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802A -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802A
KR20130040802A KR1020127025850A KR20127025850A KR20130040802A KR 20130040802 A KR20130040802 A KR 20130040802A KR 1020127025850 A KR1020127025850 A KR 1020127025850A KR 20127025850 A KR20127025850 A KR 20127025850A KR 20130040802 A KR20130040802 A KR 2013004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mposition
composition
dilution
mass
liquid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기노시타
겐지 구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3004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의한 희석 전후에서 취급하기 쉬운 농축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은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양성 계면활성제, (C) 5~15 질량%의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D) 8~18 질량%의 IOB 0.8~1.1에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E) 45 질량% 이하의 물을 포함하고, (A) 및 (B)의 합계가 40~60 질량%, 배합비 (C):(D)가 3.5:1~1:2.5인 액상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을 (A) 및 (B)의 농도가 15 질량%가 될 때까지 희석했을 때의 점도가 30 ℃에서 300 mPa·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NCENTRAT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특히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포함하고 물에 의한 희석 사용에 적합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고 있는 세정료로서 모발용 또는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모발용 또는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에는 액상 이외에, 고형 비누나 신데트바와 같은 고형상, 또는 세안폼과 같은 크림상의 조성물이 존재한다. 고형상 또는 크림상의 세정료는 친수기 부분이 카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지만 모발이나 피부에 적용했을 때의 사용감, 또는 경수(硬水)에서의 거품 생성·세정력이 좋지 않았다. 또한, 친수기 부분이 카본산이 아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형상 또는 크림상의 세정료도 알려져 있었지만, 사용감이나 사용 편리가 좋지 않았다. 그 때문에, 사용 편리의 관점에서도 모발용 또는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의 제형은 액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액상 세정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0~20 % 배합하면서 물을 60~80 % 포함하는 조성이었다.
한편, 최근 모발용 또는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의 생산 및 물류량은 화장품 분야에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다량(60~80 %)의 함수(含水)를 위해 중량이나 부피가 큰 종래의 액상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서는 그 물류에 소요되는 에너지 삭감이 과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한 대처방안으로서 운수(運輸) 기술·수단의 향상(로지스틱스의 효율화, 모달 시프트, 상품곤포기술의 개량 등)이나, 용기의 경량화(용기 중량의 삭감, 리필상품의 판매 등) 등의 노력이 이미 시행되고 있다.
에너지 삭감의 수단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물류면에서의 노력 이외에, 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시에 소요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억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함수량이 많은 액상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승온·냉각의 공정을 필요로 하는 한편, 그 에너지 삭감 효과에는 제조상의 한계가 있고 충분한 효과를 얻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헤어샴푸 등의 액상의 모발용 또는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서는 에너지 삭감을 위해 이상과 같은 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에너지 소비의 큰 원인으로 되어 있는 조성물 중의 수분 그 자체의 감소에 관해서는 모두(冒頭)에 설명한 사용감의 문제 등으로부터 아직 충분한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사용자의 시점에서도 아웃도어에서의 사용에도 대응 가능한 경량이고 콤팩트한 헤어 샴푸의 요구는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헤어 샴푸의 함수량의 감소는 제조나 운반에서의 많은 에너지의 저하, 더 나아가서는 지구환경 향상에 공헌이 기대되는 측면에서 시장 요구에도 합치된다.
액상 세정제 조성물에 다량의 물이 포함되어 있는 요인 중 하나로서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원료가 계면활성제의 25~35 % 수용액의 형태로 널리 유통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세정제 조성물의 함수량을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고농도화가 필요로 된다. 그러나, 계면활성제 농도가 높아지면 통상 용액의 점도가 현저하게 증대되어, 제품조제는 매우 곤란해진다. 또한, 일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는 65~75 % 수용액의 형태로 유통하고 있었지만, 다른 함수 성분이나 물과 혼합하면 현저한 점도 상승을 발생시키므로, 그 사용에 있어서는 특수한 혼합 장치가 필요했다. 그래서, 계면활성제를 고농도의 상태로 이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음이온성, 양성, 비이온성으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많은(30 질량%~) 모발세정료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 장쇄 에스테르 및 특정의 다가알콜을 함께 배합함으로써, 기포성(起泡性)과 보습성이 부여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조성물의 함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므로, 감수(減水)한 경우의 다가알콜에 의한 조성물의 겔화나 그 억제에 관한 언급은 없다.
한편,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는 고농도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또는 알킬 황산염을 사용하기 쉽게 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글리세릴에테르 또는 디글리세릴에테르(특허문헌 2), 또는 특정 구조의 알콜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특허문헌 3)에 수용성 염류를 조합하여 배합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농도가 고농도의 조건하에서의 점도 상승이나 겔화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물 및 비(非)아미노 관능성 용매를 합계 5~45 중량% 포함하는 콤팩트한 액체 세탁세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20s-1로 측정되었을 때, 1 Pa·s~10 Pa·s의 순점도 Vn과, 0.5 Vn 이하의 희석점도(Vd)를 갖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희석으로 묽게 한다. 즉,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조성물은 희석전후에서 대폭적인 점도 저하를 나타내는 세탁세제 조성물이다.
일본 특허공보 제364465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655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55997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9-536250호
상기한 각 특허문헌의 기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농도의 계면활성제를 취급하는 경우 핸들링의 향상이나 물에 의한 희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겔화 억제제에 상당하는 성분이 배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겔화 억제제의 배합에 의해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계(系), 즉 함수량을 감소시킨 모발세정제 조성물을 취급하기 쉬운 점성의 것으로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계면활성제를 고농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안전성의 관점이나, 소량의 세정제로 머리 전체를 감는다는 번거로움·사용상의 어려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모발세정제 조성물로서의 안전성이나 사용성을 고려하면, 계면활성제가 고농축된 조성물을 수송·제공한 후에 사용시 또는 사용전에 물로 희석하고 통상 농도의 액상 조성물의 상태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 고농도의 계면활성제 의한 점도 상승을 겔화 억제제 등으로 억제한 조성물은 당연히 물로 희석할수록 점도가 저하되어 적절한 점성을 갖는 통상의 액상 세정제 조성물과 같은 사용감촉이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특허문헌 3에서는 조성물을 희석하는 도중이나 희석한 후의 점도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고, 또한 특허문헌 4의 기술에서는 희석에 의해 조성물의 점도가 반 이하가 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 때문에 농축되어 있어도 통상 농도까지 물로 희석된 후에도 사용에 적합한 점성을 나타내는 농후한 세정제 조성물은 제품 또는 반제품·원료로서 아직 실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물에 의한 희석 전후에서 취급하기 쉬운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세정 성분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매질로서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및 특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조성물이, 물 희석에 의한 점도 변화가 작고 희석이 용이하며, 희석 전후에도 취급이 용이한 농도를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양성 계면활성제, (C) 5~15 질량%의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D) 8~18 질량%의 IOB 0.8~1.1에서 분자량이 500 이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E) 45 질량% 이하의 물을 포함하고, (A) 및 (B)의 합계가 40~60 질량%, 배합비 (C):(D)가 3.5:1~1:2.5인 액상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을 (A) 및 (B)의 농도가 15 질량%가 될 때까지 희석했을 때의 점도가 30 ℃에서 300 mPa·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에서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평균 탄소수 10~14의 장쇄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및/또는 장쇄 지방산 디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에서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에서 추가로 유기성 또는 무기성의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사용방법은 물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 (C)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및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에 (B) 양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을 가하여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점도를 유지한 채, 물로 용이하게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농축 타입의 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액상 세정제로서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제조시 및 수송시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용기·외장의 사용·폐기에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지구환경의 향상에 대한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은 함수량이 적으므로 콤팩트하고 취급하기 쉬운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행기로의 반입이나 아웃도어에서의 사용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다량의 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종래보다도 단시간에 저에너지로 제조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세정 성분의 희석 배율에 따른 점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구성 성분으로서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양성 계면활성제, (C)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D) IOB 0.8~1.1에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E) 물을 포함하는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A)+(B) 성분이 특정 농도가 될 때까지 물로 희석할 때의 점도 변화가 매우 적은 점에서, 적절한 점도를 유지한 채로 용이하게 원하는 농도까지 희석할 수 있다.
종래의 액상 세정제 제조에 있어서 세정 성분인 음이온성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각각 다량으로 배합하여 농도를 높이거나, 또는 건조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액상 세정제의 함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세정 성분이 농축된 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성물을 물로 희석하고자 하면 그 과정에서 매우 점도가 상승하는 영역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1의 시험예 1에는 세정 성분으로서 일반적인 POE 라우릴 에테르 설폰산 나트륨(이하 LES)의 70 % 수용액(Texapon N70, 코그니스사제)을 여러 배율로 희석한 경우의 조성물 점도(30 ℃)의 변화가 나타나 있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LES 70 % 수용액은 희석 개시로부터 점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희석 배율이 1.5 배일 때 피크(약 100만 mPa·s)를 나타낸다. 또한, 희석 배율이 2 배를 초과하면 점도는 급격하게 하강하고 희석 배율 2.5 배에서는 약 100 mPa·s까지 떨어진다. 즉, 세정 성분으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통상의 3배 농도로 배합된 농축액상 세정제는 묽게 하려고 하면, 우선 혼합 곤란할 정도로 단단해지고, 이어서 급격하게 물러지는 불안정한 거동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시험예 2는 POE 라우릴에테르 황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 알킬(8~16) 글루코시드를 포함하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약 45 %, 계면활성제의 총량이 약 64 %인 세정제의 혼합기제(Plantapon611C, 코그니스사제)의 희석에 의한 점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시험예 2의 조성물도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희석 배율에 따라서 점도가 급상승·하강하고 희석하여 사용하는 농축물로서는 매우 취급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세정 성분의 희석에 의한 점도변화는 활성제의 회합(會合) 구조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용매(물) 중에서의 임계미셀농도(이하 cmc)를 초과하면 끈 형상 미셀을 형성하고, 더욱 농도를 높여가면, 헥사고날 액정을 거쳐 라멜라 액정으로 회합체 구조가 변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농도의 계면활성제를 단순히 물로 희석하는 경우, 그 회합체 구조는 라멜라 액정→헥사고날 액정→끈 형상 미셀로 변화되는 것이 된다. 그 중, 라멜라 액정 및 헥사고날 액정은 점도가 높은 겔상 구조물이고 특히 헥사고날 액정은 매우 단단한 겔이다. 즉, 도 1의 시험예 1, 시험예 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고점도 영역은 계면활성제의 회합체 구조가 라멜라 액정 또는 헥사고날 액정이 되는 영역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세정 성분의 용매로서 용해도가 높은 알콜을 첨가하면 cmc가 상승하고, 계면활성제는 고농도의 상태에서도 끈 형상 미셀의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의 시험예 3은 POE 라우릴에테르 황산나트륨을 순분(純分)으로 32 질량%, 양성 계면활성제를 순분으로 8 질량% 포함하는 세정제의 혼합기제에 디프로필렌글리콜을 8 질량% 배합한 계에서의 점도 변화이다. 시험예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는 끈 형상 미셀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라멜라 액정 및 헥사고날 액정으로의 변화에 기인하는 점도 상승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희석 배율이 높아지면 바로 점도가 감소되어 세정에 적합한 점도(약 300 mPa·s)를 유지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세정제 조성물로서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점도 감소는 알콜이 미셀에서의 친수기의 패킹 상태를 약화시키고 유동성을 높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또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것이다. 보조계면활성제는 알콜이 친수기의 패킹을 약화시키는 것에 비해, 서서히 회합체에 들어가 소수성 상호 작용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도 1의 시험예 3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아미논 C11, 가오사제)를 배합한 시험예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형상 미셀은 물에 의한 희석에 의해서도 유동성이 높아지지 않고 적절한 점도를 계속 유지한다.
우선, 본 발명에 배합되는 (A)~(E)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배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일반식 (Ⅰ)에서,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0~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또한,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X로서는 수소원자 이외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암모늄, 저급알칸올아민 양이온, 저급알킬아민 양이온, 염기성 아미노산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POE(1~3)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 POE(1~3)알킬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1~3)라우릴에테르 황산암모늄, POE(1~3)라우릴에테르 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알킬황산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일반식 (Ⅱ)에서,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0~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X로서는 수소원자 외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암모늄, 저급 알칸올아민 양이온, 저급 알킬아민 양이온, 염기성 아미노산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킬황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암모늄, 미리스틸황산칼륨, 라우릴황산나트륨, 코코일황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Ⅲ)으로 표시되는 N-아실타우린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상기 일반식 (Ⅲ)에서,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0~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X1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또한, X2로서는 수소원자 외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암모늄, 저급 알칸올아민 양이온, 저급 알킬아민 양이온, 염기성 아미노산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N-아실타우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N-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N-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N-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Ⅳ) 및 일반식 (Ⅴ)로 표시되는 N-아실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상기 일반식 (Ⅳ) 및 일반식 (Ⅴ)에서,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0~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X로서는 수소원자 이외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암모늄, 저급 알칸올아민 양이온, 저급 알킬아민 양이온, 염기성 아미노산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N-아실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Ⅵ)으로 표시되는 히드록시에테르카본산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6
상기 일반식 (Ⅵ)에서,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4~34, 보다 바람직하게는 8~25이다.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4 미만 또는 34를 초과하는 경우 충분한 기포성, 사용감이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X1, X2 중 적어도 한쪽은 -CH2COOM 또는 -CH2CH2COOM이고, 다른쪽은 수소원자이어도 좋다.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암모늄, 저급 알칸올아민 양이온, 저급 알킬아민 양이온,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양이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Ⅶ)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본산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7
상기 일반식 (Ⅶ)에서, R은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4~34, 보다 바람직하게는 8~25이다. 또한, n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다. M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암모늄 또는 알칸올아민 등의 염 형성성 양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본 발명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본산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특히 바람직하게는 POE(2)라우릴에테르 황산나트륨이다. 상기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Texapon N70(코그니스사제)나 시노린 SPE-1250(신닛폰리카샤제)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에서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에 대하여 순분으로 20~40 질량%, 바람직하게는 25~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6~28 질량%이다. (A)성분의 배합량이 조성물에 대하여 순분으로 20 질량%를 채우지 못하는 경우 또는 40 질량%를 초과한 경우, 희석전의 조성물의 점도가 높은 것이 되어 조제가 곤란해지고, 희석중에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증대되어 희석이 곤란해지거나, 또는 희석후의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낮아져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시판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원료는 25~35, 또는 65~75 % 농도의 유동성이 있는 수용액, 또는 물을 포함하지 않고 85~100 % 농도의 고형상으로서 시장에 공급되고 있고, 통상은 25~35 % 농도의 수용액으로 된 원료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축된 조성물을 수득한다는 관점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보다 고농도,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건조·분말화된 원료가 아니고 액상에 용해된 원료쪽이 생산의 용이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중의 활성제 농도 순분이 고농도일수록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농후하게 포함하는 농축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B) 양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배합되는 양성 계면활성제에 관해서도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Ⅷ) 및 (Ⅸ)로 표시되는 아세트산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상기 일반식 (Ⅷ) 및 일반식 (Ⅸ)에서, R은 직선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0~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상기와 같은 아세트산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팜핵유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별도의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Ⅹ)로 표시되는 이미다졸린형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0
상기 일반식 (Ⅹ)에서, R은 직선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0~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상기와 같은 이미다졸린형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N-야자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 2-운데실-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ⅩⅠ)로 표시되는 제 3 급 아민옥시드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1
상기 일반식 (ⅩⅠ)에서, R1은 탄소수 8~22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2 및 R3는 각각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제 3 급 아민옥시드로서는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디메틸아민옥시드, 라우린산디메틸아민옥시드, 테트라데실디메틸아민옥시드, 도데실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활성제 중,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양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팜핵유 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이다. 상기 물질로서 예를 들어 아논 BL-SF(니치유사제), 레본2000-SF(산요가세이사제), Genagen Cab 818J(클라리언트재팬사제), TEGO Betain C60(Degussa사제), Dehyton PK45(코그니스사제), 닛산아논BDC-SF(닛폰유시사제), 오바조린662N(도호가가쿠사제)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B)양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에 대하여 순분으로 10~20 질량%, 바람직하게는 11~17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6 질량%이다. (B)성분의 배합량이 조성물에 대하여 10 질량%를 채우지 않으면, 희석후 용액의 점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이 20 질량%를 초과하면, 희석전 조성물의 점도가 높은 것이 되어 조제가 곤란해지거나, 또는 희석중에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증대되어 희석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시판의 양성 계면활성제 원료는 통상 25~40 % 수용액으로서 시장으로 공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농축된 조성물을 수득한다는 관점에서 양성 계면활성제가 보다 고농도,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료 중의 활성제 농도 순분이 고농도일수록, 양성 계면활성제를 농후하게 포함하는 농축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정 성분인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배합량이, 조성물에 대하여 순분으로 40~60 질량%이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합계의 배합량이 순분으로 40 질량%를 채우지 않으면, 농후 조성물로서의 장점이 희박해지고 매력이 부족하다. 한편, 60 질량%를 초과하면 물로 희석하기 쉬운 조성물이 수득되지 않는다.
(C)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A) 및 (B)성분의 매질로서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각각 1 종 또는 2 종 이상 함유한다.
본 발명에 배합되는 1 가 또는 2 가의 알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농축 세정제 조성물로서의 보존안정성이나, 희석시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상기 조성물의 보존·사용이 상정(想定)되는 50 ℃ 미만에서 액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1 가 알콜로서 에탄올, 이소스테아릴알콜, 호호바알콜, 2가 알콜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1,2-옥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이다.
본 발명에서의 (C) 1 가 또는 2 가의 알콜의 배합량은 조성물에 대하여 5~1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3 질량%이다. (C)성분의 배합량이 조성물에 대하여 5 질량%를 채우지 않으면, 희석전의 조성물의 점도가 높은 것이 되어 조제가 곤란해지거나, 또는 희석중에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증대되어 희석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이 15 질량%를 초과하면 희석후 용액의 점도가 현저하게 낮아져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D) IOB 0.8~1.1에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기 개념도에서의 IOB가 0.8~1.1에서 분자량이 500 이하가 되는 화합물이다.
이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장쇄 지방산 디에틸렌글리콜, 장쇄 지방산 프로필렌글리콜, 장쇄 지방산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장쇄 지방산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장쇄 지방산(POE)2모노에탄올아미드 등 중, 상기 IOB범위와 상기 분자량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IOB가 0.8을 하회하거나 또는 IOB가 1.1을 상회하면 희석중에 현저한 점도 상승을 발생시키는 문제, 희석후의 점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 또는 희석후의 용액 조성물이 1 상이 아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분자량이 500을 초과하면 희석후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평균 탄소수 10~14의 지방산 디에틸렌글리콜, 평균 탄소수 10~14의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이다.
또한, 시판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린산 디에틸렌글리콜로서 게나폴 DEL(클라리언트재팬사제)를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로서 아미논 C-11(가오사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D)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에 대하여 8~18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 질량%이다. (D)성분의 배합량이 조성물에 대하여 8 질량%를 채우지 않으면, 희석후 용액의 점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이 18 질량%를 초과하면 희석전 조성물의 점도가 높은 것이 되어 조제가 곤란해지거나, 또는 희석중에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증대되어 희석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성분과 (D)성분의 합계 배합량은 (A)성분 및 (B)성분을 순분으로 4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24 질량%이다. 특히, (C)와 (D)의 배합비는 (C):(D)=3.5:1~1:2.5, 바람직하게는 2:1~1:1.5로 한다. 상기 합계 배합량이 20 질량%를 채우지 않는, 즉 (A)성분 및 (B)성분의 비율이 너무 크면, 농축 세정제 조성물이 물로 희석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합계 배합량이 30 질량%를 초과하는, 즉 (A)성분 및 (B)성분의 비율이 너무 작으면, 농축 세정제 조성물의 물로의 희석은 용이하지만, 희석후 용액의 점성이 너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E) 물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45 질량% 이하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물은 단독 성분으로서 적절하게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통상은 계면활성제 원료의 용매로서 포함되는 물로서의 배합으로 충분하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은 25~40 % 정도의 고농도 수용액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계면활성제를 상기 수용액의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의 물의 배합을 겸할 수 있다.
45 질량%를 초과하는 물의 존재는 제품의 제조나 운반에 소요되는 에너지 삭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 (C)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후, (B) 양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을 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조성물로부터 물을 감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고점도 영역에 직면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실온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을 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한다. 이 때, 점도가 증대되어 혼합에 의한 거품이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된 경우에는 가열해도 좋다. 그 후, 양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을 가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종래의 함수량이 많은 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는 구성성분을 혼합하는 순서가 조성물의 제조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에서는 첨가순서가 상기와 다르면, 현저하게 점도가 상승하고, 조성물의 제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성분 및 제조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헤어샴푸로서 모발에 도포하기 전의 헤어샴푸 전구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사용시에 적정량을 물 등과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종래의 헤어샴푸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희석 배율은 상기 필수 성분의 배합량 및 이들의 배합비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통상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 농도가 순분으로 15 질량%가 될 때까지 희석함으로써 종래의 액상 헤어샴푸와 동일한 정도의 세정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A)+(B)의 배합량이 조성물에 대하여 순분으로 40 질량%인 경우에는 적당한 희석배율은 약 2.6이 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A) 및 (B)의 합계 농도가 순분으로 15 질량%가 될 때까지 물로 희석하는 동안의 점도 변화의 폭, 및 동(同) 희석후의 조성물의 점도에 대해서 평가를 실시했지만, 이는 15 질량%를 표준적인 희석 배율로 하여 사용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농축 세정제 조성물의 희석 배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희석하는 물의 온도는 고온이 될수록 희석 속도가 빨라지지만, 실온(20~30 ℃)의 물로 충분히 희석할 수 있다. 또한, 희석하는 물의 경도는 희석 속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희석 방법에 따라서는 경도가 높아도 충분히 희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은 사용할 때마다 필요량을 손바닥 위에서 희석하여 사용해도 좋고, 사용전에 미리 적당한 크기의 용기에 한꺼번에 희석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에는 함수량에 의존하는 고점도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희석전-희석중-희석후에 걸쳐 취급하기 쉬운 점도가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조성물은 30 ℃에서의 점도가 20000 mPa·s 이하이면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고, 50000 mPa·s를 초과하면 혼합이 곤란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원액)의 액점도, 및 상기 조성물을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 농도가 순분으로 15 질량%가 될 때까지 물로 희석하는 동안의 액점도는 30 ℃, 상압하에서 500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0 mPa·s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희석후의 액점도는 30 ℃, 상압하에서 300 mPa·s 이상으로 한다. 희석후, 즉 사용시의 조성물의 점도가 300 mPa·s를 만족하지 않으면 점도가 너무 낮아 취급하기 어렵고, 조성물을 모발 전체에 도포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희석후의 액점도는 세정제로서의 사용시의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300~20000 mPa·s(30 ℃)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의 점도가 20000 mPa·s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세정 대상으로의 도포 및 용기로의 출입이 곤란해진다.
즉, 본원에서 「희석전후 모두 취급하기 쉬운」조성물이라는 것은 계면활성제의 회합체 구조의 영향 등에 의한 상기 희석 중의 점도 상승(점도 변화)이 50000 mPa·s, 바람직하게는 20000 mPa·s까지이고 상기 희석후(사용시)에서의 점도가 300 m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20000 mPa·s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그 희석물의 상(相) 상태는 1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상으로 분리된 상태이면 조성물 취급의 용이성 뿐만 아니라, 안정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고점도 영역에 있는 조성물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보다 물로 희석하기 쉽게 하기 위해 유기성 또는 무기성의 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으로서는 유기산염, 아미노산염, 무기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락트산, 수산, 숙신산, 말산, 주석산, 설폰산 등의 염산염,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염으로서는 글리신, 알라닌, 프롤린, 리진,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등의 염산염,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암모늄 등의 탄산염, 인산염, 질산염, 붕산염, 황산염, 아황산염, 할로겐 화합물(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의 배합량은 조성물에 대하여 0.1~5.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질량%이고,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또는 시트르산나트륨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분말 성분,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pH조정제, 피부영양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조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유분으로서는 액체 유지, 고체 유지, 탄화수소유, 실리콘유를 들 수 있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어 아보카드유, 동백나무유, 터틀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 기름, 난황유, 참기름, 살구씨 기름, 소맥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사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면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시나기리유, 일본 오동나무 기름,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어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세린, 미세결정질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어, 사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고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차원 그물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알킬 공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 변성 폴리실록산, 직쇄 아미노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아미드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아미노글리콜 변성 폴리실록산, 아미노페닐 변성 폴리실록산, 카르비놀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글리세린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폴리실록산 등), 디메티코놀, 아크릴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의 배합 조건으로서는 조성물 중에서 가용화되어 있어도 좋고 유화되어 있어도 좋으며, 또한 유화된 경우의 입자경도 통상의 세정제 조성물의 기술과 동일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등); 알킬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사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콜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 칼슘(소(燒) 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틴산 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가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어, 흑산화철, 저차 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산화티탄 코팅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팅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팅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생선 비늘박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 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캬로브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쿠인스시드(마루메로), 알지콜로이드(갈조류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유도체(POE·POP 변성, 알킬 변성, 양이온화, 음이온화, 실릴화류)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 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스, 셀룰로스말(末) 및 이들 고분자 소수(疏水) 변성 화합물<예: 일부를 스테아르옥시 변성> 및 이들 고분자의 양이온 변성 화합물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펙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형 양이온성 고분자(예를 들어, 머쿼트 100(Merquat 100) 미국 머크사제); 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형 양이온성 폴리머(예를 들어, 머쿼트 550(Merquat 550) 미국 머크사제); 아크릴계 고분자(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규산 AlMg(비검); 폴리쿼타늄-39; 폴리쿼타늄-47; 폴리쿼타늄-74;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캬로브검, 쿠인스시드(마루메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 나트륨, 아라긴산 나트륨,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트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스, 크산탄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비검), 라포나이트, 무수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이하, PABA라고 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질리덴)-d,l-캄퍼, 3-벤질리덴-d,l-캄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어,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사나트륨염,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삼나트륨, 에데트산 사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린산 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빈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 삼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락트산-락트산 나트륨,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 숙신산-숙신산 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예를 들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테인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토코페롤류,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1,2-알칸디올(탄소 사슬 길이 6~14) 및 그 유도체,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오졸리온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어, 황벽나무, 황련, 자근, 작약, 쓴풀, 자작나무, 세이지, 비파나무, 인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쌀, 수세미, 백합, 샤프란, 천궁이,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잇꽃,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바레닐아미드,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징게론, 칸타리스 팅크,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올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어, 유황, 티안톨 등); 항염증제(예를 들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방향족 알콜(벤질알콜, 벤질옥시에탄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축 세정제 조성물은 두발용 샴푸, 바디용 세정료, 세안료, 유유아(乳幼兒)용 샴푸, 유유아용 바디 세정료, 주방용 세정제, 의료용 세제, 그 밖의 각종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고, 각각의 사용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배합량에 대해서는 모두 질량%로 나타낸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및 그 희석물)의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농축 세정제 조성물(및 그 희석물 )의 평가방법
농축 세정제 조성물(및 그 희석물)의 점도는 각각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1분간 회전시킨 후의 수치로서 측정했다.
또한, 물로의 희석의 용이성은 농축 세정제 조성물에 물을 가하고, 음이온성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혼합 농도가 15 질량%가 되도록 희석했을 때의 교반 혼합의 용이성으로부터 평가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나사구 시험관에 소정량의 농축 세정제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고, 가볍게 흔든 횟수로부터 판단하여 「희석 중의 평가」로서
희석중에 대폭적인 점도 증가가 인정되지 않고 희석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A」,
희석 중에 대폭적인 점도 증가가 인정되지 않고 희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B」,
희석은 가능하지만 희석 중에 대폭적인 점도 증가가 인정되는 것을 「C」로서 나타냈다.
또한, 「희석후 용액의 외관 평가」로서 상기 희석후의 세정제 조성물(희석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희석후 용액의 상(相) 상태를 평가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배합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하기 표 1에 기재하는 처방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괄호로 표시한 수치는 계면활성제의 순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제조방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에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교반 혼합한 후, 양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가하여 혼합하고,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를 합쳐 순분으로 40 질량% 이상 배합한 시험예 1-2는 희석의 용이성이 우수하고, 또한 희석후의 점도도 세정료로서 적정도(300~20000 mPa·s)였다.
한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낮게 한 시험예 1-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의 한쪽밖에 배합할 수 없었던 시험예 1-3 및 1-4는 희석 중의 점도 증가나 희석후 조성물의 저점도화가 현저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를 합계, 순분으로서 4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 및 보조계면활성제(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기재하는 처방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괄호로 표시한 수치는 계면활성제의 순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제조 방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에 알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교반 혼합한 후 양성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혼합하고,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라우린산 디에틸렌글리콜 중 어느 한쪽만을 배합한, 시험예 2-1 및 시험예 2-6에서는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낮아지거나, 또는 현저하게 높아졌다. 또한, 디프로필렌글리콜과 라우린산 디에틸렌글리콜을 조합한 시험예 2-2~2-5에서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다량으로 배합한 시험예 2-2는 희석후의 점도의 평가가 양호하지는 않았다.
한편,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라우린산 디에틸렌글리콜이 적정량 배합된 시험예 2-3~2-5에서는 모든 평가 항목이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는 알콜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정량으로 조합시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적인 시험의 결과, 본 발명에서 알콜의 배합량을 5~15 질량%의 범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을 8~18 질량%, 또한 두 성분의 배합비(알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3.5:1~1:2.5로 하면, 상기 모든 평가에 우수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이 수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알콜의 배합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하기 표 3에 기재하는 처방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괄호로 나타낸 수치는 계면활성제의 순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제조방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에 알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교반 혼합한 후, 양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가하여 혼합하고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프로필렌글리콜(2 가 알콜) 및 에탄올(1 가 알콜)을 배합한 시험예 3-1, 3-2는 희석의 용이성이 우수하고, 또한 희석후의 점도도 세정료로서 적정도(300~20000 mPa·s)였다.
한편, 글리세린(3 가 알콜)을 사용한 시험예 3-3에서는 희석후의 점도가 높아지고 사용시 취급의 용이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는 1 가 또는 2 가의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하기 표 4 및 표 5에 기재하는 처방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괄호로 나타낸 수치는 계면활성제의 순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Mw: 평균분자량
(제조방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에 알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교반 혼합한 후 양성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혼합하고,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IOB값이 0.8~1.1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4-1, 4-2에서는 희석 중의 점도 변화의 낮음 및 희석후의 점도의 정도가 우수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이 수득되었다.
한편, IOB값이 0.8 미만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4-3, 4-7에서는 희석후 용액이 2 상 상태가 되었다. IOB값이 1.1을 초과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4-4, 4-8은 희석중의 점도 변화의 낮음 및 희석후의 점도의 정도가 우수한 농축 세정제 조성물이 되지는 않았다.
또한, IOB값 0.8~1.1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그 이외의 IOB값의 것을 병용한 시험예 4-5에서는 희석후 용액의 외관이 좋아지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IOB가 0.8~1.1의 범위이어도 분자량이 높은 장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시험예 4-6에서는 희석후의 조성물 점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이 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는 IOB값이 0.8~1.1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소수기·친수기가 모두 장쇄를 갖지 않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검토한 결과,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평가에 추가하여 하기 평가를 실시하고, 염의 배합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하기 표 6 및 표 7에 기재하는 처방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표 중의 괄호로 나타낸 수치는 계면활성제의 순분을 나타낸다.
하기 표 6에서 시험예 5-1의 조성물을 1.5 배, 2.0 배, 2.5 배, 2.82 배, 3 배로 물로 희석한 것이, 각각 시험예 5-2, 5-3, 5-4, 5-5, 5-6이다.
마찬가지로, 하기 표 7에서 시험예 5-7의 조성물을 1.5 배, 2.0 배, 2.5 배, 2.82 배, 3 배로 물로 희석한 것을 각각 시험예 5-8, 5-9, 5-10, 5-11, 5-12로 했다.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제조방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에 알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교반 혼합한 후, 염 및 양성 계면활성제 용액을 가하여 혼합하고,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표 6 및 표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염을 배합한 시험예 5-7은 무배합의 시험예 5-1에 비하여 염의 배합에 의해 희석 전후의 점도차가 작고, 희석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우수했다. 또한, 염의 배합에 의해 희석전·희석중의 점도가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희석후의 점도가 적정하게 높은 조성물이 수득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 추가로 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처방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농축 헤어샴푸>
(성분) (질량%)
70 %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황산나트륨 용액
(Texapon N70, 코그니스사제) 20.0
70 % 라우릴황산암모늄 용액(Texapon ALS70, 코그니스사제) 15.0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1.8
39 %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용액
(Dehyton PK45, 코그니스사제, 염화나트륨 6 % 함유) 37.0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8.3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0.5
디프로필렌글리콜 12.0
소르비톨 1.5
폴리쿼타늄-7(머쿼트2200, 나르코사제) 0.2
폴리쿼타늄-10 0.1
시트르산 0.5
시트르산나트륨 0.5
(비스이소부틸PEG-14/아모디메티콘)코폴리머 0.1
미리스틸알콜 0.5
멘톨 0.4
페녹시에탄올 0.8
POP(70)데카글리세릴에테르(베르타몰DG-25, 니치유사제) 0.1
향료 0.7
(제조방법)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황산나트륨 용액 및 라우릴황산암모늄 용액에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및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와 디프로필렌글리콜을 교반 혼합한다. 또한,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고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되는 조성물은 물에 용이하게 희석할 수 있고, 물로 2.71배로 희석함으로써 헤어샴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처방예 2 농축 샤워젤>
(성분) (질량%)
70 % 폴리옥시에틸렌(1)라우릴황산나트륨
(시놀린SPE1150, 신닛폰리카사제) 34.5
90 % 라우레스-4카본산(Empicol CBC, 한츠만사제) 3.0
30 % 암모니아수 0.4
40 %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닛산아논BL-SF, 니치유사제) 31.5
85 %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TEGO Betain CK D, 데갓사사제, 염화나트륨 15%) 7.0
라우린산 디에틸렌글리콜(클라리언트재팬사제) 8.0
POE(1)-1,2-도데칸디올 1.0
디프로필렌글리콜 12.3
양이온화 로커스트빈검 0.2
페녹시에탄올 0.8
안식향산 나트륨 0.2
락트산 0.2
PPG(70)글리세릴 0.1
향료 0.8
(제조방법)
폴리옥시에틸렌(1)라우릴황산나트륨, 90 % 라우레스-4 카본산, 암모니아수를 교반 혼합한다. 이 용액에 라우린산 디에틸렌글리콜, POE(1)-1,2-도데칸디올과 디프로필렌글리콜을 교반 혼합한다. 또한,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고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되는 조성물은 물에 용이하게 희석할 수 있고 물로 3.03배로 희석함으로써 샤워젤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처방예 3 농축 헤어샴푸>
(성분) (질량%)
90 % 라우레스-4카본산(Empicol CBC, 한츠만사제) 30.0
30 % 이미다졸륨베타인(오바조린 662N, 도호가가쿠사제) 10.0
40 %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닛산아논BL-SF, 니치유사제) 30.0
라우린산디에틸렌글리콜(클라리언트재팬사제) 11.1
디프로필렌글리콜 6.0
에탄올 6.0
30 % 암모니아수 4.0
양이온화 구아검(카티날CG-100S, 도호가가쿠사제) 0.2
염화나트륨 1.0
페녹시에탄올 0.8
POP(70)데카글리세릴에테르(베르타몰DG-25, 니치유사제) 0.1
향료 0.8
(제조방법)
라우레스-4카본산, 암모니아수에 라우린산 디에틸렌글리콜과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을 교반 혼합한다. 또한,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되는 조성물은 물에 용이하게 희석할 수 있고 물로 2.8 배로 희석함으로써 헤어샴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처방예 4 농축 샤워젤>
(성분) (질량%)
70 % 폴리옥시에틸렌(1)라우릴황산나트륨
(시놀린SPE1150, 신닛폰리카사제) 28.0
70 % 폴리옥시에틸렌(3) 라우릴황산나트륨
(시놀린 SPE1350, 신닛폰리카사제) 4.5
90 % 라우레스-4카본산(Empicol CBC, 한츠만사제) 3.0
30 % 암모니아수 0.4
85 %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TEGO Betain CK D, 데갓사사제, 염화나트륨 15 %) 25.0
27 %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ST-TS, 닛폰유시가부시키가이샤제) 13.7
라우린산디에틸렌글리콜(클라리언트재팬사제) 7.0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2.0
디프로필렌글리콜 13.3
폴리쿼타늄-47(21 % 수용액) 1.0
페녹시에탄올 0.8
안식향산 나트륨 0.2
락트산 0.2
PPG(70)글리세릴 0.1
향료 0.8
(제조방법)
폴리옥시에틸렌(1)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황산나트륨, 90 % 라우레스-4카본산, 암모니아수를 교반 혼합한다. 이 용액에 라우린산디에틸렌글리콜,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와 디프로필렌글리콜을 교반 혼합한다. 또한,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고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되는 조성물은 물에 용이하게 희석할 수 있고 물로 3.36 배로 희석함으로써 샤워젤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처방예 5 농축헤어샴푸>
(성분) (질량%)
70 %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황산나트륨 용액
(Texapon N70, 코그니스사제) 20.0
70 % 라우릴황산암모늄 용액(Texapon ALS70, 코그니스사제) 15.0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1.8
39%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용액
(Dehyton PK45, 코그니스사제, 염화나트륨 6 % 함유) 37.0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7.5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0.5
디프로필렌글리콜 13.0
소르비톨 0.5
(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크릴아미드)코폴리머
(20% 수용액) 1.0
폴리쿼타늄-10 0.1
시트르산 0.5
시트르산나트륨 0.5
(비스이소부틸 PEG-14/아모디메티콘)코폴리머 0.1
미리스틸알콜 0.5
멘톨 0.4
페녹시에탄올 0.8
POP(70)데카글리세릴에테르(베르타몰DG-25, 니치유사제) 0.1
향료 0.7
(제조방법)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황산나트륨 용액 및 라우릴황산암모늄 용액에,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및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와 디프로필렌글리콜을 교반 혼합한다. 또한,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고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되는 조성물은 물에 용이하게 희석할 수 있고 물로 2.71배로 희석함으로써 헤어샴푸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양성 계면활성제,
    (C) 5~15 질량%의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D) 8~18 질량%의 IOB 0.8~1.1에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E) 45 질량% 이하의 물
    을 포함하고, (A) 및 (B)의 합계가 40~60 질량%, 배합비 (C):(D)가 3.5:1~1:2.5인 액상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을 (A) 및 (B)의 농도가 15 질량%가 될 때까지 희석했을 때의 점도가 30 ℃에서 300 mPa·s 이상인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평균탄소수 10~14의 장쇄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및 장쇄 지방산 디에틸렌글리콜 중 1 이상인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유기성 또는 무기성의 염을 포함하는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5. 물과 혼합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사용방법.
  6.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 (C) 1 가 또는 2 가의 알콜 및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그 후 (B) 양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는, 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7025850A 2010-04-12 2010-12-28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0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91799 2010-04-12
JP2010091799A JP4912483B2 (ja) 2010-04-12 2010-04-12 濃縮液状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0/073771 WO2011129034A1 (ja) 2010-04-12 2010-12-28 濃縮液状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802A true KR20130040802A (ko) 2013-04-24

Family

ID=4479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850A KR20130040802A (ko) 2010-04-12 2010-12-28 농축액상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30053295A1 (ko)
EP (1) EP2559749A4 (ko)
JP (1) JP4912483B2 (ko)
KR (1) KR20130040802A (ko)
CN (1) CN102947436B (ko)
BR (1) BR112012025881A2 (ko)
HK (1) HK1178198A1 (ko)
RU (1) RU2517692C1 (ko)
TW (1) TWI406936B (ko)
WO (1) WO2011129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3753A1 (en) * 2007-06-29 2012-04-19 Fevola Michael J Cationic polyglyceryl compositions and compounds
JP5248690B2 (ja) * 2011-03-16 2013-07-31 株式会社 資生堂 濃縮液状毛髪洗浄剤組成物
WO2013122219A1 (ja) * 2012-02-15 2013-08-22 公益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カルボン酸系界面活性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した洗浄剤並びに消火剤
BR112014027633A2 (pt) * 2012-05-22 2017-06-27 Unilever Nv composição de cuidados pessoais, métodos para fornecer uma sensação refrescante e utilização de um copolímero
JP6022351B2 (ja) * 2012-12-28 2016-11-09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毛髪用濃縮洗浄剤組成物
JP6131119B2 (ja) * 2013-06-17 2017-05-17 株式会社ニイタカ 液体洗浄剤組成物
JP6246563B2 (ja) * 2013-11-05 2017-12-1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皮膚化粧料
JP6622477B2 (ja) * 2014-03-31 2019-12-18 小林製薬株式会社 ゲル状洗浄剤組成物
DE102014207421A1 (de) * 2014-04-17 2015-10-22 Evonik Degussa Gmbh Tensidzusammensetzungen und hoch ölhaltige Formulierungen enthaltend diese
EP2987850A1 (en) * 2014-08-20 2016-02-24 Huntsman International Llc Composition for sanitary cleaning product
CN104259472B (zh) * 2014-09-03 2016-09-28 江苏科技大学 一种超细片状铜粉的有机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6139032A1 (en) 2015-03-02 2016-09-09 Unilever Plc Compositions with reduced dye-transfer properties
CN107406804A (zh) * 2015-03-02 2017-11-28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有香味的流体清洁流体
JP6620622B2 (ja) * 2015-03-31 2019-12-18 日油株式会社 身体洗浄剤組成物
EP3285729B1 (en) 2015-04-23 2019-12-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202746B2 (en) 2015-04-23 2021-12-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6172409A1 (en) 2015-04-23 2016-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livery of surfactant soluble anti-dandruff agent
EP3285725B1 (en) 2015-04-23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WO2016172472A1 (en) 2015-04-23 2016-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uses
WO2017106398A1 (en) * 2015-12-15 2017-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leansing composition
RU2746946C9 (ru) 2015-12-31 2021-12-07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US9796948B2 (en) 2016-01-13 2017-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renewable components
ES2893974T3 (es) 2016-03-03 2022-02-10 Procter & Gamble Composición anticaspa en aerosol
WO2017165191A2 (en) 2016-03-23 2017-09-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aging method for determining stray fibers
EP3473690A4 (en) * 2016-06-16 2020-08-12 Kao Corporation RHEOLOGY MODIFIER
RU2717335C1 (ru) * 2016-07-26 2020-03-23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Жидкие очища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с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й системой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JP2016216513A (ja) * 2016-09-28 2016-12-22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洗浄料
CN109843382A (zh) 2016-10-21 2019-06-04 宝洁公司 用于提供毛发护理有益效果的浓缩型洗发剂泡沫剂型
WO2018075855A1 (en) 2016-10-21 2018-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osage of foam for delivering consumer desired dosage volume, surfactant amount, and scalp health agent amount in an optimal formulation space
US11185486B2 (en) 2016-10-21 2021-1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9862941A (zh) 2016-10-21 2019-06-07 宝洁公司 用于提供毛发护理有益效果的浓缩型洗发剂泡沫剂型
CN109715131B (zh) 2016-10-21 2022-04-26 宝洁公司 低粘度毛发护理组合物
WO2018075749A1 (en) 2016-10-21 2018-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528899B1 (en) 2016-10-21 2024-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osage of foam for delivering consumer desired dosage volume and surfactant amount in an optimal formulation space
EP3528898A1 (en) 2016-10-21 2019-08-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shampoo dosage of foam designating hair conditioning benefits
EP3528774A1 (en) 2016-10-21 2019-08-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shampoo dosage of foam designating hair volume benefits
EP3528780A1 (en) 2016-10-21 2019-08-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able compact shampoo products with low viscosity and viscosity reducing agent
JP2018070588A (ja) * 2016-10-26 2018-05-10 日油株式会社 透明系シャンプー組成物
JP6162354B1 (ja) * 2016-12-22 2017-07-12 資生堂ホネケーキ工業株式会社 液状洗浄剤組成物
US10675231B2 (en) 2017-02-17 2020-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US10806686B2 (en) 2017-02-17 2020-10-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US11224567B2 (en) 2017-06-06 2022-01-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silicone mixture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US11141370B2 (en) 2017-06-06 2021-10-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 mixture and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US11679073B2 (en) 2017-06-06 2023-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mpositions providing improved in-use wet feel
JP2020534271A (ja) 2017-09-15 2020-11-26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菌組成物
EP3694481B1 (en) 2017-10-10 2024-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act shampoo composition with amino acid based anionic surfactants and cationic polymers
EP3694483B1 (en) 2017-10-10 2022-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lfate free clear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low inorganic salt
WO2019074988A1 (en) 2017-10-10 2019-04-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HAIR OR SKIN WITH PERSONAL FOAM COMPOSITION IN THE FORM OF FOAM
EP3694480A1 (en) 2017-10-10 2020-08-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pact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sulfate-free surfactants
JP7007887B2 (ja) * 2017-12-14 2022-01-25 花王株式会社 空隙充填材および空隙充填工法
JP7044535B2 (ja) * 2017-12-14 2022-03-30 花王株式会社 杭工法用水硬性組成物
EP3727323A1 (en) 2017-12-20 2020-10-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r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silicone polymers
CN112218615A (zh) * 2018-06-12 2021-01-12 花王株式会社 清洁剂
SG11202012255YA (en) * 2018-06-12 2021-01-28 Kao Corp Detergent
EP3808333A4 (en) * 2018-06-12 2022-03-16 Kao Corporation CLEANING SUPPLIES
MX2020014144A (es) 2018-06-29 2021-03-25 Procter & Gamble Composicion anticaspa en aerosol con bajo contenido de surfactante.
US11793740B2 (en) * 2018-08-27 2023-10-24 Arxada Ag High-concentrate flowable liquid anionic surfactant composition
JP7410298B2 (ja) 2019-12-06 2024-01-0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頭皮活性物質の付着を強化する硫酸塩を含まない組成物
WO2021173203A1 (en) 2020-02-27 2021-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dandruff compositions with sulfur having enhanced efficacy and aesthetics
JP2023549517A (ja) 2020-12-04 2023-11-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悪臭低減物質を含むヘアケア組成物
US11771635B2 (en) 2021-05-14 2023-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
US11986543B2 (en) 2021-06-01 2024-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off compositions with a surfactant system that is substantially free of sulfate-based surfactan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7500A (ja) * 1988-05-25 1989-11-30 Kao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GB9303679D0 (en) * 1993-02-24 1993-04-14 Unilever Plc Concentrated liquid,personal washing composition comprising alkane diols
US5518647A (en) * 1993-12-20 1996-05-21 Colgate-Palmolive Company Foaming liquid emulsion composition
JP3012768B2 (ja) * 1994-05-30 2000-02-28 株式会社テシマ化研 高濃度中性液体洗浄剤組成物
CA2248993A1 (en) * 1996-03-14 1997-09-18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nsing and moisturizing surfactant compositions
JP3644658B2 (ja) 1997-03-29 2005-05-11 株式会社資生堂 毛髪洗浄料
US5965500A (en) * 1997-07-24 1999-10-12 Levers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table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high levels of emollients
GB9828719D0 (en) * 1998-12-24 1999-02-17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US6479442B1 (en) * 1999-05-05 2002-11-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Hydrotrope and skin conditioning agents for use i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6774095B2 (en) * 2001-05-24 2004-08-10 Kao Corporation Detergent composition
JP4111779B2 (ja) * 2002-08-29 2008-07-02 ライオン株式会社 硬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RU2252013C1 (ru) * 2003-09-30 2005-05-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сметическ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вобода" Очищающий гель для умывания
CN1984635A (zh) * 2004-07-09 2007-06-20 宝洁公司 多相个人护理组合物
JP4681858B2 (ja) * 2004-11-25 2011-05-11 ディバーシー・アイピ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ー・ヴイ 濃縮液体洗浄剤組成物
JP4965869B2 (ja) 2005-02-28 2012-07-04 花王株式会社 界面活性剤組成物
JP4915720B2 (ja) 2005-07-28 2012-04-11 花王株式会社 界面活性剤組成物
JP4831609B2 (ja) * 2006-05-31 2011-12-07 株式会社 資生堂 洗浄剤組成物
US20080032909A1 (en) 2006-05-05 2008-02-07 De Buzzaccarini Francesco Compact fl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WO2008079855A2 (en) * 2006-12-21 2008-07-03 Shell Oil Company Enhanced oil recovery systems and consumer products containing secondary alcohol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3295A1 (en) 2013-02-28
JP2011219663A (ja) 2011-11-04
JP4912483B2 (ja) 2012-04-11
CN102947436B (zh) 2015-01-07
WO2011129034A1 (ja) 2011-10-20
BR112012025881A2 (pt) 2016-06-28
EP2559749A1 (en) 2013-02-20
HK1178198A1 (en) 2013-09-06
TWI406936B (zh) 2013-09-01
CN102947436A (zh) 2013-02-27
EP2559749A4 (en) 2013-12-25
RU2517692C1 (ru) 2014-05-27
TW201134939A (en) 201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2483B2 (ja) 濃縮液状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8690B2 (ja) 濃縮液状毛髪洗浄剤組成物
US8193137B2 (en) Thickening composition
US20060099161A1 (en) Skin preparations for external use
KR20070083502A (ko) 모발 화장료
EP3409264A1 (en) Ripple-phase-containing composition, a-gel formation composition, external skin care composition using 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gel composition using a-gel formation composition
US20120164357A1 (en) External Preparation
KR20100050477A (ko)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JP7490336B2 (ja) 化粧料の保存安定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2014218465A (ja) 洗浄料用組成物
KR101235737B1 (ko) 유계 피부 외용제
EP061251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hosphate surfactant and a co-surfactant
JP7307685B2 (ja) アデノシンリン酸およびトラネキサム酸含有外用組成物の変色抑制方法
EP0253489A2 (en) Antidandruff shampoo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uspension properties
JP7454125B2 (ja) 洗浄料用組成物
JPH06199654A (ja) 液体身体洗浄剤組成物
AU2016261772A1 (en) Copolymer
KR100663593B1 (ko) 크림타입의 샴푸 조성물
JP2022049184A (ja) 毛髪化粧料
CN118043056A (zh) 液体皮肤外用组合物
JP2023097149A (ja) 洗浄料
JP2023108855A (ja) 皮膚化粧料組成物
KR20240026877A (ko) 액체 피부 세정제 조성물
CN115942929A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
PL233863B1 (pl) Kompozycja kosmetyczna oraz preparat kosmetyczny do stosowania zewnętrzn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