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684A - 등기구 - Google Patents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684A
KR20130095684A KR1020130017868A KR20130017868A KR20130095684A KR 20130095684 A KR20130095684 A KR 20130095684A KR 1020130017868 A KR1020130017868 A KR 1020130017868A KR 20130017868 A KR20130017868 A KR 20130017868A KR 20130095684 A KR20130095684 A KR 20130095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cover
ligh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연
박성우
최태혁
마사유키 핫토리
Original Assignee
(주)더선테크
레시프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선테크, 레시프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더선테크
Publication of KR2013009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이동체의 실내조명에 적합한 등기구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에서는, 한쌍의 사이드 커버(30)는 커버 본체(21)의 개방단을 막으면서 도광판(26)의 폭방향을 따라서 반사판(27)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26)과 반사판(27)의 양단부를 각각 창부(21a)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판(33)을 구비하고, 본체 케이스(11)는 반사판(27)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2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도광판(26)을 반사판(27)과 함께 창부(21a)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 리브(15a, 15b)를 구비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광판(26) 및 반사판(27)의 폭방향의 단부는 누름부(32)에 의해, 길이방향의 단부는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각각 창부(21a)를 향해서 눌러지므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도광판(26)의 두께방향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휘어지기 어렵다.

Description

등기구{a right}
본 발명은 도광판의 측단면에 조명광원을 배치하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의 측단면에 조명광원을 배치하는 등기구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개2011-159436호 공보에 개시되는 에지 라이트식 조명장치가 있다. 이 조명장치는 주택 등의 천장에 설치되는 실링 라이트나 벽에 설치되는 브래킷 라이트 등에 이용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도광판 주위에 LED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1-159436호 공보
이와 같은 조명장치를 철도나 자동차, 또는 항공기, 선박 등의 이동체의 실내 천장이나 벽에 설치한 경우에는, 실내 공간 자체가 이동함으로 인해 그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이 자주 가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천재 등을 제외하고 외부로부터 진동 등이 가해지는 것이 그다지 상정되어 있지 않은 주택용 조명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도광판의 두께방향에서 도광판과 조명광원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나사의 느슨함으로 인해 나사 체결부분에 틈이 생긴다. 또한 진동 등이나 나사의 느슨함으로 인해 도광판에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광판과 조명광원의 위치 어긋남이 더 커진다. 특히 도광판이 길게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이와 같은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기 쉽다.
도광판의 두께방향에서의 도광판의 측단면과 조명광원의 위치 어긋남은 도광판으로 입사하는 광의 방향이나 양의 변동에 직결되므로, 조명장치로서 본래의 밝기가 얻어지기 어려워지거나, 발광면에 밝기의 불균일이 생긴다. 나사의 느슨함으로 인한 하우징의 틈은 조명광의 누설로 연결되고, 또한 도광판의 휨이나 뒤틀림은 측단면에서의 조명광원과의 위치 어긋남을 더 증가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주택용 조명장치를 이동체의 실내 조명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한 전용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체의 실내조명에 적합한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등기구는, 측단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평면방향으로 출사하는 도광판과, 조명광원으로서 상기 측단면으로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도광판의 한쪽의 평면을 덮고, 상기 입사한 광을 다른 쪽의 평면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도광판,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반사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다른 쪽의 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을 외부로 조사 가능한 창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양단이 개방되는 커버 몸체부와, 커버 몸체부의 개방단을 막으면서 상기 도광판의 하나의 변방향을 따라서 상기 반사판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과 상기 반사판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 창부 방향으로 누르는 제1 누름부를 구비하는 한쌍의 커버 단부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판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다른 변방향을 따라서 상기 도광판을 상기 반사판과 함께 상기 창부 방향으로 누르는 제2 누름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도광판, 복수의 발광소자, 반사판 및 이들을 수용 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 하우징은 커버 몸체부의 개방단을 막으면서 도광판의 하나의 변방향을 따라서 반사판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과 반사판의 양단부를 각각 창부방향으로 누르는 제1 누름부를 한쌍의 커버 단부에 구비하고, 반사판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의 다른 변방향을 따라서 도광판을 반사판과 함께 창부방향으로 누르는 제2 누름부를 본체부에 구비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광판 및 반사판의 하나의 변방향의 단부는 제1 누름부에 의해, 또한 다른 변방향의 단부는 제2 누름부에 의해 각각 창부방향을 향해서 눌러지므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도광판이 그 두께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하거나 휘어지기 어렵다. 이에 의해 도광판의 측단면과 조명광원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변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이고, 상기 다른 변방향은 상기 폭방향이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길이방향의 측단면으로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누름부는 상기 도광판의 폭방향을 따라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반사판의 양단부를 누르고, 상기 제2 누름부는 상기 도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도광판을 상기 반사판과 함께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도광판은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고 길게 형성되며, 그 폭방향의 단부는 제1 누름부에 의해, 또한 길이방향의 단부는 제2 누름부에 의해 각각 창부방향을 향해서 눌러진다. 그렇기 때문에 도광판이 일반적으로 휘어지기 쉬운 긴 형성이어도, 도광판의 길이방향의 측단면과 그것에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 단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부단과 상기 도광판의 측단면과의 이격간격을 설정하는 틈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발광소자의 발광부단과 도광판의 측단면과의 이격간격이 틈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어 고정되므로, 도광판의 두께방향과 더불어 발광소자와의 이격간격에 대해서도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내진동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 단부는 탄성부재를 통해서 상기 반사판 및 상기 도광판의 각각의 단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도광판의 단부는 탄성부재를 통해서 커버 단부에 눌러지므로 제1 누름부재 및 제2 누름부재의 누름방향의 치수 오차나 도광판의 두께방향의 치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커버 단부에는 상기 제2 누름부가 침입 가능한 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커버 단부의 틈부에 제2 누름부가 침입될 수 있으므로, 도광판 중 커버 단부에 의해 덮여지는 범위에 대해서도 제2 누름부에 의해 눌러진다. 그렇기 때문에 제2 누름부에 의한 누름 범위가 넓어지므로 내진동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5에 기재한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틈부는, 상기 제2 누름부가 상기 커버 단부에 의한 누름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도광판을 상기 창부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커버 단부의 틈부로 침입한 제2 누름부는 커버 단부에 의한 누름범위를 초과하여 도광판을 누르므로, 도광판은 제1 누름부에 의해 눌러진 후에 제2 누름부에 의해 눌러진다. 도광판의 단계적인 누름이 가능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등기구에서, 상기 커버 단부와 상기 커버 몸체부 사이에는 차광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커버 단부와 커버 몸체부의 사이에는 차광재가 개재되므로, 이들 사이에 틈이 발생했다고 해도 이러한 틈으로부터 조명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등기구에서, 상기 측단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상기 평면방향과 더불어, 이 측단면을 제외한 상기 도광판의 1개 이상의 다른 측단면으로부터도 출사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다른 측단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을 외부로 조사 가능한 다른 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도광판의 1개 이상의 다른 측단면으로부터도 조명광이 출사하므로, 다른 쪽의 평면측에 개구하는 창부와 더불어, 이 창부와는 다른 위치에 개구하는 다른 창부로부터도 조명광이 출사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다른 창부로부터 출사하는 조명광을 간접조명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등기구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등기구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측단면을 제외한 상기 도광판의 1개 이상의 다른 측단면으로도 조명광원으로서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등기구의 발명에서는, 다른 측단면으로부터도 복수의 발광소자로부터 광이 입사하므로, 도광판에는 복수의 측단면으로부터 조명광원의 광이 입사한다. 이에 의해, 도광판의 평면방향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에 의한 밝기, 즉 이 등기구의 밝기를 보다 밝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진동성이 향상됨으로 인해, 이동체의 실내 조명에 적합한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등기구를 구성하는 본체부를 설치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A)는 본체 케이스를 내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하는 4B선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A)는 등기구를 구성하는 커버를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하는 5B선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7은 사이드 커버를 각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사이드 커버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도광판의 길이방향 측단면과의 위치 관계 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A)는 사이드 커버에 형성될 수 있는 틈에 대한 설명도이고, (B), (C)는 커버를 본체부에 조립하기 전후의 누름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A)는 사이드 커버에 슬릿을 마련한 예, (B)는 커버 본체의 상승벽에 슬릿을 마련한 예, (C)는 상기 2개의 예를 적용한 등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예로서, LED 유닛을 대향하도록 마련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등기구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등기구(1)의 외관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등기구(1)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기구(1)는 예를 들어 철도나 자동차 또는 항공기, 선박 등과 같은 이동체의 실내의 천장(100)이나 도시가 생략된 벽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외관은 길고 얇은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폭이 넓은 평면부의 소정 폭의 틀형상 부분을 제외한 범위에 창부(21a)가 형성되고, 여기서부터 글로브(25)를 통해서 조명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창부(21a)의 길이방향의 양측 근방에는 미관을 고려하여 이 등기구(1)를 천장(100)에 설치하는 설치 나사의 존재를 감추는 캡(29)이 설치되어 있다.
등기구(1)는 본체부(10), 커버(20) 및 한쌍의 사이드 커버(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천장(100) 등에의 설치면측, 즉 창부(21a)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등기구(1)에는 천장(100)으로부터 본체부(10)에 소정의 교류전력이 공급되어 점등하도록 전원 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도 2에 등기구(1)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기구(1)는 본체부(10)와, 커버(20) 및 사이드 커버(30)로 분해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는 지면 우측의 사이드 커버(30)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좌측과 동일한 사이드 커버(30)가 우측에도 존재하고 있으며, 좌우 한쌍을 이루고 있다. 우선 본체부(1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는 등기구(1)를 구성하는 본체부(10)를 설치면으로부터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부(10)는 주로 본체 케이스(11), 전원 유닛(16)이나 전원 코드(1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는 커버 본체(21)와 함께 단면 직사각형의 통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긴 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측에는 전원 유닛(16)이 내장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누름 리브(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누름 리브(15) 사이에 나사(13c)에 의해 전원 유닛(16)이 조립되어 있다.
전원 유닛(16)에는 교류전력을 받을 수 있는 수전(受電) 커넥터(16a)와, 후술하는 LED 유닛에 구동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출력 커넥터(16b)가 마련되어 있으며, 수전 커넥터(16a)로부터 받은 교류전력을 후술하는 LED 유닛을 구동 가능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 커넥터(16b)로 출력하는 전력 컨버터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수전 커넥터(16a)에는 전원 코드(18) 및 플러그(19)를 통해서 천장(100)로부터 보내지는 교류전력을 받을 수 있는 전원선(18a)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 커넥터(16b)에는 LED 유닛으로 구동전력을 출력 가능한 전원배선(16c)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전 커넥터(16a)의 근방에는 전원 코드(18,전원선(18a))를 부시(17)를 통해서 인입 가능한 코드 구멍(11f)이 본체 케이스(11)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관통구멍(11e)에 홀더(12a)가 조립되어 있으며, 등기구(1)를 천장(10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나사(12)가 이 홀더(12a)에 보유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1)에는 나사(13a)에 의해 커버 본체(21)와의 나사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홈이 파여진 플레이트(14)가 나사(13b)에 의해 네 부분에 조립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에는 플레이트(14)의 나사 구멍의 위치에 맞추어서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1)에는 후술하는 사이드 커버(30)의 나사부(35)의 부분을 회피하는 절결부(11c)나, 커버 본체(21)로부터 본체 케이스(11)를 분리할 때의 걸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절결부(11g), 나아가 전원 유닛(16)을 조립하기 위한 나사(13c)가 고정되는 관통구멍(11d) 등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110)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에는 본체부(10)를 내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나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내측면에 전원 유닛(16)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자 형상으로 2개의 누름 리브(15)가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도 4의 (B) 참조).
본체 케이스(1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원재료의 압출성형에 의해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LED 유닛의 길이에 맞추어서 임의의 길이로 절단(양단부는 개방단)되어 가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비율이 약 1:4로 설정되어 있으나, 제품사양에 따라서는 이보다 긴 것(폭방향과 길이방향의 비율이 약 1:5~약 1:10 등)이나 짧은 것(폭방향과 길이방향의 비율이 약 1:2 등)도 있다. 또한 폭방향과 길이방향이 동일한 길이인 정사각형으로 설정되는 경우도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 리브(15a, 15b)는 본체 케이스(11)의 폭방향 양단의 L자 부분의 상승벽의 길이보다 크게 돌출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형상이 단면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 리브(15a, 15b)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27)에 맞닿음으로써 누름 리브(15a, 15b)가 반사판(27)을 통해서 도광판(26)을 커버 본체(21)의 창부(21a)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사판(27)과의 접촉면을 소정 면적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T자나 Y자 등의 단면형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치하는 2개의 누름 리브(15a, 15b)가 서로 대향측으로 L자의 선단을 향하고 있다. 이하 "반사판(27)을 통해서 도광판(26)이 눌러진다(을 누른다)"라는 취지를 "반사판(27)을 통해서"를 생략하고 단순히 "도광판(26)이 눌러진다(을 누른다)" 등으로 기재한다.
누름 리브(15a, 15b)의 높이는 도광판(26)을 누르는 압압력과, 누름 후의 도광판(26)의 위치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즉 누름 리브(15a, 15b)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예정 범위를 초과하여 도광판(26)이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지나치게 가압되기 때문에 도광판(26)이나 글로브(25)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높이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도광판(26)에 대한 가압력이 예정된 가압력보다 부족하거나 또는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등에 의해 도광판(26) 등이 두께방향으로 흔들려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누름 리브(15a, 15b)를 형성함으로써 도광판(26)을 길이방향으로 적당하게 누를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11)의 길이방향의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 리브(15b)와 본체 케이스(11)의 L자 부분의 상승벽 사이(α)의 본체 케이스(11)의 두꺼운 부분을 그 이외의 누름 리브(15a, 15b)가 형성되는 폭방향의 내측범위(β)의 두꺼운 부분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길이방향의 강도를 더 높이고 있다. 또한 누름 리브(15a, 15b) 사이의 내측범위(β)에 대해서는 등기구(1)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 두꺼운 부분이 얇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커버(20) 및 사이드 커버(30)의 구성을 도 2, 도 5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등기구(1)를 구성하는 커버(20)를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나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커버(20)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7에는 사이드 커버(30)를 각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20)는 주로 커버 본체(21), LED 유닛(23), 글로브(25), 도광판(26)이나 반사판(2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21)는 전술한 본체 케이스(11)와 함께 단면 직사각형의 통체를 구성 가능하게 형성되는 단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이 넓은 평면부에는 전술한 창부(21a)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창부(21a)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전술한 설치 나사(12)에 대해서 드라이버 공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설치구멍(2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설치구멍(21d)에는 전술한 캡(29)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 본체(21)는 본체 케이스(11)와 동일하게,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원재료의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본체 케이스(11)의 길이에 맞추어서 임의의 길이로 절단(양단부는 개방단)되어 가공된다. 이 커버 본체(21)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2a, 22b, 22c, 22d)가 네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본체(21)의 폭방향 양단의 L자부분의 상승벽에는 후술하는 사이드 커버(30)를 나사(28)에 의해 조립하기 위한 관통구멍(21b)과, 이 커버 본체(21)를 본체 케이스(11)에 나사(13a)에 의해 조립하기 위한 관통구멍(21c)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22a, 22b)는 창부(21a)의 폭방향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리브(22a)와 리브(22b)의 간격은 후술하는 글로브(25)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리브(22a)는 커버 본체(21)의 폭방향 양단의 L자부분의 상승벽의 한쪽의 내측으로부터 LED 유닛(23)의 프린트 기판(23a)의 두께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22a)의 높이는 글로브(25)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반해, 리브(22b)는 글로브(25), 도광판(26) 및 반사판(27)을 적층한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리브(22a)에 의해 프린트 기판(23a)은 커버 본체(21)의 폭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리브(22b)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된 글로브(25) 등의 커버 본체(21)의 폭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리브(22c)는 커버 본체(21)의 폭이 넓은 평면부로부터 LED 유닛(23)의 프린트 기판(23a)의 폭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커버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22c)의 높이는 프린트 기판(23a)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린트 기판(23a)은 커버 본체(21)의 높이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리브(22d)는 커버 본체(21)의 폭방향 양단의 L자부분의 상승벽의 다른 쪽의 내측에 리브(22c)와 동일한 위치 및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브(22c, 22d)는 커버 본체(21)와 함께 단면 직사각형의 통체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11)의 설치 깊이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유닛(23)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프린트 기판(23a)과, 이것에 납땜되어서 실장되는 복수의 LED(23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23b)는 면실장 타입이며, 프린트 기판(23a)에 면실장된 상태로 평평한 발광면이 정면으로 향하도록 패키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30개의 LED(23b)를 직렬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프린트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스(11)의 전원 유닛(16)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력을 받아서 점등한다.
LED 유닛(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리브(22a)와 리브(22c) 사이에 위치 결정되어 커버 본체(21)에 조립 고정되어 있다. 고정은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 6에서는 전원 유닛(16)으로부터의 배선(16c)은 생략되어 있다. 5개 내지 10개의 LED(23b)를 직렬로 접속한 서브 유닛을 복수 직렬로 접속하여 LED 유닛(23)을 구성해도 된다.
글로브(25)는 창부(21a)를 커버 본체(21)의 내측으로부터 막아서 커버 본체(21)와 함께 등기구(1)의 외관을 구성하는 투광성 판형상 부재(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판유리)이며, 창부(21a)보다 한층 큰 사이즈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방향의 길이가 전술한 커버 본체(21)의 리브(22a)와 리브(22b)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작고, 또한 길이방향의 길이가 대향하는 사이드 커버(30)의 간격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투명한 글로브(25)의 내측 또는 외측에 광확산 필름을 붙여도 된다.
도광판(26)은 측단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평면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투광성 판형상 부재(예를 들어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판)이며, 글로브(25)와 동일하게 창부(21a)보다 한층 큰 사이즈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글로브(25)와 동일한 형상, 즉 커버 본체(21)의 리브(22a)와 리브(22b) 사이와, 대향하는 사이드 커버(30) 사이에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LED 유닛(23)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으로 입사한다.
반사판(27)은 평면방향에서 받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광반사부재(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판)이며, 글로브(25)나 도광판(26)과 동일한 형상의 창부(21a)보다 한층 큰 사이즈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반사판(27)의 경도가 낮아서 휘어지기 쉬운 경우에는 상측(도광판의 반대측)에 반사판(27)보다 경도가 높은 보강판을 더 적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글로브(25), 도광판(26) 및 반사판(27)은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본체(21)의 창부(21a) 측으로부터 글로브(25), 도광판(26), 반사판(27)의 순서로 적층되고, 리브(22a)와 리브(22b) 사이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은 커버 본체(21)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사이드 커버(30)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 5의 (A)에서는 적층된 글로브(25), 도광판(26) 및 반사판(27) 중 가장 위쪽(도광판의 반대측)의 반사판(27)만이 도시되어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유닛(23)의 프린트 기판(23a)의 표면(LED 유닛(23)의 실장면)과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도 6 참조) 사이의 간격(Sp)은 LED 유닛(23)의 일부 표면에 씌워지는 스페이서(24)의 판 두께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이드 커버(30)의 돌출부(36)의 두께에 의해 설정되어 확보된다. 다음에 이 사이드 커버(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사이드 커버(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도 8 및 도 9도 함께 참조한다. 또한 사이드 커버(30)는 커버 본체(21)의 좌우 양단에 조립되어 좌우 한쌍을 이루어서 좌우대칭으로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그 중 한쪽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 쪽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는 사이드 커버(30)에 형성되는 돌출부(36)와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의 위치관계 등을 도시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사이드 커버(30)에 형성될 수 있는 틈에 대한 설명도나 커버(20)를 본체부(10)에 조립하기 전후의 누름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30)는 주로 외장부(31)나 누름부(32)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 다이캐스트로 성형된다. 외장부(31)는 커버 본체(21)의 양단을 막아서 등기구(1)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안쪽에는 누름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부(31)에는 커버 본체(21)의 리브(22a, 22b, 22c, 22d)에 대응하여 이들을 피하는 리브용 홈(32a, 32b, 32c, 32d)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32)는 직사각형의 블록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누름판(33), 보강판(34), 나사부(35)나 돌출부(36)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는 도광판(26)의 폭방향 측단면(26c, 26d)이 맞닿음으로 인해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판(33)에 의한 도광판(26) 등의 누름이나 돌출부(36)에 의한 도광판(26)의 폭방향의 위치 결정 등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누름부(32)의 베이스부에는 이 사이드 커버(30)를 커버 본체(21)에 조립하는 경우에 커버 본체(21)의 관통구멍(21b)을 통해서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구멍(35a)이 있는 나사부(35)와, 커버 본체(21)에 조립하면 커버 본체(21)의 설치구멍(21d)에 연통 가능한 관통구멍(32g)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32)에는 본체 케이스(11)에 형성되는 누름 리브(15a, 15b)에 대응하여 이들을 피하는 리브용 홈(32e, 3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리브용 홈(32e, 32f) 사이에는 외장부(31)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두꺼운 부분의 판형상으로 돌출되는 누름판(33)이 형성되고, 나아가 누름판(33)의 길이방향(커버 본체(21)의 폭방향)을 따라서 세 부분에 직각삼각형의 보강판(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용 홈(32e, 32f)이 누름부(32)에 형성됨으로써, 사이드 커버(30)가 존재함으로 인해 누름부(32)에 덮여지고, 본래 누를 수 없는 범위에 대해서도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도광판(26) 등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한 누름범위가 도광판(26)의 길이방향으로 넓어진다.
또한 리브용 홈(32e, 32f)은 도 7에 도시하는 각 도면이나 도 5의 (B)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누름판(33)의 하면(보강판(34)이 형성되는 상면의 안쪽)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브용 홈(32e, 32f)에 들어가는 누름 리브(15a, 15b)는 누름판(33)에 의한 누름범위를 초과하여 도광판(26) 등을 누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누름판(33)에 의한 누름 후에 누름 리브(15)에 의해 더 누르는 것과 같은 도광판(26) 등의 단계적인 누름이 가능해진다.
누름판(33)의 안쪽에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나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37)가 붙여져 있다. 또한 도광판(26)의 폭방향 측단면(26c, 26d)이 맞닿을 수 있는 누름판(33)의 안쪽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의 부분에는 쿠션재(37)와 동일한 쿠션재(38)가 붙여져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26)의 폭방향 측단면(26c, 26d)은 모두 쿠션재(37)를 통해서 누름판(33)에 눌러지므로, 누름판(33)이나 도광판(26)에 치수오차가 있었다고 해도 큐션재(37)가 개재되는 만큼 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광판(26)의 길이에 오차가 있거나, 도광판(26)의 길이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누름부(32)의 베이스부에 있었다고 해도, 도광판(26)의 폭방향 측단면(26c, 26d)은 쿠션재(38)를 통해서 베이스부에 맞닿으므로, 이와 같은 오차나 위치 어긋남을 쿠션재(38)에 의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부(32)의 리브용 홈(32f)이 형성되는 측의 나사부(35)의 아래쪽에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36)가 누름판(33)의 돌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6)는 사이드 커버(30)를 커버 본체(21)에 조립했을 때에 커버 본체(21)의 리브(22a)와 리브(22c) 사이에 들어가고, 또한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에 맞닿을 수 있도록 그 판 두께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커버(30)가 커버 본체(21)에 조립되면 도광판(26)의 폭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받아도 커버 본체(21)에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LED 유닛(23)에 대해서는 도광판(26)의 폭방향의 이격거리가 변하지 않고, 양자의 간격(Sp)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유닛(23)의 LED(23b)와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은 거의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미소간격을 두고 양자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LED 유닛(23)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부로부터 떨어진 중간부분이나 그 외의 위치에서는 스페이서(24)에 의해 동일한 이격거리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판(26)의 단부를 사이드 커버(30)의 누름부(32)에 의해 폭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사이드 커버(30)의 돌출부(36)에 의해 도광판(26)의 폭방향의 위치 결정과 그 이동을 저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 유닛(23), 글로브(25), 도광판(26) 및 반사판(27)이 설치된 커버 본체(21)의 양단에 이와 같은 사이드 커버(30)를 나사(28)에 의한 나사 체결에 의해 조립하여 고정함으로써, 도광판(26)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위치가 결정되고, 글로브(25), 도광판(26) 및 반사판(27)이 가고정된다. 즉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커버(20)의 조립이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본체(21)를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있으므로, 커버 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2a) 등은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도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나 파티션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이드 커버(30)의 외장부(31)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경우에는 내부의 광이 이 틈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장부(31)와 커버 본체(21) 사이에 차광재(39)(도면에 도시하는 굵은 선 부분)를 개재시킴으로써 사이드 커버(30)의 외장부(31)와 커버 본체(21)의 사이의 틈을 막는다.
예를 들어 차광포(부직포)나 차광 필름을 테이프 형상으로 가늘고 길게 재단한 것을 차광재(39)로 하고, 커버 본체(21)의 단부 내측이나 외장부(31)의 외측 주위의 해당 범위에 붙인다. 이에 의해, 이와 같은 틈으로부터 조명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 본체(21)를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지재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형성하는 경우라 해도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이와 같은 차광재(39)를 해당 부분에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원 유닛(16)이나 전원 코드(18) 등이 설치된 본체부(10)에 대해서 도 5의 (B)에 도시하는 커버(20)를 나사(13a)에 의한 나사 체결에 의해 조립하여 고정하고, 나아가 캡(29)을 커버 본체(21)에 설치함으로써(도 2 참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등기구(1)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10)에 커버(20)를 조립함으로써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고정 상태에 있던 글로브(25), 도광판(26) 등은 본체 케이스(11)의 2개의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도 눌러진다. 이때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30)의 리브용 홈(32e, 32f)에는 도광판(26) 등을 누르는 누름 리브(15a, 15b)가 들어가고, 누름판(33)에 의한 누름범위를 초과하여 도광판(26) 등을 누른다. 또한 리브용 홈(32e, 32f)에 누름 리브(15a, 15b)가 들어감으로써 본래에는 누름부(32)에 덮여져서 누를 수 없는 범위도 누름 리브(15a, 15b)의 양단부에 의해 눌러진다. 이에 의해, 도광판(26)을 길이방향으로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누를 수 있게 되어 본고정 상태가 된다. 또한 도 9의 (C)에서 부호 (16')로 도시하는 2점쇄선의 범위는 전원 유닛(16)을 구성하는 전자부품의 실장범위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1)에 의하면, 한쌍의 사이드 커버(30)는 커버 본체(21)의 개방단을 막으면서 도광판(26)의 폭방향 측단면(26c, 26d)의 변방향을 따라서 반사판(27)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26)과 반사판(27)의 양단부를 각각 창부(21a)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32)(누름판(33))를 구비하고, 본체 케이스(11)는 반사판(27)의 이면으로부터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 26b)의 변방향을 따라서 도광판(26)을 반사판(27)과 함께 창부(21a)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 리브(15a, 15b)를 구비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광판(26) 및 반사판(27)의 폭방향의 변방향의 단부는 누름부(32)에 의해, 또한 길이방향의 단부는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각각 창부(21a)를 향해서 눌러지므로,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도광판(26)이 그 두께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하거나 휘어지기 어렵다. 이에 의해,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과 LED 유닛(23)의 LED(23a)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철도나 자동차 또는 항공기, 선박 등과 같은 이동체의 실내 조명에 적합한 등기구(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1)에 의하면, 도광판(26)은 길이방향 측단면(26a, 26b)의 방향과 폭방향 측단면(26c, 26d)의 방향을 갖는 긴 형상이며, 폭방향의 단부는 누름부(32)(누름판(33))에 의해, 또한 길이방향의 단부는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각각 창부(21a) 방향을 향해서 눌러진다. 그렇기 때문에 도광판(26)이 휘어지기 쉬운 긴 형상이어도,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과 그것에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는 LED 유닛(23)의 복수의 LED(23b)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내진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1)에 의하면, LED(23b)의 발광면과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 사이의 간격(Sp)이 사이드 커버(30)의 돌출부(36)나 스페이서(24)에 의해 설정되어 고정되므로, 도광판(26)의 두께방향과 더불어 LED(23b)와의 이격간격(Sp)에 대해서도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내진동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1)에 의하면, 사이드 커버(30)의 리브용 홈(32e, 32f)에 누름 리브(15a, 15b)가 침입될 수 있음으로 인해, 도광판(26) 중 사이드 커버(30)에 의해 덮여지는 범위에 대해서도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눌러진다. 그렇기 때문에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한 누름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내진동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리브용 홈(32e, 32f)에 침입한 누름 리브(15a, 15b)는 누름부(32)(누름판(33))에 의한 누름범위를 초과하여 도광판(26)을 누르므로, 도광판(26)은 누름부(32)에 의해 눌러진 후에 누름 리브(15a, 15b)에 의해 눌러져서 도광판(26)의 단계적인 누름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장부(31')에 사이드 슬릿(31s, 32s)을 마련한 사이드 커버(30')를 커버(20)의 양단부에 조립함으로써, 도광판(26)의 평면방향(창부(21a)의 방향)과 더불어 도광판(26)의 폭방향 측단면(26c, 26d)으로부터도 사이드 슬릿(31s)을 통해서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슬릿(31s)이 형성되는 외장부(31')의 내측에는 사이드 슬릿(31s)의 내측 개구부를 덮는 도시를 생략한 글로브를 누름부(32')에 설치한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본체(21')의 리브(22b)에 슬릿(22s)을 마련하고, 또한 커버 본체(21')의 상승벽에 슬릿(21s)을 마련하고, 나아가 글로브(25s)를 마련함으로써, LED 유닛(23)으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에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단면(26b)으로부터도 2개의 슬릿(21s, 22s)을 통해서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사이드 커버(30')의 사이드 슬릿(31s)이나 커버(20')의 슬릿(21s)을 구비한 등기구(1')로부터 나오는 조명광은 예를 들어 간접조명에도 적합한 조명광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간접조명에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커버 본체(21)의 창부(21a)와 그것을 덮는 글로브(25)를 생략한 구성으로 한다.
또한 도 10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LED 유닛(23)을 대향시켜서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b)(도 6 참조)으로부터도 조명광원으로서 LED 유닛(23)의 광이 입사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리브(22a)와 리브(22c) 사이에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a)을 향해서 설치되는 LED 유닛(23)과 동일하게,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b)에 LED 유닛(23)의 LED(23b)를 향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설치되도록 리브(22c)에 상당하는 리브(22b')를 리브(22b)에 마련함과 동시에, 리브(22a)에 상당하는 리브(22b")를 마련하고, 리브(22b', 22") 사이에 다른 하나의 LED 유닛(23)을 설치한다. 또한 누름부(32)의 돌출부(36)와 동일하게, 이 LED 유닛(23)에 대해서도 도광판(26)의 길이방향 측단면(26b)과의 간격을 설정 가능한 돌출부(36')를 누름부(32)에 마련하고, 나아가 LED 유닛(23)과 길이방향 측단면(26b) 사이에 스페이서(24)를 개재시킨다.
이와 같은 커버 본체(21")에 의해 구성되는 커버(20")를 구비하는 등기구(1")는 도광판(26)으로 입사하는 조명광원의 광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도광판(26)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을 더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이드 커버(30)의 내측에 LED 유닛을 마련하여 도광판(26)의 폭방향 측단면(26c, 26d)으로부터도 조명광원으로서 LED 유닛(23)의 광이 입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조명광원의 광량이 더 증가되기 때문에 보다 한층 밝은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1), 커버 본체(21)나 사이드 커버(30)는 모두 금속제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등의 수지성형품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누름 리브(15)(15a, 15b)를 본체 케이스(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했으나, 도광판(26) 등을 누를 수 있는 구성이면, 예를 들어 삼각파형과 같이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연속된 선형에 한정되지 않고, 연속되지 않은 선이나 점, 또는 원형, 직사각형이나 다각형의 점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1, 1', 1" : 등기구 10 : 본체부
11 : 본체 케이스(하우징) 15 : 누름 리브(제2 누름부)
20, 20', 20" : 커버(하우징, 커버부)
21, 21', 21" : 커버 본체(하우징, 커버 몸체부)
21a : 창부 21s, 31s : 슬릿(다른 창부)
23 : LED 유닛 23b : LED(발광소자)
25 : 글로브 26 : 도광판
26a : 길이방향 측단면(측단면) 26b : 길이방향 측단면(다른 측단면)
26c : 폭방향 측단면(다른 측단면) 27 : 반사판
30, 30' : 사이드 커버(커버 단부) 30a : 사이드 슬릿(다른 창부)
31 : 외장부 32 : 누름부(제1 누름부)
32e, 32f : 리브용 홈(틈부) 33 : 누름판(제1 누름부)
36, 36' : 돌출부(틈 설정부) 37 : 쿠션재(탄성부재)
39 : 차광재 100 : 천장
Sp : 간격

Claims (9)

  1. 측단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평면방향으로 출사하는 도광판과,
    조명광원으로서 상기 측단면으로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도광판의 한쪽의 평면을 덮고, 상기 입사한 광을 다른 쪽의 평면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상기 도광판,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반사판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다른 쪽의 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을 외부로 조사 가능한 창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양단이 개방되는 커버 몸체부와, 커버 몸체부의 개방단을 막으면서 상기 도광판의 하나의 변방향을 따라서 상기 반사판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과 상기 반사판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 창부의 방향으로 누르는 제1 누름부를 갖는 한쌍의 커버 단부를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판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다른 변방향을 따라서 상기 도광판을 상기 반사판과 함께 상기 창부 방향으로 누르는 제2 누름부를 구비하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변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이고, 상기 다른 변방향은 상기 폭방향이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길이방향의 측단면으로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누름부는 상기 도광판의 폭방향을 따라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반사판의 양단부를 누르고, 상기 제2 누름부는 상기 도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도광판을 상기 반사판과 함께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단부는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부단과 상기 도광판의 측단면 사이의 이격간격을 설정하는 틈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단부는 탄성부재를 통해서 상기 반사판 및 상기 도광판 각각의 단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단부에는 상기 제2 누름부가 침입 가능한 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틈부는, 상기 제2 누름부가 상기 커버 단부에 의한 누름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도광판을 상기 창부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단부와 상기 커버 몸체부 사이에는 차광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상기 평면방향과 더불어, 상기 측단면을 제외한 상기 도광판의 1개 이상의 다른 측단면으로부터도 출사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다른 측단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을 외부로 조사 가능한 다른 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측단면을 제외한 상기 도광판의 1개 이상의 다른 측단면에도 조명광원으로서 입사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KR1020130017868A 2012-02-20 2013-02-20 등기구 KR20130095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3731A JP5942100B2 (ja) 2012-02-20 2012-02-20 灯具
JPJP-P-2012-033731 2012-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684A true KR20130095684A (ko) 2013-08-28

Family

ID=4921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68A KR20130095684A (ko) 2012-02-20 2013-02-20 등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42100B2 (ko)
KR (1) KR201300956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8609A1 (en) * 2015-03-02 2016-09-08 Rohm Co., Ltd. Led lighting apparatus
JP2017195044A (ja) * 2016-04-19 2017-10-26 レシ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灯具
JP6909974B2 (ja) * 2017-08-10 2021-07-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間接照明器具
JP6648770B2 (ja) * 2018-01-30 2020-02-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発光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CN109578833B (zh) * 2018-12-28 2023-11-14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衡水供电分公司 一种电力作业用带有导光板的照明灯
JP7403377B2 (ja) * 2020-04-14 2023-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484Y2 (ko) * 1987-09-25 1992-08-28
JPH04206103A (ja) * 1990-11-28 1992-07-28 Takenaka Komuten Co Ltd 照明器具
JPH06342603A (ja) * 1993-03-23 1994-12-13 Nec Home Electron Ltd エッジライト形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311454B2 (ja) * 2006-06-05 2009-08-12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216583A (ja) * 2007-03-02 2008-09-18 Fujikura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の固定枠
WO2009107275A1 (ja) * 2008-02-28 2009-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044348A (ja) * 2009-08-21 2011-03-03 Asagi Create:Kk 照明器具及び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42100B2 (ja) 2016-06-29
JP2013171650A (ja)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5684A (ko) 등기구
KR100949452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9069106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n edge-lit light emitting diode light panel
EP3418621A1 (en)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ing device
US9518716B1 (en) Linear wide area lighting system
JP630845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726898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の取付方法
JP5602289B1 (ja) Led照明装置
JP6149688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2028277A (ja) 照明装置
CN109611701B (zh) 光源装置和照明器具
KR101177470B1 (ko) 조명 장치
JP5291450B2 (ja) 表示灯
JP2015146264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CN104696930B (zh) 一种灯具端盖密封结构
CN210771749U (zh) 一种无缝拼接的双向发光线条灯
KR20150062914A (ko)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
CN107208851B (zh) 照明灯、照明灯用罩及照明装置
US10989383B2 (en)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motor vehicle using a surface light source
JP5597592B2 (ja) 発光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JP6191947B2 (ja) 照明装置
JP2012129025A (ja) 照明器具
JP2015103333A (ja) Led照明装置
JP5630788B2 (ja) 照明装置
JP6708413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取付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