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237A - 벨트 풀리 댐퍼 - Google Patents

벨트 풀리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237A
KR20130129237A KR1020137017802A KR20137017802A KR20130129237A KR 20130129237 A KR20130129237 A KR 20130129237A KR 1020137017802 A KR1020137017802 A KR 1020137017802A KR 20137017802 A KR20137017802 A KR 20137017802A KR 20130129237 A KR20130129237 A KR 2013012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input flange
damper
drive shaft
torsiona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르트무트 멘데
코르넬리아 바르텔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2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 F16F15/1208Bearing arrangements
    • F16F15/1209Bearing arrangements comprising sliding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4Elastomeric springs
    • F16F15/126Elastomeric springs consisting of at least one annular element surrounding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35Elastomeric springs, i.e. made of plastic or rubber
    • F16F15/1442Elastomeric springs, i.e. made of plastic or rubber with a singl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샤프트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벨트 풀리 댐퍼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벨트 풀리 댐퍼는, 트랙션 수단, 특히 트랙션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풀리와, 구동 샤프트와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플랜지를 포함하며, 입력 플랜지는 구동 샤프트와 입력 플랜지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 특히 개구부를 포함한다. 추가로, 비틀림 진동 댐퍼, 특히 비틀림 진동용 디커플러가 입력 플랜지를 통해 유도되는 토크를 벨트 풀리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벨트 풀리와 입력 플랜지 사이에는 입력 플랜지에서 벨트 풀리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베어링은 반경 방향에서 입력 플랜지의 고정 수단과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허브를 절약할 수 있고 그에 상응하게 벨트 풀리 댐퍼를 소형으로 장착 공간을 절감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단순화된 구성과 낮은 제조 비용이 가능해질 수 있게 하는 벨트 풀리 댐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벨트 풀리 댐퍼{BELT PULLEY DAMPFER}
본 발명은, 적은 크기의 비틀림 진동으로 벨트 풀리를 구동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의 비틀림 진동이 완충되거나 소멸될 수 있도록 하는 벨트 풀리 댐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벨트 풀리 댐퍼는, 벨트 풀리를 통해, 보조 유닛들, 예컨대 자동차의 다이나모(dynamo)를 구동하도록 하기 위해, 자동차의 크랭크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
DE 10 2009 039 989 A1호로부터는 구동 샤프트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벨트 풀리 댐퍼가 공지되었으며, 이 벨트 풀리 댐퍼의 경우 구동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는 허브가 비틀림 진동 댐퍼를 통해 벨트 풀리와 연결된다. 벨트 풀리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구동 샤프트와 벨트 풀리 댐퍼의 입력 플랜지를 나사 체결하기 위해 입력 플랜지에 장착된다.
이와 관련하여, 벨트 풀리 댐퍼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낮추고자 하는 요구는 지속적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단순한 구성과 낮은 제조 비용이 가능해질 수 있게 하는 벨트 풀리 댐퍼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제시된다.
구동 샤프트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풀리 댐퍼는 트랙션 수단, 특히 트랙션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풀리와, 구동 샤프트와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플랜지를 포함하며, 입력 플랜지는 구동 샤프트와 입력 플랜지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 특히 개구부를 포함한다. 추가로, 비틀림 진동 댐퍼, 특히 비틀림 진동용 디커플러가 입력 플랜지를 통해 유도되는 토크를 벨트 풀리로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벨트 풀리와 입력 플랜지 사이에는 입력 플랜지에서 벨트 풀리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베어링은 반경 방향에서 입력 플랜지의 고정 수단과 그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다.
베어링은 구동 샤프트와 입력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벨트 풀리 댐퍼의 반경 방향 연장부는 감소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벨트 풀리 댐퍼의 크기와 필요한 장착 공간은 감소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예컨대 실질적으로 구동 샤프트의 단부면에 인접하는 방식으로 베어링을 배치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입력 플랜지는, 특히 구동 샤프트의 축 방향 단부를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계단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통해, 구동 샤프트에 직접 센터링되면서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샤프트는 반경 방향의 안쪽에서, 구동 샤프트와 입력 플랜지를 연결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의 영역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 원통형 돌출부의 내부에서 구동 샤프트와 입력 플랜지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그럼으로써 입력 플랜지는 상기 원통형 돌출부에서, 또는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에서 센터링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허브는 절약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구조 부재 개수도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주조 또는 단조 공정을 통한 허브의 제조가 생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필요한 제조 공정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단순화된 구성과 낮은 제조 비용이 가능해질 수 있게 하는 벨트 풀리 댐퍼가 제공된다.
입력 플랜지의 연결 수단은 특히 고정 나사의 나사 섕크를 끼워 통과시키기 위한 축 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로서 형성된다. 특히 복수의 개구부가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입력 플랜지는 상응하는 개수의 고정 나사와 함께 구동 샤프트와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구동 샤프트는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이다. 입력 플랜지는 벨트 풀리에 상대적으로 특히 원주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제한되는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입력 플랜지는 토크 전달을 위해 비틀림 진동 댐퍼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플랜지 및/또는 벨트 풀리는 예컨대 비틀림 진동 댐퍼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 풀리는 특히 비틀림 진동 댐퍼를 위한 수용 챔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수용 챔버는 벨트 풀리와 마찰 결합 및/또는 형태 결합 및/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커버에 의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특히 수용 챔버는, 비틀림 진동 댐퍼에 의해 야기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해, 윤활제, 예컨대 그리스를 내포할 수 있다. 벨트 풀리는 트랙션 수단, 예컨대 평벨트를 구동하기 위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구동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구동 표면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 치합부를 포함하는 치형 벨트를 구동하도록 하기 위해, 프로파일링 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랙션 수단에 의해서는 특히 자동차의 보조 유닛들, 예컨대 다이나모, 전기 모터, 연료 펌프, 오일 펌프, 에어 컨디셔너 팬 등이 구동될 수 있다. 입력 플랜지와 벨트 풀리 사이에 형성되는 베어링은 특히 미끄럼 베어링 또는 구름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플랜지와 벨트 풀리 사이에 형성되는 미끄럼 베어링은 입력 플랜지 또는 벨트 풀리의 서로 향하는 활주면들에 의해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미끄럼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 부재가 절약될 수 있게 된다. 입력 플랜지 및/또는 벨트 풀리의 활주면들은 예컨대 적합한 금속 절삭 또는 비절삭 방식의 표면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은 반경 방향으로 힘을 흡수하고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어링은 벨트 풀리에 대해 입력 플랜지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럼으로써 제조 공차 및/또는 장착 공차가 자동으로 보상될 수 있고 간편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특히, 벨트 풀리는 입력 플랜지의 고정 수단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접근 개구부를 포함하고, 벨트 풀리에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덮개판이 제공되며, 덮개판은 조립 위치에서 접근 개구부를 릴리스하고 사용 위치에서는 접근 개구부를 덮는다. 덮개판은 금속 재료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접근 개구부는, 예컨대 나사 드라이버의 섕크가 접근 개구부를 통해서 안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 샤프트와 입력 플랜지를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접근 개구부는 예컨대 벨트 풀리의 축 방향 단부면에 제공될 수 있고, 특히 구동 샤프트의 단부면의 가상의 축 방향 연장부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 개구부들은 특히 낮은 공차 요건으로 예컨대 천공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원주 방향의 오프셋이 조립 시 입력 플랜지에 대한 벨트 풀리의 상대적 이동성을 통해 수월하게 보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에, 덮개판을 이용하여, 구동 샤프트와 입력 플랜지를 고정한 후에 접근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방해가 되는 입자가 벨트 풀리의 내부에 도달할 수 없고, 예컨대 벨트 풀리의 내부로부터 윤활제의 유출도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판은, 원주 방향으로 추가의 상대 이동을 차단하고 접근 개구부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하나 이상의 돌출 노즈부(protruding nose)를 이용하여 형태 결합 방식으로 접근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판은, 특히 장공부(long hole) 내에서 안내되는 가이드 볼트를 통해, 벨트 풀리에서 원주 방향으로 안내된다. 가이드를 통해 덮개판은 원주 방향으로, 규정된 이동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판을 지지하거나 센터링할 필요는 없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장공부가 각각 할당된 가이드 볼트 상에 끼워지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볼트가 각각 할당된 장공부 내로 삽입되면서, 벨트 풀리 상에 축 방향으로 덮개판을 끼워 장착할 수 있다. 특히, 덮개판을 실질적으로 환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반경 방향에서 안쪽에 그에 상응하게 많은 재료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려움 없이 손으로 덮개판을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하나 이상의 작동 돌출부가 돌출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덮개판은 사용 위치에서, 특히 벨트 풀리를 통해서만 로킹될 수 있다. 로킹을 통해, 원주 방향으로 덮개판의 추가적 상대 이동은 차단되며, 그럼으로써 접근 개구부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은 방지된다. 특히, 덮개판은 사용 위치에서, 예컨대 클립 체결을 통해, 벨트 풀리와 형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로킹을 위해 추가의 별도의 구조 부재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벨트 풀리와 덮개판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부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를 통해 로킹될 수 있으며, 특히 돌출부는 조립 위치에서 공동부 내로의 압축을 위해 축 방향으로 예압된다. 돌출부는 특히, 돌출부가 작동 돌출부로서 손으로 덮개판의 회전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된다. 돌출부는 사용 위치에서, 추가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 특히 벨트 풀리의 상응하는 공동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의 축 방향 예압을 통해서는, 조립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덮개판의 회전 시, 달성된 사용 위치에서 추가의 회전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 돌출부는 자동으로 공동부 내로 튀면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입력 플랜지는, 구동 샤프트에서 직접적인 센터링을 위해, 하나 이상의 센터링 수단, 특히 돌출된 센터링 러그들을 포함한다. 센터링 수단들은 특히 입력 플랜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링 수단들은 바람직하게는 벨트 풀리 댐퍼가 연결되어야 하는 구동 샤프트의 기하구조에 부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중간에 연결되는 허브 없이 구동 샤프트에서 입력 플랜지를 직접 센터링할 수 있다. 센터링 수단들은 특히 구동 샤프트로서 특정 크랭크 샤프트를 포함하는 특정 자동차 엔진 유형에 대해 부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다양한 엔진 유형에 대해 동일한 벨트 풀리 댐퍼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며, 각각의 엔진 유형에 따라서는 각각의 엔진 유형에 부합하게 형성된 입력 플랜지가 이용된다. 벨트 풀리 댐퍼의 나머지 구조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댐핑 부재, 특히 고무 진동 댐퍼를 고정하기 위해 입력 플랜지와 연결될 수 있는 지지판이 제공되며, 이 지지판은, 댐핑 부재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특히 입력 플랜지의 회전축에 대해 동축으로 지지판과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댐핑 부재는 특히 플라이 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라이 휠은 탄성 중합체 재료, 특히 고무 탄성 재료를 통해 지지판 또는 입력 플랜지와 연결된다. 상기 유형의 고무 진동 댐퍼를 통해, 플라이 휠의 질량 및 탄성 중합체의 탄성에 따라서, 특정 비틀림 진동 주파수 범위가 완충되거나 소멸될 수 있다. 댐핑 부재는 특히 단일의 중앙 볼트를 통해 지지판의 너트와 고정될 수 있다. 너트는 예컨대 지지판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예컨대 접착, 납땜 또는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을 통해 형성되는 함몰부 내로 너트를 삽입할 수 있고, 함몰부는, 너트가 함몰부 내로 삽입될 때 지지판에 상대적으로 너트의 회전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너트에 상응하게 윤곽 형성된다. 함몰부와 너트 사이에는, 함몰부 내로 너트의 삽입을 단순화하도록 하기 위해, 헐거운 끼워 맞춤부(loose fitting)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 기술자를 위한 각각의 장착 공간 조건 및 접근 가능성에 따라, 함몰부로부터 너트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함몰부와 너트 사이에 압입 끼워 맞춤부를 제공하는 점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너트는 지지판 내에 사전 조립될 수 있고, 유격이 있는 상태에서 함몰부 내로 너트를 삽입한 후에, 그리고 후속 성형 공정을 통해, 예컨대 지지판의 코킹 공정을 통해 소실되지 않게 함몰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벨트 풀리는 비틀림 진동 댐퍼로부터 토크를 유도하기 위한 출력 정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원주 방향에서 비틀림 진동 댐퍼의 2개의 인접한 에너지 저장 부재들 사이로 돌출된 축 방향 리세스부를 포함하며, 특히 리세스부의 영역에서 벨트 풀리의 벽 두께는 실질적으로 리세스부의 반경 방향 높이에서 원주 방향에서 벨트 풀리의 나머지 벽 두께에 상응한다. 출력 정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부는 특히 벨트 풀리의 비절삭 성형 공정을 통해, 특히 압착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출력 정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 축적은 방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벨트 풀리의 자기 중량은 감소된다. 또한, 더욱 적은 재료 사용을 바탕으로, 벨트 풀리의 제조 비용도 감소된다. 그와 동시에, 리세스부를 통해 그리스의 유출 위험도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진동 댐퍼의 에너지 저장 부재, 특히 아크 스프링을 위한 수용 챔버는 부분적으로 벨트 풀리를 통해,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벨트 풀리로 압축되고 특히 코킹된 커버를 통해 범위 한정되며, 커버는 특히 축 방향으로 벨트 풀리에 안착된다. 커버는 특히 압입 끼워 맞춤부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벨트 풀리와 고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압입 끼워 맞춤부를 통해 수용 챔버의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와 동시에, 벨트 풀리에서 커버의 축 방향 안착을 통해, 벨트 풀리의 내부에서 커버의 축 방향 위치가 정의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벨트 풀리에서 축 방향으로 안착되는 커버의 표면을 통해, 수용 챔버의 추가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그리스의 유출은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입력 플랜지는, 비틀림 진동 댐퍼의 에너지 저장 부재, 특히 아크 스프링을 위한 수용 챔버의 축 방향 밀봉을 위해, 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밀봉 부재, 특히 디스크 스프링을 통해, 벨트 풀리와 연결되는 커버와 연결된다. 탄성을 갖는 밀봉 부재를 통해, 비틀림 진동 댐퍼의 수용 챔버가 밀봉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입력 플랜지와 벨트 풀리는 축 방향 예압에 의해 정의된 상대 위치로 상호 간에 밀착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조립을 수월하게 하면서 축 방향에서 갑작스런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축 방향 탄성이 제공된다. 특히, 에너지 저장 부재로서 아크 스프링이 이용된다면, 특히 벨트 풀리 또는 또 다른 구조 부재와 아크 스프링의 접촉 영역에서 아크 스프링의 이동 및/또는 압축 시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해, 수용 챔버를 부분적으로 윤활제, 특히 그리스로 채우는 점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스의 점성을 바탕으로, 특히 높은 기밀도를 보장하지 않아도 되며, 그럼으로써 자체의 스프링 힘으로 안착되는 디스크 스프링만으로도 충분히 수용 챔버를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샤프트, 특히 자동차의 크랭크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벨트 풀리 댐퍼를 포함하는 샤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벨트 풀리 댐퍼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형성 및 개선될 수 있다. 벨트 풀리 댐퍼의 입력 플랜지는 구동 샤프트에 직접 안착된다. 그럼으로써 구동 샤프트와 연결되는 허브가 절약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장착 공간을 조금만 필요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의 조밀한 소형 구조가 가능해진다. 이는 샤프트 장치의 경제적이고 단순화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예시로서 설명되며, 하기에 설명되는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뿐만 아니라 조합되어서도 본 발명의 관점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벨트 풀리 댐퍼를 포함하는 샤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된 단면 평면에서 도 2의 샤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구동 샤프트와 고정하기 전에 도 1의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구동 샤프트와 고정한 후에 도 4의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된 단면 평면에서 도 5의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벨트 풀리 댐퍼를 위한 입력 플랜지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입력 플랜지를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벨트 풀리 댐퍼를 위한 지지판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지지판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벨트 풀리 댐퍼를 위한 덮개판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안적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벨트 풀리 댐퍼(10)는 벨트 풀리(12)를 포함하며, 이 벨트 풀리는 아크 스프링들(14) 형태의 비틀림 진동 댐퍼를 통해 입력 플랜지(16)와 결합된다. 벨트 풀리(12)는 입력 플랜지(16)에 대해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아크 스프링들(14)은 입력 플랜지(16)에 대한 벨트 풀리(12)의 상대 이동 시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할 수 있다. 입력 플랜지(16)는 개구부들(20)로서 형성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이 연결 수단을 통해 입력 플랜지(16)가 예컨대 나사 체결을 통해 구동 샤프트(22), 특히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 개구부들(20)은, 회전축(18)과 관련하여, 입력 플랜지(16)와 벨트 풀리(12) 사이에서 미끄럼 베어링(24)으로서 형성되는 베어링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 상에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미끄럼 베어링(24)은 반경 방향의 안쪽에서 개구부(20)로서 형성되는 입력 플랜지(16)의 고정 수단들 쪽을 향해 배치된다. 미끄럼 베어링(24)은 반경 방향에서 회전축(18)과 개구부들(20) 사이에 배치된다.
벨트 풀리(12)는 내부에 아크 스프링들(14)이 배치되는 수용 챔버(26)를 형성한다. 수용 챔버(26)는 실질적으로 커버(28)에 의해 덮인다. 커버(28)는 베어링 링(30)에서 지지된다. 베어링 링(30)과 입력 플랜지(16) 사이에는, 벨트 풀리(12)로 향하는 정의된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입력 플랜지(16)를 밀착하도록 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수용 챔버(26)를 덮으면서, 그와 동시에 커버(28)에서 입력 플랜지(16)로 축 방향 힘을 가할 수 있는 디스크 스프링(32)이 제공된다. 커버(28)는, 센터링 러그들(34)로서 형성되는 입력 플랜지(16)의 센터링 수단들이 구동 샤프트(22)에 이르기까지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입력 플랜지(16)는 중간에 배치되는 허브 없이 입력 샤프트(22)에서 직접 지지되고 센터링될 수 있다.
입력 플랜지(16)가 구동 샤프트(22)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벨트 풀리(12)는 접근 개구부들(36)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섕크가 접근 개구부들(36)을 통과하여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접근 개구부들(36)은 덮개판(38)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덮개판(38)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공부들(40)을 포함하고, 이들 장공부 내로는, 벨트 풀리(12)에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조립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덮개판(38)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벨트 풀리(12)의 가이드 볼트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판(38)은, 손으로 덮개판(38)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작동 돌출부들(42)을 포함한다. 덮개판(38)은 접근 개구부들(36)에 상응하는 판 개구부들(44)을 포함하며, 이들 판 개구부들은 조립 위치에서 접근 개구부들(36)에 대해 맞은편에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22)와 입력 플랜지(16)의 고정 후에, 덮개판(38)은 벨트 풀리(12)에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접근 개구부들(36)은 덮개판(38)에 의해 덮이게 된다. 이런 사용 위치에서, 덮개판(38)은, 덮개판(38)의 의도하지 않은 추가 회전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 특히 작동 돌출부들(42)을 통해 벨트 풀리(12)와 로킹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구동 샤프트(22)와,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무 진동 댐퍼(46)로서 형성되는 댐핑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판(48)에는 함몰부(50)가 구비되며, 함몰부(50) 내로는 너트(52)가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된다. 중앙 볼트(54)에 의해, 고무 진동 댐퍼(46)는 너트(52) 및 지지판(48)과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판(48)은 예컨대 입력 플랜지(16)와 구동 샤프트(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 플랜지(16)와 함께 입력 샤프트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고무 진동 댐퍼(46)가 입력 플랜지(16)와 구동 샤프트(22) 사이에 배치되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너트(52)를 포함하는 지지판(48)이 제외될 수 있다. 이 경우, 고무 진동 댐퍼(46)는 입력 플랜지(16)와 함께 구동 샤프트(22)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고무 진동 댐퍼(46) 또는 비교 가능한 댐핑 부재가 제외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너트(52)를 포함하는 지지판(48)도 제외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샤프트 장치(56)의 경우, 입력 플랜지(16)는 지지판(48)과 함께 볼트들(58)에 의해 구동 샤프트(22)와 나사 체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력 플랜지(16)는 디스크 스프링(32)에 의해 액시얼 미끄럼 베어링(60)을 통해 축 방향으로 벨트 풀리(12)에서 지지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무 진동 댐퍼(46)도 제공되며, 이 고무 진동 댐퍼는, 구동 샤프트(22)와 공동의 어셈블리로서 벨트 풀리 댐퍼(10)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접근 개구부(36) 및 판 개구부(40)의 축 방향 높이에 각각 관통 개구부(6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플랜지(16)는 센터링 러그들(34)을 통해 구동 샤프트(22)에서 직접 센터링되고 지지될 수 있다. 작동 돌출부(42)에 의해서는, 덮개판(38)이 벨트 풀리(12)의 접근 개구부(36)를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덮개판(38)은 도 4에 도시된 조립 위치에서 손으로 특히 간편하게 도 5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덮개판(38)의 사용 위치에서, 작동 돌출부(42)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 풀리(12)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부(64) 내로 압축될 수 있다. 덮개판(38)을 원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거나 그 반대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작동 돌출부(42)는 공동부(64)의 제한부에 부딪힐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덮개판(38)의 추가 회전은 차단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플랜지(16)의 센터링 러그들(34)은 실질적으로 비절삭 성형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최초 입력 플랜지(16)와, 별도의 구조 부재로서의 추가 센터링 수단을 예컨대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판(48)의 함몰부(50)는 마찬가지로 비절삭 성형 공정을 통해, 예컨대 딥드로잉 또는 엠보싱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50)의 윤곽 형성부는 실질적으로 너트(52)의 외부 윤곽에 상응하며, 그럼으로써 너트(52)는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함몰부(5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판(48)은 윤곽 형성된 관통 개구부들(66)을 포함하며, 이들 관통 개구부를 통해서는, 구동 샤프트(22)에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력 플랜지(16)의 센터링 러그들(34)이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 개구부들(66)의 윤곽 형성부는, 조립 중에 지지판(48)에 상대적으로 입력 플랜지(16)의 회전이 가능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도 11에 도시된 덮개판(38)은 단순한 형태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천공 및 비절삭 성형 공정, 특히 압착 공정을 통해서만 제조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벨트 풀리 댐퍼(10)의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벨트 풀리 댐퍼(10)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무 진동 댐퍼(46)와 그에 따라 지지판(48) 및 너트(52)도 제외된다.
10 벨트 풀리 댐퍼
12 벨트 풀리
14 아크 스프링
16 입력 플랜지
18 회전축
20 개구부
22 구동 샤프트
24 미끄럼 베어링
26 수용 챔버
28 커버
30 베어링 링
32 디스크 스프링
34 센터링 러그
36 접근 개구부
38 덮개판
40 장공부
42 작동 돌출부
44 판 개구부
46 고무 진동 댐퍼
48 지지판
50 함몰부
52 너트
54 중앙 볼트
56 샤프트 장치
58 볼트
60 액시얼 미끄럼 베어링
62 관통 개구부
64 공동부
66 윤곽 형성된 관통 개구부

Claims (10)

  1. 구동 샤프트(22)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벨트 풀리 댐퍼이며,
    트랙션 수단, 특히 트랙션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벨트 풀리(12)와,
    구동 샤프트(22)와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입력 플랜지(16)로서, 이때 입력 플랜지(16)는 구동 샤프트(22)와 입력 플랜지(16)를 연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 특히 개구부(20)를 포함하는 입력 플랜지와,
    입력 플랜지(16)를 통해 유도되는 토크를 벨트 풀리(12)로 전달하기 위한 비틀림 진동 댐퍼(14), 특히 비틀림 진동용 디커플러와,
    입력 플랜지(16)에서 벨트 풀리(12)를 지지하기 위해 벨트 풀리(12)와 입력 플랜지(16) 사이에 형성되는 베어링(24)을 포함하는, 벨트 풀리 댐퍼에 있어서,
    베어링(24)은 반경 방향에서 입력 플랜지(16)의 고정 수단(20)과 회전축(1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벨트 풀리(12)는 입력 플랜지(16)의 고정 수단(20)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접근 개구부(36)를 포함하고, 벨트 풀리(12)에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덮개판(38)이 제공되며, 덮개판(38)은 조립 위치에서는 접근 개구부(36)를 릴리스하고 사용 위치에서는 접근 개구부(36)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덮개판(38)은, 특히 장공부(40) 내에서 안내되는 가이드 볼트를 통해, 벨트 풀리(12)에서 원주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덮개판(38)은 사용 위치에서, 특히 벨트 풀리(12)를 통해서만 로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벨트 풀리(12)와 덮개판(38)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부(64)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42)를 통해 로킹될 수 있으며, 특히 돌출부(42)는 조립 위치에서 공동부(64) 내로의 압축을 위해 축 방향으로 예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플랜지(16)는 구동 샤프트(22)에서의 직접적인 센터링을 위해 하나 이상의 센터링 수단, 특히 돌출된 센터링 러그들(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댐핑 부재, 특히 고무 진동 댐퍼(46)를 고정하기 위해 입력 플랜지(16)와 연결될 수 있는 지지판(48)이 제공되며, 지지판(48)은, 댐핑 부재(46)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특히 입력 플랜지(16)의 회전축(18)에 대해 동축으로 지지판(48)과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너트(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진동 댐퍼의 에너지 저장 부재, 특히 아크 스프링(14)을 위한 수용 챔버(26)는 부분적으로 벨트 풀리(12)를 통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벨트 풀리(12)로 압축되고 특히 코킹된 커버(28)를 통해 범위 한정되며, 커버(28)는 특히 축 방향으로 벨트 풀리(12)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플랜지(16)는, 상기 비틀림 진동 댐퍼의 에너지 저장 부재, 특히 아크 스프링(14)을 위한 수용 챔버(26)의 축 방향 밀봉을 위해, 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밀봉 부재, 특히 디스크 스프링(32)을 통해, 벨트 풀리(12)와 연결되는 커버(28)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풀리 댐퍼.
  10. 구동 샤프트(22), 특히 자동차의 크랭크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22)의 비틀림 진동을 완충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22)와 연결되는 벨트 풀리 댐퍼(10)를 포함하는 샤프트 장치이며, 벨트 풀리 댐퍼(10)의 입력 플랜지(16)는 구동 샤프트(22)에 직접 안착되는, 샤프트 장치.
KR1020137017802A 2010-12-09 2011-11-10 벨트 풀리 댐퍼 KR20130129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3938 2010-12-09
DE102010053938.4 2010-12-09
PCT/DE2011/001962 WO2012075984A1 (de) 2010-12-09 2011-11-10 Riemenscheibendämp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237A true KR20130129237A (ko) 2013-11-27

Family

ID=4549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802A KR20130129237A (ko) 2010-12-09 2011-11-10 벨트 풀리 댐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30129237A (ko)
CN (1) CN103249968B (ko)
DE (2) DE102011086093A1 (ko)
WO (1) WO20120759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541A (ko) 2014-12-01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임팩트 스프링 상수가 부여된 토크 필터 및 이를 적용한 보기류 벨트 시스템
KR20210067175A (ko) 2019-11-29 2021-06-08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벨트 풀리 댐퍼
KR20210067109A (ko) 2019-11-29 2021-06-08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벨트 풀리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9365B2 (en) 2013-08-27 2018-01-16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Isolator for use with engine that is assisted or started by an MGU or a motor through an endless drive member
KR101500138B1 (ko) 2013-09-10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랭크 풀리 디커플링 장치
WO2015161845A1 (de) * 2014-04-24 2015-10-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WO2016090488A1 (en) 2014-12-09 2016-06-16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Isolator for use with engine that is assisted or started by an mgu or a motor through an endless drive member
DE102015210164B3 (de) * 2015-06-02 2016-11-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mit Gleitschalen
CN108713114B (zh) * 2016-04-07 2020-11-06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驱动轮装置和制造驱动轮装置的方法
FR3060689A1 (fr) * 2016-12-20 2018-06-22 Valeo Embrayages Amortisseur de torsion et vehicule automobile
DE102018111607A1 (de) * 2017-06-02 2018-1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CN108825719B (zh) * 2018-08-08 2024-01-26 华域动力总成部件系统(上海)有限公司 减振阻尼补偿装置
DE102019104813B4 (de) * 2019-02-26 2021-01-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mit Schmierstofffluss in Vorzugsrichtung
DE102020108686A1 (de) 2020-03-30 2021-09-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DE102020127093B3 (de) 2020-10-15 2022-01-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nentkoppler mit an einem Zentrierstück abgestützten Trägerblech eines Schwingungstilg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6082A1 (de) * 2001-11-15 2003-06-12 Karl Heinz Linnig Gmbh & Co Kg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Drehschwingungen
DE20220455U1 (de) * 2001-11-15 2003-09-04 Karl Heinz Linnig Gmbh & Co Kg Vorrichtung zur Dämpfung von Drehschwingungen
ATE541116T1 (de) * 2004-07-02 2012-01-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Triebrad zum antreiben eines nebenaggregates eines fahrzeuges
DE102005029351A1 (de) * 2004-07-02 2006-01-2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Triebrad zum Antreiben eines Nebenaggregates eines Fahrzeuges
CN101169169B (zh) * 2006-10-26 2010-12-22 卢克摩擦片和离合器两合公司 扭转振动减振器
DE102008035136A1 (de) * 2007-08-27 2009-03-0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schwingungsdämpfer
DE102009039989B4 (de) 2008-09-15 2019-07-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cheibe mit Federdämpfereinricht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541A (ko) 2014-12-01 2016-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임팩트 스프링 상수가 부여된 토크 필터 및 이를 적용한 보기류 벨트 시스템
US9726253B2 (en) 2014-12-01 2017-08-08 Hyundai Motor Company Torque filter having impact spring constant and auxiliary-machinery belt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067175A (ko) 2019-11-29 2021-06-08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벨트 풀리 댐퍼
KR20210067109A (ko) 2019-11-29 2021-06-08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벨트 풀리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5984A1 (de) 2012-06-14
CN103249968A (zh) 2013-08-14
CN103249968B (zh) 2016-08-10
DE112011104308A5 (de) 2013-10-02
DE102011086093A1 (de)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237A (ko) 벨트 풀리 댐퍼
US10267405B2 (en) Isolator with improved damping structure
KR101369831B1 (ko) 엔진 시동 시스템용 단방향 클러치 및 축외 커플링
EP3025072B1 (en) Spring assembly for isolator
KR100219914B1 (ko) 분리된 플라이 휘일
JP4240550B2 (ja) 駆動プレート
EP3025071B1 (en) Isolator with improved damping structure
US6250276B1 (en) Drive mechanism for accessory and assemblies of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0042486A (ko) 분리형 플라이휠
EP2602508A1 (en) Damper device
JP3680093B2 (ja) 自動車用フライホイール及び二重質量フライホイール
US8057310B2 (en) Integrated damper and starter ring gear for a hybrid vehicle
JPH01220745A (ja) 自動車用振動吸収型二重フライホイール
CN112824124A (zh) 驱动单元
KR101472435B1 (ko) 듀얼 매스 댐퍼 플라이휠
KR101128649B1 (ko) 축 방향 댐핑이 가능한 댐퍼 플라이휠
CN110486417B (zh) 机动车发动机和扭振减振器的应用
CN113557373B (zh) 车辆用减振器及车辆
CN113494563A (zh) 扭振减振器及装配扭振减振器的方法
KR20200116468A (ko) 진자 감쇠 장치
CN114341523B (zh) 具有离心摆和预减振器的扭振减振器
CN101959706B (zh) 用于混合动力汽车的驱动装置及具有分离装置的离合器
CN113905918A (zh) 离合器总成
CN115681406A (zh) 减振装置
KR101317905B1 (ko) 크랭크 축과 토크 컨버터를 연결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