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625A -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625A
KR20230111625A KR1020220006365A KR20220006365A KR20230111625A KR 20230111625 A KR20230111625 A KR 20230111625A KR 1020220006365 A KR1020220006365 A KR 1020220006365A KR 20220006365 A KR20220006365 A KR 20220006365A KR 20230111625 A KR20230111625 A KR 20230111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ary
innate immunity
food composition
aci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정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625A/ko
Publication of KR2023011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6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2Lino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4Linol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은,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주에서, NO 생성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면역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형 대식세포주인 M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염증 관련 경로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선천 면역 증진용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Immune boosting composition comprising Ammodytes personatus lipi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은 체내에 존재하는 자기방어체계로서 인체가 외부로부터 침입해 오는 각종 물질이나 생명체를 자기 자신에 대한 이물질로 인식하여 제거하고 대사시키는 과정이다.
다만, 면역기능은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이나 병원 미생물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도 하지만, 염증 반응 등과 같이 자기 자신의 조직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면역기능의 변화를 조절하여 정상으로 회복시키거나 변화의 폭을 줄여 주는 작용으로 면역기능 억제나 면역기능 증강으로 구분된다.
면역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 나이, 성별, 심리적 스트레스, 영양상태, 식이습관, 질병 등이 있다. 면역 기능의 조절 기능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은 현재까지, 저하된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는 기능성과 과도한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성, 자기 성분에 대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자가면역기능 조절 기능성으로 구분된다.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각종 전염성 질환(Communicable Disease) 이환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전염성 질환이란 특정 병원체 또는 병원체의 독성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전염성 병원체가 사람에게 전파되고 감염되어 최종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전염성 병원체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의 몇 가지 예시로는 동물성 기생충(말라리아 등), 스피로헤타(렙토스피라병 등), 리케차(쯔쯔가무시병 등), 진균(칸디다증 등), 클라미디아(트라코마 등), 박테리아(콜레라 등), 바이러스(홍역, SARS, AIDS 등) 등이 있다.
또한, 면역조절 기능이 저하되면, 과민 반응에 의해 천식, 계절성 또는 동년성 비염, 알러지성 부비강염, 결막염, 식품과 약품에 의한 알러지,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벌침에 의한 알러지 등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한편, 까나리는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알래스카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연안의 모래바닥에 무리를 지어 서식하며, 낮에 활동하고 밤에는 모래속에서 지내며, 수온이 15 ~ 19℃이상이 되는 5 ~ 6월경에 모래속에 들어가 여름잠을 자는 어종이다. 까나리를 비롯한 소형 적색육 어류들은 우리나라 수산식품 가운데 예로부터 즐겨 사용하여온 대표적 어류로써, 칼슘, 필수아미노산 및 n-3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EPA, DHA 등)이 풍부하고 각종 유용 비타민 및 정미 성분등을 함유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그 가공처리방법에 따라서 기호성을 부여해 줄 수 있는 잠재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 적색육 어류들의 가공저장중 일어나는 품질변화의 외관손상은 물론 향미저하, 변색, 영양가 손실 등을 초래하며 지질산화로 생성되는 저급 카르보닐화합물은 불쾌치(off-flavor)를 유발하고, 어육의 휘발성 염기 질소나 아미노산의 질소화합물과 반응하여 갈변반응물질을 생성함으로써 갈변을 일으킨다. 따라서, 소형 적색육 어류들은 선어를 식용으로 이용할시 쉽게 선도가 저하하여 비린내가 강할뿐만 아니라 육속에 잔뼈가 많아 기호성이 매우 낮고, 게다가 까나리는 육질마저 질겨 소비자들로부터 더 외면을 당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까나리 알의 지질 성분이, 면역증진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관 내(in vivo)에서 세포에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처리하여, 선천 면역과 관련된 NO 생성과 염증 관련 인자인 IL-1β, IL-6, COX-2, iNOS 및 TNF-α 발현을 증가시키고, 염증 경로인 p38, JNK, ERK1/2 및 NF-κB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며, 대식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관 내(in vivo)에서 세포에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처리하여, 선천 면역과 관련된 NO 생성과 염증 관련 인자인 IL-1β, IL-6, COX-2, iNOS 및 TNF-α 발현을 증가시키고, 염증 경로인 p38, JNK, ERK1/2 및 NF-κB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며, 대식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은,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주에서, NO 생성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면역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형 대식세포주인 M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염증 관련 경로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선천 면역 증진용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조성을 GC-FID(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ion)로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율을 정량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면역 관련 유전자의 발현 RT-PCR로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활성형 대식세포 M1 발현 및 식세포 작용을 유세포분석으로 분석한 도이다(A: 활성형 대식세포 M1 발현 확인, B: 식세포 작용 형광비 정량화).
도 5는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염증 관련 경로의 인산화를 웨스턴블랏으로 분석한 도이다(A: 웨스턴블랏 결과, B: 웨스턴블랏 결과 정량화).
본 발명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활성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특정 질환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선천 면역(innate immunity)"은 선천성 면역, 비특이적 면역, 1차 방어작용, 자연면역 또는 내제 면역으로도 불리며, 특정한 병원체를 기억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 체계를 가리킨다. 후천 면역과는 달리 면역력이 장기간 지속되지 않으며, 포괄적인 방법으로, 외부 물질(병원체)를 제거하는 반응이며, 모든 종류의 동물 및 식물은 선천 면역을 갖추고 있다. 인체의 선천 면역으로는, 물리적 장벽, 감염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벽, 포식작용 및 염증 반응이 대표적이다. 포식작용(Phagocytosis)는 세포가 입자형태의 외부물질을 섭취하는 것이며, 세포내 이입(Endocytosis)의 일종으로 외부환경으로부터 세포가 물질을 섭취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염증 반응은 감염이나 자극에 대하서 면역 체계에서 가장 처음으로 보이는 반응이며, 염증은 손상된 세포에서 방출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며, 감염이 더이상 퍼지지 않도록 물리적 장벽을 만들고 손상된 조직이 빨리 치유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선천 면역이다(Viera Stvrtinova Jan Jakubovsky and Ivan Hulin (1995)."Inflammation and Fever from Pathophysiology: Principles of Disease"). 염증 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약한 경우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과도한 염증은 조직 손상이나, 질병이 야기될 수 있지만, 일정 수준의 염증반응은 생명을 유지하고 면역계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것이 확인되었다(Oh SY, et al. (2015), “Sepsis in Patients Receiving Immunosuppressive Drugs in Korea: Analysis of the National Insurance Database from 2009 to 2013").
포식 작용 및 염증 반응을 포함하는 선천 면역계는, 외부 자극 또는 감염으로부터 최우선 적인 면역 반응을 담당하며, 후천 면역과 유기적으로 외부 자극에 대하여 반응한다. 구체적으로, 손상된 세포의 염증 반응과 대식 세포의 포식작용 으로, 외부 자극 물질에 대한 상호작용이 유도되어 후천 면역을 자극하는 가용성 단백질들이 생성되며, 후천 면역의 외부 물질 제거를 촉진 시키게 된다. 또한, 활성화된 후천면역계는 선천 면역반응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신호와 물질들을 생성하게 되며, 특정 T 세포들은 특정 항원과 접촉하면, 대식세포들의 포식작용을 증가시키는 사이토카인을 합성하고 분비하게 되며, 염증 반응을 자극함으로서, 선천 면역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후천 면역의 활성 뿐만 아니라, 선천 면역의 활성을 일정 수준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면역계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선천 면역 증진의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노레익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레닉산, 에이코사트리엔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또는 바세닉산(vaccenic acid; C18: 1n7)인 것일 수 있고,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또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NO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면역 관련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면역 관련 인자는, IL-1β, IL-6, COX-2, iNOS 및 TNF-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활성형 대식세포 M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염증 관련 경로인 p38, JNK, ERK1/2 및 NF-κ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자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성별, 신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중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에0.01 ~ 5,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농도가 0.01 ㎍/ml 미만일 경우에는 약학 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00 ㎍/m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관 내(in vivo)에서 세포에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처리하여, 선천 면역과 관련된 NO 생성과 염증 관련 인자인 IL-1β, IL-6, COX-2, iNOS 및 TNF-α 발현을 증가시키고, 염증 경로인 p38, JNK, ERK1/2 및 NF-κB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며, 대식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 제조 및 성분분석
<1-1>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Jumunj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를 구입하고, 알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까나리 알은 1일동안 -80℃에서 동결하였으며, 동결된 까나리 알을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까나리 알 4.5g에 추출액(클로로포름 : 메탄올 = 1 : 2 부피비로 혼합) 30ml을 첨가하여 2분간 균질화 하였다. 이후 새로운 10 ml의 추출액을 첨가하여 2차로 균질화 하였다. 이후 10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균질화 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층 분리 하였으며, 분리된 층의 가장 아랫부분의 지질 층을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250 ml 플라스크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액을 0.2 μm의 PTFE 멤브레인 필터로 추가 여과하고,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남은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후 남아있는 펠렛에 5 ml의 헥산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지질 용액을 증발시켰다. 추출된 지질의 수율은 1.08±0.04 g(건조물의 23.93±0.90%)였으며, 건조된 지질을 DMSO에 녹여 20 mg/ml 농도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TL)을 수득하였다.
<1-2>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 성분분석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추출물의 조성을 확인하고자, Garces 및 Mancha의 방법을 변형하여, 까나리 알 지질로부터 지방산을 분리하고, 지질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를 제조하였다. 지방산의 조성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이온화 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ion, FI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AME의 내부 표준물질로 정제된 C17:0(Margaric acid)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에서는 다중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가 52.22% 포함되어 있고, PUFA 중에서 오메가-3(DHA) PUFA가 29.04% 함유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s, SFA)이 25.27%, 단일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이 22.51%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지방산들의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세포 독성 및 NO 생성 평가
<2-1> 세포 배양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면역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RAW264.7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Korean Cell Line Bank, South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세포는 10% 우태아 혈청(FBS; Welgene, South Korea)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USA)이 포함된 RPMI-1640 배지(Gibco, USA)에서 CO2 5%, 37℃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2> 세포 독성 평가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면역 조절에 따른 NO 생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2-1의 RAW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 × 105의 세포농도로 접종하고, 이를 37℃, 5% CO2 조건으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을 전처리(배양액의 0.5, 1.0, 1.5, 2.0 부피% 농도)하였고,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 증식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배양된 세포를 수득하고, 이를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DaeilLabservice, South Korea)을 사용하여 450 nm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파장에 대한 흡광도는 마이크로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micro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BioTek,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의 공식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율(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RPMI군 및 DMSO를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은 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 확인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면역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 관련 유전자(Immune-Related Gene)의 발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을 처리하여 배양된 세포에서 총 RNA를 TRI reagent®(Molecular Research Center, Inc., USA)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양된 세포를 파쇄하고, 이의 용해물을 1.5 ml 마이크로튜브에 분주한 후 200 μL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균질화 하였고, 이 후 13,000 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새로운 마이크로튜브로 옮기고,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4℃에서 10분간 보관하였다. 이 후 13,000 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RNA 펠렛을 수득하였으며, 총 RNA를 70% 에탄올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마이크로튜브의 캠을 열어 건조시키고, 총 RNA를 뉴클레이즈가 없는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20℃에서 보관하였다. 총 RNA의 농도는 Nanophotometer(Implen, Germany)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000 ng의 RNA를 고용량 cDNA 역전사 키트(Applied Biosystems, USA)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 10 ng과 SYBR Premix EX Taq II(Takara Bio Inc., Kusatsu, Shiga)을 이용하여, QuantStudio™ 3 Real-Time PCR System(Applied Biosystems, Waltham, MA, USA)를 수행하여, 면역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면역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QuantStudio™ 3 FlexReal-Time PCR 시스템으로 분석하였다.
Gene Accession No. Sequence(5` to 3`)
iNOS BC062378.1 F: TTCCAGAATCCCTGGACAAG
R: TGGTCAAACTCTTGGGGTTC
IL-1β NM_008361.4 F: GGGCCTCAAAGGAAAGAATC
R: TACCAGTTGGGGAACTCTGC
IL-6 NM_031168.2 F: AGTTGCCTTCTTGGGACTGA
R: CAGAATTGCCATTGCACAAC
COX-2 NM_011198.4 F: AGAAGGAAATGGCTGCAGAA
R: GCTCGGCTTCCAGTATTGAG
TNF-α D84199.2 F: ATGAGCACAGAAAGCATGATC
R: TACAGGCTTGTCACTCGAATT
β-actin NM_007393.5 F: CCACAGCTGAGAGGGAAATC
R: AAGGAAGGCTGGAAAAGAGC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이 면역 반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인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과 이를 매개하는 iNOS 및 COX-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식세포 작용 촉진 확인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면역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 세포의 주요한 기능중 하나인 식세포 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RAW264.7 세포를 2 × 106의 세포농도가 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을 배양액의 0.5, 1.0, 1.5 및 2 부피%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 후 세포를 원심분리하고, 1 mg/mL의 FITC-dextran(Fluorescein isothiocyanate-dextran, Sigma-Aldrich, USA)을 처리하고, 37℃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RPMI), DMSO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DMSO) 및 LPS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LPS)을 이용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차가운 FACS 완충액(1x PBS 중 2% FBS 및 0.1% 아지드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FITC-dextran를 흡수한 세포를 CytoFLEX Flow Cytometer(Beckman Coulter, Inc., Brea, CA, USA)를 사용하여 활성형 대식세포인 M1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세포내 형광 발현을 확인하여, 식세포 작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를 처리하면 대식세포 M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LPS를 처리하지 않고,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형 대식세포인 M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A).
또한, 식세포 작용을 확인하여 본 결과, LPS를 처리하면 FITC-dextran을 흡수한 세포가 증가하여, 식세포 작용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LPS의 처리 없이도,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에서는 식세포 작용이 증가하여, FITC-dextran을 흡수한 세포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4B).
<실시예 5>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의 염증 경로 인산화 증가 확인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이 염증과 관련된 경로인 NF-κB 및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과 관련된 인자들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한 세포를 수집하고, 0.1% 프로테이즈 및 포스파타제 억제제 칵테일 및 0.5 mM EDTA 용액(Thermofisher, Waltham, MA, USA)을 함유하는 방사성면역침전 분석 완충액(Tech & Innovation, Zhangjiakou, China)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추출된 단백질은 Pierce™ BCA Protein Assay(Thermo Scientific, Waltha, MA, USA)을 사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분리된 단백질 30 μg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통해 분리하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막(Merck, Kenilworth, NJ, USA)으로 옮겼다. 막을 1시간동안 5% 탈지유 및 0.1% Tween 20이 포함된 1x Tris-완충 식염수(1×Tris-buffer saline, TBS)로 차단하였다. 차단된 막에, phospho (p)-nuclear factor(NF)-κB p65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 p-ERK1/2(Cell Signaling Technology, USA), p-JNK(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 p-p38(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 및 α-tubulin(Abcam, Cambridge, UK) 항체로 반응시킨 후, Pierce® ECL Plus Western Blotting Substrate(Thermo Scientific, Waltha, MA, USA)를 사용하여 각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그 후 ChemiDoc XRS+ imaging system (Bio-Rad, Hercules, CA, USA)으로 이미지화 하였으며, ImageLab software (version 4.1, Bio-Rad, Hercules, CA, USA)로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RAW264.7 세포주에서 무처리 대조군(RPMI) 및 DMSO 처리군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이 처리된 군에서는 p38, JNK, ERK1/2 및 NK-κB의 인산화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6> 통계학적 분석
본 발명의 통계 분석은 Statistix 8.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로 p < 0.5에서 Turkey’s pairwise의 비교로, 처리 그룹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까나리 알 지질 추출물은,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주에서, NO 생성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면역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형 대식세포주인 M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염증 관련 경로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선천 면역 증진용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식품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추출물은, 까나리 알, 어육, 내장, 머리, 뼈 및 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부위에서 추출되는 것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노레익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레닉산, 에이코사트리엔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또는 바세닉산(vaccenic acid; C18: 1n7)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또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NO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면역 관련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련 인자는, IL-1β, IL-6, COX-2, iNOS 및 TNF-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활성형 대식세포 M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까나리 지질 추출물은 염증 관련 경로인 p38, JNK, ERK1/2 및 NF-κ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자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인, 선천 면역 증강용 식품조성물.
  13.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약학 조성물.
  14.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지질(Lipi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증강용 의약외품 조성물.
  15. 시험관 내(in vivo)에서 세포에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처리하여, 선천 면역과 관련된 NO 생성과 염증 관련 인자인 IL-1β, IL-6, COX-2, iNOS 및 TNF-α 발현을 증가시키고, 염증 경로인 p38, JNK, ERK1/2 및 NF-κB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며, 대식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
KR1020220006365A 2022-01-17 2022-01-17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30111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365A KR20230111625A (ko) 2022-01-17 2022-01-17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365A KR20230111625A (ko) 2022-01-17 2022-01-17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625A true KR20230111625A (ko) 2023-07-26

Family

ID=8742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365A KR20230111625A (ko) 2022-01-17 2022-01-17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6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45B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132616A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US10016475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40067826A (ko)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16199491A (ja) 気分状態改善剤
JP2009173583A (ja) IgE抗体産生抑制剤
Brüll et al. Plant sterols: functional lipids in immune function and inflammation?
KR101604347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111625A (ko)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JP2013249260A (ja) 老化抑制剤
JP5711616B2 (ja) Il−17産生抑制剤
KR101487065B1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27601B1 (ko)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아토피, 항산화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20084560A (ko) 청각 추출물 및 아라키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20200084215A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10038157A (ko) 빅벨리해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263B1 (ko)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im et 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mechanisms of microalga Phaeodactylum tricornutum
KR100992995B1 (ko) 피페로날의 신규한 용도
KR20220084561A (ko) 도루묵알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KR101427253B1 (ko)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TWI832945B (zh) 血糖值上昇抑制用、血中三酸甘油酯上昇抑制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