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476A -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476A
KR20130038476A KR1020110102856A KR20110102856A KR20130038476A KR 20130038476 A KR20130038476 A KR 20130038476A KR 1020110102856 A KR1020110102856 A KR 1020110102856A KR 20110102856 A KR20110102856 A KR 20110102856A KR 20130038476 A KR20130038476 A KR 20130038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
touch event
function
option menu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835B1 (ko
Inventor
정진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10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835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2225049A priority patent/JP2013084272A/ja
Priority to CA2851478A priority patent/CA2851478C/en
Priority to US13/648,584 priority patent/US8928614B2/en
Priority to BR112014008758-0A priority patent/BR112014008758B1/pt
Priority to CN201210382438.1A priority patent/CN103034406B/zh
Priority to RU2014114052A priority patent/RU2631986C2/ru
Priority to CN201910053689.7A priority patent/CN109766045B/zh
Priority to EP12187973.8A priority patent/EP2581819A3/en
Priority to PCT/KR2012/008192 priority patent/WO2013055089A1/en
Publication of KR2013003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76A/ko
Priority to US14/566,018 priority patent/US9760269B2/en
Priority to JP2017079111A priority patent/JP6301530B2/ja
Priority to US15/700,707 priority patent/US1035992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35B1/ko
Priority to US16/516,805 priority patent/US10754532B2/en
Priority to US17/000,728 priority patent/US1122174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특정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기능 실행 시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설정과 관련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제1 기능에 의해 설정된 옵션 값을 반영하여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 OF TOUCH DEVICE}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특정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기능 실행 시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통화, 전자수첩기능, 촬영 기능, 이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표시장치의 표시 기능과 입력장치의 입력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장치로, 사용자가 특정 물체(예컨대, 손가락, 포인터, 펜 등)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하는 등의 행위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보면서 해당 포인트를 직접 터치하여 입력을 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특정 모드 실행 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기능 실행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특정 모드에서 특정 기능 실행 시 해당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옵션메뉴를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에서, 사용자는 촬영모드에서 주어지는 촬영버튼을 이용하여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모드에서 촬영 기능 실행 시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옵션(예컨대, 화이트밸런스, 밝기, 노출, 해상도, ISO 등) 변경을 위한 옵션메뉴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이동 방송의 시청을 위한 방송모드에서, 사용자는 방송모드에서 주어지는 녹화버튼을 이용하여 녹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모드에서 녹화 기능 실행 시 녹화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예컨대, 채널 리스트, 녹화 날짜, 녹화 시간, 녹화 시작시간, 녹화 종료시간 등) 변경을 위한 옵션메뉴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 간의 채팅을 위한 메신저모드에서, 사용자는 메신저모드에서 주어지는 전송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된 텍스트의 전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신저모드에서 전송 기능 실행 시 입력 텍스트와 관련된 다양한 옵션(예컨대, 폰트 타입, 폰트 크기, 폰트 색깔, 언어 등) 변경을 위한 옵션메뉴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 기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앞서와 같은 각각의 특정 모드에서 기능버튼을 이용한 기능 실행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통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반면, 각 특정 모드에서 주어지는 다양한 옵션들에 대한 변경을 위해서는 옵션메뉴를 호출하고, 호출된 옵션메뉴 내에서도 많은 뎁스(depth)를 거쳐야만 희망하는 옵션 선택 및 그의 옵션 값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을 별도로 또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어, 촬영모드에서는 촬영버튼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정 옵션을 변경 설정한 후 촬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즉, 사용자가 화이트밸런스 등과 같은 옵션 값을 변경 설정하기 위해서는 <옵션메뉴 호출, 주어진 옵션메뉴에서 화이트밸런스 메뉴 검색 및 선택, 주어진 화이트밸런스 메뉴에서 희망하는 옵션 값 선택, 옵션 설정 값 적용>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촬영버튼을 조작하는 여러 번의 입력 행위에 의해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함은 앞서 살펴본 방송모드 및 메신저모드에서 발생된다.
즉, 종래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용 중인 특정 모드에서 임의의 옵션 값을 변경한 후 그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고자 할 시, 복잡한 메뉴 진입 과정을 거쳐야 하고 옵션 변경 설정과 기능 실행에 따른 여러 번의 조작 행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서는 앞서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진행해야 함에 따라 최종 목적인 기능 실행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서는 옵션메뉴 검색 및 옵션 설정이 직관적으로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에게는 옵션을 변경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운용 시 이용되는 다양한 옵션 값의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특정 기능 수행 시 이용하는 다양한 옵션 값들을 직관적이고 빠르게 변경하고,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특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한 번의 터치 입력으로 다양한 옵션 값들의 설정 및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값을 기반으로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옵션 값 변경에 따른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터치 디바이스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설정과 관련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제1 기능에 의해 설정된 옵션 값을 반영하여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주어진 기능버튼에 터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 입력에 응답하여 옵션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옵션메뉴 기반의 옵션 값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시점의 옵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터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소프트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을 제공하는 기능영역과 상기 기능영역의 기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운용되는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특정 모드별로 주어지는 다양한 옵션메뉴와 그에 따른 옵션 설정 값 및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에 필요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특정 모드에서 상기 기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옵션메뉴에 대한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수행 중인 특정 모드의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설정과 기능 실행을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변경된 옵션 값으로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디바이스에서 특정 모드에서 옵션 변경에 따른 기능 실행 시 사용자의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여 직관적으로 빠르게 옵션 변경 및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모드에서 옵션 변경을 통한 촬영 기능 수행 시 촬영버튼을 이용한 간단한 터치 입력만으로도 신속하고 빠르게 옵션 변경에 의한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모드에서 옵션 변경을 통한 기능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다소 어려운 옵션 값 변경을 보다 직관적으로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터치 디바이스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디바이스에서 옵션 변경을 통한 기능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특정 모드별 기능 운용 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별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값 변경 및 해당 기능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변경 및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원 터치 입력으로 다중 옵션 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다중 옵션 값 설정을 위한 옵션메뉴를 변경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옵션메뉴가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한 번의 터치 이벤트 입력으로 복합적인 기능을 운용할 수 있는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모드별로 주어지는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변경된 옵션 값으로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설정과 관련된 기능(옵션 변경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 해제에 따른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버튼 기능) 실행 시 상기 옵션 변경 기능에 의해 설정된 옵션 값을 반영하여 상기 버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실행 모드에 따라 주어지는 기능버튼에 입력되는 형태에 따라 상기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 바로 실행을 위한 제1이벤트로 해석되거나, 상기 기능버튼 기반으로 옵션 설정 및 설정된 옵션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 실행을 위한 제2이벤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이벤트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기능버튼에 의한 기능 실행 전 옵션메뉴 호출, 옵션메뉴로의 이동(옵션메뉴가 기능버튼과 이격되어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함), 옵션메뉴 내에서 이동에 따른 옵션 변경, 추가 옵션메뉴 호출을 위한 이동 및 추가 옵션메뉴 내에서 이동에 따른 옵션 변경, 옵션메뉴 상에서
예를 들어, 상기 기능버튼에 터치 이벤트가 일정시간 내에 입력 및 해제가 모두 이루어질 시 상기 제1이벤트로 결정되어 상기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버튼에 터치 이벤트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될 시 상기 제2이벤트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벤트로 결정될 시 터치스크린의 기능버튼 상에 입력되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옵션메뉴 호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터치스크린 상에 유지하는 상태에서 옵션메뉴 내 이동에 의한 옵션 변경, 터치스크린 상에 유지된 터치 이벤트를 옵션메뉴 상에서 해제(release) 시 설정된 옵션 기반으로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이벤트 입력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물체(예컨대, 손가락, 포인터, 펜 등)가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터치되어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지되는 상태는 터치된 영역에 고정되거나 터치된 영역에서 주변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포함하며, 터치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떼어지기(해제) 전까지의 모든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터치 이벤트 해제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 영역에 터치된 물체 또는 상기 일 영역에서 이동되어 다른 영역으로 이동된 물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떼어지는(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터치 이벤트는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 실행을 위한 인터랙션(일정시간 내 입력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행위)과, 해당 기능버튼에 의한 기능 실행 전 기능버튼에 할당된 옵션메뉴 호출을 위한 인터랙션(기능버튼 상에 일정시간 이상 입력 및 유지되는 행위)과, 호출된 옵션메뉴에 따라 옵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이동되는 인터랙션(입력을 유지하면서 일정 영역으로 이동하는 행위)과, 옵션 값 변경 후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 실행을 위한 인터랙션(입력을 유지하면서 이동된 영역에서 물체를 떼어내는 행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분된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터치 이벤트는 본 발명의 옵션 설정 및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한 번의 입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원 핑거 기반의 원 터치에 의해 복수의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기 전까지 상기와 같은 하나의 터치 이벤트의 변화(입력, 유지, 이동, 해제)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옵션메뉴 활성화, 옵션메뉴 기반의 옵션 변경, 변경된 옵션에 의한 기능 실행을 일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버튼을 이용한 한 번의 사용자 입력 행위로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까지 원 터치(one touch)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기능버튼에 할당된 제1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옵션 값을 변경하는 제2 기능을 실행한 후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기능버튼에 할당된 본연의 제1 기능을 실행하는 것과 같이 옵션 변경과 기능 실행을 하나의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한 번의 입력 행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한 번의 터치 이벤트로 다중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부(100), 저장부(300), 그리고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피사체의 정적영상 및 동적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 하드 키(Hard key)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화 등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한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 그의 수행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디바이스의 홈스크린(home screen)을 표시하거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른 각각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앞서와 같은 실행화면을 표시할 시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특정 모드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소프트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을 제공하는 기능영역과, 상기 기능영역의 기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운용되는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영역의 경우 실행되는 특정 모드에 따라 다양한 레이아웃의 기능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00)는 특정 모드에서 주어지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변경된 옵션으로 실행된 기능의 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영역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00)의 화면 구성 및 그의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상기 저장부(300)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상기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표시부(1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터치 디바이스에서 터치 기반의 원 터치 입력으로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300)는 특정 모드별로 주어지는 다양한 옵션메뉴(410)와 그에 따른 옵션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30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옵션메뉴(410) 및 그에 따른 옵션 설정 값에 대한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정보(430)는 특정 모드별로 주어지는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에 대한 정보, 기능버튼에 의해 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옵션메뉴, 기능버튼에 의한 다중 옵션메뉴 제공 시 터치 이벤트 이동 경로에 따라 제공되는 옵션메뉴 순서 등에 대해 사전 설정되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본 발명에서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기반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옵션을 변경하고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에서 기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옵션메뉴에 대한 옵션 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능영역의 기능버튼 상에 설정된 터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시 옵션메뉴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옵션메뉴 상에서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옵션 변경 및 설정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상기 변경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기능버튼에 할당된 해당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에서 주어진 기능버튼에 터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 입력에 응답하여 옵션메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옵션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옵션메뉴 기반의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옵션 값 변경 시 현재 수행된 특정 모드에 따라 옵션 값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화면의 실시간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시점의 옵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결과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옵션 변경에 따른 기능 실행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터치 이벤트는 앞서와 같은 기능영역 상의 특정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 실행을 위한 인터랙션과, 해당 기능버튼에 의한 기능 실행 전 기능버튼에 할당된 옵션메뉴 호출을 위한 인터랙션과, 호출된 옵션메뉴에 따라 옵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이동되는 인터랙션과, 옵션 값 변경 후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 실행을 위한 인터랙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 이벤트는 사용자의 한 번의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원 핑거 기반의 원 터치에 의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는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기 전까지 상기와 같은 하나의 터치 이벤트의 변화에 따른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옵션메뉴 활성화, 옵션메뉴 기반의 옵션 변경, 변경된 옵션에 의한 기능 실행을 일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상기 제어부(50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터치 디바이스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랩톱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 제어 방법은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DS(Digital 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이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 2는 카메라 모듈에 의한 피사체의 촬영 기능을 지원하는 촬영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도 3은 다른 사용자들과의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 메신저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도 4는 음악이나 동영상, 이동 방송 등의 컨텐츠 재생 기능을 지원하는 미디어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도 5는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통화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디어모드는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될 수 있으며, 음악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음악모드, 동영상 재생을 위한 동영상모드, 이동 방송 재생을 위한 방송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크게 기능 실행에 따른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영역(310)과 기능 실행을 위한 소프트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이 제공되는 기능영역(3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예시에서와 같이 실행되는 특정 모드에 따라 그 레이아웃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영역(310)에는 촬영모드, 메신저모드, 미디어모드, 그리고 통화모드 등과 같이 특정 모드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영역(310)에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 값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화면, 변경된 옵션으로 실행된 기능의 결과 화면 등이 특정 모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영역(330)에는 촬영모드, 메신저모드, 미디어모드, 그리고 통화모드 등과 같은 특정 모드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위한 소프트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영역(330)은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되는 특정 모드에 따라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 2의 경우 촬영버튼(OK), 상기 도 3의 경우 전송버튼(SEND), 상기 도 4의 경우 재생 기능 제어 버튼들, 상기 도 5의 경우 음성통화버튼, 영상통화버튼, 메시지버튼이 상기 기능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도 2 내지 도 5에서 그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능버튼은 문자입력버튼, 채널전환버튼, 녹화버튼 등이 상기 기능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반드시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영역(310)과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버튼을 기능을 가지는 기능영역(330)으로 구분되어 원 터치 기반의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주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앞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각 특정 모드에서 원 터치 기반의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을 위한 동작 및 그의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별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값 변경 및 기능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6에서는 촬영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촬영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버튼(예컨대, 촬영버튼)을 이용하여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6의 경우 상기 촬영 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촬영모드에서 지원되는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촬영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영모드가 실행되고 그에 따른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촬영모드 실행 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표시영역(310)에 나타나고, 기능영역(330) 상에 촬영 기능 수행을 위한 촬영버튼(600)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601>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영역(330)의 촬영버튼(600)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디바이스는 촬영버튼(600)을 통해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버튼(600) 상에 옵션메뉴(65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650)의 활성화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될 시 나타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제될 시 촬영 버튼(600)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예컨대, 촬영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650)는 상기 촬영버튼(60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영역(330) 내에서 촬영버튼(600)과 인접하는 주변에 제공되거나, 상기 표시영역(310)의 설정된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메뉴의 제공 형태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 및 해당 특정 모드에서 선택되어지는 기능버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터치 디바이스 제조 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촬영모드에서 상기 촬영버튼(600)에 의한 옵션메뉴로서 화이트밸런스, 밝기, 노출, 해상도, ISO 등과 같은 옵션메뉴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그들이 출력되는 순서를 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650)로 화이트밸런스 메뉴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6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650)는 화이트밸런스의 옵션 값 조정을 위한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650)로 노출 메뉴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6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650)는 노출의 옵션 값 조정을 위한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6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이동에 따라 다음 순서로 설정된 다른 옵션메뉴를 추가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표시영역(31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이벤트 이동) 시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화면 상에서 제거하고, 상기 이동에 따른 다음 순서를 가지는 새로운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단계의 옵션메뉴 활성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뎁스(depth)별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앞서와 같이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이전에 활성화된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제거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전에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앞서와 같이 화면 상에서 제거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 즉, 화면 상에서 그의 표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때, 옵션메뉴를 제거할 시 그 표현 방식에서 페이드아웃(fade out)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옵션메뉴를 유지할 시 반투명 형태로 변환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원형 그래도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페이드인(fade in)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605>와 같이 옵션메뉴(6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어진 옵션메뉴(650)에 따른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상기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650)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값이 반영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6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어진 옵션메뉴(650) 상에서 옵션 값의 가감을 위하여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변화된 옵션 값에 대응하는 결과 화면(예컨대, 상기 도 6에서는 사선으로 표시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노출을 한 단계 높이는 방향(예컨대, 우측 방향)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노출이 한 단계 상승된 화면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은 주어지는 옵션메뉴의 타입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 상 또 하 방향으로 이동, 대각 방향으로 이동,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6에서 참조번호 <655>는 상기 도 6에서 노출 옵션 조정을 위한 옵션메뉴(650)가 제공될 시 그 형태의 예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참조번호 <6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옵션메뉴(650)의 영역을 옵션 가감 방향에 따라 표현 정도(예컨대, 색상, 음영 등)를 순차적으로 다르게 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6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옵션메뉴(650)에서 최좌측 영역부터 최우측 영역으로 진행될수록 음영이 점차 짙어지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6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옵션메뉴(650)의 최저 옵션 값과 최대 옵션 값에 해당하는 각 영역에 해당 방향으로 진행 시 옵션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됨을 알릴 수 있는 아이템(예컨대, "-" 및 "+")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6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옵션메뉴(650)에서 최좌측 영역에 "-" 아이템을 나타내고, 최우측 영역에 "+" 아이템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외에도 옵션메뉴(650)의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하고 각 영역들에 가감 정도를 표현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하거나, 또는 구분된 각 영역들의 색상을 다르게 표현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노출 옵션 설정을 위한 가감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옵션메뉴(650)의 표현 방식은 앞서 설명된 실시 예 및 후술되는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옵션메뉴들에서도 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607>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희망하는 옵션 값으로 변경한 후 참조번호 <6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위치는 상기 옵션메뉴(650) 상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이동된 포인트에서 그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옵션 값은 상기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디바이스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옵션메뉴(650)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을 기반으로 촬영버튼(600)의 본연의 기능인 촬영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변경된 옵션 값으로 촬영된 촬영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버튼(600)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옵션메뉴(650)가 활성화되어 나타나고, 유지하고 있는 터치 이벤트를 옵션 값을 변경을 위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옵션 값을 변경하고,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시 변경된 옵션 값으로 촬영버튼(600)의 본연의 기능인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모드에서 촬영버튼(6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촬영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모드에서 촬영버튼(6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메뉴(650)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주어진 옵션메뉴(650)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촬영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별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값 변경 및 기능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7에서는 메신저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메신저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버튼(예컨대, 전송버튼, 문자입력버튼 등)을 이용하여 채팅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7의 경우 전송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메신저모드에서 지원되는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채팅 기능에 따른 텍스트 전송을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신저모드가 실행되고 그에 따른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메신저모드 실행 시 사용자의 채팅 기능 실행에 따라 송수신되는 텍스트(이모티콘 등의 아이템도 포함)가 표시영역(310)에 나타나고, 기능영역(330) 상에 채팅 기능 수행을 위한 문자입력버튼, 전송버튼(700)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7에서는 전송버튼(700)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도 7에서는 사용자가 문자입력버튼을 이용하여 "HELLO" 문자를 입력하고 그의 전송을 대기 중인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701>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영역(330)의 전송버튼(700)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디바이스는 전송버튼(700)을 통해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7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버튼(700) 상에 옵션메뉴(75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750)의 활성화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될 시 나타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제될 시 전송버튼(700)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예컨대, 입력된 텍스트 전송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750)는 상기 전송버튼(70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영역(330) 내에서 전송버튼(700)과 인접하는 주변에 제공되거나, 상기 표시영역(310)의 설정된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메뉴의 제공 형태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 및 해당 특정 모드에서 선택되어지는 기능버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터치 디바이스 제조 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메신저모드에서 상기 전송버튼(700)에 의한 옵션메뉴로서 폰트 타입, 폰트 크기, 폰트 색깔, 언어 등과 같은 옵션메뉴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그들이 출력되는 순서를 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750)로 폰트 크기 메뉴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7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750)는 폰트 크기의 옵션 값 조정을 위한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750)로 폰트 색깔 메뉴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7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750)는 폰트 색깔의 옵션 값 조정을 위한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7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이동에 따라 다음 순서로 설정된 다른 옵션메뉴를 추가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표시영역(31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이벤트 이동) 시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설정 방식에 따라 화면 상에서 제거하거나 화면 상에 유지하고, 상기 이동에 따른 다음 순서를 가지는 새로운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단계의 옵션메뉴 활성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뎁스별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제거할 시 페이드아웃 형태와 같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사라지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유지할 시 반투명 형태로 변환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원형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페이드인 형태와 같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705>와 같이 옵션메뉴(7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어진 옵션메뉴(750)에 따른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상기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750)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값이 반영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어진 옵션메뉴(750) 상에서 옵션 값의 가감을 위하여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변화된 옵션 값에 대응하는 결과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폰트 크기를 한 단계 높이는 방향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입력된 텍스트 "HELLO"의 폰트 크기가 한 단계 커진 화면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은 주어지는 옵션메뉴의 타입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 상 또 하 방향으로 이동, 대각 방향으로 이동,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707>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희망하는 옵션 값으로 변경한 후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위치는 상기 옵션메뉴(750) 상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이동된 포인트에서 그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옵션 값은 상기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디바이스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옵션메뉴(750)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을 기반으로 전송버튼(700)의 본연의 기능인 텍스트 전송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변경된 옵션 값이 반영된 텍스트가 전송된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7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버튼(700)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옵션메뉴(750)가 활성화되어 나타나고, 유지하고 있는 터치 이벤트를 옵션 값을 변경을 위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옵션 값을 변경하고,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시 변경된 옵션 값으로 전송버튼(700)의 본연의 기능인 텍스트 전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신저모드에서 전송버튼(7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입력된 텍스트의 전송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신저모드에서 전송버튼(7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메뉴(750)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주어진 옵션메뉴(750)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텍스트 전송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별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값 변경 및 기능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8에서는 미디어모드(예컨대, 음악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미디어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버튼(예컨대, 음악재생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버튼(재생버튼, FF(Fast Forward)버튼, REW(rewind)버튼, 볼륨조절버튼, 구간반복버튼 등))을 이용하여 음악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8의 경우 재생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미디어모드에서 지원되는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음악재생 기능에 따른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디어모드가 실행되고 그에 따른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모드 실행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음악파일정보 및 음악스킨이 표시영역(310)에 나타나고, 기능영역(330) 상에 음악 재생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제어버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8에서는 재생버튼(800)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801>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영역(330)의 재생버튼(800)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디바이스는 재생버튼(800)을 통해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버튼(800) 상에 옵션메뉴(85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850)의 활성화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될 시 나타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제될 시 재생버튼(800)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예컨대, 음악 재생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850)는 상기 재생버튼(80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영역(330) 내에서 재생버튼(800)과 인접하는 주변에 제공되거나, 상기 표시영역(310)의 설정된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메뉴의 제공 형태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 및 해당 특정 모드에서 선택되어지는 기능버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터치 디바이스 제조 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미디어모드에서 상기 재생버튼(800)에 의한 옵션메뉴로서 파일 리스트, 음악스킨, 오디오 효과, 구간 반복 재생, 음장, 재생 색온도, 재생 속도 등 재생에 필요한 옵션메뉴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그들이 출력되는 순서를 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850)로 재생 속도 메뉴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8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850)는 재생 속도의 옵션 값 조정을 위한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850)로 파일 리스트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8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850)는 재생하고자 하는 파일 선택을 위한 리스트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8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이동에 따라 다음 순서로 설정된 다른 옵션메뉴를 추가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표시영역(31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이벤트 이동) 시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설정 방식에 따라 화면 상에서 제거하거나 화면 상에 유지하고, 상기 이동에 따른 다음 순서를 가지는 새로운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단계의 옵션메뉴 활성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뎁스별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제거할 시 페이드아웃 형태와 같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사라지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유지할 시 반투명 형태로 변환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원형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페이드인 형태와 같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805>와 같이 옵션메뉴(8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어진 옵션메뉴(850)에 따른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상기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8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850)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값이 반영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8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어진 옵션메뉴(850) 상에서 옵션 값의 가감을 위하여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변화된 옵션 값에 대응하는 결과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어지는 옵션메뉴(850)가 재생 속도 가감을 위한 옵션메뉴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옵션메뉴(850) 상에서 재생 속도를 한 단계 높이는 방향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재생 속도가 변화(예컨대, 증가)됨을 알리는 관련정보가 화면을 통해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어지는 옵션메뉴(850)가 음악스킨 변경을 위한 옵션메뉴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옵션메뉴(850) 상에서 음악스킨을 변경하는 방향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음악스킨이 변화된 화면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어지는 옵션메뉴(850)가 구간 재생 설정을 위한 옵션메뉴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옵션메뉴(850) 상에서 구간 재생을 원하는 구간만큼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여 재생 구간(또는 재생 길이)을 설정하면, 현재 재생 시점(또는 재생 시작 시점)에서부터 상기 터치 이벤트가 이동된 구간만큼 재생 구간(또는 재생 길이)이 설정됨을 알리는 관련정보가 화면을 통해 실시간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은 주어지는 옵션메뉴의 타입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 상 또 하 방향으로 이동, 대각 방향으로 이동,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807>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희망하는 옵션 값으로 변경한 후 참조번호 <8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위치는 상기 옵션메뉴(850) 상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이동된 포인트에서 그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옵션 값은 상기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디바이스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옵션메뉴(850)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을 기반으로 재생버튼(800)의 본연의 기능인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옵션 값이 반영된 재생 속도로 프로그래스바가 이동하는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음악 재생 기능 중 사운드 출력과 연관되는 기능 제어의 경우 변화된 옵션 값에 따라 사운드 출력 역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속도 변화에 맞추어 출력되는 사운드 역시 빠른 템포로 출력되거나 느린 템포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재생 시점(또는 재생 시작 시점)에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구간(또는 길이)만큼 구간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8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버튼(800)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옵션메뉴(850)가 활성화되어 나타나고, 유지하고 있는 터치 이벤트를 옵션 값을 변경을 위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옵션 값을 변경하고,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시 변경된 옵션 값으로 재생버튼(800)의 본연의 기능인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모드에서 재생버튼(8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음악 재생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모드에서 재생버튼(8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메뉴(850)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주어진 옵션메뉴(850)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음악 재생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별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값 변경 및 기능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9는 상기 도 8에서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옵션메뉴가 다른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도 8에서는 재생 속도 옵션 값 조절을 위한 바 타입의 옵션메뉴(85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일 수 있고, 상기 도 9에서는 오디오 효과 옵션 값 조절을 위한 메뉴 타입의 옵션메뉴(95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일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동일한 특정 모드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옵션메뉴들을 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동작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9에서는 미디어모드(예컨대, 음악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미디어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버튼(예컨대, 음악재생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버튼(재생버튼, FF버튼, REW버튼, 볼륨조절버튼, 구간반복버튼 등))을 이용하여 음악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9의 경우 재생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미디어모드에서 지원되는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음악재생 기능에 따른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디어모드가 실행되고 그에 따른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모드 실행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음악파일정보 및 음악스킨이 표시영역(310)에 나타나고, 기능영역(330) 상에 음악 재생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제어버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9에서는 재생버튼(900)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901>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9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영역(330)의 재생버튼(900)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디바이스는 재생버튼(900)을 통해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9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버튼(900) 상에 옵션메뉴(95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950)의 활성화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될 시 나타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제될 시 재생버튼(900)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예컨대, 음악 재생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950)는 상기 재생버튼(90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영역(330) 내에서 재생버튼(900)과 인접하는 주변에 제공되거나, 상기 표시영역(310)의 설정된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메뉴의 제공 형태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 및 해당 특정 모드에서 선택되어지는 기능버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터치 디바이스 제조 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미디어모드에서 상기 재생버튼(900)에 의한 옵션메뉴로서 파일 리스트, 음악스킨, 오디오 효과, 구간 반복 재생, 음장, 재생 색온도, 재생 속도 등 재생에 필요한 옵션메뉴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그들이 출력되는 순서를 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950)로 오디오 효과 메뉴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9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950)는 오디오 효과의 옵션 값 조정을 위한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9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이동에 따라 다음 순서로 설정된 다른 옵션메뉴를 추가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표시영역(31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이벤트 이동) 시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설정 방식에 따라 화면 상에서 제거하거나 화면 상에 유지하고, 상기 이동에 따른 다음 순서를 가지는 새로운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단계의 옵션메뉴 활성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뎁스별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제거할 시 페이드아웃 형태와 같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사라지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유지할 시 반투명 형태로 변환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원형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페이드인 형태와 같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905>와 같이 옵션메뉴(9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어진 옵션메뉴(950)에 따른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상기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950)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값이 반영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어진 옵션메뉴(950) 상에서 옵션 값의 가감을 위하여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변화된 옵션 값에 대응하는 결과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효과를 변경하는 방향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사용자 선택에 따른 해당 오디오 효과 부분이 하이라이트 되는 것과 같이 그 변화 상태를 알리는 화면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은 주어지는 옵션메뉴의 타입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 상 또 하 방향으로 이동, 대각 방향으로 이동,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907>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희망하는 옵션 값으로 변경한 후 참조번호 <9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위치는 상기 옵션메뉴(950) 상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이동된 포인트에서 그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옵션 값은 상기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디바이스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옵션메뉴(950)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을 기반으로 재생버튼(900)의 본연의 기능인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옵션 값이 반영된 오디오 효과(예컨대, POP)에 의해 재생됨을 알리는 정보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오디오 효과 변화에 맞추어 출력되는 사운드 역시 해당 오디오 효과(예컨대, POP)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 9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버튼(900)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옵션메뉴(950)가 활성화되어 나타나고, 유지하고 있는 터치 이벤트를 옵션 값을 변경을 위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옵션 값을 변경하고,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시 변경된 옵션 값으로 재생버튼(900)의 본연의 기능인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모드에서 재생버튼(9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음악 재생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모드에서 재생버튼(9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메뉴(950)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주어진 옵션메뉴(950)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음악 재생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별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값 변경 및 기능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0에서는 미디어모드(예컨대, 방송모드, 동영상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미디어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버튼(예컨대, 재생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버튼(재생버튼, 정지버튼, FF버튼, REW버튼, 채널전환버튼, 녹화버튼, 볼륨조절버튼, 구간반복버튼 등))을 이용하여 이동방송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10의 경우 녹화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미디어모드에서 지원되는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이동방송 재생 기능에 따른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디어모드가 실행되고 그에 따른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모드 실행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이동방송 채널의 해당 영상이 표시영역(310)에 나타나고, 기능영역(330) 상에 이동방송 재생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제어버튼들(예컨대, 재생버튼, 채널전환버튼, 구간반복버튼, 녹화버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0에서는 녹화버튼(1000)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001>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10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영역(330)의 녹화버튼(1000)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디바이스는 녹화버튼(1000)을 통해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10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녹화버튼(1000) 상에 옵션메뉴(105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1050)의 활성화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될 시 나타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제될 시 재생버튼(1000)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예컨대, 녹화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1050)는 상기 녹화버튼(80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영역(330) 내에서 녹화버튼(1000)과 인접하는 주변에 제공되거나, 상기 표시영역(310)의 설정된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메뉴의 제공 형태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 및 해당 특정 모드에서 선택되어지는 기능버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터치 디바이스 제조 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미디어모드에서 상기 녹화버튼(1000)에 의한 옵션메뉴로서 채널 리스트, 녹화 날짜, 녹화 시간, 녹화 시작시간, 녹화 종료시간 등 녹화에 필요한 옵션메뉴들을 지정할 수 있으며, 그들이 출력되는 순서를 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1050)로 녹화 시간 메뉴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10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1050)는 녹화 시간의 옵션 값 조정을 위한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최초 활성화되는 옵션메뉴(1050)로 채널 리스트를 선택 지정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10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1050)는 녹화하고자 하는 채널의 방송 선택을 위한 리스트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0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이동에 따라 다음 순서로 설정된 다른 옵션메뉴를 추가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표시영역(31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이벤트 이동) 시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설정 방식에 따라 화면 상에서 제거하거나 화면 상에 유지하고, 상기 이동에 따른 다음 순서를 가지는 새로운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단계의 옵션메뉴 활성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뎁스별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제거할 시 페이드아웃 형태와 같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사라지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유지할 시 반투명 형태로 변환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원형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페이드인 형태와 같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005>와 같이 옵션메뉴(10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어진 옵션메뉴(850)에 따른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상기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0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1050)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값이 반영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0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어진 옵션메뉴(1050) 상에서 옵션 값의 가감을 위하여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변화된 옵션 값에 대응하는 결과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녹화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방향(위치)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선택하고자 하는 녹화 시간을 알리는 관련정보가 화면을 통해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녹화하고자 하는 채널의 방향(위치)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선택되는 채널을 알리는 관련정보과 화면을 통해 실시간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은 주어지는 옵션메뉴의 타입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 상 또 하 방향으로 이동, 대각 방향으로 이동,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007>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희망하는 옵션 값으로 변경한 후 참조번호 <10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위치는 상기 옵션메뉴(1050) 상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이동된 포인트에서 그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옵션 값은 상기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디바이스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옵션메뉴(1050)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을 기반으로 녹화버튼(1000)의 본연의 기능인 녹화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녹화버튼(1000)을 이용하여 녹화시간 설정 후 바로 녹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변경된 옵션 값(녹화시간)에 따라 녹화 정보 또는 녹화 예정 정보가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10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녹화버튼(1000)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옵션메뉴(1050)가 활성화되어 나타나고, 유지하고 있는 터치 이벤트를 옵션 값을 변경을 위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옵션 값을 변경하고,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시 변경된 옵션 값으로 녹화버튼(1000)의 본연의 기능인 녹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모드에서 녹화버튼(10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녹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모드에서 녹화버튼(10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메뉴(1050)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주어진 옵션메뉴(1050)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녹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실행 모드별로 제공되는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값 변경 및 기능 실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1에서는 통화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통화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버튼(예컨대, 음성통화버튼, 영상통화버튼, 메시지버튼, 문자입력버튼 등)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도 11의 경우 음성통화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통화모드에서 지원되는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변경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에 따른 콜 발신을 실행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모드가 실행되고 그에 따른 실행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드 실행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수신자 정보(예컨대, 전화번호)가 표시영역(310)에 나타나고, 기능영역(330) 상에 통화 기능 수행을 위한 음성통화버튼, 영상통화버튼, 메시지버튼, 문자입력버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1에서는 음성통화버튼(1100)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도 7에서는 사용자가 문자입력버튼을 이용하여 "010-5555-5555"의 수신자 정보를 입력하고 그의 의한 콜 발신을 대기 중인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101>과 같은 상태에서 참조번호 <1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영역(330)의 음성통화버튼(1100)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디바이스는 음성통화버튼(1100)을 통해 터치 이벤트의 입력을 감지할 시 참조번호 <11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통화버튼(1100) 상에 옵션메뉴(115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1150)의 활성화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입력될 시 나타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제될 시 음성통화버튼(1100)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예컨대, 콜 발신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옵션메뉴(1150)는 상기 음성통화버튼(1100)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영역(330) 내에서 전송버튼(1100)과 인접하는 주변에 제공되거나, 상기 표시영역(310)의 설정된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메뉴의 제공 형태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 및 해당 특정 모드에서 선택되어지는 기능버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터치 디바이스 제조 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음성통화버튼(1100)에 의한 옵션메뉴로서 키패드(Keypad), 콜 종료(End Call), 스피커(Speaker), 뮤트(Mute), 대체영상(Replace Picture)(영상통화버튼에 할당될 수 있음) 등과 같은 옵션메뉴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참조번호 <1105>에서 나타나는 옵션메뉴(1150)는 키패드(Keypad), 콜 종료(End Call), 스피커(Speaker), 뮤트(Mute) 등과 같은 옵션 값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1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이동에 따라 다음 순서로 설정된 다른 옵션메뉴를 추가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표시영역(310)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터치 이벤트 이동) 시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설정 방식에 따라 화면 상에서 제거하거나 화면 상에 유지하고, 상기 이동에 따른 다음 순서를 가지는 새로운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즉,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다단계의 옵션메뉴 활성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뎁스별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제거할 시 페이드아웃 형태와 같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사라지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유지할 시 반투명 형태로 변환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원형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페이드인 형태와 같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가 화면 상에서 차츰 나타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105>와 같이 옵션메뉴(1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어진 옵션메뉴(1150)에 따른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상기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1150)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옵션 값이 반영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어진 옵션메뉴(1150) 상에서 옵션 값의 선택을 위하여 터치 이벤트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 시 선택된 옵션 값에 대응하는 결과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피커폰 모드로 변경하는 방향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이동(예컨대, 드래그 인터랙션)하면, 사용자 선택에 따른 해당 옵션 부분이 하이라이트 되는 것과 같이 그 변화 상태를 알리는 화면을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은 주어지는 옵션메뉴의 타입에 따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 상 또 하 방향으로 이동, 대각 방향으로 이동,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107>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희망하는 옵션 값으로 변경한 후 참조번호 <11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위치는 상기 옵션메뉴(1150) 상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이동된 포인트에서 그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옵션 값은 상기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디바이스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옵션메뉴(1150)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에 대응하는 옵션 값을 기반으로 음성통화버튼(700)의 본연의 기능인 콜 발신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변경된 옵션 값으로 콜 발신이 이루어지는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11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통화버튼(1100)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옵션메뉴(1150)가 활성화되어 나타나고, 유지하고 있는 터치 이벤트를 옵션 값을 변경을 위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옵션 값을 변경하고,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시 변경된 옵션 값으로 음성통화버튼(1100)의 본연의 기능인 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모드에서 음성통화버튼(11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콜 발신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모드에서 음성통화버튼(1100)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메뉴(1150)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주어진 옵션메뉴(1150)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콜 발신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버튼을 이용한 옵션 변경 및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모드에서 지원 가능한 특정 기능버튼이 기능영역(33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1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버튼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1220>와 같이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제하여 기능버튼에 할당된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하거나, 또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하여 참조번호 <12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메뉴(1200)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1230>과 같이 활성화된 옵션메뉴(1200)에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옵션 값을 설정한 후 참조번호 <12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버튼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기능버튼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모드에서 기능버튼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단계, 터치 이벤트에 의한 옵션메뉴(1200)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주어진 옵션메뉴(1200)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시 설정된 옵션 값을 반영한 후 기능버튼에 할당된 본연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설정과 관련된 제1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에 따라 상기 제1 기능에 의해 설정된 옵션 값으로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제2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능버튼에 입력하는 원 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이용하여 복합적인 기능 운용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원 터치 입력으로 다중 옵션 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모드에서 지원 가능한 특정 기능버튼이 기능영역(33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1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버튼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유지할 시 참조번호 <1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메뉴(1300)가 활성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330>과 같이 옵션메뉴(13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인터랙션에 의해 옵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참조번호 <1330>과 같이 옵션메뉴(13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다음 뎁스의 다른 옵션메뉴 활성화를 위해 참조번호 <13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이벤트를 상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13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에 활성화된 옵션메뉴(1300)는 화면 상에서 제거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른 다음 뎁스의 새로운 옵션메뉴(1370)가 상기 터치 이벤트가 위치한 영역에 활성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옵션 값 조정을 위한 이동이 아닌 다른 뎁스의 옵션메뉴 활성화를 위한 터치 이벤트 이동에 따라 다단계의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참조번호 <1350>과 같은 상태에서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1300)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기한 순서의 역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앞서와 같이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이전에 활성화된 옵션메뉴를 화면 상에서 제거하는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전에 활성화된 옵션메뉴는 앞서와 같이 화면 상에서 제거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 즉, 화면 상에서 그의 표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때, 옵션메뉴를 제거할 시 그 표현 방식에서 페이드아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옵션메뉴를 유지할 시 반투명 형태로 변환하는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내거나, 또는 원형 그래도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옵션메뉴 활성화 시 페이드인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1330>과 같이 활성화된 옵션메뉴(1370)에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옵션 값을 설정한 후 참조번호 <13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변경 설정되는 옵션 값은 적어도 하나의 옵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옵션 값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참조번호 <1330> 단계에서 주어진 옵션메뉴(1300)에 의해서만 옵션 값을 설정하거나, 참조번호 <1330> 단계에서 주어진 옵션메뉴(1300)에 의해서는 옵션 값을 설정하지 않고, 참조번호 <1350> 단계에서 주어진 옵션메뉴(1070)에 의해서만 옵션 값을 설정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반영되는 옵션 값은 하나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참조번호 <1330> 단계에서 주어진 옵션메뉴(1300)를 기반으로 제1 옵션 값을 설정하고, 또한 참조번호 <1350> 단계에서 주어진 옵션메뉴(1370)를 기반으로 제2 옵션 값을 설정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반영되는 옵션 값은 옵션메뉴(1300) 기반의 제1 옵션 값과 옵션메뉴(1370) 기반의 제2 옵션 값 두 개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옵션메뉴(1300)에 대한 제1 옵션 값 변경 후 상기 옵션메뉴(1370)로의 전환 시 상기 옵션메뉴(1300)의 제1 옵션 값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옵션메뉴(1370)에 대한 제2 옵션 값이 설정된 후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상기 일시 저장된 옵션메뉴(1300)의 제1 옵션 값과 상기 옵션메뉴(1370)에서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의 옵션 값(즉, 상기 제2 옵션 값)을 함께 반영하여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에 따른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3의 예시에서는 다음 뎁스 또는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전환을 위해 터치 이벤트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다. 이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주어지는 옵션메뉴에서 옵션 값 설정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임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뎁스 또는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전환을 위한 터치 이벤트는 옵션 값 설정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과 구분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뎁스별 옵션메뉴 활성화를 위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은 반드시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뎁스별 옵션메뉴 활성화 및 옵션 값 변경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도록 주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 13에서와 같은 다중 옵션 값 설정을 위한 뎁스별 옵션메뉴 변경은 터치 이벤트를 이동하는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도 지원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다중 옵션 값 설정을 위한 옵션메뉴를 변경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4는 터치 이벤트의 입력은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 디바이스의 자세 변화를 이용하는 경우의 동작 예시를 나타내고, 도 15는 터치 이벤트의 입력은 고정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터치 이벤트 입력(예컨대, 멀티터치 이벤트 입력)을 이용하는 경우의 동작 예시를 나타내고, 도 16은 터치 이벤트의 입력은 고정한 상태에서 하드 키 입력을 이용하는 경우의 동작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버튼 상에 터치 이벤트 입력에 의해 옵션메뉴(14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1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버튼 상에 입력된 상기 터치 이벤트는 유지하면서 터치 디바이스를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자세 변화를 줄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14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이벤트가 유지되는 있는 기능버튼 상에 이전의 옵션메뉴(1400) 대신 새로운 옵션메뉴(1450)가 대체되어 나타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뎁스별 옵션메뉴들 간 전환을 위해 입력된 터치 이벤트는 유지하는 상태에서 터치 디바이스를 자세를 변화하는 것에 의해 다음 뎁스의 옵션메뉴,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등과 같이 다단계의 옵션메뉴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모션센서 등과 같이 터치 디바이스의 자세 변화에 따른 자세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버튼 상에 제1 터치 이벤트(1501) 입력에 의해 옵션메뉴(15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1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버튼 상에 입력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1501)는 유지하면서 표시영역(310)의 일 영역에 제2 터치 이벤트(1503)를 입력하여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터치 이벤트(1503)는 표시영역(310) 또는 기능영역(330) 중 임의의 영역에 입력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직관성을 고려하여 표시영역(310)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참조번호 <15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유지되는 기능버튼 상에 이전의 옵션메뉴(1500) 대신 새로운 옵션메뉴(1550)가 대체되어 나타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뎁스별 옵션메뉴들 간 전환을 위해 입력된 제1 터치 이벤트(1501)는 유지하는 상태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제2 터치 이벤트(1503)를 입력하여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다음 뎁스의 옵션메뉴,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등과 같이 다단계의 옵션메뉴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버튼 상에 터치 이벤트 입력에 의해 옵션메뉴(16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16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버튼 상에 입력된 상기 터치 이벤트는 유지하면서 하드 키(1640)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16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이벤트가 유지되는 기능버튼 상에 이전의 옵션메뉴(1600) 대신 새로운 옵션메뉴(1650)가 대체되어 나타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뎁스별 옵션메뉴들 간 전환을 위해 입력된 터치 이벤트는 유지하는 상태에서 하드 키(1640)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것에 의해 다음 뎁스의 옵션메뉴,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등과 같이 다단계의 옵션메뉴들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도 14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뎁스별 다단계 옵션메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옵션메뉴들 간 전환을 수행하면서 전환되는 옵션메뉴별 복수개의 옵션 값들을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설정하고, 복수개의 옵션 값들을 기반으로 특정 모드에서의 기능버튼에 의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옵션메뉴가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710>은 기능영역(330)의 기능버튼 상에 가로 방향의 바 타입으로 옵션메뉴(170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720>은 기능영역(330)과 표시영역(310)에 걸쳐 세로 방향의 역삼각 타입으로 옵션메뉴(170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730>은 기능영역(330)의 기능버튼과 인접된 주변영역(기능영역(310) 또는 표시영역(330)에 나타날 수 있음)에 가로 방향의 블록 타입으로 옵션메뉴(170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740>은 기능영역(330)의 기능버튼 자체를 이용하여 옵션메뉴(170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750>은 기능영역(330)의 기능버튼을 에워싸면서 사각 타입으로 옵션메뉴(170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760>은 기능영역(330)의 기능버튼을 에워싸면서 원 타입으로 옵션메뉴(1700)가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옵션메뉴(1700)는 기능버튼 상, 기능버튼과 인접된 주변영역, 표시영역(330) 등에 리스트 타입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옵션 값 설정을 위한 옵션메뉴(1700)는 종류, 방향, 크기, 위치 등의 제약 없이, 일차원 형태에서부터 다차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터치 디바이스에서 원 터치 기반의 옵션 변경 및 기능 실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주어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18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촬영모드, 메신저모드, 미디어모드(음악모드, 동영상모드, 방송모드), 통화모드 등과 같은 특정 모드를 실행하고 그에 따른 실행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모드의 기능 제어를 위한 기능버튼 상에 터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180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촬영모드에 의한 촬영버튼, 미디어모드에 의한 재생버튼, 미디어모드에 의한 녹화버튼, 통화모드에 의한 통화버튼 등과 같은 특정 기능버튼 상에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기능버튼 상에 터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시 그에 응답하여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1805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옵션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메뉴에 대한 옵션 값을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다(18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옵션메뉴 활성화 후 상기 옵션메뉴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옵션 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옵션 값에 따라 변화되는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1809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에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의한 옵션 값을 변경하여 설정한 후 상기 터치 이벤트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 그에 응답하여 상기 옵션메뉴에서 변경 설정된 옵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에 매핑된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18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의해 화이트밸런스가 설정된 후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변경된 화이트밸런스 설정 값으로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메신저모드에서 전송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의해 폰트 색깔이 설정되고, 이어서 폰트 크기가 추가적으로 설정된 후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변경된 폰트 색깔 및 폰트 크기의 텍스트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방송모드에서 녹화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의해 녹화 시간이 설정된 후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설정된 녹화 시간을 기반으로 녹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원 터치 기반의 복합 기능 운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1901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모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촬영모드, 메신저모드, 음악모드, 동영상모드, 방송모드, 통화모드 등과 같은 모드들 중 어느 한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기 특정 모드 실행 시 상기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구분되는 표시영역(310)과 기능영역(3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기능영역 상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1903단계).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상기 기능영역(330)에서 상기 특정 모드에 따라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 중 특정 기능버튼 상에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905단계).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제될 시(1905단계의 YES),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9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특정 모드에서 주어진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500)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버튼에 할당된 촬영 기능을 제어하거나, 메신저모드에서 전송버튼에 할당된 전송 기능을 제어하거나, 방송모드에서 녹화버튼에 할당된 녹화 기능을 제어하거나, 미디어모드에서 재생버튼에 할당된 재생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가 없으면(1905단계의 NO),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1909단계). 여기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입력되지 않을 시(1909단계의 NO) 상기 1905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입력될 시(1909단계의 YES)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1911단계). 이때, 본 발명에서는 기능버튼에 하나 이상의 옵션메뉴가 할당될 수 있으며, 만약 복수개의 옵션메뉴들이 할당될 시 미리 정의된 우선순위에 따라 선순위에 있는 옵션메뉴가 최초에 활성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제공되는 옵션메뉴는 터치 디바이스 제조 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옵션메뉴는 상기 기능버튼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되거나, 상기 기능버튼과 인접하는 주변에 제공되거나, 상기 표시영역의 설정된 임의의 위치 등에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메뉴의 제공 형태는 실행되는 특정 모드 및 해당 특정 모드에서 선택되어지는 기능버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옵션메뉴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1913단계). 그러면,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의 옵션 값의 적응적 변경 및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1915단계). 즉, 제어부(500)는 상기 옵션메뉴 활성화 후 상기 옵션메뉴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해당 옵션메뉴 기반의 옵션 값을 실시간 변경하고 변경된 옵션 값에 대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의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1917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옵션메뉴에서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의해 희망하는 옵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옵션메뉴 영역으로 이동된 터치 이벤트를 옵션 값이 설정되는 해당 포인트에서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시점의 옵션 값을 기준으로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500). 즉,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옵션메뉴 영역의 해당 포인트의 옵션 값을 기준으로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본연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1919단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서 다중 옵션 설정에 의한 기능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2001단계). 이때, 상기 도 20에서는 특정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특정 모드에서 주어진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메뉴가 활성화되어 나타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체크하여(2003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이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05단계). 본 발명에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이 상기 옵션메뉴 내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해 이동하는 인터랙션인지, 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이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의 다른 뎁스(예컨대, 다음 뎁스 또는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호출을 위해 이동하는 인터랙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의 동작은 상기 20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이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에 해당하는 경우로 시작되는 실시 예의 동작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20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이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이면(2005단계의 YES), 상기 터치 이벤트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활성화된 옵션메뉴의 옵션 값의 적응적 변경 및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2007단계). 즉, 제어부(500)는 상기 옵션메뉴 활성화 후 상기 옵션메뉴 상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할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해당 옵션메뉴 기반의 옵션 값을 실시간 변경하고 변경된 옵션 값에 대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옵션메뉴의 옵션 값 변경 중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의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의한 옵션 값 변경 중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옵션메뉴와 다른 뎁스(예컨대, 다음 뎁스 또는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호출을 위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입 변경 요청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이 없으면(2009단계의 NO),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23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하면(2023단계의 YES) 변경된 옵션 값을 기준으로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1단계). 반면, 제어부(500)는 터치 이벤트 해제가 아니면(2023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의 2005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앞서 실행된 동작 초기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앞서 변경 설정된 옵션 값을 초기화하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이 있으면(2009단계의 YES), 상기 옵션메뉴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변경된 옵션 값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2011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에 의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메뉴와 다른 뎁스(예컨대, 다음 뎁스 또는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2013단계).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의 동작에 의한 특정 뎁스의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의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의한 특정 뎁스의 옵션메뉴(전환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전환 옵션메뉴 내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입 변경 요청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이 없으면(2015단계의 NO),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23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하면(2023단계의 YES) 앞서 2007단계의 옵션메뉴에 대해 변경된 옵션 값을 기준으로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1단계). 반면, 제어부(500)는 터치 이벤트 해제가 아니면(2023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5단계).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이 있으면(2015단계의 YES), 상기 터치 이벤트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환 옵션메뉴의 옵션 값의 적응적 변경 및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2017단계). 이후, 제어부(500)는 앞서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수행한 후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2019단계) 앞서 2007단계의 옵션메뉴에 대해 변경된 옵션 값과 앞서 2013단계 및 2017단계의 전환 옵션메뉴에 대해 변경된 옵션 값과 같은 복수개의 옵션메뉴들에 대한 복수개의 옵션 값들을 기준으로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1단계).
<이하의 동작은 상기 20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이 다른 뎁스의 옵션메뉴 활성화를 위한 이동에 해당하는 경우로 시작되는 실시 예의 동작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200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이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이 아니면(2005단계의 NO), 즉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이 다른 뎁스(다음 뎁스 또는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 활성화를 위한 이동이면,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메뉴와 다른 뎁스(예컨대, 다음 뎁스 또는 이전 뎁스)의 옵션메뉴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2013단계).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특정 뎁스의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의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의한 특정 뎁스의 옵션메뉴(전환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전환 옵션메뉴 내에서 옵션 값 변경을 위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입 변경 요청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이 없으면(2015단계의 NO),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23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하면(2023단계의 YES) 옵션 값의 변경 없이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1단계). 반면, 제어부(500)는 터치 이벤트 해제가 아니면(2023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앞서의 2005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이 있으면(2015단계의 YES), 상기 터치 이벤트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전환 옵션메뉴의 옵션 값의 적응적 변경 및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2017단계). 이후, 제어부(500)는 터치 이벤트 해제를 감지할 시(2019단계) 앞서 2013단계 및 2017단계의 전환 옵션메뉴에 대해 변경된 옵션 값을 기준으로 기능버튼의 해당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2021단계).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표시부
310: 표시영역
330: 기능영역
300: 저장부
500: 제어부
600, 700, 800, 900, 1000, 1100: 기능버튼
650, 750, 850, 950, 1050, 1150, 1200, 1300, 1370, 1400, 1450, 1500, 1550, 1600, 1650, 1700: 옵션메뉴

Claims (20)

  1.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능버튼에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옵션 설정과 관련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제1 기능에 의해 설정된 옵션 값을 반영하여 상기 기능버튼에 할당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가 일정시간 입력될 시 옵션메뉴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메뉴를 이용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메뉴의 옵션 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메뉴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의 옵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옵션메뉴의 옵션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메뉴를 활성화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옵션메뉴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에 따라 다른 뎁스의 제2 옵션메뉴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옵션메뉴에 대한 제1 옵션 값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옵션메뉴에서 제2 옵션메뉴로 전환한 후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2 옵션메뉴에 대한 제2 옵션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제1 옵션메뉴에서 변경된 제1 옵션 값과 상기 제2 옵션메뉴에서 변경된 제2 옵션 값을 기준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7.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주어진 기능버튼에 터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 입력에 응답하여 옵션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옵션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옵션메뉴 기반의 옵션 값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의 해제 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시점의 옵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될 시 상기 옵션메뉴를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모드 실행 시 상기 특정 모드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소프트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을 제공하는 기능영역과, 상기 기능영역의 기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운용되는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메뉴는
    상기 기능버튼, 상기 기능버튼 상에 오버레이, 상기 기능버튼과 인접하는 주변영역, 상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일차원 이상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옵션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에 따라 다른 뎁스의 제2 옵션메뉴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옵션메뉴에 대한 제1 옵션 값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옵션메뉴에서 제2 옵션메뉴로 전환한 후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2 옵션메뉴에 대한 제2 옵션 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제1 옵션메뉴에서 변경된 제1 옵션 값과 상기 제2 옵션메뉴에서 변경된 제2 옵션 값을 기준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옵션메뉴에 대한 제1 옵션 값 변경 후 상기 제2 옵션메뉴로 전환 시 상기 제1 옵션메뉴의 상기 제1 옵션 값을 일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옵션메뉴에 대한 제2 옵션 값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옵션 값이 설정된 후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될 시 상기 일시 저장된 상기 제1 옵션 값과 상기 제2 옵션메뉴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해제되는 포인트의 상기 제2 옵션 값을 함께 반영하여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에 따른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기능 제어 방법.
  15. 터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소프트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버튼을 제공하는 기능영역과 상기 기능영역의 기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운용되는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특정 모드별로 주어지는 다양한 옵션메뉴와 그에 따른 옵션 설정 값 및 상기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에 필요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특정 모드에서 상기 기능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옵션메뉴에 대한 옵션 값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상기 기능버튼에 의한 기능 실행 전 기능버튼에 할당된 옵션메뉴 호출을 위한 인터랙션과,
    호출된 옵션메뉴에 따라 옵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이동되는 인터랙션과,
    옵션 값 변경 후 기능버튼에 할당된 기능 실행을 위한 인터랙션으로 구분되며,
    각 인터랙션이 원 터치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기능버튼 상에 일정시간 입력될 시 옵션메뉴를 활성화하고, 상기 옵션메뉴를 이용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옵션메뉴의 옵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옵션메뉴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옵션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의 타입 변경에 따라 다른 뎁스의 제2 옵션메뉴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옵션메뉴에 대한 제1 옵션 값을 설정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옵션메뉴에서 제2 옵션메뉴로 전환하며,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상기 제2 옵션메뉴에 대한 제2 옵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 해제 시 상기 제1 옵션메뉴에서 변경된 제1 옵션 값과 상기 제2 옵션메뉴에서 변경된 제2 옵션 값을 기준으로 상기 기능버튼의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20110102856A 2011-10-10 2011-10-10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2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56A KR101924835B1 (ko) 2011-10-10 2011-10-10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201910053689.7A CN109766045B (zh) 2011-10-10 2012-10-10 用于在触摸装置中操作功能的方法和设备
US13/648,584 US8928614B2 (en) 2011-10-10 2012-10-10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BR112014008758-0A BR112014008758B1 (pt) 2011-10-10 2012-10-10 Método e aparelho para operar função em dispositivo de toque
CN201210382438.1A CN103034406B (zh) 2011-10-10 2012-10-10 用于在触摸装置中操作功能的方法和设备
RU2014114052A RU2631986C2 (ru) 2011-10-10 2012-10-10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ты функции в сенсорном устройстве
JP2012225049A JP2013084272A (ja) 2011-10-10 2012-10-10 タッチデバイスの機能運用方法及び装置
EP12187973.8A EP2581819A3 (en) 2011-10-10 2012-10-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in a touch device
PCT/KR2012/008192 WO2013055089A1 (en) 2011-10-10 2012-10-10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CA2851478A CA2851478C (en) 2011-10-10 2012-10-10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US14/566,018 US9760269B2 (en) 2011-10-10 2014-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JP2017079111A JP6301530B2 (ja) 2011-10-10 2017-04-12 タッチデバイスの機能運用方法及び装置
US15/700,707 US10359925B2 (en) 2011-10-10 2017-09-11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US16/516,805 US10754532B2 (en) 2011-10-10 2019-07-19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US17/000,728 US11221747B2 (en) 2011-10-10 2020-08-24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56A KR101924835B1 (ko) 2011-10-10 2011-10-10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76A true KR20130038476A (ko) 2013-04-18
KR101924835B1 KR101924835B1 (ko) 2018-12-05

Family

ID=4721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56A KR101924835B1 (ko) 2011-10-10 2011-10-10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5) US8928614B2 (ko)
EP (1) EP2581819A3 (ko)
JP (2) JP2013084272A (ko)
KR (1) KR101924835B1 (ko)
CN (2) CN103034406B (ko)
BR (1) BR112014008758B1 (ko)
CA (1) CA2851478C (ko)
RU (1) RU2631986C2 (ko)
WO (1) WO20130550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439A (ko) * 2017-03-28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462054B1 (ko) * 2022-03-15 2022-11-03 주식회사 알엑스씨 라이브 경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35B1 (ko) *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5260049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响应于用户接触来显示附加信息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EP3594797A1 (en) 2012-05-09 2020-01-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D738901S1 (en) * 2012-11-08 2015-09-15 Uber Technologies, Inc. Computing device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I489337B (zh) * 2012-11-23 2015-06-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具虛擬功能鍵之觸控面板的製造方法、干涉判斷方法及觸控裝置
US9600103B1 (en) * 2012-12-31 2017-03-21 Allscripts Software, Llc Method for ensuring use intentions of a touch screen device
WO2014123756A1 (en) * 2013-02-05 2014-08-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er interface element
USD749125S1 (en) * 2013-03-29 2016-02-09 Deere & Company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763452A (zh) * 2013-09-26 2014-04-30 艾塔斯科技(镇江)有限公司 实现扫描仪对话式操作的方法
JP6277107B2 (ja) * 2013-10-29 2018-02-07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
JP6302396B2 (ja) * 2013-10-29 2018-03-2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
USD774530S1 (en) 2014-01-22 2016-12-20 Goog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morphing window controls
US10139993B2 (en) 2014-01-22 2018-11-27 Google Llc Enhanced window control flows
USD770488S1 (en) * 2014-04-30 2016-11-0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077506A (zh) * 2014-06-24 2014-10-01 用友优普信息技术有限公司 按钮功能权限管理方法和装置
CN105988668A (zh) * 2015-02-27 2016-10-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菜单选择的方法和装置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2664B2 (en) *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D777191S1 (en) * 2015-04-16 2017-01-24 Polimeni Medical Information Technologies, LL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143135A (ko) * 2015-06-04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KR102505562B1 (ko) * 2016-05-20 202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K3290066T3 (da) 2016-09-01 2019-11-18 Abiomed Europe Gmbh Blodpumpe med flowkanyle
JP1589999S (ko) * 2016-12-28 2017-11-06
JP1590263S (ko) 2016-12-28 2017-11-06
CN106843725A (zh) * 2016-12-31 2017-06-13 广州视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控制方法和装置
JP6588663B2 (ja) * 2017-02-17 2019-10-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8806219A (zh) * 2017-04-28 2018-11-13 数码士有限公司 基于遥控器键的检测等级提供服务的图像处理终端及方法
US10691329B2 (en) * 2017-06-19 2020-06-23 Simple Design Ltd. User interface of media player application for controlling media content display
US11455078B1 (en) 2020-03-31 2022-09-27 Snap Inc. Spatial navigation and creation interface
US11797162B2 (en) 2020-12-22 2023-10-24 Snap Inc. 3D painting on an eyewear device
US11782577B2 (en) * 2020-12-22 2023-10-10 Snap Inc. Media content player on an eyewea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965B2 (ja) * 1998-04-20 2003-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JP4127982B2 (ja) * 2001-05-28 2008-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7013430B2 (en) * 2002-01-25 2006-03-14 Agilent Technologies, Inc. Rapid graphical analysis of waveforms using a pointing device
US7098896B2 (en) * 2003-01-16 2006-08-29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US7158123B2 (en) * 2003-01-31 2007-01-02 Xerox Corporation Secondary touch contextual sub-menu navigation for touch screen interface
US7231229B1 (en) * 2003-03-16 2007-06-12 Palm, Inc. Communication device interface
JP4338513B2 (ja) * 2003-12-26 2009-10-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制御装置及び入力受付方法
JP4769552B2 (ja) * 2005-11-14 2011-09-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端末及び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US9395905B2 (en) * 2006-04-05 2016-07-19 Synaptics Incorporated Graphical scroll wheel
KR20070113025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20090213086A1 (en) * 2006-04-19 2009-08-27 Ji Suk Chae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70113018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실행방법
KR20110007237A (ko) * 2006-09-28 2011-01-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61712A (ko)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성된 메뉴를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20080163119A1 (en) 2006-12-28 200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nu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0785071B1 (ko) * 2007-02-08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표시 방법
US8650505B2 (en) 2007-02-28 2014-02-11 Rpx Corporation Multi-state unified pie user interface
CN101681231B (zh) * 2007-05-16 2013-01-0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照明或显像系统中的基于按钮的颜色导航方法和设备
KR101348721B1 (ko) * 2007-09-03 201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US20090058823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Virtual Keyboards in Multi-Language Environment
JP2009080306A (ja) * 2007-09-26 2009-04-16 Kyocera Mita Corp 操作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470578A (zh) * 2007-12-27 2009-07-0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触控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0973354B1 (ko) * 2008-01-11 2010-07-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메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90237373A1 (en) * 2008-03-19 2009-09-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 way touch-sensitive display
US9274681B2 (en) 2008-03-26 2016-03-0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81557B1 (ko) * 2008-03-26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4645685B2 (ja) 2008-06-02 2011-03-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影方法
US9030418B2 (en) * 2008-06-24 2015-05-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US8245156B2 (en) * 2008-06-28 2012-08-14 Apple Inc. Radial menu selection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085303A1 (en) * 2008-10-07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00085314A1 (en) * 2008-10-08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315672B2 (en) * 2008-12-01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00063969A (ko)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101004463B1 (ko) * 2008-12-09 2010-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1754A (ko) * 2008-12-19 201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와 키조작에 의한 멀티 입력 방식을 이용한 촬영방법 및 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US8504935B2 (en) * 2008-12-22 2013-08-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Quick-access menu for mobile device
US20100162169A1 (en) * 2008-12-23 2010-06-24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Dynamic Slider Interface
JP2010154039A (ja) * 2008-12-24 2010-07-0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60581A (ja) * 2009-01-06 2010-07-22 Olympus Imaging Corp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カメラ、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用プログラム
DE102010006282A1 (de) * 2009-02-10 2010-08-12 Volkswagen Ag Kraftfahrzeug
CN101819499B (zh) * 2009-02-27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摸屏的选项执行系统及方法
JP5129181B2 (ja) * 2009-03-02 2013-01-23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操作制御装置、カメラ、操作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用プログラム
WO2010109849A1 (ja) * 2009-03-23 2010-09-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集積回路
JP5277055B2 (ja) 2009-04-10 2013-08-28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モード切換え方法
JP5322768B2 (ja) * 2009-05-12 2013-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640463B1 (ko) * 2009-05-19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55924B1 (ko) * 2009-05-26 2011-08-09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5413958B2 (ja) * 2009-06-01 2014-02-1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0150566A1 (ja) * 2009-06-23 2010-12-29 株式会社東芝 通信機器
KR101387270B1 (ko) * 2009-07-14 2014-04-18 주식회사 팬택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JP2011028345A (ja) 2009-07-22 2011-02-10 Olympus Imaging Corp 条件変更装置、カメラ、携帯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055753A1 (en) * 2009-08-31 2011-03-03 Horodezky Samuel J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searching functionality
KR101784466B1 (ko) * 2009-09-15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CN102033686A (zh) * 2009-09-25 2011-04-27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触控式项目选单的控制方法
KR101092592B1 (ko) * 2009-10-14 2011-12-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10055058A (ko) * 2009-11-19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13323B1 (ko) 2010-02-05 2012-02-24 유비벨록스(주)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5180241B2 (ja) 2010-02-08 2013-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機器、その表示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20130088450A1 (en) * 2010-04-09 2013-04-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1642725B1 (ko) *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717584B1 (ko) * 2010-08-14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23867A (ko) * 2010-09-02 201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 방법
EP2641150A1 (en) * 2010-11-15 2013-09-25 Movea Smart air mouse
US20120233545A1 (en) * 2011-03-11 2012-09-13 Akihiko Ikeda Detection of a held touch on a touch-sensitive display
US8884892B2 (en) * 2011-08-12 2014-11-11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456575B2 (en) * 2011-09-21 2013-06-04 Sony Corporation Onscreen remote control presented by audio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TV to control source of HDMI content
KR101924835B1 (ko) *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EP2776908A4 (en) * 2011-11-09 2015-07-15 Blackberry Ltd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356368B1 (ko) * 2012-02-24 2014-01-29 주식회사 팬택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US10078420B2 (en) * 2012-03-16 2018-09-18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evices,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102044826B1 (ko) * 2013-01-02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10101892B2 (en) * 2014-11-13 2018-10-16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settings and dependency adjustm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439A (ko) * 2017-03-28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462054B1 (ko) * 2022-03-15 2022-11-03 주식회사 알엑스씨 라이브 경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 방법
WO2023177193A1 (ko) * 2022-03-15 2023-09-21 주식회사 알엑스씨 라이브 경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7298A1 (en) 2020-12-10
US20150091835A1 (en) 2015-04-02
BR112014008758B1 (pt) 2021-08-17
US10359925B2 (en) 2019-07-23
KR101924835B1 (ko) 2018-12-05
US8928614B2 (en) 2015-01-06
CN109766045B (zh) 2022-07-05
RU2631986C2 (ru) 2017-09-29
EP2581819A3 (en) 2017-07-19
CA2851478A1 (en) 2013-04-18
US9760269B2 (en) 2017-09-12
BR112014008758A2 (pt) 2017-04-25
CN103034406B (zh) 2019-02-19
WO2013055089A1 (en) 2013-04-18
JP2013084272A (ja) 2013-05-09
JP2017123201A (ja) 2017-07-13
US20190339851A1 (en) 2019-11-07
US11221747B2 (en) 2022-01-11
CN109766045A (zh) 2019-05-17
EP2581819A2 (en) 2013-04-17
US20130088455A1 (en) 2013-04-11
US10754532B2 (en) 2020-08-25
JP6301530B2 (ja) 2018-03-28
US20170371531A1 (en) 2017-12-28
RU2014114052A (ru) 2015-10-20
CN103034406A (zh) 2013-04-10
CA2851478C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1530B2 (ja) タッチデバイスの機能運用方法及び装置
US1108647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355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 device
KR102094585B1 (ko) 잠금된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7000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EP3882753A1 (en) Application menu for video system
US2015019303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883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of multimedia item
KR20120092487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855141B1 (ko)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30076397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12541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EP268012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mobile device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30133980A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91174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8476339B (zh) 一种遥控方法和终端
KR1020654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88094A (ko) 휴대단말에서 컬러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00019241A (ko)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