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498B1 -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498B1
KR101447498B1 KR1020137023682A KR20137023682A KR101447498B1 KR 101447498 B1 KR101447498 B1 KR 101447498B1 KR 1020137023682 A KR1020137023682 A KR 1020137023682A KR 20137023682 A KR20137023682 A KR 20137023682A KR 101447498 B1 KR101447498 B1 KR 10144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e
vehicle type
display
sett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544A (ko
Inventor
켄지 와타나베
유키마사 마네키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2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24Devices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power, e.g. by measuring and simultaneously multiplying the values of torque and revolutions per unit of time, by multiplying the values of tractive or propulsive force and velo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04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a single specific parameter not covered by groups G01M15/06 - G01M15/12
    • G01M15/04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a single specific parameter not covered by groups G01M15/06 - G01M15/12 by monitoring power, e.g. by operating the engine with one of the ignitions interrupted; by using acceleration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피시험차종에 따라 섀시다이나모미터의 로울러와 섀시다이나모미터를 변경하는 경우 조작성의 강화가 요구된다. 기기구성을 표시하는 상태표시기능부가 조작테이블에 있는 메인메뉴표시부에 위치한다. 이 구성으로, 현재 시험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가 메인메뉴표시부의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에 위치한다.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에 의해 호출된 차종선택창은 차종에 맞는 로울러를 선택하기 위한 로울러 선택영역, 현재 설정기기구성을 나타내는 설정표시영역 및 설정변경중 설정기기구성을 나타내는 설정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Operation Display Device of Chassis Dynamometer System}
본 발명은,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시험차종 등에 기초한 조작창(operation window)을 가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개략구성도를 나타낸다.
부호 Rf는 피시험차량의 전륜이 실릴 전륜용 로울러를 나타낸다. 부호 Rr은 피시험차량의 후륜이 실릴 후륜용 로울러를 나타낸다. 전후륜용 로울러(Rf, Rr)에는 다이나모미터(도시생략)가 부하로서 연결된다. 부호 IV1, IV2는 인버터보드를 나타내며, 미리 설정된 설정치, 속도검출기 Sd에 의해 검출된 속도신호 등에 기초하여 인버터보드를 통해 각 다이나모미터가 제어된다. 부호 PLC는 송풍기 Bl과 같은 보조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개폐기를 온/오프제어할 개폐기패널을 나타낸다. 부호 Op는, 시퀀서, 컨트롤러 등과 같은 제어부와 연산부가 수납되는 제어장치부를 나타낸다. 제어장치부의 설정 및 조작은 제어장치단말부(PC)를 통해 이뤄진다. 제어장치부(Op), 제어장치단말부(PC) 등은 조작테이블(操作卓:console)을 구성한다.
도 5에 나타난 섀시다이나모미터로 시험할 차량의 구동방식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구동방식에 따라 부하로서의 다이나모미터에 연결된 로울러의 관계가 다르다.
도 6은 차종과 로울러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6(a) ~ (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종에는 전륜구동, 후륜구동, 전륜구동-후륜추종, 후륜구동-전륜추종, 풀타임 4WD 및 리지드 4WD가 있다. 차종이 전륜구동(FWD)인 경우,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륜인 전륜측의 로울러만 회전하거나,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륜측 로울러가 회전하고 전륜측 로울러의 회전을 후륜측 로울러가 추종한다.
이와 유사하게, 차종이 후륜구동(RWD)인 경우, 도 6(b) 또는 도 6(d)에 나타난 관계를 갖는다. 차종이 사륜구동(4WD)인 경우, 도 6(e) 또는 도(f)에 나타난 관계를 갖는다.
섀시다이나모미터를 사용하여 연비 혹은 배기가스를 계측하는 경우, 시험장치로 차종고유의 섀시다이나모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험설비의 수가 많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사용될 사륜구동 차량용 섀시다이나모미터의 로울러들의 조합을 바꾸는 방법으로 시험이 이루어진다.
한편, 연비 혹은 배기가스 계측시, 일반적으로 섀시다이나모미터의 로울러가 설치되는 장소(시험현장)와 시험용 조작테이블의 설치위치는, 조작자의 안전, 소음 등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별도의 방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조작테이블 측에서 조작자가 실제 동작되는 로울러의 동작상황과 피시험차량의 차종이 서로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조작테이블과 섀시다이나모미터가 같은 방에 설치되더라도, 섀시다이나모미터의 로울러는 피트 내(지하)에 설치되고, 차의 타이어에는 안전울타리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의 확인이 곤란하다.
따라서, 시험 시작시, 피시험차종과 사용하는 로울러의 조합이 서로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냉각팬의 온/오프상태와 같은 기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기계적 손실(mechanical loss)의 계측결과를 나타낸 창(window)의 예와 다른 창의 예가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피시험차종의 선택과, 선택한 차종과 함께 사용할 로울러의 결정 및 이에 대한 표시방법이 언급되지 않고 있다.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 2008-2244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시험차종과 함께 사용할 로울러의 결정 등과 같은 선택정보를 조작테이블에 표시할 수 있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에서 섀시다이나모미터는, 피시험차량을 로울러 위에 실어 시험을 행할 때, 인버터를 통해 로울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포함하고, 조작표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부의 설정이 이루어지는 조작창을 포함하고, 조작창은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설정상태로서 전, 후 로울러의 사용/비사용을 표시하는 상태표시기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에서, 상태표시기능부가, 냉각팬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영역 또는 피시험차량의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영역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에서, 상기 조작창이 메인메뉴표시부와 서브메뉴표시부로 이루어지고, 메인메뉴표시부가 상태표시기능부에 더하여 조작잠금기능부,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 및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을 표시하는 창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에서, 상기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이 차종선택창을 호출하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를 구비하고,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에 의해 호출된 차종선택창은 피시험차량에 맞는 로울러를 선택하기 위한 로울러 선택영역, 현재 사용되는 로울러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현재설정표시영역 및 이전에 사용된 로울러의 설정상태가 피시험차종에 맞는 로울러의 설정상태로 변경되는 설정변경중 상태를 표시하는 설정변경중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지고, 로울러 선택영역, 현재설정표시영역 및 설정변경중표시영역이 동일한 창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따른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에서, 상기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이 차종선택창을 호출하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를 포함하고,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에 의해 호출된 차종선택창은, 피시험차량의 구동방식을 각각 전륜구동, 후륜구동 및 사륜구동으로 표시하는 전륜구동표시영역, 후륜구동표시영역 및 사륜구동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전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전륜구동-후륜추종 로울러 선택영역을 포함하고, 후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후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후륜구동-전륜추종 로울러 선택영역을 포함하고, 사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풀타임 4WD 로울러 선택영역 및 리지드 4WD 로울러 선택영역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표시장치의 메인메뉴표시부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조작표시장치의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의 현재 설정상태도이다.
도 3은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의 설정상태가 변경중일 때의 상태도이다.
도 4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의 변경 후의 상태도이다.
도 5는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6은 피시험차량의 종류와 피시험차량에 사용될 로울러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표시장치의 조작테이블에 구축된 조작표시부의 조작창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메인메뉴표시부는 메뉴기능부(1),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기능부(2), 조작잠금기능부(3),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4) 및 기기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5)을 구비한다. 각 기능부와 기능버튼그룹은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패널 조작을 통해 선택된다.
메뉴기능부(1)는, 도면에는 생략되었지만, 차종 ID, 경보설정, 메인테난스설정, 웜업(warm-up) 설정 및 계측모니터표시 호출수단을 포함한다.
상태표시기능부(2)는 현재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태표시기능부(2)는 전, 후 로울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1), 차속표시영역(22) 및 냉각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3)을 포함한다.
조작잠금기능부(3)에서는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4)과 온/오프설정전환기능버튼그룹(5)의 조작을 유효/무효로 전환한다. 조작잠금기능부(3)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입력장치로 터치패널 등이 사용될 경우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4)에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가 위치한다.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는, 도 2~4에 나타난 차종선택창을 서브메뉴표시부로 호출한다. 서브메뉴표시부에 표시된 차종선택창(도 2~4)은, 차종선택의 대상으로 전륜구동(FWD) 표시영역(41), 후륜구동(RWD) 표시영역(42) 및 사륜구동(4WD) 표시영역(43)을 포함한다. 3개의 표시영역(41~43)은 각각 2종류의 선택영역을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난 차종과 사용될 로울러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전륜구동(FWD) 표시영역(41)은 전륜구동만을 위한 로울러 선택을 위한 로울러선택영역(41a)과, 전륜구동을 위한 로울러와 후륜추종을 위한 로울러 선택을 위한 추종로울러선택영역(41b)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후륜구동(RWD) 표시영역(42)은 후륜구동만을 위한 로울러 선택을 위한 로울러선택영역(42a)과, 후륜구동을 위한 로울러와 전륜추종을 위한 로울러 선택을 위한 추종로울러선택영역(42b)을 포함한다. 4WD 표시영역(43)은 풀타임선택영역(43a)과 리지드선택영역(43b)을 포함한다.
나아가, 차종선택창(도 2~4)은, 현재 피시험차종과 함께 사용될 로울러의 설정상태를 시각적으로 보기 위한 현재설정표시영역(44)과, 설정상태를 변경할 때의 설정변경상태를 시각적으로 보기 위한 설정변경중표시영역(45)을 포함한다. 표시영역 41~45로 구성된 차종선택창은 메인메뉴표시부의 기능부와 기능버튼그룹과 같이 하나의 창에 표시된다. 6개의 선택영역(41a, 41b, 42a, 42b, 43a, 43b)은 차종의 구동방식이 선택되었을 때 컨트라스트를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는 6개의 선택영역(41a, 41b, 42a, 42b, 43a, 43b)이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4)은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에 더하여, 수동조작창 호출기능부(50) 및 냉각팬 동작모드 선택기능부(60)를 구비한다. 기기 온/오프 전환기능버튼그룹(5)은 냉각팬 온/오프 선택기능, 로울러 잠금/해제상태 선택기능, 보조기기 온/오프 선택기능, 다이나모미터 주전원 온/오프 선택기능 등 시험설비의 기기를 제어하는 선택기능들을 가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조작표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자가 제어장치단말(PC)에 전원을 투입하여 도 1에 나타난 조작표시창을 표시하면, 메인메뉴표시부의 상태표시기능부(2)에 섀시다이나모미터의 현재설정상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지난시험시 설정된 차종이 전륜구동차이고, 섀시다이나모미터의 로울러 중 전륜구동전용 로울러가 선택되는 경우, 상태표시기능부(2)의 로울러 아이콘 중 전륜용 로울러 아이콘만 밝게 표시되어(도 1에서 사선으로 표시), 전륜용 로울러 아이콘이 후륜용 로울러 아이콘과 다른 상태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차종변경에 따라 사용될 로울러들의 조합 설정은,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를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터치패널로 조작하는 것을 통해 선택된다.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가 선택되면, 도 2에 나타난 차종선택창이 표시된다. 차종선택창 호출시점에, 차종선택창의 좌측의 현재설정표시영역(44)에는 차종에 맞도록 현재 설정된 로울러의 조합을 나타내는 기기구성이 표시된다. 즉, 현재설정표시영역(44)의 표시화면(창)에, 상태표시기능부(2)에 표시된 현재 설정상태와 동일한 설정상태가 표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차종이 전륜구동(FWD)이고 로울러는 전로울러(FF)가 선택된 상태가 밝은 휘도상태로 되어 나타난다.
상기 기기구성상태가, 예를 들어, 풀타임 4WD의 기기구성으로 변경되는 경우, 4WD 표시영역(43)의 풀타임선택영역(43a)이 선택된다. 그에 따라, 변경후 기기구성으로서의 풀타임 4WD 기기구성의 사용상태가 제어장치단말부로부터 제어장치부로 송신된다. 그 후, 제어장치부에서 변경후 기기구성의 사용상태가 확인된다. 확인이 된 후, 제어장치단말부가 제어장치부로부터 응답을 받으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설정표시영역(44)으로부터 설정변경중표시영역(45) 측으로 화살표가 표시되고, 풀타임 4WD의 기기구성의 사용상태가 설정변경중표시영역(45)에 표시된다.
그 후, 설정변경중표시영역(45)에 표시된 풀타임 4WD의 기기구성의 사용상태에 오류가 없는가 확인이 이루어진다. 제어장치부가 설정변경중표시영역(45)에 오류가 없다고 응답하면, 풀타임 4WD의 기기구성이 현재 설정된 기기구성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설정표시영역(44)에 표시된다. 동시에, 변경된 풀타임 4WD의 기기구성이 메인메뉴표시부의 상태표시기능부(2)에 현재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설정상태로 표시된다. 이와 유사하게, 전륜구동(FWD), 후륜구동(RWD), 사륜구동(4WD) 등의 각 차종의 변경에 따라, 위에서 언급된 6 형태의 롤러들의 조합설정변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작표시장치에서, 메인메뉴표시부에 상태표시기능부(2)가 위치한다. 이 구성을 통해, 시험시 현재 기기구성 및 속도상태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차종 변경에 따라 사용될 로울러들의 조합을 설정할 때, 메인메뉴표시부의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40)를 클릭함을 통해 즉시 설정창을 표시할 수 있고, 같은 설정창에서 현재설정표시영역(44)과 설정변경중표시영역(45)을 시각적으로 비교하고, 확인함을 통해 오류 없이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조합설정변경시, 변경 전의 설정상황과 변경 후의 설정상황을 표시하는 표시영역(44, 45)이 동일 창에 있고, 로울러 선택영역(41a, 41b, 42a, 42b, 43a, 43b)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설정변경이 용이하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상태표시기능부(2)의 전후로울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로울러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시점에, 선택된 로울러 아이콘이 밝게 표시된다.
또한, 시험중 실제로 상기 로울러가 회전하는 경우, 애니메이션기능을 사용하여 로울러 아이콘을 회전상태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4) 및 기기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5)이 메인메뉴표시부에 위치하여, 섀시다이나모미터와 보조기기가 설치된 시험실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제어장치단말부에서 차량의 전, 후륜용 로울러를 선택, 제어 및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자가 시험현장에 가지 않고도 조작실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시험시 조작자의 작업성 및 안전성 향상이 향상된다.
나아가, 피시험차량 전방에 위치한 냉각팬이 사용상태인 경우, 도 1에 나타난 상태표시기능부(2)의 냉각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3)에 바람의 흐름을 나타낸 도형(예를 들어,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냉각팬의 사용/비사용 상태를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냉각팬의 사용/비사용 상태를 변경해야하는 경우, 기기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5)의 냉각팬 온/오프선택기능을 선택하면, 제어장치부의 사용기기 상태가 변경됨과 동시에, 냉각팬 사용/비사용 표시영역(23)에 표시된 냉각팬의 밝기가 변경된다(예를 들어, 사용상태의 밝기는 밝게, 비사용상태의 밝기는 어둡게 된다).
나아가, 도 1에 나타난 상태표시기능부(2)의 속도표시영역(22)에 피시험차량의 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메뉴표시부에 상태표시기능부(2)가 위치하여, 시험 시작전에 조작자가 현재 차종에 맞는 로울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조작자가 피시험차량의 속도 및 냉각팬의 온/오프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부와 제어장치단말부를 따로 설명하였지만, 제어장치부 본체에 제어장치단말부의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작표시장치에서, 메인메뉴표시부에 상태표시기능부가 위치한다. 이 구성으로, 시험시 피시험차종과 사용될 로울러의 조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냉각팬의 온/오프 상태와 같은 기기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차종변경에 따라 사용될 섀시다이나모미터의 로울러(그 조합)를 변경할 때, 메인메뉴표시부의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를 클릭함으로써 즉시 설정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설정표시영역, 현재상태에서 변경상태로 전환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영역 및 변경후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설정표시영역이 동시에 설정창에 표시된다. 따라서, 로울러(조합) 변경시 시각적으로 비교 및 확인이 가능하여, 섀시다이나모미터의 조작자가 설정오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로울러(조합) 변경시 변경 전의 설정 상태와 변경 후의 설정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설정표시영역이 동일 창에 나타나고, 로울러 선택영역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섀시다이나모니터에서 설정변경이 용이하게 되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작자가 시험현장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로울러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의 안전과 소음 등의 문제가 없는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피시험차량을 로울러 위에 실어 시험을 행할 때 인버터를 통해 전, 후 로울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포함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로서
    상기 제어장치부의 설정이 이루어지는 조작창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창은 상기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설정상태로서 상기 전, 후 로울러의 사용/비사용을 표시하는 상태표시기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기능부가, 냉각팬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영역 및 피시험차량의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창이 메인메뉴표시부와 서브메뉴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메뉴표시부가 상기 상태표시기능부에 더하여 조작잠금기능부,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 및 온/오프전환기능버튼그룹을 표시하는 창을 구비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이 차종선택창을 호출하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에 의해 호출된 차종선택창은 피시험차량의 차종에 맞는 로울러를 선택하기 위한 로울러 선택영역, 현재 사용되는 로울러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현재설정표시영역 및 이전에 사용된 로울러의 설정상태가 피시험차종에 맞는 로울러의 설정상태로 변경되는 설정변경중 상태를 표시하는 설정변경중표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로울러 선택영역, 상기 현재설정표시영역 및 상기 설정변경중표시영역이 동일 창에 위치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이 차종선택창을 호출하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에 의해 호출된 상기 차종선택창은, 피시험차량의 구동방식을 각각 전륜구동, 후륜구동 및 사륜구동으로 표시하는 전륜구동표시영역, 후륜구동표시영역 및 사륜구동표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전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전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전륜구동-후륜추종 로울러 선택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후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후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후륜구동-전륜추종 로울러 선택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사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풀타임 사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리지드 사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을 구비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기능버튼그룹이 차종선택창을 호출하는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종선택창 호출기능부에 의해 호출된 상기 차종선택창은, 피시험차량의 구동방식을 각각 전륜구동, 후륜구동 및 사륜구동으로 표시하는 전륜구동표시영역, 후륜구동표시영역 및 사륜구동표시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전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전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전륜구동-후륜추종 로울러 선택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후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후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후륜구동-전륜추종 로울러 선택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사륜구동표시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풀타임 사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 및 리지드 사륜구동 로울러 선택영역을 구비하는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KR1020137023682A 2011-03-04 2012-03-02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KR101447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7120A JP5206823B2 (ja) 2011-03-04 2011-03-04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操作表示装置
JPJP-P-2011-047120 2011-03-04
PCT/JP2012/055452 WO2012121169A1 (ja) 2011-03-04 2012-03-02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操作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544A KR20130120544A (ko) 2013-11-04
KR101447498B1 true KR101447498B1 (ko) 2014-10-08

Family

ID=467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682A KR101447498B1 (ko) 2011-03-04 2012-03-02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0247B2 (ko)
JP (1) JP5206823B2 (ko)
KR (1) KR101447498B1 (ko)
CN (1) CN103502790B (ko)
WO (1) WO2012121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2005B2 (ja) 2011-03-04 2013-07-31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暖機運転表示装置
JP5206824B2 (ja) 2011-03-04 2013-06-12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慣性検証装置
JP5605383B2 (ja) * 2012-02-29 2014-10-15 株式会社明電舎 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
JP6069040B2 (ja) * 2013-03-11 2017-01-25 株式会社堀場製作所 内燃機関試験システム
USD748646S1 (en) * 2013-08-30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928278B2 (en) 2013-12-11 2021-02-23 Meidensha Corpora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
USD828844S1 (en) * 2014-05-20 2018-09-18 Meidensha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9544S1 (en) * 2015-05-27 2017-02-21 Gamblit Gaming,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635998B2 (en) * 2016-01-04 2020-04-28 Caterpillar Inc. Task ass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test cell
US10113853B2 (en) * 2016-03-30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positioning rechargeabl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s
EP3264250B1 (de) * 2016-06-27 2020-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m auswählen eines betriebsmodus für ein fahrzeug
CN106054683B (zh) * 2016-08-09 2018-06-08 第一拖拉机股份有限公司 一种拖拉机地头管理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0059380A1 (ja) * 2018-09-21 2020-03-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検査システム
JP7385208B2 (ja) 2019-07-17 2023-11-22 彌榮精機株式会社 車両検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34A (ja) * 1988-07-08 1990-01-2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試験装置
US20070118258A1 (en) * 2005-11-18 2007-05-24 Ford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vehicle suspens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032A (ja) 1986-09-05 1988-03-26 株式会社 北陸地所 サザエ及びアワビ育成礁
US4870585A (en) * 1987-10-13 1989-09-26 Manzolini David B Dynamometer engine performance analyzer system
US5375461A (en) 1991-06-24 1994-12-27 Kabushiki Kaisha Meidensha Control system for chassis dynamometer for simulating road test of automotive vehicle
JP2580940Y2 (ja) * 1992-04-23 1998-09-17 株式会社明電舎 シヤシダイナモメータのダイナモメータ制御盤
US5521824A (en) * 1992-12-07 1996-05-28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ngine test apparatus using lead-lag control
US5531107A (en) 1995-02-15 1996-07-02 Ganzcorp Invest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virtual inertia in a chassis dynamometer
JPH08278232A (ja) 1995-04-10 1996-10-22 Meidensha Corp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におけるメカロス設定方法
JPH10281940A (ja) 1997-04-05 1998-10-23 Horiba Ltd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
JP3463859B2 (ja) * 1998-09-18 2003-1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検査方法
US20020018982A1 (en) 2000-05-12 2002-02-14 Conroy Steven J. Dynamometer racing simulator
JP4039296B2 (ja) 2003-04-07 2008-01-30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慣性負荷の検証方式
JP4181451B2 (ja) * 2003-06-23 2008-11-12 株式会社小野測器 車両測定装置
JP3828129B2 (ja) 2004-09-06 2006-10-04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自動車排ガス測定システム
US7643912B2 (en) 2004-11-01 2010-01-05 Hypertech, Inc. Programmable automotive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with accelerometer input
CN100419402C (zh) * 2004-12-30 2008-09-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底盘测功机系统
JP4893193B2 (ja) 2006-09-27 2012-03-07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制御装置
JP4893387B2 (ja) * 2007-03-13 2012-03-07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の走行抵抗制御装置
CN201104253Y (zh) * 2007-06-08 2008-08-2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底盘测功机系统
JP5169600B2 (ja) * 2008-01-21 2013-03-27 株式会社明電舎 ドライバーズエイド
US20090259355A1 (en) 2008-04-15 2009-10-15 The Uwm Research Foundation, Inc. Power management of a hybrid vehicle
JP5319434B2 (ja) 2009-07-22 2013-10-16 株式会社明電舎 ドライバーズエイド装置
JP5550142B2 (ja) * 2009-12-25 2014-07-16 株式会社堀場製作所 運転制御装置及び運転制御プログラム、測定装置
JP5206824B2 (ja) 2011-03-04 2013-06-12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慣性検証装置
JP5252005B2 (ja) 2011-03-04 2013-07-31 株式会社明電舎 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システムの暖機運転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34A (ja) * 1988-07-08 1990-01-2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試験装置
US20070118258A1 (en) * 2005-11-18 2007-05-24 Ford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vehicle susp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1169A1 (ja) 2012-09-13
JP2012184978A (ja) 2012-09-27
JP5206823B2 (ja) 2013-06-12
CN103502790A (zh) 2014-01-08
US9760247B2 (en) 2017-09-12
KR20130120544A (ko) 2013-11-04
US20130339892A1 (en) 2013-12-19
CN103502790B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498B1 (ko)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조작표시장치
CA2304044C (en) Diagnosing malfunctions in materials handling vehicles
US7817021B2 (en) Display device mounted in working vehicle and display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SE536460C2 (sv) Övervakningsanordning för ett arbetsfordon
EP3051268A1 (en) Driving mode display device, driving mode display program, and vehicle test system
CN103836173A (zh) 用于自动变速器的屏幕上档位选择器
CN110167818B (zh) 与带有自动化操作处理的建议系统进行交互的方法和组件
JP2000329577A5 (ko)
US10620092B2 (en) Inertia verification device for chassis dynamometer system
CN101676702B (zh) 用于平衡车辆车轮的平衡机器
KR101461082B1 (ko) 섀시다이나모미터시스템의 준비운전표시장치
JP2003335474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1458648B1 (ko) 산업용 차량의 상태 및 성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4838946A (zh) 差速锁故障检测方法、装置、介质、电子设备及车辆
JP2014062900A (ja) 車両検査システムの車検データ表示装置
JP2000030166A (ja) アラーム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