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181A -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181A
KR20130062181A KR1020110128649A KR20110128649A KR20130062181A KR 20130062181 A KR20130062181 A KR 20130062181A KR 1020110128649 A KR1020110128649 A KR 1020110128649A KR 20110128649 A KR20110128649 A KR 20110128649A KR 20130062181 A KR20130062181 A KR 2013006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il
unit
hol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443B1 (ko
Inventor
강호창
이. 미리지언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강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12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43B1/ko
Application filed by 강호창 filed Critical 강호창
Priority to EP11876854.8A priority patent/EP2786711A4/en
Priority to CN201180076242.3A priority patent/CN104349723B/zh
Priority to RU2014126806/14A priority patent/RU2594242C1/ru
Priority to BR112014013266A priority patent/BR112014013266A8/pt
Priority to JP2014544636A priority patent/JP6000368B2/ja
Priority to AU2011382564A priority patent/AU2011382564B2/en
Priority to PCT/KR2011/009384 priority patent/WO2013081227A1/ko
Priority to CA2857471A priority patent/CA2857471A1/en
Publication of KR2013006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43B1/ko
Priority to IL232835A priority patent/IL232835A0/en
Priority to US14/291,650 priority patent/US993695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4Coils or wires having stretch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는,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상기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측으로 운반하는 코일 푸셔유닛과,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와이어와,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상기 인장 와이어에 연결되는 묶음끈과, 상기 묶음끈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 시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묶음끈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Micro-coil assembly}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코일유닛이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마이크로 코일유닛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시술자의 시술 목적에 효율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뇌동맥류(腦動脈瘤, 급성지주막하출혈)는, 선천적으로 뇌동맥이 약하거나, 뇌동맥 경화, 세균 감염, 두부 외상, 뇌매독 등의 원인에 의하여 뇌혈관이 부풀어 올라 약한 혈관벽이 터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뇌동맥류는 조기 증상 없이 갑자기 발병하며, 발병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발병자의 15% 정도가 급사하게 되고, 15% 정도가 치료 중 사망하며, 30% 정도가 치료 후 생존하지만 심한 후유증이 동반되므로 매우 치명적인 질환이라 할 수 있다.
뇌동맥류의 치료방법은 크게 침습적 치료방법과 비침습적 치료방법으로 나뉜다. 이 중 비침습적 치료방법은, 뇌동맥류 안으로 마이크로코일을 채워넣어 혈전을 유발함으로써 추가 혈류의 유입을 막아 동맥류 파열 위험률을 감소시키는 것(색전술)이다. 이러한 비침습적 치료방법은, 뇌수술로 인한 후유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입원기간이 짧은 장점 등을 이유로 현재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분야이다.
비침습적 치료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는 크게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 내로 운반하는 코일 푸셔유닛을 포함한다. 마이크로 코일유닛이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 내로 삽입되면 시술자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분리시키게 되는데,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로부터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분리시키는 방법으로는 기계적 방법, 화학적 방법 및 열적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간편하고 정확한 분리방법은 기계적 방법이다. 종래의 기계적 방법에 의한 분리 방법은, 상호 잠금 상태에 있는 마이크로 코일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된 후크와 코일 푸셔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된 후크를 잠금 해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잠금 해제방법은 작업 과정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타이밍에 정확하게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로부터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공개번호 KR 10-2011-0046539 (마이크로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2011.05.04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마이크로 코일유닛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시술자의 시술 목적에 효율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상기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측으로 운반하는 코일 푸셔유닛과,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와이어와,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상기 인장 와이어에 연결되는 묶음끈과, 상기 묶음끈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 시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묶음끈 절단유닛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묶음끈 절단유닛은, 상기 인장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인장 와이어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묶음끈 절단유닛은,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 시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제2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 내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2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묶음끈이 통과하는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묶음끈의 절단 시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의 내경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외경과 상기 묶음끈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묶음끈이 통과하는 제1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묶음끈은,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1 매듭부와, 상기 제1 매듭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과 상기 제1 블레이드 외부를 통과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 통과공을 통과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매듭부와 인접하게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2 매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위치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후단부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전단부가 상호 접촉하여 상기 제1 연장부를 절단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전단부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2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묶음끈이 통과하는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과 연통되는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블레이드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제1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세팅위치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과 연통되는 제1 블레이드 교차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묶음끈은,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1 매듭부와, 상기 제1 매듭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 교차공과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을 통과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 통과공과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을 통과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매듭부와 인접하게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2 매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위치는,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이동하여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 연장부를 절단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 교차공을 형성하는 내벽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을 형성하는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벽은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인장 와이어는, 상기 제1 매듭부 및 상기 제2 매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제한하는 매듭부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은, 상기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혈전을 유도하는 혈전유도코일과, 상기 혈전유도코일의 내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신장저항성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묶음끈은, 상기 인장 와이어와 상기 신장저항성 코어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은, 상기 신장저항성 코어에 결합되어 상기 혈전유도코일 내부에서 상기 신장저항성 코어를 지지하는 코어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푸셔유닛은, 내부에 상기 인장 와이어가 수용되는 푸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 튜브에는,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인접하는 부분에 나선패턴이 마련되며, 상기 코일 푸셔 유닛은, 상기 푸셔 튜브의 나선 패턴 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묶음끈이 통과되는 개구공이 형성되며, 상기 묶음끈의 절단 시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이 상기 푸셔 튜브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코일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묶음끈은 봉합사(suture)이며, 상기 인장 와이어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인장 와이어의 조작을 위해 상기 인장 와이어의 일단부가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묶음끈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묶음끈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묶음끈 절단유닛이 절단위치로 이동하여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인장 와이어를 연결하고 있는 묶음끈을 절단함으로써,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C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 절단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환자의 동맥류 발생부위 내로 도 1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E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 절단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 절단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B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C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 절단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환자의 동맥류 발생부위 내로 도 1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를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는,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마이크로 코일유닛(110)과,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을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측으로 운반하는 코일 푸셔유닛(120)과, 코일 푸셔유닛(12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와이어(130)와, 마이크로 코일유닛(110)과 인장 와이어(130)에 연결되는 묶음끈(140)과, 묶음끈(140)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묶음끈(140)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코일 푸셔유닛(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단위치로 이동 시 묶음끈(140)을 절단하는 묶음끈 절단유닛(150)을 포함한다.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시킨다. 이러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에 삽입되었을 때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혈전을 유도하는 혈전유도코일(111)과, 혈전유도코일(111)의 내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신장저항성 코어(112)를 포함한다.
혈전유도코일(111)은 적합한 직경을 갖는 백금 재질의 와이어를 코일 와인딩 장치(맨드릴, Mandrel)에 감은 뒤 고온의 오븐(Oven)에서 열처리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코일 와인딩 장치는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에서 변형되어야 할 혈전유도코일(111)의 형상을 고려하여 이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장치를 말하며, 적합한 직경은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된 직경을 말한다. 다만 혈전유도코일(111)의 직경은 혈전유도코일(111)의 변형 전 형상, 유연성 및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에서의 변형된 형상 등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에서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변형되며,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에 정확하게 혈전유도코일(111)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신장저항성 코어(112)가 아닌 혈전유도코일(111) 자체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나선형으로 감긴 혈전유도코일(111)의 특성상 N번째 감긴 부분과 이에 인접한 N+1번째 감긴 부분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며, 동맥류 수술을 담당하는 시술자(예컨대 의사 등, 이하 생략)는 마이크로 카테터(X) 내에서 신장저항성 코어(112)를 미세하게 밀거나 당김으로써 이에 연결된 혈전유도코일(111)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이를 밀거나 당기는 경우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시술자는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로 정확하게 혈전유도코일(111)을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폴리머(Polymer) 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폴리머는 단위체(單位體, monomer)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분자가 중합하여 생기는 중합체(重合體)를 의미한다.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특히 다양한 종류의 폴리머 중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Polyamide monofilament) 및 폴리아미드 콤포지트 필라멘트(Polyamide composite filament)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를 말하며, 나일론은 합성고분자 폴리아마이드의 총칭으로 아마이드결합(-CONH-)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를 말하고, 폴리아미드 모노필라멘트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미드의 주쇄(主鎖)구조를 갖는 폴리머인 폴리아미드(Polyamide)를 이용하여 마련되는 단일 필라멘트를 말하며, 폴리아미드 콤포지트 필라멘트는 폴리아미드를 이용하여 마련되는 복합 필라멘트를 의미한다.
폴리머 재질의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유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신장에 저항할 수 있는 힘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프레이밍코일(framing coil) 또는 필링코일(filling coil) 또는 피니싱코일(finishing coil)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프레이밍코일은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로 최초로 삽입되어 필링코일이 채워질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코일을 말하며, 필링코일은 프레이밍코일의 사이를 메우도록 채워지는 코일을 말하고, 피니싱코일은 필링코일에 의해 채워지지 않은 프레이밍코일의 미세한 간격을 메우는 코일을 말한다.
다만,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니티놀(NiTinol)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니티놀은 니켈과 티타늄을 대략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여 합성되는 비자성합금(非磁性合金)을 말한다.
한편, 코일 푸셔유닛(120) 측에 인접한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일단부는 루프(loop)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그 반대측 단부인 타단부는,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재질에 따라 녹여지거나 용접되어 형성되는 구형 또는 구형의 일부분인 형상(이하, '팁볼(TB)'이라 함)을 갖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각각 루프 형상을 가지고 2 개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이중 루프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일단부를 루프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은 그 내부를 묶음끈(140)이 관통하여 용이하게 묶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묶음끈(140)을 통해 인장 와이어(130)와 연결된다.
또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신장저항성 코어(112)에 결합되어 혈전유도코일(111) 내부에서 신장저항성 코어(112)를 지지하는 코어 지지부재(113)를 더 포함한다. 코어 지지부재(113)는 팁볼(TB)의 반대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코어 지지부재(113)가 팁볼(TB)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신장저항성 코어(112)를 지지함으로써 신장저항성 코어(112)는 혈전유도코일(111)의 내강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타단부에 팁볼(TB)을 형성시키는 것은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로 혈전유도코일(111)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혈전유도코일(111)에 의하여 혈관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팁볼(TB)은,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재질의 용융 온도 또는 용융 온도 이상에서 신장저항성 코어(112) 융용시켜 형성한다. 이러한 작업은 가열 공기 대류, 땜납 인두(soldering iron)와 같은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재질을 용융시킬 수 있는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재질이 금속이라면, 팁볼(TB)은, 신장저항성 코어(112)에서 코일 푸셔유닛(120)에 인접한 일단부의 반대측 단부인 타단부를 아크 용접되어 마련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팁볼(TB)은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타단부를 전기 아크 용접(electric arc welding)하여 형성되며, 여기서 전기 아크 용접하는 방법은, 혈전유도코일(111)을 구형으로 녹인다. 어떤 금속 재질은 전기 아크 용접이 불활설가스상태(inert-gas vacuum)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전기 아크 용접은, 피복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슬래그가 발생하지 않고, 정밀용접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의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팁볼(TB)을 성형하는데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팁볼(TB)의 형성방법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의 팁볼(TB)은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타단부를 전기 아크 용접이 아닌 다른 용접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혈전유도코일(111)은 그 일단부가 팁볼(TB)에 접촉됨으로써 신장저항성 코어(112)에 고정된다. 그러나 팁볼(TB)은 혈전유도코일(111)의 일단부와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일단부를 함께 아크 용접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팁볼(TB)은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타단부 만을 용접하는 것이 아니라, 혈전유도코일(111)의 일단부와 신장저항성 코어(112)의 타단부를 함께 아크 용접하여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팁볼(TB)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신장저항성 코어(112)를 생산하고 혈전유도코일(111)의 말단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원형으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접착제는 임플란트 등급(implant-grade)의 폴리머(polymer), 예를 들면, 부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n-butyl cyanoacrylate) 또는 에폭시(epoxy)와 같은 코폴리머co-polymer)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팁볼(TB)은 자외선광 또는 고온상태에 의해 부착이 해제된다.
코일 푸셔유닛(120)은,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을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측으로 운반한다. 이러한 코일 푸셔유닛(120)은, 내부에 인장 와이어(130)가 수용되는 푸셔 튜브(121)를 포함한다.
푸셔 튜브(121)는, 금속합금 주로 니티놀(NiTinol) 또는 300계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거나, 또는 피크(PEEK, ployetheretherketone)와 같은 강성 중합체 또는 강성 중합체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금속합금의 조합으로 된 강성 중합체 튜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셔 튜브(121)에는, 마이크로 코일유닛(110)과 인접하는 부분에 구부리기 용이하며, 폴리머 피복이 적층된 금속코일의 나선패턴(123)이 마련된다. 여기서 나선패턴(123)이 푸셔 튜브(121)에 마련되는 이유는 푸셔 튜브(121)가 완만하게 구부릴 수 있도록 하여 어느 특정 부위에서 푸셔 튜브(121)가 갑자기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나선패턴(123)이 있는 푸셔 튜브(121)의 외면에는 외부 보호 폴리머 튜브(미도시)가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
나선패턴(123)은, 환자의 조직 맥관구조(neurovasculature)에서 더욱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푸셔 튜브(121)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푸셔 튜브를 더욱 우연하게 만드는 다른 방법은, 복수개의 인접한 슬롯들의 패턴을 단단한 튜브의 말단 영역에 180도 떨어지게 양측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인접 슬롯들은 튜브 직경의 절반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인접한 슬롯들, 푸셔 튜브가 미린 굽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도에서 90도 정도로 교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코일 푸셔유닛(120)은, 푸셔 튜브(121)의 나선패턴(123) 전단부에 결합되고, 묶음끈(140)이 통과되는 개구공이 형성되며, 묶음끈(140)의 절단 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이 푸셔 튜브(121)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코일 스토퍼(12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코일 스토퍼(122)는, 묶음끈의 절단 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이 나선패턴(123)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묶음끈의 절단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인장 와이어(130)는 코일 푸셔유닛(12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장 와이어(130)는 푸셔 튜브(121)의 내부에 푸셔 튜브(12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인장 와이어(130)의 조작을 위해, 인장 와이어(130)의 일단부는 푸셔 튜브(121)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장 와이어(130)에는, 묶음끈(140)이 매듭부(141,144)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인장 와이어(130)에는 이러한 매듭부(141,144)의 이동을 제한하는 매듭부 스토퍼(131)가 마련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장 와이어(130)의 매듭부 스토퍼(131)는 후술한다.
묶음끈(140)은, 마이크로 코일유닛(110)과 인장 와이어(130)를 연결한다. 묶음끈(140)의 양측 말단부가 인장 와이에어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묶음끈(140)이 마이크로 코일유닛(110)과 인장 와이어(130)를 연결하는데, 이러한 묶음끈(140)의 배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묶음끈(140)은 봉합사(suture)로 마련될 수 있다.
묶음끈 절단유닛(150)은, 묶음끈(140)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묶음끈(140)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코일 푸셔유닛(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단위치로 이동 시 묶음끈(140)을 절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묶음끈 절단유닛(150)은 코일 푸셔유닛(1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묶음끈 절단유닛(150)은, 인장 와이어(130)에 결합되어 인장 와이어(1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 블레이드(151)를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151)는 인장 와이어(130)의 이동에 연동되도록 일측에서 인장 와이어(130)의 말단부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블레이드(151)는, 인장 와이어(130)의 이동에 연동됨으로써, 인장 와이어(130)의 이동에 의해 코일 푸셔유닛(120)의 내부에서 묶음끈(140)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묶음끈(140)을 절단하는 절단위치로 이동된다.
절단위치에서 묶음끈(140)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묶음끈 절단유닛(150)은, 코일 푸셔유닛(120)에 마련되어 제1 블레이드(151)가 절단위치로 이동 시 제1 블레이드(151)와 상호 작용하여 묶음끈(140)을 절단하는 제2 블레이드(155)를 더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제1 블레이드(151)와 제2 블레이드(155)는 300계열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블레이드(155)는 고정 배치되어 푸셔 튜브(121)의 내로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블레이드(155)에 접근 및 이격되도록 제1 블레이드(151)가 나선패턴(123) 내부에서 상대이동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블레이드(155)는 푸셔 튜브(121)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푸셔 튜브(121)의 내부에 고정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블레이드(155)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블레이드(151)는, 묶음끈(140)의 절단 시 인장 와이어(130)의 이동에 의해 제2 블레이드(155)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블레이드(155)와 맞물려 묶음끈(140)을 절단한다. 묶음끈(140)의 절단부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
한편, 제2 블레이드(155)에는, 코일 푸셔유닛(120)의 길이방향으로 묶음끈(140)이 통과하는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이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151)에는, 코일 푸셔유닛(120)의 길이방향으로 묶음끈(140)이 통과하는 제1 블레이드 통과공(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묶음끈(140)의 절단 시 제1 블레이드(151)는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에 일부분이 삽입됨으로써 묶음끈(140)의 절단이 더욱 용이하다.
여기서, 묶음끈(140)은, 인장 와이어(130)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1 매듭부(141)와, 제1 매듭부(141)와 연결되어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과 제1 블레이드(151)의 외부를 통과하는 제1 연장부(142)와, 제1 연장부(142)와 연결되어 제1 블레이드 통과공(152)을 통과하는 제2 연장부(143)와, 제2 연장부(143)와 연결되고, 제1 매듭부(141)와 인접하게 인장 와이어(130)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2 매듭부(144)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142)는, 제1 블레이드(151)와 제2 블레이드(155)의 상대이동에 의해 절단되도록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을 통과하되 제1 블레이드(151)의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제1 블레이드(151)의 외부를 통과한다.
따라서 묶음끈(140)의 절단 시 제1 블레이드(151)와 제2 블레이드(155)는 제1 연장부(142)를 절단한다. 이때 절단위치는, 제1 블레이드(151)의 후단부와 제2 블레이드(155)의 전단부가 상호 접촉하는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블레이드(151)의 후단부와 제2 블레이드(155)의 전단부가 상호 접촉하여 제1 연장부(142)를 절단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의 내경(D2)은, 제1 블레이드(151)의 외경(D1)보다는 크고 제1 블레이드(151)의 외경(D1)과 묶음끈(140)의 두께(T)를 합한 길이(D3)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의 내경(D2)이 제1 블레이드(151)의 외경(D1)과 묶음끈(140)의 두께를 합한 길이(D3)보다 작게 형성되면, 제1 블레이드(151)의 후단부가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에 삽입되면서 용이하게 묵음끈의 제1 연장부(142)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인장 와이어(130)는, 제1 매듭부(141) 및 제2 매듭부(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제한하는 매듭부 스토퍼(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매듭부 스토퍼(131)는, 묶음끈(140)의 절단을 위해 제1 블레이드(151)를 제2 블레이드(155) 방향으로 당기는 과정에서 제1 매듭부(141) 및 제2 매듭부(144)가 제1 블레이드(151) 방향으로 인장 와이어(1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는, 묶음끈 절단유닛(150)이 묶음끈(140)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에서 묶음끈(140)을 절단하는 절단위치로 이동되어 마이크로 코일유닛(110)과 인장 와이어(130)와에 연결되어 있는 묶음끈(140)을 절단함으로써,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에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는, 환자의 대퇴부 등 적합한 삽입개시위치로부터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까지 연장되는 마이크로 카테터(X)의 내강(X1)을 따라 동맥(Artery) 상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로 삽입된다. 즉, 먼저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까지 연장되는 마이크로 카테터(X)를 삽입한 후, 이를 따라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를 삽입한다.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는 매우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는 바 마이크로 카테터(X) 내에서 일정한 유연성을 가지게 되어 삽입의 편의가 도모된다.
코일 푸셔유닛(120)에 연결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마이크로 카테터(X)의 내벽이 가하는 응력에 따라 마이크로 카테터(X) 내에서 임의로 변형되지 않으며, 마이크로 카테터(X)를 따라 그대로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까지 운반된다.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이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에 삽입되면 인장 와이어(130)를 당겨 제1 블레이드(151)를 제2 블레이드(155)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코일 스토퍼(122)에 의하여 코일 푸셔유닛(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후 제1 블레이드(151)가 점점 제2 블레이드(155)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블레이드(151)가 묶음끈(140)을 절단하는 절단위치로 이동된다. 절단위치에서 제1 블레이드(151)의 후단부와 제2 블레이드(155)의 전단부가 서로 맞물리며 묶음끈(140)의 제1 연장부(142)가 절단된다.
다음 절단된 묶음끈(140)은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의 신장저항성 코어(112)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결국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이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에서 분리된다.
이때 묶음끈(140)은 인장 와이어(130)에 제1 매듭부(141)와 제2 매듭부(144)를 통해 묶여있기 때문에, 묶음끈(140)이 절단되더라도 묶음끈(140)은 인장 와이어(13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묶음끈(140)이 절단됨에 따라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에서 분리되어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에 완전히 삽입된다.
마이크로 카테터(X)의 끝단으로부터 유출되어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로 삽입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마이크로 카테터(X)의 내벽이 가하고 있던 응력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열처리 과정을 통해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변화하면서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를 채우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은 마이크로 카테터(X)의 끝단으로부터 유출되며 미리 결정된 2차원 나선형 또는 3차원 복합형의 미리 결정된 임의의 형상으로 변형된다.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의 변형 형상은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의 크기, 형상 기타 여러 자료를 토대로 사전에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는, 마이크로 코일유닛(110)과 인장 와이어(130)를 상호 연결하는 묶음끈(140)이, 세팅위치와 절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묶음끈 절단유닛(150) 절단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절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에서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되어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M) 내에 마이크로 코일유닛(110)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시술자의 시술 목적에 효율적으로 부응할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E영역의 내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 절단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의 절단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코일 푸셔유닛(120a)과 묶음끈 절단유닛(150a)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코일 푸셔유닛(120a)과 묶음끈 절단유닛(150a)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a)에서 코일 푸셔유닛(120a)은, 내부에 인장 와이어(130)가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푸셔 튜브(121a)를 포함한다. 푸셔 튜브(121a)의 전단부에는 제2 블레이드(155a)가 고정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블레이드(155a)가 푸셔 튜브(121a)의 전단부에 배치됨으로써 제1 실시예의 코일 스토퍼(122)가 필요치 않아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100a)의 구조가 단순화된다.
한편 제2 블레이드(155a)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일 푸셔유닛(120)의 길이방향으로 묶음끈(140a)이 통과하는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레이드(155a)에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코일 푸셔유닛(120)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과 연통되는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은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과 연통되도록 제2 블레이드(155a)의 측벽에 형성된다.
한편, 제1 블레이드(151a)는 제2 블레이드(155a)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블레이드(151a)는 제2 블레이드(155a)의 내부를 따라, 즉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에 안내되어 이동한다.
또한 제1 블레이드(151a)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일 푸셔유닛(120)의 길이방향으로 제1 블레이드 통과공(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블레이드(151a)에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코일 푸셔유닛(120)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세팅위치에서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과 연통되는 제1 블레이드 교차공(15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블레이드 교차공(153)은 제1 블레이드 통과공(152)과 연통되도록 제1 블레이드(151a)의 측벽에 형성된다.
한편, 묶음끈(140a)은, 인장 와이어(130)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1 매듭부(미도시)와, 제1 매듭부와 연결되어 제1 블레이드 교차공(153)과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을 통과하는 제1 연장부(142a)와, 제1 연장부(142a)와 연결되어 제1 블레이드 통과공(152)과 제2 블레이드 통과공(156)을 통과하는 제2 연장부(143)와, 제2 연장부(143)와 연결되고, 제1 매듭부(141)와 인접하게 인장 와이어(130)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2 매듭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장부(142a)는, 제1 블레이드 교차공(153)과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을 통과하므로, 제1 블레이드(151a)와 제2 블레이드(155a)의 상대이동에 의해 절단된다.
결국, 묶음끈(140a)을 절단하는 절단위치는 제1 블레이드(151a)가 이동하여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을 차단함으로써 제1 블레이드(151a)와 제2 블레이드(155a)가 상호 작용하여 제1 연장부(142a)를 절단하는 위치이다.
이러한 절단위치에서, 제1 블레이드 교차공(153)의 내벽(154)과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의 내벽(158)이 상호 맞물려 묶음끈(140a)을 절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에서 묶음끈 절단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의 내벽(158a)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8 내지 도 11의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의 내벽(158a)의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서 제1 블레이드 교차공(153)을 형성하는 내벽(154)과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을 형성하는 내벽(1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벽(154,158)이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지면, 제1 연장부(142a)의 절단이 더욱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을 형성하는 내벽(158a)은,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진다.
이와 같이 날카로운 형상을 갖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제2 블레이드 교차공(157)의 내벽(158a)은, 묶음끈(140a)의 절단 시 제1 블레이드 교차공(153)의 내벽(154)과 상호 맞물리면서 제1 연장부(142a)를 더욱 용이하게 절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100a: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10: 마이크로 코일유닛
111: 혈전유도코일 112: 신장저항성 코어
113: 코어 지지부재 120: 코일 푸셔유닛
121: 푸셔 튜브 122: 코일 스토퍼
123: 나선패턴 130: 인장 와이어
131: 매듭부 스토퍼 140,140a: 묶음끈
141: 제1 매듭부 142,142a: 제1 연장부
143: 제2 연장부 144: 제2 매듭부
150,150a: 묶음끈 절단유닛 151,151a: 제1 블레이드
152: 제1 블레이드 통과공 153: 제1 블레이드 교차공
154: 제1 블레이드 교차공 내벽 155,155a: 제2 블레이드
156: 제2 블레이드 통과공 157: 제2 블레이드 교차공
158, 158a: 제2 블레이드 교차공 내벽 C: 마이크로 카테터
TB: 팁볼 M: 동맥류(aneurysm) 발생부위

Claims (18)

  1.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혈전을 유도함으로써 혈류의 유입을 저지하는 마이크로 코일유닛;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을 상기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측으로 운반하는 코일 푸셔유닛;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장 와이어;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상기 인장 와이어에 연결되는 묶음끈; 및
    상기 묶음끈을 묶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세팅위치와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절단위치 간을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 시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묶음끈 절단유닛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끈 절단유닛은,
    상기 인장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인장 와이어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끈 절단유닛은,
    상기 코일 푸셔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상기 절단위치로 이동 시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묶음끈을 절단하는 제2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 내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2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묶음끈이 통과하는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묶음끈의 절단 시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의 내경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외경과 상기 묶음끈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묶음끈이 통과하는 제1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끈은,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1 매듭부;
    상기 제1 매듭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과 상기 제1 블레이드 외부를 통과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 통과공을 통과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매듭부와 인접하게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2 매듭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위치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후단부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전단부가 상호 접촉하여 상기 제1 연장부를 절단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전단부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2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묶음끈이 통과하는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블레이드 통과공과 연통되는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블레이드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에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제1 블레이드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세팅위치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과 연통되는 제1 블레이드 교차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끈은,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1 매듭부;
    상기 제1 매듭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 교차공과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을 통과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 통과공과 제2 블레이드 통과공을 통과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매듭부와 인접하게 상기 인장 와이어의 후단부에 매듭되는 제2 매듭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위치는,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이동하여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 연장부를 절단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교차공을 형성하는 내벽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교차공을 형성하는 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벽은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3.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와이어는,
    상기 제1 매듭부 및 상기 제2 매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제한하는 매듭부 스토퍼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은,
    상기 환자의 동맥류(aneurysm) 또는 다른 혈관 기형(vascular malformation) 발생부위 내에 삽입되어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혈전을 유도하는 혈전유도코일; 및
    상기 혈전유도코일의 내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신장저항성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묶음끈은, 상기 인장 와이어와 상기 신장저항성 코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은,
    상기 신장저항성 코어에 결합되어 상기 혈전유도코일 내부에서 상기 신장저항성 코어를 지지하는 코어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푸셔유닛은,
    내부에 상기 인장 와이어가 수용되는 푸셔 튜브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튜브에는,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과 인접하는 부분에 나선패턴이 마련되며,
    상기 코일 푸셔 유닛은,
    상기 푸셔 튜브의 나선 패턴 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묶음끈이 통과되는 개구공이 형성되며, 상기 묶음끈의 절단 시 상기 마이크로 코일유닛이 상기 푸셔 튜브의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코일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끈은 봉합사(suture)이며,
    상기 인장 와이어는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인장 와이어의 조작을 위해 상기 인장 와이어의 일단부가 상기 코일 푸셔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KR1020110128649A 2011-12-02 2011-12-02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KR10131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49A KR101315443B1 (ko) 2011-12-02 2011-12-02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CN201180076242.3A CN104349723B (zh) 2011-12-02 2011-12-06 微线圈组件
RU2014126806/14A RU2594242C1 (ru) 2011-12-02 2011-12-06 Сборочный узел микроспирали
BR112014013266A BR112014013266A8 (pt) 2011-12-02 2011-12-06 Conjunto de microespiral
EP11876854.8A EP2786711A4 (en) 2011-12-02 2011-12-06 MICRO COIL ARRANGEMENT
JP2014544636A JP6000368B2 (ja) 2011-12-02 2011-12-06 マイクロコイルアセンブリ
AU2011382564A AU2011382564B2 (en) 2011-12-02 2011-12-06 Microcoil assembly
PCT/KR2011/009384 WO2013081227A1 (ko) 2011-12-02 2011-12-06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CA2857471A CA2857471A1 (en) 2011-12-02 2011-12-06 Micro-coil assembly
IL232835A IL232835A0 (en) 2011-12-02 2014-05-27 An assembly of micro-coils
US14/291,650 US9936957B2 (en) 2011-12-02 2014-05-30 Micro-coi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49A KR101315443B1 (ko) 2011-12-02 2011-12-02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81A true KR20130062181A (ko) 2013-06-12
KR101315443B1 KR101315443B1 (ko) 2013-10-07

Family

ID=4853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649A KR101315443B1 (ko) 2011-12-02 2011-12-02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936957B2 (ko)
EP (1) EP2786711A4 (ko)
JP (1) JP6000368B2 (ko)
KR (1) KR101315443B1 (ko)
CN (1) CN104349723B (ko)
AU (1) AU2011382564B2 (ko)
BR (1) BR112014013266A8 (ko)
CA (1) CA2857471A1 (ko)
IL (1) IL232835A0 (ko)
RU (1) RU2594242C1 (ko)
WO (1) WO2013081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8747B2 (en) 2008-05-01 2018-07-24 Aneuclose Llc Coils with a series of proximally-and-distally-connected loops for occluding a cerebral aneurysm
US10716573B2 (en) 2008-05-01 2020-07-21 Aneuclose Janjua aneurysm net with a resilient neck-bridging portion for occluding a cerebral aneurysm
US9358140B1 (en) 2009-11-18 2016-06-07 Aneuclose Llc Stent with outer member to embolize an aneurysm
WO2013049837A1 (en) 2011-09-30 2013-04-04 Medicalcue, Inc. Umbilical probe measurement systems
KR20150127200A (ko) 2013-03-14 2015-11-16 인큐메덱스, 아이엔씨. 환자의 혈관 질환부로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WO2015024177A1 (en) 2013-08-20 2015-02-2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us of popcorn in a microwave
EP3087805B1 (en) 2013-12-23 2018-05-30 Whirlpool Corporation Interrupting circuit for a radio frequency generator
US11224437B2 (en) * 2014-01-14 2022-01-18 Penumbra, Inc. Soft embolic implant
US9918718B2 (en) 2014-08-08 2018-03-20 DePuy Synthes Products, Inc. Embolic coil delivery system with retractable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JP2017528884A (ja) 2014-09-17 2017-09-28 ワールプ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パッチアンテナを介した直接加熱
US10904961B2 (en) 2015-03-06 2021-01-2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calibrating a high power amplifier for a radio frequency power measurement system
JP7027891B2 (ja) 2015-06-03 2022-03-02 ワールプ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電磁調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052108B2 (en) 2015-10-30 2018-08-21 Incumedx,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 implant to a vascular disorder
US11090055B2 (en) 2015-10-30 2021-08-17 Incumedx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 implant to a vascular disorder
US10764970B2 (en) 2016-01-08 2020-09-01 Whirlpool Corporation Multiple cavity microwave oven insulated divider
WO2017119909A1 (en) 2016-01-08 2017-07-1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eating strategies
JP6775023B2 (ja) 2016-01-28 2020-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品を調理するために高周波電磁エネルギーを伝達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7142503A1 (en) 2016-02-15 2017-08-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radio frequency electromagnetic energy to cook foodstuff
US10827569B2 (en) 2017-09-01 2020-11-03 Whirlpool Corporation Crispness and browning in full flat microwave oven
US11039510B2 (en) 2017-09-27 2021-06-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magnetic cooking using asynchronous sensing strategy for resonant modes real-time tracking
US10806462B2 (en) 2017-12-21 2020-10-20 DePuy Synthes Product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detachment system with split tube and cylindrical coupling
US10772165B2 (en) 2018-03-02 2020-09-08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zone cooking according to spectromodal theory in a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US11404758B2 (en) 2018-05-04 2022-08-02 Whirlpool Corporation In line e-probe waveguide transition
US10912160B2 (en) 2018-07-19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US11951026B2 (en) 2020-06-30 2024-04-09 DePuy Synthes Product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detachment system with flexible braid section
EP4277546A1 (en) * 2021-01-14 2023-11-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lexible and stretch resistant elongate shaft
CN113081180A (zh) * 2021-04-08 2021-07-09 张昊 一种可同步精细旋转刀头的十二指肠乳头切开刀
US11844490B2 (en) 2021-12-30 2023-12-19 DePuy Synthes Products, Inc. Suture linkage for inhibi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ployment
US11937824B2 (en) 2021-12-30 2024-03-26 DePuy Synthes Products, Inc. Implant detachment systems with a modified pull wire
US11937825B2 (en) 2022-03-02 2024-03-26 DePuy Synthes Products, Inc. Hook wire for preven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tachment
US11937826B2 (en) * 2022-03-14 2024-03-26 DePuy Synthes Products, Inc. Proximal link wire for preventing premature implant de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318235A1 (ru) * 1984-07-10 1987-06-23 Харьк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общей и неотложной хирург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протеза в кровеносный сосуд
US5261916A (en) 1991-12-12 1993-11-16 Target Therapeutics Detachable pusher-vasoocclusive coil assembly with interlocking ball and keyway coupling
DK0791333T3 (da) 1991-12-12 2000-05-01 Target Therapeutics Inc Adskillelig udstøder-karokklusionsspiralkonstruktion med sammenlåsende kobling
US5263964A (en) 1992-05-06 1993-11-23 Coil Partners Ltd. Coaxial traction de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US5312415A (en) 1992-09-22 1994-05-17 Target Therapeutics, Inc. Assembly for placement of embolic coils using frictional placement
US5350397A (en) 1992-11-13 1994-09-27 Target Therapeutics, Inc. Axially detachable embolic coil assembly
US5250071A (en) 1992-09-22 1993-10-05 Target Therapeutics, Inc. Detachable embolic coil assembly using interlocking clasps and method of use
US5725546A (en) 1994-06-24 1998-03-10 Target Therapeutics, Inc. Detachable microcoil delivery catheter
US5814062A (en) 1994-12-22 1998-09-29 Target Therapeutics, Inc. Implant delivery assembly with expandable coupling/decoupling mechanism
US5582619A (en) 1995-06-30 1996-12-10 Target Therapeutics, Inc. Stretch resistant vaso-occlusive coils
US5911737A (en) 1997-02-28 1999-06-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fabricated therapeutic actuators
US5944733A (en) 1997-07-14 1999-08-31 Target Therapeutics, Inc. Controlled detachable vasoocclusive member using mechanical junction and friction-enhancing member
US6562021B1 (en) 1997-12-22 2003-05-13 Micrus Corporation Variable stiffness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 resistive heating catheter shaft
US6022369A (en) 1998-02-13 2000-02-08 Precision Vascular Systems, Inc. Wire device with detachable end
US6068644A (en) 1998-03-10 2000-05-30 Cordis Corporation Embolic coil hydraulic deployment system having improved catheter
US6015424A (en) 1998-04-28 2000-01-18 Microven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ascular embolization
US6478773B1 (en) * 1998-12-21 2002-11-12 Micrus Corporation Apparatus for deployment of micro-coil using a catheter
US6296622B1 (en) 1998-12-21 2001-10-02 Micrus Corporation Endoluminal device delivery system using axially recovering shape memory material
ES2198673T3 (es) 1998-12-16 2004-02-01 Arthesys Sistema de cateter para liberacion de bobinas de embolizacion por presion hidraulica.
US6835185B2 (en) 1998-12-21 2004-12-28 Micrus Corporation Intravascular device deployment mechanism incorporating mechanical detachment
US6221066B1 (en) 1999-03-09 2001-04-24 Micrus Corporation Shape memory segmented detachable coil
US6887235B2 (en) 1999-03-24 2005-05-03 Micrus Corporation Variable stiffness heating catheter
US6482221B1 (en) 2000-08-21 2002-11-19 Counter Clockwise, Inc. Manipulatable delivery catheter for occlusive devices (II)
US7608058B2 (en) * 2002-07-23 2009-10-27 Micrus Corporation Stretch resistant therapeutic device
US20050149108A1 (en) 2003-12-17 2005-07-07 Microvention, Inc. Implant delivery and detachment system and method
EP1761178B1 (en) * 2004-05-21 2010-12-08 Micro Therapeutics, Inc. Metallic coils enlaced with biological or biodegradable or synthetic polymers or fibers for embolization of a body cavity
US20060025802A1 (en) * 2004-07-30 2006-02-02 Sowers William W Embolic coil delivery system with U-shaped fiber release mechanism
JP4253717B2 (ja) * 2004-09-08 2009-04-15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把持装置
US20060116714A1 (en) 2004-11-26 2006-06-01 Ivan Sepetka Coupling and release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assembly and use
JP4823620B2 (ja) * 2005-05-24 2011-11-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縫合結紮装置
US7377932B2 (en) 2005-06-02 2008-05-27 Cordis Neurovascular, Inc. Embolic coil delivery system with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US7371251B2 (en) * 2005-06-02 2008-05-13 Cordis Neurovascular, Inc. Stretch resistant embolic coil delivery system with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US7985238B2 (en) 2005-06-02 2011-07-26 Codman & Shurtleff, Inc. Embolic coil delivery system with spring wire release mechanism
US8252005B2 (en) * 2005-06-30 2012-08-2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tissue
US7722636B2 (en) 2005-11-30 2010-05-25 Codman & Shurtleff, Inc. Embolic device delivery system with torque fracture characteristic
US7942894B2 (en) 2006-01-31 2011-05-17 Codman & Shurtleff, Inc. Embolic device delivery system
JP5230602B2 (ja) 2006-04-17 2013-07-10 タイコ ヘルスケア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血管内インプラントを機械的に位置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62325B2 (en) 2006-07-31 2011-11-22 Codman & Shurtleff,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detachment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901444B2 (en) 2006-09-29 2011-03-08 Codman & Shurtleff, Inc. Embolic coil delivery system with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US8956381B2 (en) * 2006-11-20 2015-02-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chanically detachable vaso-occlusive device
WO2008064206A2 (en) * 2006-11-20 2008-05-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chanically detachable vaso-occlusive device
CN101835430B (zh) 2007-03-13 2013-06-05 泰科保健集团有限合伙公司 包括线圈和抗拉伸构件的植入物
US20100121350A1 (en) 2007-04-12 2010-05-13 Greg Mirigian Instantaneous mechanical detachment mechanism for vaso-occlusive devices
US8795316B2 (en) 2007-04-25 2014-08-05 DePuy Syntheses Products, LLC Implantable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with a frangible por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09058360A1 (en) 2007-10-30 2009-05-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gradable detachment mechanisms for implantable devices
US8333796B2 (en) 2008-07-15 2012-12-18 Penumbra, Inc. Embolic coil implant system and implantation method
ES2526417T3 (es) 2008-09-09 2015-01-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canismos de despegado de material compuesto
US9078631B2 (en) * 2009-07-28 2015-07-14 St. Jude Medical Puerto Rico Llc Dual hypotube suture cutting device and methods
US8845682B2 (en) * 2009-10-13 2014-09-30 E-Pacing, Inc. Vasculature closure devices and methods
KR20110043799A (ko) * 2009-10-16 2011-04-28 강호창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US8945171B2 (en) 2011-09-29 2015-02-03 Covidien Lp Delivery system for implantable devices
US9155540B2 (en) 2012-03-30 2015-10-13 DePuy Synthes Products, Inc. Embolic coil detachment mechanism with heating element and kicker
EP2668915A1 (en) 2012-06-01 2013-12-04 Acandis GmbH & Co. KG System for delivering a stretch resistant vaso-occlusive device and a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140058435A1 (en) 2012-08-21 2014-02-27 Donald K. Jones Implant delivery and release system
US20140058434A1 (en) 2012-08-21 2014-02-27 Donald K. Jones Releasable device system
US8597323B1 (en) 2012-11-16 2013-12-03 Sequent Medical, Inc. Delivery and detachment systems and methods for vascular implants
US9149278B2 (en) 2013-03-13 2015-10-06 DePuy Synthes Products, Inc.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with mechanical detachment
KR20150127200A (ko) 2013-03-14 2015-11-16 인큐메덱스, 아이엔씨. 환자의 혈관 질환부로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9723B (zh) 2017-08-15
EP2786711A1 (en) 2014-10-08
RU2594242C1 (ru) 2016-08-10
AU2011382564B2 (en) 2017-05-25
BR112014013266A2 (pt) 2017-06-13
JP2015502797A (ja) 2015-01-29
US20140277100A1 (en) 2014-09-18
AU2011382564A1 (en) 2014-07-17
WO2013081227A1 (ko) 2013-06-06
US9936957B2 (en) 2018-04-10
BR112014013266A8 (pt) 2017-12-19
CA2857471A1 (en) 2013-06-06
EP2786711A4 (en) 2015-06-24
IL232835A0 (en) 2014-07-31
CN104349723A (zh) 2015-02-11
KR101315443B1 (ko) 2013-10-07
JP6000368B2 (ja)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443B1 (ko)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KR20110043799A (ko)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EP1720462B1 (en) Vaso-occlusive coils with non-overlapping sections
EP2353523B1 (en) Microcoil vaso-occlusive device with multi-axis secondary configuration
KR100621819B1 (ko) 3차원적이고 저마찰의 혈관 폐색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EP1105053B1 (en) Vasoocclusive coil
JP4528826B2 (ja) 動脈瘤の治療用血管閉塞デバイス
AU2008226695B2 (en) An implant, a mandrel, and a method of forming an implant
JP7175638B2 (ja) 血管の欠陥の処置のためのフィラメントのデバイス
US20050107823A1 (en) Anchored stent and occlusive device for treatment of aneurysms
CA2498192A1 (en) Microcoil vaso-occlusive device with multi-axis secondary configuration
EP2668915A1 (en) System for delivering a stretch resistant vaso-occlusive device and a method of producing same
EP1448105B1 (en) Microcoil vaso-occlusive device with multi-axis secondary configuration
KR101103303B1 (ko) 분리가능한 마이크로코일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