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154A -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154A
KR20130048154A KR1020120118266A KR20120118266A KR20130048154A KR 20130048154 A KR20130048154 A KR 20130048154A KR 1020120118266 A KR1020120118266 A KR 1020120118266A KR 20120118266 A KR20120118266 A KR 20120118266A KR 20130048154 A KR20130048154 A KR 2013004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resin composition
resin
alkylene carbon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443B1 (ko
Inventor
김재구
박영효
손인헌
홍승권
정강민
정광진
옥명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80052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011107B/zh
Priority to US13/659,301 priority patent/US8747970B2/en
Priority to JP2014538703A priority patent/JP2014530947A/ja
Priority to TW101139336A priority patent/TWI455999B/zh
Priority to PCT/KR2012/008757 priority patent/WO2013062307A1/en
Publication of KR2013004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 C08G64/34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and cyclic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03Paper containing [e.g., paperboard, cardboard, fiberboar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28Shrinkable or shrunk [e.g., due to heat, solvent, volatile agent, restraint remov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용 친환경 폴리(프로필렌 카본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개발된 폴리(알킬렌 카본네이트) 수지를 주재로 하며, 이에 적합한 강도 조절제, 연성제, 활제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기존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제품류의 환경 유해 논란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함과 동시에 이들 제품류 대비 우수한 기계적, 열적 물성, 가공성, 후가공성(인쇄 적성, 엠보 및 표면 처리, 합판 특성 등) 및 탁월한 방염 특성(낮은 연기밀도)와 연신율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폴리염화비닐 수지 제품류 대체제로 등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류의 최대 단점인 소규모 생산 방식인 압출 생산 방식을 극복하여 대량 생산 방식인 카렌다 가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High transparent and glossy eco-friendly poly(alkylene carbonate) resin composites for sheet products}
본 발명은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재로 하여 연소시 유독가스를 방출하는 폴리염화비닐 소재를 대체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가공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뛰어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며, 압출 가공 방식뿐만 아니라 카렌다 가공에 적용할 수 있어 후처리 공정이 필요없어 경제적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염화(PVC) 제품류에서 필름을 포함한 시트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30% 정도이며, 이중에서 약 8%는 페이스트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가소제와 안정제 등의 첨가제에 분산시킨 형태의 플라스틱졸을 시트 형상을 유지하는 종이, 직물과 같은 기지에 코팅한 후 가열한 후 냉각시켜 시트를 제조하거나, 카렌다 공법을 적용한다.
이러한 PVC 시트류는 주로 장식용 시트, 타포린, 바닥재, 벽지류, 포장용 랩 등이 있으며, 장식용 시트는 제품의 표면 장식 및 마감을 위하여 사용되는 합성 수지 재질의 데코시트(Decoration Sheet)와 인테리어 시트(Interior Sheet)를 포함한다. 데코시트는 주로 내장용 건축 자재, 가구, 전자제품 등의 표면 마감재로 사용되며, 점착제층이 없는 합성수지 재질 시트를 말한다. 즉, 주로 일반 목재에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 소재에 인쇄층과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 투명 필름을 합지한 제품을 말하며, 구분과 사용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인테리어 시트는 주로 건축물 내주 인테리어 마감재로 사용되며 제품의 한쪽 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점착 시트를 말하며, 주용도는 공공 건물용 내부 마감재를 비롯하여 항공기, 철도, 선박 등의 내부 마감재로도 사용된다.
타포린은 광범위하게 각종 차량용 덮개, 레져용 텐트, 산업용 천막지, 대형 건물용 지붕 덮개용, 광고용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각종 식품류/제품류 이송용 벨트와 각종 고무 보트용으로도 적용된다.
바닥재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보행 상재와 공공건물과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중보행 상재로 나뉘며, 벽지는 다중이용시설과 가정용으로 나뉘며, 포장용 랩은 가정용, 업소용 및 식품 포장용으로 분류된다.
현재 시트류의 대부분은 폴리염화비닐 재질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이들 제품류에 가해지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규제로 인해 올레핀 소재와 폴리유산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소재로 대체 진행 중이다. 폴리염화비닐 제품류에 가해지는 환경 유해성 논란과 규제 동향을 살펴보면, 논란의 핵심은 폴리염화비닐 소재 자체가 연소될 때 환경호르몬 물질인 다량의 다이옥신이 발생된다는 점과 첨가제로 사용되는 가소제와 안정제가 전세계적인 규제(WEEE/RoHS/REACH(SVCH))의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폴리염화비닐 제품류들이 화재 또는 재활용이 어려워 폐기물로 소각될 시 인체에 치명적인 다량의 염화수소(HCl) 등의 유독 가스류와 다이옥신을 발생시킨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심지어는 최근에 폴리염화비닐 자체를 EU ROHS 사용제한 물질로 등록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 더 중요한 사실은 소비자 시민단체에서 폴리염화비닐 제품류 사용 제한을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로서 그린피스 소비자 단체에서 전자제품에 폴리염화비닐 수지 사용 금지를 주도하여 전세계 전자업종에서 이를 따르고 있다. 특히 환경오염 민감군인 어린이와 주부 계층에서 폴리염화비닐 제품류에 대한 거부감이 강화/확산되는 추세이며 정부 규제로 유도 중이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제품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환경 친화적인 범용 플라스틱을 적용한 대체제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대체재들은 동절기에 연성이 부족하여 깨지는 특성 등의 물성상의 문제 및 후공정 시 인쇄 적성, 재단성 및 접착성이 열세하여 가공 첨가제를 추가 사용하여야 하는 비용 부담이 있으며, 압출 공법의 생산 및 소재 자체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 고가의 비용 문제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미국공개특허 제2004-950100호(2005.05.12) 일본공개특허 제2006-265395호(2005.03.24)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재로, 인체 및 자연생태계에 유해하지 않은 최소한의 가공 첨가제를 첨가하여 환경 유해성 논란의 중심에 있는 폴리염화비닐 제품류를 비롯한 이들의 대체제로 출현한 환경 친화적 범용 플라스틱인 변성 폴리에틸렌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올페핀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물성 열세 및 인쇄 적성, 재단성, 접착성 등의 후가공성을 극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제품들은 탁월한 방염 특성을 갖고, 매우 우수한 연기밀도 특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장재 용도에 취약한 화재시 발생되는 다량의 치명적인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렛(pellet) 형태의 고분자 소재가 카렌다 가공에 어려움이 있는 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압출 공법 대비 생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폴리비닐염화수지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점도 및 비중을 낮춰 가공업체의 제조 원가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연성제 및 활제의 조합의 구성을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0.1~100 중량부, 연성제 0.1~5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연기밀도(ASTM E662)가 10 내지 50 m2/g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10 ≤ TDS ≤ 50 [식 1]
60 ≤ THRR ≤ 65 [식 2]
상기 식 1에서, TDS는 연기밀도(ASTM E662, m2/g)을 나타낸 것이며, 식 2에서, THRR은 열방출(MJ/m2)을 나타낸 값이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구조적 특수성과 가공 첨가제와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하여 인장과 인열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신율(연신율)과 인쇄 적성이 매우 좋으며, 연기밀도를 포함하여 방염 특성이 (특히 연기밀도)은 범용 플라스틱에 비하여 1/600 수준으로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는 SK이노베이션에서 기출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90154호, 제2010-0067593호 및 제2010-0013255)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공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텐 옥사이드, 펜텐 옥사이드, 헥센 옥사이드, 옥텐 옥사이드, 데센 옥사이드, 도데센 옥사이드, 테트라데센 옥사이드, 헥사데센 옥사이드, 옥타데센 옥사이드, 부타디엔 모녹사이드, 1,2-에폭사이드-7-옥텐, 에피플루오로하이드린,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글리시딜 메틸 에테르, 글리시딜 에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프로필 에테르, 글리시딜 2차부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또는 이소펜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헥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헵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옥틸 또는 2-에틸-헥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또는 이소노닐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도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테트라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헥사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옥타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아이코실 에테르, 아이소프로필 글리시딜 에테르,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t-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펜텐 옥사이드,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 사이클로옥텐 옥사이드, 사이클로도데센 옥사이드, 알파-파이넨 옥사이드, 2,3-에폭사이드노보넨, 리모넨 옥사이드, 디엘드린, 2,3-에폭사이드프로필벤젠, 스타이렌 옥사이드, 페닐프로필렌 옥사이드, 스틸벤 옥사이드, 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디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1,2-에폭시-3-페녹시프로판, 벤질옥시메틸 옥시란, 글리시딜-메틸페닐 에테르, 클로로페닐-2,3-에폭사이드프로필 에테르, 에폭시프로필 메톡시페닐 에테르 바이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나프틸 에테르, 글리시딜 초산 에스테르, 글리시딜 프로피오네이트, 글리시딜 부탄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펜타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헥사노에이트, 글리시딜 헵타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옥타노에이트, 글리시딜 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노나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 도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테트라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헥사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옥타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아이코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또는 2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
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이때,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에서 알킬렌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 1-부틸렌, 사이클로헥센옥사이드, 알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n-옥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2의 착화합물을 촉매를 이용하여, 히드록실 또는 카복시 산기를 단말기 또는 측쇄에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존재 하에,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 및 이산화탄소를 교대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코발트 3가 또는 크롬 3가이고;
A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고;
Q는 두 질소 원자를 연결하여 주는 다이라디칼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30)아릴옥시; 포밀; (C1-C20)알킬카보닐; (C6-C20)아릴카보닐;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상기 R1 내지 R10 중 2개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1 내지 R10 및 Q가 포함하는 수소들 중 적어도 1 개 이상은 하기 화학식 a, 화학식 b 및 화학식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성자단이고;
Figure pat00004
X-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음이온; HCO3 -; BF4 -; ClO4 -; NO3 -; PF6 -; (C6-C20)아릴옥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옥시 음이온; (C1-C20)알킬카르복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르복시 음이온; (C6-C20)아릴카르복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르복시 음이온; (C1-C20)알콕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콕시 음이온; (C1-C20)알킬카보네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보네이트 음이온; (C6-C20)아릴카보네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보네이트 음이온; (C1-C20)알킬설포네이토(alkylsulfonate)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설포네이토(alkylsulfonate) 음이온; (C1-C20)알킬아미도(amido)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아미도(amido) 음이온; (C6-C20)아릴아미도(amido)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아미도(amido) 음이온; (C1-C20)알킬카바메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바메이트 음이온; (C6-C20)아릴카바메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바메이트 음이온이고;
Z는 질소 또는 인 원자이고;
R21, R22, R23, R31, R32, R33, R34 및 R3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R21, R22 및 R23 중 2개 또는 R31, R32, R33, R34 및 R35 중 2개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41, R42 및 R4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R41, R42 및 R43 중 2개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X'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N-R (여기서 R은 (C1-C20)알킬)이고;
n은 R1 내지 R10 및 Q가 포함하는 양성자단의 총 수에 1을 합한 정수이고;
X-는 M에 배위할 수도 있고;
이민의 질소 원자는 M에 탈배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로 공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000,000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0 내지 200,000이 좋다. 이때,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32~35℃이며, MI(Melt Index, 150℃/5kg) 1이하, YI(색상) 30~4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연소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방염 특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가공 첨가제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나 안정제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계적 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투명성 및 광택성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중이 1.1 내지 1.2g/cm3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연기밀도(ASTM E662 에 의거하여 측정)가 10 내지 20m2/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m2/g,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m2/g 인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범용수지의 연기밀도는 900 내지 1300 m2/g 으로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하여 최대 30 m2/g까지 연기밀도 수치가 좋아지기는 하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연기밀도를 최소화한 것으로 유해 첨가제가 필요하지 않고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제품의 투명성, 광택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열방출율이 60 내지 65 MJ/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자기소화 특성이 약해져 난연 특성이 열세해질 수도 있다. 이때, 열방출율은 시편의 연소에 의하여 단위면적 및 시간당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크기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 (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적용될 수 있는 강도조절제, 연성제 및 활제의 조합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인장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쇄 적성, 재단성, 접착성 등의 후가공성을 높일 수 있고, 우수한 방염특성, 연기밀도 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은 각각의 조합에 따른 것으로 반드시 모두 포함하고 있을 때 시너지 효과로 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강도 조절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랜덤 터폴리프로필렌,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폴리에스테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폴리유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타이드-co-글리코라이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50~85%,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15~5% 및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35~5%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유리전이온도(Tg)가 85~1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상기와 같은 강도 조절제를 사용하면 종래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비교하여 신율,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치수 안정성이 매우 향상되며, 투명도 및 광택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91g/cm2 이하의 밀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초과의 밀도를 갖게 되면 함량에 제한이 있게 되고, 투명성 및 광택도 저하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연성제와의 조합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0.91~0.925g/cm2 의 밀도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강도조절제로 호모 프로필렌의 투명성과 유연성을 개선시킨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된 랜덤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일종인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1의 세가지 단량체를 중합시킨 랜덤 터폴리프로필렌 및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저온 충격 특성을 개선한 프로필렌과 에틸렌이 공중합된 임팩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강도조절제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호모폴리머인 폴리유산 수지(PLA,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lactide), 폴리글리콜산 수지(PGA, Poly glycolic acid, Polycondensation of 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 수지(PCL, Polycaprolactone,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caprolactone), 폴리유산 수지와 폴리글리콜산 수지의 공중합체인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수지(PEA, Polyethylene adipate) 또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PHA, Polyhydroxyalkanoat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강도조절제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 내지 50%인 것일 수 있으며, 무니점도((ML1+4, 100℃)가 40 내지 100, 비중은 0.96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강도조절제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3]
Figure pat00005
이때, -[R-O]z-는 폴리올로서 (a) 분자량 200 내지 10,000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트리올, (b) 분자량 200 내지 10,000인 폴리에테르 글리콜, 및 (c) 분자량 10,00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이고, m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18의 정수이고; p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v, w, x 및 y는 각각 0 내지 100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강도조절제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50 내지 75wt%이며, 무니점도(ML1+4, 125℃)가 2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연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글루타르산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함량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부를 사용한다. 이때 함량이 높을수록 투명도 및 광택도는 증가하나,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연성제를 사용하여 수지가 딱딱해지고 잘 깨지는 특성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기계적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연성제의 함량은 폴리염화비닐수지에 사용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류 대비 1/3 수준인 경우에도 원하는 물성을 발현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이러한 연성제의 일예로 SKflex, 다이패티-101, 아크릴레이트 제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활제는 스테아릭산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제는 유기 개질 또는 변성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개질 또는 변성 실리콘 오일은 알킬 변성, 불소 변성, 폴리 에테르 변성, 아미노 변성, 에폭시 변성, 페놀 변성, 카르복실 변성, 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알콕시 변성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및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화합물;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계 화합물; 저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저저밀도 폴리에틸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상용화제를 0.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물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품으로는 철판, 목재, 석재, 플라스틱 코팅류; 포장랩 필름류; 인테리어 시트류; 바닥 상재용 시트류; 등의 표면 보호 시트류 또는 페인트류;를 포함하며, 물품의 종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투명 고광택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제품에 있어서는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최대 단점인 연소시 유독 가스류와 다이옥신이 전혀 발생치 않으며, 특히 연기밀도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약 1/600 수준으로 가공 중이나 제품 사용 과정에서 어떠한 유해 가스류가 발생치 않아 방염 특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활용하고 있으며, 인체 유해한 가공 첨가제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안정제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연성, 강도 및 연신성 등이 기존 폴리염화비닐 수지 수준 이상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제품의 투명성 및 광택성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기존 폴리염화비닐 대체재의 최대 단점인 압출 가공 방식을 탈피하여 대량생산 가능한 카렌다 가공 방식에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동절기 시 깨지거나 인쇄, 표면 처리등의 후가공 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매우 경제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평가)
1. 인장강도/신율 :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인열강도는 ASTM D1004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치수안정성 : 시트 시편(200×20mm)을 Dry Oven 내에서 80℃/1주일 유지 후 길이 변화율이 ±4% 이내인지 측정하였다
4. 내한성 : 시트 시편(150×20mm) 5개를 -30℃의 Chamber 내에서 4시간 유지 후 Folding Test(취구에 설치된 시편을 접었다 편 후 갈라지거나 깨지는 정도 확인)로 평가하였다.
(평가 : 2개 이상 Break되면 Fail)
5. 투명도 : Haze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 카렌다 가공성 및 작업성 : 배합/혼련 용이성, 가공 온도, Roll 작업 용이성 및 용융물이 Roll에 묻어 나오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평가 : 1.매우열세, 2.열세, 3.양호, 4.우수, 5.매우우수)
7. 후가공 작업성 : 인쇄, 엠보, 합판 또는 표면처리 작업성이 어느 정도 수월한지 측정하였다.
(평가 : 1.매우열세, 2.열세, 3.양호, 4.우수, 5.매우우수)
8. 연기밀도는 ASTM E662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FT400,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20 중량부, 연성제(다이패티-101, DAIHACHI사)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계 상용화제(BP401, 호남석유화학) 0.1 중량부, 활제(스테아릭액시드, OCI사) 1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Wet) 블렌딩한 혼합물을 150℃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단, 연성제 20 중량부 이상은 믹서기를 니더기 타입으로 사용하며, 시트 형상으로 혼련과 카렌다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대신 폴리염화비닐 수지(LS100S, 엘지화학) 100중량부를 사용하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을 0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한 다음,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1~7]
실시예 1 조성 중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을 각각 0, 5, 10, 20, 50, 75, 100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강도 조절제를 사용하게 되면 인장 및 인열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과 치수 안정성이 매우 항샹되며, 폴리염화비닐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비하여 우수한 신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량은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고투명도를 발현할 수 있으며,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불투명도가 증가하고 내한성이 열세하였다. 또한, 연기밀도는 강도 조절제를 100중량부 사용하여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8~28]
실시예 1 조성 중 연성제를 SK이노베이션의 SKflex, 일본 DAIHACHI의 다이패티-101, LG화학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고, 그 함량을 0, 1, 2.5, 5, 10, 20, 50 중량부로 조절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의 딱딱하고 잘 깨지는 특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연성제는 50중량부까지 시트의 물성에 영향이 없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와 특히 치수안정성이 저하되기는 하나, 투명도는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상기 연성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사용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류 대비 1/3 수준 사용으로도 원하는 물성 발현이 가능하였으며, 연기밀도 특성은 연성제 함량에 관계없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9~33]
실시예 1 조성 중 상용화제 함량을 강도 조절제 기준으로 각각 0, 0.1, 0.5, 1, 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올레핀계 강도 조절제와의 상용성(용융성 향상)을 극대화시켜 전반적인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특히 상용화제를 사용치 않은 경우엔 투명도가 매우 열세하며,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전반적인 물성 향상에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기계적 강도 향상이 둔화되며, 카렌다 가공성 및 작업성이 저하된다. 연기밀도 특성은 상용화제 함량에 무관하게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34~39]
실시예 1 조성 중 활제 함량을 각각 0, 0.1, 0.5, 1, 2, 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1
활제는 카렌다 가공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0.1 내지 5중량부 사용시 원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수지의 용융성이 매우 열세해지고 투명도가 급격하게 열세해지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랜덤 폴리프로필렌(R380Y,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20 중량부, 연성제(다이패티-101, DAIHACHI사)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계 상용화제(BP401, 호남석유화학) 0.1 중량부, 활제(스테아릭액시드, OCI사) 1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젖은 블렌딩(wet-blending)한 혼합물을 150℃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단, 연성제 20 함량부 이상은 믹서기를 니더기 타입으로 사용하며, 시트 형상으로 혼련과 카렌다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실시예 2-1~7]
실시예 2 조성 중 랜덤 폴리프로필렌 함량을 각각 0, 5, 10, 20, 50, 75, 100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2
[실시예 2-8~28]
실시예 2 조성 중 연성제를 SK이노베이션의 SKflex, 일본 DAIHACHI의 다이패티-101, LG화학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고, 그 함량을 0, 1, 2.5, 5, 10, 20, 50 중량부로 조절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8~10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실시예 2-29~33]
실시예 2 조성 중 상용화제 함량을 강도 조절제 기준으로 각각 0, 0.1, 0.5, 1, 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6
[실시예 2-34~39]
실시예 2 조성 중 활제 함량을 각각 0, 0.1, 0.5, 1, 2, 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7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유산 수지(4060D, 네이쳐웍스사) 20 중량부, 연성제(다이패티-101, DAIHACHI사) 5 중량부, 활제(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LG화학) 1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젖은 블렌딩(wet-blending)한 혼합물을 150℃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단, 연성제 20 함량부 이상은 믹서기를 니더기 타입으로 사용하며, 시트 형상으로 혼련과 카렌다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실시예 3-1~7]
실시예 3 조성 중 폴리유산 수지 함량을 각각 0, 5, 10, 20, 50, 75, 100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8
[실시예 3-8~28]
실시예 3 조성 중 연성제를 SK이노베이션의 SKflex, 일본 DAIHACHI의 다이패티-101, LG화학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고, 그 함량을 0, 1, 2.5, 5, 10, 20, 50 중량부로 조절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4~1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실시예 3-29~34]
실시예 3 조성 중 활제 함량을 각각 0, 0.1, 0.5, 1, 2, 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2
[실시예 4]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HP210, LG MMA사) 20 중량부, 연성제(다이패티-101, DAIHACHI사) 5 중량부, 활제(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LG화학) 1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젖은 블렌딩(wet-blending)한 혼합물을 14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단, 연성제 20 함량부 이상은 믹서기를 니더기 타입으로 사용하며, 시트 형상으로 혼련과 카렌다 공정을 거친 후 시트(필름 포함)를 제조한다.
[실시예 4-1~7]
실시예 4 조성 중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함량을 각각 0, 5, 10, 20, 50, 75, 100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3
[실시예 4-8~28]
실시예 4 조성 중 연성제를 SK이노베이션의 SKflex, 일본 DAIHACHI의 다이패티-101, LG화학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고, 그 함량을 0, 1, 2.5, 5, 10, 20, 50 중량부로 조절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9~2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실시예 4-29~34]
실시예 4 조성 중 활제 함량을 각각 0, 0.1, 0.5, 1, 2, 5 중량부 사용하여 제조한 시트의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7

Claims (18)

  1.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0.1~100 중량부, 연성제 0.1~5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며, 연기밀도(ASTM E662)가 10 내지 50m2/g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 ≤ TDS ≤ 50 [식 1]
    60 ≤ THRR ≤ 65 [식 2]
    (상기 식 1에서, TDS는 연기밀도(ASTM E662, m2/g)을 나타낸 것이며, 식 2에서, THRR은 열방출(MJ/m2)을 나타낸 값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공중합된 것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중이 1.1 내지 1.2g/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로 공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조절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랜덤 터폴리프로필렌,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폴리에스테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폴리유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타이드-co-글리코라이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50~85%,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15~5% 및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35~5%의 혼합물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85~165℃인 것을 특징으로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50%이며, 무니 점도(ML1+4, 100℃)가 40~100, 비중이 0.96~1.00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29

    (상기 화학식 3에서, m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18의 정수이고; p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v, w, x 및 y는 각각 0 내지 100의 정수이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50~75wt%이며, 무우니 점도(ML1+4, 125℃)가 20~110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91g/cm2 이하의 밀도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91~0.925g/cm2 의 밀도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글루타르산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스테아릭산,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실리콘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및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화합물;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계 화합물; 저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저저밀도 폴리에틸렌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상용화제를 0.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8. 제1항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물품.
KR1020120118266A 2011-10-24 2012-10-24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50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52396.3A CN104011107B (zh) 2011-10-24 2012-10-24 用于高透明高光泽片材的生态友好型聚(碳酸亚烃酯)树脂组合物
US13/659,301 US8747970B2 (en) 2011-10-24 2012-10-24 Eco-friendly poly(alkylene 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high-transparency and high-gloss sheet
JP2014538703A JP2014530947A (ja) 2011-10-24 2012-10-24 高透明および高光沢シート用の環境にやさしい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TW101139336A TWI455999B (zh) 2011-10-24 2012-10-24 高透明度及高光澤度片材之環保聚伸烷基碳酸酯樹脂組成物
PCT/KR2012/008757 WO2013062307A1 (en) 2011-10-24 2012-10-24 Eco-friendly poly(alkylene 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high-transparency and high-gloss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954 2011-10-24
KR20110108954 2011-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154A true KR20130048154A (ko) 2013-05-09
KR101505443B1 KR101505443B1 (ko) 2015-03-25

Family

ID=4865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266A KR101505443B1 (ko) 2011-10-24 2012-10-24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47970B2 (ko)
EP (1) EP2771383A1 (ko)
JP (1) JP2014530947A (ko)
KR (1) KR101505443B1 (ko)
CN (1) CN104011107B (ko)
TW (1) TWI455999B (ko)
WO (1) WO201306230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9086A1 (ko) * 2013-06-28 2014-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50087084A (ko) * 2014-01-20 2015-07-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114987A (ko) 2015-03-25 2016-10-0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합성된 고분자와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의 가교 결합된 공중합체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66B1 (ko) * 2011-11-23 2014-11-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고차단성 종이 코팅용 조성물
KR101917175B1 (ko) * 2012-01-17 2018-11-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내한성이 우수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1949979B1 (ko) * 2012-05-04 2019-02-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투명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이용
JP6031616B2 (ja) * 2013-03-27 2016-11-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を含む樹脂組成物
GB2511873B (en) * 2013-06-13 2015-06-03 Dycem Ltd Flooring transition system
US9346951B2 (en) * 2014-01-20 2016-05-24 Sk Innovation Co., Ltd. Polyalkylene carbonate resin composition
CN107351502B (zh) * 2017-07-20 2023-06-16 江阴申隆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耐高温且保温的复合片材及其制造方法
CN110218433A (zh) * 2019-06-24 2019-09-10 上海茗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仿玻璃高分子复合材料以及制备方法
CN113795548B (zh) * 2020-01-29 2023-07-14 株式会社Lg化学 聚碳酸亚烃酯系树脂以及由其制造的模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884A (en) * 1989-03-22 1990-08-0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lends of poly(propylene carbon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and their use in decomposition molding
CN1249162C (zh) * 2000-08-02 2006-04-05 三井化学株式会社 树脂组合物及其用途
JP3939156B2 (ja) * 2002-01-23 2007-07-04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7135538B2 (en) 2003-11-12 2006-11-14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ble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rticle derived therefrom
JP2005220172A (ja) * 2004-02-03 2005-08-18 Mitsui Chemicals Inc ポリ乳酸系重合体収縮フィルム
JP2006265395A (ja) 2005-03-24 2006-10-05 Toray Ind Inc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465227C (zh) * 2005-10-21 2009-03-04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三元复配可完全生物降解的聚乳酸型复合材料制备方法
JP5332075B2 (ja) * 2005-11-11 2013-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CN101432360A (zh) * 2006-04-27 2009-05-13 巴斯夫欧洲公司 聚碳酸亚丙酯的透明共混物
KR100981270B1 (ko) 2008-02-20 2010-09-1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공중합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촉매를 회수하는 방법
KR101093582B1 (ko) 2008-12-11 2011-1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활성의 이산화탄소/에폭사이드 공중합 촉매의 효율적인 합성법
KR101120054B1 (ko) 2008-07-30 2012-03-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의 착화합물 및 이를 촉매로 사용한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AU2009295999B2 (en) * 2008-09-29 2013-12-19 Basf Se Biodegradable polymer mixture
CN101724242B (zh) * 2009-12-11 2012-02-29 内蒙古蒙西高新技术集团有限公司 Ppc与pbat、pcl及pla共混物及制备方法
CN101724249B (zh) * 2009-12-11 2011-11-09 内蒙古蒙西高新技术集团有限公司 Ppc与pbat、pcl、pbs及pla共混物及制备方法
EP2426174A1 (en) * 2010-09-03 2012-03-07 SK Innovation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sheet produc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9086A1 (ko) * 2013-06-28 2014-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508612B1 (ko) * 2013-06-28 2015-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US9663654B2 (en) 2013-06-28 2017-05-30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alkylene carbonate
KR20150087084A (ko) * 2014-01-20 2015-07-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114987A (ko) 2015-03-25 2016-10-0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합성된 고분자와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의 가교 결합된 공중합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2715A1 (en) 2013-04-25
JP2014530947A (ja) 2014-11-20
US8747970B2 (en) 2014-06-10
TW201335273A (zh) 2013-09-01
CN104011107B (zh) 2016-03-02
EP2771383A1 (en) 2014-09-03
KR101505443B1 (ko) 2015-03-25
TWI455999B (zh) 2014-10-11
WO2013062307A1 (en) 2013-05-02
CN104011107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443B1 (ko)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8252886B2 (en) Resin composition for sheet products
Lüftl et al. Polyoxymethylene handbook: structure, properties, applications and their nanocomposites
KR101505448B1 (ko) 시트용 수지 조성물
CN102656231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以及将其成型而得到的成型体、膜、板和注射成型品
JP4672409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05051108B (zh) 包含聚碳酸亚烷基酯的树脂组合物
CN102471563A (zh) 聚酯树脂组合物
CN101768344A (zh) 聚乳酸树脂组合物及其模制品
EP2844685A1 (en) Copolymers based on reactive polyesters and plasticisers for the manufacture of transparent, biodegradable packaging film
JP6557676B2 (ja) 多層ポリエステル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949979B1 (ko) 투명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이용
JP2007131756A (ja)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CN108948561A (zh) 一种木质素淀粉/pvc微发泡复合型材及其制备方法
Khankrua et al. Biopolymer blends based on poly (lactic acid) and polyamide for durable applications
JP6117107B2 (ja) 環境保全に配慮した熱収縮フィルム
KR101917175B1 (ko) 내한성이 우수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고분자 수지 조성물
Zhang et al. Insight into roles of different types of additives on mechanical and crystalline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CN102007182B (zh) 由乙烯丙烯酸烷基酯韧化的聚(羟基链烷酸)组合物
CN103502361B (zh) 生物基聚合物组合物
JP2007131757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102115244B1 (ko)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40039804A (ko) 기계적 물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05008671A (ja) 樹脂組成物
KR20140039826A (ko) 생분해성 및 인장신율이 우수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