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532A -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532A
KR20130065532A KR1020110132435A KR20110132435A KR20130065532A KR 20130065532 A KR20130065532 A KR 20130065532A KR 1020110132435 A KR1020110132435 A KR 1020110132435A KR 20110132435 A KR20110132435 A KR 20110132435A KR 20130065532 A KR20130065532 A KR 20130065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oil
extract
cooking oil
h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466B1 (ko
Inventor
박창하
남영균
Original Assignee
박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하 filed Critical 박창하
Priority to KR102011013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식의 조리에 사용되는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50 : 50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 정제수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40℃~55℃의 온도에서 1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을 여과하여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얻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h) 식용유에 상기(g)단계의 상황버섯 발효분말을 0.05% 내지 5%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1시간 내지 6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발효하여 저온 추출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므로 글루코스, 게르마늄, 비타민, 아미노산 등의 유효성분들이 변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식용유지는 생선, 육류 등의 숙성이나 조리에 사용하면, 육류의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주며, 잡냄새를 없애주고 조미효과의 향상으로 풍미를 더 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edible oil}
본 발명은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음식의 조리 및 건강기능에 사용되는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 및 육류의 숙성 및 조리기능 및 건강기능등 기능성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요리를 조리하는데 각종 액상의 식용유지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식용유로서 옥수수기름, 콩기름, 올리브유, 쇼팅유, 참기름, 들기름, 팜오일, 해바라기유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그 독특한 풍미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생채소 요리, 조림, 통조림, 튀김, 볶음 등에 사용된다.
목질 진흙버섯(桑黃)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섯속(Phellinus Quel. em. Imaz.)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뽕나무줄기에 자생하며 삿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이므로 상황(桑黃)버섯이라고 잘 알려져 있다.
상황버섯은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에 사과나무, 뽕나무 및 참나무 등의 수간에 자생하는 버섯이라 하여 상이(桑耳), 상신(桑臣), 호고안(胡孤眼)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新農本草徑)에서 상이(桑耳)는 상근백피(桑根白皮)(桑本, Morus alba L., 桑皮)의 항에 기록하고 있으며, 명대(明代)의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목이(木耳)의 항으로 분류하여 상이(桑耳), 상유(桑孺), 상아(桑蛾), 상신(桑臣) 및 상황(桑黃) 등으로 기록하고 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상이(桑耳), 상황(桑黃)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목질진흙(桑黃)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P. igniarius(L. exFr.) Quel, P. yucatensis (Murr.) Imazek, Fomes yucatensis Murrill., Phropolyporus yucatensis Murr. 등의 여러 가지로 명명하고 있으나, 상목(桑木), 양(楊), 두명(杜鳴)등의 광엽수에 자생하는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Lex Fr.) Quel ] 은 광의적으로 해석한 상황버섯의 학명이고, 진정한 의미의 상황(桑黃)인 목질진흙버섯은 말똥진흙버섯과 달리 뽕나무(桑樹)에서만 자생하며, 학명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이다(原色日本菌類圓鑑, 1975).
목질진흙(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혓바닥같은 형태의 윗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목질진흙(상황)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Ikegawa 등(Gann, 59, 155, 1968)은 목질진흙(상황)버섯이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과 표고버섯(Lent inusedodes)보다 종양저지율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메다 등(Protein Nucleic acid Enzyme, 21, 426, 1976)은 항암
활성이 96.7%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정 등(약학회지, 38, 158, 1994)은 균사체의 단백다당체가 육종(Sarcoma) 180 복수암 및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하였으며, 김 등(Arch, Pharm. Res., 17, 337, 1994)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석한 결과 글루코오스(Glucose)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아라비노스(Arabinose)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 등(생약학회지, 22, 233, 1991)은 목질진흙(상황)버섯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은 NK 세포기능에 작용하여 숙주의 비특이적 면역 기능을 증강시킴으로써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LD50은 1,500mg/kg이상으로 안전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생강[生薑]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 ROSC.이다. 남부지방 각처에서 재배하는 식물로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육질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맵고 향기가 있다. 각 마디에서 엽초로 형성된 줄기가 곧추 자라 높이 30~50에 달하고 윗부분에는 잎이 두 줄로 배열된다.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원산지에서는 감황색 꽃이 핀다.
원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 등 고온다습한 동남아시아로 추정된다. 우리 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의 문헌인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에는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어, 일찍부터 재배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1987년 현재 재배면적 약 4,402에 3만 7,000여t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량의 94%는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서 차지한다. 파종은 4월 중순에서 5월 초순 사이에 실시하는데, 우스풀룬 800배액에 1시간 침적시킨 뒤 음건시켜 파종하거나 유기수은분제를 발라서 파종한다. 생육 초기에는 반 음지에서도 잘 자라므로 보리밭 등의 이랑 사이에 간작할 수 있다. 발아하는 데 약 1개월이 소요되지만, 온상 뒷자리 등 따뜻한 곳에 쌓아 흙을 덮고 관수한 뒤, 가마니 등을 덮어 최아(催芽)를 시켜 파종하면 2주일이면 발아한다.
밭갈이는 깊게 하고, 파종 10일 전에 잘 썩은 두엄과 밭거름을 준다. 거름의 양은 10a당 질소 24, 인산 20, 칼리 24을 기준으로 한다. 6월 중순경 제초를 할 때 한 번 덧거름을 주고 약 1개월 뒤 다시 한 번 덧거름을 준다.
수확은 8~11월에 걸쳐 할 수 있으나, 저장용이나 종묘용은 서리가 내리기 직전에 캐는 것이 좋다. 적온은 12~16이다. 보통재배 이외 촉성재배, 촉성면화재배 등의 방법이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다.
품종은 소생강, 중생강, 대생강으로 분류된다. 소생강은 조생종으로 줄기가 가늘고 맹아수(萌芽數)가 70~80개 정도이다. 이에 속하는 품종으로는 곡중(谷中), 금시(金詩) 등이 있다. 중생강은 중만생이며, 육질이 연하고, 덩이줄기 크기나 신미도가 중간이다. 황생강, 근강, 토생강 등이 있다. 대생강은 만생이며 줄기수가 적고, 육질이 연하며, 신미도가 적고 다수성이다.
주로 양념으로 쓰이는데 생선이나 고기의 냄새를 없애주는 효과가 크다. 이 밖에 정과, 생란 등의 음식을 만들며 생강차, 생강주의 주재료가 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건위, 산한(散寒), 진구(鎭嘔)), 신진대사 기능의 항진 등에 효능이 있다 하여, 소화불량, 위한(胃寒), 창만(脹滿), 감모한풍(感冒寒風), 천해(喘咳), 풍습비통(風濕痺痛), 설사, 구토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민간에서는 기에 생강을 달인 차를 마시기도 한다.
볏짚은 벼의 화본과 작물의 성숙한 식물체에서 곡식알을 제거하고 남은 줄기와 잎을 말한다. 볏짚은 작물이 싹이 트면서부터 완전히 성숙할 때까지 자란 뿌리, 줄기, 곡식알의 요소로서 동일한 조건에서라면 짚의 수확량이 많은 것이 곡식알 수확량도 많아지는 관계가 있으며, 짚의 수량도 많고 곡식알 무게와 짚의 무게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는 품종 및 재배법을 이용하는 것이 다수확을 위하여 가장 효율적인 농사법임이 밝혀졌다. 단위면적당 짚의 생산량이 많다는 것은 짚의 무게를 구성하고 있는 잎과 줄기의 무게가 많다는 것으로, 잎의 무게가 많으면 광합성을 많이 한 것이고, 줄기의 무게가 많으면 줄기의 수(數)가 많아서 이삭수가 증가된 것이기 때문에 곡식알 수확량이 많아진다. 실제 종실수확량은 짚의 수량이 거의 결정된 이후에 이삭의 크기, 곡식알의 크기 및 짚으로부터 이삭으로 양분이 이전될 수 있는 양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므로, 짚은 곡식알에 대한 수확량을 올리기 위한 1차적인 요소이며, 이삭과 곡식알의 크기 및 곡식알에 대한 양분이전율 등은 2차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짚은 작물생산적인 면에 대단히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한 후에도 농작물의 부산물로서 다방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완전히 성숙한 볏짚의 화학적인 성분을 보면 셀룰로오스가 약 36 %, 리그닌 20 %, 펜토산 22 %, 조단백질 6 %, 회분(灰分)이 13 % 정도이며, 다른 농작물의 짚에도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볏짚은 벼의 품종과 작황에 따라서 그 생산량이 다르나 한국에서는 보통 10a당 500kg 정도가 생산되며, 키가 작은 통일벼 품종에서는 400kg 내외, 키가 큰 일반벼 품종에서는 600kg 정도가 생산된다. 볏짚은 한우(韓牛)의 겨울철 사료로 많이 쓰이고, 그 밖에 가축의 외양간 깃으로 이용되어 결국은 퇴비의 형태로 농경지에 환원된다. 예전에는 가마니, 새끼, 거적 등의 각종 고공품(藁工品)의 원료로 이용되어 농가의 소득을 올려주었으나 현재는 이 부분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생짚을 그대로 논에 집어넣어 논토양의 유기물을 증진시키는 데 많이 이용된다.
기존의 특허출원 제10-2005-0041158호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시에 상황버섯 분말을 식용에 첨가하여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동안 숙성시킴으로 산가가 높아져서 식용유의 질이 떨어지며, 상황버섯 분말의 첨가량에 비하여 유효성분이 식용유에 극미량이 추출되고, 여과할 때에 여과시간이 길며, 여과지의 소요가 많으므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 내에 발효기능이 뛰어난 상황버섯 발효추출물을 식용유에 함유되도록 하여 식용유의 질과 생산성 향상, 기능적인 면을 높이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각종 음식의 조리에 사용되는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50 : 50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 정제수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40℃~55℃의 온도에서 1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을 여과하여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얻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h) 식용유에 상기(g)단계의 상황버섯 발효분말을 0.05% 내지 5%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1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발명의 식용유와 일반 식용유의 기능인 조리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식용유로 비린내가 강한 생선을 숙성하면 냄새제거는 물론 발효되어 생선의 육질이 개선된다. 그리고 노린내가 강하거나 콜레스테롤이 높은 육류를 숙성하면 냄새제거는 물론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육질이 개선된다. 또한 조리할 때 사용하면 각종 식재료의 잠냅새를 제거하며, 조미효과로 맛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식용유로 조리하면 잡냄새 제거를 위한 향신료 등 부재료를 첨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음식의 조리에 사용되는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50 : 50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 정제수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40℃~55℃의 온도에서 1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을 여과하여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얻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h) 식용유에 상기(g)단계의 상황버섯 발효분말을 0.05% 내지 5%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1시간 내지 6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용유지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상황버섯과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건조하여 분말화한 다음 발효시켜, 저온추출 한다음 여과하여,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 것을 식용유에 첨가형 교반한다. 상황버섯은 국내의 자연산이나 재배산이 고가이지만, 미세분말의 상황버섯을 몰로키아, 생강, 볏짚 분말과 같이 발효하여 고농도로 추출되므로 경제적이다. 모든 식용유는 사용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옥수수기름, 콩기름, 올리브유, 쇼팅유, 참기름, 들기름, 팜오일, 해바라기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황버섯과 몰로키아, 생강, 볏짚의 발효추출물 분말(a)과 액상의 식용유지(b)의 투입비(a/b)는 상황버섯 추출물이 나타내는 효능과 경제적 비용 등을 고려할 때 의 0.05% 내지 5%의 중량비로 하여 1시간 내지 6시간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발명의 식용유와 일반 식용유의 기능인 조리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식용유로 비린내가 강한 생선을 숙성하면 냄새제거는 물론 발효되어 생선의 육질이 개선된다. 그리고 노린내가 강하거나 콜레스테롤이 높은 육류를 숙성하면 냄새제거는 물론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육질이 개선된다. 또한 조리할 때 사용하면 각종 식재료의 잠냅새를 제거하며, 조미효과로 맛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식용유로 조리하면 잡냄새 제거를 위한 향신료 등 부재료를 첨가 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은 상황버섯과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발효 시켜서 저온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므로 열에 민감한 각종 유효성분들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건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 단시간에 식용유에 함유 하도록 하므로 산가가 높아 지지 않아서 제품성, 생산성, 저장성, 기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기존의 발명의 식용유와 일반 식용유의 기능인 조리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식용유로 비린내가 강한 생선을 숙성하면 냄새제거는 물론 발효되어 생선의 육질이 개선된다. 그리고 노린내가 강하거나 콜레스테롤이 높은 육류를 숙성하면 냄새제거는 물론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육질이 개선된다. 또한 조리할 때 사용하면 각종 식재료의 잠냅새를 제거하며, 조미효과로 맛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식용유로 조리하면 잡냄새 제거를 위한 향신료 등 부재료를 첨가 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추출물 분말2g과 옥수수유 1Kg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기능성 식용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추출물 분말2g과 대두유 1Kg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기능성 식용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추출물 분말2g과 팜오일 1Kg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기능성 식용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추출물 분말2g과 올리브유 1Kg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기능성 식용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추출물 분말2g과 들기름 1Kg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기능성 식용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용유를 이용하여, 고등어 및 돼지삼겹살을 숙성하여 조리하고, 또한 숙성하지 않고 고등어와 돼지삼겹살에 첨가하여 조리한 결과, 생선의 비린내와 육류의 노린내가 없어지고 육질이 개선되고 맛기능이 향상되는 평가를 얻었다. 또한, 튀김이나 샐러드에 본 기능성 식용유를 첨가한 경우에도 기름냄새가 저감되고 맛기능이 향상된다는 나타낸다는 평가를 얻었다. 또한 육류를 숙성하면 육질이 개선되고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실시예1의 식용유에 의하여 6시간 동안 숙성되어진 돈육 삼겹살을 구이용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1의 식용유에 의하여 2시간동안 숙성되어진 고등어를 구이용 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1의 식용유를 돈육 삼겹살에 발라서 구이용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1의 식용유를 고등어에 발라서 구이용 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였다. 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 하였다. 평가방법은 20 ~ 40대의 남녀 30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돈육삼겹살 및 고등어를 시식하게 한 다음 맛과 육질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는데, 맛, 향미,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법으로 하여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 항목에 대해(매우 나쁘다 : 1점, 조금 나쁘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조금 좋다 : 4점, 매우 좋다 : 5점) 평가하였다.
<실시예1의 식용유로 숙성한 돈육삼겹살을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평가표>
구분 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 4.8 4.9 4.9 4.8 4.9
비교예 2.3 2.4 2.5 2.2 2.3
<실시예1의 식용유를 돈육삼겹살에 발라서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평가표>
구분 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 4.7 4.7 4.8 4.6 4.7
비교예 2.3 2.4 2.5 2.2 2.3
<실시예1의 식용유로 숙성한 고등어를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평가표>
구분 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 4.9 4.7 4.8 4.6 4.8
비교예 2.0 2.2 2.3 2.1 2.2
<실시예1의 식용유를 고등어에 발라서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평가표>
구분 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 4.7 4.6 4.7 4.4 4.6
비교예 2.0 2.2 2.3 2.1 2.2
<실시예1의 식용유로 숙성한 돼지삼겹살의 콜레스테롤 비교표>
구분 콜레스테롤(mg/가식부 100g당)
실시예 243.3
비교예 364.1
<옥수수유의 일반성분 분석표>

시료명
일반성분
수분
(%)
단백질
(%)
지방
(%)
회분
(%)
탄수화물
(%)
옥수수유 0 0 100 0 0
실시예 1 0 0.15 99.8 0.02 0.03
<옥수수유의 미네랄성분 분석표>

시료명
미네랄
Na
(㎎/100g)
K
(㎎/100g)
Ca
(㎎/100g)
Mg
(㎎/100g)
P
(㎎/100g)
Ge
(㎎/100g)
옥수수유 0 0 0 0 0 0
실시예 1 11.3 35.6 8.2 2.8 3.6 0.5
<옥수수유의 아미노산성분 분석표>

시료명
아미노산(㎎/100g)
아르기닌
(㎎)
발린
(㎎)
트레오닌
(㎎)
이소루신(㎎) 라이신
(㎎)
히스티딘(㎎) 메티오닌
(㎎)
페닐알라닌(㎎)
옥수수유 0 0 0 0 0 0 0 0
실시예 1 52.1 135.2 37.0 46.4 214.0 203.7 11.5 47.3
표 1에서 표 4을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특유의 비란내 및 잡냄새가 없고, 육즙과 육질, 섭취감이 현저하게 좋음을 알 수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6에서 표 8을 참조하면 각종 유효성분이 함유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50 : 50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재료 : 정제수를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40℃~55℃의 온도에서 1시간 ~ 3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을 여과하여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얻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상황버섯 발효추출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h) 식용유에 상기(g)단계의 상황버섯 발효분말을 0.05% 내지 5%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1시간 내지 6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e)단계의 추출 방법을 발효가 완료된 재료 : 정제수를 1 : 2 내지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5℃~100℃의 온도에서 1시간 ~ 3시간동안 추출하는 단계;
  3. 제1항, 제2항의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생산품.
  4. 제4항의 생산품을 재료로 하여 생산된 가공품.

KR1020110132435A 2011-12-10 2011-12-10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101324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35A KR101324466B1 (ko) 2011-12-10 2011-12-10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35A KR101324466B1 (ko) 2011-12-10 2011-12-10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532A true KR20130065532A (ko) 2013-06-19
KR101324466B1 KR101324466B1 (ko) 2013-11-07

Family

ID=4886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435A KR101324466B1 (ko) 2011-12-10 2011-12-10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03A (ko) * 2014-10-20 2016-04-29 김인상 미네랄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 식용유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111A (ko) 2015-05-01 2016-11-10 이용화 강황이 함유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778B1 (ko) 2017-10-30 2019-09-18 이현경 식용유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916B1 (ko) 2004-09-23 2006-11-14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얻어진 식용유지
KR20090024232A (ko) * 2009-02-16 2009-03-06 박창하 올리브잎으로 숙성한 양념육류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03A (ko) * 2014-10-20 2016-04-29 김인상 미네랄이 함유된 원적외선 방출 식용유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466B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2395B2 (ja) 黒ボク土を用いて栽培した大麦の葉及び/又は茎、阿蘇産大麦の葉及び/又は茎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飲食用組成物、大麦の茎及び/又は葉の栽培方法
KR20130057507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KR100549286B1 (ko) 유자주의 제조방법
KR101329821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돼지족발의 제조방법
KR10140002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버섯의 재배방법
KR101324466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20120061786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게장, 새우장, 전복장의 제조방법
KR20130107662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각종 탕류의 제조방법
KR101327810B1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101864658B1 (ko)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20130065884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어묵의 제조방법
KR101293087B1 (ko) 다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130098103A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김치의 제조방법
KR20120002955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2016609B1 (ko)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51483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101323381B1 (ko) 상황버섯 양념육류의 제조방법
KR20120002957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가축류의 사육방법
CN109105155A (zh) 一种茶树套种金针菇的种植方法
KR20180113432A (ko) 알칼리수와 정금나무, 신갈나무 잎, 호박잎, 씀바귀, 변행초, 화분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JP5815083B2 (ja) 黒ボク土を用いて栽培した大麦の葉及び/又は茎
KR20130065533A (ko) 상황버섯 발효방법 및 생산품
KR102307710B1 (ko)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