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822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822A
KR20130094822A KR1020137007659A KR20137007659A KR20130094822A KR 20130094822 A KR20130094822 A KR 20130094822A KR 1020137007659 A KR1020137007659 A KR 1020137007659A KR 20137007659 A KR20137007659 A KR 20137007659A KR 20130094822 A KR20130094822 A KR 2013009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bsorbent article
absorber
longitudinal direc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614B1 (ko
Inventor
료코 쿠리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9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2013/4728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internal collecting device

Abstract

[과제] 둔부 골 사이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서 후누출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20, 2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 모양 홈(20)의 주변에 위치하는 흡수체(4)에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횡장의 주변 엠보스(21, 21…)를 복수 형성하며, 또한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20, 20) 사이에 흡수체 결손부(22)를 형성한다. 주변 엠보스(21, 21…)에 의해서 주변부의 흡수체(4)의 횡단방향의 변형이 규제되며, 상기 오목 모양 홈(20, 20)의 형성열을 가요축으로 하여 냅킨 폭 방향의 변형성능이 확보되며, 또한 흡수체 결손부(22)에서 흡수체(4)의 압축방향이나 인장방향의 변형이 흡수되기 때문에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양호하게 만곡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경혈이나 대하 등을 흡수하기 위한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하며, 둔부의 골 사이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서 후누출을 방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다.
종래부터 팬티 라이너, 생리용 냅킨, 대하 시트, 실금 패드, 토일리트리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폴리에틸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부직포 또는 투액성 플라스틱시트 등의 투액성 표면 시트 사이에 면상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도 여러 가지 개량이 더해져 체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다. 특히 야간용 냅킨 등의 누출의 원인의 하나로서 냅킨과 둔부 골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이 발생함으로써 전해지는 누출이 있다.
이를 위해서 종래부터 후방부에 있어서 둔부의 골 사이에 피트시키려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흡수부의 후방부에, 피부에 맞닿는 면 측으로 융기한 융기부를 구비하고, 이 융기부에 대응하는 흡수부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서는 흡수체의 상면으로부터 흡수체의 내부를 향해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엠보스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가 중고(中高)로 되며, 이 중고 부분이 상층과 하층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85010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4145289호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홈을 가요축으로 하여 기능시킴으로써 생리용 냅킨의 장착 시의 흡수부의 후방 부분을 역V자 형상으로 변형시켜서 장착자의 둔부에 양호하게 피트시켜려는 것이다.
확실히 가요축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후방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횡단면 방향의 변형성능은 향상하지만, 상기 후방홈은 고밀도로 압축된 직선모양의 오목 모양 홈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 성능, 즉 횡단방향을 축으로 하는 변형 성능이 역으로 저하되어 버리며, 냅킨 후방 부분을 둔부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변형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둔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후누출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 기재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상기 엠보스홈을 형성함으로써 흡수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폭 방향 접음선이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의 변형 성능이 향상하고 용이하게 접을 수 있으며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에 피트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폭 방향의 접음선이 형성된 흡수체의 강성(剛性)이 늘어나서 둔부 골 사이의 안쪽까지 밀착시키는 것이 곤란하며 둔부 골 사이와의 관계에서 미세한 간극이 발생하여 후누출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는 둔부 골 사이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서 후누출을 방지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항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당접면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오목 모양 홈의 주변에 위치하는 흡수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기다란 형태(橫長; 횡장)의 주변 엠보스가 복수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 사이에 흡수체 결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흡수체의 피부에 맞닿지 않는 면 측에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오목 모양 홈의 형성 열을 따르는 축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박육화(薄肉化)되며, 강성(단면 2차 모멘트)이 저하하기 때문에, 오목 모양 홈의 형성열을 축으로 하는 가요축(길이방향 가요축)에 의해서 흡수성 물품 횡단 방향(흡수성 물품 폭 방향)의 둔부 골 사이를 따라 융기하는 변형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오목 모양 홈의 주위에 위치하는 흡수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에 간격을 두어서 횡장의 주변 엠보스를 복수 형성함으로써, 오목 모양 홈 주변의 흡수체에 흡수성 물품 횡단면 방향의 굴곡에 대응하는 탄력을 갖도록 하고, 오목 모양 홈 근방의 흡수체와 그 주변 흡수체 사이에 강성 차를 부여하며, 중앙 부분만을 둔부 골 사이를 따라 변형시키는 변형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 사이에 흡수체 결손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둔부 골 사이를 따른 융기 부분을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만곡시킨 경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결손부에서 흡수체의 압축방향이나 인장방향의 변형이 흡수되어 피부 당접면 측으로 폭 방향 주름이 들어가기 어렵게 만들며, 둔부의 미세한 골 사이 안쪽까지 양호하게 밀착시키도록 된다.
따라서 후방의 폭 방향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융기하기 쉽게 되며, 또한 이 융기부가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만곡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둔부 골 사이로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후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적어도 후방 중앙부분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피부 당접면 측에 융기하는 흡수체 중고부(中高部)를 가지며, 상기 흡수체 중고부에 대응하는 흡수체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수체 중고부의 주변에 위치하는 흡수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횡장의 주변 엠보스가 복수 형성되며, 또한 상기 흡수체 중고부에 대응하는 흡수체의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 사이에 흡수체 결손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적어도 후방 중앙부분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피부에 맞닿는 면 측에 융기하는 흡수체 중고부를 가지는 경우에 대한 구성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장착자의 둔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흡수체의 피부 당접면 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대략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엠보스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수체 결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후방부 엠보스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연장하는 피트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장착자의 둔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흡수체의 피부 당접면 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대략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엠보스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흡수체 결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후방부 엠보스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연장하는 피트 엠보스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트 엠보스가 기점이 되어 확실하게 흡수체 결손부의 형성위치에서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체 결손부는 사각 형상, 마름모 형상, 쐐기 형상, 삼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흡수체 결손부의 평면 형상의 구체 예로서 사각 형상, 마름모 형상, 쐐기 형상, 삼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체 결손부는 흡수체의 두께방향으로 형상을 변화시킨 입체적 형상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흡수체 결손부를 흡수체의 두께방향으로 그 형상을 변화시킨 입체적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만곡시킨 경우에, 피부 당접면 측이 압축, 피부 비당접면 측이 인장이 되는 변형을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둔부 골 사이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서 후누출을 방지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전개도이다.
도 2는 그 II-II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고간부 구조를 나타낸 인체의 하면도이다.
도 5는 흡수체 결손부(2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형태에 관한 흡수체 결손부(22)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1)의 기본 구조]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폴리에틸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백 시트(2)와 경혈이나 대하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톱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장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4, 6)와, 이 흡수체(4, 6)의 형상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 상기 흡수체(4)의 주위를 둘러싸는 피포 시트(5)와, 상기 흡수체(4)의 대략 측연부를 기립기단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체액 배출부를 포함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구간 내에 있어서 표면 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입체 개더(BS, BS)로 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흡수체(4)의 주위에 있어서는, 그 상하 단연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백 시트(2)와 투액성 톱 시트(3)의 외연부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며, 또한 그 양 측연부에서는 흡수체(4)보다도 측방으로 연출하고 있는 상기 불투액성 백 시트(2)와 상기 입체 개더(BS, BS)를 형성하고 있는 사이드 부직포(7)가 핫 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서 접합되고, 이들 불투액성 백 시트(2)와 사이드 부직포(7)에 의한 적층 시트 부분에 의해 측방으로 돌출하는 날개 모양 플랩(W, W)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보다도 둔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 2 날개 모양 플랩(WB, WB)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생리용 냅킨(1)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불투액성 백 시트(2)는, 폴리에틸렌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가지는 시트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근년에는 통풍이 안 되어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향이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무기충전제를 용융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에, 일축 또는 이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微多孔性) 시트가 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투액성 백 시트(2)의 비사용면 측(외면)에는 1 또는 복수 조의 점착제층(미도시)이 형성되며, 신체로의 장착 시에 생리용 냅킨(1)을 속옷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불투액성 백 시트(2)로서는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를 적층시킨 폴리라미부직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어서 상기 투액성 톱 시트(3)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호적으로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셔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의의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에서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며, 서멀본드법은 굵고 소프트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투액성 톱 시트(3)에 다수의 투공을 형성한 경우에는 경혈이나 대하 등(이하, 이를 정리해서 “체액”이라고 한다)이 신속하게 흡수되도록 되며, 드라이터치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흡수체(4)로서는 체액의 흡수 유지하기 쉬운 것이라면 좋고, 통상은 플랩 모양 펄프 중에 흡수성 폴리머 분말을 혼입한 것이 흡수 기능 및 가격 면에서 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수체(4)는 형상 유지 등을 위해서 피포 시트(5)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포 시트(5)로서는 크레이프지, 친수성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수체(4) 및/또는 후술하는 흡수체 중고부(6)에는 합성섬유를 혼합하여도 좋다. 상기 합성섬유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2종을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융점이 높은 섬유를 심(芯)으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초(칼집)로 한 심초형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는 체액에 대한 친화성을 갖도록 소수성섬유의 경우에는 친수화제에 의해 표면처리를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4)의 사용면 측에는, 폭 방향 중앙부에 냅킨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며 피부 당접면 측에 융기하는 흡수체 중고부(6)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흡수체 중고부(6)는 폭 방향 중앙부에 장착자의 배혈구부(H)를 포함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Y자 모양홈(23)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고간부(6A)와, 이 고간부(6A)의 후단으로부터 연속하는 후방부(6B)에 걸쳐서 가늘게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 중고부(6) 내, 고간부(6A)는 흡수량이나 배혈구로의 밀착을 유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후방부(6B)는 후술하는 엠보스에 의한 변형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고간부(6A)보다 얇게 하거나 또는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체 중고부(6)의 두께는 고간부(6A)가 3~20mm, 바람직하게는 5~15mm이며, 후방부(6B)가 0~10mm, 바람직하게는 0~3mm이다. 또한, 상기 후방부(6B)의 흡수체 중고부(6)를 얇게 하거나 없애는 것에 의해 장착자의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이 후방부(6B)의 피부 당접면 측에 굵고 소프트한 세컨드 시트(6a)를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세컨드 시트(6a)는, 흡수체(4, 6)의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로 쿠션성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체 중고부(6)는 전방부(6A)보다 후방부(6B)가 폭이 좁게 형성되며, 전방부(6A)와 후방부(6B)의 경계에서는 후방을 향하여 폭 및/또는 두께가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폭 및/또는 두께가 점차 축소하는 경계범위는 앞쪽의 개시 위치가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Y자 모양 홈(23)의 교점(C)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약간 뒤쪽으로 하고, 뒤쪽의 종료 위치가 후단에서 상술하는 Y자 모양 홈(23)의 후방홈(25)의 후단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약간 뒤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간부(6A)와 후방부(6B)와의 경계 부분의 피트성이 향상하도록 된다.
한편, 상기 투액성 톱 시트(3)의 폭 수치는, 도시 예에서는 도 2 및 도 3의 횡단면도에 나타난 것처럼, 흡수체(4)의 폭보다도 약간 길게 되며, 흡수체(4, 6)를 덮는 만큼만으로 멈추며, 상기 입체 개더(BS)는 상기 투액성 톱 시트(3)와는 별도의 사이드 부직포(7), 구체적으로는 경혈이나 대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거나 또는 피부 접촉감을 높이는 등의 목적에 따라서 적의의 발수처리 또는 친수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 부직포(7)로서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재생섬유 등을 소재로 하고, 적의의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뻣뻣한 느낌을 없앰과 동시에 통풍이 안 되어 땀이 차는 것을 막기 위해서 평량을 억제하여 통기성을 갖게 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평량을 13~23g/m2으로 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체액의 투과를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이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처리 부직포가 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폭 방향 중간부보다 외측 부분을 흡수체(4)의 내측 위치로부터 흡수체 측연을 약간 넘어서 불투액성 백 시트(2)의 외연까지의 범위에 걸쳐서 핫 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고, 이들 상기 사이드 부직포(7)와 불투액성 백 시트(2)와의 적층 시트 부분에 의해 거의 체액 배출부에 상당하는 흡수체 측부 위치에 한 쌍의 날개 모양 플랩(W, W)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보다 둔부측 위치에 제 2 날개 모양 플랩(WB, WB)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날개 모양 플랩(W, W) 및 제 2 날개 모양 플랩(WB, WB)의 외면 측에는 각각 점착제층(8…, 9…)을 구비하여 쇼츠(shorts; 여성용 팬티-번역자주)에 장착할 때에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을 접는선(RL) 위치에서 반대 쪽으로 접고, 쇼츠의 클로치 부분에 말아부착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부직포(7)의 내방측 부분은 거의 이중으로 접혀짐과 동시에, 이 이중 시트 내부에, 그 높이 방향 중간부에 양단 또는 길이방향의 적의의 위치가 고정된 실 모양 탄성신축부재가 배치되어 설치되며, 표면 측에 기립하는 입체 개더(BS, BS)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립 상태에서 흡수체(4)의 측연부 또는 그 근방에서부터 기립하는 측면 기립부(7a)와, 이 측면 기립부(7a)의 선단에서부터 연속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냅킨(1)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수평 또는 중심측으로 경사하여 형성되는 소정 폭의 피부 당접면부(7b)를 가지며, 상기 측면 기립부(7a)가 상기 피부 당접면부(7b)의 외방 측단연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면 기립부(7a) 및 피부 당접면부(7b)에는 각각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을 따라 1 또는 복수 개의, 도시 예에서는 각 3개씩 실모양 탄성신축부재(10…, 11…)가 배설되어 있다.
[ 엠보스 등의 구조]
이어서 피부 비당접면 측에 형성되는 엠보스 및 흡수체를 결손시킨 흡수체 결손부 및 피부 당접면 측에 형성되는 엠보스의 구조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피부 비당접면(피부와 맞닿지 않는 면) 측에 형성되는 엠보스 및 흡수체 결손부>
본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는 도 1~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상기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凹狀溝)(20, 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생리용 냅킨(1)에서는 오목 모양 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짧은 직선상의 오목 모양 엠보스와, 엠보스 무가공부분이 교호적으로 열을 이루도록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20, 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오목 모양 홈(20, 20)을 따라 냅킨 길이방향 축을 가요축으로 하는 횡단 방향의 변형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목 모양 홈(20)은 도시 예에서는 전후로 2개소 형성되어 있지만, 3개소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목 모양 홈(20, 20)의 주변에 위치하는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상기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기다란 형태(橫長)의 주변 엠보스(21, 2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변 엠보스(21)를 형성함으로써 오목 모양 홈(20)의 주변, 즉 생리용 냅킨(1)의 후방부의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흡수체(4)에 냅킨 횡단면 방향(냅킨 폭 방향)의 굴곡에 대응하는 탄력이 부여되고, 오목 모양 홈(20) 근방의 흡수체(4)와 그 주변의 흡수체(4)와의 사이에 냅킨 횡단면 방향의 강성차가 발생하여 폭 방향 중앙 부분의 흡수체(4)만을 둔부 골 사이를 따라 변형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본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20, 20) 사이, 즉 상기 오목 모양 홈(20)의 무가공 부분에 흡수체(4)를 결손시킨 흡수체 결손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 예에서는 오목 모양 홈(20, 20) 사이에 더해서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Y자 모양 홈(23)과 오목 모양 홈(20)과의 사이에도 설치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목 모양 홈(20, 20)의 형성열을 가요축으로 하여 폭 방향 중앙부를 융기시킨 다음에, 이 융기 부분을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만곡시킨 경우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결손부(22)에서 흡수체(4)의 압축방향이나 인장방향의 변형이 흡수되며, 피부 당접면 측으로 폭 방향의 주름이 들어가기 어렵게 되고, 둔부의 좁은 골 사이의 안쪽에까지 양호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형성되는 오목 모양 홈(20), 주변 엠보스(21) 및 흡수체 결손부(22)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의 후방부의 폭 방향 중앙부가 냅킨 길이방향을 따라 융기하기 쉽게 되며, 또한 이 융기 부분이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만곡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둔부 골 사이로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체액의 후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는, 배혈구부(H)보다 후방의 폭 방향 중앙부의 교점(C)으로부터 사선 전방의 양쪽을 향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전방홈(24, 24)와, 상기 교점(C)으로부터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을 향해서 형성된 후방홈(25)으로 이루어지는 Y자 모양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Y자 모양 홈(23)이 형성됨으로써, 이 Y자 모양 홈(23)이 다른 부분보다도 박육화되며, 강성(단면 2차 모멘트)이 저하하기 때문에, 양쪽으로부터의 다리의 압력이 작용할 때에 이 Y자 모양 홈(23)을 가요축으로 하여 상기 교점(C)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뿔 모양의 융기부가 형성된다. 이 삼각뿔 모양의 융기부 중에서 상기 전방홈(24, 24)에 의한 사선 전방의 양쪽으로 연장하는 라인은,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배혈구부(H)의 후방 부분에서부터 둔부 골 사이의 시작 위치에 걸쳐서 회음부에 형성되는 둔부 골 사이의 시작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전방의 양쪽을 향해 연장하는 신체의 라인(La, La)에 피트한다. 또한, 삼각뿔 모양의 융기부 중에서 후방홈(25)에 의한 후방으로 연장하는 라인은 둔부 골 사이의 시작 부분에서부터 후방의 둔부 골 사이의 라인(Lb)에 피트한다. 이 때문에 Y자 모양 홈(23)에 의해서 형성된 삼각뿔 모양의 융기부가 배혈구부(H)로부터 후방의 회음부에서부터 둔부 골 사이에 걸치는 신체의 형상에 지극히 양호하게 피트하며, 체액이 후방으로 흘러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엠보스 등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예와 같이, 생리용 냅킨(1)의 적어도 후방 중앙부분에, 냅킨 길이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피부 당접면 측에 융기하는 흡수체 중고부(6)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오목 모양 홈(20)은 상기 흡수체 중고부(6)에 대응하는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형성되며, 상기 주변 엠보스(21)는 상기 흡수체 중고부(6)의 주변에 위치하는 흡수체(4)에 복수 형성되고, 또한 상기 흡수체 결손부(22)는 상기 흡수체 중고부(6)에 대응하는 흡수체(4)의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20, 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Y자 모양 홈(23)은 상기 흡수체 중고부(6) 및 그 근방에 대응하는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 모양 홈(20)의 깊이는, 흡수체(4)의 두께에 대하여 30~90%, 바람직하게는 50~90%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 모양 홈(20)의 두께가 30% 미만의 경우는 횡단방향의 변형성능은 물론 길이방향의 변형성능을 확보할 수 없다. 상기 오목 모양 홈(20)의 길이가 95%를 넘는 경우에는 오목 모양 홈(20)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게 되어 둔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만곡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오목 모양 홈(20)의 길이는 5mm~30mm가 바람직하며, 10mm~2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오목 모양 홈(20)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아도 좋고, 도시예에서는 앞쪽보다 뒤쪽의 오목 모양 홈(20)을 길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오목 모양 홈(20)은 흡수체(4) 단독 또는 피포 시트(5)로 둘러싸인 흡수체(4)의 단계에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변 엠보스(21)는, 도시예에서는 장착자의 둔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후단에서 상세 설명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엠보스(31, 31)보다 외측 및 후단에서 상술하는 후단 디자인 엠보스(36)보다 외측의 범위에 실시되어 있다. 상기 주변 엠보스(21)는 횡장의 엠보스 홈이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둠과 동시에,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평면으로 볼 때 많은 새가 줄지어 날고 있는 모양처럼 배열되어 있다.
상기 주변 엠보스(21)의 깊이는 흡수체(4)의 두께에 대하여 20~95%, 바람직하게는 30~90%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중앙 부분과 주변부 사이에서 폭 방향의 변형에 대한 강성차를 붙여 확실히 중앙부분을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주변 엠보스(21)의 길이는 5mm~20mm, 바람직하게는 10mm~15mm이다.
상기 흡수체 흠결부(22)는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으로 10mm~20mm, 길이방향으로 5mm~15mm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A)사각형상, (B) 마름모형상, (C), (D)쐐기형상 외, 삼각형상 등의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흡수체를 흠결시킨 것이다. 또한, 그 단면형상은 흡수체의 두께방향으로 동일 형상이어도 좋지만,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흡수체(4)의 두께 방향으로 형상을 변화시킨 입체적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Y자 모양 홈(23)의 전방홈(24, 24)끼리 이루는 각도(α)는 성인 여성의 회음부에 형성되는 신체 라인(La, La)의 각도가 거의 70° 이상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이 신체 라인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70° 이상, 180°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90° 이상 15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7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양측으로부터의 다리압력이 걸릴 때에 Y자 모양 홈(23)을 가요축으로 하여 흡수체의 융기 효과가 향상한다.
상기 Y자 모양 홈(23)의 깊이는 상기 오목 모양 홈(20)과 마찬가지로 흡수체(4)의 두께에 대하여 30~95%, 바람직하게는 50~90%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Y자 모양 홈(23)의 교점(C)은 질구에서부터 후방측의 항문 부근에 걸치는 회음부로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또한 배혈구부(H)의 중심으로부터 생리용 냅킨(1)의 후방으로 40mm~60mm의 사이에 설정된다.
상기 전방홈(24) 및 후방홈(25)은 상기 교점(C)에서부터 각각 20mm~40mm의 길이로 형성되며, 전방홈(24)과 후방홈(25)의 길이는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Y자 모양 홈(23)의 앞쪽에서 배혈구부(H)에 대응하는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 중앙부의 흡수체(4)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는,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 모양 엠보스(2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선 모양 엠보스(26)가 형성됨으로써, 이 선 모양 엠보스(26)를 가요축으로 하여 흡수체(4)의 폭 방향 중앙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 측으로 융기하도록 되며, 생리용 냅킨(1)의 표면을 장착자의 배혈구부에 의해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의 전단부에는 생리용 냅킨(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횡장의 전단 주변 엠보스(27, 27…)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전단부의 냅킨 폭 방향에 대하는 탄력을 향상시키며, 전단부에 주름이 들어가는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피부 당접면 측에 형성되는 엠보스>
본 생리용 냅킨(1)에서는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흡수체(4)의 피부 당접면 측에 장착자의 고간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생리용 냅킨(1)의 대략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의 고간부 엠보스(30, 30)가 형성됨과 동시에, 장착자의 둔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엠보스(31, 31)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고간부 엠보스(30)와 후방부 엠보스(31)의 중간 영역에 상기 엠보스(30, 31)와의 사이를 두어서 좌우 한 쌍의 중간부 엠보스(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간부 엠보스(30)의 앞쪽(도시 예처럼 흡수체 중고부(6)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흡수체 중고부(6)의 전단보다 앞쪽)에는,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 중앙부에 대략 우산 형상의 전단 우산 모양 엠보스(33)가 형성됨과 동시에, 또한, 그 앞쪽의 영역을 둘러싸도록 전단 디자인 엠보스(3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방부 엠보스(31)의 뒤쪽 부(도시 예처럼 흡수체 중고부(6)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 흡수체 중고부(6)의 후단보다 뒤쪽)에는,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 중앙부에 대략 우산 모양의 후단 우산 모양 엠보스(35)가 형성됨과 동시에, 또한 뒤쪽으로 사이를 두어서 후단 디자인 엠보스(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간부 엠보스(30)는 배혈구부(H)를 포함하며 후단이 둔부 골 사이의 시작 부분에 걸리는 범위로 생리용 냅킨(1)의 대략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전단부는 약간 양쪽으로 확대하도록 굴곡한 형상으로 되며, 그 경사각은 상기 전단 디자인 엠보스(34)의 후단부와 거의 평행하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간부 엠보스(30)의 후단부는, 상기 Y자 모양 홈(23)과 폭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을 갖는 범위에 있어서 폭 방향 중앙부에 경사한 형상으로 되며, 그 경사각은 상기 Y자 모양 홈(23)과의 관계에서 소정의 경사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간부 엠보스(30)의 경사한 후단부를 연장한 가상의 선(S1)과 상기 Y자 모양 홈(23)의 전방홈(24)의 전단과 후방홈(25)의 후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S2)이 거의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거의 평행한다”라는 의미는, 가상의 선(S1, S2)의 냅킨 길이방향선에 대한 경사각이 거의 일치하는 경우 외에, 이 경사각이 ±5°의 각도 차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고간부 엠보스(3)의 후단부를 상기 경사각으로 함으로써 이 고간부 엠보스(30)의 후단부에 의해서 양쪽에서부터의 다리압력의 작용방향을 전방홈(24)의 전단과 후방홈(25)의 후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S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양쪽에서의 다리 압력에 의해 Y자 모양 홈(23)의 전방홈(24)과 후방홈(25)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융기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후방부 엠보스(31)는 둔부 골 사이에 대응하는 범위로 생리용 냅킨(1)의 대략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며, 후방부의 흡수체의 폭 방향 중앙부를 둔부 골 사이를 따라 확실히 융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방부 엠보스(31)는 대략 앞쪽 절반 부분이 외측으로 팽출하는 곡선에 의해 형성되며, 나머지 뒤쪽이 내측으로 팽출하는 곡선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후단부는 외측을 향하여 반원호 모양으로 굴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부 엠보스(31)에는 상기 흡수체 결손부(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부 엠보스(31)에서부터 냅킨 폭 방향 중앙 측으로 연장하는 피트 엠보스(31a, 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피트 엠보스(31a)가 기점이 되어 확실하게 흡수체 결손부(22)의 형성 위치에서 둔부의 전후방향의 둥그스름함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중간 엠보스(32)는 상기 가상의 선(S2)과 직교하는 방향에 마주보며, 상기 고간부 엠보스(30)의 후단부와 전단의 일부가 겹쳐지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가상의 선(S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을 갖는 고간부 엠보스(30)와 중간 엠보스(32)의 이중(二重) 엠보스 부분의 흡수체(4)의 강성(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양쪽에서부터의 다리 압력을 Y자 모양 홈(23)의 전방홈(24)과 후방 홈(25)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융기시키는 힘을 변환하기 쉽게 된다.
1 …생리용 냅킨, 2 … 불투액성 백 시트, 3 …투액성 톱 시트, 4 …흡수체, 5 … 피포 시트, 6 …흡수체 중고부, 7 …사이드 부직포, 20 …오목 모양 홈, 21 …흡수체 결손부, 23 …Y자 모양 홈, 24 …전방홈, 25 …후방홈, 26 …선 모양 엠보스, 27 …전단 주변 엠보스, 30 …고간부 엠보스, 31 …후방부 엠보스, 32 …중간 엠보스, C …교점

Claims (5)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오목 모양 홈의 주변에 위치하는 흡수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기다란 형태(橫長)의 주변 엠보스가 복수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 사이에 흡수체 결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적어도 후방 중앙부분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피부 당접면 측에 융기하는 흡수체 중고부(中高部)를 가지며, 상기 흡수체 중고부에 대응하는 흡수체의 피부 비당접면 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인 오목 모양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수체 중고부의 주변에 위치하는 흡수체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횡장의 주변 엠보스가 복수 형성되며, 또한 상기 흡수체 중고부에 대응하는 흡수체의 적어도 상기 오목 모양 홈 사이에 흡수체 결손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착자의 둔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기 흡수체의 피부 당접면 측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대략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의 후방부 엠보스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수체 결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후방부 엠보스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연장하는 피트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결손부는 사각 형상, 마름모 형상, 쐐기 형상, 삼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결손부는 흡수체의 두께방향으로 형상을 변화시킨 입체적 형상인 흡수성 물품.
KR1020137007659A 2010-08-31 2011-08-31 흡수성 물품 KR101799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3608 2010-08-31
JP2010193608A JP5623828B2 (ja) 2010-08-31 2010-08-31 吸収性物品
PCT/JP2011/069772 WO2012029851A1 (ja) 2010-08-31 2011-08-3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822A true KR20130094822A (ko) 2013-08-26
KR101799614B1 KR101799614B1 (ko) 2017-11-20

Family

ID=4577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659A KR101799614B1 (ko) 2010-08-31 2011-08-3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40769B2 (ko)
EP (1) EP2612636B1 (ko)
JP (1) JP5623828B2 (ko)
KR (1) KR101799614B1 (ko)
CN (1) CN103079510B (ko)
WO (1) WO2012029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5194A1 (en) 2011-02-17 2012-08-23 Marquette Candise K Sanitary pad with increased absorbability
JP6005916B2 (ja) * 2011-08-29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39685B2 (ja) * 2012-01-19 2016-01-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A2895415C (en) 2012-12-27 2020-04-2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core exhibiting controlled deformation in use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aid core
US20150057632A1 (en) 2013-08-23 2015-0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6153427B2 (ja) * 2013-09-06 2017-06-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38439B2 (ja) * 2014-01-10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656200C1 (ru) * 2014-06-13 2018-05-31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деформацией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RU2655253C1 (ru) * 2014-06-13 2018-05-24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деформацией во время применения
US10555843B2 (en) * 2014-06-13 2020-02-11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5938438B2 (ja)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38440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782772B1 (ko) * 2014-08-29 2017-09-27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JP6442274B2 (ja) * 2014-12-24 2018-12-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34452B1 (ja) * 2015-06-08 2016-1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27314B1 (ja) * 2015-03-16 2016-06-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90861B2 (ja) * 2015-11-09 2017-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01779B1 (ja) * 2015-12-16 2017-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47842B1 (ja) * 2015-12-28 2017-06-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640710B (zh) * 2016-01-06 2019-06-18 湖南康程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防前后漏的吸收制品加工方法
BR112018070808B1 (pt) * 2016-04-29 2022-1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terial para utilização em um artigo absorvente, e, artigo absorvente.
CN105708622A (zh) * 2016-04-29 2016-06-29 欧阳年沣 一种设有活动条的卫生巾
JP6232473B1 (ja) * 2016-06-14 2017-11-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03906B1 (ja) * 2016-06-14 2017-09-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07675B1 (ja) * 2016-06-14 2017-10-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59064B2 (ja) * 2016-09-29 2018-07-18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ッド
MY187792A (en) * 2016-09-30 2021-10-24 Unicharm Corp Absorbent article
JP6379161B2 (ja) * 2016-11-25 2018-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123016A1 (ja) * 2016-12-28 2018-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BE1025887B1 (nl) * 2017-05-15 2019-08-07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rend voorwerp met vier kanalen
US20200155377A1 (en) * 2017-06-19 2020-05-21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6396547B1 (ja) * 2017-07-14 2018-09-2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1621067S (ko) * 2018-05-11 2018-12-25
JP7442260B2 (ja) * 2018-08-22 2024-03-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696858B2 (en) * 2019-05-15 2023-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7332436B2 (ja) * 2019-11-01 2023-08-2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946715B (zh) * 2019-11-25 2021-10-15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符合人体工学的一次性卫生巾
US20210393452A1 (en) * 2020-06-23 2021-12-23 Katrina Marie Arceo-Yap Feminine pad with large petal design
JP2024501330A (ja) * 2020-12-29 2024-01-11 エシティ・ハイジーン・アンド・ヘルス・アクチエボラグ エンボス加工された機能的設計要素を備えた衛生物品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0724A (ja) 1983-01-17 1984-07-27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JPS59130724U (ja) * 1983-02-20 1984-09-01 株式会社ゼンミ 生理用ナプキン
JPH04145289A (ja) 1990-10-08 1992-05-19 Fujitsu Ltd セルフシール管継手
CA2072665C (en) * 1992-02-26 2002-06-18 David Arthur Ku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JPH07328068A (ja) * 1994-06-14 1995-12-19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JP3640475B2 (ja) 1996-09-27 2005-04-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0103B2 (ja) 1997-05-28 2006-1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0014022A (ja) 1998-04-22 2000-01-14 Sony Corp 携帯用機器置台
JP2000185074A (ja) * 1998-11-09 2000-07-04 Johnson & Johnson Inc 液漏れ防止機能を有する後方延長部付き生理用ナプキン
JP3724963B2 (ja) * 1998-11-17 2005-12-0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20020143311A1 (en) * 2001-03-30 2002-10-03 Henri Brisebois Absorbent articles kit
US6866658B2 (en) * 2001-04-20 2005-03-15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fit
SE520670C2 (sv) * 2001-12-18 2003-08-12 Sca Hygiene Prod Ab Andningsbart absorberande alster med konformade hålrum och metod för framställning
US20030225385A1 (en) * 2002-05-28 2003-12-04 Glaug Frank S.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core
US20040015145A1 (en) * 2002-07-16 2004-0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graphic visible through body contacting surface
JP4324375B2 (ja) * 2002-12-27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圧縮溝と可撓部と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7145054B2 (en) * 2004-02-18 2006-1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mbossed absorbent article
US20080021427A1 (en) * 2004-09-30 2008-01-24 Daio Paper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JP4683892B2 (ja) * 2004-09-30 2011-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
JP4459013B2 (ja) * 2004-10-20 2010-04-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45289B2 (ja) 2004-11-25 2008-09-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492957B2 (ja) * 2005-03-24 2010-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1885315A1 (en) * 2005-06-02 2008-02-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raverse reinforcing element
JP4953611B2 (ja) * 2005-10-04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WO2007073254A1 (en) * 2005-12-21 2007-06-2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permeable material layer
US8173858B2 (en) * 2006-11-22 2012-05-08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114043B2 (ja) * 2006-11-22 2013-0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52868B2 (ja) * 2006-11-22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221542A1 (en) * 2007-03-05 2008-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5001097B2 (ja) * 2007-09-03 2012-08-15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KR101651675B1 (ko) * 2009-10-30 2016-08-2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환형의 흡수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제품
JP5649361B2 (ja) * 2010-08-02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31124B2 (ja) * 2010-08-31 2014-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失禁用ライナー
US9216116B2 (en) *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5885A1 (en) 2013-06-27
CN103079510B (zh) 2015-08-19
JP2012050497A (ja) 2012-03-15
JP5623828B2 (ja) 2014-11-12
CN103079510A (zh) 2013-05-01
KR101799614B1 (ko) 2017-11-20
US9040769B2 (en) 2015-05-26
WO2012029851A1 (ja) 2012-03-08
EP2612636A1 (en) 2013-07-10
EP2612636A4 (en) 2014-06-18
EP2612636B1 (en)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4822A (ko) 흡수성 물품
KR101211316B1 (ko) 흡수성 물품
KR101265965B1 (ko) 흡수성 물품
JP5681446B2 (ja) 吸収性物品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JP6203907B1 (ja) 吸収性物品
JP5827036B2 (ja) 吸収性物品
JP5924898B2 (ja) 吸収性物品
WO2012105533A1 (ja) 吸収性物品
JP2016067609A (ja) 吸収性物品
JP6316521B1 (ja) 吸収性物品
JP2019103719A (ja) 吸収性物品
JP2013215388A (ja) 吸収性物品
JP6604777B2 (ja) 吸収性物品
JP6396547B1 (ja) 吸収性物品
TWI826651B (zh) 吸收性物品
JP3865565B2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JP2014064631A (ja) 吸収性物品
JP5406963B2 (ja) 吸収性物品
JP6404269B2 (ja) 吸収性物品
JP5007187B2 (ja) 吸収性物品
JP5325543B2 (ja) 吸収性物品
KR20220110170A (ko) 흡수성 물품
JP5934506B2 (ja) 吸収性物品
JP2020124425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