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564B1 -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564B1
KR102371564B1 KR1020210024821A KR20210024821A KR102371564B1 KR 102371564 B1 KR102371564 B1 KR 102371564B1 KR 1020210024821 A KR1020210024821 A KR 1020210024821A KR 20210024821 A KR20210024821 A KR 20210024821A KR 102371564 B1 KR102371564 B1 KR 10237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oritae
weight
parts
delete dele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정승훈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훈, 김수환 filed Critical 정승훈
Priority to KR102021002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리태 이용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모촉진과 탈모방지 기능을 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서리태 세척 및 불순물 제거 단계; 구운 소금을 이용한 소금물에 침지시키는 제1차 가공 단계; 죽염을 이용한 소금물에 침지시키는 제2차 가공 단계; 건조 단계; 및 제품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에 존재하지 않던 서리태의 정형화된 가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효과가 미미한 한방 및 민간요법 서리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양방 약제의 문제점인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으며, 고가의 시술을 대체하는 저렴하고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천연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Hair improv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green flesh black bean}
본 발명은 서리태 이용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모촉진과 탈모방지 기능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껍질은 검은색이고 속은 파란색인 콩과에 속하는 서리태를 소금물로 가공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모발 개선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모발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현대인의 큰 고민거리 중의 하나이며 질병으로도 분류가 되어있는 병의 일종이다.
우리나라는 성인 남성 29%, 여성은 15%가 탈모 증상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019. 한국 갤럽)
이러한 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의학적인 방법 또는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탈모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을 투하하고는 있으나,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라서 탈모를 겪고 있거나 걱정하는 사람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지는 못하는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방(韓方)에서는 오래전부터 서리태의 노화 예방 효과에 주목해 왔는데,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노화 방지에 좋으며 향균, 항암, 항염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몸의 대사활동에 필요한 비타민B1, 레시틴, 이소플라본 등 단백질과 식물성 지방질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두피의 혈액순환을 도와 탈모방지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효능을 가진 서리태는 잡곡밥에 주로 이용하거나, 콩떡을 만들거나 흑두부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또한, 선식으로 이용하거나 갈아서 콩국수 국물로 이용하거나, 발효해서 청국장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다만, 서리태를 천연상태 또는 1차 가공한 두부, 청국장 등으로 섭취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를 보기에는 시간과 많이 걸리거나 효과가 많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양방(洋方)에서는 약물 처방 또는 시술 등으로 탈모를 해결하려 한다.
일반적으로 약물 처방(프로페시아, 피나스테라이드 성분 포함) 또는 레이저 시술, 두피 스케일링, 메조테라피, 줄기세포를 응용한 치료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양방의 약물처방을 받았을 때는 성관련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레이저 시술, 줄기 세포를 응용한 치료법 등은 명확히 검증되지 않았거나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서리태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에 대한 선행 특허출원이 다수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들 특허출원은 서리태를 다른 식품, 약제 등과 섞어서 가공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삼, 하수오, 당귀, 감초, 검은깨, 어성초, 녹초, 양파, 솔잎, 프로폴리스, 버섯, 생지황, 숙지황, 구기자, 편백, 검정콩 등의 천연 재료, 천연 추출물, 발효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특허출원 들이(10-2016-0086528, 10-2017-0023316, 10-2017-0140184, 10-2018-0018038, 10-2018-0102773, 10-2020-0016465, 10-2017-0029048) 존재한다.
즉, 서리태와 다른 재료를 섞어 가공한 선행 특허가 존재하나, 서리태만을 가공하여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 기능을 가진 식재료 또는 약제에 대한 특허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탈모방지/발모촉진을 위해서 서리태를 그대로 섭취하거나, 다른 재료와 섞어서 가공한 것을 섭취 또는 두피에 사용하거나, 약물처방, 시술 등의 방법으로 치료를 행하였으나, 시간과 많이 걸리거나 효과가 거의 없는 경우도 있고, 부작용이 존재하고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즉, 한방 또는 민간요법에서 서리태의 효과가 작거나 효과를 보기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 및 양방에서 나타나는 부작용 및 고가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모/탈모방지에 도움이 되는 서리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서리태를 소금물 및 죽염물에 침지시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는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한 모발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은 천연 서리태 세척 및 불순물 제거 단계; 구운 소금을 이용한 소금물에 침지시키는 제1차 가공 단계; 죽염을 이용한 소금물에 침지시키는 제2차 가공 단계; 건조 단계; 및 제품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 및 불순물 제거 단계는 찬물로 세척, 부유 불순물 및 불량품 제거 그리고 물기 제거 단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찬물은 3 ~ 10℃의 찬물을 사용하며, 흐르는 찬물에 3 ~ 4회 세척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나무 등의 천연재료로 제조한 채반과 같은 용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 가공 단계는 서리태를 구운소금을 용해시켜 제조한 소금물이 담긴 용기에 침지시킴으로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서리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운소금 1.4 ~ 1.6 중량부 및 물 300 중량부로 혼합하여 유리재질, 옹기재질 또는 도자기 재질의 용기에서 10 ~ 14시간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차 가공단계는 상기 제 1차 가공단계를 거친 제1차 가공서리태의 물기를 제거시킨 후 찬물로 세척하고, 물에 죽염을 용해시킨 죽염물에 침지시킴으로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찬물은 3 ~ 10℃의 찬물을 사용하며, 흐르는 찬물에 2 ~ 3회 세척하고, 대나무 등의 천연재료로 제조한 채반과 같은 용기를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 가공서리태 100 중량부를 죽염 1.4 ~ 1.6 중량부 및 물 300 중량부로 만든 죽염물에 3 ~ 4일간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침지용 용기는 유리재질, 옹기재질 또는 도자기재질의 용기를 사용하며, 유리재질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5 ~ 7시간마다 가스를 제거하는 바람직하며, 옹기 또는 도자기 재질의 용기일 경우에는 11 ~ 13시간 마다 가스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건조단계는 상온 및 음지에서 건조시킴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온은 15 ~ 25℃를 말하며, 3 ~ 4일간 자연건조 시키되, 대나무 등의 천연재료로 제조한 채반과 같은 용기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품화 단계는 제2차 가공된 후 건조된 건조 서리태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말화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분말화는 통상의 기계적 분말기를 사용하여 분말입가 크기가 0.05 ~ 1 mm로 함이 바람직하며, 동결건조 과정을 추가하여 분말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종래의 모발 개선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은 종래에 존재하지 않던 서리태의 정형화된 가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공 서리태는 종래 효과가 미미한 한방 및 민간요법 서리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양방 약제의 문제점인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으며, 고가의 시술을 대체하는 적정한 가격의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천연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발개선제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실시 예인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은 천연 서리태 세척 및 불순물 제거 단계; 구운 소금을 이용한 소금물에 침지시키는 제1차 가공 단계; 죽염을 이용한 죽염물에 침지시키는 제2차 가공 단계; 건조 단계; 및 제품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 및 불순물 제거 단계는 천연서리태를 5℃의 찬물로 3회 세척하면서, 부유 불순물 및 불량품 제거하고, 대나무로 제조된 채반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 제1차 가공 단계는 유리재질의 용기에 서리태 1,000g을 물3,000g에 구운소금 15g을 용해시킨 소금물에 12 시간 침지시킨다.
상기 구운소금은 천일염을 400 ~ 500℃ 고온에서 가공하여 만든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2차 가공단계는 상기 제 1차 가공단계를 거친 제1차 가공서리태를 5℃의 흐르는 찬물에 3회 세척하고, 대나무로 제조한 채반을 사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며, 이 세척되어 물기가 제거된 서리태 1,000g을 유리재질의 용기에서 제조한 죽염물 즉, 물 3,000g에 죽염 15g을 용해시킨 죽염물에 3일간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6시간마다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한다.
이 제2차 가공 단계의 다른 실시 예는 옹기 또는 도자기 재질의 용기에 상기 동일 농도의 죽염물을 용기에 담고 제1차 가공 서리태를 침지시키고 12시간마다 가스를 제거한다.
이때 죽염은 대나무 통에 천일염을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봉한 다음, 쇠 가마에 넣어 쌓고 소나무 장작불을 태워 아홉 번을 반복해서 구운 뒤, 그것을 곱게 갈아서 제조한 것이며, 8번째 구울 때까지는 800℃ 정도에서 굽고, 마지막 9번째 구울 때는 1,300℃ 이상에서 구워낸 것을 사용한다.
상기 건조단계는 제2차 가공 단계를 거친 서리태를 20℃의 상온의 음지에서 대나무로 만들어진 채반에서 3일간 자연 건조시킨다.
상기 제품화 단계는 제2차 가공된 후 건조된 건조 서리태를 기계적 분말기를 사용하여 분말입가 크기가 0.05 ~ 1 mm로 되도록 한다.
이 제품화 단계의 다른 실시 예는 제2차 가공 후 건조된 건조 사리태를 동결건조 과정을 추가한 후 분말화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서리태를 가공하여 분말화된 제품은 하루 2.5g 정도 복용하여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수의 자가 실험에 의하면, 본 제품 복용후 3주가 지나면 탈모가 현격히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발모가 진행되고, 보통 3개월이 지나면 탈모 진행이 멈추게 되면서 정상적인 발모 및 탈모의 체질로 바뀌게 된다.

Claims (9)

  1. 천연 서리태를 3 ~ 10℃의 흐르는 찬물로 3 ~ 4회 세척하고, 천연재료의 대나무 채반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 및 불순물 제거 단계;
    옹기재질 또는 도자기 재질의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및 불순물 제거 단계를 거친 천연 서리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운소금 1.4 ~ 1.6 중량부를 물 300 중량부에 용해시킨 소금물을 상기 용기에 담은 후 상기 서리태를 10 ~ 14 시간 침지시키는 제1차 가공 단계;
    상기 제1차 가공 단계를 거친 가공 서리태를 3 ~ 10℃의 흐르는 찬물에 2 ~ 3회 세척하고, 이 세척된 서리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300 중량부 및 죽염 1.4 ~ 1.6 중량부 마련하고, 옹기 또는 도자기 재질 용기에 상기 물을 부은 후 상기 죽염을 용해시키고, 상기 서리태를 담아 3 ~ 4일간 침지시키고, 발생하는 가스를 11 ~ 13시간마다 제거하는 제2차 가공 단계;
    상기 제2차 가공단계를 거친 서리태를 15 ~ 25℃의 상온에서, 천연재료의 대나무 채반에서 3 ~ 4일간 자연건조 시키는 건조 단계; 및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건조 서리태를 동결 건조한 후, 기계적 분말기를 사용하여 0.05 ~ 1 mm 크기의 분말로 제조하는 제품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24821A 2021-02-23 2021-02-23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KR10237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21A KR102371564B1 (ko) 2021-02-23 2021-02-23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21A KR102371564B1 (ko) 2021-02-23 2021-02-23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564B1 true KR102371564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821A KR102371564B1 (ko) 2021-02-23 2021-02-23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261A (ko) * 2006-06-07 2006-07-04 전양읍 발모촉진제 조성물
KR20080090186A (ko) * 2007-04-04 2008-10-08 김성철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KR20090038222A (ko) * 2007-10-15 2009-04-20 (주) 신현대한방연구소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628B1 (ko) * 2012-07-31 201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200059659A (ko) * 2018-11-21 2020-05-29 이정원 천연 두피 파우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261A (ko) * 2006-06-07 2006-07-04 전양읍 발모촉진제 조성물
KR20080090186A (ko) * 2007-04-04 2008-10-08 김성철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KR20090038222A (ko) * 2007-10-15 2009-04-20 (주) 신현대한방연구소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628B1 (ko) * 2012-07-31 201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200059659A (ko) * 2018-11-21 2020-05-29 이정원 천연 두피 파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4725B (zh) 一种蓝莓红茶
KR20130081009A (ko) 건해삼 혼합 홍삼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해삼 혼합 홍삼
CN104256737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20100027256A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KR101668807B1 (ko) 한방 생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생강 환
KR102371564B1 (ko) 서리태를 이용한 모발 개선제 제조방법
KR102250474B1 (ko) 암 예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 떡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20160034649A (ko) 매실추출물과 아가베시럽을 이용한 꼬막 육의 즉석식품 제조방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322790A (zh) 一种西瓜汁甜味金银花花茶及其制备方法
KR20190066854A (ko) 냉면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20130141834A (ko) 삼채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529618B1 (ko) 꽃게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8566B1 (ko) 톳 만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0495B1 (ko) 민들레 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05343A (zh) 一种麦香泡椒银鱼干及其制备方法
KR101433888B1 (ko) 밤을 주재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672993B1 (ko) 꼬막혼입 고추장 제조방법
KR101230445B1 (ko) 감태 분말이 함유된 떡국떡의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9942B1 (ko) 나노입자화된 한약재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젤리
KR100949703B1 (ko) 복부비만 해소용 자연생식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1737A (ko) 마늘 분말 및 마늘정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