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545A -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545A
KR20130120545A KR1020137023688A KR20137023688A KR20130120545A KR 20130120545 A KR20130120545 A KR 20130120545A KR 1020137023688 A KR1020137023688 A KR 1020137023688A KR 20137023688 A KR20137023688 A KR 20137023688A KR 20130120545 A KR20130120545 A KR 2013012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ation
area
displaying
chassis dynamomet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082B1 (ko
Inventor
켄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2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준비운전시 발생되는 기계적인 손실을 계측하기 위해 일정속도 하에서 준비운전이 실행되는 경우, 설정된 운전시간, 차속 등과 운전상황이 한 창에 표시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제어장치단말부에 위치한 상단표시화면의 조작표시부는 준비운전창기능부를 호출하기 위한 준비창호출영역을 가진 메뉴기능부를 포함한다. 준비운전창기능부는 준비운전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준비조건설정부, 준비운전을 패턴으로 표시하기 위한 계측플로우표시부, 준비운전시 발생되는 제동력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트랜드표시영역, 계측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판정표시영역을 갖는 계측상황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Warm-up Operation Display Device of Chassis Dynamometer System}
본 발명은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개략구성도를 나타낸다.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개략구성도를 나타낸다.
부호 Rf는 피시험차량의 전륜이 실릴 전륜용 로울러를 나타낸다. 부호 Rr은 피시험차량의 후륜이 실릴 후륜용 로울러를 나타낸다. 전후륜용 로울러(Rf, Rr)에는 다이나모미터(도시생략)가 부하로서 연결된다. 부호 IV1, IV2는 인버터보드를 나타내며, 미리 설정된 설정치, 속도검출기 Sd에 의해 검출된 속도신호 등에 기초하여 인버터보드를 통해 각 다이나모미터가 제어된다. 부호 PLC는 송풍기 Bl과 같은 보조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개폐기를 온/오프제어할 개폐기패널을 나타낸다. 부호 Op는, 시퀀서와 같은 제어장치부를 나타낸다. 제어장치부의 설정 및 조작은 제어장치단말부(PC)를 통해 이뤄진다. 제어장치부(Op), 제어장치단말부(PC) 등은 조작테이블(操作卓:console)을 구성한다.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으로 차량의 평가시험을 행하는 경우, 섀시다이나모미터 단체(單體) 혹은 섀시다이나모미터와 차량 모두의 기계손실을 안정화하기 위해 일정속도로 소정시간동안 섀시다이나모미터 단체 혹은 섀시다이나모미터와 차량 모두의 준비운전을 행한다. 준비운전은 특허문헌 1에 기술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으로 평가시험을 행하는 경우, 제어장치단말부(PC)에 제공된 표시화면을 보면서 소정의 평가시험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평가시험시 준비운전의 운전시간, 차속 등의 설정과 그 설정에 기초한 현재 운전상황 및 준비운전의 결과를 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준비운전시 조작성이 악화되고, 조작자에 의한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난다.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 평 10-2819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치와 현재 운전상황을 파악하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준비운전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조작테이블로부터 준비대상물로 출력되는 조작지령을 통해 섀시다이나모미터 단체 혹은 섀시다이나모미터와 피시험차량 모두를 일정속도로 준비운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작테이블의 화면상으로 준비운전창을 호출하기 위한 준비창호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준비운전창이, 준비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준비조건설정부; 준비운전을 패턴으로 표시하기 위한 계측플로우표시부; 및 준비운전의 계측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판정표시영역을 가진 계측상황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는, 상기 준비운전창이 준비운전시 발생되는 제동력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트랜드표시영역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는, 상기 준비조건설정부가 섀시다이나모미터운전 또는 차량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운전방법설정영역과, 설정된 준비시간, 차속설정치 및 안정판정기준치를 표시하기 위한 준비설정영역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는, 상기 계측상황표시부가 차속모니터영역 또는 제동력모니터영역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는, 상기 계측플로우표시부가 현재 운전상황을 패턴상으로 표현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준비운전표시장치의 준비운전창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전표시장치의 조작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작표시부의 톱메뉴기능부의 기능구성도이다.
도 4는 섀시다이나모미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표시장치의 제어장치단말부에 구축된 조작표시부와, 조작표시부의 화면표시형태(조작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조작표시부의 메인메뉴표시부는, 메뉴기능부(1), 섀시다이나모미터의 기기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기능부(기기상태표시기)(2), 조작잠금기능부(조작잠금을 위한 버튼)(3),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4) 및 기기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5)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기능부와 기능버튼그룹은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패널 조작을 통해 선택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뉴기능부(1)는, 차량 ID화면호출영역, 경보설정화면호출영역, 메인테난스메뉴호출영역, 준비창호출영역, 모니터창호출영역 및 계측창호출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준비창호출영역에 의해 호출된 준비운전창의 구성도이다. 부호 10은 준비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준비조건설정부를 나타낸다. 준비조건설정부(10)는 섀시다이나모미터 단체 운전 또는 섀시다이나모미터와 차량 동시 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운전방법설정영역(10a)과 설정된 준비시간, 설정차속치 및 안정판정기준치를 입력 및 표시하기 위한 준비조건설정영역(10b)으로 이루어진다.
부호 12는 준비운전실행패턴과 현재 운전상황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계측플로우표시부(운전상황표시기)를 나타낸다. 계측플로우표시부(12)는 가속, 일정속, 감속의 계측패턴으로 이루어진 조합된 패턴을 구비하고, 현재 계측의 진행위치에 따라 조합된 패턴상의 가속, 일정속, 감속의 계측패턴에 따라 표시기의 색채, 컨트라스트 등을 변화시켜, 계측의 진행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부호 13은 운전상황의 트랜드를 표시하기 위한 트랜드표시영역(도표)을 나타낸다. 트랜드표시영역(13)은 운전시간에 따른 제동력(검출토크)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횡축이 시간을 의미하고, 종축은 제동력을 의미하는 그래프로 나타내어진다. 부호 14는 차속을 아날로그로 계측하여 표시하는 차속모니터영역(차속모니터)을 나타낸다. 부호 15는 제동력모니터영역(제동력모니터)을 나타낸다. 부호 16은 계측결과를 표시하고, 구체적으로 잔여 시간, 준비 완료 여부 판정 및 제동력 안정 여부 판정을 표시하는 판정표시영역(결과표시기)을 나타낸다. 부호 17은 준비운전의 개시 및 강제종료를 스위치(버튼) 조작을 통해 실행하는 조작스위치영역(조작버튼)을 나타낸다. 계측상황표시부(11)를 구성하는 부분들(14~16) 중, 차속모니터영역(14)과 제동력모니터영역(15)의 아날로그표시는 계측플로우표시부와 트랜드표시영역에서도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난 상태표시기능부(2)는, 현재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태표시기능부(2)는 전후로울러 사용/비사용을 표시하는 표시영역(21), 차속표시영역(22) 및 냉각팬 사용/비사용을 표시하는 표시영역(23)으로 이루어진다.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4)에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가 위치한다.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는 수동조작창 호출기능부(50) 및 냉각팬 동작모드 선택기능부(60)로 이루어진다. 기기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5)은, 냉각팬 온/오프선택기능, 로울러의 잠금/해제선택기능, 보조기기 온/오프선택기능, 다이나모미터 전원 온/오프선택기능과 같은 시험설비의 기기를 직접제어하는 선택기능들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메뉴기능부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자가 운전표시장치에 전원을 투입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작표시부의 창이 나타난다. 상태표시기능부(2)에는 현재 설정된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설정상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지난시험시 설정된 차종이 전륜구동차이고, 지난시험시 설정된 섀시다이나모미터의 로울러는 전륜구동을 위한 로울러일 경우, 상태표시기능부(2)에 표시된 전후로울러 아이콘 중 전로울러 아이콘만 밝기가 증가되어(도 2에서 사선으로 표시), 전로울러 아이콘의 표시상태가 후로울러 아이콘과 다르게 표시된다.
상태표시기능부(2)의 냉각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3) 내에서, 로울러(차량) 전방에 위치한 냉각팬이 ON 상태인 경우, 냉각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3)에서 냉각팬을 모의한 도형이 밝게 표시된다. 따라서, 냉각팬의 ON 상태를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가 있다.
나아가, 시험상태의 차속이 차속표시영역(22)에 디지털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냉각팬이 OFF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기기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5)에 위치한 냉각팬 온/오프 선택기능(버튼)을 클릭을 통해 OFF 상태로 전환하여 냉각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3)의 냉각팬을 모사한 밝은 도형을 즉시 소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화면의 조작표시부 상단에 상태표시기능부(2)가 위치함으로써, 시험시 현재 기기구성 및 속도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냉각팬 온/오프상태의 변경이 즉시 반영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준비운전표시장치의 준비운전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준비운전실행시, 메뉴기능부(1)가 선택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난 기능호출창이 표시된다. 그 후, 기능호출창의 준비창호출영역(Warm up)이 선택되면, 도 1에 나타난 준비창구성도가 표시된다. 호출 시점에 준비조건설정부(10)는 입력가능상태이다. 이 시점에, 운전방법설정영역(10a)에서, 섀시다이나모미터 단체 준비운전 혹은 섀시다이나모미터와 차량의 동시 준비운전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운전방법으로 섀시다이나모미터 단체의 준비운전이 실행되는 경우, 선택버튼(CHDY)이 클릭되어 선택버튼(라디오버튼)에 선택 표시가 된다. 그 후, 준비설정영역(10b)에서, 각 설정치가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제어장치단말부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다. 도 1에 나타난 실시형태의 예에서, 준비시간은 60분, 차속설정치는 80km/h, 안정판단기준치는 5N으로 설정되었고, 설정치가 준비설정영역(10b)에 표시되었다.
설정이 종료되면, 조작스위치영역(17)의 스타트버튼을 선택하여 준비운전을 개시한다. 또한, 스타트버튼이 선택될 때, 준비조건설정부(10)에서 설정된 설정치는 고정되어, 준비종료시까지 변경이 불가능하다. 준비운전 중 설정치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조작스위치영역(17)의 스탑버튼을 선택하여, 준비운전을 강제종료시키면, 조작자가 준비조건설정을 재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준비운전이 개시되면, 가속과정, 일정속도주행과정 등의 운전과정이 계측플로우표시부(12)에 표시되어, 진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운전과정중 차속 및 제동력이 실시간으로 차속모니터영역(14) 및 제동력모니터영역(15)에 각각 표시되어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시간에 따른 제동력을 트랜드표시영역(13)에서 시계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방법설정영역(10a)에서 설정된 준비대상물이 일정속도(80km/h)로 준비운전될 때, 제동력(기계손실 등) 안정화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판정표시영역에서, 잔여시간이 수치적으로 표시되고, 준비완료여부의 판정 및 제동력안정여부의 판정이 각각 "OK" 또는 "NG" 문자로 표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비운전표시장치에서, 준비운전을 위한 설정부터 계측 과정과 계측의 종료, 계측결과의 판정까지를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작업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그에 따라, 조작자에 의한 준비운전표시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되고, 준비운전의 조건설정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조작자에 의한 오조작이 억제되고, 계측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Claims (5)

  1.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조작테이블로부터 준비대상물로 출력되는 조작지령을 통해 섀시다이나모미터 단체 혹은 섀시다이나모미터와 피시험차량 모두를 일정속도로 준비운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작테이블의 화면상으로 준비운전창을 호출하기 위한 준비창호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준비운전창이,
    준비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준비조건설정부;
    준비운전을 패턴으로 표시하기 위한 계측플로우표시부; 및
    준비운전의 계측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판정표시영역을 가진 계측상황표시부를 포함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운전창이 준비운전시 발생되는 제동력을 시계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트랜드표시영역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조건설정부가 섀시다이나모미터운전 또는 차량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운전방법설정영역과, 설정된 준비시간, 차속설정치 및 안정판정기준치를 표시하기 위한 준비설정영역을 구비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상황표시부가 차속모니터영역 또는 제동력모니터영역을 구비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플로우표시부가 현재 운전상황을 패턴상으로 표현하는 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KR1020137023688A 2011-03-04 2012-03-02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KR101461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7121A JP5252005B2 (ja) 2011-03-04 2011-03-04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暖機運転表示装置
JPJP-P-2011-047121 2011-03-04
PCT/JP2012/055453 WO2012121170A1 (ja) 2011-03-04 2012-03-02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暖機運転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545A true KR20130120545A (ko) 2013-11-04
KR101461082B1 KR101461082B1 (ko) 2014-11-13

Family

ID=4679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688A KR101461082B1 (ko) 2011-03-04 2012-03-02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3022B2 (ko)
JP (1) JP5252005B2 (ko)
KR (1) KR101461082B1 (ko)
CN (1) CN103415759B (ko)
WO (1) WO2012121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6823B2 (ja) 2011-03-04 2013-06-12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操作表示装置
JP5206824B2 (ja) 2011-03-04 2013-06-12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慣性検証装置
JP6799047B2 (ja) * 2018-11-19 2020-12-0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暖機運転評価装置、暖機運転評価方法及び暖機運転評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032A (ja) 1986-09-05 1988-03-26 株式会社 北陸地所 サザエ及びアワビ育成礁
JP2736974B2 (ja) 1988-07-08 1998-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試験装置
JPH04184135A (ja) * 1990-11-19 1992-07-01 Horiba Ltd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装置
JP2580940Y2 (ja) 1992-04-23 1998-09-17 株式会社明電舎 シヤシダイナモメータのダイナモメータ制御盤
JPH08278232A (ja) * 1995-04-10 1996-10-22 Meidensha Corp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におけるメカロス設定方法
JPH10281940A (ja) 1997-04-05 1998-10-23 Horiba Ltd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
JP3800792B2 (ja) * 1998-02-25 2006-07-26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制御回路
CA2441624C (en) * 2001-03-20 2011-05-24 Snap-On Technologies, Inc. Diagnostic director
JP4039296B2 (ja) 2003-04-07 2008-01-30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慣性負荷の検証方式
JP4181451B2 (ja) 2003-06-23 2008-11-12 株式会社小野測器 車両測定装置
JP3828129B2 (ja) * 2004-09-06 2006-10-04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自動車排ガス測定システム
US7778748B2 (en) 2005-11-18 2010-08-17 Ford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vehicle suspension
JP4893193B2 (ja) 2006-09-27 2012-03-07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制御装置
JP4893387B2 (ja) 2007-03-13 2012-03-07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走行抵抗制御装置
JP5169600B2 (ja) * 2008-01-21 2013-03-27 株式会社明電舎 ドライバーズエイド
JP5319434B2 (ja) 2009-07-22 2013-10-16 株式会社明電舎 ドライバーズエイド装置
JP5206823B2 (ja) 2011-03-04 2013-06-12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操作表示装置
JP5206824B2 (ja) 2011-03-04 2013-06-12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慣性検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15759B (zh) 2016-03-23
JP5252005B2 (ja) 2013-07-31
US9063022B2 (en) 2015-06-23
CN103415759A (zh) 2013-11-27
US20130333486A1 (en) 2013-12-19
KR101461082B1 (ko) 2014-11-13
JP2012184979A (ja) 2012-09-27
WO2012121170A1 (ja)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498B1 (ko)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CA2304044C (en) Diagnosing malfunctions in materials handling vehicles
KR101483578B1 (ko)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용 관성 검증 장치
US8825275B2 (en) Trouble diagnosis device
KR101779355B1 (ko) 전자식 액셀 페달을 이용한 차량의 드라이브 성능 테스트 장치
KR101461082B1 (ko)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EP3179226A1 (en) Vehicle speed pattern display device, program used therefor, running test method, and auto-driving device
EP3051268A1 (en) Driving mode display device, driving mode display program, and vehicle test system
CN101676702B (zh) 用于平衡车辆车轮的平衡机器
US20070032927A1 (en) Automotive scan tool printer emulation
JP201204096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723762B2 (ja) 部品の自動品質検査装置
JP4893387B2 (ja)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走行抵抗制御装置
CN113484029B (zh) 一种智能化的汽车部件检测系统
KR0173584B1 (ko) 차량의 고장진단방법
JPH06323961A (ja) 多機能型表示媒体
JP5226444B2 (ja) モニタリング装置
JP2002351534A (ja) コントローラ機能検査装置
JP2860006B2 (ja) 部品の品質検査方案作成システムの実験方案作成方法
JPH11281551A (ja) 材料試験機
JPS61249148A (ja) プログラムのトレ−ス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