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511B1 -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511B1
KR101648511B1 KR1020140156313A KR20140156313A KR101648511B1 KR 101648511 B1 KR101648511 B1 KR 101648511B1 KR 1020140156313 A KR1020140156313 A KR 1020140156313A KR 20140156313 A KR20140156313 A KR 20140156313A KR 101648511 B1 KR101648511 B1 KR 10164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seat
bracket
back frame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479A (ko
Inventor
박두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5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5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브라켓과, 상기 쿠션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 백을 지지하는 백프레임과, 상기 쿠션 브라켓과 상기 백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회동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백프레임의 회동을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를 구비하고, 체결 수단 및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쿠션 브라켓에 고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헤드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측 일부가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고, 시트의 수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SHOCK ABSORBING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프레임 및 고정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목 상해 위험을 감소하고, 시트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탑승자의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 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는 앞좌석에 설치되는 경우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전·후 및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전·후 및 높낮이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한편, 시트백은 통상 힌지 구조를 통해 시트쿠션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시트백은 시트쿠션 측에 각도가 고정된 록킹 상태로부터 이루어지는 언록킹 상태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한 바, 이러한 록킹 및 언록킹 상태의 유지 및 전환 기능을 위하여 리클라이너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2007호(특허문헌 1)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415229호(특허문헌 2)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시트 트랙과, 시트 트랙 위에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과 시트 트랙 사이에 설치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웨이트 센서와, 시트 트랙에 결합된 브래킷과,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를 보호를 위한 시트 벨트와 착탈되는 시트 벨트 버클과, 시트 벨트 버클과 브래킷과 시트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체결부재와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시트 부분 및 등받이는 조절 메카니즘에 의해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고, 조절 메카니즘을 보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2 개 이상의 통로 개구들을 갖고 이 통로 개구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체결 수단에 의해 시트 부분에 연결되고, 통로 개구들 중 하나는 세장형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A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100)는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브라켓(110)과, 쿠션 브라켓(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 백을 지지하는 백프레임(120)과, 쿠션 브라켓(110)과 백프레임(120)을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130) 및 고정 브라켓(130)을 쿠션 브라켓(110)에 결합하는 제1 및 제2 체결 수단(140, 150)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 브라켓(130)은 제2 체결 수단(150)이 결합되는 위치의 상부에 충격 흡수용 홀(131)이 형성된다. 차량의 후방으로 다른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시트에 앉아있는 승객의 상체가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백프레임(120)에 충돌하게 된다. 이때, 고정 브라켓(130)에 형성된 충격 흡수용 홀(131)에 변형이 발생하면서 백프레임(120)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목 상해 위험을 감소시킨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100)는 차량의 후방 충돌 발생시 고정 브라켓(130)의 충격 흡수용 홀(131)이 변형되어 백프레임(120)을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2007호(2009.05.25). 한국등록특허 제10-1415229호(2014.06.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프레임에 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고정 브라켓 및 백프레임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충돌 시 시트 수리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승객의 목 상해 위험을 감소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브라켓과, 상기 쿠션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 백을 지지하는 백프레임과, 상기 쿠션 브라켓과 상기 백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회동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백프레임의 회동을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를 구비하고, 체결 수단 및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쿠션 브라켓에 고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헤드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측 일부가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충격 흡수부까지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중공축 부분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충격 흡수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폭이 상기 고정 브라켓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 흡수 부재가 백프레임에 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고정 브라켓 및 백프레임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후방 충돌 시 충격 흡수 부재가 소성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하므로, 충격 흡수 부재만을 교환하여 시트의 수리를 할 수 있어 시트 수리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승객의 목 상해 위험을 감소하여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A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B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충격 흡수 부재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6은 도5의 충격 흡수 부재를 설명하는 C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의 충격 흡수 부재 변형 상태를 설명하는 A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구 구조의 충격 흡수 부재 변형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하는 B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300)는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브라켓(310)과, 쿠션 브라켓(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 백을 지지하는 백프레임(320)과, 쿠션 브라켓(310)과 백프레임을 결합하고 백프레임의 회동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330) 및 고정 브라켓(330)의 일측에 백프레임(320)의 회동을 조정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340)를 구비하고, 체결 수단(350) 및 충격 흡수 부재(360)에 의해 고정 브라켓(330)이 쿠션 브라켓(310)에 고정된다.
이때, 충격 흡수 부재(360)는 헤드부(361)와,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헤드부(361)측 일부가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362) 및 고정 브라켓(33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헤드부(361)와 결합부(362)의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363)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격 흡수 부재(360)는 헤드부(361)의 결합부(362) 측 일면이 고정 브라켓(330)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충격 흡수부(363)가 고정 브라켓(330)과 백프레임(320)을 관통하여 고정 브라켓(330)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충격 흡수 부재(360)는 헤드부(361)와 결합부(362)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363)가 고정 브라켓(330)에 중첩되도록 결합되고, 백프레임(320)에 후방으로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이동되는 고정 브라켓(330)에 충격 흡수부(363)가 눌려서 소성 변형됨으로써 고정 브라켓(33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통해 충격 흡수 부재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충격 흡수 부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5의 충격 흡수 부재를 설명하는 C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 부재(360)는 고정 브라켓(330)에 밀착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헤드부(361)와, 고정 브라켓(330)과 백프레임(320)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볼트가 결합되는 결합부(362) 및 헤드부(361)와 결합부(362)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363)를 포함한다. 이때, 충격 흡수부(363)는 고정 브라켓(330)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360)는 헤드부(361) 외측 단부로부터 충격 흡수부(363) 까지 중공축으로 형성된다. 이때, 충격 흡수부(363)는 결합부(362)에서 중공축 부분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363a)을 포함한다. 관통홀(363a)은 충격 흡수부(363)에서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360)는 충격 흡수부(363)의 폭이 고정 브라켓(33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충격 흡수 부재(360)는 백프레임(320)에 후방으로 충격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고정 브라켓(330)을 통해 충격 흡수부(363)로 충격이 전달되고, 충격 흡수부(363)가 소성 변형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한다. 도 7을 통해 이러한 충격 흡수 부재(360)의 변형 상태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의 충격 흡수 부재 변형 상태를 설명하는 A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구 구조의 충격 흡수 부재 변형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300)는 차량의 후방으로 다른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시트에 앉아있는 승객의 상체가 충격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백프레임(320)에 출동하게 된다. 이때, 승객이 백프레임(320)에 충돌하는 충격이 백프레임(320)이 결합된 고정 브라켓(330)과 고정 브라켓(330)을 고정하는 체결 수단(350) 및 충격 흡수 부재(360)로 전달된다.
백프레임(320)으로부터 충격을 전달받는 고정 브라켓(330)과 충격 흡수 부재(360)는 고정 브라켓(330)이 충격 흡수부(363)에 충돌하여 충격 흡수부(363)를 소성 변형 시킴으로써 충격이 충격 흡수 부재(360)에 흡수된다. 즉, 충격 흡수 부재(360)는 고정 브라켓(330)을 통해 백프레임(3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부(363b)가 형성된다. 이러한 충격 흡수 부재(360)에 의해 고정 브라켓(330)은 종래의 고정 브라켓에 비해 손상, 변형 또는 파손 등의 위험이 낮아진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300)는 백프레임(320)에 후방으로 충돌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충격 흡수 부재(360)에 의해 백프레임(320)과 고정 브라켓(330)의 손상, 변형 또는 파손의 위험을 감소시켜 차량용 시트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킨다. 더불어,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되는 충격 흡수 부재(360)만을 교체함으로써 차량용 시트의 수리를 용이하게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3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300)는 차량의 후방으로 다른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승객의 상체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백프레임(320)에 충돌하는 충격을 충격 흡수 부재(360)로 흡수 시킴으로써, 백프레임(320) 및 고정 브라켓(3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300)는 충격 흡수 부재(360)가 소성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백프레임(320) 및 고정 브라켓(330)의 손상,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충격 흡수 부재(360) 만을 교체하여 시트의 수리를 가능하게 하여 시트 수리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300)는 충격 흡수 부재(360)에 충격이 흡수되어 승객이 백프레임(320)에 충돌하면서 목 상해가 발생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00 :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310 : 쿠션 브라켓
320 : 백프레임 330 : 고정 브라켓
340 : 리클라이너 350 : 체결 수단
360 : 충격 흡수 부재 361 : 헤드부
362 : 결합부 363 : 충격 흡수부
363a : 관통홀 363b : 변형부

Claims (5)

  1.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 브라켓과, 상기 쿠션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 백을 지지하는 백프레임과, 상기 쿠션 브라켓과 상기 백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회동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백프레임의 회동을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를 구비하고, 체결 수단 및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기 쿠션 브라켓에 고정되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헤드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측 일부가 중공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충격 흡수부까지 중공축으로 형성되되,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중공축 부분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충격 흡수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충격 흡수부의 폭이 상기 고정 브라켓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KR1020140156313A 2014-11-11 2014-11-11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648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13A KR101648511B1 (ko) 2014-11-11 2014-11-11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313A KR101648511B1 (ko) 2014-11-11 2014-11-11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79A KR20160056479A (ko) 2016-05-20
KR101648511B1 true KR101648511B1 (ko) 2016-08-17

Family

ID=5610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313A KR101648511B1 (ko) 2014-11-11 2014-11-11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5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050A (ja) 2001-04-05 2002-10-15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7297B2 (ja) * 1997-09-19 2002-07-24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20090052007A (ko) 2007-11-20 2009-05-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어셈블리
EP2765025B1 (de) 2010-07-28 2016-02-24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050A (ja) 2001-04-05 2002-10-15 Koyo Seiko Co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79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386B2 (en) Vehicle seat having a seatbelt anchor bracket
JP5798851B2 (ja) 車両用シート
US8845019B2 (en) Folding type seat
US9688175B2 (en) Vehicle seat
JP5275622B2 (ja) 車両用シート
US20170246966A1 (en) Vehicle seat
US8714641B2 (en) Vehicle seat
JP5021826B1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1407258B1 (ko) 목 상해 경감용 리클라이너 로워브라켓
JP2010179753A (ja) 乗物用シート
JP5906707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構造
JP201110524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648511B1 (ko) 차량용 시트의 충격 흡수 구조
JP2008296655A (ja) 車両用シートのベースブラケット構造
EP3765331A1 (en) Secondary stabilization striker for reversible seats
KR20150063697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JP6016056B2 (ja) 車両のシートレール取付構造
JP6086302B2 (ja) 不等分割式の車両用シート構造
JP5535690B2 (ja) 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体
US9205768B2 (en) Seat in a means of transportation
JP2013067281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5863509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7239801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025403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639005B2 (ja) 車両用ニープロテクタ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