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476A - 분포 포장체 - Google Patents

분포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476A
KR20130079476A KR1020137000025A KR20137000025A KR20130079476A KR 20130079476 A KR20130079476 A KR 20130079476A KR 1020137000025 A KR1020137000025 A KR 1020137000025A KR 20137000025 A KR20137000025 A KR 20137000025A KR 20130079476 A KR20130079476 A KR 2013007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sorbent
package
internal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236B1 (ko
Inventor
사이치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13007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2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flattening the mouth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securing without folding,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eat-sealing, welding or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3Sticks, e.g. lollipops with drug rele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65D65/403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with at least one corrugated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내복용 흡착제의 분포 포장체에 있어서 히트 실링부에서의 내복용 흡착제의 물려 들어감이 없는 분포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진공 상태의 개봉부 근변에 있어서 내복용 흡착제의 부착이 적어, 개봉 시에 내복용 흡착제가 비산하지 않는 분포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내복용 흡착제를 가온 상태 및/또는 감압 하에서,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인 포장 재료로 기밀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포장체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포 포장체{INDIVIDUAL PACKAGING}
본 발명은 분포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복용 흡착제를 가온 상태에 있어서,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의 포장 재료로 기밀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포 포장체의 히트 실링 부분에서의 내복용 흡착제의 물려 들어감이 없어, 개봉시의 내복용 흡착제의 비산이 적은 분포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내복용 흡착제는 체내에 들어간 독물 또는 체내에서 대사된 유해 물질을 소화관에서 흡착하여, 이들 유독 물질을 체외로 배설시키는 것이다. 이 내복용 흡착제의 대표예로서, 경구적인 복용이 가능하고 신장이나 간장의 기능 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그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특정 관능기를 갖는 다공성의 구형 탄소질 물질(즉, 구상 활성탄)로 이루어지며, 생체에 대한 안전성이나 안정성이 높고, 동시에 장내에서의 담즙산의 존재 하에서도 유독 물질의 흡착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소화효소 등의 장내 유익 성분의 흡착이 적다는 유익한 선택 흡착성을 갖고, 또한 변비 등의 부작용이 적은 경구 치료약으로서, 예를 들면 간신기능 장애 환자에 대하여 널리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석유 피치 등의 피치류를 탄소원으로 하여 구상 활성탄을 제조한 후, 산화 처리, 및 환원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된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가 개발되고 있다. 이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흡착제와 비교하여 더욱 우수한 선택 흡착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경구 섭취로부터 체외 배출까지의 체내 체류 기간 내에 있어서, 가능한 한 많은 독성 물질을 흡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문헌 3 및 4의 기재에 따르면, 평균 입경이 작은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를 이용함으로써, 경구 섭취로부터 체외 배출까지의 체내 체류 기간 내에 많은 독성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상기 내복용 흡착제에서의 흡착능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습하여, 흡착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기밀 용기에 보존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밀 용기란, 일본 약전의 정의에 의하면, 일상적인 취급을 하거나 또는 통상의 보존 상태에 있어서, 액상 또는 고형의 이물질 또는 수분이 침입하지 않고, 내용 의약품이 손실, 풍해, 조해되거나 또는 증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튜브, 캔, 분포, 또는 플라스틱 용기 등이다. 내복용 흡착제를 기밀 포장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포장 형태로는 캔 포장, 패킹을 부여한 덮개를 사용하는 병 포장, 그리고 3방 실링 포장, 4방 실링 포장, 및 스틱포장 등의 분포 포장이 있고, 특히 분포 포장은 1회에 복용해야 할 내복용 흡착제를 포장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한 포장 형태이다.
내복용 흡착제의 분포 포장체는, 예를 들면 내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복합 필름에 내복용 흡착제를 기밀 포장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내복용 흡착제의 분포 포장체에 이용할 수 있는 실란트층을 갖는 포장 재료는, 예를 들면 본원 발명자들에 의해 특허문헌 5에 개시되어 있다. 내복용 흡착제의 분포 포장체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필름을 포함하는 스틱에 내복용 흡착제를 충전하고, 스틱의 상부를 히트 실링함으로써, 히트 실링부 및 개봉부를 갖는 분포 포장체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내복용 흡착제는 본래의 흡착이 기대되는 물성 이외에, 공기를 흡탈착하는 성질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주위 환경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내복용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는 공기가 탈착 내지 방출되고, 또는 주위 환경의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도 마찬가지로 내복용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는 공기가 탈착 내지 방출된다. 이 현상은 가역적으로서, 주위 환경의 온도를 저하시키면 주위의 공기가 내복용 흡착제에 흡착되고, 또는 주위 환경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도 마찬가지로 주위의 공기가 내복용 흡착제에 흡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저온에서 기밀 포장을 행한 경우, 분포 포장체가 고온이 되면, 내복용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공기가 탈착 내지 방출되어 분포 포장체의 부피 팽창이 일어난다. 분포 포장의 부피 팽창은 실링부의 파손, 파대, 핀홀의 형성을 야기할 위험성이 있고, 또한 보존 및 운반에도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실온보다 5℃ 높은 온도 내지 300℃에서 충전하거나, 또는 멸압 하에서 충전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 충전 방법에 의해, 포장하기 직전의 내복용 흡착제 중에 내포되어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고, 그 내복용 흡착제를 분포 포장체용 용기 내에 기밀 포장한 후에, 내복용 흡착제의 온도가 저하되면, 분포 포장체용 용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내복용 흡착제가 흡착하여, 내부 압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진공 포장 상태가 되어, 편평화 포장 형태의 분포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이 분포 포장체는 주위의 온도가 고온이 되더라도 내복용 흡착제로부터 방출되는 공기가 적기 때문에 분포 포장체의 부피 팽창이 발생하지 않는다(특허문헌 6).
일본 특허 공고 (소)62-11611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4/039381호(일본 특허 제383569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14415호 공보(일본 특허 제38653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14416호 공보(일본 특허 제38654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782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평)5-246036호 공보(일본 특허 제26074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4414호 공보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분포 포장체는 실링부의 파손, 파대, 핀홀의 형성을 야기하지 않아, 보존 및 운반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작한 분포 포장체에 있어서,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내복용 흡착제가 히트 실링부에 물려 들어가 히트 실링이 불충분해지거나, 개봉부의 상하의 근변에 내복용 흡착제가 부착하여 개봉 시에 내복용 흡착제가 비산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통상의 분말상 의약품 분포 포장체에서는 보이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내복용 흡착제의 분포 포장체에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보이는 것은 내복용 흡착제의 물성, 포장 재료의 물성, 및 분포 포장체가 진공 상태인 것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내복용 흡착제의 분포 포장체에 있어서, 히트 실링부에서의 내복용 흡착제의 물려 들어감이 없는 분포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진공 상태의 개봉부 근변에 있어서 내복용 흡착제의 부착이 적어, 개봉 시에 내복용 흡착제가 비산하지 않는 분포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의 포장 재료를 이용하여 내복용 흡착제를 기밀 포장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특히 포장 재료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와 내복용 흡착제의 표면 대전 특성에 관련된 것이지만, 특히 내복용 흡착제가 0.028 내지 0.707 μC/g의 표면 대전 특성을 갖는 구상 활성탄인 경우에 현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복용 흡착제를 가온 상태 및/또는 감압 하에서,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인 포장 재료로 기밀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복용 흡착제가 0.028 내지 0.707 μC/g의 표면 대전 특성을 갖는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 대전 특성은 불소 수지 용기에 봉입한 구상 활성탄을 120 회전/분으로 5분간 회전한 후의 대전량이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내복용 흡착제가 경구 투여용 흡착제이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포장 재료가 외층, 중간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층이 알루미늄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포장 재료가 외측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외층,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및 폴리에틸렌층 및 정전 방지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층을 포함하는 내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분포 형상이 폭 1 cm 내지 6 cm이며, 길이가 6 내지 15 cm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복용 흡착제를 가온 상태 및/또는 감압 하에서,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인 포장 재료로 기밀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에 따르면, 히트 실링부에서의 내복 흡착제의 물려 들어감이 없어, 개봉 시에 내복용 흡착제의 비산이 매우 적은 분포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는 내복용 흡착제를 충전한 후, 가온 상태에서 히트 실링한 직후의 분포 포장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B)는 히트 실링 후, 실온으로 냉각한 분포 포장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C)는 히트 실링 후, 실온으로 냉각한 분포 포장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내면 표면 고유 저항(표면 저항률) 측정기의 전극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된 구상 활성탄, 및 시판품의 내복용 흡착제의 표면 대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표면 대전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의 시료 용기를 수납한 용기 홀더의 교반기 회전축으로의 고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는 내복용 흡착제를 가온 상태에서,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인 포장 재료로 기밀 포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에 이용하는 내복용 흡착제는 체내의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내복용 흡착제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포장 재료와의 관계로부터, 내복용 흡착제는 0.028 내지 0.707 μC/g의 표면 대전 특성을 갖는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복용 흡착제의 표면 대전 특성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42 내지 0.594 μC/g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225 내지 0.481 μC/g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복용 흡착제의 「표면 대전 특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온도 20 내지 23℃, 및 습도 45 내지 60% RH의 분위기 조건에 있어서, 약 0.1 g의 내복용 흡착제를 용기 외면, 덮개 외면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첩부한 60 mL 용량의 원주상 불소 수지 용기(이하 PFA 용기라 칭함)에 넣고, 뚜껑을 덮는다. 회전 교반기에 PFA 용기를 30도 기울여 세팅하고, 매분 120 회전으로 5분간 회전시킨다. 상기 PFA 용기를 열어, 대전량 측정 장치의 검체 채취 노즐로부터 내복용 흡착제를 전하 계측부 내의 필터 캡슐에 빨아 들여 전하량을 측정한다. 측정 후, 필터 캡슐을 칭량하여 필터 캡슐의 그 자체의 중량을 제외하고, 내복용 흡착제의 단위 질량당의 전하량(대전량 μC/g)을 개별적으로 산출한다. 반복 10회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한다. 평균치를 전하량(대전량 μC/g)으로 한다.
상기 내복용 흡착제의 예로서는,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4에 기재된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 및 특허문헌 7에 기재된 의약용 흡착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직경 0.05 내지 1 mm, 세공 반경 80 옹스트롬 이하의 공극량 0.2 내지 1.0 mL/g, 산성기와 염기성기의 양쪽을 갖는 다공성의 구형 탄소질 물질이다. 산성기와 염기성기의 바람직한 범위는 전체 산성기 (A) 0.30 내지 1.20 meq/g, 전체 염기성기 (B) 0.20 내지 0.70 meq/g, A/B 0.40 내지 2.5이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페놀 수지 또는 이온 교환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되고, 직경이 0.01 내지 1 mm이고, 랭뮤어의 흡착식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1000 m2/g 이상이고, 그리고 세공 직경 7.5 내지 15000 nm의 세공 용적이 0.25 mL/g 미만인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평균 입경이 50 내지 200 μm이고, BET법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700 m2/g 이상인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 흡착제이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경구 투여용 흡착제는 평균 입경이 50 내지 200 μm이고, BET법에 의해 구해지는 비표면적이 700 m2/g 이상이고, 전체 산성기가 0.30 meq/g 내지 1.20 meq/g이고, 그리고 전체 염기성기가 0.20 meq/g 내지 0.9 meq/g인 표면 개질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 흡착제이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에 이용하는 포장 재료는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를 갖는 것이다.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낮은 쪽이 슬립성이 좋지만, 4.4×109 Ω 미만이면, 충전된 내복용 흡착제가 튀어올라 분포 포장체의 개봉부 부근에 부착하여 개봉 시의 내복용 흡착제의 비산이 보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0×1016 Ω을 초과하면, 슬립성이 나빠, 포장 재료 내면 전체면에 내복용 흡착제의 부착이 발생하고, 히트 실링 부분에서의 내복용 흡착제의 물려 들어감과 개봉 시의 내복용 흡착제의 비산이 보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는, 바람직하게는 4.5×109 Ω 내지 7.5×1015 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2×109 Ω 내지 5.1×1015 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장 재료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는 JIS K 6911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이중 링 전극법에 의한 내면 표면 고유 저항(표면 저항률) 측정기(예를 들면, 초절연계 R-503 및 측정 전극 P-616(주) 가와구치 덴끼 세이사꾸쇼 제조)를 이용한다. 도 2에 측정 시의 포장 재료와 전극의 모식도를 나타내지만, 포장 재료를 원형의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 사이에 끼우고, 500 V의 전압을 인가하여 1분 후의 저항치를 측정한다. 표면 저항치는 이하의 식으로 구한다. 반복 3회의 개별 실측치를 구하고, 그의 평균치를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로 한다.
Figure pct00001
p: 표면 저항률(Ω)
D: 링 전극 내경(cm)
d: 표면 전극의 내연의 외경(cm)
R: 표면 저항(Ω)
V: 인가 전압(500 V)
I: 전압 인가 1분 후의 전류(A)
포장 재료는 상기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를 갖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고, 복합 필름(적층 필름) 및 단층 필름을 모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공성이 좋고, 방습성에 유리하기 때문에, 복합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필름으로서는, 외층, 중간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층에 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필름의 구성예로서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1) 탄성률이 높고, 치수 안정성이 좋은 플라스틱 필름, 셀로판,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층,
(2) 가스 배리어성과 방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및
(3) 히트 실링성이나 초음파 밀봉성이 있는 실란트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층.
상기에 있어서, 외층과 중간층을 겸비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증착이나 실리카 증착한 것 등도 있다.
상기 포장 재료는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를 얻기 위해, 외층, 중간층, 및 내층 중 적어도 하나에 대전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는 포장 재료에 대전 방지제층으로서 포함될 수도 있지만, 외층, 중간층, 내층을 구성하는 층에 도포, 또는 이겨 넣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내복용 흡착제와 접촉하는 내층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층에 도포 또는 이겨 넣는다.
대전 방지제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전 방지 수지(예를 들면,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등, 또는 도전성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알킬 제4급 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계 대전 방지제(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음이온계대전 방지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지방산 아민(예를 들면, 라우릴아민, 미리스틸아민, 팔미틸아민, 스테아릴아민, 또는 올레일아민); 지방산 글리세리드(예를 들면, 아실기의 탄소수가 10 내지 22인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고급 알코올(예를 들면, 탄소수 8 내지 3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알코올)을 들 수 있고, 특히 지방산 아민, 지방산 글리세리드, 또는 고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 재료를 구성하는 외층, 중간층, 및 내층은, 예를 들면 중간층이 탄성률이 높고, 치수 안정성이 좋은 것인 경우, 외층은 플라스틱 도막층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각 층 사이에 플라스틱 필름층이나 플라스틱 도막층, 셀로판층, 종이층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목적에 따라 외층 또는 중간층을 생략할 수도 있다. 실란트층은 내표면 전체면 또는 실링 부분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소구멍을 갖는 실란트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란트층 없이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분포 포장체용 용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도막층에 이용하는 플라스틱의 예는,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연신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폴리부텐-1, 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알킬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플론(등록상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폴리아미드) 등이다.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각종 폴리에틸렌, 각종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충전에는 내열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내열성 중합체의 예는, 히드록시벤조산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등이다.
종이의 예는, 글라신, 유백 글라신, 코모란트지, 셀로판, 파트론지, 상질지, 모조지, 황산지 등이고, 특히 글라신이나 유백 글라신, 코모란트지, 셀로판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성과 방습성이 우수한 중간층의 예는, 알루미늄박이나 알루미늄 증착층 등의 알루미늄층,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층, 폴리염화비닐리덴층, 폴리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층, 실리카 증착층, 알루미나 증착층 등이다. 특히 알루미늄층,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층, 폴리염화비닐리덴층,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층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층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란트층의 예는, 각종 올레핀 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아크릴알킬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코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등이다. 특히 폴리염화비닐리덴, 각종 폴리에틸렌, 에틸렌아크릴알킬레이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충전에는 내열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내열성 중합체의 예는, 히드록시벤조산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등이고, 특히 히드록시벤조산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포장 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한 구성예는 이하와 같다. 외층: 글라신, 유백 글라신, 코모란트지, 셀로판,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에틸렌, 상질지, 또는 내열성 중합체 중간층: 알루미늄층(박 또는 증착) 내층: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크릴알킬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내열성 중합체, 필요에 따라 각 층 사이에 접착층으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층 또는 폴리에틸렌층 등을 설치한다. 또한, 각각의 층 자신의 구성도 1종의 재료를 이용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의 재료를 조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복합 필름으로서,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a) 외측으로부터 약 16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약 15 μm의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외층, 약 9 μm의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및 약 15 μm의 폴리에틸렌층 및 약 30 μm의 정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층을 포함하는 내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 및
(b) 외측으로부터 약 16 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약 15 μm의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외층, 약 9 μm의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및 약 15 μm의 폴리에틸렌층 및 약 3 μm의 폴리염화비닐리덴층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복합 필름 (a)는 5.1×1015 Ω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를 갖고, 상기 복합 필름 (b)는 5.2×109 Ω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이 붙은 수치는 ±10% 범위의 수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는 내복용 흡착제를 상기 포장 재료를 이용하여 (A) 가온 상태 및/또는 (B) 감압 하에서 기밀 포장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가온 상태 (A) 및 감압 하 (B)에서의 기밀 포장으로서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A) 실온보다 5℃ 높은 온도 내지 300℃의 내복용 흡착제를 분포 포장 봉지에 충전한 후 실링한다. 또는, 내복용 흡착제를 분포 포장 봉지에 충전한 후, 포장 재료와 내복용 흡착제를 실온보다 5℃ 높은 온도 내지 300℃로 가온하여 실링한다. 하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실온보다 10℃ 높은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보다 15℃ 높은 온도이다. 상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다.
(B) 내복용 흡착제를 분포 포장 봉지에 충전한 후, 대기압 이하의 압력 하에서 실링한다.
그 밖에 가온 상태에서의 방법 (A), 및 감압 하에서의 방법 (B)의 2법을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온보다 높은 온도 내지 300℃의 내복용 흡착제를 분포 포장 봉지에 충전하여 대기압 이하의 압력 하에서 실링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방법을 동시에 행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 온도를 실온보다 5℃ 이상 높게 할 필요가 없다.
상기 가온 상태에서의 방법 (A)에 있어서, 실온이란 충전 장소의 기온을 의미하고, 그 범위는 일본 약전의 규정에 있는 1 내지 30℃이다. 충전할 때의 「실온보다 5℃ 높은 온도 내지 300℃의 내복용 흡착제」란, 예를 들면 충전 장소의 기온이 15℃인 경우, 충전 시 내복용 흡착제의 온도가 20 내지 300℃, 충전 장소의 기온이 30℃인 경우, 충전 시 내복용 흡착제의 온도가 35 내지 300℃로 하는 것을 나타낸다. 충전 시 내복용 흡착제의 온도가 실온보다 5℃ 높은 온도 미만인 경우, 분포 포장체 내의 내복용 흡착제가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온도 변동에 의한, 내복용 흡착제에 내포되는 공기량의 변화에 의해, 분포 포장체가 크게 변형한다. 이에 반해, 충전 시 내복용 흡착제의 온도가 실온보다 5℃ 높은 온도 내지 300℃인 경우, 실링 후 실온으로 저하될 때까지 봉지 내의 공기를 내복용 흡착제가 흡착함으로써, 봉지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분포 포장체는 급속하게 오그라들고, 내복용 흡착제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진공 상태에 있다. 그리고, 실온 부근의 온도 변화에서 분포 포장체는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충전 시 내복용 흡착제의 온도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 분포 포장 봉지 내층의 연화에 의해 분포 포장체의 외관이 나빠진다. 또한, 상기 실온보다 5℃ 높은 온도 내지 300℃에서 충전한 분포 포장체는 수개월까지의 단기 보존에 적합한 것으로, 통년 보존에는 30 내지 300℃에서 충전한 분포 포장체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3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의 분포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폭 1 cm 내지 6 cm이며, 길이가 6 내지 15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신장병 환자에 이용하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의 경우, 1회의 투여량인 1 내지 4 g 정도의 내복용 흡착제를 충전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장 재료의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 및 내복용 흡착제의 표면 대전 특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는 JIS K 6911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내면 표면 고유 저항(표면 저항률) 측정기는 초절연계 R-503 및 측정 전극 P-616((주)가와구치 덴끼 세이사꾸쇼 제조)을 이용한다. 포장 재료(100 mm×100 mm)를 포장 재료내층면이 표면 전극측이 되도록 하여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 사이에 끼운다. 표면 전극에서의 a는 80±0.5 mm, D는 70±0.5 mm, d는 50±0.5 mm이고, 이면 전극에서의 A는 83±2 mm이다. 표면 전극의 +극과 -극에 500 V의 전압을 인가하고, 1분 후의 저항치를 측정한다. 표면 저항률(Ω)은 이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반복 3회의 개별 실측치(동일 로트에 대하여 3회의 측정)를 구하고, 그의 평균치를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로 하였다.
Figure pct00002
p: 표면 저항률(Ω)
D: 링 전극 내경(cm)
d: 표면 전극의 내연의 외경(cm)
R: 표면 저항(Ω)
V: 인가 전압(500 V)
I: 전압 인가 1분 후의 전류 (A)
(2) 표면 대전 특성
이하의 조건으로 대전량을 측정하였다. 반복 10회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고, 평균치를 대전량으로 하였다.
(i) 측정 환경:
20 내지 23℃, 45 내지 60% RH.
(ii) 사용 용기:
60 mL의 원주상 PFA 수지 용기(아즈원(주) 제조, PAF 수지 용기, PF-60, 덮개부 외경: 약 60 mm, 본체부 외경: 약 53 mm, 높이: 약 44 mm, 내경: 약 48 mm, 내측 높이: 약 36 mm, 모두 뚜껑을 덮었을 때의 치수)로서, 용기 외면, 덮개 외면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첩부한 용기(PFA 용기).
(iii) 사용 전의 용기 내면 처치:
측정 검체가 전환될 때에는 세제를 이용하여 정성껏 세정한 후, 충분히 건조시킨다. 사용 전에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용기 내의 오염 등을 닦아내고, 제전 블로워(MIDORI CT&ESD MI200S)를 이용하여 충분히 제전을 행한다. 동일한 검체를 반복 측정하는 경우에는, 사용 전에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용기 내의 오염 등을 닦아내고, 제전 블로워(MIDORI CT&ESD MI200S)를 이용하여 충분히 제전을 행한다. 사용 용기는 5개로 하고, 라벨링하여 관리한다.
(iv) 측정 방법:
약 0.1 g의 내복용 흡착제를 PFA 용기에 넣고, 뚜껑을 덮는다. 이것을 내면에 스폰지 완충재를 붙인 용기 홀더(직경 약 70 mm, 높이 약 90 mm)에 넣고, 이 용기 홀더를 회전 교반기의 회전축에 대하여 30도 경사시킨 상태로 세팅하고, 매분 120 회전으로 5분간 회전시켜 내복용 흡착제를 대전 처리한다(도 4). 대전 처리한 PFA 용기의 덮개를 열고, 대전량 측정 장치 EA02(유텍 제조)의 검체 채취 노즐로부터, 내복용 흡착제를 전하 계측부 내의 필터 캡슐에 빨아 들여 전하량을 측정한다. 또한, 필터 캡슐은 미리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자체의 중량 처리해 둔다. 전하량의 측정 후, 필터 캡슐을 꺼내고, 흡착탄 검체 질량을 칭량하여 단위 질량당의 전하량(대전량 μC/g)을 산출한다. 또한, 10회 반복 측정치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제조예 1: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의 제조》
일본 특허 제3522708호(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8785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을 얻었다. 구체적인 조작은 이하와 같다.
석유계 피치(연화점=210℃; 퀴놀린 불용분=1 중량% 이하; H/C 원자비=0.63) 68 kg과, 나프탈렌 32 kg을, 교반 날개가 부착된 내용적 300 L의 내압 용기에 투입하고, 180℃에서 용융 혼합을 행한 후, 80 내지 90℃로 냉각하고 압출하여 끈상 성형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 끈상 성형체를 직경과 길이의 비가 약 1 내지 2가 되도록 파쇄하였다.
0.23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비누화도=88%)을 용해시켜 93℃로 가열한 수용액 중에 상기 파쇄물을 투입하고, 교반 분산에 의해 구상화한 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물로 치환함으로써 냉각하고, 20℃에서 3 시간 냉각하고, 피치의 고화 및 나프탈렌 결정의 석출을 행하여 구상 피치 성형체 슬러리를 얻었다.
대부분의 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한 후, 구상 피치 성형체의 약 6배 중량의 n-헥산으로 피치 성형체 중의 나프탈렌을 추출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다공성 구상 피치를, 유동상을 이용하여 가열 공기를 통하면서 235℃까지 승온시킨 후, 235℃에서 1 시간 유지하며 산화시켜, 열에 대하여 불융성의 다공성 구상 산화피치를 얻었다.
계속해서, 다공성 구상 산화피치를, 유동상을 이용하여, 50 vol%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질소 가스 분위기 중에서, 900℃에서 170분간 부활 처리하여 다공성 구상 활성탄을 얻고, 추가로 이것을 유동상으로, 산소 농도 18.5 vol%의 질소와 산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470℃에서 3시간 15분간 산화 처리하고, 다음으로 유동상으로 질소 가스 분위기 하에서 900℃에서 17분간 환원 처리를 행하여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을 얻었다.
얻어진 탄소질 재료의 주된 특성은 이하와 같다.
비표면적=1300 m2/g(BET법);
세공 용적=0.08 mL/g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한 세공 직경 20 내지 15000 nm의 범위의 세공 용적);
평균 입경=350 μm;
전체 산성기=0.67 meq/g; 및
전체 염기성기=0.54 meq/g.
《제조예 2: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의 제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14416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다공성 구상 탄소질 물질(표면 개질 구상 활성탄)을 얻었다. 구체적인 조작은 이하와 같다.
탈이온 교환수 220 g 및 메틸셀룰로오스 58 g을 1 L의 분리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스티렌 105 g, 순도 57% 디비닐벤젠(57%의 디비닐벤젠과 43%의 에틸비닐벤젠) 184 g,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68 g, 및 포로겐으로서 1-부탄올 63 g을 적절히 가한 후, 질소 가스로 계 내를 치환하고, 이 2상계를 200 rpm으로 교반하고, 55℃로 가열하고 나서 그대로 20 시간 유지하였다. 얻어진 수지를 여과하고, 회전 증발기로 건조시킨 후, 감압 건조기에서 1-부탄올을 수지로부터 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나서 90℃에서 12 시간 감압 건조시켜 평균 입경 180 μm의 구상의 다공성 합성 수지를 얻었다. 다공성 합성 수지의 비표면적은 약 90 m2/g이었다.
얻어진 구상의 다공성 합성 수지 100 g을 다공판 부착 반응관에 투입하고, 종형 관상로로 불융화 처리를 행하였다. 불융화 조건은 3 L/분으로 건조 공기를 반응관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흘리고, 5℃/h로 260℃까지 승온시킨 후, 260℃에서 4 시간 유지함으로써 구상의 다공성 산화 수지를 얻었다. 구상의 다공성 산화 수지를 질소 분위기 중 600℃에서 1 시간 열 처리한 후, 유동상을 이용하여, 64.5 vol%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질소 가스 분위기 중, 820℃에서 10 시간 활성화 처리를 행하여 구상 활성탄을 얻었다. 얻어진 구상 활성탄을, 추가로 유동상으로, 산소 농도 18.5 vol%의 질소와 산소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 470℃에서 3 시간 15분간 산화 처리하고, 다음으로 유동상으로 질소 가스 분위기 하 900℃에서 17분간 환원 처리를 행하여 표면 개질 구상 활성탄을 얻었다.
얻어진 표면 개질 구상 활성탄의 주된 특성은 이하와 같다.
비표면적=1763 m2/g(BET법);
세공 용적=0.05 mL/g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한 세공 직경 20 내지 15000 nm의 범위의 세공 용적);
평균 입경=111 μm(Dv50);
전체 산성기=0.59 meq/g; 및
전체 염기성기=0.61 meq/g.
《표면 대전 특성의 측정》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한 구상 활성탄, 및 시판품의 내복용 흡착제 1, 내복용 흡착제 2, 내복용 흡착제 3의 표면 대전 특성을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에서 얻어진 구상 활성탄의 대전량은 0.442 μC/g, 표준편차는 ±0.017 μC/g, 제조예 2에서 얻어진 구상 활성탄의 대전량은 0.286 μC/g, 표준편차는 ±0.021 μC/g, 내복용 흡착제 1의 대전량은 0.368 μC/g, 표준편차는 ±0.113 μC/g, 내복용 흡착제 2의 대전량은 0.409 μC/g, 표준편차는 ±0.051 μC/g, 내복용 흡착제 3의 대전량은 0.285 μC/g, 표준편차는 ±0.060 μC/g으로, 모두 0.028 내지 0.707 μC/g에 포함되는 것이었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내복용 흡착제,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약 16 μm)/폴리에틸렌층(약 15 μm)/알루미늄층(약 9 μm)/폴리에틸렌층(약 15 μm)/정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층(약 30 μm)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 1을 이용하여 분포 포장체를 제조하였다. 복합 필름 1의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는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와쿠로 세이사꾸쇼 제조 3열 스틱 포장기를 이용하여, 충전 속도 매분 50 쇼트, 구상 활성탄(흡착탄)의 충전량 2 g, 스틱 분포 형상을 폭 3 cm, 길이 9 cm로 하여 충전 포장을 행하였다. 60 내지 80℃로 가온한 구상 활성탄을, 스틱 포장 봉지에 2 g씩 충전하고, 약 130 내지 150℃에서 히트 실링하였다. 제조한 스틱 분포품은 도립시킨 상태로 유지하며 실온까지 냉각하여 스틱 분포 포장체를 얻었다.
얻어진 스틱 분포 포장체에 대하여, 히트 실링부에서의 구상 활성탄의 물려 들어감 및 개봉부 부근의 구상 활성탄의 부착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의 히트 실링부 (11), 개봉 상부 (12), 및 개봉 하부 (13)에서의 물려 들어감, 또는 부착된 구상 활성탄의 입자수를 100포에 대하여 육안으로 계수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결과는 표 1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3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복합 필름 1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약 16 μm)/폴리에틸렌층(약 15 μm)/알루미늄층(약 9 μm)/폴리에틸렌층(약 15 μm)/폴리염화비닐리덴층(약 3 μm)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 2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조작을 반복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복합 필름 1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약 12 μm)/드라이 접착제/알루미늄층(약 9 μm)/드라이 접착제/비전하 폴리에틸렌층(약 40 μm)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 3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조작을 반복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복합 필름 1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약 16 μm)/폴리에틸렌층(약 15 μm)/알루미늄층(약 9 μm)/폴리에틸렌층(약 15 μm)/폴리에틸렌층(약 30 μm)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 4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조작을 반복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4
히트 실링부(11), 개봉 상부(12), 개봉 하부(13)의 구상 활성탄 입자수의 평가 결과에서, △ 내지 ○의 범위를 품질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을 때 사용하는 포장 재료의 내면의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 범위는 1.0×1016 Ω 이하였다. 더욱 유용한 범위로서, 품질상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는 ○의 범위의 포장 재료의 내면의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의 하부의 한도치는, 실시예 2의 개별 실측치의 가장 낮은 값이 4.3×109 Ω, 비교예 1의 개별 실측치의 가장 높은 값이 4.4×109 Ω인 점에서, 한도치는 이 부근에 있어 비교예 1의 가장 높은 값인 4.4×109 Ω을 채용하였다. 상부의 한도치는 실시예 1의 개별 실측치의 가장 높은 값이 1.0×1016 Ω, 비교예 2의 개별 실측치의 가장 낮은 값이 1.0×1016 Ω<인 점에서, 실시예 1의 개별 실측치의 가장 높은 값인 1.0×1016 Ω을 채용하였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분포 포장체는 히트 실링부에서의 내복 흡착제의 물려 들어감이 없어, 개봉 부분에 내복 흡착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개봉 시에 내복용 흡착제의 비산이 매우 적다. 즉, 히트 실링부에 물려 들어감을 원인으로 한 분포 포장체로의 외기의 진입을 방지하여, 내복 흡착제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봉 시의 내복 흡착제의 비산을 방지하여 개봉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 양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이나 개량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분포 포장체;
11: 히트 실링부;
12: 개봉 상부;
13: 개봉 하부;
14: 개봉용 미싱눈 부여부;
21: 포장 재료(내층을 표면 전극측으로 함);
22: 표면 전극(+);
23: 표면 전극(-);
24: 가드 전극;
31: 용기 홀더;
32: 시료 용기(PFA 용기);
33: 스폰지 등의 완충재;
34: 교반기 회전축 고정면;
35: 교반기 회전축.

Claims (8)

  1. 내복용 흡착제를 가온 상태 및/또는 감압 하에서,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인 포장 재료로 기밀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내복용 흡착제가 0.028 내지 0.707 μC/g의 표면 대전 특성을 갖는 구상 활성탄으로 이루어지고, 표면 대전 특성은 불소 수지 용기에 봉입한 구상 활성탄을 120 회전/분으로 5분간 회전한 후의 대전량인 분포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복용 흡착제가 경구 투여용 흡착제인 분포 포장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장 재료가 외층, 중간층, 및 내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인 분포 포장체.
  5. 제4항에 있어서, 포장 재료의 중간층이 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분포 포장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포장 재료가 외측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 및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외층,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및 폴리에틸렌층 및 정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층으로 이루어지는 내층으로 구성되는 분포 포장체.
  7. 제1항에 있어서, 분포 형상이 폭 1 cm 내지 6 cm이며, 길이가 6 내지 15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포장체.
  8. 내복용 흡착제를 가온 상태 및/또는 감압 하에서, 내면 표면 고유 저항 평균치가 4.4×109 Ω 이상 내지 1.0×1016 Ω 이하의 범위인 포장 재료로 기밀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포 포장체의 제조 방법.
KR1020137000025A 2010-06-03 2011-06-03 분포 포장체 KR101712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7839 2010-06-03
JPJP-P-2010-127839 2010-06-03
PCT/JP2011/062801 WO2011152521A1 (ja) 2010-06-03 2011-06-03 分包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476A true KR20130079476A (ko) 2013-07-10
KR101712236B1 KR101712236B1 (ko) 2017-03-03

Family

ID=4506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025A KR101712236B1 (ko) 2010-06-03 2011-06-03 분포 포장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87974B2 (ko)
JP (1) JP5839717B2 (ko)
KR (1) KR101712236B1 (ko)
TW (1) TWI447053B (ko)
WO (1) WO2011152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3704B (zh) * 2014-07-29 2019-03-26 日本合成化学工业株式会社 乙烯-乙烯基酯系共聚物皂化物或其树脂组合物的颗粒组的包装体
TWI585011B (zh) * 2015-03-02 2017-06-01 朋和產業股份有限公司 蔬果農產品之包裝袋
CN111108048A (zh) * 2018-08-29 2020-05-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体用层叠体和包装体
CN113879627B (zh) * 2021-09-24 2023-02-14 江苏中大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自动分离落料式塑料薄膜热合机构及其热合工艺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11A (ja) 1985-07-10 1987-01-20 ロ−ム株式会社 半導体ペレツトの製造方法
US4681764A (en) * 1979-11-22 1987-07-21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orous and spherical carbonaceous product
JPH05246036A (ja) 1992-03-02 1993-09-24 S R Technos Kk 連続噴射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インクジェット飛翔軸自動調整方法
US5686081A (en) * 1992-09-08 1997-11-11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Divided package of adsorbent for internal use
WO2004039381A1 (ja) 2002-11-01 2004-05-13 Kureha Chemical Industry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4244414A (ja) 2003-01-22 2004-09-02 Meruku Hoei Kk 医薬用吸着剤及びその製法
JP2005007827A (ja) 2003-06-20 2005-01-13 Kureha Chem Ind Co Ltd 医薬品等の包装材および包装体
JP2005314416A (ja) 2004-04-02 2005-11-10 Kureha Chem Ind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5314415A (ja) 2004-04-02 2005-11-10 Kureha Chem Ind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6175729A (ja) * 2004-12-22 2006-07-06 Unitika Ltd 分包袋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分包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422B2 (ja) * 1992-09-08 1997-05-0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内服用吸着剤の分包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A2170961C (en) * 1995-03-22 2005-08-09 Walter B. Mueller Multilayer films for packaging and administering medical solutions
JPH10180963A (ja) * 1996-10-29 1998-07-07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03623A (ja) * 2000-06-22 2002-01-09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070047A (ja) * 2002-11-01 2006-03-16 Kureha Corp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WO2004071375A1 (en) * 2003-02-12 2004-08-26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Medical container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1764A (en) * 1979-11-22 1987-07-21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orous and spherical carbonaceous product
JPS6211611A (ja) 1985-07-10 1987-01-20 ロ−ム株式会社 半導体ペレツトの製造方法
JPH05246036A (ja) 1992-03-02 1993-09-24 S R Technos Kk 連続噴射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インクジェット飛翔軸自動調整方法
US5686081A (en) * 1992-09-08 1997-11-11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Divided package of adsorbent for internal use
KR100260976B1 (ko) * 1992-09-08 2000-08-01 고다마 순이치로, 아마노 히로시 경구투여용 흡착제의 분할형 패키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04039381A1 (ja) 2002-11-01 2004-05-13 Kureha Chemical Industry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4244414A (ja) 2003-01-22 2004-09-02 Meruku Hoei Kk 医薬用吸着剤及びその製法
JP2005007827A (ja) 2003-06-20 2005-01-13 Kureha Chem Ind Co Ltd 医薬品等の包装材および包装体
JP2005314416A (ja) 2004-04-02 2005-11-10 Kureha Chem Ind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5314415A (ja) 2004-04-02 2005-11-10 Kureha Chem Ind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並びに腎疾患治療又は予防剤、及び肝疾患治療又は予防剤
JP2006175729A (ja) * 2004-12-22 2006-07-06 Unitika Ltd 分包袋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分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87974B2 (en) 2016-07-12
TW201206783A (en) 2012-02-16
JPWO2011152521A1 (ja) 2013-08-01
WO2011152521A1 (ja) 2011-12-08
TWI447053B (zh) 2014-08-01
JP5839717B2 (ja) 2016-01-06
KR101712236B1 (ko) 2017-03-03
US20130075299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2722C2 (ru) Капсулы для ингаляторов
KR930011033B1 (ko) 진공 채혈관
JP5012585B2 (ja) アルブミン収容プラスチック容器
TW397682B (en) Improved containers for parenteral fluids
KR20130079476A (ko) 분포 포장체
WO2005100536A1 (ja) 培養二重容器および培養方法
KR100260976B1 (ko) 경구투여용 흡착제의 분할형 패키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A025010B1 (ru) Фильтры табачного дым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с пористыми массами, имеющими наполнение частицами углерода и перепад давления в капсуле
CA2527088C (en) Stabilized pharmaceutical product
WO2007145322A1 (ja) 包装材及び薬剤包装用袋
JP2007504277A5 (ko)
JP4892874B2 (ja) 口栓付き自立性パウチ
CN101043912A (zh) 用于吸入器的泡眼包装
JP4254117B2 (ja) アルブミン溶液収容プラスチック容器
Gan et al. MOFs-alginate/polyacrylic acid/poly (ethylene imine) heparin-mimicking beads as a novel hemoadsorbent for bilirubin removal in vitro and vivo models
WO2008081023A1 (en) Multicompartment bag for storage of iron preparations
WO2019013228A1 (ja) シリカ粉体収納パッケージ、及びこれを用いた検査キット
JP2607422B2 (ja) 内服用吸着剤の分包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47086A (ja) 包装体
JP2021146630A (ja) 吸湿及び吸ガス積層フィルム
TW201603801A (zh) 被包裝的乙醯胺苯酚注射溶液製劑
JP6690201B2 (ja) 脱酸素剤組成物及び脱酸素剤
WO2012107083A1 (en) Stabilized package forms of sevelamer
Popova et al. Influence of an aluminum-silicon sorbent on the viability of lactobacillus at different pH values of the incubation medium
JP2004010080A (ja) 酸化亜鉛微粒子の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