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175A - 벨트 풀리 댐퍼 - Google Patents

벨트 풀리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175A
KR20210067175A KR1020190156528A KR20190156528A KR20210067175A KR 20210067175 A KR20210067175 A KR 20210067175A KR 1020190156528 A KR1020190156528 A KR 1020190156528A KR 20190156528 A KR20190156528 A KR 20190156528A KR 20210067175 A KR20210067175 A KR 2021006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vibration damper
damper
soundproof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913B1 (ko
Inventor
최재원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913B1/ko
Priority to DE102020129119.1A priority patent/DE102020129119A1/de
Publication of KR2021006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35Elastomeric springs, i.e. made of plastic or rubber
    • F16F15/1442Elastomeric springs, i.e. made of plastic or rubber with a singl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경측에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의 외경면에 벨트홈이 형성된 벨트 풀리(110)와, 상기 벨트 풀리(110)와 함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50)와, 벨트 풀리(110)와 커버(150) 사이의 공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아크 스프링(130)과, 회전하면서 상기 아크 스프링(130)의 단부를 밀도록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는 입력 플랜지(170)와, 상기 벨트 풀리(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진동댐퍼본체(192)와 상기 진동댐퍼본체(192)의 반경 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무진동댐퍼(191)를 가지는 진동댐퍼부(190)를 포함하여, 출력부재(200)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벨트 풀리(110)와 입력 플랜지(170)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아크 스프링(130)이 압축되는 구조로서; 상기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면에 삽입되며 방음본체(163)를 가지는 방음부재(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음본체(16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진동댐퍼부(190)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어 단부가 진동댐퍼부(190)와 마주하는 제1 방음돌기(16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풀리 댐퍼(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 풀리 댐퍼{BELT PULLEY DAMPER}
본 발명은 벨트 풀리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명 소음의 방출과 공진 영역에서 작동하는 것이 억제되며, 방출되는 소리의 흡수에 의하여 배출되는 소음이 감소하는 밸트 풀리 댐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131197호 공개특허공보(이하에서 '공개공보1'이라 함)의 도 1을 참조하여 벨트 풀리 댐퍼에 대하여 설명하면(설명에 있어서, 공개공보1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기재한다), 벨트 풀리 댐퍼(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엔진 부속 장치(16)를 갖는 부속 장치 구동부(14)를 포함할 수 있는 자동차 엔진(12)과 작동 관련되어 도시되어 있다. 벨트 풀리 댐퍼(10)는 엔진(12)의 출력 부재(18)(예컨대, 크랭크 샤프트)에 결합되고, 엔진 부속 장치(16)를 구동하기 위해,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무한 동력 전달 요소(20)를 거쳐 풀리 또는 스프로켓과 같은 입력 부재로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3-0129237호 공개특허공보(이하에서 '공개공보2'이라 함)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벨트 풀리 댐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벨트 풀리 댐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플랜지(17)와 진동댐퍼부(19)가 결합되어, 입력 플랜지(17)에 대하여 벨트 풀리(11)가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개공보2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풀리가 진동댐퍼부에 결합되어, 입력 플랜지에 대하여 벨트 풀리가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벨트 풀리 댐퍼(10)는 벨트 풀리(11)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 풀리(11)는 아크 스프링(13)을 통해 입력 플랜지(17)와 결합된다. 입력 플랜지(17)는 원형으로 반경 방향 외측에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아크 스프링(13)의 단부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벨트 풀리(11)는 입력 플랜지(17)에 대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으며, 아크 스프링들(13)은 입력 플랜지(17)에 대한 벨트 풀리(11)의 상대 이동 시 아크 스프링(13)의 걸림돌기에 걸리어 압축되면서 에너지를 저장하고, 신장하면서 방출한다. 입력 플랜지(17)는 예컨대 나사 체결을 통해 구동 샤프트인 출력부재(20)(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된다.
출력부재(20)와 벨트 풀리(11) 사이에는 미끄럼 베어링(21)이 구비된다. 출력부재(20)는 벨트 풀리(11)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다. 미끄럼 베어링(24)은 반경 방향으로 벨트 풀리(11)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플랜지와 출력 부재(20) 사이에 배치된다.
벨트 풀리(11)는 내부에 복수의 아크 형태인 아크 스프링들(13)이 배치되는 수용 챔버를 형성한다. 수용 챔버는 실질적으로 커버(15)에 의해 덮인다. 커버(15)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플랜지가 벨트 풀리(11) 내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진동댐퍼부(19)는 대략 원판형이며 반경 방향 외측에 일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금속의 진동댐퍼본체(19-2)와, 상기 진동댐퍼본체(19-2)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대략 링 형태의 고무진동댐퍼(19-1)와, 상기 고무진동댐퍼(19-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금속의 진동댐퍼링(19-3)을 구비된다.
상기 출력부재(20)에 진동댐퍼부(19)가 연결된다. 상기 진동댐퍼부(19)는 입력 플랜지(17)에 함께 체결 볼트(18)로 체결되어 출력부재(20)에 연결된다. 상기 진동댐퍼본체(19-2)에 체결 볼트(18)가 체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 볼트(18)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15)는 진동댐퍼부(19)와 벨트 풀리(1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입력 플랜지(17)와 진동댐퍼본체(19-2)로 출력부재(20)가 삽입된다. 체결 볼트(18)는 입력 플랜지(17)와 진동댐퍼본체(19-2)의 내경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체결된다. 상기 입력 플랜지(17)와 진동댐퍼본체(19-2)는 내경측 단부 일부가 서로 밀착되고, 체결 볼트(18)에 의하여 체결된 부분을 지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져 커버(15)의 내경 단부는 입력 플랜지(17)나 진동댐퍼본체(19-2)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커버(15)와 진동댐퍼부(19) 사이에는 환형의 판상인 금속 재질의 다이어프램 스프링(14)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15)의 내경 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결합부재(12)가 결합되며, 다이어프램 스프링(14)으로 결합부재(12)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4)의 외경측 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차단부재(14-1)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벨트 풀리 댐퍼(10)에서 발생하는 공명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진동댐퍼부(19)와 벨트 풀리(11) 사이의 간격을 줄여야 하나 조립 공차에 의하여 간격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벨트 풀리 댐퍼가 작동 주파수와 공진 영역의 고유 주파수를 가질 수 있어 공진에 의한 진동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131197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3-0129237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명 소음의 방출이 억제되며, 공진 영역에서 작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벨트 풀리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외경측에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의 외경면에 벨트홈이 형성된 벨트 풀리와, 상기 벨트 풀리와 함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벨트 풀리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아크 스프링과, 회전하면서 상기 아크 스프링의 단부를 밀도록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는 입력 플랜지와, 상기 벨트 풀리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진동댐퍼본체와 상기 진동댐퍼본체의 반경 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무진동댐퍼를 가지는 진동댐퍼부를 포함하여, 출력부재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벨트 풀리와 입력 플랜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아크 스프링이 압축되는 구조로서; 상기 진동댐퍼부는 고무진동댐퍼의 반경 방향 외측에 고무진동댐퍼가 삽입되며 외경이 벨트 풀리의 외경보다 큰 링 형태의 진동댐퍼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댐퍼링은 축 방향 내측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벨트 풀리의 외경 일부를 덮는 덮개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진동댐퍼링과 벨트 풀리 사이에는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틈새가 형성된 밸트 풀리 댐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외경측에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의 외경면에 벨트홈이 형성된 벨트 풀리와, 상기 벨트 풀리와 함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벨트 풀리와 커버 사이의 공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아크 스프링과, 회전하면서 상기 아크 스프링의 단부를 밀도록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는 입력 플랜지와, 상기 벨트 풀리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진동댐퍼본체와 상기 진동댐퍼본체의 반경 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무진동댐퍼를 가지는 진동댐퍼부를 포함하여, 출력부재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벨트 풀리와 입력 플랜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아크 스프링이 압축되는 구조로서; 상기 벨트 풀리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면에 삽입되며 방음본체를 가지는 방음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음본체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진동댐퍼부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어 단부가 진동댐퍼부와 마주하는 제1 방음돌기를 포함하는 밸트 풀리 댐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진동댐퍼부는 고무진동댐퍼의 반경 방향 외측에 고무진동댐퍼가 삽입되며 외경이 벨트 풀리의 외경보다 큰 링 형태의 진동댐퍼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댐퍼링은 축 방향 내측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벨트 풀리의 외경 일부를 덮는 덮개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진동댐퍼링과 벨트 풀리 사이에는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방음부재는 방음지지체를 포함하여, 상기 방음본체는 방음지지체를 인서트로 하여 방음지지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방음지지체는 벨트 풀리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지지체삽입부와, 상기 지지체삽입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지지체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음돌기는 지지체연장부에 결합된 방음본체로부터 진동댐퍼부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방음돌기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복수의 방음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는 반경 방향 외측에 벨트 풀리의 원통형 부분으로 삽입되는 커버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플랜지와 벨트 풀리의 원통형 부분 사이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삽입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재는 반경 방향 내외측에서 커버플랜지와 벨트 풀리의 원통형 부분에 의하여 가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풀리 댐퍼(100)에 의하면, 공명 소음의 방출과 공진 영역에서 작동하는 것이 억제되며, 방출되는 소리의 흡수에 의한 소음 감소 효과가 있으며, 오일에 의한 오염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구조로 소음 방출 및 오일의 비산도 더욱 억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다른 예의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개략적인 반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로서 본 발명의 변형 예이며,
도 4는 도 2의 "A"부의 확대로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은 본 발명 벨트 풀리 댐퍼에 구비되는 방음부재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벨트 풀리 댐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다른 예의 벨트 풀리 댐퍼를 도시한 개략적인 반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로서 본 발명의 변형 예이며, 도 4는 도 2의 "A"부의 확대로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은 본 발명 벨트 풀리 댐퍼에 구비되는 방음부재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가로 방향을 축 방향으로 기재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고무재질은 고무 또는 고무와 같은 물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밸트 풀리 댐퍼(100)는 외경측에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의 외경면에 벨트홈이 형성된 벨트 풀리(110)와, 상기 벨트 풀리(110)와 함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50)와, 벨트 풀리(110)와 커버(150) 사이의 공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아크 스프링(130)과, 회전하면서 상기 아크 스프링(130)의 단부를 밀도록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는 입력 플랜지(170)와, 상기 벨트 풀리(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진동댐퍼본체(192)와 상기 진동댐퍼본체(192)의 반경 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무진동댐퍼(191)를 가지는 진동댐퍼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밸트 풀리 댐퍼(100)는 출력부재(200)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벨트 풀리(110)와 입력 플랜지(170)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아크 스프링(130)이 압축되는 구조이다. 아크 스프링(130)의 구체적인 형태 및 압축되는 구조는 종래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플랜지(170)와 진동댐퍼본체(192)는 결합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출력부재(200)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입력 플랜지(170)와 진동댐퍼본체(192)의 내경측으로 출력부재(200)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볼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소에서 체결된다.
상기 벨트 풀리(110)는 내경 측에 원통형 부분과 나란한 내측 플랜지부를 가진다. 벨트 풀리(110)의 내측 플랜지부로 출력부재(200)가 삽입된다. 벨트 풀리(110)의 내측 플랜지부와 출력부재(200) 사이에는 미끄럼 베어링(210)에 개재된다.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의 진동댐퍼부(190)를 향하는 단부의 내경측에는 내향 할수록 간격을 증가시키는 챔퍼부가 형성된다.
상기 진동댐퍼본체(192)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진동댐퍼본체(192)는 외경측에 절곡된 원통형의 진동본체플랜지를 구비한다. 상기 진동본체플랜지가 고무진동댐퍼(191)로 삽입된다. 상기 진동댐퍼부(190)에는 고무진동댐퍼(191)의 외경측에 결합되는 금속의 진동댐퍼링(193)이 더 포함된다. 상기 고무진동댐퍼(191)의 외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진동댐퍼(191)의 최대 외경은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진동댐퍼링(193)의 외경은 벨트 풀리(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면에 삽입되며 방음본체(163)를 가지는 방음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방음본체(16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진동댐퍼부(190)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어 단부가 진동댐퍼부(190)와 마주하는 제1 방음돌기(1631)를 포함한다. 상기 방음부재(160)를 포함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방음부재(160)는 방음지지체(161)를 포함하여, 상기 방음본체(163)는 방음지지체(161)를 인서트로 하여 방음지지체(16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방음돌기(16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내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지지체(161)는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지지체삽입부와, 상기 지지체삽입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지지체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방음돌기(1631)는 지지체연장부에 결합된 방음본체(163)로부터 진동댐퍼부(190)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633은 지지체연장부에 결합된 방음본체(163)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돌출된 제2 방음돌기(1633)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방음돌기(1631)와 제2 방음돌기(1633)가 분지된 형태로 돌출되어 내경측에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은 오목부를 타고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제1 방음돌기(1631)의 반경 방향 내면에는 반경 방향 내향 돌출되며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인 복수의 방음돌출부(1631a)가 형성된다. 상기 방음돌출부(1631a)는 지지체삽입부에 결합된 방음본체(163) 부분의 반경 방향 내면에도 반경 방향 내향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음본체(163)의 반경 방향 내면에 방음돌출부(1631a)가 형성됨으로써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이 방음돌출부(1631a)에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150)는 외경측에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 플랜지부가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 내로 삽입된다.
상기 커버(150)는 축 방향으로 진동댐퍼부(190)와 밸트 풀리(1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진동댐퍼본체(192)와 입력 플랜지(170)는 커버(150)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내향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150)의 내경 단부는 진동댐퍼본체(192) 및 입력 플랜지(170)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커버(150)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는 고무재질이며 링 형태인 결합부재(120)가 결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밸트 풀리 댐퍼(100)는 환형의 판상인 다이어프램 스프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4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40)은 강성이 큰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40)의 외경 단부에는 고무재질의 차단부재(141)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재(141)는 진동댐퍼본체(192)의 축 방향 내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40)은 축 방향 내측에서 결합부재(120)에 의하여 가압 되고, 축 방향 외측에서 차단부재(141)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방음부재(160)는 축 방향으로 커버(150)와 진동댐퍼부(190)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방음부재(160)의 지지체연장부는 지지체삽입부의 커버(150) 쪽 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밸트 풀리 댐퍼(100)는 상기 커버플랜지와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 사이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삽입부재(160-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재(160-1)는 반경 방향 내외측에서 커버플랜지와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에 의하여 가압되어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재(160-1)는 위에서 설명한 방음부재(160)에 더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160-1)는 가압되기 전의 형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재(160-1)의 커버플랜지와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 사이에 가압 변형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삽입부재(160-1)를 구비함으로써, 고유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로부터 이동되어, 공진에 의한 진동 및 소음 증가가 억제된다.
100: 벨트 풀리 댐퍼 110: 벨트 풀리
130: 아크 스프링 140: 다이어프램 스프링
150: 커버 170: 입력 플랜지
190: 진동댐퍼부 200: 출력부재
210: 미끄럼 베어링

Claims (6)

  1. 외경측에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의 외경면에 벨트홈이 형성된 벨트 풀리(110)와, 상기 벨트 풀리(110)와 함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50)와, 벨트 풀리(110)와 커버(150) 사이의 공간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아크 스프링(130)과, 회전하면서 상기 아크 스프링(130)의 단부를 밀도록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된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는 입력 플랜지(170)와, 상기 벨트 풀리(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진동댐퍼본체(192)와 상기 진동댐퍼본체(192)의 반경 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고무진동댐퍼(191)를 가지는 진동댐퍼부(190)를 포함하여, 출력부재(200)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며 벨트 풀리(110)와 입력 플랜지(170)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아크 스프링(130)이 압축되는 구조로서;
    상기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면에 삽입되며 방음본체(163)를 가지는 방음부재(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음본체(16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진동댐퍼부(190)를 향하여 돌출 연장되어 단부가 진동댐퍼부(190)와 마주하는 제1 방음돌기(16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풀리 댐퍼(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댐퍼부(190)는 고무진동댐퍼(191)의 반경 방향 외측에 고무진동댐퍼(191)가 삽입되며 외경이 벨트 풀리(110)의 외경보다 큰 링 형태의 진동댐퍼링(193)을 더 포함하는 밸트 풀리 댐퍼(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160)는 방음지지체(161)를 포함하여, 상기 방음본체(163)는 방음지지체(161)를 인서트로 하여 방음지지체(16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풀리 댐퍼(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지지체(161)는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지지체삽입부와, 상기 지지체삽입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된 지지체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음돌기(1631)는 지지체연장부에 결합된 방음본체(163)로부터 진동댐퍼부(190)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풀리 댐퍼(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음돌기(1631)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복수의 방음돌출부(163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풀리 댐퍼(100).
  6. 제1 항 있어서, 상기 커버(150)는 반경 방향 외측에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으로 삽입되는 커버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플랜지와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 사이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삽입부재(160-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재(160-1)는 반경 방향 내외측에서 커버플랜지와 벨트 풀리(110)의 원통형 부분에 의하여 가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트 풀리 댐퍼(100).
KR1020190156528A 2019-11-29 2019-11-29 벨트 풀리 댐퍼 KR10229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28A KR102298913B1 (ko) 2019-11-29 2019-11-29 벨트 풀리 댐퍼
DE102020129119.1A DE102020129119A1 (de) 2019-11-29 2020-11-05 Riemenscheibendämp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28A KR102298913B1 (ko) 2019-11-29 2019-11-29 벨트 풀리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175A true KR20210067175A (ko) 2021-06-08
KR102298913B1 KR102298913B1 (ko) 2021-09-06

Family

ID=7589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528A KR102298913B1 (ko) 2019-11-29 2019-11-29 벨트 풀리 댐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8913B1 (ko)
DE (1) DE102020129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8324A1 (en) * 2022-07-18 2024-01-25 Dayco Europe S.R.L. Improved filtering pulle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852A (ja) * 2004-03-05 2005-10-13 Nok Corp エンジン騒音低減装置
KR20110131197A (ko) 2009-03-03 2011-12-06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헬리컬 랩 클러치 스프링 및 코일 댐퍼 스프링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
KR20130129237A (ko) 2010-12-09 2013-11-27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벨트 풀리 댐퍼
JP2016153697A (ja) * 2014-12-04 2016-08-25 Nok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及び環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852A (ja) * 2004-03-05 2005-10-13 Nok Corp エンジン騒音低減装置
KR20110131197A (ko) 2009-03-03 2011-12-06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헬리컬 랩 클러치 스프링 및 코일 댐퍼 스프링을 특징으로 하는 디커플러
KR20130129237A (ko) 2010-12-09 2013-11-27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벨트 풀리 댐퍼
JP2016153697A (ja) * 2014-12-04 2016-08-25 Nok株式会社 オイルシール及び環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29119A1 (de) 2021-06-02
KR102298913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6421A (en) Uncoupled belt pulley
JP4738487B2 (ja) 振動吸収アイソレータ
KR100956792B1 (ko) 일체형 풀리―토션 댐퍼 어셈블리
KR20120039378A (ko) 차량용 댐퍼 풀리
KR10155876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US20080034918A1 (en) Multi-mode vibration damper having a spoked hub
KR102298913B1 (ko) 벨트 풀리 댐퍼
JP2000046117A (ja) 回転数適合式振動吸収装置
US20050261093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1015696B2 (en) Damper pulley for crankshaft
GB2284247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6254788B2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KR102286930B1 (ko) 벨트 풀리 댐퍼
US20190085934A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low elastomer content
JP4632792B2 (ja) ダンパ機能を備えたプーリ
KR101795231B1 (ko) 자동차용 댐퍼 풀리 조립체
GB2382395A (en) A device for isolating fluctuations in the drive torque of a rotary drive shaft
JP6605936B2 (ja) プーリの騒音低減装置
JP2004028177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KR102340618B1 (ko)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866937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2002005234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KR102005149B1 (ko) 댐퍼 플라이휠
JP2003254388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H10227333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