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554A - 전동 차량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차량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554A
KR20130101554A KR1020137013083A KR20137013083A KR20130101554A KR 20130101554 A KR20130101554 A KR 20130101554A KR 1020137013083 A KR1020137013083 A KR 1020137013083A KR 20137013083 A KR20137013083 A KR 20137013083A KR 20130101554 A KR20130101554 A KR 2013010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cover
electric vehicle
vehicle body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434B1 (ko
Inventor
히로유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1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 B62J11/19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6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1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 B62K25/1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single arm on each fork leg
    • B62K25/20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single arm on each fork leg for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와 하네스를 수용하는 스윙 아암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도모한 전동 차량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동 차량 구동 장치는, 차체 프레임(2)에 피벗 지지되는 피벗부(57)와, 피벗부(57)로부터 차체 후방측으로 연장되며 후륜(RW)을 구동하는 모터(60)를 수용하는 아암 부분(100)으로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25)을 갖는다. 아암 부분(100)은, 피벗부(57)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차체 폭방향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의 케이스부(58)와, 케이스부(58)의 개방측을 덮는 케이스부 커버(59)로 이루어진다. 모터(60)로부터 인출되는 하네스(64)는, 모터(60)에 근접한 제1 위치에서 케이스부(58) 측에 고정 지지되어 있고, 피벗부(57) 측의 제2 위치에서 케이스부 커버(59)의 전벽(597)에 설치되는 그로밋(66, 67)을 경유하여 아암 부분(100)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의 제어 장치(52)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전동 차량 구동 장치{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동 차량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윙 아암 내에 설치되는 전동 차량의 구동원인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접속되어 스윙 아암 밖으로 인출되는 하네스를 갖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체 프레임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에, 전동 차량의 구동원인 전동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전원, 즉 배터리까지 연장되는 하네스의 부분을 수용한 전동 차량 구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리어 아암(즉, 스윙 아암)의 전방부를 차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리어 아암의 후방부에 모터나 전장품인 파워 유닛을 내장시키며, 파워 유닛과 외부의 배터리를 접속하는 하네스를 리어 아암에 유지시킨 전동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리어 아암은 파워 유닛과 하네스를 수용하고,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재와, 제1 부재의 후방부에서 측방에 결합되며 내부에 모터를 갖는 제2 부재와, 제1 부재의 전방부에서 측방에 결합되며 제1 부재와 함께 차체 프레임에 리어 아암의 피벗 지지부(피벗부)를 구성하는 제3 부재와, 제2 부재 및 제3 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로 이루어진다. 하네스는 제1 부재와 제3 부재의 회합부(會合部)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418864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스윙 아암은, 제1 부재와 제3 부재의 회합부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구성되는 피벗부의 강도 저하가 예상된다. 피벗부는 스윙 아암을 지지할 수 있는 큰 강도를 필요로 하는데, 관통 구멍에 의해 저하가 예상되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부재나 제2 부재의 두께를 크게 하는 등의 대응이 필요해져, 스윙 아암의 중량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에 대응하고, 스윙 아암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가공 공수를 저감하며 스윙 아암의 경량화를 도모하기에 적합한 전동 차량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 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벗축에 피벗 지지되는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로부터 차체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차체 후방 단부에서 후륜을 지지하며 후륜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아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스윙 아암을 갖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분은, 상기 피벗부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차체 폭방향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의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개방측을 덮는 케이스부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동 모터에 접속되고, 상기 전동 모터에 근접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부 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피벗부 측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부 커버의 전벽(前壁)에 설치되는 하네스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아암 부분으로부터 차체 전방 측으로 인출되는 하네스를 구비하는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네스가, 상기 제1 위치에서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스부 측에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제2 위치의 하네스 지지부에서는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 커버에 지지되는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부 커버가, 상기 하네스 중 상기 아암 부분으로부터 인출된 부분을 차체 전방측에서 차체 폭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벽을 갖는 연장 커버부를 포함하는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케이스부 커버의 전벽에 형성되는 홈에 외주가 결합되는 그로밋이며, 상기 하네스는 상기 그로밋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부 커버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제4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피벗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터리 박스 및 상기 배터리 박스 상부에 위치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 커버부에 의해 안내되는 하네스가, 상기 배터리 박스와 상기 피벗부 사이를 지나 상기 제어 장치까지 배선되는 점에 제5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네스가, 상기 배터리 박스와 상기 피벗부 사이를 지나 상기 피벗부의 차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신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배선되는 점에 제6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 박스와 상기 피벗부 사이까지 연장되며, 상기 피벗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 리어 펜더를 구비하고, 상기 하네스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스윙 아암 측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박스 측으로 배선되는 점에 제7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네스가, 상기 전동 모터의 3상 전력선과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서브 하네스를 갖고, 상기 3상 전력선은 상기 아암 부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에 이르는 부분에서 파형관에 의해 외주가 덮이는 점에 제8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네스가 상기 연장 커버부에 배선되는 부분에서 상기 아암 부분에 부착되는 스테이에 마련되는 환형부를 통과하는 점에 제9 특징이 있다.
제1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모터에 접속되는 하네스는, 전동 모터 근방의 제1 위치에서는 케이스부에 지지되는 한편, 아암 부분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으로 인출되는 제2 위치에서는 케이스부 커버 측에 지지되므로, 케이스부 측의 피벗부 근방 부분이나 피벗부 자체에는 하네스를 지지하기 위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부의 가공 공정을 삭감할 수 있고 피벗부의 보강 등이 불필요해지므로 스윙 아암의 중량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4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모터 근방의 제1 위치에서는 케이스부에 확실하게 하네스를 고정할 수 있는 한편, 피벗부 근방의 제2 위치에서는 탄성 부재를 통해 하네스를 지지하므로, 스윙 아암의 움직임에 의해 하네스에 가해지는 응력을 흡수시키면서 하네스를 스윙 아암에 지지시킬 수 있다.
제3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 커버부에 의해 하네스를 소정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안내벽에 의해 하네스를 물이나 튀어오르는 돌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5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피벗부와 배터리 박스 사이에 하네스를 배선함으로써, 하네스를 보호하면서 소정 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다.
제6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네스를 피벗부의 폭, 즉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선시킴으로써, 스윙 아암이 피벗축을 중심으로 요동했을 때에 하네스가 비틀어지는 방향으로 휘므로, 하네스가 길이 방향에 대해 큰 각도로 꺾이는 레이아웃에 비해 하네스의 변형량을 작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네스는 리어 펜더에 대해 후륜이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서 배선되므로 물이나 튀어오르는 돌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제8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전력선을 외란으로부터 한층 더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9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아암 부분으로부터 인출된 하네스를, 환형부를 통과시킴으로써 컴팩트하게 통합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리어 펜더의 개구나 파형관에 통과시키는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전동 차량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를 제거한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커버를 제거한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주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윙 아암 내부를 차량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스윙 아암의 케이스부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하네스를 고정하는 스테이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전동 차량의 좌측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전동 차량(1)은, 저상(低床) 플로어를 갖는 2인승 스쿠터형 이륜차이다. 전동 차량(1)은, 상세한 내용을 후술하는 차체 프레임(2)을 가지며, 차량의 각 부분은 차체 프레임(2)에 의해 지지된다. 좌우의 그립(3, 4)과 브레이크 레버(5, 6)를 제외하고, 스티어링 핸들(7)의 대부분은 핸들 커버(8)로 덮인다. 핸들 커버(8)에는, 도시하지 않은 미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미터의 전방에 미터 바이저(9)가 배치된다.
스티어링 핸들(7)은, 프런트 커버(10)로 덮이는 헤드 파이프(후술)에 의해 지지되는 스티어링 샤프트(후술)를 통해 프런트 포크(11)에 연결된다. 프런트 포크(11)는, 하단부에 있어서 전륜(FW)을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한다. 프런트 포크(11)에는, 전륜(FW)을 상부로부터 덮도록 배치되는 프런트 펜더(12)가 설치된다. 프런트 커버(10)에는 헤드라이트(13)나 프런트 윙커(14)가 설치된다. 프런트 커버(10)의 하방에는, 프런트 포크(11)에 대해 차체 후방에 위치하는 레그 실드(15)가 연결된다.
차체 중앙부는,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플로어 패널(16)과 그 하방에 위치하는 언더 커버(17)와, 언더 커버(17)의 상부에 연결되는 센터 커버(18) 및 프레임 바디 커버(19)로 덮인다.
센터 커버(18) 및 프레임 바디 커버(19)의 상측에는 탠덤 시트(20)가 배치된다. 탠덤 시트(20)의 후방에는 그립 레일(21)이 설치되고, 그립 레일(21)의 하방에는 테일 램프와 리어 윙커를 갖는 리어 등화 유닛(22)이 설치된다. 리어 등화 유닛(22)의 하부는 리어 펜더(23)에 연결된다. 센터 커버(18)의 전방부에는, 탠덤 시트(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메인 배터리(후술)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커플러(후술)에 대면하는 덮개(24)가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2)에는, 스윙 아암(25)이 피벗축(2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윙 아암(25)의 후방부는 리어 서스펜션(27)에 의해 차체 프레임(2)의 후방부에 지지된다. 스윙 아암(25) 내에는, 후륜(RW)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로부터 인출되는 하네스가 수납된다. 스윙 아암(25)의 구성은 후술한다. 스윙 아암(25)과 리어 펜더(23) 사이에서, 후륜(RW)이나 리어 서스펜션(27)을 차체 일측방으로부터 덮는 가드(28)가 설치된다.
차체 프레임(2)의 좌측 하부에는 정차중에 차체를 지지하는 사이드 스탠드(29)가, 차체 프레임(2)의 중앙 하부에는 메인 스탠드(30)가 각각 피벗 지지된다. 상기 가드(28)의 전방에서 차체 프레임(2)으로부터 차체 좌우로 돌출하는 동승자용 스텝(31)이 피벗 지지된다.
도 3은 커버를 제거한 전동 차량(1)의 주요 부분 좌측면도이고, 도 4는 커버를 제거한 전동 차량(1)의 주요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주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2)은, 차체 전방부의 헤드 파이프(32)와, 헤드 파이프(32)에 선단이 접합되고 후단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다운 프레임(33)과, 다운 프레임(33)의 하부에 연결되며 차체 폭방향 좌우로 각각 분기되어 차체 후방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언더 프레임(34)과, 언더 프레임(34)으로부터 차체 후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어 프레임(35)을 구비한다.
좌우의 언더 프레임(34, 34)은 크로스 파이프(36, 37)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좌우의 리어 프레임(35, 35)은 크로스 파이프(38, 3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차체 전방측에 배치되는 크로스 파이프(36)는, 언더 프레임(34, 34) 사이를 대략 직선적으로 연결하는 직관(直管)이고, 크로스 파이프(36)보다 리어 프레임(35)측에 배치되는 크로스 파이프(37)는 언더 프레임(34, 34)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굴곡관(屈曲管)이다.
크로스 파이프(37)의 제2 부분(수평 부분)과 전방의 크로스 파이프(36)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서브 파이프(40, 41)로 연결되며, 서브 파이프(40, 41)와, 이들 서브 파이프(40, 41)에 좌우단이 접합되는 플레이트(42)에 의해 배터리 박스(43)의 탑재부 구조가 형성된다. 사이드 스탠드(29)는 차체 좌측의 언더 프레임(34)에 부착되고, 상기 메인 스탠드(30)는 크로스 파이프(37)의 제2 부분에 부착된다.
헤드 파이프(32)는 스티어링축(4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티어링축(44)의 상부에 스티어링 핸들(7)이 연결되고, 하부에 프런트 포크(11)가 연결된다.[스티어링 핸들(7)과 프런트 포크(11)는 도 2 참조].
배터리 박스(43)는, 차체 폭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예컨대, 4개)의 배터리(메인 배터리)(45)를 수용하며, 상부에 투명한 덮개(46)가 씌워진다. 배터리 박스(43)는, 양단이 언더 프레임(34, 34)에 접합되는 브래킷(47)에 연결되는 밴드(48)를 사용하여 플레이트(42) 상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리어 프레임(35, 35)에 걸쳐지는 크로스 파이프(38)와, 언더 프레임(34, 34)에 걸쳐지는 전방측의 크로스 파이프(36)에 양단이 연결되며, 배터리 박스(43)의 상방에 걸쳐 있는 2개의 파이프(49, 49)로 이루어지는 가대(架臺)(50)가 설치된다. 가대(50)의 전방부에는 외부의 충전기가 접속 가능한 충전 커플러(51)가 설치된다. 가대(50)를 구성하는 2개의 파이프(49, 49) 사이에는, 충전 커플러(51)의 하방에 위치하여 브레이커(BK)가 설치된다. 브레이커(BK)는, 직렬로 접속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45) 사이에 접속되고, 배터리(45)나 제어 장치(52)의 유지 보수시에 사용되며, 손잡이(92)를 수동 조작하여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가대(50)는, 제어 장치(52)를 탑재하여 지지하고, 크로스 파이프(39)와 협동하여, 제어 장치(52)에 걸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 박스(53)를 지지한다. 수납 박스(53)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물건을 일부 수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제공한다.
탠덤 시트(20)는, 수납 박스(53)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겸용되며, 수납 박스(53)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힌지(54)를 피벗축으로 하여 수납 박스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어 장치(52)는, DC-DC 컨버터, 배터리 관리 장치(BMU) 및 후술하는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파워 드라이브 유닛(PDU)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터리(45)로 충전되어 제어 장치(52)의 제어 전압이나 헤드라이트나 윙커 등의 등화 장치에 인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서브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언더 프레임(34)과 리어 프레임(35) 사이의 중간 영역과 크로스 파이프(37)의 제1 부분에 접합되는 브래킷(피벗 플레이트)(56)이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56)에 의해 피벗축(26)의 양단이 지지된다.
도 1은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평면도이며, 도 7은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좌측면도이고, 도 8은 스윙 아암을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주요 부분 우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스윙 아암(25)의 내부를 차량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 내지 도 9에 있어서, 스윙 아암(25)은, 피벗 플레이트(56)에 양단이 결합되는 피벗축(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벗부(57)와, 피벗부(57)에 대해 차폭 좌측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케이스부(58)와, 케이스부(58)의 좌측부를 덮는 케이스부 커버(59)를 포함한다. 케이스부 커버(59)는 복수 개의 볼트(90)를 사용하여 케이스부(58)에 체결되며, 케이스부(58)와 함께 스윙 아암 부분(100)을 형성한다.
도 1, 도 3에 있어서, 리어 서스펜션(27)의 하단과 스윙 아암(25)의 후방부와의 연결부는, 리어 서스펜션 지지 스테이(58a)의 형상을 명백하게 하기 위해,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했다.
케이스부(58)에는, 차체 후방측에 전동 모터(이하, 간단히 "모터"라고 함)(60)를 구비하며, 모터(60)의 출력을 감속하여 후륜(RW)으로 동력 전달하는 감속기(61)를 구비한다.
케이스부(58)는,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차체 우측의 측벽(581)과, 측벽(581)의 상하에서 차체 좌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부벽(582) 및 하부벽(583)과, 차체 방향 전후에서 측벽(581)과 상부벽(582) 및 하부벽(583)에 연결되는 전후벽[전벽(584)만 도시함]을 가지며, 차체 좌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을 이룬다. 이 상자형의 케이스부(58)의 개방부가 케이스부 커버(59)에 의해 덮인다. 케이스부(58)에는, 차체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서히 높이(차폭 방향 치수)가 커지도록 리브(585)가 형성된다. 모터(60)는, 3상 권선을 갖는 스테이터가 케이스부(58)의 측벽(581)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모터(60)는 3상 교류 브러시리스 모터이며, U상, V상, W상의 권선에 각각 접속되는 3개의 전력선(62U, 62V, 62W)과, 회전자의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서브 하네스(63)를 포함하는 하네스(64)가, 케이스부(58)와 케이스부 커버(59)에 둘러싸인 스페이스 내에 수용된다. 하네스(64)는 모터(60)에 근접한 위치(제1 위치)에서 클램프(65)를 사용하여 케이스부(58)의 상기 측벽(581)에 고정 지지된다. 클램프(65)는, 예컨대 볼트(93, 93)에 의해 케이스부(58)의 측벽(581)에 고정되며, 전력선(62U, 62V, 62W) 각각과 서브 하네스(63)를 개별적으로 지지한다. 모터(60)에 근접해 있는 위치(제1 위치)에서는, 하네스(64)는 모터(60)와의 접속부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네스(64)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전방을 향해 높이가 높아져 가는 리브(585)에 의해 차체 전방에서는 케이스부 커버(59) 측에 근접하도록 안내되며, 케이스부(58)의 전벽(584)의 위치에서는 케이스부 커버(59)에 형성되는 그로밋 홈(후술)에 끼워지는 그로밋(66, 67)에 의해 케이스부 커버(59)에 고정된다. 그로밋(66)은 서브 하네스(63)용이고, 그로밋(67)은 전력선(62U, 62V, 62W)용이다. 그로밋(67)은 전력선(62U, 62V, 62W)을 각각 관통시키는 구멍을 갖는다. 그로밋(66, 67)은 모두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그로밋(66, 67)을 사용함으로써, 하네스(64)나 케이스부 커버(59)의 밀착성을 확보하면서, 스윙 아암(25)의 요동에 기인한 하네스(64)의 휨에 의한 응력을 흡수하기가 쉬워진다.
피벗부(57)의 상부벽(571)의 단부면에는, 볼트(68)에 의해 스테이(69)가 고정된다. 그로밋(66, 67)을 통과해 케이스부(58) 및 케이스부 커버(59)로부터 인출된 하네스(64)는, 스테이(69)의 환형부(694)를 통과해, 케이스부 커버(59)의 최전방부에 형성되는 연장 커버부(591)에서 차체 폭방향 중앙을 지향(指向)하게 된다.
스윙 아암(25)의 전방부 즉 피벗부(57)와 배터리 박스(43) 및 제어 장치(52) 사이에는, 후륜(RW)의 후측 상방에 위치하는 리어 펜더(23)와 별도로, 후륜(RW)의 전측 상방에 위치하는 제2 리어 펜더(70)가 배치된다. 제2 리어 펜더(70)의 상부는 리어 펜더(23)의 전방부와 연결되며, 하부는 크로스 파이프(37)의 제2 부분에 고정된다.
제2 리어 펜더(70)는, 피벗부(57)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701)를 갖는다. 연장 커버부(591)에 의해 지향된 하네스(64)는, 제2 리어 펜더(70)의 개구(701)를 관통하여, 배터리 박스(45) 및 제어 장치(52)의 후방측에서 피벗부(57)의 차체 좌측 단부로부터 차체 우측 단부까지 연장되고, 제어 장치(52)의 차체 우측에서 3상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개구(701)를 통과하는 하네스(64) 중 전력선(62U, 62V, 62W)은 보호 파형관(보호 튜브)(71)에 의해 보호된다. 전력선(62U, 62V, 62W) 및 서브 하네스(63)는 제어 장치(52)에 접속된다. 보호 튜브(71)는, 스테이(69)로부터 제어 장치(52)까지의 영역에 걸쳐 전력선(62U, 62V, 62W)에 씌우는 것이 좋다. 서브 하네스(63)는 제어 장치(52)와 스테이(69)의 중간을, 커플러(72)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제어 장치(52) 측과 스테이(69) 측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선(62U, 62V, 62W) 및 서브 하네스(63)는, 스테이(69)와 제어 장치(52) 사이에서 제어 장치(52)측의 부재, 예컨대 크로스 파이프(38)에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 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프 수단과 스테이(69) 사이의 거리는, 스윙 아암(25)의 움직임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여유를 가지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
도 8에 있어서, 감속기(61)의 출력축(73)은, 리어 브래킷(74)에 수용되는 베어링(7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연결판(76)이 리어 브래킷(74)과 피벗부(57)의 우측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다. 연결판(76)은 볼트(77, 77)를 사용하여 리어 브래킷(74)에 결합되고, 볼트(78, 78)를 사용하여 피벗부(57)의 우측 단부에 결합된다. 리어 브래킷(74)은, 감속기(61)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드럼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슈를 개폐하는 캠을 유지한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상기 도시되지 않은 캠으로부터 차체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캠축(80)에는 아암(81)이 볼트(82)와 너트(83)를 사용하여 체결되며, 아암(81)의 단부에는 조절 너트(84)를 통해 브레이크 볼트(85)가 지지된다. 브레이크 볼트(85)는, 클램프(86, 87) 등에 의해 복수 부위에서 스윙 아암(25)이나 차체 프레임(2)에 유지되는 브레이크 튜브(88)를 통과하는 브레이크 와이어(99)에 결합된다. 브레이크 와이어(99)의 타단은, 스티어링 핸들(7)의 브레이크 핸들(5)에 연결된다.
도 10은 케이스부 커버의 사시도이다. 케이스부 커버(59)는, 상자형의 케이스부(58)의, 개방측의 벽부 형상과 일치하는 주위벽(592)을 갖는다. 주위벽(592)에는 복수 개의 상기 볼트(90)가 관통 가능한 복수 개의 구멍(593)을 갖는 후육부(厚肉部)가 마련된다. 주위벽(592)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으로 연장 커버부(591)가 연장된다. 연장 커버부(591)는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 원통 형상의 전벽(안내벽)(594)을 갖는다.
주위벽(592) 중, 연장 커버(591)와 케이스부 커버(59)의 본체측을 구획하는 부분(597)에는, 그로밋(66, 67)이 끼워지는 그로밋 홈(595, 596)이 각각 형성된다. 그로밋(66, 67)은, 그 외주 중 케이스부(58)에 면하는 측을 제외한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로밋 홈(595, 596)은 이 그로밋 둘레 가장자리의 홈에 일치하도록 형상이 결정된다. 케이스부 커버(59)는 모터(60)의 회전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 구멍(599)을 갖는다.
도 11은 하네스를 고정하는 스테이의 사시도이다. 스테이(69)는 케이스부(58)의 상부벽(582)의 개방 단부를 따른 면에 맞닿는 부분(691)과, 케이스부(58)의 상부벽(582)의 내면에 대향하도록 부분(691)으로부터 굴곡된 부분(692)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693)와, 플레이트(693)에 용접되는 환형부(694)로 이루어진다. 환형부(694)는, 통과되는 하네스(6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봉재(棒材)를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다. 플레이트(693)의 부분(691)에는, 상기 스테이(69)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91)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695)을 갖는다.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메인 배터리의 충전기는, 전동 차량(1)과 별개로 마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동 차량(1)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동 차량은 스쿠터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피벗 지지되는 상자형 스윙 아암을 가지며, 그 스윙 아암 내에 수용되는 구동륜 구동용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접속되고, 스윙 아암 바깥의 제어 장치에 인출되는 하네스를 갖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전동 차량 2 : 차체 프레임
7 : 스티어링 핸들 25 : 스윙 아암
26 : 피벗축 43 : 배터리 박스
45 : 배터리 52 : 제어 장치
57 : 피벗부 58 : 케이스부
59 : 케이스부 커버 60 : 모터
61 : 감속기 63 : 서브 하네스
64 : 하네스 66, 67 : 그로밋
69 : 스테이 70 : 리어 펜더
71 : 파형관 100 : 아암 부분
591 : 연장 커버부

Claims (9)

  1. 전동 차량(1)의 차체 프레임(2)에 설치되는 피벗축(26)에 피벗 지지되는 피벗부(57)와, 상기 피벗부(57)로부터 차체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차체 후방 단부에 후륜(RW)을 지지하며 후륜(RW)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60)를 수용하는 아암 부분(100)을 포함하는 스윙 아암(25)을 갖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분(100)은, 상기 피벗부(57)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차체 폭방향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의 케이스부(58)와, 상기 케이스부(58)의 개방측을 덮는 케이스부 커버(59)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터(60)에 접속되며, 상기 전동 모터(60)에 근접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부(58) 측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피벗부(57) 측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부 커버(59)의 전벽(前壁)(597)에 설치되는 하네스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아암 부분(100)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으로 인출되는 하네스(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64)는, 상기 제1 위치에서는 클램프(65)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스부(58) 측에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제2 위치의 하네스 지지부에서는, 탄성 부재(66, 67)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 커버(59)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커버(59)는, 상기 하네스(64) 중, 상기 아암 부분(100)으로부터 인출된 부분을 차체 전방측에서 차체 폭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벽(594)을 갖는 연장 커버부(5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66, 67)는, 상기 케이스부 커버(59)의 전벽(597)에 형성되는 홈(595, 596)에 외주가 결합되는 그로밋이며, 상기 하네스(64)는 상기 그로밋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부 커버(59)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차량(1)은, 상기 피벗부(57)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터리 박스(45) 및 상기 배터리 박스(45) 상부에 위치하는 제어 장치(52)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커버부(591)에 의해 안내되는 하네스(64)는, 상기 배터리 박스(45)와 상기 피벗부(57) 사이를 통과해 상기 제어 장치(52)까지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64)는, 상기 배터리 박스(45)와 상기 피벗부(57) 사이를 통과해 상기 피벗부(57)의 차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신되어 상기 제어 장치(52)에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박스(45)와 상기 피벗부(57) 사이까지 연장되며, 상기 피벗부(57)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개구(701)를 갖는 리어 펜더(70)를 구비하고,
    상기 하네스(64)는, 상기 개구(701)를 통과해 상기 스윙 아암측(25)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박스(45) 측으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64)는, 상기 전동 모터(60)의 3상 전력선(62U, 62V, 62W)과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서브 하네스(63)를 갖고, 상기 3상 전력선(62U, 62V, 62W)이 상기 아암 부분(100)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52)에 이르는 부분에서 파형관(71)에 의해 외주가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64)는 상기 연장 커버부(591)에 배선되는 부분에서 상기 아암 부분(100)에 부착되는 스테이(69)에 마련되는 환형부(694)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 구동 장치.
KR1020137013083A 2010-11-18 2011-11-15 전동 차량 구동 장치 KR101479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8250 2010-11-18
JPJP-P-2010-258250 2010-11-18
PCT/JP2011/076300 WO2012067110A1 (ja) 2010-11-18 2011-11-15 電動車両の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554A true KR20130101554A (ko) 2013-09-13
KR101479434B1 KR101479434B1 (ko) 2015-01-05

Family

ID=4608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083A KR101479434B1 (ko) 2010-11-18 2011-11-15 전동 차량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15325B2 (ko)
EP (1) EP2610154B1 (ko)
JP (1) JP5503751B2 (ko)
KR (1) KR101479434B1 (ko)
CN (1) CN103209886B (ko)
TW (1) TWI492876B (ko)
WO (1) WO2012067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8806B (zh) * 2009-03-27 2013-09-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式鞍乘型车辆
CN104010932A (zh) * 2011-12-22 2014-08-27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跨乘型电动车辆
USD739311S1 (en) * 2013-01-14 2015-09-22 Touratech Ag Engine guard for motorcycle
CN105026198B (zh) * 2013-09-25 2018-04-24 Tvs电机股份有限公司 用于混合动力车辆的摇臂
JP6368231B2 (ja) * 2014-12-10 2018-08-0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US10518841B2 (en) * 2015-06-26 2019-12-31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Ebike battery mount
JP6561770B2 (ja) * 2015-10-27 2019-08-21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両の構造
JP6651000B2 (ja) * 2016-03-31 2020-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駆動装置
JP2018140746A (ja) * 2017-02-28 2018-09-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11051191B (zh) * 2017-09-29 2021-12-1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跨骑型电动车辆
US11572133B2 (en) * 2017-11-02 2023-02-07 Piaggio & C. S.P.A. Electric drive motorcycle
JP6799556B2 (ja) * 2018-03-27 2020-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
CN112004740B (zh) * 2018-04-25 2022-07-1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车辆
US11654996B2 (en) * 2018-04-27 2023-05-23 FUELL Inc. Electric saddle type vehicle
US11753101B2 (en) 2018-04-27 2023-09-12 FUELL Inc. Electric saddle type vehicle with storage areas
WO2020066261A1 (ja) * 2018-09-27 2020-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US11884159B2 (en) * 2018-12-13 2024-01-30 Bajaj Auto Limited Electric vehicle
JP7076577B2 (ja) * 2018-12-26 2022-05-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二輪車のパワーユニット構造
JP6979435B2 (ja) * 2019-10-17 2021-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電動三輪車
JP7119017B2 (ja) * 2020-03-13 2022-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IN202041049874A (ko) * 2020-11-16 2020-11-27 Tvs Motor Company Limite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7466B2 (ja) * 1991-03-20 1999-12-06 株式会社東京アールアンドデー スイングアーム型電動二輪車
JP4216965B2 (ja) 1999-09-01 2009-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3586680B2 (ja) 2002-06-05 2004-11-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物における可撓性長尺部材挿通構造及び挿通方法
JP4188641B2 (ja) 2002-08-13 2008-1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二輪車及び二輪車のリヤアーム
JP2004122981A (ja) * 2002-10-03 2004-04-22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
JP4252876B2 (ja) * 2003-10-10 2009-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2006056276A (ja) * 2004-08-17 2006-03-02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表示装置
JP2006056354A (ja) * 2004-08-19 2006-03-02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における高圧配線保護構造
TWM315667U (en) * 2006-11-27 2007-07-21 Li-Jung Li Planet gear type generator for electric motorcycle
JP5167054B2 (ja) * 2008-09-30 2013-03-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二輪車
JP5356087B2 (ja) * 2009-03-27 2013-1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CN102448806B (zh) * 2009-03-27 2013-09-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式鞍乘型车辆
JP5225956B2 (ja) * 2009-03-27 2013-07-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式鞍乗型車両
WO2011024326A1 (ja) * 2009-08-31 2011-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器、及び充電器の取付け構造
BR112012005886A2 (pt) * 2009-09-15 2020-08-18 Honda Motor Co., Ltd veículo elétrico com duas ou três rodas
JP2012062004A (ja) * 2010-09-17 2012-03-29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
JP5460545B2 (ja) * 2010-09-30 2014-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二輪車のバッテリ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5728272B2 (ja) * 2011-03-31 2015-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5695471B2 (ja) * 2011-03-31 2015-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067110A1 (ja) 2014-05-12
KR101479434B1 (ko) 2015-01-05
CN103209886A (zh) 2013-07-17
EP2610154A1 (en) 2013-07-03
TWI492876B (zh) 2015-07-21
WO2012067110A1 (ja) 2012-05-24
CN103209886B (zh) 2016-01-06
EP2610154B1 (en) 2017-02-15
TW201236917A (en) 2012-09-16
JP5503751B2 (ja) 2014-05-28
EP2610154A4 (en) 2014-04-02
US8915325B2 (en) 2014-12-23
US20130168173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3751B2 (ja) 電動車両の駆動装置
JP5879173B2 (ja) 電動式鞍乗り型車両
KR101506410B1 (ko) 전동식 안장형 차량 및 전동 차량의 구동 장치
US8789640B2 (en) Electric motorcycle
JP6651000B2 (ja) 電動車両の駆動装置
JP5938249B2 (ja) 電動式鞍乗り型車両のバッテリユニット
US8887854B2 (en) Electrical unit containing structure for saddle type electric vehicle
CN102034947B (zh) 蓄电池的固定结构
CN111114676B (zh) 跨骑型电动车辆
CN112678106B (zh) 鞍乘式电动三轮车
JP7097979B2 (ja) 鞍乗り型車両
CN113401265B (zh) 跨骑型电动三轮车
WO2019065390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TWI570020B (zh) Electric locomotive
EP4012827A1 (en) Battery
JP6864108B2 (ja) 鞍乗型電動車両
CN113401264A (zh) 跨骑型电动三轮车
CN113386886A (zh) 跨骑型电动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