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182A -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182A
KR20130054182A KR1020120128528A KR20120128528A KR20130054182A KR 20130054182 A KR20130054182 A KR 20130054182A KR 1020120128528 A KR1020120128528 A KR 1020120128528A KR 20120128528 A KR20120128528 A KR 20120128528A KR 20130054182 A KR20130054182 A KR 2013005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hielding
shielding layer
barium
radiation
tungs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이치 오사무라
토시로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10Organic substances; Dispersions in organic carriers
    • G21F1/103Dispersions in organic carriers
    • G21F1/106Dispersions in organic carriers metallic dispers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12Laminated shielding materials
    • G21F1/125Laminated shielding materials comprising me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방사능으로부터 간편하게 신체 또는 물품을 방호할 수 있고, 또, 일상 생활에서의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방사능 방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능 방호 시트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방사선 차폐 입자를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가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또는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한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을 복수 가지는 적층체이면 된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a)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과,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면 된다.

Description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RADIOACTIVITY PROTEC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DIOACTIVITY PROTECTIVE SHEET}
본 발명은 방사능 방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물질에 의한 인체에 대한 악영향을 고려한 옷으로서는 A. 방사성 더스트 등의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피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사능 방호복과, B. 방사성 물질이 방사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방사선 방호복이 존재한다.
상기 방사능 방호복(상기 A)에 있어서는, 방사성 더스트가 공중에 부유하거나 하고 있어도, 이 방사성 더스트가 인체에 피착되지 않고 옷에 피착되며, 그 후 옷에 피착된 방사성 더스트 등을 씻어버림으로써, 이 방사성 더스트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사능 방호복은 방사선 자체를 차폐하는 것이 아니라, 이 방사능 방호복을 착용하고 있어도 착용자가 방사선에 쏘여 피폭되어 버린다.
한편, 상기 방사선 방호복(상기 B)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 내에서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의 피폭을 막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 방사선 방호복으로서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해서 납을 함유하는 층을 설치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납은 건강 피해 등이 우려되어, 내용기간이 지난 방사선 방호복을 폐기할 때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방사선 방호복(상기 B)으로서는, 폴리우레탄 등의 폴리머에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혼합한 폴리머층을 가지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38136호). 이 공보에는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서 납 이외에 황산바륨이나 텅스텐 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 기재된 방사선 방호복은 높은 방사선 차폐 효과를 갖게하도록 작성되어 있으므로,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다량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매우 무겁고, 또한 고액이 된다.
오늘날 원자력 발전소 등의 특별한 장소 이외, 즉 일상 생활의 장소에 있어서도, 방사선에 의한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것을 고려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방사능 방호복(상기 A)을 착용하고 있어도 방사선에 의해 방사선 피폭되어 버린다. 또, 방사선 방호복(상기 B)은 매우 무겁고 또한 고액이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착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38136호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방사선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차폐할 수 있고, 일상 생활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사능 방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발명은,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방사선 차폐 입자
를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가,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또는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
인 방사능 방호 시트이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방사선 차폐 입자를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 방사선 차폐층에 의해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다. 특히,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방사선 차폐층의 바인더가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므로, 방사선 차폐 입자 뿐만아니라 바인더에 의해서도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방사능 방호복을 작성한 경우, 종래의 방사능 방호복에 비해 방사선을 정확하게 차폐할 수 있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함유함으로써, 내후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옥외에서의 장기 사용이 상정되는 물품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은 색안정성이 우수하고, 실온에서 고무상 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사능 방호복 등의 복식품으로 가공하기 쉽고, 또, 이 복식품을 착용한 경우의 착용감도 양호하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또는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내용기간이 지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를 폐기할 때에는, 처분 방법이나 환경 오염 방지 조치 등이 번거롭지 않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방사선 차폐 입자가 황산바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황산바륨을 채용함으로써, 입수가 비교적 용이한 방사선 차폐 입자에 의해 정확하게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복수의 상기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도공기의 도공량에 제한이 있어 목적으로 하는 막두께가 한번의 도공으로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복수의 상기 방사선 차폐층을 적층함으로써 원하는 막두께를 달성할 수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으로서,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과,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유지하면서 외면의 색조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은 주로 흑색을 띠고,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은 주로 백색 또는 무색을 띠기 때문에, 외면의 색조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를 오염이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 바람직한 물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면에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배열설치하고, 반대로 밝은 색조가 바람직한 물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면에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배열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외면에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배열설치하고,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 이외에 적색이나 청색의 색소를 첨가하거나, 상기 제2 방사선 차폐층의 외면측에 그림을 인쇄하거나 하여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의장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외관의 차이를 둠으로써 각각의 방사능 방호 시트를 구별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색에 의해,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함유량이나,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크기(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의해 형성된 피복의 크기) 등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으로서,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의 비가 0.01 이상 0.1 이하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평균 입자 직경이 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에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이 들어가,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밀도를 높일 수 있고,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율이 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에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당해 방사선 차폐층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비율이 30질량% 이상 8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사선으로부터 착용자 등을 효과적으로 방호할 수 있을 정도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부여할 수 있고, 또 제조를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당해 방사선 차폐층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면적 밀도가 0.1g/cm2 이상 1g/c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도, 방사선으로부터 착용자 등을 효과적으로 방호할 수 있을 정도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적합하게 부여할 수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기재층을 추가로 구비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최외층에 방오층을 추가로 구비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외면에 방사성 물질 등의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 등을 방사능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방호함과 아울러,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방사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 부착된 방사성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방오층이 주성분이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이면 된다. 올레핀계 수지층은 표면장력이 높고, 우수한 방오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또 하나의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바인더에,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또는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시키고,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조제하는 재료 조제 공정과,
상기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시트체에 형성하는 시트 형성 공정
을 가지는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를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일상 생활에서의 방사능 및 방사선으로부터 간편하게 착용자 등을 방호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능」은 불안정한 원자핵이 안정적인 원자핵으로 변할 때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 「방사선」은 상기 방사능(방사성 물질)으로부터 방출되는 X선, γ선 등의 전자파, 및 α선, β선, 중성자선 등의 입자선을 의미한다. 또, 「평균 입자 직경」은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며, 동적 광산란 측정법에 의해 23℃에서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장치로서 서브미크론 입자 직경 애널라이저(노자키산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NICOMPMODEL370」)를 사용하고, 측정 시료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방사선 차폐 입자가 0.1~2.0질량%가 되도록 분산시킨 방사선 차폐 입자 분산체를 사용했다. 또한, 「평면 밀도」는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평면 방향의 단위면적(1cm2)당 방사선 차폐 입자가 존재하는 비율(질량)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사선을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차폐할 수 있고, 또, 일상의 생활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사능 방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사능 방호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방사능 방호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방사능 방호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방사능 방호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방사능 방호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방사능 방호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의 방사능 방호 시트와는 상이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능 방호 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방사능 방호 시트(1)>
도 1의 방사능 방호 시트(1)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방사선 차폐 입자를 함유하는 시트 형상의 가요성을 가지는 방사선 차폐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는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은 결정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에 염소를 도입함으로써 결정성을 저해하고, 고무 탄성을 부여한 것이다.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은 주쇄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또, 할로겐인 염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방사선 차폐 효과도 기대된다. 상기 방사능 방호 시트(1)는 이러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바인더로서 함유함으로써 고무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피복하고자 하는 것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공하기 쉽고, 예를 들면 코트, 모자, 장갑 등의 장식 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방사능 방호 시트(1)는 상기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가짐으로써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옥외에 있어서의 장기 사용이나, 옥외에서의 작업에 사용하는 물품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제에 용해한 폴리에틸렌에 염소와 아황산 가스를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시켜, 염소화 및 클로로술폰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원료가 되는 상기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는 기계 강도가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이 얻어지고, 또 상기 폴리에틸렌에 장쇄 분기를 포함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는 용제에 용해하면 용액 점도가 낮고 도공성이 우수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이 얻어진다. 또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으로서는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TOSO-CSM」 품번 「TS-32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중, 텅스텐 화합물은 텅스텐이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화물(WC, W2C 등), 산화물(WO, WO2 등), 질화물, 붕화물, 또는 텅스텐 합금 등 다른 금속과의 복합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로서는 입수가 용이하며 비교적 저렴한 텅스텐 및 그 탄화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텅스텐으로서는 니혼텅스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고순도 W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은 미세한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으로서는 10μm가 바람직하고, 7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5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으로서는 0.5μm가 바람직하고, 1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2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로부터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이 탈락할 우려가 있고, 한편,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을 방사선 차폐층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 중, 바륨 화합물은 입수의 용이성 등으로부터 황산바륨이 특히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그 밖에 바륨이 포함되어 있는 화합물이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염화바륨, 수산화바륨, 티탄산바륨 등을 채용 가능하다.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은 미세한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으로서는 2.3μm가 바람직하고, 1.8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1.5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으로서는 0.3μm가 바람직하고, 0.8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1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이 긴밀하게 메울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한편,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제조시에 있어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취급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은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의 비로서는 0.01 이상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이상 0.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4 이상 0.0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입자가 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에, 입자가 작은 (b)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사선 차폐층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밀도를 높일 수 있고,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율의 상한으로서는 50질량%가 바람직하고, 4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34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율의 하한으로서는 5질량%가 바람직하고,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율이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율이 과잉이 되어,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더하는 효과가 약해질 우려가 있고, 또 양자를 함유시킨 도공액이 석화 상태가 되기 쉬워 도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으며, 또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가요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한편,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율이 적어지고,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로 충분히 메울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는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 이외에도 방사선 차폐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원자번호가 30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물질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연, 이트륨, 스트론튬, 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브, 몰리브덴, 탄탈, 주석, 납, 비스무트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주석, 몰리브덴, 니오브, 탄탈, 지르코늄 및 이들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비율의 상한으로서는 85질량%가 바람직하고, 8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7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비율의 하한으로서는 30질량%가 바람직하고, 3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4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비율이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바인더가 되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어짐으로써, 상기 방사선 차폐층(2)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 방사선 차폐 입자를 함유시킨 도공액을 도공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가요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방사선 차폐층(2)의 방사선 차폐 효과가 저하되어 방사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신체 등을 방호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평면 밀도의 상한으로서는 1g/cm2가 바람직하고, 0.8g/cm2가 보다 바람직하며, 0.6g/cm2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평면 밀도의 하한으로서는 0.1g/cm2가 바람직하고, 0.3g/cm2가 보다 바람직하며, 0.4g/cm2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밀도가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가 지나치게 무거워질 우려가 있고, 한편, 상기 방사선 차폐층(2)에 있어서의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의 밀도가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상기 방사선 차폐층(2)의 방사선 차폐 효과가 저하되어 방사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신체 등을 방호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2)의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5mm가 바람직하고, 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0.2mm가 바람직하고, 0.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2)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가 지나치게 두꺼워서, 피복하고자 하는 것의 형상을 따라 변형, 가공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한편, 상기 방사선 차폐층(2)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충분한 방사선 방호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는 최외층에 방오층(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가 최외층에 방오층(3)을 구비함으로써,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외면에 방사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 등을 방사능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방호함과 아울러,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방사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 부착된 방사성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방오층으로서는 주성분이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이 적합하게 채용 가능하다. 올레핀계 수지층은 표면장력이 높고, 우수한 방오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오층(3)으로서는 예를 들면, 광촉매 물질을 함유하는 피막, 친수성 표면 처리 가공을 시행한 피막 또는 대전 방지 처리를 시행한 피막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을 함유하는 피막은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외면에 부착된 곰팡이나 세균 등의 오염물을 외부로부터의 자외선에 의해 분해하여,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외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외면에 방사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TiO2, ZnO, SrTiO, CdS, GaP, InP, GaAs, BaTiO3, K2NbO3, Fe2O3, Ta2O5, WO3, SnO2, Bi2O3, NiO, Cu2O, SiC, SiO2, MoS2, InPb, RuO2, CeO2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산화티탄(TiO2), 과산화티탄(퍼옥소티탄산),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티탄산스트론튬(SrTiO3), 산화텅스텐(WO3), 산화비스무트(Bi2O3), 산화철(Fe2O3)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성 물질의 입경으로서는 작은 편이 광촉매 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평균 입자 직경으로서 5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 물질을 함유하는 피막에 있어서의 광촉매성 물질의 배합량으로서는 높은 광촉매 활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많을수록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성 물질의 배합량이 10질량% 미만이면 광촉매 활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고, 한편, 광촉매성 물질의 배합량이 70질량%를 넘으면 광촉매 활성은 높아지지만, 인접하는 방사선 차폐층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나, 방오층의 표면 마모 강도가 불충분하게 되어, 옥외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광촉매성 물질은 무기계 다공질 미립자에 담지시키고 나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방오층 중에 상기 광촉매성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무기계 다공질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합성)제올라이트, 티탄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 인산칼슘, 인산아연칼슘, 하이드로탈사이트, 히드록시에퍼타이트, 실리카알루미나, 규산칼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조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다공질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01μm 이상 1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μm 이상 5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광촉매성 물질을 무기계 다공질 미립자에 담지시키기 위해서는 광촉매성 물질을 함유하는 금속 알코올라트에 의한 졸-겔 박막 제조 공정을 응용한 표면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 물질을 함유하는 피막의 두께로서는 0.1μm 이상 1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0.1μm보다 적으면 방오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한편, 10μm를 넘으면 방오층의 굴곡성이 저하되어, 균열이 생기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친수성 표면 처리 가공을 시행한 피막은 방오층의 외면이 친수성이 되기 때문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표면에 물방울이 부착된 경우에, 이 물방울의 표면장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방울은 수막이 되어 퍼져 흘러내리기 때문에, 방사성 물질 등의 오염물이 부착되어도 강우 등에 의해 씻겨나가,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외면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표면 처리 가공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실리카나 인산티타니아계 화합물 등의 친수성 재료를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 처리를 시행한 피막은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외면에 정전기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방오층의 외면에 정전기에 의해 공기 중의 분진이나 먼지를 끌어당기기 어려워져,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외면에 방사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대전 방지 처리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안티몬-산화아연 복합물, 산화안티몬-산화주석 복합물(AT0), 산화인듐-산화주석 복합물(IT0)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한 도료를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최외면에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는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료, 안료, 무기 보강제, 가소제, 가공조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활제, 왁스, 결정핵제, 가소제, 이형제, 가수분해 방지제, 안티블로킹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방미제, 방청제, 이온트랩제, 난연제, 난연조제, 무기 충전재, 유기 충전재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통기량의 상한으로서는 예를 들면 60L/m2/초가 바람직하고, 50L/m2/초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기량의 하한으로서는 20L/m2/초가 바람직하고, 30L/m2/초가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통기량이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통기성이 지나치게 높아, 미세한 방사성 더스트 등이 통과함으로써 착용자가 피폭할 우려가 있고, 한편,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통기량이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충분한 통기성이 얻어지지 않아, 착용자가 발하는 열이나 증기를 외부로 충분히 발산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투습도로서는 예를 들면 100g/m2/24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g/m2/24hr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g/m2/24hr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비투습성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투습도가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방사성의 수분이 투과함으로써, 충분한 방사선 차폐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착용자 등이 피폭할 우려가 있다. 또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투습도의 하한값으로서는 1g/m2/24hr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이 투습도는 JIS ZO208컵법에 준거하여 온도 40℃, 상대습도 90%에서 측정한 측정값이다.
<방사능 방호복>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재단, 봉제됨으로써 방사능 방호복의 원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사능 방호복은 방사성 물질이 착용자 등에게 피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능으로부터 착용자를 효과적으로 방호할 수 있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를 사용하여 작성한 방사능 방호복은 방사선 차폐층(2)을 구비하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의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고, 착용자를 피폭으로부터 간단하게 방호할 수 있다.
<이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방사선 차폐 입자를 함유하는 방사선 차폐층(2)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 방사선 차폐층(2)에 의해 착용자 등을 일상 생활에서의 방사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호할 수 있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기 때문에, 내후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옥외에서의 장기 사용이 상정되는 물품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은 색안정성이 우수하고, 실온에서 고무상 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코트, 모자, 장갑 등의 복식품에 가공하기 쉽고, 착용한 경우의 착용감도 양호하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는 최외층에 방오층을 구비함으로써,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방오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착용자 등을 방사능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방호함과 아울러,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에 부착된 방사성 물질이 의도치 않게 다른 장소로 옮겨져 버리는 등의 2차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제조 방법>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의 제조 방법은 바인더로서의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에 방사선 차폐 입자를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시킨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조제하는 재료 조제 공정과, 상기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시트체로 성형하는 시트 성형 공정과, 상기 시트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시트체의 일방의 면에 방오층을 형성하는 방오층 형성 공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재료 조제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와 용매를 교반기 내에 투입하여 교반하고,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조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 유기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고,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분산시킨 라텍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시트 성형 공정으로서는 상기 재료 조제 공정에서 얻어진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연속적으로 흘려지는 공정지 위에 도공하여 시트체를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공정지에 도공하는 수단으로서는 주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슬릿코트법, 롤코트법, 블레이드코트법, 에어나이프코트법, 플로우코트법, 그라비어코트법, 스프레이법 또는 바코트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면, 용액 캐스트법(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T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 공지의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그 밖에는 예를 들면 상기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충전기로부터 공정지 위에 적하하고, 이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가 적하된 공정지를 진동시켜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균일한 시트 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의 점도가 높아도 도공 가능하며, 도공 폭의 변경이 용이한 롤코트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시트 성형 공정은 도공된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건조하는 공정을 가지고, 이 건조 공정은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등 공지의 건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오층 형성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계 다공질 미립자에 담지시킨 광촉매성 물질을 적당한 바인더에 함유, 분산시켜, 상기 시트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시트체의 일방의 면에 도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에 분산시킨 상기 광촉매 물질을 시트체에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시트 성형 공정에서 사용한 도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방사능 방호 시트(11)>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방사능 방호 시트(11)에 대해서, 도 2를 참작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2의 방사능 방호 시트(11)는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12)과,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과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12)과 상기 방사선 차폐층(13)이 적층된 적층체이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는 이 적층체로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12)의 평균 두께의 상한으로서는 1mm가 바람직하고, 700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50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사선 차폐층(12)의 평균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0μm가 바람직하고, 100μm가 보다 바람직하며, 300μ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12)의 평균 두께가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가 무겁고 두꺼워져, 취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방사선 차폐층(12)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 균일한 방사선 차폐층(12)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방사선 차폐층(13)의 평균 두께에 관해서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12)의 평균 두께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방사선 차폐층(12)에 함유되는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및 상기 방사선 차폐층(13)에 함유되는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종류, 평균 입자 직경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과 각각 동일하다. 또, 방사선 차폐층(12) 및 방사선 차폐층(13)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비율 및 평면 밀도(단위면적에 있어서의 양 층(12, 13)에 포함되는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합계)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방사선 차폐층(2)과 동일하다.
<이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12)과 상기 방사선 차폐층(13)이 적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사능 방호 시트(1)와 마찬가지로, 방사선으로부터 착용자 등을 방호할 수 있다. 또,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은 주로 흑색을 띠고,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은 주로 백색 또는 무색을 띠기 때문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는 일방의 면과 타방의 면에서 색상이 상이하여,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의 외면의 색조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를 오염이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 바람직한 물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면에 방사선 차폐층(12)을 배열설치하고, 반대로 밝은 색조가 바람직한 물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면에 상기 방사선 차폐층(13)을 배열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의 외면에 상기 방사선 차폐층(13)을 배열설치한 다음, 상기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이외에 적색이나 청색의 안료를 첨가하거나, 방사선 차폐층의 외면측에 그림을 인쇄하거나 하여,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에 의장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외관의 차이를 둠으로써 각각의 방사능 방호 시트를 구별시킬 수 있다. 즉, 외면의 색에 의해,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함유량이나,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의 크기(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에 의해 형성한 피복의 크기) 등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사능 방호 시트(11)의 제조 방법>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방사선 차폐층(12)의 재료가 되는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와 방사선 차폐층(13)의 재료가 되는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각각 조제하는 재료 조제 공정과, 이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시트체로 형성하는 시트 형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 형성 공정은 상기 재료 조제 공정에서 얻어진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 중 일방을 사용하여 방사선 차폐층(12)을 성형하는 공정, 이 방사선 차폐층(12)에 타방의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사선 차폐층(13)을 적층하는 공정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재료 조제 공정 및 시트를 성형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재료 조제 공정 및 시트 성형 공정과 대략 동일한 방법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형성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정지 위에 우선 방사선 차폐층(12)을 형성하고, 이 방사선 차폐층(12)의 표면에 방사선 차폐층(13)의 재료가 되는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여 방사선 차폐층(13)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공정지 위에 방사선 차폐층(13)을 형성하고, 이 방사선 차폐층(13)의 표면에 방사선 차폐층(12)의 재료가 되는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여 방사선 차폐층(12)을 적층해도 된다. 또,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상기 방사선 차폐층(12)과 방사선 차폐층(13)을 따로따로 형성하고, 그 후, 이들을 열접착하는 방법이나, 접착제를 통하여 이들을 적층 접착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방사능 방호 시트(21)>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인 방사능 방호 시트(21)에 대해서, 도 3을 참작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의 방사능 방호 시트(21)는 방사선 차폐층이 적층되는 기재층(22)을 가지고, 구체적으로는 기재층(22), 방사선 차폐층(13) 및 방사선 차폐층(1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사선 차폐층(12) 및 기재층(22)이 각각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최외층이 되도록, 방사선 차폐층(13)을 끼워넣도록 적층되어 있다.
상기 기재층(22)은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일방의 면에 적층되는 것이며, 직물 또는 편물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재층(22)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레이온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고밀도 폴리에틸렌 섬유, 면, 마 또는 양모,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고밀도 폴리에틸렌 섬유가 바람직하고, 면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들 섬유는 기모 처리가 시행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기재층(2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mm 이하로 할 수 있고, 0.1mm 이상 1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5mm 이하이다. 상기 기재층(22)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생기고, 한편, 상기 기재층(22)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가 무겁고 두꺼워져, 취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22)의 두께는 상품명 「다이얼시크니스게이지 DS-1211(니가타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여, 반경 2cm 원 내의 임의의 5개소에 있어서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이다.
또한,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물층(a)(12) 및 방사선 차폐물층(b)(13)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물층(a)(12) 및 방사선 차폐물층(b)(13)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11)의 일방의 면에 기재층(22)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를 예를 들면 방사능 방호복 등의 복식품의 재료로서 사용하여 경우, 착용자에게 접촉하는 쪽의 면에 상기 기재층(22)을 배열설치함으로써 촉감이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제조 방법>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방사선 차폐층(12)의 재료가 되는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와 방사선 차폐층(13)의 재료가 되는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각각 조제하는 재료 조제 공정과, 이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시트체로 형성하는 시트 형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 형성 공정으로서는 상기 재료 조제 공정에서 얻어진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 중 일방을 사용하여 방사선 차폐층(13)을 기재층(22)에 적층하는 공정, 이 방사선 차폐층(12)에 타방의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사선 차폐층(13)을 적층하는 공정을 가지는 방법을 채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재료 조제 공정은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재료 조제 공정과 대략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방사선 차폐층(13)에 방사선 차폐층(12)을 적층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22)에 방사선 차폐층(13)을 적층하는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방사선 차폐층(13)을 시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방사선 차폐층(13)을 기재층(22)에 적층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소위 전사에 의해 기재층(22)에 방사선 차폐층(13)을 적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공정지 위에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고, 이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의 반경화 상태에서 기재층(22)을 중첩시키고, 그 후 공정지를 박리함으로써 기재층(22)에 방사선 차폐층(13)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이 적층 공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성된 기재층(22), 방사선 차폐층(12) 및 방사선 차폐층(13)을 열접착하는 방법이나, 접착제를 통하여 이들을 적층 접착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재층(22)이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가 배어들기 어려운 것인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공정지를 사용하지 않고, 기재층(22)에 직접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태양 외에 각종 변경, 개량을 시행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사능 방호 시트(11)는 방사선 차폐층(12) 및 방사선 차폐층(13)을 각각 1층씩 적층하고 있지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선 차폐층(13)을 끼워넣도록 방사선 차폐층(12)이 방사선 차폐층(13)의 양면에 적층된 3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방사능 방호 시트(31)),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선 차폐층(12) 및 방사선 차폐층(13)이 교대로 적층되고, 각각 2층씩 구비하는 4층 구조여도 된다(방사능 방호 시트(41)). 또,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5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가지는 방사선 차폐층(2)을 끼워넣도록, 방사선 차폐층(12)이 이 방사선 차폐층(2)의 양면에 적층된 3층 구조여도 된다.
또, 상기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사능 방호 시트(21)는 기재층(22)이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21)의 최외면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지만, 이 기재층(2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선 차폐층(12) 및 방사선 차폐층(13)에 끼워넣어지도록 적층되고,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61)의 내부에 배열설치되어 있어도 되고(방사능 방호 시트(61)),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선 차폐층(12), 방사선 차폐층(13), 기재층(22), 방사선 차폐층(13) 및 방사선 차폐층(1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방사능 방호 시트(71)).
또, 상기 기재층(22)은 직물 또는 편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기재층(22)은 다른 소재, 예를 들면, 고무 시트, 합성 수지 시트,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층(22)은 상기 제3 실시형태와 같이 적층되는 것 이외에 방사선 방지층의 중간부에 메워넣어져 있어도 된다.
당해 방사능 방호 시트는 상기 방사능 방호복 이외에도 예를 들면 레인코트, 모자, 장갑, 부츠, 앞치마 등의 복식품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우산, 텐트, 방한 또는 방수 시트 등의 아웃도어 용품의 시트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1]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텅스텐을 사용하고, 이 방사선 차폐 입자를 바인더로서의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에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시킨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조제했다. 또한, 용매는 톨루엔을 사용하고, 방사선 차폐 입자 및 바인더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4질량% 첨가했다.
상기 조제에 관하여 바인더와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합계 질량에 대한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함유량(방사선 차폐층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함유량)을 변경하여 실험을 했다. 그 실험 결과, 상기 함유량이 85질량% 이내이면 적합하게 도공 가능한 도공액이 얻어지는 것이 밝혀졌다.
[실험예 2]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텅스텐과 황산바륨을 사용하고, 이 방사선 차폐 입자를 바인더로서의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에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시킨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조제했다. 또한, 용매는 톨루엔을 사용하고, 방사선 차폐 입자 및 바인더의 합계 질량에 대하여 4질량% 첨가했다. 상기 조제시에 바인더와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합계 질량에 대한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함유량(방사선 차폐층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함유량)은 80질량%로 했다.
상기 조제에 관하여 텅스텐과 황산바륨과의 비(텅스텐에 대한 황산바륨의 비)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실험을 했다. 그 실험 결과, 텅스텐에 대한 황산바륨의 비가 60질량%를 넘은 경우(표 1 위로부터 2단), 석화 상태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34질량% 이하인 경우(표 1 위로부터 4단 이후), 석화 상태가 일어나지 않아 보다 양호한 것이 밝혀졌다
Figure pat0000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사능 방호 시트는 방사선을 정확하고 또한 간단하게 차폐할 수 있고, 또, 일상 생활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1…방사능 방호 시트 2…방사선 차폐층
3…방오층 11…방사능 방호 시트
12…제1 방사선 차폐층 13…제2 방사선 차폐층
21…방사능 방호 시트 22…기재층
31…방사능 방호 시트 41…방사능 방호 시트
51…방사능 방호 시트 61…방사능 방호 시트
71…방사능 방호 시트

Claims (12)

  1. 주성분으로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바인더와,
    이 바인더에 분산되는 방사선 차폐 입자
    를 가지는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가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또는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 입자가 황산바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층으로서,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과,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차폐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층으로서 (a)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방사선 차폐층을 구비하고,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평균 입자 직경의 비가 0.01 이상 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에 대한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의 비가 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층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함유량이 30질량% 이상 8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차폐층에 있어서의 방사선 차폐 입자의 면적 밀도가 0.1g/cm2 이상 1g/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층에 방오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오층이 주성분이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
  12. 주성분으로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바인더에, 방사선 차폐 입자로서 (a) 텅스텐 혹은 텅스텐 화합물 및/또는 (b) 바륨 혹은 바륨 화합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시키고,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조제하는 재료 조제 공정과,
    상기 방사선 차폐층 형성 재료를 시트체에 형성하는 시트 형성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20128528A 2011-11-14 2012-11-14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30054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8890 2011-11-14
JP2011248890A JP6058883B2 (ja) 2011-11-14 2011-11-14 放射能防護シート及び放射能防護シート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096A Division KR20140029502A (ko) 2011-11-14 2014-01-24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182A true KR20130054182A (ko) 2013-05-24

Family

ID=4831472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528A KR20130054182A (ko) 2011-11-14 2012-11-14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40009096A KR20140029502A (ko) 2011-11-14 2014-01-24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50142656A KR20150122105A (ko) 2011-11-14 2015-10-13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096A KR20140029502A (ko) 2011-11-14 2014-01-24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50142656A KR20150122105A (ko) 2011-11-14 2015-10-13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58883B2 (ko)
KR (3) KR20130054182A (ko)
CN (1) CN103106937B (ko)
TW (2) TWI55063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08A (ko)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빅스 방사선 차폐시트용 친환경 고고형분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5693A (ko) * 2021-11-23 2023-05-3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의료용 방사선 차폐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2002B (zh) * 2014-01-26 2016-01-13 南通通洋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空间站的抗辐射屏蔽板
JP6391149B2 (ja) * 2014-05-28 2018-09-19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放射線遮蔽複合膜
JP2016011913A (ja) * 2014-06-30 2016-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低エネルギーx線用防護材
KR101661115B1 (ko) * 2015-04-06 2016-09-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방사선 차폐원단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방사선 폐기물용 컨테이너백
JP6472705B2 (ja) * 2015-04-27 2019-02-20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放射線遮蔽体及び放射線遮蔽方法並びに原子炉圧力容器ヘッドの搬出方法
JP2017003576A (ja) * 2015-06-11 2017-01-05 吉玉精鍍株式会社 X線防護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x線防護服とその製造方法、x線遮蔽道具
PL3360141T3 (pl) * 2015-10-09 2022-11-21 Hazprotect Pty Ltd Pojemnik hermetyzujący odpady radioaktywne i/lub niebezpieczne
JP2017223601A (ja) * 2016-06-17 2017-12-21 平岡織染株式会社 放射線遮蔽シート
CN106297928B (zh) * 2016-08-28 2018-02-02 赵寿涛 一种医用防辐射材料
KR101967664B1 (ko) 2017-02-21 2019-04-11 주식회사 더굳인터내셔널 의료영상 촬영용 보호구
KR20180096254A (ko)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더굳인터내셔널 의료영상 촬영용 보호구
CN106816195B (zh) * 2017-02-27 2019-03-12 东北大学 γ射线屏蔽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49210A (ko) 2017-11-01 2019-05-09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경량 방사선 이중차폐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20825A (zh) * 2017-12-21 2018-07-24 中核四0四有限公司 一种用于强放射性环境下安装检修的屏蔽装置
KR102014527B1 (ko) * 2018-01-29 2019-08-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비연계 금속 복합재료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고에너지 방사선 차폐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14303A (zh) * 2018-07-12 2018-10-02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安全检查设备的屏蔽结构及安全检查通道
TR201814099A2 (tr) * 2018-09-27 2018-11-21 Elopar Elektrik Ve Otomotiv Parcala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Bi̇r radyasyon kalkani
CN109461511B (zh) * 2018-10-24 2020-03-20 上海都浩医用新材料有限公司 一种x射线防护布料及x射线防护服
KR102325605B1 (ko) * 2019-01-16 2021-11-12 주식회사 디알뷰 무연 방사선 차폐 시트 제조방법 및 무연 방사선 차폐 시트
KR102091344B1 (ko) 2019-01-21 2020-03-19 류길수 방사선 차폐용 다층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점접착성 특수지
KR20190026721A (ko) 2019-03-06 2019-03-13 주식회사 더굳인터내셔널 의료영상 촬영용 보호구
KR20210027724A (ko)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더굳인터내셔널 선량차폐섬유를 이용한 의료용 차폐포
KR20210105265A (ko) * 2020-02-18 2021-08-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텅스텐 기반의 방사선 차폐 페이퍼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41300A1 (ja) * 2020-05-27 2021-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リウム化合物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7447B1 (ko) * 2020-09-03 2022-09-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텅스텐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격자구조 섬유를 복층으로 압착하여 만든 방사선 차폐패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798A (en) * 1976-08-23 1978-03-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Shielding material for radioactive ray
JPS60179696A (ja) * 1984-02-27 1985-09-13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放射線遮蔽材
JPS61133898A (ja) * 1984-12-03 1986-06-21 東リ株式会社 放射線遮蔽材
GB8827531D0 (en) * 1988-11-25 1988-12-29 Du Pont Canada Highly filled compositions
JPH06249998A (ja) * 1993-02-25 1994-09-09 Mitsubishi Materials Corp 放射線シールド材
US6841791B2 (en) * 1998-12-07 2005-01-11 Meridian Research And Development Multiple hazard protection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JP2001083288A (ja) * 1999-09-14 2001-03-30 Hanshin Gijutsu Kenkyusho:Kk 医療用x線遮蔽材料
JP2003096240A (ja) * 2001-09-27 2003-04-03 Maruyoshi:Kk タングステンを含む塩素含有ゴム組成物
JP2005048129A (ja) * 2003-07-31 2005-02-24 Japan Atom Energy Res Inst 耐放射線架橋高分子組成物および耐放射線高分子製品
DE102004001328A1 (de) * 2003-09-03 2005-04-07 Mavig Gmbh Leichtes Strahlenschutzmaterial für einen großen Energieanwendungsbereich
JP4259994B2 (ja) * 2003-12-02 2009-04-30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重合金シートの製造方法
WO2006090629A1 (ja) * 2005-02-23 2006-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放射線遮蔽シート
CN101042945A (zh) * 2006-07-20 2007-09-26 永州市健民射线防护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型防辐射复合板
TW200922990A (en) * 2007-09-28 2009-06-01 Hybrid Plastics Inc Neutron shielding composition
CN101430941A (zh) * 2008-12-22 2009-05-13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柔性复合辐射屏蔽材料
CN101570606B (zh) * 2009-06-15 2011-01-05 北京化工大学 一种全无铅x射线屏蔽橡胶复合材料
CN101572129B (zh) * 2009-06-15 2011-08-31 北京化工大学 一种全无铅x射线屏蔽塑料复合材料
FR2948672B1 (fr) * 2009-07-31 2011-09-23 Areva Nc Materiau elastomere radio-attenuateur, gant multicouche de protection contre les rayonnements ionisants et leurs utilisations
DE102010028576B4 (de) * 2010-05-05 2012-05-31 Röhr + Stolberg Gmbh Strahlenschutzformkörper und dessen Verwendung
CN102157214B (zh) * 2010-12-02 2016-01-06 卜庆革 稀土屏蔽复合层镀银布料,其制备方法及其制备的服装
CN102218882A (zh) * 2011-03-28 2011-10-19 扬州锦江有色金属有限公司 核辐射屏蔽铅衣用面料及其生产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08A (ko)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빅스 방사선 차폐시트용 친환경 고고형분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5693A (ko) * 2021-11-23 2023-05-3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의료용 방사선 차폐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8883B2 (ja) 2017-01-11
CN103106937A (zh) 2013-05-15
CN103106937B (zh) 2015-11-18
TW201515009A (zh) 2015-04-16
KR20150122105A (ko) 2015-10-30
TWI483268B (zh) 2015-05-01
TWI550636B (zh) 2016-09-21
TW201330003A (zh) 2013-07-16
JP2013104785A (ja) 2013-05-30
KR20140029502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502A (ko) 방사능 방호 시트 및 방사능 방호 시트의 제조 방법
EP3644776B1 (en) Flame resistant composite articles and methods
EP1709227B1 (en) Multiple layer nonwoven products and methods for creating color schemes and for producing such products
EP2205110B1 (en) Burn protective materials comprising expandable graphite
EP3375932A1 (en) Burn protective materials
KR102161587B1 (ko) 나노섬유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7131004A (ja) 遮熱性防汚膜材
KR20150124452A (ko) 적층시트
KR102157524B1 (ko) 대전방지성 및 바이러스 차단성이 우수한 합지필름
JP4017030B2 (ja) 美観持続性積層膜材
US20060160448A1 (en) Antimicrobial fabric and method for maunfacture of antimicrobial fabric
JP2017036657A (ja) コンクリート養生シート
JP2016145844A (ja) 放射能防護シート及び放射能防護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0138090A2 (en) A protective fabric embodiment for military purposes and a cloth produced by use of this fabric embodiment
JP2018003197A (ja) 水素発生機能付き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392981A1 (en) Arc flash protective materials
Pervez et al. Nanomaterial-based smart and sustainable protective textiles
JP6626276B2 (ja) 抗菌性積層体
Zhou et al. Overview of protective clothing
KR20220062611A (ko) 방사선 차폐재
US11998073B2 (en) Non-woven protective clothing against blood and viruses
US20230041219A1 (en) Non-woven protective clothing against blood and viruses
CN101136260B (zh) 一种放射性核尘埃复合防护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97691B1 (ko)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TWM546408U (zh) 抗光能之紡織品組成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