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766A -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766A
KR20130039766A KR1020137005104A KR20137005104A KR20130039766A KR 20130039766 A KR20130039766 A KR 20130039766A KR 1020137005104 A KR1020137005104 A KR 1020137005104A KR 20137005104 A KR20137005104 A KR 20137005104A KR 20130039766 A KR20130039766 A KR 2013003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slot
base plate
fastening mean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229B1 (ko
Inventor
폴커 휘테만
실비오 하르트라우브
벨라두라이 수브라마니안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3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33Safety locks for back-rests, e.g. with locking bars activated by inerti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부분(2) 및 등받이(3)를 갖는 차량 시트(1)에 관한 것으로, 시트 부분(2) 및 등받이(3)는 조절 메카니즘(4)에 의해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고, 조절 메카니즘(4)을 보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가 제공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는 2 개 이상의 통로 개구(O1 내지 O3)들을 갖고 이 통로 개구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체결 수단(6, 7)에 의해 시트 부분(2)에 연결되고, 통로 개구들 중 하나(O1)는 세장형 구멍(8)의 형태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 부분 및 등받이를 갖는 차량 시트,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트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트는 일반적으로 정상 위치에서 차량 시트 상에 앉아있는 차량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를 포함한다. 등받이는 차량 착석자에 대하여 편안한 위치로 차량 시트의 시트 부분에 대하여 조절 메카니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등받이에는 등받이에 대하여 단단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머리 받침대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절 메카니즘은 나사 연결부에 의해 시트 부분에 체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열된다. 각각의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 및 시트 부분은 일반적으로, 대략 수평 평면 내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체결 수단이 맞물리는 2 개 이상의 통로 개구들을 갖는다.
정지한 또는 느리게 이동하는 차량의 후방에 대하여 차량이 부딪치는 후방 단부 충돌들의 경우에, 차량 시트에 대한 차량 착석자들의 관성은, 관련 차량들 내의 차량 착석자들의 가속을 유도하여, 머리의 지지부가 없을 때 경추(cervical spine)의 심각한 부상(소위 편타 손상(whiplash injury)) 들을 잠재적으로 초래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예컨대 머리가 뒤로 이동할 때 머리를 유지하도록 되어있는 머리 받침대들이 제공되는 것이 공지된다. 이러한 경우, 머리 받침대 또는 그의 장착부의 탄성이 상기 머리 받침대 또는 그의 장착부가 앞으로 그리고 그 후 후방으로 피봇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되튐(rebound)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방 단부 충돌 동안 머리의 후방에 대한 충격의 속도의 감소에 관한 개선된 특성들을 갖는 차량 시트를 명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시트 부분 및 등받이를 갖는 차량 시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이 시트 부분 및 등받이는, 차량의 후방에 또는 전방으로 구동하는 차량의 후방에 충격의 경우, 차량 시트에 앉아있는 차량 착석자의 관성에 의해, 등받이가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 힘의 방향에 반대로 제한된 크기로 조절되는 것을 야기하여, 후방 충격으로부터 초래되는 차량 착석자의 가속이 적어도 감소되도록 하는 슬롯이 조절 메카니즘을 수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제공되도록, 조절 메카니즘에 의해 서로에 관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슬롯은, 차량 상의 충격, 특히 후방 충격의 경우, 차량 착석자의, 특히 그의 등 부위의 힘의 작용 하에서, 등받이가 이동의 방향에 반대로 제한된 크기로 후방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절의 경로는 슬롯의 길이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변형 가능한 링크 플레이트의 형태의 에너지 흡수 요소에 의해, 등받이 상의 차량 착석자의 충격 동안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는 이러한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흡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경사 형상(ramp shaped) 구동 요소가 제공되고, 상기 구동 요소는 변형 가능한 링크 플레이트에서 맞물리고 차량 착석자의 충격 동안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의 적어도 부분적인 흡수에 기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이 가능한, 특히 좌굴(buckle)이 가능한 2 개의 링크 플레이트들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들은 등받이 상의 차량 착석자의 충격의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흡수하여, 머리의 후방에 대한 충격의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단부에서 변형 가능한 링크 플레이트는 슬롯으로서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통로 개구와 함께 전방 체결 수단에 의해 시트 부분에 체결되고, 링크 플레이트의 제 2 단부는 대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시트 부분에 연결되어, 등받이 상의 차량 착석자의 충격의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는 링크 플레이트의 확장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흡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공차들이 수직 평면에서보다 대략적으로 수평 평면에서 더 큰 크기로 보상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나사 연결부는 각각의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와 시트 부분에 2 개 이상의 통로 개구들을 갖고, 상기 통로 개구들은 공차들이 수직 평면에서보다 대략적으로 수평 평면에서 더 큰 크기로 보상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 또는 시트 부분 내에 하나 이상의 제 1 통로 개구가 수평으로 연장하는 슬롯으로서 구성되고, 슬롯의 수직 크기, 즉 그의 높이는 체결 수단의 직경에 대응하고, 체결 수단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크다. 원형 구성의 제 2 통로 개구는 체결 수단의 직경에 대응하고 체결 수단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직경을 갖는다.
공차들의 보상, 특히 구성 요소 공차들은 이러한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시트 부분 내의 슬롯의 길이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슬롯의 높이 및 따라서 이러한 경우 수직 방향으로의 슬롯의 크기는 그 안에서 맞물리는 체결 수단의 미리 정해진 공칭 사이즈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수직 평면에서보다 수평 평면에서 공차들의 더 큰 보상을 갖는 이러한 슬롯의 이행에 의해, 피봇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등받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회전은 실질적으로 회피된다. 또한, 후방 충격의 경우에, 등받이는 가능한한 적게 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등받이와 시트 부분의 연결의 특히 견고한 디자인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조절 메카니즘의 구역 내의 차량 시트 및 조절 메카니즘의 체결의 확대된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조절 메카니즘의 구역 내에 배열되는 링크 플레이트를 갖는 도 1 에 따른 차량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라인(Ⅲ)을 따라 도 2 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를 갖는 조절 메카니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라인(Ⅳ)을 따라 도 2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라인(Ⅲ)을 따라 도 2 에 따른 링크 플레이트를 갖는 조절 메카니즘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라인(Ⅳ)을 따라 도 2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조절 메카니즘의 구역 내에 배열되는 2 개의 링크 플레이트들을 갖는 조절 메카니즘의 제 3 실시예를 갖는 도 1 에 따른 차량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은 라인(Ⅲ)을 따라 도 7 에 따른 2 개의 링크 플레이트들을 갖는 조절 메카니즘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조절 메카니즘의 제 4 실시예를 갖는 차량 시트 및 상기 조절 메카니즘을 위한 체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구성 요소 공차들을 보상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 체결의 구역 내의 도 9 에 따른 차량 시트의 확대된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은 조절 메카니즘의 제 5 실시예를 갖는 차량 시트의 확대된 상세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로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1 은, 전방 측에서 차량 착석자의 등을 위한 지지 표면을 갖는, 시트 부분(2) 및 등받이(3)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1)의 확대된 상세도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세부 사항은 시트 부분(2)에 대한 등받이(3)의 피봇 운동을 허용하는 조절 메카니즘(4)의 구역 내의 차량 시트(1)를 나타낸다.
더 상세하게 나타내지 않는 방식으로, 등받이(3)에는 등받이(3)에 대하여 단단하게 또는 상대적으로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머리 받침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시트 부분(2) 및 등받이(3)는 잠금될 수 있는(blocked) 조절 메카니즘(4)에 의해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조절 메카니즘(4)은, 등받이(3)의 피봇 축선(A)의 구역에서, 한편 조절 메카니즘 상에 작용하고 다른 한편 시트 부분(2) 상에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비틀림 스프링(D)을 갖고, 이에 의해 등받이(3)는 미리 결정 가능한 위치에서 프리텐션되어 배열되고 상기 위치로 잠금될 수 있어서, 규정된 지지 표면이 차량 착석자의 등을 위해 생성된다.
정상 작동 동안, 시트 부분(2) 및 등받이(3)는 서로 단단하게 커플링된다.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등받이(3)는, 차량 시트(1) 상에 앉아있는 차량 착석자에게 편안하고 이러한 위치로 잠금될 수 있는 위치에 반대로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비틀림 스프링(D)의 스프링 힘에 의해 이러한 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더 상세하게 나타내지 않은, 종래의 핸들이 등받이(3)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잠금에 의해, 등받이(3)는 정상 작동 동안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조절 메카니즘(4)은 비틀림 스프링(D)이 체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는 하나 이상의 쌍의 체결 수단(6 및 7), 예컨대 나사들에 의해 시트 부분(2)에 체결된다(도 2 에 도시됨).
이러한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5)는 후방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 등받이(3)의 회전을 허락하는 슬롯(8)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슬롯(8)은 체결 수단(6), 특히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보어를 형성한다. 슬롯(8)은 선형으로 디자인되고 정상부로부터 바닥부로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는, 슬롯(8)은 아치형, 특히 원형 단편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전방 체결 수단(6)은 슬롯(8) 안으로 삽입되고 멈춤 단부(9.1, 9.2)들 중 하나, 특히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슬롯(8)의 후방 상부 멈춤 단부(9.1)에 대하여 부딪치도록 슬롯에 체결된다.
차량의 후방에 대한 충격의 경우, 차량 시트(1) 상에 앉아있는 차량 착석자의 관성의 결과로서, 슬롯(8)은 등받이(3)가 차량 상에 작용하는 충격 힘의 방향에 반대로 화살표(R)의 방향으로 제한된 크기로 조절되는 것을 허락한다. 이러한 경우, 조절 운동은 슬롯(8)의 길이에 의해 성립된다. 아치형 슬롯에 의해, 피봇 운동은 실질적으로 아치형 슬롯의 회전의 각도에 대응한다.
후방 충격의 경우, 전방 체결 수단(6)은 슬롯(8)의 전방 하부 멈춤 단부(9.2)에 대하여 부딪쳐서, 등받이(3)의 운동은 제한된다.
차량 상에 작용하는 충격 힘의 방향에 반대로, 화살표(R)의 방향으로의 등받이(3)의 이러한 제한된 조절 운동에 의해, 등받이(3)의 규정된 조절이 허락되고, 후방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 에너지의 적어도 한 부분은 그의 경로에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링크 플레이트(10)가 에너지 흡수 요소로서 제공된다. 도 2 는 이러한 링크 플레이트(10)를 갖는 도 1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링크 플레이트(10)는 2 개의 체결 수단(6 및 7)을 연결한다.
충격의 경우, 링크 플레이트(10)는 소성(plastic) 변형 및 따라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소성 변형에 의해, 충격 동안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머리의 후방에 대한 충격의 속도는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5)에는 구동 요소(11)가 제공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 및 구동 요소(11)는 성형된 부품으로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요소(11)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하부면 상에 중앙에 배열된다. 구동 요소(11)는 비스듬한 평면을 형성하는 경사부(F)를 포함한다. 구동 요소(11)의 경사부(F)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형성된다. 예컨대, 경사부(F)는 45°의 각도로 배열된다.
후방 충격의 경우에 그리고 슬롯(8)을 따른 경사부(F)를 포함하는 구동 요소(11)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결과적인 제한된 운동에 의해, 구동 요소(11)의 경사부(F)는 링크 플레이트(10)에 대하여 프레스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또는 링크 플레이트(10)가 소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특히 굽혀지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동반한다.
편타 손상이 충격 동안 발생되는 에너지의 이러한 흡수에 의해, 규정된 조절 운동 동안 소성 변형의 결과로서 및 머리의 후방에 대한 충격의 속도의 감소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도 3 은 라인(Ⅲ)을 따라 도 2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4)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라인(Ⅳ)을 따라 도 2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4)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라인(Ⅲ)을 따라 도 2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4)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라인(Ⅳ)을 따라 도 2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4)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실시예와 주요 특징들이 일치한다.
이와 다르게, 제 2 실시예에서 구동 요소(11)는 탭형(tab-like) 연장부로서 베이스 플레이트(5)로부터 돌출하고, 연장부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각도로 다시 각을 이룬다(angled-back).
후방 충격의 경우에 및 슬롯(8)을 따른 구동 요소(11)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결과적인 제한된 운동 때문에, 구동 요소(11)는 링크 플레이트(10)에 대하여 프레스되고 링크 플레이트(10)가 소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특히 굽혀지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을 따라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동반한다.
도 7 은 조절 메카니즘(4)의 구역 내에 배열되는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을 갖는 조절 메카니즘(4)의 제 3 실시예를 갖는 도 1 에 따른 차량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라인(Ⅲ)을 따라 도 7 에 따른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을 갖는 조절 메카니즘(4)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실시예들과 주요 특징들이 일치한다.
제 3 실시예에서, 등받이(3)를 변위시키기 위해, 더 상세하게 나타내지 않은, 종래의 핸들 또는 레버가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는 후방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 등받이(3)의 회전을 허락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슬롯(8)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제 1 슬롯(8)은 체결 수단(6), 특히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보어를 형성한다.
제 1 슬롯(8)은 선형으로 디자인되고 바닥부로부터 정상부로 이동의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는, 슬롯(8)은 아치형으로, 원형 단편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전방 체결 수단(6)은 제 1 슬롯(8) 안으로 삽입되고 전방 체결 수단이 멈춤 단부(9.1)들 중 하나, 특히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슬롯(8)의 후방 상부 멈춤 단부(9.1)에 대하여 부딪치도록 슬롯에 체결된다.
차량의 후방 충격의 경우, 차량 시트(1) 상에 앉아있는 차량 착석자의 관성의 결과로서, 제 1 슬롯(8)은 등받이(3)가 차량 상에 작용하는 충격 힘의 방향에 반대로 화살표(R)의 방향으로 제한된 크기로 조절되는 것을 허락한다. 이러한 경우 조절 운동은 제 1 슬롯(8)의 길이에 의해 성립된다. 아치형 슬롯에 의해, 피봇 운동은 실질적으로 아치형 슬롯의 회전 각도에 대응한다.
후방 충격의 경우, 전방 체결 수단(6)은 전방 슬롯(8)의 전방 하부 멈춤 단부(9.2)에 대하여 부딪쳐서, 등받이(3)의 운동이 제한된다.
차량 상에 작용하는 충격 힘의 방향에 반대로 화살표(R)의 방향으로의 등받이(3)의 이러한 제한된 조절 운동에 의해, 등받이(3)의 규정된 조절이 허락되고, 후방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 에너지의 적어도 한 부분이 그의 경로에서 흡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이 에너지 흡수 배열물로서 제공된다. 도 8 은, 2 개의 이러한 링크 플레이트(10)들을 갖는, 도 7 에 따른 조절 메카니즘(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링크 플레이트(10)들은 각각의 경우 체결 수단(6 및 7)에 의해 이들의 대향하는 단부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에 체결되고 2 개의 체결 수단(6 및 7)을 연결한다. 링크 플레이트(10)들의 다른 단부들은 체결 수단(6 및 7) 사이의 중앙에 상하로 배열되고, 체결 핀(14)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5)에 체결된다.
충격의 경우, 링크 플레이트(10)들은 소성 변형, 특히 좌굴을 위한 및 따라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충격 동안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머리의 후방에 대한 충격의 속도는 소성 변형에 의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5)에는, 체결 핀(14)이 유지되는, 제 2 슬롯(12)이 제공된다. 도 8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슬롯(12)은 관통 보어로서 베이스 플레이트(5) 내에 중앙에 통합된다.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은 제 2 슬롯(12) 상에 상하로 배열되는 이들의 자유 단부 통로 개구들을 가져서, 체결 핀(14)은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의 통로 개구들을 통하여 제 2 슬롯(12) 내에 맞물릴 수 있다.
후방 충격의 경우 및 제 1 슬롯(8)을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5)의 결과적인 제한된 운동 때문에, 체결 핀(14)은 작용 힘 경로(P)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의 자유 단부들에 대하여 프레스되고, 링크 플레이트(10)들이 소성적으로 변형, 특히 좌굴 되도록, 좌굴 방향(S)을 참조하여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의 방향에 수직으로 및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을 따라 상기 링크 플레이트들을 동반한다.
이러한 경우, 링크 플레이트(10)들은 사점(dead center) 라인(L) 까지 이동되고, 동시에 좌굴 방향(S)으로 좌굴되고, 이에 의해 등받이(3)는 완화된 방식으로 조절되고 제 1 슬롯(8)의 멈춤 단부(9.2)에 부딪친다.
후방 충격의 경우, 링크 플레이트(10)들은 따라서 소성 변형 및 따라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 차량 상의 후방 충격의 결과로서 등받이(3)의 편향 동안, 링크 플레이트(10)들은 화살표(R)의 방향으로의 등받이(3)의 편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반된다. 이러한 경우,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은 좌굴되고 변형된다. 특히,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은 상기 링크 플레이트들이 미리 결정된 사점 라인(L)에 도달할 때까지 변형되고, 등받이(3)는 제 1 슬롯(8)의 멈춤 단부(9.1)에 대하여 체결 수단(6)이 접할 때까지 더 피봇된다.
등받이(3)의 규정된 조절 운동 동안 플라스틱 변형에 의해 후방 충격 동안 발생되는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머리의 후방에 대한 충격의 속도는 감소되고 편타 손상을 상쇄할 수 있다.
도 9 는 조절 메카니즘(4)의 제 4 실시예를 갖는 차량 시트(1) 및 상기 조절 메카니즘(4)을 위한 체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절 메카니즘(4)은 비틀림 스프링(D)이 체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는 하나 이상의 쌍의 체결 수단(6 및 7), 예컨대 나사들에 의해 시트 부분(2)에 체결된다.
체결 수단(6, 7)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5)는 2 개의 통로 개구(O1, O2)들을 포함하고 제 1 통로 개구(O1)는 슬롯(8)으로서 디자인된다. 통로 개구(O1, O2)들은 대략 수평 평면 내에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 슬롯(8)은 수평 평면 내에서 연장하고 따라서 2 개의 통로 개구(O1 및 O2)들을 갖는 평면에서 연장한다. 슬롯(8)의 수직 크기, 즉 슬롯의 높이는 체결 수단(6)의 직경에 대응하고 따라서 정밀하게, 특히, 체결 수단(6)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크게 디자인된다.
제 2 통로 개구(O2)는 원형 구성이고 체결 수단(7)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제 2 통로 개구(O2)는 따라서 정밀하게 끼워지고 체결 수단(7)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크게 디자인된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 플레이트(5) 내의 2 개 이상의 통로 개구(O1, O2)들은, 공차들이 수직 평면에서 보다 대략 수평 평면에서 더 큰 크기로 보상되도록, 슬롯(8)으로서 형성되는 제 1 통로 개구(O1)에 의해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 내의 슬롯(8)으로서의 제 1 통로 개구(O1)의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 1 통로 개구(O1)에 대응하는 시트 부분(2)의 제 3 통로 개구(03)가 슬롯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개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의 제 1 통로 개구(O1)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시트 부분(2)의 제 3 통로 개구(03) 중 하나에는 체결 수단(6),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thread)이 제공된다. 슬롯(8)은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이 없이 디자인 되는, 통로 개구(O1 또는 03)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슬롯(8)의 길이는 공차들, 특히 구성 요소 공차들의 보상의 정도를 미리 결정한다. 슬롯(8)의 높이 및 따라서 이러한 경우 수직 방향으로의 슬롯의 크기는 그 안에서 맞물리는 체결 수단(6)의 미리 결정된 공칭 사이즈와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이러한 슬롯(8)을 이행함으로써, 수직 평면에서보다 수평 평면에서 공차들의 더 큰 보상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5) 또는 시트 부분(2) 중 하나에, 피봇 축선(A) 주위로 등받이(3)의 바람직하지 않은 회전이 실질적으로 회피된다.
차량의 후방 충격의 경우에, 차량 시트(1) 상에 앉아있는 차량 착석자의 관성의 결과로서, 슬롯(8)은 등받이(3)가, 제 1 통로 개구(O1)의 정확하게 끼워지는 디자인의 결과로서, 수직 방향으로 및 따라서 작용 또는 편향의 방향으로 제한된 크기로, 특히 단지 약간 또는 전혀 편향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허락한다.
도 10 은 구성 요소 공차들을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5) 내에 슬롯(8)을 갖는 체결의 구역 내에 도 9 에 따른 차량 시트(1)의 확대된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조절 메카니즘(4)의 제 5 실시예를 갖는 차량 시트(1) 및 상기 조절 메카니즘(4)을 위한 체결의 확대된 상세도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절 메카니즘(4)은 베이스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는 하나 이상의 쌍의 체결 수단(6 및 7), 예컨대 나사들에 의해 시트 부분(2)에 체결된다.
체결 수단(6, 7)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5)는 2 개의 통로 개구(O1, O2)들을 포함하고 제 1 통로 개구(O1)는 슬롯(8)으로서 디자인된다. 통로 개구(O1, O2)들은 대략 수평 평면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도 12 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 슬롯(8)은 수직 평면에서 연장한다. 슬롯(8)의 수평 크기, 즉 슬롯의 폭은 체결 수단(6)의 직경에 대응하고 따라서 정밀하게, 특히 체결 수단(6)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크게 디자인된다.
제 2 통로 개구(O2)는 원형 구성이고 체결 수단(7)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제 2 통로 개구(O2)는 따라서 정밀하게 끼워지고 체결 수단(7)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더 크게 디자인된다.
다시 말하면, 슬롯(8)으로서 구성되는 제 1 통로 개구(O1)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5) 내의 2 개 이상의 통로 개구(O1, O2)들은 등받이(3)의 편향이 이동의 방향, 즉 머리에 대한 충격 이후에 후방으로의 반대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 내의 슬롯(8)으로서의 제 1 통로 개구(O1)를 디자인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제 1 통로 개구(O1)에 대응하는 시트 부분(2)의 제 3 통로 개구(03)가 슬롯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개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의 제 1 통로 개구(O1) 또는 이에 대응하는 시트 부분(2)의 제 3 통로 개구(03) 중 하나에는 체결 수단(6),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나사산이 제공된다. 슬롯(8)은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이 없이 디자인되는, 통로 개구(O1 또는 O3)에 구성된다.
링크 플레이트(10)가 또한 제공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통로 개구(O1)와 함께 전방 체결 수단(6)에 의해 제 1 단부에서 시트 부분(2)에 체결되며, 특히 나사 결합된다.
링크 플레이트(10)의 제 2 단부가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시트 부분(2) 상에 연결되며, 예컨대 용접 또는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포지티브하게 그 안에 매달린다. 후방 충격의 경우에 및 등받이(3)의 편향의 결과, 링크 플레이트(10)는 화살표(R)에 의해 나타낸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의 방향에 반대로 빼냄 힘을 받고 빼냄 방향(Z)으로의 확장에 의해 소성적으로 변형되어, 충격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게 된다.
링크 플레이트(10)의 제 1 단부는 체결 수단(6)을 수용하기 위한 제 3 슬롯(13)을 가질 수 있다.
조절 메카니즘(4)에서 설명된 비틀림 스프링(D)은 조절 수단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다른 조절 수단, 예컨대 전기 모터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1 차량 시트
2 시트 부분
3 등받이
4 조절 메카니즘
5 베이스 플레이트
6 전방 체결 수단
7 체결 수단
8 슬롯, 제 1 슬롯
9.1, 9.2 슬롯의 멈춤 단부들
10 링크 플레이트
11 구동 요소
12 제 2 슬롯
13 제 3 슬롯
14 체결 핀
A 피봇 축선
D 비틀림 스프링
F 경사부
L 사점 라인
O1 내지 O3 통로 개구들
P 힘 경로
R 화살표
S 좌굴 방향
Z 빼냄 힘의 방향

Claims (13)

  1. 시트 부분(2) 및 등받이(3)를 갖는 차량 시트(1)로서, 상기 시트 부분(2) 및 등받이(3)는 조절 메카니즘(4)에 의해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고, 조절 메카니즘(4)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5)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는 2 개 이상의 통로 개구(O1 내지 O3)들을 갖고 상기 통로 개구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가 하나의 각각의 체결 수단(6, 7)에 의해 시트 부분(2)에 연결되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개구들 중 하나(O1)는 슬롯(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개구(O1 내지 O3)들은 대략 수평 평면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슬롯(8)은 수평 평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개구(O1 내지 O3)들은 대략 수평 평면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슬롯(8)은 등받이(3)의 제한된 조절 운동이 후방 충격의 경우에 가능하도록 정상부로부터 바닥부로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아치형 방식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8)은 이동의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체결 수단(6)의 관통 보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에너지 흡수 요소가 링크 플레이트(10)의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10)는 후방 충격의 경우에 링크 플레이트(10)가 제한된 조절 운동의 결과로서 소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체결 수단(6, 7) 중 하나 이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10)는 2 개의 체결 수단(6, 7)을 연결하고, 구동 요소(11)가 베이스 플레이트(5)의 하부 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 요소는, 링크 플레이트(10)가 굽혀지도록, 제한된 조절 운동의 결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상방으로 또는 수직으로 링크 플레이트(10)를 동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11)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에 대해 비스듬한 평면을 형성하는 경사부(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 6 항에 있어서,
    탭형 연장부로서의 상기 구동 요소(11)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 평면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각도로 다시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 5 항에 있어서,
    2 개의 링크 플레이트(10)들이 제공되고, 상기 링크 플레이트들은 각각의 경우 체결 수단(6, 7)에 의해 이들의 대향하는 단부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에 체결되고, 링크 플레이트(10)들의 다른 단부들은 체결 수단(6, 7) 사이의 중앙에 상하로 배열되고 제 2 슬롯(12) 내의 체결 핀(14)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5)에 체결되고, 제 2 슬롯(12)은 이동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10)는 제 1 단부에서 슬롯(8)으로서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통로 개구와 함께 전방 체결 수단(6)에 의해 시트 부분(2)에 체결되고, 링크 플레이트(10)의 제 2 단부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시트 부분(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10)의 제 2 단부는 시트 부분(2)에 용접 또는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그 안에 포지티브하게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10)의 제 1 단부는 체결 수단(6)을 수용하기 위해 제 3 슬롯(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6, 7)은 나사들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137005104A 2010-07-28 2011-04-29 차량 시트 KR101415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2481.7 2010-07-28
DE102010032481 2010-07-28
DE102010032475 2010-07-28
DE102010032479 2010-07-28
DE102010032480 2010-07-28
DE102010032479.5 2010-07-28
DE102010032480.9 2010-07-28
DE102010032475.2 2010-07-28
PCT/EP2011/056823 WO2012013371A1 (de) 2010-07-28 2011-04-29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766A true KR20130039766A (ko) 2013-04-22
KR101415229B1 KR101415229B1 (ko) 2014-07-04

Family

ID=4435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104A KR101415229B1 (ko) 2010-07-28 2011-04-29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193282B2 (ko)
EP (2) EP2598369B1 (ko)
JP (1) JP5581443B2 (ko)
KR (1) KR101415229B1 (ko)
CN (2) CN105416122B (ko)
PL (1) PL2598369T3 (ko)
WO (1) WO2012013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5860A1 (de) * 2011-11-30 2013-06-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Deformationseinrichtung
DE102013206048A1 (de) 2013-04-05 2014-10-09 Johnson Controls Gmbh Schraubverbindung, Verstellvorrichtung un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4217506A1 (de) 2014-09-02 2016-03-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eformationselement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KR101648511B1 (ko) 2014-11-11 2016-08-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CN104709128B (zh) * 2015-01-22 2017-03-15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带有吸能结构的车辆座椅
US10369907B2 (en) * 2015-08-04 2019-08-06 Ts Tech Co., Ltd. Seat frame for vehicle
GB201515703D0 (en) * 2015-09-04 2015-10-21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assembly
JP2018199383A (ja) * 2017-05-26 2018-12-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バックフレームの取付構造
CN107364369B (zh) * 2017-07-24 2019-05-24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具有调角器过载保护功能的汽车座椅骨架
JP6722646B2 (ja) * 2017-12-15 2020-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装置
JP7059128B2 (ja) * 2018-06-26 2022-04-25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ロック装置
CN109177833A (zh) * 2018-09-27 2019-01-11 广汽零部件有限公司 一种追尾碰撞座椅吸能结构
EP3671104B1 (en) * 2018-12-19 2023-02-08 Volvo Car Corporation Inspection tool for a safety device of a whiplash protec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insp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US10780802B2 (en) * 2019-02-15 2020-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JP2021008205A (ja) 2019-07-01 2021-01-28 株式会社タチエス 衝撃吸収装置及び乗物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6442B (en) * 1996-08-16 2000-02-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GB2418843B (en) 2004-10-11 2008-07-1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recliner mechanism
GB2421277B (en) * 2004-12-20 2009-10-1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DE102005049302B4 (de) * 2005-10-12 2016-05-25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mit einer Höhen- und/oder Neigungsverstellung und einer Crashverlagerung der Rückenlehnenstruktur
DE102005049303B4 (de) * 2005-10-12 2015-11-05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einer Höhen- und/oder Neigungsverstellvorrichtung und Verriegelungsmitteln
JP4290703B2 (ja) * 2006-02-06 2009-07-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FR2904796B1 (fr) * 2006-08-11 2008-10-24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absorption d'energie en cas de choc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siege et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le dispositif
EP2121378A4 (en) * 2007-03-22 2015-01-07 Autoliv Dev BACKRESTS SUPPORT MECHANISM
DE102007018715A1 (de) * 2007-04-20 2008-10-23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
FR2917026B1 (fr) * 2007-06-05 2010-01-15 Faurecia Sieges Automobile Ensemble d'absorption d'energie comprenant un dispositif anti-retour
JP5328116B2 (ja) * 2007-07-19 2013-10-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FR2924648B1 (fr) * 2007-12-11 2010-03-19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et ensemble d'absorption d'energie renforces
FR2943957B1 (fr) * 2009-04-02 2012-12-21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 deplacement controle du dossier en cas de choc arriere
CN103189233B (zh) * 2010-09-14 2015-12-09 巴斯夫欧洲公司 用于支撑交通工具的乘坐者的座椅和用于座椅的支架
US9371022B2 (en) * 2010-12-09 2016-06-21 Nhk Spring Co., Ltd.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5025B1 (de) 2016-02-24
CN105416122B (zh) 2018-04-24
CN102971184B (zh) 2016-01-20
US20160075262A1 (en) 2016-03-17
EP2598369A1 (de) 2013-06-05
JP2013527078A (ja) 2013-06-27
KR101415229B1 (ko) 2014-07-04
US9469223B2 (en) 2016-10-18
WO2012013371A1 (de) 2012-02-02
CN105416122A (zh) 2016-03-23
EP2765025A1 (de) 2014-08-13
CN102971184A (zh) 2013-03-13
US20130200666A1 (en) 2013-08-08
US9193282B2 (en) 2015-11-24
JP5581443B2 (ja) 2014-08-27
EP2598369B1 (de) 2014-06-11
PL2598369T3 (pl)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229B1 (ko) 차량 시트
US8100472B2 (en) Vehicle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 locking linkage
US6352312B1 (en) Vehicle seat interlock
US7992933B2 (en) Integrated vehicle seat with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US10882425B2 (en) Longitudinal adjuster and vehicle seat
US20010040396A1 (en) Head rest for a vehicle seat
US10000142B2 (en) Head and neck restraining system
US9409503B2 (en)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KR20150016555A (ko) 차량 시트
KR200417425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직선이동 장치
US10926675B2 (en) Vehicle seat
KR101391858B1 (ko) 잠금 푸시 버튼을 갖는 충돌 반응성 머리 받침
US11059450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JP5508790B2 (ja) 自動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安全装置
CN110626227B (zh) 一种汽车座椅的滑轨
KR100774419B1 (ko) 폴딩 시트용 헤드레스트 높이 제어장치
US20030001413A1 (en) Permanently deformable headrest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of use
KR101238433B1 (ko) 차량의 추돌 충격 완화장치
JP6527556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20240026771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JPH06247255A (ja) シートベルト付きシート
CN108790971B (zh) 儿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