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682A - 세정액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액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682A
KR20130058682A KR1020127028729A KR20127028729A KR20130058682A KR 20130058682 A KR20130058682 A KR 20130058682A KR 1020127028729 A KR1020127028729 A KR 1020127028729A KR 20127028729 A KR20127028729 A KR 20127028729A KR 20130058682 A KR20130058682 A KR 20130058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liquid
high pressure
washing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885B1 (ko
Inventor
유타카 다케노우치
요시히사 오츠
기요토미 사키구치
데루미 하부치
도모미 나카다
테츠야 야기시타
준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세정액 공급 장치는 세정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세정액 저장 탱크(T2)와, 당해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부터의 세정액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송출하는 고압 펌프(22)와, 상기 고압 펌프를 회전 구동하는 내연기관에 의한 엔진(23)과, 상기 엔진의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는 엔진 콘트롤러(27)가 구비되어 있다. 또, 고압 펌프(22)에 의해 가압된 고압 세정액을 토출하는 토출로(22b)와,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의 고압 세정액 중의 여수분을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로 되돌리는 여수로(22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엔진 콘트롤러(27)는 상기 고압 펌프(22)로부터 고압 세정액의 토출로(22b)로 나아가는 세정액의 유량을 고압 펌프에 구비된 압력 센서(24)에 의해 포착하여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세정액 공급 장치{CLEANING SOLUTION SUPPLY APPARATUS}
이 발명은 수돗물 혹은 우물물 등을 이용하여, 제균 및 소취(消臭)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약액을 첨가하여 세정액으로 하고, 이것을 고압 펌프로 가압하여 송출할 수가 있는 세정액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들어 도시 지역이나 그 근교에 있어서는 토지의 유효 활용의 관점에서 고층 빌딩 형식의 집합주택이 다수 건설되고 있다. 이 빌딩 형식의 집합주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생활 배수(오수)는 개별의 가정에 부설된 전용 배수관으로부터 빌딩 내부에 설치된 공용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의 수평관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양호한 생활환경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생활 배수에는 다량의 찌꺼기나 유지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이것이 배수관의 관벽에 고형물로 되어 강고하게 부착하여, 병원균의 발생이나 악취의 방출 등의 원인으로 되어 생활환경을 현저하게 악화시킨다. 또 때로는 관벽에 부착한 고형물 등이 배수관을 막히게 하는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기간마다 전용 배수관 및 공용 배수관의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것처럼 배수관 내에 부착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강력한 세정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그 하나로 고압수 분사 세정법이 존재한다.
이 고압수 분사 세정법은, 고압수 분사 노즐을 선단부에 부착한 굴곡 가능한 호스를 배수관 내에 삽입하고, 고압 펌프에 의해 고압화한 세정수를 호스에 공급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키면서 배수관 내를 전진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고압수 분사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 압력에 의해 배수관 내에 부착한 고형물 등을 해쇄(解碎) 또는 박리 제거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배수관 내의 고압수 분사 세정법 및 이것에 이용되는 고압수 분사 노즐 등에 대해서는, 본건 출원인으로부터도 이미 제안이 되어 있고, 이것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요즈음에 있어서는 상기한 배수관의 세정에 이용되는 세정수에 대해서도, 제균 및 소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약액을 첨가하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고, 예를 들면 차아염소산소다 등의 무기 알칼리 제제나, 이에 더하여 염산 등의 무기산을 첨가하여 세정액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세정액은 세정액 공급 장치에 구비된 세정액 저장 탱크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내연기관에 의한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분사 노즐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세정액 공급 장치는 예를 들면 3개 정도의 분사 노즐에 대해서, 동시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작업의 진행 정도에 따라, 3개의 분사 노즐로부터 동시에 세정액이 토출되는 경우도 있고, 어느 분사 노즐로부터도 세정액이 토출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상기한 것처럼, 각각의 분사 노즐로부터의 세정액의 토출 상황이나, 각 분사 노즐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토출량의 상이 등에 의해, 고압 펌프측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압 세정액의 양은 시시각각 변화한다. 또한, 고압 펌프에 있어서는 세정액의 토출량의 여하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의 세정액의 토출 압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정액 송출 유닛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액의 여수분(餘水分)이 상기 저장 탱크 내로 되돌려지도록 여수로의 배관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세정액 송출 유닛의 가동 중에 있어서 적은 수의 분사 노즐로부터 세정액이 토출되는 경우, 혹은 어느 분사 노즐로부터도 세정액이 토출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액의 대부분 혹은 전량이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 되돌려지게 된다. 즉, 세정액은 상기한 여수로의 배관을 통하여 고압 펌프와 세정액 저장 탱크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세정액은 고압 펌프 내를 통과하는데 즈음하여, 압축에 의해 고압의 에너지를 받게 되기 때문에 그 온도가 상승한다. 이 온도 상승한 세정액이 상기한 분사 노즐로부터 항상 토출되어 있으면 문제는 생기지 않지만, 상기한 것처럼 여수로의 배관을 통하여 고압 펌프로부터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 되돌아가는 세정액의 양이 많아지면,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가 축열되어 상승한다.
이와 같이 세정액의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는 세정 작업 중에 작업원이 부주의하게 세정액을 받아 화상을 입는 등의 위험한 문제도 초래된다. 또, 상기한 것처럼 제균 및 소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면 차아염소산소다나 염산 등의 약액을 수돗물에 첨가하여 세정액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세정액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염소 가스 등이 발생 정도가 증가하여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도 초래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2-27598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16364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150319호 공보
이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세정액을 고압 펌프에 의해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세정액 송출 유닛에 있어서, 분사 노즐로부터의 세정액의 토출량에 관계없이, 상기한 여수로의 배관을 통하여 세정액 저장 탱크로 되돌아가는 세정액의 양을 극력 줄이는 제어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는 세정액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 이 발명은 상기한 작용 효과에 더하여, 세정수에 약액을 첨가함으로써 세정액을 생성하는 세정액 생성 유닛에 있어서, 희석 혼합 탱크를 이용함으로써 약액 첨가량의 정확한 관리가 보장되고, 약액의 농도가 안정한 세정수를 얻을 수 있은 세정액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이 발명에 의한 세정액 공급 장치는, 세정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세정액 저장 탱크와, 당해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부터의 세정액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송출하는 고압 펌프와, 상기 고압 펌프를 회전 구동하는 내연기관에 의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는 엔진 콘트롤러를 가지고, 상기 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된 고압 세정액을 토출하는 토출로와,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의 고압 세정액 중의 여수분을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 되돌리는 여수로가 구비된 세정액 공급 장치로서,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고압 세정액의 토출로로 나아가는 세정액의 유량의 대소에 따라, 상기 엔진 콘트롤러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세정수가 도입됨과 아울러, 상기 세정수에 약액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세정액을 생성하는 약액 희석 혼합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로부터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에 대해서 세정액이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에는 당해 혼합 탱크 내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pH값을 측정하는 pH 센서가 배치되고, 당해 pH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pH값에 기초하여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 첨가되는 상기 약액의 첨가량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액량을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float sensor)와, 당해 플로트 센서에 의한 액량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양을 제어하는 급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 센서에 의한 액량의 검출값이 소정값에 이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의 급수를 정지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온 센서가 구비되고, 당해 액온 센서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액온 상승을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의 급수량을 증가시켜,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을 분출수(blow water)로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로트 센서에 의한 액량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급수를 정지시키는 제어에 대해서, 상기 액온 센서에 의한 액온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급수량을 증가시키는 제어가 우선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에 의한 세정액 공급 장치에 의하면, 고압 펌프로부터 고압 세정액의 토출로로 나아가는 세정액의 유량의 대소에 따라, 고압 펌프를 회전 구동하는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여수로를 통하여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 되돌리는 여수분의 양을 무제한으로 줄일 수가 있다.
이에 의하면, 고압 펌프 내에서 가압되어 액온이 상승한 상태의 여수분이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 되돌아감으로써, 상기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이 온도 상승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의 상승에 의해 작업원에게 미치는 위험한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고, 또 예를 들면 약액이 첨가된 세정액이 온도 상승하는 것에 의한 염소 가스 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도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한 세정액 공급 장치에 의하면, 약액 희석 혼합 탱크가 구비되고, 이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수도 등에서의 세정수에 약액이 첨가되어 세정액이 생성되고, 이 세정액이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에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pH값을 측정하는 pH 센서가 배치되고, 당해 pH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pH값에 기초하여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 첨가되는 상기 약액의 첨가량이 제어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약액 첨가량의 정확한 관리가 보장되어 약액의 농도가 안정한 세정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액량을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와, 세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온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에 주입되는 세정액의 액면이 관리된다. 이에 의해 적절한 절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상기 액온 센서는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를 감시하여, 세정액이 소정 이상으로 승온되었을 때에, 상기한 수도 등으로부터의 세정수의 주입량을 증가시켜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을 분출수로서 적극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 동작에 의해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를 확실히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한 고압 펌프를 구동하는 엔진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 관리가 좋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분출수의 배출 동작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세정액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로 세정액 생성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동 세정액 공급 장치에 있어서 주로 세정액 송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의한 세정액 공급 장치를 수용한 케이스를 차량에 탑재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케이스를 차량의 뒤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차량에 실린 케이스를 상면으로부터 본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 6은 동 케이스를 배면으로부터 본 상태의 투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의한 세정액 공급 장치에 대해서, 도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세정액 공급 장치는 크게 나누어 도 1에 나타내는 세정액 생성 유닛(U1)과, 도 2에 나타내는 세정액 송출 유닛(U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T2로 나타내는 세정액 저장 탱크가 공통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세정액 저장 탱크(T2)보다도 상류측이 세정액 생성 유닛(U1)을 구성하고 있고, 세정액 저장 탱크(T2)보다도 하류측이 세정액 송출 유닛(U2)을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세정액 생성 유닛은 예를 들면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에 약액을 첨가하여 세정액을 생성하고, 이 세정액을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U2)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조작 레버를 구비한 수도전을 나타내고, 세정액 공급 장치의 가동 중에 있어서는 상기 수도전(1)은 개방 상태로 된다. 이 수도전(1)에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전자 밸브(electromagnetic valve)(2)가 접속되어 있고, 이 전자 밸브(2)의 하류측에는 유량 센서(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유량 센서(3)에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 수량 조절 밸브(4)가 접속되고, 당해 수량 조절 밸브(4)를 통과한 수도로부터의 세정수는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세정액 생성 유닛(U1)에는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로 공급된 세정수에 대해서 첨가되어 희석되는 약액의 저장 탱크(6, 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약액 저장 탱크(6, 7)에는 일례로서 차아염소산소다 및 염산이 각각 저장되어 있고, 당해 저장 탱크(6, 7)에 저장된 상기 각 약액은 약액 송출 펌프(8, 9)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 내에 첨가되고, 상기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해 희석되어 세정액으로서 생성된다.
그리고, 이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 내에 있어서 생성된 세정액은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T2)에 대해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에는 pH 센서(11)가 배치되어 있고, 이 pH 센서(11)에 의해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 내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pH값이 측정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혼합 탱크(T1) 내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pH값은 6.5로 되도록 관리된다. 즉, 상기 pH 센서(11)에 의한 측정값은 pH 콘트롤러(12)로 전송되고, 이 pH 콘트롤러(12)로부터 릴레이 장치(13)에 대해서 제어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 장치(13)에는 상기한 유량 센서(3)로부터의 유량 검출 신호도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릴레이 장치(13)는 상기 pH 콘트롤러(12)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유량 센서(3)로부터의 유량 검출 신호를 받아, 상기 약액 송출 펌프(8, 9)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펌프 구동 전원(14, 15)으로부터의 구동 전류를 온 또는 오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약액 송출 펌프(8, 9)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한 간헐적으로 동작하여, 약액 저장 탱크(6, 7)에 각각 저장된 약액은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 내에 적당히 첨가된다. 이에 의해 상기 탱크(T1) 내의 세정액의 pH값이 상기 관리된 값으로 되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로부터 세정액 저장 탱크(T2)로 이송되는 세정액은 pH값의 정확한 관리가 보장되어 약액의 농도가 안정한 세정수로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T2)에는 당해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의 액량을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플로트 센서(17)는 세정액 저장 탱크(T2)에 저장된 세정액이 만탱크 혹은 이것에 가까운 상태로 되었을 때에, 절수 콘트롤러(19)에 검지 신호를 보내도록 동작한다.
상기 플로트 센서(17)로부터 검지 신호를 받는 절수 콘트롤러(19)는, 급수 밸브로서의 상기한 전자 밸브(2)에 제어 신호를 보내어, 전자 밸브(2)를 폐색하여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 내에의 급수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로부터 세정액 저장 탱크(T2)에의 세정액의 공급이 정지된다. 즉, 상기 플로트 센서(17) 및 절수 콘트롤러(19)는 세정액 저장 탱크(T2)에 저장되는 세정액의 양을 적정하게 관리하여,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로 공급되는 수도로부터의 세정수를 절수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T2)에는 당해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온 센서(18)가 더 구비되고, 이 액온 센서(18)에 의한 측정값은 상기한 절수 콘트롤러(19)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액온 센서(18)가 소정값 이상의 액온 상승을 검지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절수 콘트롤러(19)는 급수 밸브로서의 상기한 전자 밸브(2)에 제어 신호를 보내어, 전자 밸브(2)를 개방하여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 내에의 급수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로부터 세정액 저장 탱크(T2)로 보내지는 세정액의 양이 증가하고,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은 분출수(20)로서 배출된다. 따라서,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의 온도는 저하하고, 상기 액온 센서(18)가 소정값까지의 온도 저하를 검지함으로써, 급수 밸브로서의 상기 전자 밸브(2)를 폐색 또는 통수량을 줄이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의 온도 상승은, 후술하는 세정액 송출 유닛(U2)에 있어서, 고압 펌프에 의해 승온된 세정액이 여수로를 통하여 다량으로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로 되돌아가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세정액 송출 유닛(U2)에 있어서는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만,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을 분출수(20)로서 배출함으로써, 세정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수단은 비상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플로트 센서(17)에 의한 액량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급수 밸브(전자 밸브(2))에 의한 급수를 정지시키는 제어에 대해서, 상기 액온 센서(18)에 의한 액온 상승의 검출에 기초하는 상기 급수 밸브(전자 밸브(2))의 개방에 의해 급수량을 증가시키는 제어가 우선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세정액 송출 유닛(U2)은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을 고압 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가압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22는 상기한 고압 펌프를 나타내고 있고, 이 고압 펌프(22)는 예를 들면 디젤엔진 등의 내연기관에 의한 엔진(23)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구동된다.
이 고압 펌프(22)에는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을 흡입하는 흡입로(22a)와, 고압 펌프(22)에 의해 가압된 고압 세정액을 토출하는 토출로(22b)와, 고압 펌프(22)로부터의 고압 세정액 중의 여수분을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로 되돌리는 여수로(22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압 펌프(22)에는 고압 펌프(22) 내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24)가 구비되고, 상기 엔진(23)에는 당해 엔진(23)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 센서(2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24) 및 회전 센서(25)의 출력 신호는 엔진 콘트롤러(27)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압 펌프(22)에 있어서의 고압 세정액을 토출하는 토출로(22b)에는 플로우 스위치(28)가 배치되고, 이 플로우 스위치(28)를 통하여 조작 레버를 구비한 토출 밸브(2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밸브(29)에는 굴곡 가능한 호스를 통하여 세정액의 분사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
상기 플로우 스위치(28)는 상기 토출로(22b)에 세정액이 흐르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그 정보는 상기한 엔진 콘트롤러(27)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플로우 스위치(28)에 대해서 하나의 토출 밸브(29)가 접속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세정액의 분사 노즐을 복수 개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로우 스위치(28)의 뒤에 각각의 분사 노즐에 대응한 토출 밸브(29)가 병렬 상태로 접속되게 된다.
또, 상기 고압 펌프(22)로부터의 고압 세정액 중의 여수분을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로 되돌리는 여수로(22c)에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전자 밸브(31)가 접속되고, 이 전자 밸브(31)와 병렬로 조압(調壓) 밸브(3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엔진 콘트롤러(27)에는 상기한 대로 압력 센서(24), 회전 센서(25), 플로우 스위치(28)로부터의 검지 정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엔진 콘트롤러(27)는 상기 엔진(23)에 부설되어 엔진(2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스로틀 제어부(33)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엔진 콘트롤러(27)는 상기 여수로(22c)에 배치된 전자 밸브(31)에 대해서도 제어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도 2에 나타내는 세정액 송출 유닛(U2)에 있어서는, 고압 세정액의 토출로(22b)에 배치된 상기 플로우 스위치(28)로부터의 검출 정보, 즉 토출로(22b)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흐름의 유무에 대한 정보가 엔진 콘트롤러(27)에 공급된다.
상기 토출로(22b)에 있어서 세정액의 흐름이 없는 경우는 고압 세정액이 이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고, 이 경우에는 상기 엔진 콘트롤러(27)는 스로틀 제어부(33)에 대해서, 상기 엔진(23)이 아이들링(idling)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동시에 상기 엔진 콘트롤러(27)로부터 상기 전자 밸브(31)에 대해서 열린 밸브 상태로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여수로(22c)를 통하여 세정액 저장 탱크(T2)로 되돌아가는 세정액에는 고압 펌프(22)에 의한 압력은 가해지지 않고, 저장 탱크(T2)로 되돌아가는 세정액의 액온은 상승하지 않는다.
한편, 고압 세정액이 이용되고, 상기 플로우 스위치(28)가 토출로(22b)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흐름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 콘트롤러(27)는 스로틀 제어부(33)에 대해서 상기 엔진(23)의 회전을 상승시키는 지령 신호를 송출한다.
이 경우 세정액의 토출 압력이 상기 엔진 콘트롤러(27)에 있어서 수동으로 설정할 수가 있고, 수동으로 설정된 예를 들면 20MPa의 세정액의 토출 압력으로 되도록 엔진(23)의 회전수가 제어된다.
이것은 상기 고압 펌프(22)에 구비된 압력 센서(24)로부터의 압력 정보가 상기 엔진 콘트롤러(27)로 피드백됨으로써, 설정된 상기 토출 압력으로 되도록 엔진(23)의 회전수 제어를 한다.
동시에 상기 엔진 콘트롤러(27)로부터 상기 전자 밸브(31)에 대해서 이것을 닫힌 밸브 상태로 제어하는 신호가 송출되고, 상기 고압 펌프(22)로부터의 여수분은 조압 밸브(32) 및 여수로(22c)를 통하여 상기 저장 탱크(T2) 내로 되돌려지게 된다.
여기서, 세정 작업에 이용되는 고압수 분사 노즐의 이용수가 예를 들면 증가한 경우에는, 상기 토출로(22b)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유량이 증가하고, 상기 고압 펌프(22)에 구비된 압력 센서(24)에 의한 압력 계측값은 저하하게 된다.
상기 압력 센서(24)에 의한 압력 계측값의 저하는, 상기한 대로 엔진 콘트롤러(27)로 피드백되고, 세정액의 토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엔진(23)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 상기와는 반대로 고압수 분사 노즐의 이용수가 적게 된 경우에는, 상기 고압 펌프(22)에 구비된 압력 센서(24)에 의한 압력 계측값은 상승하게 되고, 이 압력 계측값은 엔진 콘트롤러(27)로 피드백되고, 세정액의 토출 압력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엔진(23)의 회전수를 하강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 엔진(23)에 구비된 회전 센서(25)의 출력 신호는 상기한 대로 엔진 콘트롤러(27)로 공급된다. 이것은 몇 개인가의 요인에 의해 상기 엔진(23)이 예를 들면 설정된 아이들링 상태보다도 저하하는 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상기 스로틀 제어부(33)에 아이들링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 신호를 보내도록 작용한다.
또, 몇 개인가의 요인에 의해 상기 엔진(23)이 예를 들면 설정된 회전수 이상에 이르는 경우에는, 상기 스로틀 제어부(33)에 엔진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제어 신호를 보내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상기 엔진(23)의 회전수 제어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가 있다.
이리하여, 상기한 것처럼 고압 펌프(23)로부터 상기 토출로(22b)로 나아가는 세정액의 유량의 대소를 상기 압력 센서(24)에 의해 검지하고, 이 세정액의 유량에 따라 상기 엔진(23)의 회전수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고압 펌프(22)로부터 상기한 여수로(22c)를 통하여 세정액 저장 탱크(T2)로 되돌아가는 세정액의 양을 무제한으로 적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세정액 공급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고압 펌프(22)에 의해 고압의 에너지를 받아 축열된 세정액이, 여수로(22c)를 통하여 세정액 저장 탱크(T2)로 되돌아가는 정도를 적게 할 수가 있으므로,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고압수 분사 노즐을 이용한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는 등, 상기한 발명의 효과의 난에 기재한 독자적인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세정액 공급 장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약액 희석 혼합 탱크(T1)를 구비하고, 세정수에 약액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세정액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은 약액을 사용하지 않고 수도 등에서의 세정수를 그대로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세정액 송출 유닛(U2)을 이용하여 고압 세정액으로서 토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세정액 저장 탱크(T2) 내의 세정액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고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할 수가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한 세정액 공급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차량(41)의 짐받이 부분에는 박스형의 케이스(42)가 탑재되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세정액 공급 장치가 이 케이스(4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상기 차량(41)의 짐받이 부분에 탑재된 케이스(42)의 좌측면에 있어서의 전방에는, 수평 방향으로 문이 양쪽으로 열리도록 축지지된 문(43)이 부착되고, 그 후방에는 수평 방향으로 문이 한쪽으로 열리도록 축지지된 문(44)이 부착되어 있다. 또 케이스(41)의 뒤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상부가 축지지된 위로 올리는 문(45)이 부착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차량(41)의 짐받이에 실린 케이스(42)를 상면으로부터 본 상태의 투시도이고, 도 5에 있어서의 좌측이 전방(운전석측)으로 된다.
상기 케이스(42)는 중앙의 격벽(42a)에 의해 전실과 후실로 나뉠 수 있고, 전실 내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한 엔진(23)이 탑재되고, 이것에 인접하여 상기한 고압 펌프(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실의 전방은 상기 엔진(23)에 부대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 등이 수용되는 배풍(排風) 공간(46)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상기 배풍 공간(46)이 설치된 케이스(42)의 천판(天板)에는 배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42)의 후실 내에는 상기한 세정액 저장 탱크(T2)가 배치되고,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저장 탱크(T2) 위에 도 1에 나타낸 세정액 생성 유닛(U1)의 대부분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또, 세정액 공급 장치의 조작반(47)이 배면을 향해 배치되어 있고, 이 조작반(47)은 도 4에 나타낸 문(45)을 위로 올린 상태에서 조작된다.
또한 부호 48은 세정액 공급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기재 등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수도전 2: 전자 밸브(급수 밸브)
3: 유량 센서 4: 수량 조절 밸브
6, 7: 약액 저장 탱크 8, 9: 약액 송출 펌프
11: pH 센서 12: pH 콘트롤러
13: 릴레이 장치 14, 15: 펌프 구동 전원
17: 플로트 센서 18: 액온 센서
19: 절수 콘트롤러 20: 분출수(blow water)
22: 고압 펌프 22a: 흡입로
22b: 토출로 22c: 여수로(餘水路)
23: 엔진 24: 압력 센서
25: 회전 센서 27: 엔진 콘트롤러
28: 플로우 스위치 29: 토출 밸브
31: 전자 밸브 32: 조압 밸브
33: 스로틀 제어부 T1: 약액 희석 혼합 탱크
T2: 세정액 저장 탱크 U1: 세정액 생성 유닛
U2: 세정액 송출 유닛

Claims (6)

  1. 세정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세정액 저장 탱크와, 당해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부터의 세정액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송출하는 고압 펌프와, 상기 고압 펌프를 회전 구동하는 내연기관에 의한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는 엔진 콘트롤러를 가지고, 상기 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된 고압 세정액을 토출하는 토출로와,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의 고압 세정액 중의 여수분을,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로 되돌리는 여수로가 구비된 세정액 공급 장치로서,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고압 세정액의 토출로로 나아가는 세정액의 유량의 대소에 따라, 상기 엔진 콘트롤러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 혹은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세정수가 도입됨과 아울러, 상기 세정수에 약액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세정액을 생성하는 약액 희석 혼합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로부터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에 대해서 세정액이 보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에는 당해 혼합 탱크 내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pH값을 측정하는 pH 센서가 배치되고, 당해 pH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pH값에 기초하여,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 첨가되는 상기 약액의 첨가량이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공급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액량을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와, 당해 플로트 센서에 의한 액량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로 공급하는 세정수의 양을 제어하는 급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 센서에 의한 액량의 검출값이 소정값에 이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의 급수를 정지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온 센서가 더 구비되고, 당해 액온 센서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액온 상승을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상기 약액 희석 혼합 탱크 내에의 급수량을 증가시켜, 상기 세정액 저장 탱크 내의 세정액을 분출수로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센서에 의한 액량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급수를 정지시키는 제어에 대해서, 상기 액온 센서에 의한 액온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급수 밸브에 의한 급수량을 증가시키는 제어가 우선하여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공급 장치.
KR1020127028729A 2011-10-21 2011-10-21 세정액 공급 장치 KR101375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4269 WO2013057827A1 (ja) 2011-10-21 2011-10-21 洗浄液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682A true KR20130058682A (ko) 2013-06-04
KR101375885B1 KR101375885B1 (ko) 2014-03-18

Family

ID=4814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729A KR101375885B1 (ko) 2011-10-21 2011-10-21 세정액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388151B2 (ko)
KR (1) KR101375885B1 (ko)
CN (1) CN103221153B (ko)
HK (1) HK1185306A1 (ko)
TW (1) TWI468233B (ko)
WO (1) WO2013057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2133B (zh) * 2015-12-11 2020-06-02 温州陆华科技有限公司 一种航空发动机地面清洗车
CN107617611A (zh) * 2017-09-09 2018-01-23 郭颂怡 清洗装置
KR102143722B1 (ko) * 2019-07-09 2020-08-11 김봉환 분사방식을 이용한 하수배관 세정액 투입장치 및 투입방법
KR102215626B1 (ko) * 2019-11-22 2021-02-15 김봉환 배관 유휴 시간 방지형 분사방식을 이용한 하수관 세정액 투입장치
KR20220038119A (ko) * 2019-12-27 2022-03-25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CN111299268A (zh) * 2020-03-24 2020-06-19 河北首朗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除垢装置
CN112827376A (zh) * 2020-12-31 2021-05-25 上海至纯洁净系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半导体湿法清洗溶液中混酸浓度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85892A (da) * 1992-06-30 1993-12-31 Westergaard Knud E Ind As Forbraendingsmotordrevet hoejtryksrenser
JP3002657U (ja) * 1994-03-31 1994-09-27 株式会社タイホウ物産 高圧洗浄車の高圧放水装置
JP2006068658A (ja) 2004-09-03 2006-03-16 Mk Seiko Co Ltd スプレー洗浄装置
TWM266990U (en) * 2004-12-16 2005-06-11 Jr-Ming Liau High pressure cleaning machine
JP4891589B2 (ja) 2005-10-11 2012-03-0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処理装置及び処理液供給方法並びに処理液供給プログラム
US9302301B2 (en) * 2006-12-19 2016-04-05 Spraying Systems Co. Automated tank cleaning and monitoring device
JP5159738B2 (ja) * 2009-09-24 2013-03-1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および半導体基板の洗浄装置
CN201592174U (zh) * 2009-12-11 2010-09-29 上海广为电器工具有限公司 一种水质净化高温高压清洗设备
CN102036485B (zh) * 2010-09-30 2014-07-09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喷淋装置以及药水槽
JP5689301B2 (ja) 2010-12-15 2015-03-2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高圧洗浄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高圧洗浄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1153B (zh) 2014-12-24
JPWO2013057827A1 (ja) 2015-04-02
JP5388151B2 (ja) 2014-01-15
TWI468233B (zh) 2015-01-11
WO2013057827A1 (ja) 2013-04-25
KR101375885B1 (ko) 2014-03-18
TW201341071A (zh) 2013-10-16
CN103221153A (zh) 2013-07-24
HK1185306A1 (en)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885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JP2012528959A5 (ko)
CA23750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oducing cleaning agents and/or disinfectants in sanitary installations
JP2004156382A (ja) 便器
TW201706478A (zh) 混合式沖水系統及清潔混合式沖水系統的方法
CN103954033A (zh) 储水式电热水器
CN204080947U (zh) 一种高压冲洗自洁水箱
CN101509268A (zh) 一种储水设备
JP2019073860A (ja) 給水装置
JP2006214363A (ja) 分岐吸送水部材と吸送水工法
KR100527407B1 (ko) 확산작용을 이용한 무동력 고체염소 포화용액 공급장치
KR20170083367A (ko) 공동주택용 가압 직결 급수시스템
JP2009019415A (ja) 排水管洗浄機
JP2005200742A (ja) 脱脂洗浄槽における油分離装置と、その油分離方法
JP2006200502A (ja) ポンプ井の異物排出方法並びに異物排出装置
CN210395552U (zh) 一种水动力发泡系统及包括该发泡系统的马桶
GB2453940A (en) Device for adding cleansing material to a cistern
KR100735882B1 (ko) 수압을 이용한 잔수 및 슬러지 배출장치
CN201762761U (zh) 多功能自动供水系统
CN203848490U (zh) 储水式电热水器
JP3748027B2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函内の排水装置
CN101644071A (zh) 无负压给水设备与水池共用联动装置
JP4138960B2 (ja) 給水装置
CN101642757B (zh) 水处理曝气系统的清洗方法及其清洗装置
JP4701828B2 (ja) 可搬型簡易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