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009A -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 Google Patents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009A
KR20130081009A KR1020120001945A KR20120001945A KR20130081009A KR 20130081009 A KR20130081009 A KR 20130081009A KR 1020120001945 A KR1020120001945 A KR 1020120001945A KR 20120001945 A KR20120001945 A KR 20120001945A KR 20130081009 A KR20130081009 A KR 2013008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dried
powd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흥규
김정구
Original Assignee
송흥규
김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흥규, 김정구 filed Critical 송흥규
Priority to KR102012000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1009A/ko
Publication of KR2013008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1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a tongue on the edge of one sheet, plate or panel co-operating with a groove in the edge of another sheet, plate or pan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은, 해삼을 식염수에 의해 자숙하고, 염분을 제거하여 육질을 복원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 홍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 건해삼 분말과 홍삼 분말의 혼합분말에 꿀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단계 C); 및 반죽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제환하는 단계(단계 D);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원료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해삼의 단백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은 환의 형태로 제조하여 섭취를 매우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PREPARATION METHOD OF RED GINSENG PILL WITH DRIED SEA CUCUMBER AND RED GINSENG PILL WITH DRIED SEA CUCUMBER PREPARAT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해삼 혼합된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해삼 혼합 홍삼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분을 빼고 건조된 해삼분말과 홍삼분말을 혼합하여 환을 만들어 성분 효능이 극대화된 해삼과 홍삼의 성분을 함께 용이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해삼은 극피동물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으로 회, 찜, 볶음, 탕 등 다양한 요리로 섭취할 수 있는 알칼리 식품이다.칼슘, 요오드를 비롯해 알긴산이 특히 많아 체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을 정화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삼을 먹을 때 씹히는 연골에는 콘드로이틴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노화 예방은 물론, 주독을 중화시키는 기능이 있다.
한의학에서는 예부터 해삼을 바다의 인삼으로 여겨오면서 남성의 생식기능, 폐결핵, 여러 가지 출혈성 질환, 빈뇨증, 종양 등과 관련된 치료약으로 쓰며, 위장 및 십이지장궤양에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치아와 골격 형성, 근육의 저앙적인 수축, 혈액 응고, 여러가지 생리 작용에 필수적인 칼슘과 조혈 성분인 철분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임산부나 성장발육기인 어린이에게 좋은 식품이다.
한편,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으로 뜻하는 것으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불리는 30종의 사포닌 성분을 1~3%함유한다. 그 제조는 수삼을 씻은 후, 가열된 수증기로 쪄낸다. 쪄낸 수삼은 1차적으로 열풍건조하고, 이후, 태양열에 의한 자연건조하거나 또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수분이 12.5∼13.5% 정도가 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잔뿌리를 따내고 모양을 가다듬어, 등급별로 선별하여 같은 등급은 개체의 크기와 중량별로 선별한다. 주요 성분은 백삼과 마찬가지로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 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 물질, 유기산, 아미노산 등이다.
홍삼은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 예방, 동맥경화 예방, 조혈작용, 혈당 저하, 간 보호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생식기능 증진, 항염, 항종양,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주요한 효과는 어댑토겐(adaptogen)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기인한 각종 유해작용인 발병인자,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해삼과 홍삼을 동시에 편리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건조 해삼을 이용하여 기능성 성분의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은, 해삼을 식염수에 의해 자숙하고, 염분을 제거하여 육질을 복원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 홍삼을 건조하여 분쇄하는,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 상기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의 혼합분말에 꿀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단계 C); 및 상기 반죽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제환하는 단계(단계 D);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는, 해삼을 준비하여 내장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는 단계(단계 A-a); 상기 세척된 해삼을 60~70% 농도의 식염수로 자숙하는 단계(단계 A-b); 상기 자숙된 해삼을 50~60℃에서의 열풍건조와 자연건조를 번갈아 복수 회 수행하여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단계 A-c); 상기 1차 건조된 해삼을 95~100℃의 물에 침지시켜 염분을 제거하고 육질을 복원하는 단계(단계 A-d); 상기 육질 복원된 해삼을 2차 건조하는 단계(단계 A-e); 및 상기 2차 건조된 해삼을 분쇄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f);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b는, 95~100℃의 식염수에서 20~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c는, 상기 1차 건조를 4~6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e는, 상기 건조해삼의 수분함량이 3~5중량% 가 되도록 2차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수삼을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단계(단계 B-a); 상기 세척된 수삼을 증삼하는(단계 B-b); 상기 증삼이 이루어진 수삼을 숙성시켜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c); 상기 제조된 홍삼을 건조시키는 단계(단계 B-d); 및 상기 건조된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e); 를 포함한다.
상기 수삼은, 5년근 및 6년근 수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수삼은, 5년근 수삼과 6년근 수삼을 3:2 내지 2: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b는, 90 내지 95℃ 온도의 증기로 12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c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d는, 상기 홍삼의 수분함량이 10 내지 15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이 4:1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에,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꿀을 더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 수 있다.
상기 반죽은,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더덕분말을 더 첨가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해삼 혼합 홍삼환은, 증탕된 해삼을 염장하고, 건조 후 염분을 제거하며, 다시 건조한 후 분쇄된 건해삼 분말; 건조된 홍삼 분말; 및 상기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이 접착되도록 점성을 부여하는 꿀; 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해삼 혼합 홍삼환은, 상기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이 4:1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에,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의 꿀이 더 첨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해삼 혼합 홍삼환은,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더덕분말이 더 첨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해삼 혼합 홍삼환은 건조된 해삼분말과 홍삼분말을 이용하여 환을 제조함으로써 원료의 기능성 성분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해삼의 단백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은 환의 형태로 제조하여 섭취를 매우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은, 크게 해삼을 처리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 수삼을 처리하여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 및 상기 건해삼 분말, 홍삼 분말의 혼합분말에 꿀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단계 C) 및 상기 반죽으로 건해삼 혼합 홍삼환을 제환하는 단계(단계 D)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건해삼 분말과 홍삼 분말의 혼합분말은, 그 혼합비율을 경우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건해삼 분말과 홍삼 분말의 비율이 4:1 내지 1:4의 중량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해삼 분말과 홍삼 분말의 혼합 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의 꿀을 첨가하여 분말 입자간 결합력이 생길 수 있는 점성을 부여하여 적절히 반죽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반죽에는 더덕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더덕분말은 상기 건해삼 분말과 홍삼 분말의 혼합 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중량부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D에서는, 상기 준비된 반죽을 이용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는 건해삼 포함 홍삼환을 제환하며, 이때, 상기 건해삼 포함 홍삼환의 크기는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직경 3 내지 10mm 범위로 제조하여 섭취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단계 A와 단계 B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는 여섯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해삼을 준비하여 물로 세척한다(단계 A-a).
이때, 상기 해삼은 길이 10~25cm의 것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cm 이하의 해삼을 전체 해삼 중량의 50~70%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준비된 해삼은 입에서 몸통까지 1/3가량의 길이로 절개하여 해삼이빨과 내장을 제거하고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다.
다음으로 세척된 해삼을 자숙시킨다(단계 A-b).
상기 자숙은 식염농도 60~70%의 식염수에 침지시켜 95~100℃의 온도에서 20~24시간 동안 삶아내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숙된 해삼은 열풍건조와 자연건조를 번갈아 복수 회 수행하는 1차 건조단계를 거친다(단계 A-c).
상기 열풍건조는 50~6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여, 상기 자연건조는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서늘한 곳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건조와 자연건조는 4 내지 6회 반복수행 , 이때, 총 건조시간은 70~74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1차 건조된 해삼의 염분을 제거하고 육질을 복원한다(단계 A-d).
이때, 상기 염분 제거는 해삼을 95~100℃의 물에 30~60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 식히는 방식으로 수행하며, 상기 염분 제거 과정을 3회 내지 5회 반복수행하여 염분과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육질 복원된 해삼을 2차 건조한다(단계 A-e).
상기 2차 건조는 해삼의 수분함량이 3~5중량%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 방법은 자연건조 또는 건조기를 이용한 열풍건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해삼을 분쇄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한다(단계 A-f).
상기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는 다섯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수삼을 준비하여 물로 세척한다(단계 B-a).
상기 수삼은 연근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5년근 및 6년근 수삼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을 3:2 내지 2: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세척된 수삼을 증삼기를 이용하여 증삼한다(단계 B-b).
상기 증삼은 90 내지 95℃ 온도의 증기로 12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삼이 이루어진 수삼은 증삼기 내부 온도가 40 내지 50℃가 될 때까지 그대로 두어 숙성시킨다(단계 B-c).
상기 숙성에 의해 수삼은 붉은빛을 띠는 홍삼이 될 수 있다.
상기 숙성된 홍삼은 수분함량이 10 내지 15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다(단계 B-d).
상기 건조는 건조기에 의한 열풍 건조 또는 자연건조에 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건조된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 분말을 제조한다(단계 B-e).
상기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건해삼 포함 홍삼환이 완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포함 홍삼환을 제공한다.
[실시예 1]
길이 10~25cm의 해삼을 선별하여 내장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한 후, 70%의 식염수에 넣고 10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자숙하였다. 자숙후, 60℃의 건조기에서 열풍건조 및 자연건조를 번갈아 4회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건조된 해삼을 95℃의 물에 1시간 가량 침지시킨 후, 꺼내어 식히는 과정을 3회 실시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육질을 복원하였다. 육질 복원된 해삼은 다시 건조하여 해삼의 수분함량이 5%가량 되도록 한 후, 분쇄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였다.
한편, 5년근 및 6년근 수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으로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고, 증삼기에 넣어 95℃의 증기로 20시간동안 증삼한 후, 증삼기 내부 온도가 45℃가 될 때까지 방치하여 숙성시킴으로써 홍삼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홍삼을 증삼기에서 꺼내어 수분함량이 15%가 되도록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홍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건해삼 분말 60g, 홍삼 분말 15g, 꿀 5g 및 더덕분말 20g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상기 반죽을 이용하여 직경 5mm의 환을 제조하였다.
생해삼과 건해삼의 영양성분 비교
본 발명은 해삼과 홍삼을 혼합한 환을 제조함에 있어서 건해삼을 사용하였다. 생해삼과 건해삼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데이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생해삼(100g) 건해삼(100g)
수분 91.8g 8.6g
단백질 3.7g 70.89g
당질 1.3g 3.0g
회분 2.8g 8.62g
칼슘 119mg 902mg
철분 2.1mg 50.0mg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해삼에서 각 영양성분의 100g당 농축 정도를 살펴보면, 단백질은 약 19배, 당질은 약 2.3배, 회분은 약 3배, 철분은 약 24배 칼슘은 약 7.5배로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해삼 혼합 홍삼환은 해삼의 유효성분을 농축하여 포함하고 있으므로 적은 양의 복용으로도 해삼의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해삼을 식염수에 의해 자숙하고, 염분을 제거하여 육질을 복원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
    홍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
    상기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의 혼합분말에 꿀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단계 C); 및
    상기 반죽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제환하는 단계(단계 D); 를 포함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해삼을 준비하여 내장을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는 단계(단계 A-a);
    상기 세척된 해삼을 60~70% 농도의 식염수로 자숙하는 단계(단계 A-b);
    상기 자숙된 해삼을 50~60℃에서의 열풍건조와 자연건조를 번갈아 복수 회 수행하여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단계 A-c);
    상기 1차 건조된 해삼을 95~100℃의 물에 침지시켜 염분을 제거하고 육질을 복원하는 단계(단계 A-d);
    상기 육질 복원된 해삼을 2차 건조하는 단계(단계 A-e); 및
    상기 2차 건조된 해삼을 분쇄하여 건해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A-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A-b는,
    95~100℃의 식염수에서 20~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A-c는,
    상기 1차 건조를 4~6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A-e는,
    상기 건조해삼의 수분함량이 3~5중량% 가 되도록 2차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수삼을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단계(단계 B-a);
    상기 세척된 수삼을 증삼하는(단계 B-b);
    상기 증삼이 이루어진 수삼을 숙성시켜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c);
    상기 제조된 홍삼을 건조시키는 단계(단계 B-d); 및
    상기 건조된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B-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삼은,
    5년근 및 6년근 수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삼은,
    5년근 수삼과 6년근 수삼을 3:2 내지 2: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B-b는,
    90 내지 95℃ 온도의 증기로 12 내지 2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B-c는,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B-d는,
    상기 홍삼의 수분함량이 10 내지 15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이 4:1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에,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꿀을 더 첨가하여 반죽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반죽은,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더덕분말을 더 첨가하여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14. 증탕된 해삼을 염장하고, 건조 후 염분을 제거하며, 다시 건조한 후 분쇄된 건해삼 분말;
    건조된 홍삼 분말; 및
    상기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이 접착되도록 점성을 부여하는 꿀; 로 이루어진 건해삼 혼합 홍삼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건해삼 혼합 홍삼환은,
    상기 건해삼 분말과 상기 홍삼 분말이 4:1 내지 1:4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에,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의 꿀이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건해삼 혼합 홍삼환은,
    상기 혼합분말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더덕분말이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해삼 혼합 홍삼환.
KR1020120001945A 2012-01-06 2012-01-06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KR20130081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45A KR20130081009A (ko) 2012-01-06 2012-01-06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45A KR20130081009A (ko) 2012-01-06 2012-01-06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09A true KR20130081009A (ko) 2013-07-16

Family

ID=4899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945A KR20130081009A (ko) 2012-01-06 2012-01-06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100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692A (zh) * 2014-05-22 2014-08-06 青岛金谷原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秘制海参粉的制备方法
KR101462367B1 (ko) * 2014-03-06 2014-11-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홍삼 타브렛
CN104585796A (zh) * 2015-01-14 2015-05-06 青岛老尹家海参股份有限公司 一种滋补即食海参片加工方法
KR20160058202A (ko) * 2014-10-28 2016-05-25 주식회사 동방수산 홍삼 사포닌이 함유된 건해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8167B1 (ko) * 2015-10-05 2017-02-20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홍삼과 해삼의 가수분해 원료를 포함한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4151B1 (ko) * 2018-01-31 2018-07-31 홍원기 건해삼, 건해삼 정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4150B1 (ko) * 2018-01-31 2018-07-31 홍원기 건해삼, 건해삼 분말 및 그 제조 방법
AU2018218588B2 (en) * 2017-02-09 2021-05-27 Altregen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composite extract from ginseng/red ginseng and sea cucumber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bruch's membrane hypofunction-related disease
KR20220133456A (ko) 2021-03-25 2022-10-05 (주) 아이투디 발효해삼 추출물 및 발효흑삼 추출물의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
KR20220133454A (ko) 2021-03-25 2022-10-05 (주) 아이투디 발효해삼 추출물 및 발효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67B1 (ko) * 2014-03-06 2014-11-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홍삼 타브렛
CN103960692A (zh) * 2014-05-22 2014-08-06 青岛金谷原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秘制海参粉的制备方法
KR20160058202A (ko) * 2014-10-28 2016-05-25 주식회사 동방수산 홍삼 사포닌이 함유된 건해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85796A (zh) * 2015-01-14 2015-05-06 青岛老尹家海参股份有限公司 一种滋补即食海参片加工方法
KR101708167B1 (ko) * 2015-10-05 2017-02-20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홍삼과 해삼의 가수분해 원료를 포함한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U2018218588B2 (en) * 2017-02-09 2021-05-27 Altregen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composite extract from ginseng/red ginseng and sea cucumber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bruch's membrane hypofunction-related disease
KR101884151B1 (ko) * 2018-01-31 2018-07-31 홍원기 건해삼, 건해삼 정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4150B1 (ko) * 2018-01-31 2018-07-31 홍원기 건해삼, 건해삼 분말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33456A (ko) 2021-03-25 2022-10-05 (주) 아이투디 발효해삼 추출물 및 발효흑삼 추출물의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
KR20220133454A (ko) 2021-03-25 2022-10-05 (주) 아이투디 발효해삼 추출물 및 발효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력 증진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1009A (ko)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KR101389800B1 (ko) 절임 반건조 생선의 제조방법
CN102948828A (zh) 一种即食调味烤鱿鱼条的加工方法
KR20090086495A (ko) 해삼 가공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1589790A (zh) 紫薯藕粉及其制备方法
KR20110078550A (ko) 생강 분말 및 생강정의 제조 방법
CN103431334A (zh) 一种魔芋湿面的制作方法
KR101513701B1 (ko) 렌즈콩이 함유된 순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805193A (zh) 一种毛竹春笋低糖笋脯的加工方法
CN1095237A (zh) 甲鱼系列保健汤料
CN107509945A (zh) 黄芪全鱼鱼面及其制备方法
KR20100094130A (ko) 오징어포 제조방법
CN106820013A (zh) 一种朝天椒的腌制方法
CN101601460A (zh) 一种香辣鸡的腌制配方及其工艺
KR20200058098A (ko) 전복 장조림 제조방법
KR101173889B1 (ko) 건조해산물 식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조해산물 식해
KR20200072267A (ko) 어탕육수 제조방법 및 어탕육수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CN103829278A (zh) 一种麻辣银鱼花生的生产方法
KR101931907B1 (ko) 함초를 함유한 함초파우더 및 그 제조방법
KR101434912B1 (ko) 명태 젓갈의 제조방법
KR101493496B1 (ko) 박대묵의 제조방법
KR101706954B1 (ko) 양념게장의 제조방법
KR20030011973A (ko)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
CN105614716A (zh) 一种功能性猪皮冻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