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672A - 이뮤노 글로불린 a 분비 촉진제 - Google Patents

이뮤노 글로불린 a 분비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672A
KR20130037672A KR1020127025829A KR20127025829A KR20130037672A KR 20130037672 A KR20130037672 A KR 20130037672A KR 1020127025829 A KR1020127025829 A KR 1020127025829A KR 20127025829 A KR20127025829 A KR 20127025829A KR 20130037672 A KR20130037672 A KR 2013003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a
poppy
extract
iga antibody
se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123B1 (ko
Inventor
도모카즈 이시즈카
히로시 기요노
준 구니사와
게이시로 요시다
스스무 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3003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IgA 항체의 분비 촉진제의 상당수는 장내에 있어서의 IgA 항체 산생에 관한 것으로, 구강, 비강 및 기도 등의 호흡기계의 기관에 있어서의 IgA 분비 촉진 작용이나 감염 억제 작용에 관한 것은 드물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장내뿐만 아니라 구강이나 기도 등의 호흡기계 기관에서도 IgA 분비 촉진 작용을 갖는 의약 조성물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개양귀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IgA 분비 촉진제는, 장내에 있어서의 IgA 분비 촉진 효과뿐만 아니라, 구강이나 기도에 있어서도 IgA 분비 촉진 작용을 갖고, 그 때문에, 이것을 섭취함으로써 바이러스나 세균에 대한 감염을 억제하고, 또 알레르기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뮤노 글로불린 A 분비 촉진제{IMMUNOGLOBULIN A SECRETION PROMOTER}
본 발명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 예방 효과나 알레르기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IgA 분비 촉진제, 특히 상기도 (上氣道) 에서의 IgA 분비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기도, 소화관 등의 생체의 내측에서 외계와 접하는 면에서는, 외계로부터 생체 내로의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막 면역이라는 강력한 방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점막 표면에는, 타액선이나 점액선 등으로부터 끊임없이 점액이 분비되어, 물리적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의 침입을 방지함과 함께, 점액 중에 존재하는 항체, 항균 펩티드, 효소 등의 작용에 의해 생체를 외적 (外敵) 으로부터 방어하고 있다. 이 방어 시스템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이뮤노 글로불린 A (IgA) 항체로,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제거나 점막면에 대한 부착 방지 등의 작용을 가지고 있다 (비특허문헌 1).
IgA 항체와 감염증의 관계에 대해서는, 동물 실험에서 중이염의 원인균에 특이적인 IgA 항체를 증가시키면 원인균의 감염이 억제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또, 어떤 종류의 감기의 원인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IgA 항체를 인간의 비강 내에 투여하면, 그 바이러스의 감염이 억제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3).
또, IgA 항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으로부터 생체를 방어하는 역할을 갖는 것 외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외래 항원이 점막으로부터 생체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고도 생각된다 (비특허문헌 4).
이상과 같은 배경으로부터, IgA 항체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증 예방이나 알레르기의 예방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IgA 항체의 분비 촉진 작용이 있는 것으로서, 여러가지 락트산균이나 담자균 (특허문헌 1 ~ 4), 다당류나 올리고당류 (특허문헌 5 ~ 9, 비특허문헌 5) 가 개시되어 있지만, 대부분은 장내에 있어서의 IgA 항체 산생에 관한 것으로, 구강, 비강 및 기도 등의 호흡기계의 기관에 있어서의 IgA 분비 촉진 작용이나 감염 억제 작용에 관한 것은 드물다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0).
일본 특허 제2968374호 일본 특허 제38183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923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97133호 일본 특허 제41621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641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12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702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136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14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70993호
Brandtzaeg P.,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2003년, 293권, 1호, 3 ~ 15페이지, Role of secretoryantibodies in the defence against infections. Hotomi M. et al., Vaccine, 1998년, 16권, 20호, 1950 ~ 1956페이지, Specific mucosal immunity and enhanced nasopharyngeal clearance of nontypeable Haemophilus influenzae after intranasal immunization with outermembrane protein P6 and cholera toxin. Heikkinen T. et al.,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1998년, 17권, 5호, 367 ~ 372페이지, Intranasally administeredimmunoglobulin for the prevention of rhinitis in children. 이케자와 요시로, 저알레르기 식품의 개발, 씨엠씨 출판, 41 - 49페이지 Scholtens P.A. et al., Journal of Nutrition, 2008년, 138권, 6호, 1141 ~ 1147페이지, Fecal secretory immunoglobulin A is increased in healthy infantswho receive a formula with short-chain galacto-oligosaccharides and long-chainfructo-oligosaccharides.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장내뿐만 아니라 구강이나 기도에서도 IgA 분비 촉진 작용을 갖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개양귀비 추출물에 IgA 분비 촉진 작용이 있는 것을 알아내고, 그로써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개양귀비 추출물은 장내에 있어서의 IgA 분비 촉진 효과뿐만 아니라, 구강이나 기도에 있어서도 IgA 분비 촉진 작용을 갖고, 그 때문에, 이것을 섭취함으로써 바이러스나 세균에 대한 감염을 억제하고, 나아가 알레르기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IgA 분비 촉진 작용이 인정된 개양귀비 (학명 : Papaver rhoeas L.) 는 양귀비과의 식물로 별명을 우미인초라고 한다. 진정, 최면, 진통 작용 등이 있다고 여겨지며, 진해약이나 진정제로서 사용된다.
허브를 포함하는 면역 부활제에 관한 특허 (특허문헌 11) 에 허브의 일례로서 포피의 기재가 있지만, 발명의 구체성이 부족하고, IgA 에 관한 기재도 없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개양귀비 추출물은, 개양귀비의 꽃이나 잎·줄기, 바람직하게는 개양귀비의 꽃을, 물 또는 물과 친수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출의 방법이나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제로서는, 물 외에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나, 에테르,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클로로포름, 헥산 등의 유기 용제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안전성의 면에서 물, 에탄올 혹은 그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조건으로서는, 고온, 실온, 저온의 어느 온도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40 ~ 90 ℃ 에서 0.5 ~ 5 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추출물은 용액상인 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추가로 여과하여 추출 용제를 증류 제거한 후에 감압 건조나 동결 건조에 의해 분말상으로 한 것이나, 또는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추출물을 유기 용제 분획,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획 정제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추가로, 탈취, 탈색 등의 정제 처리를 가해도 된다.
개양귀비 추출물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지만, 음식물 또는 제제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환산하여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 9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양귀비 추출물의 섭취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경구 섭취, 설하 투여에 의한 섭취, 경비 투여에 의한 섭취, 피하나 혈관 내 등의 국소로의 직접 투여 등, 모든 공지된 방법에 의한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양귀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의약품, 의약부외품 또는 음식품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의약품의 경우, 경구제로서 투여된다. 경구제의 제형으로서는, 정제, 캡슐제, 산제, 시럽제, 드링크제 등을 들 수 있다. 의약부외품의 경우, 정제, 캡슐제, 드링크제 등의 제형으로 이용된다. 음식품의 경우, 드링크 등의 음료품, 캔디, 센베이, 쿠키 등의 식품 외, 담배나 추잉검 등의 기호품, 사료나 사료류, 또는 구세액, 치약 등의 화장품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어떠한 물품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의 경우,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담체, 추가로 필요에 따라 다른 치료를 위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완충제, 항산화제, 세균 억제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음식품에는, 식품 제조상 허용되는 기재 (基材), 담체, 부형제, 첨가제, 증량제, 착색제, 향료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개양귀비 추출물 이외의 성분에 관해서도,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없으며, 본 발명은 공지된 어떠한 성분도 임의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개양귀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품, 의약부외품 또는 음식품 등은, 각각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개양귀비 추출물을 공지된 어떠한 방법으로 첨가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양귀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인간뿐만이 아니라, 인간 이외의 동물 (이하, 비인간 동물이라고 약칭한다) 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비인간 동물로서는, 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등, 인간 이외의 동물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조금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수 추출물의 조제
개양귀비꽃 100 g 을 분쇄한 후, 시료의 중량에 대하여 10 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70 ℃ 에서 2 시간 추출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한 후, 추출액을 동결 건조시켜 열수 추출물 37.5 g 을 얻었다.
실시예 2
페이어판에서 유래한 임파구 세포를 사용한 IgA 항체 산생 촉진 작용의 인비트로 평가
마우스 (BALB/c 계, 암컷, 6 주령) 의 소장을 적출하고, 페이어판을 채취하여 2 % 소 태아 혈청 (FCS) 을 함유하는 RPMI1620 배지에 침지하였다. 가위로 페이어판을 재단하여, 셀 스트레이너 (BD Biosciences 사 제조, 구멍 직경 70 ㎛) 로 임파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 현탁액을 원심 분리하고, 상청을 흡인 제거한 후, complete medium 을 가하여 임파구 세포 현탁액의 세포 농도를 4 × 106 cells/㎖ 로 조정하였다. complete medium 에는 10 % FCS, 50 μM 2-메르캅토에탄올, 1 mM 피루브산나트륨, 100 U/㎖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RPMI1620 배지를 사용하였다. 96 구멍 플레이트의 각 웰에 임파구 세포 현탁액과 시료를 용해한 배양 배지 (시료는 종농도로 100 ppm 이 되도록 조정) 를 0.05 ㎖ 씩 첨가하여, 37 ℃, 5 % CO2 의 조건에서 1 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회수하여 원심 분리한 후, 상청 중의 총 IgA 항체량을 샌드위치 ELISA 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대조의 총 IgA 항체량을 1 로 하고, 시료를 첨가하여 배양했을 경우의 총 IgA 항체량을 상대치로 하여 산출하였다.
샌드위치 ELISA 법에 의한 총 IgA 항체량의 측정
상기 샌드위치 ELISA 법에 의한 측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시하였다.
1 μ/㎖ 의 항마우스 이뮤노 글로불린 항체 용액을 96 구멍 ELISA 플레이트에 100 ㎕ 씩 넣고, 4 ℃ 에서 하룻밤 반응시켜 항체를 플레이트에 흡착시켰다. 플레이트로부터 용액을 제거하고, 1 % bovine serum albumin (BSA) 을 함유하는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을 180 ㎕ 씩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인큐베이트 하여 목적 외 단백질의 비특이적인 흡착을 블로킹하였다. 0.05 % Tween 20 을 함유하는 PBS (PBST) 로 각 웰을 세정 후, 시료 용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 시간 인큐베이트 하였다. PBST 로 각 웰을 세정하고, 퍼옥시다아제 결합 항마우스 IgA 항체를 각 웰에 25 ng 씩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인큐베이트 한 후, 퍼옥시다아제 기질을 첨가하여 2 분간 반응시켰다. 0.5 N 염산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450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물질로서 마우스 IgA 항체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제작하고, IgA 항체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배지에 100 ppm 의 농도로 첨가했을 경우의 배지 중 IgA 항체량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2.6 배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3
마우스에 대한 반복 혼이 (混餌) 투여에 의한 IgA 분비 촉진 작용의 평가 - 1
보통 사료 (MF, 오리엔탈 효모) 에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5 % (w/w) 혼합한 시험 사료를 조제하였다. 7 주령의 마우스 (BALB/c 계) 6 마리를 대조군과 시험군 (각 군 3 마리) 으로 나누고, 대조군에는 보통 사료, 시험군에는 시험 사료를 자유 섭취시켜 6 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개시로부터 1 주일마다 분편을 회수하여, 각각 100 ㎎/㎖ 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에 현탁시켜, 원심 분리한 후, 상청 중의 총 IgA 항체량을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각 개체의 0 주에 있어서의 총 IgA 항체량을 1 로 했을 경우의 상대치로 표 2 에 나타내었다. 평균치로 비교하면, 분편 중 총 IgA 항체량의 상대치는 대조군에 비해 투여군 쪽이 고가였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4
마우스에 대한 반복 혼이 투여에 의한 IgA 분비 촉진 작용의 평가 - 2
보통 사료 (MF, 오리엔탈 효모) 에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5 % (w/w) 혼합한 시험 사료를 조제하였다. 7 주령의 마우스 (BALB/c 계) 12 마리를 대조군과 시험군 (각 군 6 마리) 으로 나누고, 대조군에는 보통 사료, 시험군에는 시험 사료를 자유 섭취시켜 사육하였다. 4 주째에 50 ㎍ 의 포스포릴콜린-keyhole limpet hemocyanin (PC-KLH, 세균에 공통된 항원) 을 경비 투여하여 면역시켰다. 그 후에도 1 주일마다 경비 면역시키고, 3 번째의 경비 면역부터 1 주일 후에 비강 점액 (100 ~ 200 ㎕/마리) 및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 (1 × 105 ~ 5 × 105 cells/마리) 를 회수하여, 총 IgA 항체량 및 총 IgA 항체 산생 세포 수, PC 특이적 IgA 항체가 및 PC 특이적 IgA 항체 산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또, 분편을 회수하고, 100 ㎎/㎖ 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 완충액에 현탁시켜, 원심 분리한 후, 상청 중의 총 IgA 항체량을 측정하였다. 총 IgA 항체량 및 PC 특이적 IgA 항체가의 측정은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PC 특이적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은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 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의 수는 매우 적기 때문에, 3 마리분의 세포를 하나로 합하여 2 줄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샌드위치 ELISA 법에 의한 IgA 항체량의 측정
상기 총 IgA 항체량의 측정은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ELISA 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 상기 PC 특이적 IgA 항체량의 측정은, 처음에 ELISA 플레이트에 흡착시키는 항마우스 이뮤노 글로불린 항체 대신에 PC-BSA 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샌드위치 ELISA 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ELISPOT 법에 의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 측정
상기 ELISPOT 법에 의한 PC 특이적 IgA 항체 산생 세포 수 측정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시하였다.
시판되는 96 구멍 ELISPOT 용 니트로셀룰로오스막 플레이트에 항마우스 이뮤노 글로불린 항체 (5 ㎍/㎖ PBS) 또는 PC-BSA (5 ㎍/㎖ PBS) 를 100 ㎕ 첨가하여, 4 ℃ 에서 하룻밤 반응시켜 흡착시켰다. 항체 용액을 제거하고, complete medium 으로 블로킹을 실시한 후에, 적절히 희석시킨 비강 점막 고유층 유래 임파구 세포 현탁액을 첨가하여, 37 ℃, 5 % CO2 의 조건 하에서 4 시간 인큐베이트 하였다. PBS 로 세정 후, 100 ng 의 퍼옥시다아제 결합 항마우스 IgA 항체를 첨가하여, 4 ℃ 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PBS 로 세정 후, 발색 기질 (3-amino-9-ethylcarbazole) 액을 첨가하여 실온, 차광 조건에서 30 분 발색시켰다. 물로 세정하여 건조시킨 후에, spot 을 항체 산생 세포로 하여 실체 현미경 하에서 계측하였다.
분편 중의 총 IgA 량 측정
분편을 회수하고, 100 ㎎/㎖ 의 농도가 되도록 PBS 에 현탁시켜, 원심 분리한 후, 상청의 총 IgA 량을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강 점액, 분편 모두 총 IgA 량은 투여군 쪽이 높고, 비강 점막 고유층의 총 IgA 산생 세포 수도 투여군 쪽이 많았다. 개양귀비 추출물의 혼이 투여에 의하여, 장관 및 호흡기계에서의 IgA 분비가 촉진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5
마우스에 대한 반복 혼이 투여에 의한 IgA 분비 촉진 작용의 평가 - 3
보통 사료 (MF, 오리엔탈 효모) 에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5 % (w/w) 혼합한 시험 사료를 조제하였다. 7 주령의 마우스 (BALB/c 계) 20 마리를 대조군과 시험군 (각 군 10 마리) 으로 나누고,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강 점액의 총 IgA 항체량 및 PC 특이적 IgA 항체가, 분편의 총 IgA 항체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5 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강 점액의 총 IgA 량은 투여군 쪽이 고가이며, 개양귀비 추출물의 혼이 투여에 의해, 호흡기계에서의 IgA 분비가 촉진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6
마우스에 대한 반복 설하 투여에 의한 IgA 분비 촉진 작용의 평가 - 1
7 주령의 마우스 (BALB/c 계) 를 1 군 4 마리로 하여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고, 보통 사료 (MF, 오리엔탈 효모) 로 사육하였다. 투여군에는 사육 개시시부터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4 ㎎/day 의 용량으로 수용액으로 하여 매일 설하 투여하고, 대조군은 동량의 물만을 설하 투여하였다. 4 주째에 50 ㎍ 의 PC-KLH 를 경비 투여하여 면역시키고, 그 후에도 1 주일마다 경비 면역시켜, 3 번째의 경비 면역부터 1 주일 후에 비강 점액 및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를 회수하여, 총 IgA 항체량 및 총 IgA 항체 산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총 IgA 항체량의 측정은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은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 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의 수는 매우 적기 때문에, 4 마리분의 세포를 합하여, 2 줄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6 및 표 7 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비강 점액의 총 IgA 량, 총 IgA 산생 세포 수는 투여군 쪽이 고가이고, 개양귀비 추출물의 설하 투여에 의해, 호흡기계에서의 IgA 분비가 촉진되어, IgA 산생 세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실시예 7
마우스에 대한 반복 설하 투여에 의한 IgA 분비 촉진 작용의 평가 - 2
7 주령의 마우스 (BALB/c 계) 를 1 군 15 마리로 하여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고, 보통 사료 (MF, 오리엔탈 효모) 로 사육하였다. 투여군에는 사육 개시시부터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4 ㎎/day 의 용량으로 수용액으로 하여 매일 설하 투여하고, 대조군은 동량의 물만을 설하 투여하였다. 4 주째에 50 ㎍ 의 PC-KLH 를 경비 투여하여 면역시키고, 그 후에도 1 주일마다 경비 면역시켜, 3 번째의 경비 면역부터 1 주일 후에 비강 점액 및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를 회수하여, 총 IgA 항체량 및 총 IgA 항체 산생 세포 수, PC 특이적 IgA 항체가 및 PC 특이적 IgA 항체 산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또, 분편을 회수하여 인산 완충액에 현탁시켜, 원심 분리한 후, 상청 중의 총 IgA 항체량을 측정하였다. 총 IgA 항체량 및 PC 특이적 IgA 항체가의 측정은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은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 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의 수는 매우 적기 때문에, 3 마리분의 세포를 합하여, 2 줄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8 및 표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으며, 어느 항목도 투여군 쪽이 대조군에 비해 높고, 개양귀비 꽃 추출물의 설하 투여에 의해 장관 및 호흡기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IgA 산생 세포 수와 IgA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실시예 8
마우스에 대한 반복 경비 투여에 의한 IgA 분비 촉진 작용의 평가 - 1
7 주령의 마우스 (BALB/c 계) 를 1 군 6 마리로 하여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고, 보통 사료 (MF, 오리엔탈 효모) 로 사육하였다. 투여군에는 사육 개시시부터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2 ㎎/day 의 용량으로 수용액으로 하여 매일 경비 투여하고, 대조군은 동량의 물만을 경비 투여하였다. 4 주째에 50 ㎍ 의 PC-KLH 를 경비 투여하여 면역시키고, 그 후에도 1 주일마다 경비 면역시켜, 3 번째의 경비 면역부터 1 주일 후에 비강 점액 및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를 회수하여, 총 IgA 항체량 및 총 IgA 항체 산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총 IgA 항체량의 측정은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은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 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의 수는 매우 적기 때문에, 3 마리분의 세포를 합하여, 2 줄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10 및 표 11 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비강 점액의 총 IgA 량, 총 IgA 산생 세포 수는 투여군 쪽이 고가이고, 개양귀비 추출물의 경비 투여에 의해, 호흡기계에서의 IgA 분비가 촉진되어, IgA 산생 세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9
마우스에 대한 반복 경비 투여에 의한 IgA 분비 촉진 작용의 평가 - 2
5 ~ 6 개월령의 마우스 (BALB/c 계) 를 1 군 5 마리로 하여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고, 보통 사료 (MF, 오리엔탈 효모) 로 사육하였다. 투여군에는 사육 개시시부터 개양귀비 (꽃) 열수 추출물을 2 ㎎/day 의 용량으로 수용액으로 하여 매일 경비 투여하고, 대조군은 동량의 물만을 경비 투여하였다. 4 주째에 50 ㎍ 의 PC-KLH 를 경비 투여하여 면역시키고, 그 후에도 1 주일마다 경비 면역시켜, 3 번째의 경비 면역부터 1 주일 후에 비강 점액 및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를 회수하여, 총 IgA 항체량 및 총 IgA 항체 산생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총 IgA 항체량의 측정은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은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 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비강 점막 고유층 임파구 세포의 수는 매우 적기 때문에, 2 ~ 3 마리분의 세포를 합하여, 2 줄로 IgA 항체 산생 세포 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12 및 표 13 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비강 점액의 총 IgA 량, 총 IgA 산생 세포 수는 투여군 쪽이 고가이고, 개양귀비 추출물의 경비 투여에 의해, 호흡기계에서의 IgA 분비가 촉진되어, IgA 산생 세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또한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사용하여, 정제, 산제, 흡입제, 점비약, 추잉검, 캔디, 초콜릿, 비스킷, 구미젤리, 정과, 아이스크림, 셔벗, 음료를 상법으로 조제하였다. 이하에 그 처방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에 의해 본 발명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0
하기 처방에 따라 정제를 조제하였다.
D-만니톨 35.0 %
유당 27.5
결정 셀룰로오스 12.5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20.0
100.0 %
실시예 11
하기 처방에 따라 정제를 조제하였다.
유당 54.5 %
옥수수 전분 38.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5.0
100.0 %
실시예 12
하기 처방에 따라 캡슐제를 조제하였다.
유당 8.0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90.0
100.0 %
실시예 13
하기 처방에 따라 산제를 조제하였다.
유당 40.0 %
감자 전분 15.0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45.0
100.0 %
실시예 14
하기 처방에 따라 흡입제를 조제하였다.
에탄올 5.0 %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5
L-멘톨 1.0
물 93.5
100.0 %
실시예 15
하기 처방에 따라 점비약을 조제하였다.
살리실산메틸 0.03 g
말레산크롤페닐라민 0.3
dl-염산메틸에페드린 0.3
폴리소르베이트 80 0.2
염화벤잘코늄 0.01
염화나트륨 0.6
1N 수산화나트륨 적량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01
물 적량
100.0 ㎖
(pH 6.8)
실시예 16
하기 처방에 따라 추잉검을 조제하였다.
검 베이스 20.0 %
설탕 52.0
글루코오스 14.0
물엿 13.0
향료 0.5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5
100.0 %
실시예 17
하기 처방에 따라 추잉검을 조제하였다.
검 베이스 20.0 %
설탕 53.0
글루코오스 15.0
물엿 10.5
향료 0.5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1.0
100.0 %
실시예 18
하기 처방에 따라 추잉검을 조제하였다.
검 베이스 20.0 %
설탕 54.0
글루코오스 14.0
물엿 9.3
향료 0.7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2.0
100.0 %
실시예 19
하기 처방에 따라 캔디를 조제하였다.
설탕 45.0 %
물엿 40.0
향료 0.5
L-멘톨 0.3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2
물 14.0
100.0 %
실시예 20
하기 처방에 따라 캔디를 조제하였다.
설탕 50.0 %
물엿 33.0
시트르산 1.0
향료 0.6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1.0
물 14.4
100.0 %
실시예 21
하기 처방에 따라 초콜릿을 조제하였다.
카카오 비터 20.0 %
전지 분유 20.0
카카오 버터 17.0
분당 (粉糖) 41.7
레시틴 0.5
향료 0.2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6
100.0 %
실시예 22
하기 처방에 따라 비스킷을 조제하였다.
설탕 31.0 %
소맥분 26.5
녹말 26.5
버터 4.0
계란 10.5
중조 0.3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1.2
100.0 %
실시예 23
하기 처방에 따라 구미젤리를 조제하였다.
폴리덱스트로오스 수용액 38.0 %
소르비톨 수용액 8.0
팔라티노오스 수용액 9.0
말토오스 수용액 20.0
트레할로오스 수용액 11.0
젤라틴 10.0
타르타르산 1.0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3.0
100.0 %
실시예 24
하기 처방에 따라 정과를 조제하였다.
설탕 76.0 %
글루코오스 20.0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2
향료 0.1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5
물 3.2
100.0 %
실시예 25
하기 처방에 따라 정과를 조제하였다.
설탕 72.0 %
유당 19.8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2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5.0
물 3.0
100.0 %
실시예 26
하기 처방에 따라 태블릿을 조제하였다.
설탕 28.8 %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2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70.0
물 1.0
100.0 %
실시예 27
하기 처방에 따라 아이스크림을 조제하였다.
난황 11.0 %
설탕 13.5
우유 37.0
생크림 37.0
바닐라빈즈 0.5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1.0
100.0 %
실시예 28
하기 처방에 따라 셔벗을 조제하였다.
오렌지 과즙 20.0 %
설탕 29.5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5
물 50.0
100.0 %
실시예 29
하기 처방에 따라 음료를 조제하였다.
오렌지 과즙 40.0 %
이성화당 15.3
시트르산 0.1
비타민 C 0.05
향료 0.1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05
물 44.4
100.0 %
실시예 30
하기 처방에 따라 음료를 조제하였다.
그레이프 과즙 70.0 %
이성화당 12.0
시트르산 0.1
비타민 C 0.05
향료 0.1
실시예 1 의 개양귀비 추출물 0.1
물 적량
100.0 %

Claims (7)

  1. 개양귀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A 분비 촉진제.
  2. 제 1 항에 기재된 IgA 분비 촉진제를 건조 중량으로 환산하여 0.01 % ~ 90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경구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설하 투여에 의해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경비 투여에 의해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6. 제 1 항에 기재된 IgA 분비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7. 제 1 항에 기재된 IgA 분비 촉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KR1020127025829A 2010-03-04 2011-03-03 이뮤노 글로불린 a 분비 촉진제 KR101896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7689 2010-03-04
JP2010047689 2010-03-04
PCT/JP2011/001261 WO2011108275A1 (ja) 2010-03-04 2011-03-03 イムノグロブリンa分泌促進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672A true KR20130037672A (ko) 2013-04-16
KR101896123B1 KR101896123B1 (ko) 2018-09-07

Family

ID=4454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829A KR101896123B1 (ko) 2010-03-04 2011-03-03 이뮤노 글로불린 a 분비 촉진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543381A4 (ko)
JP (1) JP5879254B2 (ko)
KR (1) KR101896123B1 (ko)
CN (1) CN102781457B (ko)
BR (1) BR112012022203A2 (ko)
HK (1) HK1176546A1 (ko)
TW (1) TW201141499A (ko)
WO (1) WO2011108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245A1 (ja) 2011-08-24 2013-02-28 株式会社ロッテ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抑制剤
JP7313519B1 (ja) * 2022-07-08 2023-07-24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IgA産生促進剤及びIgA産生促進用の飼料組成物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63A (ja) * 1993-07-14 1995-01-27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JPH1192389A (ja) 1997-09-17 1999-04-06 Nichinichi Seiyaku Kk 免疫賦活剤
JP2968374B2 (ja) 1991-05-16 1999-10-25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IgA産生促進剤
JP2001064181A (ja) 1999-08-27 2001-03-13 Otsuka Pharmaceut Co Ltd 免疫賦活組成物
JP2002370993A (ja) 2001-06-13 2002-12-24 Bussan Biotech Kk ハーブを含む免疫賦活剤
JP2003201239A (ja) 2001-11-05 2003-07-18 Meiji Milk Prod Co Ltd 免疫賦活食品組成物
JP2005097133A (ja) 2003-09-22 2005-04-14 Unitika Ltd ハナビラタケ由来IgA産生促進剤
JP2006070217A (ja) 2004-09-03 2006-03-16 Kitasato Inst:The オウギ属植物地上部由来の多糖および生体防御機能賦活化剤
JP2006213671A (ja) 2005-02-04 2006-08-17 Taiyo Kagaku Co Ltd 粘膜免疫賦活組成物
JP3818319B2 (ja) 2003-08-21 2006-09-06 大塚製薬株式会社 粘膜免疫賦活作用を有する乳酸菌
JP4162147B2 (ja) 2005-04-21 2008-10-08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アレルギー抑制剤
JP2009161447A (ja) 2007-12-28 2009-07-23 Kao Corp 口腔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2859A (ja) * 1984-06-08 1985-12-26 Shuzo Nakazono 食品用天然赤色素の製造法
JP2008208100A (ja) * 2007-02-28 2008-09-11 Nisshin Seifun Group Inc 免疫賦活剤及び免疫賦活食品
JP2010057395A (ja) * 2008-09-02 2010-03-18 Kizakura Co Ltd 腸管免疫調節作用を有する乳酸菌
JP2010150206A (ja) * 2008-12-26 2010-07-08 Kaneka Corp 粘膜免疫賦活作用および免疫バランス調整作用を有する経腸栄養剤
JP5372547B2 (ja) * 2009-02-17 2013-12-18 マイクロアルジェ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免疫グロブリンa産生促進剤
JP5585769B2 (ja) * 2009-05-15 2014-09-10 ダイソー株式会社 腸管免疫賦活能を有する乳酸菌に対する効果促進剤
EP2446754A4 (en) * 2009-06-25 2014-01-22 Kirin Holdings Kk FERMENTED PRODUCT OF MATERIAL DERIVED FROM CEREAL AND IMMUNOMODULATOR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8374B2 (ja) 1991-05-16 1999-10-25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IgA産生促進剤
JPH0725763A (ja) * 1993-07-14 1995-01-27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JPH1192389A (ja) 1997-09-17 1999-04-06 Nichinichi Seiyaku Kk 免疫賦活剤
JP2001064181A (ja) 1999-08-27 2001-03-13 Otsuka Pharmaceut Co Ltd 免疫賦活組成物
JP2002370993A (ja) 2001-06-13 2002-12-24 Bussan Biotech Kk ハーブを含む免疫賦活剤
JP2003201239A (ja) 2001-11-05 2003-07-18 Meiji Milk Prod Co Ltd 免疫賦活食品組成物
JP3818319B2 (ja) 2003-08-21 2006-09-06 大塚製薬株式会社 粘膜免疫賦活作用を有する乳酸菌
JP2005097133A (ja) 2003-09-22 2005-04-14 Unitika Ltd ハナビラタケ由来IgA産生促進剤
JP2006070217A (ja) 2004-09-03 2006-03-16 Kitasato Inst:The オウギ属植物地上部由来の多糖および生体防御機能賦活化剤
JP2006213671A (ja) 2005-02-04 2006-08-17 Taiyo Kagaku Co Ltd 粘膜免疫賦活組成物
JP4162147B2 (ja) 2005-04-21 2008-10-08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アレルギー抑制剤
JP2009161447A (ja) 2007-12-28 2009-07-23 Kao Corp 口腔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andtzaeg P.,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2003년, 293권, 1호, 3 ∼ 15페이지, Role of secretoryantibodies in the defence against infections.
Heikkinen T. et al.,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1998년, 17권, 5호, 367 ∼ 372페이지, Intranasally administeredimmunoglobulin for the prevention of rhinitis in children.
Hotomi M. et al., Vaccine, 1998년, 16권, 20호, 1950 ∼ 1956페이지, Specific mucosal immunity and enhanced nasopharyngeal clearance of nontypeable Haemophilus influenzae after intranasal immunization with outermembrane protein P6 and cholera toxin.
KULTUR ET AL. "Medicinal plants used in Kirklareli Province(Turkey)", journal of ethnopahrmacology, 2007, 111(2), pp. 341-364 *
Scholtens P.A. et al., Journal of Nutrition, 2008년, 138권, 6호, 1141 ∼ 1147페이지, Fecal secretory immunoglobulin A is increased in healthy infantswho receive a formula with short-chain galacto-oligosaccharides and long-chainfructo-oligosaccharides.
이케자와 요시로, 저알레르기 식품의 개발, 씨엠씨 출판, 41 - 49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3381A1 (en) 2013-01-09
JPWO2011108275A1 (ja) 2013-06-20
HK1176546A1 (en) 2013-08-02
EP2543381A4 (en) 2013-09-18
WO2011108275A1 (ja) 2011-09-09
JP5879254B2 (ja) 2016-03-08
BR112012022203A2 (pt) 2016-07-05
CN102781457A (zh) 2012-11-14
KR101896123B1 (ko) 2018-09-07
TW201141499A (en) 2011-12-01
CN102781457B (zh)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8462B2 (en) Compound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hav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KR10175677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20880A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1184300A (ja) イムノグロブリンa分泌促進剤
KR101896123B1 (ko) 이뮤노 글로불린 a 분비 촉진제
KR101486484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4159481A (ja) イムノグロブリンa分泌促進剤
KR101077202B1 (ko) 감잎으로부터 추출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항균성추출물
JP2005179285A (ja)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JP5372547B2 (ja) 免疫グロブリンa産生促進剤
KR20160022190A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406187B2 (en) Method f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ortulaca grandiflora hook.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200035785A (ko) 곽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2154284B1 (ko)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JP5945317B2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抑制剤
KR101554071B1 (ko) 메이신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65995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억제제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987821B1 (ko) 육계와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JP2015110658A (ja) イムノグロブリンa分泌促進剤
KR20230111625A (ko)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30096583A (ko)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6733A (ko) 발효 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JP2023128590A (ja) 腸管免疫賦活剤、IgA産生促進剤及び遺伝子発現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