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408A -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408A
KR20130051408A KR1020120124287A KR20120124287A KR20130051408A KR 20130051408 A KR20130051408 A KR 20130051408A KR 1020120124287 A KR1020120124287 A KR 1020120124287A KR 20120124287 A KR20120124287 A KR 20120124287A KR 20130051408 A KR20130051408 A KR 2013005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laser
axis
sensing lines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637B1 (ko
Inventor
야우-첸 장
Original Assignee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터치 패널,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터치 전극 구조는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이저 식각선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은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여 형성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제1 축 감지선은 하나의 제1 출력 핀을 적어도 갖는다.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여 상응하는 제1 출력 핀 주위에 제1 레이저 식각선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 내용은 개선된 터치 전극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식각 공정에서 간소화된 제조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전체 생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TOUCH ELECTROD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 내용은 터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터치 전극 구조, 그 제조 방법, 및 그 구조를 적용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들은, 가장 일반적으로, 스마트폰들 및 태블릿 PC들에서 널리 사용된다. 대부분의 스마트 폰들 및 태블릿 PC들은 터치 패널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키보드의 작동과 완전히 다른 작동을 이룬다. 터치 패널들은 대략 저항식 터치 패널들,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들, 음파식 터치 패널들, 광학식 터치 패널들, 및 전자기식 터치 패널들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단축 감지선들 및 이축 감지선들을 갖는다. 단축 감지선들은 X축 또는 Y축 감지 위치 파악(locating)의 기능을 갖는 단일 축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반면 이축 감지선들은 엇갈리게 배치하는 방식(staggered manner)으로 배열된 복수의 X축 감지선들 및 Y축 감지선들을 가지고, X축 감지 선들과 Y축 감지선들의 교차점들은 매트릭스 감지 지점들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축 감지선들은 전도성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다음에 연성 회로는 각각의 감지선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축 감지선들의 출력 핀들에 각각 연결된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 형성된 축 감지선들이 서로에게서 분리되고 출력 핀들도 서로에게서 분리되도록 필요한 패턴에 따라 전도성 필름의 불필요한 부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phtolithographic) 공정이 도입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터치 감지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매우 복잡하다.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중에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노광(exposure), 현상, 식각(etching), 및 세정(cleaning) 단계들은 긴 생산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목적은 개선된 터치 전극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식각 공정에서 간소화된 제조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전체 생산 시간을 줄이는, 터치 패널,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전극 구조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터치 전극 구조는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이저 식각선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은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여 형성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제1 축 감지선은 하나의 제1 출력 핀을 적어도 갖는다. 제1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응하는 제1 출력 핀 주위에 제1 레이저 식각선이 형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축 감지선 및 제1 레이저 식각선은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으로 제1 전도층을 식각하여 형성된다. 상기 터치 전극 구조는 복수의 제2 축 감지선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축 식각선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축 감지선은 하나의 제2 출력 핀을 적어도 가지고, 제2 레이저 식각선은 상응하는 제2 출력 핀 주위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2 축 감지선 및 제2 레이저 식각선은 2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으로 제2 전도층을 식각하여 형성된다. 제1 전도층 및 제2 전도층은 기판의 각각 다른 면들에 위치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약 제1 축 감지선들 및 제2 축 감지선들이 레이저 식각에 의해 기판의 한 면의 동일한 전도층에 형성되면, 각각의 제1 축 감지선은 복수의 제1 전도성 셀들 및 복수의 제1 브리징 와이어들(bridging wires)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도성 셍들은 제1 축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브리징 와이어들은 각각 제1 축을 따라 인접한 제1 전도성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유사하게, 각각의 제2 축 감지선은 또한 복수의 제2 전도성 셀들 및 복수의 제2 브리징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치 구역은 각각 인접한 제1 축 감지선들 사이 및 인접한 제1 축 전도성 셀들 사이로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도성 셀들은 배치 구역에 각각 배치된다. 복수의 제2 브리징 와이어들은 각각 제2 축을 따라 인접한 제2 전도성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 브리징 와이어들 위로 가로지른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전극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여기서 각각의 제1 축 감지선은 하나의 제1 출력 핀을 적어도 갖는다; 또한, 제1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응하는 제1 출력 핀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이저 식각선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은 기판, 복수의 축 감지선들, 및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식각선을 포함한다. 복수의 축 감지선들은 레이저 식각에 의해 기판의 동일한 면의 전도층 또는 기판의 각각 다른 면들의 전도층들에 형성된다. 각각의 축 감지선은 하나의 출력 핀을 적어도 가지고,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응하는 출력 핀 주위에 레이저 식각선이 형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목적은 생산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생산 비용을 줄이는, 레이저 식각 공정을 이용한 터치 패널, 터치 전극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서, 출력 핀들 사이에 단락(short circuit)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레이저로 전도층의 넓은 구역을 제거하는데 드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출력 핀들 사이에 복수의 인접한 레이저 식각선들이 발생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식각의 파장은 적절한 레이저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레이저 식각이 기판의 표면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식각 자국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당업자들이 본 개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실시예들 및 도면들이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나, 도면들은 단지 예시용일 뿐이고 어떤 식으로도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의 단면도;
도 2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도층의 상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구역 A의 부분 확대도;
도 3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도층의 상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구역 B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의 플로챠트;
도 5a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의 입체도;
도 5b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의 다른 입체도;
도 6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전도층을 갖는 터치 패널의 단면도;
도 6b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전도층을 갖는 터치 패널의 상면도; 및
도 6c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전도층을 갖는 터치 패널의 입체도.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은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구조를 실례를 들어 보여준다. 터치 패널(1)은 기판(10), 제1 전도층(12), 제2 전도층(16), 및 보호층(18)을 포함한다. 기판(10)은 높은 광 투과율을 갖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평면 또는 비평면 박판(thin plat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혼합된 유리/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유리 박판 또는 가요성(flexible)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가요성 박판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폴리메틸 메타크릴산(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또는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 COC)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도층(12)이 기판(10)에 의해서 제2 전도층(16)으로부터 절연되도록 제1 전도층(12)은 기판(10)의 제1 표면(10a) 상에 형성되고 제2 전도층(16)은 기판(10)의 제2 표면(10b)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전도층(12) 및 제2 전도층(16)을 식각한 이후에, 각각 패터닝된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터치 패널(1)의 터치 전극 구조를 형성한다.
도 2a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도층의 상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구역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도층(12)에 형성된 패터닝된 구조는 M개의 제1 축 감지선들(12a) 및 제1 축 감지선들(12a)에 상응하는 M개의 제1 출력 핀들(124)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식각 공정은 패터닝된 구조의 제1 외곽(external contour, S1)을 정하고(map out) 그 다음에 필요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블록들(126)을 제거하도록 필요한 전극 패턴에 따라 제1 전도층(12)을 식각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전도층(12)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또는 안티몬으로 도핑된 주석 산화물(antimony-doped tin oxide, ATO)로 구성된 투명 전도층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된 구조가 형성된다. 레이저 식각 공정을 위해,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선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식각 공정은 266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으로 제1 전도층(12)을 식각하는데, 여기서 레이저 빔의 식각 깊이는 제1 전도층(12)이 정확히 그리고 완벽하게 절단되게 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빔이 기판(10) 또는 필름층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터닝된 구조에서 M개의 제1 축 감지선들(12a)은 서로 평행하고 각각의 제1 축 감지선(12a)은 직선 스트립(strip) 형태이거나 복수의 서로 연결된 제1 전도성 셀들(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셀들(120)은 정사각형 형태 또는 마름모꼴(diamond) 형태일 수 있고, 복수의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을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제1 축 감지선(12a)이 체인 형태를 형성하도록 제1 축을 따라 인접한 제1 전도성 셀들(120)이 제1 브리징 와이어(1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도면들에서 제1 출력 핀(124)이 각각의 제1 축 감지선(12a)의 일 말단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 내용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분명히, 제1 출력 핀(124)은 각각의 제1 축 감지선(12a) 양 말단들에 각각 상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식각선(20)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식각 공정을 통해 제1 외곽(S1)의 외면에서 제1 전도층(12)이 더 식각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식각선(20)이 각각의 제1 출력 핀(124)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보장되는데, 이는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이저 식각선들(20)의 개수 및 레이저 식각선들(20) 사이의 간격은 본 개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식각선들(20)이 많아질수록(즉, 레이저 식각 라인들(20)로 구성된 층이 많아질수록), 제1 출력 핀들(124)이 서로에게서 더욱 분리되고 절연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레이저 식각선(20)의 폭은 150㎛보다 작고, 제1 외곽(S1)의 외면에 적어도 7개의 인접한 레이저 식각선들(20)이 있다.
도 3a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도층의 상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구역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제1 전도층(12)에 대한 식각 공정과 유사하게, 레이저 식각 공정에 의해 제2 전도층(16)에 형성된 패터닝된 구조는 P개의 제2 축 감지선들(16a) 및 제2 축 감지선들(16a)에 상응하는 P개의 제2 출력 핀들(164)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P는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또한, 제2 전도층(16)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안티몬으로 도핑된 주석 산화물(ATO)로 구성된 투명 전도층일 수 있다. 실제로, 레이저 식각 공정을 위해,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이 선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식각 공정은 266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으로 제2 전도층(16)을 식각하는데, 여기서 레이저 빔의 식각 깊이는 제2 전도층(16)이 정확히 그리고 완벽하게 절단되게 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빔이 기판(10) 또는 제1 전도층(12)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제2 전도층(16)의 패터닝된 구조에서 P개의 제2 축 감지선들(16a)은 서로 평행하고 각각의 제2 축 감지선(16a)은 직선 스트립 형태이거나 복수의 서로 연결된 제2 전도성 셀들(16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셀들(160)은 정사각형 형태 또는 마름모꼴 형태일 수 있고, 각각의 제2 축 감지선(16a)이 복수의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꼴들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체인 형태가 되도록 제2 축을 따라 인접한 제2 전도성 셀들(160)이 제2 브리징 와이어(16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식각선(22)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된 구조의 제2 외곽(S2)의 외면에서 제2 전도층(16)이 더 식각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레이저 식각선(22)이 각각의 제2 출력 핀(164) 주위에 배치되고 따라서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제1 전도층(12)의 패터닝된 구조는 제2 전도층(16)의 패터닝된 구조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제1 축 감지선들(12a)과 제2 축 감지선들(16a)의 확장 방향들에 차이가 있다. 실제로, 제1 축 감지선들(12a)의 확장 방향은 제2 축 감지선들(16a)의 확장 방향에 수직이어야 하는데, 즉, 제1 축 감지선들(12a)은 X축을 따라 확장할 수 있고 제2 축 감지선들(16a)은 Y축을 따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제1 축 감지선들(12a) 및 제2 축 감지선들(16a)이 둘 다 정사각형들 또는 마름모꼴들을 연결하여 형성된 체인 형태로 설계된다면, 제1 축 감지선들(12a)에서 제1 전도성 셀들(120)은 제2 전도층(16)의 불필요한 블록들(166)에 상응할 수 있고, 제2 축 감지선들(16a)에서 제2 전도층 셀들(160)은 제1 전도층(12)의 불필요한 블록들(126)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M개의 제1 출력 핀들(124)과 P개의 제2 출력 핀들(164)의 돌출 방향들은 또한 각각 다르다. 예를 들어, M개의 제1 출력 핀들(124)은 X축을 따라 제1 축 감지선들(12a)의 일 말단에 배치될 수 있고, P개의 제2 출력 핀들(164)은 Y축을 따라 제2 축 감지선들(16a)의 일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배치된 필름층들을 보호하기 위해 터치 패널(1)의 터칭에 사용되는 표면으로서 제1 전도층(12) 상에 보호층(18)이 더 배치된다. 보호층(18)은 유리, 아크릴산, 또는 사파이어(sapphire)로 구성될 수 있고, 강화, 방현(anti-glare), 항균(anti-bacterium), 등을 통해 공정될 수 있다.
터치 패널(1)의 구조를 더 명확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본 개시 내용의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과 통합하여,도 1,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조들에 따라 하기에서 추가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의 플로챠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 방법은 단계 S30: 기판(10)의 제1 표면(10a) 및 제2 표면(10b) 상에 제1 전도층(12) 및 제2 전도층(16)이 각각 형성되도록 기판(10)의 제1 표면(10a) 및 제2 표면(10b) 상에 먼저 ITO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2: 제1 전도층(12)에서 패터닝된 구조의 제1 외곽(S1)을 정하고 그 다음에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12a)을 형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블록들(126)을 제거하도록 필요한 전극 패턴에 따라 제1 전도층(12)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로, 여기서 각각의 제1 축 감지선(12a)의 적어도 일 말단은 제1 출력 핀(124)을 갖는다.
또한, 단계 S34에서: 각각의 제1 출력 핀(124)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식각선(20)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층(12)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인접한 레이저 식각선들(20)이 형성될 수 있고, 게다가 각각의 제1 출력 핀(124) 주위에 형성되며, 레이저 식각선들(20)은 전체 패터닝된 구조의 제1 외곽(S1)의 외면 쪽으로 더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제1 전도층(12)의 패터닝된 구조가 완료되면, 단계 S36: 제2 전도층(16)에서 패터닝된 구조의 제2 외곽(S2)을 정하고 그 다음에 복수의 제2 축 감지선들(16a)을 형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블록들(166)을 제거하도록 필요한 전극 패턴을 따라 제2 전도층(16)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여기서 각각의 제2 축 감지선(16a)의 적어도 일 말단은 제2 출력 핀(164)을 갖는다. 단계 S38에서: 각각의 제2 출력 핀(164) 주의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식각선(22)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전도층(16)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유사하게,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인접한 레이저 식각선들(22)이 형성될 수 있고, 게다가 각각의 제2 출력 핀(164) 주위에 형성되며, 레이저 식각선들(22)은 전체 패터닝된 구조의 제2 외곽(S2)의 외면 쪽으로 더 확장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전극 구조에서 제1 축 감지선들(12a) 및 제2 축 감지선들(16a)은 각각 구동 신호들을 전송하고 신호들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터치 감지 기능을 달성한다. 터치 패널의 제어 유닛은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고 감지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연성 회로를 통해 제1 축 감지선들(12a) 및 제2 축 감지선들(16a)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설명의 편이를 위해,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에서 언급된 실시예가 이에 의해 설명된다. 도 5a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의 입체도이고 도 5b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의 다른 입체도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6)은 연성 회로 60 및 연성 회로 62를 포함한다. 연성 회로 60은 제1 축을 따라 제1 출력 핀들(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성 회로 62는 제2 축을 따라 제2 출력 핀들(1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효과적으로 분리되고 절연되도록 출력 핀들 주위의 전도층을 제거하기 위해 본 개시 내용에서는 복수의 레이저 식각선들이 사용되었다. 연성 기판 60이 제1 전도층(12)에 적층되어 연결될 때(또는 연성기판 62가 제2 전도층(16)에 적층되어 연결될 때), 연성 회로 60에서의 복수의 핀들은 각각 복수의 제1 출력 핀들(124)에 정확히 상응한다(또는 연성 회로 62에서의 복수의 핀들은 각각 복수의 제2 출력 핀들(164)에 정확히 상응한다). 분명, 본 개시 내용의 터치 패널을 위해 필요한 레이아웃을 따라 확장하여 배치된 금속 트레이스들을 통해 출력 핀들이 연성 회로들에 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 내용은 두 개의 전도층들을 갖는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전도층을 갖는 터치 패널의 단면도, 상면도, 및 입체도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일 전도층을 갖는 구조를 실례를 들어 보여준다. 터치 패널(7)은 형성된 기판(70), 및 기판(70)의 제1 표면(70a) 상에 형성된 전도층(72)과 절연층(74)을 포함한다. 기판(70)의 제1 표면(70a) 상의 전도층(72)을 레이저 식각한 이후에, 복수의 제1 전도성 셀들(720a), 복수의 제1 브리징 와이어들(722a), 복수의 제1 출력 핀들(724a), 복수의 제2 전도성 셀들(720b), 및 복수의 제2 출력 핀들(724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핀들(724a)이 제2 출력 핀들(724b)으로부터 절연되도록 레이저 식각에 의해 복수의 제1 출력 핀들(724a) 및 복수의 제2 출력 핀들(724b) 주위에 복수의 인접한 레이저 식각선들(80)이 더 형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전도성 셀들(720a), 복수의 제1 브리징 와이어들(722a), 및 복수의 제1 출력 핀들(724a)은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72a)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72a)은 직선 스트립 형태이고 서로 평행할 수 있고, 제1 전도성 셀들(720a)은 정사각형 형태 또는 마름모꼴 형태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축 감지선(72a)이 복수의 정사각형들 또는 마름모꼴들을 연결하여 형성된 체인 형태가 되도록 제1 축을 따라 인접한 제1 전도성 셀들(720a)이 제1 브리징 와이어들(722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축 감지선(72a)의 일 말단은 하나의 제1 출력 핀(724a)에 상응하게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제2 전도성 셀들(720b) 및 복수의 제2 출력 핀들(724b)은 또한 복수의 제2 브리징 와이어들(722b)에 의한 연결을 통해 복수의 제2 축 감지선들(72b)을 형성할 수 있다. 설계 시에, 제2 브리징 와이어들(722b)은 금속, ITO, ATO,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층(74)이 제2 브리징 와이어들(72b)으로부터 제1 브리징 와이어들(722a)을 떼어놓을 수 있도록 제1 브리징 와이어들(722a) 상에 절연층(74) 부분이 배치되고 그 다음에 절연층(74) 상에 제2 브리징 와이어들(722b)이 놓이고 따라서 제1 축 감지선들(72a)이 제2 축 감지선들(72b)으로부터 절연되게 한다. 또한, 제2 브리징 와이어들(722b)로 제2 축을 따라 인접한 제2 전도성 셀들(720b)을 브리징함으로써, 복수의 정사각형들 또는 마름모꼴들을 연결하여 각각의 제2 축 감지선(72b)은 체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축 감지선들(72a)과 제2 축 감지선들(72b)을 따로 감안하여,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72a)은 서로 평행하고 각각 인접한 제1 축 감지선들(72a) 사이 및 인접한 제1 전도성 셀들(720a) 사이로 배치 구역이 범위가 정해질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전도성 셀들(720a)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제2 전도성 셀들(720b)은 배치 구역에 각각 배치되고 절연층(74)이 더 배치되어, 제2 축을 따라 인접한 제2 전도성 셀들(72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 브리징 와이어들(722a) 위로 제2 브리징 와이어들(722b)이 가로지르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제2 축 감지선들(72b)을 형성한다.
요약하면, 본 개시 내용에 의해 제공된 터치 전극 구조 및 제조 방법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비교할 때, 실행은 더 간단하고 생산 시간은 더 짧고, 대형 터치 패널들의 제조에 더 적당하다. 또한, 레이저 식각 공정은 소재 낭비 면에서 현저히 적은 문제점들을 지니고 제조 설비가 훨씬 더 간단하고 그러므로 전체 생산 비용이 더 낮다. 또한, 본 개시 내용에서, 레이저 식각에 의해 각각의 출력 핀 주위에 복수의 인접한 레이저 식각선들을 형성하는 것은 넓은 구역의 레이저 식각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 핀들 사이의 단락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레이저 식각의 파장은 적절한 레이저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레이저 식각이 기판의 표면 또는 다른 필름 층들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식각 자국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기술되었긴 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 및 대체가 그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실례로서 기술되는 것이지 제한으로서 기술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3)

  1. 각각 하나의 제1 출력 핀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축 감지선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응하는 제1 출력 핀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이저 식각선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감지선들 및 상기 제1 레이저 식각선은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으로 상기 제1 전도층을 식각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제2 출력 핀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축 감지선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응하는 제2 출력 핀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저 식각선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축 감지선들은 상기 제2 축 감지선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감지선들 및 상기 제2 레이저 식각선은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으로 상기 제2 전도층을 식각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층 및 상기 제2 전도층은 기판의 각각 다른 면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축 감지선은:
    제1 축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제1 전도성 셀들; 및
    각각 인접한 제1 전도성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브리징 와이어들;
    을 포함하되,
    배치 구역은 각각 인접한 제1 축 감지선들 사이 및 인접한 제1 전도성 셀들 사이로 범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치 구역에 복수의 제2 전도성 셀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도층을 레이저 식각하는 단계; 및
    각각 인접한 제2 전도성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브리징 와이어들 위로 가로질러, 제2 축을 따라 복수의 제2 브리징 와이어들을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브리징 와이어들로 각각의 제2 축을 따라 상기 제2 전도성 셀들을 연결하는 것은 제2 축 감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셀들은 200nm~30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으로 상기 제1 전도층을 식각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감지선들이 상기 제2 축 감지선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각각의 제1 브리징 와이어와 각각의 제2 브리징 와이어 사이에 절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핀들 및 상기 제2 출력 핀들은 각각 연성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터치 전극 구조 제조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제작된 터치 전극 구조.
  12. 기판;
    각각 하나의 출력 핀을 적어도 포함하는, 레이저 식각에 의해 상기 기판의 동일한 면의 전도층에 형성된 복수의 축 감지선들; 및
    상기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응하는 출력 핀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식각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3. 기판;
    각각 하나의 출력 핀을 적어도 포함하는, 레이저 식각에 의해 상기 기판의 각각 다른 면들의 전도층들에 형성된 복수의 축 감지선들; 및
    상기 출력 핀들이 서로에게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응하는 출력 핀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식각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KR1020120124287A 2011-11-09 2012-11-05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6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379425.4 2011-11-09
CN201110379425.4A CN103105962B (zh) 2011-11-09 2011-11-09 触控面板、触控电极结构及其制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408A true KR20130051408A (ko) 2013-05-20
KR101456637B1 KR101456637B1 (ko) 2014-11-04

Family

ID=4828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287A KR101456637B1 (ko) 2011-11-09 2012-11-05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80222B2 (ko)
KR (1) KR101456637B1 (ko)
CN (1) CN103105962B (ko)
TW (1) TWI585623B (ko)
WO (1) WO20130679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6386B2 (en) 2015-11-19 2018-12-04 Hyundai Motor Company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27B1 (ko) * 2013-03-15 2014-11-12 지스마트 주식회사 패턴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패턴 안전장치
CN103927038B (zh) * 2013-06-09 2017-08-2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其电压检测方法
CN103336560A (zh) * 2013-06-14 2013-10-02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有曲面的保护盖及具有该保护盖的触摸面板
FR3013472B1 (fr) 2013-11-19 2016-07-08 Fogale Nanotech Dispositif accessoire couvrant pour un appareil portable electronique et/ou informatique, et appareil equipe d'un tel dispositif accessoire
CN104731422B (zh) * 2013-12-24 2018-06-26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电容屏触控面板及其间隙部分氧化铟锡薄膜的刻蚀方法
US20150212609A1 (en) * 2014-01-28 2015-07-30 Apple Inc. Light block for transparent touch sensors
CN104007885B (zh) * 2014-05-29 2018-05-08 四川点燃科技有限公司 投射式电容触控白板的制造方法及该投射式电容触控白板
TWI566873B (zh) * 2014-09-24 2017-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形成具有溝槽之透明基材的方法以及形成元件基板的方法
CN105589587B (zh) * 2014-10-21 2018-10-2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透明复合基板与其制备方法及触控面板
CN105528101A (zh) * 2014-10-21 2016-04-27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立体盖板结构
CN104319141A (zh) * 2014-11-03 2015-01-2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触控按键组件和触控按键组件的生产方法
CN104820535A (zh) * 2015-05-27 2015-08-05 广东泰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纯ito膜结构单层多点的电容式触摸屏制作工艺
CN108170313B (zh) * 2017-12-29 2020-12-08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膜及其制作方法、触控面板及其电路板和穿戴设备
TWI692713B (zh) * 2019-04-15 2020-05-01 萬達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電容式觸控面板的製造方法及電容式觸控面板
TWI817150B (zh) * 2020-10-27 2023-10-0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鍵盤複合電極模組及發光觸控鍵盤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3328A1 (en) * 1991-01-17 1992-08-06 Rgb Dynamics Capacitive touch screen
TW534913B (en) * 2000-07-28 2003-06-01 Goodrich Corp Polymers for forming optical waveguides; optical waveguides formed therefrom;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3854822B2 (ja) * 2001-06-29 2006-12-06 リコー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ビーム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基板の製造方法
JP2005513741A (ja) * 2001-12-21 2005-05-12 アイファイア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の薄膜層をパターン形成するレーザ・アブレーション法
KR101303881B1 (ko) * 2006-08-03 2013-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4332174B2 (ja) * 2006-12-01 2009-09-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026903B2 (en) * 2007-01-03 2011-09-27 Apple Inc. Double-sided touch sensitive panel and flex circuit bonding
TW200919140A (en) * 2007-10-23 2009-05-01 Tpk Touch Solutions Inc In-mould molding touch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361996B (en) * 2008-03-21 2012-04-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Touch panel device
CN101546242A (zh) * 2008-03-26 2009-09-30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装置
AU2009313381B2 (en) * 2008-11-06 2013-09-12 Uico, Inc. Capacitive touch screen and Strategic Geometry Isolation patterning method for making touch screens
US8704779B2 (en) * 2008-12-26 2014-04-22 Atmel Corporation Multiple electrode touch sensitive device
US8518277B2 (en) * 2009-02-12 2013-08-27 Tpk Touch Solutions Inc. Plastic capacitive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613327B1 (ko) * 2009-02-27 2016-04-18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US20110001706A1 (en) * 2009-07-02 2011-01-06 Emery Sanford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KR20120061865A (ko) 2009-08-06 2012-06-1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수율을 갖는 박막 레이저 스크라이빙을 위한 방법들 및 관련 시스템들
GB2472614B (en) * 2009-08-11 2014-11-19 M Solv Ltd Capacitive touch panels
GB2472613B (en) * 2009-08-11 2015-06-03 M Solv Ltd Capacitive touch panels
US9040829B2 (en) * 2009-10-23 2015-05-26 M-Solv Limited Capacitive touch panels
CN101807133A (zh) * 2010-03-22 2010-08-18 牧东光电(苏州)有限公司 触控面板感应层的加工方法
TWI474377B (zh) * 2010-03-25 2015-02-21 Winsky Technology Ltd A method of patterning a substr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pacitive touch panel
CN102279678A (zh) * 2010-06-12 2011-12-14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电路图形结构及制造方法、触控面板及触控显示屏
KR101064645B1 (ko) * 2010-06-14 2011-09-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패드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터치 패널
US9081427B2 (en) * 2010-07-16 2015-07-14 Atmel Corporation Position-sensing panel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6386B2 (en) 2015-11-19 2018-12-04 Hyundai Motor Company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9885A (zh) 2013-05-16
TWI585623B (zh) 2017-06-01
KR101456637B1 (ko) 2014-11-04
US9280222B2 (en) 2016-03-08
US20140124347A1 (en) 2014-05-08
WO2013067909A1 (zh) 2013-05-16
CN103105962A (zh) 2013-05-15
CN103105962B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637B1 (ko) 터치 전극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3481B1 (ko) 정전용량형 터치감응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방법
TWI664560B (zh) 層疊構造體、觸摸面板、帶觸摸面板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7235510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表示装置
KR10204097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I545474B (zh) 觸控式螢幕面板及其製造方法
US9018535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ensor layer of the touch panel
KR102017155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TWI489362B (zh) 觸控感測結構及其形成方法
US20130241871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75281Y1 (ko) 터치 전극 장치
US9400577B2 (en) Capactive touch panel
TW201432532A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以及觸控顯示面板
KR20140070106A (ko) 플렉서블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39852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CN104571740A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KR20140133771A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US20150122624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6896968B (zh) 避免蚀刻线路显露的触控面板
TWI550810B (zh) 觸控模組及其製造方法
TWM478869U (zh) 觸控面板
TW201704954A (zh) 觸控面板
KR102199344B1 (ko) 터치 윈도우
JP2012216146A (ja)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の製造方法
TWI450662B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