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914A -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914A
KR20150062914A KR1020140066093A KR20140066093A KR20150062914A KR 20150062914 A KR20150062914 A KR 20150062914A KR 1020140066093 A KR1020140066093 A KR 1020140066093A KR 20140066093 A KR20140066093 A KR 20140066093A KR 20150062914 A KR20150062914 A KR 20150062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wiring
wiring board
light emitting
mounting surface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기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Abstract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으로부터 기대로의 안정된 방열성을 얻을 수 있는 발광유닛을 제공한다.
발광유닛(21)은 발광모듈(32) 및 기대(33)를 구비한다. 발광모듈(32)은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표면(35a)에 발광소자(36)가 실장된다. 기대(33)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이면(35b)이 접촉되는 평면형상의 기판탑재면(42), 및 이 기판탑재면(42)에 접촉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가 배치되는 홈부(44)를 설치한 양측의 유지부(39)를 구비한다. 홈부(44)의 최심부(44a)에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선단이 접촉되지 않는다. 유지부(39)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를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이면(35b)이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유지한다.

Description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LIGHT EMITTING UNIT, STRAIGHT TUBULAR LAMP AN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배선기판에 발광소자가 실장된 발광모듈을 사용한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을 사용한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광유닛을 사용한 예를 들어 직관형 램프나 긴 형태의 조명기구 등이 있다. 발광유닛에는 기판에 발광소자를 실장한 발광모듈을 기대(基臺)에 유지한 구조가 있다. 발광모듈은 비교적 단단히 기판에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플렉시블 배선기판에 발광소자를 실장한 발광모듈이 개발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경우,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부분적으로 기대에 유지한 것에서는 플렉시블 배선기판과 기대와의 밀착성이 균일하게 얻어지지 않고, 방열성이 영향을 주므로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기대에 유지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대를 단면이 반환형이 되도록 형성하고, 이 기대의 내면 중앙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발광소자가 실장된 표면 중앙에 대하여 반대 측인 이면 중앙이 접촉되는 돌출부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기대의 내면 양측부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이 접촉되는 걸림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이 폭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만곡되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 중앙이 돌출부에 접촉되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이 걸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배선기판이 기대에 유지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이 걸림부에 접촉됨으로써,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 중앙이 돌출부에 억압되어 있다. 또한, 기대와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기대의 일단측으로부터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삽입함으로써 실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14034호
그러나, 플렉시블 배선기판이 폭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만곡되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이 걸림부에 접촉되어,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 중앙을 돌출부에 접촉시키는 구조이므로, 플렉시블 배선기판이 양측의 걸림부간에서 떠받치는 상태가 되어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이 걸림부에 억압 접촉된다.
그 때문에, 기대의 일단측으로부터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삽입하여 조립할 때, 기대의 걸림부와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과의 슬라이딩 저항이 크고 또한 삽입이 걸리기 쉬워, 기대로의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삽입량이 증가할수록, 및 기대의 길이방향의 치수가 길수록, 기대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삽입하기 어려워지져 조립작업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폭 치수와 기대의 치수 오차의 영향으로 기대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더 삽입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돌기에 대한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 중앙의 접촉력이 약해져 방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으로부터 기대로의 안정된 방열성을 얻을 수 있는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발광유닛은 발광모듈 및 기대를 구비한다. 발광모듈은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표면에 발광소자가 실장된다. 기대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이 접촉되는 평면형상의 기대 탑재면, 및 상기 기대 탑재면에 접촉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가 배치되는 홈부를 설치한 양측의 유지부를 갖는다. 홈부의 최심부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이 접촉되지 않는다. 유지부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를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이 기판탑재면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부의 최심부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을 접촉시키지 않고 유지부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를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이 기판탑재면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유지하므로, 기대에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플렉시블 배선기판으로부터 기대로의 안정된 방열성이 얻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발광유닛을 사용한 직관형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직관형 램프의 직관 커버를 투과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직관형 램프를 사용한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발광유닛을 사용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장치(10)는 긴 직관형 램프(11)를 사용하는 것이고, 긴 형태의 기구 본체(12), 이 기구 본체(12)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소켓(13, 14) 및 기구 본체(12) 내에 설치되는 전원회로(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직관형 램프(11)를 도시한다. 직관형 램프(11)는 직관 커버(20), 상기 직관 커버(20) 내에 삽입 배치되는 발광유닛(21), 직관 커버(20) 및 발광유닛(21)의 양단에 설치되는 구금(22, 23)을 구비하고 있다.
직관 커버(20)는 투광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재료에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된다. 수지재료에는 광확산재를 함유해도 좋다. 직관 커버(20)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압출성형에 의해 직관 커버(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관 커버(20)의 둘레면의 대략 반에 가까운 영역이, 발광유닛(21)으로부터의 광을 투광하는 투광영역(26)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관 커버(20) 중 적어도 투광영역(26)이 투광성을 갖고 있으면, 다른 영역은 투광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직관 커버(20)는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관 커버(20)의 내면에는 투광영역(26)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두께가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그 양측 부분에는 발광유닛(21)(기대)을 유지하는 유지홈(27)이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관 커버(20)의 내면에는 투광영역(26)에 대하여 반대측에, 한쌍의 대략 L자형의 돌출부(28)가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이들 돌출부(28) 사이에 발광유닛(21)(기대)을 유지하는 유지홈(29)이 길이방향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발광유닛(21)은 발광모듈(32), 및 상기 발광모듈(32)을 유지하는 기대(33)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모듈(32)은 긴 띠형상의 플렉시블 배선기판(35), 및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표면(35a)의 폭방향 중앙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소자(36)를 구비하고 있다.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은 필름 형상의 절연재와 배선패턴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선패턴에 복수의 발광소자(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패턴에 의해 복수의 발광소자(36)가 예를 들어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표면(35a)에는 광의 반사율이 높은 고반사막을 형성해도 좋다.
발광소자(36)는 예를 들어 LED나 유기 EL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가 사용되고, 복수의 LED가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표면(35a)의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극을 두고 실장되어 있다.
발광모듈(32)은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폭방향의 양측부 영역(35c)의 강도가 폭방향의 중앙부 영역(35d)의 강도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중앙부 영역(35d)에만 배선패턴을 형성하거나,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표면(35a)의 중앙부 영역(35d)에 고반사막을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 영역(35c)의 강도가 중앙부 영역(35d)의 강도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 영역(35c)의 두께를 중앙부 영역(35d)의 두께보다도 얇게 하거나,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 영역(35c)에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 영역(35c)의 강도가 중앙부 영역(35d)의 강도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중앙부 영역(35d)의 폭 치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 영역(35c)의 각각의 폭치수보다 넓다.
기대(33)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이 사용된다. 기대(33)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압출성형에 의해 기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대(33)는 기판탑재부(38), 이 기판탑재부(38)의 양측에 형성된 유지부(39), 및 기판탑재부(38)를 지지하는 토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탑재부(38)에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이면(35b)의 중앙부 영역(35d)이 접촉되는 평면형상의 기판탑재면(42)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유지부(39)는 기판탑재부(38)의 기판탑재면(42)보다 돌출되어 있다. 양측의 유지부(39)에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가 배치되는 홈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39)에는 홈부(44)를 개재하여 기판탑재면(42)에 대향하는 돌출조부(4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관 커버(20)의 투광 영역(26)에 대향되는 돌출조부(45)의 표면측은 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홈부(44)는 서로 대향하고 또한 기판탑재면(42)에 대하여 비스듬히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유지부(39)에 의해 홈부(44)에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를 국소적으로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에 작은 곡률의 굴곡부(35f)를 형성한다.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에 국소적으로 굴곡부(35f)를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중앙부 영역(35d)의 이면(35b)이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유지한다.
기대(33)의 폭방향 중심에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이 편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선단이 유지부(39)의 홈부(44)의 최심부(44a)로부터 떨어져 있어 그 최심부(44a)에는 접촉되지 않는 관계를 갖는다. 기대(33)의 폭방향 중심에 대하여 한쪽에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이 치우쳐 편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선단 중 적어도 한쪽이 유지부(39)의 홈부(44)의 최심부(44a)로부터 떨어져 있고 그 최심부(44a)에는 접촉되지 않는 관계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선단과 홈부(44)의 최심부(44a) 사이에는 간극을 갖는다. 또는 양측의 홈부(44)의 최심부(44a)간의 최대폭 치수가 양측의 홈부(44)에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선단간의 폭치수보다도 넓은 관계를 갖고 있다.
유지부(39)에는 기판탑재면(42)에 대하여 세워지는 기립면(46), 및 상기 기립면(46)과 기판탑재면(42) 사이에서 기판탑재면(42)에 대해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39)에는 직관 커버(20)의 유지홈(27)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가이드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토대부(40)는 기판탑재부(38)의 기판탑재면(42)과는 반대측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토대부(40)의 선단에는 직관 커버(20)의 유지홈(29)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는 가이드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50)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대부(40)에는 구금(22, 23)을 기대(33)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부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금(22, 23)은 일반 사단법인 일본조명공업회 규격의 구금 GX16t-5이다. 구금(22, 23)은 전기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에 의해, 각각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금(22, 23)에는 직관 커버(20) 및 발광유닛(2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구금(22, 23)은 각각 셀프탭이 부착된 나사가 기대(33)의 부착부(51)에 나사 삽입되어 기대(33)에 고정되어 있다.
구금(22)은 급전단자측 구금이고 한쌍의 급전단자(54)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급전단자(54)는 예를 들어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구금(2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급전단자(54)는 구금(22) 내 및 직관 커버(20)내에 배선된 도시하지 않은 접속선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표면(35a)에 실장된 커넥터(56)에 접속되어 있다.
구금(23)은 비급전 단자측 구금 또는 어스 단자측 구금이고 1개의 유지자(55)를 설치하고 있다. 유지자(55)는 직방체로 형성되고 구금(2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발광유닛(1)을 조립하는 데에는 기대(33)의 일단측으로부터 발광 모듈(32)을 삽입한다.
즉,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단부의 중앙부 영역(35d)을 기대(33)의 기판탑재면(42)상에 삽입하고 또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단부의 양측부(35e)를 양측의 유지부(39)의 홈부(44)에 삽입한다.
이 때,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단부의 양측 부분을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절단해 둠으로써,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중앙부 영역(35d)을 기대(33)의 기판탑재면(42)상에 삽입하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가 양측의 유지부(39)의 홈부(44)에 자동적으로 삽입되기 쉬워지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단부의 삽입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단부를 기대(33)에 삽입하면, 그대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기대(33)를 따라서 슬라이딩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기대(33)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이 때, 유지부(39)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를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이면(35b)이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유지하지만,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선단이 양측의 홈부(44)의 최심부(44a)에 접촉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이 양측의 유지부(39)사이에서 떠받치는 상태가 되지 않고, 유지부(39)에 대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슬라이딩 저항이 낮으며 또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가 유지부(39)에 걸리기 어려워,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기대(33) 내의 소정 위치까지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기대(33)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유지부(39)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를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이면(35b)이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발광유닛(21)에 따르면 양측의 홈부(44)의 최심부(44a)에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의 선단이 접촉되지 않고, 유지부(39)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를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이면(35b)이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유지하므로, 기대(33)에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으로부터 기대(33)로의 안정된 방열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중앙부 영역(35d)의 폭 치수가 유지부(39)에 의해 만곡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 영역(35c)의 폭 치수보다 넓다. 이것은 양측의 유지부(39)에 의해 홈부(44)에 배치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를 국소적으로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에 작은 곡률의 굴곡부(35f)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에 국소적으로 굴곡부(35f)를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중앙부 영역(35d)의 이면(35b)이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39)는 기판탑재면(42)에 대하여 세워지는 기립면(46), 및 상기 기립면(46)과 기판탑재면(42) 사이에서 기판탑재면(42)에 대하여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47)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기대(33)에는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이 아니라 비교적 단단한 하드 기판을 사용한 발광모듈도 조합시킬 수 있어, 기대(33)를 공통화할 수 있다. 기립면(46)에서 하드 기판의 폭방향의 양측 위치를 규제하고, 오목부(47)에 하드 기판의 이면 양측부를 배치하여 하드기판의 중앙부 영역을 기대(33)에 밀착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관형 램프(11)를 조립하는 데에는 직관 커버(20) 내에 발광유닛(21)을 삽입하고, 구금(22)과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직관 커버(20)의 양단에 구금(22, 23)을 피착하고, 기대(33)에 구금(22, 23)을 나사 고정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관형 램프(11)의 구금(22, 23)이 조명장치(10)의 소켓(13, 14)에 장착된다.
전원회로(15)로부터 소켓(13)을 통하여 직관형 램프(11)에 점등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발광소자(36)가 점등한다. 복수의 발광소자(36)가 발생하는 광은 직관 커버(20)의 투광영역(26)에 입사하고, 투광영역(26) 내에서 확산되어 투광영역(26)을 투과하여 조명공간에 조사된다.
복수의 발광소자(36)가 점등시에 발생하는 열은 플렉시블 배선기판(35)으로부터 기대(33)에 전달되고, 기대(33)로부터 직관 커버(20)나 구금(22, 23)에 전달되어 방열된다.
이 때, 유지부(39)에 의해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양측부(35e)를 만곡시키고,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의 이면(35b)이 기판탑재면(42)을 따라서 접촉하는 상태로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발광소자(36)가 발생하는 열을 플렉시블 배선기판(35)을 통하여 기대(33)에 효율 좋게 열전도할 수 있고, 발광소자(36)의 높은 방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에,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명장치(60)는 천정면에 설치되는 박형으로 긴 형태의 기구이다. 조명장치(60)는 천정면에 설치되는 기구 본체(61)를 갖고, 상기 기구 본체(61)의 폭방향의 양쪽에 발광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중앙에 삼각형상의 반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발광부(62)는 기구 본체(61)에 부착된 발광유닛(21), 및 상기 발광유닛(21)을 덮어 기구 본체(61)에 부착된 투광성 커버(64)를 갖고 있다.
발광유닛(21)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발광모듈(32) 및 기대(33)를 갖고 있다. 기대(33)에 대해서는 기대탑재부(38) 및 양측의 유지부(39)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토대부(40)는 없어도 좋고 있어도 좋다. 기대(33)는 기구 본체(6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기구 본체(61)에 열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광소자(36)가 점등시에 발생하는 열은 플렉시블 배선기판(35) 및 기대(33)를 거쳐 기구 본체(61)에 전달되어 방열된다.
그리고, 이 조명장치(60)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조명장치 11: 직관형 램프
12: 기구 본체 13, 14: 소켓
20: 직관 커버 21: 발광유닛
22, 23: 구금 32: 발광 모듈
33: 기대 35: 플렉시블 배선기판
35a: 표면 35b: 이면
35c: 양측부 영역 35d: 중앙부 영역
35e: 양측부 36: 발광소자
39: 유지부 42: 기판탑재면
44: 홈부 44a: 최심부
46: 기립면 47: 오목부
60: 조명장치 61: 기구 본체
64: 투광성 커버

Claims (6)

  1.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표면에 발광소자가 실장된 발광모듈;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이 접촉되는 평면형상의 기판탑재면, 및 이 기판탑재면에 접촉되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가 배치되는 홈부를 설치한 양측의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의 최심부에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의 선단이 접촉되지 않고,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를 만곡시키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이면이 상기 기판탑재면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을 유지하는 기대를 구비하는, 발광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탑재면을 따라서 접촉되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중앙부 영역의 폭 치수가 상기 유지부에 의해 만곡되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양측부 영역의 폭 치수보다 넓은, 발광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기판탑재면에 대하여 세워지는 기립면, 및 상기 기립면과 상기 기판탑재면 사이에 상기 기판탑재면에 대해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발광유닛.
  4.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을 갖는 직관 커버;
    상기 직관 커버 내에 배치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광유닛; 및
    상기 직관 커버의 양단에 배치되는 구금을 구비하는, 직관형 램프.
  5. 기구 본체;
    상기 기구 본체에 설치된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장착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직관형 램프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6. 기구 본체;
    상기 기구 본체에 설치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을 덮는 투광성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KR1020140066093A 2013-11-29 2014-05-30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 KR20150062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7329A JP2015106473A (ja) 2013-11-29 2013-11-29 発光ユニット、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JP-P-2013-247329 2013-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914A true KR20150062914A (ko) 2015-06-08

Family

ID=5224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093A KR20150062914A (ko) 2013-11-29 2014-05-30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106473A (ko)
KR (1) KR20150062914A (ko)
CN (1) CN204042492U (ko)
TW (1) TW2015204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5858A4 (en) * 2015-06-26 2018-12-12 Byung Joon Jeon 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for 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6336B (zh) * 2015-06-11 2017-07-11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Led灯管
EP3489570A4 (en) * 2016-07-22 2020-07-29 Seoul Viosys Co., Ltd. TUBULAR LED LIGH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5858A4 (en) * 2015-06-26 2018-12-12 Byung Joon Jeon 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for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0465A (zh) 2015-06-01
JP2015106473A (ja) 2015-06-08
CN204042492U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2087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固定構造
JP2012252985A (ja) 管形発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6159983B2 (ja) 直管型ledランプ
JP5602289B1 (ja) Led照明装置
KR20150062914A (ko) 발광유닛, 직관형 램프 및 조명장치
JP3186405U (ja) 発光装置
JP2015069846A (ja) 発光モジュール、管形発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9441816B2 (en) Lighting arrangement having a resilient element
JP2015149120A (ja) 発光ユニット、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16015351A (ja) 直管型ledランプ
JP2016018593A (ja) 照明ランプ及び照明装置
CN204240115U (zh) 直管形灯以及照明装置
JP5956396B2 (ja) 照明器具
JP7121574B2 (ja) 灯具
JP6741986B2 (ja) 照明器具
CN107250657B (zh) 照明灯以及照明装置
KR20140145061A (ko) 직관형 발광램프 및 조명기구
JP2013016415A (ja) 管形発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6610744B2 (ja) 照明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14127560A (ja) 半導体発光素子用ホルダ、半導体発光素子モジュール、照明器具、及び半導体発光素子用ホルダの製造方法
JP2016195123A (ja) 光学素子及び照明器具
US11708967B2 (en) Luminaire and light source module thereof
JP2012134034A (ja) Led照明装置
JP2022115398A (ja) 照明器具
KR20150008980A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