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530A - 면 패드 분배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면 패드 분배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530A
KR20130101530A KR1020137009059A KR20137009059A KR20130101530A KR 20130101530 A KR20130101530 A KR 20130101530A KR 1020137009059 A KR1020137009059 A KR 1020137009059A KR 20137009059 A KR20137009059 A KR 20137009059A KR 20130101530 A KR20130101530 A KR 2013010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side wall
wall
cutout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539B1 (ko
Inventor
한스 울리크
Original Assignee
이지-팩 단마크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팩 단마크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이지-팩 단마크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3010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면 패드 분배기(1)는 분배기(1)의 저부 단부와 상부 단부 사이에 연장된 측벽(2) 및, 저부 단부에 인접한 단부 벽(7)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9)들은 분배기 안에 적층된다. 상기 측벽(2) 안에 제공된 제 1 절제부(3)는 측벽(2)을 통해 체적으로의 입구를 형성하도록 분배기(1)의 저부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 벽(7)에 제공된 제 2 절제부(4)는 제 1 절제부(3)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절제부(3,4)들은 하나의 조합된 인출 구멍(1a)을 형성하도록 공통의 천이부를 포함한다. 인출 구멍(1a)은 집게 손가락 및 엄지로 면 패드(9)의 주위 부분(9a)을 파지하고, 면 패드(9)의 변형에 의해 인출 구멍(1a)의 밖으로 면 패드를 당김으로서 최저부 면 패드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면 패드 분배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A cotton pad dispenser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본 발명은 제 1 양상, 제 2 양상 및 제 3 양상에서 청구항 제 3 항, 제 1 항 및 제 6 항 각각의 전제부에 따른 면 패드들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들에 관한 것이다. 제 4 양상(제 8 항)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분배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련된 면 패드들은 디스크 형상으로서, 통상적으로 둥근 형태이며, 이들은 종종 화장실 또는 미용실에서 화장을 적용하거나 또는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면 패드들을 어떻게 저장하는가에 따라서, 면 패드들은 오염 및 습기를 겪게되는 위험성이 있다. 면 패드들은 본질적으로 매우 흡수성이 있기 때문에, 특히 습기를 겪는 것은 종종 면 패드들이 종종 면 패드들을 즉시 못쓰게 한다. 따라서 습기와 오염으로부터 면 패드들을 보호하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청구항 제 3 항, 제 1 항 및 제 6 항의 전제부가 기초하는 출원인의 국제 출원 공개 WO 2008/003316 은 다수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들이 적층되어 있는 면 패드 분배기를 개시한다. 면 패드들은 원형 실린더의 측벽 안에 감싸이며, 측벽은 상부 단부 및 저부 단부에서 폐쇄되고, 그것의 단부 벽은 직립의 위치에 있을 때 분배기 안에 면 패드들을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분배기의 저부 단부에서 측벽은 분배기를 직립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단부 벽을 지나서 연장된다. 단부 벽은 중앙의, 원형 인출 구멍을 포함한다. 단부 벽은 분배기가 위치되는 표면 위로 짧은 거리로 상승되며, 이것은 분배기의 최저부에 있는 면 패드가 특히 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또한 분배기가 위치되는 표면상의 오염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한 구멍의 구성이 면 패드들을 하나씩 꺼내는 것을 허용할지라도, 분배기는 면 패드를 인출하기 위하여 표면으로부터 상승되어야 하며, 구멍을 보기 위하여 바람직스럽게는 상승되어야 하고 다음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면 패드를 구멍을 통해 인출하여야 한다. 분백기가 더 이상 완전하게 채워져 있지 않으면, 분배기를 기울이는 동안 면 패드들이 분배기 안에서 최저부 위치로부터 상부 단부를 향하여 떨어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최저부의 면 패드는 인출 구멍으로부터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사용자의 손가락들은 종종 면 패드들의 적층체를 분배기 안으로 밀기 때문에, 면 패드들의 유연한 특성에 기인하여 최저부 면 패드를 파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평탄한 표면의 중앙 부분에서 면 패드를 파지하고 그것을 분배기 밖으로 당기는 것은 종종 그 표면의 부숴지기 쉬운 구조를 다소 파괴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은 차후에 예를 들어 화장을 적용하는데 덜 적절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분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제 1 양상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유형의 분배기로부터 면 패드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3 항에 따른 분배기로써 충족된다.
2 부분 사이에 공통 천이부를 형성하는 바와 같이, 측벽에 제 1 절제부를 제공하고 단부 벽에 제 2 절제부를 제공하는 것은 단일의 조합된 인출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인출 구멍은 분배기의 측부 및 저부에 개방된다. 그에 의하여 최저부 면 패드의 주위 부분은 예를 들어 제 2 절제부를 통해 삽입된 손의 집게 손가락 및 제 1 절제부를 통해 삽입된 손의 엄지로 파지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면 패드의 같은 측에서 2 개의 손가락 대신에 디스크 형상의 면 패드의 각각의 측에서 손가락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면 패드를 단단히 파지하게 한다. 물론, 최저부 면 패드의 주위 부분을, 예를 들어 제 2 절제부를 통해 삽입된 손의 엄지 및, 제 1 절제부를 통해 삽입된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면 패드들의 주위 부분들은 통상적으로 그것이 개별 면 패드의 중앙 부분보다 훨씬 강하도록 접합된다. 이러한 이유로 면 패드가 분배기의 밖으로 당겨지도록 변형되었을 때 면 패드가 훨씬 우수한 조건에 있는 경향이 있음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발견하였다.
더욱이, 사용자는 인출 구멍에 대하여 손가락이 어디에 위치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도록 분배기를 직립의 위치로부터 회전시키거나 또는 경사지게 할 필요가 있다; 손가락들의 정확한 위치 선정은 측벽 절제부를 고려함으로써 명확해지며, 측벽 절제부는 분배기의 측부로부터 볼 수 있다.
종속 청구항 제 4 항 및 제 5 항은 본 발명의 제 1 양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정의한다. 상세하게는, 청구항 제 5 항의 실시예로써, 인출 구멍이 임의의 예리한 가장자리 또는 지점들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것이 보장되는데, 예리한 가장자리 또는 지점들은 면 패드를 분배기 밖으로 당길 때 면 패드를 파괴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제 5 항의 실시예에서는 절제부들이 엄지 및 집게 손가락을 각각 안내하는 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최저부 면 패드를 파지할 때, 손가락들은 인출 구멍에 대하여 중앙에 위치된 면 패드의 주위 부분을 파지하도록 안내된다. 이것은 면 패드가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을 보장하고, 면 패드를 인출할 때 면 패드를 변형시키는 더 작은 힘이 필요한 것을 보장하여, 다시 면 패드의 표면 구조가 파괴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청구항 제 5 항의 실시예로써, 측벽 및, 따라서 분배기 자체가 적절한 측벽 또는 재료 두께로써 보조 없이 세워질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제 2 양상, 제 3 양상 및 제 4 양상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 및 제 6 항의 도입부에 따른 분배기를 각각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용이하게 저렴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및 제 4 양상에서,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분배기 및 청구항 제 8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충족된다.
본 발명이 관련된 유형의 분배기로써, 분배기 안에 위치되어야 하는 면 패드들의 적층체가 중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측벽의 형상이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분배기로부터 최저부 면 패드를 항상 인출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만약 원형의 면 패드들이 사용된다면) 분배기의 측벽 형상이 원형 실린더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이를 달성하는 것이 당연하다. 더욱이, 분배기의 시각적 인상이 최종 사용자에게 호소력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측벽의 원형 실린더 형상도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킨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하여 실린더 형상의 측벽을 성형하는 것은 곤란하고 값비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측벽을 압출하거나 재료 시트의 2 개 측면을 접어서 연결하여 측벽을 제조하는 일부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방법은 분배기의 성형에 비하여 다수의 단점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들은 통상적으로 실질적인 사전 처리 및 사후 처리(예를 들어, 절단 및 접합)를 필요로 하며, 그러한 방법들로 제조된 제품들의 최종 결과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사출 성형으로 만든 제품들처럼 미학적으로 호소력이 있지 않다.
이제, 청구항 제 1 항에 따라서, 측벽은 분배기의 상부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원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것은 만약 측벽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었다면 성형 단계 이후에 측벽이 맨드렐로부터 제거될 수 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더욱이, 사출 성형 방법에 통상적으로 관련된 적은 단계들은 제품을 특히 대량으로 저렴하게 성형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측벽의 대향하는 부분들이 0.6°만큼 낮은 각도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측벽의 절두 원추 형상을 적용하는 것은 성형 이후에 경화시킬 때 그것을 상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맨드렐로부터 측벽을 제거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이것은 측벽의 2 개의 대향하는 부분들이 설계 각도(draught angle)의 2 배에 대응하므로, 0.3°만큼의 설계 각도에 대응한다. 설계 각도는 측벽의 길이 방향 실린더 축과 측벽을 통한 길이 방향 단면에서의 측벽 사이의 각도로서 정의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만약 설계 각도가 약 1°미만이라면, 육안으로는 측벽의 형상이 실린더형으로 나타날 것이다. 최상의 결과는 0.3°내지 0.8°사이의 설계 각도, 바람직스럽게는 0.4°내지 0.6°사이의 설계 각도 및,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약 0.5°의 설계 각도로서 달성된다. 또한, 측벽의 약간 절두 원추 형상은 분배기의 미감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면 패드들이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보장하는 분배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결과적으로, 청구항 제 8 항에 따르면, 측벽을 몰딩하는데 이용된 맨드렐은 맨드렐의 상부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 대응 절두 원추 형상을 가지며, 여기에서 맨드렐 측부들의 대향하는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0.6°내지 2°사이의 각도, 바람직스럽게는 0.8°내지 1.5°사이의 각도,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약 1°의 각도로 경사진다. 설계 각도와 관련하여, 이것은 0.3°내지 1°사이의 설계 각도, 바람직스럽게는 0.4°내지 0.8°사이의 설계 각도,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약 0.5°의 설계 각도에 대응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분배기의 상부 단부에서의 측벽은 폐쇄된 상부 단부를 형성하도록 상부 단부 벽에 일체로 연장된다. 일체로 형성된 폐쇄 상부 단부가 제공되는 경우에, 면 패드들이 바람직스럽게는 분배기의 제조중에 분배기 안에 적층되며 단부 벽을 측벽에 고정하기 전에 삽입되어야 한다.
만약 분배기가 청구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에서 정의된 분배기에 따른 절제부들을 포함한다면, 절제부들이 바람직스럽게는 단부벽을 측벽에 고정하기 전에 그리고 면 패드들을 측벽에 의해 형성된 체적 안에 적층시키기 전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서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분배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저부 부분의 칼라 벽은 단부 벽으로부터 지지 구조체의 내측 원주를 따라서 분배기의 저부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저부 부분은 지지 구조체를 강화시키는데, 지지 구조체는 사용중에 가장 강한 힘에 노출된 분배기의 부분이다. 이후에, 측벽을 더 얇게 만들 수 있고 그에 의해 분배기의 전체 중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단부 벽을 측벽에 부착시키는 것은 배관 접합(plumbing) 또는 용접과 같은 열 접합에 의하여,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2 개,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3 개의 상호 이격된 스폿 용접들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위와 비교하여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기에 곤란하고 값비싼) 내측으로 향하는 돌출부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단부 벽을 측벽에 부착시키는데 필요하지 않다.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선호되는 바로서) 특히 만약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면 분배기를 시각적으로 더욱 호소력 있게 한다.
주목되어야 할 바로서,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른 분배기가 바람직스럽게는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른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 저부 부분의 칼라 벽에는 측벽의 절제부에 대응하고 그에 정렬된 절제부가 제공되어야 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른 분배기는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른 것이다. 바람직스럽게는,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른 분배기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상에 따른 것으로서, 그러한 경우에 저부 부분의 칼라 벽에는 측벽의 절제부에 대응하고 그것에 정렬된 절제부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은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특징부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양상, 제 2 양상 및 제 3 양상에 따른 분배기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분배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의 분배기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면 패드들이 적층된 것이다.
도 4 는 도 1 의 분배기의 저부 부분에 대한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도 4 의 저부 부분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면 패드(cotton pad, 9) 분배용 분배기의 실시예에 대한 상이한 도면들을 나타낸다. "면 패드"라는 용어는 부분적으로 면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패드(pad)들을 포괄하며, 예를 들어, 종이 패드, 합성 패드 또는 종이 및/또는 면 및/또는 합성 재료의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진 패드를 포괄한다. 분배기(1)는 일회용의 용도로 만들어지며,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바람직스럽게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폴리프로필렌 PPH 12020, 폴리프로필렌 PPC 13712 또는 PPC 13812, 메토센(metocene) HM648T, 모플렌(moplen) EP548V 또는 Adstif HA740R 이 바람직스러운 재료들이지만,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분배기(1)는 상단부 및 하단부(도 1 및 도 3 에서 각각 상방향 및 하방향),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연장된 측벽(2), 하단부에 인접한 단부벽(7)을 포함한다. 분배기의 측벽(2)과 단부벽(7)은 복수개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9)(도 3 에만 도시되어 있음)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체적을 형성하며, 복수개의 면 패드들은 서로 접촉하는 상호 평탄한 표면들(9a)로써 적층되어 있다.
측벽(2)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을 가지며, 측벽(2)의 직경이 전체적으로는 면 패드(2)들의 직경 보다 약간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 형상의 면 패드(9)는 체적 안에서 서로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의 단면은 인출되어야 하는 특정의 면 패드들의 적층체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그 어떤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원형, 달갈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것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분배기는 사각형 면 패드들을 수용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위생 타월, 팬티 라이너(panty-liner), 수유용 패드, 또는 다른 위생 용품들을 수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용품의 유형에 따라서, 계란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의 측벽이 특정의 편리성을 가질 수 있다. 측벽의 단면은 면 패드, 위생 타월, 팬티 라이너, 수유용 패드 또는 분배기 안에 수용될 위생 용품이 어떤 것이든 간에 그것과 같은 형상일 필요는 없다.
측벽(2)은 분배기(1)의 상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 형상을 가지며, 측벽(2)의 대향하는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약 1°의 각도(θ)로 서로에 대하여 기울여지며 이것은 θ=2Vd 와 같이 약 0.5°의 설계 각도(Vd)에 해당한다. 그렇게 실질적으로 원형 실린더 측벽(2)의 내측 직경이 바람직스럽게는 모든 길이에서 2 내지 7 cm 이며,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4 내지 5 cm 로서, 전형적인 면 패드의 통상적인 형상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물론 직경은 측벽(2)의 상기 대향하는 부분들의 설명된 경사에 따라서 분배기의 상부로부터 저부로 약간 변화된다. 분배기가 위에서 언급된 위생 용품들중 그 어느 것과도 같은, 사각형 면 패드들 또는 다른 용품들을 수용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용품들을 수용하기에 적절하도록 분배기들의 내측 직경들이 선택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벽(2)은 폐쇄된 상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단부 벽(13)에 일체로 연장된다. 상단부 벽(13)은 약간 돔(dome) 형상으로 되며, 측벽(2)과 상단부 벽(13) 사이의 둥근 천이부(14)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상은 아래에서 비교된 바와 같이 측벽(2), 상단부 벽(13) 및 천이부(14)가 사출 성형중에 일체로 형상화될 때 특히 편리하며, 이러한 형상은 성형 이후에 성형 제품이 쉽게 맨드렐에서 이탈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상단부 벽 및 천이부의 다른 형상들 및 조합들이 생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면인 상단부 벽 및 모따기된 천이부(chamfered transition)와 같은 것이다.
도 1 및 도 3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서, 측벽(2)은 단부 벽(7)을 지나서 연장되어 분배기(1)를 직립의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8)를 형성한다. 이것은 분배기(1)의 최하부 면 패드가 특히 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분배기(1)가 위치되는 표면(미도시)에 있는 오물과 접촉하지 않게 한다.
측벽(2)에 제공된 제 1 절개부(3)는 측벽(2)을 통한 체적 안으로의 진입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배기(1)의 저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벽(7)에 제공된 제 2 절개부(4)는 절개부(3)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절개부(3,4)는 하나의 조합된 인출 구멍(1a)을 형성하도록 공통의 천이부를 포함한다. 인출 구멍(1a)은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면 패드의 주위 부분(9b)을 파지함으로써 가장 아래의 면 패드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집게 손가락이 바람직스럽게는 절개부(4)에 삽입되고, 손의 엄지가 바람직스럽게는 절개부(3) 안으로 삽입되어, 면 패드를 변형시킴으로써 면 패드를 인출 구멍(1a)의 밖으로 당긴다. 바람직스럽게는, 절개부(3)의 크기는 손의 엄지 손가락이 분배기(1)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분배기(1)가 예를 들어 테이블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의 위에 놓여 있고, 사용자가 서 있을 때 이러한 삽입 방식은 편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배기(1)를 테이블로부터 들어올리지 않으면서 면 패드를 꺼낼 수 있다. 최저부 면 패드를 인출하기 위하여 손의 엄지 손가락을 절개부(4)에 삽입하고 집게 손가락을 절개부(3)에 삽입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절개부(4)도 또한 바람직스럽게는 엄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분배기(1)가 사용자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어 선반위에 있을 때 손가락의 이러한 삽입 방식은 특히 편리할 수 있다.
절개부(3)는 전체적인 원호 형상을 가지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절제부(3)의 전체적인 원호 형상은 면 패드를 꺼내기 전에 우수한 파지를 이룰 수 있도록 가장 아래에 있는 면 패드의 주위 부분(9b)을 향해 절제부(3)를 통하여 손가락을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절제부(3)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이거나 또는 다각형과 같은 것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분배기의 저부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2 개, 3 개 또는 그 이상의 다수의 절제부(3)들이 측벽에 제공될 수 있어서, 절제부들 사이에 있는 측벽의 섹션들이 다리(leg)로서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스럽게는, 다수의 절제부들이 분배기에 대한 신뢰성 있는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측벽의 원주를 따라서 고르게 분포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다수의 절제부(3)들이 분배기의 저부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에 제공된 경우들에서, 절제부(4)들의 대응하는 수가 단부벽에 제공됨으로써, 다수의 인출 구멍들이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다리들은 단부벽을 지나서 돌출한 측벽의 섹션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절제부(4)는 단부벽(7)에서 측벽(2)으로부터 테이퍼진, 바람직스럽게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4a)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중심에 배치된 형상(4b)으로 연장되어 열쇠 구멍과 같은 형상을 형성한다. 절제부(4)의 형상은 면 패드를 꺼낼 때 그것이 손상되지 않도록 매끄러운 패턴을 따른다. 이러한 열쇠 구멍과 같은 형상은 절제부(3)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목적 및 방식으로 절제부(4)를 통한 손가락 삽입을 안내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제 2 절제부는 상이한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사각형, 타원형, 계란형,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 또는 다각형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도 2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벽(7)은 저부 부분(5)의 일부를 형성한다. 저부 부분(5)은 측벽(2)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다. 저부 부분(5)은 단부벽(7) 및 원주의 칼라 벽(collar wall, 6)을 포함하며, 칼러 벽(6)은 단부벽(7)의 주위로부터 연장된다.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부분(5)의 장착 위치에서, 칼라 벽(6)은 지지 구조체(8)의 내측 원주를 따라서 분배기(1)의 저부 단부를 향하여 더 연장되고 상기 내측 원주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다. 칼러 벽(6)은 2 개 또는 3 개 또는 3 개 이상의 상호 이격된 스폿 용접부(6a)들 형태인 열 접합에 의해 측벽(2)에 부착된다. 대안으로서, 용접부는 하나의 연속적인, 원형 형상의 용접 시임이다. 용접 시임은 측벽을 따라감으로써, 만약 측벽이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의 단면이라면, 연속적인 용접 시임의 형상은 측벽의 단면 형상을 따르며 예를 들어, 다각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용접 시임을 형성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부 부분(5)의 칼라 벽(6)은 측벽(2)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분배기(1)의 제조는 용이해진다. 칼라 벽(6)의 다른 부착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벽(6)은 스냅 고정 맞물림(snap fit engagement), 마찰 고정, 라벳팅(rabbeting) 또는 부착(adhesion)에 의해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분배기(1)의 저부 부분(5)을 도시한다. 저부 부분(5)이 측벽(2) 안에 배치될 때, 절제부(3,4)들 사이의 공통 천이부에 있는 절제부(4)의 폭(10)은 공통 천이부에 있는 절제부(3)의 대응하는 폭(11)에 실질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공통 천이부에 있는 절제부(4)는 절제부(3)와 같은 수준이다.
단부벽(7)에 있는 절제부(4)는 칼라 벽(6)으로 더 연장된다. 칼라 벽(6)이 칼라 벽(6)의 가장 아래의 부분으로부터 단부벽(7)으로 테이퍼지는 개구(4c)를 가지도록 절제부(4)가 연장된다. 이것은 장착된 상태에서 칼라 벽(6)이 측벽(2)에 있는 절제부(3)를 통해 나타나지 않고, 단부 벽(7)에 있는 절제부(4)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바람직스럽게는, 다수의 절제부(3)들이 분배기의 저부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에 제공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수의 개구(4c)들이 칼라 벽에 제공됨으로써 그것이 측벽에 있는 절제부들을 통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절제부들과 개구들 사이에 있는 칼라 벽 및 측벽의 섹션들은 각각 분배기를 위한 지지용 다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바람직스럽게는, 분배기에 대한 신뢰성 있는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절제부들 및 개구들이 측벽 및 칼라 벽의 원주를 따라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다음에서, 분배기(1)의 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처음에, 맨드렐(mandrel)의 상부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절두 원추 형상을 가진 맨드렐(미도시)이 제공된다. 맨드렐 측부들의 대향하는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약 1°의 각도(θ)로 경사지는데, 이것은 결과적으로 약 0.5°의 설계도 각도(draught angle, Vd)가 된다. 분배기(1)의 측벽(2)은 다음에 맨드렐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다. 그에 의하여 측벽(2)은 분배기(1)의 상부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대응하는 절두 원추 형상(frusto-conical shape)을 얻게 되며, 여기에서 측벽(2)의 대향하는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약 1°의 각도(θ)로 경사지는데, 이는 0.5°의 설계도 각도(Vd)에 대응한다. 경화 이후에, 몰딩된 측벽(2)은 맨드렐이 테이퍼진 방향에서 맨드렐로부터 제거된다. 측벽(2) 및 맨드렐의 경사에 기인하여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도시된 분배기(1)의 실시예에서, 폐쇄된 상부 단부는 상부 단부벽(12)을 측벽(2)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공된다. 상부 단부벽(13)은 약간 돔 형상이고, 측벽(2)과 상부 단부벽(13) 사이의 둥근 천이부(14)가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몰딩된 제품이 몰딩 이후에 맨드렐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특히 편리하다.
저부 부분(5)도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저부 부분(5)의 칼라 벽(6)의 대향하는 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측벽(2)의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θ)로 경사진다. 이것은 몰딩 이후에 저부 부분이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게 하며, 아래에서 비교되는 바와 같이 측벽(2)의 내측 원주의 내측 표면에 칼러 벽(6)이 잘 부착되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저부 부분을 위한 재료의 특정한 선택에 따라서 저부 부분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들이 생각될 수 있다.
측벽(2) 및 단부벽(7)의 절제부(3,4)와, 칼라 벽(6)의 절제부(4c)는 개별의 몰드들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core)들 또는 인서트(insert)들에 의해 몰딩 과정중에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절제부들은 몰딩 이후에 측벽, 단부벽 및 칼라벽으로부터 각각 절제부들을 절단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분배기(1)를 면 패드로 채우고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저부 부분(5)을 측벽(2)에 고정시키기 전에 절제부(3,4,4c)를 제공하는 것이 편리하다.
디스크 형상의 면 패드(9)들의 적층체는 저부 단부로부터 분배기(1)의 체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면 패드(9)들의 상호 평탄한 표면(9a)들은 서로 접촉된다. 분배기(1)의 폐쇄된 상단부는 나머지 제조 단계들 동안에 면 패드(9)들이 분배기(1)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저부 부분(5)은 이제 분배기(1)의 저부 단부로부터 분배기(1)로 삽입된다. 저부 부분(5)의 장착 상태에서,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지지 구조체(8)에 강도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칼라 벽(6)은 단부벽(7)으로부터 분배기(1)의 저부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면 패드들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가장자리들(즉, 칼라 벽(6)의 저부 가장자리)은 분배기(1)의 체적 내부에서 회피된다. 저부 부분(5)은 칼라 벽(6)의 외측 표면과 측벽(2)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3 개의 상호 이격된 스폿 용접부(6a)들의 형태로 열접합에 의해 측벽(2)에 고정된다. 2 개 또는 3 개 보다 많은 상호 이격된 스폿 용접에 의하여, 또는 측벽의 단면 형상, 즉, 예를 들어 원형, 계란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을 따르는 형상을 가진 하나의 연속적인 용접 솔기에 의하여 칼라 벽이 측벽에 잘 부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저부 부분(5)은 단부벽(7)이 저부 단부로부터 약 1cm 의 거리에 있도록 측벽(2)에 대하여 위치된다. 칼라 벽(6)의 높이는 대략 1cm 로서, 저부 부분(5)의 장착 상태에서 측벽(2) 및 칼라 벽(6)의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들은 실질적으로 같은 수준이다. 그러나, 저부 부분의 장착 상태에서 칼라 벽(6)은 측벽(2)의 저부 단부와 단부벽(7) 사이의 거리보다 크거나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거리는 물론 1 cm 와는 다른 치수를 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2 cm 일 수 있다.
측벽(2), 상단부 벽(13) 및 천이부(14)가 바람직스럽게는 단일체로서 몰딩되며, 모든 양상들 및 실시예들에서 바람직스럽게는 0.4 내지 2 mm 의 벽 두께 또는 재료 두께를 가지고,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0.5 내지 0.8 mm,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0.6 mm 의 벽 두께 또는 재료 두께를 가진다. 벽 두께는 재료를 절감하고 무게를 감소시키도록 가능한 한 작아야 하지만, 분배기가 보조 없이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정도로 커야만 한다.
측벽(2), 상단부 벽(13) 및 천이부(14)가 바람직스럽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되고, 바람직스럽게는 몰딩하는 동안 우수한 유동 가능성(즉, 높은 용융 유동 인덱스를 가짐)을 여전히 가지는 경질의 변형체(harder variant)(즉, 경화 이후에 높은 인장 모듈러스(tensile modulus)를 가짐)로부터 제조된다. (ISO 527-2 에 따른) 인장 모듈러스로서, 1000 MPa 내지 3000 MPa 사이, 바람직스럽게는 1500 MPa 내지 2200 MPa 사이,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800 MPa 가 적절하고, 그리고/또는 (ISO 1133 에 따른; 230°/2.16 kg) 용융 유동 인덱스(melt flow index)로서 50g/10 min 내지 120g/10 min 사이, 바람직스럽게는 60 g/10 min 내지 110g/10 min 사이 및,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00g/10 min 이 적절하다. 폴리프로필렌 PPH 12020, 폴리프로필렌 PPC 13712 또는 PPC 13812, Metocene HM648T, Moplen EP548V 또는 Adstif HA740R 이 바람직스러운 재료들이지만, 그 어떤 적절한 재료라도 이용될 수 있다.
측벽(2)의 높이 및, 그에 의한 전체 분배기(1)의 높이가 바람직스럽게는 10 내지 35 cm 이고,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15 내지 25 cm 이다. 이것은 적절한 수의 면 패드들이 분배기(1) 안에 저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동에 적절한 작은 크기의 분배기가 생각될 수 있다. 이동에 적절한 분배기의 측벽의 높이가 바람직스럽게는 3 cm 내지 10 cm 이고,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5cm 내지 8 cm 이다. 또한, 대규모 소비자에 적절한 대형 크기의 분배기가 생각될 수 있다. 대규모 소비자에 적절한 분배기의 측벽의 높이가 바람직스럽게는 25 cm 내지 40 cm 이고,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30 cm 내지 35 cm 이다. 측벽(2), 상단부 벽(13) 및 천이부(14)의 일체형 사출 성형 동안, 몰딩 재료는 통상적으로 상단부 벽(13)의 중앙에 또는 중앙에 가깝게 도입되고, 그곳으로부터 천이부(14) 및 측벽(2)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분산되는데, 이는 측벽(2)의 저부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이어진다. 폴리프로필렌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점성을 가지는 장점을 보유하며, 이는 높이가 크고 두께가 얇은 측벽들에서도 재료가 만족스럽게 분산되는 것을 보장한다. 약 20 cm 의 분배기 높이 및 적절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분배기(1)를 성공적으로 사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분배기는 얇은 벽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서, 즉, 0.5 또는 0.6 mm 만큼 얇은 벽 두께를 가진다. 작은 높이의 분배기들로써, 얇은 벽 두께들이 바람직스럽다.
제조의 용이성에 기인하여, 저부 부분(5)의 벽 두께는 통상적으로 상기 설명된 부분들의 벽 두께와 유사하다. 그러나, 분배기(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부 예에서는 더 두꺼운 벽 두께를 분배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저부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상화된 측벽(2), 상단부 벽(13) 및 천이부(14)보다 통상적으로 작은 치수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분배기(1)의 향상된 안정성은 종종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저부 부분(5)의 벽 두께는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스럽고, 바람직스럽게는 0.2 내지 1 mm,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0.3 내지 0.5 mm 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된 상단부는 측벽과 일체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폐쇄된 상단부는 예를 들어 나사, 마찰 맞춤 또는 스냅 잠금 맞물림에 의해 측벽들에 고정된 상부 뚜껑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측벽은 평탄한 폐쇄 상단부로 테이퍼짐으로써 폐쇄된 상단부 자체를 형성할 수 있다. 평탄한 상단부는 용접되거나 접합된 솔기(seam)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더욱이, 단부벽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단부벽은 측벽의 저부로부터 상승되는 대신에 측벽의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측벽, 상단부 벽 및/또는 천이부는 일체로 제조되는 대신에 몇개의 분리된 부분들로 몰딩되거나 또는 제조되고 이후에 조립될 수 있다.
1. 분배기 2. 측벽
3.4. 절제부 7. 단부 벽
9. 면 패드 9b. 주위 부분

Claims (10)

  1. 면 패드(cotton pad, 9)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1)로서, 분배기(1)는,
    상부 단부 및 저부 단부,
    상부 단부와 저부 단부 사이에 연장된 측벽(2) 및,
    저부 단부에 인접한 단부벽(7)을 포함하고,
    측벽(2) 및 단부벽(7)은 서로 접촉하는 상호 평탄한 표면(9a)들로써 적층된 복수개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9)들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체적을 형성하고,
    저부 단부에 있는 측벽(2)은 분배기(1)를 직립의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8)를 형성하도록 바람직스럽게는 단부벽(7)을 지나서 연장되고,
    측벽(2)은 분배기(1)의 상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절두 원추 형상(frusto-conical shape)으로 몰딩(moulding)되고, 측벽(2)의 대향하는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0.6° 내지 2°사이의 각도(θ), 바람직스럽게는 0.8° 내지 1.5°사이의 각도(θ),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의 각도(θ)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측벽(2)은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되고, 바람직스럽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몰딩되며, 플라스틱 재료는, 50 g/10 min 내지 120 g/10 min 사이, 바람직스럽게는 60g/10 min 내지 110 g/10 min 사이,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00 g/10 min 인 용융 유동 인덱스(melt flow index)(230°/2.16kg)를 가지는, 분배기.
  3. 면 패드(9)들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1)로서, 분배기(1)는,
    상부 단부 및 저부 단부,
    상부 단부와 저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측벽(2) 및,
    저부 단부에 인접한 단부벽(7)을 포함하고,
    측벽(2) 및 단부벽(7)은 서로 접촉하는 상호 평탄한 표면(9a)들로써 적층된 복수개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9)들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체적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2)에 제공된 제 1 절제부(3)는 측벽(2)을 통하여 상기 체적 안으로의 진입부를 형성하도록 분배기(1)의 저부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벽(7)에 제공된 제 2 절제부(4)는 제 1 절제부(3)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제 1 절제부(3) 및 제 2 절제부(4)가 하나의 조합된 인출 구멍(1a)을 형성하는 공통 천이부(mutual transition)를 포함하고,
    인출 구멍(1a)은, 집게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으로 면 패드(9)의 주위 부분(9b)을 파지하고 면 패드(9)를 변형시켜서 인출 구멍(1a)의 밖으로 면 패드를 당김으로써 상기 체적 내에 있는 가장 아래의 면 패드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집게 손가락은 제 2 절제부(4)로 삽입되고, 엄지 손가락은 제 1 절제부(3)로 삽입되고,
    제 1 절제부(3)는 전체적인 원호 형상, 바람직스럽게는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분배기의 상기 저부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저부 단부에 있는 측벽(2)은 분배기(1)를 직립의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8)를 형성하도록 단부벽(7)을 지나서 연장되고,
    단부벽(7)이 바람직스럽게는 분배기의 저부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되며, 상기 거리는 0.2cm 내지 5cm 사이,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0.5 cm 내지 2.5 cm 사이,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0.7 cm 내지 1.3 c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는 상호 평탄한 표면(9a)들로써 체적 안에 적층된 복수개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9)들을 더 포함하고, 분배기(1)가 직립의 위치에 있을 때 가장 아래에 있는 면 패드가 인출 구멍(1a)을 통해 인출되면 면 패드(9)들의 나머지 적층체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도록 측벽(2) 및 면 패드(9)들이 제공되는, 분배기(1).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천이부에 있는 제 2 절제부(4)의 폭(10)은 상기 공통 천이부에 있는 제 1 절제부(3)의 대응되는 폭(11)보다 크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같아서, 상기 공통 천이부에 있는 제 2 절제부(4)는 제 1 절제부(3)의 가장자리와 같은 높이이거나 또는 제 1 절제부(3)의 가장자리로부터 거리를 두면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 2 절제부(4)는 상기 측벽(2)으로부터 테이퍼진 형상(4a), 바람직스럽게는 실질적으로 원추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중앙에 배치된 형상(4b)으로 연장됨으로써 열쇠 구멍 형상을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측벽(2)은 플라스틱 재료들로 만들어지고, 바람직스럽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고, 플라스틱 재료의 인장 모듈러스(tensile modulus)가 바람직스럽게는 1000 MPa 내지 3000 MPa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1500 MPa 내지 2200 MPa 사이이고,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800 MPa 인, 분배기.
  6. 면 패드(9)들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1)로서, 분배기(1)는:
    상부 단부 및 저부 단부;
    상부 단부와 저부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측벽(2); 및,
    저부 단부에 인접한 단부 벽(7);을 구비하고,
    측벽(2) 및 단부벽(7)은 서로 접촉하는 상호 평탄한 표면(9a)들로써 적층된 복수개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9)들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체적을 형성하고,
    저부 단부에 있는 측벽(2)은 분배기(1)를 직립의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8)를 형성하도록 단부벽(7)을 지나서 연장되고,
    분배기는 측벽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 저부 부분(5)을 더 포함하고, 저부 부분(5)은 단부 벽(7) 및 원주의 칼라 벽(collar wall, 6)을 포함하고, 칼라 벽(6)은 단부 벽(7)의 주위로부터 지지용 구조체(8)의 내측 원주의 적어도 부분을 따라서 분배기(1)의 저부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내측 원주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는, 분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칼라 벽(6)은 배관 접합(plumbing) 또는 용접과 같은 열 접합에 의하여,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2 개의 상호 이격된 스폿 용접부(spot weld)들에 의하여,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3 개의 상호 이격된 스폿 용접부들에 의하여, 측벽(2)에 부착되는, 분배기.
  8. 제 1 항에 따른 분배기(1)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분배기의 제조 방법은:
    맨드렐의 상부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지는 절두 원추 형상(frusto-conical shape)을 맨드렐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맨드렐 측부들의 대향하는 부분들은 서로에 대하여 0.6°내지 2°사이의 각도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고, 바람직스럽게는 0.8°내지 1.5°사이의 각도로,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는, 단계;
    맨드렐상에 측벽(2)을 성형(moulding)하는 단계로서, 바람직스럽게는 사출 성형하는 단계;
    맨드렐이 테이퍼진 방향으로 맨드렐로부터 측벽(2)을 제거하는 단계;
    바람직스럽게는 복수개의 디스크 형상 면 패드(9)들을 상호 평탄한 표면(9a)들이 서로 접촉되면서 측벽(2)에 의해 형성된 체적 안에 적층시키는 단계로서, 상부 단부에 있는 측벽(2)은 폐쇄된 상부 단부를 형성하도록 상부 단부 벽(13)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단계;
    단부 벽(7)을 제공하고 단부 벽을 분배기(1)의 저부 단부로부터 측벽(2)에 의해 형성된 체적안으로 삽입하여, 측벽(2)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배기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측벽(2)은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되고, 바람직스럽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몰딩되며, 플라스틱 재료의 인장 모듈러스(tensile modulus)가 1000 MPa 내지 3000 MPa 사이이고, 바람직스럽게는 1500 MPa 내지 2200 MPa 사이이고,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800 MPa 이고, 그리고/또는 50 g/10 min 내지 120 g/10 min 사이, 바람직스럽게는 60g/10 min 내지 110 g/10 min 사이, 보다 바람직스럽게는 대략 100 g/10 min 의 용융 유동 인덱스(melt flow index)(230°/2.16kg)를 가지는, 분배기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분배기(1)는 제 3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이고,
    단부 벽(7)을 측벽(2)에 고정하기 전에,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는 측벽(2)에 의해 형성된 체적 안에 면 패드들을 적층시키기 전에, 측벽(2) 및 단부벽(7)의 절제부(3,4)들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분배기(1)가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따른 것인, 분배기의 제조 방법.
KR1020137009059A 2010-09-10 2011-09-09 면 패드 분배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91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070390 2010-09-10
DKPA201070390 2010-09-10
PCT/DK2011/050335 WO2012031600A1 (en) 2010-09-10 2011-09-09 A cotton pad dispenser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530A true KR20130101530A (ko) 2013-09-13
KR101911539B1 KR101911539B1 (ko) 2018-10-25

Family

ID=4471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059A KR101911539B1 (ko) 2010-09-10 2011-09-09 면 패드 분배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283128B2 (ko)
EP (1) EP2613752B1 (ko)
JP (1) JP2013537869A (ko)
KR (1) KR101911539B1 (ko)
CN (1) CN103096859B (ko)
AU (1) AU2011300987B2 (ko)
BR (1) BR112013005684A2 (ko)
CA (1) CA2810058A1 (ko)
MY (1) MY166342A (ko)
RU (1) RU2571258C2 (ko)
SG (1) SG188453A1 (ko)
WO (1) WO20120316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99Y1 (ko) * 2016-10-10 2018-04-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손잡이 달린 필터 및 그 보관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101550U1 (de) * 2013-04-11 2013-06-10 Sata Gmbh & Co. Kg Spender und Spendersystem für zumindest eine Komponente eines Bechersystems, insbesondere eines Farbbechersystems
CN103420043A (zh) * 2013-07-15 2013-12-04 苏州井利电子有限公司 一种圆筒形料盘储藏器
JP6042920B2 (ja) * 2015-02-13 2016-12-14 隆司 小迫 化粧用コットンの取出装置
CZ306127B6 (cs) * 2015-10-13 2016-08-10 Pavel Sekanina Pouzdro na menstruační tampony
WO2019019036A1 (en) 2017-07-26 2019-01-31 Tsinghua University DUAL CHAMBER PACKAGING SYSTEM FOR ABSORBENT ARTICLES
DE202017105136U1 (de) * 2017-08-25 2018-11-29 Ovibell Pflanzen, Deko Und Freizeit Gmbh & Co. Kg Spender für Kosmetikartikel
CN107585417A (zh) * 2017-09-08 2018-01-16 芜湖市广源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侧开口易取料的片料件包装盒
US20220151401A1 (en) * 2020-11-17 2022-05-19 Gerhart Cullen Becker Medication container dispenser
US11395775B1 (en) 2021-05-12 2022-07-26 Jonathan Temple Pa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0295A (en) 1932-04-30 1932-12-06 A J Donahue Corp Dispensing-package for powder puffs
US2115923A (en) 1936-11-05 1938-05-03 Cooper Felix Dispenser for tea bags
FR1552684A (ko) 1967-02-09 1969-01-03
US3450308A (en) * 1967-10-06 1969-06-17 William C Schoenefeld Article dispenser having an inclined bottom ramp and a front wall article outlet opening
US4253842A (en) * 1974-05-15 1981-03-03 Colgate-Palmoliv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and washing methods including and utilizing separate tablets of components
US4053242A (en) 1976-03-18 1977-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roduct applicator and dispensing package therefor
FI60118C (fi) 1976-04-13 1981-12-10 Huhtamaeki Oy Konisk mugg foer engaongsbruk
CA1070272A (en) 1977-11-07 1980-01-22 Ronald G. Harrison Dispenser for plastic cards
US4170325A (en) * 1978-06-20 1979-10-09 American Can Company Receptacle
JPS58107379A (ja) 1981-12-21 1983-06-27 Citizen Watch Co Ltd プリンタの活字輪駆動装置
JPS58107379U (ja) * 1982-01-12 1983-07-21 吉井タオル株式会社 タオルハンカチ等のケ−ス
JPS60148448A (ja) * 1983-08-02 1985-08-05 東洋製罐株式会社 包装容器
US4538726A (en) * 1984-06-15 1985-09-03 Pastva Charles S Disposable mixing palette and container
JPS63274519A (ja) * 1987-05-02 1988-11-11 Yoshikawa:Kk 合成樹脂製容器
CH679574A5 (ko) 1989-07-28 1992-03-13 Flawa Schweiz Verband Wattefab
US5211308A (en) * 1992-02-27 1993-05-18 Nyco International, Inc. Universal funnel for a paper dispenser
DE4214649B4 (de) 1992-05-02 2004-08-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Folienbeutel für Hygieneartikel
DE4317611A1 (de) 1993-05-27 1995-01-05 Vp Schickedanz S A Folienschlauchbeutel zur Aufnahme von Hygieneartikel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501365A (en) 1994-03-25 1996-03-26 Playtex Products, Inc. Package and system for dispensing preformed nurser sacs
JPH08276938A (ja) 1995-03-31 1996-10-22 Nichiban Co Ltd 包帯等の吊下式筒状包装体
DE29508539U1 (de) 1995-05-23 1995-09-28 Huisman Ronald Eßgerät für die Aufnahme von stückigen Speisenbestandteilen sowie Kombination aus einem Spender und darin gehaltenen Eßgeräten
US6109787A (en) 1995-10-13 2000-08-29 Procter & Gamble Soft bag for personal-hygiene articles
US5713488A (en) * 1996-01-24 1998-02-03 Farrugia; John V. Condom dispenser
JP3290350B2 (ja) * 1996-04-22 2002-06-10 太陽シールパック株式会社 ファイバードラム
FR2749151B1 (fr) 1996-05-30 1998-08-21 Gandois Jean Marie Boite de tampons jetables pour nettoyage des chaussures
GB9715401D0 (en) * 1997-07-23 1997-09-24 Puka Creative Game tube
RU2123464C1 (ru) 1997-06-06 1998-12-20 Жерновский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штучной выдачи таблеток (варианты)
ATE255824T1 (de) 1998-07-07 2003-12-15 Weasy Pack B V Spender für poröse auftragselemente
DE19852297A1 (de) 1998-11-12 2000-05-18 Rauscher & Co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Hygieneartikeln
US6588626B2 (en) 2000-11-30 2003-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ptionally hangable container and dispensing method
JP2002274522A (ja) 2001-03-16 2002-09-25 Maruzen Group:Kk 安全カップ及び安全カップの製造方法
DE20315697U1 (de) 2003-10-11 2005-02-24 Kuschel, Rudolf Wattespender für Einhandbedienung
DE202004000696U1 (de) 2004-01-16 2005-05-25 Emsa-Werke Wulf Gmbh & Co. Kg Spenderbehälter, insbesondere für stapelbare flächenförmige Gegenstände
FR2871145B1 (fr) 2004-06-08 2006-08-18 Oreal Distributeur d'applicateurs
US20060074390A1 (en) * 2004-10-06 2006-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dispensing system
DE202006000578U1 (de) 2006-01-13 2006-03-09 Adm Promotions Gmbh Abgabe- und Lagervorrichtung für Stückgut
DK176445B1 (da) 2006-07-04 2008-02-25 Anne-Mette Ju Nygaard-Petersen Vatrondelholder
NL1032972C2 (nl) * 2006-11-30 2008-06-02 Cameron Of Lochiel B V Inrichting voor het houden en gecontroleerd afgeven van althans ten dele poreuze absortielichamen alsmede een absorptielichaam ten gebruike daarmee.
GB2452719B (en) 2007-09-11 2012-01-11 Mars Inc Cups for beverage dispensing
DE202008005811U1 (de) 2008-04-30 2008-07-24 Kretzer, Thorsten Spendersystem und Urinal mit Spendersystem
WO2010074001A1 (ja) 2008-12-22 2010-07-01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99Y1 (ko) * 2016-10-10 2018-04-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손잡이 달린 필터 및 그 보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96859B (zh) 2016-08-17
CN103096859A (zh) 2013-05-08
JP2013537869A (ja) 2013-10-07
US20130277387A1 (en) 2013-10-24
RU2013115917A (ru) 2014-10-20
US9283128B2 (en) 2016-03-15
KR101911539B1 (ko) 2018-10-25
EP2613752A1 (en) 2013-07-17
EP2613752B1 (en) 2023-06-28
AU2011300987B2 (en) 2016-02-25
SG188453A1 (en) 2013-05-31
AU2011300987A1 (en) 2013-03-21
MY166342A (en) 2018-06-25
RU2571258C2 (ru) 2015-12-20
WO2012031600A1 (en) 2012-03-15
BR112013005684A2 (pt) 2017-07-18
EP2613752C0 (en) 2023-06-28
CA2810058A1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539B1 (ko) 면 패드 분배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U2018203217B2 (en) Low profile scoop
USD628884S1 (en)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US20080047966A1 (en) Low profile press-fit compostable beverage lid
USD602781S1 (en) Container with opposed dispensing ends
US20060011634A1 (en) Cup shaped container
EP3805117B1 (en)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packaged food product
CA2712584A1 (en) Pouring package and pouring member
USD530947S1 (en) Compartmented container with tear strips for storing and dispensing multiple rolls of wrapping paper
WO2006095730A1 (ja) 断熱容器
US20190329963A1 (en) Food container and dispenser
WO2019143243A1 (en) Two-compartment assembly for preparing and mixing liquid food
USD651517S1 (en) Container
JP3885419B2 (ja) 分別回収し易い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WO2011000812A1 (en) Ice cream holder
JPH10101092A (ja) 小蓋付キャップ
JP3175665U (ja) 紙製容器
KR200447033Y1 (ko) 빨대 안내홈을 갖는 용기 어셈블리
KR200466354Y1 (ko) 고리 일체형 뚜겅이 구비된 음료팩
US20050230461A1 (en) Megaphone cup
JPH08324621A (ja) 容器のプルトップ装置
ITPR20080005U1 (it) Contenitore per bevande in genere
ITCZ20080001A1 (it) Porta cono gelato
ITBO980135U1 (it) Bicchiere collassabile applicabile a lattine per bevande .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