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323B1 -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323B1
KR101113323B1 KR1020100010733A KR20100010733A KR101113323B1 KR 101113323 B1 KR101113323 B1 KR 101113323B1 KR 1020100010733 A KR1020100010733 A KR 1020100010733A KR 20100010733 A KR20100010733 A KR 20100010733A KR 101113323 B1 KR101113323 B1 KR 10111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ize
displayed
specific
me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083A (ko
Inventor
유현중
임형우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10001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3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뉴별 사용정보의 변경된 정도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and Terminal using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메뉴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화면상의 메뉴 표시를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단말기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 요구의 증대에 따라, 단말기에는 더욱 많은 기능들이 탑재되고, 이러한 많은 기능들을 단말기 화면에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메뉴로서 표시하고 있다.
종래의 단말기에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많은 메뉴 중에는, 사용자마다 많이 사용하는 메뉴도 있고 거의 사용하지 않는 메뉴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단말기는 사용자의 메뉴별 사용 이력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메뉴 환경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켜주지 못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단말기에서는 어떠한 사용자에게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메뉴까지 모두 단말기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메뉴 인터페이스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단말기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나 콘텐츠라고 하더라도,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이거나 하위 메뉴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여러 단계를 거쳐서 이용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표시 방식과 기능을 달리하여 표시해주어,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다른 메뉴들에 비해 사용자의 접근이나 이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표시 방식을 달리하여 표시해주어,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밀리어 표시되지 않게 해줌으로써, 간단하게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먼저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이거나 하위 메뉴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이더라도,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나 콘텐츠는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화면상에서 편리하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메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계층적으로 연계시켜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메뉴별 사용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정보 관리부; 및 상기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의 크기를 조절하는 메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기 크기 값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크기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를 일정 크기 값만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메뉴별 사용정보의 변경된 정도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일정 크기만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메뉴별 사용정보의 변경된 정도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의 표시 방식이나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표시 방식과 기능을 달리하여 표시해주어,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다른 메뉴들에 비해 사용자의 접근이나 이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표시 방식을 달리하여 표시해주어,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밀리어 표시되지 않게 해줌으로써, 간단하게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먼저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이거나 하위 메뉴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이더라도,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나 콘텐츠는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화면상에서 편리하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메뉴 관리 예시도,
도 3은 메뉴별 사용정보를 토대로 메뉴별로 점수와 순위를 부여하는 예시도,
도 4는 메뉴의 크기의 단계별 조절에 대한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메뉴의 크기가 조절되는 개념도,
도 6은 메뉴의 표시 방식의 단계별 변경에 대한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메뉴의 크기 및 표시 방식이 3개의 단계로 조절되고 변경되는 단말기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 1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과, 메뉴의 선택에 따른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2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과, 콘텐츠의 선택에 따른 해당 플레이어의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 3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과, 콘텐츠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의 선택에 따른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 3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과, 콘텐츠의 타이틀의 선택에 따른 해당 플레이어의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장치(1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메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계층적으로 연계시켜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110)와, 복수의 메뉴에 대한 메뉴별 사용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정보 관리부(120)와,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메뉴 중에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의 크기를 조절하는 메뉴 표시부(13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메뉴 표시부(130)가 조절하는 메뉴의 크기는, 메뉴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메뉴의 크기의 단위는, 일 예로서, "칸"이라는 개념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로 드는 단말기 화면은, 메뉴가 표시되고 눈에 보이는 기본 화면과,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기본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메뉴가 가상으로 표시되는 화면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기본 화면은, 8칸의 크기를 갖고, 1칸은 가장 작은 크기의 메뉴 한 개가 차지하여 표시될 수 있는 크기로서, 8칸의 기본 화면에는 가장 작은 크기의 메뉴 8개가 표시될 수 있다. 가장 작은 크기의 메뉴가 사용빈도가 높아지면, 그 크기가 1칸보다 많은 칸을 차지하도록 성장하여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뉴 관리부(110)는, 복수의 메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동일한 카테고리로 분류된 메뉴를 계층적으로 연계시켜 관리하는데, 이렇게 관리되는 복수의 메뉴를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메뉴 관리부(110)에서 관리되는 27개의 메뉴를 8개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메뉴들을 다시 계층적으로 연계시킨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메뉴 1, 메뉴 2, 메뉴 3, 메뉴 4, 메뉴 5, 메뉴 6, 메뉴 7 및 메뉴 8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인 거로 가정한다. 또한 이러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들은 각 카테고리의 최상위 메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최상위 메뉴와 연계된 메뉴가 각 최상위 메뉴의 하위 메뉴가 된다. 또한 하위 메뉴끼리도 계층적으로 연계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메뉴를 카테고리별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110)는, 관리하고 있는 복수의 메뉴를 중요도 레벨에 따라 다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뉴 관리부(110)는, 복수의 메뉴를 복수의 중요도 레벨(예: 상/중/하, 또는 1,2,...,N 등급 등)중 하나의 중요도 레벨에 대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도 레벨은, 메뉴별 사용정보(예: 선택횟수, 실행횟수 및 사용시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중요도 레벨은 도 3에서 확인해볼 수 있는데, 도 3의 예시를 참조하면, 각 카테고리의 최상위 메뉴 중, 메뉴 1, 메뉴 2, 메뉴 3 및 메뉴 4를 상의 중요도 레벨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각 카테고리의 최상위 메뉴 중, 메뉴 5, 메뉴 6, 메뉴 7 및 메뉴 8을 하의 중요도 레벨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메뉴별 중요도 레벨은, 일 예로서, 메뉴별 사용정보에 따라 특정 정보(예: 메뉴별 점수)를 부여할 때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사용정보 관리부(120)는, 메뉴 관리부(11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복수의 메뉴에 대하여, 메뉴별로 선택횟수, 실행횟수 및 사용시간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메뉴별 사용정보"로서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는, 사용자가 메뉴를 사용한 이력 정보의 의미가 있다.
전술한 사용정보 관리부(120)는,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를 토대로, 메뉴별 크기나 표시 방식이나 기능 등을 달리하기 위하여 메뉴별로 특정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를 토대로, 메뉴별 크기나 표시 방식이나 기능 등을 달리하기 위하여 메뉴별로 부여되는 특정 정보는, 상황과 메뉴에 따라 다르게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그 일 예로서, 메뉴별 점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메뉴별 점수를 부여할 때, 메뉴별 사용정보 이외에도, 메뉴별 중요도 레벨도 함께 고려하여, 메뉴별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정보 관리부(120)는 메뉴별로 부여한 점수에 따라 메뉴별로 순위를 매길 수도 있다. 만약,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예: 복수의 메뉴 중 최상위 메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등)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면, 사용정보 관리부(120)는, 변경된 사용정보에 따라 특정 메뉴에 기 부여된 특정 정보(예: 점수)를 일정 값(예: 일정 점수)만큼 변경하고, 그에 따라 메뉴별 순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정보 관리부(120)에 의해, 메뉴별 사용정보와 중요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메뉴별로 점수가 부여되면, 부여한 점수에 근거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 또는 기능 등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뉴에 부여한 점수에 따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 또는 기능 등에 대한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단계에 맞는 크기나 표시 방식으로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메뉴에 부여한 점수에 따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 등에 대한 단계가 3가지 단계(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결정되어, 결정된 단계에 맞는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으로 메뉴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의 단계를 3가지 단계(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보다 적게 또는 많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 등을 단계별로 변경하기 위하여, 각 메뉴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그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8개의 메뉴(메뉴 1,메뉴 2, ..., 메뉴 8) 중에서, 메뉴 1, 메뉴 2, 메뉴 3 및 메뉴 4는 상의 중요도 레벨로 나뉘고, 메뉴 5, 메뉴 6, 메뉴 7 및 메뉴 8은 하의 중요도 레벨로 나뉘어 관리된다.
도 3에서는, 해당 메뉴의 사용정보(예: 사용시간, 실행횟수, 선택횟수 등)에 따라 해당 메뉴에 부여되는 점수는, +1, +0.8, +0.6, +0.4, +0.2, 0, -0.5 및 -1.0 중 하나인 거로 가정한다. 또한, 점수가 3점이 될 때마다 1단계씩 올린다(제 1 단계 -> 제 2 단계, 제 2 단계 -> 제 3 단계). 하의 중요도 레벨에 해당하는 메뉴(메뉴 5, 메뉴 6, 메뉴 7 및 메뉴 8)의 경우, 점수와 관계없이 사용되지 않았을 경우 1 단계씩 축소한다. 6번의 턴(Turn)이 지나서 순위에 대한 변경이 없을 경우, 점수 부여 없이 순위를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 또는 기능 등을 변경시키기 위한 기초 정보가 되는 메뉴별 사용정보로부터 특정 정보, 일 예로서, 메뉴별 점수를 부여하는데, 최초에 각 메뉴별 사용정보가 없는 경우(즉, 0 턴(Turn)의 경우), 각 메뉴에 1.0 점을 모두 동일하게 부여하고 모두 1위의 순위를 매긴다.
이후, 8개의 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정보가 처음으로 수집되면(즉, 1 턴(Turn)의 경우), 수집된 각 메뉴별 사용정보에 따라 8개의 메뉴 각각에 대하여 점수를 다시 부여한다. 도 3에서는, 이렇게 다시 부여된 각 메뉴의 점수는, +1, +0.8, +0.6, +0.4, +0.2, 0, -0.5 및 -1.0이 되고, 이렇게 부여된 각 메뉴의 점수에 따라 각 메뉴의 순위가 매겨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6 턴(Turn) 까지 각 메뉴에 점수를 부여하고 순위를 매긴다. 3점이 되는 메뉴는 크기나 표시 방식 등의 단계를 1단계씩 올리기로 가정하기 때문에, 메뉴 1은 3 턴(Turn)에서 3.0점이 되어 1 단계 상승하여 제 1 단계에서 제 2 단계로 올라가고, 다시 6 턴(Turn)에서 6.0점이 되어 1 단계 상승하여 제 2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다시 올라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6 턴(Turn) 이후, 메뉴 2 및 메뉴 3 은 제 2 단계가 되고, 나머지 메뉴들은 제 1 단계로 유지된다.
전술한 방식에 따른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 등에 대한 업데이트(즉, 단계 조정)는, 기 정의된 메뉴 업데이트 주기(예: 24시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메뉴 표시부(130)는, 기정의된 메뉴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뉴 업데이트 주기(예: 24시간)에 따른 메뉴 업데이트(즉, 메뉴의 크기나 표시 방식의 변경)를 위해, 메뉴 업데이트 주기 동안, 한 번 이상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따른 점수 부여와 순위 매김을 할 수 잇다. 이를 턴(Turn)이라고 하는데, 만약, 메뉴 업데이트 주기가 24시간이고, 6번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따른 점수 부여와 순위 매김을 한다면, 6차례의 턴(Turn)은 4시간(=24시간/6)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정보 관리부(120)에 의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어 점수가 변경되어 부여되면, 이에 따라, 메뉴 표시부(130)는, 특정 메뉴의 변경된 일정 점수에 기초하여, 특정 메뉴의 크기(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크기, 즉 단말기 화면에서 특정 메뉴가 표시되는 공간의 크기를 의미함)를 단계별로 일정 크기만큼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다.
메뉴의 크기의 단계별 조절에 대한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단계에 해당하는 메뉴의 크기는, 1 칸에 해당하는 크기이고, 제 2 단계에 해당하는 메뉴의 크기는 3 칸에 해당하는 크기이며, 제 3 단계에 해당하는 5 칸에 해당하는 크기가 된다. 즉, 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에서의 메뉴의 크기 비율은 1:3:5가 된다. 여기서, '칸'이란 메뉴의 크기 단위로서, 단말기 화면의 크기나 해상도 등의 따라 1 칸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별 메뉴의 크기를 갖도록 구현되어, 특정 메뉴(도 2에서의 메뉴 1)의 사용정보(예: 사용시간, 실행횟수, 선택횟수 등)에 기초하여 점수의 획득 또는 상실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특정 메뉴의 크기가 성장 또는 축소하는 예시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최초에는 8개의 메뉴(메뉴 1, 메뉴 2, ..., 메뉴 8)가 모두 제 1 단계로 정의되어 동일한 크기(즉, 1칸)로 표시된다.
이후, 메뉴의 업데이트 주기(예: 24시간) 동안, 사용자가 메뉴 1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이에 따라, 메뉴 1의 사용정보가 변경되어 메뉴 1의 점수가 변경되어 부여됨에 따라 메뉴 1의 단계가 1 단계 상승하여 제 2 단계로 된다. 이에 따라, 메뉴 1의 크기가 제 2 단계에 해당하는 3 칸의 크기로 성장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단말기 화면에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는 기본 화면이 8 칸인 거로 가정하면, 메뉴 1의 크기가 3칸으로 성장함에 따라, 메뉴 7 및 메뉴 8은, 개념적으로, 아래로 밀려 내려가 단말기 화면에서 벗어나게 된다. 사용자는, 상하 버튼이나 상하 플리킹(Flicking) 터치 이벤트를 이용하여, 단말기 화면의 기본 화면에서 벗어난 메뉴 7 및 메뉴 8을 기본 화면으로 올려서 볼 수 있다.
이후, 메뉴의 다음 업데이트 주기(예: 24시간) 동안, 사용자가 메뉴 1을 다시 많이 사용하게 되면, 이에 따라, 메뉴 1의 사용정보가 변경되어 메뉴 1의 점수가 변경되어 부여됨에 따라 메뉴 1의 단계가 2 단계 상승하여 제 3 단계로 된다. 이에 따라, 메뉴 1의 크기가 제 3 단계에 해당하는 5 칸의 크기로 성장한다. 도 5에서와 같이, 단말기 화면에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는 기본 화면이 8 칸인 거로 가정하면, 메뉴 1의 크기가 5칸으로 성장함에 따라, 메뉴 5, 메뉴 6, 메뉴 7 및 메뉴 8은, 제 1 단계의 단말기 화면에 비해, 개념적으로, 아래로 밀려 내려가 단말기 화면에서 벗어나게 된다. 사용자는, 상하 버튼이나 상하 플리킹(Flicking) 터치 이벤트를 이용하여, 단말기 화면의 기본 화면에서 벗어난 메뉴 5, 메뉴 6, 메뉴 7 및 메뉴 8을 기본 화면으로 올려서 볼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화면은, 메뉴가 육안으로 보이도록 표시되는 "기본 화면"과, 물리적으로는 표시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상하 버튼이나 상하 플리킹(Flicking) 터치 이벤트를 이용하여 기본 화면으로 올리거나 내려서 볼 수 있는 "가상 화면"이 있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가 표시되는 "기본 화면" 영역은 8칸의 크기를 갖고, 단말기 화면상에는 육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기본 화면 영역으로 올려서 볼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되는 "가상 화면" 영역은, 8칸의 최대 가용 범위(즉, 8개의 제 1 단계의 메뉴의 크기에 해당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본 화면 영역과 가상 화면 영역을 고려하면, 메뉴 전체 확장 영역은, 일 예로서, 16칸이 된다. 즉, 메뉴 표시부(130)는, 메뉴 크기가 확장되거나 축소되지 않은 메뉴의 기본 크기(예: 1칸)를 기준으로, 메뉴 전체 확장 영역을 일정한 크기(예: 16칸)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만약, 메뉴 1이 제 1 단계에 있을 때, 메뉴 업데이트 주기 동안, 메뉴 1에 대한 사용이 거의 없는 경우, 제 1 단계를 제 0 단계(메뉴를 단말기 화면에서 미표시하는 단계)로 변경하여, 단말기 화면에서 메뉴 1이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뉴 표시부(130)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변경하여 조절하고, 동시에,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이나 기능 등을 단계별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이란, 특정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때, 특정 메뉴 상에 표출가능한 아이템의 종류와, 아이템의 표출 방식(예: 형상, 크기, 색상 등)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정 메뉴 상에 표출 가능한 아이템은,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이나 아이콘, 또는 특정 메뉴를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예: 음악, 영화, 이미지, 팟캐스트(Podcast) 등)의 커버플로우(Coverflow)나 썸네일 이미지, 또는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 등을 포함하다.
이와 같이,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어, 특정 메뉴의 점수가 변경되어 부여되고 그에 따라, 특정 메뉴의 크기가 제 1 단계에서 제 2 단계를 거쳐 제 3 단계로 변경됨에 따라,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이 단계별로 변경되는 예시를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적인 테이블을 참조하면, 특정 메뉴가 제 1 단계에 해당할 때는, 단말기 화면(즉, 기본 화면)에서 특정 메뉴가 차지하는 크기는 1칸이 된다. 이러한 1칸의 크기를 갖는 특정 메뉴에 대한 표시 방식은 다음과 같다.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출되지 않고,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타이틀)가 1칸의 크기를 차지하여 표출되고,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와 관련된 콘텐츠(최근에 사용한 콘텐츠 리스트(Recent Media) 또는 최다 사용 빈도를 갖는 콘텐츠 리스트 등)가 표출되지 않으며,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와 연계된 하위 메뉴가 표출되지 않는다.
도 6의 예시적인 테이블을 참조하면, 특정 메뉴가 제 1 단계에서 제 2 단계로 변경되면, 단말기 화면(즉, 기본 화면)에서 특정 메뉴가 차지하는 크기는 3칸이 된다. 이러한 3칸의 크기를 갖는 특정 메뉴에 대한 표시 방식은 다음과 같다.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출되고,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타이틀)가 1칸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표출된다. 또한,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와 관련된 콘텐츠(최근에 사용한 콘텐츠 리스트(Recent Media) 또는 최다 사용 빈도를 갖는 콘텐츠 리스트 등)가 표출되기 시작한다. 콘텐츠의 표출 방식은 타이틀 뷰 방식을 해당 콘텐츠가 표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하위 메뉴가 표출되기 시작한다.
도 6의 예시적인 테이블을 참조하면, 특정 메뉴가 제 2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변경되면, 단말기 화면(즉, 기본 화면)에서 특정 메뉴가 차지하는 크기는 5칸이 된다. 이러한 5칸의 크기를 갖는 특정 메뉴에 대한 표시 방식은 다음과 같다. 특정 메뉴 상에 제 2 단계에서 표출된 아이콘의 크기나 색상, 형태 등이 변경되어 완성된다. 또한,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타이틀)가 2칸의 크기를 차지하여 표출된다. 또한,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와 관련되어 표출된 콘텐츠(최근에 사용한 콘텐츠 리스트(Recent Media) 또는 최다 사용 빈도를 갖는 콘텐츠 리스트 등)가 제 2 단계와는 다른 표출 방식으로 표출된다. 예를 들어, 제 2 단계에서는 타이블 뷰 방식으로 표출되던 콘텐츠가 제 3 단계에서는 커버플로우(또는 썸네일 이미지) 형식으로 표출된다. 또한, 특정 메뉴 상에 표출된 하나 이상의 하위 메뉴의 표출 방식(크기, 색상, 형태, 개수 등)이 변경된다.
도 6의 예시적이 테이블에 정의된 특정 메뉴의 크기 및 표시 방식에 대한 단계별 변경에 따른 각 단계별 단말기 화면은 도 7에 예시된다.
아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특정 메뉴(도 7에서는, 메뉴 1)의 표시 방식의 단계별 변경을 특정 메뉴 상에 표출가능한 아이템(아이콘, 텍스트, 콘텐츠, 하위 메뉴 등)별로 다시 설명한다.
메뉴 표시부(130)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변경하여 조절하고, 동시에, 특정 메뉴 상에 표출되는 아이콘의 표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함으로써,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즉, 제 1 단계->제 2 단계-> 제 3 단계), 특정 메뉴는, 특정 메뉴 상에 아이콘이 미표출되는 단계(제 1 단계)와, 특정 메뉴 상에 아이콘(722)이 생성되어 표출되는 단계(제 2 단계)와, 특정 메뉴 상에 표시된 아이콘(722)의 형상, 크기 및 색상 등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어 변경된 아이콘(723)이 표출되는 단계(제 3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표시부(130)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변경하여 조절하고, 동시에, 특정 메뉴 상에 표출되는 텍스트의 표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함으로써,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 특정 메뉴는,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711)가 일정 크기(예: 1칸)로 표출되는 단계(제 1 단계)와, 특정 메뉴 상에 표출된 텍스트(711 또는 712)의 글꼴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어 변경된 텍스트(712 또는 713)가 표출되는 단계(제 2 단계 또는 제 3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표시부(130)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변경하여 조절하고, 동시에, 특정 메뉴 상에 표출되는 콘텐츠의 표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함으로써,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 특정 메뉴는,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에서 이용 가능한 콘텐츠가 미표출되는 단계(제 1 단계)와, 특정 메뉴 상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732)가 타이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단계(제 2 단계)와, 특정 메뉴 상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 일부 콘텐츠(733)가 커버 플로우 형식이나 썸네일 이미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단계(제 3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블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는, 메뉴별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최근 사용 순 또는 최다 사용 빈도순에 따라 일정 개수만큼 선별된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메뉴 상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 일부 콘텐츠가 커버 플로우 형식이나 썸네일 이미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단계에서, 선별된 일부 콘텐츠가 커버 플로우 형식이나 썸네일 이미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영역이 넓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 일부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는,특정 메뉴 상에 표출되지 않다가, 방향 큐(Que)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메뉴 상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커버 플로우 형식이나 썸네일 이미지 뷰 형식으로 표출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표시부(130)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변경하여 조절하고, 동시에, 특정 메뉴 상에 표출되는 특정 메뉴의 하위메뉴의 표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함으로써,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 특정 메뉴는, 특정 메뉴 상에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가 미표출되는 단계(제 1 단계)와, 특정 메뉴 상에 하나 이상의 하위 메뉴가 표출되는 단계(제 2 단계)와, 특정 메뉴 상에 표시된 하위 메뉴의 표시 방식(이는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의 변경도 동일함)이나 개수가 변경되어 표출되는 단계(제 3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하위 메뉴는, 특정 메뉴와 계층적으로 연계된 하위 메뉴 중에서,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선별된 하나 이상의 메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메뉴 표시 장치(100)에 포함된 메뉴 표시부(130)는,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 화면에 소정의 개수만큼의 메뉴(예: 카테고리별로 분류되고 계층적으로 연계된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최상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메뉴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일 수 있음)를 표시하되, 이렇게 메뉴를 표시함에 있어서, 표시되는 메뉴의 개수 또는 표시되는 정렬 순서를 사용자 선택, 메뉴별 사용정보, 메뉴의 크기 등에 따라서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메뉴 표시 장치(100)에 포함된 메뉴 표시부(130)는,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특정 메뉴의 크기가 일정 크기만큼 커지게 되면, 특정 메뉴의 커진 크기만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다른 메뉴가 아래 또는 옆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즉, 메뉴 표시부(130)는, 특정 메뉴의 커진 크기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즉, 단말기 화면 중 메뉴가 표시되는 기본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특정 메뉴의 크기가 일정 크기(예: 2칸)만큼 커짐에 따라, 즉, 특정 메뉴가 제 1 단계에서 제 2 단계로 변경되면, 특정 메뉴가 차지하는 크기가 1칸에서 3칸으로 2칸 증가하고, 특정 메뉴가 제 2 단계에서 제 3 단계로 변경되면, 특정 메뉴가 차지하는 크기가 3칸에서 5칸으로 2칸 증가하게 됨에 따라, 단말기 화면(즉, 메뉴가 표시되는 기본 화면)에 밀려나가게 되는 메뉴, 즉 단말기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을 메뉴를 표시 순서에 따라 가장 외곽에 있는 하나 이상의 메뉴로 정하거나,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가장 사용빈도가 낮은 하나 이상의 메뉴로 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메뉴의 크기가 일정 크기(예: 2칸)만큼 커짐에 따라, 메뉴 표시부(130)는, 단말기 화면에서 밀려나가게 되어 표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메뉴, 즉, 단말기 화면에서 표시되지 않게 된 메뉴를 스크롤(Scroll) 방식, 상하버튼 입력 방식 및 터치 이벤트(예: 플릭킹(Flicking) 이벤트)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단말기 화면(즉, 메뉴가 표시되는 기본 화면)에 다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각 단계별 단말기 화면은, 메뉴 표시 장치(100) 또는 이를 포함한 단말기가 아이들(Idle) 상태일 때의 단말기 화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와 같은 제 1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과, 메뉴의 선택에 따른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터치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함)에서, 사용자가 메뉴 1을 터치(또는 탭(Tap))하여 선택하게 되면, 메뉴 표시 장치(100) 또는 이를 포함한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에서 벗어나 메뉴 1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도 8의 오른쪽 단말기 화면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백(Back) 또는 홈(Home) 버튼의 입력을 통해,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메뉴가 표시된 아이들 상태의 단말기 화면(도 8의 왼쪽)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서와 같은 제 2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과, 콘텐츠의 선택에 따른 해당 플레이어의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터치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함)에 메뉴 1의 크기가 제 2 단계에 해당하는 3칸의 크기로 성장하고, 메뉴 1 상에 최근 미디어(Recent Media)로서 콘텐츠 1, 콘텐츠 2 및 콘텐츠 3이 타이틀 뷰 방식으로 표출되어 메뉴 1의 표시 방식이 변경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콘텐츠 2의 텍스트(타이틀)를 터치(또는 탭(Tap))하여 선택하게 되면, 메뉴 표시 장치(100) 또는 이를 포함한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에서 벗어나 콘텐츠 2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플레이어(애플리케이션)를 실행시켜 도 9의 오른쪽 단말기 화면과 같은 플레이어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백(Back) 또는 홈(Home) 버튼의 입력을 통해, 이러한 플레이어 실행화면에서 메뉴가 표시된 아이들 상태의 단말기 화면(도 9의 왼쪽)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서와 같은 제 3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과, 콘텐츠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의 선택에 따른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3 단계의 메뉴 표시에 따른 단말기 화면(터치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함)에 메뉴 1의 크기가 제 2 단계에서의 3칸 보다 더욱 커져서 5칸이 되고, 메뉴 1 상에 최근 미디어(Recent Media)로서 콘텐츠 1, 콘텐츠 2 및 콘텐츠 3의 표출 방식이 타이틀 뷰 표출 방식에서 커버플로우(Coverflow) 형식 또는 썸네일 이미지 형식으로 변경되고, 각 콘텐츠의 커버플로우나 썸네일 이미지 중에서, 콘텐츠 2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메뉴 1의 표시 영역 중간에 표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콘텐츠 2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 부분을 터치(또는 탭(Tap))하여 선택하게 되면, 메뉴 표시 장치(100) 또는 이를 포함한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면서, 콘텐츠 2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 부분에서 콘텐츠 2가 그대로 실행된다. 이와 같이 아이들 상태에서, 즉, 콘텐츠 2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출된 영역에서 그대로 콘텐츠 2가 실행되는 화면이 도 10의 오른쪽 화면이다.
도 10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 2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 부분을 터치(또는 탭(Tap))하여 선택하게 되면, 아이들 상태에서 그대로 콘텐츠 2가 실행(재생, 일시정지, 중지 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1과 같이 아이들 상태에서 벗어나 플레이어 실행화면에서, 콘텐츠 2를 실행하기 위한 플레이어(애플리케이션)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 콘텐츠 2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 표출 부분 하단에 표출된 '타이틀'은, 메뉴 1의 메뉴 타이틀(텍스트)이거나, 콘텐츠 2에 대한 콘텐츠 타이틀(텍스트) 또는 도 9에서와 같이 메뉴 1 상에 표출된 콘텐츠 리스트(최근 미디어)에 대한 타이틀일 수도 있다. 만약, 콘텐츠 2의 커버플로우 또는 썸네일 이미지 표출 부분 하단에 표출된 '타이틀'이 콘텐츠 2에 대한 콘텐츠 타이틀(텍스트)이거나 콘텐츠 리스트(최근 미디어)에 대한 타이틀인 경우, 콘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상에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장치(100)는, 버튼 방식 및 터치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단말기 화면(입력 수단이 터치 이벤트에 따른 입력 수단인 경우, 터치 스크린일 수 있음)을 구비하고, 버튼 및 터치스크린 중 하나 이상의 입력 수단과, 메뉴, 아이콘, 텍스트, 콘텐츠 등의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일 예로서, 멀티미디어 재생기(예: PMP, MP3 플레이어 등), 휴대용 컴퓨터(예: PDA 등), 휴대용 통신 단말기(휴대폰), 스마트 폰(PDA 폰) 등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장치(100)가 제공하는 메뉴 표시 방법은, 초기 크기 값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크기 조절 정보에 따라 특정 메뉴의 크기를 일정 크기 값만큼 변경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크기 조절 정보는, 특정 메뉴에 대하여 수집되어 통계처리된 선택횟수, 실행횟수 및 사용시간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이거나, 이러한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이거나, 이러한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 또는 이와 대응되는 점수에 대응시킨 변경 크기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별 사용정보의 변경된 정도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일정 크기만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조절됨에 따라, 메뉴의 표시 방식을 단계별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의 표시 방식이란,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때, 메뉴 상에 표출가능한 아이템의 종류와, 아이템의 표출 방식(예: 형상, 크기, 색상 등) 등에 관한 방식을 의미한다. 위에서 언급한 메뉴 상에 표출 가능한 아이템은,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이나 아이콘, 또는 메뉴를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예: 음악, 영화, 이미지, 팟캐스트(Podcast) 등)의 커버플로우(Coverflow)나 썸네일 이미지, 또는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별 사용정보의 변경된 정도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의 표시 방식" 이나 "메뉴의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의 표시 방식이란,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때, 메뉴 상에 표출가능한 아이템의 종류와, 아이템의 표출 방식(예: 형상, 크기, 색상 등) 등에 관한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메뉴의 표시 방식의 변경은, 메뉴 상에 표시가능한 아이템의 표시 여부를 변경하거나, 메뉴 상에 표시된 아이템의 개수, 크기, 형태 및 색상 등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메뉴 상에 표출 가능한 아이템은,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뉴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메뉴를 통해 이용 가능한 콘텐츠(예: 음악, 영화, 이미지, 팟캐스트(Podcast) 등)의 커버플로우(Coverflow)나 썸네일 이미지, 또는 메뉴의 하위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메뉴별 사용정보의 변경된 정도에 기초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일정 크기만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별로 차별화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표시 방식을 달리하여 표시해주어,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다른 메뉴들에 비해 사용자의 접근이나 이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메뉴별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는,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또는 표시 방식을 달리하여 표시해주어,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밀리어 표시되지 않게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빈번히 사용하는 정보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먼저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이거나 하위 메뉴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이더라도, 사용빈도가 높은 메뉴나 콘텐츠는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 화면상에서 편리하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복수의 메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계층적으로 연계시켜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메뉴별 선택횟수, 실행횟수와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정보와 상기 사용정보에 근거한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한 메뉴별 중요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정보와 중요도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별 점수를 부여하는 사용정보 관리부; 및
    상기 부여된 메뉴별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중에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의 크기를 조절하는 메뉴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정보와 중요도 정보를 토대로 메뉴별로 특정 정보를 부여하되,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와 중요도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정보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에 기 부여된 특정 정보를 일정 값만큼 변경하고,
    상기 메뉴 표시부는, 상기 변경된 일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를 단계별로 일정 크기만큼 크게 하거나 작게 하며, 상기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상기 특정 메뉴의 표시 방식은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 변경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 내에 표시되는 텍스트, 아이콘, 콘텐츠의 커버플로우(Coverflow), 썸네일 이미지, 하위 메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단계별로 크기 변경하는 것을 포함함-이나 기능을 단계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는,
    상기 특정 메뉴 상에 상기 아이콘이 생성되어 표출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의 형상, 크기 및 색상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어 표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는,
    상기 특정 메뉴 상에 상기 특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일정 크기로 표출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의 글꼴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어 표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는,
    상기 특정 메뉴 상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타이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메뉴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 일부 콘텐츠가 커버 플로우 형식이나 썸네일 이미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되,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는, 최근 사용 순 또는 최다 사용 빈도순에 따라 일정 개수만큼 선별된 콘텐츠이고, 음악, 영화, 이미지 및 팟캐스트(Podcas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 일부 콘텐츠가 커버 플로우 형식이나 썸네일 이미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 상기 일부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콘텐츠는 커버 플로우 형식이나 썸네일 이미지 뷰 형식으로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가 단계별로 커짐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는,
    상기 특정 메뉴 상에 상기 하위 메뉴가 표출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하위 메뉴의 표시 방식이나 개수가 변경되어 표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되,
    상기 하위 메뉴는,
    상기 특정 메뉴와 계층적으로 연계된 하위 메뉴 중에서, 상기 특정 메뉴에 대한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선별된 하나 이상의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부는,
    상기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의 개수 또는 정렬 순서를 조절하되,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되고 계층적으로 연계된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최상위에 있는 하나 이상의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부는,
    상기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특정 메뉴의 크기가 일정 크기만큼 커지게 되면,
    상기 특정 메뉴의 커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개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부는,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가 상기 일정 크기만큼 커짐에 따라, 상기 단말기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을 메뉴를 표시 순서에 따라 가장 외곽에 있는 하나 이상의 메뉴로 정하거나 수집된 메뉴별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부는,
    상기 특정 메뉴의 크기가 상기 일정 크기만큼 커짐에 따라, 상기 단말기 화면에서 표시되지 않게 된 메뉴를 스크롤 방식, 상하버튼 입력 방식 및 터치 이벤트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부는,
    기정의된 메뉴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상기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 장치는,
    버튼 방식 및 터치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말기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재생기,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표시부는,
    메뉴의 기본 크기를 기준으로, 메뉴 전체 확장 영역을 일정한 크기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00010733A 2010-02-05 2010-02-05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11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33A KR101113323B1 (ko) 2010-02-05 2010-02-05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33A KR101113323B1 (ko) 2010-02-05 2010-02-05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83A KR20110091083A (ko) 2011-08-11
KR101113323B1 true KR101113323B1 (ko) 2012-02-24

Family

ID=4492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733A KR101113323B1 (ko) 2010-02-05 2010-02-05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42A1 (ko) * 2012-05-17 2013-11-21 Kwon O-Hyeong 사용자 중심의 메인 화면 아이콘 구성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35B1 (ko)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256752B1 (ko) * 2011-10-11 2013-04-19 두산동아 주식회사 터치 기능을 이용한 단계적 학습 내용 제공 장치 및 방법
US9769106B2 (en) * 2012-12-28 2017-09-19 Intel Corporation Displaying notifications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KR20150066876A (ko) 2013-12-09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600517B1 (ko) * 2015-06-09 2016-03-08 (주)페타즈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KR101727401B1 (ko) * 2015-09-25 2017-04-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KR102144342B1 (ko) * 2018-07-03 2020-08-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287A (ja) 2001-01-23 2002-07-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4178363A (ja) * 2002-11-28 2004-06-24 Sony Electronics Inc 端末装置
KR20080077798A (ko) * 2007-02-21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메뉴 표시 방법
WO2009050622A1 (en) 2007-10-18 2009-04-2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ffecting an arrangement of selectable i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287A (ja) 2001-01-23 2002-07-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4178363A (ja) * 2002-11-28 2004-06-24 Sony Electronics Inc 端末装置
KR20080077798A (ko) * 2007-02-21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메뉴 표시 방법
WO2009050622A1 (en) 2007-10-18 2009-04-2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ffecting an arrangement of selectable i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42A1 (ko) * 2012-05-17 2013-11-21 Kwon O-Hyeong 사용자 중심의 메인 화면 아이콘 구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83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323B1 (ko)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8600967B2 (en) Automatic organization of browsing histories
EP3221778B1 (en) Tab sweeping and grouping
JP4714220B2 (ja) メディアファイル管理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アプリケーション
EP3053009B1 (en) Emoji for text predictions
US8997018B2 (en) Presenting a menu
US10162482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US9335916B2 (en) Presenting and zooming a set of objects within a window
KR101363560B1 (ko)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CN101739207B (zh) 具有触摸屏的便携式终端和显示便携式终端中标签的方法
US201501432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 responsive multi-layered ordered set of elements
US20120204131A1 (en) Enhanced application launcher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CN103713847A (zh) 用户设备的系统栏的控制方法和用户设备
US9607054B2 (en) Displaying list of multiple contents
US201202661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level browsing
CN103399703A (zh) 用户设备的系统栏的控制方法和用户设备
CN104965630A (zh) 桌面应用程序图标布局的方法和系统
KR20140122662A (ko)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장치
EP28970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tiles in a user interface
EP2474895A2 (en) User interface for exploring media content
US201300611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3248957A (zh) 显示方法和电子设备
US108459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 display and interaction
JPH10269051A (ja) メニュー選択方式
US10257561B2 (en) Time-line based digital media post viewing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