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939A -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939A
KR20220028939A KR1020200110593A KR20200110593A KR20220028939A KR 20220028939 A KR20220028939 A KR 20220028939A KR 1020200110593 A KR1020200110593 A KR 1020200110593A KR 20200110593 A KR20200110593 A KR 20200110593A KR 20220028939 A KR20220028939 A KR 2022002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sound
signal value
eq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20011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939A/ko
Publication of KR2022002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한다.

Description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coding an image using sound detection}
본 발명은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이를 저장하는 주행 자료 자동 기록 장치로서, 이렇게 기록되는 주행 자료는 사고가 났을 때 그 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미국, 유럽 등의 일부 국가에서 상용차를 중심으로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진행중이며, 국내에도 일부 영업용 차량에 대해 블랙박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차량용 블랙박스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블랙박스는 통상적으로 탑재 카메라, 디스플레이 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기능을 더 발전시켜, 다양한 영상 데이터, 예를 들면 전방, 후방, AVM(Around View Monitor) 영상과, 다양한 센서 데이터, 예를 들면 레이더, 라이다, 포즈 추정, V2X, 디지털 맵 데이터와, 차량 데이터를 함께 수집하여 사고 발생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즉, 오작동, 기능저하, 고장원인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사고발생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하며, 테스트와 사건 재구성에 필요한 차량의 운행기록 및 사고기록을 차량의 내외부에서 복원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음성인식 기술은 음의 강약과 높낮음 등의 음성의 진동이 갖는 특징을 디지털 신호로 바꾼 후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음성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음성에 담긴 언어적인 의미를 프로세서가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기술로서 요즈음에는 탤레매틱스 시스템(Telematics System)의 발전과 더불어 차량에 적용되어 점차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음성인식장치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파워 윈도우, 와이퍼, 비상램프, 에어컨, 오디오 등 운행에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여 주는 각종 주변 장치를 운전자의 음성을 통해 편리하게 조작하였지만, 자율주행이 점차 발전되면서, 차량 주행과 관련된 제어에도 음성인식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일 실시 예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신호값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는 복수 개이고,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부터 사운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값의 위상차이에 따라 사운드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판단된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표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은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영상녹화장치에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녹화장치는, 블랙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은 주차된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신호값의 변화량을 판단하고, 상기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는 복수 개이고,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부터 사운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값의 위상차이에 따라 사운드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판단된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표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녹화장치는 외부 CCTV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사운드의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CCTV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영상녹화장치에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차량의 내부 블록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운전 보조 시스템(ADAS)의 블록 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300)의 개략 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400)의 개략 도이다.
도 5 및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 입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들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을 설명하는 흐름 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을 설명하는 흐름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25) 메모리(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차량 운전 보조 시스템(ADAS, 16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광통신 모듈 및 V2X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수단,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은,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은 조향 입력 수단, 쉬프트 입력 수단, 가속 입력 수단, 브레이크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은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 및 차량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는 렌즈, 이미지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촬영되는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프로세서는, 스테레오 영상에서 검출된 디스페리티(disparity) 차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영상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복수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광원(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레이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프로세서는, 광원에서 발신되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TOF)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복수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후방 카메라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으나, 후방 카메라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는, 카메라의 프로세서에 전달되고,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주변 영상은 탑뷰 이미지 또는 버드 아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센싱부(125)는, 차량(100)의 각종 상황을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125)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125)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및 햅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차량의 속도(또는 속력), 주변차량의 속도(또는 속력) 및 현재 차량과 주변차량 간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 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 조향 구동부, 브레이크 구동부, 램프 구동부, 공조 구동부, 윈도우 구동부, 에어백 구동부, 썬루프 구동부 및 서스펜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상술한 사고 유무 판단 장치는 제어부(17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차량 내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촬영 가능한 영역 내에 소정의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주행 또는 주차 상태인지 여부와, 존재한 객체의 유형을 기초로 사고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소정의 장면을 촬영한 영상을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사고 판단 내지 사고 영상 저장은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기록할 영상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만을 이용하고, 영상 분석 내지 객체 인식과 사고 판단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센서 오작동에 의해 오인식, 잘못된 사고 영상의 저장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운전 보조 시스템(ADAS)의 블록 도이다.
ADAS(200)는, 편의, 안전 제공을 위해 운전자를 보조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시스템이다.
ADAS(200)는, 자동 비상 제동 모듈(이하, 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210), 전방 충돌 회피 모듈 (이하, FCW: Foward Collision Warning)(211), 차선 이탈 경고 모듈 (이하, LDW: Lane Departure Warning)(212), 차선 유지 보조 모듈 (이하, LKA: Lane Keeping Assist)(213), 속도 지원 시스템 모듈 (이하, SAS: Speed Assist System)(214), 교통 신호 검출 모듈 (TSR: Traffic Sign Recognition)(215), 적응형 상향등 제어 모듈 (이하, HBA: High Beam Assist)(216), 사각 지대 감시 모듈 (이하, BSD: Blind Spot Detection)(217), 자동 비상 조향 모듈 (이하, AES: Autonomous Emergency Steering)(218), 커브 속도 경고 시스템 모듈 (이하, CSWS: Curve Speed Warning System)(219), 적응 순향 제어 모듈 (이하, ACC: Adaptive Cruise Control)(220), 스마트 주차 시스템 모듈 (이하, SPAS: Smart Parking Assist System)(221), 교통 정체 지원 모듈 (이하, TJA: Traffic Jam Assist)(222) 및 어라운드 뷰 모니터 모듈 (이하, AVM: Around View Monitor)(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ADAS 모듈(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들은 차량 운전 보조 기능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ADAS 모듈(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제어부(2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각각의 ADAS 모듈(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EB(21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제동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FCW(211)는, 차량 전방 오브젝트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경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LDW(212)는, 주행 중 차선 이탈 방지를 위해, 경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LKA(213)는, 주행 중 주행 차선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SAS(214)는, 설정된 속도 이하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TSR(215)은, 주행 중 교통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교통 신호를 기초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HBA(216)는, 주행 상황에 따라 상향등의 조사 범위 또는 조사량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BSD(217)는, 주행 중, 운전자 시야 밖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AES(218)는, 비상시 조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모듈이다. CSWS(219)는, 커브 주행시 기 설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 경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ACC(220)는, 선행 차량을 추종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SPAS(221)는, 주차 공간을 검출하고, 주차 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TJA(222)는, 교통 정체시 자동 운행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AVM(223)은, 차량 주변 영상을 제공하고, 차량 주변을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ADAS(200)는, 입력부(230) 또는 센싱부(235)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차량 운전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부(250) 또는 차량 구동부(260)에 제공할 수 있다. ADAS(20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부(250) 또는 차량 구동부(260)에 차량 내부 네트워크 통신(예를 들면, CAN)을 통해, 직접 출력할 수 있다. 또는, ADAS(20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를 거쳐, 출력부(250) 또는 차량 구동부(26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300)의 개략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녹화장치(300)는 프로세서(310), 마이크(320), 촬영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영상녹화장치(300)는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일 수 있으나,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내 카메라로 촬영된 차량 실내외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상녹화장치(300)는 마이크(320)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촬영부(330)를 제어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한다.
마이크(320)는 차량에 설치되고,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320)는 차량의 A 필러, C 필러 등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부, 예를 들면 전면, 후면, 좌우측면 등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마이크(3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프로세서(310)에 감지한 사운드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320)는 리본 마이크(ribbon mike), 코일 마이크(coil mike), 크리스털 마이크(crystal mike), 콘덴서 마이크(condenser mike), 벨로시티 마이크(velocity mike) 등일 수 있다. 또한, 기능적으로 지향성 마이크, 라이플 마이크, 전향성 마이크를 포함한다. 지향성 마이크(unidirectional mike)는 음원이 있는 한 방향의 음향을 대부분 포착하는 마이크이다. 라이플 마이크(rifle mike)는 긴 튜브 끝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매우 좁은 각도의 음향을 포착하는 동시에 마이크 앞의 말소리부터 몇 피트 밖의 소리도 잡을 수 있는 마이크이다. 전향성 마이크(omnidirectional mike)는 다른 종류의 마이크처럼 선명하지는 못하지만 모든 방향의 음향을 포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프로세서(310)는 마이크(320)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촬영부(330)를 제어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310)는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의 크기가 t1 시간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촬영부(330)를 통해 차량 주위의 영상을 촬영개시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10)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촬영부(330)를 통해 영상 촬영을 시작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신호값의 변화량을 판단하고,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340)에 기록할 수 있다. 즉, 일정한 크기의 사운드, 예를 들면 주차된 차량에 대해 외부 충격에 의해 소음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량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함으로써, 주차중 타차량에 의한 차량 훼손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300)는 차량의 주차 중에는 슬립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운영되고, 마이크(320)를 통해 소정 크기, 또는 소정 크기의 변화가 일정시간이상 지속된 경우에, 영상녹화장치(300) 또는 프로세서(310)에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여, 영상녹화장치(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G 센서를 통한 충격량 감지 신호를 영상 기록 트리거로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주차중 차량 감시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블랙박스의 마이크블록만 살아있고, 나머지 블록은 Sleep Mode에 들어가 있어, 전력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주차 시의 자동차 배터리 또는 블랙박스 전원의 방전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400)의 개략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녹화장치(400)는 복수 개의 마이크(421 및 422), 프로세서(410), 촬영부(430), 저장부(440) 및 통신부(450)를 포함한다. 도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영상녹화장치(400)는 복수 개의 마이크(421 및 4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각각의 마이크는 차량의 위치, 예를 들면 전방, 후방 및 좌우측면 각각의 위치 또는 방향에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검출하기에 적합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450)는 WIFI 또는 무선통신모뎀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부터 사운드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값의 위상차이에 따라 사운드의 방향을 판단하고, 촬영된 영상에 판단된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표시를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마이크 1을 통해 입력된 신호값과 마이크 2를 통해 입력된 신호 값의 피크치의 시간차이(t2-t1)를 기초로 사운드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10)는 마이크 1이 위치한 방향(차량 전면) 정보를 촬영된 영상에 표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10)는 통신부(450)를 통해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의 CCTV 서버(미도시)에, 해당 사운드가 발생한 방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주차장 내의 많은 개수의 CCTV 중 어느 장소의 CCTV 영상을 확인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블랙박스와 주차장내 CCTV가 연계가 되며, 소리 및 충격 등에 의한 사고영상과 주차장내 CCTV의 영상을 조합하여 사고 차량의 추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을 설명하는 흐름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0에서,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한다. 단계 702에서,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단계 702의 판단 결과,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제1 임계값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값으로, 차량 훼손의 유형에 따른 사운드 또는 소음의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단계 702의 판단 결과,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700으로 되돌아간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을 설명하는 흐름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00에서, 주차된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차량의 카메라를 감시모드로 운영하는 것으로, 촬영된 영상, 예를 들면 라이브 뷰 영상으로 촬영하고, 임시 메모리(버퍼)에, 버퍼 용량만큼만 선입선출방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802에서,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한다. 단계 804에서,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단계 806에서,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에 기록한다.
단계 804의 판단 결과,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802로 되돌아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는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 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신호값의 변화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복수 개이고,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부터 사운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값의 위상차이에 따라 사운드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판단된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표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영상녹화장치에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녹화장치는,
    블랙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8. 주차된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차량 주위의 사운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신호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신호값의 변화량을 판단하고, 상기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복수 개이고,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부터 사운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사운드에 상응하는 각각의 신호값의 위상차이에 따라 사운드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판단된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표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외부 CCTV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사운드의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CCTV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에 구비된 영상녹화장치에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장치.

KR1020200110593A 2020-08-31 2020-08-31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KR20220028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93A KR20220028939A (ko) 2020-08-31 2020-08-31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93A KR20220028939A (ko) 2020-08-31 2020-08-31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39A true KR20220028939A (ko) 2022-03-08

Family

ID=8081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593A KR20220028939A (ko) 2020-08-31 2020-08-31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791B2 (en) Around view provision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EP3211616A2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EP2955915A1 (en) Around view provision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80134285A1 (en)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11201787B (zh) 成像装置、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JP2021064118A (ja) 遠隔自動運転車両、及び車両遠隔指示システム
KR102331882B1 (ko) 음성 인식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0150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운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094405B1 (ko) 영상을 이용한 사고 유무 판단 방법 및 장치
US11052822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KR102013872B1 (ko)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확인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82457A (ko) A d a s 알람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89728B1 (ko) 차량의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처리방법 및 장치
CN116419072A (zh) 车辆摄像头动态
KR20220028939A (ko) 사운드 검출 기반의 영상녹화방법 및 장치
CN115131749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WO2020036044A1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59534B1 (ko) 악천후에서의 차량의 주행차선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175793B1 (ko) 인지 장애 경고 방법 및 장치
KR102124998B1 (ko) 주행 중 a d a s 카메라의 위치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79334A (ko) 후방 추돌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19339B1 (ko)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 보조 방법
KR20230046799A (ko) 차량의 핸들 디스플레이의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96213B1 (ko) 영상 기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1722B1 (ko) 차량 단말을 이용한 주차위치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