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262A - 음료 기기의 세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기기의 세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262A
KR20130099262A KR1020137022368A KR20137022368A KR20130099262A KR 20130099262 A KR20130099262 A KR 20130099262A KR 1020137022368 A KR1020137022368 A KR 1020137022368A KR 20137022368 A KR20137022368 A KR 20137022368A KR 20130099262 A KR20130099262 A KR 2013009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steam
valve
venturi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안드로 리주토
조셉 라스코프스키
Original Assignee
콘에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에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콘에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9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료 기기는, 증기 입구 및 우유 입구를 갖는 벤투리(venturi)를 포함한다. 증기 입구 및 우유 입구는 각각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사이에서 구성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다. 작동 중에, 제1 스위치의 기동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들이 그 개방 상태들로 제어되어, 거품 우유를 생성하도록 우유 및 증기를 벤투리로 전달한다. 원하는 양의 거품 우유가 분배되었을 때, 사용자는 제1 스위치를 정지시키고, 프로세서는 단지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를 그 폐쇄 상태로 제어한다.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소정의 시간 동안 그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증기 폭발만이 강제로 벤투리 및 배분 라인들을 통과하여 벤투리 및 배분 라인들로부터 우유를 제거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음료 기기의 세척 시스템 및 방법{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본 발명은 음료 기기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세척 특징을 갖는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카푸치노 제조기와 같은 음료 기기는, 그 사용에 있어, 음료의 제조 시 우유가 전달되는 루트가 되는 우유 전달 라인들 및 기타 구성 부품들이 주기적으로 세척/세정되지 않는 경우 오염 및 박테리아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계는, 주기적으로 기계를 세척하는 것에 대하여 사용자의 기억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며, 그러한 세척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 번잡한 수동 단계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기존 기계의 디자인은, 우유와 접촉되는 우유 전달 라인들 및 기타 구성 부품들을 세척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인 분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음료 기기는, 증기 입구 및 우유 입구를 갖는 벤투리(venturi)를 포함한다. 증기 입구 및 우유 입구는 각각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구성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제어 가능하다. 작동 중에, 제1 스위치의 기동에 따라, 프로세서가 양측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그 개방 상태들로 제어하고, 동시에, 거품 우유를 생성하도록 우유 및 증기를 각각 벤투리로 전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원하는 양의 거품 우유가 사용자의 컵으로 제공되었을 때, 사용자는 제1 스위치를 정지시키고, 프로세서는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그 폐쇄 상태로 제어한다.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소정의 시간 동안 그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증기 폭발(burst)만이 강제로 벤투리 및 배분 라인들을 통과하여 벤투리 및 배분 라인들로부터 우유를 제거하도록 한다.
도 1은 카푸치노 제조기의 사시도로서, 그 설치 위치 및 상기 장치로부터의 제거 위치에 있는 제거 가능한 용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상단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우유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부분적으로 파단된 본원의 카푸치노 제조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에 따른, 부분적으로 파단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선에 따른, 부분적으로 파단된 평면도이다.
도 6는 뜨거운 증기 및 우유가 어떻게 모아져 혼합되는지를 도시하는, 벤투리를 통하여 취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우유 용기와 함께 벤투리 거품 장치가 카푸치노 제조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본 발명의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음료 기기에 사용되는 벤투리 및 자동 세척 시스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 시스템을 갖는 음료 추출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음료 추출 기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음료 추출 기기의 우유 거품 장치 및 자동 세척 시스템의 확대된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음료 추출 기기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음료 추출 기기의 우측 단면도이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2011년 7월 19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509,298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1)는 보통의 하우징(2) 및 분배 영역(3)을 포함한다. 분배 영역은 두 개의 인접한 분배 스파우트들, 즉 커피(에스프레소) 스파우트(spout)(5) 및 증기 우유 스파우트(spout)(7)를 포함한다. 두 개의 스파우트들은 서로 충분히 인접하여 두 개의 스파우트들이 동시에 카푸치노 컵으로 향할 수 있다. 이 장치장치(unit)는 또한 핸들(13)이 구비되는 커피 바구니(11)와, 표시등(17)이 구비되는 온-오프(on-off) 스위치(15)와, 증기 조절 노브(knob)(19)와, 물 입구(21)를 포함한다. 이들은 종래의 방식으로 작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8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기 조절 노브(19)는 제1 스위치일 수 있다.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1)는 또한 이러한 장치장치 내에서 발견되는 보통의 구성요소들인, 증기를 생성하는 가열 수단과 결합되는 물 공급기와, 에스프레소 커피를 생산하도록 증기를 분쇄 커피에 통과시키는 수단과, 커피 출구와, 우유 거품을 내도록 증기를 우유에 통과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우유를 저장하고자 할 때 우유 공급기는 장치이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우유로의 증기 라인은, 우유 거품 장치도 카푸치노 제조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자동 폐쇄(self-closing) 밸브들이 구비되는 단속적 연결(make and break connection)을 포함한다.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1)는 우유(27)를 수용하는 우유 용기(25)를 포함한다. 용기(25)는 용기 상단(29)의 래치(23) 및 래치-수용 슬롯(35)에 의하여 하우징(2)에 고정된다. 우유 전달 튜브(31)는 상단(29)까지 연장(carried)되고, 용기(25) 내로 하측으로 연장된다. 우유 전달 튜브(31)는 그 상단에서 실(seal)(33)을 구비한다. 튜브(31)는 우유를 벤투리 거품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벤투리(41)는 하우징(2)에 수용되며 우유 용기(25)의 바로 위에 장착된다. 벤투리(41)는 우유 거품 장치로서장치로서 작용하며, 하우징으로부터 뜨거운 증기를 수용하도록 증기 입구(43)를 갖는다. 증기는 벤투리(41)의 일단으로 유입되고, 좁은 흡입부(47)를 통과하며, (우유 거품을 내는 것을 돕도록) 원뿔형 스프링(53)을 지나 거품 우유 출구(55)로 나온다. 우유 전달 튜브(31)는 스프링이 장착된(spring-loaded) 실(seal)(33)을 통과하여 벤투리(41)에 있는 우유 입구(45)에 연결된다. 이는 우유를 벤투리의 좁은 부분(47)으로 유도하며, 이 좁은 부분은 벤투리(Venturi)에는 일반적인 것처럼 흡입기로서 작용한다. 우유는 좁은 부분에서 증기와 혼합되어 거품을 발생시키고, 우유 및 증기는 거품 우유 출구(55)를 향하여 이동한다. 우유 및 증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뿔형 스프링(53)을 만남으로써 우유 거품이 더 발생한다. 필요하다면, 니들 밸브와 같은, 거품 제어기가, 벤투리를 통한 증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벤투리(41)의 좁은 부분(4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거품 우유는 출구(55)로부터 나와, 우유 스파우트(7)로 이어지는 튜브(57)를 통과한다. 이 우유 스파우트는 커피 스파우트(5)에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카푸치노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파우트들(5, 7)이 서로 충분히 인접하므로 컵을 이동시키지 않고 커피 및 스팀(steamed) 우유를 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푸치노 제조기(1)의 사용을 종료하면, 래치(23)를 해제하여 우유 용기(25)가 장치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 우유를 보존하기 위해 용기가 냉장고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에 사용할 때, 우유 전달 튜브(31)를 실(seal)(33)을 통하여 벤투리 우유 입구에 연결하여 용기가 다시 장치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그 동안, 우유는 상하지 않게 보존된다.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우유 용기(25) 및 벤투리 장치장치가 하나의 장치장치로서 분리 가능하다. 이 예에서, 하우징 내의 증기 라인(61)은 벤투리 시스템의 증기 연결부(62)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의 거품 우유 연결기(63)가 벤투리 시스템의 우유 연결부(65)에 연결된다. 이 연결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신속하게 작동하는 자동 폐쇄형이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기존의 에스프레소 제조기를 카푸치노를 제조할 수 있도록 개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에스프레소 제조기 증기 라인이 증기 및 거품 우유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증기가 벤투리 거품 장치장치에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6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1)는 또한 우유와 접촉하는 커피 제조기(1)의 구성 부품을 세척/세정하는 자동 세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벤투리(41)의 우유 입구(45) 및 벤투리(41)의 증기 입구(43)는 각각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들(70, 7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밸브들(70, 72)은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 및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밸브들도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측면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솔레노이드 밸브들(70, 72)은,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식품 및 음료에 사용되는 범용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 및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는 각각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1)의 하우징(2) 내에 수용된 프로세서(74)와 전기적으로 연결(communication)된다. 프로세서(74)는, 우유가 우유 입구(45)로부터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 및 출구(55)를 통과할 수 있는 제1, 개방 위치 및 우유가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통과할 수 없는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프로세서(74)는, 증기가 증기 입구(43)로부터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 및 출구(55)를 통과할 수 있는 제1, 개방위치 및 증기가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를 통과할 수 없는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두 개의 스위치들인, 제1 스위치(76) 및 제2 스위치(7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작동 중에, 커피가 추출되어 사용자의 컵으로 분배되면, 사용자가 거품 우유의 분배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판/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제1 스위치(76)를 켤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제1 스위치(76)를 켜면, 프로세서(74)로부터의 신호는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 및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를 각각의 개방 위치들로 동시에 제어한다. 그 다음, 우유 및 증기가 우유가 증기와 혼합되는 벤투리(41)로 유입되는 것이 허용되어 거품이 발생하고, 우유 및 증기는 거품 우유 출구(55)를 향하여 이동한다. 우유 및 증기가 이동하다가 원뿔형 스프링(53)을 만남으로써, 우유 거품이 더 발생한다. 거품 우유는 출구(55)로부터 나와, 우유 스파우트(7)로 이어지는 튜브(57)를 통과한다.
원하는 양의 거품 우유가 사용자의 컵 내로 분배되면, 사용자에 의해 제1 스위치(76)가 꺼지고, 프로세서(74)로부터의 신호는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폐쇄하여, 우유가 벤투리(41)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벤투리(41), 출구(55), 우유 스파우트(7) 등에 남아 있는 우유를 제거하기 위해 증기만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 초) 동안 벤투리(41)로 유입되도록 한다. 소정 시간이 지나고, 벤투리(41), 출구(55), 우유 스파우트(7) 등이 증기 폭발(burst)에 의하여 세척된 후에, 프로세서(74)는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를 폐쇄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을 때,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 및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는 모두 폐쇄 상태에 있다.
중요하게는, 사용자가 거품 우유의 흐름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1 스위치(76)를 끌 때, 프로세서(74)가 소정 시간 동안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를 개방 위치로 유지함으로써, 증기 폭발이 자동으로 벤투리(41) 및 우유 스파우트(7)로 전달되어 이 시스템 구성 부품들을 세척한다.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자동 증기 폭발 세척 특징은 우유 라인 오염 및 박테리아 성장을 방지하도록 벤투리(41) 및 배분 시스템으로부터 잔류 우유가 제거되는 것을 보장한다. 기존의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우유 전달 기능이 활용될 때마다, 즉 사용자가 우유의 흐름을 개시하기 위해 제1 스위치(76)를 켤 때, (벤투리(41), 우유 스파우트(7) 등을 포함하는) 우유 배분 시스템이 자동으로 세척되는 것을 보장한다. 즉, 제1 스위치(76)가 꺼지면, 증기 폭발 세척 특징은 자동으로 개시되어 시스템으로부터 잔류 우유를 제거한다. 이 점에서, 증기 폭발 세척 특징은 사용자에게 명백하며, 수동 기동(activation) 또는 수동 세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우유 전달 시스템을 세척할 것을 기억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추가적인 단계들 없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피 제조기(1)가 블랙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 한 컵을 추출하는 데에만 활용되는 경우에는, 즉, 우유 용기(25)로부터 우유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증기 폭발 세척 특징이 활용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특징은 제(2) 스위치(78)의 추가로 인해,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가 우유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0)와 별개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2 스위치(78)가 켜지면,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를 그 개방 위치로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74)가 증기 입구 솔레노이드 밸브(72)로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증기만이 벤투리(41) 및 우유 스파우트(7)로 유입되어, 음료 용기를 예열 하거나 우유 용기(25) 내에 담기지 않은 다른 액체들을 가열하고/거품을 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스위치(78)가 사용자에 의해 켜져 벤투리(41), 출구(55), 스파우트(7) 및 기타 배분 구성 부품을, 필요에 따라, 더 세척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은 후에도 시스템의 청결함을 보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제조기(1)는 제거 가능한 우유 용기(25)를 포함한다.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한 우유 용기는 사용자가 우유를 냉장고 등에 저장하도록 하여 신선도를 유지하고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한다. 우유와 접촉하는 실질적으로 모든 구성 부품들이 커피 제조기(1)의 하우징(2) 내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상술한 증기 폭발 자동 세척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척될 수 있는 반면에, 튜브(31) 및 실(seal)(33)과 같이 우유와 접촉하는 다른 구성 부품들은, 커피 제조기(1)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도록 냉장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우유 용기(25) 내에 수용된다. 우유 용기(25)를 세척할 때가 되면, 실(seal)(33) 및 튜브(31)가 종래의 방식으로 우유 용기(25)와 함께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증기 폭발, 자동 세척 시스템은 카푸치노 커피 제조기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히, 우유 또는 다른 액체들을 전달하는 액체 배분 라인들을 정화 또는 세척하고자 하는 임의의 종류의 음료 기기 장치 또는 시스템과 함께 자동 세척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세척 시스템이 커피 제조기(100)와 같은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종류의 음료 추출 기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제조기(100)는 커피 분배 스파우트(112) 및 거품 우유 분배 스파우트(114)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유 분배 스파우트(114)는 커피 분배 스파우트(112)에 인접되되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피 제조기(100)는 분쇄 커피로 채워진 필터 컵(116)을 온수가 통과하는 일회용(single serve type)일 수 있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제조기(100)는 이전에 설명된 종류의 우유 거품 장치장치(11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우유 거품 장치장치(118)는, 벤투리(122)와 유체 연통되는 우유 저장조(120) 및 증기원(steam source)(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벤투리(122)의 출구는 분배 스파우트(114)와 유체 연통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거품 우유, 우유, 또는 증기를 사용자의 컵 내로 분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유 튜브(124)는 우유 저장조(120)로부터 벤투리(122)의 입구까지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솔레노이드 밸브들(126, 128)이 벤투리(122)로 향하는 우유 및 증기의 유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솔레노이드 밸브들(126, 128)은 프로세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communication)된다. 한 쌍의 스위치들 또는 노브들이 또한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우유 및/또는 증기의 유동을 벤투리(122)로, 그리고 우유 분배 스파우트(114)로부터 외부로 제어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커피 제조기는 장치의 전방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거품 우유 분배 노브(130)를 가질 수 있다.
사용 중, 사용자는 분배 스파우트(112) 아래에서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거품 우유를 원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컵을 거품 우유 분배 스파우트(114)의 아래로 이동시키고 노브(130)를 기동할 수 있다. 노브(130)의 기동은 프로세서로 신호를 보내 솔레노이드 밸브들(126, 128)을 그 개방 위치들로 제어함으로써, 우유 및 증기가 벤투리(122)로 유입되어 분배 스파우트(112)를 통하여 사용자의 컵으로 분배되는 거품 우유를 생산한다. 원하는 양의 거품 우유가 분배되면, 사용자는 노브(130)를 해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여, 우유의 벤투리(122)로의 유동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노브/스위치(130)의 해제에 따라 그 폐쇄 위치로 제어되는 반면, 증기의 벤투리(122)로의 유동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 위치에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어, 증기 폭발이 우유 튜브(124), 벤투리(122) 및 스파우트(114)를 통하여 이동함으로써 이 부품들을 세정/살균하게 한다. 중요하게는, 이 방식으로, 우유와 접촉하는 음료 기기(100)의 구성 부품들이 거품 우유가 분배될 때마다 자동으로 세정/살균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증기만(steam only)”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노브(130)를 기동하여 증기만의 폭발(a steam-only burst)을 개시하여 시스템을 더욱 정화하거나, 전술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음료를 가열/예열한다.
상세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수행될 수 있으며 균등물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대체할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제시하는 것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용하는 수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상술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9)

  1. 하우징;
    증기원;
    우유 저장조;
    추출 음료 분배 스파우트;
    거품 우유 분배 스파우트;
    상기 거품 우유 분배 스파우트에 유체적으로(fluidly) 연결되고, 상기 증기원으로부터 증기를 수용하는 증기 입구 및 상기 우유 저장조로부터 우유를 수용하는 우유 입구를 포함하는 우유 거품 장치;
    상기 우유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우유 거품 장치로의 우유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제어 가능한 제1 밸브;
    상기 증기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우유 거품 장치로의 증기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제어 가능한 제2 밸브;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밸브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제2 밸브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들로 제어하여, 거품 우유를 생성하도록 상기 우유 거품 장치 내로의 우유 유동 및 증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작동하여, 원하는 양의 거품 우유가 상기 거품 우유 분배 스파우트로부터 분배되면, 상기 제1 밸브는 폐쇄 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밸브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우유 거품 장치 및 상기 우유 분배 스파우트를 세정하는 음료 추출 기기.
  4. 증기원으로부터 증기를 수용하는 증기 입구 및 우유 저장조로부터 우유를 수용하는 우유 입구를 포함하는 벤투리;
    상기 우유 입구와 연결되고,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구성 가능한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증기 입구와 연결되고,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구성 가능한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적으로 열결되고,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의 사이에서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음료 추출 기기의 세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 상태로 제어된 후,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음료 추출 기기의 세척 시스템.
  6. 증기원으로부터 증기를 수용하는 증기 입구 및 우유 저장조로부터 우유를 수용하는 우유 입구를 포함하는 벤투리와 유체 연통된 거품 우유 분배 스파우트를 포함하는 우유 거품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세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유 저장조로부터의 우유의 유동 및 상기 증기원으로부터의 증기의 유동을 상기 벤투리를 통하고 거품 우유 분배 스파우트로부터 외측으로 개시하는 단계;
    상기 벤투리를 통한 상기 우유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료 추출 기기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벤투리를 통한 증기의 유동을 소정 시간 동안 수동으로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세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투리를 통한 증기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세척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우유 밸브는 우유의 상기 벤투리로의 진입을 제어하고
    증기 밸브는 우유의 상기 벤투리로의 진입을 제어하며,
    상기 벤투리를 통한 우유 및 증기의 유동을 개시시키는 단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우유 밸브 및 상기 증기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음료 추출 기기의 세척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투리를 통하고 상기 분배 스파우트로부터 외측으로만 증기 유동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세척 방법.
KR1020137022368A 2011-07-19 2012-07-18 음료 기기의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92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09298P 2011-07-19 2011-07-19
US61/509,298 2011-07-19
PCT/US2012/047108 WO2013012882A1 (en) 2011-07-19 2012-07-18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262A true KR20130099262A (ko) 2013-09-05

Family

ID=4755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368A KR20130099262A (ko) 2011-07-19 2012-07-18 음료 기기의 세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5) US20130019903A1 (ko)
EP (1) EP2654531A4 (ko)
JP (1) JP2014506525A (ko)
KR (1) KR20130099262A (ko)
CN (1) CN203802278U (ko)
BR (1) BR112013023989A2 (ko)
CA (1) CA2842415C (ko)
CO (1) CO6781509A2 (ko)
EC (1) ECSP14013134A (ko)
HK (1) HK1195195A2 (ko)
MX (1) MX2013009171A (ko)
WO (1) WO2013012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714725U (zh) * 2012-08-08 2013-02-06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奶泡机
US20150327718A1 (en) 2014-02-14 2015-11-19 Remington Design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olute extraction
CN105078255A (zh) * 2014-05-20 2015-11-25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咖啡机
FR3021200B1 (fr) * 2014-05-23 2016-12-09 Seb Sa Dispositif de production de boissons a base de lait muni d’un systeme d’accouplement et machine a caf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3021197B1 (fr) * 2014-05-23 2016-05-13 Seb Sa Dispositif de production de boissons a base de lait muni de moyens de securite et machine a caf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10028615B2 (en) 2014-06-17 2018-07-24 Sharkninja Operating Llc Method of brewing coffee
US11051649B2 (en) 2014-06-17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WO2015197261A1 (en) * 2014-06-27 2015-12-30 Illycaffe' Spa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with frothed milk, in particular cappuccino or latte macchiato
ITUB20155210A1 (it) * 2015-10-21 2017-04-21 La Marzocco Srl Macchina per caffe espresso con sistema di pulizia dell?impianto di scarico e di erogazione del caffe
NL2016403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NL2016400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milk.
NL2016402B1 (en) *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CN106037482A (zh) * 2016-08-04 2016-10-26 浙江莎啦啦科技有限公司 一种泡茶机
PT109610A (pt) 2016-09-13 2018-03-13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ergonómica,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a referid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e processo de operação da referida máquina
PT109612A (pt) 2016-09-13 2018-03-13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regulável,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a referid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e processo de operação da referida máquina
PT109611A (pt) 2016-09-13 2018-03-13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compacta e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a referid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CN106859354A (zh) * 2017-03-28 2017-06-20 宁波美侬咖啡机有限公司 一种咖啡机奶路自动清洗系统及咖啡机奶路自动清洗方法
JP7393950B2 (ja) * 2017-07-06 2023-12-07 シュタイナー・アーゲー・ウェギス ミルクフォームまたはミルク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好ましくはコーヒーマシンに設置するためのミルクモジュール
CN208925915U (zh) * 2017-09-06 2019-06-04 佛山市顺德区本立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咖啡机奶泡发生装置
KR101968048B1 (ko) * 2018-08-21 2019-04-10 권민지 거품커피 제조장치
CN109222659A (zh) * 2018-11-23 2019-01-18 新乐华家用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打奶器
EP3733032A1 (en) 2019-04-29 2020-11-04 BSH Hausgeräte GmbH Automatic coffee machine
DE102021201391A1 (de) * 2021-02-15 2022-08-18 BSH Hausgeräte GmbH Gesteuerter Reinigungsdampfstoß einer Heiß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DE102021205640A1 (de) * 2021-06-02 2022-12-08 Wmf Gmbh Aufschäumeinheit zum Aufschäumen von Milch oder Milch/Luft-Gemischen sowie diese enthaltender Getränkebereiter
CN115486693B (zh) * 2021-06-17 2024-04-09 吉诺工业有限公司 蒸汽加热自动清理系统及其方法
CN117064218A (zh) * 2022-05-10 2023-11-17 苏州咖乐美咖啡机科技有限公司 液体混合装置及饮料制作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265B2 (ja) * 1988-03-18 1995-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し器
US5207148A (en) * 1990-06-25 1993-05-04 Caffe Acorto, Inc. Automated milk inclusive coffee apparatus
US5325765A (en) * 1992-09-16 1994-07-05 Keurig, Inc. Beverage filter cartridge
US5473972A (en) * 1994-10-24 1995-12-12 Conair Corporation Milk container attachment for cappucino maker
IT1282934B1 (it) * 1995-11-06 1998-04-01 C M A Sp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el caffe', cappuccino o bevande infuse simili, in dosi singole o multiple
US5611262A (en) * 1996-06-24 1997-03-18 Conair Corporation Cappuccino maker
US6019032A (en) * 1998-10-30 2000-02-01 Acorto, Inc. Automated espresso and milk a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021206B2 (en) * 2002-06-18 2006-04-04 Eckenhausen Roland B Hot dairy-based beverage dispenser
US6889603B2 (en) * 2002-12-24 2005-05-10 Nestec S.A. Clean-in-place automated food or beverage dispenser
US7165488B2 (en) * 2003-12-12 2007-01-23 Keurig, Incorporated Brew chamber for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EP1878370B9 (de) * 2006-07-14 2013-05-01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Reinigungseinrichtung
EP2025270B1 (de) * 2007-08-16 2017-04-12 Cafina AG Vorrichtung zum Aufschäumen und Erhitzen von Milch
EP2272408A1 (de) * 2009-07-08 2011-01-12 Jura Elektroapparate AG Getränkeber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Getränkebereitungs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23989A2 (pt) 2016-12-13
WO2013012882A1 (en) 2013-01-24
EP2654531A1 (en) 2013-10-30
CN203802278U (zh) 2014-09-03
US20150182066A1 (en) 2015-07-02
ECSP14013134A (es) 2014-02-28
HK1195195A2 (en) 2014-10-31
MX2013009171A (es) 2013-08-29
US20200205606A1 (en) 2020-07-02
US20150182062A1 (en) 2015-07-02
JP2014506525A (ja) 2014-03-17
CA2842415A1 (en) 2013-01-24
US20130019903A1 (en) 2013-01-24
EP2654531A4 (en) 2014-01-15
US20210196076A1 (en) 2021-07-01
CA2842415C (en) 2019-05-07
CO6781509A2 (es)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6076A1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JP5969038B2 (ja) ミルク泡立て装置およびこの種のミルク泡立て装置を有するコーヒーまたはエスプレッソマシンおよび自動飲料販売機
AU2010202825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P27095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coffee maker
US9060647B2 (en) Frothing device for an espresso machine
US9125521B2 (en) Combined multiple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brewing basket for use in same
US20120234183A1 (en) Combination concentrate mix and fresh brewed beverage dispensing device
KR20110031460A (ko) 우유를 휘젓기 위한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를 세척하는 방법
JP6835845B2 (ja) 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を運転する方法
EP2498650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JP4397341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JP2016537046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カプチーノ等の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自動機械
CN107548289B (zh) 用于乳化牛奶的乳化装置和包括用于乳化牛奶的该乳化装置的咖啡机
CN202932765U (zh) 用于饮料用具的清洗系统
JP4711747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それを備えた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6736681B2 (ja) 水道接続用飲料作成器(特にコーヒーマシン)及び水道給水装置
US20200323383A1 (en)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of control
AU2014250704A1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AU2012284138A1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EP3731706A1 (en) A drinks machine with hot water and steam delivery and a method of use
CA3154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frothing
WO2016183462A1 (en) Hot beverage maker with milk frother and relat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