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584B1 -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584B1
KR101717584B1 KR1020100078555A KR20100078555A KR101717584B1 KR 101717584 B1 KR101717584 B1 KR 101717584B1 KR 1020100078555 A KR1020100078555 A KR 1020100078555A KR 20100078555 A KR20100078555 A KR 20100078555A KR 101717584 B1 KR101717584 B1 KR 10171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etting
communication
state
widge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184A (ko
Inventor
김희덕
김준성
신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584B1/ko
Priority to US13/206,824 priority patent/US8588859B2/en
Priority to EP11177365.1A priority patent/EP2418833B1/en
Priority to EP16151888.1A priority patent/EP3035657B1/en
Priority to CN2011102359674A priority patent/CN102377878A/zh
Publication of KR2012001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184A/ko
Priority to US14/083,536 priority patent/US96026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은 데이터 통신 기능들의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는 통신 설정 위젯 출력 과정,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신호에 따라 데이터 상기 통신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의 운용 상태를 변경하는 통신 설정 변경 과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Control Method for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설정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 더하여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 휴대 단말기는 높은 처리 능력을 가지는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휴대 단말기는 3G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와이파이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 단말기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들은 해당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 과금 방식이 서로 상이하며 각각의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와이파이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3G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의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의 제한성이 거의 없는 반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따라 일정량의 과금이 부가된다. 특히 3G 네트웍의 경우 휴대 단말기 설정에 따라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내장된 통신 모듈들 및 각 통신 방식에 따른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이 지원되는 상황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단말기 기능에만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에 은연중에 사용하는 통신 기능 특히 자신의 휴대 단말기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해서는 쉽게 알지 못한다.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해서 알려고 하더라도, 종래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그러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매우 복잡한 검색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특정 통신 설정 상태를 가지도록 제어하고 싶어도 잘 알지 못하거나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통신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현재 상태나 기호에 맞도록 용이하고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은 데이터 통신 기능들의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는 통신 설정 위젯 출력 과정,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신호에 따라 데이터 상기 통신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의 운용 상태를 변경하는 통신 설정 변경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설정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상태 및 일정 주기별로 특정 서버와 데이터 패킷 송수신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동기화 기능을 지원하도록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또는 불가 상태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신호 발생 시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설정 상태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가 현재 어떠한 통신 설정 상태를 가지고 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현재 상황에 맞는 통신 설정 상태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제어 및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일부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 및 와이파이 모듈(170)의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모듈(170)은 휴대 단말기(100) 특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를 기반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 기반의 통신 설정을 확인 및 변경할 수 있는 통신 설정 위젯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통신 설정 위젯을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설정 상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설정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특정 네트웍에 연결되어 웹 페이지 등을 제공하는 서버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 통신 운용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의 설정 상태 및 일정 주기별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자동 동기화 기능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은 상기 데이터 통신 기능 설정 상태 및 자동 동기화 기능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에 해당하는 기호 등의 텍스트나 이미지를 해당 위젯 아이콘에 포함되도록 지원한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부(110)는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데이터를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특정 서버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특정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크게 두 가지 기능을 지원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사용자가 특정 서버와의 접속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서버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특정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패킷을 일정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전송하고, 해당 서버로부터 필요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자동 동기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 접속 허용 상태에 따른 데이터 통신 기능은 Foreground processing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은 Background processing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두 가지 기능은 이후에 설명하는 통신 설정 위젯에 의하여 이용 가능 여부를 위한 통신 설정 상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해당 통신 설정 상태는 통신 설정 위젯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무선주파수부(110)는 데이터 통신 지원을 위한 3G 네트웍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은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기반으로 특정 서버와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으로서, 주소록 갱신 기능, 일정 갱신 기능, 이메일 갱신 기능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 동기화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되,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통신 접속 허용 상태는 특정 네트웍을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접속하고 사용자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태 및 MMS(Multi-Media Message) 송수신 가능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통신 설정 위젯을 기반으로 특정 통신 설정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술한 입력 신호들의 생성은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술한 입력 신호들이 생성되면, 생성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화상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기반으로 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사용자가 표시부(140)에 출력된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에 따른 특정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통신 설정 위젯에 링크된 안내음을 출력할 수 도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위젯에 링크된 안내음은 현재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설정 상태에 대응하는 안내음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40)는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141)과 터치 패널(1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141)과 터치 패널(143)을 기반으로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표시부(140)는 전술한 입력부(120)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41)은 상기 터치 패널(143)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통신 설정 위젯을 포함한 다양한 화면 구성 요소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통신 설정 위젯은 통신 설정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네트웍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네트웍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이 차단된 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 기 설정된 일정 주기에 따라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자동 동기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 설정 위젯에 대응하는 이미지 출력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패널(143)은 상기 표시 패널(14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사용자 터치 동작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43)은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 또는 커패시터 방식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143)은 표면에서 발생한 압력 또는 물체의 접근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와, 신호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하여 표면에서 어떠한 형태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치 패널(143)은 상기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된 통신 설정 위젯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표시부(140)에 출력될 다양한 화면 구성들에 대한 이미지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터치 락 부분 해제 영역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통신 설정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제어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설정 상태 확인을 수행하는 루틴, 입력 신호에 따라 통신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루틴, 입력 신호에 따라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루틴, 특정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루틴, 특정 통신 모듈 기반의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다른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루틴, 다른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 해당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루틴, 상기 통신 설정 상태에 따라 데이터 통신 제약 상태를 확인하는 루틴, 데이터 통신 제약 상태에 따라 특정 알람 또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통신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파이 모듈(170) 또는 무선주파수부(110)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주파수부(110) 또는 와이파이 모듈(170)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설정 제어 프로그램은 통신 설정 위젯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루틴, 상기 통신 설정 상태 변경에 따라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 형태를 변화시키는 루틴, 통신 설정 위젯 선택에 따라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루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 운용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되어야 할 위젯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가, 휴대 단말기(100) 운용 시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다양한 통신 설정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상태 구분을 위한 이미지는 통신 설정 상태 변경 등에 따라 현재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는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와 교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영역은 통신 설정 상태에 따른 안내음 출력을 위하여 각각의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각 구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입력 신호 발생 시 통신 설정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통신 설정 상태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출력 및 통신 설정 상태 변경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이미지의 변경 및 상기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현재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한 특정 오디오 신호음 또는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통신 설정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한 특정 오디오 신호음 또는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163), 통신 설정 상태 변경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는 현재 설정된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통신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는 3G 네트웍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 동기화 기능이 운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는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한 통신 설정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특정 통신 설정 상태를 결정한 경우, 해당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5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는 휴대 단말기(100) 운용 시 저장부(15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통신 설정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한 통신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는 상술한 상태 확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163)는 상기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가 전달한 통신 설정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140)에 출력할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163)는 상기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가 통신 설정 상태 정보를 전달하면, 이를 기반으로 해당 통신 설정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데이터 영역에서 읽어 오고, 읽어온 이미지를 통신 설정 위젯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163)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통신 설정 상태 변경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설정 상태 변경부(165)는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기반으로 통신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운용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통신 설정 상태 변경부(165)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통신 설정 상태를 토글 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설정 상태 변경부(165)는 통신 설정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 정보를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163)는 변경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데이터 영역을 참조하여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시부(140)에 출력된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 변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설정 상태 변경부(165)는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통신 설정 상태를 구성하고, 확인 과정을 거쳐, 자신이 원하는 통신 설정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지원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통신 기능에 대한 다양한 통신 설정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고,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을 기반으로 특정 통신 설정 상태로의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및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초기화 과정 완료 이후,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위젯 아이콘 및 메뉴 아이콘을 대기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줄 정보에 달력 위젯(41), 시계 위젯(43), 통신 설정 위젯(45) 등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301 화면에서와 같이 특정 위치에 상기 달력 위젯(41), 시계 위젯(43) 및 통신 설정 위젯(45)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메뉴 아이콘을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설정 위젯(45)이 포함된 대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통신 설정 상태 변경 또는 확인을 위하여 통신 설정 위젯(45)이 출력된 표시 패널(141)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143)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터치 패널(143)은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통신 설정 위젯(45)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303 화면에서와 같이 통신 설정 확인 및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상태 설정,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상태 설정,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 상태 설정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이미지 버튼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에 포함된 각 이미지 버튼들의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 여부에 대한 확인을 통하여 현재 통신 설정 상태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버튼들에 대해 선택 설정 또는 비선택 설정하도록 체크하여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301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신 설정 위젯(45)을 선택하는 경우, 303 화면으로 진입하기 이전에 현재 통신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상태 변경 및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위젯 및 메뉴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통신 설정 위젯(45)만이 표시부(140)에 출력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401 화면에서와 같이 제1 통신 설정 위젯(451)을 표시부(140)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161)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한 통신 설정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를 결정하여 제1 통신 설정 위젯(451)을 상기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설정 상태 정보가 3G/MMS(3 generation/Multi-Media Message service) 서비스 접속 허용 상태 설정 및 자동 동기화 기능 활성화 설정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데이터 통신 기능이 모두 활성화된 상태임을 지시하는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하여 상기 표시부(140)에 출력된 제1 통신 설정 위젯(451)을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통신 설정 변경 상태 예를 들면 3G/MMS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을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제2 통신 설정 위젯(452)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다른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하여 403 화면 상태에서 제2 통신 설정 위젯(452)을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통신 설정 변경 상태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설정 상태를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자동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상태 및 자동 동기화 비활성화 상태에 대응하는 제3 통신 설정 위젯(453)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또 다른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위하여 405 화면 상태에서 제3 통신 설정 위젯(453)을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통신 설정 변경 상태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상태를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설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자동 동기화 기능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설정 상태 및 자동 동기화 비활성화 상태에 대응하는 제4 통신 설정 위젯(454)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407 단계에서 추가적인 통신 설정 위젯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401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통신 설정 상태 변경 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상에서의 위치에 관계없이 통신 설정 상태를 토글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 설정 위젯들이 표시부(140)에 출력된 영역 즉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상태 설정 영역과 자동 동기화 기능 활성화 설정 영역을 각각 구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통신 설정 위젯의 영역 중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영역에 대응하는 설정만을 토글 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401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 통신 설정 위젯(451) 영역 중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3G/MMS 영역(10)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403 화면에서와 같은 제2 통신 설정 위젯(452)을 출력하는 한편 해당 영역의 통신 허용 설정 상태만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401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 통신 설정 위젯(451) 영역 중 화살표 영역(20)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405 화면에서와 같은 제3 통신 설정 위젯(453)을 출력하는 한편 해당 영역의 자동 동기화 기능 활성화 설정 상태만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401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 통신 설정 위젯(451) 영역의 중앙 부분(30)을 터치하여 두 개의 영역 모두를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407 화면에서와 같은 제4 통신 설정 위젯(454)을 출력하는 한편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및 자동 동기화 기능 활성화 상태의 변경을 한 번에 제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401 화면 상태에서 제1 통신 설정 위젯(451)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1 통신 설정 위젯(451)에 대응하는 통신 설정 상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403 화면 상태에서와 같이 제2 통신 설정 위젯(452)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경우, 제2 통신 설정 위젯(452)에 대응하는 통신 설정 상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3 통신 설정 위젯(453)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 제4 통신 설정 위젯(454)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 등을 입력 신호 발생 및 표시부(140) 표시 여부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 설정 위젯을 통신 설정 상태에 따라 각각 다양하게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해당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 발생을 기반으로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단말기가 운용되면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통신 설정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통신 설정 상태에 대응하는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통신 설정 상태가 3G/MMS 데이터 통신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상태와 일정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 패킷을 서버와 송수신하는 자동 동기화 기능 활성화 상태인 경우 501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51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통신 설정 상태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설정 상태이거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상태에서 불가 설정 상태로 변경된 경우 및 자동 동기화 기능 활성화 상태인 경우 503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5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501 화면과 비교하여 통신 설정 위젯 52 영역 중 3G/MMS가 기재된 영역(10)에 특정 이미지 예를 들면 "번개" 이미지를 오버레이 시켜 표시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번개" 이미지는 "X" 표시와 같은 다양한 다른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기 "번개" 이미지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통신 설정 상태가 자동 동기화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또는 자동 동기화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었으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상태인 경우 505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53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501 화면과 비교하여 통신 설정 위젯 53 영역 중 화살표가 기재된 원 영역(30)에 특정 이미지 예를 들면 "번개" 이미지를 오버레이 시켜 표시함으로써, 자동 동기화 기능의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현재 통신 설정 상태가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설정 상태이거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허용 설정 상태에서 불가 설정 상태로 변경된 경우 및 자동 동기화 기능 비활성화 상태이거나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경우 507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54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501 화면과 비교하여 통신 설정 위젯 54 영역 중 3G/MMS가 기재된 영역(10) 및 화살표가 기재된 원 영역(30)에 특정 이미지 예를 들면 "번개" 이미지를 오버레이 시켜 표시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불가 상태 및 자동 동기화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 설정 위젯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 기능의 이용 가능 또는 이용 불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특정 이미지를 통신 설정 위젯의 특정 위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통신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4개의 통신 설정 상태를 구분하기 위하여 801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61, 603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62, 605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63, 607 화면에서와 같은 통신 설정 위젯 64를 통신 설정 상태에 따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설정 위젯 61, 62, 63 및 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기호의 배경색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신 설정 위젯의 배경색만으로도 현재 어떠한 통신 설정 상태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각각의 기호들의 색 또한 해당 통신 설정 상태에 따라 다르게 채색함으로써, 특정 통신 설정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설정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과,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통신 설정 제어를 위한 통신 설정 위젯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설정 변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휴대 단말기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본 발명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또는 챠저를 연결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전원이 공급되면, 701 단계에서와 같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여 각 구성을 초기화함과 아울러 부팅을 수행한다.
부팅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703 단계에서와 같이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대기 화면이 출력된 표시부(140) 상에 기 설정된 위젯 및 메뉴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705 단계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설정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저장부(150)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한 통신 설정 상태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기 설정된 통신 설정 상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통신 설정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별도의 통신 설정 상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폴트로 설정된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통신 설정 위젯은 휴대 단말기(100) 제조 과정에서 설계자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 설정 상태에 대응하는 위젯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707 단계로 분기하여 통신 설정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통신 설정 위젯(45)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120)의 입력 신호 또는 표시부(140)로부터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발생된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가 통신 설정 위젯(45)을 선택하는 신호가 아닌 경우, 7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입력 신호 및 터치 이벤트에 따른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방송 수신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07 단계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 및 터치 이벤트가 통신 설정 변경을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711 단계로 진입하여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도 3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713 단계에서 설정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설정 종료를 위한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711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은 상기 711 단계 및 713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은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별도의 설정 화면 출력 없이 통신 설정 변경을 위한 신호 발생에 따라 토글 방식으로 특정 통신 설정 상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한편 713 단계에서 설정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715 단계로 분기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종료를 위한 별도의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705 단계로 분기하여 통신 설정에 따른 통신 설정 상태 변경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은 통신 설정에 대응하는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통신 설정 위젯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다른 통신 설정 상태로의 변경을 제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에 출력된 현재 통신 설정 위젯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 출력 기능을 지원하며, 통신 설정 확인 및 변경을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무선주파수부(110)가 3G 네트웍을 기반으로 특정 서버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통신 설정 변경은 무선주파수부(110)가 접속하는 네트웍의 특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데이터 통신 기능들을 사용자가 해당 기능들 중 일부 기능들을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특히 과금이 부여되는 네트웍 접속 시 본 발명의 통신 설정 변경 기능은 사용자의 기호나 환경 등에 따라 데이터 통신 기능들 중 일부 기능 또는 전체 기능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데이터 통신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주파수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41 : 표시 패널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61 : 통신 설정 상태 확인부
163 : 통신 설정 위젯 제어부 165 : 통신 설정 상태 변경부
170 : 와이파이 모듈
45, 51, 52, 53, 54, 61, 62, 63, 64, 451, 452, 453, 454 : 통신 설정 위젯

Claims (2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 기능들의 현재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는 통신 설정 위젯 출력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 기능들의 운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일 부분 상에 수신하는 과정;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데이터 통신 기능의 운용 상태를 변경하는 통신 설정 변경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해당 데이터 통신 기능이 자동 동기화 기능인 경우, 상기 통신 설정 변경 과정은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비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발생 시, 해당 통신 설정 위젯에 따른 통신 설정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데이터 통신 기능이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인 경우, 상기 통신 설정 변경 과정은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 허용 설정을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 불가 설정으로 변경하는 과정; 및
    상기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 불가 설정을 상기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 허용 설정으로 변경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변경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출력 과정은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배경 색을 변경하는 과정;
    상기 통신 설정 위젯에 포함된 기호의 채색을 변경하는 과정;
    상기 통신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통신 설정 위젯에 포함된 기호 상에 특정 이미지를 오버레이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위젯 변경 시 변경된 통신 설정 위젯에 따른 통신 설정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출력 과정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 허용 또는 불가 상태를 지시하는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변경 과정은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서 활성화된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터치 입력이 두 영역 모두를 선택하면, 상기 두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들의 설정 상태를 동시에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출력 과정은
    통신 설정 상태 변경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영역의 이미지를 변경하는 과정;
    상기 터치 입력이 두 영역 모두를 선택하면, 통신 설정 상태 변경에 따라 상기 두 영역의 이미지 모두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 발생 시 통신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 허용 상태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불가 상태 설정을 위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 설정을 위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은
    현재 통신 설정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허용 상태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불가 상태 설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13.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자동 동기화 기능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무선주파수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 기능들의 현재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설정 위젯을 출력하며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 기능들의 운용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일 부분 상에 수신하며,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데이터 통신 기능의 운용 상태를 변경하는 통신 설정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데이터 통신 기능이 자동 동기화 기능인 경우,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상기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비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상기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선택 시 해당 통신 설정 위젯에 따른 통신 설정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설정 상태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설정 상태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의 배경 색의 변화, 상기 통신 설정 위젯에 포함된 기호의 채색의 변화, 상기 통신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통신 설정 위젯에 포함된 기호 상에 오버레이 되는 특정 이미지 배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설정 상태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위젯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 허용 상태 또는 불가 상태를 지시하는 영역;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설정 상태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입력부 또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 발생 시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통신 설정 상태만을 변경하고, 통신 설정 상태 변경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며,
    상기 영역들 중 두 영역 모두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 발생 시, 상기 두 영역에 대응하는 통신 설정 상태들을 모두 변경하고, 통신 설정 상태 변경에 따른 통신 설정 위젯 이미지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설정 상태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 설정 위젯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 발생 시 상기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접속 상태 변경 및 상기 자동 동기화 기능 상태 변경을 위한 통신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설정 상태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화면은
    현재 통신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설정 상태 제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78555A 2010-08-14 2010-08-14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KR10171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555A KR101717584B1 (ko) 2010-08-14 2010-08-14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US13/206,824 US8588859B2 (en) 2010-08-14 2011-08-10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tt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EP11177365.1A EP2418833B1 (en) 2010-08-14 2011-08-12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tt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EP16151888.1A EP3035657B1 (en) 2010-08-14 2011-08-12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tt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2011102359674A CN102377878A (zh) 2010-08-14 2011-08-15 控制移动终端的通信设置的方法及其移动终端
US14/083,536 US9602652B2 (en) 2010-08-14 2013-11-19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tt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555A KR101717584B1 (ko) 2010-08-14 2010-08-14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184A KR20120016184A (ko) 2012-02-23
KR101717584B1 true KR101717584B1 (ko) 2017-03-20

Family

ID=4467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555A KR101717584B1 (ko) 2010-08-14 2010-08-14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588859B2 (ko)
EP (2) EP3035657B1 (ko)
KR (1) KR101717584B1 (ko)
CN (1) CN1023778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84B1 (ko) * 2010-08-14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KR101924835B1 (ko) *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52702B1 (ko) * 2012-06-01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9451539B2 (en) * 2012-06-27 2016-09-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ed changes to communication behaviors
CN103092464B (zh) * 2012-12-28 2016-04-0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装置及其图标操作方法
KR102043049B1 (ko) * 2013-04-01 2019-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KR102278507B1 (ko) * 2014-04-15 2021-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착용형 장치
KR102348812B1 (ko) * 2015-03-09 2022-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5998A1 (en) * 2006-12-07 2008-09-04 Moore Dennis B Widget launcher and briefcas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1921A1 (en) * 2001-04-27 2002-10-31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Usa, Inc. Method of selecting a network access measure from multiple access measures
US8924869B2 (en) * 2005-08-12 2014-12-30 Barry Fellman Service for generation of customizable display widgets
US7954064B2 (en) * 2005-10-27 2011-05-31 Apple Inc. Multiple dashboards
US8504100B2 (en) * 2006-05-23 2013-08-06 Connectsoft,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radio control
KR100801650B1 (ko) * 2007-02-13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US10225389B2 (en) * 2007-06-29 2019-03-05 Nokia Technologies Oy Communication channel indicators
KR101495178B1 (ko) * 2008-09-25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US20100325207A1 (en) * 2009-06-19 2010-12-23 Yahoo! Inc. Conditional communication access based on user status
KR101717584B1 (ko) * 2010-08-14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5998A1 (en) * 2006-12-07 2008-09-04 Moore Dennis B Widget launcher and brief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184A (ko) 2012-02-23
CN102377878A (zh) 2012-03-14
US20140080472A1 (en) 2014-03-20
EP2418833A1 (en) 2012-02-15
EP3035657A1 (en) 2016-06-22
US8588859B2 (en) 2013-11-19
US20120040724A1 (en) 2012-02-16
US9602652B2 (en) 2017-03-21
EP2418833B1 (en) 2016-01-20
EP3035657B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584B1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RU2471223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писка связи в нем
EP254972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73925B1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1094918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7632B1 (ko) 프로그램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알림 방법
EP270440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14201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e information
US814526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n the same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31740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controlled smart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2464084B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36509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EP245883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of
EP292646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64929B1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US2013010403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94951A (ko) 통화호 수신 거절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033515A (ko) Sns 기능 통합 운용 방법 및 시스템
EP256035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01005A (ko) 라디오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13542488A (zh) 采用终端设备控制受控终端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201200729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000932A (zh) 移动终端及其应用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