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734A - 콤바인의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734A
KR20130121734A KR1020130045415A KR20130045415A KR20130121734A KR 20130121734 A KR20130121734 A KR 20130121734A KR 1020130045415 A KR1020130045415 A KR 1020130045415A KR 20130045415 A KR20130045415 A KR 20130045415A KR 20130121734 A KR20130121734 A KR 20130121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aking
reel
stem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523B1 (ko
Inventor
카즈나리 타노우에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025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2300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030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230097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01D34/23Cutting apparatus with additional vertical cutter-b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과제) 수확 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예취장치(5)에 설치된 작업장치의 구동 속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용 콤바인의 예취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예취장치(5)에 종방향 자세의 제 1 예취날 장치(80)와, 레이킹 릴(61)과, 횡방향 자세의 제 2 예취날 장치(50)와, 레이킹 오거(33)와, 공급장치(20)를 구비하고, 공급장치(20)의 후방부에 이 공급장치(20)로 구동력을 입력하는 제 1 축(26)을 구비하고, 공급장치(20)의 전방부에는 레이킹 오거(33) 및 레이킹 릴(61)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2 축(27)과, 제 2 예취날 장치(50) 및 제 1 예취날 장치(80)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축(28)을 구비하고, 제 1 축(26)과 제 2 축(27)과 제 3 축(28)을 전동용의 체인(12C)으로 연동시킨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장치{REAPING DEVICE OF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범용 콤바인의 예취장치에는 레이킹 장치의 일측에 뒤가 내려가게 경사진 종 예취날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0-6344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콤바인은 엔진의 구동력을 동일한 카운터축을 통해서 레이킹 장치와 종 예취날에 전달하고 있었으므로, 수확 작업의 조건에 따라서 레이킹 장치의 레이킹 속도에 대한 종 예취날의 절단 속도를 스위칭하는 작업을 행할 경우에 복수의 스프로킷과 풀리를 교환할 필요가 있고, 이 속도 스위칭 작업에 엄청난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에 기재하는 바와 같다.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줄기를 긁어넣는 레이킹 릴(61)과, 예취 대상인 줄기와 예취 대상 밖인 줄기를 절단해서 분리하는 종방향 자세의 제 1 예취날 장치(80)와, 예취 대상인 줄기를 예취하는 횡방향 자세의 제 2 예취날 장치(50)와, 예취된 줄기를 송입구(32)로 반송하는 레이킹 오거(33)와, 상기 송입구(32)로 반송된 줄기를 탈곡장치(4)로 보내주는 공급장치(20)를 구비한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20)의 후방부에 상기 공급장치(20)로 구동력을 입력하는 제 1 축(26)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장치(20)의 전방부에는 상기 레이킹 오거(33) 및 레이킹 릴(61)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2 축(27)과,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 및 제 2 예취날 장치(50)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축(28)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축(26)과 제 2 축(27)과 제 3 축(28)을 전동용(傳動用)의 체인(12C)으로 연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이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상기 제 2 예취날 장치(50)를 구동하는 제 4 축(29)을 구비하고, 상기 제 4 축(29)과 상기 제 3 축(28)의 사이에 상기 제 3 축(28)의 일방향 회전을 제 4 축(29)의 왕복 회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28B)를 설치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의 예취장치이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상기 제 3 축(28)과 변환기구(28B)의 사이에 상기 제 3 축(28)으로부터 변환기구(28B)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 및 접속하는 클러치(28C)를 설치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의 예취장치이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상기 제 1 축(26)의 외측 단부와 제 2 축(27)과 제 3 축(28)을 공급장치(20)의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축(26)의 외측 단부에 구비한 제 1 스프로킷(26E)과, 상기 제 2 축(27)의 내측 단부에 구비한 제 2 스프로킷(27A)과, 상기 제 3 축(28)의 내측 단부에 구비한 제 3 스프로킷(28A)에 전동용의 단일의 체인(12C)을 감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의 예취장치이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상기 레이킹 릴(61)을 승강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를 레이킹 릴(61)의 회전축인 제 5 축(62)보다 전방측의 위치에 뒤가 내려가는 경사 자세로 배치하고,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의 상단부를 하강 상태의 레이킹 릴(6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 청구항 1∼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콤바인의 예취장치이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상기 레이킹 릴(61)을 승강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를 레이킹 릴(61)의 회전축인 제 5 축(62)보다 후방측의 위치에 뒤가 올라가는 경사 자세로 배치하고,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의 상단부를 하강 상태의 레이킹 릴(6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 청구항 1∼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콤바인의 예취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공급장치(20)의 후방부에 이 공급장치(20)로 구동력을 입력하는 제 1 축(26)을 구비하고, 공급장치(20)의 전방부에는 레이킹 오거(33) 및 레이킹 릴(61)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2 축(27)과, 횡방향 자세의 제 2 예취날 장치(50) 및 종방향 자세의 제 1 예취날 장치(80)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축(28)을 구비하고, 제 1 축(26)과 제 2 축(27)과 제 3 축(28)을 전동용의 체인(12C)으로 연동시켰으므로 수확 작업의 조건에 따라서 레이킹 릴(61) 및 레이킹 오거(33)의 회전 속도에 대하여 제 1 예취날 장치(80) 및 제 2 예취날 장치(50)의 구동 속도를 종래보다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고, 이렇게 구동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곡간(穀稈) 등의 줄기를 능률적으로 수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2 예취날 장치(50)를 구동하는 제 4 축(29)을 구비하고, 이 제 4 축(29)과 제 3 축(28)의 사이에 이 제 3 축(28)의 일방향 회전을 제 4 축(29)의 왕복 회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28B)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제 4 축(29)의 왕복 회동에 의해 제 2 예취날 장치(50)를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고, 또한 전동기구가 간소화되어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3 축(28)과 변환기구(28B)의 사이에 이 제 3 축(28)으로부터 변환기구(28B)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 및 접속하는 클러치(28C)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 3 축(28)으로부터 변환기구(28B)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해서 제 2 예취날 장치(50)와 제 1 예취날 장치(80)의 구동을 정지해서 안전성을 높이고, 수작업에 의해 예취된 곡간 등의 줄기를, 계속해서 구동 중의 레이킹 오거(33)에 투입함으로써 탈곡장치(4)로 반송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에 의한 예취를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1 축(26)의 외측 단부와 제 2 축(27)과 제 3 축(28)을 공급장치(20)의 외측에 배치하고, 제 1 축(26)의 외측 단부에 구비한 제 1 스프로킷(26E)과, 제 2 축(27)의 내측 단부에 구비한 제 2 스프로킷(27A)과, 제 3 축(28)의 내측 단부에 구비한 제 3 스프로킷(28A)에 전동용의 단일의 체인(12C)을 감고 있으므로, 이것들의 전동기구를 외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1 예취날 장치(80)를 레이킹 릴(61)의 회전축인 제 5 축(62)보다 전방측의 위치에 뒤가 내려가는 경사 자세로 배치하고, 이 제 1 예취날 장치(80)의 상단부를 하강 상태의 레이킹 릴(6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서로 얽힌 키가 큰 유채 등의 줄기를 긁어넣기 전에 능률적으로 절단해서 분리하여 원활하게 예취할 수 있고, 줄기의 인발에 의한 수확 로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1 예취날 장치(80)를 레이킹 릴(61)의 회전축인 제 5 축(62)보다 후방측의 위치에 뒤가 올라가는 경사 자세로 배치하고, 이 제 1 예취날 장치(80)의 상단부를 하강 상태의 레이킹 릴(6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서로 얽힌 줄기를 긁어넣기 전에 능률적으로 절단하면서 분리하여 원활하게 예취할 수 있고, 줄기의 인발에 의한 수확 로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범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예취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의 요부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의 선단부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의 선단부 배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전달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범용 콤바인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범용 콤바인(1)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의 하방에는 토양면을 주행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는 주행장치(3)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2)의 상방 좌측에는 탈곡·선별을 행하는 탈곡장치(4)가 설치되며, 탈곡장치(4)의 전방에는 포장의 줄기를 수확하는 예취 전처리장치(예취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장치(4)에서 탈곡·선별된 곡립은 탈곡장치(4)의 우측에 설치된 그레인 탱크(6)에 저장되고, 저장된 곡립은 양곡통(揚穀筒)과 횡이송통으로 이루어지는 배출통(도시생략)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기체 프레임(2)의 상방 우측에는 조작자가 탑승하는 조작석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예취 전처리장치(5)는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장치(20)와, 오거 장치(30)와, 횡 예취날 장치(횡방향 자세의 제 2 예취날 장치)(50)와, 레이킹 장치(60), 및 종 예취날 장치(종방향 자세의 제 1 예취날 장치)(8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그 동력 전달 구조를 나타낸다.
(공급장치)
공급장치(20)는 오거 장치(30)에 의해 반송된 벼, 보리, 대두, 메밀 등의 줄기를 탈곡장치(4)에 반송하는 장치이며, 오거 장치(30)와 탈곡장치(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장치(20)의 프레임체(21)에 있어서의 미예취측의 전방부에는 오거 장치(30)와 레이킹 장치(60)에 엔진(E)의 구동력(회전)을 전동하는 스프로킷(27A, 27B)을 지지하는 축(제 2 축)(27)과, 횡 예취날 장치(50)와 종 예취날 장치(80)에 엔진(E)의 회전을 전동하는 스프로킷(28A)과 변환기구(28B)를 지지하는 축(제 3 축)(28)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체(21)의 후방부에는 공급장치(20) 등에 엔진(E)의 회전을 전동하는 풀리(26A, 26B) 및 스프로킷(26C, 26D, 26E)을 지지하는 축(제 1 축)(26)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횡 예취날 장치(50)와 종 예취날 장치(80)의 구동을 정지하고 수작업 예취를 안전하게 행하기 위해, 엔진(E)의 회전을 전동하는 축(28)과 변환기구(28B)의 기초부 사이에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레버가 설치된 클러치(28C)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로킷(제 1 스프로킷)(26E), 스프로킷(제 2 스프로킷)(27A), 스프로킷(제 3 스프로킷)(28A)에는 전동용의 단일의 체인(12C)이 감겨 있고, 체인(12C)의 텐션은 스프로킷(26E, 27A)의 대략 사이에 설치된 텐션 암에 의해 소정의 범위로 조정되어 있다.
(오거 장치)
오거 장치(30)는 레이킹 장치(60)에 의해 긁어넣어진 줄기를 송입구(32)의 전방에 모아서 공급장치(20)에 인계하는 장치이며, 공급장치(20)의 전방에 배치되고, 범용 콤바인(1)의 기체의 전체 폭보다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다.
오거 장치(30)는 오거 프레임(31)과, 긁어넣어진 줄기를 송입구(32)의 전방에 모으는 레이킹 오거(3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거 프레임(31)은 좌우 한쌍의 측판과, 양 측벽의 후면을 연결하는 뒷판과, 양 측판의 일부 하면과 뒷판의 하면을 연결하는 저판에 의해 버킷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측판의 전단부에는 포장의 줄기를 분초(分草)하는 분초체(39, 39)가 설치되고, 뒷판의 좌측 하부에는 줄기를 공급장치(20)에 반송하는 송입구(32)가 형성되며, 저판의 전단부에는 줄기의 밑둥을 절단하는 횡 예취날 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양 측판의 상면은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뒤가 올라가게 경사져서 형성되고, 하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중간까지는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간으로부터 후방측은 하측을 향해서 원호 형상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뒷판은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저판은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측판의 하면을 따라 전방측으로부터 중간까지는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하측을 향해서 원호 형상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거 프레임(31)은 강재로 이루어지는 양 측판과 뒷판을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한장의 강재를 절단·절곡해서 일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측판 등의 형상은 상술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맞추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레이킹 오거(33)는 오거 프레임(31)의 양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레이킹 오거(33)의 외주에는 레이킹 장치(60)에 의해 긁어넣어진 줄기를 송입구(32)의 전방으로 모으는 방향으로 경사진 반송 나선(33A)이 고착되고, 레이킹 오거(33)에 있어서의 송입구(32)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줄기의 체류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레이킹 핑거(33B)가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레이킹 오거(33)를 지지하는 축(34)은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보다 좌측으로 연장되고, 축(34)의 좌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스프로킷(34A, 34B)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로킷(27B, 34A)에는 전동용의 체인(12D)이 감겨져 있다.
(횡 예취날 장치)
횡 예취날 장치(50)는 레이킹 장치(60)에 의해 긁어넣어진 줄기, 종 예취날 장치(80)에 의해 상부가 절단된 유채, 유채꽃 등의 키가 큰 줄기 등의 밑둥을 절단하는 장치이며, 오거 프레임(31)의 저판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완만하게 뒤가 올라가게 경사져 있다.
이 횡 예취날 장치(50)는 고정한 횡 하부날(52)과, 횡 하부날(52)을 지지하는 횡 예취날 플레이트(53)와, 횡 하부날(52)과 횡 예취날 플레이트(53)에 의해 형성된 간극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횡 상부날(51)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암(54)의 선단부는 횡 상부날(51)의 기초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후단부는 축(제 4 축)(29)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축(29)이 왕복 회동하면 요동 암(54)의 선단부는 축(29)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왕복 요동하고, 횡 상부날(51)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엔진(E)의 회전은 스프로킷(28A), 변환기구(28B) 등을 통해서 축(29)에 전동된다. 변환기구(28B)의 입력측에 전동된 엔진(E)의 회전은 변환기구(28B)의 기초부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설치된 편각 축부에 의해 왕복 회동으로 변환되고, 출력측에 접속된 축(29)을 이 축(29)의 축심 주위로 왕복 회동시킨다. 축(29)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요동 암(54)의 선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고, 횡 상부날(51)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횡 예취날 장치(50)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횡 상부날(51)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등을 저감시키기 위해 좌측에 위치하는 수평 상부날과 우측에 위치하는 수평 상부날을 각각 별체로 형성하고, 좌측의 수평 상부날과 우측의 수평 상부날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레이킹 장치)
레이킹 장치(60)는 쓰러진 줄기, 대두, 메밀 등의 키가 작은 줄기, 및 유채, 유채꽃 등의 키가 큰 줄기를 오거 장치(30)에 긁어넣는 장치이며, 오거 장치(30)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서 오거 장치(30)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레이킹 장치(60)는 레이킹 릴(61)과, 레이킹 릴(6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암(6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63)의 기초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양 측판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한 지지부(66)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6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부는 암(63)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등의 승강장치(67)의 선단부에 연결되며, 선단부에는 레이킹 릴(61)을 지지하는 축(제 5 축)(62)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승강장치(67)의 기단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66)에 축지지된 축(68)의 우측 단부에는 스프로킷(68A)이, 좌측 단부에는 스프로킷(68B)이 지지되고, 레이킹 릴(61)을 지지하는 축(62)의 우측부에는 스프로킷(62A)이 지지되어 있으며, 스프로킷(34B, 68B)에는 체인(12E)이 감기고, 스프로킷(62A, 68A)에는 전동용의 벨트(11C)가 감겨 있다.
레이킹 릴(61)은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대략 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5개소의 각 모서리부에는 타인 지지 레버(65)가 설치되고, 타인 지지 레버(65) 에는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릴 타인(64)이 매달려 있다. 또한, 레이킹 릴(61)은 암(63)의 선단부의 축(62)에 지지되어 있다.
(종 예취날 장치)
종 예취날 장치(80)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상방에서 서로 얽힌 줄기를 절단하는 장치이며, 종 예취날 장치(80)의 상단부는 레이킹 릴(61)의 축(62)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하단부는 분초체(39)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 예취날 장치(80)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서 완만하게 뒤가 내려가게 경사(경사각 약 60도)져서 설치되어 있다.
종 예취날 장치(80)는 줄기를 절단하는 고정된 종 하부날(82)과, 종 하부날(82)을 지지하는 종 예취날 플레이트(83)와, 종 하부날(82)과 종 예취날 플레이트(83)에 의해 형성된 간극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종 상부날(81)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암(84)의 선단부는 로드(84A)를 통해서 종 상부날(81)의 기초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기초부는 축(29)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요동 암(84)이 왕복 회동하면 로드(84A)의 선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고, 종 상부날(81)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엔진(E)의 회전은 스프로킷(28A), 변환기구(28B) 등을 통해서 축(29)에 전동된다. 변환기구(28B)의 입력측에 전동된 엔진(E)의 회전은 출력측에 접속된 축(29)을 이 축(29)의 축심 주위에서 왕복 회동시킨다. 축(29)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요동 암(84)의 선단부(좌측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고, 로드(84A)를 통해서 종 상부날(81)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종 예취날 장치(80)의 종 예취날 플레이트(83)의 상단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좌면으로부터 전방 상측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한 지지 프레임(85)의 선단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되고, 하단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좌면 앞측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85)의 기초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좌면에 지지된 지지부(86)의 홈에 끼워맞추고, 종 예취날 플레이트(83)와 지지 프레임(85)의 사이에는 금속제의 커버(87)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전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E)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주행장치(3)를 구동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10)에 입력되고, 이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10)로부터 출력된 동력의 일부가 전동용의 벨트(11A, 11B)를 통해서 풀리(26A, 26B)에 전동된다. 이 풀리(26A, 26B)는 공급장치(20)의 프레임체(21)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26)에 지지되어 있다. 풀리(26A, 26B)에 전동된 회전은 축(26)을 통해서 스프로킷(26C, 26D, 26E)에 전동된다. 또한, 축(26)은 기체 프레임(2) 또는 탈곡장치(4)의 전방측 부위에 좌우 방향 자세로 지지되어 있고, 이 축(26)에 의해 예취 전처리장치(5)가 승강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로킷(26C, 26D)과, 프레임체(21)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22)에 지지되어 있는 좌우 한쌍의 스프로킷(도시생략)에는 다수의 러그를 걸쳐놓은 좌우의 체인(줄기 반송용의 체인)(12A, 12B)이 감겨 있고, 스프로킷(26C, 26D)에 동력이 전동됨으로써 체인(12A, 12B)이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공급장치(20)의 전방의 송입구(32)로 이송된 줄기를 후방에 설치된 탈곡장치(4)로 반송할 수 있다.
스프로킷(26E)의 회전은 체인(12C)을 통해서 스프로킷(27A, 28A)에 전동된다. 스프로킷(27A, 28A)의 각각은 공급장치(20)의 프레임체(21)의 좌측(미예취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해서 배치된 축(27, 28)에 지지되어 있다. 축(28)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거 프레임(31)의 뒷판의 좌단부 배면측에 축받이되어 있다. 스프로킷(27A)에 전동된 회전은 축(27)을 통해서 스프로킷(27B)에 전동된다.
스프로킷(27B)에 전동된 회전은 체인(12D)을 통해서 스프로킷(34A)에 전동된다. 스프로킷(34A)은 오거 프레임(31)의 좌우의 측판 사이에 축지지되어 레이킹 오거(33)를 지지하는 축(34)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E)의 회전이 레이킹 오거(33)에 전동되고, 레이킹 장치(60) 등에 의해 오거 장치(30)에 긁어넣어진 줄기를 공급장치(20)의 전방의 송입구(32)로 이송할 수 있다.
스프로킷(34A)에 전동된 회전은 축(34)을 통해서 스프로킷(34B)에 전동된다. 스프로킷(34B)에 전동된 회전은 체인(12E)을 통해서 축(68)에 지지된 스프로킷(68B)에 전동된다. 축(68)은 오거 프레임(31)의 좌우의 측판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한 지지부(66)에 축지지되어 있다. 스프로킷(68B)에 전동된 회전은 축(68)을 통해서, 이 축(68)의 우단에 고정된 풀리(68A)에 전동된다.
풀리(68A)에 전동된 회전은 전동용의 벨트(11C)를 통해서 레이킹 장치(60)의 암(63)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62)에 고정된 풀리(62A)에 전동된다. 축(62)에는 레이킹 릴(61)이 지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엔진(E)의 회전이 레이킹 릴(61)에 전동되어 포장에 쓰러진 줄기, 키가 작은 줄기 등을 오거 장치(30)에 긁어넣을 수 있다.
스프로킷(28A)에 전동된 회전은 축(28)을 통해서 변환기구(28B)에 전동된다. 변환기구(28B)의 입력측에 전동된 회전은 변환기구(28B)의 기초부에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설치된 편각 축부에 있어서 대략 세차운동(歲差運動)으로 변환되고, 축(29)의 왕복 회동으로서 출력된다. 즉, 전후 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이 변환기구(28B)의 케이스부의 상하 단부는 좌우 방향[축(28)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 요동운동한다. 축(29)의 후단부에는 상하의 암(29A)이 부착되어 있고, 이 암(29A)의 후단부에 의해 변환기구(28B)의 케이스부의 상하 단부로부터 돌출된 핀(28P)이 축받이되어 있다.
변환기구(28B)에 전동되고, 변환기구(28B)에 의해 왕복 회동으로 변환된 회전은 축(29)을 통해서 횡 예취날 장치(50)의 요동 암(54)과 종 예취날 장치(80)의 요동 암(84)에 전동된다. 또한, 축(29)의 전단부에는 횡 예취날 장치(50)의 횡 상부날(51)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 암(54)과 종 예취날 장치(80)의 종 상부날(81)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요동 암(8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E)의 회전이 횡 예취날 장치(50)의 횡 상부날(51)에 전동 되어 레이킹 릴(61)에 의해 긁어넣어진 줄기의 밑둥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엔진(E)의 회전이 종 예취날 장치(80)의 종 상부날(81)에 전동되어 유채, 유채꽃 등의 키가 큰 줄기를 절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종 예취날 장치(80A)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상방에서 서로 얽힌 유채, 유채꽃 등의 키가 큰 줄기를 절단하는데에 적합한 장치이다. 종 예취날 장치(80A)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길이가 제 1 실시형태의 종 예취날 장치(80)보다 길게 형성되고, 레이킹 장치(60)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종 예취날 장치(80A)의 상단부는 레이킹 릴(61)의 축(62)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하단부는 분초체(39)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 예취날 장치(80A)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서 뒤가 내려가게 경사(경사각 약 75도)져서 설치되어 있다.
종 예취날 장치(80A)의 종 예취날 플레이트(83)의 상단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상면으로부터 전방 상측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한 지지 프레임(85A)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좌면 앞측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85A)의 기초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엔진(E)의 회전은 스프로킷(26E), 체인(12C)을 통해서 스프로킷(27A, 28A)에 전동된다. 스프로킷(27A, 28A)은 각각 공급장치(20)의 프레임체(21)의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축(27, 28)에 지지되어 있다.
스프로킷(28A)에 전동된 회전은 축(28)을 통해서 풀리(28D)에 전동된다. 풀리(28D)에 전동된 회전은 벨트(12F)를 통해서 풀리(24A)에 전동된다. 풀리(24A)는 공급장치(20)의 프레임체(21)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24)에 지지되어 있다. 풀리(24A)에 전동된 회전은 축(24)을 통해서 변환기구(28B)에 전동된다. 변환기구(28B)의 입력측에 전동된 회전은 왕복 회동으로 변환되고, 변환기구(28B)의 출력측의 축(29)을 이 축(29)의 축심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시킨다.
요동 암(54)의 선단부는 횡 상부날(51)의 기초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기초부는 축(29)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축(29)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요동 암(54)의 선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요동해서 횡 상부날(51)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요동 암(84)의 선단부는 종 상부날(81)의 기초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기초부는 축(29)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축(29)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요동 암(84)의 선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해서 종 상부날(81)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종 예취날 장치(80B)는 종 예취날 장치(80B)의 무게중심을 기체에 근접시켜서 절단시에 발생하는 진동, 소음을 저감한 장치이다. 종 예취날 장치(80B)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길이가 제 1 실시형태의 종 예취날 장치(80)보다 길게 형성되고, 레이킹 장치(60)의 상단부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종 예취날 장치(80B)의 상단부는 레이킹 릴(61)의 축(62)보다 후방에 설치되고, 하단부는 분초체(39)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 예취날 장치(80B)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서 뒤가 올라가게 경사(경사각 약 75도)져서 설치되어 있다.
종 예취날 장치(80B)의 종 예취날 플레이트(83) 상하 방향의 중간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상면으로부터 전방 상측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한 지지 프레임(85B)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좌면 앞측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85B)의 기초부는 오거 프레임(31)의 좌측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엔진(E)의 회전은 스프로킷(26E), 체인(12C)을 통해서 스프로킷(27A, 28A)에 전동된다. 스프로킷(27A, 28A)은 각각 공급장치(20)의 프레임체(21)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27, 28)에 지지되어 있다.
스프로킷(28A)에 전동된 회전은 축(28)을 통해서 풀리(28D)에 전동된다. 풀리(28D)에 전동된 회전은 벨트(12F)를 통해서 풀리(24A)에 전동된다. 풀리(24A)는 공급장치(20)의 프레임체(21)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24)에 지지되어 있다. 풀리(24A)에 전동된 회전은 축(24)을 통해서 변환기구(28B)에 전동된다. 변환기구(28B)의 입력측에 전동된 회전은 왕복 회동으로 변환되고, 변환기구(28B)의 출력측의 축(29)을 이 축(29)의 축심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시킨다.
요동 암(54)의 선단부는 횡 상부날(51)의 기초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기초부는 축(29)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축(29)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요동 암(54)의 선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요동해서 횡 상부날(51)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또한, 요동 암(84)의 선단부는 종 상부날(81)의 기초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기초부는 축(29)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축(29)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요동 암(84)의 선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해서 종 상부날(81)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4 : 탈곡장치 5 : 예취 전처리장치(예취장치)
12C : 체인 20 : 피더 하우스(공급장치)
26 : 축(제 1 축) 26E : 스프로킷(제 1 스프로킷)
27 : 축(제 2 축) 27A : 스프로킷(제 2 스프로킷)
28 : 축(제 3 축) 28A : 스프로킷(제 3 스프로킷)
28B : 변환기구 28C : 클러치
29 : 축(제 4 축) 32 : 송입구
33 : 레이킹 오거
50 : 횡 예취날 장치(횡방향 자세의 제 2 예취날 장치)
61 : 레이킹 릴 62 : 축(제 5 축)
80 : 종 예취날 장치(종방향 자세의 제 1 예취날 장치)

Claims (6)

  1. 줄기를 긁어넣는 레이킹 릴(61)과, 예취 대상인 줄기와 예취 대상 밖인 줄기를 절단해서 분리하는 종방향 자세의 제 1 예취날 장치(80)와, 예취 대상인 줄기를 예취하는 횡방향 자세의 제 2 예취날 장치(50)와, 예취된 줄기를 송입구(32)로 반송하는 레이킹 오거(33)와, 상기 송입구(32)에 반송된 줄기를 탈곡장치(4)에 보내주는 공급장치(20)를 구비한 콤바인의 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20)의 후방부에 상기 공급장치(20)로 구동력을 입력하는 제 1 축(26)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장치(20)의 전방부에는 상기 레이킹 오거(33) 및 레이킹 릴(61)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2 축(27)과,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 및 제 2 예취날 장치(50)측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축(28)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축(26)과 제 2 축(27)과 제 3 축(28)을 전동용의 체인(12C)으로 연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취날 장치(50)를 구동하는 제 4 축(29)을 구비하고, 상기 제 4 축(29)과 상기 제 3 축(28)의 사이에 상기 제 3 축(28)의 일방향 회전을 제 4 축(29)의 왕복 회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구(28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축(28)과 변환기구(28B)의 사이에 상기 제 3 축(28)으로부터 변환기구(28B)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 및 접속하는 클러치(28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26)의 외측 단부와 제 2 축(27)과 제 3 축(28)을 공급장치(20)의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축(26)의 외측 단부에 구비한 제 1 스프로킷(26E)과, 상기 제 2 축(27)의 내측 단부에 구비한 제 2 스프로킷(27A)과, 상기 제 3 축(28)의 내측 단부에 구비한 제 3 스프로킷(28A)에 전동용의 단일의 체인(12C)을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킹 릴(61)을 승강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를 상기 레이킹 릴(61)의 회전축인 제 5 축(62)보다 전방측의 위치에 뒤가 내려가는 경사 자세로 배치하며,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의 상단부를 하강 상태의 레이킹 릴(6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킹 릴(61)을 승강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를 상기 레이킹 릴(61)의 회전축인 제 5 축(62)보다 후방측의 위치에 뒤가 올라가는 경사 자세로 배치하며, 상기 제 1 예취날 장치(80)의 상단부를 하강 상태의 레이킹 릴(6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장치.
KR1020130045415A 2012-04-27 2013-04-24 콤바인의 예취장치 KR101506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2556A JP2013230089A (ja) 2012-04-27 2012-04-27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012103047A JP2013230097A (ja) 2012-04-27 2012-04-27 汎用コンバイン
JPJP-P-2012-103047 2012-04-27
JPJP-P-2012-102556 2012-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34A true KR20130121734A (ko) 2013-11-06
KR101506523B1 KR101506523B1 (ko) 2015-03-27

Family

ID=4937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15A KR101506523B1 (ko) 2012-04-27 2013-04-24 콤바인의 예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506523B1 (ko)
CN (2) CN103371023B (ko)
MY (1) MY171429A (ko)
TW (1) TWI5946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566A (ko) * 2014-09-01 2016-03-1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풀피드형 콤바인의 예취부 동력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4691B (zh) * 2012-04-27 2017-08-11 Iseki Agricult Mach Harvester Combine Harvester
CN106612908A (zh) * 2016-12-29 2017-05-10 见保林 秸秆粉碎均匀且防碎秆飞溅的升降式下割台
KR102018574B1 (ko) 2017-11-20 2019-09-09 함영철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874B2 (ja) * 1991-02-28 2002-01-1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H0750918A (ja) * 1993-08-18 1995-02-28 Iseki &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動力伝達装置
JP3409395B2 (ja) * 1993-11-10 2003-05-2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0348801B1 (ko) * 1998-12-21 2002-12-11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예취부의자동상승기능및예취피드체인의연동멈춤기능을갖는콤바인
JP3959101B2 (ja) * 2006-05-02 2007-08-1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8245610A (ja) * 2007-03-30 2008-10-1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5155789B2 (ja) * 2008-09-12 2013-03-06 株式会社クボタ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1131819B1 (ko) * 2009-08-31 2012-03-3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예취장치
TWI594691B (zh) * 2012-04-27 2017-08-11 Iseki Agricult Mach Harvester Combine Harve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566A (ko) * 2014-09-01 2016-03-1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풀피드형 콤바인의 예취부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523B1 (ko) 2015-03-27
CN103371023B (zh) 2016-03-16
MY171429A (en) 2019-10-14
TWI594691B (zh) 2017-08-11
TW201345408A (zh) 2013-11-16
CN203243710U (zh) 2013-10-23
CN103371023A (zh)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5699A (zh) 联合收割机
KR20130121734A (ko) 콤바인의 예취장치
KR20120030350A (ko) 주행차량
JP2013153656A (ja) コンバイン
CN101411266A (zh) 一种装有扶倒装置的全喂入式联合收割机
JP2014124182A (ja) コンバイン
JP5843632B2 (ja) コンバイン
JP6542107B2 (ja) コンバイン
CN101773021B (zh) 玉米穗茎联合收获机
JP2014000032A (ja) コンバイン
CN104394682B (zh) 联合收割机
JP2012231680A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CN104135847A (zh) 联合收割机
JP5355241B2 (ja) 走行車両
JP2016067260A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3153654A (ja) コンバイン
CN104303712A (zh) 一种马铃薯捡拾机
JP2014068586A (ja) コンバイン
JP2015181447A (ja) コンバイン
CN104780753A (zh) 联合收割机
JP2013059283A (ja) コンバイン
CN201135039Y (zh) 一种全喂入式收割机割台
JP2020080715A (ja) コンバイン
JP2020080716A (ja) コンバイン
JP588508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