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281Y1 - 터치 전극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전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281Y1
KR200475281Y1 KR2020130005482U KR20130005482U KR200475281Y1 KR 200475281 Y1 KR200475281 Y1 KR 200475281Y1 KR 2020130005482 U KR2020130005482 U KR 2020130005482U KR 20130005482 U KR20130005482 U KR 20130005482U KR 200475281 Y1 KR200475281 Y1 KR 200475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substrate
insulating bas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310U (ko
Inventor
퀴안-옌 마
Original Assignee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01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터치 전극 장치는 기판상에 설치되고, 각각 언더컷 단면(undercut profile)이 있어, 상부 면적이 바닥부 면적보다 큰 복수의 절연 베이스; 각각 상기 절연 베이스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극열; 및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전극 장치{TOUCH ELECTRODE DEVICE}
본 고안은 터치 전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스가 없는 터치 전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감지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이 결합하여 형성된 일종의 입력/출력 장치이며, 휴대용 또는 핸드헬드(handheld)용 전자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일반적인 터치 패널로서, 정전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 효과에 의해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손가락으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표면을 터치하면, 해당 위치의 정전용량이 변하게 되고 이에 의해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패널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그중, 수직 전극열(11)과 수평 전극열(12)은 유리판의 동일면에 형성되고, 절연 브릿지 소자(13)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터치 패널의 수직 전극열(11)과 수평 전극열(12)은 개별적인 단계를 통해 형성되어야 하며, 수직 전극열(11)과 수평 전극열(12) 사이에 반드시 갭(gap)이 있어야만, 수직 전극열(11)과 수평 전극열(12) 사이에 단락이 일어나지 않는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위에서 내려다볼 때, 시각상 트레이스(trac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터치 패널이 복잡한 제조 공정을 거쳐야 하고 시각상 트레이스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종래의 터치 패널의 단점을 개선하는 새로운 터치 전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시급하다.
상기 내용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는 단일 단계를 사용하여 터치 전극을 전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전극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볼 경우, 전극 사이에 갭이 없으므로, 터치 전극 장치에 트레이스가 발생하지 않는 터치 전극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전극 장치는 기판, 복수의 절연 베이스, 복수의 제1 전극열 및 복수의 제2 전극열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절연 베이스는 기판상에 설치되고, 각 절연 베이스에 언더컷 단면이 있어 절연 베이스의 상부 면적이 바닥부 면적보다 크게 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열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열은 기판상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먼저 절연층을 기판에 형성하고, 다시 절연층을 패터닝(patterning)함으로써 복수의 절연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열의 패턴을 가진다. 이어서, 기판 및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상에 전극층을 형성하므로, 각각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상에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열을 형성하고, 기판상에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열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일 단계를 사용하여 터치 전극을 전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전극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볼 경우, 전극 사이에 갭이 없으므로, 터치 전극 장치에 트레이스가 발생하지 않는 터치 전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패널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 ~ 도 3d는 도 2a/도 2b의 터치 전극 장치에 형성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a의 절단선 4-4'에 따른 절개도이다.
도 5는 도 2b의 절단선 5-5'에 따른 절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 장치(2)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터치 전극 장치(2)는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전극열(21)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전극 열(21)의 방향은 제1 방항(D1)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제1 전극열(21)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1 전극(21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제1 전극열(21)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211)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되므로, 전기적으로도 직렬 연결된다. 터치 전극 장치(2)는 평행하는 복수의 제2 전극열(22)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전극열(22)의 방향은 제2 방향(D2)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제2 전극열(22)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2 전극(2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제2 전극열(22)의 상기 복수의 제2 전극(221)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되지 않고, 동일한 제2 전극열(22)의 인접한 제2 전극(221) 사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도전부재(222A)를 통해, 각각의 제2 전극열(22)의 상기 복수의 제2 전극(221)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그중 도전부재(222A)는 제2 전극(221)의 아래에 위치한다. 그밖에, 제2 방향(D2)에서 서로 인접한 제1 전극(211) 사이 및 제1 방향(D1)에서 서로 인접한 제2 전극(221) 사이에 적당한 거리(212)가 있어 서로 인접한 제1 전극열(21) 사이 및 서로 인접한 제2 전극열(2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복수의 거리(212)는 제조 공정 후기 단계에서 레이저 기술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거리(212)의 폭은 20㎛ ~ 50㎛이다. 상기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실질적으로 직교 방향이며, 예를 들면 X 방향과 Y 방향이다. 그러나,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다른 특정된 교차각을 가질 수도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21)에 대해 마름모 형상의 전극을 예시했으나, 다른 형상이 전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221)의 재료는 반드시 광 투과성이 있어야 하며,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 장치(22)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도전부재(222B)는 각각 동일한 제2 전극열(22)의 서로 인접한 제2 전극(22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제2 전극열(22)의 상기 복수의 제2 전극(221)이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게 하고, 그중 도전부재(222B)는 제2 전극(221)의 상측에 위치하며, 절연 브릿지 소자(223)를 통해 제1 전극(211)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그밖에, 제2 방향(D2)에서 서로 인접한 제1 전극(211) 사이 및 제1 방향(D1)에서 서로 인접한 제2 전극(221) 사이에 적당한 거리(212)가 있어, 서로 인접한 제1 전극열(21) 사이와 서로 인접한 제2 전극열(22) 사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거리(212)는 제조 공정 후기 단계에서 레이저 기술을 통해 형성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거리(212)의 폭은 20㎛ ~ 50㎛이다. 상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X 방향 및 Y 방향과 같은 실질적으로 직교 방향이다. 그러나,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다른 특정 교차각을 가질 수도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21)에 대해 마름모 형상의 전극을 예시했으나, 다른 형상의 전극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21)의 재료는 반드시 광 투과성을 가져야 하며,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이다.
도 3a ~ 도 3d는 도 2a/도 2b의 터치 전극 장치(2)의 형성 방법을 나타낸 절개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 상에 복수의 도전부재(222A)를 형성한 후 (후속 공정에서 형성된) 동일한 제2 전극열(22)의 서로 인접한 제2 전극(221) 사이에 설치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도전부재(222B)는 제조 공정 후기 단계에서 제2 전극(221)을 형성한 후 형성된다. 상기 기판(30)의 재료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 상에 절연층(3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층(31)은 포토레지스트 재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절연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실시예의 절연층(31)은 반드시 광 투과성을 가져야 하며, 또한 그 광굴절율은 제1 전극(211)의 광굴절율과 실질적으로 같아야 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열(21)의 패턴(pattern)을 가진 포토마스크(213)를 사용하여 절연층(31)에 대해 노광 및 현상하는 공정을 진행하여, 패턴화된 절연층(31)을 형성하는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3c 및 도 3d는 도 2a/도 2b의 절단선 3-3'에 따른 절개도이다. 만약 포토레지스트 재료의 절연층(31)을 사용하면, 패턴화된 절연층(31)은 다시 베이킹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약 280°에서 20분간 베이킹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 중 하나에 따르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화된 절연층(31)은 복수의 절연 베이스(31A)를 포함하고, 각 절연 베이스(31A)에 언더컷(undercut) 단면이 있어, 절연 베이스(31A)의 상부 면적이 바닥부 면적보다 크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절연 베이스(31A)의 언더컷 각도(A)는 95°보다 크다.
그리고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퍼터링과 같은 공정을 통해, 기판(30) 및 상기 복수의 절연 베이스(31A) 상에 (투명)전극층(20)을 전면적으로 형성하므로, 절연 베이스(31A) 상에 제1 전극(211)을 동시에 형성하고, 기판(30) 상에 제2 전극(22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따라, 제1 전극(211)의 가장자리와 이와 인접한 제2 전극(221)의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트리밍되므로, 사용자가 터치 전극 장치(2)(도 2a/도 2b)를 위에서 내려다볼 때, 제1 전극(211)과 이와 인접한 제2 전극(221) 사이에 간격이 있을 수 없으므로, 터치 전극 장치(2)는 시각상 트레이스가 없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21) 사이에 전기적 도통이 발생하지 않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 베이스(31A)의 상부와 제2 전극(221)의 상부 표면 사이는 반드시 적당한 높이보다 커야 하는데, 예를 들면 20㎛보다 커야 하고, 언더컷 각도(A)도 적당한 각도보다 커야 하는데, 예를 들면 95°보다 커야 한다.
도 4는 도 2a의 절단선 4-4'에 따른 절개도이다. 그 중, 도전부재(222A)는 동일한 제2 전극열(22)에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전극(221)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도 5는 도 2b의 절단선 5-5'에 따른 절개도이다. 그 중, 도전부재(222B)는 동일한 제2 전극열(22)에 인접한 제2 전극(221)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절연 브릿지 소자(223)를 통해 제1 전극(211)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이상은 단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이 제시한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진행한 등가 변형 또는 개량 형태는 모두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1: 수직 전극열
12: 수평 전극열
13: 절연 브릿지 소자
2: 터치 전극 장치
20: 전극층
21: 제1 전극열
211: 제1 전극
212: 거리
213: 포토마스크
22: 제2 전극열
221: 제2 전극
222A: 도전부재
222B: 도전부재
223: 절연 브릿지 소자
30: 기판
31: 절연층
31A: 절연 베이스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A: 언더컷 각도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고, 각각 언더컷 단면(undercut profile)이 있어 상부 면적이 바닥부 면적보다 큰 복수의 절연 베이스;
    각각 상기 절연 베이스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극열; 및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전극열;
    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열 및 제2 전극열은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하는, 터치 전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전극열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며, 각 상기 제2 전극열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2 전극열 사이에 설치되어 각 상기 제2 전극열의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터치 전극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열 상에 설치되어 각 상기 제2 전극열의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고, 상응하는 절연 브릿지 소자를 통해 상기 제1 전극열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복수의 도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터치 전극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사이의 거리는 20㎛ ~ 50㎛인, 터치 전극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베이스는 포토레지스트 재료를 포함하는, 터치 전극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베이스의 광굴절율은 상기 제1 전극의 광굴절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터치 전극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베이스의 언더컷 각도는 95°보다 큰, 터치 전극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베이스의 상부는 상기 제2 전극의 상부 표면보다 적어도 20㎛ 높은, 터치 전극 장치.
KR2020130005482U 2012-08-23 2013-07-04 터치 전극 장치 KR2004752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30725A TW201409300A (zh) 2012-08-23 2012-08-23 觸控電極裝置及其形成方法
TW101130725 2012-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10U KR20140001310U (ko) 2014-03-05
KR200475281Y1 true KR200475281Y1 (ko) 2014-11-19

Family

ID=4807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482U KR200475281Y1 (ko) 2012-08-23 2013-07-04 터치 전극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55405A1 (ko)
JP (1) JP3185436U (ko)
KR (1) KR200475281Y1 (ko)
CN (2) CN202887131U (ko)
DE (1) DE202013102666U1 (ko)
TW (1) TW2014093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89B1 (ko) * 2013-10-22 202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3699261B (zh) * 2013-12-19 2016-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105094470B (zh) * 2014-05-05 2019-01-2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传感器的跨接线、制造方法及电容式触控面板
CN105278739A (zh) 2014-07-17 2016-01-27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感测结构
CN104238816A (zh) 2014-09-04 2014-1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218718B1 (ko) * 2014-10-10 2021-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5183222A (zh) * 2015-08-27 2015-1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屏及其驱动方法
CN111045262B (zh) * 2019-12-09 2021-07-0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Coa基板及显示面板
CN111309180B (zh) * 2020-02-11 2022-09-2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面板、其制备方法及触控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223A (ko) * 2010-12-30 2012-07-10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정전 용량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7404B2 (en) * 2004-05-14 2010-03-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TW201020893A (en) * 2008-11-26 2010-06-01 Swenc Technology Co Ltd Capacitive touch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33050B2 (ja) * 2009-04-23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719368B1 (ko) * 2010-07-14 2017-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298612B1 (ko) * 2010-10-12 2013-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EP2638453A4 (en) * 2010-11-09 2015-11-25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SCREEN DEVICE
CN102955603B (zh) * 2011-08-17 2016-05-2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TWI441198B (zh) * 2011-12-30 2014-06-11 Au Optronics Corp 面板及其製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223A (ko) * 2010-12-30 2012-07-10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정전 용량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31428A (zh) 2014-03-12
JP3185436U (ja) 2013-08-15
DE202013102666U1 (de) 2013-08-30
TW201409300A (zh) 2014-03-01
KR20140001310U (ko) 2014-03-05
CN202887131U (zh) 2013-04-17
US20140055405A1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281Y1 (ko) 터치 전극 장치
KR102222652B1 (ko) 터치 패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530794B1 (ko) 3d 터치 제어 액정 렌즈 격자, 그 제조 방법, 및 3d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347319A1 (en) Touch panel
KR10207387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448836B1 (ko) 단면 터치패널 구조 및 단면 터치패널 구조의 제조방법
KR20140004507U (ko) 터치 전극 장치
TWI452508B (zh) 電容式觸碰面板的佈局結構及其製作方法
KR20140004644U (ko) 터치 패널
CN102314271B (zh) 一种电容式触控图形结构及其制法、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WO2017004846A1 (zh) 具有触控功能的液晶显示器及其导电层结构
KR200474894Y1 (ko) 이중-층 전극 장치
US20180307370A1 (en) Touchscreen
JP2014146283A (ja) 前面板一体型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基板及び表示装置
KR20170120031A (ko) 터치 센서 메시 설계
JP5036913B1 (ja) 入力装置
KR20150052682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00488A (ko) 정전용량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I638303B (zh) 觸控螢幕面板及其製作方法
KR20140016623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형성방법
KR20140078881A (ko) 결정질 ito와 비정질 ito를 사용하는 터치패널
TWI481913B (zh) 彩色濾光基板的製作方法
US9223453B2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device with three-dimensionally configured sensing blocks
KR20130052369A (ko) 터치 패널, 터치 패널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M447544U (zh) 觸控電極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