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404B1 - 세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404B1
KR102520404B1 KR1020180001161A KR20180001161A KR102520404B1 KR 102520404 B1 KR102520404 B1 KR 102520404B1 KR 1020180001161 A KR1020180001161 A KR 1020180001161A KR 20180001161 A KR20180001161 A KR 20180001161A KR 102520404 B1 KR102520404 B1 KR 10252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rea
fluid
milk system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331A (ko
Inventor
조세프 폴 에핑 프랭크
Original Assignee
컵 앤 치노 카피시스템-베르트리브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컵 앤 치노 카피시스템-베르트리브 게엠베하 앤 코. 카게 filed Critical 컵 앤 치노 카피시스템-베르트리브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8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7/00Other dairy technology
    • A23C7/02Chemical cleaning of dairy apparatus; Use of sterilisation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Abstract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의 세정 방법은, 이 우유 시스템이 제어 유닛 및 세정 모듈(10)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와 연관된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 적어도 2개의 영역(12, 14)을 포함하는 세정 모듈(10)에 의해 우유 시스템의 우유 용기를 교체하는 단계 ― 세정 유체는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에 충전되고, 세정제는 챔버(24)에 충전됨 ―; 세정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우유 시스템의 도킹 유닛(18, 18')과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을 연결하고, 세정 모듈(10)의 세정 유체의 적어도 부분적인 재순환 및 우유 시스템을 통해 세정 유체를 이송하는 단계; 우유 시스템을 세정 유체로 헹굼하는 단계 ― 세정 유체는 우유 시스템을 통해 세정 모듈(10)의 제 1 영역(12) 및/또는 제 2 영역(14) 밖으로 이송되고 배출됨 ―; 우유 시스템의 회로를 헹굼하는 단계 ― 세정 유체는 제 2 영역(14)으로부터 추출되고, 가열 디바이스에 의해 가열되며 챔버(24)로 복귀되며, 이에 의해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6)를 통해 제 2 영역(14)에 도달함 ―; 회로 헹굼을 종료하는 단계 ― 세정 유체는 밖으로 빼내어지며 그리고 제 2 영역(14)의 밸브 디바이스(42)는 제 2 영역(14)에서 세정 유체의 충전 레벨이 정해진 레벨 미만으로 강하할 때 폐쇄됨 ―; 및 제 1 영역(12)으로부터 세정 유체를 사용하여 우유 시스템을 최종 헹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Description

세정 시스템{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예컨대, 음료 제조기와 연관된 우유 시스템의 세정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커피 및 초콜릿과 같은 음료의 준비를 위해, 수동 시스템에서 완전 자동 기계에 이르는 입수 가능한 다수의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음료 제조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별미들은 카푸치노, 라떼 마끼아또 또는 카페 라떼와 같은 우유를 함유하고 준비를 위해 우유 및/또는 우유 거품을 필요로 하는 드링크를 포함한다. 우유는 일반적으로 해당하는 디바이스, 예컨대 우유 용기에 저장되며, 이 용기는 음료 제조기에 통합되거나 음료 제조기와 연관되며, 피드 시스템(feed system)을 통해 음료 용기에 연결 가능하다. 우유 용기로부터 시작하여, 우유는 공급 디바이스(supply device) 그리고 가능하게는, 처리 디바이스를 통해 가열되고 그리고, 예컨대, 거품으로 되어 커피 또는 초콜릿 드링크와 함께 유출구에서 분배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우유와 접촉하게 되는 모든 요소는 요구되는 위생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세정되어야 한다. 이에 의해, 요망되는 재현 가능한 세정 결과를 유도하는, 신속하고, 안전하며 조작 인원과 관계없이 가능한 자동 세정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
음료 분배 디바이스의 우유를 위한 피드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이 DE 10 2014 215 689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우유 용기 외에, 세정제가 충전된 세정제 탱크 및 이에 연결된 추출 펌프가 피드 유닛에 배치된다. 세정 모드에 대해, 우유 용기는 세정제가 전달되는 세정 혼합물 탱크로 교체된다. 게다가, 또는 대안 으로, 새로운 물이 특정 농도의 세정 용액 또는 세정 모드를 위한 헹굼 용액을 제공하기 위해 혼합물 용기 내로 유도될 수 있다. 세정 용액은 배출되고 오염된 시스템 요소는 음료 분배 디바이스의 피드 유닛에 의해 헹굼된다.
이 방법이 갖는 불리한 점은, 세정제로 세정하고 새로운 물로 헹구는 것이 동일한 혼합물 용기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예컨대, 헹굼 유체의 교체가 가능해지기 이전에 세정제 탱크가 먼저 완전하게 비워져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의 위아래에서, 많은 양의 새로운 물이 사용된다. 또한, 시스템은 세정이 실제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대해 어떠한 확인도 제공하지 않는다. 세정제가 우유에 의도치 않은 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오염된 음료가 준비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제조기와 연관된 우유 시스템의 세정을 단순화하고, 요구되는 세정 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자가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하고, 오류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히 음료 제조기와 연관된 우유 시스템을 세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달성되며,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데, 먼저 우유 용기가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는 세정 모듈로 대체되고, 이에 의해 세정 유체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충전되고 세정제가 챔버에 충전된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충전된 세정 유체의 충전 레벨에 따라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식으로 연결된다. 세정 유체의 흡입을 위해, 우유 시스템을 통한 세정 유체의 이송을 위해 그리고 세정 모듈로의 세정 유체의 복귀를 위한 우유 시스템의 도킹 유닛과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연결하는 것이 후속된다. 연결 이후에, 우유 시스템은 세정 유체로 헹굼되고, 세정 유체는 우유 시스템을 통해 세정 모듈의 제 1 영역 및/또는 제 2 영역 밖으로 이송된다. 우유 시스템을 헹굼하는 회로가 후속되며, 세정 유체는 제 2 영역으로부터 회수되고, 가열 디바이스에 의해 가열되어 챔버로 복귀되며, 이에 의해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를 통해 제 2 영역에 도달된다. 회로 헹굼은 미리 규정된 세정 주기 후에 종료된다. 그후에, 제 1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유체를 사용하여 우유 시스템의 최종 헹굼이 후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충전된 세정 유체가 새로운 물인 것이 제공된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의 일 요소로서 이미 제공된 제 3 영역 또는 드립 트레이 내로의 세정 유체의 방출을 통해, 충전 레벨이 제 2 영역에서 강하한다. 미리 정해진 낮은 충전 레벨에 도달되면, 제 2 영역의 밸브 디바이스가 폐쇄되고, 세정 유체, 예컨대, 차가운 새로운 물이 최종 헹굼을 위해 제 1 영역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방법은 그 자체로 수개의 장점을 갖는다. 특히, 새로운 물로 먼저 헹굼하는 것은 가열 능력을 적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음료수 용기에 통합된 가열 디바이스는, 유리하게는, 특히, 회로 헹굼용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후막(thick film) 가열 요소이다. 자신의 유리한 열 특성(thermal characteristics)을 갖는 이러한 후막 가열 요소는 결합된 냉-온 세정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세정 유체에서 세정제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최적의 세정이 우유 침전물의 방지와 유지방(milk fat)의 효과적인 제거와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설명될 방법 및 디바이스로, 우유 용기의 도킹 시스템이 또한 외부측에서부터 세정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다면, 여기서 우유 침전물이 남아있을 것이다. 회로 헹굼은 마찬가지로 자원을 절약한다.
개별 헹굼 단계 간의 전환이 제어없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예컨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충전된 세정 유체의 충전 레벨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가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강하하였을 때, 충전 레벨에 따라 전환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충전 레벨이 바람직하게 플로트 밸브로 설계된 제 2 영역에서 밸브 디바이스의 폐쇄를 야기할 때, 최종 헹굼으로의 전환이 발생한다.
기존의 우유 용기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모듈로 대체된다면, 세정 모듈은 상응하게 설계된 하우징 내로 밀리게 되어, 자신의 최종 포지션에서, 세정 모듈이 도킹 유닛 및 추가의 연결 수단이 제공된 채 유체를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세정 모듈의 존재 및 정확한 포지션은 기계적, RFID, 홀(Hall), 리드(Reed) 또는 유사한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그리고 세정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제공된 제어 유닛에 전송될 수 있다. 이 자동 감지는 기능 이상을 방지하고 특히 사용자-친화적이다.
또한, 음료 준비를 위해 시스템이 다시 활성화되기 전에 마지막 세정 동안 세정 유체가 전달되는 드립 트레이가 제거되고 세정되었는지를 입증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의 시작시에, 세정 유체, 특히 새로운 물의 공급이 세정 모듈의 제 1 영역 및/또는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한다. 이에 의해, 세정 모듈의 제 1 영역 및/또는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세정 유체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헹굼 단계에서 흡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새로운 물의 배출 동안 충전 레벨이 소정 레벨까지 내려가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의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가 차단되며; 제 1 헹굼 단계가 종료된다.
대안으로, 밸브 디바이스가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들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밸브 디바이스는 세정 유체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유닛에 의해 개방 및/또는 폐쇄된다.
세정 방법의 이 단계는 세정될 컴포넌트의 철저한 헹굼 목적의 역할을 하며, 이로써 유즙 결석(lacteal calculus) 축적은 차가운 새로운 물을 통해 방지되며, 이 축적은 특히 온수로 헹구는 경우에 관찰될 것이다. 또한, 예비-헹굼(pre-rinsing)이라고도 불리는 이 제 1 단계 동안, 특히 저장되는 새로운 물의 일부가 배출되고 밖으로 빼내어지며, 이에 따라 대안으로, 드립 트레이 또는 기존의 제 3 영역으로 밖으로 빼내어질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 제 2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세정 유체는 회로 내에서 전달되고, 즉 이 유체는 제 2 영역으로부터 흡입되어 세정제를 갖는 챔버로 복귀되고, 이 챔버로부터 유체가 다시 제 2 영역에 도달한다. 복귀된 세정액이 챔버에 도착할 때, 이는 챔버에 저장된 세정제를 흡수한다. 예컨대, 세정제 농축물, 특히 세정 정제가 챔버에 저장되며, 이 세정 정제는 점차적으로 세정 성분을 복귀된 세정 유체로 방출시킨다. 이에 따라, 회로에서 전달되는 세정 유체 내의 세정 성분의 농도가 변화되며, 이 회로에서, 세정 유체는 이 다음에, 세정 또는 헹굼 용액으로서 또한 지정된다. 챔버로부터, 변화된 세정 성분의 비율을 갖는 세정 또는 헹굼 용액은 제 2 영역에 도달하고 제 2 영역에서 세정 유체의 저장소를 형성한다. 챔버 내로의 세정 유체의 전달 그리고 이에 의한 동반하는 동적 유동 이동을 통해, 세정 성분은 이에 의해 세정 또는 각각의 세정 용액과 유리하게 혼합되고, 특히 고형물로서 제공되는 세정 성분은 잔류물없이 큰 정도로 용해 될 수 있다.
회로에서 전달된 세정 또는 헹굼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요소, 바람직하게는 후막 기술에 기초한 가열 요소를 사용하여 세정 방법의 이 단계에서 가열될 수 있다. 특히, 회로에서 전달되는 세정 또는 헹굼 용액은 규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는 위생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관점에서, 적어도 70℃ 내지 80℃가 되어야 한다. 세정 또는 헹굼 용액의 순환에 따라, 이러한 가열은 특히 에너지 절약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짧은 세정 시간은 유리한 방식을 야기하며, 세정 시간 동안 세정될 우유 시스템은 시스템의 정상 작동 모드에서 사용될 수 없다.
세정 방법의 추가 단계에서, 회로 모드가 종료됨으로써, 세정 및 헹굼 용액이 세정 모듈의 기존 제 3 영역으로 또는 대안으로 음료 제조기의 기존의 드립 트레이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제 3 영역 또는 각각의 드립 트레이는 시스템 밖으로 빼내어져 버려지는 세정 또는 각각의 헹굼 용액을 위한 수집 용기를 제공한다. 소정의 세정 시간 이후, 세정제를 함유하는 세정 유체가 가열되고 회로에서 전달되며, 세정 유체는 제 3 영역 또는 각각의 드립 트레이 내로 안내되어, 이에 의해 제 2 영역 내의 유체 레벨이 강하된다. 소정의 낮은 유체 레벨로부터 시작하여, 바람직하게는 플로트 밸브로 설계된 기존의 밸브 디바이스는, 제 2 영역으로부터의 세정 유체 공급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자동적으로 새로운 물이 제 1 영역으로부터 흡입되고, 제 1 영역에서, 새로운 물이 제 3 영역 또는 대안으로 드립 트레이로 전달된다. 기존의 가열 요소가 꺼지므로, 이제 낮은 온도의 새로운 물은 최종 린스를 나타낸다.
얻어진 세정 방법의 세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세정 또는 각각의 세정 용액에 대한 컨덕턴스(conductance)가 정해진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컨덕턴스 센서가 세정 또는 각각의 헹굼 용액의 회로 내에서 펌프의 흡입 영역에 제공되며, 이 컨덕턴스 센서는 이송된 유체의 실제 전해 도전율(electrolytic conductivity)을 측정하며, 이에 의해 유체의 성질 또는 각각의 유체의 오염 수준에 대한 정보를 부여한다. 더욱이, 이에 의해 배관 시스템에 어떤 유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컨덕턴스 센서는 세정 작동이 성공적으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어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세정이 불완전하다면, 특히, 요구되는 위생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전체 시스템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작동 인력에 대한 신뢰성있는 확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수단으로서 음료 제조기, 특히 커피 머신과 연관된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을 위한 세정 모듈을 포함한다. 그러나, 또한 이로써, 자립형 시스템으로서 설계된 독립적인 세정 모듈이 이해된다.
분배 디바이스, 예컨대, 배출 헤드를 갖는 우유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모듈은, 세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 용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세정 용기는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는다. 또한, 세정 모듈은 연결 수단을 가져서, 적어도 2 개의 영역이, 세정 유체가 추출될 수 있고 우유 시스템을 통해 이송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정 모듈로 복귀될 수 있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우유 시스템에 연결 가능하다. 컴팩트한 세정 모듈은 쉽게 관리할 수 있어서, 또한 어떠한 문제도 없이 모듈의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유 시스템 또는 각각의 음료 제조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이프 또는 라인의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 및 분배 디바이스, 저장 용기 그리고 가능하게는 공기 풍부화(air enrichment) 요소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모듈에 의하면, 시스템 구성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우유 용기로부터 취해진 우유를 흡입, 이송, 준비 및 분배를 위한 공급 디바이스,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분배 디바이스이든지 간에, 음료 제조기와 관련된 우유 시스템의 세정, 특히, 우유와 직접 접촉하는 이들 시스템 컴포넌트의 세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즉, 예컨대, 도킹 유닛 및 분배 디바이스)가 내측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외측 양쪽 모두로부터 세정될 수 있음이 또한 예측된다. 이에 의해, 음료 제조기의 배출 헤드가 더이상 세정을 위해서 조립해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음료 제조기의 배출 헤드가, 본 발명에 따라, 내측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외측 양쪽 모두로부터 세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정 모듈은, 음료 제조기의 우유 시스템에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데; 특히, 하우징에 배치된 우유 용기가 세정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 라인의 시스템에서 우유 용기로부터 우유를 흡입하고 우유를 이송하기 위한 기존의 연결 및 흡입 수단은, 이제 제공된 세정 유체가 흡입 수단에 의해 세정 모듈 밖으로 흡입되고 우유와 접촉하는 우유 시스템의 시스템 컴포넌트를 통해 이송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귀되는 방식으로 세정 모듈에 연결 가능하다.
우유 용기와 교환될 때, 세정 모듈은 예컨대,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고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우유 시스템의 연결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우유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내에 제공된 도킹 유닛 및 가능하게는 추가의 기존 연결 수단은, 예컨대, 복귀(leading back)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완벽한 연결이 용이해진다.
세정 모듈은 복수 개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 모듈은 3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3 개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되고 탈착 가능한 용기로서 설계된다. 또한, 세정 모듈은 도킹 유닛 및 추가의 연결 수단이 제공되는 탈착 가능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여러 부분으로 나뉜 피처(multipartite feature)는, 예컨대, 개별 요소의 교체뿐만 아니라 세정 모듈의 개별 부품의 세정을 용이하게 한다.
세정 모듈은 적어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세정 유체를 저장하고, 이에 의해, 세정제가 충전될 수 있고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제 2 영역에 연결되는 챔버가 또한 제 2 영역에 제공된다. 세정 방법의 일 단계에서, 세정 유체는 제 2 영역의 챔버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 세정 유체는 제 2 영역으로 오버플로우되어 이에 따라 회로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순환 단계가 종료된 이후, 세정 유체는, 예컨대, 폐수용 수집 용기를 제공하는 기존의 제 3 영역에서, 또는 대안으로 드립 트레이에서 수집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수집 용기는 세정 모듈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그 내부에 포획된 세정 유체가 폐기될 수 있다.
세정 유체로서의 새로운 물이 세정 모듈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충전되며, 세정제가 세정 방법의 시작시에 챔버 내로 충전될 수 있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충전 레벨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각각 제 1 영역에 순수한 새로운 물이 존재할 정도로 서로 분리된다.
세정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분배 디바이스에 연결된 세정 헤드 및 적어도 챔버 내로의 재순환 라인을 통해, 우유 시스템의 이러한 분배 디바이스에서의 세정 유체가 세정 모듈의 제 3 영역 내로 또는 드립 트레이로 복귀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세정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세정 유체에 의한 분배 디바이스의 헹굼이 내부 및 외부로부터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의해, 세정 헤드가 분배 디바이스 상에 배치되고; 예컨대, 분배 디바이스의 배출 측 상의 자석에 의해 분배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배치된 세정 헤드는, 분배 디바이스의 내부 및 외부가 바람직하게는 난류 유동의 세정 유체에 의해 헹굼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세정 헤드의 설계를 통해, 집중적인 세정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세정 유체는 예컨대, 분배 디바이스의 가장 낮은 지점에 제공된 출구 개구를 통해, 분배 디바이스 밖으로 완전히 유동한다.
따라서, 세정 모듈은, 예컨대, 서로 독립적으로 상이한 매체로 충전될 수 있는 서로 연결 가능한 용기로서 설계된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매체는 유체, 예컨대, 새로운 물 또는 세정 유체, 및/또는 고형물, 예컨대, 세정 정제(세정 탭)를 포함한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충전 레벨에 따라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는데; 예컨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칸막이에 의해 서로 부분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의해, 세정 모듈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예컨대, 우유 시스템의 이송 디바이스와 함께 흡입 수단의 흡입 측에 유체를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특히, 흡입 수단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위한 적어도 2 개의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챔버 및 가능하게는 제 3 영역은 흡입 수단의 배출 측과 적어도 간접적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세정 모듈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에 밸브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충전 레벨에 따라 폐쇄되는 플로트 밸브가 바람직하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수동적으로 세정 유체, 바람직하게는 차가운 신선한 물로 충전될 수 있다. 수동 충전은, 적어도 새로운 물 연결 및 추가 컴포넌트가 제공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우유 시스템 내에서 또는 각각의 연관된 음료 제조기에서 발생하는 자동 충전과 비교하여 유리하다. 이에 따라, 주변 장비와 관련하여 소정의 독립성이 존재한다. 또한, 수동 충전은 통합된 펌프에 의한 충전보다 더 짧은 시간에 실행될 수 있다.
세정 모듈의 제 2 영역에 형성된 챔버 내에는 세정제가, 예컨대, 농축물 또는 각각의 세정 정제의 형태로 저장된다. 세정제로 챔버를 충전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에러가 발생하기 쉽고 검증할 수 있는 것을 초과하거나 그 미만이다. 이 챔버는 세정 모듈의 제 2 영역과 유체를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세정 유체는 분배 디바이스에 연결된 세정 헤드 및 제 2 영역의 챔버 내로 포함된 재순환 라인을 통해 우유 시스템의 분배 디바이스로부터 복귀되며, 이에 의해 분배 디바이스가 세정제로 풍부화될 수 있다. 특히, 챔버로 복귀되는 세정 유체는 세정 방법의 일 단계 동안 순환식으로 안내되도록 라인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를 통해 제 2 영역에 도달한다. 이러한 복귀 또는 재순환은 특히 물을 절약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더 이상 재순환 사이클에 공급되지 않으며 간단한 방식으로 배출 가능한, 재순환되고 사용된 세정 유체가 수집될 수 있도록 제 3 영역 또는 대안으로 드립 트레이에 연결 가능한 밸브를 갖는 재순환 라인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모듈은, 음료 제조기에 통합되거나 이와 연관된 우유 시스템을 세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음료 제조기는 특히 커피 머신이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 디바이스는 흡입 측에 흡입 라인을 갖고 이송 디바이스의 배출 측에 유출 라인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체는 흡입 라인을 통해 흡입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배출 헤드로 설계된 분배 디바이스로 이송 디바이스 및 출구 라인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더욱이, 세정 디바이스는 밸브, 펌프, 가열 요소 및/또는 컨덕턴스 센서를 더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한 특징 및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는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모듈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모듈(10)의 예시적 실시예이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세정 모듈(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연결 가능한 용기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으로 분할된다. 세정 프로세스의 시작 이전에, 세정 유체,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물이 충전되는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이 포함된다. 새로운 물은 제 1 세정 단계 및 최종 헹굼을 위한 헹굼 용액을 제공한다. 제 2 영역(14)에 저장된 새로운 물은 특히 재순환에 사용된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12, 14)은 우유 시스템 또는 각각의 음료 제조기(도시되지 않음)의 적어도 하나의 이상 디바이스의 흡입 측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다. 특히, 우유 시스템 또는 각각의 음료 제조기의 도킹 유닛(18, 18')에 연결 가능한 연결 수단(16, 16')이 제공된다. 연결 수단(16,16')은, 우유 용기의 도킹 유닛(18, 18')의 헹굼이 또한 외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개별 영역에 대한 연결 라인(32, 32')은 연결 수단(16, 16')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세정 모듈(10)에는 연결 부재(22)에 의해 복귀 라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 가능한 제 3 영역(20)이 제공된다. 제 2 영역(14)에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제 2 영역(14)에 연결 가능한 챔버(24)가 형성된다. 특히, 챔버(24)로부터의 세정 유체가 제 2 영역(14)에 도달하도록,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6)가 제공된다. 챔버(24)는 제 2 연결 부재(28)와 유체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챔버(24)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의 배출 측과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도 2에는 세정 모듈(10)의 개별 영역에 대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킹 유닛(18, 18')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를 제공하는 연결 라인(32, 32')이 연장되며, 즉, 이들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이송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한다. 또한, 제 1 영역(12)으로부터 저장된 세정 유체는 흡입 포트(34) 및 밸브 디바이스(36)를 통해 연결 부재(38)에서 연결 라인(32, 32')에 연결되는 것이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영역(14)에서 시작하여 밸브 디바이스(42)를 포함하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40)가 연결 부재(38)에 이른다. 제 2 밸브 디바이스(42)는 특히 플로트 밸브로서 설계되고, 제 2 영역(14)의 충전 레벨이 소정의 레벨 아래로 강하할 때,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40)가 차단된다.
또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14)에 형성된 챔버(24)를 나오는 것은 재순환 라인(44)이며, 이 라인을 통해, 세정 유체가 재순환되고, 제 2 영역(14)의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6)를 통해 추가로 도달하여, 회로 내로 복귀된다. 챔버(24)에 저장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챔버(24)의 헹굼을 통해 세정 유체로 서서히 통과하는 세정제 농축물이다.
또한, 도 2에서 식별 가능한 것은 제 3 영역(20)이며, 이 제 3 영역은 마찬가지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제 2 재순환 라인(46)에 연결 가능하다. 제 2 재순환 라인(46)을 통해 제 3 영역(20)으로 이송된 세정 유체는 제 3 영역(20)에서 수집된다. 수집된 이 세정 유체는 세정 모듈(10)의 제거와 함께 수동으로 비워질 수 있다. 제 3 영역(20)은 바람직하게는, 탈착식 수집 용기로서 설계된다.

Claims (16)

  1.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의 세정 방법으로서,
    상기 우유 시스템은 제어 유닛 및 세정 모듈(10)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와 연관되며,
    상기 방법은,
    a) 상기 우유 시스템의 우유 용기를 적어도 2개의 영역(12, 14)을 포함하는 세정 모듈(10)로 교체하는 단계 ― 세정 유체는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에 충전되고, 세정제는 챔버(24)에 충전됨 ―;
    b) 세정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우유 시스템의 도킹 유닛(18, 18')과 상기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을 연결하고, 상기 세정 모듈(10)의 세정 유체의 적어도 부분적인 재순환 및 상기 우유 시스템을 통해 세정 유체를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우유 시스템을 세정 유체로 헹굼하는 단계 ― 상기 세정 유체는 상기 우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세정 모듈(10)의 상기 제 1 영역(12) 및/또는 제 2 영역(14) 밖으로 이송되고 배출됨 ―;
    d) 상기 우유 시스템의 회로를 헹굼하는 단계 ― 상기 세정 유체는 상기 제 2 영역(14)으로부터 추출되고, 가열 디바이스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챔버(24)로 복귀되며, 이에 의해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6)를 통해 제 2 영역(14)에 도달함 ―;
    e) 회로 헹굼을 종료하는 단계 ― 세정 유체는 밖으로 빼내어지며 그리고 제 2 영역(14)의 밸브 디바이스(42)는 상기 제 2 영역(14)에서 세정 유체의 충전 레벨이 정해진 레벨 미만으로 강하할 때 폐쇄됨 ―; 및
    f) 상기 제 1 영역(12)으로부터 세정 유체를 사용하여 상기 우유 시스템을 최종 헹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의 세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세정 유체로서 새로운 물이 상기 제 1 영역(12)과 상기 제 2 영역(14)에 충전되는,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의 세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세정 모듈의 정확한 위치가 센서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달될 때 제어 유닛에 의해 개시되는,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의 세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방법은 상기 세정 유체의 컨덕턴스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포착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달되는,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의 세정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후속 단계로의 전환이 측정된 컨덕턴스에 따라 발생하는,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의 세정 방법.
  6. 음료 제조기와 연관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을 위한 수단으로서 분배 디바이스를 갖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10)로서,
    상기 세정 모듈(10)은 세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 개의 영역(12, 14)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2 개의 영역(12, 14)은, 상기 세정 유체가 세정 모듈(10)로부터 회수될 수 있고, 우유 시스템을 통해 이송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세정 모듈(10)로 복귀될 수 있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상기 우유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14)에서, 챔버(24)가 형성되고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6)에 의해 상기 제 2 영역(14)에 연결되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모듈(10)은 상기 우유 시스템의 우유 용기와 교환 가능하며, 상기 우유 시스템의 도킹 유닛(18, 18')과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며,
    세정 유체는 적어도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챔버(24)로 복귀될 수 있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9. 제 6 항에 있어서,
    세정 유체로서의 새로운 물은 적어도 상기 세정 모듈(10)의 제 1 영역(12) 및 제 2 영역(14) 내로 충전 가능한,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10.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바이스(36)가 상기 제 1 영역(12)에 대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34, 32, 32')에 배치되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14)으로의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32, 32', 40)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 디바이스(42)가 배치되며, 상기 밸브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영역(14)의 세정 유체의 충전 레벨이 소정 레벨 아래로 떨어질 때 폐쇄되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4) 내로 세정제가 충전 가능하고,
    이에 의해 세정 유체는 재순환 라인(44)을 통해 상기 챔버(24)로 유동하고 제 2 구역(14)으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26)를 통해 챔버(24) 밖으로 유동하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시스템의 분배 디바이스에서, 상기 우유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세정 헤드 및 재순환 라인을 통해, 상기 세정 유체는 상기 챔버(24)로 복귀될 수 있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14. 제 6 항에 있어서,
    세정 유체는 상기 음료 제조기의 드립 트레이 밖으로 빼내어질 수 있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15. 제 6 항에 있어서,
    세정 유체는 세정 모듈(10)에 포함된 제 3 영역(20)으로 복귀될 수 있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은 분리 가능한 용기(20)로서 설계되는, 우유 시스템용 세정 모듈.
KR1020180001161A 2017-01-09 2018-01-04 세정 시스템 KR102520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0697.5A EP3345518B1 (de) 2017-01-09 2017-01-09 Reinigungssystem
EP17150697.5 2017-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331A KR20180082331A (ko) 2018-07-18
KR102520404B1 true KR102520404B1 (ko) 2023-04-12

Family

ID=5775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161A KR102520404B1 (ko) 2017-01-09 2018-01-04 세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624492B2 (ko)
EP (1) EP3345518B1 (ko)
JP (1) JP6986746B2 (ko)
KR (1) KR102520404B1 (ko)
CN (1) CN108283439B (ko)
AU (1) AU2017279712B2 (ko)
CA (1) CA2990268A1 (ko)
DK (1) DK3345518T3 (ko)
ES (1) ES2726725T3 (ko)
HK (1) HK1251423A1 (ko)
PL (1) PL3345518T3 (ko)
RU (1) RU274673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4155U1 (de) * 2015-08-07 2015-11-04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mittelbehälter
DK3610762T3 (da) * 2018-08-16 2021-07-19 Cup&Cino Kaffeesystem Vertrieb Gmbh & Co Kg Indretning til behandling af en væske, især mælk, med integreret skyllesystem og fremgangsmåde til skylning
EP3610763B1 (de) * 2018-08-16 2021-04-07 CUP&CINO Kaffeesystem-Vertrieb GmbH & Co. KG Kaffee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heissgetränks
US11202530B2 (en) * 2019-05-10 2021-12-21 B/E Aerospace, Inc. Descaling module
IT202100008759A1 (it) * 2021-04-08 2022-10-08 Lavazza Luigi Spa Sistema di pulizia dei condotti latte per u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202100008768A1 (it) * 2021-04-08 2022-10-08 Lavazza Luigi Spa Sistema di pulizia dei condotti latte per u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587A (ja) 2004-11-11 2008-06-1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ミルクベースの混合物を製造するための自浄式ミキシングヘッドおよびそのようなミキシングヘッドを備える飲料製造機
US20150027315A1 (en) 2012-02-21 2015-01-29 Schaerer Ag Beverage preparation module having additional modules for self-service beverage vending machines
US20150150410A1 (en) 2012-07-20 2015-06-04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1329B2 (en) * 1988-05-09 1990-09-06 Alfa-Laval (Nz) Limited Washing system
DE102006047969A1 (de) * 2006-10-11 2008-04-17 Niro-Plan Ag Vorrichtung zur Zubereitung und Ausgabe von Getränken mit Reinigungseinrichtung
DE102008021777A1 (de) * 2008-04-30 2009-11-05 Eugster/Frisma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sowie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zur Ausübung des Verfahrens
EP2133009A1 (en) *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EP2192077A1 (en) * 2008-11-27 2010-06-02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cleaning and flush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272408A1 (de) * 2009-07-08 2011-01-12 Jura Elektroapparate AG Getränkeber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Getränkebereitungsmaschine
EP2353473A1 (en) * 2010-02-03 2011-08-10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hygienic cleaning cycle
DE102010007143B4 (de) * 2010-02-05 2013-08-22 Eugster/Frismag Ag Kaffeemaschine mit einer Schäumvorrichtung und Mitteln zum Reinigen der Schäumvorrichtung und einer Milchansaugleitung sowie Verfahren zum Spülen der Milchansaugleitung
DE102010010516A1 (de) * 2010-03-05 2011-09-08 Kaffee Partner Service Gmbh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r Reinigung derselben
US20110253227A1 (en) * 2010-04-19 2011-10-20 Darite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dairy facilities
DE102011077435A1 (de) * 2011-06-10 2012-12-13 Macchiavalley Produktions Gmbh Reinigungssystem für Heißgetränkeautomaten
MX2014004155A (es) * 2011-10-06 2015-09-10 Delfield Company Llc Metodo y sistema para un ensamble de suministro de bebidas.
DE102012214102A1 (de) * 2012-08-08 2014-03-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des Milchsystems bei Kaffeevollautomaten
EP2702908A1 (de) * 2012-08-30 2014-03-05 Jura Elektroapparate AG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Flüssigkeit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und deren Verwendung
US9883377B2 (en) * 2014-02-19 2018-01-30 Bi Che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via cyber ordering
EP2918201A1 (de) * 2014-03-13 2015-09-16 Jura Elektroapparate Ag Verfahren zum Reinigen und/oder Desinfizieren eines milchführenden Systems einer Kaffeemaschine sowie Kaffeemaschine
EP2944237A1 (de) * 2014-05-14 2015-11-18 Jura Elektroapparate Ag Auslaufeinrichtung für eine Milchschäumvorrichtung
DE102014215689A1 (de) 2014-08-07 2016-02-11 Franke Kaffeemaschinen Ag Zuführeinheit zum Zuführ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zu einer Getränkeaus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zumindest einer Zuführeinheit zum Zuführ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zu einer Getränkeausgabevorrichtung
US10537206B2 (en) * 2015-02-13 2020-01-21 G. Bezzera S.R.L. Machine for coffee-based beverages
US20170039797A1 (en) * 2015-08-03 2017-02-09 Ramy Elmery Smoothie Delivery Vending System
DE202015104155U1 (de) * 2015-08-07 2015-11-04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mittelbehä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587A (ja) 2004-11-11 2008-06-1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ミルクベースの混合物を製造するための自浄式ミキシングヘッドおよびそのようなミキシングヘッドを備える飲料製造機
US20150027315A1 (en) 2012-02-21 2015-01-29 Schaerer Ag Beverage preparation module having additional modules for self-service beverage vending machines
US20150150410A1 (en) 2012-07-20 2015-06-04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24492B2 (en) 2020-04-21
RU2017145747A (ru) 2019-06-26
KR20180082331A (ko) 2018-07-18
ES2726725T3 (es) 2019-10-08
CA2990268A1 (en) 2018-07-09
RU2746737C2 (ru) 2021-04-20
PL3345518T3 (pl) 2019-07-31
DK3345518T3 (en) 2019-04-08
AU2017279712B2 (en) 2023-11-02
JP6986746B2 (ja) 2021-12-22
RU2017145747A3 (ko) 2020-12-18
JP2018138161A (ja) 2018-09-06
CN108283439A (zh) 2018-07-17
EP3345518A1 (de) 2018-07-11
EP3345518B1 (de) 2019-02-20
US20180192818A1 (en) 2018-07-12
HK1251423A1 (zh) 2019-02-01
CN108283439B (zh) 2021-02-12
AU2017279712A1 (en)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404B1 (ko) 세정 시스템
CA2708473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106102528B (zh) 咖啡机的牛奶运送系统的清洁和/或消毒方法以及咖啡机
TWI682750B (zh) 飲料自動機特別是咖啡機以及操作此飲料自動機的方法和該飲料自動機的料筒
US7913614B2 (en) Milk foamer
KR101307725B1 (ko) 음료 생성 기계를 위한 배수
KR20170041231A (ko)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음료 분배 장치로 액체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US8739688B2 (en) Device for supplying milk
US8007599B2 (en) Apparatus for washing circuits involved in the preparation of milk-based beverages
CA2998564C (en) Cleaning system for an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foodstuffs
CN105916799A (zh) 用于饮料瓶探测的方法和设备
CN117440766A (zh) 用于清洁制备饮料的机器的奶液管道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