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838A -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838A
KR20130052838A KR1020110118129A KR20110118129A KR20130052838A KR 20130052838 A KR20130052838 A KR 20130052838A KR 1020110118129 A KR1020110118129 A KR 1020110118129A KR 20110118129 A KR20110118129 A KR 20110118129A KR 20130052838 A KR20130052838 A KR 20130052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
crane
buoy
boom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838A/ko
Publication of KR2013005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6Outer or upper end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2Snubbers or dashpots for preventing backwards swinging of jibs, e.g. in the event of cable or tack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92Movement of the crane arm; Coupling of the crane arm with the counterweights; Safety devices for the movemen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충부재의 측부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의 길이를 최대화하여 크레인 부움의 충돌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하고 완충부재의 하부를 구성하는 받침부를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하여 받침부에 대한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크레인 부움에 대한 하중면적을 최소화한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거치홈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이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 및 측면을 따라 설치된 완충부재로 구성된 크레인 부움 레스트의 완충부재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가이드부는,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 가장자리로부터 부움 레스트의 양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는,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되, 가이드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a crane's boon rest and a buffer member}
본 발명은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 부움의 충돌로 인한 완충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완충부재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건설현장에서 무겁고 큰 부피의 부재를 들어올려 이송하는 기중작업 및 토사의 굴토나 굴삭작업 그밖에 항타작업 등의 특수 기중작업을 하는 중장비이다.
이때, 크레인에는 기중 작업을 위한 부움(boom)이 설치되는데, 상기 부움은 여러 개의 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 단의 부움을 신축시켜 작업반경에 따라 부움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작업반경을 넓혀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크레인은 기중 작업을 위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정격 총하중의 절대량을 차지하는 상기 부움을 크레인의 상부 선회체 상측에 설치된 부움 레스트(rest) 위에 거치시키거나 거치시킨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부움 레스트에 크레인의 부움이 거치대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부움 레스트에 크레인의 부움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b는 부움 레스트에 완충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부움 레스트(10)에는 크레인의 부움(20)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홈(11)이 형성되고, 거치홈(11)의 내측면에는 크레인 부움(20)에 대한 하중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30)가 설치된다.
이때, 완충부재(30)는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경제성을 위하여 우드(wood)로 제공된다.
완충부재(30)는 부움 레스트(10)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되, 부움 레스트(10)의 각 부위에 각각 대응되는 개별체로 제공이 된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는 부움 레스트(10)의 바닥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설치된 받침부(31)와, 이 받침부(31)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각각 설치되어 부움 레스트(10)의 내측면을 차폐하는 가이드부(32)로 이루어진다.
이때, 받침부(31)와 가이드부(32)는 부움 레스트(10)에 볼팅을 통해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움 레스트(10)는 크레인의 기중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때, 크레인의 부움(20)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크레인의 부움(20) 하중으로 인한 크레인 장비 전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크레인 부움(2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부움 레스트(10)에 설치된 완충부재(30)의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크레인의 부움(20)이 부움 레스트(10)의 거치홈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완충부재(30)의 가이드부(32)와 충돌하면서 받침부(31)에 배치되기 때문에, 완충부재(30)의 가이드부(32) 손상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때, 가이드부(32)의 크기가 극대화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32)에 대한 손상 정도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완충부재(30)의 받침부(31)가 부움 레스트(10)의 바닥면을 완전히 차폐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30)의 가이드부(32)는 완충부재(30)의 받침부(31)에 올라선 상태로 설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완충부재(30)의 가이드부(32)는 받침부(31)의 두께 만큼에 상응하는 크기가 줄어든 상태를 제공함으로써, 부움(20)의 충돌에 대응하는 힘을 극대화하기 어려운 것이다.
둘째, 완충부재(30)의 받침부(3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레인 부움(20)의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지는바, 받침부(31)에 손상이 발생하여 받침부(310에 대한 교체 역시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때, 받침부(31)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받침부(31) 뿐만 아니라, 부움 레스트(10)의 내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부(32)까지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즉, 완충부재(30)의 가이드부(32)가 받침부(31)의 상부에 올라선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움 레스트(10)로부터 받침부(31)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32)의 손상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가이드부(32)도 함께 해체해야했던 것이다.
따라서, 교체 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움 레스트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가이드부를 완충부재의 받침부 상부가 아닌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 가장자리로부터 부움 레스트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대한 크기를 극대화함으로써 크레인 부움의 충돌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하고, 가이드부의 해체작업 없이도 받침부에 대한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의 완충부재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거치홈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이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 및 측면을 따라 설치된 완충부재로 구성된 크레인 부움 레스트의 완충부재 결합구조에 있어서,상기 완충부재의 가이드부는,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 가장자리로부터 부움 레스트의 양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는,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되, 가이드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에는 부움 레스트의 외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이드부는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부움 레스트의 측면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부의 크기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부의 길이가 받침부의 두께만큼 더 증가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크레인 부움의 충돌에 따른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둘째, 받침부는 가이드부와 별개로 제공되어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가이드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제공이 됨으로써, 받침부에 대한 탈부착시 상기 가이드부와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크레인 붐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 인해 잦은 교체가 불가피한 받침부의 교체 작업시, 가이드부와는 별개로 교체 작업이 진행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교체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크레인 부움 레스트에 크레인의 부움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b는 크레인 부움 레스트에 완충부재가 결합된 종래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부움 레스트에 크레인의 부움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b는 크레인 부움 레스트에 완충부재가 결합된 본 발명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움 레스트(100)는 크레인의 부움(200)을 지지하며, 크레인의 기중 작업이 가동되지 않을 때, 상기 크레인 부움(20))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부움 레스트(100)가 크레인의 부움(200)을 거치함에 따라, 크레인 전체에 대한 하중 전달을 완화할 수 있고, 크레인 부움(20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부움 레스트(100)는 크레인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움 레스트의 재질은 금속으로 제공이 된다.
한편, 부움 레스트(100)는 사각 형태의 바닥면(110)과, 이 바닥면(110)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된 측면(120)으로 구성이 된다.
이때, 양 측면(120)은 서로 길이가 다르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크레인의 부움(200)이 거치홈(100a)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가이드부와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때 일측의 가이드부에만 충돌이 발생하도록 하여 자재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크레인의 부움(200)이 충돌되는 부위의 가이드부만 길게 함으로써, 크레인 부움(200)의 충돌에 따른 손상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함인데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부움 레스트(200)의 측면 역시 그 길이를 다르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움 레스트(200)의 양측면 중, 상단부는 각각 외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경사부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경사부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완충부재(300)는 크레인의 부움(200)이 부움 레스트(10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움(200)과 부움 레스트(100) 간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크레인 부움(200)의 하중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완충부재(300)의 재질은 우드(wood)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크레인 부움(200)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완충부재(300)의 교체작업이 자주 발생하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완충부재(300)는 부움 레스트(20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310)와, 부움 레스트(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부(320)와, 부움 레스트(100)의 양측면 상단부에 고정되는 경사부(330)로 구성된다.
가이드부(310)는 부움 레스트(100)의 양 측면(120)을 차폐하여 크레인 부움(200)과 부움 레스트(100) 측면(120) 간에 마찰을 방지하고, 크레인 부움(200)의 충돌에 따른 하중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부(310)는 부움 레스트(100)의 바닥면 가장자리로부터 부움 레스트(100)의 양 측면(120)을 따라 상방으로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부(310)는 부움 레스트(100)의 바닥면으로부터 형성되므로 그의 길이는 최대화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 부움(200)의 충돌에 따른 하중을 견디는 힘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움 레스트(100)의 일측(도면상 우측) 가이드부(310)가 부움 레스트(100)의 타측(도면상 좌측) 가이드부(310)에 비해 길게 형성됨으로써 크레인 부움(200)의 충돌에 따른 하중을 더 견딜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크레인 운전자는 부움 레스트(100)에 크레인 부움(200)을 거치할 때, 부움 레스트(100)의 일측 가이드부(310)를 따라 크레인 부움(200)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크레인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받침부(320)는 크레인 부움(200)을 지지하는 부위이며, 부움 레스트(100)의 바닥면(110)을 차폐시킨다.
즉, 받침부(320)는 크레인 부움(200)과 부움 레스트(100)의 바닥면(110) 간에 접촉을 방지하고 크레인 부움(200)의 하중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한다.
이때, 받침대(3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0) 사이에 개재된다.
이는, 가이드부(310)가 바닥면(110)으로부터 상향 설치된 구조이므로, 상기 받침부(320)는 가이드부(310)의 두께만큼 줄어든 상태로 가이드부(3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부(320)의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크레인 부움(200)에 대한 하중 면적 역시 줄어듦으로 인해 크레인 부움(200)의 하중으로 인한 파손이 줄어들 수 있으며, 교체 작업에 따른 자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받침부(320)는 가이드부(31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제공이 됨으로써, 받침부(320) 교체작업시, 가이드부(310)를 부움 레스트(100)로부터 분리하거나 해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가이드부(310)의 설치 여부에 관계없이, 받침부(320)만 개별적으로 부움 레스트(100)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경사부(330)는 크레인 부움(200)이 거치홈(100a)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부(310) 상단부의 절곡된 부위에 고정이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움 레스트의 완충부재에 크레인의 부움이 거치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크레인의 기중 작업이 완료되면, 크레인 운전자는 크레인 부움(200)을 조작하여 부움 레스트(100)에 거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크레인 부움(200)은 부움 레스트(100)의 가이드부(310)와 간섭없이 받침부(320)에 안착되는 것이 최선이지만, 크레인 운전자가 상기와 같이 조작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크레인 부움(200)을 부움 레스트(100)의 받침부(320)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부(310)와의 충돌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때, 크레인 운전자는 크레인 부움(200)을 가급적 길이가 긴 가이드부(310)에 충돌하면서 받침부(320)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크레인 부움(200)과의 충돌로 인해, 가이드부(310) 및 받침부(320)에는 크레인 부움(200)의 하중이 가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310)의 길이는 최대화된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받침부(320)는 가이드부(31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크레인 부움(200)에 대한 하중면적이 최소화되어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는 가이드부(310)의 길이를 최대화하고 받침부(320)를 가이드부(310) 사이에 배치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 부움(200)의 충돌로 인한 가이드부(310)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크레인 부움(200)에 대한 받침부(310)의 하중 면적이 최소화되어 받침부(320)의 손상이 줄어듦은 물론, 부움 레스트(100)에 대한 받침부(32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부움 레스트 100a : 거치홈
110 : 바닥면 120 : 측면
200 : 크레인 부움 300 : 완충부재
310 : 가이드부 320 : 받침부
330 : 경사부

Claims (2)

  1. 바닥면과, 이 바닥면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거치홈을 형성하는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이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 및 측면을 따라 설치된 완충부재로 구성된 크레인 부움 레스트의 완충부재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가이드부는,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 가장자리로부터 부움 레스트의 양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는, 부움 레스트의 바닥면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되, 가이드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에는 부움 레스트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KR1020110118129A 2011-11-14 2011-11-14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KR20130052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29A KR20130052838A (ko) 2011-11-14 2011-11-14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29A KR20130052838A (ko) 2011-11-14 2011-11-14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38A true KR20130052838A (ko) 2013-05-23

Family

ID=4866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129A KR20130052838A (ko) 2011-11-14 2011-11-14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2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387A (ko) 2018-10-24 2020-05-07 홍길용 패스트푸드 무인 배달시스템
KR20200046388A (ko) 2018-10-24 2020-05-07 홍길용 푸드코트용 음식 무인 배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387A (ko) 2018-10-24 2020-05-07 홍길용 패스트푸드 무인 배달시스템
KR20200046388A (ko) 2018-10-24 2020-05-07 홍길용 푸드코트용 음식 무인 배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292B2 (en) Support frame with damping elements for mounting an elevator cage
KR20120137749A (ko) 거더 인상장치
CN101852410B (zh) 一种抗震侧壁安装支架
KR20130052838A (ko) 크레인의 부움 레스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구조
KR101359645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CN203612880U (zh) 升降装置
KR20150026410A (ko) 최적형상의 레이더 마스트 및 그 레이더 마스트의 보강구조
JP5840928B2 (ja) 門型クレーンおよび門型クレーンの拡幅方法
KR10148879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형 교량 받침장치
CN104842776A (zh) 一种燃油箱吊装钢带
KR101032740B1 (ko) 교량의 교좌장치
CN101806330A (zh) 缓冲器
KR20130050569A (ko) 선박의 크래인 장치
JP6002063B2 (ja) エレベーター
KR20130132031A (ko) 시야 확보가 가능한 지게차 마스트 구조
CN205739977U (zh) 一种有机房曳引机构
CN101875468B (zh) 电梯设备
CN220040208U (zh) 一种支撑平台组件以及光学检测装置
CN204209346U (zh) 双向翻转臂机构
CN211467017U (zh) 具有缓冲保护装置的劈裂机
CN219117938U (zh) 一种水利工程用桥台支座结构
KR10135964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
CN203319474U (zh) 一种升降机
CN220467352U (zh) 一种钢护筒转场用稳定装置
CN220057815U (zh) 一种变刚度防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