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263B1 -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2263B1 KR102162263B1 KR1020180167871A KR20180167871A KR102162263B1 KR 102162263 B1 KR102162263 B1 KR 102162263B1 KR 1020180167871 A KR1020180167871 A KR 1020180167871A KR 20180167871 A KR20180167871 A KR 20180167871A KR 102162263 B1 KR102162263 B1 KR 1021622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id
- fatty acid
- fatty acids
- red sea
- body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55—Aquatic anima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A61K35/57 - A61K35/65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Oceanograph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은 TNF-α, IL-6, IL-1β의 생성을 억제하고, COX-2, iNOS의 발현을 억제하며, MAPK, NF-κB의 신호전달 경로 억제 및 PGE2의 생성을 억제하고 NO(nitric oxide, NO) 생성하는 효과가 있어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붉은 멍게(Halocynthia aurantium)는 원색동물문, 미색강, 측성멍게목, 우렁쉥이과에 속하며 영명으로는 복숭아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바다복숭아로 불리고 있다. 붉은멍게는 일본 북해도, 미국 베링해, 알래스카 반도, 캐나다 북부 연안과 한국 동해안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산란기는 9월과 12월 사이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에서의 서식형태는 암반이나 인공어초 등에 부착하여 군락으로 분포하며, 서식수심은 대략 20~100m 정도로 나타난다. 지방에서는 개멍게, 비단멍게 등으로 불린다. 붉은 멍게는 몸길이 5~20cm, 지름 5~15cm 가량으로 사람 주먹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상단에는 젖꼭지 같은 돌기가 있으며 몸의 밑에는 해초 뿌리 같은 모양을 하여 바위 같은 곳에 붙어 서식한다.
붉은 멍게는 셀룰로오스와 비슷한 튜니신으로 이뤄진 가죽모양의 껍질(tunic)로 둘러싸여 있다. 상단부에는 2개의 구멍을 보이는데, 십자형(+)의 모양은 입수공이며 일자형(-)의 모양은 출수공이다. 성체인 경우 체장은 18cm, 직경은 10cm, 최대 700g의 무게가 나간다.
염증질환은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로, 염증은 일반적으로 외부 물질 또는 해로운 자극에 의한 숙주 침입에 대해 신체 조직의 국소화된 보호 반응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염증 반응은 내재면역의 구성 요소를 이용한 병원성 요인의 제거 및 특이적 적응면역의 유도 등으로 이어져 연속적인 면역 반응을 나타낸다(Hawiger J., Innate Immunity and Inflammation: A Transcriptional Paradigm. Immunologic Research.23, pp.99-109, 2001). 염증의 원인으로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생충과 같은 감염성 원인, 화상 및 방사선 조사와 같은 물리적 원인, 독소, 약물 및 산업적 제제와 같은 화학적 원인,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 반응과 같은 면역적 원인, 산화성 스트레스와 관련된 산화적 원인 등이 있고, 면역계 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통증, 부기, 열 및 감염된 영역의 궁극적인 기능 손실을 그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이토카인, 효소(프로테아제, 퍼옥시다아제)와 같은 단백질, 주요 염기성 단백질, 점착 분자(ICAM, VCAM), 지질 매개자(에이코사노이드,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라이엔, 혈소판 활성화 인자(PAF)), 반응성 산소종(하이드로퍼옥사이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산화질소(NO))과 같은 여러 그룹의 염증 매개자의 상호작용 네트워크가 생성되며, 염증 반응의 결핍으로 인해 숙주가 제어되지 않으면서 손상 및 감염되어 자가면역질환, 염증성 질환이 야기된다. 한편, 감염이나 자가면역질환은 지속적인 면역활성화의 결과로 만성염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식사 및 이를 통해 섭취되는 성분들은 면역세포(immune cells)가 정상적인 항상성 상태에서 에너지 항상성 및 세포 과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며, 면역계, 아디포카인(adipokines) 분비 및 대사 경로와 관련된 인체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용성 비타민과 필수 지방산을 함유한 지질(lipids)은 인간의 건강과 발달에 중요한 구성성분이며, 구성(지방산 조성) 변화에 따라 질병들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s; FFA)은 면역 기능 및 조절과 관련이 있으며,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 단일 불포화 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는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 암(cancer) 및 당뇨병(diabet)과 같은 만성 질환(chronic disease)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ARA, 20:4n-6),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22:6n-3)과 같이 탄소 수 20개 이상을 포함하는 오메가-3(omega-3) 및 오메가-6(omega-6) 다중 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은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s; COX) 또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s; LOX)의 촉매 작용에 의해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s) 및 도코사노이드(docosanoids)와 같은 다양한 지질 신호 전달 분자로 전환된다. 이 분자는 생리학에서 염증 및 면역 조절과 관련된 중요한 세포 신호 전달 요소이다. ARA 및 EPA는 전염증성(pro-inflammatory) 및 항염증성(anti-inflammatory)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s)의 전구체로 알려져있으며, DHA는 암 치료를 위한 항 지질 매개체로 알려진 레졸빈(resolvins) 및 프로텍틴(protectins)과 같은 항염증성 도코사노이드(docosanoids)의 전구체이다. 또한, 오메가-3 PUFA, EPA 및 DHA는 긍정적인 면역 조절을 통해 관절염 및 천식과 같은 면역 관련 질병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류킨 6(IL-6; interleukin 6) 또는 인터류킨 1 베타(IL-1β; interleukin 1 beta)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발현 단백질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 또는 유도성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신호전달 경로 억제, 핵 인자 카파 B(NF-κB; Nuclear Factor kappa B)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Prostaglandin E2)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및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Prostaglandin E2)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면역반응 관련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핵 인자 카파 B(NF-κB; Nuclear Factor kappa B) 전사 활성 또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및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은 TNF-α, IL-6, IL-1β의 생성을 억제하고, COX-2, iNOS의 발현을 억제하며, MAPK, NF-κB의 신호전달 경로 억제 및 PGE2의 생성을 억제하고 NO(nitric oxide, NO) 생성하는 효과가 있어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붉은 멍게 체벽 외막(A), 내막(B)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대식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산화질소 생성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LPS 자극된 RAW264.7세포에서 NO생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면역 관련 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면역 관련 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 면역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 면역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B는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D는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E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F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G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H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대식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산화질소 생성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LPS 자극된 RAW264.7세포에서 NO생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면역 관련 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면역 관련 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 면역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 면역유전자의 mRNA수준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B는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D는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E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F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외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G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이 NF-κB 및 MAPK pathways와 관련된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웨스턴 블럿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H는 LPS자극된 RAW264.7세포에서의 붉은 멍게 체벽 내막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상대적 밴드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내독성 물질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는 수지상 세포에서의 염증유발 유도물질로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들의 생성을 촉진한다. 즉,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외부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TNF-α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이 유도되고, 생성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은 iNOS 및 COX-2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시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NO 및 PGE2 물질을 생성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TNF-α, IL-6 또는 IL-1β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염증 유발 물질들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세포 자체가 활성화된 상태로 오래 지속될 경우 조직 손상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염증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피부염, 피부근염(dermatomyositis), 다발성 근염(polymyositis), 알레르기, 전신성 홍반성낭창, 천포창, 아프타구내염, 망막염, 위염, 간염, 기관지염, 식도염, 장염, 췌장염, 대장염, 신장염, 욕창, 루푸스, 만성 갑상선염, 다발성 경화증, 패혈증(sepsis), 방사선 손상, 장기이식의 거부반응, 전신부종 및 국소부종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은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하여 자극된 대식세포(RAW 264.7)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류킨 6(IL-6; interleukin 6) 또는 인터류킨 1 베타(IL-1β; interleukin 1 beta)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발현 단백질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 또는 유도성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의 발현을 억제하며,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신호전달 경로 억제, 핵 인자 카파 B(NF-κB; Nuclear Factor kappa B)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Prostaglandin E2) 생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며,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및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01~1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5 mg/kg/일이다.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7~7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7~2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며,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및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 외용제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부 외용제 제형의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클렌저,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고,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의 제형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 작용하는 피부에 적용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으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염증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며,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및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중의 상기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본 발명은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며,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및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은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Prostaglandin E2)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면역반응 관련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핵 인자 카파 B(NF-κB; Nuclear Factor kappa B) 전사 활성 또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는 외부로부터 이 물질이 침입하게 되면 자기방어를 위해 대식세포가 활성화되어 탐식작용 및 다양한 면역조절물질을 생성한다. 대식세포 활성화 지표 중의 하나인 NO는 사이토카인(cytokine)이나 미생물의 영향을 받아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반응질소 중간체로서 NOS(nitric oxide synthase)와 산소와 결합하여 L-아르기닌을 산화시켜 NO가 생성된다. 생성된 NO는 세포 내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과 암세포를 제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NO가 필요 이상 생성되면 혈관확장, 염증반응에 의한 조직 손상, 돌연변이 등을 일으켜 생체 내 유해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NO는 이중적 특성을 나타내어, 약물 처리 시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에서 NO 생성을 촉진하면 면역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자극이 일어나기전 본 발명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이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외부 물질 침입등의 감염에 대한 1차 방어를 통해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초기에 생체 방어에 유리한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및 실험 방법
<1-1>
붉은 멍게 샘플
붉은멍게 시료는 한국 강원도 인근 동해에서 채집되었다. 체벽의 외막과 내막을 지방산 추출을 위해 수집했다.
<1-2>
지방산 추출 및 분석
지방산 추출은 붉은멍게의 체벽 (OM과 IM)의 외막과 내막에서 Garces and Mancha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은 5 반복 수행하였으며,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FAMEs)는 이전의 수정된 방법에 따라 준비되었다. 제조된 FAMEs는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GC) - Flame ionization detection (FID) (Perkin Elmer)에 의해 분석되었다. GC 분석을 위해, 모세관 컬럼 (SPTM-2560, 100m × 0.25mm i.d., 막 두께 0.20㎛)을 사용하였으며, GC 스탠다드는 표 1에 나타내었다.
<1-3>
대식세포 증식 분석
1x105 세포 / 웰 농도의 RPMI-1640 배지 (10 % FBS 및 1 % 페니실린 / 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내의 RAW264.7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플레이트를 가습 5 % CO2 대기에서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했다. 지질 (0.25 %, 0.50 %, 0.75 % 또는 1.00 %의 총 지질 및 0.5 %, 1.0 %, 2.0 % 또는 4.0 %의 다른 지질)을 처리하고 또 다른 24 시간 동안 배양했다. 실험은 3 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상등액을 버리고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대일 연구소, 한국)를 사용하여 대식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 증식률(%)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 하였다.
<1-4>
일산화질소(NO) 생산 분석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면역조절활성은 대식세포 배양 상청액에서 산화질소(NO)생산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RAW264.7 세포는 다양한 농도의 지방산과 함께 배양되었다. 이후, 항 염증 활성 실험을 위해 1 μg / mL의 LPS로 세포를 자극 하였으며, 질산 농도는 Griess 시약 (Sigma-Aldrich)을 사용하여 평가 하였다.
<1-5>
RNA 분리 및 역전사
RAW264.7 세포를 NO 생산 분석에 따라 처리 하였다. 24 h LPS 후 자극 시, Tri reagent®(molecular research center, Inc., USA)를 사용하여 RAW264.7 세포로부터 총 RNA를 분리 하였다. 100 %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RNA를 침전시키고 75 % 에탄올로 세척 하였다. RNA 펠렛(pellet)을 nuclease-free water에 용해시키고 추출된 RNA 농도를 나노포토미터 (Imple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cDNA는 고용량 cDNA 역전사 키트 (Applied biosystems, USA)를 사용하여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합성 하였다.
<1-6>
정량적 실시간 PCR에 의한 면역 유전자 발현 분석
면역 반응 유전자 발현은 QuantStudio ™ 7 FlexReal-Time PCR System (ThermoFisher scientific, USA)에서 SYBR®Premix Ex Taq ™ II (Takara Bio Inc., Japan)를 사용하여 96- 웰 형식으로 총 반응 부피 20 μl / 웰로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각 특정 프라이머 쌍 (표 2) 0.4 μM 및 cDNA 주형 0.1 ng로 구성되었다. 또한, PCR 증폭은 95℃에서 30초 동안 초기 변성, 95℃에서 5초 동안 변성 및 60℃에서 5초 동안 어닐링 하는 과정을 40번 반복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정량 결과는 2-ΔΔCT 방법(Livak and Schmittgen, 2001)을 이용하였으며, β- 액틴 값에 표준화된 값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1-7>
웨스턴블롯팅 분석
RAW264.7 세포를 다른 농도의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과 함께 배양한 다음 1 μg/ml의 LPS를 포함하여 자극을 주거나 LPS없이 자극을 가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세포를 RIPA 완충액 (Tech & Innovation, China)으로 수확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Pierce ™ BCA Protein Assay Kit (Thermo Scientific, USA)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동량의 단백질(30μg)은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으로 분리하고, 이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막으로 이동시켰다.
웨스턴 블럿 분석은 Narayanan et al.(Cancer research, 2003, 63:972-979)에 따라 수행되었고, 상기 PVDF막을 p-NF-κB p65(R&D systems), p-p38(R&D systems), p-ERK1/2(R&D systems), p-JNK(R&D systems) 및 α-Tubulin (Abcam) 각각의 특이적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단백질 신호는 Pierce® ECL Plus Western Blotting Substrate(Thermo Scientific, 미국)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8>
PGE
2
의 정량화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의 농도는 PGE2 ELISA kit(Enzo Life Sciences, Farmingdale, 뉴욕, 미국)을 사용하여 제조자의 설명에 따라 측정하였다. 착색(colorization)은 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 기질(p-nitrophenyl phosphate substrate)을 사용하여 전개하였고,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는 405nm에서 평가하였다. 2회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샘플 중의 PGE2 농도는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기초로 하여 계산하였다.
<1-9>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Statistix 8.1'통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지방산 분석을 3 회 실시하였고, 데이터는 표준 편차를 갖는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통계적 차이는 one-way ANOVA와 Duncan의 multiple-range test를 사용하여 p <0.05에서 테스트되었다. 대식세포 증식, NO 생성, 면역 유전자 발현 및 PGE2 결과의 정량화를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모델 대조군과 비교하여 p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 하였다.
<실시예 2>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 분석
붉은 멍게 체벽의 외막과 내막의 총 지방산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지방산은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SFA), 단일 불포화 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으로 구분되었다.
포화지방산에는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이며, 단일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이며, 다중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이었다.
외막으로부터의 포화지방산(SFA)은 전체 지방산의 24.8 ± 2.5 %이었고, 단일 불포화 지방산(MUFA)과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을 포함한 불포화 지방산은 각각 9.7 ± 1.2 %와 65.5 ± 1.6 %였다. 내막으로부터의 포화지방산(SFA)은 전체 지방산의 18.0 ± 0.3 % 였고, 단일 불포화 지방산(MUFA)과 다중 불포화 지방산(PUFA)은 23.0 ± 2.1 %와 58.9 ± 2.1 %이었다. 외막(SFA from outer membrane; OM)과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 모두에서 오메가 -3 PUFA보다 훨씬 높은 오메가 -3 PUFA를 함유하고 있으며 DHA보다 EPA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시예 3>
RAW264.7 세포 증식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효과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한 지방산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RAW264.7 세포를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사용하여 다른 농도의 지방산과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외막(SFA from outer membrane; OM) 지방산은 거의 모든 실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4.0 % FA는 약간의 세포 독성을 보였다. 다른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 지방산은 3.5-4.0 %의 농도로 낮은 세포 생존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실시예 4>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N) 생산에 미치는 영향 확인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잠재적인 면역 조절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NO를 생산할 수있는 RAW264.7 세포가 사용되었다. 도 2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NO 생산은 지방산 농도에 기인하여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특히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의 지방산은 고농도 처리 세포 (2.5 ~ 4.0 %)에서 높은 수준의 NO 생산을 나타냈다.
또한, 지방산의 잠재적인 항 염증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를 염증 상태로 자극한 후, 붉은 멍게 체벽에서 추출된 지방산의 산화질소(NO)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지방산의 농도의존적으로 LPS 자극된 NO 생성의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도 2C 참조).
<실시예 5>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효과
RAW264.7 세포에서 면역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농도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향상되었다.
TNF-α와 IL-1β의 발현은 두 지방산에 의해 증가되었다.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에서 iNOS, COX-2 및 IL-6의 발현은 다른 막에서보다 높았다(도 3A 및 3B 참조). LPS-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대부분의 면역 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농도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도 3C 및 3D 참조). 외막(SFA from outer membrane; OM) 지방산은 iNOS, TNF-α 및 IL-1β의 발현 정도가 저농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iNOS 및 COX-2의 발현 수준은 저농도에서부터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 지방산에 의해 높게 억제되었다.
<실시예 6>
단백질 관련 NF-κB 및 MAPK 경로에 대한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효과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에 어떤 면역 신호가 연관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NF-κB와 MAPK 관련 단백질의 생산 관련 단백질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A - 4D는 RAU264.7 세포에서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이 용량 의존적으로 MAPK 경로의 ERK1 / 2, JNK 및 p38의 인산화를 자극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체벽의 지방산은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NF-κB 신호 전달 경로에 대한 NF-κB p-65의 인산화를 강력하게 자극했다.
또한 NF-κB 및 MAPK 경로와 관련된 단백질을 LPS- 자극 RAW264.7 세포에서 평가하여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이 항염증제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도 4E-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막(SFA from outer membrane; OM) 및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 지방산은 용량 의존적으로 NF-κB p-65, ERK1 / 2, JNK 및 p38의 인산화를 억제 하였다.
흥미롭게도, 높은 농도 (2.0 %)의 붉은 멍게 체벽의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 지방산은 대조군인 LPS-자극하지 않은 처리군 결과와 유사한 p38 및 NF-κB p-65의 인산화 수준을 나타내어,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이 PGE2 생산에 미치는 영향
프로 염증(pro-inflammation)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PGE2의 수준은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면역 증강 및 항 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의 농도에 따라 PGE2의 생산 수준이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내막(SFA from inner membrane; IM) 지방산에서 PGE2의 생산 수준은 외막(SFA from outer membrane; OM) 지방산보다 높았지만 그 중 큰 차이는 없었다. 반대로, PGE2의 생산은 LPS- 자극된 RAW264.7 세포에서 지방산의 농도로 인해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도 5B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 내막에서 추출한 포화지방산(SFA),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및 다중불포화지방산(PUFA)을 함유하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 내막에서 추출한 포화지방산(SFA),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및 다중불포화지방산(PUFA)을 함유하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 내막에서 추출한 포화지방산(SFA),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및 다중불포화지방산(PUFA)을 함유하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체벽(body wall) 내막에서 추출한 포화지방산(SFA),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및 다중불포화지방산(PUFA)을 함유하는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류킨 6(IL-6; interleukin 6) 또는 인터류킨 1 베타(IL-1β; interleukin 1 beta)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발현 단백질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 또는 유도성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신호전달 경로 억제, 핵 인자 카파 B(NF-κB; Nuclear Factor kappa B)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Prostaglandin E2)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 아라키딘산(arachidic acid; C20:0) 및 베헤닉산(behenic acid; C22: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바세닉산(vaccenic acid; C18:1n7), 에이코센산(Eicosenoic acid; C20:1)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감마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C18:3n6), 알파리놀렌산(alpha linolenic acid; C18:3n3), 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C20:2), 다이호모 감마-리놀렌산(Dihomo-y-linolenic Acid; C20: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도코사테트라엔산(docosatetraenoic acid; C22:4n6),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C22: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871A KR102162263B1 (ko) | 2018-12-21 | 2018-12-21 |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7871A KR102162263B1 (ko) | 2018-12-21 | 2018-12-21 |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201A KR20200078201A (ko) | 2020-07-01 |
KR102162263B1 true KR102162263B1 (ko) | 2020-10-06 |
Family
ID=7160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7871A KR102162263B1 (ko) | 2018-12-21 | 2018-12-21 |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226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8161A (ja) | 2003-03-31 | 2004-10-28 | Aya Iwashita | ホヤエキスの抽出方法及び抽出成分を含有する健康食品 |
JP2008179545A (ja) | 2007-01-23 | 2008-08-07 | Hokkaido Univ | 抗炎症剤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11787A (ko) * | 2007-06-19 | 2008-12-24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염증질환내 vcam 및 cox-2의 발현 억제제 |
KR101730065B1 (ko) | 2015-04-20 | 2017-04-27 | 대한민국 | 항염증 활성을 갖는 풀색꽃무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KR101780939B1 (ko) | 2015-04-21 | 2017-09-25 | 대한민국 |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
KR102406165B1 (ko) * | 2017-04-12 | 2022-06-10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아무르불가사리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2018
- 2018-12-21 KR KR1020180167871A patent/KR1021622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8161A (ja) | 2003-03-31 | 2004-10-28 | Aya Iwashita | ホヤエキスの抽出方法及び抽出成分を含有する健康食品 |
JP2008179545A (ja) | 2007-01-23 | 2008-08-07 | Hokkaido Univ | 抗炎症剤及びその製造方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2016 KFN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p. 416 (2016.10)* |
Mar. Drugs, Vol. 16, No. 309, pp. 1-11 (2018.09.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8201A (ko) | 202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86982A (ko) |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Yang et al. | The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potential health function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pomegranate: a review | |
KR102162263B1 (ko) | 붉은 멍게 체벽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
KR20190053368A (ko) | 연산호 큰수지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JP2011068642A (ja) | 唾液分泌促進剤 | |
KR102023053B1 (ko) | 붉은 멍게 튜닉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
KR20180024470A (ko) | 섬기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17113B1 (ko) |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 |
KR102079442B1 (ko) |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06166B1 (ko) | 아무르불가사리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 |
KR101069844B1 (ko) |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080927B1 (ko) |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 |
KR102406165B1 (ko) | 아무르불가사리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00078803A (ko) | 붉은 멍게 튜닉 지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
KR101825104B1 (ko) |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
JP4809611B2 (ja) | 脂肪細胞の脂肪蓄積阻害剤 | |
CN103877152B (zh) | 含有石榴籽油和紫苏籽油的组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 |
KR101060198B1 (ko) | 조뱅이(소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 |
KR101722472B1 (ko) | 까마귀쪽나무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Litseakolide D2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 |
Sinha et al. | An Overview of the Properties and Pharmaceutical use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Sesame (Sesamum indicum L.) | |
KR20230111625A (ko) | 까나리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 |
KR102671693B1 (ko) | 돌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산화용 조성물 | |
KR20190121004A (ko) | 나르도시논 계열 대사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
EP4349356A1 (en) |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extracts enriched with saturated, monoun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long-chain fatty acids from tabebuia impetiginosa (lapacho) | |
JP2012082226A (ja) | 皮膚疾患経口治療または予防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