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360A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360A
KR20130119360A KR1020130044115A KR20130044115A KR20130119360A KR 20130119360 A KR20130119360 A KR 20130119360A KR 1020130044115 A KR1020130044115 A KR 1020130044115A KR 20130044115 A KR20130044115 A KR 20130044115A KR 20130119360 A KR20130119360 A KR 20130119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film
top coat
surface protection
group
ammo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186B1 (ko
Inventor
겐지로 니미
나츠키 우케이
히로모토 하루타
겐이치 가타오카
가즈마 미츠이
유 모리모토
다츠미 아마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12)의 제1 면(12A)에 톱 코트층(14)을 갖고, 제2 면(12B)에 점착제층(20)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1)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톱 코트층(14)은 활제로서의 왁스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왁스는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VE FILM}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4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97971호 및 2013년 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02196호에 의거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이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편입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착체(보호 대상물)에 접착되어 그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표면 보호 시트라고도 함)은 일반적으로, 필름 형상의 기재(지지체) 상에 점착제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제를 개재하여 피착체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가공시, 반송시 등의 흠집이나 오염으로부터 그 피착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액정 셀에 접합되는 편광판은, 일단 롤 형태로 제조된 후, 이 롤로부터 권출되어, 액정 셀의 형상에 따른 원하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된다. 여기서, 편광판이 중간 공정에 있어서 반송 롤 등과 마찰되어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전형적으로는 편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기술 문헌으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0732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20348호 공보를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9-324172호 공보는, 점착 테이프 등의 점착층을 보호하는 보호 시트(점착 테이프 등의 사용 시에는 박리됨.)의 점착층 접촉면에 도포되는 이형제에 관한 기술 문헌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0732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1-2034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9-324172호 공보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는, 그 필름을 접착한 상태로 피착체(예를 들어 편광판)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근 들어, 상기 외관 검사의 용이함이나 검사 정밀도 등의 관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품위에 대한 요구 레벨이 높아지고 있고,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피착체에 접착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찰과상이 나기 어려운 성질이 요구되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찰과상이 존재하면, 그 흠집이 피착체의 흠집인지, 혹은 표면 보호 필름의 흠집인지가, 표면 보호 필름을 접착한 상태 그대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에 찰과상이 나기 어렵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그 배면에 경질의 표면층(톱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톱 코트층은, 전형적으로는, 기재의 배면에 코팅재를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톱 코트층이 적당한 미끄럼성을 갖는 것은, 보다 높은 내찰과성(내스크래치성)을 실현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 미끄럼성에 의해, 톱 코트층이 마찰된 경우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상기 톱 코트층의 표면을 따라 받아 넘길 수 있기 때문이다. 톱 코트층에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활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활제(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 화합물), 불소계 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실리콘계 활제가 첨가된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는, 그 보존 조건에 따라서는(예를 들어, 고온 다습 조건 하에 보유되면), 외관이 흰 빛을 띠게 되는 사상(백화)을 발생하기 쉬운 것을 발견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가 백화되면, 그 표면 보호 필름을 통한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표면 보호 필름을 접착한 상태로 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행하는 경우의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미끄럼성 부여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백화되기 어려운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를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면(배면)에 형성된 톱 코트층을 구비한다. 그 표면 보호 필름은, 전형적으로는, 상기 기재의 상기 제2 면(전방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더 구비한다. 상기 톱 코트층은, 활제(미끄럼성 부여 성분)로서의 왁스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왁스는,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에스테르이다.
이와 같이, 활제로서 특정한 왁스(즉,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그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톱 코트층에 의하면, 고온 다습 조건 하에 있어서도 그 톱 코트층의 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톱 코트층을 배면에 갖는 기재는, 활제를 함유하므로 내스크래치성이 좋고, 게다가 내백화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를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은, 보다 외관 품위가 높은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전형적인 형태에서는, 상기 기재가 수지 필름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50질량%보다도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를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은, 그 기재의 배면과 톱 코트층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이것은, 표면 보호 필름의 내스크래치성을 높임에 있어서 유리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톱 코트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을 이용하여, 그 표면 보호 필름에 내스크래치성 및 대전 방지성의 양쪽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 방지를 위해서 독자적인 층(대전 방지층)이 형성된 구성(예를 들어, 기재 배면과 톱 코트층 사이에 대전 방지층이 배치된 구성)과는 달리,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거나, 혹은 그 대전 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은, 표면 보호 필름 너머로 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생산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일 적합예로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는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보다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거나, 혹은 그 대전 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그 필름 너머로 제품의 외관 검사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광학 부품(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품)에 접착되어 그 광학 부품의 가공시나 반송 시에 그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 전에 있어서의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배면 박리 강도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화되어 있고, 제품으로서 실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크기나 축척을 정확하게 표현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활제」란, 톱 코트층에 함유됨으로써 그 톱 코트층의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을 말한다. 톱 코트의 미끄럼성이 향상된 것은, 예를 들어 상기 톱 코트층의 마찰 계수가 저하된 것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또한, 톱 코트층에 있어서의 「바인더」란, 상기 톱 코트층의 성막에 기여하는 기본 성분을 말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폴리에스테르(단량체간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형성된 주쇄를 갖는 중합체를 말함)를 주성분(전형적으로는, 50질량%보다도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말한다. 「아크릴계 점착제」란, 아크릴아민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그 아크릴계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체 성분 중의 주성분, 즉 50질량%보다도 많이 포함되는 성분)로 하는 점착제를 말한다. 「아크릴계 중합체」란, 1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이하, 이것을 「아크릴계 단량체」라고 할 수 있음)를 주 구성 단량체 성분(단량체의 주성분, 즉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총량 중 5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를 가리킨다.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알킬렌옥시드쇄」란, 옥시알킬렌 단위(-OR-) 및 옥시알킬렌 단위가 2단위 이상 연속된 부분(즉, -(OR)n-으로 표시되는 구조 부분. 단 n≥2. 폴리알킬렌옥시드쇄로서도 파악될 수 있음)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용어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과 사용 형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전형적인 구성 및 그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표면 보호 필름(1)은 제1 면(12A) 및 제2 면(12B)을 갖는 기재(12)와, 제1 면(배면)(12A) 상에 형성된 톱 코트층(14)과, 제2 면(전방면)(12B)에 형성된 점착제층(20)을 구비한다. 본 예에 있어서의 기재(12)는 투명한 수지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면(12A) 상에 톱 코트층(14)이 직접(다른 층을 개재하지 않고)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층(20)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규칙적 혹은 랜덤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보호 필름(1)은 피착체(보호 대상,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부품)(50)의 표면에 점착제층(20)의 표면(점착면, 즉 피착체에의 부착면)(20A)을 접착해서 사용된다. 사용 전(즉, 피착체에의 부착 전)의 표면 보호 필름(1)은 전형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20)의 표면(20A)이 박리 라이너(30)에 의해 보호된 형태일 수 있다. 박리 라이너(30)는 적어도 그 점착제층(20)에 대향하는 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다.
피착체(50)를 보호하는 역할을 마쳐서 불필요하게 된 표면 보호 필름(1)은 피착체(5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피착체(50)의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을 제거하는 조작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톱 코트층(14)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60)를 접착하고, 이 점착 테이프(픽업 테이프)(60)와 함께 표면 보호 필름(1)의 적어도 일부(전형적으로는, 적어도 외측 테두리의 일부)를 피착체(50)의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조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에 접착된 픽업 테이프(60)를 인장함으로써, 배면(1A)에 대한 픽업 테이프(60)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을 벗기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을 제거하는 조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에 픽업 테이프(60)를,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표면 보호 필름(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비어져 나오게 접착한다. 그리고,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업 테이프(60)의 상기 일단부를 파지하여 표면 보호 필름(1)을 그 외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접도록(말리도록) 인장하면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의 외측 테두리가 박리된 후, 표면 보호 필름(1)의 나머지 부분을 피착체(50)로부터 박리하는 조작은, 계속해서 픽업 테이프(60)를 인장함으로써 행해도 되고, 혹는 표면 보호 필름(1) 중 이미 피착체(50)로부터 박리된 부분을 직접 파지하여 인장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기재>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로서는, 수지 필름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필름은, 각종 수지 재료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방성 등 중, 1 또는 2 이상의 특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카르보네이트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류; 등을 주성분(즉, 50질량%보다도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투명(착색 투명을 포함하는 의미임)한 수지 필름을, 상기 기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다른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류; 올레핀류,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상 내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염화비닐류; 나일론6, 나일론6,6,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혹은, 폴리이미드류, 폴리술폰류, 폴리에테르술폰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류, 폴리페닐렌술피드류, 폴리비닐알코올류, 폴리염화비닐리덴류, 폴리비닐부티랄류, 폴리아릴레이트류, 폴리옥시메틸렌류, 에폭시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수지 필름을 기재에 사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이들의 2종류 이상의 블렌드물일 수 있다.
상기 기재용 수지 필름으로서는, 투명성을 갖고, 또한 그 광학 특성(위상차 등)의 이방성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방성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특히, 광학 부품용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는, 그 수지 필름의 광학적 이방성을 적게 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조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이어도 된다. 통상은, 단층 구조의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의 굴절률은, 외관 특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1.43 내지 1.6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당하며, 1.45 내지 1.5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률의 값으로서는, 메이커 공증값을 채용할 수 있다. 공증값이 없는 경우에는, JIS K 7142 A법에 의해 측정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필름은,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70% 내지 99% 정도의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내지 97%(예를 들어 85% 내지 95%)인 투명 수지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의 값으로서는, 메이커 공증값을 채용할 수 있다. 공증값이 없는 경우에는,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로서는, 상기 기재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50질량%보다도 많이 포함되는 성분)으로 하는 수지(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필름 형상으로 성형된 수지 필름(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주로 PET인 수지 필름(PET 필름), 주로 PEN인 수지 필름(PEN 필름), 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 성분,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의 제1 면(배면, 즉 톱 코트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의 도포 부착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예를 들어 기재 배면과 톱 코트층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기재 배면에 히드록실기(-OH기) 등의 극성기가 도입되는 표면 처리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기재의 제2 면(전방면, 즉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는, 상기 배면과 마찬가지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기재(지지체)와 점착제층의 밀착성(점착제층의 투묘성)을 높이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두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 목적, 사용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과, 비용이나 외관 검사성 등의 균형으로부터, 통상은, 두께 10㎛ 내지 200㎛ 정도의 기재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정도이다.
<바인더>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기재의 배면(제1 면)에 톱 코트층을 갖는다. 이 톱 코트층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활제로서의 왁스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전형적으로는 50질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5질량% 이상, 예를 들어 9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재료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전형적으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다가 카르복실산류(전형적으로는 디카르복실산류) 및 그의 유도체(당해 다가 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에스테르화물, 할로겐화물 등)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다가 카르복실산 성분)과,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류(전형적으로는 디올류)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다가 알코올 성분)이 축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채용할 수 있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디플루오로 말론산, 알킬 말론산, 숙신산, 테트라플루오로 숙신산, 알킬 숙신산, (±)-말산, meso-타르타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메틸 말레산, 푸마르산, 메틸 푸마르산, 아세틸렌 디카르복실산, 글루타르산, 헥사플루오로 글루타르산, 메틸 글루타르산, 글루타콘산, 아디프산, 디티오 아디프산, 메틸아디프산, 디메틸 아디프산, 테트라메틸 아디프산, 메틸렌 아디프산, 뮤콘산, 칼락타르산, 피멜산, 수베르산, 퍼플루오로 수베르산, 3,3,6,6-테트라메틸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퍼플루오로 세박산, 브라실산, 도데실 디카르복실산, 트리데실 디카르복실산, 테트라데실 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 시클로알킬 디카르복실산(예를 들어,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2-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1,4-(2-노르보르넨) 디카르복실산,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실산(하이믹산), 아다만탄 디카르복실산, 스피로 헵탄 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류; 프탈산, 이소프탈산, 디티오 이소프탈산, 메틸 이소프탈산, 디메틸 이소프탈산, 클로로 이소프탈산, 디클로로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메틸 테레프탈산, 디메틸 테레프탈산, 클로로 테레프탈산, 브로모 테레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옥소 플루오렌 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 디카르복실산, 비페닐 디카르복실산, 비페닐렌 디카르복실산, 디메틸 비페닐렌 디카르복실산, 4,4"-p-테레페닐렌 디카르복실산, 4,4"-p-쿠와렐 페닐 디카르복실산, 비벤질 디카르복실산, 아조벤젠 디카르복실산, 호모 프탈산, 페닐렌 이아세트산, 페닐렌 디프로피온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 디프로피온산, 비페닐 이아세트산, 비페닐 디프로피온산, 3,3'-[4,4'-(메틸렌 디-p-비페닐렌) 디프로피온산, 4,4'-비벤질 이아세트산, 3,3'(4,4'-비벤질) 디프로피온산, 옥시 디-p-페닐렌 이아세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류; 상술한 어느 하나의 다가 카르복실산의 산무수물; 상술한 어느 하나의 다가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알킬에스테르.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등일 수 있음); 상술한 어느 하나의 다가 카르복실산에 대응하는 산할로겐화물(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채용할 수 있는 화합물의 적합예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류 및 그 산무수물; 아디프산, 세박산, 아젤라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하이믹산, 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류 및 그 산무수물; 및 상기 디카르복실산류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모노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가 알코올 성분으로서 채용할 수 있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3-메틸펜탄 디올,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크실릴렌 글리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 등의 디올류를 들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들 화합물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예를 들어,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전형적으로는, 상기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함). 이러한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중합체 중에 친수성 관능기(예를 들어, 술폰산 금속 염기, 카르복실기, 에테르기, 인산기 등의 친수성 관능기 등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를 도입함으로써 수분산성을 높인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중합체 중에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는 방법,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전구체(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 다가 알코올 성분, 그들의 올리고머 등)을 변성하여 친수성 관능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의 일례로서,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톱 코트층의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되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주성분이 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수분산성이 부여된 포화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포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수분산액의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음)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고, 혹은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 예를 들어 0.5×104 내지 15×104 정도(바람직하게는 1×104 내지 6×104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예를 들어 0℃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톱 코트층은,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의 성능(예를 들어,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내백화성 등의 성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의 수지(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아크릴-스티렌 수지, 아크릴-실리콘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실라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수지)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톱 코트층의 바인더가 실질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에 차지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비율이 98 내지 100질량%인 톱 코트층이 바람직하다. 톱 코트층 전체에 차지하는 바인더의 비율은, 예를 들어 50 내지 95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60 내지 90질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활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은, 활제로서,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이하 「왁스에스테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급 지방산」이란, 탄소 원자수가 8 이상(전형적으로는 10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의 카르복실산(전형적으로는 1가의 카르복실산)을 말한다. 또한, 「고급 알코올」이란, 탄소 원자수가 6 이상(전형적으로는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의 알코올(전형적으로는 1가 또는 2가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1가의 알코올)을 말한다. 이러한 왁스에스테르와 상기 바인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조성의 톱 코트층은, 고온 다습 조건에 보유되어도 백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를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은, 보다 외관 품위가 높은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구성의 톱 코트층에 보다 우수한 내백화성(예를 들어, 고온 다습 조건에 보유되어도 백화되기 어려운 성질)이 실현되는 이유를 밝힐 필요는 없지만,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이하의 이유가 생각된다. 즉, 종래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계 활제는, 톱 코트층의 표면에 블리드함으로써 상기 표면에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나, 이들 실리콘계 활제는, 보존 조건(온도, 습도, 경시 등)의 차이에 따라 상기 블리드의 정도가 변동하기 쉽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통상의 보존 조건(예를 들어, 25℃, 50% RH)에 보유된 경우에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직후부터 비교적 장기간(예를 들어 약 3개월)에 걸쳐서 적당한 미끄럼성이 얻어지도록 실리콘계 활제의 사용량을 설정하면, 이 표면 보호 필름이 고온 다습 조건(예를 들어, 60℃, 95% RH)에서 2주간 보존된 경우에는, 활제의 블리드가 과잉으로 진행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과잉으로 블리딩한 실리콘계 활제는, 톱 코트층(나아가서는 표면 보호 필름)을 백화시킨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활제로서의 왁스에스테르와, 톱 코트층의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라고 하는 특정한 조합을 채용한다. 이러한 활제와 바인더의 조합에 의하면, 상기 왁스에스테르의 톱 코트층으로부터의 블리드의 정도가 보존 조건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표면 보호 필름의 내백화성이 향상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왁스에스테르로서는, 하기 일반식(W)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X-COO-Y (W)
여기서, 상기 식(W) 중의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0 내지 40(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35, 예를 들어 20 내지 32)의 탄화수소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원자수가 너무 작으면, 톱 코트층에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부족한 경향으로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는, 포화이어도 불포화이어도 된다. 통상은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기는, 방향족의 환을 포함하는 구조이어도 되고, 이러한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지방족성 탄화수소기)이어도 된다. 또한, 지방족성의 환을 포함하는 구조의 탄화수소기(지환식 탄화수소기)이어도 되고, 쇄상(직쇄상 및 분지쇄상을 포함하는 의미임)의 탄화수소기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왁스에스테르로서, 상기 식(W)에 있어서의 X 및 Y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0 내지 40의 쇄상 알킬기(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이 예시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세로트산 미리실(CH3(CH2)24COO(CH2)29CH3), 팔미트산 미리실(CH3(CH2)14COO(CH2)29CH3), 팔미트산 세틸(CH3(CH2)14COO(CH2)15CH3), 스테아릴산 스테아릴(CH3(CH2)16COO(CH2)17CH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왁스에스테르는, 융점이 5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예를 들어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왁스에스테르에 의하면, 보다 높은 내백화성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에스테르는, 융점이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왁스에스테르는, 미끄럼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높으므로, 보다 내스크래치성이 높은 톱 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왁스에스테르의 융점이 100℃ 이하인 것은, 그 왁스에스테르의 수분산액을 제조하기 쉽다고 하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세로트산 미리실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톱 코트층의 원료로서는, 이러한 왁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천연 왁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왁스로서는, 불휘발분(NV) 기준으로, 상기 왁스에스테르의 함유 비율(2종류 이상의 왁스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 50질량%보다도 많은(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 예를 들어 75질량% 이상임)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 왁스(일반적으로, 세로트산 미리실을 6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80질량% 이상의 비율로 포함함), 팜 왁스 등의 식물성 왁스 밀랍, 경랍 등의 동물성 왁스 등의 천연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천연 왁스의 융점은, 통상, 5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예를 들어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톱 코트층의 원료로서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왁스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되고, 천연 왁스를 정제하여 상기 왁스에스테르의 순도를 높인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원료는,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톱 코트층 전체에 차지하는 활제의 비율은, 5 내지 50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0 내지 40질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활제의 함유 비율이 너무 적으면, 내스크래치성이 저하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활제의 함유 비율이 너무 많으면, 내백화성의 향상 효과가 부족하기 쉬워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그 적용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톱 코트층이, 상기 왁스에스테르에 부가해서 다른 활제를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활제의 예로서는, 석유계 왁스(파라핀 왁스 등), 광물계 왁스(몬탄 왁스 등), 고급 지방산(세로트산 등), 중성 지방(팔미트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등)과 같은, 왁스에스테르 이외의 각종 왁스를 들 수 있다. 혹은, 상기 왁스에스테르에 부가해서, 일반적인 실리콘계 활제, 불소계 활제 등을 보조적으로 함유시켜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이러한 실리콘계 활제, 불소계 활제 등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형태(예를 들어, 이들의 합계 함유량이 톱 코트층 전체의0.01질량% 이하, 혹은 검출 한계 이하인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단,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적용 효과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활제와는 다른 목적으로(예를 들어, 후술하는 톱 코트 형성용 코팅재의 소포제로서) 사용되는 실리콘계 화합물의 함유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은,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성분, 가교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유동성 조정제(틱소트로피제, 증점제 등), 조막 보조제, 계면 활성제(소포제, 분산제 등),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톱 코트층의 대전 방지 성분>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톱 코트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은, 표면 보호 필름의 대전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이다. 톱 코트층에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의 도전성 물질, 각종 대전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 아미노기, 제2 아미노기, 제3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술폰산염이나 황산에스테르염, 포스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알킬베타인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린 및 그의 유도체, 알라닌 및 그의 유도체 등의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 아미노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글리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 이온 도전성기(예를 들어, 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해서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에틸렌이민, 알릴 아민계 중합체 등의 도전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무기 도전성 물질의 예로서는,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인듐, 주석, 안티몬,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티타늄, 철, 코발트, 요오드화 구리, ITO(산화인듐/산화주석), ATO(산화안티몬/산화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무기 도전성 물질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대전 방지제의 예로서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양성 이온형 대전 방지제,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 이온 도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에 사용되는 대전 방지 성분이 유기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도전성 물질로서는, 각종 도전성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양호한 대전 방지성과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양립시키기 쉽다. 도전성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에틸렌이민, 알릴 아민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대전 방지 성분(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과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은, 톱 코트층에 포함되는 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 내지 20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25 내지 150질량부(예를 들어 40 내지 120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대전 방지 효과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도전성 중합체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톱 코트층에 있어서의 도전성 중합체의 상용성이 부족한 경향으로 되어, 그 톱 코트층의 외관 품위가 저하하거나, 내용제성이 저하 경향으로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도전성 중합체로서, 폴리티오펜 및 폴리아닐린이 예시된다. 폴리티오펜으로서는,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라고 표기함)이 4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아닐린으로서는, Mw가 50×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10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도전성 중합체의 Mw는, 통상은 0.1×1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4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폴리티오펜이란, 비치환 또는 치환 티오펜의 중합체를 말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치환 티오펜 중합체의 일 적합예로서,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를 들 수 있다.
톱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톱 코트층 형성용 코팅재를 기재에 도포 부착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그 코팅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도전성 중합체로서는, 그 도전성 중합체가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된 형태의 것(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은, 예를 들어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도전성 중합체(분자 내에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등의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음)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관능기로서는, 술포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노기, 히드록실기, 메르캅토기, 히드라지노기, 카르복실기, 4급 암모늄기, 황산에스테르기(-O-SO3H), 인산에스테르기(예를 들어 -O-PO(OH)2)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친수성 관능기는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티오펜 수용액의 시판품으로서는, 나가세켐테크사제의 상품명 「데나트론」 시리즈가 예시된다. 또한, 폴리아닐린 술폰산 수용액의 시판품으로서는, 미쯔비시 레이온사제의 상품명 「aqua-PASS」가 예시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코팅재의 제조에 폴리티오펜 수용액을 사용한다.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PSS)를 포함하는 폴리티오펜 수용액(폴리티오펜에 PSS가 도펀트로서 첨가된 형태일 수 있음)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액은, 폴리티오펜:PSS를 1:1 내지 1:10의 질량비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액에 있어서의 폴리티오펜과 PSS의 합계 함유량은, 예를 들어 1 내지 5질량%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티오펜 수용액의 시판품으로서는, H.C.Stark사의 상품명 「베이트론(Baytron)」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PSS를 포함하는 폴리티오펜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티오펜과 PSS의 합계량을, 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0질량부(통상은 10 내지 100질량부, 예를 들어 25 내지 70질량부로 하면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톱 코트층은, 필요에 따라, 도전성 중합체와, 다른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대전 방지 성분(도전성 중합체 이외의 유기 도전성 물질, 무기 도전성 물질, 대전 방지제 등)을 함께 포함해도 된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톱 코트층이, 도전성 중합체 이외의 대전 방지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즉,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톱 코트층에 포함되는 대전 방지 성분이 실질적으로 도전성 중합체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가교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톱 코트층이 가교제를 함유한다. 가교제로서는, 일반적인 수지의 가교에 사용되는 멜라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등의 가교제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의 향상, 내용제성의 향상, 인자 밀착성의 향상, 마찰 계수의 저하(즉, 미끄럼성의 향상), 중 적어도 1개의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가교제가 멜라민계 가교제를 포함한다. 가교제가 실질적으로 멜라민계 가교제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즉, 멜라민계 가교제 이외의 가교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 톱 코트층이어도 된다.
<톱 코트층의 형성>
상기 톱 코트층은, 상기 수지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가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액상 조성물(톱 코트층 형성용 코팅재)을 기재에 부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재를 기재의 제1 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필요에 따라 경화 처리(열처리, 자외선 처리 등)를 행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재의 NV는, 예를 들어 5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05 내지 5질량%)로 할 수 있고, 통상은 1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10 내지 1질량%)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두께가 얇은 톱 코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팅재의 NV를 예를 들어 0.05 내지 0.50질량%(예를 들어 0.10 내지 0.3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 NV의 코팅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균일한 톱 코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 코트층 형성용 코팅재를 구성하는 용매로서는, 톱 코트층 형성 성분을 안정되게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는, 유기 용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등의 환상에테르류;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류; 알킬렌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 알킬렌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등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코팅재의 용매가, 물 또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매(예를 들어,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이다.
<톱 코트층의 성상>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는 3㎚ 내지 500㎚(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 예를 들어 3㎚ 내지 60㎚)이다. 톱 코트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표면 보호 필름의 투명성(광선 투과성)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톱 코트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그 톱 코트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고(예를 들어, 톱 코트층의 두께에 있어서, 장소에 따른 두께의 (변동)편차가 커지고), 이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에 얼룩이 생기기 쉬워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톱 코트층의 두께 3㎚ 이상 30㎚ 미만(예를 들어, 3nm 이상 10㎚ 미만)이다. 이러한 톱 코트층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은, 보다 외관 품위가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관 품위가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면, 그 필름 너머로 제품(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보다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톱 코트층의 두께가 얇은 것은, 기재의 특성(광학 특성, 치수 안정성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톱 코트층의 두께는, 상기 톱 코트층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시료(톱 코트층이 형성된 기재, 그 기재를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 등일 수 있음)에 대하여, 톱 코트층을 명료하게 할 목적으로 중금속 염색 처리를 행한 후, 수지 포매를 행하고, 초박절편법에 의해 시료 단면의 TEM 관찰을 행하여 얻어지는 결과를,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의 두께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TEM으로서는, 히타치사제의 TEM, 형식 「H-765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가속 전압: 100kV, 배율: 60,000배의 조건으로 얻어진 단면 화상에 대해서, 2치화 처리를 행한 후, 시야 내의 샘플 길이로 톱 코트의 단면적을 제산함으로써 톱 코트층의 두께(시야 내의 평균 두께)를 실측하였다.
또한, 중금속 염색을 행하지 않아도 톱 코트층을 충분히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중금속 염색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혹은, TEM에 의해 파악되는 두께와, 각종 두께 검출 장치(예를 들어, 표면 조도계, 간섭 두께계, 적외 분광 측정기, 각종 X선 회절 장치 등)에 의한 검출 결과의 상관에 대해서, 검량선을 작성하여 계산을 행함으로써, 톱 코트층의 두께를 구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톱 코트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측정되는 표면 저항률이 1012Ω 이하(전형적으로는 106Ω 내지 1012Ω)이다. 이러한 표면 저항률을 나타내는 표면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액정 셀이나 반도체 장치 등과 같이 정전기를 싫어하는 물품의 가공 또는 반송 과정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표면 저항률이 1011Ω 이하(전형적으로는 5×106Ω 내지 1011Ω, 예를 들어 107Ω 내지 1010Ω)의 표면 보호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의 값은, 시판되고 있는 절연 저항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23℃, 50% RH의 분위기 하에서 측정되는 표면 저항의 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톱 코트층의 마찰 계수는, 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찰 계수가 낮은 톱 코트층에 의하면, 그 톱 코트층에 하중(스크래치 흠집을 발생시키는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그 하중을 톱 코트층의 표면을 따라서 받아넘기고, 그 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톱 코트층의 응집 파괴(톱 코트층이 그 내부에서 파괴되는 손상 형태)나 계면 파괴(톱 코트층이 기재 배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손상 형태)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에 스크래치 흠집을 발생하는 사상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다. 마찰 계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특성(외관 품위, 인자성 등)과의 밸런스를 고려해서, 통상은 마찰 계수를 0.1 이상(전형적으로는 0.1 이상 0.4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0.15 이상(전형적으로는 0.15 이상 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 계수로서는, 예를 들어 23℃, 50% 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톱 코트층의 표면을 수직 하중 40mN으로 찰과해서 구해지는 값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에스테르(활제)의 사용량은, 상기한 바람직한 마찰 계수가 실현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상기 마찰 계수의 조정에는, 예를 들어 가교제의 첨가나 성막 조건의 조정에 의해 톱 코트층의 가교 밀도를 높이는 것도 유효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그 배면(톱 코트층의 표면)이 유성 잉크에 의해(예를 들어, 유성 마킹 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인자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접착한 상태에서 행해지는 피착체(예를 들어 광학 부품)의 가공이나 반송 등의 과정에 있어서, 보호 대상인 피착체의 식별 번호 등을 상기 표면 보호 필름에 기재하여 표시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외관 품위에 부가해서 인자성도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제가 알코올계이며 안료를 포함하는 타입의 유성 잉크에 대하여 높은 인자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자된 잉크가 스침이나 옮겨 붙기에 의해 떨어지기 어려운(즉, 인자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또한, 인자를 수정 또는 소거할 때에 상기 인자를 알코올(예를 들어 에틸알코올)로 닦아내도 외관에 눈에 띈 변화를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내용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용제성의 정도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용제성 평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톱 코트층은, 활제로서의 왁스에스테르를함유하므로, 그 톱 코트층의 표면에 새로운 박리 처리(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제 등의 공지의 박리 처리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형태에 있어서도, 충분한 미끄럼성(예를 들어, 상술한 바람직한 마찰 계수)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톱 코트층의 표면에 또 다른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형태는, 박리 처리제에 기인하는 백화(예를 들어, 가열 가습 조건 하에 보존되는 것에 의한 백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제성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점착제층>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의 제2 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표면 보호 필름에 적합한 특성(예를 들어,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너무 높지 않은 것, 그 점착력의 경시 상승이 적은 것, 피착체를 오염시키지 않는 것, 등 중 1 또는 2 이상의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고무계, 실리콘계, 폴리아미드계, 불소계 등의, 공지된 각종 점착제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착제층일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점착제는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보다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실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주된 예로 해서,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상기 점착제층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
<아크릴계 중합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베이스 중합체인 아크릴계 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 구성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이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H2=C(R1)COOR2 (1)
여기서, 상기 식(1) 중의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2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쇄상 알킬기 및 지환식 알킬기를 포함하는 의미임). 점착 특성이 우수한 점착제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R2가 탄소 원자수 2 내지 14(이하, 이러한 탄소 원자수의 범위를 C2 -14라고 나타낼 수 있음)의 쇄상 알킬기(직쇄상 알킬기 및 분지상 알킬기를 포함하는 의미임)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C2 -14의 쇄상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이소아밀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이소옥틸기, 2-에틸헥실기, n-노닐기, 이소노닐기, n-데실기, 이소데실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2로서 선택할 수 있는 지환식 알킬기로서는, 시클로헥실기, 이소보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하는 단량체의 총량(이하 「전체 원료 단량체」라고도 함) 중 50질량% 이상(전형적으로는 50 내지 99.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전형적으로는 70 내지 99.9질량%), 예를 들어 85질량% 이상(전형적으로는 85 내지 99.9질량%)이, 상기 식(1)에 있어서의 R2가 C2-14인 쇄상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보다 바람직하게는 C4-10의 쇄상 알킬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n-부틸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에 의해 차지된다. 이러한 단량체 조성으로부터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에 의하면, 표면 보호 필름 용도에 적합한 점착 특성을 나타내는 점착제가 형성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수산기(-OH)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 조성(단량체 조성)은 특히,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 방법으로서 용액 중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 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산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계 중합체는, 표면 보호 필름 용도에 적합한 점착 특성을 나타내는 점착제를 부여하는 것이 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착체에 대한 박리력을 낮게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재박리성이 우수한 점착제가 얻어지기 쉽다. 특히 바람직한 수산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수산기를 함유하는(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산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하는 단량체의 총량 중 대략 0.1 내지 15질량%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2 내지 1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0.3 내지 8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보다도 너무 많으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너무 커져서 유동성이 낮아지고,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밀착성)이 저하 경향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수산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보다도 너무 적으면, 그 단량체의 사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점착 성능의 균형을 잡기 쉬운 점에서, 통상, 유리 전이 온도(Tg)가 대략 0℃ 이하(전형적으로는 -100℃ 내지 0℃)의 것이 사용된다. Tg가 대략 -80℃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Tg가 상기 범위보다도 너무 높으면, 상온 부근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초기 접착성이 부족하기 쉬워져, 보호 필름의 접착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Tg는, 단량체 조성(즉, 그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하는 단량체의 종류나 사용량비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단량체(기타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의 Tg 조정, 점착 성능(예를 들어 박리성)의 조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량체로서,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 기점이 될 수 있는 관능기를 도입하거나, 혹은 접착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단량체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비닐술폰산 나트륨 등이 예시된다.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가 예시된다.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예시된다.
비닐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라우르산 비닐 등이 예시된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클로로 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그 밖의 치환 스티렌 등이 예시된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이 예시된다.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산무수물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에틸 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 메타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시클로 헥실 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시클로 헥실 말레이미드, 이타콘이미드 등이 예시된다.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비닐에테르류로서는, 메틸 비닐에테르, 에틸 비닐에테르, 이소부틸 비닐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기타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하는 단량체의 총량 중 대략 40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001 내지 4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30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0.001 내지 30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타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 조성의(예를 들어, 단량체로서 C6-14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C6-14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수산기 함유(메트)아크릴레이트만을 사용해서 이루어짐) 아크릴계 중합체이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 방법으로서 에멀전 중합법을 사용하고, 또한 상기 기타 단량체로서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사용량으로서, 전체 원료 단량체(100질량%)의 0.5 내지 15질량%의 범위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 조성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그 아크릴계 중합체를 에멀전 중합법에 의해 합성할 때의 중합 안정성, 그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경시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 방법으로서 에멀전 중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단량체 조성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 아크릴아미드 및 아세트산 비닐 중 적어도 1개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의 함유량(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 아크릴아미드 및 아세트산 비닐의 함유량이며, 이들 중 2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함유량)은 예를 들어 전체 원료 단량체(100질량%)의 0.5 내지 15질량%로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질량%(예를 들어 2 내지 5질량%)이다. 예를 들어, 적어도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예를 들어, 전체 원료 단량체의 1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질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 조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액 중합법, 에멀전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중합 방법을 적용하여 그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이어도 된다.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은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
중합에 사용하는 개시제는,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개시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이황산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 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 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 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다른 예로서는,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페닐 치환에탄 등의, 치환에탄계 개시제; 방향족 카르보닐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또 다른 예로서, 과산화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의 예로서는,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의 조합(과산화수소수와 아스코르브산의 조합 등), 과산화물과 철(II)염의 조합(과산화수소수와 철(II)염의 조합 등), 과황산염과 아황산 수소 나트륨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통상의 사용량이면 되고, 예를 들어 전체 원료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1질량부(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1질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용액 중합법>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 방법으로서 용액 중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표면 보호 필름의 투명성이나 점착 성능 등의 관점에서 유리한 것이 될 수 있다. 용액 중합을 행할 때의 단량체 공급 방법으로서는, 전체 단량체 원료를 한번에 공급하는 일괄 투입 방식, 연속 공급(적하) 방식, 분할 공급(적하) 방식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사용하는 단량체 및 용매의 종류,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 내지 170℃(전형적으로는 40℃ 내지 140℃) 정도로 할 수 있다.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용매(중합 용매)는, 공지 내지 관용의 유기 용매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전형적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류;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알칸류;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1가 알코올류); tert-부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류; 등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1종류의 용매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전체 압력 1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0 내지 200℃(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50℃)의 범위에 있는 유기 용매(혼합 용매일 수 있음)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액 중합에 의하면, 아크릴계 중합체가 유기 용매에 용해된 형태의 중합 반응액이 얻어진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상기 중합 반응액 또는 상기 반응액에 적당한 후처리를 실시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후처리를 실시한 후의 아크릴계 중합체 함유 용액을 적당한 점도(농도)로 조정해서 사용한다. 또는, 용액 중합 방법 이외의 중합 방법(예를 들어, 에멀전 중합, 광중합, 벌크 중합 등)을 이용하여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하고, 상기 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서 용액 형상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에멀전 중합법>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다른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 방법으로서 에멀전 중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에 따른 환경 부하의 경감,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에 따른 설비비나 관리비의 경감 등의 관점에서 유리한 것이 될 수 있다. 에멀전 중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에멀전 중합과 마찬가지의 형태에 의해, 예를 들어 공지된 각종 단량체 공급 방법, 중합 조건(중합 온도, 중합시간, 중합 압력 등), 사용 재료(중합 개시제, 유화제 등)를 적절히 채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 공급 방법으로서는, 전체 단량체 원료를 한번에 중합 용기에 공급하는 일괄 투입 방식, 연속 공급(적하) 방식, 분할 공급(적하) 방식 등 어느 것도 채용 가능하다. 단량체 원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물과 혼합하여 유화하고, 그 유화액(즉, 단량체 원료의 에멀전)을 반응 용기 내에 공급해도 된다. 중합 온도는, 사용하는 단량체의 종류나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온보다 높고 100℃ 이하(전형적으로는 40 내지 100℃, 예를 들어 40 내지 80℃)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유화제>
에멀전 중합에 의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에 있어서, 전형적으로는 유화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에멀전 중합 분야에 있어서 공지 내지 관용의 각종 유화제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유화제, 비이온성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유화제의 예로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유화제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반응성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유화제(이하 「반응성 유화제」라고도 함)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분자중(1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유화제이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비닐기, 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비닐에테르기(비닐 옥시기), 알릴에테르기(알릴옥시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피착체의 오염이 보다 고도로 방지될 수 있다. 중합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은, 1분자 중에 포함되는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의 수가 1인 반응성 유화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구조의 유화제(이하 「음이온성 반응성 유화제」라고도 함), 비이온성 유화제에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구조의 유화제(이하 「비이온성 반응성 유화제」라고도 함)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의 친수성기를 갖는 음이온성 유화제(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 나트륨 등)에 프로페닐기나 알릴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구조의 반응성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유화제로서,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시판품의 예로서, ADEKA사제의 상품명 「아데카리아솝 SE-10N」, 상품명 「아데카리아솝 SE-20N」, 상품명 「아데카리아솝 SR-10」, 상품명 「아데카리아솝 SR-20」;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의 상품명 「아쿠아론 HS-10」, 상품명 「아쿠아론 HS-05」; 가오사제의상품명 「라테물 PD-104」;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화제(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유화제와 반응성 유화제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임)는 적절히, 단독 또는 병용해서 사용된다.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유화제와 반응성 유화제를 적당한 비율로 병용해도 된다. 유화제의 배합 비율은, 전체 단량체 원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5 내지 5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사용량에 의하면, 에멀전의 안정성과 표면 보호 필름의 성능(예를 들어, 피착체에 대한 저오염성, 점착력의 경시 안정성 등)이 고도로 양립될 수 있다.
상기 중합(에멀전 중합, 용액 중합 등)에는,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된 각종 연쇄 이동제(분자량 조절제 또는 중합도 조절제로서도 파악될 수 있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쇄 이동제는, 예를 들어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글리시딜 메르캅탄, 2-메르캅토에탄올 등의 메르캅탄류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연쇄 이동제로서, n-도데실메르캅탄 및 t-도데실메르캅탄이 예시된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단량체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대략 0.001 내지 0.5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연쇄 이동제(예를 들어 n-도데실메르캅탄)의 사용량을, 예를 들어 대략 0.02질량부 이상(전형적으로는 0.02 내지 0.1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7질량부) 정도로 한다.
에멀전 중합에 의해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의 용제 불용분(용제 불용 성분의 비율; 이하 「겔 분율」이라고도 함)은, 그 아크릴계 중합체 전체(100질량%)의 7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겔 분율을 나타내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의하면, 그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보다 높은 성능(예를 들어, 피착체에 대한 저오염성, 점착력의 경시 안정성 등)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겔 분율은, 예를 들어 사용하는 재료(중합 개시제, 유화제, 원료 단량체, 연쇄 이동제 등)의 종류나 양, 중합 조건(예를 들어 중합 온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겔 분율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겔 분율이 99질량% 이하인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중합체(중합 방법을 따지지 않음.)는 GPC에 의해 얻어진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104 이상 500×104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4 이상 400×1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4 이상 300×104 이하이다.
여기서 Mw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표준 폴리스티렌환산의 값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GPC 측정 장치로서 상품명 「HLC-8220GPC」(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값에 의해, 다음의 GPC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GPC의 측정 조건]
샘플 농도: 0.2질량%(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 10μL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량(유속): 0.6mL/min
칼럼 온도(측정 온도): 40℃
칼럼:
샘플 칼럼: 상품명 「TSKguardcolumn SuperHZ-H」 1개+상품명 「TSKgel SuperHZM-H」2개」(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레퍼런스 칼럼: 상품명 「TSKgel SuperH-RC」 1개(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아크릴계 중합체의 Mw가 너무 작으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피착체 표면에의 점착제 잔여물을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Mw가 너무 크면, 점착제의 유동성이 낮아져,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밀착성)이 부족하기 쉬워질 경우가 있다. 이러한 습윤성의 부족은, 피착체에 접착된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 중에(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보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요망되는 단계에서 비의도적으로) 피착체로부터 박리되는 사상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용액 중합법에 의해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에 있어서는, 그 Mw가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의미가 있다.
<점착제층의 대전 방지 성분>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는, 톱 코트층에 함유시킬 수 있는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재료에 부가해서, 이온 액체, 알칼리 금속염 등이 예시된다. 이들 대전 방지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대전 방지 성분이, 이온 액체 및 알칼리 금속염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이온 액체」(상온 용융염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란, 실온(25℃)에서 액상을 나타내는 이온성 화합물을 말한다.
<이온 액체>
상기 이온 액체로서는, 질소 함유 오늄염, 황 함유 오늄염 및 인 함유 오늄염 중 어느 1종류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이, 하기 일반식(A) 내지 (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1종류의 유기 양이온 성분을 갖는 이온 액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온 액체에 의하면, 특히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실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식(A) 중, Ra는, 탄소 원자수 4 내지 20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Rb 및 Rc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단, 질소 원자가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 Rc는 없다.
상기 식(B) 중, Rd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Re, Rf 및 Rg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C) 중, Rh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20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Ri, Rj 및 Rk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D) 중, Z는, 질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인 원자를 나타낸다. Rl, Rm, Rn 및 Ro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각각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단, Z가 황 원자인 경우, Ro는 없다.
상기 식(E) 중, Rp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8의 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식(A)에 의해 표시되는 양이온으로서는, 피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린 골격을 갖는 양이온, 피롤 골격을 갖는 양이온 등이 예시된다.
피리디늄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메틸피리디늄, 1-에틸 피리디늄, 1-프로필 피리디늄, 1-부틸피리디늄, 1-펜틸 피리디늄, 1-헥실피리디늄, 1-헵틸 피리디늄, 1-옥틸 피리디늄, 1-노닐 피리디늄, 1-데실 피리디늄, 1-알릴피리디늄, 1-프로필-2-메틸피리디늄, 1-부틸-2-메틸피리디늄, 1-펜틸-2-메틸피리디늄, 1-헥실-2-메틸피리디늄, 1-헵틸-2-메틸피리디늄, 1-옥틸-2-메틸피리디늄, 1-노닐-2-메틸피리디늄, 1-데실-2-메틸피리디늄, 1-프로필-3-메틸피리디늄, 1-부틸-3-메틸피리디늄, 1-부틸-4-메틸피리디늄, 1-펜틸-3-메틸피리디늄, 1-헥실-3-메틸피리디늄, 1-헵틸-3-메틸피리디늄, 1-옥틸-3-메틸피리디늄, 1-옥틸-4-메틸피리디늄, 1-노닐-3-메틸피리디늄, 1-데실-3-메틸피리디늄, 1-프로필-4-메틸피리디늄, 1-펜틸-4-메틸피리디늄, 1-헥실-4-메틸피리디늄, 1-헵틸-4-메틸피리디늄, 1-노닐-4-메틸피리디늄, 1-데실-4-메틸피리디늄, 1-부틸-3,4-디메틸 피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피롤리디늄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1-디메틸 피롤리디늄, 1-에틸-1-메틸 피롤리디늄,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 1-메틸-1-부틸피롤리디늄, 1-메틸-1-펜틸 피롤리디늄, 1-메틸-1-헥실 피롤리디늄, 1-메틸-1-헵틸 피롤리디늄, 1-메틸-1-옥틸 피롤리디늄, 1-메틸-1-노닐 피롤리디늄, 1-메틸-1-데실 피롤리디늄, 1-메틸-1-메톡시에톡시에틸 피롤리디늄, 1-에틸-1-프로필피롤리디늄, 1-에틸-1-부틸피롤리디늄, 1-에틸-1-펜틸 피롤리디늄, 1-에틸-1-헥실 피롤리디늄, 1-에틸-1-헵틸 피롤리디늄, 1,1-디프로필 피롤리디늄, 1-프로필-1-부틸피롤리디늄, 1,1-디부틸 피롤리디늄, 피롤리디늄-2-온 등을 들 수 있다.
피페리디늄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프로필피페리디늄, 1-펜틸 피페리디늄, 1,1-디메틸 피페리디늄, 1-메틸-1-에틸 피페리디늄,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 1-메틸-1-부틸 피페리디늄, 1-메틸-1-펜틸 피페리디늄, 1-메틸-1-헥실 피페리디늄, 1-메틸-1-헵틸 피페리디늄, 1-메틸-1-옥틸 피페리디늄, 1-메틸-1-데실 피페리디늄, 1-메틸-1-메톡시에톡시에틸 피페리디늄, 1-에틸-1-프로필피페리디늄, 1-에틸-1-부틸 피페리디늄, 1-에틸-1-펜틸 피페리디늄, 1-에틸-1-헥실 피페리디늄, 1-에틸-1-헵틸 피페리디늄, 1,1-디프로필 피페리디늄, 1-프로필-1-부틸 피페리디늄, 1-프로필-1-펜틸 피페리디늄, 1-프로필-1-헥실 피페리디늄, 1-프로필-1-헵틸 피페리디늄, 1,1-디부틸 피페리디늄, 1-부틸-1-펜틸 피페리디늄, 1-부틸-1-헥실 피페리디늄, 1-부틸-1-헵틸 피페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피롤린 골격을 갖는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2-메틸-1-피롤린 등을 들 수 있다. 피롤 골격을 갖는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에틸-2-페닐 인돌, 1,2-디메틸 인돌, 1-에틸 카르바졸 등을 들 수 있다.
식(B)으로 표시되는 양이온으로서는, 이미다졸륨 양이온,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디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등이 예시된다.
이미다졸륨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3-디메틸 이미다졸륨, 1,3-디에틸 이미다졸륨, 1-메틸-3-에틸이미다졸륨, 1-메틸-3-헥실 이미다졸륨,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1-프로필-3-메틸이미다졸륨,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1-펜틸-3-메틸이미다졸륨,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1-헵틸-3-메틸이미다졸륨,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 1-노닐-3-메틸이미다졸륨, 1-데실-3-메틸이미다졸륨, 1-도데실-3-메틸이미다졸륨, 1-테트라데실-3-메틸이미다졸륨, 1-헥사데실-3-메틸이미다졸륨, 1-옥타데실-3-메틸이미다졸륨, 1,2-디메틸-3-프로필 이미다졸륨, 1-에틸-2,3-디메틸 이미다졸륨, 1-부틸-2,3-디메틸 이미다졸륨, 1-헥실-2,3-디메틸 이미다졸륨, 1-(2-메톡시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등을 들 수 있다.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3-디메틸-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1,2,3-트리메틸-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1,2,3,4-테트라메틸-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1,2,3,5-테트라메틸-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등을 들 수 있다.
디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3-디메틸-1,4-디히드로피리미디늄, 1,3-디메틸-1,6-디히드로피리미디늄, 1,2,3-트리메틸-1,4-디히드로피리미디늄, 1,2,3-트리메틸-1,6-디히드로피리미디늄, 1,2,3,4-테트라메틸-1,4-디히드로피리미디늄, 1,2,3,4-테트라메틸-1,6-디히드로피리미디늄 등을 들 수 있다.
식(C)로 표시되는 양이온으로서는, 피라졸륨 양이온, 피라졸리늄 양이온 등이 예시된다.
피라졸륨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메틸 피라졸륨, 3-메틸 피라졸륨, 1-에틸-2,3,5-트리메틸 피라졸륨, 1-프로필-2,3,5-트리메틸 피라졸륨, 1-부틸-2,3,5-트리메틸 피라졸륨, 1-(2-메톡시에틸)피라졸륨 등을 들 수 있다. 피라졸리늄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1-에틸-2-메틸 피라졸리늄 등을 들 수 있다.
식(D)로 표시되는 양이온으로서는, Rl, Rm, Rn 및 Ro가, 동일 또는 상이하고, 모두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인 양이온이 예시된다. 이러한 양이온으로서,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 트리알킬 술포늄 양이온 및 테트라알킬 포스포늄 양이온이 예시된다. 식(D)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다른 예로서, 상기 알킬기의 일부가 알케닐기나 알콕시기, 나아가서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l, Rm, Rn 및 Ro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이 방향환이나 지방족환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식(D)로 표시되는 양이온은, 대칭 구조의 양이온이어도 되고, 비대칭의 양이온이어도 된다. 대칭 구조의 암모늄 양이온으로서는, Rl, Rm, Rn 및 Ro가 동일한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도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중 어느 하나)인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이 예시된다.
비대칭 암모늄 양이온의 대표예로서는, Rl, Rm, Rn 및 Ro 중 3개가 동일하고 나머지 1개가 상이한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에틸 암모늄, 트리메틸프로필 암모늄, 트리메틸부틸 암모늄, 트리메틸펜틸 암모늄, 트리메틸헥실 암모늄, 트리메틸헵틸 암모늄, 트리메틸옥틸 암모늄, 트리메틸노닐 암모늄, 트리메틸데실 암모늄, 트리에틸메틸 암모늄, 트리에틸프로필 암모늄, 트리에틸부틸 암모늄, 트리에틸펜틸 암모늄, 트리에틸헥실 암모늄, 트리에틸헵틸 암모늄, 트리에틸옥틸 암모늄, 트리에틸노닐 암모늄, 트리에틸데실 암모늄, 트리프로필메틸 암모늄, 트리프로필에틸 암모늄, 트리프로필부틸 암모늄, 트리프로필펜틸 암모늄, 트리프로필헥실 암모늄, 트리프로필헵틸 암모늄, 트리프로필옥틸 암모늄, 트리프로필노닐 암모늄, 트리프로필데실 암모늄, 트리부틸메틸 암모늄, 트리부틸에틸 암모늄, 트리부틸프로필 암모늄, 트리부틸헵틸 암모늄, 트리부틸헥실 암모늄, 트리부틸헵틸 암모늄, 트리펜틸메틸 암모늄, 트리펜틸에틸 암모늄, 트리펜틸프로필 암모늄, 트리펜틸부틸 암모늄, 트리펜틸헥실 암모늄, 트리펜틸헵틸 암모늄, 트리헥실메틸 암모늄, 트리헥실에틸 암모늄, 트리헥실프로필 암모늄, 트리헥실부틸 암모늄, 트리헥실펜틸 암모늄, 트리헥실펩틸 암모늄, 트리헵틸메틸 암모늄, 트리헵틸에틸 암모늄, 트리헵틸프로필 암모늄, 트리헵틸부틸 암모늄, 트리헵틸펜틸 암모늄, 트리헵틸헥실 암모늄, 트리옥틸메틸 암모늄, 트리옥틸에틸 암모늄, 트리옥틸프로필 암모늄, 트리옥틸부틸 암모늄, 트리옥틸펜틸 암모늄, 트리옥틸헥실 암모늄, 트리옥틸헵틸 암모늄, 트리옥틸도데실 암모늄, 트리옥틸헥사데실 암모늄, 트리옥틸옥타데실 암모늄, 트리노닐메틸 암모늄, 트리데실메틸 암모늄 등의, 비대칭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비대칭 암모늄 양이온의 다른 예로서는, 디메틸디에틸 암모늄, 디메틸디프로필 암모늄, 디메틸디부틸 암모늄, 디메틸디펜틸 암모늄, 디메틸디헥실 암모늄, 디메틸디헵틸 암모늄, 디메틸디옥틸 암모늄, 디메틸디노닐 암모늄, 디메틸디데실 암모늄, 디프로필디에틸 암모늄, 디프로필디부틸 암모늄, 디프로필디펜틸 암모늄, 디프로필디헥실 암모늄, 디메틸에틸프로필 암모늄, 디메틸에틸부틸 암모늄, 디메틸에틸펜틸 암모늄, 디메틸에틸헥실 암모늄, 디메틸에틸헵틸 암모늄, 디메틸에틸노닐 암모늄, 디메틸프로필부틸 암모늄, 디메틸프로필펜틸 암모늄, 디메틸프로필헥실 암모늄, 디메틸프로필헵틸 암모늄, 디메틸부틸헥실 암모늄, 디메틸부틸헵틸 암모늄, 디메틸펜틸헥실 암모늄, 디메틸헥실헵틸 암모늄, 디에틸메틸프로필 암모늄, 디에틸메틸펜틸 암모늄, 디에틸메틸헵틸 암모늄, 디에틸프로필펜틸 암모늄, 디프로필메틸에틸 암모늄, 디프로필메틸펜틸 암모늄, 디프로필부틸헥실 암모늄, 디부틸메틸펜틸 암모늄, 디부틸메틸헥실 암모늄, 메틸에틸프로필부틸 암모늄, 메틸에틸프로필펜틸 암모늄, 메틸에틸프로필헥실 암모늄 등의,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 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암모늄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포함하는 암모늄 양이온;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디아릴디프로필 암모늄, 디아릴메틸헥실 암모늄, 디아릴메틸옥틸 암모늄 등의, 알케닐기를 포함하는 암모늄 양이온; 트리에틸(메톡시에톡시에틸)암모늄, 디메틸에틸(메톡시에톡시에틸)암모늄, 디메틸에틸(에톡시에톡시에틸)암모늄, 디에틸 메틸(2-메톡시에틸)암모늄, 디에틸 메틸(메톡시에톡시에틸)암모늄 등의, 알콕시기를포함하는 암모늄 양이온; 글리시딜트리메틸 암모늄 등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암모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대칭 구조의 술포늄 양이온으로서는, Rl, Rm 및 Rn이 동일한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헥실기 중 어느 하나)인 트리알킬 술포늄 양이온이 예시된다. 비대칭의 술포늄 양이온으로서는, 디메틸데실술포늄, 디에틸 메틸술포늄, 디부틸에틸술포늄 등의, 비대칭 트리알킬 술포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대칭 구조의 포스포늄 양이온으로서는, Rl, Rm, Rn 및 Ro가 동일한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중 어느 하나)인 테트라알킬 포스포늄 양이온이 예시된다. 비대칭의 포스포늄 양이온으로서는, Rl, Rm, Rn 및 Ro 중 3개가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가 상이한 테트라알킬 포스포늄 양이온,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펜틸 포스포늄, 트리메틸헥실 포스포늄, 트리메틸헵틸 포스포늄, 트리메틸옥틸 포스포늄, 트리메틸노닐 포스포늄, 트리메틸데실 포스포늄, 트리에틸메틸 포스포늄, 트리부틸에틸 포스포늄, 트리부틸-(2-메톡시에틸)포스포늄, 트리펜틸메틸 포스포늄, 트리헥실메틸 포스포늄, 트리헵틸메틸 포스포늄, 트리옥틸메틸 포스포늄, 트리노닐메틸 포스포늄, 트리데실메틸 포스포늄 등을 들 수 있다. 비대칭의 포스포늄 양이온의 다른 예로서, 트리헥실테트라데실 포스포늄, 디메틸디펜틸 포스포늄, 디메틸디헥실 포스포늄, 디메틸디헵틸 포스포늄, 디메틸디옥틸 포스포늄, 디메틸디노닐 포스포늄, 디메틸디데실 포스포늄 등의, 비대칭 테트라알킬 포스포늄 양이온; 트리메틸(메톡시에톡시에틸)포스포늄, 디메틸에틸(메톡시에톡시에틸)포스포늄 등의,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술포늄 양이온; 을 들 수 있다.
식(D)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적합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비대칭 테트라알킬 암모늄 양이온, 비대칭 트리알킬 술포늄 양이온, 비대칭 테트라알킬 포스포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식(E)로 표시되는 양이온으로서는, Rp가 탄소 원자수 1 내지 18인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인 술포늄 양이온이 예시된다. Rp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헥실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온 액체의 음이온 성분은,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의 양이온과의 염이 이온 액체가 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는,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FSO2)2N-, (CF3SO2)2N-,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F(HF)n -, (CN)2N-, C4F9SO3 -, (C2F5SO2)2N-, C3F7COO-, (CF3SO2)(CF3CO)N-, C9H19COO-, (CH3)2PO4 -, (C2H5)2PO4 -, C2H5OSO3 -, C6H13OSO3 -, C8H17OSO3 -, CH3(OC2H4)2OSO3 -, C6H4(CH3)SO3 -, (C2F5)3PF3 -, CH3CH(OH)COO- 및 , 하기 식(F)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2
그 중에서도, 소수성의 음이온 성분은, 점착제 표면에 블리딩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저오염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은 저융점의 이온성 화합물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음이온 성분의 적합예로서, 비스(퍼플루오로 알킬술포닐)이미드 음이온(예를 들어, (CF3SO2)2N-, (C2F5SO2)2N-), 퍼플루오로알킬 술포늄 음이온(예를 들어, CF3SO3 -) 등의, 불소 함유 음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퍼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로서는, 통상, 1 내지 3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 또는 2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되는 이온 액체는, 상기 양이온 성분과 음이온 성분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다. 일례로서, 양이온 성분이 피리디늄 양이온인 경우, 상술한 음이온 성분과의 구체적인 조합으로서는, 1-부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부틸-3-메틸피리디늄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헥실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알릴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양이온의 각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하나의 음이온 성분과의 조합에 따른 이온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온 액체는, 시판 중인 것을 사용할 수 있거나, 혹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온 액체의 합성 방법은, 목적으로 하는 이온 액체가 얻어지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공지 문헌 "이온성 액체-개발의 최전선과 미래-"(CMC 출판 발행)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할로겐화물법, 수산화물법, 산에스테르법, 착형성법 및 중화법 등이 사용된다.
이온 액체의 배합량은, 통상,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3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질량부이다. 이온 액체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대전 방지 특성이 얻어지지 않고, 너무 많으면 피착체를 오염시키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알칼리 금속염>
점착제층의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염의 전형예로서는, 리튬염, 나트륨염 및 칼륨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 성분으로서의 Li+, Na+ 또는 K+와, 음이온 성분으로서의 Cl-, Br-, I-, BF4 -, PF6 -, SCN-, ClO4 -, CF3SO3 -, (FSO2)2N-, (CF3SO2)2N-, (C2F5SO2)2N- 또는 (CF3SO2)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해리성이 높은 점에서, 리튬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LiBr, LiI, LiBF4, LiPF6, LiSCN,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Li(CF3SO2)3C 등의 리튬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음이온 성분이 비스(퍼플루오로 알킬술포닐)이미드 음이온, 퍼플루오로알킬 술포늄 음이온 등의 불소 함유 음이온인 리튬염(예를 들어, Li(CF3SO2)2N, Li(C2F5SO2)2N, LiCF3SO3)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칼리 금속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어 리튬염)의 배합량은, 통상, 1질량부 미만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8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3질량부(예를 들어 0.05 내지 0.2질량부)이다. 알칼리 금속염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알칼리 금속염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피착체의 오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알킬렌옥시드 화합물>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제층이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은, 보다 재박리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착제층은, 습도가 많은 환경 하에 보존된 경우에도 흡습되기 어렵고, 따라서 그 흡습에 기인하는 백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것이 될 수 있다. 점착제층이 백화되면,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 검사 특성(예를 들어, 상기 표면 보호 필름 너머로 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 향상)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백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상기 형태의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용의 표면 보호 필름 등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상기 알킬렌옥시드쇄는,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공중합된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의 형태로 함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배합된(즉,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공중합되어 있지 않은)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의 형태로 함유되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 성분(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및 알칼리 금속염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또한 알킬렌옥시드쇄를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로서는, 1분자 중에, 옥시알킬렌 단위(알킬렌옥시드쇄)와,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관능기(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알릴기, 비닐기 등)를 갖는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이란, 옥시알킬렌 단위의 반복수가 1인 알킬렌옥시드 화합물과, 옥시알킬렌 단위가 2단위 이상 연속된 부분을 갖는(즉, 옥시알킬렌 단위의 반복수가 2 이상인)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옥시알킬렌 단위에 포함되는 알킬렌기의 탄소 원자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6일 수 있다. 이 알킬렌기는, 직쇄이어도 되고, 분지되어 있어도 된다. 적합예로서는, 옥시 메틸렌기,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및 옥시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가, 에틸렌옥시드쇄를 갖는 단량체이다. 알킬렌옥시드쇄의 일부에 에틸렌옥시드쇄를 포함하는 단량체이어도 된다. 이러한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베이스 중합체와 대전 방지 성분의 상용성이 향상하고, 피착체에의 블리드가 적절하게 억제되어, 저오염성의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 단위의 평균 부가 몰수(반복수)는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가 1 이상인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재박리성의 향상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옥시알킬렌쇄의 말단은, 수산기 상태 그대로여도 되고, 다른 관능기 등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1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와 알킬렌옥시드쇄를 갖는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부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옥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록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록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옥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는, 반응성 계면 활성제라고 불리는 것일 수 있다. 알킬렌옥시드쇄를 함유하는 반응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는, 1분자 중에 상기 중합성 관능기(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알릴기, 비닐기 등)와 알킬렌옥시드쇄를 갖는 음이온성 반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반응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반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옥시드쇄를 함유하는 반응성 계면 활성제는, 상술한 반응성 유화제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반응성 유화제는,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유화제는, 에멀전 중합에 의해 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할 때의 유화제로서 사용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에 포함되어도 되고, 에멀전 중합법 이외의 방법(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에 의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에 있어서 다른 원료 단량체와 공중합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에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시판품의 구체적예로서는, 상술한 시판 중인 반응성 유화제에 부가해서, 니찌유사제의 상품명 「브렌마 PME-400」, 동 「브렌마 PME-1000」, 동 「브렌마 50POEP-800B」 가오사제의 상품명 「라테물 PD-420」, 동 「라테물 PD-430」, 동 「에멀겐 120」, 동 「에멀겐 A-90」; ADEKA사제의 상품명 「아데카리아솝 ER-10」, 동 「아데카리아솝 NE-10」; 닛본 뉴카자이사제의 상품명 「뉴콜 1008」;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의 상품명 「노이겐 XL-1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로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합성에 사용하는 단량체의 총량 중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배합하는 알킬렌옥시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옥시알킬렌 단위에 포함되는 알킬렌기의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6(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예를 들어 2 내지 3)인 각종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는, 직쇄이어도 되고, 분지되어 있어도 된다. 옥시알킬렌 단위의 평균 부가 몰수(반복수)는,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알킬렌 디아민,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적합예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를 들 수 있음),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 알릴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에테르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 밖에, 폴리알킬렌옥시드쇄를 갖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나 양쪽 이온성 계면 활성제, 폴리알킬렌옥시드쇄를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단량체를,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화합물로서 아크릴계 중합체에 배합해도 된다. 이러한 알킬렌옥시드쇄 함유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의 일 적합예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옥시프로필렌 단위와 옥시에틸렌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들 단위의 배열은, 랜덤이어도 되고, 블록 형상이어도 됨.)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디올형, 트리올형, 헥산올형 등의 어떠한 분자 구조를 갖는 것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올형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옥시프로필렌 단위와 옥시에틸렌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PPG-PEG의 블록 공중합체, PPG-PEG-PPG의 블록 공중합체, PEG-PPG-PEG의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적합예로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단이 에테르화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PPG 모노알킬에테르, PEG-PPG 모노알킬에테르 등), 말단이 아세틸화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말단 아세틸화 PP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이, 적어도 일부에 에틸렌옥시드쇄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에틸렌옥시드쇄 함유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베이스 중합체와 대전 방지 성분의 상용성이 향상하고, 피착체에의 블리드가 적절하게 억제되고, 저오염성의 점착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에틸렌옥시드쇄 함유 화합물로서는, 그 화합물 전체에 차지하는 에틸렌옥시드쇄의 질량이 5 내지 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질량%이다.
상기 알킬렌옥시드 화합물로서는, 수 평균 분자량(Mn)이 10000 이하인 것이 적당하며, 통상은 200 내지 5000인 것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Mn이 10000보다도 너무 크면, 아크릴계 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저하하여 점착제층이 백화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Mn이 200보다도 너무 작으면, 그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기 쉬워질 수 있다. 여기서 Mn이란, 점착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모든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에 관한 수 평균 분자량을 가리킨다. 상기 Mn은, GPC에 의해 얻어진 표준 폴리스티렌환산의 값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GPC 측정 장치로서 상품명 「HLC-8220GPC」(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값에 의해, 다음의 GPC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GPC의 측정 조건]
샘플 농도: 0.2질량%(THF 용액)
샘플 주입량: 10μL
용리액: THF
유량(유속): 0.6mL/min
칼럼 온도(측정 온도): 40℃
칼럼:
샘플 칼럼: 상품명 「TSKguardcolumn SuperHZ-H」 1개+상품명 「TSKgel SuperHZM-H」 2개」(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레퍼런스 칼럼: 상품명 「TSKgel SuperH-RC」 1개(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상기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경우, 그 배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40질량부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질량부이다.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의 배합량을 0.1 내지 10 질량부로 해도 되고, 또한 0.1 내지 5질량(예를 들어 0.1 내지 1질량부)으로 해도 된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첨가 효과가 적어지고, 너무 많으면 상기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기 쉬워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상기 알킬렌옥시드 화합물로서 하기 식(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RaO-(PO)l-(EO)m-(PO)n-Rb (a)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PO는 옥시프로필렌기[-CH2CH(CH3)O-]를 나타내고, EO는 옥시에틸렌기[-CH2CH2O-]를 나타낸다.
상기 식(a) 중, Ra 및 Rb는, 알킬기(직쇄상이어도 되고, 분지쇄상이어도 됨.)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Ra와 Rb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알킬기의 적합예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전형적으로는 직쇄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Ra 및 Rb가 모두 수소 원자인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식(a) 중의 l 및 n은, 각각 양수(전형적으로는 1 이상의 정수)이다. l 및 n이 모두 1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예를 들어 10 내지 30)이다. l과 n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식(a) 중의 m은 양수(전형적으로는 1 이상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예를 들어 1 내지 15)이다.
상기 식(a)에 있어서, EO와 PO의 부가 형태(공중합 형태)는 블록형이다. 즉, 상기 식(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EO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예를 들어 PEG 블록)의 양측에 PO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예를 들어 PPG 블록)을 갖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상기 식(a)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이하 「화합물(a)」라고도 함) 의, 화합물(a)의 총 질량에 대한 EO의 총 질량의 비율[(EO의 총 질량)/(화합물(a)의 총 질량×100](단위: 질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질량%이다. 이러한 구조의 화합물(a)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보다 레벨링성이 좋은 것이 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레벨링성이 높은 것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 특성이나 외관 특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화합물(a)의 총 질량」이란, 「점착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모든 화합물(a)의 질량의 합계량」이며, 「EO의 총 질량」이란, 「점착제 조성물 중의 모든 화합물(a)에 포함되는 EO의 질량의 합계량」이다. 이하, 상기한 「화합물(a)의 총 질량에 대한 EO의 총 질량의 비율을, 「에틸렌옥시드 함유율」 또는 「EO 함유율」이라고도 한다. EO 함유율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핵자기 공명(NMR),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비행 시간형 2차 이온 질량 분석법(TOF-SIMS)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a)의 Mn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200 내지 4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3000이다. Mn이 상기 범위에 있는 화합물(a)는 아크릴계 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a)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면 점착 시트는, 그 점착제층의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또한 재박리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수 평균 분자량(Mn)이란, 점착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모든 화합물(a)에 대한 수 평균 분자량을 가리킨다. 상기 수 평균 분자량(Mn)은, GPC에 의해 측정해서 얻어진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을 말한다.
상기 화합물(a)은, 예를 들어 지방산이나 고급 알코올에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를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화합물(a)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ADEKA사제의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1」,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2」,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17R-2」,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17R-3」; BASF 재팬사제의 상품명 「플루로닉 RPE」 시리즈; 시그마-알드리치사제의 폴리(에틸렌글리콜)-블록-폴리(프로필렌글리콜)-block-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화합물(a)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배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3.0질량부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01 내지 2.0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질량부(예를 들어 0.1 내지 0.5질량부)이다. 이러한 배합량에 의하면, 점착제층의 외관 품질이 우수하고, 또한 피착체의 오염 방지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a)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전형적으로는, 용제형 또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기 화합물(a)를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화합물(a)만의 형태로 사용하는(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에 화합물(a)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배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화합물(a)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이와 같이 화합물(a)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서 사용하는 형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예로서는, 2-에틸 헥산올, 부틸셀로솔브,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노르말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 중에 점착 성분을 포함하는 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 성분이 수성 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전형적으로는 수성 에멀전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 성분이 물에 용해된 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수용액형 점착제 조성물), 무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예를 들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과 같은 활성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타입의 점착제 조성물, 핫 멜트형 점착제 조성물) 등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그 표면 보호 필름이,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상기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아세트산에틸,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헵탄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독 용매이어도 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매이어도 된다. 다른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바람직하게는, 용제형 또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적절히 가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가교 수단으로서는, 적당한 관능기(수산기, 카르복실기 등)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 기점을 도입해 두고, 그 관능기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가교제)을 아크릴계 중합체에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일반적인 아크릴계 중합체의 가교에 사용되는 각종 재료,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수지, 아지리딘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피착체로부터의 박리력을 적당한 범위로 조정하기 쉬운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가교제로서 사용되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사제, 상품명 「TETRAD-X」), 1,3-비스(N,N-디글리시딜 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사제, 상품명 「TETRAD-C」) 등이 예시된다. 멜라민계 수지로서는,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이 예시된다. 아지리딘 유도체로서는, 시판품으로서, 소고약꼬샤제의 상품명 「HDU」, 동 「TAZM」, 동 「TAZO」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성 및 구조(분자량 등)이나,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 형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통상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가교제의 사용량을 대략 0.01 내지 15질량부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대략 0.1 내지 10질량부(예를 들어 대략 0.2 내지 5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하고, 피착체에의 점착제 잔여물을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가교제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너무 커서 유동성이 낮아지고, 피착체에 대한 습윤성이 부족하여 박리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는, 또한,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의 점착제 조성물은, 보다 레벨링성이 좋은 것이 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레벨링성이 높은 것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 특성이나 외관 특성(예를 들어, 상기 표면 보호 필름 너머로 피착체의 외관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피착체 표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형성에 에멀전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것이 특히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에멀전형 점착제 조성물은,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에 비하여 레벨링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아세틸렌 결합을 갖는 디올을 말한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b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b2)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식(b1)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화합물(b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하기 식(b2)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화합물(b2)」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하기 식(b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식(b1) 중의 R1, R2, R3 및 R4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이어도 되고,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유기기(전형적으로는, 탄소, 수소 및 헤테로 원자(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등)를 포함하는 유기기)이어도 된다. R1, R2, R3 및 R4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식(b1) 중의 R1, R2, R3 및 R4는, 쇄상(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을 포함하는 의미임) 및 환상 중 어느 쪽 구조이어도 된다. 통상은, R1, R2, R3 및 R4가 모두 쇄상의 유기기(예를 들어, 포화 또는 불포화의 쇄상 탄화수소기)인 화합물(b1)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R1 및 R4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4의 수의 쇄상 알킬기(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또는 이소부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2 및 R3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또는 2의 알킬기(즉,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b1)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화합물(b1))의 구체예로서는, 7,10-디메틸-8-헥사데신-7,10-디올, 4,7-디메틸-5-데신-4,7-디올,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3,6-디메틸-4-옥틴-3,6-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b1)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에어 프로덕트사제의 상품명 「서피놀 104」 시리즈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피놀 104E」, 「서피놀 104H」, 「서피놀 104A」, 「서피놀 104BC」, 「서피놀 104DPM」, 「서피놀 104PA」, 「서피놀 104PG-5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하기 식(b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식(b2) 중의 R5, R6, R7 및 R8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기는, 탄화수소기이어도 되고,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유기기(전형적으로는, 탄소, 수소 및 헤테로 원자(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등)를 포함하는 유기기)이어도 된다. R5, R6, R7 및 R8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식(b2) 중의 p 및 q는 0 이상의 정수이며, p와 q의 합(p+q)은 1 이상이다. 또한, p가 0인 경우[-O-(CH2CH2O)pH」는 수산기[-OH」이며, q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p+q가 1 내지 20인 화합물(b2)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이다. p와 q는 동일한 수이어도 되고, 상이한 수이어도 된다. p 및 q는, 화합물(b2)의 HLB값이 13 미만으로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b2) 중의 R5, R6, R7 및 R8은, 쇄상(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을 포함하는 의미임) 및 환상 중 어느 쪽 구조이어도 된다. 통상은, R5, R6, R7 및 R8이 모두 쇄상의 유기기(예를 들어, 포화 또는 불포화의 쇄상 탄화수소기)인 화합물(b2)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R5 및 R8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1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4의 수의 쇄상 알킬기(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또는 이소부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6 및 R7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또는 2의 알킬기(즉,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b2)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화합물(b2))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7,10-디메틸-8-헥사데신-7,10-디올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4,7-디메틸-5-데신-4,7-디올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3,6-디메틸-4-옥틴-3,6-디올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b2) 중의 p 및 q는, 화합물(b2)의 HLB값이 13 미만이 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화합물(b2)가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인 경우에는, p와 q의 합계 (p+q)는 9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b2)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의 구체예로서는, 에어 프로덕트사제의 상품명 「서피놀 400」 시리즈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피놀 420」, 「서피놀 440」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화합물(b1), 화합물(b2) 그 밖의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일 수 있음)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전형적으로는, 용제형 또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기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만의 형태로 사용하는(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에 상기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배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상기한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이와 같이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서 사용하는 형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예로서는, 2-에틸 헥산올, 부틸셀로솔브,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노르말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용매 중에서도, 수분산성의 관점에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배합 시에,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을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것(100질량%)의 용매 함유율은, 에틸렌글리콜을 용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0질량% 미만(예를 들어 15 내지 35질량%)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용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70질량% 미만(예를 들어 20 내지 60질량%)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화합물(b1), 화합물(b2) 그 밖의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일 수 있음)로서는, HLB값(이하, 간단히 「HLB」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이 예를 들어 13 미만인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HLB를 나타내는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은, 피착체에 대한 저오염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HLB가 1 내지 10인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예를 들어 3 내지 5)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HLB값은, Griffin에 의한 Hydrophile-Lipophile Balance를 가리키고, 계면 활성제의 물이나 오일에의 친화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HLB값의 정의는, 문헌 [W.C.Griffin: J.SOC.Cosmetic, Chemists, 1311(1949)]나, 문헌 [다카하시 고시타미, 난바 요시로, 고이케 모토오, 고바야시 마사오 공저, 「계면 활성제 핸드북」, 제3판, 공학도서 가부시끼가이샤 출판, 1972년 11월 25일, p179 내지 182]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의 배합량(2종류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 배합량)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부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부이다. 이러한 배합량에 의하면, 점착제층의 외관 품질과 피착체에 대한 저오염성을 보다 고도의 레벨로 밸런스 좋게 양립시킨 표면 보호 필름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또한, 종래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서는,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공지 내지 관용의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해도 된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의 제2 면에 직접 부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키는 방법(직접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의 표면(박리면)에 부여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을 기재 필름에 접합하여 그 점착제층을 전사하는 방법(전사법)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점착제층의 투묘성의 관점에서, 통상은 상기 직접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부여(전형적으로는 도포 부착) 시에는,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팅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터에 의한 코트법 등의, 표면 보호 필름 분야에 있어서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건조는, 필요에 따라 가열 하에서(예를 들어, 6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자외선, 레이저선, α선, β선, γ선, X선, 전자선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내지 100㎛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5㎛ 내지 50㎛ 정도(예를 들어 10㎛ 내지 30㎛ 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필요에 따라, 점착면(점착제층 중 피착체에 접착되는 측의 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상기 점착면에 박리 라이너를 접합한 형태(박리 라이너 부착 표면 보호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를 구성하는 기재로서는, 종이, 합성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합성 수지 필름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기재로서 각종 수지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5㎛ 내지 200㎛로 할 수 있고, 통상은 대략 10㎛ 내지 1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 중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면에는, 종래 공지된 이형제(예를 들어,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지방산 아미드계 등) 또는 실리카분 등을 사용하여, 이형 또는 오염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보호 필름의 성능>
바람직한 일 형태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은, 23℃, 50% RH의 측정 환경 하에서 측정되는 박리대 전압이, 피착체(편광판)측, 표면 보호 필름측 모두 ±1kV 이내(보다 바람직하게는 ±0.8kV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7kV 이내)로 되는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23℃, 25% RH의 측정 환경(저습도 환경) 하에 있어서 측정되는 박리대 전압이, 피착체측, 표면 보호 필름측 모두 ±1kV 이내(보다 바람직하게는 ±0.8kV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0.7kV 이내)로 되는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낸다. 적어도 표면 보호 필름측의 박리대 전압이, 50% RH의 측정 조건, 25% RH의 측정 조건의 어떠한 경우에도 ±0.1kV 이내인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톱 코트층 및 점착제층에 부가해서, 또 다른 층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층」의 배치로서는, 기재의 제1 면(배면)과 톱 코트층 사이, 기재의 제2 면(전방면)과 점착제층 사이 등이 예시된다. 기재 배면과 톱 코트층 사이에 배치되는 층은, 예를 들어 대전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층(대전 방지층)일 수 있다. 기재 전방면과 점착제층 사이에 배치되는 층은, 예를 들어 상기 제2 면에 대한 점착제층의 투묘성을 높이는 하도층(앵커층), 대전 방지층 등일 수 있다. 기재 전방면에 대전 방지층이 배치되고, 상기 대전 방지층 위에 앵커층이 배치되고, 그 위에 점착제층이 배치된 구성의 표면 보호 필름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12)의 배면(12A)에 톱 코트층(14)이 직접 형성되어 있다. 즉, 기재 배면(12A)과 톱 코트층(14) 사이에 다른 층(예를 들어 대전 방지층)이 개재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재 배면(12A)과 톱 코트층(14) 사이에 다른 층을 개재한 구성에 비하여, 기재 배면(12A)과 톱 코트층(14)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실현되기 쉽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착체(50)에 접착된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톱 코트층(14)의 표면)(1A)에 점착 테이프(60)를 부착하고, 그 점착 테이프(픽업 테이프)(60)를 인장하여 피착체(50)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1)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 올리는 조작(픽업 조작)을 포함하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사용(피착체 표면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픽업 테이프(60)로서는, 기재(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64)와, 그 편면에 형성된 점착제층(62)을 구비하는 편면 점착 테이프로서 구성된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6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고무계, 실리콘계, 폴리아미드계, 불소계 등의, 공지된 각종 점착제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착제층(62)일 수 있다. 점착제층(62)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내지 100㎛ 정도로 할 수 있고, 통상은 5㎛ 내지 50㎛ 정도(예를 들어 10㎛ 내지 30㎛ 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에 대한 픽업 테이프(60)의 점착력(이하 「배면 박리 강도」라고도 함)이, 그 점착제층(6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 크게 상이하면, 사용하는 픽업 테이프(60)의 선택 자유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면 박리 강도의 차이는, 픽업 테이프(60)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1)을 피착체(50)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자를 망설이게 하여, 작업 효율의 저하나 작업 부하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픽업 테이프는,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아크릴계 점착제층)이나, 고무계 점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고무계 점착제층)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들 대표적인 2종류의 픽업 테이프가 비교적 가까운 배면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표면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 관한 톱 코트층은, 활제로서 왁스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이러한 조성의 톱 코트층은, 예를 들어 상기 왁스에스테르 대신 실리콘계 활제를 포함하는 조성의 톱 코트층에 비하여, 픽업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종류에 따른 배면 박리 강도의 차이가 작은(즉, 배면 박리 강도의 픽업 테이프 점착제 의존성이 작은)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픽업 테이프의 기재는, 상기 픽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강도 및 유연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와 마찬가지의 수지 필름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 시트; 폴리우레탄,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폴리에틸렌 등을 발포시켜 이루어지는 발포체 시트; 크라프트지, 크레이프지, 일본 종이 등의 종이; 면포, 인조 천 등의 천; 셀룰로오스계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비닐론 부직포 등의 부직포; 알루미늄박, 동박 등의 금속박; 이들 복합체; 등을 사용해도 된다. 픽업 테이프의 기재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대략 10㎛ 내지 500㎛(전형적으로는 10㎛ 내지 200㎛) 정도이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픽업 테이프(예를 들어, 닛토덴코사제의 상품명 「No.31B」)의 배면 박리 강도를 Fa(N/20㎜)로 하고, 고무계 점착제층을 갖는 픽업 테이프(예를 들어, 니치반사제의 상품명 「셀로 테이프(등록 상표)」)의 배면 박리 강도를 Fr(N/20㎜)로 한 경우에, |Fa-Fr|이 1.5(N/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N/20㎜) 이하이고, 예를 들어 1.0(N/20㎜) 이하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은, 배면 박리 강도의 픽업 테이프 점착제 의존성이 작다. 따라서, 상기 픽업 조작에 있어서의 사용감이 좋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 박리 강도는, 23℃, 50% RH의 측정 조건 하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에 픽업 테이프를 접착하고, 30분간 방치한 후, 그 배면으로부터 상기 픽업 테이프를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으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측정에 사용하는 픽업 테이프의 폭 W1(㎜)이 20㎜와는 상이한 경우에는, 그 박리 강도에 20/W1을 곱함으로써, 20㎜ 폭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로 환산할 수 있다. 통상은, 폭이 10㎜ 내지 30㎜(예를 들어 15㎜ 내지 25㎜)의 픽업 테이프를 사용하여 배면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 박리 강도 Fa 및 Fr은, 모두 3.0N/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N/20㎜ 이상(예를 들어 5.0N/20㎜ 이상)이다. 배면 박리 강도가 너무 낮으면, 피착체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픽업할 수 없어 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으로부터 픽업 테이프가 박리되어 버릴 수 있다. 배면 박리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은, Fa, Fr이 모두 20N/20㎜ 이하(예를 들어 10N/20㎜ 이하)인 것이 적당하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관한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배면 박리 강도 Fa 및 Fr 중 어느 쪽인가 작은 쪽의 값(이하 「(Fa, Fr)min」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단위는 N/20㎜.)과,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전형적으로는 편광판.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와 동일한 편광판)에 압착해서 30분간 방치한 후, 상기 피착체로부터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박리하여 측정되는 박리 강도 Fp(N/25㎜)의 관계가, 다음 식:[(Fa, Fr)min/Fp]≥5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a, Fr)min/Fp가 너무 작으면, 피착체 표면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픽업할 수 없어 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으로부터 픽업 테이프가 박리되어 버릴 수 있다. 픽업 조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Fa, Fr)min/Fp가 8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예를 들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a, Fr)min/Fp의 값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200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박리 강도 Fp(N/25㎜)는, 23℃, 50% RH의 측정 조건 하에서, 적당한 폭의 긴 형상으로 재단한 표면 보호 필름(시험편)의 점착면을 피착체(예를 들어, 플레인 편광판)에 접착하고, 30분간 방치한 후,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측정에 사용하는 표면 보호 필름의 폭 W2(㎜)이 25㎜와는 상이한 경우에는, 그 박리 강도에 25/W2를 곱함으로써, 25㎜ 폭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로 환산할 수 있다. 통상은, 폭 10㎜ 내지 30㎜(예를 들어 20㎜ 내지 30㎜)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박리 강도 Fp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사항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1)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톱 코트층
을 구비하는 톱 코트 부착 기재로서,
상기 톱 코트층은, 활제로서의 왁스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왁스가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톱 코트 부착 기재.
(2) 상기 왁스의 융점이 50℃ 이상 100℃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
(3) 상기 왁스로서, 하기 일반식(W)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
X-COO-Y (W)
(여기서, 상기 식(W) 중의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0 내지 40(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35, 예를 들어 20 내지 32)의 탄화수소기에서 선택될 수 있음)
(4) 상기 바인더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
(5) 상기 기재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
(6) 상기 톱 코트층이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도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
(7) 상기 기재의 제1 면 상에 상기 톱 코트층이 직접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계 매체와 상기 바인더와 상기 왁스를 포함하는 코팅재를 준비하는 것과,
상기 기재의 배면에 상기 코팅재를 도포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9)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톱 코트 부착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10)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를 함유하는,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
(11)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 성분으로서 이온 액체 및 알칼리 금속염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
(12) 광학 부품의 표면에 접착해서 사용되는, 상기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
(13) 피착체의 표면에 상기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것;
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피착체 표면에 접착된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픽업 테이프)를 접착하는 것; 및,
상기 점착 테이프를 인장함으로써, 상기 피착체에 접착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피착체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것;
을 포함하는, 피착체 표면의 보호 방법.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몇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하지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 각 특성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 톱 코트층의 두께 측정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중금속 염색 처리를 행한 후에 수지 포매를 행하고, 초박절편법에 의해, 히타치사제 TEM 「H-7650」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100kV, 배율: 60,000배의 조건으로 단면 화상을 얻었다. 이 단면 화상의 2치화 처리를 행한 후, 시야 내의 샘플 길이로 톱 코트의 단면적을 제산함으로써, 톱 코트층의 두께(시야 내의 평균 두께)를 실측하였다.
2. 내백화성 평가
톱 코트층 표면의 백화의 정도를, 톱 코트층 표면과, 적어도 톱 코트층 표면이 제거되어 투명 부분이 노출된 개소의 대비에 의해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톱 코트층의 표면)을, 장갑을 낀 시험자가 1회 강하게 문질러서, 적어도 톱 코트층의 표면을 제거하고, 그 문질러진 부분(찰과부)이 주위(비찰과부)와 비교해서 투명하게 비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즉, 상기 찰과부와 상기 비찰과부의 투명성/백화의 상대적인 차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비찰과부와 찰과부의 투명성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백화가 보였다고 판정하였다. 비찰과부의 백화가 현저해지면, 투명한 찰과부와 그 주위(백화된 비찰과부)의 콘트라스트가, 더욱 명확해지는 현상이 보인다.
상기 육안 관찰은, 이하와 같이, 암실(반사법, 투과법) 및 명실에 있어서 행하였다.
(a) 암실에서의 반사법에 의한 관찰: 외광을 차단한 실내(암실)에서,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톱 코트층의 표면)으로부터 100㎝의 위치에 100W의 형광등(미쓰비시전기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루피카라인」)을 배치하고, 시점을 바꾸면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b) 암실에서의 투과법에 의한 관찰: 상기 암실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전방면(톱 코트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으로부터 10㎝의 위치에 상기 형광등을 배치하고, 시점을 바꾸면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c) 명실에서의 관찰: 외광이 들어가는 창을 갖는 실내(명실)에서, 맑은 날 중에, 직사 광선이 닿지 않는 창가에서 샘플의 배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이들 3종류의 조건 하에 있어서의 관찰 결과를, 이하의 (5)단계로 표기하였다.
0: 어느 쪽 관찰 조건에 있어서도 백화는 보이지 않았다(찰과부와 비찰과부의 투명성에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1: 암실에서의 반사법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 약간의 백화가 보였다.
2: 암실에서의 투과법에 의한 관찰에 있어서 약간의 백화가 보였다.
3: 명실에서의 관찰에 있어서 약간의 백화가 보였다.
4: 명실에서의 관찰에 있어서 명확한 백화가 보였다.
상기한 내백화성 평가를, 초기(제작후, 50℃, 15% RH의 조건 하에서 3일간 보유한 것) 및 가온 가습후(제작후, 50℃, 15% RH의 조건 하에서 3일간 보유하고, 또한 60℃, 95% RH라고 하는 고온 다습 조건 하에서 2주간 보유한 것)의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하여 행하였다.
3. 내용제성 평가
상기 암실에 있어서,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즉, 톱 코트층의 표면)을 에틸알코올을 스며들게 한 웨스(천)로 5회 닦고, 그 배면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에틸알코올로 닦은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외관상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틸알코올로 닦은 것에 의한 외관 변화가 보이지 않은 경우)에는 내용제성 「양호」, 닦기 얼룩이 확인된 경우에는 내용제성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4. 배면 박리 강도 측정
4-1. 픽업 테이프의 점착제에 의한 박리력의 차이(점착제 의존성)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을 폭 70㎜, 길이 100㎜의 크기로 자르고, 이 표면 보호 필름(1)의 점착면(점착제층이 형성된 측)(20A)을, 양면 점착 테이프(130)를 사용하여 SUS304 스테인리스판(132) 상에 고정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기재)(164)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162)를 갖는 편면 점착 테이프 G1(닛토덴코사제, 상품명 「No.31B」, 폭 19㎜)을 100㎜의 길이로 잘랐다. 이 점착 테이프(160)의 점착면(162A)을,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즉, 톱 코트층(14)의 표면)(1A)에, 0.25MPa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으로부터 점착 테이프(160)를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N/19㎜]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 G1 대신에, 셀로판 필름(기재) 상에 천연 고무계 점착제를 갖는 편면 점착 테이프 G2(니치반사제, 상품명 「셀로 테이프(등록 상표)」, 폭 24㎜)를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배면 박리 강도[N/24㎜]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값으로부터, 점착 테이프 G1에 대한 20㎜ 폭 환산 박리 강도 Fa[N/20㎜](즉, 상기 박리 강도[N/19㎜]의 값을 20/19배 한 값)와, 점착 테이프 G2에 대한 20㎜ 폭 환산 박리 강도 Fr[N/20㎜](즉, 상기 박리 강도[N/24㎜]의 값을 20/24배 한 값)을 산출하였다. 표 1 내지 3에는, 이들 Fa 및 Fr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배면 박리 강도로부터 강도차 |Fa-Fr|을 산출하고, 그 값이1.5[N/20㎜] 이하인 경우에는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감을 「양호」라고 평가하고, 1.5[N/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을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상기 |Fa-Fr|의 값을, 사용감의 평가 결과와 함께 표 1 내지 3에 나타냈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130)는 상기 배면 박리 강도를 보다 적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표면 보호 필름(1)의 배면(1A)으로부터 점착 테이프(160)를 박리할 때에 그 표면 보호 필름(1)이 점착 테이프(160)에 인장되어 스테인리스판(132)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에 맞는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사제의 상품명 「No.500A」를 사용하였다.
4-2. 픽업 테이프의 반복 사용에 대한 박리 강도 유지성
(평가용 양면 점착 테이프편의 제작)
부직포(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 G3(닛토덴코사제, 상품명 「No.512B」)을 100㎜의 길이로 잘랐다. 그 한쪽의 점착면(제1 점착면)에 두께 38㎛의 PET 필름을 접착하여 배접하였다. 이것을 10㎜의 폭으로 잘라서 평가용 양면 점착 테이프편을 준비하였다.
(초기 박리 강도 측정)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편의 다른 쪽의 점착면(제2 점착면)을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즉, 톱 코트층의 표면)에, 0.25MPa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편을,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으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초기 박리 강도) Fx[N/10㎜]를 측정하였다.
(반복 압착·박리 조작)
계속해서,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에, 상기 초기 박리 강도 측정 후의 양면 점착 테이프편의 제2 점착면을 손으로 압착하는 조작과 그것을 바로 박리하는 조작을 반복하였다. 이때,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 중 양면 점착 테이프편이 부착되는 곳은, 1회마다 상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반복 압착·박리 조작은, 1개의 픽업 테이프를 반복해서 사용하여 다수매의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하는 형태를 상정한 것이다.
(반복 사용 후 박리 강도 측정)
상기 압착·박리 조작을 200회 반복한 후의 양면 점착 테이프편에 대해서, 상기 초기 박리 강도 측정과 마찬가지로,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으로부터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즉, 상기 200회 압착·박리 후의 양면 점착 테이프편의 제2 점착면을,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에, 0.25MPa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편을, 박리 속도 10m/분,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으로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200회 반복해서 사용 후의 박리 강도) Fy[N/10㎜]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초기 박리 강도와 200회 압착·박리 후의 박리 강도의 강도차(Fx-Fy)를 산출하였다.
5.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강도 측정
피착체로서, 폭 70㎜, 길이 100㎜의 플레인 편광판(닛토덴코사제의 TAC 편광판, SEG1425DU)을 준비하였다.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폭 25㎜, 길이 100㎜의 크기로 자르고, 그 점착면을 상기 편광판에, 0.25MPa의 압력, 0.3m/분의 속도로 압착하였다. 이것을 23℃, 50% RH의 환경 하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 하에서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 속도 0.3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으로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이때의 박리 강도(저속 박리 강도) Fp[N/25㎜]를 측정하였다.
또한, 박리 속도를 30m/분으로 한 점 이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박리 강도(고속 박리 강도)[N/25㎜]를 측정하였다.
<예 1>
(코팅재의 제조)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바인더 B1)를 25% 포함하는 분산액 A1(도요보 가부시끼가이샤 제조품, 상품명 「바이로날 MD-1480」(포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산액); 이하 「바인더 분산액 A1」이라고도 함)을 준비하였다. 또한, 활제로서의 카르나우바 왁스의 수분산액(이하 「활제 분산액 C1」이라고도 함)을 준비하였다. 또한, 도전성 중합체로서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T) 0.5% 및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수 평균 분자량 15만)(PSS)0.8%를 포함하는 수용액(H.C.Stark사 제품, 상품명 「Baytron P」; 이하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D1」이라고도 함)을 준비하였다.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 상기 바인더 분산액 A1을 고형 분량으로 100부와, 상기 활제 분산액 C1을 고형 분량으로 30부와, 상기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D1을 고형 분량으로 50부와, 멜라민계 가교제를 첨가하고, 약 20분간 교반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NV 약 0.15%의 코팅재 E1을 제조하였다.
(톱 코트층의 형성)
한쪽 면(제1 면)에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 폭 30㎝, 길이 40㎝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코팅재 E1을 바코터로 도포 부착하고, 130℃로 2분간 가열하여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PET 필름의 제1 면에 두께 10㎚의 투명한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톱 코트 부착 기재) T1을 제작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F1의 제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0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200부를,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하였다.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시간 교반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15부를 첨가하고, 70℃로 승온해서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중합체 용액(아크릴계 중합체의 톨루엔 용액) F0에, 그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알킬렌옥시드 화합물로서의 수 평균 분자량(Mn) 2000의 디올형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와코 쥰야꾸 고교사제) 0.5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 4.5부와, 가교 촉매로서의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1% 아세트산에틸 용액) 0.20부와, 최종적인 NV가 25%로 되는 분량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상온(25℃) 하에서 약 1분간 혼합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1을 제조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상기 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상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 F1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트 부착 기재 T1의 다른 쪽의 면(제2 면, 즉 상기 톱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한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고,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2>
예 1의 톱 코트 부착 기재 T1의 제작에 있어서, 코팅재 E1의 도포량을 조정함으로써, PET 필름의 제1 면에 두께 50㎚의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톱 코트 부착 기재) T2를 얻었다. 톱 코트 부착 기재 T1 대신에 톱 코트 부착 기재 T2를 사용한 점 이외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3>
예 1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용액 F0에, 그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 2.5부와, 가교 촉매로서의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1% 아세트산에틸 용액) 0.10부와, 이온성 액체(닛본 칼리트사 제품, 상품명 「CIL-312」, 1-부틸-3-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0.3부와, 최종적인 NV가 25%로 되는 분량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상온(25℃) 하에서 약 1분간 혼합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2를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F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F2를 사용한 점 및 점착제층의 두께를 15㎛로 조정한 점 이외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4>
예 1의 톱 코트 부착 기재 T1 대신에 톱 코트 부착 기재 T2를 사용한 점 이외는 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5>
예 1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용액 F0에, 그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4.0부와, 가교 촉매로서의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1% 아세트산에틸 용액) 0.20부와, 최종적인 NV가 25%로 되는 분량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상온(25℃) 하에서 약 1분간 혼합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3을 제조하였다. 즉, 이 점착제 조성물 F3의 제조에 있어서, 알킬렌옥시드 화합물은 사용하지 않았다.
예 1의 톱 코트 부착 기재 T1의 제작에 있어서, 코팅재 E1의 도포 부착량을 조정함으로써, PET 필름의 제1 면에 두께 14㎚의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톱 코트 부착 기재) T3을 얻었다.
기재 T1 대신에 기재 T3을 사용한 점 및 점착제 조성물 F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F3을 사용한 점 이외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6>
(점착제 조성물 Fem11의 제조)
물 76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92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부, 아크릴산 4부 및 유화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프로페닐 페닐에테르 황산에스테르 암모늄염(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의 반응성 유화제, 상품명 「아쿠아론 HS-1025」) 3부를 용기에 넣고, 호모믹서에 의해 교반 혼합하여 단량체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물 40.5부, 중합 개시제로서의 과황산암모늄 0.01부 및 상기에서 제조한 단량체 에멀전 중 10%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75℃에서 1시간 유화 중합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기에 중합 개시제(과황산암모늄) 0.07부를 추가하고,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나머지 단량체 에멀전(전체 단량체 에멀전의 90%에 상당하는 양)을 3시간 걸쳐서 첨가한 후, 다시 3시간 75℃로 유지하였다. 이것을 30℃까지 냉각하고, 농도 10%의 암모니아수를 첨가해서 pH8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에멀전 Fem10(아크릴계 중합체의 수분산액 NV41%)에, 그 고형분 100부(순수하게 Fem10만으로 244부)에 대하여 알킬렌옥시드 화합물(ADEKA사제,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1」, Mn2800) 0.3부, 비수용성 가교제인 에폭시계 가교제(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사제, 상품명 「TETRAD-C」, 1,3-비스(N,N-디글리시딜 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에폭시 당량: 110, 관능기 수: 4) 2.5부 및 아세틸렌 디올 화합물(닛신 가가꾸 고교사제, 상품명 「서피놀 420」) 1.0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해서 23℃, 300rpm의 조건으로 10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11을 제조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예 1의 톱 코트 부착 기재 T1의 제작에 있어서, 코팅재 E1의 도포량을 조정함으로써, PET 필름의 제1 면에 두께 14㎚의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톱 코트 부착 기재) T3을 얻었다. 이 톱 코트 부착 기재 T3의 제2 면(톱 코트층에 대한 반대측의 표면)에, 상기에서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 Fem11을, 테스터 산교사제의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0㎛로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도포물을 열풍 순환식 오븐을 사용해서 120℃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50℃, 15% RH의 환경 하에서 3일간 양생(에이징)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7>
예 6의 점착제 조성물 Fem11의 제조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에멀전 Fem10의 고형분 100부에 대한 비수용성 가교제 「TETRAD-C」의 사용량을 3.0부로 변경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12를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 Fem1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Fem12를 사용한 점 이외는 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8>
예 6의 아크릴계 중합체에멀전 Fem10의 제작에 있어서, 유화제로서 「아쿠아 론 HS-1025」 대신에 알킬아릴술포숙신산 나트륨(산요 가세이 고교사제, 상품명 「엘레미놀 JS-20」) 3부를 사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Fem10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중합체에멀전 Fem20을 얻었다. 아크릴계 중합체에멀전 Fem10 대신에 Fem20을 사용한 점 이외는 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21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11 대신에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21을 사용한 점 이외는 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9>
아크릴계 중합체에멀전 Fem10 대신에 Fem20을 사용한 점 이외는 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22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12 대신에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22를 사용한 점 이외는 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10>
(코팅재의 제조)
반응기에 톨루엔 25g을 장입하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105℃까지 상승시킨 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g, n-부틸아크릴레이트 10g,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5g, AIBN 0.2g을 혼합한 용액을, 상기 반응기에 2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적하하였다. 적하 완료 후, 반응기 내의 온도를 110 내지 115℃로 조정하고, 동일 온도에 3시간 보유하여 공중합 반응을 행하였다. 3시간 경과 후, 톨루엔 4g과 AIBN 0.1g의 혼합액을 반응기에 적하하고, 동일 온도에 1시간 보유하였다. 그 후, 반응기 내의 온도를 90℃까지 냉각하고, 톨루엔을 투입하여 희석함으로써, 내용물의 NV를 5%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바인더로서의 아크릴계 중합체(바인더 B2)를 톨루엔 중에 5% 포함하는 용액(바인더 용액 A2)을 준비하였다.
또한, 실리콘계 레벨링제(도레이·다우코닝사 제품, 상품명 「BY16-201」(히드록시알킬 말단 디메틸실록산); 이하, 「활제 C2」라고도 함) 과, PEDT와 PSS를 포함하는 NV 4.0%의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이하,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D2」라고도 함)을 준비하였다.
상기 바인더 용액 A2를 고형 분량으로 50부와, 상기 활제 C2를 고형 분량으로 25부와, 상기 도전성 중합체 수용액 D2를 고형 분량으로 25부와, 멜라민계 가교제에, 최종적인 NV가 약 0.15%로 되도록 용매로서의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를 첨가하여, 코팅재 E2를 제조하였다.
(톱 코트층의 형성)
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제1 면)에, 상기 코팅재 E2를 바코터로 도포하고, 130℃로 2분간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PET 필름의 제1 면에 두께 10㎚의 투명한 톱 코트층을 갖는 기재(톱 코트 부착 기재)를 제작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F4의 제조)
예 1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용액 F0에, 그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 4.0부와, 가교 촉매로서의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1% 아세트산에틸 용액) 0.20부와, 최종적인 NV가 20%로 되는 분량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상온(25℃) 하에서 약 1분간 혼합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4를 제조하였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PET 필름의 편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된 이형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 시트의 박리면(박리 처리가 실시된 면) 상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 F4를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점착제층을 상기 톱 코트 부착 기재의 다른 쪽의 면(톱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합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11>
물-알코올 용매 중에,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제(고니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본 딥-P 주제」)와, 경화제로서의 에폭시 수지(고니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품, 상품명 「본 딥-P 경화제」)를, NV 기준으로 100:46.7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 용액을, 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제1 면)에 도포 부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NV 기준으로 0.06g/㎡의 톱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톱 코트층의 표면에, 장쇄 알킬 카르바메이트계의 박리 처리제(잇포샤유지공업가부시끼가이샤 제조품, 상품명 「피로일 1010」)을 NV 기준으로 0.02g/㎡로 되도록 도포 부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톱 코트층에 미끄럼성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기재를 사용한 점 이외는 예 10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12>
예 1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용액 F0에, 그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알킬렌옥시드 화합물(ADEKA사제,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1」) 0.3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2부와, 가교 촉매로서의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1% 아세트산에틸 용액) 0.20부와, 최종적인 NV가 25%로 되는 분량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상온(25℃) 하에서 약 1분간 혼합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5를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F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F5를 사용한 점 이외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13>
예 1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용액 F0에, 그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알킬렌옥시드 화합물(ADEKA사제,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1」) 0.3부와,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기시다 가가꾸사제) 0.07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2부와, 가교 촉매로서의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1% 아세트산에틸 용액) 0.20부와, 최종적인 NV가 25%로 되는 분량의 톨루엔을 첨가하고, 상온(25℃) 하에서 약 1분간 혼합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6을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F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F6을 사용한 점 이외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예 14>
예 6에 의해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에멀전 Fem10(아크릴계 중합체의 수분산액; NV41%)에, 그 고형분 100부(순수하게 Fem10만으로 244부)에 대하여 알킬렌옥시드 화합물(ADEKA사제, 상품명 「아데카 플루로닉 25R-1」) 1.0부, 에폭시계 가교제(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사제, 상품명 「TETRAD-C」) 2.5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해서 23℃, 300rpm의 조건으로 10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분산형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Fem13을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Fem1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Fem13을 사용한 점 이외는 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각 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개략 구성과, 이들을 상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 또는 평가한 결과를,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이들 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활제로서 왁스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또한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예 1 내지 9, 12 내지 14의 톱 코트층은, 모두, 초기에 있어서 우수한 내백화성을 나타내고, 60℃, 95% RH라고 하는 가혹한 가열 가습 조건 하에서 2주간 보존한 후에 있어서의 백화도 약간 보이는 정도였다. 또한, 이들 예 1 내지 9, 12 내지 14에 따른 톱 코트층은, 모두 양호한 내용제성을 나타냈다. 또한, 예 1 내지 9, 12 내지 14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모두 배면 박리 강도의 픽업 테이프 점착제 의존성이 낮고(구체적으로는, |Fa-Fr| <1.5, 예 1 내지 8, 12 내지 14에 대해서는 |Fa-Fr|≤1.0이며), 사용감이 좋은 것이었다. 또한, (Fa, Fr)min/Fp의 값은 모두 5 이상(구체적으로는, 50 이상)이며,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박리 강도)과 배면 박리 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하였다. 그리고, 예 1 내지 9, 12 내지 14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그 배면에 대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편의 압착 및 박리를 반복해도,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편의 박리 강도의 저하가 적은 것이었다. 이 결과는, 이들 표면 보호 필름이 픽업 테이프의 반복 사용에 적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실리콘계 활제를 포함하는 예 10의 톱 코트층은, 예 1 내지 9, 12 내지 14와 비교하여, 초기의 내백화성은 동등했지만, 가열 가습 후의 내백화성은 명백하게 떨어졌다. 이것은, 가열 가습에 의해 톱 코트층의 표면에 실리콘계 활제가 과잉으로 블리딩하여 그 일부가 유적화되고, 상기 유적화된 실리콘계 활제(백화 부분)가 상기 내백화성 평가에 있어서 문질러 제거되는 것에 의해 내백화성의 저하가 육안으로 확인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에폭시 수지를 바인더로 하는 대전 방지층(활제를 함유하지 않음.)의 표면을 장쇄 알킬 카르바메이트계의 박리 처리제로 처리한 예 11에서는, 가열 가습에 의해 상기 박리제가 백화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예 10, 예 11의 톱 코트층은, 모두, |Fa-Fr|이 1.5 이상이며, 배면 박리 강도의 픽업 테이프 점착제 의존성이 높은 것이었다. 이들 톱 코트층은 내용제성도 낮았다. 또한, 예 11의 표면 보호 필름은, Fr의 값이 0.8N/20㎜로 낮고, 고무계 점착제에 의한 픽업이 곤란한 것이었다. 또한, 예 10의 표면 보호 필름은, 그 배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편을 반복해서 압착·박리한 경우에,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편의 박리 강도가 예 1 내지 9, 12 내지 14에 비하여 명백하게 크게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에 개시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광학 부재의 제조시, 반송시 등에 상기 광학 부재를 보호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용의 편광판(편광 필름),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 확산 시트, 반사 시트 등의 광학 부재에 적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톱 코트층과,
    상기 기재의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을 구비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톱 코트층은, 활제로서의 왁스와, 바인더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왁스가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표면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표면 보호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표면 보호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 성분을 함유하는 표면 보호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표면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부품.
KR1020130044115A 2012-04-23 2013-04-22 표면 보호 필름 KR102030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7971 2012-04-23
JPJP-P-2012-097971 2012-04-23
JP2013002196A JP6230233B2 (ja) 2012-04-23 2013-01-10 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13-002196 2013-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360A true KR20130119360A (ko) 2013-10-31
KR102030186B1 KR102030186B1 (ko) 2019-10-08

Family

ID=4814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15A KR102030186B1 (ko) 2012-04-23 2013-04-22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80527A1 (ko)
EP (1) EP2657277A1 (ko)
JP (1) JP6230233B2 (ko)
KR (1) KR102030186B1 (ko)
CN (1) CN103374309B (ko)
TW (1) TWI571384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987A (ko) * 2014-11-27 2016-06-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부재
KR20160078886A (ko) * 2014-12-25 2016-07-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20160078887A (ko) * 2014-12-25 2016-07-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WO2020153756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WO2020153753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WO2020153754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WO2020153755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20210096565A (ko) * 2020-01-28 2021-08-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20220141445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디에이피 스크래치보호필름부착 외관자동최종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2351A (ja) * 2012-09-28 2014-04-21 Nitto Denko Corp 蛍光体層貼着キット、光半導体素子−蛍光体層貼着体および光半導体装置
JP6092034B2 (ja) *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6092035B2 (ja) *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6092033B2 (ja) * 2013-07-30 2017-03-08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
JP6239302B2 (ja) * 2013-07-31 2017-11-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JP6203563B2 (ja) * 2013-07-31 2017-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CN105659114B (zh) * 2014-01-06 2017-07-1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保护片、保护片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CN104085152A (zh) * 2014-07-25 2014-10-08 常熟璟杰进出口有限公司 一种覆铝无纺布
WO2016049391A1 (en) * 2014-09-25 2016-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onic liquids
US9840680B2 (en) 2014-09-25 2017-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grance compositions comprising ionic liquids
JP6478262B2 (ja) * 2014-09-30 2019-03-06 大王製紙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が貼付された物品
JP2016080993A (ja) * 2014-10-21 2016-05-16 パナック株式会社 光学部材用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の検査方法
JP2016121310A (ja) * 2014-12-25 2016-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光学部材
JP6742723B2 (ja) * 2015-01-16 2020-08-19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JP6109262B2 (ja) * 2015-01-24 2017-04-05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6141429B (zh) * 2015-04-28 2019-01-01 元壤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排除激光镭射的铁氧体产品孔内废料的工艺
CN106181054A (zh) * 2015-04-30 2016-12-07 西酉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表面光滑的铁氧体产品激光成型方法
CN106181055B (zh) * 2015-04-30 2019-01-04 元壤实业(上海)有限公司 一种从铁氧体材料胶面激光成型铁氧体产品的方法
EP3295504B1 (en) * 2015-05-11 2018-12-26 Bromine Compounds Ltd. An additive for a flow battery
WO2017061718A1 (ko) * 2015-10-08 2017-04-13 백승재 보호필름 구조체 및 보호필름 부착보조 구조체
TWI636108B (zh) * 2016-04-22 2018-09-21 四維企業股份有限公司 可冷剝離型黏著片
JP6987429B2 (ja) * 2017-01-20 2022-01-0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用保護フィルム、偏光子用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子用保護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2018135438A (ja) * 2017-02-21 2018-08-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
JP2019012127A (ja) * 2017-06-29 2019-01-24 住友化学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き偏光板
JP6455566B2 (ja) * 2017-07-12 2019-01-2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10898861B2 (en) 2017-07-20 2021-01-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Ultrathin, conductive and fouling-resistant zwitterionic polymer films
DE112018004914B4 (de) * 2017-09-06 2023-09-07 Resonac Packaging Corporation Formverpackungsmaterial, Verpackungsgehäuse für Energiespeicher und Energiespeich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verpackungsmaterials
JP6467548B1 (ja) * 2017-09-28 2019-02-13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
JP2019069541A (ja) * 2017-10-06 2019-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トップコート層付き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MY194143A (en) 2017-11-24 2022-11-14 Midori Anzen Co Ltd Glove,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glove
JP6747464B2 (ja) * 2018-03-02 2020-08-2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636590B2 (ja) * 2018-10-10 2020-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部材
JP7257165B2 (ja) * 2019-02-12 2023-04-13 日東電工株式会社 補強フィルムを備える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補強方法
JP7319815B2 (ja) * 2019-04-24 2023-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JP7397645B2 (ja) 2019-12-11 2023-12-1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ロントカバー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CN114263967A (zh) * 2021-12-31 2022-04-01 新华盛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远红外石墨烯电发热地暖
CN114234275A (zh) * 2021-12-31 2022-03-25 新华盛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加热的石墨烯地暖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4172A (ja) 1996-06-05 1997-12-16 Sekisui Chem Co Ltd 水分散系離型剤
JP2002155158A (ja) * 2000-11-21 2002-05-28 Teijin Ltd 光学用易接着性積層フィルム
JP2009107329A (ja) 2007-10-10 2009-05-21 Jsr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020348A (ja) 2009-07-15 2011-02-03 Nitto Denko Corp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2011156703A (ja) * 2010-01-29 2011-08-18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91768A (ja) * 2011-04-05 2011-09-29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6427B2 (ja) * 1999-10-01 2009-09-30 帝人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積層体
WO2003014202A1 (fr) * 2001-08-07 2003-02-20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Film polyester en couches etire bi-axialement et film a couche de revetement dure
CN1512934A (zh) * 2001-12-10 2004-07-14 ���˶Ű�����ձ���ʽ���� 光学用粘结性聚酯膜
JP4052021B2 (ja) * 2002-06-04 2008-02-2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US7238732B2 (en) * 2004-02-18 2007-07-03 Eastman Chemical Company Radiation-curable adhesive compositions
WO2005105429A1 (en) * 2004-04-16 2005-11-10 Milliken & Company Textile constructions
JP4566625B2 (ja) * 2004-06-04 2010-10-2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ガラス用装飾フィルム
JP2012000993A (ja) * 2011-07-26 2012-01-05 Mitsubishi Plastics Inc 帯電防止性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4172A (ja) 1996-06-05 1997-12-16 Sekisui Chem Co Ltd 水分散系離型剤
JP2002155158A (ja) * 2000-11-21 2002-05-28 Teijin Ltd 光学用易接着性積層フィルム
JP2009107329A (ja) 2007-10-10 2009-05-21 Jsr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020348A (ja) 2009-07-15 2011-02-03 Nitto Denko Corp 透明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JP2011156703A (ja) * 2010-01-29 2011-08-18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91768A (ja) * 2011-04-05 2011-09-29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987A (ko) * 2014-11-27 2016-06-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부재
KR20160078886A (ko) * 2014-12-25 2016-07-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20160078887A (ko) * 2014-12-25 2016-07-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WO2020153756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WO2020153753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WO2020153754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WO2020153755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20200092725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20210096565A (ko) * 2020-01-28 2021-08-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KR20220141445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디에이피 스크래치보호필름부착 외관자동최종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30233B2 (ja) 2017-11-15
CN103374309A (zh) 2013-10-30
TWI571384B (zh) 2017-02-21
TW201347989A (zh) 2013-12-01
JP2013240982A (ja) 2013-12-05
CN103374309B (zh) 2017-05-31
US20130280527A1 (en) 2013-10-24
KR102030186B1 (ko) 2019-10-08
EP2657277A1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186B1 (ko) 표면 보호 필름
KR102252651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102225306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102023861B1 (ko) 점착 시트 및 그 이용
TWI597342B (zh)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on film
KR102292379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102225276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102251539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KR102220730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20150014864A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재
JP6905502B2 (ja)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KR20190039863A (ko) 톱 코트층 구비 필름, 표면 보호 필름 및 광학 부품
JP645437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731981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KR20200138316A (ko) 표면 보호 필름, 광학 부재,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