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049B1 -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049B1
KR102043049B1 KR1020130035173A KR20130035173A KR102043049B1 KR 102043049 B1 KR102043049 B1 KR 102043049B1 KR 1020130035173 A KR1020130035173 A KR 1020130035173A KR 20130035173 A KR20130035173 A KR 20130035173A KR 102043049 B1 KR102043049 B1 KR 10204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data
output device
are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475A (ko
Inventor
김정훈
전용준
하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049B1/ko
Priority to EP14162204.3A priority patent/EP2787434B1/en
Priority to US14/228,919 priority patent/US9311167B2/en
Priority to CN201410125975.7A priority patent/CN104102484B/zh
Priority to AU2014201856A priority patent/AU2014201856B2/en
Publication of KR2014011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개시는 다중 입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개시는 앱 운용 장치와 앱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 복수개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들을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앱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앱 운용 장치 및 앱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Operating Method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and Outputting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장치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의 앱 운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른바 종래 전자 장치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지원한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서 운용되는 멀티태스킹 기능은 복수개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지만 사용자 입력 제어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만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본 개시는 보다 개선된 앱 운용 기능을 제공하는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앱 운용 장치와 앱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 과정(operation), 상기 앱 운용 장치가 활성화 상태인 복수개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들을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앱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복수개의 앱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개의 앱 중 어느 하나의 앱을 실행 상태로 제공하고 나머지 앱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유지하는 제어부, 상기 복수개의 앱들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앱 운용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앱 운용 장치에서 활성화 상태인 복수개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장치 접속부, 상기 앱 데이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앱 영역들을 생성하는 장치 제어부, 상기 앱 영역들을 표시하는 장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에 따르면, 본 개시는 앱 운용과 관련된 보다 개선된 사용자 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앱 운용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장치의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출력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출력 장치의 구성 중 장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출력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기능 중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리스트 기반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기능 중 리스트 기반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복수개의 앱 영역 자동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복수개의 앱 영역 자동 표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앱 영역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조절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조절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표시 방향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표시 방향 처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표시 방향 변경 처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동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동시 운용을 위한 장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개별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개별 운용을 위한 장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을 지원하는 앱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앱 운용 시스템(10)은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앱 운용 시스템(10)은 앱 운용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앱(App, Application : 이하 "앱")들의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전체 앱들 중 적어도 일부 앱들의 앱 데이터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앱 운용 장치(100)에 5개의 앱이 운용 중이라고 가정하면, 5개의 앱 중 적어도 한 개의 앱에 관한 앱 데이터가 앱 출력 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5개의 앱 운용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 중인 앱을 최상위 레이어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 앱들의 실행 상태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앱들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상태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가 가능한 상태 및 최상위 레이어에 출력된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활성화 상태는 메모리에는 로드되어 있으나 화면의 최상위 상태에 출력되지 않거나 입력 신호에 따른 운용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에 있는 앱 중에 위젯 기능을 가지는 앱의 경우 설정된 정보에 따라 활성화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지정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의 앱들은 실행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메모리는 제어부(160)에 의해 정보가 기입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가 로드되는 영역 예컨대 RAM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경우에 따라 버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앱들을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앱들을 활성화한 후, 선택적으로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 상태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의 연결에 따라 또는 연결 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실행 상태 및 활성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앱들에 관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해당 앱들의 운용에 의해 앱 데이터 갱신이 발생하면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의 입력 신호 및 앱 운용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특정 앱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는 갱신된 앱 데이터가 발생하면 해당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앱 데이터는 앱 출력 장치(200)의 장치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앱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앱 운용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들 및 각 구성들의 설명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에 유무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앱과 관련된 앱 데이터를 수신하여 장치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가 복수개의 앱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경우,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분류하고 각 앱 영역으로서 장치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넓은 표시 영역을 가지는 장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출력 장치(200)는 해당 표시 영역에 복수개의 앱 영역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영역이 일부 중첩되더라도 사용자가 각각의 앱들에 대하여 용이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표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앱 출력 장치(200)는 특정 앱에 대하여 앱 운용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앱 영역보다 큰 앱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앱 출력 장치(200)는 단순히 앱 운용 장치(100)에서의 앱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많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확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앱 운용 장치(100)에서 10개의 항목이 포함된 리스트를 출력하였다면, 앱 출력 장치(200)는 20개의 항목이 포함된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는 20개의 항목에 대하여 앱 운용 장치(100)에서 각 항목에 할당된 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 또는 보다 큰 영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장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앱 운용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전송한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갱신된 앱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갱신된 앱 데이터와 관련된 앱 영역의 표시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앱 출력 장치(200)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구성들의 기능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본 개시의 앱 운용 시스템(10)은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되는 앱들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제어를 앱 출력 장치(200)를 통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앱 운용 시스템(10)은 앱 출력 장치(200)에서의 사용자 제어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하여 해당 앱 제어를 위해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앱 운용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앱을 앱 출력 장치(200)에서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앱은 앱 운용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앱들로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활성화 또는 실행 중인 앱,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시점에 활성화되는 앱 등 다양한 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앱은 통화를 위한 다이얼 입력 앱,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 앱, 파일 편집 앱, 방송 수신 기능 앱, 갤러리 기능 앱, 채팅 앱, 알람 앱, 계산기 앱, 폰북 앱, 스케줄 앱, 달력 앱 등 다양한 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는 접속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이미지 수집을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는 입력 장치로서 가속도 센서나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모션 센서, 조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적어도 하나의 앱 출력 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앱 출력 장치(200)는 스마트 TV, 스마트 모니터, 타 전자 단말기 등이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앱 출력 장치(200)는 후술하겠지만 키보드나, 마우스, 전자펜, 리모컨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장치 입력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상술한 앱 출력 장치(200)로 적어도 하나의 앱과 관련된 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앱 출력 장치(200)가 생성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앱 운용 장치(100)의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기능과, 앱 출력 장치가 수집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앱 운용 장치(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앱 운용 장치(100)의 메시지 서비스 기능, 웹 페이지 검색 기능, 영상 통화 기능, 음성 통화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클라우드 기능과 앞서 설명한 다양한 앱 중 통신이 요구되는 앱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한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앱 운용 장치(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앱 운용 장치(100)가 방송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특정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는 제어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해당 데이터를 해당 앱에 제공하여 앱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앱 운용을 위해 제공되는 앱 데이터는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앱 운용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입력부(120)는 버튼키나, 사이드 키, 홈 키 등 특정 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하나의 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해당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의 구성으로서 운용된다. 입력부(120)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면,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신호를 실행 중인 앱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가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입력부(120)는 표시부(140)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서 생성된 터치 이벤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고,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앱에 적용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에 의하여 앱 운용이 갱신되면, 제어부(160)는 앱 운용 갱신에 따른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앱 운용 장치(10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3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생성된 또는 복호된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기능, 녹음 기능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30)는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앱 출력 장치(200)가 접속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앱 출력 장치(200)로 특정 앱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 출력 기능은 설계자 의도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 운용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화면들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메뉴 화면, 특정 앱 운용 화면, 복수의 앱 운용 화면, 복수의 앱 운용 중 특정 앱의 전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표시부(14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는 앱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앱 운용 화면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해당 앱 설정에 따라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출력될 수 있다.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앱 운용 화면은 입력부(120) 또는 장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갱신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갱신된 정보는 갱신된 앱 데이터로서 앱 출력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표시부(140)는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하여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전자펜 운용을 위한 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 사용자 손가락 터치에 의한 물리적 또는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는 패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한 위치 정보 및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제스처 정보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표시 패널은 화면 구성 요소들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에 매핑되어 다양한 화면 구성 요소들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은 복수개의 운용 중인 앱 중 특정 앱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펜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 등에 배치되고 전자펜 접근에 따라 전자펜을 인식하며, 전자펜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16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펜 터치 패널은 전자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펜 터치 패널은 전자기 유도 방식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패널 및 펜 터치 패널은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의 입력부(120)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가 손 터치 및 펜 터치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 및 펜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 않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앱 운용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앱 운용 장치(100) 운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앱 운용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운영 체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앱들을 저장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60)에 제공하여 해당 앱의 기능이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앱들(153) 및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앱들(153) 운용에 따라 생성된 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50) 일정 영역이 버퍼로서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에 별도로 버퍼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앱들(153)은 앱 운용 장치(100)에 설치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이다. 다수의 앱들(153)은 표시부(140)에 아이콘 형태로 제공되거나 별도 메뉴 항목으로 제공되거나, 핫 키 등에 할당되어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스케줄 정보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앱들(153)은 앞서 언급한 음성 통화 앱, 영상 통화 앱, 클라우드 앱, 카메라 앱, 웹 접속 앱, 게임 앱 등 다양한 앱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앱들(153)은 유사 기능에 대하여 복수개의 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다수의 앱들(153)은 다수개의 브라우저 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앱들(153)은 카메라(170) 관련하여 복수개의 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앱들(153)은 앱 출력 장치(200) 활용을 위한 다수의 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앱 운용 장치(100)는 복수개의 앱이 활성화되는 경우 각각의 앱들에 대한 운용 및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앱 운용 장치(100)는 입력 신호를 특정 앱에 적용하고 이에 따라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활성화를 요청받은 적어도 하나의 앱을 메모리 예컨대 RAM에 로드하는 루틴, 로드된 앱들 중 지정된 특정 앱을 실행하고 실행된 앱 운용 화면을 프레임 메모리 또는 프레임 버퍼에 로드하고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또는 프레임 버퍼는 표시부(140)에 할당된 저장 영역으로서 앞서 설명한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위해 제공된 메모리 등과 구분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앱 출력 장치(200) 연결을 확인하는 루틴, 연결된 앱 출력 장치(200)에 설정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활성화된 앱들 중 적어도 일부 앱들의 앱 데이터를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특정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루틴, 수신된 입력 신호를 해당 앱 운용에 적용하는 루틴, 적용에 따라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입력부(120) 또는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루틴, 수신된 입력 신호를 앱들 중 최상위에 화면을 표시하는 앱 또는 실행 중인 특정 앱에 적용하는 루틴, 해당 앱 운용 화면을 갱신하는 루틴,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설정에 따라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루틴, 해당 입력 신호를 적용할 앱을 확인하는 루틴, 해당 앱에 해당 입력 신호를 적용하는 루틴, 앱 적용에 따른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앱 운용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앱에 적용하는 루틴,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앱 출력 장치(200)에 앱 데이터를 출력 중인 앱에 적용하는 루틴, 앱 운용 장치(100)의 앱 운용과 독립적으로 앱 출력 장치(200)의 입력 신호가 적용된 해당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앱 데이터들을 복수의 앱 출력 장치(200)에 각각 제공하는 루틴, 또는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복수의 앱 출력 장치(200)에 나누어 제공하는 루틴, 앱별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에 따른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는 루틴,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가로 또는 세로 모드 변환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앱의 표시 모드를 변환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지원 프로그램(151)은 앱 운용에 따라 표시될 앱 영역을 앱 출력 장치(200) 요청에 따라 조절하는 루틴, 앱 영역 변경에 따라 해당 앱의 표시 버퍼를 조절하는 루틴, 표시 버퍼 조절에 따른 데이터 할당을 조절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앱 운용 장치(100)에 접속 가능한 앱 출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USB 인터페이스, UART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 직렬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컨대 블루투스 연결 인터페이스, 지그비 연결 인터페이스, UWB 연결 인터페이스, RFID 연결 인터페이스, 적외선 연결 인터페이스, WAP 연결 인터페이스 등 무선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앱 운용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통신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인터페이스(170)는 하나의 앱 출력 장치(200)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앱 출력 장치 연결을 위하여 복수개의 포트 및 복수개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신호의 처리와 데이터의 처리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제어부(160)는 특정 앱 활성화를 요청받는 경우 특정 앱 운용을 수행하여 앱 운용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앱 운용에 따라 표시될 앱 영역의 크기 조절, 앱 영역의 개수 조절, 앱 영역의 표시 방향 조절, 앱 영역의 갱신 조절,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앱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부(160)는 앱 운용부(161), 앱 데이터 수집부(163), 버퍼 운용부(165) 및 앱 데이터 전송부(167)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앱 운용부(161)는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된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특정 앱 또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에 의해 실행되도록 설정된 앱의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앱 운용부(161)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복수개의 앱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부(161)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설정에 따라 복수의 앱 중 특정 앱의 실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부(161)는 앱 운용에 따라 발생한 앱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의 앱 데이터를 표시부(140) 전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부(161)는 나머지 앱 데이터들을 백그라운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앱 운용부(161)는 활성화 중인 앱들과 관련된 앱 데이터는 메모리 또는 버퍼에 로드하되 표시부(140)에 출력되지는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부(161)는 활성화 중인 앱들 중 실행 요청된 앱의 앱 데이터만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앱 운용부(161)는 설정된 정보에 의하여 특정 앱을 활성화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전환하고, 해당 정보에 따른 앱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부(161)는 활성화 상태의 특정 앱에 대한 실행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앱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인터럽트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앱 운용부(161)는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앱 실행을 요청받으면, 해당 앱을 실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부(161)는 비활성화 상태의 앱인 경우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부(161)는 활성화 상태의 앱인 경우 실행 상태로 전환하고 해당 앱 운용에 따른 앱 데이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앱 운용부(161)는 특정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 장치 또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입력 신호를 해당 앱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부(161)는 앱 운용 장치(100)의 입력 장치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를 디폴트로 실행 중인 앱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부(161)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해당 입력 신호가 지정한 앱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운용부(161)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 처리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앱 운용부(161)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가 지정한 앱을 실행 상태로 변경하면서 해당 앱 데이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고, 입력 신호 적용을 지원할 수 도 있다.
앱 운용부(161)는 앱 운용 장치(100)의 가로 모드 상태 또는 세로 모드 상태에 대한 이벤트가 수신되면 이를 실행 화면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부(161)는 특정 앱에 대하여 디폴트로 지정된 가로 또는 세로 모드가 존재하면 앱 운용 장치(100)의 가로 또는 세로 상태에 관계없이 해당 가로 또는 세로 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앱 운용부(161)는 특정 앱 운용을 가로 또는 세로 모드로 수행하다가 다른 앱이 실행 상태로 진입하면서 실행 중이던 앱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앱 운용의 직전 가로 또는 세로 모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앱 데이터들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실행되던 상태 예컨대 가로 모드 상태 또는 세로 모드 상태를 유지하여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부(161)는 앱 출력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앱 화면을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또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부(161)는 표시부(140)에 출력 중인 특정 앱 화면뿐만 아니라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수행되고 있는 특정 앱 화면들에 대해서도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구분된 앱의 가로 모드 상태 또는 세로 모드 상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앱 운용부(161)는 하나의 앱에 대하여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 및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앱 운용부(161)는 전달되는 입력 신호의 수신 시간에 의하여 각 입력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의 앱에 적용할 수 있다.
앱 운용부(161)는 특정 앱에 대한 출력 크기를 앱 운용 장치(100)의 표시부(140) 영역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 전체 크기가 10 X 10이라고 가정하면, 앱 운용부(161)는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10 X 10 크기의 화면을 출력하며 실행 중인 앱의 크기를 20 X 20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부(161)는 확장된 크기에 추가적인 데이터들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부(161)는 현재 표시부(140)에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수행하여 해당 영역의 데이터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앱 운용부(161)는 메모리에서 앱 화면의 크기를 보다 크게 설정하고 설정된 크기에 맞는 데이터 쓰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앱 운용부(161)는 표시부(140) 크기에 맞는 영역만을 출력하도록 지원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데이터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부(161)는 상술한 앱 화면 조정을 위하여 메모리의 할당 크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표시부(140)보다 큰 크기의 데이터를 쓰기 위하여 앱 운용부(161)는 메모리 영역을 확장하여 할당할 수 있다.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앱 운용부(161)가 적어도 하나의 앱을 운용하면서 발생하는 앱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앱 운용부(161)에 의해 활성화된 앱들에 의해 앱 데이터들이 메모리에 기입되면, 해당 앱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메모리에 기입된 전체 앱들의 앱 데이터들 전체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전체 앱들의 앱 데이터들을 중 일부 앱 데이터들만을 수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5개의 앱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5개의 앱 데이터들을 각각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5개의 앱 데이터들 중 앱 출력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선택된 일부 앱 데이터들만을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수집한 이후, 앱 데이터 갱신이 발생하면 갱신된 앱 데이터만을 수집할 수 있다. 앱 데이터 수집부(163)가 수집한 각각의 앱 데이터들은 접속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앱 출력 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가 구분할 수 있도록 색인 정보 또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버퍼 운용부(165)는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기 위하여 구분 가능한 개별 버퍼들을 할당할 수 있다.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각각의 버퍼들에 해당 앱 데이터들을 기입하여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버퍼 운용부(165)는 5개의 앱들 각각에 대하여 버퍼들을 할당하고, 앱 데이터 수집부(163)는 각 앱들의 앱 데이터를 각 버퍼들에 기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버퍼 운용부(165)는 새로운 앱이 활성화되는 경우 버퍼를 새로 할당할 수 있으며, 활성화 중인 앱이 종료되면 할당된 버퍼를 회수할 수 있다.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앱 데이터 수집부(163)가 수집한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앱 데이터 수집부(163)가 수집한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접속된 앱 출력 장치(2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유선 통신 채널 및 무선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각각의 앱 데이터들의 전송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앱 출력 장치(200)와 와이파이 통신 채널, USB 통신 채널, UART 통신 채널, BT 통신 채널 등 다양한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일부 앱 데이터들을 USB 통신 채널을 통해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고, 다른 앱 데이터들을 BT 통신 채널을 통해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앱 데이터 전송부(167)는 나머지 앱 데이터들을 와이파이 통신 채널 또는 UART 통신 채널을 통해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앱 출력 장치(20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앱 출력 장치(200)는 장치 입력부(220), 장치 표시부(240), 장치 저장부(250), 장치 제어부(260) 및 장치 접속부(2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입력부(220)는 앱 출력 장치(200)의 입력 신호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장치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입력 장치, 전자펜 등 다양한 기구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치 입력부(220)는 장치 표시부(24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장치 표시부를 입력 수단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입력부(220)는 앱 출력 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앱 운용 장치(100)의 특정 앱들의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입력부(22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앱에 대응하는 앱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 선택한 앱 영역에 해당하는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 선택한 앱 영역에 해당하는 앱 표시 모드 전환을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입력부(22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할 수 있는 특정 앱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 특정 앱 영역의 크기 조절 및 위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입력 신호, 실행 중인 앱 중지를 위한 입력 신호, 활성화 상태의 앱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장치 입력부(220)가 생성한 입력 신호는 장치 제어부(260)에 제어에 따라 앱 운용 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다.
장치 표시부(240)는 앱 출력 장치(200) 운용을 위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표시부(240)는 앱 출력 장치(200) 운용을 위한 대기 화면, 아이콘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표시부(240)는 앱 운용 장치(100)가 제공한 적어도 하나의 앱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앱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앱 영역은 설정된 정보에 따라 일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앱 영역은 장치 입력부(22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앱 영역은 장치 입력부(220)의 입력 신호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장치 표시부(240)를 통하여 출력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장치 저장부(250)는 앱 출력 장치(2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저장부(250)는 앱 출력 장치(200) 운용을 위한 운영 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저장부(25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 중인 앱 데이터들을 일정 앱 영역으로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저장부(250)는 앱 매니저 프로그램(251)을 포함할 수 있다.
앱 매니저 프로그램(251)은 앱 운용 장치(100)와 연결을 통한 연결 지원 루틴,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앱 데이터들에 해당하는 앱 영역 출력을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앱 매니저 프로그램(251)은 앱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입력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루틴, 장치 입력부(22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하는 루틴, 갱신된 앱 데이터 수신에 따라 앱 영역의 표시를 갱신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앱 매니저 프로그램(251)은 특정 앱의 표시 모드를 파악하고 해당 표시 모드에 따라 앱 영역을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루틴, 특정 앱 표시 모드 전환을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접속부(270)는 앱 운용 장치(100)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장치 접속부(270)는 앱 운용 장치(100)와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접속부(270)는 USB 인터페이스나 UART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직렬접속 인터페이스, BT나 지그비, UWB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60)는 앱 출력 장치(200)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의 전달, 데이터의 처리, 앱 데이터의 버퍼링, 앱 데이터 관련 앱 영역의 출력, 입력 신호의 수집과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장치 제어부(2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장치 제어부(2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앱 운용 장치(100)가 장치 접속부(270)를 통해 연결되면 연결을 위하여 앱 매니저 프로그램(25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앱 매니저 프로그램(251)에 의해 장치 제어부(260)는 앱 매니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제어부(260)는 앱 데이터 수신부(261), 앱 데이터 분류부(263), 앱 데이터 출력부(265), 입력 전달부(267)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앱 데이터 수신부(261)는 장치 접속부(270)를 통하여 앱 운용 장치(100)가 연결되면, 앱 운용 장치(100)와의 연결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앱 데이터 수신부(261)는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앱 데이터 수신부(261)는 개별 버퍼에 저장된 앱 데이터들을 각각의 버퍼별로 수신하거나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전체 앱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앱 데이터 수신부(261)는 수신된 앱 데이터를 앱 데이터 분류부(263)에 제공한다.
앱 데이터 분류부(263)는 수신된 앱 데이터를 확인하여 앱별로 구분한다. 이를 위하여 앱 데이터 분류부(263)는 해당 앱 데이터를 수신한 버퍼 정보를 확인하거나, 해당 앱 데이터들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앱 데이터 분류부(263)는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의 장치 표시부(240)에 할당된 메모리에 로드할 수 있다. 이때 앱 데이터 분류부(263)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각각의 앱 데이터들에 해당하는 앱 영역을 구성하여 메모리에 로드할 수 있다.
앱 데이터 출력부(265)는 앱 데이터 분류부(263)가 분류하여 메모리에 로드한 앱 영역들을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앱 데이터 출력부(265)는 메모리에 로드된 앱 영역들을 설정된 정보에 따라 장치 표시부(240)의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앱 데이터 출력부(265)는 장치 입력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앱 영역들을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앱 데이터 출력부(265)는 장치 입력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앱 영역들을 장치 표시부(240)의 일정 영역에 자동으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앱 데이터 출력부(265)는 각각의 앱 데이터들의 표시 모드 정보를 확인하여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앱 데이터 출력부(265)는 앱 운용 장치(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되지 않는 하이드(hide) 영역도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앱 데이터 출력부(265)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 가능한 앱 항목들을 포함한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전달부(267)는 장치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장치 접속부(270)를 통하여 앱 운용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전달부(267)는 각각의 입력 신호의 종류와, 각 입력 신호가 적용될 앱 ID 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전달부(267)는 앱 영역 선택 신호, 특정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 앱 표시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수집하고 이를 앱 운용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는 텍스트 입력 신호, 앱 영역에 출력된 특정 링크 선택 신호, 특정 이미지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 음성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전달을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는 음성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에서 앱 운용 장치(100)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 제어 방법은 먼저 앱 운용 장치(100)의 제어부(160)가 601 동작 과정에서 기능 운용 대기를 수행한다. 여기서 기능 운용 대기 상태는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이 완료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기능 운용 대기 상태는 대기 화면 출력 상태, 메뉴나 아이콘 출력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기능 운용 대기 상태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 또는 방송 수신 기능이나 파일 편집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특정 이벤트가 수신되면 603 동작 과정에서 해당 이벤트가 앱 출력 장치(200) 연결에 해당하는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는 접속 인터페이스(170)에 풀업 전압을 제공하고, 해당 전압 변동에 따라 앱 출력 장치(200)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603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 연결과 관련이 없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605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이벤트 종류 및 특성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해당 이벤트에 따른 파일 재생 기능, 웹 접속 기능, 파일 편집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등 특정 기능을 적어도 하나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603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 연결에 따른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제어부(160)는 607 동작 과정에서 외부 출력 모드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출력 모드는 앱 출력 장치(200)가 접속되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앱 출력 장치(200)가 접속되면 제어부(160)에 의해 앱 출력 장치(200) 기반의 외부 출력 모드 수행 여부를 묻는 확인창 출력 후 사용자 승인에 따라 외부 출력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09 동작 과정에서 실행 중인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디폴트로 현재 활성화 중인 앱 전체에 대한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하나의 앱이 활성화된 경우 하나의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고 복수개의 앱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복수개의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각각의 앱들의 표시 모드에 따른 앱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가로 모드 표시 상태의 앱에 대하여 가로 모드 표시 상태에 따른 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세로 모드 표시 상태의 앱에 대하여 세로 모드 표시 상태에 따른 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복수개의 앱들 중 일부 앱들에 대한 앱 데이터만을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현재 실행 중인 앱들 중 앱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앱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별도의 활성화 중인 앱이 없는 경우 대기 화면 또는 기 설정된 기본 영역을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영역은 앱 운용 장치(100)의 다수의 앱 중 적어도 하나의 앱 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 제공 화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들이 배치된 화면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11 동작 과정에서 이벤트 신호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동작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입력 신호, 이미지 입력 신호, 방향 키 입력 신호, 마우스 입력 신호, 터치 입력 신호, 센서 입력 신호 등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서 발생된 이벤트 신호 수신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타이머 완료에 해당하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해당 이벤트 신호에 따른 앱 운용을 613 동작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는 디폴트로 실행 중인 앱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실행 중인 앱의 입력 신호 적용에 따른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입력 신호가 지정한 앱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확인된 앱에 해당 입력 신호를 적용하여 앱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가 적용된 앱의 갱신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앱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실행 상태의 앱을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변경하고, 해당 입력 신호를 실행 상태로 변경된 앱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611 단계에서 별도 이벤트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613 동작 과정을 스킵할 수 있다. 613 동작 과정 이후 제어부(160)는 615 동작 과정에서 외부 출력 모드에 따른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앱 출력 장치(200)와 앱 운용 장치(100)간의 접속 해제에 따른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외부 출력 모드 종료를 위한 별도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동작 과정에서 별도 입력 신호 발생이 없으면 제어부(160)는 603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에서 앱 출력 장치(200)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701 동작 과정에서 기능 운용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제어부(260)는 전원 공급에 따른 부팅을 완료하고 사용자 입력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장치 제어부(260)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거나 슬립 상태를 가지면서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의 외부 출력 모드 지원을 대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장치 제어부(260)는 703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 연결에 해당하는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해당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장치 제어부(260)는 705 동작 과정으로부터 앱 출력 장치(200)의 사용자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제어부(260)는 앱 출력 장치의 장치 입력부(22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웹 접속 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 파일을 재생하거나 편집 하는 등의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제어부(260)는 이전 701 동작 과정 상태인 기능 운용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705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와의 연결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707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연결된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앱 데이터 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장치 제어부(260)는 앱 운용 장치(100)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연결에 따른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제어부(260)는 사용자가 지정한 통신 방식 또는 설정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앱 운용 장치(1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디폴트로 앱 운용 장치(100)가 제공하는 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제어부(260)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활성화가 가능한 앱들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 요청에 의해 선택된 항목들의 활성화를 앱 운용 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활성화가 요청된 앱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장치 제어부(260)는 709 동작 과정에서 앱 데이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장치 제어부(260)는 앱 데이터 제공 방식에 따라 각각의 앱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버터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제어부(260)는 앱 데이터들을 구분하도록 정의한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각각의 앱들을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 제어부(260)는 711 동작 과정에서 앱 데이터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장치 제어부(260)는 앱 데이터들이 복수개의 앱들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앱들을 구분된 앱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앱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장치 표시부(240)에서의 출력 위치를 랜덤하게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제어부(260)는 사전 정의된 일정 양식 예컨대 앱 운용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앱의 앱 영역은 장치 표시부(240) 중앙에 배치하고, 나머지 활성화 앱들의 앱 영역은 장치 표시부(240) 외곽에 배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장치 제어부(260)는 해당 앱 영역의 장치 표시부(240) 표시 이력이 있는 경우, 이를 저장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표시 이력에 따른 위치에 앱 영역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앱 영역 출력 시, 장치 제어부(260)는 앱 영역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출력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치 제어부(260)는 앱 영역들이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장치 입력부(22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앱 영역들의 위치 변경 및 크기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장치 제어부(260)는 713 동작 과정에서 장치 입력부(220) 또는 입력 기능의 장치 표시부(240)로부터 입력 신호 수신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동작 과정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715 동작 과정에서 해당 입력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하고 이후 707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제어부(260)는 모든 입력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 다 제공하지 않고 앱 운용과 관련된 입력 신호만을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제어부(260)는 장치 표시부(240)에 표시된 앱 영역에서의 마우스 입력 신호, 마우스가 앱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키보드 입력 신호, 특정 앱 영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마우스나 키보드 또는 음성 입력 신호 등을 수집하여 앱 운용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앱 영역 이외의 장치 표시부(240) 영역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나 앱 출력 장치(200)의 고유 사용자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제어부(260)는 해당 입력 신호를 앱 출력 장치(200)의 사용자 기능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장치 제어부(260)는 713 동작 과정에서 입력 신호 수신이 없으면, 717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앱 운용 장치(100) 연결 해제 또는 기능 종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 신호나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장치 제어부(260)는 703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와 앱 출력 장치(200)는 801 동작 과정에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운용 장치(100)와 앱 출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와 앱 출력 장치(20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 세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802 동작 과정에서 기본 영역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기본 영역에 대한 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영역은 앱 운용 장치(100)가 제공하는 대기 화면이나 메뉴 화면 또는 아이콘 화면에 해당하는 앱 데이터로 구현된 영역이 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 장치(100)는 803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 장치(100)는 입력부(120)나 표시부(140)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앱을 실행하거나 앱 출력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제1 앱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의 경우 기본 영역에서 제공된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을 선택을 통하여 제1 앱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805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807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를 수신하면 장치 표시부(240)에 제1 앱 영역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의 입력 신호 또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809 동작 과정에서 제2 앱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제2 앱이 실행되면 811 동작 과정에서 제2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을 실행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처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제2 앱을 실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813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영역 및 제2 앱 영역을 장치 표시부(240)에 표시한다. 이때 앱 출력 장치(200)는 제2 앱 영역이 선택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815 동작 과정에서 기본 영역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817 동작 과정에서 기본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기능 중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치 표시부(240)는 앱 운용 장치(100)와의 연결에 따라 외부 출력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901 화면에서와 같이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에 기본 영역(40)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화면은 앱 출력 장치(200) 운용을 위해 제공되는 대기 화면이 될 수 있다. 또는 기본 화면은 앱 출력 장치(2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영역(40)은 앱 운용 장치(100) 운용을 위해 제공되는 대기 화면 또는 메뉴 화면이 될 수 있다. 기본 영역(40)은 기본 화면(241)의 특정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기본 화면(241)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앱 운용 장치(100)에서 제1 앱이 실행되면 903 화면에서와 같이 기본 영역(40)은 제1 앱 영역(41)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상태는 기본 영역(40) 상에 제1 앱 영역(41)이 중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앱 영역(41) 분리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9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앱 영역(41)을 기본 영역(40)과 분리하여 일정 영역에 이동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 앱 영역(41)을 선택하고 화면 우상단 모서리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1 앱 영역(41)은 기본 영역(40)이 표시된 위치에서 벗어나 해당 위치로 이동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앱 영역(41)은 자동으로 설정된 크기로 축소될 수 있다. 또는 제1 앱 영역(41)은 기본 영역(40)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앱이 앱 운용 장치(100)에서 실행되면 907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앱 영역(42)이 기본 영역(4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기본 영역(40)이 제2 앱 영역(42)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앱 영역(42)의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909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앱 영역(42)을 장치 표시부(240)의 일정 영역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앱 영역(42)의 이동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우스나 터치 드래그 신호 발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제2 앱 영역(42)이 표시된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탭 신호 또는 키보드의 방향키 신호, 마우스 버튼 입력 신호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제2 앱 영역(42) 이동이 지정된 위치로 자동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본 영역(40)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장치 제어부(260)는 911 화면에서와 같이 기본 영역(40)을 기본 화면(241)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표시부(240)는 제1 앱 영역(41) 및 제2 앱 영역(42)만을 표시할 수 있다. 기본 영역(40)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는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리스트 기반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와 앱 출력 장치(200)는 1001 동작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앱 출력 장치(200)는 1003 동작 과정에서 앱 리스트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앱 리스트는 앱 운용 장치(100)가 제공할 수 있다. 앱 리스트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 가능한 앱 항목들을 포함한 리스트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앱 출력 장치(200)는 1005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선택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나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앱 리스트에 포함된 제1 앱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1007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 요청을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운용 장치(100)는 1009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 요청에 따라 제1 앱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 실행에 따라 발생한 제1 앱 데이터를 1011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1013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앱 영역을 장치 표시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앱 리스트에서 제2 앱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1015 동작 과정에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제2 앱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1017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제2 앱 데이터 요청에 따라 제2 앱을 1019 동작 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제2 앱 실행에 따른 제2 앱 데이터를 1021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을 실행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의 운용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처리로 전환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설정된 정보에 따라 또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앱의 운용에 의해 갱신된 제1 앱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1023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영역 및 제2 앱 영역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앱 영역은 별다른 갱신된 앱 데이터 수신이 없으면 이전 출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1025 동작 과정에서 앱 리스트 제거 요청을 수신하면 1027 동작 과정에서 앱 리스트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기능 중 리스트 기반 복수개의 앱 영역 표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기본 영역(40)에 해당하는 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1101 화면에서와 같이 기본 영역(40)을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1103 화면에서와 같이 앱 리스트(50)를 출력할 수 있다. 앱 리스트(50)는 기본 영역(40)에 인접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앱 리스트(50)를 기본 영역(40)과 함께 출력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앱 출력 장치(200)는 1101 화면에서 기본 영역(40)을 출력하지 않고 바로 앱 리스트(50)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앱 리스트(50)에서 특정 앱 예컨대 제1 앱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선택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제1 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출력 장치(200)는 11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앱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앱 영역(41)을 기본 화면(241)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앱 영역(41)은 기본 영역(40) 및 앱 리스트(50)에 중첩되지 않는 일정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앱 리스트(50)에서 제2 앱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제2 앱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제2 앱 데이터를 수신하고, 1107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앱 영역(42)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앱 출력 장치(200)는 기본 화면(241)에 기본 영역(40), 앱 리스트(50), 제1 앱 영역(41) 및 제2 앱 영역(42)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앱 리스트(50)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1109 화면에서와 같이 앱 리스트(50)를 기본 화면(241)에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출력 장치(200)는 앱 리스트(50)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1103 화면에서와 같이 다시 앱 리스트(50)를 기본 화면(2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앱 출력 장치(200)는 기본 영역(40) 제거를 위한 입력 신호 수신 시 1111 화면에서와 같이 기본 영역(40)을 기본 화면(241)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111 화면에서 장치 표시부(240)는 제1 앱 영역(41) 및 제2 앱 영역(42)만을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복수개의 앱 영역 자동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와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1201 동작 과정에서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을 위해 앱 운용 장치(100)와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유무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들(200, 201) 접속 및 연결이 세팅되면 1203 동작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들(200, 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는 제1 내지 제3 앱 운용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앱들은 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앱은 실행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1205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을 각각의 앱별로 구분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1207 단계에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앱 영역을 생성하고, 이를 장치 표시부(240)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제1 내지 제3 앱 영역을 동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1209 동작 과정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앱 영역과 함께 기본 영역을 추가로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들(200, 201)에 표시되는 제1 내지 제3 앱 영역들은 별도의 입력 신호 수신 없이 자동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복수개의 앱 영역 자동 표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는 1301 상태도에서와 같이 예컨대 3개의 앱들(1001, 1002, 1003)이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앱 운용 장치(100)는 3개의 앱들(1001, 1002, 1003) 구동 중 실행 중인 앱 예컨대 제1 앱(1001)을 최상위 레이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이 연결되면 활성화 상태의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들(200, 201)에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1303 상태는 제1 앱 출력 장치(200) 및 제2 앱 출력 장치(201)가 앱 운용 장치(100)에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앱 운용 장치(100)의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의 출력 방식을 제1 앱 출력 장치(200)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는 상태 또는 제2 앱 출력 장치(201)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앱 출력 장치(200) 및 제2 앱 출력 장치(201)가 앱 운용 장치(100)에 동시 접속되는 경우,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의 특성에 따라 제1 앱 출력 장치(200)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앱 영역들(41, 42, 43)이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 일측에 동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앱 출력 장치(201)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앱 영역들(41, 42, 43)과 기본 영역(40)이 기본 화면(241) 일측에 동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영역(40)은 기본 화면(241)에서 제거되거나 또는 다시 호출될 수 있다. 이미지 효과로서 제1 내지 제3 앱 영역들(41, 42, 43) 자동 출력 시, 기본 영역(40)이 우선 출력되고, 이후 제1 앱 영역(41), 제2 앱 영역(42), 제3 앱 영역(43)이 순차적으로 기본 화면(241)의 일정 영역에 자동 출력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앱 출력 장치들(200, 201) 연결 시 자동으로 수행할 앱들에 대한 목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이 연결되면 특정 앱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특정 앱에 관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들(200, 201)에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앱의 앱 데이터에 의하여 구현된 앱 영역들의 크기와 위치는 사전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앱 운용 장치(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특정 앱 운용에 따른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의 표시 영역 중앙이나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 등에 출력되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이 연결되면 해당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의 표시 영역에서 사용자 요청에 의해 지시된 크기와 위치를 가지며 출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앱 영역의 출력 형태는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이 앱 영역의 이전 출력 이력을 확인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특정 앱 데이터를 기반으로 앱 영역을 출력 한 후, 해당 앱 영역의 크기와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은 연결 해제 직전의 앱 영역 위치와 크기 정보 또는 연결 시작 시 앱 영역 위치와 크기 정보를 출력 이력으로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이 접속되면 접속된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을 식별하고,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의 식별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앱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앱 데이터들을 어떠한 앱 출력 장치에 제공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들(200, 201)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앱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앱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 장치(100)가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앱 출력 장치들(200, 201)에 해당 정보를 전달하고, 앱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들(200, 201)이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앱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변경하고, 앱 운용 장치(100)와 변경된 앱 영역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정보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방법 중 앱 영역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는 1401 동작 과정에서 연결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앱 운용 장치(100)는 1403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 및 제2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앱 데이터 및 제2 앱 데이터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활성화 상태의 앱들 중 적어도 일부 앱들의 앱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제1 앱 데이터 및 제2 앱 데이터는 실행 상태 앱의 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앱 데이터 및 제2 앱 데이터는 실행 상태 앱을 제외한 활성화 상태의 앱 데이터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1405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 및 제2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앱 영역 및 제2 앱 영역을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1407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영역 크기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영역 크기 조절 신호를 1409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 영역 크기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1411 단계에서 제1 앱에 대한 버퍼 운용부(165)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 영역의 크기 확장을 요청받는 경우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버퍼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할당된 버퍼에 크기 조절된 제1 앱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운용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해당 버퍼에 기입된 크기 조절된 제1 앱 데이터를 1413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1415 동작 과정에서 크기 조절된 제1 앱 데이터에 해당하는 크기 조절된 제1 앱 영역을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앱 출력 장치(200)는 크기 조절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앱 영역의 크기를 줄이거나 또는 늘려서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조절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와의 연결 후 1501 화면에서와 같이 앱 운용 장치(100)가 제공하는 제1 앱 데이터 및 제2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앱 영역(41) 및 제2 앱 영역(42)을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에 출력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영역(41)의 위치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여 위치 조절된 제1 앱 영역(41)을 1503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영역(41)의 위치를 저장 관리하고, 추후 제1 앱 영역(41)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직전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된 위치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영역(41)의 크기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제공하고, 그에 대응하는 크기 조절된 제1 앱 영역(41)들은 1505 화면 내지 1507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1505 화면은 1501 도는 1503 화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1 앱 영역(41)을 나타낸 것이다. 1507 화면의 경우 최소 크기의 제1 앱 영역(41)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앱 출력 장치(200)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1501 화면의 제1 앱 영역(41)의 모서리 등을 지정하고 영역 조절을 위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최소 크기 출력을 요청하는 가상 버튼 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1 앱 영역(41)의 더블 탭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상술한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앱 영역(4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1501 화면의 제1 앱 영역(41)과 1507 화면의 제1 앱 영역(41)의 표시 방식은 설계 방식에 따라 토글 방식으로 상호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1501 화면에서 제1 앱 영역(41)을 수회 탭하는 경우 1507 화면의 제1 앱 영역(41)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1507 화면에서 제1 앱 영역(41)을 수회 탭하는 경우 1501 화면의 제1 앱 영역(41)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조절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앱 출력 장치(200)의 장치 표시부(240)는 1601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앱 영역(41)을 기본 화면(241)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와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을 활성화하고, 제1 앱 운용에 따른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는 1605 상태에서와 같이 제1 앱 운용을 위한 버퍼를 일정 크기로 할당할 수 있다. 즉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의 1601 화면에서의 제1 앱 영역(41) 크기에 해당하는 버퍼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영역(41) 확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영역(41) 확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영역(41) 확장 요청에 따라 확장된 제1 앱 데이터를 수신하고 1603 화면에서와 같이 확장된 제1 앱 영역(41)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된 제1 앱 영역(41)은 크기가 확대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많은 항목들이 더 포함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 영역(41) 확장 요청에 따라 1607 상태에서와 같이 확장된 제1 앱 영역(41)에 대응하는 버퍼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된 버퍼에 제1 앱과 관련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확장된 버퍼에 기입된 확장된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표시 방향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는 1701 동작 과정에서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앱 운용 장치(100)와 앱 출력 장치(20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연결 과정이 완료되면 앱 운용 장치(100)는 1703 동작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앱이 앱 운용 장치(100)에서 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앱들의 표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앱 영역을 장치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앱 출력 장치(200)는 각각의 앱들에 대하여 가로 또는 세로 모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앱 데이터들의 표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1707 동작 과정에서 특정 앱 영역에 대한 가로 또는 세로 모드 변경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해당 가로/세로 모드 변경 요청을 1709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수신된 가로/세로 모드 변경 요청에 따라 1711 동작 과정에서 해당 앱의 가로/세로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1713 동작 과정에서 표시 방향이 변경된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1715 동작 과정에서 수신 앱 데이터에 따른 앱 영역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표시 방향 처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는 1801 상태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앱들(1001, 1002, 1003)을 활성화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앱들(1001, 1002, 1003) 중 실행 중인 제1 앱(1001)을 최상위 레이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앱(1001)은 해당 앱의 설정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세로 모드로 표시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앱(1002) 및 제3 앱(1003)은 각각 활성화 상태를 가지되 백그라운드 처리 방식에 따라 운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앱(1002)은 가로 모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3 앱(1003)은 세로 모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앱(1002) 및 제3 앱(1003)에 대한 앱 데이터들이 메모리에 기입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앱들의 표시 방식에 따라 기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앱들(1001, 1002, 1003)의 표시 방식에 대한 정보를 앱 출력 장치(200)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와 연결되고,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제1 내지 제3 앱들(1001, 1002, 1003)에 대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18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에 대한 제1 내지 제3 앱 영역들(41, 42, 43)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앱 출력 장치(200)는 각각의 앱들이 앱 운용 장치(100)에서 표시되던 방식 또는 앱 운용 장치(100)에서 설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장치 표시부(240)에 일정 표시 방향을 가지며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앱 출력 장치(200)는 세로 모드로 표시되던 제1 앱(1001)에 대응하여 세로 모드로 표시되는 제1 앱 영역(41)을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앱 출력 장치(200)는 가로 모드 표시 방식을 가지는 제2 앱(1002)에 대응하여 가로 모드로 표시되는 제2 앱 영역(42)을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앱 출력 장치(200)는 세로 모드 표시 방식을 가지는 제3 앱(1003)에 대응하여 세로 모드로 표시되는 제3 앱 영역(43)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영역 표시 방향 변경 처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와 연결되고, 본 개시의 외부 출력 모드 활성화에 따라 1901 상태에서와 같이 앱 운용 장치(100)에서 활성화 상태의 복수의 앱들을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 장치(100)에서 제공한 제1 내지 제3 앱 데이터들의 표시 방식에 따라 제1 앱 영역(41) 및 제3 앱 영역(43)은 각각 세로 모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2 앱 영역(42)은 가로 모드로 출력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앱 출력 장치(200)는 장치 입력부(220)로부터 제1 앱(1001)의 표시 방향을 변경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장치 입력부(220)는 표시 방향 변경 요청 신호를 장치 제어부(260)에 전달하고, 장치 제어부(260)는 장치 접속부(270)를 통하여 앱 운용 장치(100)에 전달한다.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에 대한 표시 방향 변경 예컨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을 요청하는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19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앱(1001)의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1001)의 표시 방향을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100)는 표시 방향이 변경된 제1 앱(1001)의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한다.
앱 출력 장치(200)의 장치 제어부(260)는 앱 운용 장치(100)로부터 제1 앱(1001)에 대한 표시 방향이 변경된 제1 앱 데이터를 수신하면 1905 상태에서와 같이 세로 모드로 표시되던 제1 앱 영역(41)을 가로 모드의 제1 앱 영역(41)으로 변경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동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는 2001 동작 과정에서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 장치(100)는 입력부(120) 또는 앱 출력 장치(200)의 장치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2003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자동으로 제1 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 연결 시 자동으로 수행할 앱 목록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앱 목록은 앱 출력 장치(200)의 종류별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제1 앱 운용에 따라 제1 앱 데이터가 생성되면 앱 운용 장치(100)는 2005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2007 동작 과정에서 제1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앱 영역을 장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와는 독립적으로 2008 동작 과정에서와 같이 제1 앱 제어를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운용 장치(100)는 2010 동작 과정에서 입력된 제1 입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 제어를 위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앱 운용 장치는 해당 터치 이벤트를 제1 앱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처리에 따라 제1 앱 데이터가 갱신되면 앱 운용 장치(100)는 갱신된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 역시 2009 동작 과정에서와 같이 제1 앱 제어를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앱 출력 장치(200)는 제1 앱 제어를 위한 제2 입력을 2011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운용 장치(100)는 2013 동작 과정에서 수신된 제2 입력을 제1 앱에 적용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운용 장치(100)는 제2 입력이 적용된 제1 앱의 갱신된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0의 상황에 대하여 도 21의 일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동시 운용을 위한 장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두 명의 사용자들(User A, User B)이 각각 앱 출력 장치(200)와 앱 운용 장치(100)를 이용하여 동일한 앱 예컨대 제1 앱(1001)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와 앱 운용 장치(100)는 통신 채널이 형성된 연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2101 상태에서와 같이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 상에 제1 앱 영역(41)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앱 출력 장치(200)는 앱 운용 장치(100)가 제공한 제2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앱 영역(42)도 기본 화면(241) 일측에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앱 운용 장치(100)는 21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앱(1001) 실행 요청에 따라 제1 앱(1001) 실행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1001)에 대응하는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앱 운용 장치(100)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유지되는 제2 앱에 대한 제2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상태에서 사용자 User B는 앱 운용 장치(100)가 가지는 입력부(120) 또는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를 이용하여 제1 앱 제어를 위한 제1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User A는 앱 출력 장치(200)가 가지는 장치 입력부(220) 또는 입력 기능의 장치 표시부(240)를 제어하여 제1 앱 제어를 위한 제2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제2 입력을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앱 운용 장치(100)는 입력부(120)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제1 입력 및 앱 출력 장치(200)가 제공하는 제2 입력을 제1 앱(1001)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이 적용된 제1 앱(1001)의 갱신된 제1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개별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앱 운용 장치들(100, 101)과 앱 출력 장치(200)는 2201 동작 과정에서 연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앱 운용 장치들(100, 101)과 앱 출력 장치(200)가 연결 상태를 가지기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는 복수의 앱 운용 장치들(100, 101)과 연결될 수 있는 장치 접속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접속부(270)는 복수개의 USB 연결 포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장치 접속부(270)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2203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들(100, 101) 중 제1 앱 운용 장치(100)는 제1 앱을 운용하고 제2 앱 운용 장치(101)는 제2 앱을 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앱 운용 장치(100)는 제3 앱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유지하며, 제2 앱 운용 장치(101)는 제4 앱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앱 운용 장치(100)는 2205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로 제3 앱 데이터를 전송하며, 제2 앱 운용 장치(101)는 2205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로 제4 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2207 동작 과정에서 제3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 앱 영역 및 제4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4 앱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앱 운용 장치들(100, 101)은 앱 출력 장치(200)와는 독립적으로 제1 앱 및 제2 앱을 해당 장치에 마련된 입력부들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운용할 수 있다. 즉 앱 운용 장치들(100, 101)은 2208 단계에서 제1 입력을 수신하면 2210 동작 과정에서 제1 입력을 제1 앱 또는 제2 앱에 적용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앱 운용 장치들(100, 101)은 제1 앱 및 제2 앱들의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앱 출력 장치(200)는 2209 동작 과정에서 장치 입력부(220) 등으로부터 발생한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앱 출력 장치(200)는 제2 입력을 2211 동작 과정에서 앱 운용 장치들(100, 101)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앱 출력 장치(200)는 제3 앱에 관한 제2 입력은 제1 앱 운용 장치(100)에 전송하고, 제4 앱에 관한 제2 입력은 제2 앱 운용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운용 장치들(100, 101)은 2213 동작 과정에서 제2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앱 운용 장치들(100, 101)은 제2 입력이 지시하는 제3 앱 또는 제4 앱 중 어느 하나에 제2 입력을 적용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들(100, 101)은 갱신된 제3 앱 데이터 또는 제4 앱 데이터를 2215 동작 과정에서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2217 동작 과정에서 갱신된 제3 앱 데이터 또는 제4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3 앱 영역 또는 제4 앱 영역의 갱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개별 운용을 위한 장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2301 상태에서와 같이 앱 출력 장치(200)는 장치 표시부(240)의 기본 화면(241) 상에 기본 영역(40), 제3 앱 영역(43) 및 제4 앱 영역(4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앱 출력 장치(200)는 제3 앱 데이터 및 제4 앱 데이터를 제1 앱 운용 장치(100) 및 제2 앱 운용 장치(1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3 앱은 제1 앱 운용 장치(100)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처리되는 앱이며, 제4 앱은 제2 앱 운용 장치(101)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처리되는 앱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기본 영역(40)은 제1 앱 운용 장치(100) 또는 제2 앱 운용 장치(101)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앱 출력 장치(200)는 장치 접속부를 통해 접속된 복수개의 앱 운용 장치들(100, 101)의 기본 영역들을 호출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앱 운용 장치(100)는 23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앱(1001)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앱 운용 장치(100)는 해당 장치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를 제1 앱(1001)에 적용 처리할 수 있다. 제1 앱 운용 장치(100)는 제3 앱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유지하도록 지운하며, 제3 앱에 대응하는 제3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앱 운용 장치(100)는 제3 앱과 관련된 입력 신호를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입력 신호를 제3 앱에 적용하고 갱신된 제3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앱 운용 장치(101)는 2305 상태에서와 같이 제2 앱(1002)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앱 운용 장치(101)는 해당 장치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를 제2 앱(1002)에 적용 처리할 수 있다. 제2 앱 운용 장치(101)는 제4 앱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유지하도록 지운하며, 제4 앱에 대응하는 제4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앱 운용 장치(101)는 제4 앱과 관련된 입력 신호를 앱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입력 신호를 제4 앱에 적용하고 갱신된 제4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앱 운용 장치(100)에 앱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더라도 앱 운용 장치(100)의 표시부(140)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앱 운용 장치(100)는 앱 출력 장치(200) 연결 후 앱 데이터들을 앱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면 표시부(140)를 자동으로 턴-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운용 장치(100)는 별도 입력 신호 발생 시 표시부(140)를 턴-온하고, 슬립 모드 적용에 따라 표시부(140) 턴-온 또는 턴-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앱 운용 기능은 앱 운용 장치(100)에서 운용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200)를 통하여 출력하고, 앱 출력 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앱의 조작을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앱 운용 기능은 앱 운용 장치(100)에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유지되는 앱들을 앱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앱 운용 장치(100)에서 동작 중인 다양한 앱들에 대한 관리와 운용을 보다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추가로 본 개시의 앱 운용 기능은 각각의 앱들의 표시 방향 조작, 앱들의 크기와 위치 조작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능동적인 앱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앱 운용 기능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다양한 앱 기능을 독립적으로 또는 협업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술한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앱 운용 장치(100) 및 앱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면,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앱 운용 시스템 100, 101 : 앱 운용 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접속 인터페이스 200, 201 : 앱 출력 장치
210 : 장치 통신부 220 : 장치 입력부
240 : 장치 표시부 250 : 장치 저장부
260 : 장치 제어부

Claims (34)

  1. 앱 운용 방법에 있어서,
    앱 운용 장치와 앱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연결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복수개의 앱 운용 중 실행 상태의 앱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활성화 상태의 앱을 백그라운드로 프로세싱 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앱 운용에 따른 실행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앱 운용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앱 데이터가 복수개의 앱 데이터들인 경우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분류하고, 상기 앱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구분하고, 상기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상기 앱 데이터들의 각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앱 데이터들을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앱 영역들에 기반하여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앱 운용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앱에 관한 앱 운용에 의해 앱 데이터의 갱신이 발생하면, 갱신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앱 출력 장치는 갱신된 앱 데이터를 수신하고 갱신된 앱 데이터와 관련된 앱 영역의 표시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이,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운용 장치의 대기 화면 또는 메뉴 화면에 대응하는 기본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앱 운용 장치가 기본 영역에서 선택된 앱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앱 활성화에 따른 앱 데이터를 기반으로 앱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앱 운용 장치에서 운용 가능한 앱 항목들을 포함하는 앱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앱 리스트의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앱 운용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앱을 활성화하고 해당 앱의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수신된 앱 데이터에 해당하는 앱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앱 운용 중 어느 하나의 앱 실행 화면을 상기 앱 운용 장치의 표시부의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앱들의 상기 앱 운용 장치에서의 표시 방향에 따라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앱 영역들을 가로 또는 세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앱 영역의 표시 방향 변경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의 표시 방향을 가로에서 세로로 또는 세로에서 가로로 변경하고, 변경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변경된 앱 데이터에 따라 앱 영역 표시 방향을 변경 표시하는 과정;더 을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영역의 크기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앱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앱 영역의 크기 조절에 따라 해당 앱에 할당된 버퍼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앱 중 어느 하나의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앱에 적용하고 앱 적용에 따른 갱신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갱신된 앱 데이터 수신에 따른 앱 영역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앱 중 어느 하나의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앱 운용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앱에 상기 입력 신호를 적용하고 갱신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갱신된 앱 데이터에 따라 갱신된 앱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앱 중 어느 하나의 앱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상기 앱 운용 장치에 포함된 입력 장치와 상기 앱 출력 장치에 포함된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입력 신호를 상기 앱에 적용하는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앱 적용에 따른 갱신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운용 장치의 표시부에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앱 중 제1 앱 운용을 상기 앱 운용 장치에 포함된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운용하는 과정 중에 상기 앱 운용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앱 중 제2 앱 운용을 위하여 입력 신호를 상기 앱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앱 운용 장치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기반으로 상기 앱 출력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상기 제2 앱에 적용하여 갱신된 제2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앱 출력 장치가 상기 제2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앱 영역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앱 운용 방법.
  17. 앱 운용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앱을 저장하는 저장부;
    앱 운용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앱 출력 장치와 접속을 지원하고, 상기 복수개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를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접속 인터페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앱 운용 중 실행 상태의 앱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활성화 상태의 앱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앱 운용에 따른 실행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의 앱에 관한 앱 운용에 의해 앱 데이터의 갱신이 발생하면, 갱신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앱 운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 각각에 식별 정보를 할당하거나 각각의 앱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버퍼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 운용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개의 앱 중 적어도 하나의 앱 운용을 위한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를 앱에 적용하고, 적용에 따라 갱신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앱 운용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출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 수신 시, 해당 입력 신호를 적용할 앱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앱에 입력 신호를 적용하여 갱신된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앱 운용 장치.
  21. 삭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데이터들의 표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앱 운용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출력 장치로부터 표시 방향 변경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 수신 시 해당 앱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앱 운용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출력 장치로부터 크기 변경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 수신 시 해당 앱의 크기 변경을 위한 버퍼 크기 제어를 수행하는 앱 운용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출력 장치 접속 시, 상기 앱 출력 장치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전 정의된 특정 앱을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해당 앱 데이터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앱 운용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데이터에 의해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출력될 앱 영역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상기 앱 출력 장치에 제공하는 앱 운용 장치.
  27. 앱 출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표시하는 표시부;
    앱 운용 장치와 접속을 지원하고, 상기 앱 운용 장치에서 실행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인 적어도 하나의 앱에 대응하는 앱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접속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앱 운용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앱 데이터가 복수개의 앱 데이터들인 경우 각각의 앱 데이터들을 분류하고,
    상기 앱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구분하고,
    상기 복수개의 앱 영역들을 상기 앱 데이터들의 각각의 출력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앱 데이터들을 상기 구분된 복수개의 앱 영역들에 기반하여 표시하고, 상기 앱 운용 장치로부터 갱신된 앱 데이터를 수신하고 갱신된 앱 데이터와 관련된 앱 영역의 표시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앱 출력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데이터들의 표시 방향 정보에 따라 각각의 앱 영역들을 가로 또는 세로 모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앱 출력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운용 장치에서 운용 가능한 앱 활성화 요청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앱 항목들이 포함된 앱 리스트 및 기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앱 출력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앱 영역들에 대응하는 앱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앱 출력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가 생성한 앱 영역의 표시 방향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상기 앱 운용 장치에 제공하고, 표시 방향 변경된 앱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앱 영역의 표시 방향을 변경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앱 출력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가 생성한 앱 영역의 크기 조절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상기 앱 운용 장치에 제공하고, 크기 조절된 앱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앱 영역의 표시 방향을 변경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앱 출력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앱 영역의 위치 변경을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앱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 위치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앱 출력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특정 앱 영역 출력 시 이전 출력 위치 이력을 확인하고 이력에 따라 해당 앱 영역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앱 출력 장치.
KR1020130035173A 2013-04-01 2013-04-01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KR102043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173A KR102043049B1 (ko) 2013-04-01 2013-04-01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EP14162204.3A EP2787434B1 (en) 2013-04-01 2014-03-28 APP operating method and device and APP output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4/228,919 US9311167B2 (en) 2013-04-01 2014-03-28 APP operating method and device and APP output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201410125975.7A CN104102484B (zh) 2013-04-01 2014-03-31 App操作方法和设备以及支持app操作方法的app输出设备
AU2014201856A AU2014201856B2 (en) 2013-04-01 2014-03-31 APP operating method and device and app output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173A KR102043049B1 (ko) 2013-04-01 2013-04-01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475A KR20140119475A (ko) 2014-10-10
KR102043049B1 true KR102043049B1 (ko) 2019-11-11

Family

ID=5073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173A KR102043049B1 (ko) 2013-04-01 2013-04-01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11167B2 (ko)
EP (1) EP2787434B1 (ko)
KR (1) KR102043049B1 (ko)
CN (1) CN104102484B (ko)
AU (1) AU201420185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392B2 (en) 2011-08-31 2014-10-21 Chia-Teh Chen Two-level LED security light with motion sensor
KR20160045269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CN104375646B (zh) * 2014-11-24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穿戴式电子设备
KR20170096408A (ko) * 2016-02-1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17177302A1 (en) 2016-04-15 2017-10-19 Light Wave Technology Inc. Automotive rear-view camera peripheral
WO2018010021A1 (en) 2016-07-11 2018-01-18 Light Wave Technology Inc. Pointer control in a handheld computer by way of hid commands
TWI633782B (zh) * 2016-11-11 2018-08-2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透過機上盒控制行動裝置的系統及方法
CN108024019B (zh) * 2017-12-19 2020-0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显示方法及装置
TWI684361B (zh) * 2018-05-30 2020-02-01 擊石數位科技股份有限公司 數位廣告播放系統以及廣告播放主機
KR20210061199A (ko) * 2019-11-19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미러링 방법 및 모바일 기기의 화면 미러링 방법
CN113050841A (zh) * 2019-12-26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多窗口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CN113741840A (zh) * 2020-09-10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窗口投屏场景下的应用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DE102020213756B4 (de) * 2020-11-02 2023-05-04 BSH Hausgeräte GmbH Kopplung eines Haushaltsgeräts mit einem Mobilgerät
DE102020213755B4 (de) * 2020-11-02 2023-05-04 BSH Hausgeräte GmbH Kopplung eines Haushaltsgeräts mit einem Mobilgerät
US11749065B2 (en) 2021-02-25 2023-09-05 Steven Joseph Brody Three-card monte variant with secondary symbols
US11726801B2 (en) 2021-04-05 2023-08-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ement of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historical configuration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6890A1 (ko) * 2010-10-06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7450B (zh) * 2008-05-20 2015-05-13 思杰系统有限公司 由移动计算装置使用外部显示装置的方法和系统
EP2131271A1 (en) * 2008-06-04 2009-12-09 NEC Corporation Method for enabling a mobile user equipment to drag and drop data objects between distributed applications
US20090307679A1 (en) 2008-06-10 2009-12-10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a host device, a method of processing signal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and a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KR101650733B1 (ko) * 2009-10-13 201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제어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영상시스템 제어방법
US20110125610A1 (en) * 2009-11-20 2011-05-26 Boku, Inc.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e the Initiation of Transactions via Mobile Devices
KR20110069526A (ko) * 2009-12-17 201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51134B1 (ko) * 2010-06-24 2016-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KR101717584B1 (ko) * 2010-08-14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US9159298B2 (en) * 2010-09-08 2015-10-1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ents sharing method for terminal
KR101772076B1 (ko) * 2010-09-08 201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356368B1 (ko) * 2012-02-24 2014-01-29 주식회사 팬택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952682B1 (ko) * 2012-04-23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81170B2 (en) * 2012-04-30 2014-11-04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for simulating screen sharing for multiple applications running concurrently on a mobile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6890A1 (ko) * 2010-10-06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98355A1 (en) 2014-10-02
US9311167B2 (en) 2016-04-12
EP2787434A1 (en) 2014-10-08
EP2787434B1 (en) 2024-01-17
CN104102484B (zh) 2020-11-10
CN104102484A (zh) 2014-10-15
KR20140119475A (ko) 2014-10-10
AU2014201856B2 (en) 2019-08-15
AU2014201856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049B1 (ko)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US11809693B2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052977B1 (ko) 다중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94057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isplay objects
CN102298490B (zh) 移动终端和在其中控制组操作的方法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CN103677711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US20140055398A1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KR20100087834A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403175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input
KR20120020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298554A (zh) 管理多任务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KR102098815B1 (ko)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을 위한 전자 장치
US20160109999A1 (en) Providing method for inputting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138618A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EP2793122A2 (en)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40258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wer saving mode of terminal
KR20230080809A (ko) 날씨정보 제공 서비스를 전자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