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119A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119A
KR20220038119A KR1020227005781A KR20227005781A KR20220038119A KR 20220038119 A KR20220038119 A KR 20220038119A KR 1020227005781 A KR1020227005781 A KR 1020227005781A KR 20227005781 A KR20227005781 A KR 20227005781A KR 20220038119 A KR20220038119 A KR 2022003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hot water
beverage
uni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 스가와라
유키히데 모치다
유우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397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072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02429A external-priority patent/JP744377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2Heating only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컵(C)에 대하여 음료 공급 경로를 통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음료 공급 경로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60)를 구비하는 음료 공급 장치(1)로서, 세정 지령이 부여되는 경우에, 음료를 구성하는 온수를 저류하는 온수 탱크(25)로부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온수를, 미리 결정된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하고 나서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세정 원액 수납부(65, 66)에 수납되는 세정 원액을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세정 원액을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제어부(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대하여 음료 공급 경로를 통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음료 공급 경로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를 구비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에 대하여 음료 공급 경로를 통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음료 공급 경로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가 예컨대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세정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세정 원액 수납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 원액과, 음료를 구성하는 가압 증기를 생성하는 온수를 저류하는 저탕부(貯湯部)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인 세정탕(洗淨湯)을 혼합 용기에서 혼합하여 세정액을 생성한다. 그리고, 혼합 용기와 음료 공급 경로를 연통 상태로 하여,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대하여 세정액을 공급한다. 그 후, 음료 공급 장치는, 저탕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린스탕(湯)으로서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05489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세정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세정 원액과 세정탕을 혼합 용기에서 혼합하여 세정액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 용기와 음료 공급 경로를 연통 상태로 하여,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대하여 세정액을 공급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저탕부에서는, 85℃ 이상의 온수를 저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85℃ 이상의 온수를 세정탕으로서 세정 원액과 혼합시키는 경우, 세정 원액의 성분이 분해 등에 의해 변성하여 버려, 세정액의 세정 능력이 저하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혼합 용기에서 세정액을 생성하기 위한 시간을 필요로 하여, 결과적으로, 세정 시간의 장대화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세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세정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용기에 대하여 음료 공급 경로를 통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음료 공급 경로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를 구비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세정 지령이 부여되는 경우에, 상기 음료를 구성하는 온수를 저류하는 저탕부로부터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온수를, 미리 결정된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하고 나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세정 원액 수납부에 수납되는 세정 원액을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세정 원액을 상기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 원액을 상기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한 후, 상기 저탕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린스탕으로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 원액 수납부에 수납되는 알칼리성의 세정 원액을 상기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한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한 후에 상기 린스탕을 공급하고, 그 후에, 상기 세정 원액 수납부에 수납되는 산성의 세정 원액을 상기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한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한 후에 상기 린스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세정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음료를 구성하는 온수를 저류하는 저탕부로부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온수를, 미리 결정된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하고 나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세정 원액 수납부에 수납되는 세정 원액을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세정 원액을 상기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기 때문에, 세정 원액과 세정탕을 혼합시켜 세정액을 생성하는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더구나 세정 원액이 변성 등에 의해 세정 능력이 저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세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세정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제어부가 실시하는 세정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프리린스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알칼리 세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탕온(湯溫) 조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알칼리 세정 린스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산 세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산 세정 린스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의 중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의 중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원액 공급부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보냉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보냉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낸 보냉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낸 보냉고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나타낸 보냉고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1)는, 유음료인 우유를 거품이 인 상태에서 용기인 컵(C)에 공급하는 것으로, 증기 공급부(20), 원액 공급부(30), 공기 공급부(40), 믹싱부(50), 포밍부(52), 노즐부(54) 및 세정부(6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증기 공급부(20)는, 증기 탱크(21), 제1 증기 공급관(22) 및 제2 증기 공급관(23)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증기 탱크(21)는, 온수 공급관(24)을 통하여 온수 탱크(25)에 접속된다.
온수 탱크(25)는, 온수를 저류하기 위한 저탕부이다. 이 온수 탱크(25)는, 물 공급관(26)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내장된 히터(25a)로 가열하여 예컨대 85℃ 이상의 온수로서 저류한다. 히터(25a)는, 후술하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통전 상태가 됨으로써, 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세정부(60)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1)의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온수 탱크(25)에는, 플로우트 스위치(25b)가 마련된다. 이 플로우트 스위치(25b)는, 온수 탱크(25)의 내부의 수위를 검지하는 것으로, 검지 결과를 수위 신호로서 제어부(100)에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물 공급관(26)에는, 그 도중에 물 공급 밸브(26a)가 마련된다. 이 물 공급 밸브(26a)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하는 것이다. 물 공급 밸브(26a)는, 개방하는 경우에는, 물 공급관(26)을 물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물 공급 밸브(26a)는, 폐쇄하는 경우에는, 물 공급관(26)을 물이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25)에 있어서는, 플로우트 스위치(25b)로부터 부여되는 수위 신호에 의해 제어부(100)가 수위 신호에 포함되는 수위(검지 수위)가 미리 결정된 상한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위가 상한값 미만에서는 물 공급 밸브(26a)를 개방시키고, 수위가 상한값이면 물 공급 밸브(26a)를 폐쇄시킨다. 이 결과, 온수 탱크(25)에 있어서는, 히터(25a)에 의해 85℃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가 만수가 되어 저류된다.
온수 공급관(24)은, 일단이 온수 탱크(25)에 접속되며, 타단이 증기 탱크(21)에 접속되어, 온수 탱크(25)와 증기 탱크(21)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 온수 공급관(24)의 도중에는, 급탕 펌프(24a)가 마련된다. 급탕 펌프(24a)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온수 탱크(25)로부터 증기 탱크(21)에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증기 탱크(21)는, 온수 공급관(24)을 통하여 온수 탱크(25)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가열하여 가압 증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25)는, 가압 증기를 생성하는 온수를 저류한다.
제1 증기 공급관(22)은, 일단이 증기 탱크(21)에 접속되며, 타단이 믹싱부(50)에 접속되어, 증기 탱크(21)와 믹싱부(50)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 제1 증기 공급관(22)의 도중에는, 제1 증기 공급 밸브(22a) 및 제1 증기 체크 밸브(22b)가 배치된다.
제1 증기 공급 밸브(22a)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하는 것이다. 이 제1 증기 공급 밸브(22a)는,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1 증기 공급관(22)을 가압 증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증기 공급 밸브(22a)는, 폐쇄하는 경우에는, 제1 증기 공급관(22)을 가압 증기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제1 증기 체크 밸브(22b)는, 증기 탱크(21)로부터 믹싱부(50)로의 유체(가압 증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믹싱으로부터 증기 탱크(21)로의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제2 증기 공급관(23)은, 일단이 증기 탱크(21)에 접속되며, 타단이 원액 공급부(30)나 세정부(60)와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27)에 접속되어, 증기 탱크(21)와 제1 접속부(27)를 접속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접속부(27)는, 믹싱부(50)에 접속되는 액 공급관(28)의 일단에 부착된다. 이 액 공급관(28)에는, 액 체크 밸브(28a)가 마련된다. 액 체크 밸브(28a)는, 제1 접속부(27)로부터 믹싱부(50)로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믹싱부(50)로부터 제1 접속부(27)로의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증기 공급관(23)의 도중에는, 제2 증기 공급 밸브(23a) 및 제2 증기 체크 밸브(23b)가 배치된다.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하는 것이다. 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는,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2 증기 공급관(23)을 가압 증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는, 폐쇄하는 경우에는, 제2 증기 공급관(23)을 가압 증기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증기 체크 밸브(23b)는, 증기 탱크(21)로부터 제1 접속부(27)로의 유체(가압 증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제1 접속부(27)로부터 증기 탱크(21)로의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원액 공급부(30)는, 백·인·박스(Bag-In-Box)(이하, BIB라고도 함)(31), 튜브 펌프(32) 및 제2 접속부(3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BIB(31)는, 컵(C)에 공급하는 유음료(거품이 인 상태의 우유)의 원액(이하, 우유 원액이라고도 함)을 봉입한 주머니형 용기를 상자형 용기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BIB(31)는, 보냉고(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된다. 여기서 보냉고는, 음료 공급 장치(1)의 장치 본체(10a)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열 구조의 실이다.
튜브 펌프(32)는, 보냉고의 내부에 있어서, BIB(31)의 하방측에 마련된다. 이 튜브 펌프(32)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BIB(31)에 접속되는 튜브(34)를 복수의 롤러 등으로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BIB(31)의 우유 원액을 퍼내는 것이다. 제2 접속부(33)는, BIB(31)에 접속된 튜브(34)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제1 접속부(27)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이다.
공기 공급부(40)는, 공기 공급관(41)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공급관(41)은, 일단이 에어 펌프(42)에 접속되며, 타단이 믹싱부(50)에 접속되어, 에어 펌프(42)와 믹싱부(50)를 접속하는 것이다. 에어 펌프(42)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 공급관(41)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 공급관(41)의 도중에는, 공기 체크 밸브(41a)가 배치된다. 공기 체크 밸브(41a)는, 에어 펌프(42)로부터 믹싱부(50)로의 유체(압축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믹싱부(50)로부터 에어 펌프(42)로의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믹싱부(50)는, 제1 증기 공급관(22)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압 증기와, 액 공급관(28)을 통하여 공급되는 우유 원액을 혼합시켜 우유 원액을 가열하고, 또한 공기 공급관(41)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혼합시킴으로써 약간 거품이 인 상태의 우유 음료를 생성하는 것이다.
포밍부(52)는, 음료 송출관(51)을 통하여 믹싱부(50)에 접속된다. 이 포밍부(52)는, 음료 송출관(51)을 통하여 믹싱부(50)로부터 송출되는 우유 음료를 거품이 일게 하는 것이다.
노즐부(54)는, 도시하지 않는 음료 도출 통로를 통해 포밍부(52)에 접속된다. 이 노즐부(54)는, 음료 도출 통로를 통하여 포밍부(52)로부터 송출되는 우유 음료(거품이 인 상태의 우유 음료)를 컵(C)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가 유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경로를 구성한다.
세정부(60)는, 확산부(61), 세정 원액 공급관(62), 세정 공급관(63) 및 세정탕 공급관(64)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이들 중 일부가 장치 본체(10a)와는 별개의 보관고(10b)에 마련된다.
확산부(61)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며, 상면 개구가 도시하지 않는 덮개체에 의해 폐색된 용기이다. 세정 원액 공급관(62)은, 일단이 2개로 분기하여, 한쪽이 알칼리성의 세정 원액(이하, 알칼리성 세정 원액이라고도 함)을 수납하는 제1 세정 원액 수납부(65)에 접속되며, 다른쪽이 산성의 세정 원액(이하, 산성 세정 원액이라고도 함)을 수납하는 제2 세정 원액 수납부(66)에 접속된다.
또한 세정 원액 공급관(62)은, 타단이 확산부(61)에 접속된다. 이 세정 원액 공급관(62)의 도중에는, 전환 밸브(62a) 및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가 배치된다. 전환 밸브(62a)는, 세정 원액 공급관(62)에 있어서의 분기점에 마련되고,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알칼리성 세정 원액 및 산성 세정 원액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세정 원액 공급관(62)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선택 수단이다.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전환 밸브(62a)에 의해 선택된 세정 원액을 확산부(61)를 향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정 원액 공급관(62)은, 알칼리성 세정 원액과 산성 세정 원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의 세정 원액 공급 경로를 구성한다.
세정 공급관(63)은, 일단이 확산부(61)에 접속되며, 타단이 제3 접속부(68)에 접속되어, 확산부(61)와 제3 접속부(68)를 접속하는 것이다. 여기서 세정 공급관(63)의 일단은, 확산부(61)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토출구에 연통하는 양태로 상기 확산부(61)에 접속된다. 제3 접속부(68)는, 제1 접속부(27)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이다.
상기 세정 공급관(63)의 도중에는, 세정 체크 밸브(63a)가 배치된다. 세정 체크 밸브(63a)는, 확산부(61)로부터 제3 접속부(68)로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제3 접속부(68)로부터 확산부(61)로의 유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것이다.
세정탕 공급관(64)은, 일단이 급탕 펌프(24a)보다 상류측의 온수 공급관(24)에 접속된다. 또한 세정탕 공급관(64)은, 타단이 확산부(61)의 덮개에 마련되는 급탕구에 연통하는 양태로 상기 확산부(61)에 접속된다.
이 세정탕 공급관(64)의 도중에는, 세정탕 펌프(64a)가 배치된다. 세정탕 펌프(64a)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온수 탱크(25)로부터 확산부(61)에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음료 공급 장치(1)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우유를 거품이 인 상태로 컵(C)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0)에 의해 제1 증기 공급 밸브(22a)가 개방되며, 튜브 펌프(32) 및 에어 펌프(42)가 구동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는 폐쇄된다. 또한, 제1 접속부(27)와 제2 접속부(33)가 접속되고, 제3 접속부(68)는 제1 접속부(27)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튜브 펌프(32)가 구동됨으로써, 원액 공급부(30)에서는, BIB(31)의 우유 원액이 퍼내진다. BIB(31)로부터 퍼내진 우유 원액은, 튜브(34)를 통과한 후에 액 공급관(28)을 통과한다. 이 액 공급관(28)을 통과하는 우유 원액은, 믹싱부(50)에 이른다.
그런데, 제1 증기 공급 밸브(22a)가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증기 탱크(21)에서 생성된 가압 증기는, 제1 증기 공급관(22)을 통과하여 믹싱부(50)에 이른다. 또한, 에어 펌프(42)가 구동됨으로써, 압축 공기가 공기 공급관(41)을 통과하여 믹싱부(50)에 이른다.
믹싱부(50)에 있어서는, 가압 증기에 의해 우유 원액이 가열된다. 또한 이 믹싱부(50)에 있어서는, 압축 공기가 진입함으로써 가압 증기로 가열된 우유 원액과 혼합되어 우유 음료가 생성된다. 여기서 생성된 우유 음료는, 압축 공기에 의해 약간 거품이 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믹싱부(50)에서 생성된 우유 음료는, 음료 송출관(51)을 통과하여 포밍부(52)에 이른다.
포밍부(52)에 있어서는, 우유 음료가 벽면 등에 접촉함으로써 우유 음료의 거품이 이는 양이 증대되어 거품이 일게 된다. 이와 같이 거품이 인 우유 음료는, 음료 도출 통로를 통과하여 노즐부(54)로 송출되고, 노즐부(54)로부터 컵(C)으로 토출됨으로써 우유 음료가 공급된다.
다음에, 제2 접속부(33)를 제1 접속부(27)로부터 분리하여 제3 접속부(68)를 제1 접속부(27)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이용자에 의해 소정의 입력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결과, 제어부(100)에 세정 지령이 부여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세정 제어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각 밸브는 폐쇄되어 있으며, 각 펌프는 구동 정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제어부(100)가 실시하는 세정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세정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프리린스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00).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프리린스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프리린스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지령을 송출함으로써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시키고(단계 S101), 내장되는 시계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구동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102).
이에 의해 온수 탱크(25)로부터 세정탕 공급관(64)을 통하여 온수(85℃ 이상의 온수)가 세정탕으로서 확산부(61)에 공급된다. 확산부(61)에 공급된 온수는, 확산부(61)의 내부를 흘러 토출구로부터 세정 공급관(63)으로 토출되어,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다.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 온수는, 세정탕으로서, 음료 공급 경로를 구성하는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한다.
구동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02: Yes),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 정지시키고(단계 S103),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개방 지령을 부여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다(단계 S104). 이와 같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 제어부(100)는,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개방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105).
이에 의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개방시킴으로써, 제2 증기 공급관(23)을 통과한 가압 증기가,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하여 상기 단계 S101에서 공급한 온수를 블로우할 수 있다.
개방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05: Yes), 제어부(100)는,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폐쇄 지령을 송출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폐쇄시키고(단계 S106),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프리린스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리린스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100)는, 알칼리 세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00).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알칼리 세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알칼리 세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탕온 조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01).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탕온 조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탕온 조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히터(25a)를 비통전 상태로 하여 구동 정지시킨다(단계 S201a). 그리고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지령을 송출함으로써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시키고(단계 S201b),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조정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201c). 여기서 조정 시간은, 온수 탱크(25)의 온수가 만수 시의 절반 정도가 되기까지의 시간이다. 따라서, 온수 탱크(25)의 온수는, 절반 정도가 된다.
조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201c: Yes),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 정지시키고(단계 S201d), 플로우트 스위치(25b)로부터의 수위 신호의 입력을 기다린다(단계 S201e).
수위 신호를 입력한 경우(단계 S201e: Yes), 제어부(100)는, 수위 신호에 포함되는 수위(검지 수위)가 메모리 등에 기억된 상한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f).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시켜 온수 탱크(25)의 온수를 만수 시의 절반 정도로 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수위 신호에 포함되는 수위가 상한값 미만이 된다. 즉, 수위가 상한값 미만인 경우(단계 S201f: No), 제어부(100)는, 물 공급 밸브(26a)에 개방 지령을 부여하여 물 공급 밸브(26a)를 개방시킨다(단계 S201g). 이에 의해, 물 공급관(26)을 통하여 온수 탱크(25)에 물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물 공급 밸브(26a)를 개방시킨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 S201e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단계 S201f에서 수위가 상한값 이상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단계 S201e, 단계 S201f, 단계 S201g의 처리를 반복한다.
수위가 상한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1f: Yes), 제어부(100)는, 물 공급 밸브(26a)에 폐쇄 지령을 부여하여 물 공급 밸브(26a)를 폐쇄시키고(단계 S201h),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르면, 히터(25a)가 비통전 상태에서 물이 온수 탱크(25)에 공급되게 되어, 온수 탱크(25)에 저류되는 온수의 온도가 세정 적정 온도 범위(예컨대 40∼70℃ 정도)로 조정된다.
이러한 탕온 조정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100)는, 전환 밸브(62a)에 지령을 송출함으로써 알칼리성 세정 원액이 세정 원액 공급관(62)을 통과하도록 전환 밸브(62a)를 제어하고(단계 S202),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시킨다(단계 S203).
이에 의해 온수 탱크(25)로부터 세정탕 공급관(64)을 통하여 세정 적정 온도 범위의 온수가 세정탕으로서 확산부(61)에 공급된다. 확산부(61)에 공급된 온수는, 확산부(61)의 내부를 흘러, 토출구로부터 세정 공급관(63)으로 토출되어,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다.
그 후에 제어부(100)는,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에 대하여 구동 지령을 단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를 간헐 구동시키고(단계 S204),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구동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205).
이에 의해 알칼리성 세정 원액은, 세정 원액 공급관(62)을 통과한 후에 확산부(61)에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확산부(61)에 간헐적으로 공급된 알칼리성 세정 원액은, 상기 확산부(61)의 내부를 흐르는 온수에 충돌하여 상기 온수에 확산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알칼리성 세정 원액은, 온수에 확산된 상태에서 토출구로부터 세정 공급관(63)으로 토출되어,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 후, 음료 공급 경로를 구성하는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한다.
구동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205: Yes), 제어부(100)는,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를 구동 정지시키며(단계 S206),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 정지시키고(단계 S207),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개방 지령을 부여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다(단계 S208). 이와 같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 제어부(100)는,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개방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209).
이에 의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개방시킴으로써, 제2 증기 공급관(23)을 통과한 가압 증기가,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하여 상기 단계 S202∼단계 S207에서 공급한 알칼리성 세정 원액이 확산된 온수를 블로우할 수 있다.
개방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209: Yes), 제어부(100)는,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폐쇄 지령을 송출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폐쇄시키고(단계 S210),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알칼리 세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알칼리 세정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100)는, 알칼리 세정 린스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300).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알칼리 세정 린스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알칼리 세정 린스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지령을 송출함으로써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시키고(단계 S301), 내장되는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구동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302).
이에 의해 온수 탱크(25)보다 세정탕 공급관(64)을 통하여 온수(세정 적정 온도 범위의 온수)가 린스탕으로서 확산부(61)에 공급된다. 확산부(61)에 공급된 온수는, 확산부(61)의 내부를 흘러, 토출구로부터 세정 공급관(63)으로 토출되어,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다.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 온수는, 린스탕으로서, 음료 공급 경로를 구성하는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한다.
구동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302: Yes),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 정지시키고(단계 S303),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개방 지령을 부여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다(단계 S304). 이와 같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 제어부(100)는,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개방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305).
이에 의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개방시킴으로써, 제2 증기 공급관(23)을 통과한 가압 증기가,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하여 상기 단계 S301에서 공급한 온수(린스탕)를 블로우할 수 있다.
개방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305: Yes), 제어부(100)는,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폐쇄 지령을 송출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폐쇄시키고(단계 S306),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알칼리 세정 린스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알칼리 세정 린스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100)는, 산 세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400).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산 세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산 세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전환 밸브(62a)에 지령을 송출함으로써 산성 세정 원액이 세정 원액 공급관(62)을 통과하도록 전환 밸브(62a)를 제어하고(단계 S401),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시킨다(단계 S402).
이에 의해 온수 탱크(25)로부터 세정탕 공급관(64)을 통하여 온수(세정 적정 온도 범위의 온수)가 세정탕으로서 확산부(61)에 공급된다. 확산부(61)에 공급된 온수는, 확산부(61)의 내부를 흘러 토출구로부터 세정 공급관(63)으로 토출되어,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다.
그 후에 제어부(100)는,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에 대하여 구동 지령을 단속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를 간헐 구동시키고(단계 S403),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구동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404).
이에 의해 산성 세정 원액은, 세정 원액 공급관(62)을 통과한 후에 확산부(61)에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확산부(61)에 간헐적으로 공급된 산성 세정 원액은, 상기 확산부(61)의 내부를 흐르는 온수에 충돌하여 상기 온수에 확산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산성 세정 원액은, 온수에 확산된 상태에서 토출구로부터 세정 공급관(63)으로 토출되어,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 후, 음료 공급 경로를 구성하는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한다.
구동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404: Yes), 제어부(100)는,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를 구동 정지시키며(단계 S405),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 정지시키고(단계 S406),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개방 지령을 부여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다(단계 S407). 이와 같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 제어부(100)는,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개방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408).
이에 의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개방시킴으로써, 제2 증기 공급관(23)을 통과한 가압 증기가,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하여 상기 단계 S401∼단계 S406에서 공급한 산성 세정 원액이 확산된 온수를 블로우할 수 있다.
개방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408: Yes), 제어부(100)는,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폐쇄 지령을 송출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폐쇄시키고(단계 S4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산 세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 세정 처리를 실시한 제어부(100)는, 산 세정 린스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500).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산 세정 린스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산 세정 린스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지령을 송출함으로써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시키고(단계 S501), 내장되는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구동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502).
이에 의해 온수 탱크(25)로부터 세정탕 공급관(64)을 통하여 온수가 린스탕으로서 확산부(61)에 공급된다. 확산부(61)에 공급된 온수는, 확산부(61)의 내부를 흘러 토출구로부터 세정 공급관(63)으로 토출되어,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다. 세정 공급관(63)을 통과한 온수는, 린스탕으로서, 음료 공급 경로를 구성하는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한다.
구동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502: Yes), 제어부(100)는, 세정탕 펌프(64a)에 구동 정지 지령을 송출하여 세정탕 펌프(64a)를 구동 정지시키고(단계 S503),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개방 지령을 부여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다(단계 S504). 이와 같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시킨 제어부(100)는, 시계부를 통하여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며, 미리 설정된 개방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단계 S505).
이에 의해,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개방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개방시킴으로써, 제2 증기 공급관(23)을 통과한 가압 증기가, 제1 접속부(27), 액 공급관(28), 믹싱부(50), 음료 송출관(51), 포밍부(52), 음료 도출 통로 및 노즐부(54)를 통과하여 상기 단계 S501에서 공급한 온수(린스탕)를 블로우할 수 있다.
개방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505: Yes), 제어부(100)는, 제2 증기 공급 밸브(23a)에 폐쇄 지령을 송출하여 제2 증기 공급 밸브(23a)를 폐쇄시키고(단계 S506), 세정탕 펌프(64a)의 구동 횟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횟수인 m 횟수에 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07).
세정탕 펌프(64a)의 구동 횟수가 m 횟수에 달하지 않은 경우(단계 S507: No), 제어부(100)는, 전술한 단계 S501∼단계 S506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 한편, 세정탕 펌프(64a)의 구동 횟수가 m 횟수에 달한 경우(단계 S507: Yes), 제어부(100)는, 히터(25a)를 통전 상태로 하여 구동시키며(단계 S508), 도시하지 않는 상위 기기, 또는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세정 완료 신호를 송출하고(단계 S5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산 세정 린스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 세정 린스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세정 제어 처리의 처리의 순서를 리턴시켜 이번 세정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1)에 의하면, 제어부(100)가, 세정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온수 탱크(25)의 온수를 미리 결정된 세정 적정 온도 범위(예컨대 40℃∼70℃ 정도)로 조정하고 나서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세정 원액 수납부(65, 66)에 수납되는 세정 원액(알칼리성 세정 원액, 산성 세정 원액)을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세정 원액을 상기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기 때문에, 세정 원액과 세정탕을 혼합시켜 세정액을 생성하는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더구나 세정 원액이 변성 등에 의해 세정 능력이 저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세정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세정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정부(60)에 의하면, 알칼리성 세정 원액과 산성 세정 원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의 세정 원액 공급 경로인 세정 원액 공급관(62)에 마련된 전환 밸브(62a)가, 알칼리성 세정 원액과 산성 세정 원액 중 어느 하나가 세정 원액 공급관(62)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제어부(100)가, 세정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 전환 밸브(62a)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여, 알칼리성 세정 원액을 공급시킨 후에 산성 세정 원액을 공급시키기 때문에, 세정 원액 공급관(62)에 마련된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에 상기 알칼리성 세정 원액이 잔류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세정 원액 공급 펌프(62b)를 구성하는 예컨대 불소계 고무 등의 고무재가 비교적 조기에 열화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수명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우유를 유음료의 일례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두유 등의 유음료를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접속부(27)와 제2 접속부(33)를 분리하여 제3 접속부(68)를 제1 접속부(27)와 접속시키고 나서 음료 공급 경로의 세정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접속부(27)와, 제2 접속부(33) 및 제3 접속부(68)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음료 공급 경로의 세정을 행하여도 좋다. 이에 따르면, 제2 접속부(33)를 제1 접속부(27)로부터 분리하여 제3 접속부(68)를 제1 접속부(27)에 접속시킬 필요가 없어, 음료 공급 경로의 세정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탕온 조정 처리에 있어서, 히터(25a)를 구동 정지시키고 나서 온수 탱크(25)의 온수를 만수 시의 절반 정도로 하고, 그 후에 물을 공급하여 온수 탱크(25)의 온수를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온수를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으면,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공급관(26)의 물 공급 밸브(26a)보다 상류측에서 분기하여, 세정탕 공급관(64)에 합류하는 양태로 조정관(71)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정관(71)의 도중에 조정 밸브(72)를 배치하여도 좋다. 조정 밸브(72)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개폐하는 것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는, 조정관(71)을 물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폐쇄하는 경우에는, 조정관(71)을 물이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정탕 펌프(64a)가 구동하여 온수 탱크(25)의 온수를 확산부(61)를 향하여 송출할 때에, 플로우트 스위치(25b)로부터의 수위 신호에 따라 물 공급 밸브(26a)가 개방된다. 그리고, 제어부(100)에 의해 조정관(71)이 개방됨으로써 온수 탱크(25)에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세정탕 공급관(64)으로 송출되어 상기 세정탕 공급관(64)을 통과하는 온수와 혼합하여, 확산부(61)에 공급되는 온수를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된 온수에 세정 원액을 확산시킴으로써, 세정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탕 공급관(64')의 일부에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코일부(641)를 마련하고, 상기 코일부(641)의 근방에 냉각팬(642)이 마련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정탕 펌프(64a)의 구동에 의해 온수 탱크(25)의 온수가 세정탕 공급관(64')의 코일부(641)를 통과하고, 냉각팬(642)이 구동됨으로써 송풍된 공기가 코일부(641)의 주위를 흘러 코일부(641)를 통과하는 온수를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된 온수에 세정 원액을 확산시킴으로써, 세정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보냉고의 내부에, 튜브 펌프의 동작 부품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전장 부품도 배치되어 있으면, 이러한 전장 부품에 결로수 등에 의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튜브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장 부품에 대하여 결로수 등으로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원액 공급부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액 공급부(80)는, 주로 상기 장치 본체(10a)에 인접하는 보냉고(12)에 마련되고, 백·인·박스(이하, BIB라고도 함)(81), 튜브 펌프(83) 및 연결관(85)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1 이후에 있어서, 도 1∼도 10에 나타낸 음료 공급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2∼도 16은 각각 도 11에 나타낸 보냉고(12)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2 및 도 13은 사시도이고, 도 14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15는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6은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보냉고(12)는, 후면에 개구(121)를 갖는 단열 구조를 갖고, 상기 개구(121)가 단열 구조의 후면 도어(122)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냉고(12)의 상부에는, 펠티에 소자(123)가 마련되고, 펠티에 소자(123)의 냉열 발생부(123a)가 보냉고(12)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그와 같은 보냉고(12)에 있어서는, 펠티에 소자(123)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상기 펠티에 소자(123)의 하방역에 마련되는 고내 팬(124)에 의해 송풍되는 결과, 내부 분위기가 냉각된다. 한편, 펠티에 소자(123)의 배열부(123b)가 상방을 향하고, 상기 배열부(123b)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펠티에 소자(123)의 상방역에 마련되는 고외 팬(125)에 의해 송풍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BIB(81)는, 컵(C)에 공급하는 유음료(거품이 인 상태의 우유)의 원액(이하, 우유 원액이라고도 함)을 봉입한 주머니형 용기를 상자형 용기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BIB(81)는, 보냉고(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BIB(81)는, 후면 도어(12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요동시켜 보냉고(12)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충되는 것이다.
튜브 펌프(83)는, 보냉고(12)의 내부에 있어서, BIB(81)의 하방측에 마련된다. 이 튜브 펌프(83)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BIB(81)에 접속되는 튜브(82)를 복수의 롤러 등으로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BIB(81)의 우유 원액을 퍼내어, 튜브(82)의 선단 부분인 개방단으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튜브 펌프(83)는, 복수의 롤러 등의 동작 부품(831)이 보냉고(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동작 부품(831)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장 부품(832)은, 보냉고(12)의 외부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튜브 펌프(83)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832a) 및 이 모터(832a)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인코더 등의 검지 수단(832b)이 보냉고(12)의 외부에 설치된다.
모터(832a)와 동작 부품(831)의 연계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보냉고(12)의 전벽부의 하단 부분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 구멍(12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구멍(126)을 관통하는 양태로 원통형의 조인트 부재(84)가 마련된다. 이 조인트 부재(84)는,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수지제의 것이다. 또한 조인트 부재(84)는, 보냉고(12)의 외부를 향하는 전단 부분이 모터(832a)의 출력축(832c)과 맞물림으로써 동력 전달 가능한 상태로 맞춤 결합하고, 보냉고(12)의 내부를 향하는 후단 부분이 동작 부품(831)의 연결축(831c)과 맞물림으로써 동력 전달 가능한 상태로 맞춤 결합한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84)는, 출력축(832c)과 연결축(831c)을 서로 격리시킨 상태에서, 출력축(832c)으로부터 부여되는 회전력을 연결축(831c)에 전달하는 것으로, 출력축(832c)과 연결축(831c)을 열적으로 절연시킨다. 또한, 모터(832a)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구동하는 것으로, 검지 수단(832b)은, 검지 결과를 제어부(100)에 부여하는 것이다.
연결관(85)은, 일단이 보냉고(12)의 내부를 향하는 양태로 마련되고, 상기 튜브(82)의 개방단에 접속하여 연통한다. 또한 연결관(85)은, 타단이 제1 접속부(2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속부(87)에 접속된다.
제어부(100)에 의해 제1 증기 공급 밸브(22a)가 개방되며, 튜브 펌프(83) 및 에어 펌프(42)가 구동된 경우, 원액 공급부(80)에 있어서는, 제어부(100)에 의해 튜브 펌프(83)가 구동됨으로써, BIB(81)의 우유 원액이 퍼내진다. BIB(81)로부터 퍼내진 우유 원액은, 튜브(82)를 통과한 후에 연결관(85)을 통해 액 공급관(28)을 통과한다. 이 액 공급관(28)을 통과하는 우유 원액은, 믹싱부(50)에 이른다. 이 믹싱부(50)에 있어서는, 증기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가압 증기에 의해 우유 원액이 가열된다. 또한 믹싱부(50)에 있어서는, 공기 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가압 증기로 가열된 우유 원액과 혼합되어 우유 음료가 생성된다. 여기서 생성된 우유 음료는 압축 공기에 의해 약간 거품이 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믹싱부(50)에서 생성된 우유 음료는, 음료 송출관(51)을 통과하여 포밍부(52)에 이른다. 포밍부(52)에 있어서, 우유 음료가 거품이 일어 노즐부(54)로 송출된다. 노즐부(54)로 송출된 거품이 인 우유 음료는, 도시하지 않는 추출 유닛에 의해 추출되어 상기 노즐부(54)로 송출된 커피와 함께 컵(C)으로 토출되고, 이에 의해 컵(C)에 예컨대 카푸치노 등의 우유가 든 커피가 공급된다.
그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1')에 의하면, 튜브 펌프(83)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832a)나 검지 수단(832b) 등의 전장 부품(832)을 보냉고(12)의 외부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전장 부품(832)에 결로수 등에 의한 영향을 없앨 수 있어, 전장 부품(832)에 대하여 결로수 등으로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펠티에 소자(123)의 배열부(123b)에서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튜브 펌프(83)의 전장 부품(832)의 주위에 송풍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1∼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장 부품(832)으로서, 모터(832a) 및 검지 수단(832b)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전장 부품으로서 모터 등 이외의 것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보냉고(12)의 후면 도어(122)의 개폐를 검지하는 스위치를 마련하고, 후면 도어(122)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개구(121)가 개방된 것이 상기 스위치에 의해 검지된 경우, 튜브 펌프(83)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1…음료 공급 장치, 20…증기 공급부, 21…증기 탱크, 24…온수 공급관, 25…온수 탱크, 25a…히터, 25b…플로우트 스위치, 26…물 공급관, 26a…물 공급 밸브, 27…제1 접속부, 28…액 공급관, 30…원액 공급부, 40…공기 공급부, 50…믹싱부, 51…음료 송출관, 52…포밍부, 54…노즐부, 60…세정부, 61…확산부, 62…세정 원액 공급관, 62a…전환 밸브, 62b…세정 원액 공급 펌프, 63…세정 공급관, 63a…세정 체크 밸브, 64…세정탕 공급관, 64a…세정탕 펌프, 65…제1 세정 원액 수납부, 66…제2 세정 원액 수납부, 100…제어부, C…컵.

Claims (3)

  1. 용기에 대하여 음료 공급 경로를 통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음료 공급 경로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를 구비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세정 지령이 부여되는 경우에, 상기 음료를 구성하는 온수를 저류하는 저탕부(貯湯部)로부터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온수를, 미리 결정된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하고 나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세정 원액 수납부에 수납되는 세정 원액을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세정 원액을 상기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 원액을 상기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한 후, 상기 저탕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린스탕(湯)으로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 원액 수납부에 수납되는 알칼리성의 세정 원액을 상기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한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한 후에 상기 린스탕을 공급하고, 그 후에, 상기 세정 원액 수납부에 수납되는 산성의 세정 원액을 상기 세정 적정 온도 범위로 조정한 온수에 확산시킨 상태에서 상기 음료 공급 경로에 공급한 후에 상기 린스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227005781A 2019-12-27 2020-11-04 음료 공급 장치 KR20220038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9779 2019-12-27
JP2019239779A JP2021107253A (ja) 2019-12-27 2019-12-27 飲料供給装置
JPJP-P-2020-002429 2020-01-09
JP2020002429A JP7443772B2 (ja) 2020-01-09 2020-01-09 飲料供給装置
PCT/JP2020/041150 WO2021131330A1 (ja) 2019-12-27 2020-11-04 飲料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119A true KR20220038119A (ko) 2022-03-25

Family

ID=7657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781A KR20220038119A (ko) 2019-12-27 2020-11-04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38119A (ko)
CN (1) CN114341050A (ko)
WO (1) WO20211313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5489A (ja) 2015-12-08 2017-06-15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9603B2 (en) * 2002-12-24 2005-05-10 Nestec S.A. Clean-in-place automated food or beverage dispenser
JP3940842B2 (ja) * 2003-01-10 2007-07-0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US8181825B2 (en) * 2005-02-08 2012-05-22 Nestec S.A. Hygienic beverage mixing and whipping assembly
JP2010083582A (ja) * 2008-09-05 2010-04-15 Fuji Techno Kk 飲料サーバー
CN103221153B (zh) * 2011-10-21 2014-12-24 Fujiks株式会社 清洗液供给装置
WO2016139969A1 (ja) * 2015-03-03 2016-09-09 富士電機株式会社 乳飲料供給装置
KR102218579B1 (ko) * 2015-12-08 2021-02-22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JP6880890B2 (ja) * 2017-03-23 2021-06-02 富士電機株式会社 洗浄装置
BR112019023583B1 (pt) * 2017-05-10 2023-10-24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parelho para coar uma bebida com bocal de limpeza extern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5489A (ja) 2015-12-08 2017-06-15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1330A1 (ja) 2021-07-01
CN114341050A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4748B1 (en) Dairy-based beverage dispenser, method for dispensing hot, dairy-based beverages and disposable container for dairy-based liquids
US10470608B2 (en) Beverage supply device
US8083104B2 (en) Variable temperatur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RU26912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пенивания молока
JP6668721B2 (ja) 飲料供給装置
KR20170041231A (ko)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US11629316B2 (en) Beverage maker
WO2012031593A1 (en) A brewing device
JP2019527602A (ja) モジュラー泡立て器
KR20190132453A (ko) 음료 공급 장치
KR20220038119A (ko) 음료 공급 장치
JP6880890B2 (ja) 洗浄装置
CN107007152B (zh) 饮料提供装置
WO2021079801A1 (ja) 洗浄装置
JP6814995B2 (ja) 飲料供給装置
JP6891482B2 (ja) 飲料提供装置
JP6607012B2 (ja) 飲料供給装置
JP2021107253A (ja) 飲料供給装置
WO2021079800A1 (ja) 洗浄装置
CN113491441A (zh) 用于输出液态食品的设备和用于操作加热装置的方法
JP2017127487A (ja) 飲料提供装置
US8727186B2 (en) Method and product delivery mechanism with a pump
JP7443772B2 (ja) 飲料供給装置
JP2022107388A (ja) 飲料供給装置
JP2022107458A (ja) 保冷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