 뚜껑(94)은 선단부(R1)에 의하여 도14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변형되어,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는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1)의 서포트 베이스(23)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구멍(93)으로부터 뽑아내면, 뚜껑(94)은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평판 형상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구멍(93)은 막힌다.
보호캡(90)의 저면(92A)과 반대측의 끝에는 외주부(91)의 끝보다 연장되어 형성된 혀 모양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혀 모양부(45)와 구멍(93)은 보호캡의 가상중심축(CL)과 평행한 직선 상에 배치된다. 보호캡(90)을 통부재(2)의 내부에 결합시킬 때에는 혀 모양부(45)를 통부재(2)의 개구(2C)에 삽입시킨다. 그 후에 구멍(93)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삽입시키면 선단부(R1)가 혀 모양부(45)를 따라 배치되어, 선단부(R1)를 개구(2C)의 가장자리부를 따른 형상을 한 서포트 베이스(23)와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보호캡(90)에서는 제1실시형태의 보호캡(4)의 물빼기 구멍(43)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보호캡(90)에서는 구멍(93)과 뚜껑(94)의 사이에 간극(95)이 있고, 뚜껑(94)이 구멍(93)을 막은 상태이더라도 간극(95)으로부터 헤드 수용부(92) 내의 물이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구멍(93)은 물빼기 구멍의 작용을 구비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1(도16)
도16에 나타내는 보호캡(90A)은, 저면(92A)에 형성된 구멍(93)의 내측에 개폐 가능한 뚜껑(96)을 구비한다. 뚜껑(96)은 2개의 판 모양부(96A, 96B)로 이루어지고, 평상 시에 있어서 판 모양부(96A, 96B)의 선단은 접촉된 상태에 있고, 구멍(93)은 닫혀 있다. 이 때에 판 모양부(96A, 96B)는 기울어진 상태로 서로 지탱하고 있고, 그 밑부분의 부근에는 간극(95)을 구비한다. 도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면(92A)측에서 보면 판 모양부(96A, 96B)의 가장자리는 H형의 슬릿으로 보인다.
체결공구(R)의 선단부(R1)가 구멍(93)에 삽입되면, 판 모양부(96A, 96B)는 탄성변형되고 그 선단은 접촉된 상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되어 구멍(93)이 열린다.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구멍(93)으로부터 뽑아내면, 판 모양부(96A, 96B)는 원래의 선단이 접촉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어 구멍(93)은 닫힌다.
상기에 대신하여 보호캡(90A)의 전체 또는 저면(92A)만을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재료로 형성하고, 구멍(93)을 슬릿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릿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삽입시키면 슬릿의 주위가 탄성변형되어 슬릿이 열려서, 서포트 베이스(23)의 가장자리에 체결공구(R)를 결합할 수 있다.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슬릿으로부터 뽑아냄으로써 열린 슬릿을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 슬릿의 구체적 형상으로서는 H형, I형, Y형, O형, 원호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2(도17)
도17에 나타내는 보호캡(90B)은, 구멍(93)을 막는 뚜껑(98)을 보호캡(90B)의 가상중심축(CL)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멍(93)이 개방된다. 뚜껑(98)은 판스프링(99)에 의하여 보호캡(90B)의 중심부에 설치된 베이스(B)와 접속되어 있다.
뚜껑(98)에는 경사면(98A)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98A)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구멍(93)의 방향으로 체결공구(R)를 이동시키면, 경사면(98A)의 작용에 의하여 뚜껑(98)이 보호캡(90B)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멍(93)이 열려서, 구멍(93)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 때에 판스프링(99)은 구부러진 상태로 되어 있어, 뚜껑(98)을 구멍(93)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구멍(93)으로부터 뽑아내면, 판스프링(99)의 탄성력에 의하여 뚜껑(98)은 구멍(93)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되어 구멍(93)은 닫힌다.
상기에 있어서는, 뚜껑(98)이 보호캡(90B)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구멍(93)을 개방하는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뚜껑(98)의 측면(98B)에 체결공구(R)의 선단부(R1)를 접촉시켜서 체결공구(R)를 회전시킴으로써 뚜껑(98)을 보호캡(90B)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구멍(93)을 개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3실시형태(도18)
제3실시형태의 보호캡(110)은, 제1실시형태의 보호캡(4)과 비교하여 혀 모양부(111)를 약간 작게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의 혀 모양부(111)는, 통부재(2)의 개구(2c)로 돌출된 상태에서 혀 모양부(111)와 개구(2c)의 가장자리의 사이에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간극(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극(112)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혀 모양부(111)가 개구(2C)에 삽입된 상태일 때에 보호캡(4)을 하방을 향하도록 통부재(2)의 내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방향을 교대로 바꾸면서 조금씩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혀 모양부(111)는 대략 삼각형이기 때문에, 보호캡(110)을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혀 모양부(111)의 가장자리와 개구(2C)의 가장자리의 간극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원주방향의 이동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장을 시공할 때에 있어서 보호캡의 측면에 퍼티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보호캡(110)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통부재(2)로부터 뽑아냄으로써 퍼티를 손상시키지 않고 보호캡(110)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보호캡(110)의 측면에 부착된 퍼티를 보호캡(110)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벗길 때에, 혀 모양부(111)는 대략 삼각형이기 때문에, 최초에는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이동량이 적고, 회전방향을 교대로 바꾸면서 하방으로 조금씩 이동시킴으로써 원주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어, 조금씩 원주방향으로의 이동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퍼티가 손상되지 않도록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부의 형상, 구성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외의 공지의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일부의 구성을 교체하거나 채용하거나 삭제하거나 할 수 있고, 이러한 변경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
2 : 통부재
3 : 커버 플레이트 유닛
4, 70, 90, 110 : 보호캡
5 : 감열분해부
6 : 디플렉터
11 : 노즐
41 : 내통
42 : 외통
43 : 물빼기 구멍
44 : 파지부
45, 111 : 혀 모양부
46 : 연결부
46C : 관통공간
47 : 확장부
K : 노치
71, 92 : 헤드 수용부
72 : 체결공구 삽입부
93 : 구멍
94, 96, 98 : 뚜껑
95 : 간극
99 : 판스프링
112 : 간극

Claims (28)

  1.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sprinkler head 本體)와 그 외측에 설치되는 통부재(筒部材)를 구비한 스프링클러에 부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호하는 보호캡(保護cap)으로서,
    저면(底面)과 원통(圓筒)을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서, 통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로 돌출되는 혀 모양부와, 통부재의 끝부와 결합하는 외주부(外周部)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head 收容部)와,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給水配管)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공구가 삽입되는 체결공구 삽입부(締結工具 揷入部)를 구비하고,
    원통을 내통(內筒)과 외통(外筒)의 2중통(二重筒)으로 형성하고, 외주부를 외통으로 형성하고, 헤드 수용부를 내통의 내측에 형성하고, 그리고 내통과 외통을 접속하는 연결부(連結部)를 설치한 보호캡.
  2. 제1항에 있어서,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 체결공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관통공간(貫通空間)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캡.
  3. 제1항에 있어서,
    혀 모양부가 상기 개구로 돌출된 상태에서 혀 모양부와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을 구비하는 보호캡.
  4. 제1항에 있어서,
    혀 모양부와 체결공구 삽입부가 원통의 가상중심축(假想中心軸)과 평행한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보호캡.
  5.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를 원통의 가상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보호캡.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를 원통의 가상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하는 보호캡.
  7. 제1항에 있어서,
    통부재의 하단위치(下端位置)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부(擴張部)를 외통에 구비하는 보호캡.
  8. 제7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내측에, 체결공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하는 홈을 형성한 보호캡.
  9. 제8항에 있어서,
    저면에 파지부(把持部)를 형성하고, 그 끝부를 확장부의 내측에 형성한 홈의 근방에 배치하는 보호캡.
  10. 제7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하단은 내통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호캡.
  11. 제1항에 있어서,
    저면의 끝에 일부가 내통에까지 미치는 물빼기 구멍을 형성한 보호캡.
  12. 제11항에 있어서,
    저면을 물빼기 구멍을 향하여 하측으로 구배(勾配)가 되는 경사면(傾斜面)으로 한 보호캡.
  13. 제1항에 있어서,
    외통에 구멍 또는 노치(notch)를 구비하는 보호캡.
  14. 제1항에 있어서,
    내통에는 상하방향으로 절단된 노치를 형성하고, 내통의 그 절단된 끝에 상기 연결부를 설치하는 보호캡.
  15. 제1항에 있어서,
    혀 모양부는 보호캡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변형허용부(變形許容部)를 구비하는 보호캡.
  16.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클러에 부착된 상태에서 체결공구 삽입부에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에 부착, 제거가 가능한 보호캡.
  17. 제6항에 있어서,
    연결부에 캡 제거공구를 접속할 수 있는 보호캡.
  18.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와 그 외측에 설치되는 통부재를 구비한 스프링클러에 부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호하는 보호캡으로서,
    저면과 원통을 구비하고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서, 통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로 돌출되는 혀 모양부와, 통부재의 끝부와 결합하는 외주부와,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와, 스프링클러를 급수배관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공구가 삽입되는 체결공구 삽입부를 구비하고,
    체결공구 삽입부에 그 체결공구 삽입부를 닫는 뚜껑을 설치한 보호캡.
  19. 제18항에 있어서,
    뚜껑은, 체결공구 삽입부에 체결공구를 삽입하고 있을 때에는 열리고, 체결공구를 제거할 때에는 닫히는 것인 보호캡.
  20. 제18항에 있어서,
    저면에 체결공구 삽입부를 구비하는 보호캡.
  21. 제18항에 있어서,
    뚜껑은, 체결공구를 체결공구 삽입부에 삽입하면 탄성변형하는 것인 보호캡.
  22. 제18항에 있어서,
    체결공구 삽입부를 확대할 수 있는 슬릿(slit)으로 형성한 보호캡.
  23. 제18항에 있어서,
    체결공구를 체결공구 삽입부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하여 뚜껑이 이동하여 체결공구 삽입부를 여는 보호캡.
  24. 제18항에 있어서,
    혀 모양부는 보호캡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변형 가능한 변형허용부를 구비하는 보호캡.
  25. 제18항에 있어서,
    통부재의 하단위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확장부를 원통에 구비하는 보호캡.
  26. 제25항에 있어서,
    확장부의 하단은,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호캡.
  27.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와 그 외측에 설치되는 통부재를 구비하고, 제1항의 보호캡을 부착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28. 스프링클러 헤드 본체와 그 외측에 설치되는 통부재를 구비하고, 제18항의 보호캡을 부착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30006835A 2012-05-21 2013-01-22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52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5326 2012-05-21
JP2012115326A JP5852506B2 (ja) 2012-05-21 2012-05-21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およ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830A true KR20130129830A (ko) 2013-11-29
KR102052111B1 KR102052111B1 (ko) 2019-12-04

Family

ID=4958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835A KR102052111B1 (ko) 2012-05-21 2013-01-22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63343B2 (ko)
JP (1) JP5852506B2 (ko)
KR (1) KR102052111B1 (ko)
CN (1) CN103418104B (ko)
TW (1) TWI5834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7691B2 (en) * 2013-04-29 2017-06-13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mpany Sprinkler fitting bracket
JP6316111B2 (ja) 2013-09-26 2018-04-25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及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104324472A (zh) * 2014-11-13 2015-02-04 河南海力特机电制造有限公司 隐蔽型细水雾喷头
TWI551326B (zh) * 2015-05-20 2016-10-01 Protector Sprinkler Ind Co Ltd Hidden cover of the head
US10376724B2 (en) * 2015-07-27 2019-08-13 Tyco Fire Products Lp Protective cover device for a fire protection instrument
TWM524728U (zh) * 2015-12-02 2016-07-01 Protector Safety Ind Co 隱藏式撒水頭的飾蓋固定結構
US10940348B2 (en) * 2016-05-10 2021-03-09 The Viking Corporation Push on/pull off protective cap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s
WO2018235334A1 (ja) 2017-06-23 2018-12-27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感熱体用プロテクター
US11660482B2 (en) 2018-10-02 2023-05-30 Tyco Fire Products Lp Sprinkler assembly with button
JP7290494B2 (ja) * 2019-07-16 2023-06-13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7309495B2 (ja) * 2019-07-16 2023-07-18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219333063U (zh) 2020-03-03 2023-07-14 米尼麦克斯维京研发有限公司 喷洒器组件和用于防火喷洒器组件的保护帽
WO2023283142A2 (en) * 2021-07-07 2023-01-12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Protected fire protection sprinkler and tool assemblies
US11484904B1 (en) 2021-07-23 2022-11-01 Stewart G. Sports Landscape sprinkler head access device
JP1729812S (ja) 2021-12-20 2022-11-15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5U (ja) * 1992-06-24 1994-01-1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の操作具
JP2001161852A (ja) * 1999-12-10 2001-06-19 Hochiki Corp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WO2011058382A1 (en) 2009-11-16 2011-05-19 Groveley Detection Limited Detector heating and/or cooling
WO2011125921A1 (ja) * 2010-04-06 2011-10-13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388A (en) * 1976-06-21 1977-03-29 Central Sprinkler Corporation Concealed sprinkler assembly
US4706759A (en) 1986-07-11 1987-11-17 Grasseschi John J Sprinkler assembly
US4880063A (en) * 1987-04-13 1989-11-14 The Reliable Automatic Sprinkler Co., Inc. Adjustable concealed sprinkler
US5372203A (en) 1993-04-30 1994-12-13 Star Sprinkler Corporation Concealed sprinkler head
JPH08755A (ja) * 1994-06-22 1996-01-09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のキャップ
US6484809B1 (en) * 2000-05-09 2002-11-26 Innatech, Llc Molded sprinkler cov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210034A (ja) * 2001-01-16 2002-07-30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US20040134670A1 (en) * 2002-12-27 2004-07-15 Orr Shawn Gregory Sprinkler cover
US7055614B1 (en) 2005-03-10 2006-06-06 Victaulic Company Torque plate for sprinkler head
WO2010016092A1 (ja) * 2008-08-06 2010-02-11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CN102170941A (zh) * 2008-09-30 2011-08-31 千住灭火器株式会社 喷洒头
US9114267B2 (en) * 2009-03-17 2015-08-25 The Viking Corporation Concealed residential sprinkler
US8176987B2 (en) * 2009-03-31 2012-05-15 The Viking Corporation Self-aligning cover spring for a concealed sprinkler
KR101680547B1 (ko) * 2010-04-06 2016-11-29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5U (ja) * 1992-06-24 1994-01-1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の操作具
JP2001161852A (ja) * 1999-12-10 2001-06-19 Hochiki Corp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WO2011058382A1 (en) 2009-11-16 2011-05-19 Groveley Detection Limited Detector heating and/or cooling
WO2011125921A1 (ja) * 2010-04-06 2011-10-13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3343B2 (en) 2016-10-11
JP5852506B2 (ja) 2016-02-03
TW201347806A (zh) 2013-12-01
JP2013240468A (ja) 2013-12-05
CN103418104A (zh) 2013-12-04
US20130306334A1 (en) 2013-11-21
TWI583428B (zh) 2017-05-21
KR102052111B1 (ko) 2019-12-04
CN103418104B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111B1 (ko) 보호캡 및 스프링클러 헤드
CN104511114B (zh) 喷洒头的保护罩以及喷洒头
KR101828362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용 체결공구
KR102329045B1 (ko) 방화 스프링클러용 밀어넣음/당김 보호 캡
KR20110060906A (ko) 스프링클러 헤드
CA2642448A1 (en) Cleaning implement
US8376060B2 (en) Adjustable escutcheon assembly for a sprinkler
JP2007146728A (ja) ターミナルカバー及びターミナル保護構造
JP4829319B2 (ja) カートリッジの施錠及び駆動用部材を有する航空機用フィルタ装置
US20080105714A1 (en) Spray can and pressure releasing structure thereof
JP4663052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JP6152304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およ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WO2010016092A1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JP2007326203A (ja) ファスナー打ち込み機のプロテクタ構造
JP447132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JP2005352801A (ja) 火災感知器用着脱器
NZ529294A (en) Wall-plug inserting device with boot covering and engaging guide and foot of device
JP3925585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カバー
JP200221003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JP6541955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
JP5901067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および該保護キャップ取外し工具
KR200262165Y1 (ko) 샤워용 노즐의 탈부착장치
JP6475970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取外し工具
JP2008057558A (ja) 板材状部品の縁部保護構造
JP200914237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