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453A -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453A
KR20130057453A KR1020137002703A KR20137002703A KR20130057453A KR 20130057453 A KR20130057453 A KR 20130057453A KR 1020137002703 A KR1020137002703 A KR 1020137002703A KR 20137002703 A KR20137002703 A KR 20137002703A KR 20130057453 A KR20130057453 A KR 2013005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ens
compound
polarizing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368B1 (ko
Inventor
아키노리 류
세이이치 코바야시
히로유키 카미오
요시하루 코바야시
미츠루 사카이
요시미츠 아이소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3Fluoresc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Eyeglass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스틱 편광렌즈(10)는, 편광필름(12)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수지층)(14a, 14b)이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필름(12)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PLASTIC POLARIZING LEN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편광렌즈는, 반사광의 투과를 막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키장이나 낚시 등 옥외에서의 강한 반사광을 차단하는 것에 의한 눈의 보호 등이나, 자동차 운전시에서의 맞은편 차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단하는 것에 의한 안전성의 확보 등에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편광렌즈로서, 플라스틱 렌즈 재료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배치한 편광렌즈와, 플라스틱 렌즈 재료의 내부에 편광필름을 배치한 샌드위치 구조의 편광렌즈의 2종류가 제안되어 있다. 플라스틱 렌즈 재료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배치한 편광렌즈(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258009호(특허문헌 1))는, 렌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지만, 외주 연마 공정(소정의 형상에 맞추기 위한 렌즈의 테두리를 깎는 공정)에 있어서, 편광필름이 렌즈 재료로부터 박리되기 쉽다는 심각한 결점이 있다.
편광렌즈를 구성하는 편광필름에 적용되는 수지로서는, 지금까지는 실질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로 한정되어 있다. 편광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혹은 이색성 염료를 포함시켜 1축 연신하고, 1축 방향으로 분자 배향된 필름으로 함으로써 실시된다. 폴리비닐알코올 편광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렌즈의 제조법은, 예를 들면, 국제공개 팜플렛 제04/099859호(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비닐알코올 편광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편광렌즈는,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서서히 수분의 침수가 발생하여, 렌즈 외주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경시적으로, 혹은 환경에 의해서 열화가 진행하는 결점이 있다.
상술한 결점을 개량하기 위해, 국제공개 팜플렛 제02/073291호(특허문헌 3)에서는, 디아민 및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부터 얻어지는 내충격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재료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편광필름을 사용한 편광렌즈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편광렌즈는, 편광필름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어, 장착시에 불쾌하게 느끼는 사용자가 많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아민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혼합한 조성물은, 점도가 높으면서 포트라이프가 짧기 때문에, 편광필름이 고정된 렌즈 주형용 주형(注型用鑄型)으로의 주입에 어려움이 있어, 특히 얇은 렌즈의 제조는 매우 어려웠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플라스틱 편광렌즈에 있어서는, 후공정인 외주 연마 공정에 있어서의 편광필름의 박리의 발생이 억제되고, 내수성이 뛰어나며, 장착시의 불쾌감이 억제되어, 박형화 등이 가능한 플라스틱 편광렌즈가 요구되고 있었다.
한편, 물체의 윤곽이나 색채를 명료하게 하여, 시각 피로 등을 경감하기 위해, 안경 렌즈에 대해서, 그 렌즈를 통해 시인되는 물체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눈부심을 주기 쉬운 파장대를 가능한 한 선택적으로 차광(커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네오디뮴 화합물은, 585nm 부근의 가시광을 고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 네오디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는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네오디뮴 화합물과 같은 희토류 금속 화합물이 물체의 콘트라스트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흡수 파장대에 있어서의 흡광 스펙트럼의 피크 형상이 매우 샤프한 점, 즉 흡수 파장 영역이 좁고, 파장 선택성이 높은 점에 기인하고 있다. 이 파장 선택성이 높음으로써, 시인성에 필요한 파장대에서는 큰 투과율을 가지며, 또한 눈부심에 악영향을 주는 파장대를 선택적으로 흡수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네오디뮴 화합물과 같은 희토류 금속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개선되어, 시인성이 뛰어난 안경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네오디뮴 화합물로 대표되는 희토류 금속 화합물 이외에도, 특정한 유기 색소가, 안경 렌즈의 콘트라스트성을 개선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기 색소로서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은, 네오디뮴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뛰어난 방현 성능과 콘트라스트성의 개선을 안경 렌즈에 부여할 수 있다. 즉, 특정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의 샤프함에 유래하여 585nm 부근 이외에서의 광투과성이 양호하고 명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방현성과 시인성(콘트라스트성)의 밸런스가 매우 양호한 안경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유기 색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노머 조성물 중에 미리 유기 색소를 용해시켜 두고, 그 후, 중합하여 렌즈를 얻는 방법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8-134628호(특허문헌 4)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는 것은, 유기 색소가 용해한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이며, 모노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편광필름에 적층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4에 있어서는, 콘트라스트성을 개선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직접 모노머 조성물 중에 용해하고, 중합시켜 렌즈 재료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서는, 특히 중합 반응시에 있어서 모노머와의 상호작용이나 반응 등에 의해 유기 색소 화합물의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시력 교정용 렌즈는,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의 차이가 크고, 렌즈 재료 그 자체에 유기 색소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경우, 유기 색소 화합물에 유래한 착색에 의해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색의 농도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강도의 시력 교정용으로 됨에 따라서,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의 차이가 더욱 커지므로, 이 경향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두께가 다른 편광렌즈는, 해당 부분에 있어서 색의 농도가 변화해 버려, 외관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의 실시예에서는, 유기 색소를 모노머 조성물 중에 직접 용해시키고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조된 렌즈는 모두 플라노 렌즈(중심 두께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의 차이가 매우 작은 렌즈)이다. 따라서, 시력 교정용 렌즈에도 대응할 수 있는 콘트라스트성이 개선된 렌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258009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 팜플렛 제04/099859호
특허문헌 3: 국제공개 팜플렛 제02/073291호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134618호
특허문헌 5: 국제공개 팜플렛 제96/00247호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5860호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45610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트라스트성이 개선되고, 외관, 내수성, 가공특성 등이 뛰어난 플라스틱 편광렌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편광 기능이 부여됨과 함께 하이콘트라스트성을 부여 가능한 편광필름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이다.
(1)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플라스틱 편광렌즈로서,
상기 편광필름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며,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고,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2)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3) 상기 편광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4)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편광필름 중에 50~7000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5)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는,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성수소 화합물
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6) 상기 편광필름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온도 T1의 조건하에서 부형(附形)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식)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 T1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120℃
(7)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접착층의 형성 또는 표면개질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8)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상기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9)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10)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11)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e선의 굴절률이 1.57~1.70의 범위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12)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e선의 굴절률이 1.59~1.70의 범위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
(13)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필름을 부형하여 편광필름을 얻는 공정과,
렌즈 주형용 주형 내에,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과 상기 몰드의 사이의 공극에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경화하여,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 위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며,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고,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14)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15) 상기 수지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6) 상기 편광필름을 얻는 상기 공정은,
상기 수지필름인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부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7)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8)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9)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0)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표면 개질 처리가 실시된 상기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1)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상기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2)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17)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3)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17)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4) 상기 주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20℃에서의 점도가, 200mPa·s 이하인 상기 (13)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5)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며,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고,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26)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5)에 기재된 편광필름;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27)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5) 또는 (26)에 기재된 편광필름.
(28)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이 50~7000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5)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필름.
(29)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상기 (27) 또는 (28)에 기재된 편광필름.
(30)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에 사용되는, 상기 (25)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필름.
(31) 상기 (30)에 기재된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필름을 부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
(32) 상기 수지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에 기재된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
(33) 상기 수지필름을 부형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수지필름인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부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2)에 기재된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콘트라스트성」이란,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통해 물체를 육안으로 관찰했을 경우에, 색, 명암 또한 물체의 윤곽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물체와 물체 혹은 물체와 배경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인 특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색의 콘트라스트나 물건의 윤곽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성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뛰어남과 함께 시각 피로가 경감된다. 또한, 편광필름 자체에 소정의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의 두께의 차이에 기인하는 부분적인 색의 상위도 억제되고 있어, 시력 교정용 렌즈와 같은 부분적으로 두께가 다른 렌즈에 적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외관이 개선된다. 또한, 내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경시적인 열화가 억제되고 있다. 또한, 가공 특성 등도 뛰어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렌즈의 박형화가 용이하고, 또한 생산성이 뛰어나,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이러한 특성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안경용의 편광렌즈로서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필름은, 편광 기능이 부여됨과 함께 하이콘트라스트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편광렌즈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렌즈 주형용 주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편광필름의 분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10)는, 편광필름(12)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플라스틱 렌즈)(14a, 14b)이 형성되어 있다. 편광필름(12)은,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편광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내수성,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효과의 관점에서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을 첨가하는 등의 수법으로 변성된 것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기 색소 화합물로서는, 물에 불용이며, 편광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에서 분해, 변색 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에서 분해, 변색 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르피린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포르피린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며,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된다. A1~A8로서는,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20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2~10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2가의 금속 원자로서는, Cu(II), Zn(II), Co(II), Ni(II), Ru(II), Rh(II), Pd(II), Pt(II), Mn(II), Mg(II), Ti(II), Be(II), Ca(II), Ba(II), Cd(II), Hg(II), Pb(II), Sn(II) 등을 들 수 있다.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로서는, Al-Cl, Al-Br, Al-F, Al-I, Ga-CI, Ga-F, Ga-I, Ga-Br, In-Cl, In-Br, In-I, In-F, Tl-Cl, Tl-Br, Tl-I, Tl-F, Al-C6H5, Al-C6H4(CH3), In-C6H5, In-C6H4(CH3), ln-C6H5, Mn(OH), Mn(OC6H5), Mn[OSi(CH3)3], Fe-Cl, Ru-Cl 등을 들 수 있다.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로서는, CrCl2, SiCl2, SiBr2, SiF2, Sil2, ZrCl2, GeCl2, GeBr2, Gel2, GeF2, SnCl2, SnBr2, SnF2, TiCl2, TiBr2, TiF2, Si(OH)2, Ge(OH)2, Zr(OH)2, Mn(OH)2, Sn(OH)2, TiR2, CrR2, SiR2, SnR2, GeR2[R은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및 그 유도체를 나타낸다], Si(OR')2, Sn(OR')2, Ge(OR')2, Ti(OR')2, Cr(OR')2[R'는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트리알킬실릴기, 디알킬알콕시실릴기 및 그 유도체를 나타낸다], Sn(SR")2 , Ge(SR")2(R"은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및 그 유도체를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옥시 금속의 예로서는, 산화바나듐(-V(=O)-), 산화망간(-Mn(=O)-), 산화티탄(-Ti(=O)-) 등을 들 수 있다.
M으로서는, 2가의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Cu(II)), 팔라듐 원자(Pd(II)) 또는 산화바나듐(-V(=O)-)이 보다 바람직하며, 구리 원자(Cu(II))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을 유기 색소 화합물로서 사용함으로써, 색의 콘트라스트나 물건의 윤곽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성이 개선되므로, 시인성이 뛰어남과 함께 시각 피로가 경감된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일반식 (1) 또는 (1a)로 표시되는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로서는, 이하의 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2)~(4)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이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또한, 식 (2) 중, Cu는 2가의 구리를 나타내고, 식 (3) 중, Pd는 2가의 팔라듐을 나타내며, 식 (4) 중, V=O은 2가의 산화바나듐을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116574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130971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321925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99744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로서는, 상기 효과의 관점에서, 식 (2)로 표시되는 테트라-t-부틸-테트라아자포르피린·구리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색소 화합물의 함유량은, 편광필름(12)의 두께에 따라서 바람직한 양은 다르며, 두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지만, 편광필름(12) 중에 50~7000ppm, 바람직하게는 50~2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0ppm이 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필름에 있어서의 유기 색소 화합물의 함유량이 50ppm 미만인 경우, 콘트라스트에 개선 효과의 여지가 있으며, 한편, 함유량이 7000ppm을 초과하는 경우, 콘트라스트가 강해져, 이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편광렌즈로 이루어지는 안경을 쓰고 있으면 기분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즉, 유기 색소 화합물이 상기의 양으로 편광필름(12) 중에 포함됨으로써, 색의 콘트라스트나 물건의 윤곽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성이 특히 개선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뛰어남과 함께 시각 피로가 특히 경감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편광필름(12)은,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부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부형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필름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온도 T1의 조건하에서 부형되어 이루어지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 T1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120℃
종래부터, 공업적으로 대량의 편광렌즈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중합 후의 렌즈의 주변부를 에저(edger) 등으로 연마할 필요가 있는데, 그 때에 편광필름과 렌즈 기재가 박리되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박리를 억제하여, 수율 좋게 공업적으로 편광렌즈를 제작할 수 있는, 편광필름과 플라스틱 렌즈와의 밀착성이 뛰어난 편광렌즈가 요구되어 왔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필름(12)은, 수지필름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며, 이 온도 조건하에 있어서 원하는 곡률의 형상으로 부형된 경우, 수지층(14a, 14b)과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생산성이 뛰어나,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편광필름(12)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4a, 14b)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내수성이 뛰어나고, 장착시의 불쾌감이 억제되며, 박형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후속 공정의 외주 연마 공정에 있어서의 편광필름의 박리가 억제된다. 즉, 이들 특성의 밸런스가 뛰어나다. 이 효과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편광필름(12)을 사용한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필름(12)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접착층을 별도 설치해도 되며, 또한 표면 개질 처리와 접착층의 형성을 순서대로 실시해도 된다. 이들에 의해, 편광필름(12)과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4a, 14b)과의 밀착성을 개량할 수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유래의 구성 단위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등을 들 수 있으며,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필름 표면의 플라즈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공정을 구비한다.
(a) 상술한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b) 얻어진 수지필름을 부형함으로써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c) 렌즈 주형용 주형 내에,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공정
(d)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과 상기 몰드의 사이의 공극에 혼합물을 주입하는 공정
(e) 상기 혼합물을 중합 경화하고,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는 공정
이하, 각 공정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a) 상술한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본 실시형태의 하이콘트라스트성을 부여한 편광필름은, 수지에 이색성 염료를 적어도 1종 포함하는 비수용성 염료의 특정량을 첨가하고, 또한, 얻어지는 편광필름 중에 상기의 양으로 포함되도록 계산된 양으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을 첨가하고, 그리고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이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필름상(狀)으로 성형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필름을 1축 방향으로 연신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이색성 염료로서는, 물에 가용한 직접 염료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분산 염료나 산성 염료 중에서 물에 불용성인 것을 공지의 염료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안트라퀴논계, 퀴노프탈론계, 아조계 등의 색소를 들 수 있다. 또한, 기재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융점에서 분해, 변색 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색성 염료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4-30986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1-08775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1-285259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2-270664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2-275163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03667호 등에 개시되는 염료를 들 수 있다.
이들 유도체로서, 식 (5), 식 (6), 식 (7), 식 (8)에 예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얻어지는 편광필름의 편광도, 광선 투과율 등을 고려하면, 이색성 염료의 첨가량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4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필름을 제조할 때는, 상기 수지와 유기 색소 화합물과 이색성 염료를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로 한다. 마음에 드는 색으로 하기 위해 복수의 범용 색소를 더 첨가해도 된다.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공지의 리본 블렌더, 텀블러 믹서 등을 사용하여 양자를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혼합 온도는 실온 근방의 온도여도 무방하다.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 색소 화합물 및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막하는 방법에도, 특별히 제한 없이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의 1축 압출기 또는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T다이식 압출법, 인플레이션식 압출법 등으로 필름 성형된다. 통상, 필름 성형의 온도는,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 분해 온도 미만의 범위이다.
다음으로, 얻어진 필름을 1축 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 방법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통상, 연신 조건으로서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용융 온도 미만의 범위에 있어서 1축 방향으로 2~10배 연신한다. 연신 방향은, 기계 방향이여도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여도 된다. 또한, 연신 방향에 속박된 상태로 어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필름을 얻을 수 있다. 어닐 처리는, 곡면 가공시, 또는 곡면 가공 후에 실시해도 상관없다. 어닐 처리 방법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통상, 수지의 결정화 온도 이상, 용융 온도 미만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 5초~30분간, 연신 방향에 속박된 상태로 어닐 처리를 실시한다.
(b) 얻어진 수지필름을 부형함으로써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수지필름의 부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부형 방법으로서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형 방법에 있어서, 수지필름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가 되도록 조정함과 함께 원하는 곡률의 형상으로 부형한다. 수지필름의 부형 방법에 있어서, 성형 압력 및 성형 시간 등의 조건은, 부형 방법, 부형 시의 온도, 제조 기기 등에 맞추어 적절히 조정된다. 또한, 수지필름은, 금형 등으로 부형하기 전에, 소정의 온도 범위가 되도록 가열되어 있어도 된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부형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100℃ 이하의 온도 조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40℃ 이상,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10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부형 방법은, 상기 온도로 필름을 가열하면서 원하는 곡률의 형상으로 부형할 수 있으면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부형 온도라면, 접착층의 유무에 관계없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편광필름과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과의 밀착성이 뛰어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예를 들면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경우에는, 유리 전이 온도가 74℃이기 때문에, 부형은, 94℃ 이상, 194℃ 이하, 바람직하게는 94℃ 이상, 174℃ 이하의 온도 조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4℃ 이상 174℃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DSC(시차주사형 열량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부형 방법으로서는, 상기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성형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온도를 상기 온도 범위가 되도록 조정함과 함께 원하는 곡률의 형상으로 부형함으로써,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필름과 플라스틱 렌즈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형 공정을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편광필름과 플라스틱 렌즈와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있고, 외주 연마 공정에 있어서 박리가 억제되며,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즉, 수율 좋게 공업적으로 편광렌즈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편한 방법으로 편광필름과 플라스틱 렌즈와의 밀착성이 부여 또는 개선되기 때문에, 이들의 밀착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정을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간편한 방법에 의해 밀착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밀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공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필름 또는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접착층을 별도 설치해도 되며, 또한, 표면 개질 처리와 접착층의 형성을 순서대로 실시해도 된다. 이들에 의해, 편광필름(12)과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14a, 14b)과의 밀착성을 더욱 개량할 수 있다. 접착층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유래의 구성 단위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혹은 관능기를 가져도 되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등을 들 수 있으며,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필름 표면의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편광필름 표면에 접착층을 설치하는 처리에 앞서, 미리 편광필름에, 가스 또는 약액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조면화 처리, 화염 처리,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전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광필름에 상기 접착층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코트제가 사용된다. 코트제는 무용제계여도 되지만, 적절한 용제를 포함하는 용제계 또는 분산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화합물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화합물류,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 화합물류 등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아울러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 화합물류의 경우에는 이소프로판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코트제의 수지 환산에서의 농도는, 0.1~50wt%, 바람직하게는 1~50wt%,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wt%이다. 50wt%를 초과하면 도포액의 경시 안정성이 부족해지거나, 도포되는 우레탄 수지가 많아져 코팅층이 너무 두꺼워 져서 코팅층의 존재가 눈에 띄거나, 코팅층 내에서의 박리에 의한 밀착성의 저하가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0.1wt%보다 작으면 필름과 기재 우레탄 수지의 밀착성 향상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코팅층의 두께로서는, 30~0.001㎛, 바람직하게는 10~0.01㎛,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5㎛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광필름의 양면에 상기 코트제를 필요에 따라 도포 후, 필요에 따라서 필름 위에서 유동성이 있는 도포액부를 제거하고, 건조한다.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5~100℃, 바람직하게는, 2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60℃의 범위가 적당하며, 이들 온도를 조합하여 단계적으로 열을 가할 수도 있다.
건조 시간은 사용하는 용제나 건조 온도, 혹은 송풍 상태 등 환경에 따라 설정되며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1분~48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24시간의 범위가 적당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광필름에 상기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그 편광필름을 코트제로 처리 후에 만곡(彎曲) 가공하는 방법과, 만곡 가공 후에 코트제 처리하는 방법, 또한 양자를 병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뉘는데 어떤 방법도 채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황에 따라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바 코트법, 딥핑법 등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건조 후 1회 이상 중첩하여 도포할 수도 있으며, 그 때는 각각의 도포액의 종류가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통상은, 중첩하여 도포하는 일 없이 1회만의 도포와 건조로 본 실시형태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상기 코트제를 필요에 따라 편광필름에 도포 후, 필요에 따라서 건조 및/또는 열처리가 실시된다. 건조 및/또는 열처리시의 적용 온도는 편광필름의 성능이 실질적으로 열화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 수지를 편광필름에 도포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시켜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자외선 혹은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트제로서 사용되는 우레탄계 수지로서 바람직한 것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유래의 구성 단위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이다. 그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티오에테르디올, 폴리락톤디올, 폴리아세탈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디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3-메틸-1,5-펜탄디올 등으로 예시되는 포화 다가 알코올류, 혹은 부텐디올 등으로 예시되는 불포화 다가 알코올류 등의 디올류 또는 다가 알코올류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아디핀산, 세바틴산 등의 포화지방산, 말레산, 푸말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방향족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 등의 유기 디카르본산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류, 혹은, 카프로락탐이나 메틸카프로락톤 등의 락톤류를 디올류로 개환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디올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에피클로르히드린, 옥사시클로부탄, 치환 옥사시클로부탄 혹은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개환 중합 또는 개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는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모노머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8-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수지를 구성하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들 예시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 폴리에스테르디올이 바람직하고, 아디핀산과 부틸렌글리콜 및 3-메틸1,5-펜 탄디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이 조합이, 필름과 기재 수지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코트제로서 사용되는 관능기를 가져도 되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계 수지로서는, 반응 경화성인 것 혹은 비반응성인 것 중 어떤 것이어도 되지만, 비반응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관능기를 가져도 되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직쇄 또는 분지의, 혹은 비환상 또는 환상의, 혹은 비방향족 또는 방향족의 알코올 또는 페놀과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나타낸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1분자 내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기를 실질상 1개 이상 가지지만, 실질상 1개 가지는 모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보닐, (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난, (메트)아크릴산벤질,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의 관능기로서는, 카르본산기, 히드록실기, 글리시딜기, 아미드기, 및 무수물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가진다.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를 구성하는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푸말산, 2-히드록시에틸프탈산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2-히드록시에틸숙신산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본산류, (메트)아크릴산2-술포에틸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술폰산류, 비닐포스폰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포스폰산류,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메타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아미드, 모노- 또는 디- 알킬 치환(메트)아크릴산아미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산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산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알킬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머는, 상기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하나 이상 외에, 상기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 구성된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코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비닐 모노머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비닐 모노머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스티렌류, 비닐할로겐화물류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코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그 비닐 모노머류는 바람직한 양은 0~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가스 또는 약품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오존, 할로겐 가스, 이산화염소 등의 가스를 사용한 가스 처리, 혹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 금속 나트륨, 황산, 질산 등의 산화제 또는 환원제, 혹은 산·염기 등을 이용한 약액 처리를 들 수 있다. 약액 처리에 있어서는, 산화제 또는 환원제 혹은 산·염기 등을, 통상은 물, 알코올, 액체 암모니아 등에 용해시킨 용액상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처리 약품이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인 경우,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수산화 리튬,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수산화 바륨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산화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은 그 용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용액의 용매로서는 물 및/또는 유기용매를 들 수 있으며, 유기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용액의 농도는 5~55중량%, 바람직하게는 10~45중량%의 범위가 적합하며 상기 용액의 온도는 0~95℃, 바람직하게는 2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의 범위가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 용액에 의한 전처리는, 상기의 용액 농도와 용액 온도 범위에 있는 용액과, 그 편광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을 소정의 시간 접촉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그 접촉의 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그 편광필름의 용액 중으로의 침지, 혹은 샤워, 표면유하 등에 의한 그 편광필름과의 접촉 등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 편광필름을 용액 중에 침지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때, 용액의 농도와 온도를 균일화시키기 위해서, 교반, 대류, 분류(噴流)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접촉시키는 시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분~24시간, 바람직하게는 5분~10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5분~5시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 용액과 그 편광필름을 접촉시킬 때, 초음파 조사나 진동 등 물리적 자극을 병용할 수도 있다.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 용액은, 그 용액과 그 편광필름의 젖음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음이온성, 비이온성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 용액과 그 편광필름과의 접촉시에 있어서의 용액 농도, 용액 온도 및 접촉 시간은, 그 편광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실질적으로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 수산화물 용액에 그 편광필름을 접촉시킨 후, 그 편광필름을 용액 중에서 끌어올려, 필요에 따라 물 및/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로 그 편광필름의 세정,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코로나 방전 처리는, 기체 방전의 일종으로, 기체 분자가 이온화하여 도전성을 나타내고, 그 이온류(流)로 필름 표면이 활성화되는 현상을 사용하는 것이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표면 처리 기술이다. 방전 처리에 제공되는 기체로서는, 공기를 들 수 있지만, 질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가스 등의 가스여도 된다. 코로나 방전 처리는 예를 들면 공지의 고주파 발생 장치에 있어서 전압을 전극에 인가하여 발생시키는 코로나를 사용하여 편광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 강도는 1~500W·min/m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0W·min/m2이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로서는, 상압 플라즈마 처리 및 진공 플라즈마 처리(저온플라즈마 처리)를 예시할 수 있다.
상압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공기, 수증기, 아르곤, 질소, 헬륨,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IPA 등의 알코올류, 아크릴산 등의 카르본산류 등의 가스를 단독 또는 혼합시킨 가스 분위기 중에서 방전 처리된다.
진공 플라즈마 처리는, 감압하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드럼상(狀) 전극과 복수의 봉상(狀)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대극 전극을 가지는 내부 전극형의 방전 처리 장치 내에 편광필름을 두고, 0.001~50Torr, 바람직하게는 0.01~10Torr,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1Torr의 처리 가스 분위기하에서, 전극사이에 직류 또는 교류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시키고 그 처리 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이것에 그 편광필름의 표면을 폭로시킴으로써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진공 플라즈마 처리의 처리 조건으로서는, 처리 장치, 처리 가스의 종류, 압력, 전원의 주파수 등에 의존하지만, 적절히 바람직한 조건을 선정하면 된다. 상기 처리 가스로서는 예를 들면, 아르곤, 질소, 헬륨,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공기, 수증기 IPA 등의 알코올류, 아크릴산 등의 카르본산류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c) 렌즈 주형용 주형내에,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공정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필름(12)이 고정된 렌즈 주형용 주형(20)에, 특정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특정한 활성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을 주입한 후 중합 경화시켜 얻어진다.
렌즈 주형용 주형(20)은, 개스킷(22c)으로 유지된 2개의 몰드(22a, 22b)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스킷(22c)의 재질로서는,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코폴리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디엔코폴리머,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불소 고무, 혹은 그들에 폴리프로필렌을 블랜드한 연질 탄성 수지류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특정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특정한 활성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에 대해서 팽윤도 용출도 하지 않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몰드(22a, 22b)의 재질로서는, 유리, 금속 등을 들 수 있으며, 통상은 유리가 사용된다. 몰드(22a, 22b)에는, 얻어진 렌즈의 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리 이형제를 발라도 된다. 또한, 렌즈재료에 하드 코트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코트액을 미리 몰드에 발라도 된다.
이 렌즈 주형용 주형(20)의 공간 내에, 편광필름(12)을, 필름면이 대향하는 프론트측의 몰드(22a) 내면과 병행이 되도록 설치한다. 편광필름(12)과 몰드(22a, 22b)의 사이에는, 각각 공극부(24a, 24b)가 형성된다. 공극부(24a, 24b)의 가장 간극(間隙)이 좁은 이간 거리 a는, 0.2~2.Omm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티올기를 가지는 활성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입시에 있어서의 점도가 낮아, 상기와 같은 간극의 공극부라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d)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과 상기 몰드의 사이의 공극에 혼합물을 주입하는 공정
다음으로, 렌즈 주형용 주형(20)의 공간 내에 있어서, 몰드(22a, 22b)와 편광필름(12)의 사이의 2개의 공극부(24a, 24b)에, 소정의 주입 수단에 의해 (A) 특정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특정한 활성 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을 주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나토메틸에스테르, 리신 트리이소시아네이트,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나프탈린, 메시틸렌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디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디술피드,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에탄,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에탄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 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3,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3,9-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4,8-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4,9-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5-디이소시아나토티오펜,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펜, 2,5-디이소시아나토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3,4-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디이소시아나토-1,4-디티안,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1,4-디티안, 4,5-디이소시아나토-1,3-디티오란, 4,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1,3-디티오란 등의 복소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에 예시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로 바꾼 것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에스테르, 리신 트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m-크실릴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술피드, 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에틸)술피드, 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에틸)디술피드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포론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3,8-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3,9-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4,8-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4,9-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2,5-디이소티오시아나토티오펜, 2,5-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티오펜, 2,5-디이소티오시아나토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3,4-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디이소티오시아나토-1,4-디티안, 2,5-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1,4-디티안, 4,5-디이소티오시아나토-1,3-디티오란, 4,5-비스(이소티오시아나토메틸)-1,3-디티오란 등의 함황복소환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등
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염소 치환체, 브롬 치환체 등의 할로겐 치환체, 알킬 치환체, 알콕시 치환체, 니트로 치환체나, 다가알코올과의 프리폴리머형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 우레아 변성체, 뷰렛 변성체, 다이머화 혹은 트리머화 반응 생성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 입수의 용이함, 가격, 얻어지는 수지의 성능 등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1,4-디티안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B) 활성수소 화합물이란,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폴리티올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성수소 화합물이다.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디올, 글루세린비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4-메르캅토페놀,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등
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티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1,2-시클로헥산디티올, 비스(2-메르캅토에틸)에테르,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메탄, 디에틸렌글리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비스(메르캅토메틸)술피드, 비스(메르캅토메틸)디술피드, 비스(메르캅토에틸)술피드, 비스(메르캅토에틸)디술피드, 비스(메르캅토프로필)술피드, 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비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1,2-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에탄, 1,2-비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에탄, 1,2,3-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2-메르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필티오메틸)메탄, 비스(2,3-디메르캅토프로필)술피드, 2,5-디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2,5-디메르캅토-1,4-디티안, 2,5-디메르캅토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및 이들 티오글리콜산 및 메르캅토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히드록시메틸술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술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술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술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메틸디술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디술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2-메르캅토에틸에테르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2-메르캅토에틸에테르비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글리콜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글리콜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메르캅토에틸에스테르),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1,1,2,2-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탄,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아시클로헥산, 트리스(메르캅토메틸티오)메탄, 트리스(메르캅토에틸티오)메탄 등의 지방족 폴리티올 화합물;
1,2-디메르캅토벤젠, 1,3-디메르캅토벤젠, 1,4-디메르캅토벤젠, 1,2-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3-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4-비스(메르캅토메틸)벤젠, 1,2-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3-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4-비스(메르캅토에틸)벤젠, 1,3,5-트리메르캅토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메틸)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메틸렌옥시)벤젠, 1,3,5-트리스(메르캅토에틸렌옥시)벤젠, 2,5-톨루엔디티올, 3,4-톨루엔디티올, 1,5-나프탈렌디티올, 2,6-나프탈렌디티올 등의 방향족 폴리티올 화합물;
2-메틸아미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3,4-티오펜디티올, 비스무티올,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2-(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1,3-디티에탄 등의 복소환폴리티올 화합물 등
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활성수소 화합물의 올리고머나 염소 치환체, 브롬 치환체 등의 할로겐 치환체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활성수소 화합물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혼합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활성수소 화합물 중, 입수의 용이함, 가격, 얻어지는 수지의 성능 등에서, 폴리티올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비스(메르캅토에틸)술피드,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2,5-디메르캅토메틸-1,4-디티안, 1,1,3,3-테트라키스(메르캅토메틸티오)프로판, 4,6-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1,3-디티안, 2-(2,2-비스(메르캅토메틸티오)에틸)-1,3-디티에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미리 (B) 활성수소 화합물의 일부를 예비적으로 반응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B) 활성수소 화합물은, 미리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일부를 예비적으로 반응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활성수소 화합물에 더하여, 수지의 개질을 목적으로 하여, 히드록시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에피술피드 화합물, 유기산 및 그 무수물,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올레핀 화합물 등의 수지 개질제를 더해도 된다. 여기서, 수지 개질제란,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굴절률, 아베수, 내열성, 비중 등의 물성이나 내충격성 등의 기계 강도 등을 조제 혹은 향상시키는 화합물이다.
수지 개질제로서 사용하는 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티오디에탄올, 디티오디에탄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또한 이들의 올리고머를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개질제로서 첨가할 수 있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다가 페놀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페놀계 에폭시 화합물;
수첨(水添) 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알코올계 에폭시 화합물;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등의 다가 유기산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에폭시 화합물;
1급 및 2급 디아민 화합물과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아민계 에폭시 화합물;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사이드 등의 지방족 다가 에폭시 화합물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개질제로서 첨가할 수 있는 에피술피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술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디술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에탄, 1,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3-티아펜탄 등의 쇄상 지방족의 2,3-에피티오프로필티오 화합물;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틸)-1,4-디티안 등의 환상 지방족, 복소환을 가지는 2,3-에피티오프로필티오 화합물;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벤젠 등의 방향족 2,3-에피티오프로필티오 화합물 등
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개질제로서 첨가할 수 있는 유기산 및 그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디글리콜산, 티오디프로피온산, 디티오디프로피온산, 무수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말레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메리트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개질제로서 첨가할 수 있는 올레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페닐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크실릴렌디티올디아크릴레이트, 크실릴렌디티올디메타크릴레이트, 메르캅토에틸술피드디아크릴레이트, 메르캅토에틸술피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등의 알릴 화합물;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메틸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디비닐벤젠, 3,9-디비닐스피로비(m-디옥산) 등의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 화합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수지 개질제는,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개질제인 히드록시 화합물도 포함한다)의 사용 비율은, 통상(NCO+NCS)/(SH+OH)의 관능기 몰비가, 통상, 0.8~1.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9~1.2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은, 입수의 용이함, 가격, 취급의 용이함, 얻어지는 수지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취급의 용이함으로서 특히 중요한 인자는, 혼합물의 주입시의 점도이다. 주입시의 점도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의 조합(수지 개질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수지 개질제의 종별 및 양을 포함한다. 또한,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는, 촉매의 종별 및 양을 포함한다.)으로 결정되지만, 점도가 너무 높으면, 렌즈 주형용 주형(20)의 공간내의 유리 몰드(22a,22b)와 편광필름(12)의 사이의 좁은 공극부(24a, 24b)에 주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편광렌즈의 제조가 곤란해진다. 통상, 주입시의 점도가, 20℃에서의 측정치로서, 200mPa·s 이하가 바람직하고, 중심 두께가 매우 얇은 렌즈의 제조를 위해서는, 저점도, 예를 들면 100 mPa·s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혼합물의 점도는, 액체의 온도 20℃에서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고려하는 수지의 성능으로서는, 굴절률이 중요하고, 고굴절률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선으로 측정한 굴절률로, 통상 1.57~1.7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9~1.7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65~1.68의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는 수지가 얻어지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수지 개질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수지 개질제 종별 및 양을 포함한다)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이 너무 낮으면, 편광렌즈 안에 필름이 들어가 있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어, 외관이 불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은, 통상은, 편광필름면의 양측에서 동일한 것이 사용되지만, 다른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을 경화 성형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성형법에 있어서의 수법과 마찬가지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등의 촉매,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산성인산에스테르 등의 내부 이형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래디칼 반응개시제 등의 반응 개시제, 사슬연장제, 가교제, 착색 방지제, 유용염료, 충전제 등의 물질을 첨가해도 된다.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에 반응 촉매나 이형제, 그 외 첨가제를 혼합하여 주입액을 조제하는 경우, 촉매나 이형제 그 외의 첨가제의 첨가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B) 활성수소 화합물에의 용해성에도 좌우되지만, 미리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첨가 용해시키거나, 또한, (B) 활성수소 화합물에 첨가 용해시키거나 혹은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에 첨가 용해시켜도 된다. 혹은, 사용하는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B) 활성수소 화합물의 일부에 용해시켜 마스터액을 조제한 후, 이것을 첨가해도 상관없다. 첨가 순서에 관해서는, 이들 예시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조작성, 안전성, 편의성 등을 바탕으로, 적절히 선택된다.
혼합은, 통상, 30℃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혼합물의 포트라이프의 관점에서, 더욱 저온으로 하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또한, 촉매나 이형제 등의 첨가제가,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B) 활성수소 화합물에 대해서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는, 미리 가온하여,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활성수소 화합물이나 그 혼합물에 용해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서, 감압하에서의 탈포처리나 가압, 감압 등으로의 여과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e) 상기 혼합물을 중합 경화하고,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는 공정
다음으로,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혼합물이 주입된 편광필름이 고정된 렌즈 주형용 주형을 오븐 중 또는 수중 등의 가열 가능 장치내에서 소정의 온도 프로그램으로 수 시간에서 수십 시간에 걸쳐 가열하여 경화 성형한다.
중합 경화의 온도는, 혼합물의 조성, 촉매의 종류, 몰드의 형상 등에 따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한정할 수 없지만, 약 -50~200℃의 온도에서 1~100시간에 걸쳐 실시된다.
통상, 5℃에서 40℃의 범위의 온도에서 개시하여, 그 후 서서히 80℃에서 130℃의 범위까지 승온시키고, 그 온도에서 1시간에서 4시간 가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화 성형 종료후,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꺼냄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편광렌즈(10)는, 수지층(14a), 편광필름(12), 수지층(14b)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인 것으로 인해, 외주 연마 가공시에, 편광필름(12)이 렌즈 재료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공업적으로 대량의 편광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중합에 의한 왜곡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형한 렌즈를 가열하여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 온도는 통상 80~1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13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30℃의 범위이다. 어닐 시간은, 통상 0.5~5시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4시간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필요에 따라서, 한 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설치하여 사용된다. 코팅층으로서는,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막층, 방담코트층, 방오염층, 발수(撥水)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코팅층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복수의 코팅층을 다층화하여 사용해도 된다. 양면에 코팅층을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면에 동일한 코팅층을 설치해도 다른 코팅층을 설치해도 된다.
이들 코팅층에는, 각각, 자외선으로부터 렌즈나 눈을 지키는 목적으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으로부터 눈을 지키는 목적으로 적외선 흡수제, 렌즈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광안정제나 산화 방지제, 렌즈의 패션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염료나 안료, 또한 포토크로믹 염료나 포토크로믹 안료, 대전 방지제, 그 외, 렌즈의 성능을 높이는 목적으로 공지의 첨가제를 병용해도 된다. 도포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각종 레벨링제를 사용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일반적으로는, 하드 코트층과의 밀착성이나 편광렌즈의 내충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편광렌즈기재(티오우레탄계 수지)와 하드코트층의 사이에 형성되며, 그 막두께는, 통상, 0.1~10㎛정도이다.
프라이머층은, 예를 들면, 도포법이나 건식법으로 형성된다. 도포법에서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스핀 코트, 딥 코트 등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도포한 후, 고체화시킴으로써 프라이머층이 형성된다. 건식법으로는, CVD법이나 진공 증착법 등의 공지의 건식법으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때,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서, 렌즈의 표면을 알칼리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사전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프라이머 조성물로서는, 고체화한 프라이머층이 렌즈기재(티오우레탄계 수지)와 밀착성이 높은 소재가 바람직하고, 통상,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멜라닌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등이 사용된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무용제로의 사용도 가능하지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렌즈 표면에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습성, 내온수성, 내열성, 내후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코팅층이며, 그 막두께는, 통상, 0.3~30㎛정도이다.
하드 코트층은, 통상, 하드 코트 조성물을 스핀 코트, 딥 코트 등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다. 경화 방법으로는, 열경화, 자외선이나 가시광 등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할 때,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서, 피복 표면(렌즈기재 혹은 프라이머층)에, 알칼리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사전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하드 코트 조성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경화성을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과 Si, Al, Sn, Sb, Ta, Ce, La, Fe, Zn, W, Zr, In 및 Ti 등의 산화물 미립자(복합 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한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들 외에, 아민류, 아미노산류, 금속아세틸아세토네이트 착체, 유기산 금속염, 과염소산류, 과염소산류의 염, 산류, 금속 염화물 및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등을 사용해도 된다. 하드 코트 조성물은, 무용제로의 사용도 가능하지만,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반사 방지층은, 필요에 따라서, 통상, 하드 코트층 위에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에는 무기계와 유기계가 있으며, 무기계의 경우는, 일반적으로는, SiO2, TiO2 등의 무기 산화물을 사용하여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이온빔 어시스트법, CVD법 등의 건식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유기계의 경우는, 일반적으로는, 유기 규소 화합물과, 내부 공동을 가지는 실리카계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습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반사 방지층은 단층이여도 다층이여도 되지만, 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보다도 굴절률이 적어도 0.1 이상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으로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하려면 다층막 반사방지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통상은,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을 교대로 적층한다. 이 경우도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의 굴절률차이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ZnO, TiO2, CeO2, Sb2O5, SnO2, ZrO2, Ta2O5 등의 막을, 저굴절률막으로서는, SiO2막 등을 들 수 있다. 막두께는, 통상, 50~150nm 정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는, 필요에 따라서, 이면 연마, 대전 방지 처리, 염색 처리, 조광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편광필름>
본 실시형태의 편광필름은,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10)에 사용되는 편광필름(12)과 동일한 조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필름에 의하면, 색의 콘트라스트나 물건의 윤곽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렌즈나 고글 등의 광학 용도에 사용함으로써, 시인성이 뛰어남과 함께 시각 피로를 경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필름은, 본 실시형태의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 (a)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우선, 소정의 수지에, 이색성 염료를 적어도 1종 포함하는 비수용성 염료 및 유기 색소 화합물을 소정의 양으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그리고, 이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필름상으로 성형하여, 얻어진 필름을 1축 방향으로 연신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을 편광필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편광필름의 양면에 플라스틱 렌즈(수지층)가 적층되어 있는 편광렌즈에 사용하는 경우, 편광필름에 이하의 부형 공정(곡률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률 가공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인 프레스 성형, 진공 성형 등이 사용된다. 곡률 가공 시에 편광필름의 기스 방지를 목적으로 편광필름의 한 면 혹은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가공해도 상관없다. 보호필름으로서는, 곡률 가공 후, 편광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풀이 남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곡률 가공을 실시하는 온도로서는, 어닐 처리가 미리 실시된 편광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수지의 결정화 온도 이상, 용융 온도 미만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어닐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편광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 용융 온도 미만이 바람직하다. 어닐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편광필름으로 곡률 가공한 것은, 곡률 가공 후에 어닐 처리를 하는 것이, 치수 안정성을 내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통상, 곡률 가공을 할 때의 곡률 반경으로서는, 40~1000mm 정도이다.
어닐 처리의 온도는 렌즈의 사용 상황, 특히 차량 안에 방치되는 것을 고려하면 120℃~수지의 용융 온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편광필름을, 본 실시형태의 편광렌즈에 사용하는 경우, 티오우레탄계 수지와의 접착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곡률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편광필름을 플라스틱 편광렌즈에 사용하는 경우, 곡률 가공을 실시한 후에,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접착층을 별도 설치해도 되며, 또한 표면 개질 처리와 접착층의 형성을 순서대로 실시해도 된다. 이들에 의해, 편광필름과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과의 밀착성을 개량할 수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유래의 구성 단위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 등을 들 수 있으며,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필름 표면의 플라즈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개스킷 유지한 2개의 몰드간에 곡률 가공을 실시한 편광필름을 삽입하고, 열경화성 수지를 주입한 후, 필요한 온도를 가하여 수 시간에서 수십 시간에 걸쳐 성형함으로써, 편광렌즈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필름을 편광렌즈에 사용함으로써, 색의 콘트라스트나 물건의 윤곽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시인성이 뛰어남과 함께 시각 피로가 경감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편광필름은 렌즈 용도뿐 아니라, 고글은 물론, 헬멧의 쉴드 등, 그 외의 콘트라스트 개선 용도로도 전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은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A) 콘트라스트성
옥외에서, 얻어진 편광렌즈를 통해 물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콘트라스트성을 평가했다.
A: 물체의 윤곽이 명료하며, 색의 콘트라스트가 높다.
B: 물체의 윤곽이 불명료하며, 색의 콘트라스트가 낮다.
(B) 렌즈의 색상
얻어진 -6D의 편광렌즈의 중심부와 주연부와의 색상의 차이를,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했다.
A: 중심부와 주연부의 색상은 동일하다.
B: 중심부와 주연부의 색상은 다르다.
(C) 편광필름의 밀착성
성형 후의 편광렌즈에 있어서, 경화 렌즈재와 편광필름의 밀착성이 양호한지 어떤지를 판정하는 평가 항목이다.
시험은, 얻어진 렌즈를 해머로 두드려 파괴시킨다. 이 때, 편광필름과 경화 렌즈재와의 밀착성이 불충분한 경우는, 편광필름의 박리가 생긴다. 즉, 파괴한 렌즈의 경화 렌즈재와 편광필름의 적층부의 박리 상태에 주목하고, 파단 부분의 막이 박리되어 있는 부분의 유무를 관찰하여 밀착 상태를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A: 파단 부분 중에서, 막이 박리되어 있는 개소가 확인되지 않는다.
B: 파단 부분 중에서, 대부분은 막이 박리되어 있는 개소가 확인되지 않지만, 미세하게 막이 박리되어 있는 개소가 일부 확인된다.
C: 파단 부분 중에서, 막이 박리되어 있는 개소가 다수 확인된다.
(D) 렌즈 내에서의 편광막의 시인 곤란성
통상의 생활광 환경하에서도 판정은 가능하지만, 가능한 한 환경광 인자를 간소화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판정했다.
다른 광원을 무시할 수 있는 암실에서 윗쪽에 설치 점등된 길이 약 120cm, 37와트의 형광등의 바로 아래 약 150cm의 장소에, 시험 대상이 되는 편광렌즈에 관하여, 렌즈의 양면 부근에 광 장애물이 없도록 측면을 손으로 지지하면서 오목면을 형광등 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해서 잡고, 렌즈의 약 30cm 위에서, 가능한 한 면에 수직 가깝게 되는 방향으로부터 렌즈의 오목면을 들여다 보아 형광등의 상을 관찰한다. 또한 렌즈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약간 각도를 변동시키면서 상을 관찰한다. 공통적으로 명료한 대소 2종류의 상이 관찰되지만, 편광필름이 눈에 띄는 경우에는 그 외에 희미해진 상을 확인할 수 있다. 렌즈내에서의 편광막의 시인 곤란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A: 희미해진 상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B: 희미해진 상이 희미하게 보이지만 퍼져 있지 않다
C: 희미해진 상이 흔들려서 퍼져 있어 눈에 띈다
라고 판정했다.
(E) 내수성
수온이 60℃로 설정된 항온 수조 중에, 시험 대상으로 되는 편광렌즈를 침지시키고, 소정 시간마다 3종류의 렌즈를 끌어올려 변화를 관찰했다. 내수성이 불충분한 경우는, 렌즈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백화 내지는 탈색과 같은 열화가 발생하여, 침지 시간(4시간 후, 3일 후 및 7일 후의 데이터를 취득)과 함께 중심부로 진행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므로, 주변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한 열화부의 길이를 버니어 캘리퍼스로 밀리 단위로 측정했다.
(F) 렌즈 재료의 굴절률
별도로, 편광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성형한 수지편(렌즈 재료)의 20℃에서의 e선의 굴절률을, 풀프리히 굴절계로 측정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의 원료를 사용했다.
(유기 색소 화합물)
유기 색소 화합물 A: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테트라-t-부틸-테트라아자포르피린·구리착체를 사용했다.
(이색성 염료)
이색성 염료 A: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이색성 염료 B: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이색성 염료 C: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이색성 염료 D: 상기 식 (8)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이색성 염료 E: 하기 식 (9)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이색성 염료 F: 하기 식 (10)으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이색성 염료 G: 하기 식 (11)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이색성 염료 H: 하기 식 (12)로 표시되는 이색성 염료를 사용했다.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실시예 1)
<편광필름의 조제>
유기 색소 화합물 A를 0.0150중량부, 이색성 염료 A~H를 원하는 색조가 되도록 적당량의 배합량을 조정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와 혼합하고, T다이 필름 성형기를 이용해서 용융한 수지를 T다이로부터 캐스트하여 필름 성형하고, 4배의 1축 연신 조작을 실시하여 140㎛ 두께의 편광필름을 얻었다. 편광필름 중에는, 유기 색소 화합물 A가 134ppm 포함되어 있었다.
<편광필름의 물성>
얻어진 편광필름의 흡광도를, JASCO사제의 흡광도 계측기 UV/VIS SPECTROMETER V-550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도 3에, 측정 결과를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88nm에 흡수 극대 피크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편광필름은 편광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에 의해 얻어진 방현성이 부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편광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를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또한, 편광필름을 4.30mg 절취하여 측정 시료로 했다. 시마즈 제작소제의 시차주사형 열량계 DSC-60을 이용하고, 가열 속도 10℃/min의 승온속도로 승온하여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했다. 차트의 변곡점으로부터 이 편광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70.7℃(교점법)였다. 또한, 융점은 253.8℃(피크 톱)였다.
(실시예 2)
<유기 색소 화합물을 편광필름에 포함하는 편광렌즈의 조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편광필름[유리전이 온도 70.7℃](두께 140㎛)을 열프레스법으로 부형 온도 120℃에서 2C(커브)의 만곡 형상으로 부형했다. 편광필름을 몰드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하여 편광필름을 작성했다. 이것을, 도 2에 나타내는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2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5D) 내에 끼워 넣어 설치했다.
한편,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0.6중량부,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과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과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혼합물 49.4중량부, 경화촉진제로서 디부틸주석 디클로라이드 0.01중량부, 이형제로서 Zelec UN(등록상표, Stepan사제) 0.1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Seesorb 709(쉬프로카세이사 제) 0.05중량부를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감압하에서 탈포처리하여, 조제 직후에 주입용 모노머 혼합물로서 제공했다. 교반 용해 1시간 후의 20℃에서 점도는 30 mPa·s였다. 주입용 모노머 혼합물의 점도는, 액체의 온도 20℃에서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다음으로, 렌즈 주형용 주형내의 유리 몰드(22a, 22b)와 편광필름(12)으로 구획된 2개의 공극부(24a, 24b)에, 이 모노머 혼합물을, 3㎛의 필터를 통해 여과한 후 튜브를 통해 주입했다. 또한, 가장 간극이 좁은 공극부(24a)의 이간 거리 a는 0.5mm 정도였다. 주입후 마개를 막은 렌즈 주형용 주형(20)을 열풍 순환식 오븐 안에 두고, 16시간에 걸쳐 25℃에서 120℃로 승온하고, 그 후 120℃에서 4시간 유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렌즈 주형용 주형을 꺼냈다.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하고, 130℃에서 2시간 어닐 처리하여 편광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얻어진 -5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6.2mm였다. 이 렌즈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색조는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외관이 양호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렌즈를 통해 관찰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편광렌즈의 조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편광필름[미쓰이 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 "포라솔라(등록상표)", 유리 전이 온도 70.7℃](두께 140㎛)을 몰드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하여 편광필름을 작성했다. 이것을, 도 2에 나타내는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2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5D) 내에 끼워 넣어 설치했다.
한편,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0.6중량부,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과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과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혼합물 49.4중량부, 경화촉진제로서 디부틸주석 디클로라이드 0.01중량부, 이형제로서 Zelec UN(등록상표, Stepan사제) 0.1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Seesorb 709(쉬프로 카세이사 제) 0.05중량부를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감압하에서 탈포처리하여, 조제 직후에 주입용 모노머 혼합물로서 제공했다. 교반 용해 1시간 후의 20℃에서의 점도는 30mPa·s였다.
다음으로, 렌즈 주형용 주형내의 유리 몰드(22a, 22b)와 편광필름(12)으로 구획된 2개의 공극부(24a, 24b)에, 이 모노머 혼합물을, 3㎛의 필터를 통해 여과 후 튜브를 통해 주입했다. 또한, 가장 간극이 좁은 공극부(24a)의 이간 거리 a는 0.5mm 정도였다. 주입후 마개를 막은 렌즈 주형용 주형(20)을 열풍순환식 오븐 안에 두고, 16시간에 걸쳐 25℃에서 120℃로 승온하고, 그 후 120℃에서 4시간 유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렌즈 주형용 주형을 꺼냈다.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하고, 130℃에서 2시간 어닐 처리하여 편광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얻어진 -5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6.2mm였다. 이 렌즈를 통해 관찰했을 경우에는, 실시예 2의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사용한 본 발명의 편광렌즈와 비교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낮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유기 색소 화합물을 렌즈 재료에 포함하는 편광렌즈의 조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편광필름[미쓰이 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 "포라솔라(등록상표)", 유리 전이 온도 70.7℃](두께 140㎛)을 몰드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하여 편광필름을 작성했다. 이것을, 도 2에 나타내는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2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5D) 내에 끼워 넣어 설치했다.
한편, 유기 색소 화합물 A O.001중량부를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0.6중량부에 더하여 교반하에서 균일 용액으로 한 후, 이것에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과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과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의 혼합물 49.4중량부, 경화 촉진제로서 디부틸주석 디클로라이드 0.01중량부, 이형제로서 Zelec UN(등록상표, Stepan사제) 0.1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로서 Seesorb 709(쉬프로카세이사 제) 0.05중량부를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감압하에서 탈포처리하여, 조제 직후에 주입용 모노머 혼합물로서 제공했다. 교반 용해 1시간 후의 20℃에서의 점도는 30mPa·s였다.
다음으로, 렌즈 주형용 주형내의 유리 몰드(22a, 22b)와 편광필름(12)으로 구획된 2개의 공극부(24a, 24b)에, 이 모노머 혼합물을, 3㎛의 필터를 통해 여과 후 튜브를 통해 주입했다. 또한, 가장 간극이 좁은 공극부(24a)의 이간 거리 a는 0.5mm 정도였다. 주입후 마개를 막은 렌즈 주형용 주형(20)을 열풍 순환식 오븐 안에 두고, 16시간에 걸쳐 25℃에서 120℃로 승온하고, 그 후 120℃에서 4시간 유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렌즈 주형용 주형을 꺼냈다.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하고, 130℃에서 2시간 어닐 처리하여 편광렌즈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얻어진 -5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6.2mm였다. 이 렌즈를 통해 관찰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렌즈 자체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른 영향으로 중심부분과 주변 부분에서는 렌즈의 색상이 다르며, 또한 중심부의 색이 옅고 주변부의 색이 진해져 있어, 매우 외관이 불량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Figure pct00020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편광필름[유리 전이 온도 70.7℃](두께 140㎛)을 미리 오븐 안 140℃에서 15분간 열처리하고, 다음으로, 열프레스법으로 부형 온도 160℃에서 6C(커브)의 만곡 형상으로 부형했다. 편광필름을 몰드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한 후, 플라즈마 조사 표면 개질 장치(PS-601SW형: 웨지가부시키가이샤 제)를 이용하여 편광막의 표면과 이면을 각 20초간 플라즈마 조사하고, 메탄올로 세정 후 풍건하여 편광필름을 작성했다. 이것을,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6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중심 두께 12mm) 내에 끼워 넣어 설치했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주입용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여, 오븐 안에서 16시간에 걸쳐 25℃에서 100℃까지 승온하고 그 후 100℃에서 10시간 유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렌즈 주형용 주형을 꺼냈다.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하고, 115℃에서 2시간 어닐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렌즈를 얻었다. 그 후, 뒷면을 절삭 연마하여 -6D 형상의 렌즈로 하였다.
얻어진 -6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9.Omm였다. 이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렌즈와 편광필름의 밀착성은 양호하며, 렌즈에도 왜곡 등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이 렌즈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색조는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외관이 양호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렌즈를 통해 관찰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편광필름의 열프레스에 의한 부형 온도를 140℃에서 2C(커브)의 만곡 형상으로 부형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해서 부형하여 절단한 편광필름에 관하여, 코로나 방전 표면 처리 장치(CTW-0212형: 웨지가부시키가이샤 제)를 사용해서, 400W 세트로 편광막의 표면과 이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하여 편광필름을 작성했다.
그 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2C/후면 4C 유리 몰드 세트 중심 두께 10mm) 내에 끼워 넣어 설치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것을 오븐 안에서 열처리 경화시키고, 서서히 냉각시킨 후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해서 어닐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렌즈를 얻었다. 그 후, 뒷면을 절삭 연마하여 -3D 형상의 렌즈로 하였다. 얻어진 -3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3.6mm였다. 이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렌즈와 편광필름의 밀착성은 양호하고, 렌즈에도 왜곡 등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이 렌즈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색조는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외관이 양호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렌즈를 통해 관찰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편광필름의 열프레스에 의한 부형 온도를 140℃에서 4C(커브)의 만곡 형상으로 부형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해서 부형하여 절단한 편광필름에 관하여, 메탄올로 세정한 후에 40℃에서 건조시켰다. 이 필름을 아크릴계의 접착제 용액(SYNEDOL2263XB 코트액 CHEMISCHE INDUSTRIE SYNRES NV., (HOLLAND) 제)에 디핑시켜 끌어 올린 후 40℃에서 건조시켜 아크릴계의 코트 처리를 실시했다.
그 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4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중심 두께 11mm) 내에 끼워 넣어 설치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것을 오븐 안에서 열처리 경화시키고, 서서히 냉각시킨 후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해서 어닐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렌즈를 얻었다. 그 후, 뒷면을 절삭 연마하여 -5D형상의 렌즈로 하였다. 얻어진 -5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6.6mm였다. 이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렌즈와 편광필름의 밀착성은 양호하고, 렌즈에도 왜곡 등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이 렌즈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색조는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외관이 양호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렌즈를 통해 관찰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우레탄계 코트로서, 산프렌(SANPRENE) IB-422(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산요카세이코교 가부시키가이샤) 100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과 이소프로판올의 2:1 중량비의 혼합 용매 330중량부에 용해시켜 우레탄계 코트액을 조제했다.
열프레스하여 부형하기 전의 편광필름에 관하여, 이 필름을 거의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미리 조제한 상술의 우레탄계 코트액을 #4의 바코터로 필름 표면에 도포한 후에 50℃의 송풍 건조 오븐 안에서 5분간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얻어진 필름의 다른 한 면에 관해서도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 한 면에 상기 코트액을 도포, 건조시켰다.
얻어진 우레탄 코트를 설치한 편광필름에 관하여 열프레스에 의한 부형 온도를 140℃에서 6C(커브)의 만곡 형상으로 부형시켜 절단했다.
그 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6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중심 두께 12mm) 내에 끼워 넣어 설치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것을 오븐 안에서 열처리 경화시키고, 서서히 냉각시킨 후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해서 어닐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렌즈를 얻었다. 그 후, 뒷면을 절삭 연마하여 -6D 형상의 렌즈로 하였다. 얻어진 -6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9.Omm였다. 이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렌즈와 편광필름의 밀착성은 양호하고, 렌즈에도 왜곡 등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이 렌즈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색조는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외관이 양호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렌즈를 통해 관찰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편광필름의 열프레스에 의한 부형 온도를 140℃에서 6C(커브)의 만곡 형상으로 부형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해서 부형하여 절단한 편광필름에 관하여, 플라즈마 조사 표면 개질 장치(PS-601SW형: 웨지가부시키가이샤 제)를 이용하여 편광막의 표면과 이면을 각 20초간 플라즈마 조사하고, 메탄올로 세정한 후에 40℃에서 건조시켰다. 또한 이 필름을 아크릴계의 접착제 용액(SYNEDOL2263XB 코트액 CHEMISCHE INDUSTRIE SYNRES NV., (HOLLAND)제)에 디핑시켜 끌어올린 후 40℃에서 건조시켜 아크릴계의 코트 처리를 실시했다.
그 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6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중심 두께 12mm) 내에 끼워 넣어 설치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것을 오븐 안에서 열처리 경화시키고, 서서히 냉각시킨 후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해서 어닐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렌즈를 얻었다. 그 후, 뒷면을 절삭 연마하여 -6D 형상의 렌즈로 하였다. 얻어진 -6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9.Omm였다. 이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렌즈와 편광필름의 밀착성은 양호하고, 렌즈에도 왜곡 등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이 렌즈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색조는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외관이 양호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렌즈를 통해 관찰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편광필름의 열프레스에 의한 부형 온도를 140℃에서 6C(커브)의 만곡 형상으로 부형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해서 부형하여 절단한 편광필름에 관하여, 코로나 방전 표면 처리 장치(CTW-0212형: 웨지가부시키가이샤 제)를 사용하여, 400W 세트로 편광막의 표면과 이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하여 편광필름을 작성했다. 또한 이 필름을 아크릴계의 접착제 용액(SYNEDOL2263XB 코트액 CHEMISCHE INDUSTRIE SYNRES NV., (HOLLAND)제)에 디핑시켜 끌어올린 후 40℃에서 건조시켜 아크릴계의 코트 처리를 실시했다.
그 후,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렌즈 성형용의 주형(전면 6C/후면 6C 유리 몰드 세트 중심 두께 12mm) 내에 끼워 넣어 설치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여, 이것을 오븐 안에서 16시간에 걸쳐 25℃부터 115℃까지 승온하고 그 후 115℃에서 10시간 유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렌즈 주형용 주형을 꺼냈다.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하고, 115℃에서 2시간 어닐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렌즈를 얻었다.
열처리 경화시키고, 서서히 냉각시킨 후 렌즈 주형용 주형으로부터 렌즈를 이형해서 어닐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렌즈를 얻었다. 그 후, 뒷면을 절삭 연마하여 -6D형상의 렌즈로 하였다. 얻어진 -6D의 렌즈는 중심 두께 1.2mm, 가장자리 두께는 9.Omm였다. 이 편광렌즈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렌즈와 편광필름의 밀착성은 양호하고, 렌즈에도 왜곡 등의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이 렌즈를 관찰하면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색조는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외관이 양호한 렌즈로 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렌즈를 통해 관찰하면, 예를 들면, 맑은 날 작은 나뭇가지의 선이나, 녹색, 황색, 적색의 콘트라스트가 매우 높아, 물체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21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도 취할 수 있다.
(a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로서,
상기 편광필름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화학식 20]
Figure pct00022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고,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며,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a2)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화학식 21]
Figure pct00023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a3)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편광필름 중에 50~7000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 또는 (a2)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4)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는,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성수소 화합물
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 내지 (a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5) 상기 편광필름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온도 T1의 조건하에서 부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식)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 T1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120℃
(a6)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접착층의 형성 또는 표면 개질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 내지 (a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7)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상기 (a1) 내지 (a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8)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a4) 내지 (a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9)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a4) 내지 (a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10)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e선의 굴절률이 1.57~1.70의 범위인 상기 (a1) 내지 (a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11)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e선의 굴절률이 1.59~1.70의 범위인 상기 (a1) 내지 (a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
(a12)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부형하여, 편광필름을 얻는 공정과,
렌즈 주형용 주형 내에,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과 상기 몰드와의 사이의 공극에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경화하고,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화학식 22]
Figure pct00024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고,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며,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a13)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2)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화학식 23]
Figure pct00025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a14)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2) 또는 (a13)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a15)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2) 내지 (a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a16)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2) 내지 (a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a17)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표면 개질 처리가 실시된 상기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12) 내지 (a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a18)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상기 (a12) 내지 (a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a19)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a14) 내지 (a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a20)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티올 화합물인 상기 (a14) 내지 (a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방법.
(a21) 상기 주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20℃에서의 점도가, 200mPa·s 이하인 상기 (a14) 내지 (a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a22)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화학식 24]
Figure pct00026
(식(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고,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며,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a23)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22)에 기재의 편광필름;
[화학식 25]
Figure pct00027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a24)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이 50~7000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a22) 또는 (a23)에 기재된 편광필름.
(a25)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상기 (a22) 내지 (a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필름.
(a26) 상기 (a1) 내지 (a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하이콘트라스트성 플라스틱 편광렌즈에 사용되는, 상기 (a22) 내지 (a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필름.
(a27) 상기 (a26)에 기재된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부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

Claims (33)

  1.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플라스틱 편광렌즈로서,
    상기 편광필름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화학식 1]
    Figure pct00028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고,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며,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화학식 2]
    Figure pct00029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 (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1)을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편광필름 중에 50~7000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는,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온도 T1의 조건하에서 부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식)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 T1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12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접착층의 형성 또는 표면 개질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플라스틱 편광렌즈.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폴리티올 화합물인 플라스틱 편광렌즈.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티올 화합물인 플라스틱 편광렌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e선의 굴절률이 1.57~1.70의 범위인 플라스틱 편광렌즈.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티오우레탄계 수지의 e선의 굴절률이 1.59~1.70의 범위인 플라스틱 편광렌즈.
  13.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필름을 부형하여, 편광필름을 얻는 공정과,
    렌즈 주형용 주형 내에,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과 상기 몰드의 사이의 공극에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경화하고, 상기 편광필름의 양면 위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화학식 3]
    Figure pct00030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고,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며,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화학식 4]
    Figure pct00031

    (식 (1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을 얻는 상기 공정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부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B)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티올 화합물, 및 폴리티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활성수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0.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공정의 전에,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표면 개질 처리가 실시된 상기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폴리티올 화합물인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이, 2,5-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6-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상기 활성수소 화합물(B)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4-메르캅토메틸-1,8-디메르캅토-3,6-디티아옥탄, 5,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메르캅토메틸-1,11-디메르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티올 화합물인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4.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20℃에서의 점도가, 200mPa·s 이하인 플라스틱 편광렌즈의 제조 방법.
  25.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화학식 5]
    Figure pct00032

    (식 (1) 중, A1~A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탄소수 1~20의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1~20의 모노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20의 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7~20의 아랄킬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0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고, 연결기를 개재하여 방향족환을 제외하는 환을 형성해도 되며, M은 2개의 수소 원자, 2가의 금속 원자, 1치환의 3가 금속 원자, 2치환의 4가 금속 원자, 또는 옥시 금속을 나타낸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a)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화학식 6]
    Figure pct00033

    (식(1 a) 중, t-C4H9는 터셔리부틸기를 나타낸다. 4개의 터셔리부틸기는, 식(1)에 있어서의 A1 또는 A2, A3 또는 A4, A5 또는 A6, A7 또는 A8에 상당하며, 위치 이성체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터셔리부틸기가 아닌 A1~A8은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M은, 2가의 구리 원자, 2가의 팔라듐 원자, 또는 2가의 산화바나듐(-V(=O)-)을 나타낸다.).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이 50~7000ppm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편광필름.
  30. 제2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필름의 양면에,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어 있는 플라스틱 편광렌즈에 사용되는, 편광필름.
  31. 제30항에 기재된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필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필름을 부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필름을 부형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20℃ 이상, 유리 전이 온도 +120℃ 이하의 온도 조건하에서 부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37002703A 2010-08-12 2011-08-10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KR101729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0732 2010-08-12
JPJP-P-2010-180732 2010-08-12
PCT/JP2011/004544 WO2012020570A1 (ja) 2010-08-12 2011-08-10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そ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フィル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8951A Division KR20150043556A (ko) 2010-08-12 2011-08-10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453A true KR20130057453A (ko) 2013-05-31
KR101729368B1 KR101729368B1 (ko) 2017-04-21

Family

ID=45567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703A KR101729368B1 (ko) 2010-08-12 2011-08-10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KR20157008951A KR20150043556A (ko) 2010-08-12 2011-08-10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8951A KR20150043556A (ko) 2010-08-12 2011-08-10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6531B2 (ko)
EP (1) EP2605059B1 (ko)
JP (2) JPWO2012020570A1 (ko)
KR (2) KR101729368B1 (ko)
CN (1) CN103052904B (ko)
BR (1) BR112013003397B8 (ko)
WO (1) WO20120205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723A (ko) * 2015-02-02 2017-08-09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용도
WO2019221409A1 (ko) *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용 모노머의 몰드 자동 주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6836B2 (ja) * 2010-02-25 2016-09-21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眼鏡用合わせガラスレンズ
CN104160324B (zh) * 2012-03-06 2016-05-11 三井化学株式会社 塑料偏光透镜及其制备方法
JP6117192B2 (ja) * 2012-05-07 2017-04-19 山本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14142440A (ja) * 2013-01-23 2014-08-07 Hoya Lense Manufacturing Philippine Inc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
JP6095468B2 (ja) * 2013-05-07 2017-03-15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69045A (ja) * 2013-09-30 2015-04-13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複合機能性偏光レンズ
KR20150082942A (ko) * 2014-01-08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CH709485B1 (de) * 2014-04-11 2018-07-13 Interglass Tech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inse durch Giessen.
JP5873584B1 (ja) * 2015-03-12 2016-03-01 株式会社ホプニック研究所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フィルムの位置決め方法
US11016302B2 (en) 2015-03-17 2021-05-25 Raytrx, Llc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high resolution micro-displays and dynamic opacity augmentation in augmented reality glasses
US11956414B2 (en) * 2015-03-17 2024-04-09 Raytrx, Llc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correction for vision defects and augmentation of vision and sensing
US11461936B2 (en) 2015-03-17 2022-10-04 Raytrx, Llc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micro-displays and augmentation of vision and sensing in augmented reality glasses
JP2018514817A (ja) 2015-04-29 2018-06-07 トライアペ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偏光レンズ
JP6586170B2 (ja) 2015-09-16 2019-10-02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光学材料、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材料の製造方法
JP6570452B2 (ja) * 2016-01-22 2019-09-04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眼鏡用偏光レンズ
US10267966B2 (en) 2016-04-13 2019-04-23 Talex Optical Co., Ltd. Composite functional polarized lens
CN105676315A (zh) * 2016-04-25 2016-06-15 苏州普京真空技术有限公司 一种凸边防眩光耐用真空镀膜
CN108474897B (zh) * 2016-06-30 2021-01-15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镜片的制造方法
WO2018003998A1 (ja) * 2016-06-30 2018-01-04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及び眼鏡
CN109791236B (zh) * 2016-07-15 2022-08-19 依视路国际公司 具有特定光过滤剂的偏振膜
CN109476973B (zh) 2016-08-02 2021-04-27 株式会社德山 粘接性组合物、层叠体和使用该层叠体的光学物品
EP3521907A4 (en) 2016-09-30 2020-09-23 Mitsui Chemicals, Inc. PHOTOCHROMIC LENS AND POLYMERIZABLE COMPOSITION
JPWO2018105593A1 (ja) * 2016-12-06 2019-06-24 三井化学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およびレンズ
JP6664347B2 (ja) * 2017-03-31 2020-03-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の製造方法
JP6553157B2 (ja) * 2017-12-04 2019-07-31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複合機能性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
JP7187780B2 (ja) * 2018-02-16 2022-12-1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および光学部品
MX2020008644A (es) 2018-02-23 2020-09-21 Tokuyama Corp Producto laminado funcional y lente funcional que comprende el producto laminado funcional.
US20210041599A1 (en) * 2018-04-02 2021-02-11 Hopnic Laboratory Co., Ltd. Plastic polarizing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WO2019198664A1 (ja) 2018-04-12 2021-04-30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光学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50386A (ko) 2019-04-03 2021-12-10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포토크로믹 광학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7357051B2 (ja) * 2019-06-28 2023-10-0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偏光フィルム及び偏光レンズ
WO2021168449A1 (en) 2020-02-21 2021-08-26 Raytrx, Llc All-digital multi-option 3d surgery visualization system and control
EP4112299A4 (en) 2020-02-28 2024-02-21 Tokuyama Corp MOISTURE CURING POLYURETHANE COMPOSITION AND LAMINATE
WO2021241596A1 (ja) 2020-05-28 2021-12-02 株式会社トクヤマ 光学材料用化合物、硬化性組成物、硬化体、及び光学物品
EP3974880A1 (en) * 2020-09-25 2022-03-30 Essilor International High efficiency polarizing lens with color enhancement
CN112226099A (zh) * 2020-10-10 2021-01-1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染料、背光模组、偏光片及显示面板
KR102297460B1 (ko) 2021-02-16 2021-09-01 주식회사 씨엔와이 2차곡 편광렌즈 제조장치
KR20230169168A (ko) 2021-04-21 2023-12-15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광학 물품, 안경 렌즈 및 안경
CN112946919A (zh) * 2021-04-22 2021-06-11 上海康耐特光学有限公司 一种贴合式功能性树脂镜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757A (ja) * 1984-10-05 1986-05-06 Mitsui Toatsu Chem Inc 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イルム
JPS62270664A (ja) * 1985-06-12 1987-11-25 Mitsui Toatsu Chem Inc キノフタロン系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イルム
JPS61285259A (ja) 1985-06-13 1986-12-16 Mitsui Toatsu Chem Inc 二色性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イルム
JPH0794609B2 (ja) 1987-07-22 1995-10-11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アントラキノン系色素および該色素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US5486949A (en) * 1989-06-20 1996-01-23 The Dow Chemical Company Birefringent interference polarizer
JPH0430986A (ja) 1990-05-25 1992-02-03 Sanyo Electric Co Ltd ハンド制御装置
JPH0545610A (ja) 1991-05-20 1993-02-26 Tokyo Keikaku:Kk 防眩用眼鏡レンズ
JPH055860A (ja) 1991-06-27 1993-01-14 Tokyo Keikaku:Kk 金属により防眩性が付与されたプラスチツク眼鏡レンズ
DE69525319T2 (de) 1994-06-24 2002-10-24 Seiko Epson Corp Durchsichtiges kunststoffmaterial, daraus hergestellte optische gegenstände und herstellungsverfahren
JPH09258009A (ja) 1996-03-27 1997-10-03 Nasu Nikon:Kk 偏光レンズ
JPH11130971A (ja) 1997-07-23 1999-05-18 Ricoh Co Ltd 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化合物とその前駆体及び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3998821B2 (ja) 1997-07-25 2007-10-31 株式会社リコー ハロゲン化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化合物を含む材料及びその材料の製造方法。
US7002744B2 (en) 1999-11-22 2006-02-21 Younger Mfg. Co. Dba Younger Optics Polarized optical part using high impact polyurethane-based material
JP2001249227A (ja) * 2000-12-28 2001-09-14 Taretsukusu Kogaku Kogyo Kk 偏光膜の製造方法
JP2002267841A (ja) * 2001-03-09 2002-09-18 Mitsui Chemicals Inc 偏光レンズ用偏光フィルム
US20050046321A1 (en) * 2001-10-31 2005-03-03 Yoshinori Suga Display apparatus
WO2004099859A1 (ja) 2003-05-12 2004-11-18 Hopnic Laboratory Co., Ltd. 高屈折率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
JP4751644B2 (ja) 2005-05-19 2011-08-17 山本化成株式会社 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5097928B2 (ja) 2005-10-07 2012-12-12 山田化学工業株式会社 テトラアザポルフィリン化合物の製造法
EP2051129B1 (en) * 2006-08-10 2018-04-04 Mitsui Chemicals, Inc. Plastic polarizing len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74900B1 (ko) 2006-09-27 2014-12-19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화합물 또는 이것의 토토머, 금속착체 화합물, 착색 감광성경화 조성물, 컬러필터, 및 제조
JP2008134618A (ja) 2006-10-26 2008-06-12 Hopunikku Kenkyusho:Kk 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
JP5493073B2 (ja) 2006-10-27 2014-05-1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太陽光透過制御素子
JP2008268331A (ja) 2007-04-17 2008-11-06 Yamada Chem Co Ltd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液晶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AU2007224400B2 (en) 2007-10-12 2014-10-02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ganic photosenstive optoelectronic devices containing tetra-azaporphyrins
JPWO2009098886A1 (ja) * 2008-02-07 2011-05-26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4445A (ja) * 2008-06-05 2009-12-17 Yamamoto Kogaku Co Ltd 偏光性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JP5075080B2 (ja) * 2008-10-02 2012-11-14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赤外線吸収性眼鏡用レンズ基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723A (ko) * 2015-02-02 2017-08-09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용도
KR20190049926A (ko) * 2015-02-02 2019-05-09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그 용도
WO2019221409A1 (ko) *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티오우레탄계 광학재료용 모노머의 몰드 자동 주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5059A4 (en) 2016-03-09
KR20150043556A (ko) 2015-04-22
EP2605059B1 (en) 2021-02-17
EP2605059A1 (en) 2013-06-19
WO2012020570A1 (ja) 2012-02-16
CN103052904A (zh) 2013-04-17
JP2015180942A (ja) 2015-10-15
BR112013003397A2 (pt) 2016-08-02
CN103052904B (zh) 2016-01-06
BR112013003397B8 (pt) 2023-05-09
US20130155507A1 (en) 2013-06-20
JPWO2012020570A1 (ja) 2013-10-28
JP6042938B2 (ja) 2016-12-14
KR101729368B1 (ko) 2017-04-21
BR112013003397B1 (pt) 2021-02-23
US9086531B2 (en)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2938B2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そ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フィルム
KR101259235B1 (ko) 플라스틱 편광 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6244398B2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67605B1 (ko) 플라스틱 편광 렌즈 및 그 제조방법
EP2963457B1 (en) Optical material, composition for use therein, and use thereof
EP2963456B1 (en) Optical material and use thereof
EP2463321B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materials
WO2017047684A1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材料の製造方法
KR20110091005A (ko) 광학 재료용 중합성 조성물, 광학 재료 및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
EP3521907A1 (en) Photochromic lens and polymerizable composition
JP6126900B2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6095468B2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6942884B2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19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07

Effective date: 201610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