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252A -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252A
KR20130108252A KR1020137003252A KR20137003252A KR20130108252A KR 20130108252 A KR20130108252 A KR 20130108252A KR 1020137003252 A KR1020137003252 A KR 1020137003252A KR 20137003252 A KR20137003252 A KR 20137003252A KR 20130108252 A KR20130108252 A KR 2013010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senso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354B1 (ko
Inventor
사비에르 그로울트
시아브 쿠옹 쿠오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filed Critical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ublication of KR2013010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7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an obstacle, e.g. varying 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5Parking performed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park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의 보조에 의해 주차 공간(3) 내로 또는 외부로 차량(2)을 주차할 때 차량(2)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4) 상에서 차량(2)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행 루트(4)에 대해 고정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센서 디바이스(11, 17)가 제공된다. 센서 디바이스(11, 17)는 주행 루트(4) 상에 위치하는 차량(2)에 관한 데이터를 캡처하고, 동일한 신호(15, 15')가 차량(2)의 내부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캡처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15, 15')를 무선으로 방출한다. 신호(15, 15')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를 통해 수신되고, 데이터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시스템(10) 뿐만 아니라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장치{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DRIVER OF A VEHICLE IN MANOEUVRING THE VEHICLE ON A DRIVING ROUTE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을 주차 공간에 주차할 때,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된다. 본 발명은 더욱이 대응 시스템 뿐만 아니라 통신 디바이스, 특히 휴대폰(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 공간에, 즉 특히 차고 등에 주차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에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특히, 이는 운전자에 의해 매우 빈번하게 - 예를 들어, 매일 - 주차되는 주차 공간에 관계된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차고에, 즉 예를 들어 벽 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는 차량 외부 카메라를 이용한다. 이러한 카메라는 이어서 차고의 이미지를 기록한다. 이들 이미지는 이어서 차량의 내부 내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 전송될 수 있다. 운전자는 차고 내의 차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이 방식으로, 운전자는 차량을 차고 내에 주차하는 것 뿐만 아니라 차고 외부로 차량을 주차하는 것이 지원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문헌 JP 2000 041 238 A호 및 JP 2001 114 046 A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차량은 디스플레이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대응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 것이 단점으로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따라서 더 구식의 차량에 대해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가 없는 차량에 대해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의 운전자가 어떻게 많은 노고 없이, 특히 차량에 이용될 고가의 고정 장착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이 지원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청구항 9에 따른 특징을 갖는 시스템에 의해, 뿐만 아니라 청구항 10의 특징을 갖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및 상세한 설명의 요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차량의 운전자는 특히 주차 공간 내로 또는 외부로 주차할 때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이 지원된다. 이와 관련하여 운전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즉 예를 들어 휴대폰의 보조에 의해 지원된다.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 적어도 하나의 센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센서 디바이스는 주행 루트에 대해 고정 배열된다. 센서 디바이스는 주행 루트 상에 위치된 차량에 관한 데이터를 캡처한다. 캡처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가 송출된다. 신호는 차량의 내부에 도달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특히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캡처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한편으로는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캡처되는 차량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운전자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해 성취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이어서 차량에 관한 캡처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 데이터를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또는 라우드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에 고정 장착된 어떠한 고가의 시스템도 - 즉, 차량 내에 고정 장착된 어떠한 디스플레이도 뿐만 아니라 차량에 고정 장착된 어떠한 통신 인터페이스도 - 요구되지 않는다는 종래 기술에 비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즉 운전자 지원을 위해 종래 기술에 이용된 바와 같이 차량 내에 고정 장착된 구성 요소 없이 행해진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이미 복수의 디자인으로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바와 같이 운전자 지원을 위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다. 운전자는 따라서 최소의 노력으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이 지원될 수 있다. 운전자에 단지 요구되는 것은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 휴대폰과 같은 - 이다. 따라서, 방법은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특히 운전자가 차고 내로 또는 외부로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는 차고 내에 고정 장착될 수 있고, 차고 내에 위치되어 있는 차량을 캡처할 수 있다. 운전자는 이어서 캡처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보조에 의해, 차고 내의 차량의 순간적인 위치 또는 배열에 대해 통지될 수 있다. 따라서, 차고 내외로의 차량의 주차는 특히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제공된다.
그 조작이 운전자에게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보조에 의해 지원되는 것은 자동차, 특히 승용차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차량으로부터 별도로 형성되어 따라서 차량 아키텍처에 독립적인 구성 요소를 표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스마트폰) 또는 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과 같은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WLAN 표준(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은 운전자가 차고 내에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차고는 일반적으로 생활 공간 또는 주거용 건물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서 라우터를 경유하여 신호가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목적으로, 예를 들어 건물 내에 일반적으로 이미 제공되어 있는 라우터가 이용될 수 있다. 신호는 예를 들어, IEEE-802.11 패밀리의 통신 표준에 따라, 즉 WLAN 표준에 따라 라우터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라우터를 이용함으로써, 방출된 신호의 비교적 큰 거리 범위가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운전자가 그의 차량과 함께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는 또한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셋업될 수 있는데, 이는 비교적 낮은 전력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라우터는 이어서 이들 신호를 증폭하거나 또는 더 높은 전력 및 따라서 더 높은 전송 범위의 새로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와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WLAN 표준에 따라, 즉 IEEE-802.11 패밀리의 통신 표준에 따라 실행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 즉 특히 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 는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신호가 라우터를 경유하여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와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 전송되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라우터를 통해 센서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라우터의 도달 범위 내에 있으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센서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가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면,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 식별에 의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요구될 때, 즉 운전자가 그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와 함께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의 부근에 있을 때, 센서 디바이스가 단지 활성화될 수 있고 따라서 단지 전기 에너지만을 소비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거리 센서가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로서 제공되면 특히 유리하다. 이 거리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주행 루트에 대해 고정 배열된 초음파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리 센서는 이어서 거리 센서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캡처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이어서 거리에 관한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거리 센서가 거리 센서와 차량 사이의 순간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이 실시예에서 이들 데이터를 수신하고 측정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거리값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게다가 또는 대안적으로, 측정된 거리에 대한 정보는 또한 라우드스피커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그의 차량과 거리 센서 사이의 실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따라서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이 지원된다. 이 실시예는 또한 차고에서 이용될 때 특히 장점을 갖는다. 거리 센서는 예를 들어 차량이 차고 내에 주차 중에 접근하는 차고의 후방벽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운전자는 이어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가 차고 내로 더 주차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차량이 임의의 센서를 장착해야 할 필요 없이 현재 거리값을 출력할 수 있다.
거리 센서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카메라가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동등하게 주행 루트에 대해 고정 배열될 수 있다. 카메라는 주행 루트 상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할 수 있고, 캡처된 이미지는 이어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이는 이 실시예에서 차량 외부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가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또한, 카메라는 차고 내에, 즉 예를 들어 차고의 벽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는 예를 들어 차고 내로 주차할 때 차량이 접근하는 차고의 후방벽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운전자는 이어서 차고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 특히 차고의 전체 내부 - 뿐만 아니라 차고에 진입하는 차량의 모두를 표시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이 방식으로,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이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제공되고, 표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운전자는 차량과 다른 물체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에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바람직하게는 주차 공간 - 특히 차고 내에 주차할 때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보조에 의해 지원된다.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는, 차량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차 공간 내에 위치될 때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가 차량을 미리 캡처하는 방식으로 주차 공간 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운전자는 주차 공간 내로 또는 외부로 차량을 주차하는 것이 지원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디바이스는 차량이 그 내로 또는 외부로 주차되는 차고 내에 고정 배열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장점은 이들의 전체 방위(full bearing)를 전개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 예를 들어 조작 디바이스에서 및/또는 마이크로폰을 경유하여 - 내로 입력을 행할 수 있고,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이 입력에 의해 라우터를 통해 그리고/또는 센서 디바이스로 직접 센서 디바이스의 활성화를 트리거링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대기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특히 사용자 친화적이다. 운전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보조에 의해, 거리로부터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이 실시예에서 유사 리모컨의 기능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그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보조에 의해 운전자는 또한 그가 차량의 외부에 있고 및 차량이 예를 들어 차고에 있을 때 센서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운전자는 센서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거나 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차량을 관찰할 수 있다.
더욱이, 특히 주차 공간 내로 차량을 주차할 때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주행 루트에 대해 고정 배열된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센서 디바이스는 주행 루트 상의 차량에 관한 데이터를 캡처할 수 있고 동일한 신호가 차량의 내부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캡처된 데이터를 갖는 신호를 무선으로 방출할 수 있다.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 내의 신호를 수신하고 캡처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를 또한 포함한다. 시스템은 주행 루트 - 및 특히 또한 주차 공간 - 및/또는 차량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 특히 휴대폰 - 는 거리 센서, 특히 초음파 센서에 의해 캡처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거리에 관련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거리 센서는 센서와 차량 사이의 직접적인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차량 외부 센서 -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하여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 및 유사하게 이들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이 청구범위, 도면 및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유도된다. 상세한 설명에서 이전에 언급된 모든 특징 및 특징 조합 뿐만 아니라 도면의 설명에서 이하에 명명되고 그리고/또는 도면 단독에 도시되어 있는 특징 및 특징 조합은 각각의 경우에 제공된 조합에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에서 또는 또한 단독으로 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시스템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시스템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도.
본 발명이 이제 개별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 및 동일한 기능의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된다.
차고(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용차인 차량(2)이 있다. 차고(1)는 차량(2)이 정지해 있는 주차 공간(3)을 포함한다. 주차 공간(3)에는 차량(2)이 그를 따라 창고(1) 내에 주차될 수 있는 주행 루트(4)가 이어지고, 주차 공간(3)은 주행 루트(4)의 부분이다. 주차 공간(3)은 원리적으로 벽, 즉 2개의 측벽(5, 6), 뿐만 아니라 후방벽(7) 및 게이트를 가질 수 있는 전방벽(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차고(1) 내에 경계 형성되어 있다. 차량(2)이 차고(1) 내에 주차되어 있을 때, 차량(2)은 주차 동작 중에 후방벽(7)에 접근한다. 그러나, 주차 공간(3)이 그를 통해 측방향으로 바로 경계 형성되는 차고(1) 내의 복수의 물체(8)가 또한 존재한다.
차고(1)는 생활 공간(9), 즉 예를 들어 플랫(flat), 집 등에 바로 연결된다. 측벽(5)은 차고(1)로부터 생활 공간(9)을 분리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체로서 도면 부호 10으로서 나타내는 시스템은 거리 센서(11), 라우터(12), 뿐만 아니라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거리 센서(11)는 초음파 센서이고, 거리 센서(11)는 본 발명의 개념에서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이다. 이 셋업에서 거리 센서(11)는 후방벽(7)에 부착되고, 차량 공간(3) 및 차량(2)을 캡처한다. 달리 말하면, 거리 센서(11)의 캡처 방향은 차고(1)가 연장하는 주 방향과 일치하는데, 즉 거리 센서(11)가 차량(2)과 거리 센서(11) 사이의 거리(14)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차량(2) - 화살표(15)에 따른 - 이 차고(1) 내로 후방 주차되면, 거리(14)는 주차 동작 중에 감소된다.
거리 센서(11)는 예를 들어 라우터(12)에 무선으로 접속되고 또는 케이블을 경유하여 접속될 수 있다. 라우터(12)는 WLAN 라우터이다. 거리 센서(11)는 거리(14)를 측정하고, 거리(14)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15)를 라우터(12)에 전송한다. 라우터(12)는 신호(15)를 수신하고, 거리 센서(11)에 의해 캡처된 거리(14)에 대한 정보를 동등하게 포함하는 신호(15')를 방출한다. 신호(15')는 WLAN 표준에 따라, 즉 무선으로 전송된다.
신호(15')는 차량(2)의 내부에 도달하고, 이어서 실시예에서 휴대폰인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의해 수신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는 조작 디바이스 및 광학 출력 디바이스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터치 감응식 디스플레이(16)(터치 스크린)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13)는 WLAN 표준에 따라 신호(15')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3)는 이어서 신호(15') 내에 포함된 거리(14)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갖는다. 터치 스크린(16) 상에는 이어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거리(14)가 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거리 센서(11)와 차량(2) 사이의 현재 거리(14)는 1.5 m이다.
차량(2)이 차고(1) 내에 주차되면, 그의 휴대폰의 터치 스크린(16) 상에서, 운전자는 차량(2)과 거리 센서(11) 사이의, 본질적으로 임의의 소정의 순간에 차량(2)과 후방벽(7) 사이의 거리(14)의 현재값이 제공된다. 이는 운전자가 그의 차량(2)이 대응 센서를 구비할 필요 없이 후방벽(7)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차량(2)은 따라서 또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갖지 않는 더 구식의 차량일 수 있다. 운전자는 단지 그의 휴대폰(3), 차량 외부 거리 센서(11),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라우터(12)만을 필요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거리 센서(11) 대신에, 이제 차고(1) 내의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로서 카메라(17)가 존재한다. 이 실시예에서, 카메라(17)는 인간에게 가시적인 스펙트럼 범위 내의 광을 검출하고 따라서 주변의 광학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광학 캡처 디바이스이다. 카메라(17)는 동등하게는 후방벽(7) 상에 장착되고, 실시예에서 전체 주차 공간(13) 뿐만 아니라 전체 차량(2)을 캡처한다. 카메라(17)는 주차 공간(3) 뿐만 아니라 차량(2)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고, 신호(15)는 이제 카메라(17)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15')는 이제 카메라(17)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이미지 데이터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의해 수신된다. 카메라(17)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는 터치 스크린(16) 상에 표시된다. 이는 실시간으로 행해지는데, 즉 카메라(17)는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3)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3)는 연속적으로, 즉 이미지의 연속적인 필름 또는 연대적인 시퀀스의 형태로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4는 카메라(17)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표시된 이미지(18)를 갖는 휴대폰(13)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미지(18)는 차량(2)을 후방으로부터 표시한다. 차량을 주차 공간 내외로 주차할 때, 운전자는 따라서 디스플레이(16) 상에 차량(2)이 있는 주차 공간(3)의 이미지를 제공받고, 따라서 차량(2)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거리 센서(11) 및 카메라(17)의 모두는 차고(1) 내에 위치된다. 이는 도 5에 따른 실시예가 도 1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조합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호(15)는 따라서 거리(14)에 관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카메라(17)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의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15')는 거리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6) 상에는 카메라(17)의 이미지(18) 뿐만 아니라 임의의 소정의 순간에 현재 거리값의 모두가 표시된다.
요약하면, 운전자가 차고(1) 내로 또는 외부로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능을 하는 시스템(10) 뿐만 아니라 방법이 제공된다.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 - 거리 센서(11) 및/또는 카메라(17) - 가 라우터(12)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이 센서 디바이스(11, 17)는 대응 소프트웨어의 보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3)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또한 동시에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11, 17)를 식별할 수 있다. 그의 통신 디바이스(13)를 갖는 운전자가 라우터(12)에 충분히 접근하면, 운전자는 소프트웨어를 스위치 온 하여 센서 디바이스(11, 17)의 정보가 그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운전자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의 보조에 의해 센서 디바이스(11, 17)를 활성화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목적으로, 운전자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6)에 입력을 행할 수 있고, 이 입력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13)는 이어서 센서 디바이스(11, 17)의 활성화를 트리거링하는 제어 신호를 라우터(12)에 또한 전송할 수 있다.
1: 차고 2: 차량
3: 주차 공간 4: 주행 루트
5, 6: 측벽 7: 후방벽
8: 물체 9: 생활 공간
11: 거리 센서 12: 라우터
13: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14: 거리
15, 15': 신호 16: 터치 스크린
17: 카메라 18: 이미지

Claims (8)

  1.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의 보조에 의해 주차 공간(3) 내로 또는 외부로 차량(2)을 주차할 때 차량(2)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4) 상에서 상기 차량(2)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주행 루트(4)에 대해 고정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11,17)를 제공하는 단계와,
    -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에 의해 상기 주행 루트(4) 상에 존재하는 상기 차량(2)에 관한 데이터를 캡처하고, 상기 차량(2)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캡처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15, 15')를 무선으로 방출하는 단계와,
    -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의해 상기 신호(15, 15')를 수신하고 캡처된 디바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11, 17)는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의해 자동으로 식별되고, 이 식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가 활성화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라우터(12)를 경유하여, 상기 신호(15, 15')는 특히 IEEE-802.11 패밀리의 통신 표준에 따라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로부터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로 전송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거리 센서(11), 특히 초음파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11, 17)로서 제공되고, 상기 거리 센서(11)와 상기 차량(2) 사이의 거리(14)가 상기 거리 센서(11)에 의해 캡처되고, 상기 거리(14)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전송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메라(17)가 상기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11, 17)로서 제공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가 캡처되어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전송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차 공간(3) 내에 있는 차량을 캡처하는 방식으로 상기 주차 공간(3) 내에 고정 배열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는 상기 차량(2)이 차고(1)의 내부로 또는 외부로 주차되는 차고(1)에 고정 배열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생성된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로의 입력에 의해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의해 활성화되는
    방법.
  8. 주차 공간(3) 내로 또는 외부로 차량(2)을 주차할 때 차량(2)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4) 상에서 상기 차량(2)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주행 루트(4)에 대해 고정 배열되고 상기 주행 루트(4) 상에서 상기 차량(2)에 관한 데이터를 캡처하고 상기 차량(2)의 내부에 도달하는데 적합한 캡처된 데이터를 갖는 신호(15, 15')를 무선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11, 17)와,
    상기 차량(2)의 내부에 상기 신호(15, 15')를 수신하고 캡처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량 외부 센서 디바이스(11, 17)는 상기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3)에 의해 자동으로 식별되고, 이 식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서 디바이스(11, 17)가 활성화되는
    시스템.
KR1020137003252A 2010-08-11 2011-08-04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789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008357A EP2418123B1 (en) 2010-08-11 2010-08-11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driver of a vehicle in manoeuvring the vehicle on a driving route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10008357.5 2010-08-11
PCT/EP2011/063449 WO2012019961A1 (en) 2010-08-11 2011-08-04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driver of a vehicle in manoeuvring the vehicle on a driving route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252A true KR20130108252A (ko) 2013-10-02
KR101789354B1 KR101789354B1 (ko) 2017-10-23

Family

ID=4341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252A KR101789354B1 (ko) 2010-08-11 2011-08-04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0434B2 (ko)
EP (1) EP2418123B1 (ko)
JP (1) JP5823517B2 (ko)
KR (1) KR101789354B1 (ko)
CN (1) CN103069780B (ko)
WO (1) WO2012019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2549A1 (de) * 2011-05-26 2012-11-29 Man Truck & B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lichen Erfassung und Visualisierung von Umgebungsbedingungen an einem von einem Nutzfahrzeuge anzufahrenden Hindernis
DE102012008858A1 (de) * 2012-04-28 2012-11-08 Daimler Ag Verfahren zum autonomen Parken eines Kraftfahrzeugs, Fahrerassistenz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Kraftfahrzeug mit der Fahrerassistenzvorrichtung
ITMO20130012A1 (it) * 2013-01-21 2014-07-22 Fabio Lettieri Dispositivo per l'assistenza alla guida di autoveicoli
DE102013012394A1 (de) * 2013-07-26 2015-01-29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rnsteuerung einer Funktion eines Fahrzeugs
CN106415686B (zh) * 2014-04-18 2019-10-18 金泰克斯公司 可训练收发器和摄像系统及方法
DE102014210172B3 (de) * 2014-05-28 2015-10-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gabe eines Kraftfahrzeugs an den Fahrer bei einem automatischen Ausparkvorgang
EP3072710B1 (en) 2015-03-24 2018-03-28 LG Electronics Inc.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336318B2 (en) 2015-06-22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park assist
DE102015112289A1 (de) * 2015-07-28 2017-02-0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Identifizieren eines Objekts in einem Umgebungsbereich eines Kraftfahrzeugs, Fahrerassistenzsystem sowie Kraftfahrzeug
US10032366B2 (en) * 2015-10-12 2018-07-24 The Chamberlain Group, Inc. Remotely configurable sensor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576889B2 (en) * 2015-10-18 2020-03-03 Danielle Constantine Wireless sensor or device, portable or detachable from either a motorized or unmotorized vehicle, connected via a phone or electronic tablet application system
CN105869437A (zh) * 2015-10-29 2016-08-17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泊车辅助系统及泊车方法
CN106760804A (zh) * 2015-11-19 2017-05-31 深圳中集天达空港设备有限公司 一种停车引导系统及带有停车引导系统的立体车库
WO2017176689A1 (en) * 2016-04-06 2017-10-12 Karuza Andy Proximity warning device
CA2961090A1 (en) 2016-04-11 2017-10-1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Modular garage door opener
CA2961221A1 (en) 2016-04-11 2017-10-1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Modular garage door opener
EP3231690A1 (de) * 2016-04-13 2017-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parkmanövers
DE102016214860B4 (de) * 2016-08-10 2022-06-02 Audi Ag Verfahren zur Überwachung zumindest eines Fahrzeugs mit mindestens einer Überwachungskamera, Überwachungskamera sowie Fahrzeug
JP6930171B2 (ja) * 2017-03-29 2021-09-01 株式会社アイシン 駐車補助装置、及び、駐車支援システム
CN108237977B (zh) * 2018-01-16 2020-04-17 王若昕 一种倒车辅助装置以及车库
JP7199304B2 (ja) * 2019-05-20 2023-01-05 株式会社Ihi 異物検出システム
CN112721919B (zh) * 2021-01-14 2022-04-22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泊车方法、车辆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2855B2 (en) * 1997-05-30 2003-11-04 William F. Budnovitch Revocable Trust User assistance system for an interactive facility
US5945907A (en) * 1997-10-27 1999-08-31 Michael Yaron Apparatus and methods for parking a vehicle using position detection sensor
JP2000041238A (ja) 1998-07-23 2000-02-08 Calsonic Corp ガレージ用モニタ装置
JP2001114046A (ja) 1999-10-15 2001-04-24 Yazaki Corp 駐車補助装置
DE10117650A1 (de) * 2001-04-09 2002-10-10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ringen eines Kraftfahrzeuges in eine Zielposition
DE50210454D1 (de) * 2002-02-05 2007-08-23 Hohe Gmbh & Co Kg Einpark- und/oder Rangierhilfeeinrichtung
AU2002345285A1 (en) * 2002-07-11 2004-02-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digital content o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sensor data
AU2003258898A1 (en) * 2002-08-09 2004-02-25 Surveylab Group Limited Mobile instrument, viewing device,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storing information
JP4769102B2 (ja) * 2006-03-15 2011-09-07 公立大学法人首都大学東京 車両情報取得システム
US7498954B2 (en) 2006-05-31 2009-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operative parking
US8013720B2 (en) * 2007-11-02 2011-09-06 Reverse Control, Inc. Signal apparatus for facilitating safe backup of vehicles
US20090300525A1 (en) * 2008-05-27 2009-12-03 Jolliff Maria Elena Romer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avatar to indicate user's status
JP2010026840A (ja) * 2008-07-22 2010-02-04 Hitachi Ltd 車載通信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592491B (zh) * 2009-07-20 2012-04-11 查闻 3g车载电脑实时导航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27641A1 (en) 2013-05-23
WO2012019961A1 (en) 2012-02-16
JP2013540631A (ja) 2013-11-07
KR101789354B1 (ko) 2017-10-23
CN103069780B (zh) 2016-01-27
CN103069780A (zh) 2013-04-24
US8810434B2 (en) 2014-08-19
EP2418123B1 (en) 2012-10-24
JP5823517B2 (ja) 2015-11-25
EP2418123A1 (en)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354B1 (ko)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루트 상에서 차량을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936014B1 (ko)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JP2021037950A (ja) 画像送信装置
US9531783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KR10077561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20060049109A (ko) 차량 탑재형 경보 시스템
CN109703513B (zh) 信息提供系统和车辆
ITTO20070484A1 (it) Sistema telematico multimediale integrato di bordo per informazioni ed intrattenimento
KR20110087736A (ko)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물체 근접 영상 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31161A (ko)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211175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8834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KR101109580B1 (ko) 룸미러형 av/블랙박스 장치와 운송 차량용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포함하는 운송 차량용 안전 운행 관리 시스템
US8570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r when reversing motor vehicle
KR20110077443A (ko) 급발진시 운전자 과실 확인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JP2021105754A (ja) 車載処理装置、及び車載処理システム
JP4325410B2 (ja) 車載装置
KR101546701B1 (ko) 차량운행 스마트 통합단말장치, 차량운행 스마트 통합단말장치를 이용한 차량 운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118744A (ko) 차량의 초음파 센서와 영상 센서의 데이터 통합처리 시스템
JP2015054530A (ja) 駐車支援システム
KR10207755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515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JP6552577B2 (ja) 駐車支援システム、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KR20160118743A (ko) 차량의 네비게이터와 avm 카메라 영상을 통합 처리하는 이기종 영상 통합처리 시스템
KR20220028939A (ko)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