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910A -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910A
KR20130063910A KR1020110130533A KR20110130533A KR20130063910A KR 20130063910 A KR20130063910 A KR 20130063910A KR 1020110130533 A KR1020110130533 A KR 1020110130533A KR 20110130533 A KR20110130533 A KR 20110130533A KR 20130063910 A KR20130063910 A KR 20130063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at
storage space
storag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815B1 (ko
Inventor
김상호
임덕수
문수현
우창완
허준열
허재명
변장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815B1/ko
Priority to DE102012106271.4A priority patent/DE102012106271B4/de
Priority to US13/551,234 priority patent/US8590957B2/en
Priority to CN201210262384.5A priority patent/CN103144558B/zh
Publication of KR2013006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7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 B60N2/3077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 B60N2/307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in a re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최후방 시트(10)의 아래쪽 플로어패널(5)에 격납공간(20)을 마련하고, 상기 격납공간(20)으로 시트(10)를 하강시켜서 격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STORING APPARATUS OF REAR SEAT FOR MULTI PURPOSE VEHICLE}
본 발명은 보다 넓은 러기지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원가절감을 이룩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3,4열 시트를 구비한 다목적 차량은 별도로 트렁크 룸을 확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 시트(1)와 테일게이트(2)사이의 공간을 활용해서 짐을 적재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최후방 시트(1)의 시트쿠션(1a)을 시트백(1b)쪽으로 팁업(tip-up) 시킨 다음 시트(1) 전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러기지 공간(3)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는 최후방 시트(1)의 전방 이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충분한 러기지 공간(3)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시트(1)의 이동을 위해 시트레일(미도시)이 필요한 구성으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도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최후방 시트의 아래쪽 플로어 패널에 격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최후방 시트를 아래로 하강시켜서 상기 격납공간에 격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러기지 공간의확보가 가능하고 특히 시트레일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는, 최후방 시트의 아래쪽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격납공간; 상기 시트가 아래로 하강해서 상기 격납공간속으로 수납되는 격납모드 및 상기 격납공간으로부터 위쪽으로 인출된 착좌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와 상기 격납공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격납공간의 전방부와 시트쿠션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방링크; 및 상기 격납공간의 후방부와 시트백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후방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링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착좌모드시 상기 전방링크가 상기 격납공간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상기 격납공간을 향해 회전하려는 힘을 받을 때에 상기 전방링크가 상기 격납공간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좌모드를 유지시키는 전방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링크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착좌모드시 상기 후방링크가 상기 격납공간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상기 격납공간을 향해 회전하려는 힘을 받을 때에 상기 후방링크가 상기 격납공간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좌모드를 유지시키는 후방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납공간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힌지축에는 상기 격납공간과 상기 후방링크에 양단이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시트가 격납모드에서 착좌모드로 변경될 때에 상기 격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후방링크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기 후방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에는 풀레버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풀레버는 리클라이너 레버와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는 리클라이너를 구성하는 리클라이너 샤프트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링크는 상기 격납공간의 전방 하단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 및 상기 시트쿠션의 전방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링크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위에 상기 전방연결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에 의하면, 최후방 시트의 하강이동 및 상승이동에 의해 시트의 격납모드 및 착좌모드로가 가능한 구성으로 보다 넓은 러기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시트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러기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석 시트 격납장치를 구비한 다목적 차량의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2의 (A)는 다목적 차량에 구비된 최후방 시트(10)로 승객이 착좌할 수 있는 착좌모드 상황이고, 도 2의 (B)는 최후방 시트(10)가 플로어패널(5)에 구비된 격납공간(20)으로 수납된 격납모드 상황이다.
최후방 시트(10)의 격납모드시에는 3열 시트(6) 후방쪽으로 비교적 넓은 러기지 공간(7)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 시트(10)의 아래쪽 플로어패널(5)에 마련된 격납공간(20)과, 상기 시트(10)가 아래로 하강해서 상기 격납공간(20)속으로 수납되는 격납모드 및 상기 격납공간(20)으로부터 위쪽으로 인출된 착좌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10)와 상기 격납공간(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링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격납공간(20)의 전방부와 시트쿠션(11)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방링크(30)와, 상기 격납공간(20)의 후방부와 시트백(1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후방링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1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링크(3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착좌모드시 상기 전방링크(30)가 상기 격납공간(20)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상기 격납공간(20)을 향해 회전하려는 힘을 받을 때에 상기 전방링크(30)가 상기 격납공간(20)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좌모드를 유지시키는 전방연결링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링크(30)는 상기 격납공간(20)의 전방 하단부위에 제1힌지축(31a)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31)와, 상기 시트쿠션(11)의 전방부에 제2힌지축(32a)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링크(31)와 제3힌지축(32b)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위에 상기 전방연결링크(5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링크(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링크(40)는 상기 격납공간(20)의 후방부에 일단이 제4힌지축(4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백(12)에 제5힌지축(4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전방연결링크(50)는 상기 시트백(12)에 제6힌지축(51)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링크(30)의 중간부위에 제7힌지축(52)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12)에 제8힌지축(61)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링크(40)에 제9힌지축(62)을 매개로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착좌모드시 상기 후방링크(40)가 상기 제4힌지축(41)을 중심으로 상기 격납공간(20)을 향해 회전하려는 힘을 받을 때에 상기 후방링크(40)가 상기 격납공간(20)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좌모드를 유지시키는 후방연결링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격납공간(20)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링크(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제4힌지축(41)에는 상기 격납공간(20)과 상기 후방링크(40)에 양단이 지지되는 토션스프링(71)이 설치된다.
상기 토션스프링(71)은 상기 시트(10)가 격납모드에서 착좌모드로 변경될 때에 상기 격납공간(20)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후방링크(40)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기 후방링크(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시트백(12)에는 풀레버(7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풀레버(72)는 리클라이너 레버(73)와 와이어(74)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74)는 리클라이너(75)를 구성하는 리클라이너 샤프트(76)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리클라이너(75)는 시트쿠션(11)과 시트백(12)의 연접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리클라이너 레버(73)의 작동에 따른 리클라이너 샤프트(76)의 회전에 의해 록킹 및 언록킹되면서 상기 시트백(12)의 전후방향 회전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상태는 최후방 시트(10)가 격납공간(20)의 위쪽으로 돌출된 착좌모드이다.
상기와 같은 착좌모드 상태에서 시트(10)에 승객이 착석하게 되면 시트(10)는 하중을 받게 되므로, 하부링크(31)는 제1힌지축(31a)을 중심으로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지만, 전방연결링크(50)가 상부링크(32)와 연결되어서 상부링크(32)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링크(32)와 연결된 하부링크(31)는 전방연결링크(50)의 지지력에 의해 제1힌지축(31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방링크(30)는 착좌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좌모드 상태일 때 후방링크(40)는 제4힌지축(41)을 중심으로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지만,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의 가압력에 의해 시트백(12)은 후방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후방연결링크(60)는 제9힌지축(62)이 도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후방연결링크(60)와 연결된 후방링크(40)는 후방연결링크(60)의 지지력에 의해 제4힌지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후방링크(40)는 착좌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러기지 공간(7)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자가 리클라이너 레버(73)를 조작해서 리클라이너(75)를 언록킹 상태로 변경시켜 주면, 도 3과 같이 수직상태로 존재하고 있던 시트백(12)은 도 5와 같이 시트쿠션(11)이 있는 쪽으로 접혀지면서 폴딩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시트쿠션(11)을 아래로 눌러서 가압해주면, 도 3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링크(31)는 제1힌지축(31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하고, 상부링크(32)는 제2힌지축(32a)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며, 전방연결링크(50)는 제6힌지축(51)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고, 후방링크(40)는 제4힌지축(41)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고, 후방연결링크(60)는 제9힌지축(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전방링크(30)와 후방링크(40) 및 전방연결링크(50)와 후방연결링크(60)들이 도 5와 같이 서로 포개어지는 작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시트쿠션(11)은 후방쪽 부위부터 아래로 하강하면서 격납공간(20)속으로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시트(10)가 계속해서 하강을 하게 되면 시트쿠션(11)과 시트백(12)은 도 6과 같이 완전히 포개어진 상태로 플로어패널(5)에 구비된 격납공간(20)속에 완전히 수납되며, 이로 인해 시트(10)는 격납모드로 전환된다.
도 6과 같이 시트(10)가 격납공간(20)속에 완전히 수납되면, 다목적 차량에서 최후방 시트(10)가 있던 자리가 완전히 비워지게 됨에 따라 충분히 넓은 러기지 공간(7)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10)의 전후방향 이동없이 러기지 공간(7)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기에, 불필요한 시트레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과 같은 격납모드에서 시트(10)를 착좌모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풀레버(72)를 잡고 당겨준다.
상기 풀레버(72)가 당겨지면 와이어(74)를 매개로 연결된 리클라이너레버(73)가 작동을 하게 됨에 따라 리클라이너(73)는 다시 언록킹 상태로 전환되고, 동시에 시트백(12)은 시트쿠션(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작업자가 풀레버(72)를 당긴 상태로 시트(10)를 들어 올려주게 되면, 격납공간(20)속에 수납되어 있던 시트(10)는 링크기구의 작동에 의해 도 5 및 도 4와 같은 역순으로 상측으로 인출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3과 같은 착좌상태로 변경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시트(10)가 착좌모드에서 격납모드로 변경되는 설명의 역순에 해당하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는, 최후방 시트(10)의 하강이동에 의해 시트(10)가 플로어패널(5)에 구비된 격납공간(20)속으로 수납되어서 격납모드로 전환되고, 격납모드에서는 시트(10)의 상승이동에 의해 착좌모드로 변경되는 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보다 넓은 러기지 공간(7)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러기지 공간(7)을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시트레일이 필요없게 되고, 이로 인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5 - 플로어패널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 10 - 최후방 시트
20 - 격납공간 30 - 전방링크
40 - 후방링크 50 - 전방연결링크
60 - 후방연결링크

Claims (7)

  1. 최후방 시트(10)의 아래쪽 플로어패널(5)에 마련된 격납공간(20);
    상기 시트(10)가 아래로 하강해서 상기 격납공간(20)속으로 수납되는 격납모드 및 상기 격납공간(20)으로부터 위쪽으로 인출된 착좌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10)와 상기 격납공간(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격납공간(20)의 전방부와 시트쿠션(11)의 전방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방링크(30); 및
    상기 격납공간(20)의 후방부와 시트백(1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후방링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1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링크(3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착좌모드시 상기 전방링크(30)가 상기 격납공간(20)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상기 격납공간(20)을 향해 회전하려는 힘을 받을 때에 상기 전방링크(30)가 상기 격납공간(20)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좌모드를 유지시키는 전방연결링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시트백(1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링크(4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착좌모드시 상기 후방링크(40)가 상기 격납공간(20)과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상기 격납공간(20)을 향해 회전하려는 힘을 받을 때에 상기 후방링크(40)가 상기 격납공간(20)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착좌모드를 유지시키는 후방연결링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납공간(20)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링크(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힌지축(41)에는 상기 격납공간(20)과 상기 후방링크(40)에 양단이 지지되는 토션스프링(71)이 설치되고;
    상기 토션스프링(71)은 상기 시트(10)가 격납모드에서 착좌모드로 변경될 때에 상기 격납공간(20)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후방링크(40)의 회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기 후방링크(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2)에는 풀레버(7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풀레버(72)는 리클라이너 레버(73)와 와이어(74)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리클라이너 레버(74)는 리클라이너(75)를 구성하는 리클라이너 샤프트(76)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30)는 상기 격납공간(20)의 전방 하단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31); 및
    상기 시트쿠션(11)의 전방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링크(31)와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위에 상기 전방연결링크(5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링크(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KR1020110130533A 2011-12-07 2011-12-07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KR101305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33A KR101305815B1 (ko) 2011-12-07 2011-12-07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DE102012106271.4A DE102012106271B4 (de) 2011-12-07 2012-07-12 Verstauvorrichtung für einen Rücksitz für ein Mehrzweckfahrzeug
US13/551,234 US8590957B2 (en) 2011-12-07 2012-07-17 Storing apparatus of rear seat for multi purpose vehicle
CN201210262384.5A CN103144558B (zh) 2011-12-07 2012-07-26 用于多功能车辆的后座椅的存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33A KR101305815B1 (ko) 2011-12-07 2011-12-07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910A true KR20130063910A (ko) 2013-06-17
KR101305815B1 KR101305815B1 (ko) 2013-09-06

Family

ID=4846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533A KR101305815B1 (ko) 2011-12-07 2011-12-07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90957B2 (ko)
KR (1) KR101305815B1 (ko)
CN (1) CN103144558B (ko)
DE (1) DE10201210627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193A1 (ko) * 2018-02-20 2019-08-2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차량용 시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0220B2 (ja) * 2013-11-19 2018-01-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DE102015012624A1 (de) * 2015-09-26 2017-03-30 Man Truck & Bus Ag Staufachkonstruktion für ein Nutz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Lastkraftwagen
IT201700115553A1 (it) * 2017-10-13 2019-04-13 Sabelt Spa Sedile regolabile per auto sportive.
JP7017134B2 (ja) * 2018-10-09 2022-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7298239B2 (ja) * 2019-03-28 2023-06-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のヘッドレスト移動抑制構造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US11772519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seat arrangement
US11772520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notification and adjustment of a passenger compartment arrangement
US11731535B2 (en) 2020-11-09 2023-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care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2453A (en) * 1963-07-09 1965-08-24 Ford Motor Co Retractable seat
US5195795A (en) * 1992-04-01 1993-03-23 Cannera Raymond C Automotive vehicle seat assembly fully retractable below the vehicle's floor
US5868451A (en) * 1996-01-30 1999-02-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torage structure for motor vehicle seat
JP2001347858A (ja) * 2000-06-08 2001-12-18 Kasai Kogyo Co Ltd 車両のシートシステム
US6644730B2 (en) * 2000-06-08 2003-11-11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Storage type seat for automobile and seat storage structure
JP2002240607A (ja) * 2001-02-20 2002-08-28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格納式シート
FR2829441B1 (fr) 2001-09-13 2004-01-02 Renault Siege pour vehicule automobile
EP1483132B1 (en) * 2002-03-14 2006-05-03 Intier Automotive Inc. Drop down stow in floor automotive vehicle seat assembly
US6955386B2 (en) 2002-08-23 2005-10-1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Underfloor stowage of a folding seat in a vehicle
US6962384B2 (en) * 2002-08-23 2005-11-0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Fold flat motor vehicle seat
JP2004196163A (ja) * 2002-12-19 2004-07-15 Aisin Seiki Co Ltd シート装置
US20050006920A1 (en) * 2003-06-24 2005-01-13 Genta Moriyama Seat apparatus
JP2005014843A (ja) 2003-06-27 2005-01-20 Aisin Seiki Co Ltd シート装置
US6997498B2 (en) * 2003-07-23 2006-02-14 Honda Motor Co., Ltd. Seat device for vehicle
JP4556498B2 (ja) * 2004-06-03 2010-10-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WO2006015487A1 (en) 2004-08-12 2006-02-16 Intier Automotive Inc. Transformer seat
FR2877283B1 (fr) * 2004-10-29 2007-01-26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escamotable dans le plancher
US7201426B2 (en) * 2004-11-10 2007-04-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seating apparatus
JP2006290037A (ja) 2005-04-06 2006-10-26 Toyota Motor Corp シート格納構造
US7255384B2 (en) * 2005-11-01 2007-08-1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that tips and kneels and folds into a stowage well
US8374161B2 (en) 2006-07-07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52019B1 (en) * 2007-06-05 2008-11-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liding and stowing motor vehicle seat
US8196990B2 (en) * 2010-04-07 2012-06-12 Honda Motor Company, Ltd. Vehicular seat assembly and vehicles including same
CN102114794B (zh) * 2010-09-26 2012-11-0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折叠式下沉座椅结构
KR101299408B1 (ko) * 2011-08-11 2013-08-23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193A1 (ko) * 2018-02-20 2019-08-29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차량용 시트장치
US11364823B2 (en) 2018-02-20 2022-06-21 Dayou Holdings Co., Ltd. Seat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106271B4 (de) 2020-01-09
US8590957B2 (en) 2013-11-26
DE102012106271A1 (de) 2013-06-13
CN103144558A (zh) 2013-06-12
KR101305815B1 (ko) 2013-09-06
CN103144558B (zh) 2016-09-28
US20130147224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815B1 (ko) 다목적 차량용 후석 시트의 격납장치
CN100375687C (zh) 电动式车辆座椅收纳结构
US10189373B2 (en) Seat arrangement
US6811200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KR101081213B1 (ko)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US20120235006A1 (en) Se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120061686A (ko)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CN105073490B (zh) 车用座椅
CN210363467U (zh) 车辆座椅和车辆
US9545858B2 (en) Back seat arrangement of a passenger car
CN103057442B (zh) 一种可前后互换的移动折叠座椅
CN113085677A (zh) 一种可折叠的汽车座椅
JP2013111992A (ja) 車室内構造
JP2008155724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US8702146B1 (en) Stowable vehicle seat
JP2005343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CN211075631U (zh) 一种分体式可翻转汽车座椅
JP2001239870A (ja) 床下格納シート構造
JP5742537B2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JP2012025222A (ja) 車室内フロア構造
JP2010116114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4156872B2 (ja) 車両用座席群
JP4165200B2 (ja) 車両の補助シート装置
CN215244471U (zh) 一种可折叠的汽车座椅
JP2011131662A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