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231A -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231A
KR20170041231A KR1020177005860A KR20177005860A KR20170041231A KR 20170041231 A KR20170041231 A KR 20170041231A KR 1020177005860 A KR1020177005860 A KR 1020177005860A KR 20177005860 A KR20177005860 A KR 20177005860A KR 20170041231 A KR20170041231 A KR 20170041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gent
detergent
mixing vessel
supply uni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아노 투리
하인츠 펫테얼리
Original Assignee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filed Critical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4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식품을 음료 분배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1)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공급 유닛은 식품 탱크(3)로부터 공급 유닛(1)으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2), 세정제를 위한 세정제 탱크(3), 그리고 또한 세정제를 세정제 탱크(8)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세정제 펌프(7)를 가지며, 그러한 공급 유닛은, 장치가, 선택적으로 세정 모드에서 공급 유닛(1)에 또는 그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식품 분배 모드에서 공급 유닛(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세정제 혼합 탱크(6)를 가지며, 세정 모드에서 세정제가 세정제 펌프(7)에 의해서 세정제 탱크(8)로부터 세정제 혼합 탱크(6)로 공급될 수 있고, 세정제 및/또는 세정제 혼합물이 공급 라인(2)에 의해서 세정제 혼합 탱크(6)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식품을 음료 분배 장치(10)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1)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FEED UNIT FOR FEEDING A LIQUID FOODSTUFF TO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T LEAST ONE FEED UNIT FOR FEEDING A LIQUID FOODSTUFF TO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뿐만아니라, 제11항의 전제부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는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는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해, 특히 혼합 음료 준비를 위한 첨가제를 제공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급 유닛은, 커피와 함께 액체 식품을 방출하도록 또는 액체 식품의 추가적인 프로세싱, 예컨대 우유 거품내기(frothing milk) 이후에, 액체 식품을 커피 음료로 부가하도록, 우유 및/또는 시럽과 같은 다른 액체 향미료(flavoring)를 자동 커피 메이커로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그러한 장치는, 위생 기준 준수를 위해서 그리고 피착 방지를 위해서 규칙적으로 세정되어야 한다. 특히, 대규모 시설에서 그러한 장치를 이용할 때, 의무적인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는, 일반적으로 매일 이루어지는, 규칙적인 세정이 필요하다.
EP 2 078 481은 세정 목적의 자동 커피 메이커에 또는 그 내부에 배열되는, 세정제 탱크, 정량공급(dosing) 펌프, 및 방출 챔버를 포함하는 세정 배열체를 개시한다.
정량공급 장치, 세정제 탱크, 및 세정제를 물과 혼합하기 위한 방출 챔버를 포함하는 혼합 커피 음료를 생산하기 위한 기계가 DE 20 2010 010 509 U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식품을 음료 분배 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을 운영자가 세정하는 것을 단순화하고 여기에서 세정 프로세스 중의 오류 위험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제1항에 따른 공급 유닛뿐만 아니라, 제1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달성된다. 그에 의해서, 모든 청구항의 내용이 상세한 설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 특히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시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 특히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서 실시되도록 구현된다.
액체 식품을 음료 분배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은 식품 탱크로부터 공급 유닛으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 및 세정제를 위한 세정 탱크뿐만 아니라 세정제를 세정제 탱크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세정제 펌프를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그러한 장치가 세정제 혼합 용기를 포함하고, 그러한 용기는 세정 모드에서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음식물 분배 모드에서는 공급 유닛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액체 식품이 음료 분배 유닛으로 공급되는 전형적인 동작 모드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가 제거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 모드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는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된다. 세정 모드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는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세정제는 세정제 펌프를 통해서 세정제 탱크의 외부로 세정제 혼합 용기로 공급될 수 있고, 세정제 및/또는 세정제 혼합물이 공급 라인을 통해서 세정제 혼합 용기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급 유닛은,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의 다른 구성요소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공급 유닛에서의 또는 공급 유닛 내에서의 세정제 혼합 용기의 배열에 의해서, 운영자가 식품 분배 모드 및 세정 모드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시한다. 공급 유닛의 양(both) 동작, 특히 운영자가 세정 모드와 식품 분배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이러한 방식이 단순화되고, 그에 따라 오류의 잠재적인 발생원이 감소된다.
액체 식품을 음료 분배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하의 프로세싱 단계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단계 A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되고, 세정제 혼합 용기에 대한 공급 유닛의 공급 라인의 유체-전도(fluid-conduction) 연결이 이루어진다.
프로세싱 단계 B에서, 세정제 탱크로부터 세정제 혼합 용기로의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프로세싱 단계 C에서, 세정제 또는 세정제 혼합물이,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의 세정을 위해서, 공급 라인을 통해서 세정제 혼합 용기로부터 배수된다.
본질적으로 식품 분배 모드에서 공급 라인은 유체 전도 방식으로 식품 탱크에 연결되고, 세정 모드에서 공급 라인이 유체 전도 방식으로, 식품 탱크 대신에, 세정제 혼합 용기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관한 내용에서 언급된 장점을 포함하고, 특히 식품 탱크를 세정제 혼합 용기로 교환하는 것 그리고 그에 따라 유체를 전도하는 공급 라인을, 식품 탱크 대신에, 세정제 혼합 용기에 연결하는 것이, 운영자가 단순한 방식으로 식품 분배 모드와 세정 모드 사이에서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세정 모드는, 적어도 세정되는 공급 라인 및 바람직하게, 이송 펌프와 같은, 유체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 부가적인 구성요소에 의해서, 공급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세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여기에서, 세정 프로세스는 부가적인 구성요소, 특히 또한 세정제 혼합 용기의 외부로 이송되는 세정제 및/또는 세정제 혼합물을 통해서 세정되는 공급 유닛에 연결된 음료 분배 장치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하에서, 세정제가 임의의 희석된 세정제 또는 물과 같은 희석제로 희석된 세정제 혼합물을 나타내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세정제"라는 용어는 세정제 혼합 용기의 외부로 이송되는 세정제에 대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은 액체 식품을 종래 기술의 음료 분배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은 자동 커피 메이커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완전-자동형 커피 메이커로서 구현된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또한, 상이하게 구현된 음료 분배 장치, 예를 들어 알콜 또는 무알콜 음료, 특히 소위 가벼운 음료(refreshment) ("청량음료(soft drink)")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공급 유닛을 통해서 공급되는 액체 식품은 시럽과 같은 액체 향미료를 대표할 수 있다. 특히, 음료 분배 장치가 자동 커피 메이커로서 구현될 때, 자동 커피 메이커로서 구현된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으로서의 우유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특히, 공급 유닛 및/또는 음료 분배 장치 내에서의 우유의 이용은, 특별한 정도의 위생을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세정 프로세스에 대한 엄격한 요건을 셋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유닛은 음료 분배 장치 다음에 배열되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급 유닛은 바람직하게, 유체 전도 방식으로 음료 분배 장치의 식품 공급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품 방출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 아마도 거품내기와 같은 임의의 추가적인 프로세싱 이후에, 식품이 음료 분배 장치의 식품 방출 연결부를 통해서 배출되게 이송되도록, 공급 유닛이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은 여기에서 제어 연결부를 포함하고, 그러한 제어 연결부는 전기 전도 방식(electrically conducting fashion)으로 음료 분배 장치의 제어 출력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배 장치의 제어 신호가 공급 유닛의 구성요소, 특히 공급 유닛의 펌프 및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급 유닛의 기능, 특히 액체 식품의 공급 및/또는 세정 프로세스의 실행이 음료 분배 장치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유닛이 음료 분배 장치 내에 통합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장치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 및/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유닛은 바람직하게 음료 분배 장치의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앞서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식품 분배 모드에서 식품 탱크가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되고 유체 전도 방식으로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세정 모드에서, 식품 탱크 대신에,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되고 공급 라인이 유체 전도 방식으로 그에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서, 단순한 방식으로, 운영자는 식품 분배 모드와 세정 모드를 구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되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는 점에서, 다른 잠재적인 오류 발생원을 배제함으로써, 안전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유닛은 세정제 혼합 용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되었는지에 관한 검출에 의존하는 공급 유닛의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세정제 혼합 용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세정 프로세스가 차단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세정 프로세스는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에 배열되거나 그 내부에 배열된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은 여기에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그러한 제어 유닛은, 세정제 혼합 용기의 검출을 위한 전술한 검출기와 협력하여,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되었을 때에만 임의 세정 프로세스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전술한 제어 유닛이 음료 분배 장치 내에 배열되고 전술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세정제 혼합 용기의 검출은,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검출기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세정제 혼합 용기가 적어도 하나의 코딩(coding)을 포함하고, 검출기는 그러한 코딩을 검출하도록 구현된다. 특히, 코딩은 RFID-코딩, 바코드, 또는 자기 코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기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가 제조자에 의해서 의도된 바와 같이 배열될 때에만 세정 프로세스가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단순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운영자가, 세정 프로세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다른 적합하지 않은 혼합 용기를 공급 유닛에서 또는 공급 유닛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의 다른 장점은, 세정제가 세정제 탱크로부터 세정제 혼합 용기 내로 첫 번째로 이송되고, 후속하여, 적어도 공급 유닛의 세정을 위해서, 세정제가 세정제 혼합 용기로부터 공급 라인을 통해서 이송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정제 혼합 용기의 다른 준비가 단순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운영자는 희석제, 특히 물을 세정제 혼합 용기 내로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고,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제 혼합 용기를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정제의 임의의 희석이 단순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세정제 혼합 용기 내에서 세정제 탱크로부터의 세정제를 희석하는 것은, 세정제 탱크 내의 세정제가 농축물로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저장을 위해서 적은 부피를 필요로 하고 및/또는 세정제 탱크의 재충진 또는 교환이 덜 빈번하게 요구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은 신선한 물 연결부를 포함하고, 세정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신선한 물이 세정제 혼합 용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에 따라,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운영자 그/그녀 자신이 임의의 희석제를 세정제 혼합 용기 내로 충진할 필요가 없다. 그 대신에,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의 제어 유닛 및/또는 음료 분배 장치의 제어 유닛의 지시에 의해서, 세정제 탱크로부터 세정제 혼합 용기 내로 공급되는 세정제의 희석이 물 공급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선택적으로 가열된 물, 특히 고온의 물, 바람직하게 3 ℃ 내지 70 ℃, 바람직하게 30 ℃ 내지 70 ℃ 범위의 온도를 가지는 물이 세정제 혼합 용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 유닛이 구현된다. 세정제 탱크의 세정제를 가열된 물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세정 효과가 개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정제 탱크로부터 적은 세정제를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은 식품 용기를 위한 수용기(receptacle)를 포함한다. 이는 식품 탱크의 보호된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히 우유가 사용될 때, 식품의 보관-수명을 냉장 방식으로 연장시키기 위해서, 수용기가 냉장고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세정 모드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가 식품 용기 대신에 수용기 내에 배열되도록, 세정제 혼합 용기 및 수용기가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기는 특히 검출기를 포함하고, 그러한 검출기는, 세정제 혼합 용기가 여기에서 수용기 내에 배열될 때, 검출기에 의한 세정제 혼합 용기의 임의의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세정제 혼합 용기와 함께 배열되고 협력한다. 바람직하게, 세정제 혼합 용기가 수용기 내에 정확하게 배치된 경우에만 그러한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기가 여기에서 구현되고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은, 운영자가 세정제 혼합 용기를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하기만 하면 된다는 장점을 제시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세정제를 이송하기 위한 세정제 펌프는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그리고 특히 세정제 혼합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배열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은 세정제 탱크를 위한 별개의 수용기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전형적인 세정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식품 탱크 대신에, 세정제 혼합 용기를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하고, 공급 라인을 유체 안내 방식으로 세정제 혼합 용기에 연결하고, 아마도 세정 프로세스를 시작하기만 할 것을 요구한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제 혼합 용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제공된다면,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가 배열되고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된 후에, 세정 프로세스가 자동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세정제 혼합 용기는 식품 분배 모드에서 각각의 수용기 및/또는 냉장고로부터 제거되고, 그에 따라 세정 프로세스의 종료 이후에, 식품 탱크, 예를 들어 통상적인 우유 카톤(carton)에 의해서 대체되는 반면, 세정제 탱크는 공급 유닛 내의 그 별개의 수용기 내에서 유지되고 세정제의 완전한 소비 후에 교환 또는 재충진하기만 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제 농축물이 세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서, 세정제 탱크의 임의의 충진 및/또는 교환이 드물게 요구되고, 그에 따라 세정 프로세스의 압도적인 대부분 중에, 운영자는 세정제 혼합 용기를 조작하기만 하면 된다.
이는 세정제 혼합 용기가 바람직하게 펌프와 같은 어떠한 기술적 구성요소도 없이, 그리고 특히 어떠한 별개의 라인도 없이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정제 혼합 용기가,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 내에서,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을 유도한다. 또한, 식품 탱크를 제거하고 이를 세정제 탱크와 교체함으로써, 세정제가 식품 탱크 내로 도달할 수 없게 보장할 수 있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식품 탱크를 위해서 냉각 수용기가 제공된다면, 세정제를 냉각시키기 위한 어떠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도 방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저온에서 통상적으로 저하되는 세정제의 세정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세정제 탱크가 공급 유닛의 냉각 섹션 외부에 배열되도록, 공급 유닛이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공급 유닛은, 흡입측에서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공급 펌프를 포함한다. 압력측에서, 공급 펌프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공급 유닛 및/또는 음료 분배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공급 펌프를 통해서 흡입된 식품을 공급 라인을 통해 식품 탱크로 분배하는 것이, 아마도 식품의 프로세싱, 예를 들어 거품내기 이후에, 음료 분배 장치의 방출 개구부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제 혼합 용기와 공급 라인 사이의 유체 전도 연결은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공급 라인이 가요성 방식으로, 특히 가요성 호스로서 구현되고 운영자에 의해서 세정제 혼합 용기의 상단에 제공된 개구부를 통해서 세정제 혼합 용기 내로 도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세정제 혼합 용기를 상단을 향해서 개방된 저장소로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또한 세정제 혼합 용기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러한 연결부는, 세정제 혼합 용기가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될 때, 유체-전도 방식으로 공급 라인의 상응하는 연결부에 자동적으로 연결되고, 공급 유닛에서 고정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기 시간 또는 시작 시간이 미리 결정되고, 단지 그러한 대기 시간의 만료 이후에 및/또는 미리 결정된 시작 시간에 세정 프로세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세정 프로세스가 운영자를 방해하지 않는 시점에, 세정 프로세스가 자동화된 방식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에서, 단순한 방식으로, 세정이 예를 들어 야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부가적인 바람직한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기초로 설명된다.
도 1에는 a) 식품 탱크가 삽입된 음료 분배 장치 다음에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 부분 및 b) 세정제 혼합 용기가 삽입된 상세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음료 분배 장치 내에 통합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유닛의 제2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실제 축척이 아닌 개략도를 도시하며, 더 단순한 도면의 경우에, 자체적으로 공지된 구성요소를 생략하였다. 도면 내의 동일한 참조 문자는 동일한 요소 또는 동일한 효과를 생성하는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의 a)에 도시된 공급 유닛(1)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식품 탱크(3)로부터 액체 식품, 본 경우에 우유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2)을 포함한다.
식품 용기(3)는 여기에서 공급 유닛(1)의 냉장 섹션(G) 내에 배열된다. 흡입측에서 공급 라인(3)에 연결되는 공급 펌프(4)에 의해, 우유가 식품 용기(3)로부터 식품 방출 연결부(5)로 전도될 수 있다. 동작 중에, 이러한 식품 방출 연결부(5)는, 유체-전도 방식으로, 미도시된 음료 분배 장치의, 본 경우에 자동 커피 메이커의 식품 입력 연결부에 연결된다. 커피-우유 혼합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 여기에서 커피가 음료 분배 장치에 의해서 브루잉되고(brewed),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음료 분배 장치의 제어 유닛에 의해서, 공급 펌프(4)는, 미도시된, 공급 유닛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어되며, 그에 따라 식품 용기(3) 내의 우유가 음료 분배 장치의 식품 방출 연결부(5)를 통해서 희망 부피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공급 라인(2)은 미도시된 식품 탱크(3)의 상단의 개구부를 통해서 식품 탱크 내로 도입된다.
그에 따라, 도 1의 a)는 액체 식품이 음료 분배 장치의 식품 탱크(3)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전형적인 동작 조건을 도시한다. 그에 따라, 식품 분배 모드가 도시된다.
도 1의 b)는 공급 유닛(1)의 세정 모드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식품 탱크(3)가 세정제 혼합 용기(3)에 의해서 대체된다.
세정제 탱크(6)는 상단이 개방되어 구현되고, 그에 따라,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으로 공급 라인(2)이 세정제 혼합 용기(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급 유닛은, 흡입측의 호스 라인(7a)을 통해서 세정제 탱크(8)로 유체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세정제 펌프(7)를 포함한다. 압력측에서, 세정제 펌프(7)는 세정제 혼합 용기 위의 지역 내에서 종료되는 다른 호스 라인(7b)에 유체-전도 방식으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여기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가 삽입될 때, 세정제는 세정제 펌프(7)를 통해서 세정제 탱크(8)의 외부로 그리고 세정제 혼합 용기(6) 내로 이송될 수 있다.
공급 유닛은 호스 라인(FA)에 유체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정된 물 연결부(F)를 더 포함하고, 고정된 물 연결부는 또한 세정제 혼합 용기(6)가 삽입될 때 신선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정제 혼합 용기(6) 위에서 종료된다.
여기에서, 특히 펌프(4 및 7)의 전기 제어뿐만 아니라 신선한 물 연결부(F)와 호스 라인(FA) 사이의 유체-전도 연결부의 선택적인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제어 가능한 밸브 요소를 위한 어떠한 제어 요소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공급 라인(1)은 공급 유닛(1)의 비-냉장 섹션 내에 배열되는 검출기(9)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세정제 혼합 용기(6)는 세정제 혼합 용기(6)가 삽입될 때 코딩(9a)이 검출기(9)로부터 짧은 거리(본 경우에, 약 3 cm)에 위치되도록, 세정제 혼합 용기(6)의 외부에서 낮은 섹션 내에 배열된 RFID-코딩으로서 구현된 코딩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기에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유닛을 통해서, 세정제 혼합 용기(6)가 공급 유닛(1) 내에 배열된 것이 검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 식품 탱크(3) 대신에, 세정제 혼합 용기(6)가 공급 유닛(1) 내에 배열된다. 코딩(9a)이 검출기(9)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검출되자마자, 여기에서 세정제 펌프(7)를 통해서, 세정제가 세정제 탱크(8)로부터 세정제 혼합 용기(6) 내로 이송되고, 고정된 물 연결부(F)를 통해서 물이 부가된다.
세정제 탱크(8) 내의 세정제는 액체의 농축된 세정제를 나타내고, 그에 따라 여기에서 물의 부가 이후에 세정제의 희망 농도가 얻어질 수 있다.
세정제 혼합 용기(6) 내에서 물로 세정제를 혼합한 후에, 공급 펌프(4)를 통해서, 세정제의 혼합물이 공급 라인(2)을 경유하여 식품 분배 연결부(5)로 이송되고, 그에 따라 일 측면에서 공급 라인(2) 및 공급 펌프(4)가, 그러나 또한 미도시된 음료 분배 장치의 부가적인 라인 및 다른 구성요소도 세정된다.
그에 따라, 도 1의 a)는 식품 분배 모드를 나타내고, 그러한 식품 분배 모드에서 공급 라인(2)은 유체 전도 방식으로 식품 탱크(3)에 연결되고, 도 1의 b)는 세정 모드를 도시하며, 그러한 세정 모드에서 공급 라인(2)은 유체 전도 방식으로 세정제 혼합 용기(6)에 연결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탱크 가열기(tankless heater)(미도시)가 라인(Fa) 내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세정제가 50 ℃의 온도를 나타내는 고온의 물과 혼합되어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공급 유닛이 음료 분배 장치(10) 내에 통합되는 제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도 1의 b)에 따른 도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음료 분배 장치(10)는, 미도시된, 제어 유닛뿐만 아니라, 완전 자동화된 커피 생산을 위한 커피 유닛(11)을 포함한다.
미도시된 식품 방출 모드에서, 여기에서 세정제 혼합 용기(6) 대신에 우유를 가지는 식품 탱크(3)가 삽입되고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공급 라인(2)에 유체 전도 방식으로 연결될 때, 커피-우유 혼합 음료, 예를 들어 라떼 마키아토가 생성될 수 있고, 음료 분배 장치(10)의 배출구(12)를 통해서 컵(T)으로 분배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음료 분배 장치(10)는, 그러한 음료 분배 장치(10)의 공통 하우징 내에 배열되고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된 공급 유닛과 유사하게 구현된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도 2는 음료 분배 장치(10)의 세정 모드를 도시한다: 미도시된, 식품 탱크(3)가 세정제 혼합 용기(6)에 의해서 대체되었다. 세정제 농축물이 세정제 탱크(7) 상의 세정제 펌프(7)를 통해서 세정제 혼합 용기(6)로 이송되었고 고정된 물 연결부(F)를 경유하여 라인(Fa)을 통해 물로 희석되었다. 후속하여, 공급 펌프(4)를 통해서, 희석된 세정제가 공급 라인(2)을 통해서 흡입되고 커피 유닛(11)의 다른 라인(2a)을 통해서 이송되며, 그에 따라 커피 유닛(11)이 세정된다.

Claims (14)

  1. 식품 탱크(3)로부터 공급 유닛(1)으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라인(2) 및 세정제를 위한 세정제 탱크(3)뿐만 아니라 세정제를 상기 세정제 탱크(8)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공급 유닛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된, 세정제 펌프(7)를 포함하는, 액체 식품을 음료 분배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1)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은 상기 세정제 탱크(3)로부터 분리된 세정제 혼합 용기(6) 및 세정제 펌프(7)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는 세정 모드에서 상기 공급 유닛(1)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선택적으로 배열되고 식품 분배 모드에서 상기 공급 유닛(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세정 모드에서 세정제가 세정제 펌프(7)를 통해서 세정제 탱크(8)의 외부로 그리고 세정제 혼합 용기(6)로 이송될 수 있게 하고, 세정제 및/또는 세정제 혼합물이 세정제 혼합 용기(6)로부터 공급 라인(2)을 통해서 제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이 상기 세정제 혼합 장치(6)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9)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가 적어도 하나의 코딩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기(9)는 상기 코딩을 검출하도록 구현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코딩(9a)이 RFID-코딩, 바코드, 또는 자기 코딩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은,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의 검출시에만 세정 프로그램의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현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은 식품 탱크(3) 및 세정제 혼합 용기(6)를 위한 수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기는 상기 세정 모드에서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가 상기 식품 탱크(3) 대신에 상기 수용기 내에 배열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은 신선한 물 연결부를 포함하고, 세정 모드에서 신선한 물이 선택적으로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은 상기 세정제 탱크(8)를 위한 별개의 수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이 흡입측에서 상기 공급 라인에 연결된 공급 펌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1)은 음료 분배 장치(10) 다음에 배열되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구현되고 상기 음료 분배 장치(10)의 식품 공급 연결부에 유체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품 분배 연결부(5)를 포함하며, 유체 식품이 상기 음료 분배 장치(10)의 식품 분배 연결부(5)를 통해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 유닛(1)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유닛.
  9. 음료 분배 장치(10), 특히 완전히 자동적인 커피 메이커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배 장치(10)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급 유닛(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분배 장치(10).
  10. 적어도, 액체 식품을 음료 분배 장치(1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1)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세정제 혼합 용기(6)를 공급 유닛(1)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배열하고 상기 공급 유닛(1)의 공급 라인(2)을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에 유체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는 프로세싱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를 세정제 탱크(8)로부터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 내에 공급하는 프로세싱 단계;
    C 적어도 상기 공급 유닛(1)을 세정하기 위해서, 세정제 또는 세정제 혼합물을 상기 공급 라인(2)을 통해서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의 외부로 제거하는 프로세싱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품 분배 모드에서 상기 공급 라인(2)은 유체 전도 방식으로 식품 탱크(3)에 연결되고, 세정 모드에서 상기 공급 라인(2)은 유체 전도 방식으로, 상기 식품 탱크(3) 대신에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가 상기 공급 유닛(1)에 또는 공급 유닛 내에 연결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세싱 단계 C에 앞서서 확인 프로세스가 실시되고, 특히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의 코딩(9a)이 확인되며, 정확한 코딩(9a)의 경우에만, 상기 프로세싱 단계 C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 내에서, 특히 고온의 물을 세정제 혼합 용기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서, 희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기 시간 또는 시작 시간이 미리 결정되고, 상기 세정 프로세스는, 단지 대기 시간의 만료 이후에 또는 시작 시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분배 모드에서 상기 식품 탱크(3)가 상기 공급 유닛(1)의 수용기 내에 배열되고, 세정을 위해서, 상기 세정제 혼합 용기(6)가 상기 식품 탱크(3) 대신에 상기 수용기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7005860A 2014-08-07 2015-08-03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KR20170041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5689.0 2014-08-07
DE102014215689.0A DE102014215689A1 (de) 2014-08-07 2014-08-07 Zuführeinheit zum Zuführ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zu einer Getränkeaus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zumindest einer Zuführeinheit zum Zuführ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zu einer Getränkeausgabevorrichtung
PCT/EP2015/067792 WO2016020314A1 (de) 2014-08-07 2015-08-03 Zuführeinheit zum zuführ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zu einer getränkeaus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zumindest einer zuführeinheit zum zuführ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zu einer getränkeausgabe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231A true KR20170041231A (ko) 2017-04-14

Family

ID=5377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860A KR20170041231A (ko) 2014-08-07 2015-08-03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70208990A1 (ko)
EP (1) EP3177190B1 (ko)
JP (1) JP2017532258A (ko)
KR (1) KR20170041231A (ko)
CN (1) CN107072436A (ko)
AU (1) AU2015299168A1 (ko)
CA (1) CA2955887A1 (ko)
DE (1) DE102014215689A1 (ko)
DK (1) DK3177190T3 (ko)
ES (1) ES2697338T3 (ko)
HR (1) HRP20181894T1 (ko)
HU (1) HUE041902T2 (ko)
PL (1) PL3177190T3 (ko)
PT (1) PT3177190T (ko)
RU (1) RU2654442C1 (ko)
SI (1) SI3177190T1 (ko)
WO (1) WO2016020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4155U1 (de) 2015-08-07 2015-11-04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mittelbehälter
DE102015217964A1 (de) 2015-09-18 2017-03-23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system für eine Vorrichtung zur Ausgabe von flüssigen Lebensmitteln
DK3345518T3 (en) * 2017-01-09 2019-04-08 Cup&Cino Kaffeesystem Vertrieb Gmbh & Co Kg CLEANING SYSTEM
US11712128B2 (en) 2017-07-06 2023-08-01 Steiner Ag Weggis Milk module for generating milk foam or milk beverages, preferably for installing into a coffee machine
DE102017123642A1 (de) 2017-10-11 2019-04-11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milchschaum
CN107886639A (zh) * 2017-12-28 2018-04-06 厦门大学嘉庚学院 环保型共享饮品云系统及使用方法
KR20210005170A (ko) * 2018-05-11 2021-01-13 에코랍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휴대용 포장 식품 용기를 위한 위생 시스템
CN113576230B (zh) * 2020-04-30 2022-11-11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的清洗方法
DE102020215848A1 (de) * 2020-12-14 2022-06-15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Pflege eines Heißgetränkezubereitungsautomaten und Pflegemittelbehälter dafür
CN114985385B (zh) * 2022-05-25 2023-08-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饮品调制设备及其控制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9603B2 (en) * 2002-12-24 2005-05-10 Nestec S.A. Clean-in-place automated food or beverage dispenser
DE102006047969A1 (de) * 2006-10-11 2008-04-17 Niro-Plan Ag Vorrichtung zur Zubereitung und Ausgabe von Getränken mit Reinigungseinrichtung
DE102008003733B4 (de) * 2008-01-10 2022-12-01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modu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für Maschinen zur Herstellung flüssiger Lebensmittel
EP2265158B1 (en) * 2008-04-07 2011-09-28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ith in-line scale removal system and descaling method using such system
EP2133010A1 (en) *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EP2353473A1 (en) * 2010-02-03 2011-08-10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hygienic cleaning cycle
EP2353474A1 (en) * 2010-02-03 2011-08-10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safe cleaning arrangement
US8768524B2 (en) * 2010-06-04 2014-07-01 Pepsico, Inc. System and method for rapid reconfiguration of post-mix beverage dispenser
DE202010010509U1 (de) 2010-07-21 2011-10-05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Reinigungseinheit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Kaffeemischgetränken
IT1402173B1 (it) * 2010-09-02 2013-08-28 Lavazza Luigi Spa Apparecchio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calda, in particolare una bevanda a base di latte
EP2474254A1 (en) * 2011-01-07 2012-07-11 Nestec S.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5730042B2 (ja) * 2011-01-31 2015-06-03 一夫 下岡 ミルククーラに洗浄ボトルを常設したコーヒーマシン
DE102011081010B4 (de) * 2011-08-16 2014-10-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tränkespender und Reinigerkartusche
DE102011111177A1 (de) * 2011-08-25 2013-02-28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Reinigungsdosierer
DE102011055264A1 (de) * 2011-11-11 2013-05-16 Miele & Cie. Kg Vorrichtung zur Zubereitung und Ausgabe von Geträn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7190B1 (de) 2018-10-03
AU2015299168A8 (en) 2017-03-30
SI3177190T1 (sl) 2019-01-31
DK3177190T3 (en) 2018-12-10
CA2955887A1 (en) 2016-02-11
CN107072436A (zh) 2017-08-18
PL3177190T3 (pl) 2019-03-29
AU2015299168A1 (en) 2017-02-09
PT3177190T (pt) 2018-12-03
EP3177190A1 (de) 2017-06-14
RU2654442C1 (ru) 2018-05-17
ES2697338T3 (es) 2019-01-23
US20170208990A1 (en) 2017-07-27
HRP20181894T1 (hr) 2019-01-11
HUE041902T2 (hu) 2019-06-28
WO2016020314A8 (de) 2017-03-16
WO2016020314A1 (de) 2016-02-11
JP2017532258A (ja) 2017-11-02
DE102014215689A1 (de)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1231A (ko)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KR102520404B1 (ko) 세정 시스템
US8770099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11793351B2 (en) Device for preparing frothy milk
US8739688B2 (en) Device for supplying milk
RU2675227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и/или дезинфекции молоко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кофемашины и кофемашина
US9161657B2 (en) Coffee machine
US8007599B2 (en) Apparatus for washing circuits involved in the preparation of milk-based beverages
KR20130099262A (ko) 음료 기기의 세척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49764A1 (e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such as espresso coffee, cappuccino and the like
JP6771028B2 (ja) 液体食品注出装置用の洗浄システム
CN110944551B (zh) 用于产生奶泡或奶饮料、优选地用于安装到咖啡机中的奶模块
US20240180358A1 (en) System for cleaning milk ducts for 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CN117440766A (zh) 用于清洁制备饮料的机器的奶液管道的系统
CN115381289A (zh) 用于产生奶泡或奶饮料、优选地用于安装到咖啡机中的奶模块
AU2014336457A1 (e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such as espresso coffee, cappuccino and the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