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760A -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760A
KR20130103760A KR1020137013174A KR20137013174A KR20130103760A KR 20130103760 A KR20130103760 A KR 20130103760A KR 1020137013174 A KR1020137013174 A KR 1020137013174A KR 20137013174 A KR20137013174 A KR 20137013174A KR 20130103760 A KR20130103760 A KR 2013010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charger
charging circuit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2672B1 (ko
Inventor
유이치 가와사키
겐지 다마키
마사노리 나카무라
다케시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과제] 보통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에 공통의 충전 커플러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충전 계통을 간소화한다.
[해결수단] 배터리(4)는 전동 차량(1)의 구동원인 모터(18)에 전력을 공급한다. 급속 충전기(10)는 배터리(4)를 충전하는 제1 충전 회로(52)와, 제1 충전 회로(52)에 병렬 접속되는 제2 충전 회로(53)와, 제1 충전 회로(52) 및 제2 충전 회로(53)를 배터리(4)에 접속하기 위한 충전 커플러(13)를 갖는다. 제1 충전 회로(52) 및 제2 충전 회로(53)가 충전 커플러(13)와 배터리(4) 사이에 설치되는 공통의 회로 부분(PLp, PLn)을 통해 배터리(4)에 접속된다. 보통 충전기는 제1 충전 회로(52)와 제2 충전 회로(53) 중 제1 충전 회로(52)만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CHARG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보통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 중 어느 것을 접속하는 경우에나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사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으로 구동되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전동 차량에 있어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보통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는 공급되는 전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양쪽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보통 충전기용 단자 및 급속 충전기용 단자를 각각 전용으로 설치한 충전 제어 장치가 이용된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326703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충전 제어 장치는 보통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 중 어느 것이나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그러나, 충전용 단자가 보통 충전기용 및 급속 충전기용으로 각각 전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져, 충전 제어 장치의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충전기를 차재(車載)하는 형식을 채용하는 전동 이륜차에서는, 4륜차와 달리, 배치 공간이 보다 제한되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고려하면 충전기의 차재 공간의 확보가 곤란하다.
또한, 보통 충전용 단자와 급속 충전용 단자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으면, 충전 플러그를 단자에 접속할 때에 단자를 선택한다고 하는 판단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가 번거로움을 느끼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급속 충전기는 보통 충전기에 비해서 대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급속 충전기용의 단자는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어, 비용이 비싸진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에 대하여, 부품 개수를 적게 하여 차재 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통 충전기 또는 상기 보통 충전기보다 큰 전력 용량으로 충전을 하는 급속 충전기 중 어느 것에 충전 커플러에 의해 접속 가능하고, 상기 충전 커플러에 의해서 상기 보통 충전기 또는 상기 급속 충전기가 접속되었을 때에, 전동 차량의 구동원인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에 대하여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통 충전기는 제1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급속 충전기는 상기 제1 충전 회로에 더해, 이 제1 충전 회로와 병렬로 제2 충전 회로를 구비하며, 급속 충전에 필요한 전력 중 상기 보통 충전기와 동일한 용량의 전력을 상기 제1 충전 회로로부터 공급하고, 그 나머지를 상기 제2 충전 회로로부터 공급하는 구성으로 된 것이며, 상기 충전 커플러는 상기 제1 충전 회로에 접속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에 접속되는 제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보통 충전기 및 상기 급속 충전기의 제1 충전 회로에 접속되는 공용 단자가 되고, 상기 제2 단자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에 대하여 접속되는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충전 커플러가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양쪽을 수용하는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충전 회로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 양쪽이 동일한 정격 전력인 것이라는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충전 회로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가, 그 출력이 모두 직류 사양이라는 점에 제4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충전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의 각각에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점에 제5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 상의 각각에, 상기 제1 충전 회로 및 제2 충전 회로에 의해서 인가되는 전압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점에 제6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충전 회로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의 출력 전력선 상에서, 상기 충전 커플러까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스위칭 수단과,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충전 커플러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수단 양쪽 또는 상기 제1 충전 회로의 출력 전력선 상의 스위칭 수단만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급속 충전기 및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도 상기 충전 커플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비구동으로 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 신호의 출력을 금지하는 스위칭 수단 구동부를 구비하는 점에 제7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충전 커플러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상이한 레퍼런스 전압을 형성하는 레퍼런스 전압 형성부와,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도 상기 충전 커플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레퍼런스 전압과는 상이한 이상 전압을 형성하는 이상 전압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 구동부가, 상기 레퍼런스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스위칭 수단을 구동하고, 상기 이상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스위칭 수단을 비구동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제8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 상에 배치된 컨택터와,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충전 커플러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상이한 레퍼런스 전압을 형성하는 레퍼런스 전압 형성부와, 상기 레퍼런스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컨택터를 온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유닛을 구비하는 점에 제9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단자는, 플러스측 전력선 및 마이너스측 전력선을 갖고, 상기 제2 단자가 플러스측 전력선 및 마이너스측 전력선(PL4)을 가지며, 상기 제1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의 단락, 상기 제1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상기 제2 단자의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의 단락, 상기 제2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의 단락, 및 상기 제2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상기 제1 단자의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와, 상기 검출 회로가 상기 단락을 검출했을 때에 출력되는 단락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컨택터를 오프로 하는 컨택터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제10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검출 회로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배터리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 중,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접속되는 플러스측 전력선끼리를 접속하는 저항과,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접속되는 마이너스측 전력선끼리를 접속하는 저항과, 상기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에 병렬로 접속된 발광 소자, 및 이 발광 소자와 쌍으로 설치되는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포토 커플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터 개폐 수단이 상기 수광 소자의 온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컨택터를 오프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제11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서 상기 단락이 검출되면, 인디케이터 또는 스피커에 의한 경고 수단을 작동시킨다는 점에 제12 특징이 있다.
제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급속 충전기는 보통 충전기에 이용되는 제1 충전 회로에 더해, 제2 충전 회로를 구비하며, 급속 충전에 필요한 전력 중 상기 보통 충전기와 동일한 용량의 전력을 상기 제1 충전 회로로부터 공급하고, 그 나머지를 상기 제2 충전 회로로부터 공급하는 구성의 것이며, 급속 충전 시에는, 상기 제1 충전 회로로부터 제1 단자를 경유해 차량측에 전력을 공급하고, 급속 충전에 필요한 전력 중, 제1 충전 회로로부터 공급할 수 없는 부족분은 제2 충전 회로로부터 제2 단자를 경유해 차량측에 공급된다.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병렬로 배터리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전력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통 충전 및 급속 충전의 어느 경우라도 공통의 충전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통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단일의 충전 커플러를 접속하기만 하면 되어, 조작이 번잡함이 해소되는데다, 충전 제어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커넥터를 차재하는 경우에, 보통 충전기용 및 급속 충전기 양쪽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공간이나 공정수가 필요하지 않다.
제3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급속 충전의 경우라도, 소용량의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커플러로 할 수 있다. 즉,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저용량인 보통 충전용으로서 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제4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보통 충전 및 급속 충전 중 어느 경우에도, 충전 커플러로부터 배터리측으로, 즉 차체측에 AC-DC 컨버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5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충전 회로 및 제2 충전 회로를 구비하여 전력선을 복수 세트 설치한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도, 각각의 전력선이 접속되는 단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어, 충전 커넥터에 작용하는 고온의 영향을 저감하는 데 적합한 온도 검출이 가능하다.
제6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오드를 설치함으로써, 충전 커플러가 떼어져 있는 경우라도, 충전 커플러와 배터리 사이에 배터리 전압이 나타나는 일은 없다.
제7, 제8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기측에 충전용으로서 상용 전원이 접속된 후, 충전 커플러가 접속되기 이전에, 충전 시작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스위칭 수단이 온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충전 커플러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중, 충전기측에 충전기의 출력 전압이 나타나는 일은 없다.
제9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관리 유닛은, 레퍼런스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컨택터를 온으로 하기 때문에, 충전중에 충전 커플러가 떼어지면 컨택터가 오프로 되어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배터리와의 접속이 차단된다.
제10 및 제1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 제1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제2 단자의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 제2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 및 제2 단자의 플러스측 전력선과 제1 단자의 마이너스측 전력선 사이에 단락이 발생했을 때에 컨택터를 오프로 할 수 있다.
제12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서 단락이 발생했음을 차량의 탑승자에게 효과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커플러 및 충전 제어 장치를 탑재한 전동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커플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충전 커플러를 구성하는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충전 커플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FET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컨트롤러의 주요부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컨택터를 차단하기 위한 PDU의 주요부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제어 장치를 구비한 전동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전동 차량(1)은 저상(低床) 플로어를 갖는 스쿠터형 이륜차이며, 차체 프레임(3)에 각 구성 부분이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3)은 헤드 파이프(31)와, 헤드 파이프(31)에 선단이 접합되고 후단이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프론트 프레임 부분(32)과, 프론트 프레임 부분(32)으로부터 차체 폭 방향 좌우로 각각 분기되어 차체 후방 부근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부분(33)과, 메인 프레임 부분(33)으로부터 차체 상측 후방으로 뻗어 있는 리어 프레임 부분(36)을 포함한다.
헤드 파이프(31)에는 전륜(WF)을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2)가 조타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론트 포크(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헤드 파이프(31)에 의해 지지되는 스티어링축(41)의 상부에는, 액셀 그립을 갖는 스티어링 핸들(46)이 연결된다. 스티어링 핸들(46)에는, 액셀 그립의 회동각, 즉 액셀 개방도를 검지하는 스로틀 센서(23)가 설치된다.
헤드 파이프(31)의 전방부에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브래킷(37)이 결합된다. 브래킷(37)의 전단부에는 헤드라이트(25)가 부착되고, 헤드라이트(25)의 위쪽에는 브래킷(37)에 의해 지지되는 프론트 캐리어(26)가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3)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 부분(33)과 리어 프레임 부분(36) 사이의 중간 영역에 차체 후방을 향해 뻗어 있는 브래킷(34)이 접합된다. 브래킷(34)에는, 차체 폭 방향으로 뻗어 있는 피봇축(35)이 설치되고, 이 피봇축(35)에 의해서 스윙 아암(17)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윙 아암(17)에는, 차량 구동원인 모터(18)가 설치된다. 모터(18)의 출력은 후륜 차축(19)에 전달되어, 후륜 차축(19)에 지지된 후륜(WR)을 구동한다. 후륜 차축(19)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리어 프레임 부분(36)은 리어 서스펜션(20)에 의해서 연결된다.
브래킷(34)에는, 정차중에 차체를 지지하는 사이드 스탠드(24)가 설치된다. 사이드 스탠드(24)는 이 사이드 스탠드(24)가 정해진 위치에 격납되어 있을 때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사이드 스탠드 스위치(28)를 갖는다.
메인 프레임 부분(33)에는, 복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고전압(예컨대, 72 볼트 정격)의 메인 배터리(4)가 탑재되고, 메인 배터리(4)의 상부는 커버(40)로 덮인다. 메인 배터리(4)의 전방부에는, 공기 도입 파이프(38)가 연결되고, 메인 배터리(4)의 후방부에는 흡기 팬(39)이 설치된다. 흡기 팬(39)에 의해서 공기 도입 파이프(38)로부터 메인 배터리(4)에 공기가 도입되고, 이 공기는 메인 배터리(4)를 냉각한 후, 차체 후방으로 배출된다. 공기 도입 파이프(38)에는, 도시하지 않는 에어 클리너를 통해 공기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
리어 프레임 부분(36) 위에는 메인 배터리(4)를 충전하는 충전기(후술)로부터 뻗어나오는 충전 케이블(42)의 플러그(43)를 결합할 수 있는 소켓(44)이 설치된다. 리어 프레임 부분(36)에는, 또한 리어 캐리어(29)나 테일 라이트(27)가 설치된다.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 부분(36) 사이에는 짐칸(荷室)(50)이 설치되고, 이 짐칸(50)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짐칸 바닥부(51)에는, 메인 배터리(4)로 충전되는 저전압(예컨대, 12 볼트 정격)의 서브 배터리(5)가 수용된다. 스윙 아암(17)에는, 모터(18)를 제어하는 파워 드라이브 유닛(PDU)(45)이 설치된다.
짐칸(50) 위에는, 짐칸(50)의 덮개를 겸용하는 운전자 시트(21)가 설치되고, 운전자 시트(21)에는, 운전자가 착석했을 때에 작동하여 착좌 신호를 출력하는 시트 스위치(22)가 설치된다.
도 1은 충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은 충전기(10)로서 급속 충전기가 전력 공급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기(10)와, 전동 차량(1)측의 전력 공급 장치(11)와, 충전기(10) 및 전력 공급 장치(11)를 서로 접속하는 충전 커플러(13)를 포함한다. 충전 커플러(13)는 충전기(10)측에 접속되는 플러그(43)와 전동 차량(1)측에 설치되는 소켓(44)을 포함하고, 소켓(44)에는 온도 센서로서의 서미스터(14)가 설치된다. 소켓(44) 내에서의 서미스터(14)의 구체적인 레이아웃은 후술한다.
충전기(10)와 전력 공급 장치(11)는 충전 커플러(13)를 통해, 제1 전력선(PL1 및 PL2)과, 제2 전력선(PL3 및 PL4)과, 보조 전력선(PL5)과, 신호선(SL1 및 SL2)과, 어스선(EL)으로 접속된다. 전력선 PL1, PL3은 플러스선이며, PL2, PL4는 마이너스선이다. 충전 커플러(13)는 보통 충전용 단자(제1 단자)(TA1)와 급속 충전용 단자(제2 단자)(TA2)를 구비한다. 제1 단자(TA1)는 플러그(43)와 소켓(44)이 접속되었을 때에 제1 전력선(PL1, PL2)을 다운 컨버터(6)에 접속한다. 제2 단자(TA2)는 플러그(43)와 소켓(44)이 접속되었을 때에 제2 전력선(PL3, PL4)을 다운 컨버터(6)에 접속한다.
충전기(10)는, 예컨대 상용 교류 전력 계통에 접속되는 AC 플러그(15)에 접속되는 2 계통의 제1 충전 전력 발생부(제1 충전 회로)(52), 제2 충전 전력 발생부(제2 충전 회로)(53), 및 보조 전원 발생부(54)를 구비한다. 또한, 충전기(10)에는,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 및 보조 전원 발생부(54)의 출력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컨트롤러부)(9)가 설치된다. 충전 제어부(9)는 컨트롤러 IC 및 인터페이스(I/F) 회로 등을 포함한다. 충전 제어부(9)에는,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가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속 충전기로서 구성되는 충전기(10)는 충전 전력 발생부로서,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 및 보조 전원 발생부(54)를 구비한다. 충전기(10)가 보통 충전기로서 구성되는 것인 경우는, 충전 전력 발생부로서,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는 구비하지 않고,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와 보조 전원 발생부(54)만을 갖춰 구성된다.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는 함께 전압·전력 용량은 동일하게 구성된다(72V/15A).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는 AC 플러그(15)에 접속되는 역률 개선 회로로서의 PFC 회로(56)와, PFC 회로(56)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컨버터(60)와, 컨버터(60)의 출력을 제어하는 FET(58)를 갖는다.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는 PFC 회로(59)와, PFC 회로(59)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컨버터(57)와, 컨버터(57)의 출력을 제어하는 FET(61)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보조 전력 발생부(54)는 PFC 회로(56)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컨버터(62)와, 컨버터(62)의 출력을 제어하는 FET(63)를 갖는다. 컨버터(60, 57)는 예컨대 72 볼트의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컨버터(62)는 제어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저전압(예컨대, 직류 12 볼트)을 생성한다.
차량측에 설치되는 전력 공급 장치(11)는 제1 전력선(PL1 및 PL2) 및 제2 전력선(PL3 및 PL4)이 인입되는 다운 레귤레이터(6)와 메인 배터리(4)를 구비한다. 또한, 메인 배터리(4)에는, 배터리 관리 유닛(BMU)(7)과, 충전기(10)를 제어하는 차량측 제어부(PDU)(45)를 구비한다. 메인 배터리(4)의 직류 출력 전압은 PDU(45)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인버터 회로를 통해 3상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차량 구동원인 모터(18)(도 2 참조)에 인가된다.
전력 공급 장치(11)측에 있어서, 충전 커플러(13)의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를 경유하여 도입되는 플러스측(정측) 전력선(PL1, PL3) 및 마이너스측(부측) 전력선(PL2, PL4)은 각각 1 라인의 플러스측 전력선(PLp) 및 1 라인의 마이너스측 전력선(PLn)으로 이루어지는 공통의 회로 부분에 통합된다. 통합된 플러스측 전력선(PLp)에는 컨택터(8)가 설치된다.
다운 레귤레이터(6)에는, 전력선(PLp과 PLn)과 병렬로 접속되는 컨버터(67)와 전력선(PLn)에 직렬로 접속되는 FET(68)가 설치된다. 컨버터(67)는 입력 전압(72 볼트)을 예컨대 서브 배터리(5)의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BMU(7)는 메인 배터리(4)의 충전 상태를 감시한다. PDU(45)와 BMU(7) 사이는 CAN 통신선에 의해서 접속되어, 메인 배터리(4)의 충전 상태(과충전 정보 등)나, 이에 따른 메인 배터리(4)의 제어 정보가 송수신된다. 또한, CAN 통신선을 통해 컨택터(8)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PDU(45)로부터 BMU(7)에 통신할 수 있다. CAN 통신선 이외의 신호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PDU(45)에는, 서미스터(14)의 검지 정보, 즉 서미스터(14)에서 검지된 커플러(13)의 온도가 입력된다. PDU(45)와 충전기(10)의 충전 제어부(9)는 신호선(SL1 및 SL2)으로 접속된다.
충전기(10)에 있어서, 메인 배터리(4)를 충전할 때에는, AC 플러그(15)를 AC 콘센트(상용 전력 계통의 출력부)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AC 플러그(15)로부터의 입력 전압이 컨버터(62)에서 정해진 직류 전압(예컨대, 12 볼트)으로 변환되어 충전 제어부(9)에 인가된다. 그리고,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를 충전 시작 측으로 전환하면, 충전 제어부(9)는 보조 전력 발생부(54)의 FET(63)에 게이트 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전력선(PL5)을 통해 보조 전원 전압이 전력 공급 장치(11)에 인가된다. 보조 전원 전압(12 볼트)에 의해서, 다운 레귤레이터(6)의 FET(68), BMU(7) 및 PDU(45)가 바이어스된다.
PDU(45)는 BMU(7)와 통신하여 메인 배터리(4)의 충전 상태를 인식하고, 충전 가능하다면 신호선(SL1)을 통해 충전 제어부(9)에 충전 허가 신호를 입력한다. 충전 제어부(9)는, 충전 허가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의 FET(58, 61)에 게이트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충전 전력(예컨대, 전압 72 볼트)을 발생시킨다. FET(58, 61)의 온 시간 듀티는 PDU(45)로부터 충전 제어부(9)에 입력되는 메인 배터리(4)의 상태에 따라서 제어된다.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로부터의 전압은 컨택터(8)를 통해 메인 배터리(4)에 인가되어, 메인 배터리(4)는 충전된다.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로부터의 전압은 다운 레귤레이터(6) 내의 컨버터(67)에 의해서, 예컨대 12 볼트로 강압되어, 서브 배터리(5)의 충전용에 사용된다. 한편, 컨버터(67)에 의해서 강압된 전압은 서브 배터리(5)의 충전용뿐만 아니라, 헤드라이트(25)나 윙커 램프 등의 등화(燈火)를 포함하는 보조 기계에도 인가될 수 있다.
서미스터(14)에서 검지된 충전 커플러(13)의 온도 정보는 PDU(45)에 입력되고, PDU(45)는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능을 사용하여 충전 커플러(13)의 온도가 정해진 고온에 도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 커플러(13)가 정해진 고온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 PDU(45)는 신호선(SL2)을 통해 충전 전압을 저하시키는 지시(전류 전환 신호)를 충전 제어부(9)에 송신한다. 이 지시를 입력 받은 충전 제어부(9)는 컨버터(57 또는 60)에 대하여, 충전 전압은 유지하면서 충전 전류만을 저감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메인 배터리(4)의 충전량이 충분한 경우는, FET(58, 61)의 온 시간 듀티는 제로로 하여 충전을 정지시키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켓(44)에 있어서의 과열을 억제할 수 있다. PDU(45)는 온도 정보의 판단 기능과, 신호선(SL2)을 사용하여 충전 제어부(9)에 전류 전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서미스터(14)의 배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서미스터(14)를 설치하는 충전 커플러(13)의 소켓(44)의 사시도, 도 4는 소켓(44)의 정면도, 도 5는 소켓(44)의 배면도이다. 소켓(44)은 단자 T1∼T8을 갖는다. 단자(T1, T3)는 차량측으로 뻗는 플러스측 전력선(PL1, PL3)이 각각 접속되는 전력 라인용 단자이다. 단자(T2, T4)에는 차량측으로 뻗는 마이너스측 전력선(PL2, PL4)이 각각 접속된다. 전력 라인용 단자(T1∼T4)는 치수 및 전기적 정격(정격 전류)이 같은 것을 사용하여 범용성을 확보한다.
한편, 단자(T5∼T8)에는, 차량측으로 뻗는 보조 전력선(PL5), 신호선(SL1, SL2), 어스선(EL)이 각각 접속된다. 각 단자 사이는 절연벽(70)으로 구획된다. 이와 같이, 소켓(44)은 고전압의 전력 라인용 단자(T1∼T4)를 배치한 고전압 영역(71)과, 보조 전원용 단자(T5) 및 신호용 단자(T6∼T8)를 배치한 저전압 영역(72)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도 4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냄), 서미스터(14)는 저전압 영역(72)보다 온도 상승이 높다고 생각되는 고전압 영역(71)에 있어서, 플러스측 전력 라인용 단자(T1)와 마이너스측 전력 라인용 단자(T2)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이 예에서는, 급속 충전용으로 2개의 충전 전력 발생부(52, 53)를 갖고 있기 때문에, 또 하나의 서미스터(14)를, 고전압 영역(71)에 있어서, 플러스측 전력 라인용 단자(T3)와 마이너스측 전력 라인용 단자(T4) 사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로서의 서미스터(14)를 고전압 영역(71)의 전력 라인용 단자에 근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보다 높은 온도 검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고전압 영역(71)과, 신호선용 단자(T6∼T8)를 포함하는 저전압 영역(72) 사이에는 간극(절연 간극)(73)이 형성된다. 간극(73)의 양측, 즉 고전압 영역(71)과 저전압 영역(72)이 대치하고 있는 부분에는, 마이너스측 전력 라인용 단자(T2, T4)의 절연벽(70)과 단자(T5, T6)의 절연벽(70)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저전압 영역(72)은 비교적 온도 상승이 큰 고전압 영역(71)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이나 신호선에 대한 전력선으로부터의 누설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다.
소켓(44)에는, 단자 수용부의 주위벽부(73)에서 외주를 향해 튀어나온 플랜지(7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74)에 형성된 2곳의 부착 구멍(75, 75)을 사용하여 차체 프레임(3)에 있어서, 리어 프레임 부분(36) 상에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주위벽부(73)와 플랜지(74)에 걸쳐 설치된 브래킷(76)은 단자 수용부의 주위벽부(73) 위를 덮을 수 있는 덮개(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기 위한 축의 지지부를 형성한다.
도 6은 도 5의 A-A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미스터(14, 14)는 소켓(44)의 플랜지(74)로부터 아래쪽(도 6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절연벽(77)으로 주위를 둘러싼 공간 내에 삽입되어, 에폭시 수지로 접착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해서, 보통 충전기가 충전 커플러(13)를 사용하여 접속된 경우와, 급속 충전기가 충전 커플러를 사용하여 접속된 경우를 나눠 설명한다.
우선,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를 갖고 있지 않은 보통 충전기로서의 충전기(10)에 의한 충전 동작을 설명한다. 보통 충전기인 충전기(10)의 소켓(43)과 차량측의 소켓(44)을 접속한 후, AC 플러그(15)가 상용 전원(예컨대, 보통 충전기에 대해서는 교류 전원 100 V)에 접속된다. 그 후,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를 온으로 함으로써, 충전 동작이 시작된다.
컨트롤러부(9)는 미리, 보통 충전기가 접속되었을 때에 레퍼런스 전압(예컨대, 2 V)을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의 온에 따라, 전류 전환 신호(SL2)를 통해 차량측의 PDU(45)에 레퍼런스 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PDU(45)(차량측)는 보통 충전기가 접속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어, 보통 충전에 대응하여 메인 배터리(4)의 충전 관리를 할 수 있다.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은 PFC 회로(56)에서 역률 개선되어 컨버터(60)에 의해 메인 배터리(4)의 정격 전압인 72 V(3.2 A)로 변환되고, FET(58)를 통해 보통 충전기용 단자인 제1 단자(TA1)에 공급되어, PLp 및 PLn의 전력 라인을 통해 메인 배터리(4)에 충전용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즉, 충전기(10)가 보통 충전기인 경우에는,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으로부터의 3.2 A의 전력만이 메인 배터리(4)에 대하여 공급된다.
이어서,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 양쪽을 구비하는 급속 충전기로서의 충전기(10)에 의한 충전 동작을 설명한다. 급속 충전기로서의 충전기(10)의 소켓(43)과 차량측의 소켓(44)을 접속한 후, AC 플러그(15)가 상용 전원(예컨대, 급속 충전기에 대해서는 교류 전원 200 V)에 접속된다. 급속 충전기의 경우, 충전기(10)에는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로부터 각각 보통 충전용 단자인 제1 단자(TA1) 및 급속 충전용 단자인 제2 단자(TA2)에 공급된다.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의 전압·전류 정격이 같은 것은 앞서 설명한 대로이다. 급속 충전기가 접속되었음을 나타내는 레퍼런스 전압(예컨대, 5 V)은 전류 전환 신호(SL2)를 통해 PDU(45)에 대하여 공급된다.
차량측에서는,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로부터의 전력은 제1 단자(TA1)(15 A)로부터 공급되고,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로부터의 전력은 제2 단자(TA2)(15 A)로부터 공급되고,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는 메인 배터리(4)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배터리(4)에는,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합계치(30 A)의 전력이 플러스측 전력선(PLp) 및 마이너스측 전력선(PLn)을 통해 메인 배터리(4)에 대하여 공급된다. 즉, 보통 충전용 단자인 제1 단자(TA1)는 급속 충전기가 접속된 경우라도 공용으로 되어, 급속 충전에 필요한 전력이 그 단자로부터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통 충전기에 있어서의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 및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부가되는 제2 충전 전력 발생부(53)의 정격이 같은 예를 설명했지만, 보통 충전기에 있어서의 제1 충전 전력 발생부(52)만의 정격이 급속 충전기의 그것보다도 작은 경우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미스터(14)를 복수의 전력 라인용의 단자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개 배치했기 때문에, 온도의 판단은 양 센서의 검출치 중 높은 쪽을 검지하거나, 양 검출치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서미스터(14)를 온도 센서로 하여도 좋다.
또한, 서미스터(14)는 차량측의 소켓(44)에 설치했지만, 소켓(44)에 접속되는 플러그(43)에 설치되는 전력 라인용 플러그 단자의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 사이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단, 이 경우는 충전 커플러(13)의 플러그(43) 및 소켓(44)에 서미스터(14)의 접속 라인용 단자를 설치한다. 이에 반해, 소켓(44)에 서미스터(14)를 설치한 경우는 충전 커플러(13)의 구성이 간단하여도 좋다.
이어서, 충전 제어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제어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1과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부분이다.
도 7에 있어서, 전력선(PL1, PL2 및 PL3, PL4) 중,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로부터 다운 레귤레이터(6) 내에 인입되어 있는 부분에 다이오드(D1, D2, D3, D4)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1, D3)는 충전기(10)측으로부터 차체측의 전력 공급 장치(11)측으로 역방향 접속되고, 다이오드(D2, D4)는 충전기(10)측으로부터 전력 공급 장치(11)측으로 순방향 접속된다. 전력선(PL1)과 전력선(PL3)은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와 다이오드(D2, D4) 사이에서, 저항(R1)을 통해 접속된다. 한편, 전력선(PL2)과 전력선(PL4)은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와 다이오드(D1, D3) 사이에서, 저항(R2)을 통해 접속된다.
전력선(PL1) 및 전력선(PL2)은 저항(R1, R2)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 포토 커플러(81)의 입력측, 즉 발광 다이오드(82)에 접속된다. 포토 커플러(81)의 출력측, 즉 포토다이오드(83)의 컬렉터는 PDU(45)에 접속되어 검출 신호를 PDU(45)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한 충전 제어 장치에 따르면, 가령 컨택터(8)가 접촉해 있었다(온으로 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다이오드(D1∼D4)에 의해, 소켓(44)측의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에 메인 배터리(4)의 전압이 나타나는 일은 없다. 또한, 충전기(10)측에서는, 가령 AC 플러그(15)가 상용 전원에 접속되었다고 해도, 커플러(13)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가 잘못해서 온으로 되더라도, 차량측의 PDU(45)로부터 충전 허가 신호가 도래하지 않기 때문에 FET(58, 61)가 온 동작하지 않아, 플러그(43)측의 제1 단자(TA1) 및 제2 단자(TA2)에 충전기(10)의 출력 전압이 나타나는 일은 없다.
도 7에 도시한 충전 제어 장치에는 충전중에 커플러(13)가 떼어져 있는 경우의 안전책이 포함된다. 충전 조작 시작 후, 즉 커플러(13)를 접속하여, AC 플러그(15)를 상용 전원에 접속하고, 또한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가 온으로 된 후에 커플러(13)가 떼어지는 경우가 있었던 경우에, 충전기(10)측에는 FET(58, 61)를 오프로 하는 기능을 컨트롤러(9)에 설치하고, 차량측에는 컨택터(8)를 차단하는 기능을 PDU(45)에 설치한다.
도 8은 FET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컨트롤러(9)의 주요부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AC 플러그(15)를 상용 전원에 접속하고, 또한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를 온으로 하면, 컨트롤러(9)는 충전기(10)가 보통 충전기 또는 급속 충전기 중 어느 것인가에 따라서, 각각에 따른 레퍼런스 전압을 형성하는 레퍼런스 전압 형성부(84)를 갖는다. 예컨대, 보통 충전기에서는 2 볼트, 급속 충전기에서는 5 볼트의 레퍼런스 전압을 형성한다. 또한, 컨트롤러(9)는 보통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의 레퍼런스 전압과는 별도로, 충전중에 커플러(13)가 떼어져 있는 경우에 이상 전압을 형성하는 이상 전압 형성부(85)를 갖는다. 예컨대, 5 볼트의 예정치 이상을 초과한 전압치를 이상 전압으로서 형성한다.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9)는 작동하지 않고, 레퍼런스 전압이나 이상 전압은 형성되지 않는다.
FET 구동부(86)는 레퍼런스 전압 형성부(84) 및 이상 전압 형성부(8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시하여, 2 볼트의 레퍼런스 전압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FET(58)를 온으로 하는 한편, 5 볼트의 레퍼런스 전압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FET(58) 및 FET(61) 양쪽을 온으로 한다. 그리고, 이상 전압, 즉 5 볼트의 예정치 이상을 초과한 전압치가 검출된 경우는,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가 온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플러(13)가 떼어졌다고 간주하여 FET(58)를[급속 충전기에서는 FET(61)도 함께] 오프로 한다.
도 9는 컨택터(8)를 차단하기 위한 PDU(45)의 주요부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AC 플러그(15)를 상용 전원에 접속하고, 또한 충전 시작/정지 스위치(12)를 온으로 하면, 컨트롤러(9)의 레퍼런스 전압 형성부(84)에서 형성된 레퍼런스 전압은 신호선(SL2)을 통해 PDU(45)에 입력된다. PDU(45)는 이 레퍼런스 전압을 감시하는 레퍼런스 전압 감시부(87)를 구비하여, 레퍼런스 전압이 검출되었을 때에 BMU(7)에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BMU(7)는 이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컨택터(8)를 온으로 한다. BMU(7)는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컨택터(8)를 오프로 한다. 커플러(13)가 떼어져 있는 경우, 레퍼런스 전압은 PDU(45)에 입력되지 않고, 레퍼런스 전압 감시부(87)는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를 생성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컨택터(8)는 오프가 된다. 한편, 레퍼런스 전압 신호가 PDU(45)에 입력된 경우는, 충전중이므로, PDU(45)측에서 가령 주행용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해도 주행하지 않도록 구동력 제한을 하고 있다.
전력 공급 장치(11)에 설치된 다이오드(D1, D2, D3, D4)는 저항(R1, R2)을 통해 포토 커플러(81)의 입력측, 즉 발광 다이오드(82)에 접속되어 있다. 정상일 때, 제1 전력선(PL1 및 PL2)과, 제2 전력선(PL3 및 PL4) 사이에는 저항(R1, R2)이 개재해 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82)에 흐르는 전류는 발광 다이오드(82)를 동작시키는 전류치에 차지 않는다[이 전류치가 발광 다이오드(82)의 동작 전류 미만이 되도록 저항(R1, R2)의 저항치를 선택해 둔다]. 한편, 예컨대, 전력선(PL1과 PL2 또는 PL4)이 단락 또는 전력선(PL3과 PL2 또는 PL4)이 단락된 경우는, 저항(R1, R2)을 통하지 않는 큰 전류가 발광 다이오드(82)를 흐르게 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82)는 구동되어, 포토 트랜지스터(83)는 발광 다이오드(82)의 빛을 감지하여 온 동작한다.
PDU(45)는 포토다이오드(83)의 온 동작에 응답하여 BMU(7)에 단락 검지 신호를 입력한다. BMU(7)는 이 단락 검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퍼런스 검출 신호의 유무에 상관없이, 컨택터(8)를 오프로 하도록 동작한다. 혹은, 검출 회로에 의해서 단락이 검지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미터에 설치한 인디케이터나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고 수단을 작동시켜, 단락이 발생했음을 탑승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전 방지 기능 및 이상 조작시 및 고장시 등에 충전기로부터의 출력 전압 또는 메인 배터리(4)에의 입력 전압을 차단하는 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1: 전동 차량 4: 메인 배터리
5: 서브 배터리 6: 다운 레귤레이터
7: BMU 9: 충전 제어부
10: 급속 충전기 11: 전력 공급 장치
13: 충전 커플러 14: 서미스터(온도 센서)
18: 모터 43: 플러그
44: 소켓 52: 제1 충전 전력 발생부(제1 충전 회로)
53: 제2 충전 전력 발생부(제2 충전 회로) 82: 포토 커플러

Claims (12)

  1. 보통 충전기 또는 상기 보통 충전기보다 큰 전력 용량으로 충전을 하는 급속 충전기 중 어느 것에 충전 커플러(13)에 의해서 접속 가능하고, 상기 충전 커플러(13)에 의해서 상기 보통 충전기 또는 상기 급속 충전기가 접속되었을 때에, 전동 차량의 구동원인 모터(18)에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4)에 대하여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통 충전기는 제1 충전 회로(52)를 구비하고,
    상기 급속 충전기는 상기 제1 충전 회로(52)에 더해, 이 제1 충전 회로(52)와 병렬로 제2 충전 회로(53)를 구비하며, 급속 충전에 필요한 전력 중 상기 보통 충전기와 동일한 용량의 전력을 상기 제1 충전 회로(52)로부터 공급하고, 그 나머지를 상기 제2 충전 회로(53)로부터 공급하는 구성의 것이며,
    상기 충전 커플러(13)는 상기 제1 충전 회로(52)에 접속되는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53)에 접속되는 제2 단자(TA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TA1)는 상기 보통 충전기 및 상기 급속 충전기의 제1 충전 회로(52)에 접속되는 공용 단자가 되고, 상기 제2 단자(TA2)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4)에 대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플러(13)는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 양쪽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회로(52)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53) 양쪽은 동일한 정격 전력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회로(52)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53)는 그 출력이 모두 직류 사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플러(13)에서,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의 각각에 온도 센서(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와 상기 배터리(4)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 상의 각각에, 상기 제1 충전 회로(52)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53)에 의해서 인가되는 전압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D1∼D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회로(52) 및 상기 제2 충전 회로(53)의 출력 전력선 상에서, 상기 충전 커플러(13)까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 스위칭 수단(58, 61)과,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충전 커플러(13)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기 스위칭 수단(58, 61) 양쪽 또는 상기 제1 충전 회로(52)의 출력 전력선 상의 스위칭 수단(58)만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급속 충전기 및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도 상기 충전 커플러(13)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58, 61)을 비구동으로 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 신호의 출력을 금지하는 스위칭 수단 구동부(86)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충전 커플러(13)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상이한 레퍼런스 전압을 형성하는 레퍼런스 전압 형성부(84)와,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도 상기 충전 커플러(13)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레퍼런스 전압과는 상이한 이상 전압을 형성하는 이상 전압 형성부(85)
    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 구동부(86)는 상기 레퍼런스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스위칭 수단(58, 61)을 구동하고, 상기 이상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스위칭 수단(58, 61)을 비구동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와 상기 배터리(4)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 상에 배치된 컨택터(8)와,
    상기 급속 충전기 또는 보통 충전기 중 어느 것이 상기 충전 커플러(13)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상이한 레퍼런스 전압을 형성하는 레퍼런스 전압 형성부(84)와,
    상기 레퍼런스 전압을 검출했을 때에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레퍼런스 전압 검출 신호가 공급되어, 상기 컨택터(8)를 온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유닛(7)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TA1)는 플러스측 전력선(PL1) 및 마이너스측 전력선(PL2)을 갖고,
    상기 제2 단자(TA2)는 플러스측 전력선(PL3) 및 마이너스측 전력선(PL4)을 가지며,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와 상기 배터리(4)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 상에 배치된 컨택터(8)와,
    상기 제1 단자(TA1)의 플러스측 전력선(PL1)과 마이너스측 전력선(PL2) 사이의 단락, 상기 제1 단자(TA1)의 플러스측 전력선(PL1)과 상기 제2 단자(TA2)의 마이너스측 전력선(PL4) 사이의 단락, 상기 제2 단자(TA2)의 플러스측 전력선(PL3)과 마이너스측 전력선(PL4) 사이의 단락, 및 상기 제2 단자(TA2)의 플러스측 전력선(PL3)과 상기 제1 단자(TA1)의 마이너스측 전력선(PL2)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와,
    상기 검출 회로가 상기 단락을 검출했을 때에 출력되는 단락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컨택터(8)를 오프로 하는 컨택터 개폐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와 상기 배터리(4)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 중,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에 접속되는 플러스측 전력선끼리를 접속하는 저항(R1)과,
    상기 제1 단자(TA1) 및 상기 제2 단자(TA2)에 접속되는 마이너스측 전력선끼리를 접속하는 저항(R2)과,
    상기 제1 단자(TA1)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에 병렬로 접속된 발광 소자(82) 및 상기 발광 소자(82)와 쌍으로 설치되는 수광 소자(83)를 포함하는 포토 커플러(81)
    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터 개폐 수단은 상기 수광 소자(83)의 온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컨택터(8)를 오프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서 상기 단락이 검출되면, 인디케이터 또는 스피커에 의한 경고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KR1020137013174A 2010-11-25 2011-11-15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KR101452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2326 2010-11-25
JPJP-P-2010-262326 2010-11-25
JP2010286724 2010-12-22
JPJP-P-2010-286724 2010-12-22
PCT/JP2011/076301 WO2012070432A1 (ja) 2010-11-25 2011-11-15 電動車両の充電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760A true KR20130103760A (ko) 2013-09-24
KR101452672B1 KR101452672B1 (ko) 2014-10-22

Family

ID=4614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174A KR101452672B1 (ko) 2010-11-25 2011-11-15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81675A1 (ko)
EP (1) EP2613420B1 (ko)
JP (1) JP5784038B2 (ko)
KR (1) KR101452672B1 (ko)
CN (1) CN103250320B (ko)
TW (1) TWI446681B (ko)
WO (1) WO20120704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357B1 (ko) * 2014-09-01 2016-01-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1587356B1 (ko) * 2014-09-01 2016-01-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2601508B1 (ko) * 2023-04-18 2023-11-10 오부석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97B1 (ko) * 2010-08-31 2013-07-1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차량용 배터리
CN103958262B (zh) * 2011-12-09 2015-09-1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车辆的充电装置
JP2013203149A (ja) * 2012-03-27 2013-10-07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充電装置
JP5662390B2 (ja) * 2012-07-30 2015-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充放電装置
US9614585B2 (en) * 2013-01-30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communication devices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media
WO2014125821A1 (ja) * 2013-02-13 2014-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車載電源装置および電気自動車
JP6319544B2 (ja) * 2013-03-06 2018-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装置
JP6065316B2 (ja) * 2013-02-13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電源装置および電気自動車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FR3017830B1 (fr) * 2014-02-25 2017-07-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recharge d'un stockeur d'energie electrique d'un vehicule automobile
CN106532186B (zh) * 2014-09-01 2019-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充电电路和移动终端
JP5808474B2 (ja) * 2014-12-04 2015-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充放電システム
CN107407704B (zh) * 2015-03-23 2021-05-18 伟巴斯特充电系统公司 监测电源连接器及电缆健康的系统
DE102015004119A1 (de) * 2015-03-31 2016-10-06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m elektrischen Energiespeicher und zwei Ladeschnittstellen, Ladesystem sowie Verfahren
US10658860B2 (en) 2015-05-14 2020-05-19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 charger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us of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US10181742B2 (en) 2015-05-14 2019-01-15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 charger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us of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US10554058B2 (en) 2015-05-14 2020-02-04 Media 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 operating status of a connector
EP3372439A4 (en) 2015-11-02 2018-11-14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obile body using removable battery
KR101910918B1 (ko) * 2015-12-09 2018-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충전 제어방법
CN105634061A (zh) * 2016-01-29 2016-06-01 易事特集团股份有限公司 电动车充电桩
US10106047B2 (en) * 2016-02-12 2018-10-23 Radio Flyer Inc. Electronic controls for battery-powered ride-on vehicle
CN106042952B (zh) * 2016-05-23 2018-04-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一种多功率段并联快速充电系统与方法
CN106080236B (zh) * 2016-06-22 2018-04-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芜供电公司 多功率段并联快速充电系统与方法
DE102016214050B4 (de) 2016-07-29 2024-05-08 Audi Ag Anordnung aus einem Kraftfahrzeug und einem Verbindungsmittel, Kraftfahrzeug und Verbindungsmittel
CN106130134B (zh) * 2016-08-19 2019-06-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电路和移动终端
KR101849779B1 (ko) 2016-10-11 2018-04-18 박성민 완속 및 급속 충전이 가능한 2모드 모빌리티 충전기
CN107054118A (zh) * 2017-01-25 2017-08-18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电动汽车的充电装置、充电系统及充电方法
KR102478091B1 (ko) * 2017-06-13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GB201714194D0 (en) * 2017-09-05 2017-10-18 Agco Int Gmbh Agricultural vehicle
KR102441070B1 (ko) * 2017-10-16 2022-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용 인렛의 과온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7672475B (zh) * 2017-11-02 2021-11-23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充电连接器,充电装置以及套件和充电方法
JP6448825B1 (ja) * 2018-01-11 2019-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
DE102018102714A1 (de) * 2018-02-07 2019-08-08 Man Truck & Bus Ag Vorrichtung zum Lad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ines Elektro-Kraftfahrzeugs, insbesondere Elektro-Nutzfahrzeugs
DE102018104914A1 (de) * 2018-03-05 2019-09-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Integrierte Power Box
JP7111803B6 (ja) * 2018-10-12 2022-09-30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充電方法、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JP7104618B2 (ja) * 2018-12-26 2022-07-21 株式会社Subaru 充電システム
JP7155056B2 (ja) * 2019-03-20 2022-10-18 株式会社Subaru 車両の充電システム
KR20220019770A (ko) * 2019-06-11 2022-02-17 에이일이삼 시스템즈, 엘엘씨 이중 전압 배터리 및 그 동작 방법
JP7347166B2 (ja) * 2019-11-29 2023-09-20 スズ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KR20220098523A (ko) * 2021-01-04 2022-07-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CN114035093B (zh) * 2022-01-07 2022-06-10 荣耀终端有限公司 电池内阻测试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578A (en) * 1991-10-15 1993-04-27 Norvik Technologies Inc. Monitoring system for batteries during charge and discharge
JPH07121249A (ja) * 1991-12-09 1995-05-12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電気自動車用電源装置
JPH0674044U (ja) * 1993-03-25 1994-10-18 ジャコビー・エム・アイ株式会社 充電器用アダプター
JP3112226B2 (ja) * 1993-12-27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JP3267039B2 (ja) 1994-03-31 2002-03-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制御装置
US5523668A (en) * 1994-04-15 1996-06-04 Feldstein; Robert S. NiCd/NiMH battery charger
US5584715A (en) * 1994-04-28 1996-12-17 Hubbell Incorporated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DC and AC electrical connectors
JP3632776B2 (ja) * 1994-10-03 2005-03-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用充電装置
US5926004A (en) * 1997-10-10 1999-07-20 Schott Power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one or more electric vehicles
US7256516B2 (en) * 2000-06-14 2007-08-14 Aerovironment Inc.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JP2005006447A (ja) * 2003-06-13 2005-01-06 Nippon Yusoki Co Ltd バッテリ充電器
US8026698B2 (en) * 2006-02-09 2011-09-27 Scheucher Karl F Scalable intelli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JP4359301B2 (ja) * 2006-10-04 2009-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装置
JP2008199752A (ja) * 2007-02-09 2008-08-28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充電装置
US8009452B1 (en) * 2007-03-03 2011-08-30 Sadwick Laurence P Multiple driver power supply
TW200910701A (en) * 2007-08-22 2009-03-01 Delta Electronics Inc Stacked combinatio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2623862B (zh) * 2007-09-28 2014-03-12 株式会社东芝 电源连接器
JP4798120B2 (ja) * 2007-11-07 2011-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4285578B1 (ja) * 2008-01-15 200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装置
JP2009261230A (ja) * 2008-03-25 2009-11-0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JP2010110055A (ja) * 2008-10-28 2010-05-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ケーブル
US8064231B2 (en) * 2008-10-29 2011-11-22 Bc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mited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for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unit
JP2010239773A (ja) * 2009-03-31 2010-10-21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充電器、電動車両、および、充電システムにおける地絡・短絡の検知方法
US8498087B2 (en) * 2009-11-03 2013-07-30 Apple Inc. Thermal protection circuits for electronic device cables
US9150113B2 (en) * 2009-12-28 2015-10-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nfigured to be charged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US8319478B2 (en) * 2010-08-16 2012-11-27 Lear Corporation Dual-charge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357B1 (ko) * 2014-09-01 2016-01-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1587356B1 (ko) * 2014-09-01 2016-01-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2601508B1 (ko) * 2023-04-18 2023-11-10 오부석 케이블 교체가 용이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46681B (zh) 2014-07-21
JP5784038B2 (ja) 2015-09-24
EP2613420A1 (en) 2013-07-10
WO2012070432A1 (ja) 2012-05-31
JPWO2012070432A1 (ja) 2014-05-19
EP2613420A4 (en) 2017-11-01
EP2613420B1 (en) 2019-03-06
TW201236307A (en) 2012-09-01
KR101452672B1 (ko) 2014-10-22
CN103250320B (zh) 2016-01-20
CN103250320A (zh) 2013-08-14
US20130181675A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672B1 (ko) 전동 차량의 충전 제어 장치
JP5031020B2 (ja) 充電カプラおよび充電制御装置
US8855843B2 (en) Starting control device of electric vehicle
JP5615095B2 (ja) 電動車両のメータ表示装置
US8640810B2 (en) Control device of electric motorcycle
TWI540059B (zh) 電動車輛的充電控制裝置
EP2692572B1 (en)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JP5439298B2 (ja) 電動車両における放電制御装置
JP5219992B2 (ja) 電動車両用電力供給装置
JP2012244724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監視装置
JP5404435B2 (ja) 電動車両の回生充電制御装置
JP2013112303A (ja) ハイブリッドカーの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