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113B1 -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113B1
KR101917113B1 KR1020180056619A KR20180056619A KR101917113B1 KR 101917113 B1 KR101917113 B1 KR 101917113B1 KR 1020180056619 A KR1020180056619 A KR 1020180056619A KR 20180056619 A KR20180056619 A KR 20180056619A KR 101917113 B1 KR101917113 B1 KR 101917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group
lotus root
y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기
박창희
윤재웅
배해병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윤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4265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171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윤재웅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5Skin or skin outgrowth, e.g. hai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6Skin; Hair; Nails; Sebaceous glands; Cerumen; Epidermis; Epithelial cells; Keratinocytes; Langerhans cells; Ectoder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Vi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효능이 우수하며,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ANTI-INFLAMMATION AND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VERNIXCASEOSAMIMETIC LIPID COMPLEX, LOTUS ROOT, YAM and YACON}
본 발명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2 : 0.5~2 : 0.5~2 : 0.5~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기관을 보호하는 조직으로, 체내 수분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침입인자를 막아 인체를 보호하는 필수적인 장벽역할을 한다. 피부는 외부환경에 대해 병원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을 조절하고 감각을 느끼는 등의 기능을 한다.
염증은 조직의 손상이나 다양한 경로를 통한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과 같은 내부자극에 대한 생체 내 방어기전으로서, 세포 내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홍반, 부종, 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아토피, 뇌질환, 순환기 장애, 그리고 암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염증의 발생원인에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대식세포에서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s)이나 TNF-α(Tumor necrosis factor), LPS(Lipopolysaccharide) 등의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ed NOS)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류 합성과 관련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에 의해 니트릭옥사이드(Nitric Oxide; NO)와 Prostaglandin E2(PGE2)가 생성되면서 염증을 일으킨다. 또한, L-아르기닌으로부터 NOS(NO synthase)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높은 반응성을 가진 생체 생성분자로 신경전달기능, 혈액응고 및 면역기능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필요이상으로 생성될 경우에는 과도한 혈관확장, 세포독성 및 조직손상, 그리고 상처 치유 억제 등과 같은 생체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낸다. 피부에 나타나는 거의 모든 질환은 염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항염 효과가 나타나는 소재 개발에 대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을 함유하는데, 이는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고 피부가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피부는 이러한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는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및 기저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함으로써,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으로 만들어진 천연 보호막을 형성하여 체외로의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동시에 외부 물질의 침투를 차단한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생성-탈락 속도(turn-over rate)가 늦어지고, 각질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즉 피부장벽기능이 와해된 상태의 피부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피세포의 분열, 분화로 인해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또는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질환들은 자체로 수분보유기능만을 갖는 통상적인 보습제만으로는 그 증상을 약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태지는 점성이 있는 백색 크림상의 스킨크림으로 정상적으로는 임신 기간의 마지막 단계에 발달하는 태아의 피부 전신을 덮고 있다. 태지 형성은 임신 24개월 부근 자궁 속에서 태아 표피의 분화와 장벽 형성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시작한다(Hardman et al., 1999). 태지는 구조적으로 각질층보다 간단한 시스템으로, 세포와 세포간 교소체 연결이 없는 태아 각질세포를 포함한 비층상 지질 매트릭스로 구성된다(Pickens et al., 2000; Hoath et al., 2006). 태지의 각질세포는 다각형 또는 타원형 모양으로 직경이 10~40㎛ 정도이고 조성은 약 80%의 물과 10%의 단백질, 그리고 10%의 지질로 구성되어 있다(Pickens et al., 2000; Agorastos et al., 1988; Hoeger et al., 2002). 지질상의 구성을 분석하면 주로 스쿠알렌(squalene), 스테롤에스테르(sterol esters), 왁스에스테르(wax esters) 그리고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를 포함하는 피지선 유래의 비극성 지질과 콜레스테롤, 자유지방산, 그리고 세라마이드와 같이 각질층 지질과 유사한 조성의 베리어 지질 성분들을 모두 갖는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Rissmann et al., 2006). 그러나 태지의 베리어 지질의 함량은 각질층 보다 매우 낮다.
태지의 역할은 크게 태아기 때와 출생하는 과정, 그리고 출생 후의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태아기 때의 태지는 표면장력이 낮기 때문에 자궁 속에서 내수성 있는 막을 형성하여서 고온 다습한 수성 환경에서도 태아의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태아의 각질층 성숙을 촉진하고 세균의 감염으로 발생한 태막의 안과 밖의 염증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다(Pickens et al., 2000; Singh et al., 2008; Joglekar, 1980). 분만 시 태지는 유연제 역할을 하고 반면 출생 후에는 항산화, 세척작용, 체온조절 그리고 항균의 특성을 보인다(Haubrich, 2003; Moraille et al., 2005; Hoeger et al., 2002). 뿐만 아니라 태지는 각질세포에 포함하고 있는 고내상의 수분을 서서히 방출시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도포된 피부의 수화와 수분 유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Bautista et al., 2000), 또한 효과적인 임상치료 물질로 조산아의 피부 장벽 수복을 촉진하고 성인 피부의 상처 치유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졌다(Haubrich, 2003; Hoeger et al., 2002). 이와 같이 태지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은 태지가 천연 바이오필름으로서 뛰어난 후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태지를 이용한 제제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5256호에서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보고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6426호에서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서물을 기술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염증 개선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원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태지유사지질복합체과 함께 사용할 경우 상기 피부 염증 개선 및 보습에 있어서 기대이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염증 개선효과 및 보습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이 2 : 0.5~2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C10-40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C10-40 isoalkyl acid cholesterol esters), 인지질, 피부베리어 지질 성분 및 피부표면지질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C10-40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 에스터 (C10-40 isoalkyl acidcholesterolesters)는 다량의 수분을 함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중수형 고내상의 구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태지지질조성 중에서 38~42%의 비율을 차지하는 스테롤에스터와 왁스에스터의 지방산 조성을 관찰하면, 탄소수 14~32의 다양한 분포로 직쇄의 포화, 불포화(cis, trans) 지방산, iso, anteiso 분지 지방산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C10-40 이소알킬 애씨드콜레스테롤 에스터는 천연형 장쇄분지지방산과 콜레스테롤로부터 형성된 에스터 화합물로서, 지질조성 중 75%가 iso 또는 ante-iso 타입이고 탄소수 C12~31의 분포를 가지고 있어 천연태지의 지질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는 피부와의 친화성이 우수한 에몰리언트 효과를 부여하고 다중층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서 함수성과 피부에 도포시 피부보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분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1.0~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15.0 중량%로 함유된다.
상기에서 인지질 성분으로 레시틴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레시틴은 대두, 달걀, 식물 씨앗 등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탄소수가 12~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가지며, 글리세롤의 한쪽에 인산 및 콜린 등의 친수성 성분이 결합되고 다른 쪽에는 소수성의 아실기가 결합된 구조를 하고 있어서 계면활성을 가지고 있다. 레시틴은 그 구조에 따라 수첨(hydrogenated) 레시틴과 수첨되지 않은 레시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첨레시틴은 색상 변색 및 변취가 적어 제형의 안정화를 위해 피부 외용제 제형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첨되지 않은 불포화 레시틴의 경우 포화 레시틴에 비해 변색 및 변취는 많지만 피부 흡수가 우수하고 사용질감이 부드러우면서도 리포좀 형성 및 유화능력이 더 우수하여 유화제품을 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레시틴은 36.5%의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및 3.5%의 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중량에 대하여 0.5~10.0 중량%, 바람직하게는1.0~5.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유사지질복합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 상기 피토스테롤 및 그 유도체 및 지방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합성, 발효, 효모 등 동, 식물 등 천연에서 유래하는 스핑고신 및 이의 유도체 등이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로 함유된다.
상기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는 합성 및 천연에서 유래되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콜레스테릴알킬레이트, 및 콜레스테롤에아미노산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레스테릴글루타메이트 등이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해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로 함유된다.
또한 상기에서 피토스테롤 및 그 유도체는 식물에서 유래되는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피토스테릴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피토스테릴알킬레이트 및 피토스테롤에아미노산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피토스테릴글루타메이트 등이 있다. 상기 피토스테롤 및 그 유도체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해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로 함유된다.
상기에서 지방산은 C12-22 알킬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으로서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레익산및팔미트올레인산 등이 있다. 상기 지방산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0.01-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부표면지질성분은 스쿠알란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쿠알란은 불포화탄화수소인 스쿠알렌에 비해 풍부한 사용성, 안전성과 함께 보습효과가 우수한 고급 유성원료이고, 또 피부 피지 구성성분으로 피부 지질과의 친화력이 높아 경피 흡수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스쿠알란의 사용량은 피부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10.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 5.0 중량%이다.
상기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이고, 인공적으로 합성되거나 천연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프릴릭산 및 카프로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연화제(emollient) 및 수분이 피부에 결합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분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5~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10.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구조가 벌키하여서 유화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조유화제로 친유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1.5 내지 HLB 6.0 사이에 해당되는 피이지-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유성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3.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근은 연꽃의 땅속줄기로서 연우(蓮藕)라고도 한다. 진흙 속을 가로 기는 땅속줄기는 마디가 있고 희고 가늘며, 가을에 비대해져서 연근이 된다. 연근에는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연근 100g 섭취만으로도 하루 비타민 C 필요량의 절반 이상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B군이 들어있어 피로 회복과 각종 염증 완화, 눈의 충혈에 효과적이며, 피부를 윤택하게 해준다. 연근의 독특한 점액 성분인 뮤신은 위의 점막을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식이섬유 또한 풍부해 소화를 돕고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준다. 한방에서는 지혈이나 설사와 구토 증상에 연근을 처방을 해왔으며, 고혈압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마는 마과(Dioscoreaceae) 식물로서, 한의학에서는 마와 참마(D. japonica Thunb.)의 뿌리를 더불어 산약(山藥)이라고 부른다. 마에는 뮤신이라는 점액 물질이 매우 풍부하다. 뮤신은 단백질의 흡수를 촉진해 단백질로 이루어진 위벽의 분해를 억제하여 위벽을 보호하고 장 내 윤활제 역할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 위산 과다와 소화성 위궤양 예방에 효과적인 성분이다. 피를 맑게 하고 신장의 양기를 북돋아 주어 남성의 정력 향상과 원기 회복에 좋으며, 비타민 B1, B12, C와 칼륨, 인 등의 무기질 함량이 높아 숙취와 변비,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야콘은 국화과에 속하는 쌍자엽 다년생 괴근식물로 남미 안데스지역인 볼리비아와 페루가 원산지이고 약 20여종이 열대성 기후인 남아메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현지에서는 '땅속의 배'라고 부른다. 식용부위는 주로 덩이뿌리로 괴근의 맛은 고구마처럼 단맛이 있고 수분이 많으며 배 맛처럼 시원함을 느낀다. 야콘은 비피더스균을 증강하고 유해균을 감소시켜 장을 깨끗하고 튼튼하게 하는 정장작용과 장의 운동을 활성화하여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혈청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또한 충치를 유발하는 충치균이 이용하기 어려우므로 감미료로 이용할 경우 설탕보다 충치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고온고압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은 환류 물 추출물, 환류 유기용매 추출물, 열수 추출물 또는 고온고압 추출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들의 추출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적합한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은 각각 연근, 생마 및 야콘에 10 내지 20배 부피의 에탄올을 넣고 실온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은 2 : 0.5~2 : 0.5~2 : 0.5~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2 :1 : 1: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때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피부 항염 효과 및 보습 효과를 수득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항염 효능으로서 NO 생성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최대 3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며, 사이토카인 저해활성에 있어서는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인터루킨 (IL)-1β 및 IL-8을 각각 대조군에 비하여 30 내지 33%의 저해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피부 보습효과에 있어서 피부 수분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 1.5배 정도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합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피부 항염 효과 및 보습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항염 효과 및 보슴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물질로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막형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및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피부 항염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효능이 우수하며,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종양 괴사 인자-α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인터루킨 (IL)-1β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IL-6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제조
Figure 112018048771785-pat00001
<제조예 2> 연근 추출물 제조
연근 1kg을 세척 및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70% 에탄올 10L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원액은 와트만(Whatman, Advantes, No.2)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연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생마 추출물 제조
생마 1kg을 세척 및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70% 에탄올 10L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원액은 와트만(Whatman, Advantes, No.2)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생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야콘 추출물 제조
야콘 1kg을 세척 및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70% 에탄올 10L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원액은 와트만(Whatman, Advantes, No.2)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야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비율로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혼합하였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야콘 추출물
실험군 1 2 1 1 1
실험군 2 2 2 1 2
실험군 3 2 0.5 1 1
실험군 4 2 1 0.5 1
실험군 5 2 2 1 0.5
실험군 6 2 1 2 1
실험군 7 2 0.5 1 2
실험군 8 2 1 2 0.5
비교군 1 2 3 2 1
비교군 2 2 0.3 1 1
비교군 3 2 2 3 0.2
비교군 4 2 - 2 2
비교군 5 - 2 1 1
비교군 6 2 1 3 2
비교군 7 2 1 - 2
비교군 8 2 1 2 -
비교군 9 2 1 2 3
비교군 10 2 1 0.1 2
<시험예 1> 항염 활성 측정
1) NO 생성량 측정
RAW264.7 대식세포는 24-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웰 당 2.5X105 cells/mL로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하에 1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NO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 1 μg/mL가 포함된 배지로 교환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24시간 재배양하였다. 이후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배양 상등액 100 μL와 Griess 시약 (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 인산 내 1% 설파닐아민, 1:1) 100 μL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Xmark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 Bio-Rad, XMarkTM, Japan)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질산나트륨 (NaNO2)의 농도별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NO는 반응성이 강한 무기 저분자의 활성산소 중 하나이며, L-아르기닌을 기질로 NOS에 의해 L-시트룰린으로 합성되며,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암세포에 대항하는 세포사멸 유도, 신호전달, 혈액응고 및 혈소판억제, 혈관 확장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 등 체내 생리적, 병적인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형성된 NO는 염증을 유발하여 조직손상, 유전자 변이, 신경손상 및 관절염과 기관지염 같은 면역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Weise & Nathan 1991; Hyun et al., 2015).
무처리군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실험군
5
실험군
6
실험군
7
실험군
8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비교군
4
비교군
5
비교군
6
비교군
7
비교군
8
비교군
9
비교군
10
NO 생성(%) 43 100 69 73 74 75 74 71 72 73 86 88 86 87 86 86 89 91 86 87
그 결과 LPS 처리군(대조군)은 LPS 무처리군에 비해 높은 NO 발현량을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1 내지 8은 25 내지 31%의 NO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비교군 1 내지 10는 최대 14%의 NO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2)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량 측정
효소결합면역흡착 분석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통하여 TNF-α, IL-1β 및 IL-8과 같은 염증성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LPS (1 μg/mL)로 RAW 264.7 세포를 자극하고 동시에 추출물을 처리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각각의 TNF-α, IL-1β, IL-6 함량은 ELISA 사이토카인 키트 (R&D system,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항체가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표준용액(100 μL) 및 세포배양액(100 μ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세척액으로 세척한 후 검색 항체 (100 μ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결합시켰다. 다시 각 웰에 아비딘-HRP 100 μ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반응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한 후 TMB 100 μL를 첨가 후 암실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키고 정지 용액(stop solution) 100 μL을 첨가하여 반응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계산하였다.
대식세포는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에 관여하여 체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세포로, 체내에 항원이 침입하게 되면 식세포 작용으로 항원을 제거하거나 항원을 다른 면역세포에 제시하여 염증반응이 일어나도록 유도해 항원의 증식을 막는 역할을 한다(Lee et al., 2007). 대식세포는 인터페론 (IFN), 당지질 (LPS) 등의 면역증강물질에 의해 활성이 증가되며,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인터루킨 (IL)-1β, IL-8,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등을 분비하게 된다(Hibbs et al., 1998). TNF-α는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분비하는 다기능성 사이토카인으로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에 관여하며, IL-1β, IL-8과 같은 다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한다(Barnes and Adcock, 1993; Butler et al., 1995). IL-8은 호중구, 림프구, 호산구의 동원을 촉진하는 화학주성인자로서, 호중구를 활성화시켜 리소좀 효소를 방출하고 활성산호 생산을 유발하며, 관절염이나 패혈증 등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rada et al., 1996). 또한 IL-1β는 단핵백혈구(monocyte)와 대식세포계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T세포를 활성화시키고, T세포에서 분비되는 IL-2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등 사이토카인 네트워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Cah et al., 2010).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LPS(1 μg/mL) 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의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8) 분비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도 2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종양 괴사 인자-α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TNF-α의 경우 LPS 처리군(대조군)은 LPS 무처리군에 비해 높은 TNF-α 발현량을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1 내지 8은 최대 33%의 TNF-α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인터루킨 (IL)-1β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여기에서 보듯이, IL-1β의 경우 LPS 처리군(대조군)은 LPS 무처리군에 비해 높은 IL-1β 발현량을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1 내지 8은 최대 30%의 IL-1β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의 IL-6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IL-6의 경우 LPS 처리군(대조군)은 LPS 무처리군에 비해 높은 IL-6 발현량을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1 내지 8은 최대 33%의 IL-6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화장료의 제조
1-1.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 표 4와 같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실험군 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실험군 1 0.03 또는 0.01
카보머940 0.12
트레할로스 3.00
솔비톨 1.00
1,3-부틸렌 글리콜 5.00
비스-피이지-18 메틸에테르 다이메틸 실란 1.00
글라이세롤 4.00
디엘-판테놀 0.30
이디티에이 0.02
폴리솔배이트 60 0.8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2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90
솔비탄 세스퀼레테이트 0.30
라네트-오 1.60
세틸 에틸헥소노에이트 3.0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사이클로메티콘 6.50
트리리에탄올아민 0.13
페노닙 0.70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1-2. 토너의 제조
하기 표 5와 같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실험군 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토너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실험군 1 0.05 또는 0.01
다이소듐 이디티에이 0.01
아미노코트 1.00
디엘-판테놀 0.10
트레할로스 0.10
글리세롤 3.00
카보폴 이티디 2020 0.07
알콜 3.00
비스-피이지-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0.20
페닐 트리메티콘 0.10
피이지-40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코스톨 오일 0.15
메틸파라벤 0.05
트리에탄올아민 0.13
페노닙 0.70
페녹시에탄올 0.50
향, 방부제,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1-3. 로션의 제조
하기 표 6과 같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실험군 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실험군 1 0.05 또는 0.01
카보머941 0.05
알란토인 3.00
허브엑스 히알루론 1.00
메틸파라벤 0.10
글리세롤 1.10
다이소듐 이디티에이 0.05
폴리솔베이트60 1.00
솔리탄 세스키올레이트 1.00
스테아릭 에시드 1.0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50
세틸 알콜 1.30
프로필파라벤 0.05
부틸파라벤 0.05
마카다미아 오일 0.05
디메티콘 0.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미네랄오일 4.50
트리에탄올아민 0.10
페녹시에탄올 0.50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1-4. 팩의 제조
하기 표 7과 같이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실험군 1)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험군 1 0.05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5
총계 100.0
<시험예 2> 피부 보습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녀 54명에게 실험군 1 내지 8 및 비교군 1 내지 10의 조성에 따른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가지는 화장료(영양크림)을 제제예 1-1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매일 2회씩 4주간 하박 내측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2주, 4주 경과한 시점에서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하기의 방법으로 TEWL(경표피수분손실, Trans Epidermal Water Loss)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시판하는 일반 영양크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TEWL 측정 방법>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량을 온도와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1) 환경조건: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측정자와 피검자 외에 최소한의 인원만 남겼다(가급적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였다).
2) TEWL 탐침을 피검자의 측정 부위에 올려놓았다.
3) 탐침을 측정부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피부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가볍게 올려놓고 지면과 90ㅀ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였다.
4)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의 TEWL 수치가 일정해지는 값을 측정하였다(보통 1∼3분 소요).
5) 탐침의 손잡이는 가급적 멀리 잡아서 측정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6) 면적 및 시간당 수분증발량(g/㎡/h)을 계산하였다.
수분증발량(g/㎡/h)
0주 후 2주 후 4주 후
실험군 1 9.6 7.2 4.5
실험군 2 9.9 7.9 4.6
실험군 3 10.1 8.1 5.0
실험군 4 10.2 8.2 5.1
실험군 5 9.9 7.9 4.5
실험군 6 10.7 8.7 4.7
실험군 7 9.8 8.8 4.7
실험군 8 10.2 8.2 5.3
비교군 1 10.3 10.1 9.2
비교군 2 10.5 9.7 8.9
비교군 3 10.2 9.6 8.3
비교군 4 10.5 9.5 8.4
비교군 5 10.3 9.7 9.5
비교군 6 10.2 9.8 8.3
비교군 7 10.5 9.5 8.2
비교군 8 10.3 9.6 9.6
비교군 9 11.2 9.3 9.1
비교군 10 10.5 9.3 8.9
대조군 10.1 10.4 10.2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험군 1 내지 8의 화장료는 비교군 1 내지 10의 화장료 대비 시간의 경과에 따라 TEWL 변화값(수분의 증발량)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제형의 보습 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 1 내지 8의 화장료 및 비교군 1 내지 10의 화장료를 1회 도포한 후 6시간 동안 수분측정기(corneometer)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시판하는 일반 영양크림을 사용하였다.
<수분측정기 측정방법>
피부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량은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로 측정하였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량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확인하였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부위에 수분측정기(corneometer)의 탐침을 올려놓았다.
2) 탐침을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전도도(capacitance)가 수치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었다.
3) 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다음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피부 수분량(A.U.)
0시간 3시간 6시간
실험군 1 32.5 44.2 52.2
실험군 2 30.3 45.0 54.4
실험군 3 31.2 43.1 52.0
실험군 4 32.2 43.3 54.2
실험군 5 34.7 45.9 53.4
실험군 6 31.6 42.7 53.6
실험군 7 29.4 38.2 49.7
실험군 8 31.1 43.8 55.7
비교군 1 22.4 23.2 29.3
비교군 2 20.5 24.4 28.4
비교군 3 22.1 24.6 28.4
비교군 4 20.7 25.8 28.5
비교군 5 21.2 23.4 29.6
비교군 6 20.1 24.5 28.2
비교군 7 21.5 23.6 28.1
비교군 8 22.6 25.7 29.7
비교군 9 21.8 25.4 29.5
비교군 10 21.3 25.3 28.2
대조군 21.3 20.2 20.2
상기 표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험군 1 내지 8의 화장료는 비교군 1 내지 10에 비하여 수분함유량이 현저하게 높아 보습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 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의 혼합물(실험군 1)을 각각 0.1%, 0.5% 및 1%를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애플민트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48771785-pat00002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실험군 1
(0.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실험군 1
(0.5%)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실험군 1
(1%)
[시험군 3]
1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9
상기 표 10에서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모두 0명이고, 평균 반응도 역시 0.00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이하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애플민트 추출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제제예 2 : 약제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함량(g)
실험군 1 2
유당 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실험군 1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실험군 1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이 2 : 0.5~2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 인지질,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 및 피부 표면 지질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물을 0.001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 및 인지질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5.0~15.0 중량% 및 1.0~5.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인지질은 레시틴이고,
    상기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글루타메이트,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릴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글루타메이트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피부 표면 지질성분은 스쿠알란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연근 추출물, 생마 추출물 및 야콘 추출물이 2 : 0.5~2 : 0.5~2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 인지질,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 및 피부 표면 지질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건선, 피부건조증, 염증성 질환 및 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056619A 2018-05-17 2018-05-17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17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619A KR101917113B1 (ko) 2018-05-17 2018-05-17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619A KR101917113B1 (ko) 2018-05-17 2018-05-17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113B1 true KR101917113B1 (ko) 2018-11-09

Family

ID=6442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619A KR101917113B1 (ko) 2018-05-17 2018-05-17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1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528A (zh) * 2020-08-27 2020-11-24 上海辉文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抗炎安全不致敏的薯蓣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87603A (ko) * 2020-01-02 2021-07-13 (주)심플스틱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함유한 투명한 나노파이버 시트 및 태지유사 지질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120A (ja) * 1999-05-10 2000-11-21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9062345A (ja) * 2007-09-10 2009-03-26 Mikako Imamura 化粧料
KR101394430B1 (ko) * 2012-12-26 2014-05-14 시흥시 연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
KR101716426B1 (ko) * 2015-04-02 2017-03-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120A (ja) * 1999-05-10 2000-11-21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9062345A (ja) * 2007-09-10 2009-03-26 Mikako Imamura 化粧料
KR101394430B1 (ko) * 2012-12-26 2014-05-14 시흥시 연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
KR101716426B1 (ko) * 2015-04-02 2017-03-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03A (ko) * 2020-01-02 2021-07-13 (주)심플스틱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함유한 투명한 나노파이버 시트 및 태지유사 지질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키트
KR102289341B1 (ko) 2020-01-02 2021-08-17 (주)심플스틱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함유한 투명한 나노파이버 시트 및 태지유사 지질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키트
CN111973528A (zh) * 2020-08-27 2020-11-24 上海辉文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抗炎安全不致敏的薯蓣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11973528B (zh) * 2020-08-27 2022-07-01 上海辉文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抗炎安全不致敏的薯蓣提取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3459B2 (ja) 出穂前に収穫されたエンバク地上部の抽出物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100947638B1 (ko)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010520232A (ja) 玄参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及びその皮膚保湿化粧料としての用途
KR101917113B1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BRPI0610415A2 (pt) utilização de glicerìdeo(s) de cadeia média, composição para a absorção oral e destinada a prevenir e/ou tratar a matérias queratìnicas secas e/ou sensibilizadas e processo de tratamento não terapêutico para prevenir e/ou tratar as matérias queratìnicas secas e/ou fragilizadas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1653A (ko) 녹차 잎의 열수추출물 및 녹차 잎의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30048282A (ko) 증숙 처리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11249A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716426B1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73835A (ko)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53B1 (ko) 붉은 멍게 튜닉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R20210117027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101281108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10036166A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090042073A (ko) 자극완화 효능을 가진 특정의 식물추출 혼합물과 이를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00053082A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1655256B1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3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514

Effective date: 2020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