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256B1 -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256B1
KR101655256B1 KR1020150054612A KR20150054612A KR101655256B1 KR 101655256 B1 KR101655256 B1 KR 101655256B1 KR 1020150054612 A KR1020150054612 A KR 1020150054612A KR 20150054612 A KR20150054612 A KR 20150054612A KR 101655256 B1 KR101655256 B1 KR 10165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id
skin
composition
ginsenos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경
이지영
이춘몽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5005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6Skin; Hair; Nails; Sebaceous glands; Cerumen; Epidermis; Epithelial cells; Keratinocytes; Langerhans cells; Ectoder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낮으며, 뛰어난 피부 가려움 완화 효과를 나타내어 건조 피부, 염증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으로부터 유발되는 가려움의 완화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ALLEVIATING ITCH COMPRISING GINSENOSIDE RG3}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340년 전 사무엘 하펀르퍼(Samuel Hafenreffer)는 가려움을 긁고 싶다는 욕망을 자극하는 불쾌한 감각으로 정의하였다(yosipovitch et al, The Lancet, 361, pp690-693,2003). 가려움은 담도 폐쇄, 신부전 및 기생충공포증을 제외한 대부분의 원인이 피부질환에 국한되어 나타난다(Sonja et al, Arch.Dermatol.,139, pp1463-1970, 2003). 가려움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는 피부 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건조피부, 지루성 피부염, 건선 및 벌레물림 등을 들 수 있다(greaves et al , The Lancet.,348,pp938-40,1996). 건조 피부는 65세 이상의 노인층에서 최소한 75%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노인에게 가장 흔한 피부과적 문제이다. 노인에서 건조피부의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나, 피부장벽기능의 장애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노화피부에서는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있는데, 각질층 지질구성 성분의 감소, 자연보습인자의 감소, 글리세롤 양의 감소 등이 그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노화피부에서는 하부 표피로부터 각질층까지 공급되는 수분량이 부족하여 피부 건조가 심해지고 이로 인해 염증과 소양증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가려움이 환자의 삶의 질 저하에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심한 아토피 환자의 경우 수면 시간의 약 15% 정도를 긁는데 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Ebata et al, Br. J. Dermatol., 144, pp305-310, 2001). 따라서 독성이나 피부자극이 적으면서 유효하게 가려움을 완화시키는 물질의 요구성이 커지고 있다.
가려움의 연구와 가려움 억제 물질의 평가는 실험 시행과 관리의 용이성 측면에서 주로 설치류를 이용하게 되지만 최근 동물실험에 대한 주의가 높아지면서 피부 가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려움증 치료제로는 코티코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 캡사이신 등이 사용되나 이 치료제들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바르는 스테로이드제에 의해서는 피부가 얇아지거나 피부 색깔이 변하거나 발진이 생기고, 장기간 많은 양을 사용했을 때 전신 부작용으로 부신 기능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주로 전신 투여하여 사용하는데 항부교감작용이 있어서 진정작용을 나타내고,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은 국소 투여 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을 억제시키지 못했다(Munday et al., Dermatology, 205, pp40-45, 2002).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국소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데 이것은 피부 과민반응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진정작용이 없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 에바스틴과 터페나딘은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ketoconazole, erythromycin)과 함께 복용하면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다(Hey et al., Anemittelforschung, 46, pp59-63, 1996).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은 전신투여 시 고혈압, 신독성, 약물 상호작용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고 국소투여시 분자량이 커서 피부통과가 어려워 효능이 약하다. 최근 국소 제제로 개발된 칼시뉴린 억제제인 프로토픽(타크로리무스, FK506)과 엘리델(피메크로리무스)은 소아환자에서 백혈병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고, 더 나아가 사용 초기에 발적감, 피부자극,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Gupta et al., JEADV, 16, pp.100-114, 2002, Gupta and Chow, JEADV,17, pp493-503, 2003). 캡사이신은 가려움 억제 효과가 가장 신속하고 강력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강한 피부 자극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효과 적이면서 부작용 없고 더욱 안전한 가려움 완화 소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태지는 점성이 있는 백색 크림상의 스킨 크림으로서, 정상적으로는 임신 기간의 마지막 단계에 발달하는 태아의 피부 전신을 덮고 있다. 태지 형성은 임신 24개월 부근 자궁 속에서 태아 표피의 분화와 장벽 형성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시작한다(Hardman et al., 1999). 태지는 구조적으로 각질층보다 간단한 시스템으로, 세포와 세포간 교소체 연결이 없는 태아 각질세포를 포함한 비층상 지질 매트릭스로 구성된다(Pickens et al., 2000; Hoath et al., 2006). 태지의 각질세포는 다각형 또는 타원형 모양으로 직경이 10~40㎛ 정도이고 조성은 약 80%의 물과 10%의 단백질, 그리고 10%의 지질로 구성되었다(Pickens et al., 2000; Agorastos et al., 1988; Hoeger et al., 2002). 지질상의 구성을 분석하면 주로 스쿠알렌(squalene), 스테롤에스테르(sterol esters), 왁스에스테르(wax esters) 그리고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를 포함하는 피지선 유래의 비극성 지질과 콜레스테롤, 자유지방산, 그리고 세라마이드와 같이 각질층 지질과 유사한 조성의 베리어 지질 성분들을 모두 갖는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Rissmann et al., 2006). 그러나 태지의 베리어 지질의 함량은 각질층 보다 매우 낮다.
태지의 역할은 크게 태아기 때와 출생하는 과정, 그리고 출생 후의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태아기 때의 태지는 표면장력이 낮기 때문에 자궁 속에서 내수성 있는 막을 형성하여서 고온 다습한 수성환경에서도 태아의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태아의 각질층 성숙을 촉진하고 세균의 감염으로 발생한 태막의 안과 밖의 염증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한다고 알려졌다(Pickens et al., 2000; Singh et al., 2008; Joglekar, 1980). 분만 시 태지는 유연제 역할을 하고 반면 출생 후에는 항산화, 세척작용, 체온조절 그리고 항균의 특성을 보인다(Haubrich, 2003; Moraille et al., 2005; Hoeger et al., 2002). 뿐만 아니라 태지는 각질세포에 포함하고 있는 고내상의 수분을 서서히 방출시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도포된 피부의 수화와 수분 유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Bautista et al., 2000), 또한 효과적인 임상치료 물질로 조산아의 피부 장벽 수복을 촉진하고 성인 피부의 상처 치유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졌다(Haubrich, 2003; Hoeger et al., 2002). 이와 같이 태지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은 태지가 천연 바이오필름으로서 뛰어난 후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g3는 인삼에 있는 사포닌으로 화학적으로 배당체(配糖體, glycoside)라 부르는 화합물의 일종이다. 사포닌(saponin)은 비누를 뜻하는 희랍어의 sapona에서 유래되었는데, 수용액에서 비누처럼 미세한 거품을 내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포닌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껍질, 씨 등에 있는데 예전에는 비영양물질로 알려졌으나, 최근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밝혀지면서 생리활성물질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한방약에서는 강심제나 이뇨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인삼의 여러 가지 유효성분 중 주된 약리작용을 하는 것이 사포닌이다.
인삼 사포닌은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다른 특이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약리효능도 특이하여 인삼(Ginseng) 배당체(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불린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가려움 완화 물질들이 갖는 부작용을 줄이면서 안전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가려움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피부, 염증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으로부터 유발되는 가려움의 억제 및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g3 0.00001 ~ 40.0 중량% 및 태지유사지질복합체 0.00001 ~ 40.0 중량%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 인지질,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 및 피부 표면 지질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 및 인지질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5.0~15.0 중량% 및 1.0~5.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인지질은 레시틴이고, 상기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글루타메이트,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릴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글루타메이트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피부 표면 지질성분은 스쿠알란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건조 피부, 염증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으로부터 유발되는 가려움의 억제 및 완화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조 피부, 염증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으로부터 유발되는 가려움의 억제 및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진세노사이드 Rg3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C10-40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에스터(C10-40 isoalkyl acid cholesterol esters), 인지질, 피부베리어 지질 성분 및 피부표면지질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C10-40 이소알킬애씨드콜레스테롤 에스터 (C10-40 isoalkyl acidcholesterolesters)는 다량의 수분을 함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중수형 고내상의 구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태지지질조성 중에서 38~42%의 비율을 차지하는 스테롤에스터와 왁스에스터의 지방산 조성을 관찰하면, 탄소수 14~32의 다양한 분포로 직쇄의 포화, 불포화(cis, trans) 지방산, iso, anteiso 분지 지방산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C10-40 이소알킬 애씨드콜레스테롤 에스터는 천연형 장쇄분지지방산과 콜레스테롤로부터 형성된 에스터화합물로써, 지질조성 중 75%가 iso 또는 ante-iso 타입이고 탄소수 C12~31의 분포를 가지고 있어 천연태지의 지질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는 피부와의 친화성이 우수한 에몰리언트 효과를 부여하고 다중층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서 함수성과 피부에 도포시 피부보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분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1.0~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15.0 중량%로 함유된다.
상기에서 인지질 성분으로 레시틴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레시틴은 대두, 달걀, 식물 씨앗 등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탄소수가 12~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가지며, 글리세롤의 한쪽에 인산 및 콜린 등의 친수성 성분이 결합되고 다른 쪽에는 소수성의 아실기가 결합된 구조를 하고 있어서 계면활성을 가지고 있다. 레시틴은 그 구조에 따라 수첨(hydrogenated) 레시틴과 수첨되지 않은 레시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수첨레시틴은 색상 변색 및 변취가 적어 제형의 안정화를 위해 피부 외용제 제형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첨되지 않은 불포화 레시틴의 경우 포화 레시틴에 비해 변색 및 변취는 많지만 피부 흡수가 우수하고 사용질감이 부드러우면서도 리포좀 형성 및 유화능력이 더 우수하여 유화제품을 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레시틴은 36.5%의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및 3.5%의 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5~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유사지질복합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 상기 피토스테롤 및 그 유도체 및 지방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합성, 발효, 효모등 동, 식물 등 천연에서 유래하는 스핑고신 및 이의 유도체 등이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로 함유된다.
상기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는 합성 및 천연에서 유래되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콜레스테릴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콜레스테릴알킬레이트, 및 콜레스테롤에아미노산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레스테릴글루타메이트 등이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 및 그 유도체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해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로 함유된다.
또한 상기에서 피토스테롤 및 그 유도체는 식물에서 유래되는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피토스테릴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피토스테릴알킬레이트 및 피토스테롤에아미노산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피토스테릴글루타메이트 등이 있다. 상기 피토스테롤 및 그 유도체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해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로 함유된다.
상기에서 지방산은 C12-22 알킬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으로서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레익산및팔미트올레인산 등이 있다. 상기 지방산의 사용량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0.01-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부표면지질성분은 스쿠알란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쿠알란은 불포화탄화수소인 스쿠알렌에 비해 풍부한 사용성, 안전성과 함께 보습효과가 우수한 고급 유성원료이고, 또 피부 피지 구성성분으로 피부 지질과의 친화력이 높아 경피 흡수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스쿠알란의 사용량은 피부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 10.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 5.0 중량%이다.
상기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이고, 인공적으로 합성되거나 천연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프릴릭산 및 카프로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연화제(emollient) 및 수분이 피부에 결합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분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5~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10.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구조가 벌키하여서 유화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조유화제로 친유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HLB 1.5 내지 HLB 6.0 사이에 해당되는 피이지-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와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유성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3.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01 ~ 40.0 중량%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5 ~ 3.0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4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개선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세노사이드 Rg3는 인삼에서 분리되는 것이지만,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진세노사이드 Rg3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 특정 제조예를 참조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인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1-10배의 저급알코올을 가한다. 실온에서 5일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한다. 프랩 엘시(prep LC)를 이용하여 건조된 인삼 추출 파우더에서 진세노사이드 Rg3를 분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g3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01 ~ 40.0 중량%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g3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4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통상 사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제,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화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지방족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아미드에테르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 5 -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 비누 및 오일 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워터 및 클렌징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태지유사지질복합체의 제조
구분 성분명(단위:중량%) 제조예 1
유상성분








C10-40 이소알킬애씨드 콜레스테롤에스터 11.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7.00
스쿠알란 2.00
레시틴 3.00
홍화씨오일 0.40
피토스테릴글루타메이트 0.80
세라마이드3 1.00
세라마이드2 1.00
피이지-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2.0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00
수상성분

정제수 70.00
NaCl 0.50
방부제 적량
제조예 2. 진세노사이드Rg 3의 제조
인삼 또는 홍삼으로부터 알코올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분리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인삼조사포닌 6g을 50% 조산 20ml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70℃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반응혼합물을 상온까지 식혔다. 반응액을 증류수 20ml로 희석하고 n-부탄올 100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여 포화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n-부탄올층을 감압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클로로포름 :에탄올:물 = 100: 30:10, 하층)으로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을 얻었다.
제조예 3: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 를 함유한 제제의 제조
제조예 3-1: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1은 제조예 1과 제조예 2에서 만들어진 태지유사지질복합체 5.0 중량%와, 진세노사이드 Rg3 3.0 중량%을 준비한다. 유상과 수상을 80℃ 배합기에 따로 준비한 후,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실시예 1의 전신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과 태지유사지질복합체 5.0 중량% 만을 함유한 비교예 2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비교예 1 비교예2 실시예 1
태지유사지질복합체 - 5.0 5.0
진세노사이드 Rg3 - - 3.0
프로필렌글리콜 6.0 6.0 6.0
글리세린 4.0 4.0 4.0
트리에탄올아민 1.2 1.2 1.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3.0
유동 파라핀 5.0 5.0 5.0
스쿠알란 3.0 3.0 3.0
마카다미너트오일 2.0 2.0 2.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1.0 1.0
0.2 0.2 0.2
페녹시에탄올 0.4 0.4 0.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3-2: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예1과 제조예 2에서 만들어진 태지유사지질복합체 5중량%와 진세노사이드 3.0중량%를 준비한다. 유상과 수상을 80℃ 배합기에 따로 준비한 후,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실시예 2의 전신용 에센스을 제조하였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3과 태지유사지질복합체 5.0중량%만을 함유한 비교예 4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 2
태지유사지질복합체 - 5.0 5.0
진세노사이드 Rg3 - - 3.0
글리세린 10.0 10.0 10.0
베타인 5.0 5.0 5.0
PEG 1500 2.0 2.0 2.0
알란토인 0.1 0.1 0.1
DL-판테놀 0.3 0.3 0.3
EDTA-2Na 0.02 0.02 0.02
벤조페논 -9 0.04 0.04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0.1 0.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0 8.0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0.18 0.18
옥틸도데카논 0.3 0.3 0.3
옥틸도데세스-16 0.4 0.4 0.4
에탄올 6.0 6.0 6.0
0.2 0.2 0.2
페녹시에탄올 0.4 0.4 0.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3-3: 크림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제조예 1에서 만들어진 태지유사지질복합체 5중량%를 준비한다. 유상과 수상을 80℃ 배합기에 따로 준비한 후,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비교예 6의 전신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크림제형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 5.0중량%와 진세노사이드 Rg3 3.0중량%을 함유하도록 하고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5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비교예5 비교예6 실시예 3
태지유사지질복합체 - 5.0 5.0
진세노사이드 Rg3 - - 3.0
바세린 7.0 7.0 7.0
유동파라핀 10.0 10.0 10.0
밀납 2.0 2.0 2.0
폴리솔베이트 60 2.0 2.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2.5 2.5
스쿠알란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6.0 6.0 6.0
글리세린 4.0 4.0 4.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2 0.2 0.2
페녹시에탄올 0.5 0.5 0.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로션 제형의 가려움완화 개선 시험
상기 제조예 3-1에서 제조된 실시예1과 비교예 1, 2의 피부가려움 개선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피부가려움을 호소하는 성인 60명을 선정하여 이를 각 20명씩 3그룹으로 나누고, 로션을 사용하기 전 피부 가려움의 정도에 대하여 10점 척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1~3점: 무의식중에 긁음(생활, 수명방해 없음), 4~6점: 생활, 수면방해 정도의 소양감(온종일은 아님), 7~9점: 대부분의 시간 동안 생활 수면을 방해하는 소양감, 10점 : 가려움으로 생활과 수면장애가 심함). 실시예 1과 비교예 1, 2를 각각 나누어 주고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2주, 4주 후 피부 가려움에 대한 정도를 주관적 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가려움 개선정도를 평가하였다. 초기값과 비교하여 변화량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사용전 2주 후 4주 후
비교예 1 4.1 3.3 2.9
비교예2 4.1 2.9 1.6
실시예 1 4.2 1.8 0.7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실시예 1이 이를 함유하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피부가려움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만 함유한 제형(비교예 2)도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우수한 가려움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진세노사이드 Rg3을 함께 함유한 실시예1이 태지유사지질복합체만을 함유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가려움 개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에센스 제형의 가려움완화 개선 시험
상기 제조예 3-2에서 제조된 실시예 2와 비교예 3,4의 피부가려움 개선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피부가려움을 호소하는 성인 60명을 선정하여 이를 각 20명씩 3그룹으로 나누고, 로션을 사용하기 전 피부 가려움의 정도에 대하여 10점 척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1~3점: 무의식중에 긁음(생활, 수명방해 없음), 4~6점: 생활, 수면방해 정도의 소양감(온종일은 아님), 7~9점: 대부분의 시간 동안 생활 수면을 방해하는 소양감, 10점: 가려움으로 생활과 수면장애가 심함). 실시예 2와 비교예 3, 4를 각각 나누어 주고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2주, 4주 후 피부 가려움에 대한 정도를 주관적 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가려움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초기값과 비교하여 변화량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사용전 2주 후 4주 후
비교예 3 4.0 3.2 2.8
비교예 4 4.0 2.6 1.5
실시예 2 4.1 1.9 0.7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실시예 2가 이를 함유하지 비교예 3과 비교하여 피부가려움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만 함유한 제형도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우수한 가려움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께 함유한 실시예2가 태지유사지질복합체만을 함유한 비교예 4와 비교하여 가려움 개선 효과가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크림 제형의 가려움완화 개선 시험
상기 제조예3-3에서 제조된 실시예 3과 비교예5, 6의 피부가려움 개선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피부가려움을 호소하는 성인 60명을 선정하여 이를 각 20명씩 3그룹으로 나누고, 로션을 사용하기 전 피부 가려움의 정도에 대하여 10점 척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1~3점: 무의식중에 긁음(생활, 수명방해 없음), 4~6점: 생활, 수면방해 정도의 소양감(온종일은 아님), 7~9점: 대부분의 시간 동안 생활 수면을 방해하는 소양감, 10점: 가려움으로 생활과 수면장애가 심함). 실시예 3과 비교예 5,6을 각각 나누어 주고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2주, 4주 후 피부 가려움에 대한 정도를 주관적 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가려움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초기값과 비교하여 변화량을 표 7에 나타내었다.
사용전 2주 후 4주 후
비교예 5 4.1 2.5 2.4
비교예 6 4.2 2.1 1.1
실시예 3 4.2 1.3 0.6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실시예 3이 이를 함유하지 비교예 5와 비교하여 피부가려움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태지유사지질복합체만 함유한 제형도 비교예 5와 비교하여 우수한 가려움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께 함유한 실시예 3이 태지유사지질복합체만을 함유한 비교예 6과 비교하여 가려움 개선 효과가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피부 자극 평가
상기 실시예 1~6, 비교예 1~3에 대하여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한 제형인지를 평가하였다.
20~50세 미만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15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첩포지챔버 내에 제품을 20ul 씩 적하시킨 후 1시간 동안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킨 후 피험자 등에 첩포를 부착하고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30분 후 판독을 시행하였다 (판정 기준 :< 0.97 미만).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율(%)
비교예 1 0.00
비교예 2 0.00
실시예 1 0.00
비교예 3 0.00
비교예 4 0.00
실시예 2 0.00
비교예 5 0.00
비교예 6 0.00
실시예 3 0.00
상기 표 8의 피부자극 평가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한 실시예 1,2,3이 비교예 1 내지 6과 비교하여 자극이 높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것은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께 함유한 실시예 모두 이들 유효성분에 의한 자극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열하였으나, 당업계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청구항과 그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g3 0.00001 ~ 40.0 중량% 및 태지유사지질복합체 0.00001 ~ 40.0 중량%을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지유사지질복합체는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 인지질,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 및 피부 표면 지질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C10-40 이소알킬 애씨드 콜레스테롤 에스터 및 인지질은 유사지질복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5.0~15.0 중량% 및 1.0~5.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인지질은 레시틴이고,
    상기 피부 베리어 지질성분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글루타메이트,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릴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글루타메이트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피부 표면 지질성분은 스쿠알란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삭제
KR1020150054612A 2015-04-17 2015-04-17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5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12A KR101655256B1 (ko) 2015-04-17 2015-04-17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12A KR101655256B1 (ko) 2015-04-17 2015-04-17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256B1 true KR101655256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612A KR101655256B1 (ko) 2015-04-17 2015-04-17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5371A (zh) * 2016-09-30 2017-01-04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氧化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241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피부 장벽 기능 증진용 유사지질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126892A (ko) * 2013-04-24 2014-11-03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241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피부 장벽 기능 증진용 유사지질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126892A (ko) * 2013-04-24 2014-11-03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5371A (zh) * 2016-09-30 2017-01-04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氧化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2677B2 (en) Lignan formulations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US8821904B2 (en) Top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or the prophylaxis and the treatment of defects connected to inflammatory dermopathies
US8383166B2 (en) Stable hydrophobic topical herbal formulationn
KR101716426B1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25553B1 (ko) 아미노 레불리닉산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5256B1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7113B1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23077397A1 (en) Use of mangosteen fruit shell extract in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reating psoriasis
KR20080062224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2256A (ko) 민감성 피부용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8641A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를 포함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1730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88752B1 (ko) 피부외용제
KR102542032B1 (ko)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931B1 (ko) 붉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
EP4180419A1 (en) Novel sphingolipid containing salicylic acid derivativ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EP4285889A2 (en) A composition for use in suppressing skin irritation or suppressing sebum secretion
KR102179114B1 (ko) 장구밥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24355B1 (ko) 함초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87573B1 (ko) 피부지질 복합체
KR20220008614A (ko) 신규한 스핑고지질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20123618A (ko) 울산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20140068839A (ko) 여드름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20230092348A (ko) 배롱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피지 분비 및 비듬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